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166B1 - 기록 용지, 및 기록 용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용지, 및 기록 용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166B1
KR101970166B1 KR1020150140787A KR20150140787A KR101970166B1 KR 101970166 B1 KR101970166 B1 KR 101970166B1 KR 1020150140787 A KR1020150140787 A KR 1020150140787A KR 20150140787 A KR20150140787 A KR 20150140787A KR 101970166 B1 KR101970166 B1 KR 101970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base material
paper base
magnetic material
record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7317A (ko
Inventor
에이조 구리하라
기요시 호소이
쇼지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7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40Agents facilitating proof of genuineness or preventing fraudulent alteration, e.g. for security paper
    • D21H21/42Ribbons 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1Testing electronic circuits therei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Paper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성 재료에 의해 생기는 표면의 단차의 발생이 억제된 기록 용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 1 종이 기재와, 상기 제 1 종이 기재와 첩합된 제 2 종이 기재와, 상기 제 1 종이 기재와 상기 제 2 종이 기재 사이에 배치된 자성 재료를 갖고, 상기 자성 재료가, 상기 제 1 종이 기재와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첩합면에 대해서, 상기 제 1 종이 기재 또는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한쪽의 측에 들어가는 비율이 큰 기록 용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록 용지, 및 기록 용지의 제조 방법{RECORDING PAP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록 용지 및 기록 용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2종류의 다른 자기 특성을 갖는 자성 스레드를 넣어서 이루어지는 자성체 삽입 용지로서, 당해 용지가 3층의 종이층을 합친 층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용지의 제 1 층과 제 2 층의 사이에 제 1 자성 스레드가 넣어지고, 제 2 층과 제 3 층 사이에 제 2 자성 스레드가 넣어지고, 당해 2개의 자성 스레드가, 상호 평행하며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 삽입 용지」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5-232617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제 1 종이 기재(基材)와 첩합(貼合)된 제 2 종이 기재 사이에 배치된 자성 재료를 갖는 기록 용지에 있어서, 자성 재료가, 제 1 종이 기재와 제 2 종이 기재의 첩합면에 대해서, 제 1 종이 기재와 제 2 종이 기재의 양쪽에 같은 비율로 들어가 있는 경우에 비하여, 자성 재료에 의해 생기는 표면의 단차의 발생이 억제된 기록 용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이하의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즉,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제 1 종이 기재와,
상기 제 1 종이 기재와 첩합된 제 2 종이 기재와,
상기 제 1 종이 기재와 상기 제 2 종이 기재 사이에 배치된 자성 재료를 갖고,
상기 자성 재료가, 상기 제 1 종이 기재와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첩합면에 대해서, 상기 제 1 종이 기재 또는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한쪽의 측에 들어가는 비율이 큰 기록 용지이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재료가, 상기 제 1 종이 기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자성 재료까지의 최단 거리 a,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자성 재료까지의 최단 거리 b로 했을 때, 상기 최단 거리 a 및 상기 최단 거리 b 중, 최단 거리가 작은 쪽을 최단 거리가 큰 쪽으로 나눈 값 c가, 0.5≤c≤0.9인 기록 용지이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이 기재 및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밀도가 각각 0.4g/㎤ 이상 1.0g/㎤ 이하인 기록 용지이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제 1 종이 기재와,
상기 제 1 종이 기재와 첩합된 제 2 종이 기재와,
상기 제 1 종이 기재와 상기 제 2 종이 기재 사이에 배치된 자성 재료를 갖고,
상기 제 1 종이 기재와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밀도의 차가 0.1g/㎤ 이상 0.4g/㎤ 이하인 기록 용지이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이 기재 및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밀도가 각각 0.4g/㎤ 이상 1.0g/㎤ 이하인 기록 용지이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제 1 종이 기재, 또는 제 2 종이 기재 중 어느 한쪽의 종이 기재 상에, 자성 재료를 배치하는 자성 재료 배치 공정과,
상기 자성 재료를 사이에 끼워 넣도록, 상기 자성 재료가 배치된 한쪽의 종이 기재에, 다른 쪽의 종이 기재를 첩합하는 첩합 공정을 갖고,
상기 제 1 종이 기재와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밀도의 차가 0.1g/㎤ 이상 0.4g/㎤ 이하인 기록 용지의 제조 방법이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이 기재 및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밀도가 각각 0.4g/㎤ 이상 1.0g/㎤ 이하인 기록 용지의 제조 방법이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제 1 종이 기재와 첩합된 제 2 종이 기재 사이에 배치된 자성 재료를 갖는 기록 용지에 있어서, 자성 재료가, 제 1 종이 기재와 제 2 종이 기재의 첩합면에 대하여, 제 1 종이 기재와 제 2 종이 기재의 양쪽에 같은 비율로 들어가 있는 경우에 비해서, 자성 재료에 의해 생기는 표면의 단차의 발생이 억제된 기록 용지가 제공된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제 1 종이 기재의 표면으로부터 자성 재료까지의 최단 거리 a, 제 2 종이 기재의 표면으로부터 자성 재료까지의 최단 거리 b로 했을 때, 최단 거리 a 및 최단 거리 b 중, 최단 거리가 작은 쪽을 최단 거리가 큰 쪽으로 나눈 값 c가, 0.5 미만 또는 0.9를 초과하는 경우에 비해서, 자성 재료에 의해 생기는 표면의 단차의 발생이 억제된 기록 용지가 제공된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자성 재료가, 제 1 종이 기재와 제 2 종이 기재와의 첩합면에 대해서, 제 1 종이 기재와 제 2 종이 기재의 양쪽에 같은 비율로 들어가 있는 경우에 비해서, 제 1 종이 기재 및 제 2 종이 기재의 밀도가 각각 0.4g/㎤ 이상 1.0g/㎤ 이하이며, 자성 재료에 의해 생기는 표면의 단차의 발생이 억제된 기록 용지가 제공된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제 1 종이 기재와 첩합된 제 2 종이 기재 사이에 배치된 자성 재료를 갖는 기록 용지에 있어서, 제 1 종이 기재와 제 2 종이 기재의 밀도의 차가, 0.1g/㎤ 미만 또는 0.4g/㎤를 초과하는 경우에 비해서, 자성 재료에 의해 생기는 표면의 단차의 발생이 억제된 기록 용지가 제공된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제 1 종이 기재와 제 2 종이 기재의 밀도의 차가, 0.1g/㎤ 미만 또는 0.4g/㎤를 초과하는 경우에 비해서, 제 1 종이 기재 및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밀도가 각각 0.4g/㎤ 이상 1.0g/㎤ 이하이며, 자성 재료에 의해 생기는 표면의 단차의 발생이 억제된 기록 용지가 제공된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제 1 종이 기재, 또는 제 2 종이 기재 중 어느 한쪽의 종이 기재 상에, 자성 재료를 배치하는 자성 재료 배치 공정과, 상기 자성 재료를 사이에 끼워 넣도록, 상기 자성 재료가 배치된 한쪽의 종이 기재에, 다른 쪽의 종이 기재를 첩합하는 첩합 공정을 갖는 기록 용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1 종이 기재와 제 2 종이 기재의 밀도의 차가, 0.1g/㎤ 미만 또는 0.4g/㎤를 초과하는 경우에 비해서, 자성 재료에 의해 생기는 표면의 단차의 발생이 억제된 기록 용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제 1 종이 기재와 제 2 종이 기재의 밀도의 차가, 0.1g/㎤ 미만 또는 0.4g/㎤를 초과하는 경우에 비해서, 제 1 종이 기재 및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밀도가 각각 0.4g/㎤ 이상 1.0g/㎤ 이하이며, 자성 재료에 의해 생기는 표면의 단차의 발생이 억제된 기록 용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기록 용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기록 용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기록 용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기록 용지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일례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모든 도면을 통하여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기록 용지>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가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첩합되어 있다. 또한, 자성 재료(12)는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 사이에 끼워 넣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록 용지(100)에서는,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의 첩합면에 대해서, 자성 재료(12)가 제 1 종이 기재(10A)측보다도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들어가는 비율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2매의 종이 기재의 사이에 자성 재료를 끼워 넣어서 첩합된 기록 용지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기록 용지의 표면에는, 2매의 종이 기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자성 재료가 존재하는 부분에 있어서 돌출(볼록부)이 발생하여, 이 볼록부에 의한 단차가 발생하기 쉽다. 그리고, 이 기록 용지에, 예를 들면 전자 사진 방식으로 화상을 형성하면, 이 단차부에 있어서 전사 불량에 의한 화질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특히, 기록 용지 전체의 두께가 얇아지면 볼록부에 의한 단차가 현저하게 발생하기 쉽다. 그리고, 전체의 두께가 얇은 기록 용지에, 예를 들면 전자 사진 방식으로 화상을 형성하면 전사 불량에 의한 화질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에 대하여, 제 1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성 재료(12)가,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의 첩합면(14)에 대해서, 제 1 종이 기재(10A)측보다도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보다 많이 들어가서 구성되어 있다.
기록 용지(100)에서는,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1 종이 기재(10A)보다도 밀도가 낮은 제 2 종이 기재(10B)를 첩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를 첩합한 후의 기록 용지(100)는, 자성 재료(12)가 제 1 종이 기재(10A)측보다도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많이 들어가 있다. 자성 재료(12)가 제 1 종이 기재(10A)측보다도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많이 들어가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자성 재료(12)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기록 용지(100)의 표면에는 단차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따르면, 기록 용지(100)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한 경우여도 단차의 발생이 억제되기 쉬워진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에 전자 사진 방식으로 화상을 형성하면, 기록 용지(100)의 표면에는 단차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전사 불량 등에 의한 화질 불량이 억제되기 쉽다.
또한, 제 2 종이 기재(10B)의 밀도가 제 1 종이 기재(10A)의 밀도보다도 높을 경우에는, 자성 재료(12)는 제 2 종이 기재(10B)측보다도 제 1 종이 기재(10A)측에 많이 들어가게 된다.
