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523B1 - 핵산, 골 이식재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골 이식용 키트 - Google Patents

핵산, 골 이식재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골 이식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523B1
KR101959523B1 KR1020180011586A KR20180011586A KR101959523B1 KR 101959523 B1 KR101959523 B1 KR 101959523B1 KR 1020180011586 A KR1020180011586 A KR 1020180011586A KR 20180011586 A KR20180011586 A KR 20180011586A KR 101959523 B1 KR101959523 B1 KR 101959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nucleic acid
composition
bone graft
graf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수
신철호
박민형
이수연
김태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마리서치프로덕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마리서치프로덕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마리서치프로덕트
Priority to KR1020180011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523B1/ko
Priority to CN201980022761.8A priority patent/CN111918679B/zh
Priority to US16/966,278 priority patent/US20210052770A1/en
Priority to EP19747012.3A priority patent/EP3747476A4/en
Priority to JP2020541709A priority patent/JP7078733B2/ja
Priority to PCT/KR2019/001176 priority patent/WO201915173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41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in the body
    • A61L27/3645Connective tissue
    • A61L27/365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61L27/3608Bone, e.g. demineralised bone matrix [DBM], bone 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41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in the body
    • A61L27/3645Connectiv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40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27/44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 A61L27/46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with phosphorus-containing inorganic fi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58Genetic materials, DNA, RNA, genes, vectors, e.g. plasm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2Tissue-regenerating or healing or proliferative agents
    • A61L2300/414Growth f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8Agents promoting blood coagulation, blood-clotting agents, embolis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Zo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핵산, 골 이식재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골 이식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골 이식용 조성물이 생리학적 응력에 대응할 수 있는 완충력 형성과 이식된 부위의 신생골 형성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고, 골 이식 시술의 편의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함으로써, 골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핵산, 골 이식재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골 이식용 키트 {Composition comprising nucleic acids, bone graft materials and cationic polymers for bone grafting and kit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핵산, 골 이식재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골 이식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격계 관련 질환이 많은 빈도로 늘어나고 있다. 또한, 스포츠의 발달 및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욕구 증대 등으로 골 조직 관련 질환을 앓는 환자가 나날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인간의 선천적, 후천적 골 질환에 의한 골 변형 및 외부적인 자극 또는 손상으로 인한 골 결손부위를 수복하기 위해서는 골을 대체할 수 있는 이식재를 환자에게 이식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골 이식재는 기원에 따라 자가골, 동종골, 이종골, 합성골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골 이식재 중, 골 유도성과 골 형성능이 뛰어난 자가골은 가장 이상적인 골 이식재로 평가되지만, 자가골 채득을 위한 부가적인 수술이 필요하고, 이로 인한 합병증과 회복기간의 증가, 많은 골이 필요한 경우 충분한 양을 얻을 수 없으며, 채취에 부가적인 수술 시간이 더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자가골을 대체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골 이식재 개발과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합성골 이식재에 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골 형성을 촉진시키기 위해 기존의 합성골과 골 전도성 물질, 골 유도성 물질을 함께 적용하는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손상 또는 결손된 골 부위를 지지하고 주변 조직으로부터 결손 부위에 새로운 신생골 형성을 유도시키는 골 지지체(scaffold)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골 형성 유도를 목적으로 하는 골 지지체의 이상적인 목표는 생체 활성이 우수하여 감염과 염증반응이 없고, 골 결손 부위의 지지 및 충전이 용이해야 하며, 체내 분해성을 갖는 3차원 구조로 골 전도성 물질의 통로로서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이식 부위에 가해지는 생리학적 응력에 대응할 수 있는 완충력이 있어야 한다(Guarino V., et al., 2007). 그러나 체내 활성이 뛰어나고 흡수성이 좋을 경우에는 완충력이 저하되는 상충점이 있어, 이러한 상충점을 보완, 개선한 지지체의 개발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 혼합물을 이용한 골 재생 연구 과정에서,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 간의 결합에 의해 골 이식재가 홀딩되어 응집체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형성된 응집체는 골 이식재가 흩어져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정한 형태의 응집체로 제조될 수 있어 골 이식 시술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응집체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지속성,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력을 통해 골 형성을 유도할 수 있는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종래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488716호에는 PDRN(핵산)과 키토산(양이온성 고분자)을 포함하는 치조골 재생용 키트가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간의 결합에 의한 골 이식재의 응집 및 이에 따른 골 이식시 시술의 편의성 증가 효과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161784호에는 핵산 또는 키토산을 포함하는 골 파우더의 응집제가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간의 결합에 의한 골 이식재 응집 효과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유럽공개특허 제2745849호에는 PDRN 및 키토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재생 의학에 필요한 세포 증식 촉진 효과가 기재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710615호에는 핵산 및 키토산을 포함하는 충전액 및 이의 진피층 생착률 증가 효과가 기재되어 있으나, 양 발명 모두 본 발명의 골 이식재의 응집체를 형성하기 위한 핵산 및 키토산의 역할 및 그 효과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비특허 문헌으로서 Kim, S.K., et al.은 PDRN의 골 재생 촉진 효과가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간의 결합을 통한 골 이식재의 응집 및 골 이식 시술의 편의성 증가 효과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 다른 비특문헌으로서 Martin R.V., et al.은 조직 재생 분야에서 키토산의 지지체 및 골 재생 기능이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핵산 및 키토산 간의 결합을 통한 골 이식재 응집 효과는 기재 및 언급되어 있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제1488716호, 치조골 재생용 키트, 2015. 01. 27.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161784호, 골 유도성 골 물질, 2012. 06. 26. 등록. 유럽공개특허 제2745849호, Polydeoxyribonucleotides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2014. 06. 25. 공개. 한국등록특허 1710615호, 생착률을 증가시킨 이식용 진피층 및 이의 제조 방법, 2017. 02. 21. 등록.
