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536B1 -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536B1
KR101975536B1 KR1020120083224A KR20120083224A KR101975536B1 KR 101975536 B1 KR101975536 B1 KR 101975536B1 KR 1020120083224 A KR1020120083224 A KR 1020120083224A KR 20120083224 A KR20120083224 A KR 20120083224A KR 101975536 B1 KR101975536 B1 KR 101975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thin film
layer
sensing cells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070A (ko
Inventor
박정목
한관영
이타쿠라미키야
김형철
김창범
조재형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3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536B1/ko
Priority to US13/717,617 priority patent/US9569020B2/en
Publication of KR20140016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762Nanowire or quantum wire, i.e. axially elongated structure having two dimensions of 100 nm or 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박막 필름의 제 1면에 터치 센서로서의 센싱패턴들을 형성하고, 상기 센싱패턴들을 금속 나노와이어로 구현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은, 활성영역 및 상기 활성영역의 외곽부에 위치하는 비활성영역으로 구분되는 박막 필름과; 상기 박막 필름 제 1면의 활성영역에 형성된 센싱패턴들과; 상기 박막 필름 제 1면의 비활성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패턴들과 연결되는 센싱라인들이 포함되며, 상기 센싱패턴들은 나노와이어로 구현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flexible 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렉서블(flexible)한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 등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센싱패턴이 주변의 다른 센싱패턴 또는 접지전극 등과 형성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와 같은 영상표시장치의 외면에 부착되어 제품화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높은 투명도 및 얇은 두께의 특성이 요구된다.
또한, 최근 들어 플렉서블 영상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영상표시장치 상에 부착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역시 플렉서블한 특성이 요구된다.
단,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 센서를 구현하는 센싱패턴 등을 형성하기 위해 박막 성막, 패턴 형성 공정 등이 필요하므로, 고 내열성 및 내 화학성 등의 특성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경우 상기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공정 특성에 부합되는 유리(glass) 기판 상에 감지패턴 등을 형성하였으나, 이 때, 상기 유리 기판은 공정에서 반송 가능하도록 일정치 이상의 두께를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얇은 두께를 요구하는 특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플렉서블한 특성을 구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터치 스크린 패널의 센싱패턴들은 일반적으로 인듐-틴-옥사이드(이하, ITO)로 구현되는데, 이와 같은 금속 산화막들(metal oxide films)은 휨이나 다른 물리적인 스트레스들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산화막들이 도전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높은 증착 온도 및/또는 높은 어닐링(annealing) 온도를 요하는데, 이 경우 플렉서블 기판으로 구현되는 플라스틱 및 유기 기판들(organic substrates),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s)와 같이 습기를 흡착하기 쉬운 기판들에게 상기 금속 산화막들의 접착력(adhesion)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는 외광 반사 차단 등의 야외 시인성 향상을 위해 외면에 편광판이 부착되는데, 상기 영상표시장치 패널 상부에 터치 스크린 패널이 부착되는 경우 상기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편광판 및 터치 스크린 패널은 각각 별도로 제작한 후 이를 부착 또는 조립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는 터치 스크린 패널 전체 두께 증가, 공정 효율 감소, 수율 감소 등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박막 필름의 제 1면에 터치 센서로서의 센싱패턴들을 형성하고, 상기 센싱패턴들을 금속 나노와이어로 구현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박박 필름의 제 2면에 코팅형 편광층을 형성함으로써, 플렉서블 특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두께를 저감하고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플렉서블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은, 활성영역 및 상기 활성영역의 외곽부에 위치하는 비활성영역으로 구분되는 박막 필름과; 상기 박막 필름 제 1면의 활성영역에 형성된 센싱패턴들과; 상기 박막 필름 제 1면의 비활성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패턴들과 연결되는 센싱라인들이 포함되며, 상기 센싱패턴들은 나노와이어로 구현된다.