또한, 같은 밀도의 2매의 종이 기재 사이에 끼워 넣어서 첩합된 종래의 기록 용지는, 자성 재료가 2매의 종이 기재의 양쪽에 같은 비율로 들어가 있다. 그 때문에, 기록 용지에는, 2매의 종이 기재의 첩합면에 있어서, 자성 재료의 양 옆의 위치(첩합면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자성 재료에 인접하는 위치)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제 1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는, 자성 재료(12)가 제 1 종이 기재(10A)측보다도 밀도가 낮은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많이 들어가 있다. 그리고, 밀도가 낮은 제 2 종이 기재(10B)는 제 1 종이 기재(10A)보다도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제 2 종이 기재(10B)가 변형됨으로써, 자성 재료(12)는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보다 많이 심어 넣어지도록 들어간다. 그 때문에, 기록 용지(100)에는, 첩합면(14)에 있어서의 자성 재료(12)의 양 옆의 위치에 간극이 생기지 않고 배치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는, 상기 구성에 의해, 기록 용지(100)에 있어서의 제 1 종이 기재(10A)측, 및 제 2 종이 기재(10B)측의 양면에서 단차의 발생이 억제된다. 한편, 기록 용지(100)에 있어서, 자성 재료(12)가,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의 첩합면(14)에 대해서, 제 1 종이 기재(10A)측보다도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보다 많이 들어가 있어, 제 1 종이 기재(10A)측의 표면은 단차의 발생이 보다 억제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전자 사진 방식으로 화상을 형성하면, 자성 재료(12)가 적게 들어간 제 1 종이 기재(10A)측의 표면은 전사 불량 등에 의한 화질 불량의 발생이 보다 억제되기 쉬워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성 재료(12)가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많이 들어가 있다. 한편, 제 1 종이 기재(10A)측에는 자성 재료(12)가 적게 들어가게 되어 있어, 자성 재료(12)로부터 기록 용지(100)의 표면까지의 거리는, 제 2 종이 기재(10B)측보다도 제 1 종이 기재(10A)측의 쪽이 확보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기록 용지(100)의 제 1 종이 기재(10A)측의 표면은 제 2 종이 기재(10B)측의 표면에 비해 전기 저항값이 과잉하게 저하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전자 사진 방식으로 화상을 형성했을 경우, 기록 용지(100)의 표면 중, 특히, 제 1 종이 기재(10A)측에서 전기 저항값의 저하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전사 불량의 발생이 보다 억제되기 쉬워질 것으로 추측된다.
제 1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에 있어서, 자성 재료(12)가,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의 첩합면(14)에 대해서, 제 1 종이 기재(10A) 또는 제 2 종이 기재(10B)의 한쪽의 측에 들어가는 비율(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기록 용지(100)에서는, 제 1 종이 기재(10A)측보다도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들어가는 비율에 해당함)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좋다.
상기한 첩합면(14)으로부터, 제 1 종이 기재(10A)의 표면측(기록 용지(100)의 표면에 있어서의 제 1 종이 기재(10A)측의 표면)을 향하여 들어가 있는 자성 재료(12)의 최대 거리를 h1, 및 첩합면(14)으로부터, 제 2 종이 기재(10B)의 표면측(기록 용지(100)의 표면에 있어서의 제 2 종이 기재(10B)측의 표면)을 향하여 들어가 있는 자성 재료(12)의 최대 거리를 h2로 했을 경우에(도 2 참조), h1과 h2 중, 작은 쪽을 큰 쪽으로 나눈 값의 비 H(즉, h1/h2 또는 h2/h1)가 0.55 이상 0.85 이하인 것이 좋으며, 0.60 이상 0.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기록 용지(100)의 표면은 단차의 발생이 억제되기 쉬워진다. 또한, 최대 거리 h1 및 h2는, 즉 첩합면(14)과 자성 재료(12)의 외주면의 길이(두께 방향을 따른 길이) 중의 최대 길이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상기한 최대 거리 h1과 h2의 비 H(h1/h2 또는 h2/h1)가 0.9를 초과할 경우에는, 자성 재료(12)가,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의 첩합면(14)에 대해서,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의 양쪽에 같은 비율로 들어가 있는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자성 재료(12)가,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의 첩합면(14)에 대해서, 제 1 종이 기재(10A) 또는 제 2 종이 기재(10B)의 한쪽의 측에 들어가 있는 상태는,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조작에 의해 관찰 및 측정된다. 우선, 기록 용지(100)를 공지의 방법(예를 들면, 수지 함침법, 절단법, 동결 분할법 등)에 의해 절단해서, 기록 용지(100)의 단면을 노출시킨 측정용 시료를 준비한다. 그리고, 이 측정용 시료를, 예를 들면 키엔스(KEYENCE)샤제의 VE SEM에 의해 표준 장비되어 있는 화상 처리 소프트웨어로 관찰 및 계측을 실시한다. 관찰 및 계측은, 측정용 시료의 단면 중, 자성 재료(12)가 존재하는 10개소에 대하여 관찰 및 측정을 행한다. h1, h2, 및 그 비 H는 10개소분의 평균값으로서 구한다.
또한, 측정용 시료는 주사 전자 현미경(SEM)에 한하지 않으며, 광학 현미경, 또는 투과 전자 현미경(TEM) 등을 이용하여 측정해도 된다.
제 1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를 구성하는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의 각각의 밀도는, 첩합하기 전의 밀도로서 0.4g/㎤ 이상 1.0g/㎤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4g/㎤ 이상 0.9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의 각각의 밀도가 이 범위이면, 기록 용지(100)로서의 종이의 강도가 유지됨과 함께, 기록 용지(100)의 표면에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 사이에 배치된 자성 재료(12)에 의한 단차의 발생이 보다 억제되기 쉬워진다.
또한,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의 밀도의 차는, 단차의 발생이 보다 억제되는 점에서 0.1g/㎤ 이상 0.4g/㎤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15g/㎤ 이상 0.4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g/㎤ 이상 0.4g/㎤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의 각각의 평량(坪量)으로서는, 첩합하기 전의 평량으로서 25g/㎡ 이상 60g/㎡ 이하가 좋으며, 30g/㎡ 이상 5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 용지(100) 전체의 평량으로서는, 50g/㎡ 이상 100g/㎡ 이하인 것이 좋으며, 52g/㎡ 이상 95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4g/㎡ 이상 90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록 용지(100) 전체의 두께로서는, 60㎛ 이상 130㎛ 이하인 것이 좋으며, 65㎛ 이상 1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실시형태)
도 3은 제 2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2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는, 자성 재료(12)가 다음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종이 기재(10A)의 표면(즉, 기록 용지(100)의 표면에 있어서의 제 1 종이 기재(10A)측의 표면)으로부터,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자성 재료(12)까지의 최단 거리 a, 제 2 종이 기재(10B)의 표면(즉, 기록 용지(100)의 표면에 있어서의 제 2 종이 기재(10B)측의 표면)으로부터 자성 재료(12)까지의 최단 거리 b로 했을 때, 최단 거리 a와 최단 거리 b 중, 최단 거리가 작은 쪽을 최단 거리가 큰 쪽으로 나눈 값 c가, 0.5≤c≤0.9인 조건을 만족하도록 자성 재료(12)를 배치하는 것이 좋다. c의 값은 0.55≤c≤0.85인 것이 바람직하며, 0.6≤c≤0.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3의 (A)에 나타나는 기록 용지(100)는, 제 1 종이 기재(10A)로부터 자성 재료(12)까지의 최단 거리 a가, 제 2 종이 기재(10B)로부터 자성 재료(12)까지의 최단 거리 b에 비해 큰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제 2 종이 기재(10B)로부터 자성 재료(12)까지의 최단 거리 b를 제 1 종이 기재(10A)로부터 자성 재료(12)까지의 최단 거리 a로 나눈 값인 c가, 0.5≤c(=b/a)≤0.9를 만족하도록, 자성 재료(12)가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의 (B)에 나타나는 기록 용지(100)는, 제 1 종이 기재(10A)로부터 자성 재료(12)까지의 최단 거리 a가, 제 2 종이 기재(10B)로부터 자성 재료(12)까지의 최단 거리 b까지의 최단 거리에 비해서 작은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제 1 종이 기재(10A)로부터 자성 재료(12)까지의 최단 거리 a를 제 2 종이 기재(10B)로부터 자성 재료(12)까지의 최단 거리 b로 나눈 값인 c가, 0.5≤c(=a/b)≤0.9를 만족하도록, 자성 재료(12)가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는,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1 종이 기재(10A)보다도 밀도가 낮은 제 2 종이 기재(10B)를 첩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를 첩합한 후의 기록 용지(100)는, 자성 재료(12)가 제 1 종이 기재(10A)측보다도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많이 들어가 있다.
그리고, 도 3의 (A) 및 (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자성 재료(12)는,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의 사이에, 상기한 0.5≤c(=a/b 또는 b/a)≤0.9를 만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자성 재료(12)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기록 용지(100)의 표면에는 단차의 발생이 보다 억제되기 쉬워진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의 구성에 따르면, 기록 용지(100)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한 경우여도 단차의 발생이 억제된다. 특히,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의 두께가 같을 경우에는 단차의 발생이 보다 억제되기 쉽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 2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에 전자 사진 방식으로 화상을 형성하면, 기록 용지(100)의 표면에는 단차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전사 불량 등에 의한 화질 불량이 억제되기 쉽다.
또한, 제 2 종이 기재(10B)의 밀도가 제 1 종이 기재(10A)의 밀도보다도 높을 경우에는, 자성 재료(12)는 제 2 종이 기재(10B)측보다도 제 1 종이 기재(10A)측에 많이 들어가게 된다.