Guarino V., et al., Bioactive scaffolds for bone and ligament tissue, Expert Rev. Med Devices, 4, 405-418, 2007. Kim S.K., et al., Histologic study of bone-forming capacity on polydeoxyribonucleotide combined with demineralized dentin matrix,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38, 7, 2016. Martin R.V., et al., Chitosan and its potential use as a scaffold for tissue engineering in regenerative medicine,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5, 821279, 2015.
본 발명의 목적은 핵산, 골 이식재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골 이식용 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a) 핵산; b) 골 이식재; 및 c)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며, 상기 a) 핵산과 c) 양이온성 고분자간의 결합이 b) 골 이식재를 홀딩시켜 응집체를 이루는 골 이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은 a) 핵산에 b) 골 이식재를 혼합하여 핵산-골 이식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핵산-골 이식재 혼합물에 c) 양이온성 고분자를 첨가하여 골 이식재를 홀딩시켜 응집체를 제조하는 제2단계; 로 이루어진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은 c) 양이온성 고분자에 b) 골 이식재를 혼합하여 양이온성 고분자-골 이식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골 이식재 혼합물에 a) 핵산을 첨가하여 골 이식재를 홀딩시켜 응집체를 제조하는 제2단계; 로 이루어진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이온 결합일 수 있다.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은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가 1~20:1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핵산은 골 이식용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2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핵산은 데옥시리보핵산(deoxyribonucleic acid, DNA), 리보핵산(ribonucleic acid, RN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핵산은 분자량이 1~100,000kDa 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골 이식용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2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키토산(chitosan), 폴리에틸렌아민(polyethylene amine), 폴리-L-라이신(poly-L-lysine) 및 폴리알릴아민(polyallylam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키토산이다.
상기 골 이식재는 자가골의 탈회된 뼈 기질, 동종골의 탈회된 뼈 기질, 이종골의 탈회된 뼈 기질, 합성골 이식재, 자가골 분쇄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은 골형성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형성 활성제는 성장인자(growth factor), 지혈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성장인자는 골 형성 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 골격 시알로단백질(bone sialoprotein), 형질전환 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혈소판풍부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 상아질 시알로단백질(dentin sialoprotein),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polydeoxyribonucleotide), 헤파린 결합 EGF-유사 성장인자(heparin-binding EGF-like growth factor, HB-EGF), 캐드헤린 EGF LAG 7-패스 G-타입 수용체 3(cadherin EGF LAG seven-pass G-type receptor 3) 및 조골세포 특이적 캐드헤린(osteoblast specific cadherin, OB-cadher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지혈제는 트롬빈(thrombin), 트롬보플라스틴(thromboplastin), 피브리노겐(fibrinogen), 카세인 키나아제 Ⅱ(casein-kinase Ⅱ), 조직 인자(tissue factor), 에피네프린(epinephrine), 젤라틴(gelatin), 비타민 K(vitamine K), 염화 칼슘제(calcium chloride), 염화알루미늄-6수화물(aluminium chloride-hexahydrate) 및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1) 핵산 용액; b) 골 이식재; 및 c-1) 양이온성 고분자 용액;을 포함하는,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골 이식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골 이식용 키트는 골형성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a) 핵산; b) 골 이식재; 및 c)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며, 상기 a) 핵산과 c) 양이온성 고분자간의 결합이 b) 골 이식재를 홀딩(holding)시켜 응집체를 이루는 골 이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은 상기 a) 핵산 및 c) 양이온성 고분자간에 나타나는 결합에 의해 b) 골 이식재가 홀딩되어 응집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a) 핵산, b) 골이식재 및 c) 양이온성 고분자의 혼합 순서가 중요하다.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은 a) 핵산에 b) 골 이식재를 혼합하여 핵산-골 이식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핵산-골 이식재 혼합물에 c) 양이온성 고분자를 첨가하여 골 이식재를 홀딩시켜 응집체를 제조하는 제2단계; 로 이루어진 과정을 통해 제조되거나 또는, c) 양이온성 고분자에 b) 골 이식재를 혼합하여 양이온성 고분자-골 이식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골 이식재 혼합물에 a) 핵산을 첨가하여 골 이식재를 홀딩시켜 응집체를 제조하는 제2단계; 로 이루어진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의 제조 단계에 있어서, a) 핵산과 c)양이온성 고분자를 혼합하고, b) 골 이식재를 첨가할 경우에는 핵산과 양이온성 고분자간의 결합이 먼저 이루어져 골 이식재의 홀딩 없이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만 포함된 응집체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골 이식용 조성물 제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홀딩(holding)은 a) 핵산과 c) 양이온성 고분자간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b) 골 이식재의 입자를 잡아주거나 고정시켜 골 이식재를 응집 시키거나 또는 분산되지 않도록 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또한, a) 핵산과 c) 양이온성 고분자 간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복합체 내부에 b) 골 이식재 입자가 포함되거나 편입되어 응집체가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골 이식재가 홀딩 된 상태는 외부 충격 및 환경 변화에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이온 결합일 수 있다.
