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237B1 -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 Google Patents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237B1
KR101958237B1 KR1020180106845A KR20180106845A KR101958237B1 KR 101958237 B1 KR101958237 B1 KR 101958237B1 KR 1020180106845 A KR1020180106845 A KR 1020180106845A KR 20180106845 A KR20180106845 A KR 20180106845A KR 101958237 B1 KR101958237 B1 KR 101958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erial
flat plate
watertight
seal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신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일산업 filed Critical (주)신일산업
Priority to KR1020180106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에 관한 것으로, 평판, 이 평판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직지지대, 수직지지대를 가로질러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평지지대를 구비하는 갱폼에서, 수평지지대들 사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는 단열재;와 단열재를 평판측으로 가압하도록 수평지지대에 장착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평판에 단열재가 가압수단에 의해 밀착 고정됨으로써, 단열 효과가 우수하고, 단열재의 탈착이 용이하며, 단열재를 간단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Assembly type gang form having insu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갱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단열재가 장착되고, 단열재의 배치로 단열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 또는 빌딩과 같은 각종 건물을 콘크리트로 시공하는 경우, 그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갱폼(gang form)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갱폼은 일례로, 도 1에서 보듯이, 일정 크기의 평판 형태인 외부거푸집패널(10)에 다수의 수평지지대(20)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부착되고, 수평지지대(20) 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직지지대(30)가 다수 부착되어 제작될 수 있다. 이 갱폼은 대향되어 설치된 내부거푸집패널(미도시)과 타이볼트(4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갱폼과 내부거푸집패널이 타이볼트(40)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공간이 형성되도록 세워지고, 이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 외벽이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는 물과 시멘트의 화학반응(수화반응)에 의해서 경화된다. 이런 반응은 수화열 발생으로 콘크리트 자체온도를 상당히 높이며, 외부온도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는데,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 콘크리트(한중(寒中)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수화반응의 지연과 콘크리트 중의 수분동결로 인한 동해를 유발할 수 있다. 이 동해로 인해 소기의 강도를 얻기가 어렵다. 또한,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 콘크리트를 (서중(暑中)콘크리트)에는 수분이 급격하게 증발하여 적정 습윤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수화열과 외기 온도로 인해 콘크리트 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여 균열현상 등의 내부 결함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제작된 단열재가 구비된 종래의 갱폼은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2061호(발명의 명칭:콘크리트 양생용 단열갱폼)에 개시되어 있다. 이를 간략히 설명하자면, 도 2에서 보듯이, 외부거푸집패널(10)에 수평지지대(20)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이 수평지지대(20)들 사이에 단열재(50)가 부착되며, 수평지지대(20)들 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직지지대(30)가 다수 설치된다. 이때, 단열재(50)는 외부거푸집패널(10)에 본딩으로 부착된다. 또한, 관통홀(11)을 통해 타이볼트(미도시)가 설치된다.
하지만, 단열 효과가 단열재(50)의 종류 및 두께 등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다. 또한, 단열재(50)를 설치하고 나면 위치를 변경하기 어렵고, 철거시 외부거푸집패널(10)에서 단열재(50)를 떼어 내기가 어려우며, 떼어 낸 후 남은 흔적으로 인해 재설치시 관통홀(11)의 수밀기능이 현저히 낮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4293호(2013.01.2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2061호(2012.11.15.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7618호(2011.04.0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55109호(2013.09.05.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9776호(2015.10.26.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5824호(2012.09.26.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7915호(2013.07.10.