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617B1 - 차량용 룸미러 - Google Patents

차량용 룸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617B1
KR101963617B1 KR1020170057449A KR20170057449A KR101963617B1 KR 101963617 B1 KR101963617 B1 KR 101963617B1 KR 1020170057449 A KR1020170057449 A KR 1020170057449A KR 20170057449 A KR20170057449 A KR 20170057449A KR 101963617 B1 KR101963617 B1 KR 101963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tate
angle
posture
inpu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3352A (ko
Inventor
안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7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617B1/ko
Priority to US15/855,610 priority patent/US10850668B2/en
Priority to PCT/KR2018/000451 priority patent/WO2018207991A1/ko
Publication of KR20180123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60K35/223Flexible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60K35/53Movable instruments, e.g.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8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instruments being ergonomically adjustable to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3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 B60R1/26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to the rea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6Camera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3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7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semi-transparent 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or in 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15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information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4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details of the power supply or the coupling to vehicle components
    • B60R2300/404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details of the power supply or the coupling to vehicle components triggering from stand-by mode to operation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6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rearward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러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미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는 바디부, 및 입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부재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가 제1 자세 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온 상태이고, 상기 입력 부재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가 제2 자세 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온 상태이고, 상기 입력 부재가 제3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가 상기 제2 자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오프 상태인 차량용 룸미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룸미러{Room mirr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룸미러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미러 모드와 디스플레이 모드로 사용될 수 있는 차량용 룸미러에 관한 것이다.
룸미러는, 차량 내부에 배치되어, 운전자가 차량의 후방을 볼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운전자는 룸미러에 부착된 거울을 통하여, 차량의 후방 윈드쉴드 너머로 차량의 후방 상황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거울을 이용하는 룸미러는, 차량의 후방 윈드 쉴드가 가려져 있는 경우 활용할 수 없고, 거울을 통하여 볼 수 있는 영역이 한정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후방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룸미러가 개발된다.
후방 카메라 영상을 출력하는 룸미러는, 사용자로 하여금 거울을 사용한 룸미러보다 넓은 범위를 볼 수 있게 하고, 후방 윈드쉴드가 가려진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후방 카메라 영상을 출력하는 룸미러는, 후방 카메라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후방 카메라 렌즈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상황에 따라 거울의 사용 및 후방 카메라 영상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룸미러가 개발중이다.
또한, 이러한 룸미러를 활용하는 경우, 거울을 사용하는 경우의 최적의 각도와 후방 카메라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의 최적의 각도가 다를 수 있어, 상황에 따라 룸미러의 기울어진 각도가 상이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룸미러의 각도 조정 및 거울-영상의 전환을 별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룸미러가 개발중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미러 모드 및 디스플레이 모드가 존재하는 차량용 룸미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러 모드일 때 룸미러의 각도와 디스플레이 모드일 때 룸미러의 각도가 상이한 차량용 룸미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룸미러의 각도 조정과 거울-영상 간 선택이 개별적으로 가능한 차량용 룸미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는, 미러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미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는 바디부, 및 입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부재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가 제1 자세 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온 상태이고, 상기 입력 부재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가 제2 자세 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온 상태이고, 상기 입력 부재가 제3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가 상기 제2 자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오프 상태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거울을 사용하는 룸미러나 후방 카메라 영상을 출력하는 룸미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미러 모드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각각 본체가 최적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셋째, 룸미러의 각도 조절과 거울-영상 간의 전환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동시에 제어될 수도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의 일부 구성 및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 부재가 레버인 경우, 레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디텐트 구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의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레버의 각 상태에 대응하는 바디부의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2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레버의 스위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버튼이 형성된 레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차량용 룸미러가 2개의 레버를 구비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써,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는, 미러부(50), 디스플레이부(60), 미러부(50) 및 디스플레이부(60)가 연결되는 바디부(10), 입력 부재 및 고정 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러부(50)는, 빛을 반사시키는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부(50)는, 거울일 수 있다. 미러부(50)는, 하프 미러일 수 있다. 하프 미러는, 소정의 투과율 및 반사율을 갖는 거울이다. 예를 들어, 하프 미러의 투과율 및 반사율은 각각 50%일 수 있다.
미러부(50)가 하프 미러인 경우, 미러부(50)는, 디스플레이부(6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60)가 온 상태이면, 디스플레이부(60)에서 출력되는 광의 일부가 미러부(50)를 투과할 수 있다. 사용자는, 미러부(50)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6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가 오프 상태이면, 사용자는, 미러부(50)에 반사되는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러부(50)와 디스플레이부(60)는, 차량용 룸미러가 미러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60)가 오프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거울을 보게 하고, 차량용 룸미러가 디스플레이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60)가 온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러부(50)는, 미러이고, 디스플레이부(60)는 투명 디스플레이이며, 디스플레이부(60)가 미러부(50)의 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60)가 오프 상태가 되어 투명해지면, 디스플레이부(60) 후방에 배치된 미러부(50)가 미러 역할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가 온 상태가 되어 특정 영상이 출력되면, 사용자는 차량용 룸미러를 통하여 상기 특정 영상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는 터치식 입력 장치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러부(50)도, 터치식 입력 장치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바디부(10)는, 룸미러의 외관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하는 부품이다. 바디부(10) 내부에는, 차량용 룸미러의 각종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10)는, 차량용 룸미러의 하우징일 수 있다.
입력 부재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각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재는, 회동되는 레버(31), 기계식 버튼, 터치 센서, 다이얼 등 여러 형태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부재는, 차량용 룸미러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부재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의 일 영역, 시트(seat)의 일 영역, 각 필러(pillar)의 일 영역, 도어(door)의 일 영역, 센타 콘솔(center console)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head lining)의 일 영역, 썬바이저(sun visor)의 일 영역, 윈드 쉴드(windshield)의 일 영역 또는 윈도우(window)의 일 영역 등에 배치될 수도 있다.
입력 부재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입력 장치이면 족하고, 이외의 한정을 두지 않는다.
고정 부재(4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를 차량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를 설명한다. 이하 도면에 나타난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는, 이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의 일부 구성 및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의 일부 구성의 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는 미러부(50) 및 디스플레이부(60)를 포함하지 않는 상태의 룸미러가 나타난다. 도1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의 일부 구성의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는, 바디부(10), 연결 부재(20), 입력 부재, 및 고정 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는, 바디부(10) 및 레버(31)와 연결되는 연결 부재(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20)는, 리테이너라고 명명될 수도 있다. 연결 부재(20)는, 고정 부재(40)와 연결된다.
