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087B1 -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087B1
KR101962087B1 KR1020190018207A KR20190018207A KR101962087B1 KR 101962087 B1 KR101962087 B1 KR 101962087B1 KR 1020190018207 A KR1020190018207 A KR 1020190018207A KR 20190018207 A KR20190018207 A KR 20190018207A KR 101962087 B1 KR101962087 B1 KR 101962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flux
coil structure
soldering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봉원호
Original Assignee
봉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봉원호 filed Critical 봉원호
Priority to KR1020190018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0Connecting leads to windings
    • G01R31/0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64Winding non-flat conductive wires, e.g. rods, cables or co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76Forming taps or terminals while winding, e.g. by wrapping or soldering the wire onto pins, or by directly forming terminals from the wi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2Insulating of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50/443Connections to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의 가공장치는, 회전부, 복수의 코일 구조체가 안착된 채, 상기 회전판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체공급부, 상기 구조체공급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조체공급부의 끝단에 위치한 코일 구조체를 인접한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반입부, 코일 구조체의 코일을 커버하도록 테이핑하는 테이핑부, 코일 구조체의 코일과 제1 분기부에 연결된 단자의 제1 연결부위에 플럭스(flux)를 도포하는 제1 플럭스제공부, 코일 구조체의 플럭스가 도포된 상기 제1 연결부위를 솔더링(soldering)하는 제1 솔더링부, 코일 구조체의 코일과 제2 분기부에 연결된 단자의 제2 연결부위에 플럭스(flux)를 도포하는 제2 플럭스제공부, 코일 구조체의 플럭스가 도포된 상기 제2 연결부위를 솔더링(soldering)하는 제2 솔더링부, 코일 구조체의 솔더링된 상기 제1 연결부위 및 상기 제2 연결부위의 불량 유무를 확인하는 솔더링체크부, 코일 구조체의 단자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여, 코일과 단자의 연결 불량 유무를 확인하는 단자체크부, 불량으로 판명된 코일 구조체를 안착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불량탈락부 및 코일 구조체를 안착부로부터 외부로 반출시키는 반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Processing device for structure of coil for electromagnetic switch}
본 발명은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코일이 권취된 코일 보빈과, 상기 코일 보빈의 하측에 분기된 단자 삽입공간에 삽입된 단자로 구성된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의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개폐기는 전원을 인가시켜 전기가 흐르면, 통전이 이루어지면서 회로에 연결되어 있는 부하(모터 등)가 동작하고, 반대로 전원을 끄게 되면 전류가 흐르지 않아 부하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전자개폐기의 작동을 위해서는 전자개폐기 내부에 코일을 설치하게 되는데, 코일은 보통 사출 성형된 코일보빈에 프레스 성형된 터미널단자를 조립하고, 코일보빈에 코일을 나선형으로 감은 후, 코일과 터미널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16-012635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의 코일을 커버하고, 코일과 단자의 연결을 위한 솔더링 및 코일과 단자의 연결 불량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의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는, 코일이 권취된 코일 보빈 - 상기 코일이 권취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된 채, 단자의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제1 분기부 및 제2 분기부를 구비함 - 과, 상기 코일 보빈의 하측에 분기된 단자 삽입공간에 삽입된 단자로 구성된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의 가공장치에 있어서, 제1 시간 간격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외측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연결되어, 이송된 상기 코일 구조체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부를 구비하는 회전부, 복수의 코일 구조체가 안착된 채, 상기 회전판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체공급부, 상기 구조체공급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조체공급부의 끝단에 위치한 코일 구조체를 인접한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반입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반입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코일을 커버하도록 테이핑하는 테이핑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테이핑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코일과 제1 분기부에 연결된 단자의 제1 연결부위에 플럭스(flux)를 도포하는 제1 플럭스제공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플럭스제공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플럭스가 도포된 상기 제1 연결부위를 솔더링(soldering)하는 제1 솔더링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솔더링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코일과 제2 분기부에 연결된 단자의 제2 연결부위에 플럭스(flux)를 도포하는 제2 플럭스제공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플럭스제공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플럭스가 도포된 상기 제2 연결부위를 솔더링(soldering)하는 제2 솔더링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솔더링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솔더링된 상기 제1 연결부위 및 상기 제2 연결부위의 불량 유무를 확인하는 솔더링체크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솔더링체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단자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여, 코일과 단자의 연결 불량 유무를 확인하는 단자체크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단자체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솔더링체크부 또는 상기 단자체크부에 의해 불량으로 판명된 코일 구조체를 안착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불량탈락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불량탈락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를 안착부로부터 외부로 반출시키는 반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상기 안착부는, 상기 회전판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 보빈의 중공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판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삽입부에 안착된 코일 구조체가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구조체공급부는,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는 