KR101985305B1 -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305B1
KR101985305B1 KR1020170081015A KR20170081015A KR101985305B1 KR 101985305 B1 KR101985305 B1 KR 101985305B1 KR 1020170081015 A KR1020170081015 A KR 1020170081015A KR 20170081015 A KR20170081015 A KR 20170081015A KR 101985305 B1 KR101985305 B1 KR 101985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filler
dust collecting
unit
sandwi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645A (ko
Inventor
김영우
Original Assignee
김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우 filed Critical 김영우
Priority to KR1020170081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3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45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 B26D7/1863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둘레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고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송되는 충전재를 가공할 수 있는 복수의 가공부 및 상기 회전부에 위치하고 상기 충전재를 가공하는 가공부와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부는 상기 회전부를 따라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으로 상기 복수의 가공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이송되는 상기 충전재와 마주하고 상기 집진부와 연결된다.

Description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processing apparatus for sandwich panel filling material bar and manufacturing system for sandwich panel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샌드위치패널은 상, 하 강판 사이에 단열 또는 차음을 위한 충전재가 내장된 것으로, 충진재는 그라스울(GLASSWOOL), 미네랄(MINERAL) 등으로 형성된 광물성 섬유 또는 우레탄(URETHANE), 스티로폼(E.P.S) 등으로 형성된 합성수지 등이 있다.
샌드위치패널은 충전재 공급, 절단, 이송, 터닝(turning), 정렬, 강판의 포밍(forming), 라미네이팅, 컷팅 등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충전재가 광물성 섬유로 형성된 경우 절단(기 설정된 넓이를 갖는 충전재 패널을 바 형태로 절단), 터닝(turning)공정(충전재 바를 90° 회전)이 진행되며, 충전재를 합성수지로 사용할 경우 절단, 터닝(turning)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재 패널은 공급 공정에서 정렬 공정으로 바로 이송된다.
한편, 샌드위치패널의 강도 향상, 디자인 등의 목적으로 강판은 포밍을 통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부가 형성된다. 라미네이팅공정 전에 충전재의 표면을 요철부와 대응되게 가공하게 된다.
충전재 가공 시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게 되며 작업자가 분진을 흡입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디자인에 따라 요철부의 가공위치가 달라지는데 이때 가공장치에서 가공 날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고 제품의 질이 저하되었다.
등록특허 제10-0713715호 (2007.05.25.)
본 발명은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를 강판에 맞춰 가공할 때 분진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며 충전재의 가공효율과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둘레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고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송되는 충전재를 가공할 수 있는 복수의 가공부 및 상기 회전부에 위치하고 상기 충전재를 가공하는 가공부와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은 상기 충전재 이송방향과 수직한 방향이고, 상기 집진부는 상기 회전부를 따라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으로 상기 복수의 가공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이송되는 상기 충전재와 마주하고 상기 집진부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는, 상기 제2 블록부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를 고정하는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제1 블록부, 상기 베이스 타측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블록부와 떨어져 있는 제2 블록부 및 상기 제2 블록부와 동력 연결된 회전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블록부와 상기 제2 블록부는 로드로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집진부의 일단은 상기 제1 블록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제2 블록부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공부 각각, 양단이 상기 회전부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부 둘레에 배치된 가공날, 상기 가공날 주변을 감싸며 그 내부가 상기 집진부의 내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호퍼 및 상기 베이스 일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와 동력 연결될 수 있는 가공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공날은 단위체를 이루며, 상기 단위체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호퍼는 상기 단위체 마다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공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일측에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이송 테이블, 상기 이송 테이블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와 동력 연결된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샤프트를 동력 연결하고 끊는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부는, 일측이 상기 회전부 일측에 지지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회전부 타측을 관통한 집진통 및 상기 집진통과 연결된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는 집진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둘레에는 상기 호퍼의 내부와 상기 집진공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집진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퍼는 상기 단위체 마다 위치하여 복수 배치되고, 상기 가공부는, 이웃한 호퍼 사이로 노출된 집진홀을 가리며 상기 호퍼와 연결된 밀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는, 이송되는 상기 충전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공부와 마주하고 상기 충전재를 상기 가공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는,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를 승강시켜 상기 가공부와 상기 충전재의 가공 깊이를 조절하는 승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는, 이송되는 상기 충전재가 통과하고 상기 가공부가 위치하는 가공공간을 갖는 골조부 및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공공간에서 상기 골조부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이송대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날의 단위체 마다 호퍼가 배치되어 있고 호퍼의 내부가 집진통의 집진공간과 연결되어 충전재 가공 시 발생하는 분진이 비산되지 않는다. 이에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가공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가공장치 가압부, 지지부, 베이스, 가공부 및 이송대차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베이스, 가공부 및 이송대차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5의 가공부, 회전부 및 집진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가공날과 호퍼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가공부와 집진부를 분해한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가공부와 집진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도 7의 안착면 마다 가공세트들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가공세트들과 집진부의 분해도.
