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726B1 -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726B1
KR101979726B1 KR1020120110715A KR20120110715A KR101979726B1 KR 101979726 B1 KR101979726 B1 KR 101979726B1 KR 1020120110715 A KR1020120110715 A KR 1020120110715A KR 20120110715 A KR20120110715 A KR 20120110715A KR 101979726 B1 KR101979726 B1 KR 101979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surface
window
display panel
adhesive lay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4579A (ko
Inventor
조용열
김종환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0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726B1/ko
Priority to US13/920,200 priority patent/US9616647B2/en
Publication of KR20140044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579A/ko
Priority to US15/467,721 priority patent/US1109091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60In a particular environment
    • B32B2309/68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31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합착장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배치되며, 유연 표시 패널이 배치되는 제1 곡면을 구비하는 표시 패널 고정부; 상기 제1 곡면에 대향하여 윈도우가 배치되는 제2 곡면을 구비하고, 적어도 일부가 자외선이 투과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윈도우 고정부; 및 상기 윈도우 고정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 고정부를 투과하여 상기 제1 곡면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면은 상기 제2 곡면과 정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윈도우와 표시 패널 사이에 접착층을 균일하게 경화하고, 접착층에 발생하는 기포를 방지함으로써, 표시 패널과 윈도우 접착시에 발생하는 불량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윈도우와 표시 패널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굴곡을 방지하여 화면 얼룩 등의 표시 품위 저하를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와 표시 패널 사이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DEVICE FOR BONDING WIND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윈도우 부재를 표시 패널에 부착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및 각종 정보기기의 모니터 등에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표시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들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영상이 출사되는 방향 상에 이를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가 부착된다. 표시 패널에 윈도우를 부착하기 위해 표시 패널 상에 접착층을 액상으로 도포한 후, 상압 상태에서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합착하고, 접착층을 경화시킨다.
평판 표시장치의 경우, 이와 같이 상압 상태에서 접착층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합착하는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접착층에 기포가 발생하거나, 접착이 불균일하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곡면 형상의 유연 표시장치의 경우, 접착 균일성, 접착층 내 기포 발생,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의 얼라인먼트 등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윈도우와 표시 패널 사이에 접착층을 균일하게 경화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윈도우와 표시 패널 사이에 접착층에 기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합착장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배치되며, 유연 표시 패널이 배치되는 제1 곡면을 구비하는 표시 패널 고정부; 상기 제1 곡면에 대향하여 윈도우가 배치되는 제2 곡면을 구비하고, 적어도 일부가 자외선이 투과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윈도우 고정부; 및 상기 윈도우 고정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 고정부를 투과하여 상기 제1 곡면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면은 상기 제2 곡면과 정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합착장치에 있어서, 윈도우 고정부는 상기 표시 패널 고정부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도록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합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 및 상기 제2 곡면은 각 단부가 곡면이고, 각 중심부가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합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고정부는 상기 제2 곡면의 단부가 자외선이 투과하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곡면의 중심부가 자외선이 불투과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합착장치는 챔버 내부에 배치되며, 유연 표시 패널이 배치되는 제1 곡면을 구비하는 표시 패널 고정부; 제1 곡면에 대향하여 윈도우가 배치되는 제2 곡면을 구비하는 윈도우 고정부; 및 챔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곡면의 단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면 및 상기 제2 곡면은 서로 정합하며, 각 단부가 곡면이고 각 중심부가 평탄면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합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고정부는 표시 패널 고정부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도록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방법은, 표시 패널 고정부에 구비된 제1 곡면 상에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위에 도포되는 접착층을 배치하는 단계; 윈도우 고정부에 구비된 제2 곡면 상에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곡면과 