시간 동안, 상기 회전판을 향해 이동되어 안착된 복수의 코일 구조체가 상기 회전판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반입부는, 상기 구조체공급부의 끝단에 위치한 코일 구조체를 그립한 채, 위치 이동되어 코일 구조체의 코일 보빈의 중공이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상기 테이핑부는, 절연테이프가 권취되며,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권취된 코일과 절연테이프의 접착면이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테이프배치부, 상기 테이프배치부에 권취된 절연테이프의 끝단을 그립한 채, 위치 이동되어 권취된 절연테이프의 일정 부분을 권출하는 권출부, 상기 권출부에 의해 권출된 절연테이프의 일정 부분을 가압하여, 절연테이프의 접착면이 코일 구조체의 권취된 코일에 부착되도록 하는 접촉유도부,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상면을 가압한 채, 회전되어 상기 접촉유도부에 의해 부착된 절연테이프가 코일 구조체의 권취된 코일을 커버하도록 권취되도록 하는 가압회전부 및 상기 가압회전부에 의한 회전 완료 후, 상기 테이프배치부와 코일 구조체에 연결된 절연테이프를 커팅하는 커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상기 가압회전부는, 절연테이프의 일정 부분이 코일 구조체의 권취된 코일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접촉유도부의 위치 이동이 완료된 후,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절연테이프의 끝단이 권취된 코일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된 후,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어 절연테이프가 코일 구조체의 권취된 코일에 권취되도록 하며, 상기 테이프배치부는, 상기 가압회전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권취된 절연테이프가 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테이핑부와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플럭스제공부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기립된 기립상태에서 상기 회전판을 기준으로 제3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연결부위가 하측 방향을 대향하도록 도복되며, 상기 제1 플럭스제공부는, 상기 안착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플럭스가 수용되는 제1 플럭스수용부 및 상기 제1 플럭스수용부를 기준으로 승강하되, 상기 제1 플럭스수용부에 수용된 플럭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1 연결부위에 도포하는 제1 도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도포부는, 상기 제1 플럭스수용부에 수용된 플럭스 내에 수용된 제1 위치로부터 상승하여, 상기 제1 연결부위와 접촉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상기 제1 솔더링부는, 안착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액화된 납이 수용되는 제1 납수용부, 상기 제1 납수용부를 기준으로 승강하되, 상기 제1 납수용부에 수용된 납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1 연결부위에 도포한 채, 가열되어 상기 제1 연결부위를 솔더링하는 제1 가열부 및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위가 솔더링 되는 중에 코일 구조체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위치이동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열부는, 상기 제1 납수용부에 수용된 납 내에 수용된 제3 위치로부터 상승하여, 상기 제1 연결부위와 접촉되는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1 솔더링부는, 상기 제1 가열부가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제1 납수용부에 수용된 액화된 납의 표면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 표면클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표면클린부는, 상기 제1 납수용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1 위치이동부의 끝단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납수용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배치부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를 기준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납수용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제1 납수용부에 수용된 납의 표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납수용부의 타측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제1 위치이동부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납수용부에 수용된 납의 표면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솔더링부와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플럭스제공부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회전판을 기준으로 상기 제3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 연결부위가 하측 방향을 대향하도록 도복되며, 상기 제2 플럭스제공부는, 상기 안착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플럭스가 수용되는 제2 플럭스수용부 및 상기 제2 플럭스수용부를 기준으로 승강하되, 상기 제2 플럭스수용부에 수용된 플럭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2 연결부위에 도포하는 제2 도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도포부는, 상기 제2 플럭스수용부에 수용된 플럭스 내에 수용된 제5 위치로부터 상승하여, 상기 제2 연결부위와 접촉되는 제6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2 솔더링부는, 안착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액화된 납이 수용되는 제2 납수용부, 상기 제2 납수용부를 기준으로 승강하되, 상기 제2 납수용부에 수용된 납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2 연결부위에 도포한 채, 가열되어 상기 제2 연결부위를 솔더링하는 제2 가열부 및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연결부위가 솔더링 되는 중에 코일 구조체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위치이동방지부를 구비하며,상기 제2 가열부는, 상기 제2 납수용부에 수용된 납 내에 수용된 제7 위치로부터 상승하여, 상기 제2 연결부위와 접촉되는 제8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솔더링부와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솔더링체크부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도복된 도복상태에서 상기 회전판을 기준으로 상기 제3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기립상태에 위치하고, 상기 솔더링체크부는,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제1 연결부위 및 제2 연결부위에 접촉되어, 솔더링 불량 유무를 판별하며, 상기 단자체크부는,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상기 제1 분기부에 삽입된 단자와 상기 제2 분기부에 삽입된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통해 상기 코일 및 상기 단자의 연결 불량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상기 불량탈락부는,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솔더링체크부 또는 상기 단자체크부에 의해 불량이라고 판정되면,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를 그립한 채, 삽입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며, 상기 반출부는,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된 채,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를 그립한 채,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 보빈에 권취된 코일을 절연테이프로 커버하여, 코일을 보호하고, 귄취된 코일과 단자의 솔더링을 자동화할 수 있다.