도 13은 도 5의 가공 구동부 확대도.
도 14는 도 5의 A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가 적용된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10)은 샌드위치패널 용 충전재(1)가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적층된 공급장치(11), 공급장치(11)로부터 패널 형태의 충전재를 공급받아 바 형태로 절단하는 절단장치(12), 바 형태로 절단된 충전재 바를 이송하는 이송장치(13), 이송된 충전재 바들을 90° 회전시켜 세우는 터닝(turning)장치(14), 90° 회전된 충전재 바들을 밀착시켜 정렬하는 정렬장치(15), 정렬된 충전재 바 들의 표면을 강판의 포밍 형상에 맞춰 가공하는 가공장치(20) 및 가공된 충전재 바와 포밍된 강판을 결합하는 결합장치(1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10)은 이송장치(13)와 가공장치(20)를 연결하는 우회장치(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재(1)가 광물성 섬유로 형성된 경우 절단장치(12)에서 바 형태로 절단되어 터닝장치(14)를 통해 가공장치(20)로 공급된다. 그러나 합성수지로 형성된 충전재는 절단장치(12)를 그대로 통과하여 절단되지 않으며 우회장치(17)를 통해 가공장치(20)로 바로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급장치(11), 절단장치(12), 이송장치(13), 터닝장치(14), 정렬장치(15), 결합장치(16) 및 우회장치(17)의 세부적인 구성 및 작용효과는 공지된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의 공급장치, 절단장치, 이송장치, 터닝장치, 정렬장치 및 결합장치와 동일하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가공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가공장치 가압부, 지지부, 베이스, 가공부 및 이송대차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베이스, 가공부 및 이송대차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가공부, 회전부 및 집진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가공날과 호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가공부와 집진부를 분해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가공부와 집진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7의 안착면 마다 가공세트들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가공세트들과 집진부의 분해도이고, 도 13은 도 5의 가공 구동부 확대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20)는 골조부(21), 지지부(22), 가압부(23), 이송대차(24), 베이스(25), 회전부(26), 가공부(27) 및 집진부(28)를 포함하며 공급된 충전재(1)를 가공할 때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여 분진이 작업장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한다.
골조부(21)는 정렬장치(15)의 배출구(도시하지 않음)에 배치되어 있으며 수직프레임(211)과 수평프레임(212)이 서로 연결되어 가공공간(213)을 갖는다.
지지부(22)와 가압부(23)는 복수의 롤러와 롤러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지지부(22)와 가압부(23)는 가공공간(213)에 배치되어 수직프레임의 상하방향(Z)으로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정렬장치에서 배출된 충전재(1)는 지지부(22)와 가압부(23)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공될 수 있다.
지지부(22)는 골조부(21)와 결합되어 있으며 가압부(23)는 골조부(21)에 결합된 복수의 승강 스크류(23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승강 스크류(231)들은 동력연결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동력 연결되어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승강 스크류(231)의 구동으로 가압부(23)는 수직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 할 수 있다. 충전재의 두께에 따라 가압부(23)는 수직프레임을 따라 이동하여 지지부(22)와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지지부(22)는 정렬장치의 배출구와 이웃한 제1 지지영역(221)과 결합장치의 유입구(도시하지 않음)와 이웃한 제2 지지영역(222)으로 구획되어 있고, 제1 지지영역(221)과 제2 지지영역(222)은 간격을 두고 마주하며 플레이트(223)로 연결되어 있다. 플레이트(223)에는 길이방향(Y)을 따라 노출홀(223a)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노출홀(223a)은 길이방향(Y)따라 연속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23) 아래에는 회전부(26), 가공부(27) 및 집진부(28)가 위치한다.