상기 이온 결합은 핵산의 음이온과 양이온성 고분자의 양이온 간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생기는 결합으로,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이 안정된 상태의 응집체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은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가 1~20:1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10:1 중량비율이다. 상기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의 중량비율을 벗어날 경우에는 본 발명의 골 이식용 조성물이 응집되지 않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핵산은 골 이식용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2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01~2중량%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1~2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2중량%이다. 상기 핵산이 0.001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골 이식재의 응집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핵산이 2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조성물 제조 과정에서 핵산이 제대로 용해되지 않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핵산은 본 발명의 양이온성 고분자와 결합을 이루어 골 이식재를 홀딩시켜 응집체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염기, 당, 인산으로 구성된 뉴클레오티드(nucleotide)가 인산결합으로 중합되어 긴 사슬 모양의 분자를 형성하고 있는 고분자 물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데옥시리보핵산(deoxyribonucleic acid, DNA), 리보핵산(ribonucleic acid, RN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데옥시리보핵산이다.
상기 데옥시리보핵산은 동물 또는 식물로부터 추출되어 제조된 데옥시리보핵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어류로부터 추출되어 제조된 데옥시리보핵산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어류의 정액 또는 정소로부터 추출되어 제조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폴리뉴클레오타이드(polynucleotide),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polydeoxyribonucleotid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어류는 연어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송어 또는 연어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연어이다.
상기 핵산은 분자량이 1~100,000kDa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10,000kDa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0~3,500kDa이다. 상기 핵산의 분자량이 1kDa 미만일 경우에는 골 이식재의 응집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100,000kDa 초과일 경우에는 용해가 어려울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골 이식용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2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01~2중량%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1~2중량%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2중량%이다.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가 0.001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골 이식재 응집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2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조성물 제조 과정에서 용해가 어려울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본 발명의 핵산과 이온 결합을 이루어 골 이식재를 홀딩시켜 응집체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생체적합적인 것으로, 키토산(chitosan), 폴리에틸렌아민(polyethylene amine), 폴리-L-라이신(poly-L-lysine) 및 폴리알릴아민(polyallylam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키토산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키토산은 분자량이 3~1,000kDa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키토산의 분자량이 3kDa 미만일 경우에는 골 이식용 조성물의 응집력이 떨어져 이식 부위의 골 지지체로써의 기능이 감소될 수 있고, 1,000kDa 초과일 경우에는 용해가 어려울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은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가 1~20:1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이며, 이때, 핵산의 함량이 골 이식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2중량%가 되고, 양이온성 고분자가 골 이식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2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 이식재는 자가골의 탈회된 뼈 기질, 동종골의 탈회된 뼈 기질, 이종골의 탈회된 뼈 기질, 합성골 이식재, 자가골 분쇄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골 이식재는 분말형태, 입자형태, 부스러기 형태, 블록형 및 반죽형, 젤형태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말형태, 입자형태, 부스러기 형태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분말형태이다.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은 상기 a) 핵산, b) 골 이식재 및 c) 양이온성 고분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b) 골 이식재가 a) 핵산과 c) 양이온성 고분자간의 결합에 의해 홀딩되어 응집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골 이식재는 골 이식용 조성물이 포함되어 있는 용액에 모두 잠겨, 골 이식재 입자의 대부분이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 결합에 의해 홀딩되어 응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골 이식재는 골 이식용 조성물의 핵산이 용해되어 있는 핵산 용액과 양이온성 고분자가 용해되어 있는 양이온성 고분자 용액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100% 미만을 혼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골 이식재가 핵산 용액과 양이온성 고분자 용액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100% 이상일 경우에는, 용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가 모든 골 이식재 입자를 홀딩시키지 못할 수 있어 응집체 형성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은 골형성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형성 활성제는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을 골형성 활성제 용액에 담지하여 골 이식용 조성물에 골형성 활성제를 함침시킬 수 있다.
상기 골형성 활성제는 성장인자(growth factor), 지혈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성장인자는 골 재생 활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골 형성 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 골격 시알로단백질(bone sialoprotein), 형질전환 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혈소판풍부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 상아질 시알로단백질(dentin sialoprotein),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polydeoxyribonucleotide), 헤파린 결합 EGF-유사 성장인자(heparin-binding EGF-like growth factor, HB-EGF), 캐드헤린 EGF LAG 7-패스 G-타입 수용체 3(cadherin EGF LAG seven-pass G-type receptor 3) 및 조골세포 특이적 캐드헤린(osteoblast specific cadherin, OB-cadher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지혈제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트롬빈(thrombin), 트롬보플라스틴(thromboplastin), 피브리노겐(fibrinogen), 카세인 키나아제 Ⅱ(casein-kinase Ⅱ), 조직 인자(tissue factor), 에피네프린(epinephrine), 젤라틴(gelatin), 비타민 K(vitamine K), 염화 칼슘제(calcium chloride), 염화알루미늄-6수화물(aluminium chloride-hexahydrate) 및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은 친수성 고분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 알긴산(alginic acid),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콜라겐(collagen)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본 발명의 골 이식용 조성물의 물성을 보조하고, 이식 부위의 재생 효과를 증가 시킬 수 있다.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은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간에 이온 결합을 이루어 골 이식재를 홀딩시키고 응집체를 형성하여 골 재생 공간 유지 및 세포외 기질 역할과 같은 이상적인 지지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은 환부에 이식 시, 생체 내에서 뼈의 압축, 인장, 비틀림, 굽힘 등과 같은 생리학적 응력에 대응할 수 있는 완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은 응집체를 형성함으로써 골 이식 시술시 시술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는 생체적합적이므로 생체 내 분해가 가능하다.
