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828B1 - 밀폐된 변형공간을 이용한 방진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진동리퍼 - Google Patents

밀폐된 변형공간을 이용한 방진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진동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828B1
KR101966828B1 KR1020180046008A KR20180046008A KR101966828B1 KR 101966828 B1 KR101966828 B1 KR 101966828B1 KR 1020180046008 A KR1020180046008 A KR 1020180046008A KR 20180046008 A KR20180046008 A KR 20180046008A KR 101966828 B1 KR101966828 B1 KR 101966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base
deformation space
ripper
dust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열
Original Assignee
(주) 대동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동이엔지 filed Critical (주) 대동이엔지
Priority to KR1020180046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4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2Rippers
    • E02F5/326Rippers oscillating or vib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된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신축 가능한 소재로 구성되어 일측이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적층 결합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밀폐된 변형공간이 형성되는 완충유닛 및 상기 베이스와 이격되어 상기 완충유닛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변형공간을 밀폐하는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유닛은 외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의 이격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변형공간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며 탄성에 의해 길이방향에 따른 측면이 팽창하여 둘레가 확장되고, 압축에 의해 상기 완충유닛의 단면 두께가 증가하며, 무 부하 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변형공간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며 측면이 축소되어 인장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상기 커버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서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진동리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밀폐된 변형공간을 이용한 방진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진동리퍼{Anti-vibration structure having enclosed deformation space and vibration ripp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밀폐된 변형공간을 이용한 방진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진동리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밀폐된 변형공간을 구비하여 진동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완충하는 밀폐된 변형공간을 이용한 방진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진동리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설기계, 굴삭기, 진동리퍼, 다짐기 등에는 다양한 형상으로 진동모델이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건설기계, 굴삭기 유압브레이커, 진동리퍼 등에 진동을 이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손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나, 진동발생원으로부터 붐대 또는 차체에 전해지기 때문에 장비 자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진동발생원으로부터 장비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유닛에는 금속 스프링, 공기스프링, 방진고무, 쇽업쇼바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진동리퍼나 다짐기에 사용되는 진동체는 진동체를 지지함과 아울러 진동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이를 지지하는 붐 또는 진동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일본공개특허공보 평4-119238호에는 고무제의 방진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고무재의 방진장치는 몸체의 윗면 전체를 금속제 수금구가 감싸고 있는 구성을 가지며, 밑면에는 일정한 크기의 돌기가 다수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제 수금구와 접촉되는 고무몸체의 윗면으로 크고 작은 원주체가 돌출되어 있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0331934호에는 자기스프링을 이용한 진동기구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161564호에는 유압브레이커 완충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방진장치나 완충장치는 단순히 고무나 스프링 또는 에어쇼바 등을 이용하여 진동을 완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완충장치는 압축하중의 발생 시 구조에 따라 수축의 한계가 발생하며, 허용 가능한 주파수 자체도 한계가 있다.
특히, 에어쇼바의 경우 기본적으로 실린더 형태로 구성되어 수축 허용 거리 자체가 매우 제한적이며,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빠른 진동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무나 스프링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완충장치의 경우, 지속적으로 압축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피로파괴가 손쉽게 발생하며, 완충효과 자체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 시 내부의 변형공간 압력이 증가하며 적어도 일부의 둘레가 확장됨에 따라 압축 길이가 증가하여 완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밀폐된 변형공간을 이용한 방진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진동리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밀폐된 변형공간을 이용한 방진구조체는 고정된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신축 가능한 소재로 구성되어 일측이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적층 결합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밀폐된 변형공간이 형성되는 완충유닛 및 상기 베이스와 이격되어 상기 완충유닛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변형공간을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유닛은 외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의 이격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변형공간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며 탄성에 의해 길이방향에 따른 측면이 팽창하여 둘레가 확장되고, 압축에 의해 상기 완충유닛의 단면 두께가 증가하며, 무 부하 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변형공간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며 측면이 축소되어 인장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상기 커버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서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유닛은 신축 가능한 고무소재로 구성되며, 내부에 상기 변형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태로 형성된 방진부 및 고정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방진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부는 길이방향에 따른 양측에서 각각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의 간격이 줄어드는 경우 압축되는 결합영역 및 상기 