상기 제2 곡면을 대향하여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 고정부와 상기 윈도우 고정부를 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접착층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윈도우 고정부는 자외선 투과재질로 구성되며, 접착층을 경화하는 단계는 상기 윈도우 고정부를 투과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 곡면 및 상기 제2 곡면은 각 단부가 곡면이며, 각 중심부가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을 경화하는 단계는 상기 각 단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상기 윈도우 고정부를 투과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고정부와 상기 표시 패널 고정부를 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접착층을 경화하는 단계는 진공 분위기에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윈도우와 표시 패널 사이에 접착층을 균일하게 경화하고, 접착층에 발생하는 기포를 방지함으로써, 표시 패널과 윈도우 접착시에 발생하는 불량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윈도우와 표시 패널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굴곡을 방지하여 화면 얼룩 등의 표시 품위 저하를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와 표시 패널 사이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합착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합착장치에서 윈도우 고정부 및 표시 패널 고정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합착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합착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합착장치 및 표시장치제조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합착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합착장치에서 윈도우 고정부 및 표시 패널 고정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합착장치는 챔버(100), 표시 패널 고정부(200), 윈도우 고정부(300) 및 자외선 조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챔버(100)는 내부에 처리 공간을 구비하는 수단으로서, 내부의 처리 공간에 진공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밀폐가 가능하다. 챔버(100)의 측벽에는 처리 공간에 윈도우 또는 유연 표시 패널이 출입할 수 있는 게이트(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챔버(100)의 측벽 일측에는 배기구(미도시)와 배기구에 연결된 배기 펌프(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으며, 배기 펌프는 챔버(100)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하거나 챔버(100) 내에서 공정이 진행된 후의 잔여 공정가스를 배기구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 고정부(200)는 표시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곡면을 구비한 유연 표시 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유연 표시 패널이 배치되는 제1 곡면(200a)을 구비한다. 유연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표시장치, 액정 표시장치 또는 터치 스크린 패널일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면, 곡면을 구비한 다양한 표시 패널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유연 표시 패널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므로, 클램프와 같은 고정부(미도시)로 통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패널 위에는 윈도우와 표시 패널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층이 도포되는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윈도우 고정부(300)는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윈도우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서, 곡면을 구비한 윈도우를 고정하기 위해 윈도우가 배치되는 제2 곡면(300a)를 구비한다. 윈도우는 표시 패널(100)에서 영상이 출사되는 방향 상에 배치되며,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케이스(미도시)와 결합하여 케이스와 함께 표시 장치의 외면을 구성한다. 윈도우는 접착층을 통해 표시 패널(100)에 부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 고정부(200)에 형성된 제1 곡면(200a)와, 윈도우 고정부(300)에 형성된 제2 곡면(200b)는 서로 정합(整合)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곡면(200a)이 중심부에 평탄면을 구비하고 단부에 곡면을 구비하면, 제2 곡면(300a) 역시 중심부에 평탄면을 구비하고 단부에 제1 곡면(200a)의 단부와 일치하는 곡면을 구비한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곡면(200a)이 볼록한 형상의 곡면을 구비하면, 제2 곡면(300a)는 제1 곡면에 일치하는 오목한 형상의 곡면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곡면(200a)이 오목한 형상의 곡면을 구비하면, 제2 곡면(300a)는 제1 곡면에 일치하는 오목한 형상의 곡면을 구비한다. 제1 곡면(200a)과 제2 곡면(300a)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곡면이 정합하는 3차원 형상이라면 다양하게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윈도우는 클램프와 같은 고정부(미도시)로 통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진공으로 흡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윈도우 고정부(300)는 표시 패널 고정부(30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도록 이동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수단(500)은 윈도우 고정부의 제2 곡면(300a)가 표시 패널 고정부의 제1 곡면(200a)에 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곡면(300a)와 제1 곡면(200a)를 밀착시킴으로써, 제2 곡면(300a)에 배치되는 윈도우와 제 1 곡면(200a)에 배치되는 유연 표시 패널을 합착한다.