상기 골 이식은 외상이나 감염, 퇴행성 변화, 종양 절제, 치과 질환 등 다양한 이유로 뼈의 결손이 발생한 경우, 뼈 조직 내의 공간을 충전시키고 신생골의 형성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강 외과 또는 정형 외과적 뼈 손실 또는 손상에 대한 질환에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치아의 본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시술 또는 치아 이식, 치주염 등의 치주 질환, 난치성 골 질환, 대사성 골 질환, 무형성 골 질환, 복합 골절 또는 여러 뼈의 골절이 발생하였을 경우, 척추에서 뼈들과 관절을 융합시키는 경우, 감염이나 손상, 노화 및 다른 생리적인 이유로 손상되거나 여러 가지 사고로 손상될 경우, 손상된 뼈의 빈 공간에 적용할 경우, 인공관절과 같은 삽입물 주변에 뼈가 치유되도록 하기 위한 경우, 골의 질병, 골종양을 포함한 골 질환에 의해 손실된 뼈 조직 내의 공간 충진, 골절, 골 유합, 관절 고정이 필요할 경우, 관절연골, 두 개 안면, 귓바퀴, 코, 관절 등의 외상, 선천 기형, 이물 제거부, 노화에 따른 변성 등이 발생할 경우에 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뼈는 인체의 모든 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1) 핵산 용액; b) 골 이식재; 및 c-1) 양이온성 고분자 용액;을 포함하는,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골 이식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골 이식용 키트는 a-1) 핵산 용액, b) 골 이식재 및 c-1) 양이온성 고분자 용액이 하나의 실린지 또는 바이알에 보관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골 결손부에 골 이식용 조성물을 바로 주입 또는 이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보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 이식용 키트는 a-1) 핵산 용액, b) 골 이식재 및 c-1) 양이온성 고분자 용액이 각각의 바이알에 별도로 보관된 것일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골 이식용 키트는 a-1) 핵산 용액 및 b) 골 이식재가 혼합되어 있는 바이알과 c-1) 양이온성 고분자 용액이 들어있는 바이알이 별도로 보관된 것일 수 있으며, c-1) 양이온성 고분자 용액 및 b) 골 이식재가 혼합되어 있는 바이알과 a-1) 핵산 용액이 들어 있는 바이알이 별도로 보관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골 이식용 키트는 a-2) 분말형태의 핵산, b) 골 이식재, c-2) 분말형태의 양이온성 고분자, d) 핵산 용해용 완충용액 및 e) 양이온성 고분자 용해용 완충용액이 들어 있는 바이알이 별도로 보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골 이식용 키트의 핵산과 양이온성 고분자는 완충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액제 형태 또는 분말과 같은 결정형의 형태로, 별도 보관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d) 핵산 용해용 완충용액은 정제수,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소듐 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sodium hydrogen phosphate), 소듐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레이트(sodium dihydrogen Phosphate dihydrate), 소듐 포스페이트 디베이직 도데카하이드레이트 (sodium phosphate dibasic dodecahydrate), 염화마그네슘(magnesiumchloride), 염화칼륨(potassium chloride), 인산 완충 식염수(phosphate buffer saline, PBS), HEPES(N-(2-hydroxyethyl)-piperazine-N′-2-ethanesulfonic acid), 글리세롤-3-인산(glycerol-3-phosph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소듐 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sodium hydrogen phosphate), 소듐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레이트(sodium dihydrogen phosphate dihydr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e) 양이온성 고분자 용해용 완충용액은 산성 완충용액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아세트산(acetic acid), 염산(hydrochloric acid),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질산(nitric acid), 락트산(lactic acid)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트산, 아세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골 이식재는 상기 골 이식용 키트에 함께 포함될 수도 있고, 상용화 되어 판매되는 골 이식재를 따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핵산 용액의 농도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핵산 용액의 경우 2중량%의 핵산 용액을 제조 시 핵산이 잘 용해되지 않는 제조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 용액의 농도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으로, 양이온성 고분자의 최대 용해 농도까지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골 이식용 키트는 골형성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골형성 활성제는 용액 또는 분말 형태로 별도의 바이알에 보관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분말 형태의 골형성 활성제를 포함하는 골 이식용 키트는 골형성 활성제 용해용 완충용액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형성 활성제 용해용 완충용액은 골형성 활성제의 활성을 유지할 수 있는 완충용액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산 완충 식염수(phosphate buffer saline, PBS), 생리식염수, 세포배양 배지, 포도당 수액, 분지 아미노산 수액 및 링거액으로 사용되는 하트만 용액(Hartmann Solution) 및 하트만 덱스(Hartmann Dex)등의 영양분이 함유되어 있는 액제일 수 있으며, 체내에 직접 들어와도 삼투압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액제라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핵산, 골 이식재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골 이식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골 이식용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핵산과 양이온성 고분자간의 결합에 의해 골 이식재가 홀딩되어 응집체를 형성하고, 이러한 응집체의 완충력이 증가하여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며, 이식된 부위의 신생골 형성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골 이식재 조성물은 응집성이 증가되어 골 