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535B1 -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535B1
KR101959535B1 KR1020170118632A KR20170118632A KR101959535B1 KR 101959535 B1 KR101959535 B1 KR 101959535B1 KR 1020170118632 A KR1020170118632 A KR 1020170118632A KR 20170118632 A KR20170118632 A KR 20170118632A KR 101959535 B1 KR101959535 B1 KR 101959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ank
cooling fluid
pipe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봉원석
경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18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12Measuring magnetic properties of articles or specimens of solids or fl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고출력 전기강판 소재의 고자장 측정을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고, 측정 시 발생되는 고열을 보다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시편이 삽입되어 자성이 측정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MAGNETIC FIELD OF ELECTROLYTIC STEEL SHEET}
전기강판의 자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를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전기강판 제품의 물리적 특성 평가를 통한 품질 인증 및 보증의 한 방법으로 자장(자성) 측정 시험이 실시된다. 자장 측정 시험은 전기강판 제품이 가지는 전자기적 특성인 철손, 자속밀도, 투자율, 자화력, 피상전력 등을 측정하게 된다.
시험은 측정 장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측정 장치는 프레임 내부에 시편을 자화시키는 코일을 구비한다. 측정장치는 프레임의 사면에 각각 형성된 홀을 통해 일정량의 시편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상기한 전자기적 특성을 측정하게 된다.
시편에 대한 자성 측정은 자화 곡선을 따라 진행되며, 일반적으로 10000A/m 범위 내에서 진행된다. 최근 들어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 등에 필요한 고출력의 전기강판 소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이러한 제품에 대한 품질 인증을 위한 고자장 측정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의 경우 일반적인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고자장 특성을 시험하고 있으나, 고자장측정이 어렵고 측정 과정에서 편차와 고열 발생 문제로 측정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재현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고열에 의해 설비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며 화재 위험으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고출력 전기강판 소재의 고자장 측정을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고출력 전기강판 소재의 고자장 측정 안정성을 높이고, 측정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고출력 전기강판 소재의 고자장 측정 시 발생되는 고열을 보다 신속하게 냉각시켜, 고열에 의한 장치 손상과 자성 측정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구현예의 측정 장치는, 시편이 삽입되어 자성이 측정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측면에 시편 삽입을 위한 삽입홀을 형성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 하부에 설치되는 보드판, 상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시편을 자화시키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프레임 내부로 냉각유체를 순환 공급하여 코일을 냉각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프레임에 연결되어 프레임 내부로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프레임에 연결되어 프레임으로 공급된 냉각유체를 배출 및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냉각유체가 수용된 제1 탱크, 및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냉각유체가 이송되는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탱크는 상기 프레임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관은 제1 탱크 하단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케이스 상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탱크 내에 수용된 냉각유체가 흘러내려 상기 공급관을 통해 프레임 내부로 이송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공급관은 제1 탱크 하부에 설치되고,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의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홀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의 홀과 상기 공급관 사이에 기밀 유지용 오링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부는 프레임에 연결되어 프레임에서 배출되는 냉각유체를 수용하는 제2 탱크, 상기 제2 탱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냉각유체가 이송되는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부는 상기 제1 탱크와 제2 탱크 사이에 연결되어 냉각유체가 이송되는 순환관, 및 상기 순환관에 연결되어 제2 탱크 내의 냉각유체를 제1 탱크로 이송하는 이송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부는 상기 제2 탱크 일측에 설치되어 냉각유체를 배출하는 드레인관 및 상기 드레인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탱크는 상기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보드판과 상기 제2 탱크 상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의 냉각유체가 흘러내려 상기 배출관을 통해 제2 탱크 내부로 이송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배출관은 