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재를 가압하여 외부거푸집패널에 밀착되도록 하여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단열재와 더불어 단열 공간이 마련되어 더욱 향상된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에 관한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은, 평판, 이 평판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직지지대, 수직지지대를 가로질러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평지지대를 구비하는 갱폼에서, 수평지지대들 사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는 단열재;와 단열재를 평판측으로 가압하도록 수평지지대에 장착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가압수단은 수평지지대의 하면에 평행하게 장착되는 제1가압부재와, 수평지지대의 하면에 평행하게 장착되면서 제1가압부재(510)와 애격되어 배치되는 제2가압부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압수단은 판 또는 수평지지대에 측면에 돌출되어 하방 이동한 단열재가 끼워지도록 장착되는 걸림부재일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재는 단열재의 끝단이 놓이는 미끄럼면과, 이 미끄럼면의 끝단에 단열재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가공된 곡면을 구비하고, 평판 또는 수평지지대 정도의 긴 길이로 1개 또는 짧은 길이의 다수가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압수단은 양측부가 굴절되어 수평지지대에 고정되고, 양측부 이외의 부위가 단열재를 가압하도록 제작된 가압플레이트일 수 있다. 여기서, 가압플레이트는 수직지지대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압수단은 단열재를 가압하기 위해 수평지지대들을 가로질러 배치된 회전봉, 회전봉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통과하여 배치되도록 수평지지대에 장착된 장착플레이트, 회전봉에 다수 장착된 제3가압부재, 회전봉에 부착된 손잡이와, 수평지지대엥 돌출 고정된 고정핀을 구비한 가압기구일 수 있다. 여기서, 장착플레이트 중 최하위 장착플레이트는 회전봉의 하단을 받쳐서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봉이 일정 각도 회전하면 제3가압부재가 단열재를 가압하고, 손잡이가 고정핀에 걸림 결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평판을 대향 위치한 내부거푸집평판과 고정시키기 위해 단열재 및 평판을 관통하여 배치된 고정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기구는 단열재와 평판을 관통하여 배치된 타이볼트, 타이볼트의 상부에 장착되어 수직지지대의 윗면에 얹혀지는 걸림판과, 타이볼트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단열재와 평판의 구멍을 폐쇄하도록 배치된 밀폐링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밀폐링은 타이볼트가 억지로 끼워지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기본으로 하고, 상단에 성형된 상부수밀플랜지와, 하단에 성형된 하부수밀플랜지를 구비한 형상으로 제작된 제1밀폐링일 수 있다. 여기서, 상부수밀플랜지의 지름은 단열재의 구멍을 폐쇄하고, 하부수밀플랜지의 지름은 평판의 구멍을 폐쇄하며, 중간부위의 지름은 단열재의 구멍에 삽입되는 정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밀폐링은 타이볼트가 억지로 끼워지는 중공의 역사다리꼴 형상을 기본으로 하고, 하단에 성형된 하부수밀플랜지를 구비한 형상으로 제작된 제2밀폐링일 수 있다. 여기서, 하부수밀플랜지의 지름은 평판의 구멍을 폐쇄하는 정도이고, 상부가 단열재의 구멍을 폐쇄하는 정도일 수 있다.
또한, 단열재는 다수 배치되는 경우 서로 이웃한 측면들은 끼움 맞춤되도록 굴절부가 가공될 수 있다.
한편, 단열재와 평판 사이에 형성된 단열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열재와 평판을 이격시켜 단열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단열재의 테두리이면서 단열재와 평판 사이에 배치된 제1간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열재와 평판을 이격시켜 단열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수평지지대의 측면이면서 일정 높이에 돌출되어 부착된 제2간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간격부재에 단열재의 측면 홈이 슬라이딩 끼움될 수 있다.
한편, 단열공간에 배치된 보조단열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단열재는 벌집 형상으로 만들어진 단열폼과, 이 단열폼의 양측면에 부착된 단열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단열공간에 배치되면서 평판 또는 단열재의 구멍과 단열공간을 차단하도록 장착되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제1수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수밀부재는 타이볼트가 관통하면서 평판의 구멍을 폐쇄하는 정도의 하부 지름과, 상면이 단열재를 받쳐서 지지하면서 타이볼트가 관통하는 정도의 상부 지름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단열재와 평판을 관통하여 배치된 타이볼트, 타이볼트의 상부에 장착되어 수직지지대의 윗면에 얹혀지는 걸림판과, 타이볼트에 끼움 결합되어 단열재와 평판의 구멍을 폐쇄하도록 배치된 밀폐링을 구비한 고정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밀폐링은 타이볼트의 하부에 고정되고, 링 형상이면서 측면상 테두리부위가 상,하부로 나뉘어 서로 이격된 형상의 제3밀폐링일 수 있다. 또한, 타이볼트의 상부에 고정되고, 중앙부위로부터 테두리측으로 점점 두께가 감소하는 링 형상인 제2수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밀폐링은 평판의 구멍을 폐쇄하고, 제2수밀부재는 단열재의 구멍을 폐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평판에 단열재가 가압수단에 의해 밀착 고정됨으로써, 단열 효과가 우수하고, 단열재의 탈착이 용이하며, 단열재를 간단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판과 단열재 사이에 단열공간이 마련되고, 이 단열공간에 보조단열재가 배치됨으로써, 단열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재 및 평판의 구멍을 밀폐링으로 차단하여 외부와 단절되면서 단열 및 수밀이 이루어지고, 단열재 및 평판의 구멍으로부터 단열 공간을 수밀부재로 밀폐함으로써, 단열 및 수밀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갱폼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일부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갱폼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5a에 