결합영역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의 간격이 줄어드는 경우 둘레가 확장하며 팽창되는 확장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부는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시키며, 상기 탄성부재와 함께 상기 변형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중간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중간판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베이스와 접한 상태에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변형공간 내부와 연통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변형공간 내부에 기체를 투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하는 가스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진동리퍼는 봄과 결합되는 리퍼본체, 상기 리퍼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모듈, 상기 진동발생모듈에 연결되어 함께 진동하여 지반을 파쇄 및 굴삭하는 리퍼블레이드 및 상기 진동발생모듈과 상기 리퍼본체의 내면 사이에 구비되어 진동을 완충시키는 방진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유닛은 외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의 이격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변형공간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며 탄성에 의해 길이방향에 따른 측면이 팽창하여 둘레가 확장되고, 압축에 의해 상기 완충유닛의 단면 두께가 증가하며, 무부하 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변형공간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며 측면이 축소되어 인장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상기 커버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서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진구조체는 고정된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적층 결합되고, 내부에 밀폐된 변형공간이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완충유닛 및 상기 베이스와 이격되어 상기 완충유닛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변형공간을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밀폐된 변형공간을 이용한 방진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진동리퍼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고무소재의 완충유닛 내부에 밀폐된 변형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변형공간 내부의 압력 증가에 의해 둘레의 일부가 팽창하며 전체적인 길이가 수축하여 완충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완충유닛은 압축하중이 제거되는 경우 변형공간의 압력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로 복원되며, 변형공간 내부의 압력이 감소함으로써, 반복사용을 하더라도 고무의 복원력과 함께 추가적인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셋째, 완충유닛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탄성부재로 분할 형성됨으로써, 압축하중의 작용 시 측면의 팽창 집중을 방지하고 고르게 분산하여 팽창됨으로써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리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진동리퍼에서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진동리퍼에서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방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진동리퍼에서 방진구조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방진구조체에서 구성을 나타낸 내부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방진구조체에서 방진부가 하나의 탄성부재로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도 의 방진구조체가 수축과 팽창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진동리퍼는 봄에 장착되어 진동을 통해 굴삭이나 파쇄 및 다짐작업 등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봄이나 그 외의 장비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밀폐된 변형공간을 이용한 방진구조체를 구비한 진동리퍼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리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리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진동리퍼에서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진동리퍼에서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방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진동리퍼에서 방진구조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방진구조체에서 구성을 나타낸 내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리퍼는 굴삭기의 봄에 장착되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크게 리퍼본체(100), 상기 리퍼본체(100) 내부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모듈(200), 상기 진동발생모듈(200)에 연결되어 지반을 굴삭 및 파쇄하는 리퍼블레이드(300) 및 상기 진동발생모듈(200)과 상기 리퍼본체(100) 사이에 설치되는 방진구조체(400)를 포함한다.
상기 리퍼본체(100)는 후술하는 상기 진동발생모듈(200) 및 방진구조체(400)를 내부에 포함하는 케이스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붐과 연결되는 연결브라켓(110)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퍼본체(100)는 내부에 별도의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진동발생모듈(200)이 구비되며, 하부가 개방 형성되어 상기 리퍼블레이드(30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리퍼블레이드(300)는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후술하는 상기 진동발생모듈(200)과 결합되며 함께 진동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리퍼본체(10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발생모듈(200)은 상기 리퍼본체(100) 내부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후술하는 상기 리퍼블레이드(300)가 하부에 고정되어 함께 진동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진동발생모듈(200)은 하우징(210)을 가지며, 내부에 복수 개의 편심회전체(220)가 구비되어 이들의 회전을 통해 상하 진동이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편심회전체(22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상하방향의 진동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편심회전체(220)는 한 쌍으로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이 회전축에 각각 상호 치합되는 기어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에는 상기 회전축 정에서 적어도 하나에 별도의 모터가 연결되어 이를 통해 상기 편심회전체(2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인이 출원하여 등록 받은 특허등록 제 0878296호에 게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진동발생모듈(200)은 상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편심회전체(220)가 도시된 바와 달리 수평상태가 아닌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리퍼블레이드(300)는 상기 리퍼본체(100)상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진동발생모듈(200)에 의해 진동하여 지반을 파쇄 및 굴삭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퍼블레이드(300)는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리퍼본체(100)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며 상기 진동발생모듈(200)과 결합된다.