고정 부재(40)는, 차량용 룸미러를 차량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40)에 연결된 연결 부재(20)는, 고정 부재(40)를 중심으로 소정 정도로 회동될 수 있다.
연결 부재(20)는, 바디부(10)와 연결된다. 연결 부재(20)는, 바디부(10) 내부에 형성된 연결 부재 지지부(12)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부재(20)는, 바디부(10)의 연결 부재 지지부(12)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입력 부재는, 바디부(10)와 연결되어 회동되는 레버(31)일 수 있다. 레버(31)는, 바디부(10) 내부에 형성된 레버 지지부(11)에 연결될 수 있다. 레버(31)는, 바디부(10)의 레버 지지부(11)와 연결된 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레버(31)의 일부는, 바디부(10)의 내부에 존재하고, 레버(31)의 나머지 일부는, 바디부(10)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디부(10)의 외부에 존재하는 레버(31)의 일 영역은,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손잡이부(31c)이다. 사용자는, 손잡이부(31c)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레버(31)를 회동시킬 수 있다.
레버(31)는 연결 부재(20)와 연결된다. 연결 부재(20)와 레버(31)의 연결 구조는, 디텐트(detent) 구조이다. 디텐트 구조는, 제1 디텐트부(21)와 제2 디텐트부(31a)이 결합된 구조이다. 제1 디텐트부(21)와 제2 디텐트부(31a)는 결합되어 디텐트 구조를 형성한다.
연결 부재(20)는, 제1 디텐트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텐트부(21)는, 연결 부재(2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디텐트부(21)는, 레버(31)와 연결되는 연결 부재(2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레버(31)는, 제2 디텐트부(3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텐트부(31a)는, 레버(31)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디텐트부(31a)는, 연결 부재(20)와 연결되는 레버(31)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연결 부재(20)는, 제1 디텐트부(21), 제1 스토퍼(22), 제1 바디 결합부(23), 고정 부재 결합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텐트부(21)는, 연결 부재(20)의 일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디텐트부(21)는, 연결 부재(20)와 레버(31)가 연결되는 영역일 수 있다. 연결 부재(20)에 레버(31)가 연결되는 위치에 따라 제1 디텐트부(21)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31)가 연결 부재(20)의 하단에 연결되는 경우, 제1 디텐트부(21)는 연결 부재(2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레버(31)가 연결 부재(20)의 상단에 연결되는 경우, 제1 디텐트부(21)는, 연결 부재(2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b)를 참조하면, 제1 디텐트부(21)는, 제1 홈(21a), 제2 홈(21b), 및 제1 홈(21a)과 제2 홈(21b) 사이에 형성된 돌출부(2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21a) 및 제2 홈(21b)은, 제1 디텐트부(21)에 형성된 홈 형상일 수 있다. 제1 홈(21a) 및 제2 홈(21b)은, 레버(31)에 형성된 제2 디텐트부(31a)가 결합되는 영역일 수 있다.
돌출부(21c)는, 제1 홈(21a) 및 제2 홈(21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1c)는, 제1 홈(21a) 및 제2 홈(21b)이 나란히 배치됨에 따라, 제1 홈(21a) 및 제2 홈(21b)의 사이에 형성되는 돌출된 영역일 수 있다. 돌출부(21c)는, 레버(31)가 제2 회동 구간에서 회동되는 경우, 지나가는 구간일 수 있다.
제1 스토퍼(22)는, 연결 부재(20)의 일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스토퍼(22)는, 바디부(10)의 내부 후면 또는 내부 전면에 접촉되어, 바디부(10)의 자세가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변화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토퍼(22)는, 연결 부재(20)의 양 옆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스토퍼(22)는, 연결 부재(20)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스토퍼(22)는, 바디부(10) 및 레버(31)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면 족한 것이고, 제1 스토퍼(22)의 형성 위치에 대해서는 별도의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바디 결합부(23)는, 연결 부재(20)가 바디부(10)와 결합되는 영역이다. 제1 바디 결합부(23)는, 바디부(10)의 연결 부재 지지부(12)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바디 결합부(23)는, 연결 부재 지지부(12)와 결합된 상태에 회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20)는, 제1 바디 결합부(23)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고정 부재 결합부(24)는, 고정 부재(40)가 결합되는 영역이다. 고정 부재 결합부(24)가 고정 부재(40)와 결합되는 경우, 연결 부재(20)는, 고정 부재 결합부(24)를 중심으로 소정 정도로 회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3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레버(31)는, 제2 디텐트부(31a), 제2 스토퍼(31b), 손잡이부(31c), 스위치부(31d), 및 제2 바디 결합부(31e)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텐트부(31a)는, 레버(31)의 일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디텐트부(31a)는, 연결 부재(20)의 제1 디텐트부(21)와 결합되는 영역이다. 레버(31)가 연결 부재(20)에 연결되는 위치에 따라 제2 디텐트부(31a)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31)의 상단이 연결 부재(20)의 하단에 연결되는 경우, 제2 디텐트부(31a)는 레버(31)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레버(31)의 하단이 연결 부재(20)의 상단에 연결되는 경우, 제2 디텐트부(31a)는, 레버(31)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디텐트부(31a)는, 레버(31)가 제1 상태나 제2 상태인 경우, 제1 디텐트부(21)에 형성된 제1 홈(21a)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디텐트부(31a)는, 레버(31)가 제3 상태인 경우, 제1 디텐트부(21)에 형성된 제2 홈(21b)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디텐트부(31a)는, 레버(31)가 제2 회동 구간에서 회동되는 경우, 제1 디텐트부(21)에 형성된 돌출부(21c)를 지나갈 수 있다. 연결 부재(20)와 레버(31)가 각각 바디부(10)의 특정 영역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 디텐트부(31a)가 돌출부(21c)를 지나가는 경우 소정의 힘이 필요하고, 사용자는 레버(31)를 회동시킬 때 조작감을 느낄 수 있다.