또한, 상기 센싱패턴들은, 제 1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센싱셀들과; 상기 인접한 제1 센싱셀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라인들과; 제 2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센싱셀들과; 상기 인접한 제2 센싱셀들을 연결하는 제2 연결라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2센싱셀들은 감광유기층과 도전층의 적층구조로 구현되며, 상기 도전층은 투명 도전체의 도전 매체를 제공하는 은나노와이어(AgNW)의 네트워크층이다.
또한, 상기 제 1, 2센싱셀들 사이의 영역은 상기 감광유기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도전층이 패터닝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라인들과 상기 제2 연결라인들의 교차부에는 절연막이 개재되며, 상기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제1 연결라인들은 도전층 및 감광유기층의 적층 구조로 구현된다.
또한, 상기 박막 필름의 제 2면에 형성되는 코팅형 편광층이 더 포함되며, 상기 코팅형 편광층은 박형 결정막 편광자이다.
또한, 상기 박막 필름은 위상차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위상차 기능을 갖는 1/4 파장판으로,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OPP(Oriented Poly Propylene)또는 PVA(Poly Vinyl Alcohol)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막 필름은 복수의 위상차 필름들의 적층 구조로 구현되며, 상기 복수 위상차 필름들의 지연(retardation)값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된다.
또는 상기 박막 필름은 무연신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환형 폴리올레핀(Cyclic Polyolefin: COP)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박막 필름 상에 코팅형 편광층을 형성하고, 상기 박막 필름의 하면에 터치 센서로서 금속 나노와이어로 구현되는 센싱패턴들을 형성함으로써, 플렉서블 특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두께를 저감하고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싱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센싱패턴의 단면(II-II')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 영역(I-I')에 대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싱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센싱패턴의 단면(II-II')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 영역(I-I')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박막 필름(10)과, 상기 박막 필름(10)의 제 1면에 형성된 센싱패턴들(220)과, 상기 센싱패턴들(220)을 패드부(250)를 통해 외부의 구동회로(미도시)와 연결하기 위한 센싱라인들(230)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 필름(10)은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투명 기재로서, 일 예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무연신 폴리카보네이트(PC), 환형 폴리올레핀(Cyclic Polyolefin: COP), 폴리이미드(PI), PMMA, TAC, ARTON 등과 같은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막 필름(10)의 제 2면에는 코팅형 편광층(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박막 필름(10)은 위상차 필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단, 상기 박막 필름(10)이 위상차 필름의 역할을 수행할 경우에는 위상차 기능을 갖는 1/4 파장판 (quarter-wave plane, QWP)으로서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OPP(Oriented Poly Propylene)또는 PVA(Poly Vinyl Alcohol) 필름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위상차 필름으로서의 박막 필름(10)은 제 2면에 형성된 코팅형 편광층에 의해 편광된 빛에 대해 시간적인 위상의 어긋남(위상차)을 주어 입사되는 빛을 좌원편광 혹은 우원편광시켜 원편광 또는 거의 원편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상기 박막 필름(10)이 하나의 층으로 구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박막 필름은 복수의 위상차 필름들의 적층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복수 위상차 필름들의 지연(retardation)값은 상기 코팅형 편광층을 투과되는 빛에 대한 최적의 블랙(black)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박막 필름(10)은 위상차 기능을 갖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두께가 약 0.005 내지 0.05mm로 구현됨을 통해 플렉서블 특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박막 필름(10) 상에 코팅형 편광층(30)을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편광판에 비해 그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편광판은 TAC(TriAcetyl Cellulose), PVA(Poly Vinyl Alcohol), TAC의 3중층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TAC가 약 20㎛, PVA가 각각 80㎛정도의 두께를 가지므로 전체적으로는 약 180㎛의 두께로 구현되는 바, 이를 터치 스크린 패널에 그대로 부착할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전체 두께가 증가되어 터치 스크린 패널의 박형화 추세에 역행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편광판의 기능을 구현하면서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필름(10)의 제 2면 즉, 박막 필름 상면에 직접 코팅형 편광층(30)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코팅형 편광층(30)은 다양한 구조 및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팅형 편광층(30)이 박형 결정막 편광자(Thin Crystal film Polarizer)로 형성됨을 그 예로 설명한다.