여기서, 리퍼블레이드(300)는 타측 끝단부가 지반과 접촉하며 파쇄 및 굴삭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진동발생모듈(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받아 함께 진동함으로써 원활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퍼블레이드(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진동발생모듈(200)과 결합되며 함께 진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조체(400)에는 상기 진동발생모듈(200)과 상기 리퍼본체(100)의 내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발생모듈(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완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진구조체(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진동발생모듈(200)과 상기 리퍼본체(100)에 연결되며 수축과 팽창을 통해 상기 진동발생모듈(200)의 진동을 완충한다.
여기서, 상기 방진구조체(400)는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고무소재로 구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밀폐된 변형공간(440)이 내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변형공간(440)은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내부의 크기가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진구조체(400)에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변형공간(440)의을 유지한 채 압축되어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고무소재의 탄성에 의해 길이방향에 따른 측면이 팽창하여 둘레가 확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방진구조체(400)는 전체적인 길이가 수축해 상기 리퍼본체(100)와 상기 진동발생모듈(200) 사이에서 진동을 완충한다.
즉, 상기 방진구조체(400)는 상기 변형공간(440)의 크기가 유지됨에 따라 수축이나 팽창 시 둘레 일부가 확장되는 형태로 인해 일부 영역은 팽창되며, 이와 함께 일부 영역은 수축이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방진구조체(400)는 일반적인 탄성소재나 실린더 형태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수축범위를 가질 수 있어 완충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길이방향에 따른 팽창 길이도 일정 수준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진구조체(4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원리는 후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리퍼는 상술한 리퍼본체(100), 진동발생모듈(200), 리퍼블레이드(300) 및 방진구조체(400)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발생모듈(20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방진구조체(400)에 의해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진동리퍼는 상술한 상기 진동발생모듈(200)의 하우징(210) 또는 상기 리퍼블레이드(300)에는 상기 리퍼본체(100)에 대해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500)을 더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유닛(500)은 상기 리퍼본체(100)상에 상기 진동발생모듈(200) 또는 상기 리퍼블레이드(300)를 간접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복수 개의 링크를 통해 상기 리퍼본체(100)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키며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유닛(5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퍼본체(100)와 진동발생모듈(200)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링크(510)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링크(510)가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지지링크(510)들을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링크(510)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서 상기 리퍼본체(100)가 이탈되지 않으며 지지됨과 동시에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진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리퍼가 구성되며, 상기 방진구조체(400)에 의해 상기 진동발생모듈(200)의 진동이 상기 리퍼본체(100)에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키며, 완충 효과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일정 수준 이상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조체(400)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조체(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퍼본체(100)와 상기 진동발생모듈(200) 사이에 양단이 구비되며 진동을 완충시켜 상기 리퍼본체(100) 및 상기 봄에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킨다.
상기 방진구조체(400)는 크게 베이스(410), 완충유닛(420) 및 커버(43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410)는 상기 완충유닛(42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고정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후술하는 상기 완충유닛(420)과 일체로 성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41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평판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410)는 원형 금속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면에 상기 완충유닛(420)이 구비되고 타측이 상기 리퍼본체(100)의 내면에 고정 결합된다.
한편, 상기 완충유닛(420)은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상기 베이스(410)의 일면에 적층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별도의 변형공간(440)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410)에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유닛(420)은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에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수축과 팽창하며 상기 진동발생모듈(200)과 상기 리퍼본체(100)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완충유닛(420)은 크게 방진부(422), 및 지지부(424)를 포함한다.
상기 방진부(422)는 탄성 소재인 고무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기둥형태로 형성되고, 자체적으로 수축과 팽창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상기 변형공간(4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진부(422)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되는 경우 측면의 일부가 팽창하며, 이와 동시에 전체적인 길이가 감소한다.
이때, 상기 방진부(422) 내부에 형성된 상기 변형공간(440)은 밀폐된 상태로, 외부와 차단되어 그 형상만 변형된다.