또한, 코일과 단자의 솔더링 및 코일과 단자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불량품을 걸러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2는 코일 구조체를 도시한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구조체공급부 및 반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테이핑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제1 플럭스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제1 솔더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제2 플럭스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제2 솔더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솔더링체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단자체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불량탈락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반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고, 도 2는 코일 구조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이하,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는, 코일이 권취된 코일 보빈(3)과, 상기 코일 보빈(3)의 하측에 분기된 단자 삽입공간에 삽입된 단자(6)로 구성된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2)를 가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일 보빈(3)은, 상기 코일이 권취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된 채, 단자(6)의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제1 분기부(4) 및 제2 분기부(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는, 회전부(200, 도 3 참조), 구조체공급부(300), 반입부(10), 테이핑부(20), 제1 플럭스제공부(30), 제1 솔더링부(40), 제2 플럭스제공부(50), 제2 솔더링부(60), 솔더링체크부(70), 단자체크부(80), 불량탈락부(90) 및 반출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00)는, 제1 시간 간격으로 일방향(D)으로 회전하는 회전판(210) 및 상기 회전판(210)의 외측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연결되어, 이송된 상기 코일 구조체(2)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조체공급부(300)는, 복수의 코일 구조체(2)가 안착된 채, 상기 회전판(210)을 향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입부(10)는, 상기 구조체공급부(30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조체공급부(300)의 끝단에 위치한 코일 구조체(2)를 인접한 삽입부(223a)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테이핑부(20)는,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방향(D)을 따라, 상기 반입부(10)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210)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삽입부(223b) 상의 코일 구조체(2)의 코일을 커버하도록 테이핑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럭스제공부(30)는,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방향(D)을 따라, 상기 테이핑부(20)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210)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삽입부(223c) 상의 코일 구조체(2)의 코일과 제1 분기부(4)에 연결된 단자(6)의 제1 연결부위(P1)에 플럭스를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플럭스란, 전자부품 및 다른 금속을 솔더링(납땜)할 때나 땜납을 제거할 때 바르는 화학물질이다. 상기 플럭스는, 금속 표면을 깨끗하게 만들어 땜납이 부품의 핀을 잘 흐르도록 할 수 있으며, 부품의 핀으로 열이 잘 전달되도록 하고, 금속 표면의 산화물 제거를 돕는다.
상기 제1 솔더링부(40)는,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방향(D)을 따라, 상기 제1 플럭스제공부(30)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210)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삽입부(223d) 상의 코일 구조체(2)의 플럭스가 도포된 제1 연결부위(P1)를 솔더링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럭스제공부(50)는,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방향(D)을 따라, 상기 제1 솔더링부(40)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210)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삽입부(223e) 상의 코일 구조체(2)의 코일과 제2 분기부(5)에 연결된 단자(6)의 제2 연결부위(P2)에 플럭스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제2 솔더링부(60)는,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방향(D)을 따라, 상기 제2 플럭스제공부(50)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210)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삽입부(223f) 상의 코일 구조체(2)의 플럭스가 도포된 상기 제2 연결부위(P2)를 솔더링할 수 있다.
상기 솔더링체크부(70)는,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방향(D)을 따라, 상기 제2 솔더링부(60)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210)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삽입부(223g) 상의 코일 구조체(2)의 솔더링된 상기 제1 연결부위(P1) 및 제2 연결부위(P2)의 불량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단자체크부(80)는,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방향(D)을 따라, 상기 솔더링체크부(70)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210)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삽입부(223h) 상의 코일 구조체(2)의 단자(6)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여, 코일과 단자(6)의 연결 불량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불량탈락부(90)는,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방향(D)을 따라, 상기 단자체크부(80)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210)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솔더링체크부(70) 또는 상기 단자체크부(80)에 의해 불량으로 판명된 코일 구조체(2)를 삽입부(220i)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출부(100)는,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방향(D)을 따라, 상기 불량탈락부(90)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210)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삽입부(223j) 상의 코일 구조체(2)를 안착부(220)로부터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 3 내지 도 29를 참조로, 각각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구조체공급부 및 반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안착부(220)는, 상기 회전판(2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결된 연결부(221) 및 상기 연결부(221)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 보빈(3)의 중공(S)이 삽입되는 삽입부(2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1)는, 상기 회전판(210)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삽입부(223)에 안착된 코일 구조체(2)가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23)에 안착된 코일 구조체(2)는 상기 연결부(221)의 회동에 따라 기립 또는 도복될 수 있다. 여기서, 코일 구조체(2)가 기립되는 경우는, 코일 보빈(3)의 중공(S)이 연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하며, 코일 구조체(2)가 도복되는 경우는, 코일 보빈(3)의 중공(S)이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구조체공급부(300)는, 상기 회전판(210)이 회전하는 시간 동안, 상기 회전판(210)을 향해 이동되어 안착된 복수의 코일 구조체(2)가 상기 회전판(210)을 향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조체공급부(300)는, 무한 궤도로 회전하는 일종의 컨베이어 벨트 일 수 있다.
