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153B1 -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 Google Patents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153B1
KR101983153B1 KR1020130127384A KR20130127384A KR101983153B1 KR 101983153 B1 KR101983153 B1 KR 101983153B1 KR 1020130127384 A KR1020130127384 A KR 1020130127384A KR 20130127384 A KR20130127384 A KR 20130127384A KR 101983153 B1 KR101983153 B1 KR 101983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or
capacitor
composite
internal electrode
conductiv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3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47382A (en
Inventor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7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153B1/en
Publication of KR20150047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3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1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40Structural combinations of fixed capacitors with other electric elements, the structure mainly consisting of a capacitor, e.g. RC combin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02Mountings
    • H01G2/06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a printed-circuit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유전체층과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내부전극이 적층된 세라믹 본체로 이루어진 제1 커패시터부와 제2 커패시터부 및 도전 패턴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자성체가 적층된 자성체 본체로 이루어진 제1 인덕터와 제2 인덕터가 결합된 육면체 형상의 복합체; 상기 복합체의 제1 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인덕터의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1 입력단자와 상기 제1 입력단자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 인덕터의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2 입력단자로 구성된 입력단자; 상기 복합체의 제2 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인덕터의 도전 패턴 및 제1, 제2 커패시터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는 출력단자; 및 상기 복합체의 상하면,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커패시터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는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복합체의 상하면,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커패시터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는 제2 그라운드 단자로 구성된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인덕터와 상기 제1, 제2 커패시터는 직렬 연결되는 복합 전자부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comprising a first capacitor portion composed of a ceramic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and internal electrodes dispos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dielectric layer sandwiched therebetween, a second capacitor portion, and a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formed of the same layer as the conductive pattern A first inductor and a second inductor, each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being made of a magnetic body; A first input terminal formed on a first end surface of the composite body and connected to a conductive pattern of the first inductor, a second input terminal formed apart from the first input termina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nnected to a conductive pattern of the second inductor, An input terminal configured as a terminal; An output terminal formed on a second end surface of the composite, the output terminal being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ttern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and the internal electrodes of the first and second capacitors; And at least one of a first ground terminal form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first side of the composite body and connected to internal electrodes of the first capacitor and a second side surface of the composite body, And a second ground terminal connected to an internal electrode of the first and second capacitor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and the first and second capacitors are connected in series.

Description

복합 전자부품{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복수의 수동 소자를 구비한 복합 전자부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electronic part having a plurality of passive elements.

최근의 전자 기기는 경박단소화, 고성능화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전자 기기의 사이즈를 최소화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Recent electronic equipment has been required to have various functions while minimizing the size of electronic apparatuses in response to demands for thinning, shortening, and high performance.

이러한 전자 기기는 다양한 서비스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제한된 배터리 리소스의 효율적인 제어 및 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전력 반도체 기반 PMIC를 구비하고 있다.These electronic devices are equipped with power semiconductor-based PMICs that are responsible for efficient control and management of limited battery resources to meet various service requirements.

그러나 전자 기기에 다양한 기능이 구비됨에 따라 전력 관리 회로(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에 구비되는 DC/DC 컨버터의 개수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PMIC의 전원 입력단, 전원 출력단에 구비되어야 하는 수동 소자의 개수도 증가하고 있다.However, since various functions are provided in electronic devices, the number of DC / DC converters provided in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s (PMICs) is also increasing. In addition, a passive component And the number of mobile phones is also increasing.

이 경우, 전자 기기의 부품 배치 면적이 증가할 수 밖에 없으므로, 전자 기기의 소형화에 제한이 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rea of the component place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is inevitably increased, which may limit the miniaturiz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또, PMIC와 그 주변 회로의 배선 패턴에 의하여 노이즈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noise may be generated largely by the wiring pattern of the PMIC and its peripheral circuits.

한국공개특허 KR 2003-0014586Korean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03-0014586

본 명세서는 구동 전원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부품 실장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복합 전자부품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specification intends to provide a composite electronic part capable of reducing a component mounting area in a driving power supply system.

또, 본 명세서는 구동 전원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노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복합 전자부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specification intends to provide a composite electronic part capable of suppressing noise generation in a driving power supply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복수의 유전체층과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내부전극이 적층된 세라믹 본체로 이루어진 제1 커패시터부와 제2 커패시터부 및 도전 패턴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자성체가 적층된 자성체 본체로 이루어진 제1 인덕터와 제2 인덕터가 결합된 육면체 형상의 복합체; 상기 복합체의 제1 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인덕터의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1 입력단자와 상기 제1 입력단자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 인덕터의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2 입력단자로 구성된 입력단자; 상기 복합체의 제2 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인덕터의 도전 패턴 및 제1, 제2 커패시터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는 출력단자; 및 상기 복합체의 상하면,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커패시터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는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복합체의 상하면,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커패시터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는 제2 그라운드 단자로 구성된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인덕터와 상기 제1, 제2 커패시터는 직렬 연결되는 복합 전자부품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ramic capacitor comprising a first capacitor portion made up of a ceramic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and internal electrodes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dielectric layer sandwiched therebetween and a second capacitor portion and a plurality A first inductor and a second inducto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being formed of a magnetic body in which a magnetic body of the first inductor is stacked; A first input terminal formed on a first end surface of the composite body and connected to a conductive pattern of the first inductor, a second input terminal formed apart from the first input termina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nnected to a conductive pattern of the second inductor, An input terminal configured as a terminal; An output terminal formed on a second end surface of the composite, the output terminal being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ttern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and the internal electrodes of the first and second capacitors; And at least one of a first ground terminal form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first side of the composite body and connected to internal electrodes of the first capacitor and a second side surface of the composite body, And a second ground terminal connected to an internal electrode of the first and second capacitor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and the first and second capacitors are connected in series.

