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643B1 - 회전식 조리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643B1
KR101976643B1 KR1020180122764A KR20180122764A KR101976643B1 KR 101976643 B1 KR101976643 B1 KR 101976643B1 KR 1020180122764 A KR1020180122764 A KR 1020180122764A KR 20180122764 A KR20180122764 A KR 20180122764A KR 101976643 B1 KR101976643 B1 KR 101976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cooking
cooking container
cooking vesse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이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to KR1020180122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는, 열원의 상부에 안착되며, 열원의 열이 상방으로 전달되도록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제1수직 회전축을 기준으로 베이스 프레임의 구동영역측 상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롤러와, 제2수직 회전축을 기준으로 베이스 프레임의 지지영역측 상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롤러와, 내부에 상방으로 개폐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원주를 이루는 측면이 구동롤러와 지지롤러들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밀착되는 원통 형상의 조리용기 및, 구동롤러에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조리용기를 설정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베이스 프레임은 하면이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열원에 안착시 조리용기의 바닥면을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식 조리기{ROTARY COOKER}
본 발명은 회전식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의 바닥면이 경사진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회전되므로, 음식물을 섞어나 뒤집어주는 등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가열 부분에 음식물이 오래 머물지 않아 음식물의 외면을 균일하게 익힐 수 있는 회전식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기용기는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것으로, 조리용기의 종류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
이러한 조리용기 중에는, 내부에 음식물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외면에 결합되는 손잡이 및, 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등으로 구비된다.
종래의 조리용기는, 본체를 열원의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본체의 하부에 열을 가하는 가열 구조를 갖는데, 종래의 조리용기는 일반 요리용과 구이용(고기 등) 등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종래의 조리용기는 열이 전달되는 부분에 음식물이 오래 머무는 경우, 음식물의 일부분만 타고 반대면은 덜 익는 등 음식물의 여러 면을 균일하게 익히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음식물을 주기적으로 뒤집어주거나 섞어주는 등의 동작을 수행해야 하므로 번거로웠다.
또한, 종래의 조리용기는 음식물에서 발생한 유출액(기름 등)이 바닥면에 잔존하게 되어 음식물의 맛이나 식감을 떨어트릴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444820호(2009년 06월 03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조리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용기의 바닥면이 경사진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회전되므로, 음식물을 섞어나 뒤집어주는 등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가열 부분에 음식물이 오래 머물지 않아 음식물의 외면을 균일하게 익힐 수 있는 회전식 조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원의 열이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넓은 면적으로 전달되므로, 열손실이 적어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식 조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의 유출액(기름 등)이 수용홈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수용공간의 하부영역으로 이동된 유출액이 상부영역으로 넘치지 않아 음식물의 식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식 조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는, 열원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열원의 열이 상방으로 전달되도록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제1수직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구동영역측 상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롤러와, 제2수직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지지영역측 상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롤러와, 내부에 상방으로 개폐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원주를 이루는 측면이 상기 구동롤러와 지지롤러들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밀착되는 원통 형상의 조리용기 및, 상기 구동롤러에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설정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하면이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열원에 안착시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을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롤러의 하단에는 측면을 따라 제1안착부가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지지롤러의 하단에는 측면을 따라 제2안착부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리용기는 가장자리측 하면이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의 상면에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롤러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의 외부에는 링 형상의 마찰부재가 측방을 감싸는 상태로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마찰부재는 외주면이 상기 조리용기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구동롤러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의 측면에는 다수의 종동측 톱니가 측방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롤러의 측면에는 상기 종동측 톱니와 암수로 대응되게 맞물림 결합되도록 다수의 구동측 톱니가 측방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가이드부재가 일측에 편심 위치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을 섞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과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을 향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하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길이 방향측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상부 몸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가이드부재가 일측에 편심 위치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을 섞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과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을 향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전방측에 낙하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편심 위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으로 이동된 음식물의 유출액을 상기 낙하홀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하홀은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선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편심 위치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선으로 길이를 갖는 수용홈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름 배출홀은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 방향측에 위치된 상기 수용홈의 길이 방향측 일단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하홀의 하부에는 수거용기가 더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거용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을 통해 삽탈 가능하다.
