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373B1 -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373B1
KR101963373B1 KR1020180134524A KR20180134524A KR101963373B1 KR 101963373 B1 KR101963373 B1 KR 101963373B1 KR 1020180134524 A KR1020180134524 A KR 1020180134524A KR 20180134524 A KR20180134524 A KR 20180134524A KR 101963373 B1 KR101963373 B1 KR 101963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extending
main stopper
screen devi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에이치 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에이치 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에이치 산업
Priority to KR1020180134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373B1/ko
Priority to US16/671,439 priority patent/US11173431B2/en
Priority to PCT/KR2019/014802 priority patent/WO20200962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는, 상하수도나 혹은 토사가 발생된 지역에 간편히 설치되어 상/하부 구조로 형성된 임펠러가 복수개의 상/하부 날개를 가지고, 유체의 흐름에 대한 저항력으로 무동력 회전하는 하부 날개가 이물질의 재유입을 방지하고, 이와 동시에 하부 스프라켓을 통해 체인으로 연결된 상부 임펠러를 무동력 회전시켜 상부 날개 또한 이물질을 외부로 걸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에 의하면, 상/하부 임펠러를 통과한 미세 이물질은 배수펌프로 흡입되는게 아닌 메인 스토퍼에 의해 한번 더 걸러지게 되며, 메인 스토퍼의 미세 이물질이 쌓일 수 있는 곳을 라운딩 지도록 챔퍼(CHAMFER) 처리된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라운딩 지도록 챔퍼(CHAMFER) 처리된 절곡부는 메인 스토퍼가 외력에 의한 변형에도 견딜 수 있도록 탄성과 강성을 증대시켜 외력을 통한 미세 이물질의 제거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를 통해 배수로의 이물질의 제거를 무동력 장치를 이용하여 적은 비용으로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만드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SCREEN DEVICE FOR DRAIN PUMP WITHOUT POWER}
본 발명은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배수펌프에 유입되는 유체의 이물질을 무동력 이물질 제거 장치와 스크린 장치를 이용해 제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펌프의 협잡물 제거 장치는 오폐수 및 상하수가 유입되는 하천 또는 홍수가 발생한 수로 등의 위치에 설치되는데 이때 유체속에 포함된 토사, 이물질 혹은 각종 생활쓰레기가 적제적시에 제거되지 못한 채 배수펌프까지 흘러 가게되면 유체의 흐름을 막게 되면 수로가 넘쳐 배수펌프의 주위에 피해를 끼치거나 혹은 악화되어 물이 흐르지 못하고 웅덩이를 형성하게 되고 악취까지 나게 된다. 이때 유체에 혼입되는 이물질은 토사, 풀, 비닐 및 공업 쓰레기 나열할 수도 없이 다양한 이물질이 존재하여 단순한 스크린 이물질 제거 장치로서는 한계가 있다. 또한 동력을 이용해 이물질을 걸러주는 장비를 추가로 구동 할 시 추가적인 모터나 펌프의 유지 및 구동에 소모되는 비용 또한 막대한 바이다.
도 1은 다단 회전 제진기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기 다단 회전 제진기는 복수개의 회전 스크린을 구조로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협잡물을 제거하는 장비로서, 이러한 구조는 한국 공개 특허 제 10-2008-0074295호를 비롯하여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회전 스크린을 다단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회전 스크린에서 협잡물을 다단으로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회전 스크린은 회전축을 중앙에 두고 일정 간격으로 결합시킨 것으로, 거름살을 회전축에 끼워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서만 회전 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스크린은 수로를 가로질러 다단으로 복수개가 경사지게 설치되어야 하며, 복수개의 회전 스크린은 회전축의 선단에 스프라켓을 고정시켜 체인으로 연결되며, 복수개의 스프라켓에 연결된 체인의 탈선을 막기 위해 가이드 혹은 케이스 등이 추가로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회전 스크린의 구동은 외부 모터의 회전 동력을 통해 동작되며, 외부 모터는 두 개가 구비되어 회전축의 양측에 설치된다. 이때, 모터의 회전수(RPM)는 항상 동일해야 하며 사용자가 설계한 제어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스프라켓과 체인에 큰 손상을 입히고, 그로인한 손상은 장비의 유지/보수 비용은 더욱 발생하게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동력을 이용한 방식의 제진기 보다는 동력의 구비 여건이 어려울 시에도 구동이 가능 하도록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부 임펠러 및 하부 임펠러를 무동력 회전시켜 전원을 절약하면서 설치 및 이동을 간단히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 시키는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 스토퍼의 슬라이딩 이동을 이용해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 스토퍼의 탄성 회동 운동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내구성을 증진 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메인 스토퍼에 유압 실린더 또는 태엽 스프링을 구비해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메인 스토퍼를 탄성 회동시키는 것 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로는 배수펌프의 선단에 장착되어 내부에 스페이스를 가진 것으로서, 전면이 개방된 입수부와, 상기 입수부의 대향 면으로서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되는 토출부가 형성된 배면부 및, 상기 입수부와 배면부에 접한 좌우 양 측의 측부와, 둘레 부위에 형성된 상판을 제외한 상부가 개방된 상부 개방부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스페이스 내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측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결합공이 관통된 하부 샤프트와,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결합공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날개를 구비한 하부 임펠러;
상기 하부 임펠러와 동일한 결합관계로 상부 샤프트와 상부 날개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스페이스 내에서 상기 하부 임펠러의 상측에 장착된 상부 임펠러;
상기 하부 임펠러와 상부 임펠러를 연결한 체인;
판상 형태로 복수 개의 통공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서 상기 배면부 일 측까지 경사지게 연장된 것으로,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하부 날개의 일 측에 부딪쳐 상기 하부 날개의 이탈을 방지하는 메인 스토퍼;