또한, 같은 밀도의 2매의 종이 기재 사이에 끼워 넣어서 첩합된 종래의 기록 용지는 자성 재료가 2매의 종이 기재의 양쪽에 같은 비율로 들어가 있다. 그 때문에, 기록 용지에는, 2매의 종이 기재의 첩합면에 있어서, 자성 재료의 양 옆의 위치(첩합면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자성 재료에 인접하는 위치)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제 2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는, 자성 재료(12)가 제 1 종이 기재(10A)측보다도 밀도가 낮은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많이 들어가 있다. 그리고, 밀도가 낮은 제 2 종이 기재(10B)는 제 1 종이 기재(10A)보다도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제 2 종이 기재(10B)가 변형됨으로써, 자성 재료(12)는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보다 많이 심어 넣어지도록 들어간다. 그 때문에, 기록 용지(100)에는, 첩합면(14)에 있어서의 자성 재료(12)의 양 옆의 위치에 간극이 생기지 않고 배치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성 재료(12)가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많이 들어가 있다. 한편, 제 1 종이 기재(10A)측에는 자성 재료(12)가 적게 들어가게 되어 있어, 자성 재료(12)로부터 기록 용지(100)의 표면까지의 거리는, 제 2 종이 기재(10B)측보다도 제 1 종이 기재(10A)측의 쪽이 확보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기록 용지(100)의 제 1 종이 기재(10A)측의 표면은 제 2 종이 기재(10B)측의 표면에 비해 전기 저항값이 과잉하게 저하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전자 사진 방식으로 화상을 형성했을 경우, 기록 용지(100)의 표면 중, 특히, 제 1 종이 기재(10A)측에서 전기 저항값의 저하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전사 불량의 발생이 보다 억제되기 쉬워질 것으로 추측된다.
제 1 종이 기재(10A)의 표면으로부터 자성 재료(12)까지의 최단 거리 a, 및 제 2 종이 기재(10B)의 표면으로부터 자성 재료(12)까지의 최단 거리 b는, 단차의 발생이 억제되는 점에서 10㎛ 이상 60㎛ 이하의 범위인 것이 좋으며, 20㎛ 이상 5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종이 기재(10A)의 표면으로부터 자성 재료(12)까지의 최단 거리 a와, 제 2 종이 기재(10B)의 표면으로부터 자성 재료(12)까지의 최단 거리 b의 측정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우선, 기록 용지(100)를 공지의 방법(예를 들면, 수지 함침법, 절단법, 동결 분할법 등)에 의해 절단해서 기록 용지(100)의 단면을 노출시킨 측정용 시료를 준비한다. 그리고, 이 측정용 시료를, 예를 들면 키엔스(KEYENCE)샤제의 VE SEM에 의해 표준 장비되어 있는 화상 처리 소프트웨어로 관찰 및 계측을 실시한다. 관찰 및 계측은, 측정용 시료의 단면 중, 자성 재료(12)가 존재하는 10개소에 대하여 관찰 및 측정을 행한다. 최단 거리 a, b, 및 그 비 c는 10개소분의 평균값으로서 구한다.
또한, 측정용 시료는 주사 전자 현미경(SEM)에 한하지 않으며 광학 현미경, 또는 투과 전자 현미경(TEM) 등을 이용하여 측정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를 구성하는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의 각각의 밀도는, 첩합하기 전의 밀도로서 0.4g/㎤ 이상 1.0g/㎤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4g/㎤ 이상 0.9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의 각각의 밀도가 이 범위이면, 기록 용지(100)로서의 종이의 강도가 유지됨과 함께, 기록 용지(100)의 표면에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 사이에 배치된 자성 재료(12)에 의한 단차의 발생이 보다 억제되기 쉬워진다.
또한,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의 밀도의 차는, 단차의 발생이 보다 억제되는 점에서 0.1g/㎤ 이상 0.4g/㎤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15g/㎤ 이상 0.4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g/㎤ 이상 0.4g/㎤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의 각각의 평량으로서는, 첩합하기 전의 평량으로서 25g/㎡ 이상 60g/㎡ 이하가 좋으며, 30g/㎡ 이상 5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 용지(100) 전체의 평량으로서는, 50g/㎡ 이상 100g/㎡ 이하가 좋으며, 52g/㎡ 이상 95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4g/㎡ 이상 90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록 용지(100) 전체의 두께로서는, 60㎛ 이상 130㎛ 이하인 것이 좋으며, 65㎛ 이상 1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3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는, 첩합하기 전의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의 밀도의 차가 0.1g/㎤ 이상 0.4g/㎤ 이하이다.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의 밀도의 차는 0.15g/㎤ 이상 0.4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2g/㎤ 이상 0.4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에 있어서,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의 밀도 차는 0.1g/㎤ 이상 0.4g/㎤ 이하이다. 즉, 제 1 종이 기재(10A) 또는 제 2 종이 기재(10B) 중 어느 한쪽의 밀도는 다른 쪽의 밀도보다도 낮다.
예를 들면, 제 3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에 있어서,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의 밀도의 차가 상기한 범위이며,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1 종이 기재(10A)보다도 밀도가 낮은 제 2 종이 기재(10B)를 첩합하고 있을 경우, 기록 용지(100)는, 자성 재료(12)가 제 1 종이 기재(10A)보다도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들어가 있다. 그 때문에, 기록 용지(100)의 표면에는 자성 재료(12)에 의한 단차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의 구성에 따르면, 기록 용지(100)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한 경우여도 단차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 3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에 전자 사진 방식으로 화상을 형성하면, 기록 용지(100)의 표면에는 단차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전사 불량 등에 의한 화질 불량이 억제되기 쉽다.
또한, 제 2 종이 기재(10B)의 밀도가 제 1 종이 기재(10A)의 밀도보다도 높을 경우에는, 자성 재료(12)는 제 2 종이 기재(10B)측보다도 제 1 종이 기재(10A)측에 많이 들어가게 된다.
또한, 같은 밀도의 2매의 종이 기재 사이에 끼워 넣어서 첩합된 종래의 기록 용지는, 자성 재료가 2매의 종이 기재의 양쪽에 같은 비율로 들어가 있다. 그 때문에, 기록 용지에는, 2매의 종이 기재의 첩합면에 있어서 자성 재료의 양 옆의 위치(첩합면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자성 재료에 인접하는 위치)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제 3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는, 자성 재료(12)가 제 1 종이 기재(10A)측보다도 밀도가 낮은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많이 들어가 있다. 그리고, 밀도가 낮은 제 2 종이 기재(10B)는 제 1 종이 기재(10A)보다도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제 2 종이 기재(10B)가 변형됨으로써, 자성 재료(12)는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보다 많이 심어 넣어지도록 들어간다. 그 때문에, 기록 용지(100)에는 첩합면(14)에 있어서의 자성 재료(12)의 양 옆의 위치에 간극이 생기지 않고 배치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성 재료(12)가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많이 들어가 있다. 한편, 제 1 종이 기재(10A)측에는 자성 재료(12)가 적게 들어가게 되어 있어, 자성 재료(12)로부터 기록 용지(100)의 표면까지의 거리는 제 2 종이 기재(10B)측보다도 제 1 종이 기재(10A)측의 쪽이 확보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기록 용지(100)의 제 1 종이 기재(10A)측의 표면은 제 2 종이 기재(10B)측의 표면에 비해 전기 저항값이 과잉하게 저하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전자 사진 방식으로 화상을 형성했을 경우, 기록 용지(100)의 표면 중, 특히, 제 1 종이 기재(10A)측에서 전기 저항값의 저하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전사 불량의 발생이 보다 억제되기 쉬워질 것으로 추측된다.
제 3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를 구성하는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의 각각의 밀도는, 첩합하기 전의 밀도로서 0.4g/㎤ 이상 1.0g/㎤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0.4g/㎤ 이상 0.9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의 각각의 밀도가 이 범위이면, 기록 용지(100)로서의 종이의 강도가 유지됨과 함께, 기록 용지(100)의 표면에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 사이에 배치된 자성 재료(12)에 의한 단차의 발생이 억제되기 쉬워진다.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의 각각의 평량으로서는, 첩합하기 전의 평량으로서 25g/㎡ 이상 60g/㎡ 이하가 좋으며, 30g/㎡ 이상 5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 용지(100) 전체의 평량으로서는 50g/㎡ 이상 100g/㎡ 이하가 좋으며, 52g/㎡ 이상 95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4g/㎡ 이상 90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록 용지(100) 전체의 두께로서는 60㎛ 이상 130㎛ 이하인 것이 좋으며, 65㎛ 이상 1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 1 실시형태∼제 3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방식으로서는 전자 사진 방식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잉크젯 방식 등의 다른 방식에 의하여 화상을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는 자성 재료(12)에 의한 단차의 발생이 억제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잉크젯 방식으로 화상을 형성했을 경우여도 화질 불량이 억제된다.
<기록 용지의 제조 방법>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4 실시형태로서 기록 용지(1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록 용지(100)의 제조 방법은, 제 1 종이 기재(10A), 또는 제 2 종이 기재(10B) 중 어느 한쪽의 종이 기재 상에, 자성 재료(12)를 배치하는 자성 재료 배치 공정과, 자성 재료(12)를 사이에 끼워 넣도록, 자성 재료(12)가 배치된 한쪽의 종이 기재에, 다른 쪽의 종이 기재를 첩합하는 첩합 공정을 갖는다. 그리고,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의 밀도의 차가 0.1g/㎤ 이상 0.4g/㎤ 이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4 실시형태인 기록 용지(100)의 제조 방법에서 이용하는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의 밀도 차는 0.1g/㎤ 이상 0.4g/㎤ 이하이다. 즉, 제 1 종이 기재(10A) 또는 제 2 종이 기재(10B) 중 어느 한쪽의 밀도는 다른 쪽의 밀도보다도 낮다.
예를 들면,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의 밀도의 차가 상기한 범위이며, 제 1 종이 기재(10A)와 첩합하는 제 2 종이 기재(10B)의 밀도가 제 1 종이 기재(10A)보다도 밀도가 낮을 경우, 첩합 공정에서 첩합된 후의 기록 용지(100)는, 도 2에 나타내는 기록 용지(100)와 같이, 자성 재료(12)가,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의 첩합면에 대해서, 제 1 종이 기재(10A)보다도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들어가서 배치된다.