이식시 시술 부위의 형태에 따라 적용이 가능하여 시술의 편의성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골 이식용 조성물은 골 재생 공간 유지 및 세포성장을 위한 효과적인 지지체로 작용하여 골 형성을 유도함으로써 다양한 골 질환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에 의한 골 이식재의 응집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A)는 골 이식재 단독의 응집 여부를, (B)는 핵산 및 키토산이 혼합된 조성물 1의 응집 여부를, (C)는 핵산 및 키토산을 섞은 후, 골 이식재를 혼합한 조성물 2의 응집 여부를, (D)는 핵산 및 골 이식재를 섞은 후, 키토산을 혼합한 조성물 3의 응집 여부를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의 혼합비율에 따른 골 이식재의 응집 여부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의 농도 및 혼합비율에 따른 골 이식재의 응집 여부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에 의한 골 이식재의 응집력 및 골 이식용 조성물의 완충력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A)는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는 용액 내 골 이식재 자체, (B)는 핵산 및 키토산을 혼합한 조성물 1의, (C)는 핵산과 골 이식재를 섞은 후, 키토산을 혼합한 조성물 3의 응집력 및 완충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험예 1.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에 의한 골 이식재 응집 확인>
핵산으로 파마리서치프로덕트사의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 대한민국, 이하, '핵산'이라고 기재함.)를 이용하였으며, 핵산 0.2g을 9.8㎖의 완충용액(0.8% sodium chloride, 0.25% sodium hydrogen phosphate, 0.028% sodium dihydrogen phosphate dihydrate)에 넣고 열교반기를 이용하여 40~70℃에서 30~60분간 용해시켜, 2중량%의 핵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양이온성 고분자로는 키토산을 이용하였으며, 키토산 0.2g을 0.12M 락트산(lactic acid) 9.8㎖에 넣어 교반기를 이용하여 용해시켜 2중량% 키토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골 이식재로는 소 기원의 탈회된 이종골을 이용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핵산 용액과 키토산 용액, 골 이식재를 하기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만든 조성물의 물성 및 골 이식재의 응집 여부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조성물 제조
조성물 1 2중량% 핵산 용액 1.25㎖에 2중량% 키토산 용액 0.25㎖ 혼합
조성물 2 2중량% 핵산 용액 1.25㎖에 2중량% 키토산 용액 0.25㎖ 혼합 후,
골 이식재 0.5g을 넣고 섞어 줌
조성물 3 골 이식재 0.5g에 2중량% 핵산 용액 1.25㎖을 넣고 섞은 후,
2중량% 키토산 용액 0.25㎖ 넣고 섞어 줌
도 1에서 보여주듯이, 핵산 용액 및 키토산 용액을 혼합한 조성물 1(도 1B)은 겔(gel)처럼 보여질 수도 있으나, 겔 상태가 아니면서도 핀셋으로 쉽게 다룰 수 있는 물성을 나타내고 있다. 핵산 용액 및 키토산 용액을 혼합한 후에 골 이식재를 섞어준 조성물 2(도 1C)는 골 이식재가 핵산 용액 및 키토산 용액 혼합물에 의해 응집되지 않아, 아무것도 혼합하지 않은 골 이식재(도 1A)처럼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골 이식재에 핵산 용액을 먼저 섞은 후, 키토산 용액을 혼합한 조성물 3(도 1D)은 골 이식재가 응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에서 보여주지는 않았지만, 골 이식재와 키토산 용액을 먼저 섞은 후, 핵산 용액을 혼합한 조성물의 경우에도 상기 조성물 3과 같이 골 이식재가 응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보여주지 않았으나, 양이온성 고분자로 키틴, 폴리에틸렌아민, 폴리-L-라이신 및 폴리알릴아민을 이용한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의 결합이 골 이식재의 응집을 유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핵산, 양이온성 고분자 및 골 이식재의 혼합 순서도 골 이식재 응집에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의 혼합 비율에 따른 골 이식재의 응집 여부 확인>
상기 실험예 1에서 확인된 핵산 및 키토산에 의한 골 이식재 응집이 핵산 및 키토산의 혼합비율에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핵산 및 키토산의 혼합비율을 바꾸어 골 이식재의 응집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때, 핵산의 농도는 고정하고 키토산의 농도를 바꾸어 혼합비율을 조절하였다.
상기 실험예 1의 핵산 용액 및 키토산 용액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2중량%의 핵산 용액과 2중량%, 1중량%, 0.5중량% 및 0.1중량%의 키토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제조는 조성물 내에서의 핵산 및 키토산의 최종 농도가 하기 표 2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0.5g의 골 이식재에 2중량%의 핵산 용액 1.25㎖을 분주하여 섞은 후, 각 농도의 키토산 용액 0.25㎖을 추가하여 섞어주면서 골 이식재의 응집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조성물 내 최종 농도(중량%) 혼합비율(중량비율)
핵산 키토산 핵산 키토산
조성물 3 1.667 0.333 5 1
조성물 3-1 1.667 0.167 10 1
조성물 3-2 1.667 0.083 20 1
조성물 3-3 1.667 0.017 100 1
도 2에서 보여주듯이, 핵산 및 키토산의 혼합비율에 따라 골 이식재의 응집 여부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골 이식용 조성물에 함유된 핵산 및 키토산이 5:1(조성물 3), 10:1(조성물 3-1) 및 20:1(조성물 3-2) 중량비율로 혼합된 경우에는 골 이식재가 응집되는 반면에, 100:1(조성물 3-3) 중량비율로 혼합된 경우에는 골 이식재가 응집되지 않고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골 이식재의 응집 여부에 있어서,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의 혼합비율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의 농도에 따른 골 이식재의 응집 여부 확인>
상기 실험예 2를 통해 핵산 및 키토산의 혼합비율이 골 이식재의 응집에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핵산 및 키토산의 농도에 따른 골 이식재의 응집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실험예 1의 핵산 용액 및 키토산 용액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2중량%, 1중량% 및 0.5중량%의 키토산 용액과 2중량%, 1.5중량%, 1중량%, 및 0.5중량%의 핵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제조는 조성물 내에서의 핵산 및 키토산의 최종 농도가 하기 표 3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0.5g의 골 이식재에 각 농도의 핵산 용액 1.25㎖을 분주하여 섞은 후, 각 농도의 키토산 용액 0.25㎖을 추가하여 섞어주면서 골 이식재의 응집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조성물 내 최종 농도(중량%) 혼합비율(중량비율)