상기 프레임의 보드판 하부에 설치되고,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탱크의 상부에 형성된 홀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과 상기 제2 탱크의 홀 사이에 기밀 유지용 오링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탱크는 상기 제1 탱크보다 상대적으로 내부 용적이 큰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공급부의 제1 탱크와 공급관 또는/및 상기 순환부의 제2 탱크와 배출관은 구리를 포함한 금속에서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순환관은 공급관과 배출관 내부로 연장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의 출구 단면적은 상기 배출관의 출구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냉각 유체에 의한 신속하고 균일한 냉각으로 전기자동차용 구동모터 등에 사용되는 고출력 전기강판 소재에 대한 고자장 측정을 정밀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고 측정 오류와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반복적인 재실험에 의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각 효능의 개선을 통해 고열에 의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측정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측정 결과의 재현성과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고출력 전기강판 소재 제품 생산 과정에서의 결함 예방으로 불량율을 최소화하고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정밀한 자성 측정과 신뢰성 확보를 통해 고자장 전기강판 소재의 품질 인증 및 평가 실험으로 고출력 소재의 판매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실시예는 고출력 전기자동차용 구동모터에 적용되는 적층권선코일의 자장 평가를 위한 고자장 DC 측정장치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소재의 자장 측정장치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의 구성과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는 상기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측정 장치(100)는 시편이 삽입되어 자성이 측정되는 프레임(10), 및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어 프레임(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냉각부를 구비하여 프레임(1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킴으로써, 고자성 측정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1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측면에 시편 삽입을 위한 삽입홀(18)을 형성한 상부케이스(12), 상기 상부케이스(12) 하부에 설치되는 보드판(14), 상부케이스(12) 내부에 설치되어 시편을 자화시켜 자장을 형성하는 1차 코일(15), 및 2차 코일(16)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사각의 박스 형태를 이룬다. 상부케이스(12)와 바닥판이 프레임(10)의 외형을 이룬다. 상부케이스(12)의 각 모서리 측면 시편이 삽입되는 삽입홀(18)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삽입홀(18)과 연결되며 시편이 지나가는 관로가 형성된다. 각 관로는 프레임(10)의 변을 따라 연장되어 동일 축 방향으로 모서리의 삽입홀(18) 사이를 연통한다. 프레임(10)의 내부 공간에서 관로 외주면에 1차 코일(15)과 2차 코일(16)이 감겨져 설치된다. 1차 코일(15)은 예를 들어 299회 권선되며, 2차 코일(16)은 2520회 권선된다. 1차 코일(15)과 2차 코일(16) 사이에 절연테이프가 도포되며 권선된 코일은 에나멜로 코팅된다.
2차 코일(16)의 권선수가 많고, 1차 코일(15)의 권선수가 적을수록 큰 자장을 얻을 수 있다. 1차 코일(15)과 2차 코일(16)의 권선 수의 편차가 클수록 고자장을 발생한다. 1차 코일(15)과 2차 코일(16)의 권선 수는 측정하고자 하는 자장의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프레임(10)은 삽입홀(18)을 통해 시편이 삽입되어 실질적으로 시험이 이루어지는 구성부이다. 프레임(10)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하 그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냉각부는 프레임(10) 내부로 냉각유체를 순환 공급하여 코일을 냉각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냉각부는 프레임(10)에 연결되어 프레임(10) 내부로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30), 및 프레임(10)에 연결되어 프레임(10)으로 공급된 냉각유체를 배출 및 순환시키는 순환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유체는 냉각수나 냉각용 오일 등 고열에 대한 냉각 효과를 갖는 다양한 유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급부(30)와 순환부(50)는 프레임(10)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위에서부터 공급부(30), 프레임(10) 및 순환부(50)가 차례로 적층되어 배치된다. 이에, 별도의 외부 동력없이 공급부(30)의 냉각유체가 위치에너지에 의해 밑으로 흘러내려 프레임(10)으로 유입되고, 프레임(10) 냉각 후 순환부(50)로 흘러내려 프레임(10)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유체가 프레임(10)을 거쳐 이송되면서 프레임(10) 내부를 냉각할 수 있게 된다.
공급부(30)는 냉각유체가 수용된 제1 탱크(32), 및 제1 탱크(32)와 프레임(1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냉각유체가 이송되는 공급관(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탱크(32)는 내부에 냉각유체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용기 구조물이다. 제1 탱크(32)의 형태나 크기는 프레임(10)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제1 탱크(32) 내부의 냉각유체는 별도의 외부 동력을 이용하여 공급관(34)을 통해 강제 이송하여 프레임(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유체는 별도의 외부 동력없이 이송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탱크(32)는 프레임(10) 상부에 배치되고, 공급관(34)은 제1 탱크(32) 하단과 프레임(10)의 상부케이스(12) 상부 사이에 연결된다. 이에, 제1 탱크(32) 내에 수용된 냉각유체가 높이 차에 의해 흘러내려 상기 공급관(34)을 통해 프레임(10) 내부로 이송된다.