또한, 상기 통과홀의 중심은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으로 편심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직 회전축은 상단에 상기 구동롤러가 일체로 결합되고, 하단에 종동기어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림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체결유닛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는 체결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상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체결핀과 이격 위치되는 록킹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체결핀이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일측에 체결홀이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핀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되는 타측이 상기 록킹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되며, 하면에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수평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수평부의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과 암수로 대응 결합되도록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제2수직 회전축이 상하로 관통 결합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으로 길이를 갖는 길이를 갖는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는 양단이 상기 가이드홀과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 방향에 각각 연결되어 인장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롤러가 더 설치되며, 상기 안착롤러는 수평 회전중심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하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바닥면이 경사진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회전되므로, 음식물을 섞어나 뒤집어주는 등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가열 부분에 음식물이 오래 머물지 않아 음식물의 외면을 균일하게 익힐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열원의 열이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넓은 면적으로 전달되므로, 열손실이 적어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음식물의 유출액(기름 등)이 수용홈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수용공간의 하부영역으로 이동된 유출액이 상부영역으로 넘치지 않아 음식물의 맛이나 식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구동롤러의 외면에 마찰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구동롤러의 회전력이 조리용기에 정확하게 전달되므로 구동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지지롤러가 조리용기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조리용기의 유동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조리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조리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의 조리용기에 가이드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배출홀과 수용홈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배출홀과 수용홈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가이드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가이드부재와 보조 가이드부재가 함께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가이드부재와 보조 가이드부재가 함께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의 분리형 구동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의 분리형 구동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의 분리형 구동유닛이 설치된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가이드홈과 탄성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안착롤러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조리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조리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의 조리용기에 가이드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정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배출홀과 수용홈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배출홀과 수용홈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가이드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가이드부재와 보조 가이드부재가 함께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가이드부재와 보조 가이드부재가 함께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의 분리형 구동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의 분리형 구동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의 분리형 구동유닛이 설치된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가이드홈과 탄성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안착롤러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구동롤러(200)와, 다수의 지지롤러(300)와, 조리용기(400) 및, 구동유닛(500)을 포함한다.
먼저, 베이스 프레임(100)은 도 3과 7에서처럼 열원(1, 가스 레인지 등)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후술 될 조리용기(400)가 수평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은 조리용기(4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하게 일정 넓이를 가지며, 열원(1)의 열에 견딜 수 있는 소재(금속 등)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00)은 도 4, 8, 10에서처럼 원판 형상으로 도시 하였으나, 베이스 프레임(1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조리용기(400)의 하면으로 열원(1)의 열이 전달되도록 통과홀(11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통과홀(110)은, 도 4, 8, 10에서처럼 원 형상으로 관통 형성시킬 수 있으나, 통과홀(11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통과홀(110)의 중심은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편심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즉, 통과홀(110)은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일측에 위치되므로, 열원(1)의 열이 조리용기(400)의 일측 하면을 국부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면에는 열원(1)의 상부에 경사지게 안착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경사부(120)가 형성된다.
경사부(120)는, 도 3과 7에서처럼 베이스 프레임(100)을 수평하게 위치시키는 경우,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베이스 프레임(100)은 하면이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베이스 프레임(100)을 열원(1)의 상부에 안착시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바닥면을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측에는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수용공간(410)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되는 음식물(10)의 유출액(11, 기름 등)을 하부로 통과시키기 위한 낙하홀(13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낙하홀(130)은,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선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낙하홀(130)은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배출홀(440)과 상하에 일치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아울러, 낙하홀(130)의 하부에는 수거용기(140)가 더 위치될 수 있으며, 수거용기(14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을 통해 삽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수거용기(140)는, 금속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수거용기(140)의 내부에는 낙하홀(130)을 통해 하부로 떨어지는 유출액(1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측 하면에는 수거용기(140)의 양측 상단을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구조(미도시)가 더 적용될 수 있다.
또 한편,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롤러(150)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안착롤러(150)는 수평 회전중심이 베이스 프레임(100)에 고정되고, 상단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로 돌출되어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하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안착롤러(150)는 수지 계열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하거나, 외면에 수지 계열(고무 등)의 소재를 피복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착롤러(150)에 의해 조리용기(40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조리용기(400)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롤러(200)는,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측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롤러(200)는 조리용기(400)의 측면과 밀착되는 구동영역에 설치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롤러(200)는 제1수직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의 구동영역측 상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수직 회전축(210)은, 상단에 구동롤러(200)의 중심이 함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수직 회전축(210)의 하단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부로 관통될 수 있다.