상기 반입부(10)는, 상기 구조체공급부(300)의 끝단에 위치한 코일 구조체(2)를 그립(grib)한 채, 위치 이동되어 코일 구조체(2)의 코일 보빈(3)의 중공(S)이 상기 삽입부(223a)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입부(10)는,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2개의 그립부에 의해 상기 코일 구조체(2)를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 할 수 있으며, 상기 구조체공급부(300)의 상측과 인접한 안착부(220)의 상측을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테이핑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테이핑부(20)는, 테이프배치부(21), 권출부(22), 접촉유도부(23), 가압회전부(24) 및 커팅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배치부(21)는, 절연테이프(T)가 권취되며,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2)의 권취된 코일과 절연테이프(T)의 접착면이 대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권출부(22)는, 상기 테이프배치부(21)에 권취된 절연테이프(T)의 끝단을 그립한 채, 위치 이동되어 권취된 절연테이프(T)의 일정 부분을 권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출부(22)는, 후술한 접촉유도부(23)에 의해 권출된 절연테이프(T)의 일정 부분이 가압되는 동시에 그립한 절연테이프(T)를 그립 해제하여, 절연테이프(T)가 코일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배치부(21)는,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코일 구조체(2)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권출부(22)는,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코일 구조체(2)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프배치부(21)로부터 상기 권출부(22)까지 권출된 절연테이프(T)가 코일 구조체(2)의 코일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접촉유도부(23)는, 상기 권출부(22)에 의해 권출된 절연테이프(T)의 일정 부분을 가압하여, 절연테이프(T)의 접착면이 코일 구조체(2)의 권취된 코일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유도부(23)는, 상기 테이프배치부(21)와 상기 권출부(22)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테이프배치부(21)와 상기 권출부(22) 사이로 권출된 절연테이프(T)의 일정 부분을 가압하여, 일정 부분인 코일 구조체(2)의 코일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유도부(23)가 상기 권출된 절연테이프(T)의 일정 부분을 가압할 때, 상기 권출부(22)는 절연테이프(T)의 끝단 그립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가압회전부(24)는,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2)의 상면을 가압한 채, 회전되어 상기 접촉유도부(23)에 의해 부착된 절연테이프(T)가 코일 구조체(2)의 권취된 코일을 커버하도록 권취 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회전부(24)는, 절연테이프(T)의 일정 부분이 코일 구조체(2)의 권취된 코일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접촉유도부(23)의 위치 이동이 완료된 후, 제1 방향(D1)으로 회전되어 절연테이프(T)의 끝단이 권취된 코일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회전된 후,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회전되어 절연테이프(T)가 코일 구조체(2)의 권취된 코일에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압회전부(24)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권출부(22)에 그립되었던 절연테이프(T)의 끝단이 권취된 코일의 외주면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회전부(24)가 상기 제2 방향(D2)으로 회전되는 경우, 권취되어 있던 상기 테이프배치부(21)의 절연테이프(T)가 권출되면서, 권취된 코일의 외주면에 권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회전부(24)는 한바퀴 이상 회전되어, 권취된 코일이 절연테이프(T)에 의해 커버됨으로써,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압회전부(24)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회전은 절연테이프(T)의 일정 부분을 기준으로 자유단인 끝단의 코일로의 접촉을 위해 구현되며,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회전은 절연테이프(T)의 일정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테이프배치부(21)와 연결된 고정단의 코일로의 접촉을 위해 구현된다.
상기 테이프배치부(21)는, 상기 가압회전부(24)가 상기 제2 방향(D2)으로 회전되는 경우, 권취된 절연테이프(T)가 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팅부(25)는, 상기 가압회전부(24)에 의한 회전 완료 후, 상기 테이프배치부(21)와 코일 구조체(2)에 연결된 절연테이프(T)를 커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부(25)에 의해 커팅된 절연테이프(T)의 끝단은 상기 권출부(22)에 의해 그립되어 준비 상태가 된다.