제2 스토퍼(31b)는, 레버(31)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제2 스토퍼(31b)가 바디 결합부의 일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나, 제2 스토퍼(31b)의 위치에는 별도의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2 스토퍼(31b)는, 바디부(10)의 일 영역에 접촉됨으로써, 레버(31)의 특정 방향으로의 회동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토퍼(31b)는, 바디부(10)의 레버 지지부(11)의 일 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스토퍼(31b)가 레버 지지부(11)의 일 영역에 접촉되는 경우, 레버(31)는 특정 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토퍼(31b)는, 레버(31)가 제1 상태인 경우, 바디부(10)의 레버 지지부(11) 상단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버(31)는, 제1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만 회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제2 스토퍼(31b)는, 레버(31)가 제3 상태인 경우, 바디부(10)의 레버 지지부(11) 하단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버(31)는, 제3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만 회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손잡이부(31c)는, 레버(31)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31c)는, 사용자가 레버(31)를 조작하는 경우, 사용자와 접촉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손잡이부(31c)는, 바디부(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손잡이부(31c)는, 레버(31)의 회동 축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31c)를 조작하여, 레버(31)의 회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스위치부(31d)는, 레버(31)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부(31d)는, 디스플레이부(60)의 동작 제어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31)가 제3 상태가 되는 경우, 스위치부(31d)는, 디스플레이부(60)가 온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31)가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가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60)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바디 결합부(31e)는, 레버(31)가 바디부(10)와 결합되는 영역이다. 제2 바디 결합부(31e)는, 바디부(10)의 레버 지지부(11)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 결합부(31e)가 레버 지지부(11)와 결합되는 경우, 레버(31)는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버(31)는, 제2 바디 결합부(31e)를 중심축으로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는, 입력 부재가 제1 상태인 경우, 바디부(10)가 제1 자세이고, 디스플레이부(60)가 온 상태일 수 있다. 레버(31)가 제1 상태인 경우, 차량용 룸미러는, 디스플레이 모드일 수 있다. 차량용 룸미러가 디스플레이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60)는, 차량에 구비된 후방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는, 차량용 룸미러를 통하여, 후방 카메라 영상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는, 입력 부재가 제2 상태인 경우, 바디부(10)가 제2 자세이고, 디스플레이부(60)가 온 상태일 수 있다. 레버(31)가 제2 상태인 경우, 차량용 룸미러는, 틸팅 디스플레이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는, 입력 부재가 제3 상태인 경우, 바디부(10)가 제2 자세이고, 디스플레이부(60)가 오프 상태일 수 있다. 레버(31)가 제1 상태인 경우, 차량용 룸미러는, 미러 모드일 수 있다.
바디부(10)가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변환되는 경우, 미러부(50)의 전방 방향이 소정 각도만큼 하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부(50)가 하프 미러이고, 디스플레이부(60)가 미러부(50) 후면에 배치되는 경우, 바디부(10)가 제2 자세이면, 차량용 룸미러는, 거울을 활용하는 미러 모드일 수 있다. 차량용 룸미러가 미러 모드인 경우, 미러부(50)의 전방 방향은, 운전자가 거울에 반사된 후방의 상을 볼 수 있는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거울을 통하여 차량의 후방을 볼 수 있다. 바디부(10)의 자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 부재가 레버(31)인 경우, 레버(31)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디텐트 구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입력 부재가 레버(31)인 경우, 제1 상태는, 레버(31)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태는, 레버(31)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일 수 있다. 제3 상태는, 레버(31)가 제3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일 수 있다.
레버(31)의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각도는, 레버(31)의 회동 축(132)을 지나가는 직선인 제1 선(133)과 레버(31)의 회동 축(132)과 손잡이부(31c) 끝단을 지나가는 직선인 제2 선(134)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선(133)은, 지평면에 수직인 연직선일 수 있다.
레버(31)가 제1 상태인 경우, 제1 선(133) 및 제2 선(134)이 이루는 각도는, 제1 각도(135a)일 수 있다. 레버(31)가 제1 상태인 경우, 레버(31)의 제2 디텐트부(31a)는, 제1 디텐트부(21)의 제1 홈(21a)에 배치될 수 있다.
레버(31)가 제2 상태인 경우, 제1 선(133) 및 제2 선(134)이 이루는 각도는, 제2 각도(135b)일 수 있다. 레버(31)가 제2 상태인 경우, 레버(31)의 제2 디텐트부(31a)는, 제1 디텐트부(21)의 제1 홈(21a)에 배치될 수 있다. 레버(31)가 제2 상태인 경우,
레버(31)가 제3 상태인 경우, 제1 선(133) 및 제2 선(134)이 이루는 각도는, 제3 각도(135c)일 수 있다. 레버(31)가 제3 상태인 경우, 레버(31)의 제2 디텐트부(31a)는, 제1 디텐트부(21)의 제2 홈(21b)에 배치될 수 있다.
레버(31)는, 제1 회동 구간 및 제2 회동 구간에서 회동될 수 있다.
제1 회동 구간은, 레버(31)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거나,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회동되는 구간이다.
제1 회동 구간은, 제1 스토퍼(22) 및 돌출부(21c)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토퍼(22)는, 연결 부재(20)에 구비된다. 제1 스토퍼(22)는, 레버(31)가 제1 상태인 경우, 바디부(10)의 내부 후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스토퍼(22)는, 레버(31)가 제2 상태인 경우, 바디부(10)의 내부 전면과 접촉될 수 있다.
레버(31)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1 스토퍼(22)가 바디부(10)의 내부 후면에 접촉된다. 제1 스토퍼(22)가 바디부(10)의 내부 후면에 접촉되는 경우, 레버(31)는,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회동 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되지 않는다.
레버(31)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1 스토퍼(22)가 바디부(10)의 내부 전면에 접촉된다. 제1 스토퍼(22)가 바디부(10)의 내부 전면에 접촉되는 경우, 바디부(10)는, 제2 자세에서 더 이상 기울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레버(31)가 제3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바디부(10)의 자세는 제2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레버(31)가 제2 상태인 경우, 돌출부(21c)에 의하여, 제2 디텐트부(31a)가 제1 홈(21a)에 위치하게 되고, 제1 홈(21a)에서 자동으로 제2 홈(21b)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즉, 돌출부(21c)는, 레버(31)가 제2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돌출부(21c)가 없는 경우, 제1 홈(21a) 및 제2 홈(21b)의 구분이 없어질 수 있으므로, 레버(31)의 제2 상태와 제3 상태의 경계가 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21c)는, 레버(31)가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레버(31)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회동 구간인 제1 회동 구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제2 회동 구간은, 레버(31)가,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전환되거나, 제3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회동되는 구간이다.