이것은, 첩합 공정에 있어서,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 사이에 자성 재료(12)가 끼워지도록 첩합됨과 함께, 미리 정해진 두께로 가압 압축되는 것에 의하여, 자성 재료(12)가 밀도가 낮은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밀어 넣어진다. 그 때문에,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많이 들어가는 비율이 높아져, 자성 재료(12)에 의한 단차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제 4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얻어진 기록 용지(100) 전체의 두께가 얇은 경우여도 단차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 4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기록 용지(100)에 전자 사진 방식으로 화상을 형성하면, 기록 용지(100)의 표면에는 단차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전사 불량 등에 의한 화질 불량이 억제되기 쉽다.
또한, 제 2 종이 기재(10B)의 밀도가 제 1 종이 기재(10A)의 밀도보다도 높을 경우에는, 자성 재료(12)는 제 2 종이 기재(10B)측보다도 제 1 종이 기재(10A)측에 많이 들어가게 된다.
또한, 제 4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기록 용지(100)는, 단차의 발생이 억제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잉크젯 방식으로 화상을 형성했을 경우여도 화질 불량이 억제된다.
또한, 같은 밀도의 2매의 종이 기재의 사이에 끼워 넣어서 첩합된 종래의 기록 용지는, 자성 재료가 2매의 종이 기재의 양쪽에 같은 비율로 들어가 있다. 그 때문에, 기록 용지에는, 2매의 종이 기재의 첩합면에 있어서 자성 재료의 양 옆의 위치(첩합면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자성 재료에 인접하는 위치)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제 4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기록 용지(100)는, 자성 재료(12)가 제 1 종이 기재(10A)측보다도 밀도가 낮은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많이 들어가 있다. 그리고, 밀도가 낮은 제 2 종이 기재(10B)는 제 1 종이 기재(10A)보다도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첩합 공정에 있어서 제 2 종이 기재(10B)가 변형됨으로써, 자성 재료(12)는 제 2 종이 기재(10B)측에 보다 많이 심어 넣어지도록 들어간다. 그 때문에, 기록 용지(100)에는 첩합면(14)에 있어서의 자성 재료(12)의 양 옆의 위치에 간극이 생기지 않고 배치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하, 제 4 실시형태인 기록 용지(1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기록 용지(100)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기록 용지(100)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는, 제 1 종이 기재(10A), 또는 제 2 종이 기재(10B) 중 어느 한쪽의 종이 기재 상에, 자성 재료(12)를 배치하는 자성 재료 배치 수단과, 자성 재료(12)를 사이에 끼워 넣도록, 자성 재료(12)가 배치된 한쪽의 종이 기재에, 다른 쪽의 종이 기재를 첩합하는 첩합 수단을 갖는다. 그리고,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의 밀도의 차가 0.1g/㎤ 이상 0.4g/㎤ 이하이다.
기록 용지(100)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미리 준비된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제 1 종이 기재(10A), 롤 형상의 제 1 종이 기재(10A)로부터 풀려나온 제 1 종이 기재(10A)의 표면에 접착제(16)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장치(30)(접착제 도포 수단의 일례), 접착제(16)가 도포된 제 1 종이 기재(10A)의 접착제 도포면에 자성 재료(12)를 배치하는 자성 재료 배치 장치(40)(자성 재료 배치 수단의 일례), 미리 준비된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제 2 종이 기재(10B), 및 자성 재료(12)가 배치된 제 1 종이 기재(10A)와 롤 형상의 제 2 종이 기재(10B)로부터 풀려나온 제 2 종이 기재(10B)를 첩합하는 첩합 장치(50)(첩합 수단의 일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는, 롤 형상의 제 1 종이 기재(10A)로부터 풀려나온 제 1 종이 기재(10A)에 대해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텐션 롤(장력 부여 롤, 이하 같음)(22A 및 22B), 접착제 도포 장치(30)에서 접착제(16)가 도포된 후의 제 1 종이 기재(10A)에 대해서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 롤(22C), 자성 재료(12)가 배치된 제 1 종이 기재(10A)에 대해서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 롤(22D), 및 롤 형상의 제 2 종이 기재(10B)로부터 풀려나온 제 2 종이 기재(10B)에 대해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텐션 롤(22E 및 22F)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기록 용지(100)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의 각 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착제 도포 장치-
도 4에서는, 접착제 도포 장치(30)는 미리 준비된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제 1 종이 기재(10A)의 반송 방향을 향하여 하류측에 설치된다. 접착제 도포 장치(30)는 롤 형상의 제 1 종이 기재(10A)로부터 풀려나온 제 1 종이 기재(10A)의 표면(첩합면(14)으로 되는 면)에 접착제(16)를 도포하는 장치이다.
접착제 도포 장치(30)는, 예를 들면 접착제(16)가 수용된 접착제 수용 탱크(36), 접착제(16)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 도포롤(32), 접착제(16)의 도포량을 조정하기 위한 닥터 롤(34), 및 제 1 종이 기재(10A)를 사이에 끼우도록 접착제 도포롤(32)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종이 기재(10A)를 누르기 위한 누름 롤(3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접착제 도포롤(32)은, 예를 들면 금속이나 금속 합금제의 롤을 들 수 있다. 또한, 접착제 도포롤(32)의 롤의 표면은 홈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평활한 롤이어도 되며, 표면에 홈(셀)이 다수 설치된 롤이어도 된다.
접착제 도포롤(32)은 접착제 수용 탱크(36) 중의 접착제(16)에 접촉(침지를 포함함)해서 구비되어 있다. 접착제 도포롤(32)은, 예를 들면 제 1 종이 기재(10A)의 반송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접착제 수용 탱크(36)에 수용되어 있는 접착제(16)가 끌어올려져 접착제 도포롤(32)의 표면에 접착제(16)가 부착된다. 그리고, 접착제 도포롤(32)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닥터 롤(34)에 의하여, 접착제 도포롤(32)의 표면에 부착된 잉여의 접착제(16)가 제거된다. 그 후, 접착제 도포롤(32)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접착제(16)는 제 1 종이 기재(10A)에 도포된다.
또한, 도 4에서는, 접착제 도포 장치(30)로서, 접착제 수용 탱크(36), 접착제 도포롤(32), 및 닥터 롤(34)을 나타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접착제(16)를 도포하기 위한 공지의 도포 장치를 채용하면 된다.
예를 들면, 접착제 도포롤(32)의 회전 방향은 제 1 종이 기재(10A)의 반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접착제 토출 장치 등의 장치에 의해, 접착제 도포롤(32)에 대하여 접착제(16)를 직접 부착시켜서 제 1 종이 기재(10A)에 도포하는 장치여도 된다.
또한, 닥터 롤(34)은 접착제 도포롤(32)에 부착된 접착제(16)를 규제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접착제 도포롤(32)에 부착된 접착제(16)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이면 이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블레이드 형상, 바 형상의 규제 부재여도 된다.
-자성 재료 배치 장치-
자성 재료 배치 장치(40)는 제 1 종이 기재(10A)의 반송 방향을 향해서 접착제 도포 장치(30)의 하류측에 설치된다. 자성 재료 배치 장치(40)는, 접착제 도포 장치(30)에 의하여 접착제(16)가 도포된 제 1 종이 기재(10A)의 접착제 도포면에 자성 재료(12)를 배치하는 장치이다.
도 4에서는, 자성 재료 배치 장치(40)는, 예를 들면 자성 재료(12)가 수용된 자성 재료 수용 탱크(46), 자성 재료 배치 롤(42), 및 제 1 종이 기재(10A)를 사이에 두고 자성 재료 배치 롤(42)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종이 기재(10A)를 누르기 위한 누름 롤(4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자성 재료 배치 롤(42)은 자성 재료(12)가 수용된 자성 재료 수용 탱크(46) 안에 구비되어 있으며, 자성 재료 배치 롤(42)이 회전함으로써 자성 재료 수용 탱크(46)에 수용되어 있는 자성 재료(12)가 끌어올려진다. 그리고, 자성 재료 배치 롤(42)에 의하여, 자성 재료(12)가 제 1 종이 기재(10A)의 접착제 도포면 상에 배치된다. 또한, 자성 재료 배치 롤(42)은, 자성 재료(12)가 끌어올려져 제 1 종이 기재(10A)에 배치되는 것이면 롤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에서는, 자성 재료 배치 롤(42)에 의하여 자성 재료(12)를 끌어올려서 배치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미절단의 선 형상의 자성 재료(12)를 연속 공급하여 배치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이 경우, 기록 용지(100)를 미리 정해진 크기로 재단할 때에 기록 용지(100)의 절단과 함께 자성 재료(12)를 절단한다.
-첩합 장치-
첩합 장치(50)는, 제 1 종이 기재(10A)의 반송 방향을 향해서, 자성 재료 배치 장치(40)의 하류측이며, 또한 제 2 종이 기재(10B)의 반송 방향을 향하여 하류측에 설치된다. 첩합 장치(50)는, 자성 재료(12)가 배치된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를, 자성 재료(12)를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 사이에 끼워 넣도록 첩합하고, 미리 정해진 두께로 가압 압축하는 장치이다.
도 4에서 나타내는 첩합 장치(50)는, 히터를 구비한 한 쌍의 가압 압축 롤(52A 및 52B)을 구비하고 있다. 가압 압축 롤(52A 및 52B)은, 자성 재료(12)가 배치된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를 사이에 끼우도록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가압 압축 롤(52A 및 52B)의 형태는, 예를 들면 금속 롤에 고무 등의 탄성층이 형성된 롤을 들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압 압축 롤(52A 및 52B)은 각각 금속 롤과 금속 롤에 고무 등의 탄성층이 형성된 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압 압축 롤(52A 및 52B)의 가열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록 용지(100)가 열에 의한 열화가 억제되는 온도 범위(예를 들면, 25℃ 이상 150℃ 이하)이면 된다. 또한, 가압 압축 롤(52A 및 52B)로 가압 압축하는 압력은 미리 정해진 두께의 기록 용지(100)가 얻어지는 압력으로 조정하면 된다.