상기 박형 결정막 편광자(30)는 약 5㎛ 이내의 두께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앞서 언급한 기존의 편광판을 구비할 경우와 비교하면 그 두께가 상당히 줄어들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박형 결정막 편광자(Thin Crystal film Polarizer)(30)는 액정을 상기 박막 필름 상에 도포, 정렬(alignment) 및 건조(drying)시, 액정상(phase)의 결정화(crystallization)의 결과로서 형성된 특수 분자 결정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액정상은 안정한 농도전이형 또는 온도전이형(thermotropic) 액정상을 형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물질을 포함한다. 유기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며, 그 화학식은 (i)농도전이형 액정상을 얻기 위한 극성 용매(polar solvents)에서의 용해도를 보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발생 그룹(ionogenic group), 및/또는 (ii)농도전이형 액정상을 얻기 위한 비극성 용매에서의 용해도를 보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발생(nonionogenic) 그룹, 및/또는 (iii)막 형성이후에 분자 구조에 함유되거나 또는 함유되지 않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반대이온(counterion)을 포함한다.
광학적 이방성 이색성 결정막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유기화합물로 된 다수의 초분자 복합물(supramolecular complexes)을 포함한다. 이들 초분자 복합물은 투과된 광의 편광 및 전기 전도성을 제공하도록 특정 방식으로 편향된다.
상기 막은 막대 형상(rod like) 초분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초분자는 켤레 π 시스템(conjugated π-system)을 가진 디스크 형상 여러 고리(polycyclic) 유기화합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상기 막은 그 편광축을 따라서 3.4ㅁ0.3Å 의 분자간 간격을 가지고 전체적으로 질서정연한 결정구조를 가진다.
광학적 이방성 이색성 결정막의 베이스 재료는 짝 결합 시스템에 연결되고 분자 평면에 놓인 아민, 페놀, 케톤 등 그룹의 존재 및 짝 방향고리족의 전개된 π 짝결합시스템의 존재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분자 및/또는 분자 절편(molecular fragment)은 편평 구조를 가진다. 베이스 재료의 예는 인단트론(Vat blue 4), 1,4,5,8-페릴렌테트라카르복실산 디벤조이미다졸(Vat Red 14), 3,4,9,10-페릴렌테트라카르복실산 디벤조이미다졸, 퀴나크리돈(피그먼트 바이올렛 19) 등이고, 그(또는 그들의 혼합물) 유도체는 안정한 농도전이형 액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광학적으로 이방성인 이색성 결정막에서, 분자 평면은 서로 나란하며, 분자들은 적어도 결정막 부분에서는 3차원 결정구조를 형성한다. 제조기술의 최적화에 의해 광학적 이방성 이색성 단일결정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단일 결정 내의 광축은 분자 평면에 대하여 수직이다. 이러한 박형 결정막은 고도의 이방성을 가지며 적어도 한 방향으로 고도의 굴절지수 및/또는 고도의 흡수계수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필름(10)의 상면에 코팅형 편광층(30)이 형성되고, 박막 필름(10)의 하면에 센싱패턴들(220) 및 센싱라인들(230)이 형성되는 구조로서, 이를 통해 편광판 일체형으로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팅형 편광층(30)의 상면에는 기능성 코팅층(32)이 추가로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코팅층으로는 하드 코팅층, 반사 방지층, 오염 방지층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코팅층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적층 구조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센싱패턴(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방향을 따라 각 행라인 별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 센싱셀들(220a)과, 제1 센싱셀들(220a)을 행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1 연결라인들(220a1)과, 열방향을 따라 각 열라인 별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센싱셀들(220b)과, 제2 센싱셀들(220b)을 열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2 연결라인들(220b1)을 포함한다.