상기 복합체의 제1 인덕터와 제2 인덕터의 도전 패턴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겨있을 수 있다.
The conductive patterns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of the composite may be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복합체의 제1 및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노출된 리드를 가지는 제1, 제3 내부전극 및 제2 단면으로 노출된 리드를 가지는 제2, 제4 내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Third and fourth internal electrodes having leads expose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composite, and second and fourth internal electrodes having leads exposed at the second end face.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는 접하며, 상기 제1 커패시터는 상기 제1 인덕터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커패시터는 상기 제2 인덕터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capacitor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capacitor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inductor.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전력 관리부에 의하여 변환된 전원을 공급받는 입력 단자; 상기 전원을 안정화시키며, 복수의 유전체층과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내부전극이 적층된 세라믹 본체로 이루어진 제1 커패시터부와 제2 커패시터부 및 도전 패턴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자성체가 적층된 자성체 본체로 이루어진 제1 인덕터와 제2 인덕터가 결합된 육면체 형상의 복합체를 구비한 전원 안정화부; 및 안정화된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복합 전자부품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terminal receiving power converted by a power management unit; A first capacitor part composed of a ceramic body in which internal electrode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a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sandwiching the dielectric layer therebetween and a second capacitor part stabilizing the power source and a plurality of A power stabilizing part having a hexahedron-shaped composite in which a first inductor and a second inductor, each of which is made of a magnetic body, are stacked; And an output terminal for supplying the stabilized power source.

상기 입력 단자는, 상기 복합체의 제1 단면에 형성되고,Said input terminal being formed in a first end face of said composite,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복합체의 제2 단면에 형성되고, 상기 인덕터의 도전 패턴 및 커패시터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며,Wherein the output terminal is formed at a second end face of the composite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ttern of the inductor and the internal electrode of the capacitor,

상기 복합체의 상하면,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커패시터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는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복합체의 상하면,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커패시터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는 제2 그라운드 단자로 구성된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A first ground terminal form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first side of the composite body and connected to an internal electrode of the first capacitor and a second side surface of the composite body; And a ground terminal constituted by a second ground terminal connected to the internal electrode of the capacitor.

상기 복합체의 제1 인덕터와 제2 인덕터의 도전 패턴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겨있을 수 있다.
The conductive patterns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of the composite may be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복합체의 제1 및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노출된 리드를 가지는 제1, 제3 내부전극 및 제2 단면으로 노출된 리드를 가지는 제2, 제4 내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Third and fourth internal electrodes having leads expose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composite, and second and fourth internal electrodes having leads exposed at the second end face.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는 접하며, 상기 제1 커패시터는 상기 제1 인덕터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커패시터는 상기 제2 인덕터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capacitor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capacitor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inductor.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여, 구동 전원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부품 실장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복합 전자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osite electronic part that can reduce the component mounting area in the driving power supply system.

또,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여, 구동 전원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노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복합 전자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osite electronic part capable of suppressing noise generation in the driving power supply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전자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 전자부품의 적층 모습을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합 전자부품 중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에 채용가능한 내부전극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복합 전자부품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5는 구동 전원이 필요한 소정의 단자에 배터리, 전력 관리부를 통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 공급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구동 전원 공급 시스템의 배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전자부품을 적용한 구동 전원 공급 시스템의 배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posite electronic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of Fig. 1 in an exploded manner.
3 is a plan view showing an internal electrode usable in the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of the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shown in FIG.
4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composite electronic part shown i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driving power supply system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a predetermined terminal requiring a driving power source through a battery and a power management unit.
6 is a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pattern of the driving power supply system.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pattern of a driving power supply system to which a composite electronic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elemen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elements.

복합 전자 부품Composite electronic par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육면체의 방향을 정의하면, 도면 상에 표시된 L, W 및 T는 각각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나타낸다.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rections of the hexahedron are defined, L, W, and T shown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respectiv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전자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posite electronic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복합 전자부품의 적층 모습을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of Fig. 1 in an exploded manner.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합 전자부품 중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에 채용가능한 내부전극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3 is a plan view showing an internal electrode usable in the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of the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전자부품(100)은 복수의 유전체층(11)과 상기 유전체층(1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내부전극(31, 32, 33, 34)이 적층된 세라믹 본체로 이루어진 제1 커패시터부(110a)와 제2 커패시터부(110b) 및 도전 패턴(41)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자성체(21)가 적층된 자성체 본체로 이루어진 제1 인덕터(120a)와 제2 인덕터(120b)가 결합된 육면체 형상의 복합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a composit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11 and internal electrodes 31, 31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dielectric layer 11 therebetween, And a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21 formed of the same layer as the conductive patterns 41 are stacked on the first capacitor portion 110a, the second capacitor portion 110b, And a composite body 130 having a hexahedron in which a first inductor 120a and a second inductor 120b are coupled to each other.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육면체 형상의 복합체(130)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주면 및 제2 주면과 상기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 제2 측면, 제1 단면 및 제2 단면을 가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exahedral complex body 130 has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opposed to each other and a first side surface, a second side surface, a first end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which connect the first main surface and the second major surface, Section.

상기 복합체(130)의 형상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The shape of the composite body 1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 hexahedron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상기 육면체 형상의 복합체(130)는 상기 커패시터(110)와 인덕터(120)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합체(130)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hexahedral complex 130 may be formed by coupling the capacitor 110 and the inductor 120, and the method of forming the complex 1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예를 들면, 상기 복합체(130)의 형성은 별도로 제작된 상기 제1 커패시터(110a), 제2 커패시터(110b)와 제1 인덕터(120a), 제2 인덕터(120b)를 도전성 접착제 혹은 수지 등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제1 커패시터(110a), 제2 커패시터(110b)를 구성하는 세라믹 본체와 제1 인덕터(120a), 제2 인덕터(120b)를 구성하는 자성체 본체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For example, in the formation of the composite 130, the first capacitor 110a, the second capacitor 110b, the first inductor 120a, and the second inductor 120b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adhesive or resin or the like And the ceramic body constituting the first capacitor 110a and the second capacitor 110b and the magnetic body constituting the first inductor 120a and the second inductor 120b may be sequentially stacked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120a, 120b)는 접하며, 상기 제1 커패시터(110a)는 상기 제1 인덕터(120a)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커패시터(110b)는 상기 제2 인덕터(120b)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치되는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120a and 120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capacitor 110a is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inductor 120a, The second inductor 110b may b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inductor 120b.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상기 복합체(130)를 구성하는 커패시터(110)와 인덕터(1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apacitor 110 and the inductor 120 constituting the composite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커패시터(110a)를 구성하는 상기 세라믹 본체는 복수의 유전체층(11a~11d)이 적층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세라믹 본체의 내에는 복수의 내부 전극들(31, 32: 순차적으로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이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2, the ceramic body constituting the first capacitor 110a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11a to 11d, and a plurality of internal electrodes 31 and 32 are formed in the ceramic body,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electrodes in this order) may be dispos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with the dielectric layer therebetween.