여기서, 상기 방진부(4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양측 끝단부간 이격거리는 감소하지만, 상기 변형공간(44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상기 변형공간(440)을 중심으로 측면이 팽창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방진부(422)는 고무 재질의 일부가 팽창하며 전체적인 길이가 감소함과 동시에 상기 진동발생모듈(20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리퍼본체(100)에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진부(422)의 전체적인 길이의 표현은 그 자체의 길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길이방향에 따른 양측 끝단부 사이의 직선거리를 의미한다.
상기 지지부(424)는 상기 방진부(422)의 타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상기 커버(430)가 상기 변형공간(440)의 밀폐를 위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고정된 형상을 가지며, 평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방진부(422)와 일체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424)는 상기 변형공간(440)에 대응하여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변형공간(440)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424)는 금속성 소재로 도넛 형상의 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방진부(422)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24)는 상기 방진부(422)의 성형 시 함께 일체로 성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424)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변형공간(440)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방진부(422)의 성형 시 상기 베이스(410) 및 상기 지지부(424)가 함께 구비되어 상기 방진부(422)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410)와 상기 지지부(424)가 일체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방진부(422)는 별도의 금형을 통해 성형되며, 성형 시 상기 변형공간(44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금형의 형상 역시 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방진부(422)의 성형 시 상기 변형공간(440)을 함께 성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424)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금형 내부에서 함께 성형된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방진부(422)가 상기 베이스(410) 밀 상기 지지부(424)와 일체로 성형되지 않고 프레스나 볼트 체결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별도 체결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방진부(422)의 성형 시 상기 베이스(410)와 상기 지지부(424)가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변형공간(440)을 간단하게 성형할 수 잇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완충유닛(420)은 상기 방진부(422) 및 상기 지지부(424)을 포함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태의 상기 변형공간(44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방진부(4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며, 각각의 상이에는 별도의 중간판(426)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진부(422)는 하나의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길게 형성되며 양단에 각각 상기 베이스(410)와 상기 지지부(424)가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방진부(422)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지는 경우 일부 영역에 팽창이 집중되어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진부(422)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로 분리하여 각각의 상에 상기 중간판(426)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방진부(422)에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단성부재 각각에서 독립적으로 둘레가 확장되며 팽창된다.
즉, 상기 방진부(422)가 상기 중간판(426)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탄성부재로 구획되며, 이에 따라 각각의 상기 탄성부재가 독립적으로 팽창 가능함으로써, 상기 방진부(422)에서 팽창이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판(426)은 금속판 형태로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서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중간판(426)은 상기 방진부(422)의 성형 시 함께 성형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함께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방진부(422)를 복수 개의 탄성부재로 구획함과 동시에 특정 영역에서 과도하게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충유닛(420)은 고무소재의 방진부(422) 및 상기 방진부(422)의 타측에 구비되는 지지부(424)를 포함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의 압력이 증가한다.
그리고,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의 압력이 증가함과 동시에 길이방향에 따른 압축하중이 작용하여 상기 방진부(422)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팽창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완충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커버(430)는 상기 완충유닛(420)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변형공간(440)을 밀폐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430)는 금속판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완충유닛(420)의 타측에서 상기 베이스(410)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완충유닛(420)상에 구비된 상기 지지부(424)와 체결된다.