레버(31)가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2 스토퍼(31b)가 바디부(10)의 레버 지지부(11) 하단에 접촉된다. 제2 스토퍼(31b)가 바디부(10)의 레버 지지부(11) 하단에 접촉되는 경우, 레버(31)는,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전환되는 회동 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되지 않는다.
레버(31)가 제3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2 디텐트부(31a)가 제2 홈(21b)에서 돌출부(21c)를 지나 제1 홈(21a)에 결합된다. 제2 디텐트부(31a)의 형태와 제1 홈(21a)의 형태는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제2 디텐트부(31a)가 제1 홈(21a)에 결합되는 경우, 레버(31)는, 외력이 없는 한, 제2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회동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1 상태의 레버(31)를 앞으로 미는 경우, 레버(31)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상태의 레버(31)를 당기는 경우, 레버(31)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버(31)는, 제1 회동 구간에서 회동된다. 레버(31)가 제1 회동 구간에서 회동되더라도, 제2 디텐트부(31a)의 위치는, 제1 홈(21a)에서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2 상태의 레버(31)를 앞으로 미는 경우, 레버(31)가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3 상태의 레버(31)를 당기는 경우, 레버(31)가 제3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버(31)는, 제2 회동 구간에서 회동된다. 레버(31)가 제2 회동 구간에서 회동되는 경우, 제2 디텐트부(31a)의 위치는, 제1 홈(21a)과 제2 홈(21b) 사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제2 디텐트부(31a)는, 레버(31)가 제1 상태나 제2 상태인 경우, 제1 홈(21a)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디텐트부(31a)는, 레버(31)가 제3 상태인 경우 제2 홈(21b)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디텐트부(31a)는, 레버(31)가 제1 회동 구간에서 회동되는 경우, 제1 홈(21a)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디텐트부(31a)는, 레버(31)가 제2 회동 구간에서 회동되는 경우, 돌출부(21c)를 지나갈 수 있다. 제2 디텐트부(31a)가 돌출부(21c)를 지나가는 경우, 레버(31)가 돌출부(21c)로 인한 압력이 전달될 수 있다. 레버(31)에 돌출부(21c)로 인한 압력이 전달됨에 따라, 사용자는, 레버(31)를,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제3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시킬 때, 조작감을 느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0)의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레버(31)의 각 상태에 대응하는 바디부(10)의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입력 부재가 제1 상태인 경우, 바디부(10)는 제1 자세이다. 입력 부재가 제2 상태인 경우, 바디부(10)는 제2 자세이다.
입력 부재가 레버(31)인 경우, 레버(31)의 기울기가 제1 각도이면, 바디부(10)가 제1 자세일 수 있다. 레버(31)의 기울기가 제2 각도이면, 바디부(10)가 제2 자세일 수 있다.
바디부(10)가 제1 자세인 경우, 미러부(50)의 전방 방향(MD)과 수평선(H)이 이루는 각도가 제4 각도일 수 있다. 바디부(10)가 제2 자세인 경우, 미러부(50)의 전방 방향(MD)과 수평선(H)이 이루는 각도가 제5 각도(a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룸미러가 디스플레이 모드인 경우, 바디부(10)는 제1 자세이다. 차량용 룸미러는, 레버(31)가 제1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드일 수 있다.
바디부(10)가 제1 자세인 경우, 바디부(10)가 제2 자세일 때보다. 미러부(50)의 전방 방향(MD)이 소정 각도만큼 상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10)가 제1 자세일 때 미러부(50)의 전방 방향(MD)은 수평선(H)과 평행이고, 바디부(10)가 제1 자세일 때 미러부(50)의 전방 방향(MD)이 수평선(H)과 이루는 각도는, 제5 각도(a1)로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룸미러가 틸팅 디스플레이 모드나 미러 모드인 경우, 바디부(10)는 제2 자세이다. 차량용 룸미러는, 레버(31)가 제2 상태인 경우 틸팅 디스플레이 모드이고, 레버(31)가 제3 상태인 경우 미러 모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버(31)가 제1 회동 구간에서 회동되는 경우, 바디부(10)의 자세는, 제1 자세 및 제2 자세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버(31)가 제2 회동 구간에서 회동되더라도, 바디부(10)의 자세는, 제2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바디부(10)가 제2 자세인 경우, 바디부(10)가 제1 자세일 때보다. 미러부(50)의 전방 방향(MD)이 소정 각도만큼 하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10)가 제2 자세일 때 미러부(50)의 전방 방향(MD)과 수평선(H)이 이루는 각도는, 바디부(10)가 제1 자세일 때 미러부(50)의 전방 방향(MD)과 수평선(H)이 이루는 각도보다 클 수 있다.
미러부(50)가 하프 미러인 경우, 미러부(50)는 소정의 반사율을 가지므로, 디스플레이부(60)에 특정 영상이 출력되더라도, 사용자의 눈에는, 디스플레이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과 미러부(50)에 의하여 반사되는 상이 동시에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는,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미러부(50)에 반사되는 상이 디스플레이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미러부(50)에 차량의 천장이 비춰지도록 한다. 바디부(10)가 제1 자세인 경우, 운전자는 미러부(50)를 통하여 차량의 천장을 볼 수 있다. 차량의 천장에는 조명 외에 별다른 장치나 형상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미러부(50)에 반사되는 상이 디스플레이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바디부(10)가 제1 자세인 경우, 미러부(50)의 전방 방향(MD)과 수평선(H)이 이루는 각도인 제4 각도는, 운전자가 미러부(50)를 통하여 차량의 천장을 보도록 만드는 각도일 수 있다. 제4 각도는, 실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는, 미러 모드에서, 운전자가 미러부(50)를 통하여 차량의 후방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바디부(10)가 제2 자세인 경우, 운전자는 미러부(50)를 통하여 차량의 후방 윈드 쉴드를 볼 수 있다. 바디부(10)가 제2 자세인 경우, 미러부(50)의 전방 방향(MD)과 수평선(H)이 이루는 각도인 제5 각도(a1)는, 운전자가 미러부(50)를 통하여 차량의 후방 윈드 쉴드를 보도록 만드는 각도일 수 있다. 제5 각도(a1)는, 실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연결 부재(20)의 회동 축이 바디부(10)의 연결 부재 지지부(12)에 존재하고, 레버(31)의 회동 축이 바디부(10)의 레버 지지부(11)에 존재하고, 레버(31)의 제2 디텐트부(31a)가 연결 부재(20)의 제1 디텐트부(2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고정 부재(40)와 연결된 연결 부재(20)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레버(31)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면, 입력 부재의 회동 축과 제2 디텐트부(31a)의 위치는 변하지 않고, 레버(31)의 회동 축의 위치만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레버(31)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바디부(10)의 자세가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전환되고, 미러부(50)의 전방 방향(MD)이 소정 정도로 하향된다.