상기 상판의 일 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된 것으로,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상부 날개의 일 측에 부딪쳐 상기 상부 날개의 이물질 제거효과를 증대 시키는 서브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스토퍼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 측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기립된 하부 기립부와, 상기 하부 기립부의 단부에서 상기 배면부를 향해 수평 연장되어 상기 하부 임펠러의 아래 측에 위치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서 상기 배면부를 향해 상향 경사 연장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상기 배면부에 결합되는 상부 기립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측부의 외측 면에는, 상부가 개방된 것으로, 상기 상부 임펠러 및 하부 임펠러의 회전으로 상기 상부 개방부로 배출된 이물질을 수납하는 케이스가 추가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는,
1) 상부 임펠러 및 하부 임펠러의 무동력 회전으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뿐 아니라 설치 및 이동 또한 간단하며,
2) 배면부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메인 스토퍼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이물질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고,
3) 메인 스토퍼를 라운딩지게 절곡 처리하여 내구성을 증진시켰을 뿐만 아니라,
4) 유압 실린더 및 태엽 스프링이 상기 경사부의 내측 면에 접하도록 신축 가능하게 연장되어 메인 스토퍼를 탄성 회동시켜 이물질 제거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공지의 협착물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메인 스토퍼가 레일에 의해 탄성 회동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및 부분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메인 스토퍼의 절곡 부위를 도시한 측면도 및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린더를 매개로 메인 스토퍼가 회동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롤링 구동부를 매개로 메인 스토퍼가 회동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메인 스토퍼에서 하부 기립부 하측에 구비된 이물질 수납부를 도시한 단면도 및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의 외관을 살펴보면 크게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후 측에 위치하는 배수펌프(P)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하우징(10)은 육면체 형상으로서 전면이 개방되어 유체를 흡입하는 입수부(11)와 입수부(11)의 대향 측에 위치한 배면부(12)와 유입된 유체의 배수를 위한 토출부(1)가 구비된다. 또한 하우징(10)은 후술할 상부 임펠러(150)의 정상적인 동작에 필요한 공간으로서 하우징(10)의 상면에서 전면 측 일부가 개방된 상부 개방부(13)와, 상부 개방부(13)를 제외한 나머지 상면을 밀폐하는 상판(18) 및, 입수부(11)와 배면부(12)의 좌우 양 측을 밀폐하는 2개의 측부(14), 즉 좌측부(15)와 우측부(16)를 구비하고, 추가적으로 바닥부(17)를 구비할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이물질의 재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가 오픈된 형상의 추가적인 케이스를 하우징(10)의 외부, 구체적으로 2개의 측부(14)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 면에 장착할 수도 있다.
입수부(11)는 유체가 상시 흡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배면부(12)는 입수부(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토출부(1)를 구비할 수 있다.
토출부(1)는 유입된 유체가 원활히 배수될 수 있도록 입수부(11)에 대응되는 위치인 배면부(12)에 형성되며 이때, 하우징(10)의 외부에는 토출부(1)와 배수펌프(P)를 연결하는 플랜지를 구비한 파이프와 같은 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 개방부(13)는 후술할 상부 임펠러(150)의 날개가 회전함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입수부(11)로부터 상면의 전방 영역까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이 상부 개방부(13)에 상부 임펠러(150)가 위치한다.
상판(18)은 상부 개방부(13)를 제외한 나머지 상면을 밀폐한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우징(10) 내로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이 상부 개방부(13) 측 상부 임필러(150)를 거치지 않고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측부(14)는 하우징(10)의 좌우 측부, 즉 좌측부(15)와 우측부(16)를 이루는 것으로서 후술할 하부 임펠러(1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좌측부와 하측부의 하부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17)는 유체가 임펠러를 거치지 않고 토출부(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0)의 바닥에 형성되며 본 환경의 설치 장소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의 하우징(1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육면체에 한정되지 않고 유체의 흡입과 토출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면 다면체, 원통형 혹은 사다리꼴의 구조 등 형상에는 큰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동력 이물질 제거 장치는 하부 임펠러(100)와 상부 임펠러(15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부 임펠러(100)는 하우징(10)내의 바닥부(17)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하우징(10) 내부에 장착된 것으로, 상기 측부(14)의 하측을 가로지르면서 회전 가능하게결합된 구조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임펠러(100)는 하부 샤프트(110)와 하부 날개(120) 그리고 하부 스프라켓(140)을 포함한다.
하부 샤프트(110)는 하우징(10)의 좌우 측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것으로서 측부(14)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있다. 또한, 하부 날개(120)가 하부 샤프트(110)의 축을 기준으로 직교되도록 설치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130)이 형성되고 임의의 위치(예를 들어, 하우징의 내부 위치 또는 외부 위치 중 어느 하나)에 하부 스프라켓(14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부 날개(120)는 복수개로 형성된 것으로서 하부 샤프트(110)의 관통공(130)들을 통과하여 하부 샤프트(110)의 양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체이다. 이때 하부 날개(120)가 중력 방향에 따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관통공(130)은 하부 날개(120)의 직경보다 커서 적절한 유격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날개(120)의 형상은 입수부(11)로 유입되는 유체에 적절한 저항력을 얻기 위한 형상으로서 파이프, 환봉 또는 바 형상 등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부 스프라켓(140)은 후술할 상부 스프라켓(180)과 연동되어 후술할 체인(190)을 감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샤프트(110)의 끝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10) 내의 하부 샤프트(110) 일 부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임펠러(150)는 하부 임펠러(100)의 상술한 세부 구성과 유사한 형상과 결합관계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하부 임펠러(100)의 상측, 상판(18)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수단을 통해 하우징(10)과 연결되어 상부 개방부(13)와 하우징 내부에 걸친 위치에 장착된다.