이때, 상기 커버(430)는 상기 지지부(424)에 형성된 홀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일면을 가지며, 볼트나 용접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상기 완충유닛(420)의 타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430)는 상기 지지부(424)와 체결 시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고 밀폐될 수 있도록 별도의 실링(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430)가 상기 지지부(424)와 결합되어 상기 변형공간(440)을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의 기체는 상기 완충유닛(420)의 변형 시 내부의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조체(400)가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410)와 상기 커버(430)는 각각 서로 다른 설치대상에 설치되어 진동에 의해 상호 이격거리가 변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완충유닛(420)에 의해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4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퍼본체(100)의 내면상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커버(430)는 상기 진동발생모듈(200)상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상기 진동발생모듈(20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완충유닛(420)에서 완충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430)는 상기 리퍼본체(100) 내부에 설치 시 상기 진동발생모듈(200)과 상기 리퍼본체(100)의 내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호 이격거리에 대응해 별도의 설치브라켓(43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라켓(432)은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상기 완충유닛(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리퍼본체(100)와 상기 진동발생모듈(200)간의 이격 거리가 상기 방진구조체(40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배치되더라도, 이를 보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조체(400)는 고무재질의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중간판(426)을 가지는 방진부(422)를 통해 압축하중을 받을 수 있으며, 내부에 형성된 상기 변형공간(440)을 통해 진동발생모듈(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완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진구조체(400)는 내부에 밀폐된 상기 변형공간(440)에 의해 무 부하 시 상기 변형공간(440)이 유지됨으로써 상기 완충유닛(420) 자체가 설정된 길이를 유지하며 길이방향으로 그 길이를 유지하고, 진동에 의해 압축되는 경우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의 공기에 의해 상기 방진부(422)가 둘레를 따라 팽창하며 확장되어 길이가 감소하며 압축하중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종래의 에어쇼바나 실린더 등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에어스프링의 경우 가스층을 내부에 추가하는 경우 인장한계를 넘어서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에 고압으로 기체를 주입하더라도 고무의 특성에 의해 형상 변화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통상적인 방진고무와 비교하더라도 압축하중의 작용 시 단순 압축되는 것이 아니라, 변형공간(440)이 유지됨에 따라 압축과 팽창의 변형이 동시에 발생하여 전체적인 길이의 신축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진동에 대한 완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변형공간(440)의 내부에는 밀폐된 상태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방진구조체(400)에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되더라도, 방진부(422) 자체가 고르게 팽창하며 압축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조체(400)는 상기 방진부(422)가 고무소재로 구성됨으로써, 일반적인 에어쇼바나 실린더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진동수를 가지며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인 에어쇼바의 경우, 둘레에 매쉬형태의 소재로 구성되어 9Hz 내외의 진동수를 가지며 진동을 완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고무소재로 구성되어 최고 200Hz의 진동수까지 적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기존의 에어쇼바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용범위가 넓으며, 단순 방진고무 등에 비해 뛰어난 완충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조체(400)는 고무소재의 상기 방진부(422) 내부에 밀폐된 상기 변형공간(440)을 구비함으로써, 기존에 사용되던 에어쇼바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주파수의 진동범위를 가짐으로써 적용 범위가 확대될 뿐만 아니라, 압축하중에 대응해 용이하게 수축 됨으로써 방진효과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진구조체(400)는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에 기체가 충진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압축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내부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측면이 팽창하며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진구조체(400)에서 상기 커버(430) 또는 상기 베이스(4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에 기체를 주입시킬 수 있는 가스홀(402)이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의 기체를 주입 또는 배출시켜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홀(402)은 상기 베이스(410)상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커버(430)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의 초기 압력을 사용자가 용도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하여 완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조체(400)의 구체적인 동작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3의 방진구조체(400)에서 방진부(422)가 하나의 탄성부재로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3의 방진구조체(400)가 수축과 팽창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진구조체(400)의 변형된 형태로서, 상기 방진부(422)가 하나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양단이 각각 상기 베이스(410) 및 상기 지지부(424)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430)가 상기 지지부(424)에 결합되어 상기 변형공간(440)을 밀폐한다.
여기서, 상기 방진부(4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무소재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태의 상기 변형공간(44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방진부(422)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영역(A1) 및 확장영역(A2)으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영역(A1)은 상기 방진부(422)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측 끝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410)와 상기 지지부(424)에 각각 접합되는 부분으로, 후술하는 상기 확장영역(A2)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팽창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영역(A2)은 상기 결합영역(A1)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410)와 상기 커버(430)의 간격이 줄어드는 경우 상기 변형공간(440)에 의해 단순 압축되는 것이 아니라, 둘레를 따라 측면으로 확장되며 팽창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영역(A2)은 상기 방진부(422)가 압축되는 경우,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방진부(422)는 내부에 상기 변형공간(440)이 유지되기 때문에 외부로 팽창한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에는 기체가 충진되어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내부 압력이 증가하며 균일하게 외부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영역(A1)도 일부가 팽창하며 외부로 확장되기는 하지만, 상기 베이스(410) 및 상기 지지부(424)와 인접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게 확장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방진부(422)에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변형공간(44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며, 내부압력이 고무소재의 탄성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둘레의 적어도 일부가 확장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조체(400)에서 길이방향에 따른 압축하중이 작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베이스(410)와 상기 지지부(424) 사이의 이격거리가 L1인 상태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변형공간(440)의 내부가 밀폐되어 기체가 충진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압축하중의 작용에 의해 내부 압력이 증가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방진부(422)에는 고무의 탄성보다 상대적으로 큰 압력이 작용하여 측면이 팽창하며 둘레가 확장된다.