이때, 제1수직 회전축(210)의 하단에는 후술 될 구동기어(530)와 수평하게 맞물림 결합시키기 위한 종동기어(240)가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종동기어(240)는, 원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수직한 중심 축 선에 제1수직 회전축(210)의 하단이 함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측면을 따라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롤러(200)의 하단에는 측면을 따라 제1안착부(220)가 돌출되는데, 제1안착부(220)의 상부에는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가장자리측 하면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또한, 구동롤러(200)의 외주에는 링 형상의 마찰부재(230)가 측방을 감싸는 상태로 더 결합되며, 마찰부재(230)는 외주면이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동롤러(200)와 함께 회전된다.
마찰부재(230)는, 고무 등의 소재를 이용해 링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고, 구동롤러(200)의 외주면에는 마찰부재(230)의 내주면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설치홈(미도시)이 측방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구동롤러(200)의 측면에는 다수의 구동측 톱니(미도시)가 측방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측면에는 구동측 톱니와 암수로 대응되게 맞물림 결합되도록 다수의 종동측 톱니(미도시)가 측방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롤러(200)와 후술 될 조리용기(400)가 맞물림 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므로, 구동롤러(200)의 회전력을 조리용기(400)에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미끄러짐이 방지되므로 회전력 손실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동롤러(20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구동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100)을 열원(1)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경우, 사선을 이루는 구동롤러(200)의 회전중심은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지지롤러(300)들은,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측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롤러(300)는 조리용기(400)의 측면과 밀착되는 지지영역에 각각 설치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롤러(300)들은 제2수직 회전축(310)을 기준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의 지지영역측 상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수직 회전축(310)은, 하단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제2수직 회전축(310)의 상단에는 지지롤러(300)의 중심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제2수직 회전축(310)의 하단을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롤러(300)의 외주에는 링 형상의 마찰부재(330)가 측방을 감싸는 상태로 더 결합될 수 있으며, 마찰부재(330)는 외주면이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롤러(300)와 함께 회전된다.
지지롤러(300)의 마찰부재(330)는, 고무 등의 소재를 이용해 링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고, 지지롤러(300)의 외주면에는 마찰부재(330)의 내주면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설치홈(미도시)이 측방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100)을 열원(1)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경우, 사선을 이루는 지지롤러(300)들의 회전중심은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지지롤러(300)들은, 도 8과 10에서처럼 3개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 하였으나, 지지롤러(300)의 개수 및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지롤러(300)를 2개로 적용하는 경우, 1개의 지지롤러(300)는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구동롤러(200)와 대응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측에 치우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반면, 다른 1 개의 지지롤러(300)는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방측에 치우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지지롤러(300)들과 1개의 구동롤러(200)는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등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지지롤러(300)를 3개로 적용하는 경우, 1개의 지지롤러(300)는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구동롤러(200)와 대응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측에 치우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반면, 다른 2 개의 지지롤러(300)는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방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이때, 3개의 지지롤러(300)들과 1개의 구동롤러(200)는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등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는 구동롤러(200)의 외부와 지지롤러(300)의 외부를 덮기 위한 커버(70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커버(700)는, 구동롤러(200) 및 지지롤러(300)와 조리용기(400)가 접촉되는 일측이 수평하게 개방될 수 있고, 커버(700)의 하단은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조리용기(400)는, 음식물(10)을 조리하기 위한 것으로, 조리용기(400)는 측면이 원주를 이루도록 금속 소재를 이용해 원통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리용기(400)의 측면은 전술한 구동롤러(200)와 지지롤러(300)들의 측면과 밀착될 수 있는 직경을 갖고, 조리용기(400)의 하면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리용기(400)의 내부에는 음식물(10)을 수용하기 위해 상방으로 개폐 가능한 수용공간(410)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의 상부에는 덮개(401)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리용기(40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원주를 이루는 측면이 구동롤러(200)와 지지롤러(300)들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밀착된다.
또한, 조리용기(400)는 가장자리측 하면이 제1안착부(220)와 제2안착부(320)의 상면에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조리용기(400)의 하면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과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므로, 조리용기(400)가 베이스 프레임(100)과 간섭 없이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리용기(400)는, 베이스 프레임(100)을 열원(1)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경우,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위치되며,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은 경사진 각도로 사선을 이룬다.