편의상, 도 2에서는 센싱패턴의 일부만을 도시하였으나, 터치 스크린 패널은 도 2에 도시된 센싱패턴이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제1 센싱셀들(220a) 및 제2 센싱셀들(220b)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배치되고, 제1 연결라인들(220a1)과 제2 연결라인들(220b1)은 서로 교차된다. 이때, 제1 연결라인들(220a1)과 제2 연결라인들(220b1) 사이에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절연막(240)이 개재된다.
종래의 경우 상기 센싱셀들은 일반적으로 인듐-틴-옥사이드(이하, ITO)와 같은 투명 금속 산화막들(metal oxide films)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금속 산화막들은 경도가 높아 곡률 반경이 제한적이어서 작은 반경으로 접거나 꺾여야 하는 플렉서블 제품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박막 필름(10)을 기재로 사용할 경우 박막 필름(10)의 고온 내성 한계로 인해 ITO 패턴 형성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1 센싱셀들(220a) 및 제2 센싱셀들(220b)을 플렉서블 특성이 우수한 나노와이어를 사용하여 구현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은나노와이어(AgNW)를 사용함을 그 예로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싱패턴(220)은, AgNW로 구현되는 제 1, 2센싱셀들(220a, 220b)이 각각 각각 제1 연결라인들(220a1) 및 제2 연결라인들(220b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이들과 별도로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센싱셀들(220b)은 제2 연결라인들(220b1)과 일체로 열방향으로 패터닝되어 형성되고, 제1 센싱셀들(220a)은 제2 센싱셀들(220b)의 사이에 각각이 독립된 패턴을 갖도록 패터닝되되 그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제1 연결라인들(220a1)에 의해 행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라인들(220a1)은 제1 센싱셀들(220a)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제1 센싱셀들(220a)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혹은 컨택홀 등을 통해 제1 센싱셀들(22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라인들(220a1)은 제1 센싱들(220a)과 같은 AgNW로 형성하거나, 또는 IT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이나 불투명한 저저항 금속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되 패턴의 가시화가 방지되도록 그 폭 등이 조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상기 센싱라인들(230)은, 각각 행라인 단위 및 열라인 단위의 제1 및 제2 센싱셀들(220a, 22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패드부(250)를 통해 위치검출회로와 같은 외부의 구동회로(미도시)와 연결한다.
이러한 센싱라인들(23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 외곽부인 비활성영역(Non Active Area)에 배치되는 것으로, 재료 선택의 폭이 넓어 센싱패턴(220)의 형성에 이용되는 투명 도전성 물질 외에도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Ti),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Mo/Al/Mo) 등의 저저항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로, 사람의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접촉물체가 접촉되면, 센싱패턴(220)으로부터 센싱라인(230) 및 패드부(250)를 경유하여 구동회로(미도시) 측으로 접촉위치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달된다. 그러면, X 및 Y 입력처리회로(미도시) 등에 의해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됨에 의해 접촉위치가 파악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싱패턴(220)의 경우, 상기 AgNW는 상기 제 1, 2센싱셀들(220a, 220b)로 패터닝되도록 감광유기층에 도전층이 혼합된 구조로 구현되며, 이 때, 상기 도전층은 투명 도전체의 도전 매체를 제공하는 은나노와이어의 네트워크층을 말한다.
즉,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 1센싱셀(220a)은 감광유기층(222) 및 도전층(224)의 적층 구조로 구현된다. 또한, 제 2센싱셀(220b)와 제 2연결라인(220b1)도 이와 마찬가지로 감광유기층(222) 및 도전층(224)의 적층 구조로 구현된다.
또한, 상기 제 1센싱셀(220a)를 연결하는 제 1연결라인(220a1)은 AgNW가 아닌 ITO, 불투명 저저항 금속 등으로 구현된다.
