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339B1 - 볼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볼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339B1
KR101972339B1 KR1020180102884A KR20180102884A KR101972339B1 KR 101972339 B1 KR101972339 B1 KR 101972339B1 KR 1020180102884 A KR1020180102884 A KR 1020180102884A KR 20180102884 A KR20180102884 A KR 20180102884A KR 101972339 B1 KR101972339 B1 KR 101972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bolt
guide
adjusting
stra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태
Original Assignee
양희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태 filed Critical 양희태
Priority to KR1020180102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21F1/02Straightening
    • B21F1/023Straightening in a device rotating about the wir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5/00Upsetting wire or pressing operations affecting the wire cross-section
    • B21F5/005Upsetting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제조장치는 권선된 강선을 풀어서 공급하기 위한 강선공급부재와, 상기 강선공급부재로부터 공급된 강선을 직선으로 펼치기 위한 펼침부재와, 상기 펼침부재로부터 공급되는 강선을 볼트로 가공하는 가공부재와, 상기 가공부재에 의해 가공된 볼트를 이송하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로부터 이송되는 볼트를 저장하는 저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펼침부재와 가공부재 사이에는 상기 강선의 직선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직진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직진도감지센서와 상기 가공부재 사이에는 상기 강선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공급되는 강선의 직진도를 향상시켜 제조되는 볼트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불량 발생의 가능성이 큰 재료의 공급을 미리 차단함으로서, 볼트 제조에 소요되는 에너지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제조과정이 자동화 과정을 통해 구현됨으로써,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공부에서 소요되는 전력과 부품의 마모 및 고장을 감소킬 수 있다.

Description

볼트 제조장치{APPARATUS FOR MAKING BOLT}
본 발명은 볼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볼트 가공용 강선의 직진도를 향상시켜 제조되는 볼트의 불량률을 낮추고, 전체 제조 과정과 제품의 검사를 자동화할 수 있으면서도, 장치의 고장과 마모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볼트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설비, 기계 구조물 등의 체결요소로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는 볼트는 대부분 타발식 프레스 가공 및 전조 가공을 통해 성형된다.
볼트 성형을 위한 장치는 크게 강선재가 감겨진 상태에서 풀어 공급하는 강선재 권선수단과, 상기 강선재를 일정한 피치로 공급하는 강선재 공급수단과, 공급된 강선재를 절단수단을 통해 처리한 후 볼트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프레스 및 가공수단으로 구성되며, 특히 볼트의 정확한 규격화와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강선재 공급수단을 통한 정확한 공급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강선재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강선재의 직진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가공된 볼트는 그 불량률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하여, 결국 볼트 생산 수율의 저하는 물론 재료의 불필요한 낭비를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공급되는 강선의 직진도가 낮을 경우 볼트를 가공하는 가공부에서 작용되는 부하가 증대되며, 이러한 점은 가공부 부품의 마모와 고장의 증대를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강선재 공급수단은 특정 규격 볼트에 적합하도록 세팅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다양한 규격의 볼트를 생산하기 위해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측면에서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되는 강선의 직진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볼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리 지정된 직진도로 강선이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 애초 절단하여 구분 배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볼트의 불량률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볼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체 제조과정이 자동화 과정을 통해 구현되도록 구성되는 볼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공부에서 소요되는 전력과 부품의 마모 및 고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볼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제조장치는 권선된 강선을 풀어서 공급하기 위한 강선공급부재와, 상기 강선공급부재로부터 공급된 강선을 직선 상태로 펼치기 위한 펼침부재와, 상기 펼침부재로부터 공급되는 강선을 볼트로 가공하는 가공부재와, 상기 가공부재에 의해 가공된 볼트를 이송하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로부터 이송되는 볼트를 저장하는 저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펼침부재와 가공부재 사이에는 상기 강선의 직선 상태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직진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직진도감지센서와 상기 가공부재 사이에는 상기 강선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강선의 직진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절단부재가 작동되어 강선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부재는 볼트머리가 거치된 상태로 하나씩 이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송부재의 단부에는 볼트의 불량 여부를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기 위한 불량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재의 단부는 원형 단면의 선재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부재는 볼트를 일 열씩 구분하여 상승 이송시키기 위한 구분이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의 단부에는 불량 볼트를 분리수거 하기 위한 분리수거부재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강선공급부재는 강선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상부지지롤러와, 강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재와, 강선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하부지지롤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롤러는 상하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상부지지롤러의 축과 나란한 방향 또는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펼침부재는 상기 강선공급부재로부터 공급되는 강선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상기 가공장치로 이송하는 다수개의 제1가이드 롤러가 구성된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가이드부의 