윈도우 고정부(300)에는 제2 곡면(300a)와 제1 곡면(200a) 사이에 밀착되는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제2 곡면(300a)와 제1 곡면(200a)을 적정 압력으로 밀착시켜, 강한 압력으로 인해 윈도우와 유연 표시 패널이 파손되거나 약한 압력으로 인해 윈도우와 유연 표시 패널이 약하게 합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윈도우 고정부(300)는 적어도 일부가 자외선이 투과하는 재질로 구성된다. 윈도우 고정부(300)는 후술하는 자외선 조사부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을 통과시켜, 자외선이 제2곡면(300a)을 통해 제1 곡면(200a)에 도달하도록 한다.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윈도우 고정부(300)의 전체 재질이 자외선이 투과하는 재질로 구성된 것을 예시로 한다. 윈도우 고정부(300)에 사용되는 자외선 투과 재질은 아크릴 플라스틱 소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다양한 소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표시 패널 고정부(200) 또는 윈도우 고정부(300) 중 어느 하나에는 이들을 정렬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되어, 표시 패널과 윈도우가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400)은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부착하는 접착층을 경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윈도우 조사부(300) 일측에 배치된다. 자외선 조사부(400)에서 발생한 자외선은 자외선 투과 재질의 윈도우 고정부(300a)를 투과하여 표시 패널에 도포된 접착층을 경화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합착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합착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합착장치는 표시 패널 고정부(200), 윈도우 고정부(300) 및 자외선 조사부(400)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부가 곡면이고, 중심부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표시 패널 및 윈도우에 맞추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 고정부(200)에 형성된 제1 곡면(200a) 및 윈도우 고정부(300)에 형성된 제2 곡면(300a)은 각각 단부가 곡면이고, 중심부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 고정부(300)는 제2 곡면(300a)의 단부에 해당하는 영역이 자외선이 투과하는 재질로 구성된 자외선 투과부(310)와, 제2 곡면(300a)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영역이 자외선이 불투과하는 재질(320)로 구성된 자외선 불투과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400)에서 발생한 자외선은 자외선 투과부(310)를 투과하여 곡면으로 형성된 제2 곡면(200a)의 단부에 도달할 수 있다. 윈도우 또는 표시 패널은 곡면 부분에 내부 응력이 발생하므로, 곡면 부분을 우선적으로 부착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고정부(303)는 전체 재질이 자외선 불투과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조사부(403)는 윈도우 고정부(303)의 일측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챔버(100) 내부의 일측, 예를 들어 챔버(100) 바닥에 배치되어 곡면으로 형성된 제1 곡면(200a) 및 제2 곡면(300a)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윈도우 합착장치의 작동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제조방법은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위에 도포되는 접착층을 배치하는 단계(S 10);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S 20); 윈도우 및 표시 패널을 대향하여 배치시키는 단계(S 30); 윈도우 및 표시 패널을 밀착시키는 단계(S 40); 및 접착층을 경화하는 단계(S 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 고정부(200)에 구비된 제1 곡면(200a) 상에 유연 표시 패널(10)을 배치시키고, 유연 표시 패널(10) 위에 접착층(20)을 도포한다(S 10).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고정부(300)에 구비된 제2 곡면(300a) 상에 윈도우(30)를 배치한다(S 20). 접착층(20)은 표시 패널(10)에서 출사되는 영상의 휘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 투과율이 높은 투명성 점착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20)은 액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유연 표시 패널(10) 상에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점도 이상을 갖는 반액상 상태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패널(10) 및 접착층(20)을 배치하는 단계 및 윈도우(30)를 배치하는 단계는 진공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비진공 상태에서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유연 표시 패널(10)을 챔버(100) 내로 반입하여 표시 패널 고정부(200)에 직접 배치하고 접착층(20)을 도포할 수도 있고, 챔버(100) 외부에서 표시 패널 고정부(300)에 유연 표시 패널(10)을 배치하고 접착층(20)을 도포한 후 표시 패널 고정부(200)를 반입할 수도 있다. 윈도우(30) 역시 마찬가지로, 윈도우(30)를 챔버(100) 내로 반입하여 윈도우 고정부(300)에 직접 배치할 수도 있고, 챔버(100) 외부에서 윈도우 고정부(300)에 윈도우(30)를 배치시킨 후 윈도우 고정부(300)를 챔버(100) 내로 반입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 및 접착층(20)을 배치하는 단계와 윈도우(30)를 배치하는 단계는 서로 순서를 바꾸어도 무방하다.
챔버(100)에 유연 표시 패널(10) 및 윈도우(30)가 배치되면, 배기 펌프를 이용하여 챔버(100)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접착층(20) 내에 기포가 발생하거나 이물질이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챔버 내의 진공도는 접착층(20)의 재질이나 자외선 조사 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 가능하다.
그리고 나서 표시 패널(10)과 접착층(20)이 배치된 제1 곡면(200a)과 윈도우(30)가 배치된 제2 곡면(300a)을 대향하도록 배치시킨 후(S 30),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윈도우 고정부(300)를 표시 패널 고정부(200) 방향으로 밀착시킨다(S 40). 이 때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제2 곡면(300a)와 제1 곡면(200a)을 적정 압력으로 밀착할 수 있다. 이 공정을 통해 윈도우(30)와 유연 표시 패널(10)을 합착할 수 있다.
유연 표시 패널(10)과 윈도우(30)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2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층(20)을 경화한다(S 50). 이 때 윈도우 고정부(300)는 자외선 투과재질로 구성되며 자외선 조사부(400)에서 발생한 자외선이 윈도우 고정부(300)를 통과하여 접착층(20)에 도달할 수 있다. 자외선의 강도는 접착층(20)의 재질, 두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 가능하다.