도시된 걸림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번형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3의 다른 변형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가압기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3의 C-C선 단면도로, 고정기구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밀폐링의 다른 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실시 예가 도 5를 대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변형 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9의 다른 변형 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제2단열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a는 도 9의 또 다른 변형 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수밀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a는 도 9의 실시 예에서 도 8a의 고정기구의 변형 예가 설치된 측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밀폐링의 확대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3에서 단열재가 여러 장 배치되는 경우 단열재들의 연결 부위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은 콘크리트의 균일한 양생을 위해 외부 열과의 차단을 위한 내부 및 외부 갱폼 중 외부 갱폼에 관한 것이다. 이 갱폼은 외부거푸집평판(이하, '평판'이라 함)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평지지대가 장착되고, 수평지지대들 사이에 가압수단을 매개로 단열재가 끼움 결합되며, 수평지지대 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직지지대가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갱폼은 평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타이볼트를 포함한 고정기구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평판과 단열재는 서로 밀착되어 배치되거나 서로 이격되어 단열공간을 마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단열재는 경질우레탄폼을 포함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재질 및 형태일 수 있다.
한편, 가압수단은 단열재를 가압하거나 끼워지면서 탈착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지지대에 부착된 가압부재, 수평지지대에 부착된 걸림부재, 이웃한 수평지지대를 연결하여 설치된 장착부재, 제자리 회전하여 단열재를 가압하도록 수직지지대들 사이에 장착된 가압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압수단은 평판의 관통홀을 통과하는 고정기구의 타이볼트의 하부에 장착되고 관통홀을 수밀시키면서 단열재를 고정시키는 밀폐링과, 평판의 관통홀을 수밀시키면서 단열공간을 밀폐시키도록 장착된 수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 및 변형 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은 도 3에서 보듯이, 외부거푸집평판(100, 이하 '평판'이라 함), 이 평판(100)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평지지대(200), 수평지지대(200) 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직지지대(300), 수평지지대(200)들 사이에 배치된 단열재(400), 단열재(400)를 평판(100)에 밀착시키면서 가압하도록 설치된 가압수단(500)과, 고정기구(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평판(100)은 평평하면서 양측부가 일방향으로 굴절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수평지지대(200)는 평판(100)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부착된다. 이때, 평판(100)의 굴절된 양측부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이 수평지지대(200)는 사각 단면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의 파이프일 수 있다. 이 수평지지대(200)는 평판(100)에 용접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수평지지대(200)와 평판(100) 사이에 생성된 틈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실리콘 또는 수밀테이프 등을 포함한 실링재가 도포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이 실링재는 수밀을 위해 갱폼의 각 구성요소의 연결부위 마다 도포 및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수직지지대(300)는 수평지지대(200)의 윗면에 교차되어 배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 부착된다. 이 수직지지대(300)는 사각 단면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의 파이프일 수 있다. 이때, 수평지지대(200)는 수직지지대(300)와 용접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지지대(300)는 고정기구(600, 도 8a 참조)를 장착하기 위해 갭을 형성한 2개가 1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예로 1개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단열재(400)는 서로 마주한 상태의 평판(100)과 내부거푸집패널(미도시) 사이의 공간에서 양생되는 콘크리트를 외부 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단열재(400)는 평판(100)의 수평지지대(200)가 설치된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단열재(400)는 수평지지대(200)들 사이에 본딩을 배제한 채 끼움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렇게 끼움장착된 단열재(400)는 가압수단(500)에 의해 고정 및 유지되고, 필요시 간단하게 평판(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단열재(400)는 도 4에서 보듯이 수평지지대(200)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되고, 가압수단(500)에 의해 눌릴 수 있다.