후방에 결합되며, 이송되는 상기 강선의 외주면에 접하는 다수개의 제2가이드 롤러가 구성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는 상기 강선의 외주면에 접하며, 소정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강선의 공급 방향으로 이송하는 롤러부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롤러 샤프트와, 상기 롤러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에는 상기 다수개의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위치 조절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제1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의 일면에 삽입되며,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제1조절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조절부재가 제자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회전 지지링과; 롤러 샤프트의 하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조절부재와 축방향으로부터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조절부재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승하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조절부재에는 상기 제1조절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에는 상기 다수개의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위치 조절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제2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의 일면에 삽입되며,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제2조절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는 조절홈과; 상기 조절홈에 삽입되고, 상부에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제2조절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절홈의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는 조절부시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시에 결합되는 체결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공급되는 강선의 직진도를 향상시켜 제조되는 볼트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불량 발생의 가능성이 큰 재료의 공급을 미리 차단함으로서, 볼트 제조에 소요되는 에너지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제조과정이 자동화 과정을 통해 구현됨으로써,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공부에서 소요되는 전력과 부품의 마모 및 고장을 감소킬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2 는 상기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강선공급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펼침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상기 펼침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펼침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6 은 상기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구분이송부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상기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이송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2 는 상기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강선공급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펼침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상기 펼침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펼침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6 은 상기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구분이송부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상기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이송부의 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제조장치는 권선된 강선(2)을 풀어서 공급하기 위한 강선공급부재(10)와, 상기 강선공급부재(10)로부터 공급된 강선을 직선 상태로 펼치기 위한 펼침부재(30, 50)와, 상기 펼침부재(30, 50)로부터 공급되는 강선을 볼트로 가공하는 가공부재(70)와, 상기 가공부재(70)에 의해 가공된 볼트를 이송하는 이송부재(80, 90)와, 상기 이송부재(80, 90)로부터 이송되는 볼트를 저장하는 저장부재(110)를 포함하며, 상기 펼침부재(30, 50)와 가공부재(70) 사이에는 상기 강선(2)의 직선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직진도감지센서(60)가 설치되고, 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와 상기 가공부재(70) 사이에는 상기 강선(2)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재(65)가 설치되어, 상기 강선의 직진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절단부재(65)가 작동되어 강선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제조장치는 상기 강선공급부재(10)와 펼침부재(30, 50)와 가공부재(70) 및 이송부재(80, 90)를 포함한다.
가공부재(70)는 상기 펼침부재(30, 50)를 통해 강선을 공급받아 가공함으로써 볼트를 제조하는 장치로, 압연 및 인발부(72), 이송부(74), 나선가공부(76), 배출부(78) 및 구동 제어부(7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연 및 인발부(72)는 상기 펼침부재(30, 50)를 통해 공급된 강선에 압연과 인발 작업을 가해 볼트 머리와 몸체 부분을 형성하도록 1차 가공하는 부분이다.
상기 압연 및 인발부(72)는 강선을 가공함으로써, 강선 가지는 재료 성질에 대한 소성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로 인해 강선의 형태를 변화시켜 지정된 형상의 볼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송부(74)는 압연 및 인발부(72)를 통해 1차 가공이 이루어진 1차가공품을 나선가공부(76)로 이송시켜 볼트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통상의 컨베이어 시스템, 또는 다수개의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나선가공부(76)는 상기 이송부(74)를 통해 이송된 1차 가공품에 나선을 형성하여 볼트로 제조하는 구성요소이다.
배출부(78)는 나선가공부(76)에 의해 제조된 볼트를 가공장치(70)의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배출부(78)는 통상의 이송관, 또는 컨베이어 시스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볼트 가공을 위한 상기 가공부재(70)의 구성은 공지의 구성 채용이 가능하며, 상기된 구성들 이외에 볼트 가공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이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71)는 가공부재(7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한편, 후술할 직진도감지센서(60)와 불량감지센서(110) 및 절단부재(65)와 분리수거부재(120) 등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강선공급부재(10)는 애초 권취된 금속재 강선(2)을 풀어서 상기 펼침부재(30, 50)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강선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상부지지롤러(4, 6)와, 강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재(8)와, 강선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하부지지롤러(14, 16)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지지롤러(4, 6)는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강선(2)을 지지한다.