표시 패널부(200)에 형성된 제1 곡면(200a) 및 윈도우 고정부(300)에 형성된 제2 곡면(200b)은 각 단부가 곡면이고 각 중심부가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곡면이 형성된 단부를 자외선으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시간 경과 후 자외선에 의해 접착층(20)이 경화되면, 유연 표시 패널(10)과 윈도우(20)가 합착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 : 표시 패널 20 : 접착층
30 : 윈도우
100 : 챔버 200 : 표시 패널 고정부
300 : 윈도우 고정부 400 : 자외선 조사부
500 : 이동수단

Claims (12)

  1.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배치되며, 유연 표시 패널이 배치되는 제1 곡면을 구비하는 표시 패널 고정부;
    상기 챔버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곡면에 대향하여 윈도우가 배치되는 제2 곡면을 구비하고, 적어도 일부가 자외선이 투과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윈도우 고정부; 및
    상기 챔버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 고정부의 상기 제2 곡면과 반대되는 일측에 직접 부착되고, 상기 윈도우 고정부를 투과하여 상기 제1 곡면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면은 상기 제2 곡면과 정합하고,
    상기 챔버 내부는 진공상태인 윈도우 합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고정부는
    상기 표시 패널 고정부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도록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합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 및 상기 제2 곡면은
    각 단부가 곡면이고, 각 중심부가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윈도우 합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고정부는
    상기 제2 곡면의 단부가 자외선이 투과하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곡면의 중심부가 자외선이 불투과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윈도우 합착장치.
  5.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배치되며, 유연 표시 패널이 배치되는 제1 곡면을 구비하는 표시 패널 고정부;
    상기 챔버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곡면에 대향하여 윈도우가 배치되는 제2 곡면을 구비하는 윈도우 고정부; 및
    상기 챔버 내부에서 상기 윈도우 고정부를 둘러싸면서 배치되어 상기 제1 곡면의 단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면 및 상기 제2 곡면은
    서로 정합하며, 각 단부가 곡면이고 각 중심부가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챔버 내부는 진공상태인 윈도우 합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고정부는
    상기 표시 패널 고정부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도록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합착장치.
  7. 표시 패널 고정부에 구비된 제1 곡면 상에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위에 도포되는 접착층을 배치하는 단계;
    윈도우 고정부에 구비된 제2 곡면 상에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곡면과 상기 제2 곡면을 대향하여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 고정부와 상기 윈도우 고정부를 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접착층을 경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고정부는 자외선 투과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접착층을 경화하는 단계는 상기 윈도우 고정부의 상기 제2 곡면과 반대되는 일측에 직접 부착되고, 상기 윈도우 고정부를 투과하여 상기 제1 곡면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이고,
    상기 윈도우 고정부와 상기 표시 패널 고정부를 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접착층을 경화하는 단계는 진공 분위기에 행해지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 및 상기 제2 곡면은 각 단부가 곡면이며, 각 중심부가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을 경화하는 단계는 상기 각 단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표시장치 제조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120110715A 2012-10-05 2012-10-05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1979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715A KR101979726B1 (ko) 2012-10-05 2012-10-05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US13/920,200 US9616647B2 (en) 2012-10-05 2013-06-18 Device for bonding wind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15/467,721 US11090919B2 (en) 2012-10-05 2017-03-23 Device for bonding wind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715A KR101979726B1 (ko) 2012-10-05 2012-10-05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579A KR20140044579A (ko) 2014-04-15
KR101979726B1 true KR101979726B1 (ko) 2019-05-20

Family

ID=5043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715A KR101979726B1 (ko) 2012-10-05 2012-10-05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616647B2 (ko)
KR (1) KR1019797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801A (ko)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흐름성을 갖는 합착 재료를 사용한 기판 합착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3228A (ko) * 2012-11-16 2014-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701247B1 (ko) 2013-05-27 2017-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
KR102131962B1 (ko) * 2013-06-25 2020-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의 제조장치 및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DE102014213187A1 (de) * 2014-07-08 2016-01-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resswerkzeug mit optimiertem Harzfluss
KR101677014B1 (ko) * 2014-08-14 2016-11-17 안성룡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KR102348799B1 (ko) 2015-01-14 2022-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KR102345440B1 (ko) 2015-02-13 2021-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장치
KR101588600B1 (ko) 2015-07-23 2016-02-01 주식회사 톱텍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KR102410628B1 (ko) * 2015-08-31 2022-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형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737009B1 (ko) 2015-09-22 2017-05-17 주식회사 톱텍 윈도우 합착장치