핵산 키토산 핵산 키토산
조성물 3 1.667 0.333 5 1
조성물 3-1 1.667 0.167 10 1
조성물 3-2 1.667 0.083 20 1
조성물 4-1 1.250 0.333 3.6 1
조성물 4-2 1.250 0.167 7.2 1
조성물 4-3 1.250 0.083 15 1
조성물 4-4 0.830 0.333 2.4 1
조성물 4-5 0.830 0.167 4.7 1
조성물 4-6 0.830 0.083 10 1
조성물 4-7 0.420 0.333 1.2 1
조성물 4-8 0.420 0.167 2.3 1
조성물 4-9 0.420 0.083 5 1
도 3에서 보여주듯이, 조성물 내 핵산 및 키토산의 농도는 다르나, 혼합비율이 유사하거나 동일한 조성물 3, 조성물 4-5 및 조성물 4-9를 살펴보면, 조성물 4-9는 골 이식재가 응집되지 않고 분산되어 있는 반면에, 조성물 4-5 및 조성물 3은 골 이식재가 응집되어 있는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조성물 4-4 및 조성물 4-8, 조성물 3-1 및 조성물 4-6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골 이식재의 응집 여부가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의 혼합비율뿐만 아니라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의 최종 농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골 이식용 조성물은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의 혼합비율이 1~20:1(중량비율)이며, 핵산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2중량% 포함되며, 양이온성 고분자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2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4.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에 따른 골 이식재의 응집력 및 골 이식용 조성물의 완충력 확인>
본 발명의 골 이식용 조성물에 있어서, 핵산 및 양이온성 고분자에 의한 골 이식재의 응집력 및 골 이식용 조성물의 완충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1의 조성물 1 및 조성물 3을 이용하였고, 일정한 힘을 가하여 조성물의 형태 변화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여주듯이, 골 이식재만 존재하는 경우(도 4A)에는 골 이식재가 응집되어 있지 않아, 조그마한 힘을 가하여도 쉽게 분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골 이식재가 포함되지 않고, 핵산 및 키토산만 혼합되어 있는 조성물 1의 경우(도 4B)에는 힘을 가하더라도 조성물이 흩어지지 않았으며, 가한 힘을 제거했을 때 원래의 형태로 복구되는 복원력 및 완충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핵산, 키토산 및 골 이식재가 혼합되어 있는 조성물 3의 경우(도 4C)에는 골 이식재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과 달리, 골 이식재가 응집되어 힘을 가하더라도 골 이식재의 분산 없이 그 형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응집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완충력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핵산, 양이온성 고분자 및 골 이식재를 포함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은 골 이식재를 응집하는 응집력으로 인해 골 이식재가 외부의 힘에 의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골 이식 및 골 재생 과정에서의 물리적인 충격을 보완할 수 있는 완충력으로 인해, 형태 유지를 가능하게 하여 골 이식시의 시술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시간 흐름에 따른 골 이식용 조성물의 응집력 유지 확인>
본 발명의 골 이식용 조성물에 있어서, 시간이 흐름에 따른 골 이식용 조성물의 응집력 감소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때, 골 이식용 조성물의 응집력이 감소되면 골 이식재가 분산됨에 따른 조성물의 총 중량 변화를 기반으로 하여 응집력 유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예 1의 조성물 3을 이용하였고, 조성물 3을 제조한 직후를 기준으로 하여 30분 간격으로 골 이식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시간(분) 0 30 60 90 120 150
중량(g) 0.7 0.69 0.7 0.69 0.68 0.69
상기 표 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골 이식용 조성물의 총 중량이 시간에 지남에 따라 큰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골 이식용 조성물의 응집력이 장시간 지속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골 이식용 조성물은 장시간의 시술 시간에도 골 이식용 조성물의 형상 변화가 거의 없이 높은 안정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골 이식재의 탈락이 거의 없이 골 이식재의 응집이 오래 지속 될 수 있으므로, 편리한 골 이식 시술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골 형성 유도 확인>
본 발명의 골 이식용 조성물의 골 형성 유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골 성장이 없는 부위에 골 이식용 조성물을 이식하여 신생골 형성 여부를 관찰하였다.
골 성장이 없는 부위인 쥐의 복근에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 2 및 조성물 3과 대조군으로 골 이식재만 이식하고 복근 및 피부를 봉합하여 사육하였다. 사육 후 이식한 복근 전체를 박리하고, 탈석회화 과정을 거쳐 파라핀으로 포매하여 조직 표본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조직 표본을 이용해 김자염색(Giemsa stain)과 H&E 염색을 한 후, 신생 골 조직의 양을 측정하여 신생골 형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골 이식재만 처리한 대조군의 경우, 신생골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조성물 2를 처리한 경우에는 대조군과 비슷하게 신생골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조성물 3을 처리한 경우에는 대조군 및 조성물 2와 달리 신생 골의 양이 현저히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골 이식용 조성물이 골 형성 유도 촉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1. 골 이식용 키트 제조>
실시예 1-1. 핵산 용액 제조
핵산 0.2g을 9.8㎖ 완충용액(0.8% Sodium chloride, 0.25% Sodium hydrogen phosphate, 0.028% sodium dihydrogen phosphate dihydrate)에 넣고 열교반기를 이용하여 40~70℃에서 30 내지 60분간 용해시켜, 2중량%의 핵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양이온성 고분자 용액 제조
양이온성 고분자로는 키토산을 이용하였다.