도 4에 나타나는 첩합 장치(50)는, 히터를 구비한 가압 압축 롤(52A 및 52B)을 갖는 가압 압축 장치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첩합 장치(50)는, 히터를 구비한 가열 장치와, 히터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가압 압축 장치가 각각 독립된 장치여도 된다. 이들 장치에 의하여 가열 장치로 가열된 기록 용지(100)를 가압 장치로 가압 압축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첩합 장치(50)는 히터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가압 압축 장치여도 된다. 이 장치에 의하여, 자성 재료(12)가 배치된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의 첩합과, 기록 용지(100)의 가압 압축을 동시에 실시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첩합 장치(50)는, 히터를 구비하지 않으며 단지 첩합만을 행하는 장치와, 가압 압축을 행하는 장치가 각각 독립된 장치여도 된다. 이들 장치에 의하여, 자성 재료(12)가 배치된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를 첩합한 후, 첩합한 후의 기록 용지(100)에 대하여 가압 압축을 행해도 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에 대하여, 도 4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도 4에 나타나는 제조 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는, 제 1 종이 기재(10A), 또는 제 2 종이 기재(10B) 중 어느 한쪽의 종이 기재 상에 자성 재료(12)를 배치하는 수단, 및 자성 재료(12)를 사이에 끼워 넣도록, 자성 재료(12)가 배치된 한쪽의 종이 기재에 다른 쪽의 종이 기재를 첩합하는 수단을 갖고 있는 장치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에서는, 제 1 종이 기재(10A)의 하면측에 접착제(16)를 도포하고, 하면측으로부터 자성 재료(12)를 배치하는 장치를 나타내고 있지만, 예를 들면 제 1 종이 기재(10A), 또는 제 2 종이 기재(10B) 중 적어도 한쪽의 상면측에 접착제(16)를 도포하고, 접착제(16)가 도포된 상면측으로부터 산포(散布) 등에 의해 자성 재료(12)를 배치한 후,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를 첩합하는 장치여도 된다. 단, 종이 기재에의 접착제(16)의 스며들기 구체를 고려하면, 적어도 제 1 종이 기재(10A)에 접착제(16)를 도포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에서는, 접착제(16)가 도포된 제 1 종이 기재(10A)의 접착제 도포면에 자성 재료(12)를 배치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예를 들면 제 1 종이 기재(10A)의 상면에 접착제(16)를 도포하고, 접착제(16)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제 2 종이 기재(10B)의 상면에 자성 재료(12)를 배치한 후,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를 첩합하는 장치여도 된다.
도 4에서는, 접착제 도포 장치(30)와 자성 재료 배치 장치(40)가 각각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예를 들면 제 1 종이 기재(10A), 또는 제 2 종이 기재(10B) 중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접착제(16)에 자성 재료(12)가 분산된 접착제(16)에 의하여, 접착제(16)와 함께 자성 재료(12)를 도포하는 장치여도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에서는, 롤 형상의 제 1 종이 기재(10A)와 롤 형상의 제 2 종이 기재(10B)를 첩합하는 장치를 나타내고 있지만, 예를 들면 시트 형상의 제 1 종이 기재(10A)와 시트 형상의 제 2 종이 기재(10B)를 첩합하는 장치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반송 방향을 향해서 첩합 장치(50)의 하류측에 도시하지 않는 건조기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의 제조 공정(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성 재료 배치 공정
우선,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제 1 종이 기재(10A) 및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제 2 종이 기재(10B)를 준비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에 있어서,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제 1 종이 기재(10A)는, 제 1 종이 기재(10A)를 공급하는 위치로서,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종이 기재를 반송하는 방향의 가장 상류측에 배치한다. 또한,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제 2 종이 기재(10B)는, 제 2 종이 기재(10B)를 공급하는 위치로서, 자성 재료(12)가 배치된 제 1 종이 기재(10A)와 첩합되도록, 반송 방향을 향해서, 자성 재료 배치 장치(40)의 하류측이며, 첩합 장치(50)보다도 상류측의 위치에 배치한다. 또한, 제 1 종이 기재(10A)와 제 2 종이 기재(10B)는 서로 바꿔도 된다.
다음으로,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제 1 종이 기재(10A)의 일단으로부터 제 1 종이 기재(10A)가 풀려나온다. 풀려나온 제 1 종이 기재(10A)는 텐션 롤(22A 및 22B)에 의해서 장력이 부여되어 접착제 도포 장치(30)를 향해서 반송된다. 접착제 도포 장치(30)로 반송된 제 1 종이 기재(10A)의 표면(첩합면(14)으로 되는 면)에는, 접착제 도포 장치(30)에 의하여 접착제(16)가 도포된다. 접착제(16)가 도포된 후의 제 1 종이 기재(10A)는, 반송 방향을 향해서, 접착제 도포 장치(30)의 하류측에 구비된 텐션 롤(22C)에 의하여 장력이 부여되어 자성 재료 배치 장치(40)를 향해서 반송된다. 그리고, 자성 재료 배치 장치(40)로 반송된 접착제(16)가 도포된 제 1 종이 기재(10A)는, 자성 재료 배치 장치(40)에 의하여 제 1 종이 기재(10A)의 접착제 도포면에 자성 재료(12)가 배치된다.
·첩합 공정
자성 재료(12)가 배치된 후의 제 1 종이 기재(10A)는, 반송 방향을 향해서, 자성 재료 배치 장치(40)의 하류측에 설치된 텐션 롤(22D)에 의해 장력이 부여되어 첩합 장치(50)를 향하여 반송된다. 한편,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제 2 종이 기재(10B)는, 반송 방향을 향해서 자성 재료 배치 장치(40)의 하류측이며, 첩합 장치(50)보다도 상류측에 미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제 2 종이 기재(10B)의 일단으로부터 제 2 종이 기재(10B)가 풀려나온다. 풀려나온 제 2 종이 기재(10B)는 텐션 롤(22E 및 22F)에 의해서 장력이 부여되어 첩합 장치(50)를 향해서 반송된다. 자성 재료(12)가 배치되어 있는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가 함께 첩합 장치(50)로 반송된 후, 첩합 장치(50)에 의하여, 자성 재료(12)를 사이에 끼워 넣도록,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가 첩합된다. 그리고, 첩합과 함께 가압 압축되어 미리 정해진 두께로 조정된 기록 용지(100)가 얻어진다.
또한, 반송 방향을 향해서 첩합 장치(50)의 하류측에 도시하지 않는 건조기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 이 건조기에 의하여 기록 용지(100)를 건조시켜도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나는 제조 장치를 예로 들어서 제조 방법을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제 1 종이 기재(10A) 및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제 2 종이 기재(10B)의 배치, 접착제의 도포, 자성 재료의 배치, 첩합의 각 공정은, 제 4 실시형태인 기록 용지(100)의 제조 방법의 범위 내에 있어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공정을 거쳐 기록 용지(100)가 얻어진다.
또한, 얻어진 기록 용지(100)는,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각종 표면 처리, 각종 후가공 처리, 및 평활화 처리의 적어도 하나의 각종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표면 사이즈액으로의 표면 처리, 안료 도공층(塗工層)을 설치하는 도공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수지 필름을 라미네이트하는 후가공을 행해도 된다.
또한, 제 1 종이 기재(10A) 및 제 2 종이 기재(10B) 중 적어도 한쪽에는 각종 기능을 부여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점착, 자성, 난연, 내열, 내수, 내유(耐油), 방활(防滑), 대전 방지 등의 각종 후가공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각종 기능이 부여되어 각 용도에 대한 적성이 부가되어도 된다.
또한, 얻어진 기록 용지(100)는, 상기한 각종 처리를 행한 후, 또는 행하기 전에 미리 정해진 크기로 재단되어 사용에 제공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제 1 실시형태∼제 4 실시형태의 기록 용지(100)에 있어서 공통되는 각 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부호는 생략한다.
(제 1 종이 기재 및 제 2 종이 기재)
제 1 종이 기재 및 제 2 종이 기재는 펄프 섬유와, 필요에 따라서 필러 등 그 밖의 첨가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펄프 섬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펄프 섬유로서는 공지의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활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 활엽수 미표백 크래프트 펄프,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 침엽수 미표백 크래프트 펄프, 활엽수 표백 아황산 펄프, 활엽수 미표백 아황산 펄프, 침엽수 표백 아황산 펄프, 침엽수 미표백 아황산 펄프 등의 목재 펄프의 펄프 섬유, 케나프 펄프, 버개스 펄프, 대나무 펄프, 면 펄프, 마 펄프, 짚 펄프(볏짚, 밀짚 등), 갈대 펄프, 에스파르토 펄프 등의 비목재 펄프의 펄프 섬유, 폐지 원료를 탈묵(deinking)이나 표백 처리하여 얻어진 폐지 펄프의 펄프 섬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목재나 칩을 기계적으로 펄프화한 그랜드우드 펄프, 목재나 칩에 약액을 스며들게 한 후에 기계적으로 펄프화한 화학 기계 펄프, 및 칩을 부드러워질 때까지 증해(蒸解)한 후에 리파이너로 펄프화한 열 기계 펄프, 목재나 칩에 약액을 스며들게 한 후에 증기로 가열하고, 리파이너로 펄프화한 화학 열 기계 펄프 등의 기계 펄프의 펄프 섬유도 들 수 있다.