이송대차(24)는 지지부(22)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으로 인출 테이블(241)이 형성되며 인출 테이블(241)에는 복수의 롤러(242)가 결합되어 있다. 롤러(242)는 골조부(21)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된 레일(24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인출 테이블(241)이 골조부(21) 내부(가공공간(213))에서 외부로 인출되므로 인출 테이블(241) 위로 위치하는 회전부(26), 가공부(27) 등의 정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베이스(25)는 지지부(22)와 인출 테이블(241) 사이에 위치하여 인출 테이블(241) 상면과 승강부(251)로 연결되어 있다. 승강부(251)의 구동으로 베이스(25)는 수직프레임의 상하방향(Z)으로 직선이동 할 수 있다.
승강부(251)는 복수의 볼 스크류, 볼너트 및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
승강구동부는 인출 테이블(241)에 배치되어 있으며, 볼너트는 승강구동부와 마주하는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다. 볼 스크류는 승강구동부와 결합되어 볼너트를 관통한다. 승강구동부들은 모터와 동력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다. 모터 동력이 승강구동부에 전달되면 볼 스크류가 회전되어 베이스(25)는 수직프레임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볼 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베이스(25)는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베이스(25)는 일측 상면에 형성된 배치면(252)과 베이스(25)의 일측과 타측 사이 상면이 상하 관통된 회전공간(253)을 갖는다.
[도 5] 내지 [도 10]을 더 참고하면, 회전부(26)는 제1 베어링하우징(261a), 제2 베어링하우징(261b), 제1 블록부(262), 제2 블록부(263) 및 회전 구동부(264)를 포함한다.
제1 베어링하우징(261a)은 배치면(252)에 놓인 받침대(252a)에 배치되어 있고, 제2 베어링하우징(261b)은 베이스(25) 타측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받침대(252a)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베어링하우징(261a)은 배치면(252)에 놓일 수 있다.
제1 블록부(262)는 회전공간(253)의 일측에 위치하며 블록몸체(262a) 및 블록몸체(262a)에서 배치면(252)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베어링하우징(261a)과 연결된 샤프트(262c)를 포함한다. 블록몸체(262a)의 외부둘레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부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안착면(262b)을 갖는다. 도면에서 블록몸체(262a)를 삼각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블록몸체(262a)의 형상은 가공부(27)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블록몸체(262a)와 샤프트(262c)는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 블록부(263)는 회전공간(253)의 타측에 위치하며 제1 블록부(262)와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제2 블록부(263)는 블록몸체(263a) 및 블록몸체(263a)에서 베이스(25) 타측 상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베어링하우징(261b)과 연결된 샤프트(263c)를 포함한다. 블록몸체(263a)와 샤프트(263c)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블록몸체(263a)와 샤프트(263c)의 중심은 관통되어 있다. 샤프트(263c)의 외부둘레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치차(263d)가 형성되어 있다. 블록몸체(263a)와 샤프트(263c)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블록몸체(263a)의 외부둘레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부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안착면(263b)을 갖는다. 블록몸체(263a)의 형상은 블록몸체(262a)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회전 구동부(264)는 모터로 형성되어 베이스(25)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 구동부(264)는 치차(263d)와 동력연결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동력 연결되어 있다. 이에 회전 구동부(264)의 동력이 샤프트(263c)에 전달되면 제2 블록부(263)는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블록부(263)와 제1 블록부(262)가 복수의 로드(265)로 연결되어 있어 회전 구동부(264) 구동 시 제1 블록부(262)와 제2 블록부(263)은 회전공간(253)에서 베이스(25)와 간섭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 블록부(262)와 제2 블록부(263)의 회전으로 복수의 안착면 중 어느 한 안착면(262b), (263b)은 플레이트(223) 하면과 마주할 수 있다.
가공부(27)는 베어링하우징(271a), (271b), 샤프트(272), 가공날(273), 호퍼(274) 및 가공 구동부(275)를 포함한다.