상기 세라믹 본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유전체층(11)은 소결된 상태로서, 인접하는 유전체층끼리의 경계는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을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11 constituting the ceramic body may be in a sintered state so that the boundaries between adjacent dielectric layers are unified so as not to be confirmed.

상기 유전체층(11)은 세라믹 파우더, 유기 용제 및 유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시트의 소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파우더는 높은 유전율을 갖는 물질로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티탄산바륨(BaTiO3)계 재료, 티탄산스트론튬(SrTiO3)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dielectric layer 11 may be formed by firing a ceramic green sheet including a ceramic powder, an organic solvent, and an organic binder. The ceramic powder may be a material hav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but not limited thereto, a barium titanate (BaTiO 3 ) -based material, a strontium titanate (SrTiO 3 ) -based material, or the like can be us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내부전극은 상기 복합체(130)의 제1 및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노출된 리드(31a, 31b)를 가지는 제1 내부전극(31) 및 제2 단면으로 노출된 리드(32a)를 가지는 제2 내부전극(32)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 electrode includes a first internal electrode 31 having leads 31a and 31b exposed on at least one of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composite body 130, And a second internal electrode 32 having a lead 32a exposed in a second cross-s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커패시터(110a)를 구성하는 상기 세라믹 본체는 복수의 유전체층(11a~11d)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eramic body constituting the first capacitor 110a may be form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11a to 11d.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11a~11d) 중 일부의 유전체층(11b, 11c) 상에는 제1 및 제2 내부전극(31, 32)이 형성되어 적층될 수 있다.
First and second internal electrodes 31 and 32 may be formed on a part of the dielectric layers 11b and 11c of the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11a to 11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내부전극(31, 32)은 도전성 금속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electrodes 31 and 32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paste containing a conductive metal.

상기 도전성 금속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니켈(Ni), 구리(Cu), 팔라듐(Pd), 또는 이들의 합금일 수 있다.The conductive metal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nickel (Ni), copper (Cu), palladium (Pd), or an alloy thereof.

유전체층(11)을 형성하는 세라믹 그린시트 상에 스크린 인쇄법 또는 그라비아 인쇄법과 같은 인쇄법을 통하여 도전성 페이스트로 제1 및 제2 내부 전극(31, 32)을 인쇄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electrodes 31 and 32 can be printed with a conductive paste through a printing method such as a screen printing method or a gravure printing method on a ceramic green sheet forming the dielectric layer 11. [

내부전극이 인쇄된 세라믹 그린시트를 번갈아가며 적층하고 소성하여 세라믹 본체를 형성할 수 있다.
The ceramic green sheet on which the internal electrodes are printed may be alternately laminated and fired to form the ceramic body.

상기 내부전극(31, 32)은 상기 복합체(130)의 제1 및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노출된 리드(33a)를 가지는 제1 내부전극(33) 및 제2 단면으로 노출된 리드(32a)를 가지는 제2 내부전극(34)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internal electrodes 31 and 32 may include a first internal electrode 33 having a lead 33a expos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composite body 130, And the second internal electrode 34 having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electrodes 32a, 32a.

한편, 상기 제2 커패시터(110b)를 구성하는 상기 세라믹 본체는 복수의 유전체층(11e~11h)이 적층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세라믹 본체의 내에는 복수의 내부 전극들(33, 34: 순차적으로 제3 및 제4 내부 전극)이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ceramic body constituting the second capacitor 110b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11e to 11h and a plurality of internal electrodes 33 and 34 in the ceramic body And the fourth internal electrode) may be dispos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with the dielectric layer therebetween.

상기 내부전극(33, 34)은 상기 복합체(130)의 제1 및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노출된 리드(33a)를 가지는 제3 내부전극(33) 및 제2 단면으로 노출된 리드(34a)를 가지는 제4 내부전극(34)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internal electrodes 33 and 34 may include a third internal electrode 33 having a lead 33a expos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composite 130, And the fourth internal electrode 34 having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electrodes 34a, 34a.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커패시터(110b)를 구성하는 상기 세라믹 본체는 복수의 유전체층(11e~11h)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eramic body constituting the second capacitor 110b may b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11e to 11h.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11e~11h) 중 일부의 유전체층(11f, 11g) 상에는 제3 및 제4 내부전극(33, 34)이 형성되어 적층될 수 있다.
The third and fourth internal electrodes 33 and 34 may be formed on the dielectric layers 11f and 11g of the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11e to 11h.

도 3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 내부전극(31, 32, 33, 34)의 패턴 형상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3, the patterns of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electrodes 31, 32, 33, and 34 are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상기 커패시터는 전력 관리 회로(Power Management IC, PMIC)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apacitor may control a voltage supplied from a power management IC (PMIC).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인덕터(120)를 구성하는 자성체 본체는 도전 패턴(41)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자성체(21)가 적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21 formed of the same layer as the conductive pattern 41 may be stacked on the magnetic body constituting the inductor 120.