상부 샤프트(160)는 상판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수단을 매개로 하부 샤프트(11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부 샤프트(160)의 관통공(130)은 하부 샤프트(110)의 관통공(130)에 설치된 하부 날개(120)가 상부 샤프트(160)의 관통공(130)에 설치된 상부 날개(170)와 부딪히지 않도록 하부 샤프트(110)의 관통공(130)과 교차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스프라켓(180)은 상부 샤프트(160)에서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 스프라켓(140)의 대응 지점에 설치되어 체인(190)을 통해 연결된다.
체인(190)은 하부 스프라켓(140)과 상부 스프라켓(180)을 연동시켜 하부 임펠러(100)의 동력을 상부 임펠러(150)로 전달함과 상부 임펠러(150)와 하부 임펠러(100)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체인(190)은 도 2에서는 하우징(10)의 외측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한데, 다시 말해 체인(190)은 상부/하부 스프라켓(140,180)의 위치에 따라 하우징(10) 내외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는 상부/하부 임펠러(150,100)에서 상부/하부 날개(170,120)의 위치 제어를 위해 두 개의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스토퍼는 상부 임펠러(150)와 하부 임펠러(100)에 설치된 상부/하부 날개의 회전 범위를 물리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두 개의 구성으로 메인 스토퍼(200)와 서브 스토퍼(30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메인 스토퍼(200)는 하부 임펠러(100)와 대응되고 서브 스토퍼(300)는 상부 임펠러(150)와 대응된다.
메인 스토퍼(200)는 하우징(10) 내에서 좌측부(15) 및 우측부(16)를 가로질러 장착된 것으로서, 상부 임펠러(150)와 하부 임펠러(100)가 걸러주지 못한 이물질이 배수펌프(P)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릴, 메쉬 등의 다양한 형상과 패턴으로 이루어진 통공이 복수 개로 관통되어 배수펌프(P)로 물이 진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 작은 사이즈의 잔여 이물질이 배수펌프(P)로 진입되는 것은 방지한다.
또한, 메인 스토퍼(200)는 하부 임펠러(100)의 하부 샤프트의 회전 시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낙하한 하부 날개(120)가 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하우징(10) 상판(18)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유체의 흐름에 따른 회전이 원활해지도록 극대화 시키는 역할과 하부 임펠러(100)의 역회전을 제어하는 기능을 겸한다.
메인 스토퍼(200)는 상술한 통공을 구비한 상태에서 하부 임펠러(100)의 아래 측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한데, 구체적으로는 바닥부(17)와 맞닿는 하부 기립부(210)와, 하부 임펠러(100)의 하부 날개(120)가 안착되는 안착부(230), 경사부(230) 및 토출부(1)와 결합되는 상부 기립부(240)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기립부(210)는 하부 임펠러(100)의 하부 날개(120)가 안착부(220)에 닿아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바닥부(17)에서 일정 높이 기립 형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의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보조함과 동시에 하부 임펠러(100)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하부 기립부(210)는 수직하게 기립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장치에 구조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라면 경사지게 기립되는 것도 가능하다.
안착부(220)는 하부 기립부(210)의 상단에서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배면부(1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이 안착부(220)는 하부 임펠러(100)의 하측에 위치한다.
하기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안착부(220)로 낙하하는 하부 날개(120)는 이 안착부(220)에 부딪쳐 그 반발과 하부 샤프트(110)의 회전에 의해 상 방향으로 다시 슬라이딩 이동되어 유체의 흐름에 따른 저항력이 최대화 되는 것은 물론 하부 임펠러(100)에서 하부 날개가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경사부(230)는 안착부(220)로부터 일정 각도 상향 경사지게 배면부(12)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상부 기립부(240)는 배면부(12)의 상측 부위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경사부(230)의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배면부(12)에 결합될 수 있는 물리적 체적을 제공하여 이로 인해 메인 스토퍼(200)가 유입된 물에 의해 하우징(10) 내에서 불필요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하우징(10)의 정 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기반을 제한다.
서브 스토퍼(300)는 서브 경사부(310)와 서브 기립부(320)를 포함한다.
서브 경사부(310)는 상부 샤프트(160)의 아래 측인 상판(18)의 일 측에서 배면부(12) 측으로 상향 경사 연장된 부위이다.
서브 기립부(320)는 서브 경사부(310)의 단부로부터 상판(18)의 외측 면에 접하도록 법선 방향, 즉 상판(18)에 수직한 방향으로 기립 연장된 부위를 의미한다. 이때 서브 기립부(320)는 서브 경사부(310)의 지지(즉, 서브 스토퍼의 물리적 체적을 유지)만 가능하다면 반드시 수직 기립될 필요 없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상술한 구성을 통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서 배수펌프(P)가 구동하면 그 주변의 유체(빗물 등)가 하우징(10) 내, 즉 입수부(11)를 통해 스페이스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된 유체는 하우징(10)의 하부로부터 쌓이거나 흐르면서 우선적으로 하부 임펠러(100)의 하부 날개(120)를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유체의 유입에 의해 하부 날개(120)가 회전될 때, 하부 날개(120)가 상판(18) 방향으로 수직 기립한 지점을 지나면서부터 중력에 의해 하부 샤프트(110)의 관통공(130)을 통해 슬라이딩 낙하 이동한다. 이와 같이 낙하된 하부 날개(120)는 메인 스토퍼(200)의 경사부(230)에 의해 부딪치게 되는데 그 반동과 하부 임펠러(100)의 지속적인 회전력에 의해 다시 상판 방향으로 반동하면서 하부 샤프트(110)의 관통공(130)을 통해 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로 인해 하부 날개(120)가 하부 임펠러(1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유체와 꾸준히 접촉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춘다.