또한, 레버(31)가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연결 부재(20)의 제1 스토퍼(22)가 바디부(10)의 내부 전면에 접촉되므로, 바디부(10)가 더 이상 기울어지지 않고, 레버(31)의 회동 축의 위치는 변하지 않고, 제2 디텐트부(31a)가 제1 홈(21a)에서 제2 홈(21b)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2 디텐트부(31a)는, 제1 디텐트부(21)의 돌출부(21c)를 지나가고, 돌출부(21c)에 의한 압력이 레버(31)를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전달되므로, 사용자는 조작감을 느낄 수 있다.
도 8은 제1 스토퍼(2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연결 부재(20)에 형성된 제1 스토퍼(22)는, 레버(31)가 제1 상태인 경우, 바디부(10)의 내부 후면(13a)과 접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스토퍼(22)는, 1개 또는 2개일 수 있다. 도 8에서는 제1 스토퍼(22)가 2개인 실시예가 나타난다. 이 경우, 제1 스토퍼(22)는, 제3 스토퍼(22a) 및 제4 스토퍼(22b)로 구분될 수 있다.
상세도 G를 참조하면, 제3 스토퍼(22a)는, 레버(31)가 제1 상태인 경우, 바디부(10)의 내부 후면(13a)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부(10)의 자세는, 도면 상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는 더 이상 변경될 수 없다. 이 경우, 룸미러 정면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미러부(50)의 전방 방향은 더 이상 상향으로 이동될 수 없다.
상세도 D를 참조하면, 레버(31)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3 스토퍼(22a)는 바디부(10)의 내부 후면(13a)과 이격되고, 제4 스토퍼(22b)는 바디부(10)의 내부 전면(13b)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부(10)의 자세는, 도면 상에서 시계 방향으로는 더 이상 변경될 수 없다. 이 경우, 룸미러 정면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미러부(50)의 전방 방향은 더 이상 하향으로 이동될 수 없다.
레버(31)가 제2 상태 또는 제3 상태인 경우, 제4 스토퍼(22b)는, 바디부(10)의 내부 전면(13b)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레버(31)를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조작하더라도, 바디부(10)의 자세가 유지될 수 있다.
도 9는 제2 스토퍼(31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레버(31)에 형성된 제2 스토퍼(31b)는, 레버(31)가 제1 상태인 경우, 바디부(10)의 레버 지지부(11) 상단(11a)에 접촉될 수 있다.
상세도 H를 참조하면, 제2 스토퍼(31b)는, 레버(31)가 제1 상태인 경우, 바디부(10)의 레버 지지부(11) 상단(11a)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버(31)는, 도면 상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될 수 없다. 이 경우, 룸미러 정면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레버(31)는, 더 이상 당겨지지 않을 수 있다.
제2 스토퍼(31b)가 바디부(10)의 레버 지지부(11) 상단(11a)에 접촉되는 경우, 제1 스토퍼(22)는 바디부(10)의 내부 후면에 접촉된다. 레버(31)가 제1 상태인 경우, 제2 스토퍼(31b)는 바디부(10)의 레버 지지부(11) 상단(11a)에 접촉되고, 제1 스토퍼(22)는 바디부(10)의 내부 후면에 접촉됨으로써, 레버(31)와 바디부(10)가 일측 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세도 D를 참조하면, 레버(31)가 제3 상태인 경우, 제2 스토퍼(31b)는 바디부(10)의 레버 지지부(11) 하단(11b)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버(31)는, 도면 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될 수 없다. 이 경우, 룸미러 정면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레버(31)는, 더 이상 밀어지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레버(31)의 스위치부(31d)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레버(31)에 형성된 스위치부(31d)는, 레버(31)가 회동 됨에 따라 회동될 수 있다. 스위치부(31d)는, 디스플레이부(60)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스위치부(31d)는, 디스플레이부(60)에 전원 입력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60)는, 전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전원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60)가 오프 상태일 때 전원 입력부에 전원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60)는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가 온 상태일 때 전원 입력부에 전원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60)는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전원 입력부는, 소정의 물체와 접촉되거나, 일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거나, 일정 깊이로 눌리는 경우, 전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에 대한 버튼일 수 있다.
전원 입력부는, 전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60)에 전달되는 전기 신호를 차단하거나, 디스플레이부(60)에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전원 입력부는, 디스플레이부(60)가 오프 상태일 때 전원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60)에 전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60)는,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전원 입력부는, 디스플레이부(60)가 온 상태일 때 전원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60)에 전달되는 전원 입력 전기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60)는,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스위치부(31d)는, 디스플레이부(60)의 전원 입력부에 전원 입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31)가 제1 또는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스위치부(31d)는, 레버(31)의 회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레버(31)가 제3 상태로 전환되면, 스위치부(31d)는 디스플레이부(60)의 전원 입력부에 전원 입력을 가한다.