상기 인덕터(120)는 서로 인접하는 제1 인덕터(120a)와 제2 인덕터(120b)로 구성될 수 있다.
The inductor 120 may include a first inductor 120a and a second inductor 120b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자성체 본체는 자성체 그린시트(21b~21j) 상에 도전 패턴(41)을 인쇄하고, 상기 도전 패턴(41)이 형성된 다수의 자성체 그린시트(21b~21j)를 적층한 후, 추가로 상부 및 하부에 자성체 그린시트(21a, 21k)를 적층하고 소결하여 제조될 수 있다.
The magnetic body body is formed by printing a conductive pattern 41 on magnetic green sheets 21b to 21j and stacking a plurality of magnetic green sheets 21b to 21j on which the conductive pattern 41 is formed, And laminating and sintering the magnetic green sheets 21a and 21k at the bottom.

상기 자성체 본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자성체는 소결된 상태로써, 인접하는 자성체 끼리의 경계는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를 이용하지 않고 확인하기 곤란할 정도로 일체화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constituting the magnetic body body are sintered, and the boundaries between adjacent magnetic bodies can be integrated so as to be difficult to confirm without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상기 자성체는 Ni-Cu-Zn계, Ni-Cu-Zn-Mg계, Mn-Zn계 페라이트계 재료를 이용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magnetic material may be a Ni-Cu-Zn-based, Ni-Cu-Zn-Mg-based or Mn-Zn-based ferrite-based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를 참조하면, 자성체 그린 시트(21b~21j) 상에 도전 패턴(41)을 인쇄하고 건조한 후, 상부 및 하부에 자성체 그린 시트(21a, 21k)를 적층하여 자성체 본체를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magnetic body may be formed by printing and drying a conductive pattern 41 on magnetic green sheets 21b to 21j, and then laminating magnetic green sheets 21a and 21k on upper and lower portions.

상기 제1 인덕터(120a)를 구성하는 상기 자성체 본체 내의 상기 도전 패턴(41)은 적층 방향으로 코일 패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도전 패턴(41a~41d)이 적층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conductive patterns 41a to 41d may be stacked to form a coil pattern in the stacking direction in the magnetic body body constituting the first inductor 120a.

또한, 상기 제2 인덕터(120b)를 구성하는 상기 자성체 본체 내의 상기 도전 패턴(41)은 적층 방향으로 코일 패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도전 패턴(41e~41h)이 적층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conductive patterns 41e to 41h may be stacked to form a coil pattern in the stacking direction in the magnetic body body constituting the second inductor 120b.

상기 도전 패턴(41)은 은(Ag)을 주성분으로 하는 도전 페이스트를 소정 두께로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pattern 41 may be formed by printing a conductive paste containing silver (Ag) as a main component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상기 도전 패턴(41)은 길이 방향 양 단부에 형성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151, 1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pattern 4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input terminals and output terminals 151 and 152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도전 패턴(41)은 상기 입력단자(151) 및 출력 단자(15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를 구비할 수 있다.
The conductive pattern 41 may include a lea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151 and the output terminal 152.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전 패턴(41) 중 하나의 도전 패턴(41a)은 자성체 층(21)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도전 패턴(41b)과 자성체(21b)에 형성되는 비아 전극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적층 방향으로 코일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2, one conductive pattern 41a of the conductive pattern 4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conductive pattern 41b disposed between the magnetic layer 21 and the via- And the coil pattern can be formed in the stacking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코일 패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인덕터의 용량에 맞추어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patter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capacity of the inductor.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복합체(130)의 제1 인덕터(120a)와 제2 인덕터(120b)의 도전 패턴(41)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겨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ductor 120a of the composite 130 and the conductive pattern 41 of the second inductor 120b may be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즉, 상기 제1 인덕터(120a)를 구성하는 자성체 본체 내의 제1 도전 패턴(41a~41d)의 감겨진 방향과 상기 제2 인덕터(120b)를 구성하는 자성체 본체 내의 제2 도전 패턴(41e~41h)의 감겨진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That is,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ductive patterns 41a to 41d in the magnetic body constituting the first inductor 120a and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s 41e to 41h in the magnetic body constituting the second inductor 120b )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전자부품은 2개의 인덕터와 2개의 커패시터를 일체로 포함함으로써, 부품 실장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노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mposit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inductors and two capacitors integrally, thereby reducing the component mounting area and suppressing noise generation.

또한, 인덕터 2개가 서로 인접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상호 인덕턴스로 인한 전류의 발생은 상기와 같이 제1 인덕터와 제2 인덕터의 도전 패턴의 감는 방향을 반대로 함으로써 막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generation of the current due to the mutual inductance that can occur due to the two inductors being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prevented by reversing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conductive pattern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as described above.

또한, 도 2에서는 상기 인덕터(120)가 적층형 인덕터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권선형 인덕터, 박막형 인덕터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inductor 120 is shown as a stacked inductor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wound-type inductor or a thin-film type inductor.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전자 부품(100)은 상기 복합체(130)의 제1 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인덕터(120a)의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1 입력단자(151a)와 상기 제1 입력단자(151a)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 인덕터(120b)의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2 입력단자(151b)로 구성된 입력단자(151); 상기 복합체(130)의 제2 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인덕터(120a, 120b)의 도전 패턴 및 제1, 제2 커패시터(110a, 110b)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는 출력단자(152); 및 상기 복합체(130)의 상하면,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커패시터(110a)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는 제1 그라운드 단자(153a)와 상기 복합체(130)의 상하면,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커패시터(110b)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는 제2 그라운드 단자(153b)로 구성된 그라운드 단자(1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posit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put terminal 151a formed on a first end surface of the composite body 130 and connected to a conductive pattern of the first inductor 120a, An input terminal 151 formed of a first input terminal 151a and a second input terminal 151b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put terminal 151a and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ttern of the second inductor 120b; A conductive pattern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120a and 120b and an output terminal 152 connected to the internal electrodes of the first and second capacitors 110a and 110b are formed on a second end surface of the composite body 130. [ ); A first ground terminal 153a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and the first side of the composite body 130 and connected to internal electrodes of the first capacitor 110a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mposite body 130, And a ground terminal 153 formed on at least one of two sides of the first capacitor 110b and a second ground terminal 153b connected to an internal electrode of the second capacitor 110b.