여기서, 준비 상태란, 상기 권출부(22)에 의해 절연테이프(T)가 권출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권출부(22)는, 상기 테이프배치부(21)와의 이격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며, 상기 테이프배치부(21)를 향해 이동되는 경우 상기 커팅부(25)에 의해 커팅된 절연테이프(T)의 끝단을 그립하고, 상기 테이프배치부(2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경우, 상기 테이프배치부(21)에 권취된 절연테이프(T)를 권출시키게 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제1 플럭스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제1 플럭스제공부(30)는, 제1 플럭스수용부(31) 및 제1 도포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1)는, 상기 테이핑부(20)와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플럭스제공부(30)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 되면, 기립된 기립상태에서 상기 회전판(210)을 기준으로 제3 방향(D3)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연결부위(P1)가 하측 방향을 대향하도록 도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럭스수용부(31)는, 상기 안착부(220)의 하측에 배치되어, 플럭스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포부(33)는, 상기 제1 플럭스수용부(31)를 기준으로 승강하되, 상기 제1 플럭스수용부(31)에 수용된 플럭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1 연결부위(P1)에 도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도포부(33)는, 상기 제1 플럭스수용부(31)에 수용된 플럭스 내에 수용된 제1 위치(도 12 참조)로부터 상승하여, 상기 제1 연결부위(P1)와 접촉되는 제2 위치(도 13 참조)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포부(33) 중, 상기 제1 연결부위(P1)와 접촉되는 영역은 접촉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중에, 상기 제1 플럭스수용부(31) 내의 플럭스가 수용된 채, 상기 제1 연결부위(P1)와 접촉되어 상기 제1 연결부위(P1)에 플럭스가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제1 솔더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1)의 제1 솔더링부(40)는, 제1 납수용부(41), 제1 가열부(43) 및 제1 위치이동방지부(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납수용부(41)는, 안착부(2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액화된 납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열부(43)는, 상기 제1 납수용부(41)에 수용된 납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1 연결부위(P1)에 도포한 채, 가열되어 상기 제1 연결부위(P1)를 솔더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열부(43)는, 상기 제1 납수용부(41)에 수용된 납 내에 수용된 제3 위치(도 14 참조)로부터 상승하여, 상기 제1 연결부위(P1)와 접촉되는 제4 위치(도 15 참조)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열부(43)의 상기 제1 연결부위(P1)와의 접촉 부분은, 함입되어 상기 제3 위치로부터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함입된 영역에 납의 일정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가열부(43)의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1 연결부위(P1)와 접촉되면, 상기 제1 연결부위(P1)와의 사이에 납이 위치한 채, 가열되어 솔더링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이동방지부(45)는, 안착부(2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위(P1)가 솔더링 되는 중에 코일 구조체(2)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솔더링부(40)는, 상기 제1 가열부(43)가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제1 납수용부(41)에 수용된 액화된 납의 표면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 표면클린부(4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면클린부(47)는, 상기 제1 납수용부(4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 위치이동부(471) 및 상기 제1 위치이동부(471)의 끝단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납수용부(4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배치부(47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치부(473)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471)를 기준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1 위치이동부(471)가 상기 제1 납수용부(4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제1 납수용부(41)에 수용된 납의 표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배치부(473)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471)가 상기 제1 납수용부(41)의 타측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제1 위치이동부(471)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납수용부(41)에 수용된 납의 표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제2 플럭스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제2 플럭스제공부(50)는, 제2 플럭스수용부(51) 및 제2 도포부(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1)는, 상기 제1 솔더링부(40)와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플럭스제공부(50)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 되면, 기립된 기립상태에서 상기 회전판(210)을 기준으로 제4 방향(D4)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 연결부위(P2)가 하측 방향을 대향하도록 도복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럭스수용부(51)는, 안착부(220)의 하측에 배치되어, 플럭스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포부(53)는, 상기 제2 플럭스수용부(51)를 기준으로 승강하되, 상기 제2 플럭스수용부(51)에 수용된 플럭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2 연결부위(P2)에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포부(53)는, 상기 제2 플럭스수용부(51)에 수용된 플럭스 내에 수용된 제5 위치(도 18 참조)로부터 상승하여, 상기 제2 연결부위(P2)와 접촉되는 제6 위치(도 19 참조)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도포부(53)는, 상기 제2 플럭스수용부(51)에 수용된 플럭스 내에 수용된 제5 위치로부터 상승하여, 상기 제2 연결부위(P2)와 접촉되는 제6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포부(53) 중, 상기 제2 연결부위(P2)와 접촉되는 영역은 접촉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제5 위치에서 상기 제6 위치로 이동 중에, 상기 제2 플럭스수용부(51) 내의 플럭스가 수용된 채, 상기 제2 연결부위(P2)와 접촉되어 상기 제2 연결부위(P2)에 플럭스가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제2 