예를 들어, 전원 입력부가 소정 정도의 깊이로 눌리는 버튼인 경우, 스위치부(31d)는 회동하면서 전원 입력부를 누를 수 있다. 레버(31)가 제3 상태가 되면, 스위치부(31d)는, 전원 입력부 버튼을 소정 정도로 누르는 상태가 되어, 전원 입력이 가해진다. 예를 들어, 전원 입력부가 스위치부(31d)의 접촉에 의하여 전원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버튼인 경우, 스위치부(31d)는 레버(31)가 제3 상태가 될 때 전원 입력부 터치 버튼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전원 입력부의 종류에 따라, 스위치부(31d)가 전원 입력을 가하는 방식이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31)는, 제3 상태가 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버(31)는, 자동으로 제3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버(31)는, 외력에 의하여 제3 상태가 되어도, 스프링에 의하여 제2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60)의 온-오프 상태는, 레버(31)가 제3 상태가 될 때, 변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의 온-오프 상태는, 레버(31)가 제3 상태에서 자동으로 제2 상태가 될 때, 변환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60)의 온-오프 상태는, 디스플레이부(60)의 온 상태 및 오프 상태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60)가 오프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레버(31)를 밀어서 레버(31)가 제3 상태가 되면, 디스플레이부(60)는 온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레버(31)를 놓으면, 레버(31)는 자동으로 제2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레버(31)는 제2 상태이고, 디스플레이부(60)는, 온 상태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가 온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레버(31)를 밀어서 레버(31)가 제3 상태가 되면, 디스플레이부(60)는 오프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레버(31)를 놓으면, 레버(31)는 자동으로 제2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레버(31)는 제2 상태이고, 디스플레이부(60)는,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디스플레이부(60)는, 레버(31)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온 상태가 될 수 있다. 레버(31)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바디부(10)는, 제2 자세에서 제1 자세로 전환된다. 바디부(10)가 제1 자세가 되는 경우, 차량용 룸미러는, 디스플레이 모드이므로, 디스플레이부(60)가 온 상태가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레버(31)가 제2 상태이고, 디스플레이부(60)가 오프 상태인 경우, 레버(31)가 제1 상태가 되면, 디스플레이부(60)는 온 상태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레버(31)가 제2 상태이고, 디스플레이부(60)가 온 상태인 경우, 레버(31)가 제1 상태가 되면, 디스플레이부(60)는, 온 상태로 유지된다.
이를 위하여, 레버(31)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스위치부(31d)는, 디스플레이부(60)에 전원 입력을 가할 수 있다. 레버(31)가 제1 상태로 전환될 때, 스위치가 가하는 전원 입력은, 디스플레이부(60)를 온 상태로 만드는 전원 입력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부재는, 바디부(10)와 연결되어 회동되는 레버(31), 및 레버(31)에 형성된 버튼일 수 있다. 버튼은, 레버(31)의 손잡이부(31c)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은, 손잡이부(31c)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은, 터치 버튼 또는 기계식 버튼일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부재의 제1 상태는, 레버(31)가 제1 각도로 기울어지고, 버튼에 제1 입력이 수신된 상태이다. 입력 부재의 제2 상태는, 레버(31)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지고, 버튼에 제1 입력이 수신된 상태이다. 입력 부재의 제3 상태는, 레버(31)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지고, 버튼에 제2 입력이 수신된 상태이다.
디스플레이부(60)는, 버튼에 제1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온 상태가 된다. 디스플레이부(60)는, 버튼에 제2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오프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제1 입력은, 디스플레이부(60)가 오프 상태일 때 버튼에 가해지는 입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60)가 오프 상태일 때 버튼에 입력이 가해지면 디스플레이부(60)가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입력은, 디스플레이부(60)가 온 상태일 때 버튼에 가해지는 입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60)가 온 상태일 때 버튼에 입력이 가해지면 디스플레이부(60)가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바디부(10)는, 레버(31)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제1 자세이고, 레버(31)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제2 자세이다. 이 경우, 레버(31)의 회동 구간은,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레버(31)를 밀면서 버튼에 입력을 가하는 경우, 바디부(10)가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전환되고, 디스플레이부(60)가 온-오프 상태가 변환 된다. 디스플레이부(60)가 온-오프 상태가 변환 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가 버튼 입력 전 온 상태였으면 오프 상태로 변환되고, 버튼 입력 전 오프 상태였으면 온 상태로 변환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31)에 형성된 버튼은, 레버(31) 후면에 형성된 후면 버튼, 및 레버(31) 전면에 형성된 전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입력은, 후면 버튼에 수신되는 입력이고, 제2 입력은, 전면 버튼에 수신되는 입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면 버튼에 입력이 가해지면, 디스플레이부(60)는 온 상태가 될 수 있다. 전면 버튼에 입력이 가해지면, 디스플레이부(60)는, 오프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1은, 버튼이 형성된 레버(3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버튼은, 레버(31)의 손잡이부(31c)에 형성될 수 있다. 전면 버튼(33a)은, 손잡이부(31c)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후면 버튼(33b)은, 손잡이부(31c)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전면 버튼(33a)에 가해지는 입력은, 제2 입력이다. 제2 입력은, 디스플레이부(60)를 오프 상태로 만드는 입력이다. 사용자가 레버(31)를 미는 경우, 손잡이부(31c)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버튼(33a)에 입력이 가해질 수 있다. 레버(31)는,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밀어지면 제2 각도로 기울어지고, 바디부(10)는 제2 자세가 된다. 바디부(10)가 제2 자세가 되는 경우, 미러부(50)의 전방 방향이 미러 모드에 적합한 상태가 되므로, 디스플레이부(60)를 오프 상태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는, 디스플레이부(60)를 오프시키는 전면 버튼(33a)을 레버(31) 손잡이부(31c) 전면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룸미러를 미러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레버(31)를 미는 경우, 자연스럽게 전면 버튼(33a)에 입력이 가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이 간소화될 수 있다.
후면 버튼(33b)에 가해지는 입력은, 제1 입력이다. 제1 입력은, 디스플레이부(60)를 온 상태로 만드는 입력이다. 사용자가 레버(31)를 당기는 경우, 손잡이부(31c)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 버튼(33b)에 입력이 가해질 수 있다. 레버(31)는, 제2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당겨지면 제1 각도로 기울어지고, 바디부(10)는 제1 자세가 된다. 바디부(10)가 제1 자세가 되는 경우, 미러부(50)의 전방 방향이 디스플레이 모드에 적합한 상태가 되므로, 디스플레이부(60)를 온 상태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는, 디스플레이부(60)를 온시키는 후면 버튼(33b)을 레버(31) 손잡이부(31c) 후면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룸미러를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레버(31)를 당기는 경우, 자연스럽게 후면 버튼(33b)에 입력이 가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이 간소화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차량용 룸미러가 2개의 레버(31)를 구비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부재는, 바디부(10)와 연결되어 회동되는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일 수 있다.