베어링하우징(271a), (271b)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제1 블록부(262)의 안착면(262c)과 제2 블록부(263)의 안착면(263c)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샤프트(272)는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단은 일측 베어링하우징(271a)에 지지되어있고 타단은 타측 베어링하우징(271b)에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272)의 일단은 일측 베어링하우징(271a)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다.
가공날(273)은 샤프트(272)에 결합되어 있으며 샤프트(27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가공날(273)은 배열 간격에 따라 단위체(273a), (273b)를 이루며 각 단위체(273a), (273b)는 서로 떨어져 있다. 이웃한 가공날(273)의 간격, 단위체(273a), (273b)의 간격은 충전재의 가공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면에서 단위체(273a), (273b)를 2개로 도시하였으나 단위체 개수는 샌드위치패널의 디자인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호퍼(274)는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고 내부를 샤프트(272)가 관통하며 각 단위체(273a), (273b) 마다 배치되어 있다. 이에 호퍼(274)는 샤프트(272)의 길이방향(Y)을 따라 단위체(273a), (273b) 개수만큼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양단이 안착면(262b), (263b)에 고정된 지지바(274a)에 지지되어 있다. 도면에서 호퍼(274)를 2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단위체(273a), (273b)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공날(273)의 적어도 일부분은 호퍼(274) 상부로 노출되어 있다. 호퍼(274)로부터 노출된 가공날(273) 부분은 노출홀(223a)을 통과하여 충전재 이동 경로상에 위치하여 충전재(1)의 표면을 가공할 수 있다. 호퍼(274)는 가공날(273)이 충전재를 가공할 때 발생하는 분진이 비산되지 않도록 차단하며 분진을 집진부(28)로 유도한다.
[도 11] 및 [도 12]를 더 참고하면, 한 쌍의 베어링하우징(271a), (271b) 샤프트(272), 가공날 단위체(273a), (273b) 및 호퍼(274)는 하나의 가공세트(270a), (270b), (270c)를 이루며, 가공세트(270a), (270b), (270c)는 안착면마다 위치한다. 그리고 회전부(26)의 회전으로 선택된 어느 한 가공세트(270a)는 플레이트(223) 아래에 위치하며 가공날(273)은 노출홀(223a)을 통해 플레이트(223) 위로 노출되어 지지부(22)와 가압부(23) 사이(플레이트 위)를 통과하는 충전재 표면을 가공할 수 있다.
한편, 각 가공세트(270a), (270b), (270c)의 가공날(273)과 호퍼(274)의 위치는 상이하다. 이에 샌드위치패널의 디자인에 따라 회전부(26)의 회전으로 복수의 가공세트(270a), (270b), (270c) 중 선택된 어느 한 가공세트(270a)가 플레이트(223) 아래에 위치하여 플레이트(223) 위를 통과하는 충전재를 가공할 수 있다.
[도 13]을 더 참고하면, 가공 구동부(275)는 이송 테이블(275a), 구동모터(275b) 및 클러치(275d)를 포함하며 선택된 어느 한 가공세트(270a), (270b), (270c)의 샤프트(272)를 회전시킨다.
이송 테이블(275a)은 받침대(272a) 위에 직선이동 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이송 테이블(275a)과 받침대(272a) 사이에는 이송 테이블(275a)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과 블록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272a) 일측에는 이송 테이블(275a)과 연결된 이송 스크류(277)를 지지하는 지지블록(277a)이 배치되어 있다. 이송 스크류(277)의 회전에 따라 이송 테이블(275a)은 직선이동 할 수 있다. 한편, 받침대(272a)가 생략된 경우 이송테이블(275a)은 배치면(252)에 배치되어 직선이동 할 수 있다.
구동모터(275b)는 이송 테이블(275a) 상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모터(275b)의 구동축은 플레이트(223)의 하면과 마주하는 샤프트(272)와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클러치(275d)는 구동모터(275b)의 구동축과 연결된 제1 부재(276a)와 가공세트(270a), (270b), (270c)의 각 샤프트(272)의 일단과 연결된 제2 부재(276b)를 포함한다. 제1 부재(276a)와 제2 부재(276b)는 이송 테이블(275a)의 이동방향에 따라 서로 맞물려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1 부재(276a)와 제2 부재(276b)가 서로 결합되면 구동모터(275b)의 동력이 샤프트(272)에 전달되면 샤프트(272)는 회전되고 가공날(273)은 충전재를 가공할 수 있다.