그리고 가압수단(500)은 단열재(400)를 평판(100)에 밀착시키는 수단이다. 이 가압수단(500)은 도 3에서 보듯이, 수직지지대(300)에 고정된 제1가압부재(510), 제2가압부재(520)와 걸림부재(5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압부재(510)는 수직지지대(300)에 대략 수평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 제1가압부재(510)는 1쌍의 수직지지대(300)에 각각 고정되도록 2개가 고정되거나 1쌍의 수직지지대(300)를 연결하여 1개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가압부재(510)는 수직지지대(300)와 교차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가압부재(510)는 도 4에서와같이 단열재(400)를 눌러서 단열재(400)가 평판(100)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가압부재(520)는 제1가압부재(510)처럼 수직지지대(300)에 대략 수평하면서 제1가압부재(520)와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제1가압부재(510)는 1쌍의 수직지지대(300)에 각각 고정되도록 2개가 고정되거나 1쌍의 수직지지대(300)를 연결하여 1개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가압부재(520)는 수직지지대(300)와 교차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가압부재(520)는 단열재(400)를 눌러서 단열재(400)가 평판(100)에 더욱 견고히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가압부재(510)과 제2가압부재(520)는 길게 1개 또는 짧게 여러 개 고정될 수 있다.
걸림부재(530)는 단열재(400)의 테두리가 끼워지는 부재이다. 이 걸림부재(530)는 평판(100)의 굴절된 부위 또는 수평지지대(200)의 내면에서 대략 단열재(400)의 두께만큼의 높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재(530)는 도 5a와 도 5b에서 보듯이 대락 측면이 삼각형이고, 미끄럼면(531)과 하면이 접하는 부위가 곡면(532)으로 제작되며, 금속, 비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530)는 수평지지대(200)들 사이에 장착되는 정도의 긴 길이의 1개이거나 짧은 길이이면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평판(100)에 용접 또는 본딩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530)와 평판(100) 사이의 틈새가 발생한 경우 실리콘 및 수밀 테이프를 포함한 실링재로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재(400)가 걸림부재(530)의 미끄럼면(531)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외압이 가해지면 단열재(400)가 평판(100)과 걸림부재(53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끼워지는 동안 걸림부재(530)의 곡면(532) 부위로 인해 단열재(400)의 긁힘이나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가압수단(500)은 도 6에서 보듯이, 가압플레이트(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압플레이트(540)는 양측부가 대략 계단 형태로 굴절되고, 금속, 비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길이가 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플레이트(540)는 수직지지대(300)들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플레이트(540)는 양측부가 수평지지대(200)의 윗면에 위치하여 나사결합 또는 볼팅 결합 또는 용접 또는 본딩 등을 포함한 통상의 방식으로 체결되고, 양측부 이외의 부위가 단열재(400)를 평판(100)과 밀착하도록 가압할 수 있다.
또한, 가압수단(500)은 도 7a와 도 7b에서 보듯이, 가압기구(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압기구(550)는 수직지지대(300)들 사이에 배치되어 단열재(400)를 가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기구(550)는 회전봉(551), 회전봉(551)이 수평지지대(200)에 장착되도록 설치된 장착플레이트(552), 회전봉(551)에 부착된 제3가압부재(553), 손잡이(554)와 고정핀(555)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봉(551)은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회전봉(551)은 중공 또는 중실의 원형파이프이거나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장착플레이트(552)는 수평지지대(200)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봉(551)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수평지지대(200)에 결합되면서 회전봉(551)가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장착플레이트(552)는 회전봉(551)이 통과하도록 대략 중앙부위가 볼록하게 돌출되어 제작되고, 양측부가 나사체결, 볼팅체결, 용접 또는 본딩 등을 포함한 통상의 방식으로 수평지지대(200)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플레이트(552)들 중 최하위 장착플레이트(552)는 회전봉(551)의 하단을 받쳐 자중을 지지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지지대(200)에 체결된 장착플레이트(552)에 회전봉(551)이 끼워지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3가압부재(553)는 회전봉(551)의 일부위에 부착되고, 회전봉(551)의 회전 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열재(400)를 가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제3가압부재(553)는 수평지지대(200)들 사이에 1개 이상 부착될 수 있다.