상기 하부지지롤러(14, 16) 역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한 쌍으로 설치되되,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하부지지롤러(14, 16)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롤러(14, 16)들은 핸들(15, 17)의 회전을 통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한 쌍의 하부지지롤러(14, 16)들 사이의 간격과 그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상부지지롤러(4, 6)에 걸쳐지는 강선 롤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상부지지롤러(4, 6)를 통해서는 강선 롤의 내주 부분을 지지하고, 상기 하부지지롤러(14, 16)를 통해서는 강선 롤의 외주 부분을 지지하되, 상기 하부지지롤러(14, 16)들의 간격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강선 롤의 전체 직경에 대응되도록 조절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8)는 상기 상부지지롤러(4, 6)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지지롤러(4, 6)로부터 강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상부지지롤러의 축과 나란한 방향 또는 수직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가이드부재(8)가 상기 상부지지롤러(4, 6)의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강선 롤이 상기 상부지지롤러(4, 6) 둘레로 이동되어 배치되고, 이후 상기 가이드부재(8)를 상기 상부지지롤러(4, 6)의 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함으로써, 강선이 상기 상부지지롤러(4, 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펼침부재(30, 50)는 상기 강선공급부재(10)로부터 공급되는 강선을 직선으로 펼치면서 상기 가공부재(70)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물론, 상기 가공부재(70) 내의 압연 및 인발부(72)를 통한 압연 인발 작업에 의해 강선이 곧게 펼쳐지지만, 상기 펼침부재(30, 50)를 통해 이동되는 강선을 일차적으로 직선 상태로 펼침으로써, 상기 압연 및 인발부(72)에서의 작동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부품의 마모와 고장을 방지하여 전체 장치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키면서도,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볼트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펼침부재(30, 50)는 강선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상기 가공부재(70)로 이송하는 다수 개의 제1가이드 롤러(312)가 구성된 제1 가이드부(30)와, 제1가이드부(30)의 후방에 결합되며, 제1가이드부(30)로부터 이송되는 강선의 외주면에 접하는 다수개의 제2가이드 롤러(512)가 구성된 제2 가이드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는 각각 다수개의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312, 512)들을 포함하며, 강선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곧게 펼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는 연결 배치되는 구성되는 것으로, 서로 직교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제1가이드부(30)는 다수 개의 제1가이드 롤러(312)가 측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송되는 강선의 외주면 양측부와 접하도록 구성되고, 제2가이드부(50)는 다수개의 제2가이드 롤러(512)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가이드부(50)를 통해 이송되는 강선의 외주면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312, 512)는, 상기 강선의 외주면에 접하며 소정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강선의 공급 방향으로 이송하는 롤러부(314, 514)와, 상기 롤러부(314, 514)를 고정시키는 롤러 샤프트(324, 524)와, 상기 롤러부(314, 514)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베어링(326, 526)을 포함한다.
롤러부(314, 514)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제1가이드부(30)와 제2가이드부(5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그 외주면으로 강선의 외주면이 접하는 요홈의 형상으로 형성된 접촉부가 구성된다.
이러한 롤러부(314)는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2열로 배치되어 강선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롤러부(314, 514)는 강선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강선의 진행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강선을 곧게 펼침과 동시에 가공부재(70) 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롤러 샤프트(324, 524)는 롤러부(314, 514)를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에 각각 결합하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는 원기둥 형상의 축 부재로 이루어지고, 하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베어링(326, 526)은 롤러 샤프트(324, 524)의 상부 원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롤러부(314, 514)가 롤러 샤프트(324, 524)를 중심으로 원활히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에는 상기 다수개의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312, 512)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위치 조절수단(340, 54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제1위치 조절수단(340, 540)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블럭(310, 510)의 일면에 삽입되며,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제1조절부재(342, 542)와, 롤러 샤프트(324, 524)의 하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1조절부재(342, 542)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승하강부재(346, 546)를 포함한다.