한편, 가공부(27)는 승강부(251)의 상승 동작에 따라 베이스(25)가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하여 가공날(273)의 일부분이 플레이트(223)의 노출홀(223a)을 통해 플레이트(223) 위로 노출되어 지지부(22)와 가압부(23) 사이를 통과하는 충전재와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251)의 하강 동작에 따라 베이스(25)가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강하고 가공날(273)은 플레이트(223)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도 4] 참조). 가공날(273)이 플레이트(223) 아래에 위치하면 회전부(26)는 회전할 수 있다.
집진부(28)는 집진통(281) 및 연결관(282)을 포함하며 회전부(26) 내부에 위치하여 분진이 분산되지 않도록 집진 한다.
집진통(281)은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는 집진공간(281b)이 형성되어 있고 집진통(281)의 일단은 막혀 있으며 타단은 개방되어 있다. 집진통(281)의 타단은 연결관(282)을 통해 집진본체(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다.
집진통(281)의 일단에는 제1 블록부(262)의 블록몸체(262a) 내부로 삽입된 지지샤프트(281a)가 돌출되어 있다. 회전부(26) 회전시 블록몸체(262a)는 지지샤프트(281a)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집진통(281)의 타단은 제2 블록부(263)의 블록몸체(263a)와 샤프트(263c)를 관통하여 회전부(26) 타측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회전부(26) 회전시 제2 블록부(263)는 집진통(281)의 타측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집진통(281)의 외부둘레는 호퍼(274)와 접하며, 집진통(281)의 외부둘레에는 호퍼(274) 내부와 집진공간(281b)을 연결하는 집진홀(281c)이 형성되어 있다. 집진홀(281c)은 집진통(28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도면 에서 집진홀(281c)이 집진통(281)의 길이방향을 따라 1개가 형성된 것으로 하였으나, 집진홀(281c)은 기 설정된 넓이를 가진 상태에서 집진통(28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될 수 있다.
호퍼(274) 내부와 집진공간(281b)이 연결되어 집진본체 작동으로 호퍼(274) 주변의 공기는 집진공간(281b)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호퍼(274) 내의 분진은 집진홀(281c)을 통해 집진공간(281b)으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세트(270a), (270b), (270c)들의 호퍼(274) 위치가 상이하므로 가공세트(270a), (270b), (270c)들의 각 호퍼(274)가 집진통(281)과 접하는 위치가 달라진다. 이에 호퍼(274)의 위치에 따라 집진홀(281c)의 일부분이 호퍼(274)에 의해 가려지지 않아 집진홀(281c)의 일부분이 호퍼(274)의 내부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호퍼(274) 내부와 연결되어 있지 않는 집진홀(281c)의 일부분을 폐쇄하기 위해 호퍼(274)에는 밀폐부재(274b)가 연결되어 있다. 밀폐부재(274b)는 가공세트(270a), (270b), (270c)에서 이웃한 호퍼(274)의 간격,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집진홀(281c)이 집진통(281)에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경우 호퍼(274)의 내부와 연결되지 않은 집진홀(281c)은 밀폐부재(274b)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에 가공날(273)의 단위체(273a), (273b) 마다 호퍼(274)가 배치되어 있고 호퍼(274)의 내부가 집진통(281)의 집진공간(281b)과 연결되어 충전재 가공 시 발생하는 분진은 작업장으로 비산되지 않고 집진공간(281b)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4]를 더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샌드위치 충전재 가공장치(20)는 회전방지부(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방지부(29)는 압축공기를 작동유체로 사용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로 구성되어있다. 회전방지부(29)의 하우징은 제2 베어링하우징(261b)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방지부(29)의 로드는 하우징에서 인출되어 제2 블록부(263)의 블록몸체(263a)에 형성된 회전방지홈(291)에 삽입될 수 있다. 로드가 회전방지홈(291)에 삽입되면 회전부는 회전되지 않는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14]를 전체적으로 다시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샌드위치패널의 두께, 즉 충전재의 두께에 따라 지지부(22)와 가압부(23)의 간격을 조절한다. 그리고 베이스(25)가 하강한 상태에서 샌드위치패널의 디자인, 강판 요부 위치 등에 따라 회전부(26)를 회전시켜 선택한 가공부(27)의 가공세트(270a), (270b), (270c)들 중 어느 한 가공세트(270a)를 플레이트(223)와 마주하도록 한다. 승강부(251) 상승 동작으로 베이스(25)가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승하면 가공세트(270a)의 가공날(273) 일부분은 노출홀(223a)을 통해 플레이트(223) 위로 노출된다. 가공날(273)의 일부분이 충전재 이동 경로상에 위치하게 되면서 충전재의 표면은 가공될 수 있다.