입력 부재의 제1 상태는,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일 수 있다. 입력 부재의 제2 상태는, 제1 레버(32a)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지고, 제2 레버(32b)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일 수 있다. 입력 부재의 제3 상태는,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일 수 있다. 레버(31)의 각도는, 미러부(50)의 전면과 레버(31)의 전면이 이루는 각도이다.
디스플레이부(60)는, 제2 레버(32b)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온 상태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는, 제2 레버(32b)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오프 상태가 될 수 있다.
바디부(10)는, 제1 레버(32a)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제1 자세일 수 있다. 바디부(10)는, 제1 레버(32a)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제2 자세일 수 있다.
제1 레버(32a) 또는 제2 레버(32b)는, 다른 레버(31)를 회동시키는 레버 돌출부(23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레버(32b)는, 레버 돌출부(23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는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는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는, 입력 부재의 제1 상태이다. 제2 레버(32b)가 레버 돌출부(232)를 구비하는 경우,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제2 레버(32b)만 제2 각도로 회동되어도, 레버 돌출부(232)에 의하여 제1 레버(32a)도 회동된다. 이에 따라,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는, 제2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c)의 상태).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제1 레버(32a)가 제1 각도에서 제2 각도로 회동되는 경우, 바디부(10)가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전환될 수 있다.
이후, 제2 레버(32b)가 제1 각도에서 제2 각도로 회동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60)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룸미러는, 미러 모드가 된다.
도 12의 (c)에서,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는 제2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이다.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제1 레버(32a)만 제1 각도로 회동되면, 레버 돌출부(232)에 의하여 제2 레버(32b)도 제1 각도로 회동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레버(32a)는 레버 돌출부(23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3의 (a)는,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는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는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는, 입력 부재의 제1 상태이다. 입력 부재가 제1 상태인 경우, 제1 레버(32a)가 제1 각도에서 제2 각도로 회동되면, 제2 레버(32b)는, 제2 각도로 회동될 수 있다. 즉, 제1 레버(32a)가 레버 돌출부(232)를 구비하는 경우,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제1 레버(32a)만 제2 각도로 회동되어도, 레버 돌출부(232)에 의하여 제2 레버(32b)도 회동된다. 이에 따라,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는, 제2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c)의 상태).
도 13의 (b)를 참조하면, 제2 레버(32b)가 제1 각도에서 제2 각도로 회동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60)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후, 제2 레버(32b)가 제1 각도에서 제2 각도로 회동되는 경우, 바디부(10)가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룸미러는, 미러 모드가 된다.
도 12의 (c)에서,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는 제2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이다.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제2 레버(32b)만 제1 각도로 회동되면, 레버 돌출부(232)에 의하여 제1 레버(32a)도 제1 각도로 회동된다.
본 발명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룸미러는,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를 결합시키는 제3 레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레버 부재에 의하여,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가 결합되는 경우,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의 기울어진 각도가 동일해진다. 또한,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가 결합되는 경우,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가 동시에 회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3 레버 부재로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 레버(32a) 및 제2 레버(32b)를 결합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레버(32b)는, 제1 레버(32a)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회동 가능하고, 제1 레버(32a)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회동 불가능할 수 있다. 즉, 제1 레버(32a)의 상태에 따라, 제2 레버(32b)의 회동 가부가 결정될 수 있다.
제1 레버(32a)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바디부(10)는 제2 자세이다. 이 경우, 차량용 룸미러는 미러 모드 또는 틸팅 디스플레이 모드가 될 수 있다. 바디부(10)가 제2 자세인 경우가 제1 레버(32a)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이므로, 제2 레버(32b)가 회동 가능한 상태이다. 사용자는, 바디부(10)가 제2 자세인 경우, 제2 레버(32b)를 조작하여, 차량용 룸미러를 미러 모드 또는 틸팅 디스플레이 모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
제1 레버(32a)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바디부(10)는 제1 자세이다. 바디부(10)가 제1 자세인 경우, 미러의 전방 방향이 상향 조정되어, 운전자는, 미러부(50)를 통하여, 차량의 후방 윈드 쉴드를 볼 수 없으므로, 차량용 룸미러는, 미러 모드로 활용될 수 없고, 디스플레이 모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부(10)가 제1 자세인 경우, 사용자가 제2 레버(32b)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부(60)를 오프시키면, 사용자가 룸미러로 후방을 확인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위험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는, 바디부(10)가 제1 자세인 경우, 제2 레버(32b)가 회동 불가능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부(60)가 오프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바디부
31: 레버
50 : 미러부
60 : 디스플레이부

Claims (20)

  1. 미러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미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는 바디부;
    입력 부재; 및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입력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제1 홈, 제2 홈, 및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 사이에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디텐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부재는, 제2 디텐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텐트부와 상기 제2 디텐트부가 결합되어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입력 부재가 디텐트(detent) 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 부재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가 제1 자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온 상태이고, 상기 제2 디텐트부는 상기 제1 홈에 결합되고,
    상기 입력 부재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가 제2 자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온 상태이고, 상기 제2 디텐트부는 상기 제1 홈에 결합되고,
    상기 입력 부재가 제3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가 상기 제2 자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제2 디텐트부는 상기 제2 홈에 결합되고,
    상기 입력 부재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3 상태로 전환되거나,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2 디텐트부는 상기 돌출부를 지나가는 차량용 룸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가 상기 제1 자세에서 상기 제2 자세로 변환되는 경우,
    상기 미러부의 전방 방향이 소정 각도만큼 하향되는 차량용 룸미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부재는,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어 회동되는 레버이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레버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레버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이고,
    상기 제3 상태는, 상기 레버가 제3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인 차량용 룸미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제1 회동 구간 및 제2 회동 구간에서 회동되고,
    상기 제1 회동 구간은,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되거나,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회동되는 구간이고,
    상기 제2 회동 구간은,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3 상태로 전환되거나,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회동되는 구간인 차량용 룸미러.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제1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의 내부 후면과 접촉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의 내부 전면과 접촉되는 차량용 룸미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 구간은,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돌출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룸미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제2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3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의 레버 지지부 하단에 접촉되는 차량용 룸미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의 레버 지지부 상단에 접촉되는 차량용 룸미러.