하부 임펠러(100)의 회전에 따라 체인(190)으로 연동된 상부 임펠러(150)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상부 임펠러(150)에 구비된 상부 날개(170)는 하부 날개(120)와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있어 하부 날개(120)로부터 이물질을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부 날개(170)로 전달된 이물질을 상부 임펠러(150)의 회전에 의해 상부 개방부(13)의 외측으로 튕겨낸다.
이때, 외부로 튕겨나간 이물질은 하우징(10)의 외부, 구체적으로 측부(14)의 외측 면에 별도로 구비된 케이스(미도시)에 담겨 해당 이물질이 입수부(11)로의 재진입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의 유지/보수 과정 또는 이물질 처리 과정에서 케이스에 쌓인 이물질만 제거하면 되도록 간편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이물질은 각종 비닐, 폐지, 심지어 담요, 천과 같은 다양한 종류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임펠러(150)와 하부 임펠러(100)에 의해 제거되지 못한 이물질, 즉 비닐, 천 등보다 작은 사이즈로 이루어진 돌, 잡동사니와 같은 미세 이물질이 토출부(1)로 유입되면 유체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메인 스토퍼(200)의 통공이 이와 같은 미세 이물질이 배수펌프(P) 측으로 진입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메인 스토퍼(200)는 단순히 일자로 경사진 구조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하부 기립부(210)에서 안착부(220), 경사부(230), 상부 기립부(240)까지 연장된 입체적인 경사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유체가 가장 큰 유량으로 지나는 하우징(10)의 하측 부위에서 하부 기립부(210)를 기립 형성시켜 이이 부딪친 유체를 상측 방향으로 반동시키면서 와류를 발생하도록 한 다음 안착부(220)를 지나 경사부(230)로 자연스럽게 안내하면서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기립된 위치에 있는 경사부(230)에서 주로 유체를 대면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유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메인 스토퍼(200)가 쉽사리 찌그러지지 않고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날개(120)의 불필요한 이탈을 합리적으로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메인 스토퍼(200)의 안착부(220)의 원리와 마찬가지로, 서브 스토퍼(300)의 서브 경사부(310) 역시 중력에 의해 상부 임펠러(150)에서 상부 날개(170)가 불필요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스크린 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는 상하수도 혹은 수로, 장마철 또는 폭우로 빗물이 넘쳐난 도로, 하천 주변 등 다양한 장소와 환경에서 간편히 설치되어 이물질을 간편하게 걸러내면서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메인 스토퍼가 레일에 의해 탄성 회동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및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레일(400)은 상부 기립부(240) 주변의 배면부(12)의 양 측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배면부(12)의 상부 양 측에 1쌍으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때 상판(18) 내측 면에 맞닿거나 혹은 이로부터 이격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레일(400)은 토출부(1)에 방해되지 않게 임의의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부 기립부(240)에서 연장 형성된 보(420)는 레일(400)과 결합되어 레일(400)에서 상부 기립부(240)가 이탈되지 않으면서 레일(40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결과적으로 메인 스토퍼(200)의 상측 부위의 승강 운동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유입된 유체에 의한 압력에 의해 상부 기립부(240)가 레일(400)을 따라 슬라이딩 상하 이동이 되는데, 이로써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휨성을 가진 메인 스토퍼(200)가 탄성 회동하면서 메인 스토퍼(200)의 안착부(220)에 안착되거나 혹은 통공에 끼인 이물질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와 같이 레일(400)의 구동에 따라 메인 스토퍼(200)가 탄성 회동될 때 하부 기립부(210)와 안착부(220)의 경계 부위는 물론 안착부(220)와 경사부(230)의 경계 부위(모서리 또는 절곡 부위)에 전단 응력이 발생하여 메인 스토퍼(200)에 피로도를 야기하거나 심지어 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하기 도 5를 통해 메인 스토퍼(200)의 추가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레일(400)을 통한 메인 스토퍼(200)의 슬라이딩 구동 매커니즘은 레일(400)만 단독적으로 구비되는 것보다 이의 안정적인 탄성 회동을 도와줄 장치가 함께 구비됨이 바람직하기에 통해 이와 같은 추가적인 수단을 도 6,7,8을 통해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메인 스토퍼의 절곡 부위를 도시한 측면도 및 상세도이다.
도 6에 따른 메인 스토퍼(200)는 경사부(230)와 안착부(220) 사이에 형성된 제 1 절곡부(500)와, 안착부(220)에서 하부 기립부(210) 사이에 형성된 제 2 절곡부(550)를 포함한다.