가공날(273)이 충전재를 가공하면서 발생하는 분진은 집진본체의 흡입력에 의해 집진홀(281c)을 통해 집진공간(281b)으로 유입되어 배출된다. 가공날(273)의 단위체(273a), (273b) 마다 호퍼(274)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분진 집진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가공부(27), 회전부(26) 등의 점검 필요 시 승강부(251) 구동으로 베이스(25)가 하강한 상태에서 인출 테이블(241)을 골조부(21)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하여 가공부(27), 회전부(26) 등이 골조부(21) 외부로 이동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충전재 10: 제조 시스템
11: 공급장치 12: 절단장치
13: 이송장치 14: 터닝장치
15: 정렬장치 16: 결합장치
17: 우회장치 20: 가공장치
21: 골조부 211: 수직프레임
212: 수평프레임 213: 가공공간
22: 지지부 221: 제1 지지영역
222: 제2 지지영역 223: 플레이트
223a: 노출홀 23: 가압부
231: 승강 스크류 24: 이송대차
241: 인출 테이블 242: 롤러
243: 레일 25: 베이스
252: 배치면 252a: 받침대
253: 회전공간 26: 회전부
261a: 제1 베어링하우징 261b: 제2 베어링하우징
262: 제1 블록부 263: 제2 블록부
262a, 263a: 블록몸체 262b, 263b: 안착면
262c, 263c: 샤프트 263d: 치차
264: 회전 구동부 265: 로드
27: 가공부 270a, 270b, 270c: 가공세트
271a, 271b: 베어링하우징 272: 샤프트
273: 가공날 273a, 273b: 단위체
274: 호퍼 274a: 지지바
274b: 밀폐부재 275: 가공 구동부
275a: 이송 테이블 275b: 구동모터
275d: 클러치 276a: 제1 부재
276b: 제2 부재 277: 이송 스크류
277a: 지지블록 28: 집진부
281: 집진통 281a: 지지샤프트
281b: 집진공간 281c: 집진홀
282: 연결관 29: 회전방지부
291: 회전방지홈

Claims (11)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둘레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고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송되는 충전재를 가공할 수 있는 복수의 가공부 및
    상기 회전부에 위치하고 상기 충전재를 가공하는 가공부와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공부 각각,
    양단이 상기 회전부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부 둘레에 배치된 가공날,
    상기 가공날 주변을 감싸며 그 내부가 상기 집진부의 내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호퍼 및
    상기 베이스 일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와 동력 연결될 수 있는 가공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날은 단위체를 이루며, 상기 단위체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호퍼는 상기 단위체 마다 위치하고, 상기 집진부는 상기 회전부를 따라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으로 상기 복수의 가공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이송되는 상기 충전재와 마주하여 상기 집진부와 연결되는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제1 블록부,
    상기 베이스 타측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블록부와 떨어져 있는 제2 블록부 및
    상기 제2 블록부와 동력 연결된 회전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록부와 상기 제2 블록부는 로드로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집진부의 일단은 상기 제1 블록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제2 블록부를 관통하는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2 블록부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를 고정하는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가공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일측에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이송 테이블,
    상기 이송 테이블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와 동력 연결된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샤프트를 동력 연결하고 끊는 클러치
    를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집진부는,
    일측이 상기 회전부 일측에 지지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회전부 타측을 관통한 집진통 및
    상기 집진통과 연결된 연결관
    을 포함하며,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는 집진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둘레에는 상기 호퍼의 내부와 상기 집진공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집진홀이 형성되어 있는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호퍼는 상기 단위체 마다 위치하여 복수 배치되고, 상기 가공부는, 이웃한 호퍼 사이로 노출된 집진홀을 가리며 상기 호퍼와 연결된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8. 제1항에서,