0.2g 키토산을 0.12M 락트산(lactic acid) 용액 9.8㎖에 넣어 교반기를 이용하여 용해시켜 2중량%의 키토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골 이식용 키트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핵산 용액이 보관된 바이알과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키토산(양이온성 고분자) 용액이 보관된 바이알을 조합하여, 본 발명의 골 이식용 키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골 이식재의 경우, 골 이식재가 보관된 바이알을 키트에 삽입하여 골 이식용 키트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8)

  1. a) 핵산에 b) 분말형 골 이식재를 혼합하여 핵산-골 이식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핵산-골 이식재 혼합물에 c) 키토산을 첨가하여 분말형 골 이식재를 홀딩시켜 응집체를 제조하는 제2단계;
    또는, c) 키토산에 b) 분말형 골 이식재를 혼합하여 키토산-골 이식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키토산-골 이식재 혼합물에 a) 핵산을 첨가하여 분말형 골 이식재를 홀딩시켜 응집체를 제조하는 제2단계;
    로 이루어진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상기 핵산 및 키토산이 1~20:1 중량비율로 혼합된 a) 핵산과 c) 키토산간 결합 사이에 b) 분말형 골 이식재를 홀딩시켜 응집체를 이루는 골 이식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은 이온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은 골 이식용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2중량%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은 데옥시리보핵산(deoxyribonucleic acid, DNA), 리보핵산(ribonucleic acid, RN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은 분자량이 1~100,000 k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은 골 이식용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2중량%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 이식재는 자가골의 탈회된 뼈 기질, 동종골의 탈회된 뼈 기질, 이종골의 탈회된 뼈 기질, 합성골 이식재, 자가골 분쇄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 이식용 조성물은 골형성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골형성 활성제는 성장인자(growth factor), 지혈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인자는 골 형성 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 골격 시알로단백질(bone sialoprotein), 형질전환 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혈소판풍부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 상아질 시알로단백질(dentin sialoprotein),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polydeoxyribonucleotide), 헤파린 결합 EGF-유사 성장인자(heparin-binding EGF-like growth factor, HB-EGF), 캐드헤린 EGF LAG 7-패스 G-타입 수용체 3(cadherin EGF LAG seven-pass G-type receptor 3) 및 조골세포 특이적 캐드헤린(osteoblast specific cadherin, OB-cadher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혈제는 트롬빈(thrombin), 트롬보플라스틴(thromboplastin), 피브리노겐(fibrinogen), 카세인 키나아제 Ⅱ(casein-kinase Ⅱ), 조직 인자(tissue factor), 에피네프린(epinephrine), 젤라틴(gelatin), 비타민 K(vitamine K), 염화 칼슘제(calcium chloride), 염화알루미늄-6수화물(aluminium chloride-hexahydrate) 및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17. 제1항의 골 이식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골 이식용 키트로,
    a) 핵산 용액;
    b) 분말형 골 이식재; 및
    c) 키토산 용액;
    을 포함하는 골 이식용 키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골 이식용 키트는 골형성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이식용 키트.
KR1020180011586A 2018-01-30 2018-01-30 핵산, 골 이식재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골 이식용 키트 KR101959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586A KR101959523B1 (ko) 2018-01-30 2018-01-30 핵산, 골 이식재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골 이식용 키트
CN201980022761.8A CN111918679B (zh) 2018-01-30 2019-01-28 包含核酸、骨移植材料和阳离子高分子的骨移植用组合物及用于制备其的骨移植用试剂盒
US16/966,278 US20210052770A1 (en) 2018-01-30 2019-01-28 Composition for bone grafting, comprising nucleic acids, bone graft material and cationic polymer, and bone graft kit for manufacturing same
EP19747012.3A EP3747476A4 (en) 2018-01-30 2019-01-28 COMPOSITION FOR BONE TRANSPLANT, CONSISTING OF NUCLEIC ACIDS, BONE GRAFTING MATERIAL AND CATIONIC POLYMER, AND BONE TRANSPLANT KIT FOR ITS MANUFACTURING
JP2020541709A JP7078733B2 (ja) 2018-01-30 2019-01-28 核酸、骨移植材及び陽イオン性高分子を含む骨移植用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製造するための骨移植用キット
PCT/KR2019/001176 WO2019151736A1 (ko) 2018-01-30 2019-01-28 핵산, 골 이식재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골 이식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586A KR101959523B1 (ko) 2018-01-30 2018-01-30 핵산, 골 이식재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골 이식용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523B1 true KR101959523B1 (ko) 2019-03-18

Family

ID=6594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586A KR101959523B1 (ko) 2018-01-30 2018-01-30 핵산, 골 이식재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골 이식용 키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52770A1 (ko)
EP (1) EP3747476A4 (ko)
JP (1) JP7078733B2 (ko)
KR (1) KR101959523B1 (ko)
CN (1) CN111918679B (ko)
WO (1) WO20191517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252B1 (ko) * 2019-08-14 2020-12-29 (주)메드파크 골 이식재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골 이식재 조성물 키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3013A (ko) * 2005-12-06 2008-12-26 에텍스 코포레이션 다공성 칼슘 포스페이트 뼈물질
KR101161784B1 (ko) 2003-04-11 2012-07-05 에텍스 코포레이션 골 유도성 골 물질
KR101488716B1 (ko) 2012-09-03 2015-02-04 엄인웅 치조골 재생용 키트
KR101666792B1 (ko) * 2016-02-05 2016-10-17 주식회사 파마리서치프로덕트 핵산 및 키토산을 포함하는 온도감응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KR101710615B1 (ko) 2016-09-07 2017-02-27 주식회사 파마리서치프로덕트 생착률을 증가시킨 이식용 진피층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69414B (en) * 1994-09-30 1999-09-11 Yamanouchi Pharma Co Ltd Bone formation transplant