제 1 절곡부(500)는 메인 스토퍼(200)의 경사부(230)와 안착부(220)를 라운딩지도록 절곡 연장 형성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경사부(230)에서 중력 또는 후술할 이물질 제거 방법의 구동에 의해 쓸려 내려오는 이물질이 경사부(230)와 안착부(220)가 연장 형성되는 위치에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하부 임펠러(100)의 하부 날개(120)가 회전하며 안착부(220)로 진입할 때 원만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조 할 수 있다. 이때 하부 날개(120)는 제 1 절곡부(500)에 쌓인 이물질의 제거도 겸할 수 있기에 제 1 절곡부(500)는 하부 임펠러(100) 축의 법선 방향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제 1 절곡부(500)는 상기 설명한 레일(400)의 상하 운동에 의한 외력이 응집될 수 있는 부위로서 안착부(220)와 경사부(230)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꺾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명 모따기, 구체적으로 라운딩지도록 챔퍼(chamfer) 처리함으로써 레일(400)에 의해 반복 운동되면서 발생된 피로 하중을 흡수/분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메인 스토퍼(200)가 탄성 회동 운동을 수행할 시 경사부(230)와 안착부(220) 사이 부위는 접히게 되고 이때 발생하는 응력은 경사부(230)를 따라 발생하는 경사부(230) 벡터 응력과 안착면을 따라 발생하는 안착부(220) 벡터 응력이 합쳐지는 방향으로 발생하여 반복적인 운동을 할 시 경사부(230)와 안착부(220)가 연장 형성된 부위에 절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도록 경사부(230)와 안착부(220) 사이를 라운딩 처리해 제 1 절곡부(500)를 형성함으로써 경사부(230)와 안착부(220)가 연장 형성되는 위치에 발생하는 응력에 반발하는 척력을 발생시켜 경사부(230)와 안착부(220)로 응력 분산이 이루어지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 2 절곡부(550)는 메인 스토퍼(200)의 안착부(220)와 하부 기립부(210)를 라운딩지도록 절곡 연장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절곡부(550)의 외측 절곡부(560)는 안착부(220)와 하부 기립부(210)의 외측 면을 라운딩 처리한 것으로서, 안착부(220)에서 쓸려 나온 이물질이 중력 방향으로 떨어져 하우징(10)의 바닥으로 제거 될 수 있는 역할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제 2 절곡부(550)는 입수부(11)에서 들어오는 유체를 정면에서 저항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하부 기립부(210) 측의 곡률반경이 안착부(220) 측의 곡률 반경 보다 작은 비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절곡부(550)의 내측 절곡부(570)는 외측 절곡부(560)와 같은 곡률 반경을 유지하여 동일 폭으로 안착부(220)와 하부 기립부(210)의 내측 면을 절곡한 구조로서, 상술한 원리에 따라 메인 스토퍼(200)의 탄성 회동 시 안착부(220)와 하부 기립부(210)의 내측 면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추가적으로, 이와 같은 내측 절곡부에는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보조 절곡부(580)가 부착되거나 혹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보조 절곡부(580)는 입수부(11)로 들어오는 유체의 저항력에 효율적으로 대응함과 동시에 제 2 절곡부(550)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제 1 라운딩 섹션(581)과, 제 1 라운딩 섹션(58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 2 라운딩 섹션(582) 및, 제 2 라운딩 섹션(582)에서 연장 형성되어 바닥부(17)까지 이어지는 제 3 라운딩 섹션(583)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라운딩 섹션(581)은 안착부(220) 측 절곡 시작 지점으로부터 제 2 절곡부(550)의 중앙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선에 만나는 지점까지 제 1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보조 절곡부(580)의 두께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도입 부위를 의미한다.
제 2 라운딩 섹션(582)은 상술한 가상선으로부터 하부 기립부(210) 측 절곡 종료 지점을 향한 부위, 즉 제 2 절곡부(550)의 외측 절곡 부위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제 2 곡률반경으로서 제 1 라운딩 섹션(581)의 단부로부터 하부 기립부(210) 측 절곡 종료 지점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된 부위로서, 다시 말해 제 1 라운딩 섹션(581)에 의해 내측 절곡 부위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원래의 내측 절곡부(570)의 곡률반경, 즉 외측 절곡부(560)와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절곡 연장된 부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 2 라운딩 섹션(582)에 의해 결과적으로 1 라운딩 섹션(581)에 의해서 이격 증가된 절곡 두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제 2 라운딩 섹션(582)은 제 1 라운딩 섹션(581)의 시작 부위보다 두꺼워진 부위로서 유체가 입수부(11)로부터 흡입될 때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 1 라운딩 섹션(581)으로 절곡 부위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분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유체가 메인 스토퍼(200)의 하부 기립부(210)로 유입될 때 제 2 절곡부(550)에 가해지는 외력이 법선(N) 방향으로 집중되지 않고,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고 유체의 흐름에 의한 저항력이 덜 발생하는 안착부(220)로 외력을 분산 이동시킬 수 있다.
제 3라운딩 섹션(583)은 제 2 라운딩 섹션(582)의 단부에서 변곡되어 하부 기립부(210) 측 절곡 종료 지점까지 제 3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것으로, 도시된 것처럼 자연스럽게 내측 절곡부(570)에 접하도록 연장된 것을 기본으로 하나 내측 절곡부(570)와 단턱이 발생하지 않도록 챔퍼(chamfer) 처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 1,3 곡률반경은 도입 및 종결에 필요한 자연스러운 수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바, 다시 말해 도면에 도시된 구조를 이룰 수 있는 다양한 수치를 가질 수 있어 특정한 수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정리하면, 보조 절곡부(580)는 실직적으로 제 2 절곡부(550)를 안착부(220) 측 방향(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 2 절곡부(550)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보조 절곡부(580)는 하부 기립부(210) 혹은 경우에 따라 메인 스토퍼(200)의 구동의 방해가 되지 않는 임의의 위치에서 하우징(10)과 고정된 상태에서 기계적 운동을 가지기에 이를 버틸 수 있는 탄성과 동시에 경도를 구비한 PC-ABS, ABS 혹은 PP 등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린더를 매개로 메인 스토퍼가 회동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는, 피스톤 운동을 하는 실린더(600)와, 경사부(230)의 내측 면에 실린더(600)의 상단를 결합시키는 상부 조인트(610) 및, 실린더(600)의 하부를 바닥부(17)에 결합시키는 마운트(6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조인트(610)는 메인 스토퍼(200)의 경사부(230)와 결합되어 실린더(600)와 결합된다.
마운트(620)는 하우징(10)의 바닥부(17)와 고정되어 실린더(600)와 연장 결합된다.