펄프 섬유는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그 외, 필요에 따라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고분자 물질을 펄프상(狀)의 형상으로 한 합성 펄프, 레이온 등의 재생 섬유,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등의 합성 섬유를 함유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목재 펄프의 펄프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침엽수 펄프의 펄프 섬유(예를 들면,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 침엽수 미표백 크래프트 펄프, 침엽수 표백 아황산 펄프, 침엽수 미표백 아황산 펄프, 침엽수의 기계 펄프 등)와, 활엽수 펄프(예를 들면, 활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 활엽수 미표백 크래프트 펄프, 활엽수 표백 아황산 펄프, 활엽수 미표백 아황산 펄프, 활엽수의 기계 펄프 등)의 펄프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더 좋다. 이러한 펄프 섬유를 이용함으로써 기록 용지로서의 종이의 강도나 평활성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기록 용지로서의 종이의 강도나 평활성의 점에서, 활엽수 펄프와 침엽수 펄프의 배합비로서는, 예를 들면 침엽수 펄프:활엽수 펄프=95:5 이상 0:100 이하의 범위인 것이 좋다.
또한, 펄프 섬유는, 버진 펄프만의 펄프 섬유로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서 폐지 펄프의 펄프 섬유를 병용해도 된다.
특히, 버진 펄프는, 염소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이산화염소를 사용하는 표백 방법(Elementally Chlorine Free, ECF)이나 염소 화합물을 일절 사용하지 않고 오존/과산화수소 등을 주로 사용하여 표백하는 방법(Total Chloline Free, TCF)으로 표백 처리된 것이 좋다.
또한, 폐지 펄프의 원료로서, 제본, 인쇄 공장, 재단소 등에 있어서 발생하는 재단 끄트러기, 파지, 트리밍한 상백(上白), 특백(特白), 중백(中白), 백손(白損) 등의 미인쇄 폐지; 인쇄나 복사가 실시된 상질지, 상질 코팅지 등의 상질 인쇄 폐지; 수성 잉크, 유성 잉크, 연필 등으로 필기된 폐지, 인쇄된 상질지, 상질 코팅지, 중질지, 중질 코팅지 등의 전단지를 포함하는 신문 폐지, 중질지, 중질 코팅지, 갱지 등의 폐지를 들 수 있다.
폐지 펄프로서는, 폐지 원료를 탈묵 처리나 세정 처리 등을 행하고, 추가로 오존 표백 처리 또는 과산화수소 표백 처리 중 적어도 한쪽으로 처리하여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백색도가 높은 원지(原紙)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표백 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폐지 펄프의 배합률을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원의 재이용이라는 관점에서는 폐지 펄프의 배합률을 7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필러, 그 외 첨가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러로서는, 예를 들면 중질 탄산칼슘, 경질 탄산칼슘, 초크, 카올린, 소성 클레이, 탈크, 황산칼슘, 황산바륨,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황화아연, 탄산아연, 규산알루미늄,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합성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세리사이트, 화이트 카본, 사포나이트, 칼슘몬모릴로나이트, 소듐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등의 백색 무기 안료, 및 아크릴계 플라스틱 피그먼트, 폴리에틸렌, 요소 수지 등의 유기 안료를 들 수 있다. 또한, 폐지를 배합할 경우에는 종이 원료에 함유되는 회분(灰分)을 미리 추정하여 필러의 첨가량을 조정하는 것이 좋다.
그 밖의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통상의 종이에 사용되는 공지의 내첨(內添) 또는 외첨(外添)의 사이즈제, 및 내첨 또는 외첨의 지력(紙力) 증강제 등을 들 수 있다. 제 1 종이 기재 및 제 2 종이 기재에는 내첨 사이즈제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내첨 사이즈제로서는, 예를 들면 중성 초지법(抄紙法)으로 초조(抄造)할 경우, 중성 초지법에 이용되는 소위 중성 로진계 사이즈제, 알케닐 무수 숙신산(ASA)계, 알킬케텐 다이머(AKD)계, 석유 수지계의 내첨 사이즈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제 1 종이 기재 및 제 2 종이 기재에는 필요에 따라서 외첨 사이즈제를 외첨해도 된다. 외첨 사이즈제로서는, 알킬케텐 다이머계,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계,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계 등의 외첨 사이즈제를 들 수 있다.
제 1 종이 기재 및 제 2 종이 기재의 표면을 양이온성으로 조정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친수성의 양이온 수지 등을 표면에 처리해도 된다.
제 1 종이 기재 및 제 2 종이 기재의 내부에 양이온성 수지의 침투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양이온성 수지를 도포하기 전의 각 종이 기재의 사이즈도를 10초 이상 60초 미만으로 하는 것이 좋다.
제 1 종이 기재 및 제 2 종이 기재에는 필요에 따라서 통상의 종이에 사용되는 공지의 지력 증강제를 내첨 또는 외첨해도 된다. 지력 증강제로서는, 전분, 변성 전분, 디알데히드전분, 식물 검(gum),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아미드, 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폴리에틸렌이민, 에폭시화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 메틸올화폴리아미드, 키토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 1 종이 기재 및 제 2 종이 기재에는, 이들 첨가제를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제 외, 예를 들면 염료, pH 조정제 등, 소포제, 슬라임 컨트롤제, 피치 컨트롤제, 수율 향상제, 종이용 증량제 등의 통상의 종이의 초조에 배합되는 각종 조제(助劑)를 첨가해도 된다.
또한, 제 1 종이 기재 및 제 2 종이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표면 사이즈액의 도공에 의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안료 도공층 형성용의 도공액을 도공해서 안료 도공층이 형성된 도공지여도 된다.
표면 사이즈액의 도공 표면 처리나, 안료 도공층 형성용의 도공액의 도공은, 예를 들면 사이즈 프레스 도공, 심사이즈 도공, 게이트 롤 도공, 롤 도공, 바 도공, 에어나이프 도공, 로드블레이드 도공, 블레이드 도공, 커튼 도공 등의 통상 사용되고 있는 도공 방법에 의하여 도공하면 된다.
표면 사이즈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전술한 외첨하기 위한 지력 증강제, 및 외첨 사이즈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치수 안정화제, 무기 도전제, 유기 도전제, 계면활성제, 안료, 염료, 양이온성 수지 등의 첨가제 등을 들 수 있다. 표면 사이즈액은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안료 도공층 형성용의 도공액에는, 안료와, 안료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와, 필요에 따라서 그 외 첨가제를 함유하여 구성되어 있다. 안료로서는 통상의 안료 도공지에 사용되고 있는 안료가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중질 탄산칼슘, 경질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 수산화알루미늄, 새틴 화이트, 탈크, 황산칼슘, 황산바륨,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비정질 실리카, 콜로이달 실리카, 화이트 카본, 카올린, 소성 카올린, 디라미네이티드 클레이, 알루미노규산염, 세리사이트, 벤토나이트, 스멕타이트 등의 광물질 안료나,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 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 입자, 중공 입자 및 그 밖의 유기 안료 등을 단독 또는 복수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안료 도공층 형성용의 도공액에 이용하는 안료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합성 접착제 및 천연 접착제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합성 접착제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계, 스티렌·아크릴계,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부타디엔·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아세트산비닐·부틸아크릴레이트계 등의 각종 공중합 및 폴리비닐알코올,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합성 접착제 중에서 목적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천연 접착제로서, 산화 전분, 에스테르화 전분, 효소 변성 전분이나 그들을 플래시드라이하여 얻어지는 냉수 가용성 전분, 카세인, 대두 단백 등의 일반적으로 알려진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접착제는 안료 100질량%당, 5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것이 좋으며, 10질량% 이상 3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분산제, 증점제, 보수제(保水劑), 소포제, 내수화제(耐水化劑) 등 통상의 도공지에 배합되는 각종 조제가 사용되어도 된다.
안료 도공층이 형성된 도공지는, 통상 사용되고 있는 평활화 장치(예를 들면, 수퍼 캘린더, 머신 캘린더, 소프트 캘린더 등)에 의해 평활화 처리가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종이 기재 및 제 2 종이 기재에는, 필요에 따라서 점착 가공, 자성 가공, 난연 가공, 내열 가공, 내수 가공, 내유 가공, 방활 가공 등의 후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각종 용도 적성이 부가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종이 기재 및 제 2 종이 기재의 제조 방법-
제 1 종이 기재 및 제 2 종이 기재는, 예를 들면 펄프 섬유와 그 외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를 함유하는 펄프 슬러리를 이용하여, 초지기에 있어서, 와이어부에서 탈수, 프레스부에서 압착 및 착수(搾水), 및 드라이어부에서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롤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종이 기재를 얻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캘린더 등의 평활화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제 1 종이 기재 및 제 2 종이 기재의 밀도의 조정은 공지의 방법으로 조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펄프 섬유나 첨가제의 조정의 외, 초지기의 착수부(프레스부)에 있어서의 압력, 평활화 장치(캘린더 등)의 압력 등에 의해 조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제 1 종이 기재와 제 2 종이 기재 중 적어도 한쪽이 안료 도공층이 형성된 도공지일 경우에는, 안료 도공층 형성 후의 평활화 장치의 압력 등에 의해서 조정해도 된다.
제 1 종이 기재 및 제 2 종이 기재를 초조하기 위한 초지기는, 예를 들면 장망(長網) 방식, 원망(圓網) 방식, 트윈 와이어 방식(예를 들면, 온 탑 트윈 와이어, 갭 포머 등)의 초지기를 이용한 공지의 초지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제 1 종이 기재 및 제 2 종이 기재를 얻기 위한 초지 방법은, 산성 초지법, 중성 초지법 중 무엇을 이용해도 된다. 단, 예를 들면 필러로서 탄산칼슘을 주로 이용할 경우에는 중성 초지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종이 기재 및 제 2 종이 기재를 초조하기 위한 초지기는 공지의 다층 초지기를 이용해도 된다. 다층 초지기는, 예를 들면 원망 다통(多筒) 방식, 장망 다통 방식, 장망·원망 콤비 방식, 멀티 헤드 박스 방식, 단망(短網)·장망 방식, 환망(丸網)을 복수 늘어놓은 환망 다통식의 초지기를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수퍼 캘린더, 글로스 캘린더, 소프트 캘린더 등의 온 머신 또는 오프 머신의 평활화 장치를 이용하여 평활화 처리를 실시해서 롤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용지를 얻는다. 그리고, 평활화 처리를 실시할 경우에는, 캘린더의 압력이나 통지(通紙) 등을 조정해서, 미리 정해진 밀도로 조정하여 제 1 종이 기재 및 제 2 종이 기재로서 준비한다. 단, 제 1 종이 기재 또는 제 2 종이 기재 중 어느 한쪽은 밀도가 낮아지도록 조정한다.