이 때, 도 3a의 실시예에서는 제 1, 2센싱셀들(220a, 220b)을 각각 독립된 패턴을 갖도록 패터닝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2센싱셀들(220a, 220b) 사이의 영역이 모두 제거된다. 즉, 상기 영역에 형성된 감광유기층(222) 및 도전층(224)이 모두 제거된다.
단, 이와 같이 상기 분리 영역에 대응되는 감광유기층(222) 및 도전층(224)을 모두 제거하게 되면, 패턴 단차에 의해 상기 영역이 사용자의 눈에 인식되는 패턴 비침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도 3b의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상기 제 1, 2센싱셀들(220a, 220b)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전도성을 갖는 도전층(224)만 제거하고, 그 하부에 위치한 감광유기층(222)는 남도록 패터닝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단,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3a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즉, 도 3b의 실시예에 의할 경우 패턴 단차를 최소화하여 도 3a 구조에서 발생될 수 있는 패턴 비침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3c의 실시예는 도 3b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 1연결라인(220a2)이 제 1, 2센싱셀들(220a, 220b)와 동일하게 AgNW로 구현되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단, 상기 제 1연결라인(220a2)은 상기 센싱셀들(220a, 220b)과는 반대의 적층 구조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층(224') 및 감광유기층(222')의 적층 구조로 구현되며, 이를 통해 제 1센싱셀(220a)의 도전층(224)과 제 1연겨라인(220a2)의 도전층(224')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도 4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박막 필름(10)의 제 1면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비활성 영역(Non Active Area) 및 활성 영역(Active Area)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 때, 상기 박막 필름(10)의 제 2면에는 코팅형 편광층(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코팅형 편광층(30) 상에는 기능성 코팅층(32)이 추가로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하면 즉, 상기 박막 필름의 제 1면 방향으로 표시장치(20)가 투명 점착층(260)에 의해 부착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때, 상기 표시장치(20)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로서, 이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 점착층(260)은 광 투과율이 높은 투명성 점착재료로서, SVR(Super View Resin) 또는 OCA(Optical Cleared Adhesiv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박막 필름(10) 제 1면의 활성영역(Active Area) 상에 형성된 센싱패턴들(220)은, 제 1방향을 따라 각 행 라인 별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센싱셀들(220a)과, 제1 센싱셀들(220a)을 행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1 연결라인들(220a1) 및 열 방향을 따라 각 열라인 별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센싱셀들(220b)과, 제2 센싱셀들(220b)을 열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2 연결라인들(220b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라인들(220a1)과 상기 제2 연결라인들(220b1)의 교차부에는 절연막(240)이 개재된다.
단, 도 4에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성하는 센싱패턴들(220)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의 두께가 크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실제 각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이보다 훨씬 얇다.
또한, 도 4에서는 상기 제 1, 2센싱패턴들(220a, 220b)이 하나의 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 3a 내지 도 3b에서와 같이 감광유기층(222)와 도전층(224)의 적층 구조로 구현된다.