상기 입력 단자(151)와 상기 출력 단자(152)가 상기 인덕터(120)의 도전 패턴과 연결되어, 상기 복합 전자 부품 내에서 인덕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input terminal 151 and the output terminal 152 ar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ttern of the inductor 120 to serve as an inductor in the composite electronic part.

또한, 상기 출력 단자(152)가 상기 커패시터(110)의 제2 및 제4 내부전극(32, 34)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커패시터(110a)의 제1 내부전극(31)이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153a)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커패시터(110b)의 제3 내부전극(33)이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153b)와 연결되어 상기 복합 전자 부품 내에서 커패시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output terminal 152 is connected to the second and fourth internal electrodes 32 and 34 of the capacitor 110 and the first internal electrode 31 of the first capacitor 110a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the third internal electrode 33 of the second capacitor 110b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ground terminal 153b to serve as a capacitor in the composite electronic part .

상기 입력 단자(151), 출력 단자(152) 및 그라운드 단자(153)는 도전성 금속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input terminal 151, the output terminal 152, and the ground terminal 153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paste containing a conductive metal.

상기 도전성 금속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니켈(Ni), 구리(Cu), 주석(Sn), 또는 이들의 합금일 수 있다.The conductive metal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nickel (Ni), copper (Cu), tin (Sn), or an alloy thereof.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는 절연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상기 절연성 물질은 글라스일 수 있다.The conductive paste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the insulating material may be glass.

상기 입력 단자(151), 출력 단자(152) 및 그라운드 단자(153)를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세라믹 본체를 디핑(dipping)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금 등의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method of forming the input terminal 151, the output terminal 152 and the ground terminal 15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med by dipping the ceramic body or by using another method such as plating Of course it is.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복합 전자부품의 등가회로도이다.
4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composite electronic part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의 입력 단자, 출력 단자 및 그라운드 단자의 각 부품과의 연결로 상기 인덕터(120)와 상기 커패시터(110)는 직렬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inductor 120 and the capacitor 110 may be connected in series by connecting the input terminal, the output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전자 부품은 종래와 달리 상기 인덕터(120)와 커패시터(110)가 결합되어 있어, 인덕터(120)와 커패시터(110)의 거리를 최단 거리로 설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노이즈 저감에 효과가 있다.
The inductor 120 and the capacitor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inductor 120 and the capacitor 110 can be designed to be the shortest distance, Thereby, noise reduction is effective.

또한, 2개의 인덕터(120a, 120b)와 2개의 커패시터(110a, 110b)가 결합되어 있어, 전력 관리 회로(Power Management IC, PMIC)에서의 실장 면적을 최소화하여 실장 공간 확보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two inductors 120a and 120b and the two capacitors 110a and 110b are combined to minimize the mounting area in the power management IC (PMIC), thereby providing an excellent effect in securing the mounting space.

또한, 실장시의 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the cost at the time of mounting can be reduced.

도 5는 구동 전원이 필요한 소정의 단자에 배터리, 전력 관리부를 통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 공급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 driving power supply system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a predetermined terminal requiring a driving power source through a battery and a power management unit.

도 6은 구동 전원 공급 시스템의 배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pattern of the driving power supply system.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전자부품을 적용한 구동 전원 공급 시스템의 배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pattern of a driving power supply system to which a composite electronic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전력 관리부에 의하여 변환된 전원을 공급받는 입력 단자; 상기 전원을 안정화시키며, 복수의 유전체층과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내부전극이 적층된 세라믹 본체로 이루어진 제1 커패시터부와 제2 커패시터부 및 도전 패턴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자성체가 적층된 자성체 본체로 이루어진 제1 인덕터와 제2 인덕터가 결합된 육면체 형상의 복합체를 구비한 전원 안정화부; 및 안정화된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복합 전자부품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terminal receiving power converted by a power management unit; A first capacitor part composed of a ceramic body in which internal electrode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a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sandwiching the dielectric layer therebetween and a second capacitor part stabilizing the power source and a plurality of A power stabilizing part having a hexahedron-shaped composite in which a first inductor and a second inductor, each of which is made of a magnetic body, are stacked; And an output terminal for supplying the stabilized power source.

상기 입력 단자는, 상기 복합체의 제1 단면에 형성되고,Said input terminal being formed in a first end face of said composite,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복합체의 제2 단면에 형성되고, 상기 인덕터의 도전 패턴 및 커패시터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며,Wherein the output terminal is formed at a second end face of the composite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ttern of the inductor and the internal electrode of the capacitor,

상기 복합체의 상하면,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커패시터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는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복합체의 상하면,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커패시터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는 제2 그라운드 단자로 구성된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A first ground terminal form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first side of the composite body and connected to an internal electrode of the first capacitor and a second side surface of the composite body; And a ground terminal constituted by a second ground terminal connected to the internal electrode of the capacitor.

상기 복합체의 제1 인덕터와 제2 인덕터의 도전 패턴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겨있을 수 있다.
The conductive patterns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of the composite may be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복합체의 제1 및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노출된 리드를 가지는 제1, 제3 내부전극 및 제2 단면으로 노출된 리드를 가지는 제2, 제4 내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Third and fourth internal electrodes having leads expose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composite, and second and fourth internal electrodes having leads exposed at the second end face.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는 접하며, 상기 제1 커패시터는 상기 제1 인덕터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커패시터는 상기 제2 인덕터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capacitor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capacitor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inductor.

도 5는 구동 전원이 필요한 소정의 단자에 배터리, 전력 관리부를 통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 공급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 driving power supply system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a predetermined terminal requiring a driving power source through a battery and a power management unit.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전원 공급 시스템은 배터리(300), 제1 전원 안정화부(400), 전력 관리부(500), 제2 전원 안정화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5, the driving power supply system may include a battery 300, a first power stabilization unit 400, a power management unit 500, and a second power stabilization unit 600. Referring to FIG.

상기 배터리(300)는 상기 전력 관리부(5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300)가 상기 전력 관리부(500)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1 전원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The battery 300 may supply power to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Her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300 to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is defined as a first power source.