아울러, 수용공간(410)의 바닥면에는 도 8과 10에서처럼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가이드부재(420)가 일측에 편심 위치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420)는, 도 8과 10에서처럼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과 수용공간(410)의 내주면을 향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가이드부재(420)는 조리용기(400)의 바닥면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하부 몸체(421) 및, 하부 몸체(421)의 길이 방향측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조리용기(40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상부 몸체(422)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용기(400)가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로 회전되는 경우, 가이드부재(4)가 편심 회전되면서 바닥면의 하부영역으로 이동된 음식물(10)을 상부영역으로 쓸어 올려준다.
이후, 가이드부재(410)가 바닥면의 상부영역으로 회전될 때, 가이드부재(410)의 회전 방향측 일면에 위치된 음식물(10)이 자중에 의해 바닥면의 하부영역으로 낙하한다.
이 과정에서, 가이드부재(410)로부터 바닥면의 하부영역으로 낙하된 음식물(10)은 조리되는 자세가 반복적으로 변경되므로, 음식물(10)의 여러 면이 균일하게 익혀진다.
또한, 수용공간(410)의 바닥면에는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가이드부재(430)가 일측에 편심 위치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보조 가이드부재(430)는, 가이드부재(42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보조 가이드부재(430)는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과 수용공간(410)의 내주면을 향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 가이드부재(430)는,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되면서 수용공간(410)에 수용된 음식물(10)을 섞어준다.
그리고, 보조 가이드부재(430)는 낮은 높이를 가지므로, 수용공간(410)의 바닥부 하부영역에 위치된 음식물(10)을 들어올리거나 뒤집으면서 통과될 수 있다.
즉, 보조 가이드부재(430)와 가이드부재(420)의 2중 뒤집기 동작이 가능하므로, 음식물(10)의 여러 면을 보다 균일하게 익힐 수 있다.
한편, 조리용기(400)의 바닥면에는 도 6 내지 10에서처럼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출홀(440)이 편심 위치될 수 있다.
배출홀(440)은, 조리용기(400)를 구이(고기, 생선 등)용으로 사용할 때 형성시키는 것으로, 배출홀(440)은 조리용기(400)의 하부로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배출홀(440)은, 수용공간(410)의 일측으로 이동된 음식물(10)의 유출액(11)을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출홀(440)은 수용공간(410)의 하부영역에 회동 위치될 때 바닥면의 하부영역으로 이동된 유출액(11)을 하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배출홀(440)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유출액(11)은 낙하홀(130)을 통해 수거용기(140)의 내부 공간으로 낙하되어 일정량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조리용기(400)의 바닥면에는 도 6 내지 10에서처럼 수용홈(450)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수용홈(450)은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일측에 편심 위치된다.
여기서, 수용홈(450)은 조리용기(4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선으로 길이를 가지며, 배출홀(440)은 조리용기(400)의 회전 방향측에 위치된 수용홈(450)의 길이 방향측 일단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용기(4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수용공간(410)의 하부영역으로 이동된 음식물(10)의 유출액(11)이 수용홈(450)에 일정 량으로 수용된다.
이후, 수용홈(450)이 수용공간(410)의 하부영역에 위치될 때, 수용홈(450)에 수용된 유출액(11)이 배출홀(440)을 통해 하부로 배출된다.
즉, 수용홈(450)은 일정 깊이를 갖고, 조리용기(400)의 회전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므로, 수용공간(410)의 하부영역으로 이동된 유출액(11)은 상부영역으로 이동되지 않고 수용홈(450)의 내부에 머물게 된다.
구동유닛(500)은, 도 1, 2, 4, 8, 10 및 도 12 내지 14에서처럼 구동롤러(200)에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조리용기(400)를 설정속도로 회전시킨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유닛(500)은 하우징(510)과, 모터(520)와, 구동기어(530)와, 전원 공급부(540) 및, 제어부(55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0)은, 도 1, 2, 4, 8, 10에서처럼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하우징(510)의 내부에는 일정 넓이의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하우징(510)은 도 11 내지 13에서처럼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유닛에 의해 착탈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체결유닛은, 체결핀(610) 및, 록킹부재(620)로 구비될 수 있는데, 체결핀(610)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으며, 록킹부재(62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 상면에 설치된 상태로 체결핀(610)과 이격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록킹부재(62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베이스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되며, 하면에 걸림돌기(621) 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수평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하우징(510)의 일측에는 도 13에서처럼 체결핀(610)이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일측에 체결홀(511)이 상하로 형성되고, 체결핀(610)을 기준으로 수평하게 편심 회전되는 타측이 록킹부재(6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10)의 상면에는 도 11 내지 13에서처럼 수평부의 걸림돌기(621) 또는 걸림홈과 암수로 대응 결합되도록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512)이 형성될 수 있다.