프레임(10)의 상부케이스(12) 상단에는 공급관(34)과의 연결을 위한 홀(36)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관(34)은 공급부(30)의 무게에 의해 홀(36)과 밀착되어 긴밀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공급관(34)은 제1 탱크(32) 하부에 설치되고,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케이스(12)에 형성된 홀(36)에 끼워져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공급관(34)의 하단 직경은 상부케이스(12)에 형성된 홀(36)의 직경보다 작고, 공급관(34)의 상단 직경은 상부케이스(12)의 홀(36) 직경보다 충분히 크다. 이에, 공급관(34)이 설치된 제1 탱크(32)를 프레임(10) 상에 올려놓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34)이 상부케이스(12)의 홀(36)에 삽입되면서 공급관(34) 측면이 상부케이스(12)의 홀(36)에 밀착된다. 따라서 공급관(34)은 제1 탱크(32)의 무게에 의해 눌려져 홀(36)과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에, 홀(36)과 공급관(34) 사이를 통해 냉각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시 보다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급관과 홀 사이에 오링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공급부(30)의 제1 탱크(32) 또는/및 공급관(34)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탱크(32) 또는/및 공급관(34)은 구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탱크(32)와 공급관(34)은 외기와 접하고 있어, 내부의 냉각유체는 외기와 간접적으로 열교환된다. 이에, 프레임(10)의 고열과 열교환된 냉각유체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구리 재질의 제1 탱크(32)와 공급관(34)을 통해 냉각유체의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열시켜 냉각유체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순환부(50)는 프레임(10)에 연결되어 프레임(10)에서 배출되는 냉각유체를 수용하는 제2 탱크(52), 및 제2 탱크(52)와 프레임(1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냉각유체가 이송되는 배출관(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탱크(52)는 내부에 냉각유체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용기 구조물이다. 제2 탱크(52)의 형태나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제2 탱크(52)의 일 측면에는 개폐밸브(58)가 설치된다. 필요시 개폐밸브(58)를 작동하여 제2 탱크(52) 내부의 냉각유체를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탱크(52)는 상기 제1 탱크(32)보다 상대적으로 내부 용적이 큰 구조일 수 있다. 제1 탱크(32)는 프레임(10) 상부에 배치되어 제1 탱크(32) 내에 수용된 냉각유체는 바로 프레임(10)으로 낙하되므로, 제2 탱크(32)보다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탱크 크기를 줄여 전체적인 장치의 크기를 보다 소형화시킬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2 탱크(52)는 프레임(10) 하부에 배치되고, 배출관(54)은 프레임(10)의 보드판(14)과 제2 탱크(52) 상부 사이에 연결된다. 이에, 프레임(10) 내부에서 열교환된 냉각유체가 높이 차에 의해 흘러내려 배출관(54)을 통해 제2 탱크(52) 내부로 이송된다.
배출관(54)은 프레임(10)의 보드판(14) 하부에 설치된다. 제2 탱크(52)의 상부에는 배출관(54)과의 연결을 위한 홀(56)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관(54)은 그 위쪽 무게에 의해 홀(56)과 밀착되어 긴밀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배출관(54)은 보드판(14)에 설치되고,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탱크(52) 상부에 형성된 홀(56)에 끼워져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배출관(54)의 하단 직경은 제2 탱크(52)에 형성된 홀(56)의 직경보다 작고, 배출관(54)의 상단 직경은 제2 탱크(52)의 홀(56) 직경보다 충분히 크다. 이에, 배추관이 설치된 프레임(10)이 제2 탱크(52) 상에 올려지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54)이 제2 탱크(52)의 홀(56)에 삽입되면서 배출관(54) 측면이 제2 탱크(52)의 홀(56)에 밀착된다. 따라서, 배출관(54)은 그 위쪽 프레임(10)과 공급부(30)의 무게에 의해 눌려져 홀(56)과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에, 홀(56)과 배출관(54) 사이를 통해 냉각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시, 보다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출관과 홀 사이에 오링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순환부(50)의 제2 탱크(52) 또는/및 배출관(54)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탱크(52) 또는/및 배출관(54)은 구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탱크(52)와 배출관(54)은 외기와 접하고 있어, 내부의 냉각유체는 외기와 간접적으로 열교환된다. 이에, 프레임(10)의 고열과 열교환된 냉각유체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구리 재질의 제2 탱크(52)와 배출관(54)을 통해 냉각유체의 열을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방열시켜 냉각유체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냉각유체의 순환을 위해, 본 실시예의 순환부(50)는 제1 탱크(32)와 제2 탱크(52) 사이에 연결되어 냉각유체가 이송되는 순환관(60), 및 순환관(60)에 연결되어 제2 탱크(52) 내의 냉각유체를 제1 탱크(32)로 이송하는 이송펌프(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탱크(32)에서 프레임(10)을 거쳐 제2 탱크(52)로 흘러내린 냉각유체는 이송펌프(62)에 의해 순환관(60)을 통해 다시 제1 탱크(32)로 되돌려져 연속적으로 순환된다.