이때, 상기 방진부(422)의 두께나 고무의 특성 또는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의 압력에 때라 팽창 정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는 용도에 따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진부(422)는 측면이 팽창함과 동시에 자체적인 복원력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작용하는 압축하중에 대응해 압력이 작용한다.
즉, 상기 방진부(422)에 압축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변형공간(44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압축하중을 완충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방진부(422)의 자체 탄성에 의해 추가적으로 압축하중을 완충 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진부(422) 내부에 밀폐된 변형공간(440)이 형성됨으로써, 단순히 방진부(422)의 탄성이나 에어챔버 형태의 상기 변형공간(440)의 구조만으로 완충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라, 밀폐된 상기 변형공간(440)의 압력을 이용함과 동시에 상기 방진부(422) 자체의 고무 탄성도 함께 이용하여 인장하중에 대해 완충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방진부(422)가 고무로 구성된 경우 고주파수(0~200Hz)영역의 진동과 작은 압축하중에 대해 능동적으로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으며, 큰 압축하중과 저주파수(0~10Hz) 영역의 진동은 상기 변형공간(440)의 압력 변화를 통해 완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진부(422)에 압축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탄성체인 고무가 서로 압축과 팽창을 동시에 하며 하중을 미분화시키고, 고무의 특성을 통해 고주파의 진동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방진부(422)에 작용하는 압축하중이 매우 큰 경우 상기 변형공간(44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함과 동시에 상기 방진부(422)의 두께가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진부(422)가 압축하는 경우 상기 변형공간(440)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어 둘레가 확장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방진부(422)에 작용하는 압력이 증가하여 변형공간(440)내부 압력 증가분보다 큰 경우 방진부(422) 자체가 폭 방향으로 팽창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방진부(422)에 작용하는 압축하중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방진부(422)의 둘레가 확장하는 형태로 변형되기는 하지만, 방진부(422)자체가 압축되어 단면 두께가 증가하며, 일부는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로 침투한다.
이때, 상기 변형공간(440)의 부피가 감소하며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지만, 이는 상기 방진부(422) 자체의 압축에 의한 두께 팽창분에 대응하는 수준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방진부(422)에 압축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일정 수준에서는 상기 변형공간(440)의 압력 증가에 의해 둘레가 확장되지만 방진부(422)자체의 두께는 유지되나, 일정 수준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방진부(422)의 단면 두께가 증가하며 상기 변형공간(440)내부로 일부 확장된다.
한편, 도 7의 (b)를 살펴보면, 상기 방진구조체(400)에 작용하던 압축하중이 해제된 상태로서, 상기 방진부(422)의 탄성에 의해 자체적으로 인장되어 상기 베이스(410)와 상기 지지부(424) 사이의 이격거리가 L2로 복원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방진부(422) 내부의 상기 변형공간(440) 역시 내부 압력이 감소하며, 상기 방진부(422)가 초기 설정 길이로 인장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함께 제공한다.
즉, 상기 방진부(422)는 압축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며 측면이 팽창할 수 있도록 하고, 작용하는 부하가 제거되는 경우, 내부 압력이 감소하며 고무소재의 복원력과 함께 추가적으로 초기 설정길이를 가지도록 인장시킨다.