모터(520)는, 하우징(510)의 설치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모터(520)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5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기어(530)는, 전술한 종동기어(240)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구동기어(530)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하우징(510)의 하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기어(530)의 측면을 따라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며, 구동기어(530)의 톱니가 종동기어(240)의 톱니와 맞물림 결합된 상태로 회전된다.
물론, 구동기어(530)는 미도시 하였으나 종동기어(240)와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수평하게 위치되거나, 그 밖에 다른 위치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540)는, 모터(5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540)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510)의 일부분에는 개폐 커버(미도시)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는 충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510)의 외부에는 전원 공급부(540)와 연결된 충전 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충전 단자에는 충전용 케이블의 단자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전원 공급부(540)의 동작(전원 온/오프 등)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 공급부(540)의 제어를 통해 모터(5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50)는 전원 공급부(540)의 전압 조절을 통해 모터(520)의 회전속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도 14에서처럼 제2수직 회전축(310)이 상하로 관통 결합되며,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으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홀(80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양단이 제2수직 회전축(310)의 하단과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 방향에 각각 연결되어 인장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900, 코일 스프링 등)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수직 회전축(310)이 가이드홀(8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조리용기(400)의 직경에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900)의 인장력에 지지롤러(300)가 조리용기(400)의 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조리용기(400)의 바닥면이 경사진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회전되므로, 음식물(10)을 섞어나 뒤집어주는 등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가열 부분에 음식물(10)이 오래 머물지 않아 음식물(10)의 외면을 균일하게 익힐 수 있다.
그리고, 열원(1)의 열이 조리용기(400)의 바닥면에 넓은 면적으로 전달되므로, 열손실이 적어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음식물(10)의 유출액(11, 기름 등)이 수용홈(45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수용공간(410)의 하부영역으로 이동된 유출액(11)이 상부영역으로 넘치지 않아 음식물(10)의 맛이나 식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롤러(200)의 외면에 마찰부재(230)를 설치함으로써, 구동롤러(200)의 회전력이 조리용기(400)에 정확하게 전달되므로 구동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지지롤러(300)가 조리용기(400)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조리용기(400)의 유동이 방지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회전식 조리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열원 10: 음식물
11: 유출액 100: 베이스 프레임
110: 통과홀 120: 경사부
130: 낙하홀 140: 수거용기
150: 안착롤러 200: 구동롤러
210: 제1수직 회전축 220: 제1안착부
230: 마찰부재 240: 종동기어
300: 지지롤러 310: 제2수직 회전축
320: 제2안착부 400: 조리용기
401: 덮개 410: 수용공간
420: 가이드부재 421: 하부 몸체
422: 상부 몸체 430: 보조 가이드부재
440: 배출홀 450: 수용홈
500: 구동유닛 510: 하우징
511: 체결홀 512: 걸림홈
520: 모터 530: 구동기어
540: 전원 공급부 550: 제어부
610: 체결핀 620: 록킹부재
621: 걸림돌기 700: 커버
800: 가이드홀 900: 탄성부재
C: 회전중심

Claims (20)

  1. 열원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열원의 열이 상방으로 전달되도록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제1수직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구동영역측 상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롤러와, 제2수직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지지영역측 상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롤러와, 내부에 상방으로 개폐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원주를 이루는 측면이 상기 구동롤러와 지지롤러들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밀착되는 원통 형상의 조리용기 및, 상기 구동롤러에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설정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하면이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열원에 안착시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을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위치시키며,
    상기 구동롤러의 하단에는, 측면을 따라 제1안착부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롤러의 하단에는 측면을 따라 제2안착부가 돌출되며, 상기 조리용기는 가장자리측 하면이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의 상면에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롤러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의 외부에는,
    링 형상의 마찰부재가 측방을 감싸는 상태로 더 결합되며,
    상기 마찰부재는,
    외주면이 상기 조리용기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구동롤러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측면에는,
    다수의 종동측 톱니가 측방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구동롤러의 측면에는,