이때, 제1조절부재(342, 542)의 원주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블럭(310, 510)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조절부재(342, 542)가 제자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회전 지지링(344, 544)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지지링(344, 544)은 C-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1조절부재(342, 542)에 체결되어, 제1조절부재(342, 542)가 회전 지지링(344, 544)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전 작동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조절부재(344, 544)의 단부에는 상기 제1조절부재(344, 544)의 끝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1 및 제2가이드블럭(310, 51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조절부재(344, 544)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348, 548)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348, 548)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베어링(327, 527)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승하강 부재(346, 546)는 롤러 샤프트(324, 524)의 하부에 구성되어 제1조절부재(342, 542)의 작동 여부에 따라 롤러 샤프트(324, 524)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롤러 샤프트(324, 524)는 회전 베어링(326, 52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부(314, 514)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즉, 강선의 직경에 따라 접촉부와 접하는 강선의 외주면의 접점의 위치가 달라지게 되므로, 본 발명의 승하강 부재(346, 546)는 롤러부(314, 514)를 승하강 시키면서 상기 접점이 접촉부와 점 접촉을 이루는 위치까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선의 이송시 롤러부(314, 514)와의 과도한 압력 접촉에 의해 강선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에는 상기 다수개의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312, 512)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절하는 제2위치 조절수단(360, 560)이 구성될 수 있다.
제2위치 조절수단(360, 560)은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의 일면에 체결되면서 내부로 삽입되며, 나사 체결 방식을 통해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제2조절부재(361, 561)와,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되, 그 상부로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314, 514)가 결합되고, 상기 제2조절부재(361, 56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314, 514)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조절부시(363, 563)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314, 514)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시(363, 563)에 결합되는 체결축(365, 56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에는 그 내부에 상기 조절부시(363, 563)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내장되는 조절홈(364, 56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조절부시(363, 563)는 조절홈(364, 564)의 바닥면을 따라 양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312, 512)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고, 이는 결국, 강선재의 직경에 따라 가이드 장치(30, 50)를 교체할 필요없이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312, 512)의 위치만을 조절하여 상기 강선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절홈(364, 564)에는 제2조절부재(361, 561)의 작동에 의해 일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진 조절부시(363, 563)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체(367, 567)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홈(364, 564)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절부시(363, 563)의 보다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제2조절부재(361, 561)의 작동 여부에 따라 조절부시(363, 563)는 양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조절부시(363, 563)에는 그 상부 원주면을 따라 상기 조절부시(363, 563)의 슬라이딩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363a, 563a)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홈(364, 564)에는 상기 스토퍼(363a, 563a)가 삽입되는 스토퍼홈(364a, 564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위치 조절수단(340, 360) 중, 제1위치 조절수단(340, 540)은 롤러부(314, 514)의 높이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제2위치 조절수단(360, 560)은 2열 배치된 롤러부(314, 51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위치 조절수단(340, 540) 및 제2위치 조절수단(360, 560)은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장착되거나, 또는 둘 모두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펼침부재(30, 50)를 통과한 강선의 진행 경로 상에 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가 설치된다.
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는 상기 펼침부재(30, 50)에 의해 직선 형태로 펼쳐진 강선의 직진도를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를 통해 강선을 촬영함으로써, 강선의 직진 정도를 파악한다.
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에 의해 감지되는 강선의 직진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감지 신호를 가공부재(70)의 구동 제어부(71)로 전송하여 강선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거나 중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는 기준 영상으로써 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 또는 구동 제어부(71)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정 강선 길이 대비 폭 방향으로 벗어나는 정도로써 정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와 상기 가공부재(70) 사이에는 강선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재(65)가 설치되며, 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에 의해 감지되는 강선의 직진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절단부재(65)가 하강되어 강선을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재(65)에 의해 절단된 강선은 분리 수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와 절단부재(65)는 상기 가공부재(70)의 구동 제어부(71)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펼침부재(30, 50)를 통과한 강선 중 미리 설정된 직진도 범위를 벗어하는 강선은 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절단부재(65)를 통해 절단하여 분리 수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볼트의 불량 및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펼침부재(30, 50)를 통해 강선을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의 직진도로 가공함으로써, 상기 가공부재(70)에 의한 가공 시 작용되는 부하를 감소시켜 가공부재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키고, 가공부재에서 소요되는 전기 에너지 및 부품의 마모와 고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펼침부재(30, 50)로부터 공급되는 강선은 상기 가공부재(70)에 의해 볼트로 가공되며, 상기 가공부재(70)의 배출부로 배출된 볼트는 이송부재(80, 90)에 의해 저장부재(110)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부재(90)는 한 쌍의 거치부재(92)들을 포함하여, 상기 거치부재(92)에 볼트머리가 거치된 상태로 하나씩 이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송부재(90)의 단부에는 볼트의 불량 여부를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기 위한 불량감지센서(110)가 설치된다.