  11. 미러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미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는 바디부; 및
    입력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부재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가 제1 자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온 상태이고,
    상기 입력 부재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가 제2 자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온 상태이고,
    상기 입력 부재가 제3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가 상기 제2 자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입력 부재는,
    상기 제3 상태가 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온-오프 상태는,
    상기 입력 부재가 상기 제3 상태가 될 때, 변환되고,
    상기 입력 부재가 상기 제3 상태에서 자동으로 상기 제2 상태가 될 때, 변환되지 않는 차량용 룸미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입력 부재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온 상태가 되는 차량용 룸미러.
  13. 미러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미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는 바디부; 및
    입력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부재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가 제1 자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온 상태이고,
    상기 입력 부재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가 제2 자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온 상태이고,
    상기 입력 부재가 제3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가 상기 제2 자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입력 부재는,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어 회동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에 형성된 버튼이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레버가 제1 각도로 기울어지고, 상기 버튼에 제1 입력이 수신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레버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지고, 상기 버튼에 상기 제1 입력이 수신된 상태이고,
    상기 제3 상태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각도로 기울어지고, 상기 버튼에 제2 입력이 수신된 상태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버튼에 상기 제1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온 상태가 되고, 상기 제2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오프 상태가 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제1 자세이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제2 자세인 차량용 룸미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레버 후면에 형성된 후면 버튼, 및 상기 레버 전면에 형성된 전면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후면 버튼에 수신되는 입력이고,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전면 버튼에 수신되는 입력인 차량용 룸미러.
  15. 미러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미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는 바디부; 및
    입력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부재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가 제1 자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온 상태이고,
    상기 입력 부재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가 제2 자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온 상태이고,
    상기 입력 부재가 제3 상태인 경우, 상기 바디부가 상기 제2 자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입력 부재는,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어 회동되는 제1 레버 및 제2 레버이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레버 및 제2 레버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레버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지고, 상기 제2 레버가 상기 제1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이고,
    상기 제3 상태는,
    상기 제1 레버 및 제2 레버가 상기 제2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레버가, 상기 제1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온 상태가 되고, 상기 제2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오프 상태가 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제1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제1 자세이고, 상기 제2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제2 자세인 차량용 룸미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입력 부재가 상기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제1 각도에서 상기 제2 각도로 회동되면, 상기 제2 각도로 회동되는 차량용 룸미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입력 부재가 상기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제1 각도에서 상기 제2 각도로 회동되면, 상기 제2 레버를 상기 제2 각도로 회동시키는 레버 돌출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룸미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를 결합시키는 제3 레버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레버 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의 기울어진 각도가 동일해지고,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가 동시에 회동되는 차량용 룸미러.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제2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제1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회동 불가능한 차량용 룸미러.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부는,
    하프 미러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차량용 룸미러.

KR1020170057449A 2017-05-08 2017-05-08 차량용 룸미러 KR101963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449A KR101963617B1 (ko) 2017-05-08 2017-05-08 차량용 룸미러
US15/855,610 US10850668B2 (en) 2017-05-08 2017-12-27 Rear-view mirror for vehicle
PCT/KR2018/000451 WO2018207991A1 (ko) 2017-05-08 2018-01-10 차량용 룸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449A KR101963617B1 (ko) 2017-05-08 2017-05-08 차량용 룸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352A KR20180123352A (ko) 2018-11-16
KR101963617B1 true KR101963617B1 (ko) 2019-03-29

Family

ID=6401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449A KR101963617B1 (ko) 2017-05-08 2017-05-08 차량용 룸미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50668B2 (ko)
KR (1) KR101963617B1 (ko)
WO (1) WO2018207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9507B1 (en) * 2018-02-13 2019-09-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irror system for vehicle interiors
JP7423155B2 (ja) * 2020-04-10 2024-01-29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後方監視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0425A (ja) * 2015-07-30 2017-0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ミラ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8493A (ja) 1992-06-12 1993-12-21 Ichikoh Ind Ltd 防眩ミラーの切換構造
US6520690B2 (en) * 2000-12-13 2003-02-18 Li-Tsan Chu Car door rearview mirror structure
JP4601214B2 (ja) 2001-07-13 2010-12-22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インナーミラー
US20070183068A1 (en) * 2006-02-03 2007-08-09 Kozlowski Paul J Power adjust rear view mirror
MX350252B (es) 2011-12-09 2017-08-31 Nissan Motor Espejo con pantalla de video y sistema de espejo con pantalla de video.
JP5929509B2 (ja) 2012-05-23 2016-06-08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インナーミラーシステム及びこの車両用インナーミラーシステムを備えた車両
EP3056387B1 (en) 2015-02-13 2018-04-25 Fico Mirrors S.A. Rear-view mirror assemblies and systems for motor vehicles, and install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0425A (ja) * 2015-07-30 2017-0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ミラ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50668B2 (en) 2020-12-01
WO2018207991A1 (ko) 2018-11-15
US20180319340A1 (en) 2018-11-08
KR20180123352A (ko) 201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3810B2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6517711B2 (ja) 自動車用リアビューミラーアセンブリ及びシステム、並びに設置方法
US8059215B2 (en) Display opening and closing angle detecting mechanism
US6972751B2 (en) Lid-mounted monitor
JPH08318759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4069703A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1963617B1 (ko) 차량용 룸미러
JP2006224919A (ja) 車両用虚像表示装置
US20070188022A1 (en) Input device
JP2019077327A (ja) 車両用表示装置および車両用表示システム
JPH08328512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2005275262A (ja) 車載用液晶表示装置
KR20180126183A (ko) 레버타입 디스플레이 미러
EP3670236B1 (en) A vehicle comprising a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US20180178726A1 (en) Rear 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JP2002104017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および調光機構
JPH09156399A (ja) 車両用画像表示装置
JP2004299591A (ja) 表示システム
JP7023095B2 (ja) 車両用表示装置
WO2018159340A1 (ja) 後方視認用車載表示装置
JP4415659B2 (ja) タッ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7336779B1 (ja) 表示システム
JP2005208436A (ja) 車両用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CN113467176B (zh) 投影***
JP7113273B2 (ja) 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