WO2005117919A2 (en) * 2004-04-15 2005-12-15 Etex Corporation Delayed-setting calcium phosphate pastes
JP2008529652A (ja) * 2005-02-15 2008-08-07 スティヒティング フォール デ テヘニッヘ ウェテンスハペン インプラント用の、dnaをベースとしたコーティング
AU2009308191A1 (en) * 2008-10-24 2010-04-29 Warsaw Orthopedic,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moting bone formation
KR101379894B1 (ko) * 2011-11-04 2014-04-0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형질전환 돼지 뼈를 이용한 골 이식용 세라믹 입자,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입자를 포함하는 생체의료용 세라믹재료
US20150320833A1 (en) * 2012-12-13 2015-11-12 Steven L. Stice Ossification-induc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ITTO20121107A1 (it) 2012-12-19 2014-06-20 Idea Medical Devices S R L Composizione a base di polidesossiribonucleotidi e relativi usi
US10071120B2 (en) * 2013-01-28 2018-09-11 Warsaw Orthopedic, Inc. Bone fiber compositions
GB201314312D0 (en) * 2013-08-09 2013-09-25 Regentec Ltd Composition and delivery system
US9623153B2 (en) * 2014-09-23 2017-04-18 Warsaw Orthopedic, Inc. Bone graft materials and methods of u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784B1 (ko) 2003-04-11 2012-07-05 에텍스 코포레이션 골 유도성 골 물질
KR20080113013A (ko) * 2005-12-06 2008-12-26 에텍스 코포레이션 다공성 칼슘 포스페이트 뼈물질
KR101488716B1 (ko) 2012-09-03 2015-02-04 엄인웅 치조골 재생용 키트
KR101666792B1 (ko) * 2016-02-05 2016-10-17 주식회사 파마리서치프로덕트 핵산 및 키토산을 포함하는 온도감응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KR101710615B1 (ko) 2016-09-07 2017-02-27 주식회사 파마리서치프로덕트 생착률을 증가시킨 이식용 진피층 및 이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uarino V., et al., Bioactive scaffolds for bone and ligament tissue, Expert Rev. Med Devices, 4, 405-418, 2007.
Kim S.K., et al., Histologic study of bone-forming capacity on polydeoxyribonucleotide combined with demineralized dentin matrix,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38, 7, 2016.
Martin R.V., et al., Chitosan and its potential use as a scaffold for tissue engineering in regenerative medicine,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5, 821279, 2015.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13013호(2008.12.26.자 공개) 1부.*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66792호(2016.10.17.자 공고) 1부.*
유럽공개특허 제2745849호, Polydeoxyribonucleotides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2014. 06. 25. 공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252B1 (ko) * 2019-08-14 2020-12-29 (주)메드파크 골 이식재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골 이식재 조성물 키트
KR102196235B1 (ko) * 2019-08-14 2020-12-29 (주)메드파크 골 이식재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골 이식재 조성물 키트
WO2021029489A1 (ko) * 2019-08-14 2021-02-18 주식회사 메드파크 골 이식재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골 이식재 조성물 키트
US11918706B2 (en) 2019-08-14 2024-03-05 MedPark Co.,Ltd Composition for bone defect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and kit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18679A (zh) 2020-11-10
JP2021512679A (ja) 2021-05-20
EP3747476A1 (en) 2020-12-09
JP7078733B2 (ja) 2022-05-31
EP3747476A4 (en) 2021-10-27
CN111918679B (zh) 2022-07-08
WO2019151736A1 (ko) 2019-08-08
US20210052770A1 (en)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8378B2 (en) Bioactive antibacterial bone graft materials
AU782394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forming and strengthening bone
AU770196B2 (en) Osteogenic past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JP6412601B2 (ja) 生体活性代用骨移植片
US9610304B2 (en) Bone paste composition
EP3530295B1 (en) Demineralized bone matrix having improved handling characteristics
KR100810736B1 (ko) 다당류-기능화 나노입자 및 수화젤 담체를 포함하는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서방형 약물전달 제제, 뼈충진제 및이들의 제조방법
EP1220693B1 (en) Formulations for delivery of osteogenic proteins
US20130202670A1 (en) Bioactive antibacterial bone graft materials containing silver
CN106390192A (zh) 一种生物型骨水泥
CN108498873A (zh) 用于脊柱融合手术的组合物和方法
Vertenten et al. Enhancing bone healing and regeneration: present and future perspectives in veterinary orthopaedics
KR20150129717A (ko) 열-감수성 골 성장 조성물
EP1009333A1 (en) Moldable bioactive compositions
KR101959523B1 (ko) 핵산, 골 이식재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골 이식용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골 이식용 키트
US20090291113A1 (en) Osteogenic composition comprising a growth factor, a soluble cation salt and organic support
US20150072017A1 (en) Carrier materials for protein delivery
WO2004105825A1 (ja) 骨形成用生体材料、該材料を含む注入用製剤、及び該材料を調製するためのキット、並びにこれらを用いる骨形成方法
US20230364305A1 (en) Injectable calcium phosphate-based bone graft composition having high elastic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Ma et al. Optimization of a concentrated growth factor/mesoporous bioactive glass composite scaffold and its application in rabbit mandible defect regeneration
Eusébio et al. Drug delivery for bone tissue engineering
Kashiwazaki et al. In vivo evaluation of a novel chitosan/HAp composite biomaterial as a carrier of rhBMP-2
CN112717204A (zh) 自体骨移植物活性替代物组合物、制备方法及应用
EP1475109A1 (en) Formulations for delivery of osteogenic prote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