솔더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제2 솔더링부(60)는, 제2 납수용부(61), 제2 가열부(63) 및 제2 위치이동방지부(6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납수용부(61)는, 안착부(2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액화된 납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열부(63)는, 상기 제2 납수용부(61)를 기준으로 승강하되, 상기 제2 납수용부(61)에 수용된 납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2 연결부위(P2)에 도포한 채, 가열되어 상기 제2 연결부위(P2)를 솔더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가열부(63)는, 상기 제2 납수용부(61)에 수용된 납 내에 수용된 제7 위치(도 20 참조)로부터 상승하여, 상기 제2 연결부위(P2)와 접촉되는 제8 위치(도 21 참조)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이동방지부(65)는, 상기 제2 연결부위(P2)가 솔더링 되는 중에 코일 구조체(2)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솔더링부는, 상기 제2 가열부(63)가 상기 제8 위치에서 상기 제7 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제2 납수용부(61)에 수용된 액화된 납의 표면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2 표면클린부(6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면클린부(67)는, 상기 제2 납수용부(6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 위치이동부(671)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671)의 끝단에 연결된 채, 상기 제2 납수용부(6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배치부(67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치부(673)는, 상기 제2 위치이동부(671)를 기준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2 위치이동부(671)가 상기 제2 납수용부(6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제2 납수용부(61)에 수용된 납의 표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배치부(673)는, 상기 제2 위치이동부(671)가 상기 제2 납수용부(61)의 타측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제2 위치이동부(671)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 납수용부(61)에 수용된 납의 표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솔더링체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단자체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솔더링체크부(70)는,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2)의 제1 연결부위(P1) 및 제2 연결부위(P2)에 접촉되어, 솔더링 불량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1)는, 상기 제2 솔더링부(60)와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솔더링체크부(70)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도복된 도복상태에서 상기 회전판(210)을 기준으로 상기 제3 방향(D3)으로 회전되어, 상기 기립상태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단자체크부(80)는,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2)의 상기 제1 분기부(4)에 삽입된 단자(6a)와 상기 제2 분기부(5)에 삽입된 단자(6b)에 각각 접속되는 제1 전극(81) 및 제2 전극(82)을 통해 상기 코일 및 단자(6)의 연결 불량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불량탈락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반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의 불량탈락부(90)는, 안착부(2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솔더링체크부(70) 또는 상기 단자체크부(80)에 의해 불량이라고 판정되면,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2)를 그립한 채, 삽입부(223)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는, 상기 솔더링체크부(70) 및 상기 단자체크부(80)와 연결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솔더링체크부(70) 및 상기 단자체크부(8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불량탈락부(9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솔더링체크부(70) 및 상기 단자체크부(80)로부터 양품이라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불량탈락부(90)를 구동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반출부(100)는, 안착부(220)의 상측에 배치된 채,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2)를 그립한 채,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량탈락부(90)에 의해 불량품이라고 판단되어 탈락된 코일 구조체(2)가 있는 경우, 상기 반출부(100)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기계 작동 및 전기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코일 구조체의 가공장치
2: 코일 구조체
3: 코일 보빈
10: 반입부
20: 테이핑부
30: 제1 플럭스제공부
40: 제1 솔더링부
50: 제2 플럭스제공부
60: 제2 솔더링부
70: 솔더링체크부
80: 단자체크부
90: 불량탈락부
100: 반출부

Claims (7)

  1. 코일이 권취된 코일 보빈 - 상기 코일이 권취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된 채, 단자의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제1 분기부 및 제2 분기부를 구비함 - 과, 상기 코일 보빈의 하측에 분기된 단자 삽입공간에 삽입된 단자로 구성된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의 가공장치에 있어서,
    제1 시간 간격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외측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연결되어, 이송된 상기 코일 구조체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부를 구비하는 회전부;
    복수의 코일 구조체가 안착된 채, 상기 회전판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체공급부;