상기 불량감지센서(110)는 볼트의 형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불량감지센서(110)를 통해 최종적으로 형성된 볼트의 길이와 폭, 머리 부분의 두께 등을 촬영하여 기준 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불량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불량감지센서(110)를 통해 가급적 볼트의 형상 대부분을 촬영하고, 볼트의 보다 원활한 이동을 위해, 상기 이송부재(90)의 단부는 원형 단면의 선재(94)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12)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원형 단면의 선재(94) 부분을 통해 볼트가 원활히 미끄러져 이동되면서도, 이동되는 과정 중 상기 불량감지센서(110)에 의해 볼트 가공에서 중요한 요소인 볼트 머리의 형상과, 전체 길이 및 나사산의 형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90)의 단부에는 상기 불량감지센서(110)에 의해 불량으로 판별된 불량 볼트를 분리수거 하기 위한 분리수거부재(120)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불량감지센서(110)에 의해 불량으로 감지되는 볼트는 상기 분리수거부재(120)에 의해 분리 수거되고, 양품의 볼트들만이 저장부재(130)에 저장된다.
한편, 상기 이송부재(90)는 볼트를 일 열씩 구분하여 상승 이송시키기 위한 구분이송부(80)를 포함한다.
상기 구분이송부(80)는 복수 개의 단차부재(82, 84, 86, 88)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차부재들은 각각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면(84-1)들을 가진다.
그리하여, 상기 단차부재(82, 84, 86, 88)들이 상하 방향으로 교대 승강됨으로써, 볼트가 일렬 씩 우 상방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구분이송부(80)의 상면(84-1) 폭(W2)은 하나의 볼트를 수용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되되, 그 너비(W1)는 하나 또는 복수의 볼트를 수용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구분이송부(80)를 통해 일렬의 볼트들이 이송되어 상기 이송부재(90)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강선공급부재
30, 50: 펼침부재
60: 직진도감지센서
70: 가공부재
80: 구분이송부
90: 이송부재
110: 저장부재

Claims (11)

  1. 권선된 강선을 풀어서 공급하기 위한 강선공급부재와;
    상기 강선공급부재로부터 공급된 강선을 직선 상태로 펼치기 위한 펼침부재와;
    상기 펼침부재로부터 공급되는 강선을 볼트로 가공하는 가공부재와;
    상기 가공부재에 의해 가공된 볼트를 이송하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로부터 이송되는 볼트를 저장하는 저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펼침부재와 가공부재 사이에는 상기 강선의 직선 상태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직진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직진도감지센서와 상기 가공부재 사이에는 상기 강선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직진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강선의 직진도가 미리 지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절단부재가 작동되어 강선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볼트머리가 거치된 상태로 하나씩 이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송부재의 단부에는 볼트의 불량 여부를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기 위한 불량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의 단부는 원형 단면의 선재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제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볼트를 일 열씩 구분하여 상승 이송시키기 위한 구분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의 단부에는 불량 볼트를 분리수거 하기 위한 분리수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공급부재는,
    강선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상부지지롤러와;
    강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재와;
    강선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하부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제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롤러는 상하로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제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상부지지롤러의 축과 나란한 방향 또는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제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부재는,
    상기 강선공급부재로부터 공급되는 강선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상기 가공부재로 이송하는 다수개의 제1가이드 롤러가 구성된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가이드부의 후방에 결합되며, 이송되는 상기 강선의 외주면에 접하는 다수개의 제2가이드 롤러가 구성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는,
    상기 강선의 외주면에 접하며, 회전력에 의해 상기 강선의 공급 방향으로 이송하는 롤러부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롤러 샤프트와, 상기 롤러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에는 상기 다수개의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위치 조절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제1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의 일면에 삽입되며,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제1조절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조절부재가 제자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회전 지지링과;
    롤러 샤프트의 하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조절부재와 축방향으로부터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조절부재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승하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제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재에는 상기 제1조절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제조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에는 상기 다수개의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위치 조절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제2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의 일면에 삽입되며,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제2조절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는 조절홈과;
    상기 조절홈에 삽입되고, 상부에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제2조절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절홈의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는 조절부시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시에 결합되는 체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제조 장치.