상기 제1 전원 안정화부(400)는 상기 제1 전원(V1)을 안정화시키고, 안정화된 제1 전원을 전력 관리부에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원 안정화부(400)는 배터리(300)와 전력 관리부(500)의 연결 단자 및 접지 사이에 형성된 커패시터(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C)는 제1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e first power stabilization unit 400 may stabilize the first power source V 1 and supply the stabilized first power source to the power management unit. The first power stabilization unit 400 may include a capacitor C formed between a connection terminal of the battery 300 and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and a ground. The capacitor C may reduce the noise included in the first power source.

또, 상기 커패시터(C)는 전하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 관리부(500)가 순간적으로 큰 전류를 소비하는 경우, 상기 커패시터(C)는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켜 상기 전력 관리부(500)의 전압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Also, the capacitor (C) can charge the charge. When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instantaneously consumes a large current, the capacitor C discharges the charged charge to suppress the voltage fluctuation of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

상기 커패시터(C)는 고용량 커패시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pacitor (C) is preferably a high capacity capacitor.

상기 전력 관리부(500)는 전자 기기에 들어오는 전력을 그 전자 기기에 맞게 변환시키고, 전력을 분배, 충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전력 관리부(500)는 일반적으로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converts the power input to the electronic equipment to the electronic equipment, and distributes, charges, and controls the power. Therefore,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may generally include a DC / DC converter.

또, 상기 전력 관리부(500)는 전력 관리 회로(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may be implemented as a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

상기 전력 관리부(500)는 상기 제1 전원(V1)을 제2 전원(V2)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V2)은 전력 관리부(500)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소정의 소자가 요구하는 전원일 수 있다.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may convert the first power V 1 into a second power V 2 . The second power source V 2 may be a power source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and required by a predetermined device that receives driving power.

상기 제2 전원 안정화부(600)는 상기 제2 전원(V2)을 안정화시키고, 안정화된 제2 전원을 출력단(Vdd)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출력단(Vdd)에는 상기 전력 관리부(500)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소정의 소자가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power stabilizer 600 may stabilize the second power source V 2 and may transmit the stabilized second power source to the output terminal V dd . The output terminal (V dd ) may b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element that receives driving power from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전원 안정화부(600)는 전력 관리부(500)와 출력단(Vdd)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인덕터(L1, L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전원 안정화부(600)는 전력 관리부(500)와 출력단(Vdd)의 연결 단자 및 접지 사이에 형성된 2개의 커패시터(C1, C2)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power stabilization unit 600 may include two inductors L 1 and L 2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and the output terminal V dd . The second power stabilization unit 600 may include two capacitors C 1 and C 2 formed between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output terminal V dd and the ground.

상기 제2 전원 안정화부(600)는 상기 제2 전원(V2)에 포함된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e second power stabilizer 600 may reduce the noise included in the second power source V 2 .

또, 상기 제2 전원 안정화부(600)는 출력단(Vdd)으로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해 줄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power stabilization unit 600 can supply power stably to the output terminal V dd .

상기 인덕터(L1, L2)는 대용량 전류에 적용될 수 있는 파워 인덕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inductors L 1 and L 2 are power inductors that can be applied to a large capacity current.

또, 상기 커패시터(C1, C2)는 고용량 커패시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apacitors C 1 and C 2 are high-capacity capacitors.

도 6은 구동 전원 공급 시스템의 배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pattern of the driving power supply system.

도 6을 참조하면, 전력 관리부(500), 인덕터(L1, L2), 제1 및 제2 커패시터(C1, C2)의 배치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n arrangement pattern of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the inductors L 1 and L 2 , and the first and second capacitors C 1 and C 2 can be checked.

일반적으로, 전력 관리부(500, PMIC)는 수 개에서 수십 개의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DC/DC 컨버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하나의 DC/DC 컨버터마다 파워 인덕터, 고용량 커패시터가 필요하다.Generally,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PMIC) may include several to several dozen DC / DC converters. In order to realize the function of the DC / DC converter, a power inductor and a high capacity capacitor are required for each DC / DC converter.

도 6을 참조하면, 전력 관리부(500)는 소정의 단자(N1, N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부(500)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D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을 변환할 수 있다. 또, 상기 전력 관리부(500)는 제1 단자(N1)를 통하여 변환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자(N2)는 접지 단자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may include predetermined terminals N1 and N2.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and can convert the power using the DC / DC converter. In addition,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can supply the converted power through the first terminal N1. The second terminal N2 may be a ground terminal.

여기서, 인덕터(L1)는 제1 단자(N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이를 안정화시켜 제3 단자(N3)를 통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하므로 제2 전원 안정화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inductor L 1 receives the power from the first terminal N1, stabilizes it, and supplies the driving power through the third terminal N3, so that the inductor L 1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second power stabilizer.

도 6에 도시된 제4 내지 6 단자(N4 내지 N6)는 제1 내지 3 단자(N1 내지 N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fourth to sixth terminals N4 to N6 shown in FIG. 6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first to third terminals N1 to N3,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구동 전원 공급 시스템의 패턴 설계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점은, 전력 관리부, 파워 인덕터, 고용량 커패시터를 최대한 가깝게 배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전원선의 배선을 짧고 두껍게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A key consideration in the pattern design of a drive power supply system is that it should be plac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power management, power inductor, and high capacity capacitors. It is also necessary to design the wiring of the power source line to be short and thick.

왜냐하면, 상기와 같은 요건이 충족되어야 부품 배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노이즈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when the above-mentioned requirements are satisfied, the component placement area can be reduced and noise generation can be suppressed.

전력 관리부(500)의 출력단 개수가 적은 경우, 파워 인덕터와 고용량 커패시터를 가깝게 배치하는데 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전력 관리부(500)의 여러 출력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부품의 밀집도로 인하여 파워 인덕터와 고용량 커패시터의 배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또, 전원의 우선 순위에 따라 파워 인덕터와 고용량 커패시터를 비최적화 상태로 배치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number of output stages of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is small, there is no great problem in disposing the power inductor and the high capacity capacitor close to each other. However, when various outputs of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are to be used, the arrangement of the power inductor and the high capacity capacitor can not be normally performed due to the density of parts. Also, depending on the priority of the power source, there may arise a situation where the power inductor and the high capacity capacitor are placed in a non-optimized state.