    상기 구조체공급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조체공급부의 끝단에 위치한 코일 구조체를 인접한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반입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반입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코일을 커버하도록 테이핑하는 테이핑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테이핑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코일과 제1 분기부에 연결된 단자의 제1 연결부위에 플럭스(flux)를 도포하는 제1 플럭스제공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플럭스제공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플럭스가 도포된 상기 제1 연결부위를 솔더링(soldering)하는 제1 솔더링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솔더링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코일과 제2 분기부에 연결된 단자의 제2 연결부위에 플럭스(flux)를 도포하는 제2 플럭스제공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플럭스제공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플럭스가 도포된 상기 제2 연결부위를 솔더링(soldering)하는 제2 솔더링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솔더링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솔더링된 상기 제1 연결부위 및 상기 제2 연결부위의 불량 유무를 확인하는 솔더링체크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솔더링체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단자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여, 코일과 단자의 연결 불량 유무를 확인하는 단자체크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단자체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솔더링체크부 또는 상기 단자체크부에 의해 불량으로 판명된 코일 구조체를 안착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불량탈락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불량탈락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를 안착부로부터 외부로 반출시키는 반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회전판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 보빈의 중공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판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삽입부에 안착된 코일 구조체가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구조체공급부는,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는 시간 동안, 상기 회전판을 향해 이동되어 안착된 복수의 코일 구조체가 상기 회전판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반입부는,
    상기 구조체공급부의 끝단에 위치한 코일 구조체를 그립한 채, 위치 이동되어 코일 구조체의 코일 보빈의 중공이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테이핑부는,
    절연테이프가 권취되며,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권취된 코일과 절연테이프의 접착면이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테이프배치부,
    상기 테이프배치부에 권취된 절연테이프의 끝단을 그립한 채, 위치 이동되어 권취된 절연테이프의 일정 부분을 권출하는 권출부,
    상기 권출부에 의해 권출된 절연테이프의 일정 부분을 가압하여, 절연테이프의 접착면이 코일 구조체의 권취된 코일에 부착되도록 하는 접촉유도부,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상면을 가압한 채, 회전되어 상기 접촉유도부에 의해 부착된 절연테이프가 코일 구조체의 권취된 코일을 커버하도록 권취되도록 하는 가압회전부 및
    상기 가압회전부에 의한 회전 완료 후, 상기 테이프배치부와 코일 구조체에 연결된 절연테이프를 커팅하는 커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회전부는,
    절연테이프의 일정 부분이 코일 구조체의 권취된 코일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접촉유도부의 위치 이동이 완료된 후,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절연테이프의 끝단이 권취된 코일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된 후,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어 절연테이프가 코일 구조체의 권취된 코일에 권취되도록 하며,
    상기 테이프배치부는,
    상기 가압회전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권취된 절연테이프가 권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테이핑부와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플럭스제공부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기립된 기립상태에서 상기 회전판을 기준으로 제3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연결부위가 하측 방향을 대향하도록 도복되며,
    상기 제1 플럭스제공부는,
    안착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플럭스가 수용되는 제1 플럭스수용부 및 상기 제1 플럭스수용부를 기준으로 승강하되, 상기 제1 플럭스수용부에 수용된 플럭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1 연결부위에 도포하는 제1 도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도포부는,
    상기 제1 플럭스수용부에 수용된 플럭스 내에 수용된 제1 위치로부터 상승하여, 상기 제1 연결부위와 접촉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솔더링부는,
    안착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액화된 납이 수용되는 제1 납수용부, 상기 제1 납수용부를 기준으로 승강하되, 상기 제1 납수용부에 수용된 납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1 연결부위에 도포한 채, 가열되어 상기 제1 연결부위를 솔더링하는 제1 가열부 및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위가 솔더링 되는 중에 코일 구조체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위치이동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열부는,
    상기 제1 납수용부에 수용된 납 내에 수용된 제3 위치로부터 상승하여, 상기 제1 연결부위와 접촉되는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1 솔더링부는,
    상기 제1 가열부가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제1 납수용부에 수용된 액화된 납의 표면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 표면클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표면클린부는,
    상기 제1 납수용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1 위치이동부의 끝단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납수용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배치부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를 기준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납수용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제1 납수용부에 수용된 납의 표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납수용부의 타측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제1 위치이동부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납수용부에 수용된 납의 표면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솔더링부와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플럭스제공부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회전판을 기준으로 상기 제3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 연결부위가 하측 방향을 대향하도록 도복되며,
    상기 제2 플럭스제공부는,
    안착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플럭스가 수용되는 제2 플럭스수용부 및 상기 제2 플럭스수용부를 기준으로 승강하되, 상기 제2 플럭스수용부에 수용된 플럭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2 연결부위에 도포하는 제2 도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도포부는,