또한, 상기 활성영역(Active Area) 외곽에 위치한 비 활성영역(Non-Active Area)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 매트릭스(210) 및 상기 블랙 매트릭스와 중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센싱패턴들(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싱라인들(230)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블랙 매트릭스(210)는 비활성영역에 형성되는 센싱라인 등의 패턴이 가시화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표시영역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이 표시장치(20)와 코팅형 편광층(3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플렉서블 특성을 유지하면서 센싱 패턴 비침 방지 및 반사율 최소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박막 필름 20: 표시장치
30: 코팅형 편광층 32: 기능성 코팅층
220: 센싱패턴 220a: 제 1센싱셀
220a1, 220a1': 제 1연결라인 220b: 제 2센싱셀
220b1: 제 2연결라인 222, 222': 감광유기층
224, 224': 도전층 230: 센싱라인
240: 절연층

Claims (15)

  1. 활성영역 및 상기 활성영역의 외곽부에 위치하는 비활성영역으로 구분되는 박막 필름과;
    상기 박막 필름 제 1면의 활성영역에 형성되며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센싱패턴들과;
    상기 박막 필름 제 1면의 비활성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패턴들과 연결되는 센싱라인들이 포함되며,
    상기 센싱패턴들은,
    제 1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센싱셀들과;
    상기 제1 센싱셀들 중 인접한 제1 센싱셀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라인들과;
    제 2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센싱셀들과;
    상기 제2 센싱셀들 중 인접한 제2 센싱셀들을 연결하는 제2 연결라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싱셀들은 감광유기층과 도전층의 적층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투명 도전체의 도전 매체를 제공하는 은나노와이어(AgNW)의 네트워크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싱셀들 사이의 영역은 상기 감광유기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도전층이 패터닝되어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라인들과 상기 제2 연결라인들의 교차부에는 절연막이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제1 연결라인들은 도전층 및 감광유기층의 적층 구조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투명 도전체의 도전 매체를 제공하는 은나노와이어(AgNW)의 네트워크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필름의 제 2면에 형성되는 코팅형 편광층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형 편광층은 박형 결정막 편광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필름은 위상차 필름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필름은 위상차 기능을 갖는 1/4 파장판으로,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OPP(Oriented Poly Propylene)또는 PVA(Poly Vinyl Alcohol) 필름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필름은 복수의 위상차 필름들의 적층 구조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위상차 필름들의 지연(retardation)값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필름은 무연신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환형 폴리올레핀(Cyclic Polyolefin: COP) 필름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120083224A 2012-07-30 2012-07-30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975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24A KR101975536B1 (ko) 2012-07-30 2012-07-30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US13/717,617 US9569020B2 (en) 2012-07-30 2012-12-17 Flexible touch screen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24A KR101975536B1 (ko) 2012-07-30 2012-07-30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070A KR20140016070A (ko) 2014-02-07
KR101975536B1 true KR101975536B1 (ko) 2019-05-08

Family

ID=4999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224A KR101975536B1 (ko) 2012-07-30 2012-07-30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69020B2 (ko)
KR (1) KR1019755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333B1 (ko) * 2012-05-08 2019-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휨 감지 방법
KR101444132B1 (ko) * 2013-11-20 2014-11-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복합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192035B1 (ko) 2013-12-02 2020-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10474299B2 (en) 2014-02-24 2019-11-12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US9541965B1 (en) * 2014-03-10 2017-01-10 Amazon Technologies, Inc. Cover assembly for a display stack
US9965113B2 (en) 2014-04-14 2018-05-08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CN105278720A (zh) * 2014-07-25 2016-01-27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责任公司 无挡触控的手持式电子装置及其解锁方法
EP2980686B1 (en) * 2014-07-30 2018-12-26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KR102248460B1 (ko) 2014-08-08 2021-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02169B1 (ko) 2015-01-06 2021-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20639B1 (ko) 2015-02-04 2021-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77379B1 (ko) * 2015-02-25 2021-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25190B1 (ko) 2015-04-13 2021-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2335116B1 (ko) 2015-04-13 2021-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38753B1 (ko) * 2015-04-14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01556B1 (ko) 2015-04-20 2022-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8748B1 (ko) 2015-04-21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92215B1 (ko) 2015-11-27 2023-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그 제작 방법
KR102472641B1 (ko) 2015-11-30 2022-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2629580B1 (ko) * 2016-01-08 2024-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CN107203291B (zh) 2016-03-18 2020-06-30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可弯曲式触控传感器及包括该触控传感器的显示装置