실린더(600)는 바닥부(17)의 마운트(620)와 결합되며 실린더(600)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피스톤은 상부 조인트(610)와 연결된다. 실린더(600)의 구동은 마운트(620)에 직교하게 상하 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마운트(620)는 회동성을 가진 조인트(하부 조인트)로 이루어져 회동 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실린더(600)는 레일(400)과 함께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실린더(600)의 신축에 따라 메인 스토퍼(200)가 레일(40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탄성 회동이 이루어지고 이와 같이 메인 스토퍼(200)의 경사각이 변동되면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에 와류가 발생하여 안착되어 있던 이물질에 가해지는 유체로부터 저항력의 방향이 달라짐으로써 이물질이 제거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되어있진 않지만, 실린더(600)의 구동 매커니즘에는 모터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고 또는 하우징(10)의 토출부(1)에 유량계나 유압게이지 등을 서보 모터와 연동 설치하여 일정량 이상의 이물질이 메인 스토퍼(200)에 안착해 유량의 배출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을시 모터 구동에 따라 실린더(600)가 자동 구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롤링 구동부를 매개로 메인 스토퍼가 회동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롤링 구동부(700)는 경사부(230)의 내측 면에 일 단이 접하여 롤링(rolling) 처리된 태엽 스프링(710)과, 태엽 스프링(710)에 결합된 상태로 측부(14)의 일 측 외부로 노출 연장된 스프링 샤프트(720)를 구비하고, 추가적으로 태엽 스프링 샤프트(720)에 결합되어 태엽 스프링 샤프트(720)를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모터가 구비된 롤링 구동부(700)는 안착부(220)의 상측 면에 장착되어 모터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하중감지센서(730) 및 구동 제어 파트(74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태엽 스프링(710)은 메인 스토퍼(200)의 경사부(230)의 내측 면에 일단이 접하여 롤링 상태에 따른 탄성 압축력, 다시 말해 권취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경사부(220)를 밀거나 당기는 힘을 발생시킨다.
태엽 스프링 샤프트(720)는 태엽 스프링(710)의 중심부와 결합되어 하우징(10)의 측부(14)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사용자가 태엽 스프링 샤프트(72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을 하면 태엽 스프링(710)에서 탄성 압축력이 발생되어 경사부(220)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메인 스토퍼에 안착되거나 잔류한 이물질을 외부로 제거할 수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은 수동 조작에서 발전되어 태엽 스프링 샤프트(720)에 장착된 모터를 구동하면 자동으로 태엽 스프링(710)이 조작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매커니즘을 추가로 제공하는바, 하중감지센서(730)에서 감지한 하중의 고저에 따라 구동 제어 파트(740)가 모터의 구동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안착부(220)에 이물질이 잔류하였을 때 태엽 스프링(710)을 자동 조작하여 인력을 절약하는 특성을 겸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메인 스토퍼에서 하부 기립부 하측에 구비된 이물질 수납부를 도시한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이물질 수납부는 하우징(10)의 바닥부(17) 측 내측 부위에 구비된 것으로서, 하부 기립부(210)의 일부 영역이 일정 면적으로 관통된 진입부(800)와, 진입부(800)에서 하부 기립부(210)의 내측으로 함입 연장된 수납부(810)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물질 수납부는 유속이나 유량이 가장 많은 하부 기립부(210) 측에서 임시적으로 돌과 같이 유의미한 사이즈의 이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하부 기립부(210) 전방 측에 이물질이 퇴적되는 문제를 임시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추가적으로, 진입부(800)에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발(820)이 진입부(800)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발(820)의 하단 주변의 내측 면에는 일정 중량을 가진 입체 형상의 스파이크(8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발(820)은 상술한 돌보다 작은 체적이나 중량을 가진 토사 등의 이물질이 불필요하게 수납부(8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납부(810)에 토사가 순식간에 쌓이는 문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스파이크(830)는 발(820)이 유체의 흐름에 의해 항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시 말해 적은 유속과 유량이 발생될 경우는 물론 적은 압력이 도입부(800) 측으로 가해질 경우에는 발(8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물리적 하중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하부 기립부(210) 주변에 과도한 퇴적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물질의 사이즈 내지 중량에 따라 발(820)의 유동성을 가변 제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토출부 10 : 하우징
11 : 입수부 12 : 배면부
13 : 상부 개방부 14 : 측부
15 : 좌측부 16 : 우측부
17 : 바닥부 18 : 상판
19 : 외부 플레이트 100 : 하부 임펠러
110 : 하부 샤프트 120 : 하부 날개
130 : 관통공 140 : 하부 스프라켓
150 : 상부 임펠러 160 : 상부 샤프트
170 : 상부 날개 180 : 상부 스프라켓
190 : 체인 200 : 메인 스토퍼
210 : 하부 기립부 220 : 안착부
230 : 경사부 240 : 상부 기립부
300 : 서브 스토퍼 310 : 서브 경사부
320 : 서브 기립부 400 : 레일
410 : 함입부 420 : 보
430 : 브라켓 500 : 제 1 절곡부
550 : 제 2 절곡부 560 : 외측 절곡부
570 : 내측 절곡부 580 : 보조 절곡부
581 : 제 1 라운딩 섹션 582 : 제 2 라운딩 섹션
583 : 제 3 라운딩 섹션 600 : 실린더
610 : 상부 조인트 620 : 마운트
700 : 롤링 구동부 710 : 태엽 스프링
720 : 태엽 스프링 샤프트 730 : 하중감지센서
740 : 구동 제어 파트 800 : 진입부
810 : 수납부 820 : 발
830 : 무게추 P : 배수펌프

Claims (13)

  1.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로서,
    배수펌프;
    상기 배수펌프의 선단에 장착되어 내부에 스페이스를 가진 것으로서, 전면이 개방된 입수부와, 상기 입수부의 대향 면으로서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되는 토출부가 형성된 배면부 및, 좌우 양 측의 측부와, 상기 입수부 측 상부가 개방된 상부 개방부 및, 상기 상부 개방부를 제외한 상면을 밀폐한 상판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스페이스 내에 장착된 것으로, 상기 측부의 하측을 가로지르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결합공이 관통된 하부 샤프트와,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결합공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날개를 구비한 하부 임펠러;