손잡이(554)는 회전봉(551)를 제자리 회전시키기 위해 파지되는 부재이다. 이 손잡이는 회전봉(551)의 일부위에 돌출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이 손잡이(554)는 회전봉(551)을 회전시킨 후 굴절핀(555)에 걸림되도록 굴절되어 가공될 수 있다.
고정핀(555)은 수평지지대(200)의 일면에 돌출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핀(555) 앞쪽에 있는 손잡이(554)를 잡고 회전봉(551)을 들어올려 대략 90° 정도 제자리 회전시키고, 내려놓으면서 손잡이(554)를 고정핀(555) 뒷쪽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손잡이(554)가 고정핀(555)에 걸림 결합되고, 제3가압부재(553)가 단열재(400)를 가압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기구(600)는 도 3과 도 8a에서 보듯이, 갱폼과 내부거푸집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기구이다. 이 고정기구(600)는 1쌍의 수직지지대(300)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단열재(400)와 평판(100)에 가공된 구멍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타이볼트(610), 타이볼트(6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수직지지대(300)의 상면에 걸쳐지는 걸림판(620), 걸림판(620)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수직지지대(300)의 하면에 걸리도록 굴절된 걸림편(630), 타이볼트(610)의 하부에 끼움 고정되면서 단열재(400) 및 평판(100)의 구멍을 막도록 장착된 제1밀폐링(64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밀폐링(640)은 타이볼트(610)가 억지로 끼워지는 대략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기본으로 하고, 상단에 상부수밀플랜지(641)가 성형되며, 하단에 하부수밀플랜지(642)가 성형된 형상일 수 있다. 상부수밀플랜지(641)는 단열재(400)의 구멍을 폐쇄하여 수밀이 되도록 단열재(400)의 구멍보다 더 크게 성형될 수 있다. 하부수밀플랜지(642)는 평판(100)의 구멍을 폐쇄하여 수밀이 되도록 단열재(400)의 구멍에 삽입되면서 평판(100)의 구멍보다 더 크게 성형될 수 있다. 또한, 하부수밀플랜지(642)는 수밀의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접하여 가공된 1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타이볼트(610)가 단열재(400)의 구멍과 평판(100)의 구멍을 관통하여 배치되면 하부수밀플랜지(642)가 평판(100)의 구멍을 덮어서 폐쇄하고, 상부수밀플랜지(641)가 단열재(400)의 구멍을 덮어서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밀폐링(640)은 도 8b에서 보듯이, 제2밀폐링(650)과 같은 형상으로 변형 가공될 수 있다. 제2밀폐링(650)은 타이볼트(610)가 끼워지는 중공이면서 측면상 역사디리꼴인 기둥 형상을 기본으로 하고, 하단에 하부수밀플랜지(642)가 성형되며, 하부수밀플랜지(642)에서 상단까지 경사져 확장된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단의 지름은 하부수밀플랜지(642)의 지름보다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타이볼트(610)가 단열재(400)의 구멍과 평판(100)의 구멍을 관통하여 배치되면 하부수밀플랜지(642)가 평판(100)의 구멍을 덮어서 폐쇄하고, 상부가 단열재(400)의 구멍에 끼워져 폐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3의 실시 예와 비교하여 다른 구조 및 특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반면, 기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갈음하면서 필요한 경우 간략히 언급하도록 한다.
도 9의 실시 예를 보면, 도 3의 실시 예와 같이 갱폼은 평판(100), 수평지지대(200), 수직지지대(300) 및 단열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압수단(500)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실시 예와 대비한 도 9의 실시 예의 특징은 단열재(400)와 평판(100) 사이에 마련된 단열공간(700)과 간격부재이다.
단열공간(700)은 단열재(400)와 평판(100) 사이에 마련되어 단열재(400)와 함께 외부 온도가 양생시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하기 위한 공간이다. 이 단열공간(700)은 단열재(400)가 평판(100)과 이격 및 배치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단열공간(700)은 단열재(400)와 평판(100) 간의 간격이 일례로 5 ~ 20mm 정도일 수 있다.