이송펌프(62)는 제1 탱크(32)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순환관(60)은 하단이 제1 탱크(32) 내부 바닥으로 연장되며, 상단은 제1 탱크(32) 상부로 연장되어 이송펌프(62)에 연결된다.
이에, 이송펌프(62)가 구동되면 제2 탱크(52) 내부의 냉각유체가 위로 끌어올려져 다시 제1 탱크(32)로 보내지게 된다. 따라서, 냉각유체가 다시 프레임(10)으로 흘러내려 연속적으로 순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순환관(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34)과 배출관(54) 내부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1 탱크(32)와 프레임(10) 및 제2 탱크(52)가 위에서부터 순차 배치되고, 공급관(34)과 배출관(54)의 위치가 동일한 상태에서, 순환관(60)이 공급관(34)과 배출관(54)의 중심을 지나도록 배치된다. 이에, 순환관(60)의 길이를 가장 짧게하여 제2 탱크(52) 내부의 냉각유체 순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순환관(60) 설치를 위해 제1 탱크(32)와 제2 탱크(52) 사이에 별도 연결구를 마련하지 않고 이미 형성되어 있는 홀(36,56)을 이용함으로써, 장치 구성을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공급관(34)의 출구 단면적은 배출관(54)의 출구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출구 단면적이라 함은 냉각유체가 나가는 영역으로, 공급관(34)과 배출관(54)의 출측 선단과 순환관(60) 사이의 틈새가 이루는 단면적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공급관(34)의 출구 단면적과 배출관(54)의 출구 단면적을 달리함으로써, 프레임(10) 내부에서의 냉각유체 체류량과 체류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공급관(34)의 출구 단면적이 배출관(54) 출구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프레임(10) 내부로 공급되는 냉각유체의 양보다 프레임(10)에서 배출되는 냉각유체의 양이 적게 된다. 즉, 프레임(10)으로 공급되는 냉각유체 양이 프레임(10)에서 배출되는 냉각유체 양보다 많게 된다. 이에, 프레임(10) 내부에는 모자람없이 항상 일정량의 유체가 채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각유체가 프레임(10) 내에 계속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프레임(10) 내부에서의 체류시간을 연장하여 프레임(10) 내부 전체에서 고르고 균일하며 효과적인 냉각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프레임(10) 내부 고열과 열교환된 냉각유체는 프레임(10)에서 배출관(54)을 통해 제2 탱크(52)로 배출된다. 그리고 순환관(60)을 통해 제1 탱크(32)로 순환된다. 이 과정에서 냉각유체는 제2 탱크(52)와 제1 탱크(32) 및 배출관(54)과 공급관(34)을 통해 외기와 열교환되어 방열됨으로써 재 냉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프레임 12 : 상부케이스
14 : 보드판 30 : 공급부
32 : 제1 탱크 34 : 공급관
36,56 : 홀 50 : 순환부
52 : 제2 탱크 54 : 배출관
58 : 개폐밸브 60 : 순환관
62 : 이송펌프

Claims (13)

  1.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측면에 시편 삽입을 위한 삽입홀을 형성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 하부에 설치되는 보드판, 상기 상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시편을 자화시키는 코일을 포함하여, 시편의 자성을 측정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냉각부
    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는 상기 프레임 내부로 냉각유체를 순환 공급하여 상기 코일을 냉각하며,
    상기 냉각유체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프레임에 연결되어 프레임 내부로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프레임에 연결되어 프레임으로 공급된 냉각유체를 배출 및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냉각유체가 수용된 제1 탱크, 및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냉각유체가 이송되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는 상기 프레임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관은 제1 탱크 하단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케이스 상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탱크 내에 수용된 냉각유체가 흘러내려 상기 공급관을 통해 프레임 내부로 이송되는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제1 탱크 하부에 설치되고,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의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홀에 끼워져 설치되는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프레임에 연결되어 프레임에서 배출되는 냉각유체를 수용하는 제2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냉각유체가 이송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 사이에 연결되어 냉각유체가 이송되는 순환관, 및 상기 순환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탱크 내의 냉각유체를 상기 제1 탱크로 이송하는 이송펌프를 더 포함하는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탱크는 상기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보드판과 상기 제2 탱크 