여기서, 상기 방진부(422)는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의 압력이 초기 상태인 P0으로 감소하는 과정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팽창하게 되며, 이와 함께 자체적인 탄성으로 인해 일정 수준 이상 팽창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방진부(422)에 압축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자체적인 탄성으로 인해 초기 설정 길이까지 팽창되며, 만약 상기 방진부(422)의 복원력이 저하되더라도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의 압력이 P0으로 복귀함에 따라 팽창하여 상기 방진부(422)의 복원을 보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진구조체(400)는 상기 베이스(410), 상기 커버(430) 및 상기 완충유닛(420)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유닛(420) 내부의 밀폐된 상기 변형공간(440)을 통해 인장과 수축을 모두 보조하여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진구조체(400)는 진동리퍼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의 압력을 변화하거나 상기 방진부(422)의 고무소재를 변형시킴으로써 다양한 설비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리퍼본체
200: 진동발생모듈
210: 하우징
220: 편심회전체
300: 리퍼블레이드
400: 방진구조체
410: 베이스
420: 방진유닛
422: 방진부
424: 지지부
426: 중간판
430: 커버
440: 변형공간
500: 지지유닛

Claims (8)

  1. 고정된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410);
    신축 가능한 소재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이 관통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베이스(410)와 일체로 결합되어 내부에 타측으로 개방된 변형공간(440)이 형성되는 방진부(422) 및 고정된 판 형상으로 상기 방진부(422)의 타측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변형공간(440)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중앙에 홀이 형성되는 지지부(424)를 포함하는 완충유닛(420); 및
    상기 베이스(410)와 이격되어 상기 완충유닛(420)의 타측에서 상기 지지부(424)와 체결되어 상기 변형공간(440)을 밀폐하는 커버(430); 를 포함하며,
    상기 방진부(422)는 성형 시 별도의 금형 내부에서 상기 변형공간(440)을 함께 성형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베이스(410)가 배치되고 타측에 상기 지지부(424)가 배치된 상태로 배치되어 경화됨으로써 상기 베이스(410) 및 상기 지지부(424)와 일체로 결합 성형되고,
    상기 완충유닛(420)은 외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410)와 상기 커버(430)의 이격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변형공간(44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며 탄성에 의해 길이방향에 따른 측면이 팽창하여 둘레가 확장되고, 압축에 의해 상기 완충유닛(420)의 단면 두께가 증가하며, 무 부하 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며 측면이 축소되어 인장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상기 커버(430)와 상기 베이스(410) 사이에서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422)는,
    길이방향에 따른 양측에서 각각 상기 베이스(410) 및 상기 지지부(424)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410)와 상기 커버(430)의 간격이 줄어드는 경우 압축되는 결합영역; 및
    상기 결합영역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410)와 상기 커버(430)의 간격이 줄어드는 경우 둘레가 확장하며 팽창되는 확장영역;
    을 포함하는 방진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422)는,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시키며, 상기 탄성부재와 함께 상기 변형공간(440)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중간판(426)이 구비되는 방진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422)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중간판(426)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410) 또는 상기 커버(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와 연통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에 기체를 투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하는 가스홀(4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구조체.
  7. 봄과 결합되는 리퍼본체(100);
    상기 리퍼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모듈(200);
    상기 진동발생모듈(200)에 연결되어 함께 진동하여 지반을 파쇄 및 굴삭하는 리퍼블레이드(300); 및
    상기 진동발생모듈(200)과 상기 리퍼본체(100)의 내면 사이에 구비되어 진동을 완충시키는 방진구조체; 를 포함하며,
    상기 방진구조체는,
    고정된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410);
    신축 가능한 소재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이 관통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베이스(410)와 일체로 결합되어 내부에 타측으로 개방된 변형공간(440)이 형성되는 방진부(422) 및 고정된 판 형상으로 상기 방진부(422)의 타측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변형공간(440)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중앙에 홀이 형성되는 지지부(424)를 포함하는 완충유닛(420); 및
    상기 베이스(410)와 이격되어 상기 완충유닛(420)의 타측에서 상기 지지부(424)와 체결되어 상기 변형공간(440)을 밀폐하는 커버(430); 를 포함하며,
    상기 방진부(422)는 성형 시 별도의 금형 내부에서 상기 변형공간(440)을 함께 성형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베이스(410)가 배치되고 타측에 상기 지지부(424)가 배치된 상태로 배치되어 경화됨으로써 상기 베이스(410) 및 상기 지지부(424)와 일체로 결합 성형되고,
    상기 완충유닛(420)은 외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410)와 상기 커버(430)의 이격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변형공간(44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며 탄성에 의해 길이방향에 따른 측면이 팽창하여 둘레가 확장되고, 압축에 의해 상기 완충유닛(420)의 단면 두께가 증가하며, 무부하 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변형공간(440)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며 측면이 축소되어 인장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상기 커버(430)와 상기 베이스(410) 사이에서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리퍼.