간격부재는 단열공간(700)을 마련하기 위해 단열재(400)와 평판(100) 사이에 개재되는 부재이다. 이 간격부재는 일례로 도 9에서처럼 제1간격부재(800)일 수 있다. 제1간격부재(800)는 단열재(400)의 테두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간격부재는 금속, 비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경질이고, 단열 기능을 갖는 재질일 수 있으며, 용접, 본딩 또는 테이핑을 포함한 일반적인 1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수밀 가능하게 부착되며, 단열재(400) 또는 평판(100) 또는 수평지지대(200)에 부착되고, 높이에 따라 단열공간(700)과 평판(100) 간의 간격이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간격부재(800)는 수밀을 위해 약간의 탄성력이 있는 패킹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제1간격부재(800)는 강철 파이프로 제작되면서 평판(100)과 수평지지대(200) 사이에 실리콘 또는 수밀테이프 등의 수밀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간격부재는 다른 예로, 도 10에서처럼 제2간격부재(810)일 수 있다. 제2간격부재(810)는 수평지지대(200)의 측면이면서 일정 높이에 서로 대향되게 돌출 부착될 수 있다. 이 제2간격부재(810)는 금속, 비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이고, 단열 기능을 갖는 재질일 수 있으며, 수평지지대(200)의 길이만큼의 길이이면서 용접, 본딩 또는 테이핑을 포함한 일반적인 1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수밀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2간격부재(810)의 부착 높이에 따라 단열공간(700)과 평판(100) 간의 간격이 정해질 수 있다. 이때, 단열공간(700)은 수밀을 위해 제1간격부재(800)가 추가 고정되거나 수밀부재기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간격부재(810)는 도 3의 가압수단(500)의 일례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간격부재(810)가 끼워지도록 단열재(400)의 측면에 홈이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초기에 단열재(400)의 홈에 제2간격부재(810)가 진입하면 단열재(400)를 일방향으로 밀어 수평지지대(200)들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평지지대(200)들 사이에 단열재(400)가 배치되고, 단열재(400)와 평판(100) 사이에 단열공간(700)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 제2간격부재(810)는 단열재(400)의 수직지지대(300)측 일면의 테두리에 부착되고, 단열공간(700)에 제1간격부재(800)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도 11a 및 도 11b에서 보듯이, 평판(100)과 단열재(400) 사이에 보조단열재(710)를 삽입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 보조단열재(710)는 도 9의 단열공간(700)에 삽입될 수도 있고, 단열공간(700) 대신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보조단열재(710)는 평판(100)과 단열재(400) 사이에 배치된 후 수직지지대(300)에 장착된 제1가압부재(510), 제2가압부재(520), 가압플레이트(540) 및/또는 가압기구(550)에 의해 견고히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보조단열재(710)는 대략 벌집 형상의 단열폼(711)과, 단열폼(711)의 양측면에 부착된 단열시트(712)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 보조단열재(710)는 대략 단열재(400)의 크기이면서 두께는 일례로 5 ~ 20mm 정도일 수 있다.
한편, 도 12a 및 도 12b에서 보듯이 단열공간(700)이 마련된 경우, 고정기구(600)의 타이볼트(610)가 관통하는 평판(100) 및 단열재(400)의 구멍을 막기 위해 제1수밀부재(9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수밀부재(900)는 지름이 넓은 상부와 좁은 하부를 갖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수밀부재(900)의 하부는 평판(100)의 구멍에 끼워지고, 상부는 단열공간에 위치하며, 상단면이 단열재(400)를 받쳐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의 넓은 내경은 고정기구(600)의 밀폐링의 하부수밀플랜지(642)가 삽입되어 수밀하도록 끼워지는 정도일 수 있다. 그리고 하부의 좁은 내경은 타이볼트(610)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정도일 수 있다. 이외에 제1수밀부재(900)는 상단과 하단의 지름이 동일한 링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도 13a 및 도 13b에서 보듯이 단열공간(700)이 마련된 경우, 고정기구(600)의 타이볼트(610)의 상부에 끼움 고정되는 제2수밀부재(9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볼트(610)의 하부에 고정되는 밀폐링은 제1밀폐링(640) 또는 제2밀폐링(650)의 하부수밀플랜지(642) 부위만 가공된 형태의 제3밀폐링(660)일 수 있다. 