    이송되는 상기 충전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공부와 마주하고 상기 충전재를 상기 가공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를 승강시켜 상기 가공부와 상기 충전재의 가공 깊이를 조절하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10. 제9항에서,
    이송되는 상기 충전재가 통과하고 상기 가공부가 위치하는 가공공간을 갖는 골조부 및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공공간에서 상기 골조부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이송대차
    를 더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를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
KR1020170081015A 2017-06-27 2017-06-27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 KR101985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015A KR101985305B1 (ko) 2017-06-27 2017-06-27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015A KR101985305B1 (ko) 2017-06-27 2017-06-27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645A KR20190001645A (ko) 2019-01-07
KR101985305B1 true KR101985305B1 (ko) 2019-09-04

Family

ID=6501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015A KR101985305B1 (ko) 2017-06-27 2017-06-27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3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132B1 (ko) * 2019-12-23 2021-02-02 주식회사 유창기연 나선형 커터부재를 이용한 스티로폼 가공장치
KR102653684B1 (ko) 2024-01-23 2024-04-02 주식회사 에스티엠코리아 스티로폼 자동 투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229B1 (ko) * 2020-12-07 2021-07-19 주식회사 동천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573Y1 (ko) * 2002-02-16 2002-05-24 (주)일광종합기계 샌드위치패널용 단열재 슬리팅장치
KR100761751B1 (ko) * 2006-06-26 2007-09-28 권영우 스티로폼 평면 절삭장치
KR200438906Y1 (ko) * 2006-12-23 2008-03-12 (주)대산공업 자동회전에 의한 다축 톱날 이동방식에서 보드 절단시분진의 포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715B1 (ko) 2006-08-23 2007-05-02 임관빈 샌드위치 패널 절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573Y1 (ko) * 2002-02-16 2002-05-24 (주)일광종합기계 샌드위치패널용 단열재 슬리팅장치
KR100761751B1 (ko) * 2006-06-26 2007-09-28 권영우 스티로폼 평면 절삭장치
KR200438906Y1 (ko) * 2006-12-23 2008-03-12 (주)대산공업 자동회전에 의한 다축 톱날 이동방식에서 보드 절단시분진의 포집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132B1 (ko) * 2019-12-23 2021-02-02 주식회사 유창기연 나선형 커터부재를 이용한 스티로폼 가공장치
KR102653684B1 (ko) 2024-01-23 2024-04-02 주식회사 에스티엠코리아 스티로폼 자동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645A (ko) 201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305B1 (ko)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
KR101694343B1 (ko) 파이프 면취장치
EP2762273B1 (en) Machine tool
KR101030084B1 (ko) 디스플레이용 박판유리의 면취장치
CN113211090B (zh) 一种新型先铣削加工再进行切割的自动生产线和生产方法
CN112297147A (zh) 一种双工位四机头双靠尺高速重型数控六面钻
CN106313185A (zh) 一种具有上料机构的板材切割装置
CN205415878U (zh) 一种刀具上下可调的四面刨木机
CN116690202B (zh) 一种可调式多功能保温建材开槽机
CN210477247U (zh) 一种板材砂光生产线
CN109807965B (zh) 一种具有可调高压板机构的地板背部开槽设备
CN205415877U (zh) 一种刀具左右可调的四面刨木机
KR20100003616A (ko) 재단 장치
CN210997920U (zh) 石材磨边机输送带
CN109746690B (zh) 窗框自动化生产线
CN111745828A (zh) 干挂切槽机
CN110625710A (zh) 一种新型复合板材切割分条方法及装置
CN209831788U (zh) 一种无尘地板背部开槽设备
CN109807966B (zh) 一种防止进料异常的地板背部开槽设备
CN209831750U (zh) 一种防进料倒飞的地板背部开槽设备
CN209831751U (zh) 一种压板可调高的地板背部开槽设备
KR101142523B1 (ko) 목재 가공장치
CN209831787U (zh) 一种具有柔性托辊的地板背部开槽设备
CN109968432B (zh) 一种地板背部开槽设备
CN209812433U (zh) 一种通过气缸张紧链条的地板背部开槽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