예컨대, 파워 인덕터, 고용량 커패시터의 소자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실제 소자 배치시에 전원선, 신호선이 불가피하게 길어지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power inductor and the high-capacity capacitor have a large device size, a power line and a signal line are inevitably elongated in actual device placement.

파워 인덕터와 고용량 커패시터가 비최적화된 상태로 배치는 경우, 각 소자간 간격, 전원선이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는 전원 공급 시스템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When the power inductor and the high capacity capacitor are arranged in a non-optimized state, the interval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power line become long, which may cause noise. The noise may adversely affect the power supply system.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전자부품을 적용한 구동 전원 공급 시스템의 배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pattern of a driving power supply system to which a composite electronic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2개의 커패시터와 2개의 파워 인덕터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전자부품으로 대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two capacitors and the two power inductors shown in FIG. 6 are replaced by a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복합 전자부품은 제2 전원 안정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osite electronic par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second power stabilizing unit.

또, 2개의 커패시터와 2개의 파워 인덕터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전자부품으로 대체함으로써, 배선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 배치되는 소자의 개수가 감소됨으로써, 최적화된 소자 배치가 가능하다.In addition, by replacing two capacitors and two power inductors with a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wiring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the number of devices to be disposed is reduced, so that optimized device placement is possible.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전력 관리부, 파워 인덕터, 고용량 커패시터를 최대한 가깝게 배치할 수 있으며, 전원선의 배선을 짧고 두껍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management unit, the power inductor, and the high capacity capacitor can be arranged as close as possible, and the wiring of the power supply line can be designed to be short and thick.

한편, 전자 기기 제조 업체에서는, 소비자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전자 기기에 구비되는 PCB 사이즈를 줄이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PCB에 실장되는 IC의 집적도를 높이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전자부품과 같이 복수 개의 소자를 하나의 복합 부품으로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atisfy consumer demands, electronic device manufacturers are striving to reduce the PCB size provided in electronic devic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the IC mounted on the PCB. It is possible to satisfy such a requirement by constituting a plurality of elements as one composite part like the composite electronic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두 개의 부품(커패시터, 파워 인덕터)을 하나의 복합 전자부품으로 구현함으로써, PCB 실장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의 배치 패턴 대비 약 10 ~ 30%의 실장 면적 감소 효과가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CB mounting area can be reduced by implementing two components (a capacitor, a power inductor) as one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mounting area by about 10 to 30%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rangement pattern.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전력 관리부(500)는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IC에 최단 배선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management unit 500 may supply power to the IC that receives the driving power by the shortest wiring.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intended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omething to do.

100, 700: 복합 전자 부품(복합 소자) 110 : 커패시터
110a: 제1 커패시터 110b: 제2 커패시터
120: 인덕터 120a: 제1 인덕터
120b: 제2 인덕터 130: 복합체
11: 유전체층 21: 자성체층
31, 32, 33, 34: 제1 내지 제4 내부전극
31a, 32a, 33a, 34a: 리드
41: 도전 패턴 41a~41d: 제1 도전 패턴
41e~41h: 제2 도전 패턴
151: 입력단자 151a: 제1 입력단자
151b: 제2 입력단자 152: 출력단자
153: 그라운드 단자 153a: 제1 그라운드 단자
153b: 제2 그라운드 단자
300 : 배터리
400 : 제1 전원 안정화부
500 : 전력 관리부
600 : 제2 전원 안정화부
100, 700: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composite device) 110: Capacitor
110a: first capacitor 110b: second capacitor
120: Inductor 120a: First inductor
120b: second inductor 130: composite
11: Dielectric layer 21:
31, 32, 33, 34: first to fourth internal electrodes
31a, 32a, 33a, 34a:
41: Conductive patterns 41a to 41d: First conductive pattern
41e to 41h: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151: input terminal 151a: first input terminal
151b: second input terminal 152: output terminal
153: ground terminal 153a: first ground terminal
153b: second ground terminal
300: Battery
400: first power stabilization part
500:
600: second power stabilization unit

Claims (9)