    상기 하부 임펠러와 동일한 형상 및 결합관계로 상부 샤프트와 상부 날개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상판의 양 측을 가로지르는 상부 임펠러;
    상기 하부 임펠러와 상부 임펠러를 연결한 체인;
    판상 형태로 복수 개의 통공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서 상기 배면부 일 측까지 경사지게 연장된 것으로,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하부 날개의 일 측에 부딪쳐 상기 하부 날개의 이탈을 방지하는 메인 스토퍼;
    상기 상부 임펠러가 장착된 상기 상판의 일 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된 것으로,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상부 날개의 일 측에 부딪쳐 상기 상부 날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서브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스토퍼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 측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기립된 하부 기립부와, 상기 하부 기립부의 단부에서 상기 배면부를 향해 수평 연장되어 상기 하부 임펠러의 아래 측에 위치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서 상기 배면부를 향해 상향 경사 연장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상기 배면부에 결합되는 상부 기립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스토퍼는,
    상기 상부 샤프트의 아래 측인 상판의 일 측에서 상기 배면부 측으로 상향 경사 연장된 서브 경사부와, 상기 서브 경사부의 단부에서 법선 방향으로 상기 상판의 타 측으로 연장된 서브 기립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의 외측 면에는,
    상부가 개방된 것으로, 상기 상부 임펠러 및 하부 임펠러의 회전으로 상기 상부 개방부로 배출된 이물질을 수납하는 케이스가 추가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부 기립부 주변의 상기 배면부의 양 측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 스토퍼의 상부 기립부는,
    상기 레일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입수부로 유입된 물의 외력에 의해 상기 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함으로써,
    상기 메인 스토퍼가 탄성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토퍼는,
    상기 안착부와 상기 경사부의 경계 부위를 라운딩지게 챔퍼 처리한 제 1 절곡부와,
    상기 안착부와 상기 하부 기립부의 경계 부위를 라운딩지게 챔퍼 처리한 제 2 절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곡부의 내측 면에는,
    상기 안착부 측 절곡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 2 절곡부의 중앙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선에 만나는 지점까지 제 1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제 1 라운딩 섹션과,
    상기 가상선으로부터 상기 하부 기립부 측 절곡 종료 지점을 향한 상기 제 2 절곡부의 외측 절곡 부위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제 2 곡률반경으로서 상기 제 1 라운딩 섹션의 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기립부 측 절곡 종료 지점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라운딩 섹션 및,
    상기 제 2 라운딩 섹션의 단부에서 변곡되어 상기 하부 기립부 측 절곡 종료 지점까지 제 3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제 3 라운딩 섹션으로 이루어진 절곡 보조 파트;가 추가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경사부의 내측 면에 접하도록 신축 가능하게 연장된 것으로서, 신축 작용에 의해 상기 메인 스토퍼를 탄성 회동시키는 유압 실린더;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장치는,
    일 단이 상기 경사부의 내측 면에 접한 태엽 스프링과, 상기 태엽 스프링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측부의 일 측 외부로 노출 연장된 것으로 회전 시 상기 태엽 스프링을 감거나 푸는 태엽 스프링 샤프트로 이루어진 롤링 구동부;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구동부는,
    상기 태엽 스프링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태엽 스프링 샤프트를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상측 면에는,
    하중감지센서가 추가로 장착되고,
    상기 롤링 구동부는,
    상기 하중감지센서에서 감지한 하중의 고저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 파트;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토퍼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 주변의 상기 하부 기립부의 일부 영역이 일정 면적으로 관통된 진입부와, 상기 진입부에서 하부 기립부의 내측으로 함입 연장된 수납부를 구비한 이물질 수납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납부는,
    상기 진입부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발이 상기 진입부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되,
    상기 발의 하단 주변의 내측 면에는,
    일정 중량을 가진 입체 형상의 스파이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KR1020180134524A 2018-11-05 2018-11-05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KR101963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524A KR101963373B1 (ko) 2018-11-05 2018-11-05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US16/671,439 US11173431B2 (en) 2018-11-05 2019-11-01 Non-powered drain pump screen device
PCT/KR2019/014802 WO2020096297A1 (ko) 2018-11-05 2019-11-04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524A KR101963373B1 (ko) 2018-11-05 2018-11-05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373B1 true KR101963373B1 (ko) 2019-07-11

Family

ID=6725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524A KR101963373B1 (ko) 2018-11-05 2018-11-05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3373B1 (ko)
WO (1) WO2020096297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8373A (zh) * 2019-08-16 2019-10-11 天台云层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野外渠道防堵塞装置