  8. 삭제
KR1020180046008A 2018-04-20 2018-04-20 밀폐된 변형공간을 이용한 방진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진동리퍼 KR101966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08A KR101966828B1 (ko) 2018-04-20 2018-04-20 밀폐된 변형공간을 이용한 방진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진동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08A KR101966828B1 (ko) 2018-04-20 2018-04-20 밀폐된 변형공간을 이용한 방진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진동리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828B1 true KR101966828B1 (ko) 2019-04-08

Family

ID=6616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008A KR101966828B1 (ko) 2018-04-20 2018-04-20 밀폐된 변형공간을 이용한 방진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진동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8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283A (ko) * 2019-10-30 2021-05-10 스털링테크놀로지(주) 중장비 공구용 방진장치의 결합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3747A (en) * 1981-03-31 1982-10-08 Tokai Rubber Ind Ltd Anti-oscillation supporter for automobile engine
KR20090129170A (ko) * 2008-06-12 2009-12-16 평화산업주식회사 에어 댐핑 엔진 마운트
CN103133587A (zh) * 2012-04-10 2013-06-05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空气弹簧
KR20170103720A (ko) * 2017-08-22 2017-09-13 (주) 대동이엔지 방진지지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동리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3747A (en) * 1981-03-31 1982-10-08 Tokai Rubber Ind Ltd Anti-oscillation supporter for automobile engine
KR20090129170A (ko) * 2008-06-12 2009-12-16 평화산업주식회사 에어 댐핑 엔진 마운트
CN103133587A (zh) * 2012-04-10 2013-06-05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空气弹簧
KR20170103720A (ko) * 2017-08-22 2017-09-13 (주) 대동이엔지 방진지지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동리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283A (ko) * 2019-10-30 2021-05-10 스털링테크놀로지(주) 중장비 공구용 방진장치의 결합구조
KR102383283B1 (ko) * 2019-10-30 2022-04-07 스털링테크놀로지(주) 중장비 공구용 방진장치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1001A (en) Hydraulic antivibration supports
JPS6054537B2 (ja) 空気減衰付ゴム支承装置
KR20190088856A (ko) 밀폐된 변형공간을 이용한 방진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진동리퍼
KR101966828B1 (ko) 밀폐된 변형공간을 이용한 방진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진동리퍼
KR20170103720A (ko) 방진지지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동리퍼
KR20150037023A (ko) 콤팩트
KR101424700B1 (ko) 부강성 시스템을 이용한 마운트
KR20160067064A (ko) 방진지지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동리퍼
KR101236510B1 (ko) 진동 리퍼의 충격흡수장치
KR20150037016A (ko) 콤팩트
JP5865686B2 (ja) 制振装置及び屋外作業機
JP2007127193A (ja) 液体封入式マウント
KR100885538B1 (ko) 방진 장치
KR20070047629A (ko) 소음방지 브라켓을 구비한 유압브레이커
KR101743395B1 (ko) 충격완화장치
KR101142307B1 (ko) 방진 댐퍼
KR20190103076A (ko) 방진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동리퍼
KR101362930B1 (ko) 음강성 방진 시스템
KR200406494Y1 (ko) 소음방지 브라켓을 구비한 유압브레이커
JP2004251438A (ja) 液封入式防振装置
KR100950089B1 (ko) 굴삭기용 브레이커 및 브레이커용 댐핑장치
GB2402457A (en) A hydraulically damped mounting device
JP3535269B2 (ja) 液体封入式防振装置
KR100776574B1 (ko) 브레이커의 방진장치
KR20200008900A (ko) 유압 브레이커의 소음 감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