KR102537377B1 (ko) 2016-03-10 2023-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2017181888A (ja) * 2016-03-31 2017-10-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調光フィルム、調光フィルムの積層体
KR101653597B1 (ko) 2016-04-06 2016-09-09 주식회사 톱텍 체적가변 가압패드를 구비한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KR102632896B1 (ko) * 2016-08-16 2024-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커버, 이를 포함하는 보호 커버 패키지 및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6541670A (zh) * 2016-09-22 2017-03-29 南昌欧菲光学技术有限公司 3d玻璃装饰膜加工设备及方法
KR102529080B1 (ko) * 2016-10-05 2023-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CN108932072A (zh) * 2017-05-22 2018-12-04 蓝思科技(长沙)有限公司 触摸显示屏的制备方法及贴合设备
KR102404974B1 (ko) 2017-09-12 2022-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615463B (zh) * 2018-04-20 2020-10-27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异形曲面盖板与柔性屏的贴合装置及贴合方法
CN108648630B (zh) * 2018-05-31 2020-03-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曲面屏贴合装置及贴合方法
CN109878068A (zh) * 2019-04-08 2019-06-14 万维科研有限公司 一种软性片材的贴合方法和装置
CN110103564B (zh) * 2019-05-27 2021-06-11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贴合治具及应用其的贴合方法
CN110576672B (zh) * 2019-10-10 2020-06-02 深圳市灵触科技有限公司 一种曲面电容屏贴合至面板显示屏的贴合方法以及贴合治具装置
KR102346436B1 (ko) * 2020-03-31 2022-01-05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윈도우 패널 합착 장치 및 윈도우 패널 합착 방법
CN111546748A (zh) * 2020-05-22 2020-08-18 上海科世达-华阳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曲面贴合设备和贴合方法
US11485123B2 (en) * 2020-07-07 2022-11-01 Samsung Display Co., Ltd. Lamination apparatus
CN112652242B (zh) * 2020-12-09 2022-08-23 深圳一鑫新材料有限公司 柔性曲面显示屏贴合工艺
CN114187842B (zh) * 2021-12-20 2023-05-1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屏贴合装置及显示屏的贴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0853B2 (ja) * 1987-06-12 1996-09-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4689797B2 (ja) * 2000-07-19 2011-05-25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742000B2 (ja) * 2000-11-30 2006-02-01 富士通株式会社 プレス装置
KR100840676B1 (ko) * 2002-05-22 2008-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 핫 프레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JP4243499B2 (ja) * 2002-06-11 2009-03-25 富士通株式会社 貼合せ基板製造装置及び貼合せ基板製造方法
KR100578130B1 (ko) 2003-10-14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위한 다중 실리콘 핀 및 그형성 방법
KR101319327B1 (ko) 2006-12-29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합착 방법
KR101004774B1 (ko) * 2008-08-26 2011-01-04 한동희 평판패널 부착 장치 및 방법
US20100253902A1 (en) * 2009-04-07 2010-10-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48667B1 (ko) 2009-06-08 2011-07-13 (주)아이디에스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110029668A (ko) * 2009-09-16 2011-03-23 한동희 패널부착방법
JP5550357B2 (ja) * 2010-01-15 2014-07-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フロントウインドウ付き表示装置
KR101198765B1 (ko) 2010-04-16 2012-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리판 성형장치 및 유리판 성형방법
KR101776189B1 (ko) * 2011-03-18 2017-09-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801A (ko)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흐름성을 갖는 합착 재료를 사용한 기판 합착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90164A1 (en) 2017-07-06
US9616647B2 (en) 2017-04-11
KR20140044579A (ko) 2014-04-15
US20140096892A1 (en) 2014-04-10
US11090919B2 (en)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726B1 (ko)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1861629B1 (ko)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US9348167B2 (en) Enhanced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and methods
JP4575460B2 (ja) 貼り合わせ方法、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TWI330734B (ko)
KR101969597B1 (ko) 접합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TW201408488A (zh) 基板貼合裝置以及貼合方法
TW201133057A (en) Display device with front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928842B2 (en) Curing device and method for curing frame of liquid crystal panel
KR20130080916A (ko) 개선된 기판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KR101229844B1 (ko) 액상넘침방지장치
JP4480660B2 (ja) 基板貼り合わせ装置
KR100916966B1 (ko) 엘씨디 제조 장치
JP4055762B2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20140096856A (ko) 기판 접합 장치 및 기판 접합 방법
US11198283B2 (en) LED curing during vacuum lamination process
KR20150063776A (ko) 합착장치
JP2012237562A (ja) 放射線検出パネルおよび放射線画像検出器
KR20140101219A (ko)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실런트 경화 장치
JP2007155893A (ja) 遮光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遮光マスク
US20170001427A1 (en) Electronic Devices With Moisture And Light Curable Adhesive
JP2017083751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の製造装置
KR20140105285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185937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장치
JP4301337B2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