KR102089691B1 (ko) * 2019-10-08 2020-03-16 주식회사 투에이치 산업 퇴적물 처리 기능을 구비한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KR102089689B1 (ko) * 2019-10-08 2020-03-16 주식회사 투에이치 산업 퇴적물 처리 기능을 구비한 서브 임펠러 기반의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KR102080796B1 (ko) * 2019-07-31 2020-04-24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수질환경오염방지구조물
CN111185039A (zh) * 2020-01-20 2020-05-22 荆门怡盛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牧场用环保净水装置
CN111437650A (zh) * 2020-03-25 2020-07-24 南通通容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电容器生产废液回收的过滤装置
CN111589213A (zh) * 2020-05-27 2020-08-28 金华天晟合纤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纺布生产中的污水处理设备
KR102209362B1 (ko) * 2020-05-14 2021-02-01 (주)단엔지니어링 강우시 합류되는 유출수의 선별적 하수처리시스템
CN112726397A (zh) * 2020-12-25 2021-04-30 河南永明市政园林建设有限公司 一种公路桥梁桥面排水设备
CN112999726A (zh) * 2021-03-09 2021-06-22 福建诚铄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排水结构
CN113230715A (zh) * 2021-05-08 2021-08-10 贵州大学 一种鸡球虫裂殖子纯化过滤装置
CN113521830A (zh) * 2021-06-11 2021-10-22 江如莉 一种环保节能型城市生活污水处理装置
CN113577869A (zh) * 2021-08-02 2021-11-02 贵州华电桐梓发电有限公司 一种石膏排出泵进口过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12926A (zh) * 2019-11-07 2020-02-21 湖南大源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地埋式一体化渗滤液处理机转运装置
CN114855952B (zh) * 2022-04-28 2023-02-03 海安亦奇家具有限公司 一种分离式厨房水槽过滤清理装置
CN115057490B (zh) * 2022-05-09 2023-12-26 余庆毛巴渔业开发有限公司 一种渔业养殖尾水循环回用的处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6590A (ja) * 2003-11-13 2005-06-09 Hitachi Kiden Kogyo Ltd 越流水除塵装置におけるドラムスクリーンの稼働検知システム
KR101055171B1 (ko) * 2011-02-21 2011-08-08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스크린 파쇄기 및 펌프 일체형 수문
KR101702836B1 (ko) * 2016-11-28 2017-02-06 엔트라 주식회사 자체 세정기능을 갖는 스크린이 구비된 비점오염정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1747A (ja) * 1997-12-18 1999-07-06 Nishida Marine Boiler Co Ltd 水力駆動式除塵機の水車装置
KR100835165B1 (ko) * 2006-12-06 2008-06-09 (주)지엔에스 엔지니어링 물레의 회전 원리를 이용한 무동력 협잡물 제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6590A (ja) * 2003-11-13 2005-06-09 Hitachi Kiden Kogyo Ltd 越流水除塵装置におけるドラムスクリーンの稼働検知システム
KR101055171B1 (ko) * 2011-02-21 2011-08-08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스크린 파쇄기 및 펌프 일체형 수문
KR101702836B1 (ko) * 2016-11-28 2017-02-06 엔트라 주식회사 자체 세정기능을 갖는 스크린이 구비된 비점오염정화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796B1 (ko) * 2019-07-31 2020-04-24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수질환경오염방지구조물
CN110318373A (zh) * 2019-08-16 2019-10-11 天台云层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野外渠道防堵塞装置
KR102089691B1 (ko) * 2019-10-08 2020-03-16 주식회사 투에이치 산업 퇴적물 처리 기능을 구비한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KR102089689B1 (ko) * 2019-10-08 2020-03-16 주식회사 투에이치 산업 퇴적물 처리 기능을 구비한 서브 임펠러 기반의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CN111185039A (zh) * 2020-01-20 2020-05-22 荆门怡盛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牧场用环保净水装置
CN111437650A (zh) * 2020-03-25 2020-07-24 南通通容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电容器生产废液回收的过滤装置
KR102209362B1 (ko) * 2020-05-14 2021-02-01 (주)단엔지니어링 강우시 합류되는 유출수의 선별적 하수처리시스템
CN111589213A (zh) * 2020-05-27 2020-08-28 金华天晟合纤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纺布生产中的污水处理设备
CN112726397A (zh) * 2020-12-25 2021-04-30 河南永明市政园林建设有限公司 一种公路桥梁桥面排水设备
CN112726397B (zh) * 2020-12-25 2022-05-31 河南永明市政园林建设有限公司 一种公路桥梁桥面排水设备
CN112999726A (zh) * 2021-03-09 2021-06-22 福建诚铄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排水结构
CN112999726B (zh) * 2021-03-09 2022-05-13 福建诚铄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排水结构
CN113230715A (zh) * 2021-05-08 2021-08-10 贵州大学 一种鸡球虫裂殖子纯化过滤装置
CN113521830A (zh) * 2021-06-11 2021-10-22 江如莉 一种环保节能型城市生活污水处理装置
CN113577869A (zh) * 2021-08-02 2021-11-02 贵州华电桐梓发电有限公司 一种石膏排出泵进口过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6297A1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373B1 (ko) 무동력 배수펌프 스크린 장치
US20200139272A1 (en) Non-powered drain pump screen device
CN207376460U (zh) 一种公路桥面的排水装置
CN207512873U (zh) 一种雨污分离装置
JP4156843B2 (ja) 沈砂池設備
CN110479441A (zh) 一种地下室污水处理装置
CN214461069U (zh) 一种市政工程暗渠防堵结构
CN104763037B (zh) 初期雨水弃流雨水口
KR101033015B1 (ko)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
CN114541322B (zh) 具有打捞污物功能的河堤防护装置
CN213390457U (zh) 一种防堵地漏
CN114016522B (zh) 一种岩土工程边坡加固结构
CN111827458B (zh) 一种市政下水道污水排放处理***
CN209686183U (zh) 一种新型道路路面结构
CN113338420A (zh) 一种市政园林排水***
CN208871169U (zh) 适用于深基坑的混凝土输送管
CN209081524U (zh) 一种新型滗水装置
CN109806648B (zh) 一种污水处理装置
CN207891998U (zh) 联排别墅地下雨水集中排放结构
CN207314491U (zh) 一种翻板式截流井
KR100775443B1 (ko) 부유물 수거장치가 내설된 하수관로
RU261030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удаления отложений
KR101068592B1 (ko)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
JP4458823B2 (ja) 逆止弁
CN205832700U (zh) 周边传动刮吸泥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