    상기 종동측 톱니와 암수로 대응되게 맞물림 결합되도록 다수의 구동측 톱니가 측방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가이드부재가 일측에 편심 위치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을 섞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과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을 향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하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길이 방향측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상부 몸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가이드부재가 일측에 편심 위치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보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을 섞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과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을 향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전방측에 낙하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편심 위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으로 이동된 음식물의 유출액을 상기 낙하홀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낙하홀은,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선으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편심 위치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선으로 길이를 갖는 수용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배출홀은,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 방향측에 위치된 상기 수용홈의 길이 방향측 일단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낙하홀의 하부에는,
    수거용기가 더 위치되며,
    상기 수거용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을 통해 삽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과홀의 중심은,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으로 편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 회전축은,
    상단에 상기 구동롤러가 일체로 결합되고, 하단에 종동기어가 결합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림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체결유닛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는 체결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상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체결핀과 이격 위치되는 록킹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체결핀이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일측에 체결홀이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핀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되는 타측이 상기 록킹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되며, 하면에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수평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수평부의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과 암수로 대응 결합되도록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제2수직 회전축이 상하로 관통 결합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으로 길이를 갖는 길이를 갖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는,
    양단이 상기 가이드홀과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 방향에 각각 연결되어 인장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롤러가 더 설치되며,
    상기 안착롤러는,
    수평 회전중심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하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KR1020180122764A 2018-10-15 2018-10-15 회전식 조리기 KR101976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64A KR101976643B1 (ko) 2018-10-15 2018-10-15 회전식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64A KR101976643B1 (ko) 2018-10-15 2018-10-15 회전식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643B1 true KR101976643B1 (ko) 2019-05-10

Family

ID=6658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764A KR101976643B1 (ko) 2018-10-15 2018-10-15 회전식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6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0049B2 (ja) * 1988-08-23 1995-11-01 株式会社あじかん 食品の連続加熱調理機
JPH0849B2 (ja) * 1992-06-10 1996-01-10 株式会社トーファー 油揚生地供給装置
KR20140139289A (ko) * 2013-05-27 2014-12-05 신영교 무쇠판을 이용한 즉석 찜구이장치
CN204336623U (zh) * 2014-12-31 2015-05-2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饭煲
JP7100049B2 (ja) * 2017-02-28 2022-07-12 エスアールア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光測距システム用シストリックプロセッサ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0049B2 (ja) * 1988-08-23 1995-11-01 株式会社あじかん 食品の連続加熱調理機
JPH0849B2 (ja) * 1992-06-10 1996-01-10 株式会社トーファー 油揚生地供給装置
KR20140139289A (ko) * 2013-05-27 2014-12-05 신영교 무쇠판을 이용한 즉석 찜구이장치
CN204336623U (zh) * 2014-12-31 2015-05-2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饭煲
JP7100049B2 (ja) * 2017-02-28 2022-07-12 エスアールア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光測距システム用シストリックプロセッサ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3774A (en) Cooking pot enclosing rotatable spherical chamber
US5372422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tirring food during cooking
EP3257412B1 (en) Food processing and cooking machine
US8122815B2 (en) Device for stirring and cooking food
US20190170365A1 (en) Gas oven-type cooker with automatically rotating pot
US4959517A (en) Microwave cooking assembly of a mixing bowl, lockable top assembly, supporting a stirrer power assembly
JP2018057912A (ja) ドラム式調理器
US201000126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orizontal axis based food stirring
US20120138716A1 (en) Automatic bread making machine
CN111050608A (zh) 具备搅拌功能的烹饪锅盖
JP2011517978A (ja) スタンド式ミキサー構成の改良
CN102727067A (zh) 包括可断开的搅拌装置的电烹饪设备
RU2750451C2 (ru) Варочный аппарат
KR20160025837A (ko) 배출 증기를 이용한 음식물 교반장치
US20120174800A1 (en) Independent stirring cooking receptacle
KR101976643B1 (ko) 회전식 조리기
KR102130727B1 (ko) 자동 회전 조리 용기
US7026591B2 (en) Device and procedure for cooking a food product with microwaves
KR101645564B1 (ko) 회전 드럼식 조리기
KR102310942B1 (ko) 회전식 조리기
KR101958620B1 (ko)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KR101468474B1 (ko) 교반용 솥장치
JP2013165822A (ja) 炊飯器
JP2009060932A (ja) 自動製パン器
JP2013090890A (ja) 攪拌装置付調理器具及び攪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