또한, 제 1 종이 기재, 또는 제 2 종이 기재 중 적어도 한쪽에, 표면 사이즈액의 도공 표면 처리나, 안료 도공층 형성용의 도공액의 도공을 실시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사이즈 프레스 도공, 심사이즈 도공, 게이트 롤 도공, 롤 도공, 바 도공, 에어나이프 도공, 로드블레이드 도공, 블레이드 도공, 커튼 도공 등의 통상 사용되고 있는 도공 방법에 의하여 도공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자성 재료)
자성 재료는, 대(大) 바르크하우젠(Barkhausen) 효과를 일으키는 특성을 갖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자성 재료는 그 자기적 물성, 조성,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자성 재료의 자기적 물성으로서는 히스테리시스루프가 장방형이며 유지력(Hc)이 비교적 작은 것이 좋다.
자성 재료의 조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자성 원소(예를 들면, Co, Fe, Ni), 천이 금속류 및 유리 형성 원소(예를 들면, Si, B, C, P)를 함유하는 합금(예를 들면, Co계, Fe계, Ni계, 이들의 혼합계 등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Co-B-Si, Co-Fe-B-Si 등)를 들 수 있으며, 그 구성 원소의 조성 비율이나 제조 방법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자기적 특성을 갖는 것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원소로 이루어지는 아모퍼스 합금의 색상은 그 원소의 비율에 그다지 영향받지 않는다.
자성 재료의 형상으로서는, 대 바르크하우젠 효과를 일으키는데 적합한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대 바르크하우젠 효과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단면적에 대해서 길이가 필요해진다. 그 때문에, 선 형상(와이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 형상(와이어 형상)이란, 단면 형상(자성 재료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교차 방향을 따라 절단한 형상)으로서 원 형상, 타원 형상, 직사각형 형상 또는 그 외 형상인 것이, 직선 형상 또는 만곡 형상으로 연장된 형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선 형상(와이어 형상)이란, 단면 형상으로서, 폭 방향의 길이에 대해서 두께(높이) 방향의 길이가 짧은, 소위 띠(帶) 형상(리본 형상)의 형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자성 재료는, 자성 재료가 대 바르크하우젠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외경이 10㎛ 이상인 것이 좋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두께가 60㎛ 이상 130㎛ 이하인 기록 용지에 함유시킬 경우, 자성 재료는, 예를 들면 그 단면 형상이 원 형상일 때, 외경이 10㎛ 이상 60㎛ 이하(바람직하게는 15㎛ 이상 5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35㎛ 이하)인 것이 좋다. 한편, 자성 재료의 길이는 외경에 의존하며, 예를 들면 외경이 10㎛ 이상 60㎛ 이하일 경우, 10㎛ 이상 40㎜ 이하(바람직하게는 10㎜ 이상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25㎜ 이하)인 것이 좋다.
자성 재료는, 예를 들면 자성 재료를 용융하고, 그것을 미리 정해진 단면 형상에 대응한 형상의 토출구를 통과시킨 후, 냉각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3,256,584호 명세서에 기재되는 제조 방법(Taylor-Ulitovsky법)이나 1개의 고속 회전하고 있는 냉각롤 상에 용융 합금을 공급하여 얇은 띠를 얻는, 소위 단(單)롤법이나, 1쌍의 고속 회전하고 있는 냉각롤 사이에 용융 금속을 공급하여 얇은 띠를 얻는 쌍롤법 등이 있다.
자성 재료가 배치되어 있는 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기록 용지(100)의 1매당 1개 이상 50개 이하(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40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 30개 이하)인 것이 좋다.
제 1 종이 기재와 제 2 종이 기재를 첩합하기 위한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수계 접착제, 용제계 접착제, 에멀젼계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체적으로는, 전분, 변성 전분, PVA(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천연 또는 합성 고무,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아세트산비닐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크릴 수지 등의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부」 및 「%」는 모두 질량 기준이다.
[평가]
후술하는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의해 각 기록 용지를 제작하고, 각 예에서 얻어진 기록 용지를 이용하여 다음의 평가를 행했다.
-화상 평가-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있어서 화상 평가를 행했다.
후지제록스샤제 「Apeos Port C4300」을 이용하여, 각 예에서 얻어진 용지에 대해서, 화상(3차색 화상 농도 100% 솔리드부 패치 25㎝×25㎝)을 형성하여 전사 불량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평가 기준-
A(○) : 화상 패치에 농도 변화가 보이지 않음
B(△) : 화상 패치에 약간의 농도 변화가 보임(문제가 되지 않음)
C(×) : 화상 패치에 농도 변화가 보임
-최대 거리 h1 및 최대 거리 h2-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있어서, 제 1 종이 기재와 제 2 종이 기재의 첩합면으로부터, 제 1 종이 기재의 표면측을 향하여 들어가 있는 자성 재료까지의 최대 거리 h1, 이 첩합면으로부터, 제 2 종이 기재의 표면측을 향하여 들어가 있는 자성 재료까지의 최대 거리 h2, 및 그 비 H는 기술(旣述)한 방법으로 측정했다.
-최단 거리 a 및 최단 거리 b-
실시예 1-1∼비교예 1-1에 있어서, 제 1 종이 기재의 표면으로부터 자성 재료까지의 최단 거리 a, 제 2 종이 기재의 표면으로부터 자성 재료까지의 최단 거리 b, 및 그 비 c는 기술한 방법으로 측정했다.
-평량, 밀도-
JIS P 8124(2011), 및 JIS P 8118(2014)에 준하여 측정했다.
<실시예 1-1>
LBKP(활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 프리네스(CSF)=420㎖) : 85질량부, NBKP(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 프리네스(CSF)=440㎖) : 15질량부를 혼합한 펄프 슬러리에, 지력 증강제로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수지(상품명 : 폴리스트론117, 아라카와가가쿠고교샤제) : 0.7질량부, 필러로서 탄산칼슘(상품명 : Billiant-15, 시로이시고교샤제) : 10질량부, 내첨 사이즈제로서(상품명 : 사이즈파인SA-864, 아라카와가가쿠고교샤제) : 15질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의 혼합물을 백수로 희석하여 pH값 6.5, 고형분 농도 0.4%의 지료(紙料)를 조제했다.
이 지료를 오리엔티드 시트 포머(상품명 : ORIENTED SHEET FORMER, 구마가이리키고교샤제)를 이용하여 초지해서, 각형(角形) 시트 머신 프레스(구마가이리키고교샤제), 회전형 건조기(상품명 : ROTARY DRYER DR-200, 구마가이리키고교샤제)로 프레스·건조시키고, 캘린더에 의해 밀도 조정을 행하여, 제 1 종이 기재로서 기재(1A-1)(평량 42g/㎡, 밀도 0.80g/㎤), 및 제 2 종이 기재로서 기재(1B-1)(평량 44g/㎡, 밀도 0.43g/㎤)를 얻었다.
기재(1A-1)의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기재(1B-1)의 표면에 자성 재료(조성 : Fe-Si-B, 길이 40㎜, 폭 5.0㎜, 두께 0.03㎜)를 A4 사이즈의 면적 중에 2개 배합되도록 배치하고, 기재(1A-1)의 이면과 기재(1B-1)의 표면을 겹쳐 가압 압축에 의해 첩합함으로써 기록 용지(평량 86g/㎡)를 얻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지료 슬러리를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초지하고, 캘린더에 의해 밀도 조정을 행하여 제 2 종이 기재로서 기재(1B-2)(평량 44g/㎡, 밀도 0.63g/㎤)를 얻은 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해서 기록 용지(평량 86g/㎡)를 얻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지료 슬러리를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초지하고, 캘린더에 의해 밀도 조정을 행하여 제 2 종이 기재로서 기재(1B-3)(평량 40g/㎡, 밀도 0.55g/㎤)를 얻은 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해서 기록 용지(평량 82g/㎡)를 얻었다.
<실시예 1-4>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지료 슬러리를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초지하고, 캘린더에 의해 밀도 조정을 행하여 제 1 종이 기재로서 기재(1A-2)(평량 32g/㎡, 밀도 0.85g/㎤)를, 제 2 종이 기재로서 기재(1B-4)(평량 33g/㎡, 밀도 0.61g/㎤)를 얻은 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해서 기록 용지(평량 65g/㎡)를 얻었다.
<실시예 1-5>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지료 슬러리를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초지하고, 캘린더에 의해 밀도 조정을 행하여 제 1 종이 기재로서 기재(1A-3)(평량 25g/㎡, 밀도 0.90g/㎤)를, 제 2 종이 기재로서 기재(1B-5)(평량 35g/㎡, 밀도 0.50g/㎤)를 얻은 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해서 기록 용지(평량 60g/㎡)를 얻었다.
<비교예 1-1>
제 2 종이 기재로서, 제 1 종이 기재와 같은 기재인 기재(1A-1)를 준비했다.
제 1 종이 기재로서의 기재(1A-1)의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 2 종이 기재로서의 기재(1A-1)의 표면에 자성 재료(조성 : Fe-Si-B, 길이 40㎜, 폭 50㎜, 두께 0.03㎜)를 A4 사이즈의 면적 중에 2개 배합되도록 배치하고, 제 1 종이 기재로서의 기재(1A-1)의 이면과 제 2 종이 기재로서의 기재(1A-1)의 표면을 겹쳐 가압 압축에 의해 첩합함으로써 기록 용지(평량 84g/㎡)를 얻었다.