복수의 유전체층과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내부전극이 적층된 세라믹 본체로 이루어진 제1 커패시터부와 제2 커패시터부 및 도전 패턴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자성체가 적층된 자성체 본체로 이루어진 제1 인덕터와 제2 인덕터가 결합된 육면체 형상의 복합체;
상기 복합체의 제1 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인덕터의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1 입력단자와 상기 제1 입력단자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 인덕터의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2 입력단자로 구성된 입력단자;
상기 복합체의 제2 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인덕터의 도전 패턴 및 제1, 제2 커패시터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는 출력단자; 및
상기 복합체의 상하면,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커패시터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는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복합체의 상하면,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커패시터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는 제2 그라운드 단자로 구성된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인덕터와 상기 제1, 제2 커패시터는 직렬 연결되는 복합 전자부품.
A first capacitor portion made of a ceramic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and internal electrodes dispos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dielectric layer sandwiched therebetween, a second capacitor portion, and a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formed of the same layer as the conductive pattern, A first inductor and a second inductor coupled to each other;
A first input terminal formed on a first end surface of the composite body and connected to a conductive pattern of the first inductor, a second input terminal formed apart from the first input termina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nnected to a conductive pattern of the second inductor, An input terminal configured as a terminal;
An output terminal formed on a second end surface of the composite, the output terminal being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ttern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and the internal electrodes of the first and second capacitors; And
A first ground terminal form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first side of the composite body and connected to an internal electrode of the first capacitor and a second side surface of the composite body; And a ground terminal composed of a second ground terminal connected to the internal electrode of the capacito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and the first and second capacitors are connected in ser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의 제1 인덕터와 제2 인덕터의 도전 패턴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겨있는 복합 전자부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nductive pattern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of the composite are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패시터의 내부전극은,
상기 복합체의 제1 및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노출된 리드를 가지는 제1 내부전극 및 제2 단면으로 노출된 리드를 가지는 제2 내부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커패시터의 내부전극은,
상기 복합체의 제1 및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노출된 리드를 가지는 제3 내부전극 및 제2 단면으로 노출된 리드를 가지는 제4 내부전극을 포함하는 복합 전자부품.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ternal electrode of the first capacitor comprises:
A first internal electrode having a lead ex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composite, and a second internal electrode having a lead exposed in the second end face,
Wherein the internal electrode of the second capacitor
A third internal electrode having a lead ex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composite, and a fourth internal electrode having a lead exposed in the second cross-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는 접하며, 상기 제1 커패시터는 상기 제1 인덕터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커패시터는 상기 제2 인덕터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합 전자부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are in contact, the first capacitor is disposed on a side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s disposed on a side of the second inductor.
전력 관리부에 의하여 변환된 전원을 공급받는 입력 단자;
상기 전원을 안정화시키며, 복수의 유전체층과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내부전극이 적층된 세라믹 본체로 이루어진 제1 커패시터부와 제2 커패시터부 및 도전 패턴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자성체가 적층된 자성체 본체로 이루어진 제1 인덕터와 제2 인덕터가 결합된 육면체 형상의 복합체를 구비한 전원 안정화부; 및
안정화된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 단자;
를 포함하는 복합 전자부품.
An input terminal receiving power converted by the power management unit;
A first capacitor part composed of a ceramic body in which internal electrode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a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sandwiching the dielectric layer therebetween and a second capacitor part stabilizing the power source and a plurality of A power stabilizing part having a hexahedron-shaped composite in which a first inductor and a second inductor, each of which is made of a magnetic body, are stacked; And
An output terminal for supplying the stabilized power source;
And a second electronic compon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자는, 상기 복합체의 제1 단면에 형성되고,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복합체의 제2 단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인덕터의 도전 패턴 및 제1, 제2 커패시터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복합체의 상하면,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커패시터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는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복합체의 상하면,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커패시터의 내부전극과 연결되는 제2 그라운드 단자로 구성된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는 복합 전자부품.
6. The method of claim 5,
Said input terminal being formed in a first end face of said composite,
Wherein the output terminal is formed on a second end face of the composite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ttern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and the internal electrodes of the first and second capacitors,
A first ground terminal form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first side of the composite body and connected to an internal electrode of the first capacitor and a second side surface of the composite body; And a ground terminal composed of a second ground terminal connected to the internal electrode of the capacit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의 제1 인덕터와 제2 인덕터의 도전 패턴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겨있는 복합 전자부품.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conductive pattern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of the composite are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패시터의 내부전극은,
상기 복합체의 제1 및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노출된 리드를 가지는 제1 내부전극 및 제2 단면으로 노출된 리드를 가지는 제2 내부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커패시터의 내부전극은,
상기 복합체의 제1 및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노출된 리드를 가지는 제3 내부전극 및 제2 단면으로 노출된 리드를 가지는 제4 내부전극을 포함하는 복합 전자부품.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internal electrode of the first capacitor
A first internal electrode having a lead ex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composite, and a second internal electrode having a lead exposed in the second end face,
Wherein the internal electrode of the second capacitor
A third internal electrode having a lead ex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composite, and a fourth internal electrode having a lead exposed in the second cross-s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는 접하며, 상기 제1 커패시터는 상기 제1 인덕터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커패시터는 상기 제2 인덕터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합 전자부품.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are in contact, the first capacitor is disposed on a side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s disposed on a side of the second inductor.
KR1020130127384A 2013-10-24 2013-10-24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KR101983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384A KR101983153B1 (en) 2013-10-24 2013-10-24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384A KR101983153B1 (en) 2013-10-24 2013-10-24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382A KR20150047382A (en) 2015-05-04
KR101983153B1 true KR101983153B1 (en) 2019-05-28

Family

ID=5338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384A KR101983153B1 (en) 2013-10-24 2013-10-24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1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726B1 (en) * 2016-12-29 2020-02-05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Complex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2053356B1 (en) * 2018-06-08 2019-12-06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lex component and the complex component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1354A (en) 2000-11-10 2002-05-24 Tdk Corp Laminated electronic component
JP2005080231A (en) 2003-09-03 2005-03-24 Mitsubishi Materials Corp Arrayed structure of lc composite component
JP2005260343A (en) 2004-03-09 2005-09-22 Mitsubishi Materials Corp Lc composite filter component
KR100843422B1 (en) 2007-06-20 200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Laminated induc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0463A (en) 2001-08-09 2003-02-28 Murata Mfg Co Ltd Layered lc composite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1354A (en) 2000-11-10 2002-05-24 Tdk Corp Laminated electronic component
JP2005080231A (en) 2003-09-03 2005-03-24 Mitsubishi Materials Corp Arrayed structure of lc composite component
JP2005260343A (en) 2004-03-09 2005-09-22 Mitsubishi Materials Corp Lc composite filter component
KR100843422B1 (en) 2007-06-20 200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Laminated indu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382A (en)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770B1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for mounting the same
KR102069627B1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for mounting the same
KR101558074B1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for mounting the same
US9520244B2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having the same
KR102097330B1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for mounting the same
KR101499719B1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for mounting the same
KR20160000166A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for mounting the same
KR101558100B1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for mounting the same
KR102016486B1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for mounting the same
KR101983153B1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KR101659135B1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board having the same mounted thereon and power smoothing unit comprising the same
JP5881089B2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its mounting board, and power stabilization unit including the same
KR101452138B1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KR102004794B1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for mounting the same
KR101539857B1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for mounting the same
KR102004778B1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board having the same mounted thereon and power smoothing unit comprising the same
KR101558075B1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for mounting the same
US20150042414A1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KR102029481B1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for mounting the same
KR101701026B1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KR101701011B1 (en)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