KR1020180102884A 2018-08-30 2018-08-30 볼트 제조장치 KR101972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884A KR101972339B1 (ko) 2018-08-30 2018-08-30 볼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884A KR101972339B1 (ko) 2018-08-30 2018-08-30 볼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339B1 true KR101972339B1 (ko) 2019-04-25

Family

ID=66281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884A KR101972339B1 (ko) 2018-08-30 2018-08-30 볼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33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5039A (zh) * 2019-09-25 2019-12-31 浙江君悦标准件有限公司 具有料坯自动成型机构冷镦机
CN110860627A (zh) * 2019-11-13 2020-03-06 重庆市璧山区鸿泰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钢筋定长切割***
KR102076582B1 (ko) * 2019-10-07 2020-05-19 (주)현대화스너 볼트 제조장치
CN111545683A (zh) * 2020-05-27 2020-08-18 福州市长乐区斯亚特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钢筋测量切断装置
CN113618410A (zh) * 2021-08-18 2021-11-09 豪丰茂五金制品(太仓)有限公司 一种刀杆加工用拉直断料设备及其工作方法
KR20230045235A (ko) *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화신 부품 선별장치
CN116727564A (zh) * 2023-06-26 2023-09-12 阳谷华东特种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加工用矫正设备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32A (ja) * 1992-06-22 1994-01-11 Sadao Hosoi ドラムの線材供給装置
KR200310293Y1 (ko) * 2003-01-15 2003-04-21 유 길 고 볼트 제조용 전조기
KR101857395B1 (ko) * 2017-09-20 2018-05-14 이용연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32A (ja) * 1992-06-22 1994-01-11 Sadao Hosoi ドラムの線材供給装置
KR200310293Y1 (ko) * 2003-01-15 2003-04-21 유 길 고 볼트 제조용 전조기
KR101857395B1 (ko) * 2017-09-20 2018-05-14 이용연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5039A (zh) * 2019-09-25 2019-12-31 浙江君悦标准件有限公司 具有料坯自动成型机构冷镦机
KR102076582B1 (ko) * 2019-10-07 2020-05-19 (주)현대화스너 볼트 제조장치
CN110860627A (zh) * 2019-11-13 2020-03-06 重庆市璧山区鸿泰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钢筋定长切割***
CN111545683A (zh) * 2020-05-27 2020-08-18 福州市长乐区斯亚特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钢筋测量切断装置
CN111545683B (zh) * 2020-05-27 2021-02-19 广东中申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钢筋测量切断装置
CN113618410A (zh) * 2021-08-18 2021-11-09 豪丰茂五金制品(太仓)有限公司 一种刀杆加工用拉直断料设备及其工作方法
KR20230045235A (ko) *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화신 부품 선별장치
KR102590296B1 (ko) * 2021-09-28 2023-10-17 (주)화신 부품 선별장치
CN116727564A (zh) * 2023-06-26 2023-09-12 阳谷华东特种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加工用矫正设备及方法
CN116727564B (zh) * 2023-06-26 2024-01-19 阳谷华东特种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加工用矫正设备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339B1 (ko) 볼트 제조장치
KR101962685B1 (ko) 선재 공급장치가 구비된 볼트 가공장치
KR101220913B1 (ko) 사행방지장치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
KR20130073300A (ko) 이차전지의 전극 노칭장치
US20200010307A1 (en) Conveying device
KR20160086172A (ko) 파이프 절단 장치
CN104310088A (zh) 柔性物料加工生产设备
CN109368401B (zh) 一种取料下降机构和取料提升机构
KR102076582B1 (ko) 볼트 제조장치
CN112707203A (zh) 一种钢带收卷设备
JP2010101725A (ja) タイヤ検査装置及びタイヤ検査方法
KR100813570B1 (ko) 파이프 절단 장치
CN212286095U (zh) 一种办公椅切割机
KR101077668B1 (ko) 버핑 시스템
US20110226886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inding a lengthy rubber material
KR200183930Y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JP2019085185A (ja) ころ供給装置およびころ供給方法
CN112809797B (zh) 卷筒纸平压平模切机及其控制方法
US5571541A (en) Device for reconditioning tubes, particularly cardboard tubes
CN104310087A (zh) 收放料机构
KR101194022B1 (ko)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JP5511054B2 (ja) スパイラル造管時の連続走行切断装置
KR102219005B1 (ko) 코드 밴드 절단용 슬리터
KR20210149787A (ko) 스크린 장치 및 처리 시스템
US4625853A (en) Apparatus for the transport of workpieces to and from a machine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