[표 1]
Figure 112015097032056-pat00001
상기 결과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비교예에 비해 「화상 평가」가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기록 용지 표면의 단차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1>
LBKP(활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 프리네스(CSF)=420㎖) : 85질량부, NBKP(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 프리네스(CSF)=440㎖) : 15질량부를 혼합한 펄프 슬러리에, 지력 증강제로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수지(상품명 : 폴리스트론117, 아라카와가가쿠고교샤제) : 0.7질량부, 필러로서 탄산칼슘(상품명 : Billiant-15, 시로이시고교샤제) : 10질량부, 내첨 사이즈제로서(상품명 : 사이즈파인SA-864, 아라카와가가쿠고교샤제) : 15질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의 혼합물을 백수로 희석하여 pH값 6.5, 고형분 농도 0.4%의 지료를 조제했다.
이 지료를 오리엔티드 시트 포머(상품명 : ORIENTED SHEET FORMER, 구마가이리키고교샤제)를 이용하여 초지해서, 각형 시트 머신 프레스(구마가이리키고교샤제), 회전형 건조기(상품명 : ROTARY DRYER DR-200, 구마가이리키고교샤제)로 프레스·건조시키고 캘린더에 의해 밀도 조정을 행하여, 제 1 종이 기재로서 기재(2A-1)(평량 42g/㎡, 밀도 0.77g/㎤), 및 제 2 종이 기재로서 기재(2B-1)(평량 44g/㎡, 밀도 0.43g/㎤)를 얻었다.
기재(2A-1)의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기재(2B-1)의 표면에 자성 재료(조성 : Fe-Si-B, 길이 40㎜, 폭 50㎜, 두께 0.03㎜)를 A4 사이즈의 면적 중에 2개 배합되도록 배치하고, 기재(2A-1)의 이면과 기재(2B-1)의 표면을 겹쳐 가압 압축에 의해 첩합함으로써 기록 용지(평량 86g/㎡)를 얻었다.
<실시예 2-2>
실시예 2-1에서 조제한 지료 슬러리를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초지하고, 캘린더에 의해 밀도 조정을 행하여 제 2 종이 기재로서 기재(2B-2)(평량 44g/㎡, 밀도 0.63g/㎤)를 얻은 외에는, 실시예 2-1와 마찬가지로 해서 기록 용지(평량 86g/㎡)를 얻었다.
<실시예 2-3>
실시예 2-1에서 조제한 지료 슬러리를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초지하고, 캘린더에 의해 밀도 조정을 행하여 제 2 종이 기재로서 기재(2B-3)(평량 40g/㎡, 밀도 0.55g/㎤)를 얻은 외에는, 실시예 2-1와 마찬가지로 해서 기록 용지(평량 82g/㎡)를 얻었다.
<실시예 2-4>
실시예 2-1에서 조제한 지료 슬러리를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초지하고, 캘린더에 의해 밀도 조정을 행하여 제 2 종이 기재로서 기재(2B-4)(평량 38g/㎡, 밀도 0.71g/㎤)를 얻은 외에는, 실시예 2-1와 마찬가지로 해서 기록 용지(평량 80g/㎡)를 얻었다.
<실시예 2-5>
실시예 2-1에서 조제한 지료 슬러리를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초지하고, 캘린더에 의해 밀도 조정을 행하여 제 2 종이 기재로서 기재(2B-5)(평량 48g/㎡, 밀도 0.34g/㎤)를 얻은 외에는, 실시예 2-1와 마찬가지로 해서 기록 용지(평량 90g/㎡)를 얻었다.
<비교예 2-1>
실시예 2-1에서 조제한 지료 슬러리를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초지하고, 캘린더에 의해 밀도 조정을 행하여 제 1 종이 기재, 및 제 2 종이 기재로서 기재(2A-2)(평량 27g/㎡, 밀도 0.85g/㎤)를 얻은 외에는, 실시예 2-1와 마찬가지로 해서 기록 용지(평량 54g/㎡)를 얻었다.
[표 2]
Figure 112015097032056-pat00002
상기 결과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비교예에 비해 「화상 평가」가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기록 용지 표면의 단차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0A : 제 1 종이 기재 10B : 제 2 종이 기재
12 : 자성 재료 14 : 첩합면
16 : 접착제 30 : 접착제 도포 장치
40 : 자성 재료 배치 장치 50 : 첩합 장치
100 : 기록 용지

Claims (7)

  1. 제 1 종이 기재(基材)와,
    상기 제 1 종이 기재와 첩합(貼合)된 제 2 종이 기재와,
    상기 제 1 종이 기재와 상기 제 2 종이 기재 사이에 배치된 자성 재료를 갖고,
    상기 자성 재료가, 상기 제 1 종이 기재와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첩합면에 대해서, 상기 제 1 종이 기재 또는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한쪽의 측에 들어가는 비율이 크며,
    상기 자성 재료는, 상기 제 1 종이 기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자성 재료까지의 최단 거리 a,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자성 재료까지의 최단 거리 b로 했을 때, 상기 최단 거리 a 및 상기 최단 거리 b 중, 최단 거리가 작은 쪽을 최단 거리가 큰 쪽으로 나눈 값 c가, 0.5≤c≤0.9인 기록 용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이 기재 및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밀도가 각각 0.4g/㎤ 이상 1.0g/㎤ 이하인 기록 용지.
  4. 제 1 종이 기재와,
    상기 제 1 종이 기재와 첩합된 제 2 종이 기재와,
    상기 제 1 종이 기재와 상기 제 2 종이 기재 사이에 배치된 자성 재료를 갖고,
    상기 제 1 종이 기재와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밀도의 차가 0.1g/㎤ 이상 0.4g/㎤ 이하인 기록 용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이 기재 및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밀도가 각각 0.4g/㎤ 이상 1.0g/㎤ 이하인 기록 용지.
  6. 제 1 종이 기재, 또는 제 2 종이 기재 중 어느 한쪽의 종이 기재 상에, 자성 재료를 배치하는 자성 재료 배치 공정과,
    상기 자성 재료를 사이에 끼워 넣도록, 상기 자성 재료가 배치된 한쪽의 종이 기재에, 다른 쪽의 종이 기재를 첩합하는 첩합 공정을 갖고,
    상기 제 1 종이 기재와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밀도의 차가 0.1g/㎤ 이상 0.4g/㎤ 이하인 기록 용지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이 기재 및 상기 제 2 종이 기재의 밀도가 각각 0.4g/㎤ 이상 1.0g/㎤ 이하인 기록 용지의 제조 방법.
KR1020150140787A 2015-05-22 2015-10-07 기록 용지, 및 기록 용지의 제조 방법 KR101970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4737A JP6596923B2 (ja) 2015-05-22 2015-05-22 記録用紙、及び記録用紙の製造方法
JPJP-P-2015-104737 2015-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317A KR20160137317A (ko) 2016-11-30
KR101970166B1 true KR101970166B1 (ko) 2019-04-19

Family

ID=5735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787A KR101970166B1 (ko) 2015-05-22 2015-10-07 기록 용지, 및 기록 용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96923B2 (ko)
KR (1) KR101970166B1 (ko)
CN (1) CN106168007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8260A1 (en) * 2006-01-27 2007-08-02 Avery Levy Paper having discrete regions of ferromagnetic material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KR100884090B1 (ko) * 2007-06-08 2009-02-19 주식회사 코레이트 보안용 인쇄용지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1938B2 (ja) * 1997-12-25 2002-10-07 凸版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策を施した用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68258B2 (ja) * 1999-04-05 2009-05-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用紙
JP4508674B2 (ja) 2004-02-19 2010-07-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磁性体入り用紙とその読取り方法
KR20110018422A (ko) * 2008-06-12 2011-02-23 크레인 앤드 캄파니 인코퍼레이티드 섬유상 시트재와 보안 요소 간에 접착을 증가시키는 방법
JP5799566B2 (ja) * 2011-04-26 2015-10-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
JP5790140B2 (ja) * 2011-05-13 2015-10-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冊子用セキュリティ用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パスポート
CN102296486B (zh) * 2011-08-22 2014-10-15 保定钞票纸业有限公司 防伪安全带及施加该防伪安全带的防伪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8260A1 (en) * 2006-01-27 2007-08-02 Avery Levy Paper having discrete regions of ferromagnetic material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KR100884090B1 (ko) * 2007-06-08 2009-02-19 주식회사 코레이트 보안용 인쇄용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68007A (zh) 2016-11-30
JP6596923B2 (ja) 2019-10-30
KR20160137317A (ko) 2016-11-30
JP2016215543A (ja) 2016-12-22
CN106168007B (zh)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2133B1 (en) Cellulose-reinforced high mineral content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WO2012061704A1 (en) Packaging material having moisture barrier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WO2015146964A1 (ja) ロゼッタ型軽質炭酸カルシウムを内填した紙
JP4983019B2 (ja) 紙の製造方法、紙の製造装置
JP6436732B2 (ja) 書籍用紙
JP5799566B2 (ja) 用紙
JP2005200773A (ja) ライナー
JP5910048B2 (ja) 用紙、及び用紙の製造方法
US20070286970A1 (en) Recording paper
KR101970166B1 (ko) 기록 용지, 및 기록 용지의 제조 방법
JP2009068123A (ja) オフセット印刷用塗工新聞用紙
JP6236353B2 (ja) 多層抄き紙
JP2019131922A (ja) 片艶クラフト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5521673B2 (ja) 圧着シート用塗工紙
WO2018155649A1 (ja) コールドセット型オフセット印刷用塗工紙
JP2007177361A (ja) 磁性ワイア、及び該磁性ワイアを含む印刷用紙
JP6801610B2 (ja) 熱転写紙用原紙および熱転写紙
JP6870543B2 (ja) 熱転写紙用原紙および熱転写紙
JP4284108B2 (ja) 印刷用嵩高塗工紙
JP2019026985A (ja) 中質系非塗工紙
JP2015058661A (ja) 壁紙用不織布
JP7151297B2 (ja) 成形用貼り合せシート
JP4172377B2 (ja) 電子写真用転写用紙
JP2012219415A (ja) 高白色高不透明度封筒用紙
JP2019167649A (ja) 中質系非塗工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