CN106547407A (zh) * 2016-11-08 2017-03-2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可弯折柔性触摸屏及柔性触摸显示屏
CN110069152A (zh) * 2018-01-24 2019-07-30 祥达光学(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与触控传感器卷带
CN108646946B (zh) 2018-05-11 2021-01-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和柔性触控显示器
CN109508116B (zh) * 2018-12-11 2021-01-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CN210836051U (zh) * 2019-11-05 2020-06-23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容屏和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4363A1 (en) * 2008-05-29 2009-12-03 Nokia Corporation A flexural deformation sensing device and a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US20110012845A1 (en) * 2009-07-20 2011-01-20 Rothkopf Fletcher R Touch sensor structures for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1327B2 (en) * 2000-09-18 2004-08-03 Citizen Watch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n input panel
SG150516A1 (en) 2005-08-12 2009-03-30 Cambrios Technologies Corp Nanowires-based transparent conductors
KR100788259B1 (ko) 2006-03-29 2007-12-27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대전방지 배향막을 이용한 포지티프 씨플레이트의 제조방법
US7848020B2 (en) * 2006-06-02 2010-12-07 Jds Uniphase Corporation Thin-film design for positive and/or negative C-plate
US9710095B2 (en) 2007-01-05 2017-07-18 Apple Inc. Touch screen stack-ups
KR100978461B1 (ko) * 2008-07-04 2010-08-26 안영수 고감도 디지탈방식의 정전용량터치패널장치
KR101022065B1 (ko) 2009-01-16 2011-03-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048980B1 (ko) * 2009-01-16 2011-07-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24016A (ko) 2009-05-18 2010-11-26 주식회사 동아테크윈 터치스크린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기판의 폴리머 형성 및 투명전극 아이티오 형성 방법
US9019211B2 (en) 2009-10-30 2015-04-28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uch sensitive displays
KR101726623B1 (ko) * 2010-03-16 2017-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US20110273394A1 (en) 2010-05-10 2011-11-10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transparent and flexible force-sensitive touch panel
KR101056264B1 (ko) * 2010-05-14 2011-08-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142664B1 (ko) * 2010-05-17 2012-05-0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패널 일체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3531317A (ja) * 2010-07-14 2013-08-01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8766931B2 (en) * 2010-07-16 2014-07-01 Perceptive Pixel Inc. Capacitive touch sensor having code-divided and time-divided transmit waveforms
KR101779594B1 (ko) * 2010-10-26 2017-09-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KR101738645B1 (ko) * 2010-11-08 2017-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719588B1 (ko) * 2010-11-17 2017-03-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793073B1 (ko) * 2010-12-06 2017-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844536B1 (ko) 2010-12-13 2018-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230191B1 (ko) * 2010-12-14 2013-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096559B1 (ko) 2011-03-24 2011-12-20 (주) 태양기전 터치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40242B1 (ko) * 2011-05-12 2019-11-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를 이용한 전자 기기
KR20120133848A (ko) * 2011-06-01 2012-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293179B1 (ko) * 2011-06-13 2013-08-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일체형 터치스크린
KR101381817B1 (ko) * 2011-06-30 2014-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945439B1 (ko) * 2012-04-24 2019-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401406B1 (ko) * 2012-04-26 2014-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4363A1 (en) * 2008-05-29 2009-12-03 Nokia Corporation A flexural deformation sensing device and a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US20110012845A1 (en) * 2009-07-20 2011-01-20 Rothkopf Fletcher R Touch sensor structures for displ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070A (ko) 2014-02-07
US9569020B2 (en) 2017-02-14
US20140028584A1 (en) 201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536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945439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US10481642B2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US20200201473A1 (en) Touch screen panel
KR102111628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US8603611B2 (en) Transparent planar body and transparent touch switch
KR10173979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EP3073357B1 (en) Composite polarizing plate-integrated touch sensing electrode and touch screen panel having same
CN110794983B (zh) 触摸传感器
KR102056459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10825258B (zh) 触摸传感器
KR101858709B1 (ko) 터치 센서 적층체,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JP6707836B2 (ja) タッチパネル一体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用センサ電極基材、タッチパネル一体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一体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150077384A1 (en)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KR102146739B1 (ko) 복합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CN108491105B (zh) 触控显示装置
KR102153132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