상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의 냉각유체가 흘러내려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제2 탱크 내부로 이송되는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프레임의 보드판 하부에 설치되고,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탱크의 상부에 형성된 홀에 끼워져 설치되는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의 제1 탱크와 공급관 및 상기 순환부의 제2 탱크와 배출관은 구리를 포함한 금속에서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진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은 공급관과 배출관 내부를 따라 연장 설치된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의 출구 단면적은 상기 배출관의 출구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KR1020170118632A 2017-09-15 2017-09-15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KR101959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632A KR101959535B1 (ko) 2017-09-15 2017-09-15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632A KR101959535B1 (ko) 2017-09-15 2017-09-15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535B1 true KR101959535B1 (ko) 2019-03-18

Family

ID=6594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632A KR101959535B1 (ko) 2017-09-15 2017-09-15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5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7976A (ja) * 2010-06-09 2011-12-22 Kawamura Electric Inc サーバーラックの冷却システム
JP2016095264A (ja) * 2014-11-17 2016-05-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高磁界パルス励磁型磁気特性測定装置
KR101746800B1 (ko) * 2015-12-03 2017-06-13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강판의 자성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7976A (ja) * 2010-06-09 2011-12-22 Kawamura Electric Inc サーバーラックの冷却システム
JP2016095264A (ja) * 2014-11-17 2016-05-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高磁界パルス励磁型磁気特性測定装置
KR101746800B1 (ko) * 2015-12-03 2017-06-13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강판의 자성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70245B (zh) A probe assembly for inspecting a semiconductor element for power, and an insp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TWI459493B (zh) Vacuum processing device
US9511377B2 (en) High gradient, oil-cooled iron removal device with inner circulation
US12009131B2 (en) Coil device
US9625539B2 (en) Magnet evaluating device and method
US20100315086A1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chiller
EP2541563A1 (en) Rea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actor
CN109494041B (zh) 超导磁体及使用该超导磁体的磁共振成像***
CN114312379A (zh) 感应充电装置的地面组件
US20120299677A1 (en) Electrical transformer with diaphragm and method of cooling same
KR101959535B1 (ko) 전기강판 자성 측정장치
JP2022164731A (ja) 誘導加熱方法及び誘導加熱装置
US10438734B2 (en) Cooling of a static electric induction system
CN103703350B (zh) 电功率变压器的绕组温度的表示和显示
TW201727690A (zh) 帶電粒子束透鏡裝置、帶電粒子束柱體、及帶電粒子束曝光裝置
US7049817B2 (en) Thermostat-controlled containment cell for samples intended for NMR measurement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it
CN210400884U (zh) 一种强油风冷变压器温度场仿真装置
US119177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high power electrical systems
JP2017532999A (ja) 組み合わされたシムとボアの冷却アッセンブリ
Nonneman et al. Modelling and validation of a switched reluctance motor stator tooth with direct coil cooling
KR102079024B1 (ko) 자기장스테이션, 인서트어셈블리, 마운트어셈블리 및 이들을 포함하는 2축자기형성장비
Marzougui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nd cooling performance of mini‐and microheat exchangers
US9810750B2 (en) Nuclear magnetic resonance probes
KR102507105B1 (ko) 휴대형 자분탐상장치
CN117723163B (zh) GaN HEMTs器件结温测试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