    상기 제2 플럭스수용부에 수용된 플럭스 내에 수용된 제5 위치로부터 상승하여, 상기 제2 연결부위와 접촉되는 제6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2 솔더링부는,
    안착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액화된 납이 수용되는 제2 납수용부, 상기 제2 납수용부를 기준으로 승강하되, 상기 제2 납수용부에 수용된 납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2 연결부위에 도포한 채, 가열되어 상기 제2 연결부위를 솔더링하는 제2 가열부 및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연결부위가 솔더링 되는 중에 코일 구조체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위치이동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가열부는,
    상기 제2 납수용부에 수용된 납 내에 수용된 제7 위치로부터 상승하여, 상기 제2 연결부위와 접촉되는 제8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솔더링부와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솔더링체크부와 인접한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도복된 도복상태에서 상기 회전판을 기준으로 상기 제3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기립상태에 위치하고,
    상기 솔더링체크부는,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제1 연결부위 및 제2 연결부위에 접촉되어, 솔더링 불량 유무를 판별하며,
    상기 단자체크부는,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의 상기 제1 분기부에 삽입된 단자와 상기 제2 분기부에 삽입된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통해 상기 코일 및 단자의 연결 불량 유무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탈락부는,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솔더링체크부 또는 상기 단자체크부에 의해 불량이라고 판정되면,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를 그립한 채, 삽입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며,
    상기 반출부는,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된 채,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 코일 구조체를 그립한 채, 외부로 반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
KR1020190018207A 2019-02-15 2019-02-15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 KR101962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207A KR101962087B1 (ko) 2019-02-15 2019-02-15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207A KR101962087B1 (ko) 2019-02-15 2019-02-15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087B1 true KR101962087B1 (ko) 2019-03-25

Family

ID=6590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207A KR101962087B1 (ko) 2019-02-15 2019-02-15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0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899B1 (ko) * 2019-05-29 2019-11-07 어대용 코일 부품 자동 조립 장치
CN111243847A (zh) * 2020-02-28 2020-06-05 浙江春晖磁电科技有限公司 一种高磁导率磁芯的自动化生产线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122U (ja) * 1992-03-03 1993-09-28 株式会社多賀製作所 自動巻線機におけるテーピング装置
JPH11321489A (ja) * 1998-04-17 1999-11-24 Webasto Karosseriesyst Gmbh 自動車の搭載回路網の給電装置
KR101183868B1 (ko) * 2011-07-05 2012-09-19 신영식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6359A (ko) 2015-04-23 2016-11-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개폐기
KR101815611B1 (ko) * 2017-09-08 2018-01-30 정진모 전자개폐기용 코일보빈 자동 조립장치 및 자동 조립방법
KR101914010B1 (ko) * 2018-05-30 2018-11-01 우상아 단자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122U (ja) * 1992-03-03 1993-09-28 株式会社多賀製作所 自動巻線機におけるテーピング装置
JPH11321489A (ja) * 1998-04-17 1999-11-24 Webasto Karosseriesyst Gmbh 自動車の搭載回路網の給電装置
KR101183868B1 (ko) * 2011-07-05 2012-09-19 신영식 자동차 배터리의 단자 연결용 접속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6359A (ko) 2015-04-23 2016-11-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개폐기
KR101815611B1 (ko) * 2017-09-08 2018-01-30 정진모 전자개폐기용 코일보빈 자동 조립장치 및 자동 조립방법
KR101914010B1 (ko) * 2018-05-30 2018-11-01 우상아 단자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899B1 (ko) * 2019-05-29 2019-11-07 어대용 코일 부품 자동 조립 장치
CN111243847A (zh) * 2020-02-28 2020-06-05 浙江春晖磁电科技有限公司 一种高磁导率磁芯的自动化生产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087B1 (ko)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장치
CN106058293B (zh) 电池包自动组装设备
US3516156A (en) Circuit package assembly process
US20220066416A1 (en) Method for inserting a wire into a groove of a semiconductor chip
JP3779996B2 (ja) トランスポンダユニットの製造の方法及び装置並びにトランスポンダユニット
US7830051B2 (en) Resolv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tor using the resolver
CN102629795A (zh) 主轴马达、盘驱动装置以及主轴马达的制造方法
KR20140087139A (ko) 모터 및 그 제조 방법
EP0396248A2 (en) Electrical pin and method for making same
GB158365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ly testing multi-core cable
CN110896681A (zh) 电机的定子结构、定子组装结构和电机
KR101962088B1 (ko) 전자개폐기용 코일 구조체 가공방법
US4110901A (en) Method of fabricating rotor coil for coreless motors
CN103339721A (zh) 摩擦电荷控制静电夹钳
JP3815042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の製造方法
CN102034592B (zh) 低成本充电变压器
EP1042683B1 (en) Method and fixture for evaluating stator core quality in production
CN114029579A (zh) 一种导电硅片生产用外层垫片镀锡设备
KR20140033863A (ko) 보호필름 박리장치
KR101113531B1 (ko) 코일 접속부 및 이를 이용하는 모터
JP4229899B2 (ja) 接着剤硬化装置
JP7362013B1 (ja) 位置検出装置
CN218574337U (zh) 一种全自动通电检测设备
JP2006143343A (ja) 懸垂式昇降搬送装置用台車における通電機構の洗浄方法及び装置並びにこの洗浄装置を備えた懸垂式昇降搬送装置用台車
JP4639765B2 (ja) ワニス含浸装置及びワニス含浸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