이 제3밀폐링(660)은 타이볼트(610)의 하부에 끼움 고정되고, 설치시 단열공간(700)에 되면서 평판(100)의 구멍을 폐쇄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제2수밀부재(910)은 대략 링 형상이면서 중심부에서 테두리측으로 점점 두께가 얇아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 제2수밀부재(910)은 타이볼트(610)에서 단열재(4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3a에서 보듯이 제3밀폐링(660)은 평판(100)의 구멍을 폐쇄하고, 제2수밀부재(910)의 중심부위가 단열재(400)의 구멍의 상단 부위에 끼워져 단열재(400)의 구멍을 폐쇄할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단열재(400)가 여러 장 배치된 경우 서로 이웃한 단열재(400)들의 이음부위가 확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수평지지대(200)들 사이에 1장의 단열재(400)가 설치된 반면 여러 장의 단열재(400)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단열재(400)를 재단하는 폭 및 길이에 따라 좌우는 물론 상하 방향으로 여러 장의 단열재(400)가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4에서 보듯이, 이웃한 단열재(400)들의 서로 맞닿는 측면은 서로 대응하는 계단 형태로 굴절될 수 있다. 일례로 일측 단열재(400)의 측면이 상부가 돌출된 계단 형상이면, 타측 단열재(400)의 측면은 하부가 돌출된 계단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재(400)들이 서로 걸쳐서 끼움 맞춤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평판 200:수평지지대
300:수직지지대 400:단열재
500:가압수단 510:제1가압부재
520:제2가압부재 530:걸림부재
531:미끄럼면 532:곡면
540:가압플레이트 550:가압기구
551:회전봉 552:장착플레이트
553:제3가압부재 554:손잡이
555:고정핀
600:고정기구 610:타이볼트
620:걸림판 630:걸림편
640:제1밀폐링 641:상부수밀플랜지
642:하부수밀플랜지 650:제2밀폐링
660:제3밀폐링 700:단열공간
710:보조단열재 711:단열폼
712:단열시트 800:제1간격부재
810:제2간격부재 900:제1수밀부재.
910:제2수밀부재.

Claims (15)

  1. 평판(100), 이 평판(100)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직지지대(300), 수직지지대(300)를 가로질러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평지지대(200)를 구비하는 갱폼에서,
    상기 수평지지대(200)들 사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단열재(400);와
    상기 단열재(400)를 평판(100)측으로 가압하도록 수평지지대(200)에 장착되는 가압수단(500);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수단(500)은 수평지지대(200)의 하면에 교차 방향으로 장착되는 제1가압부재(510) 및, 수평지지대(200)의 하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착되면서 제1가압부재(51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가압부재(52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수단(500)은 평판(100) 또는 수평지지대(200)에 측면에 적어도 1개가 돌출되어 하방 이동한 단열재(400)가 평판(100)의 바닥과 밀착되어 끼워지도록 장착되는 걸림부재(530)와, 양측부가 굴절되어 수평지지대(200)에 고정되고, 양측부 이외의 부위가 단열재(400)를 가압하도록 제작된 가압플레이트(540)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재(530)는 하방 이동하는 단열재(400)의 끝단이 접촉하여 미끄럼 이동하는 미끄럼면(531)과, 단열재(400)가 걸림부재(530)를 통과하면서 접촉하는 걸림부재(530)의 끝단이 곡면 처리된 곡면(532)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540)는 수직지지대(300)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단열재(400)가 다수 배치되면 서로 맞닿는 측면에 상응하도록 가공된 단차형태의 굴절부들이 끼움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2. 평판(100), 이 평판(100)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직지지대(300), 수직지지대(300)를 가로질러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평지지대(200)를 구비하는 갱폼에서,
    상기 수평지지대(200)들 사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단열재(400);와
    상이 단열재(400)를 평판(100)측으로 가압하도록 수평지지대(200)에 장착되는 가압수단(500);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수단(500)은 단열재(400)를 가압하기 위해 수평지지대(200)들을 가로질러 배치된 회전봉(551), 회전봉(551)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통과하여 배치되도록 수평지지대(200)에 장착된 장착플레이트(552), 회전봉(551)에 다수 장착된 제3가압부재(553), 회전봉(551)에 부착된 손잡이(554)와, 수평지지대(200)에 돌출 고정된 고정핀(555)을 구비한 가압기구(550)이고,
    상기 장착플레이트(552) 중 최하위 장착플레이트(552)는 회전봉(551)의 하단을 받쳐서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봉(551)이 일정 각도 회전하면 제3가압부재(553)가 단열재를 가압하고, 손잡이(554)가 고정핀(555)에 걸림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평판(100)을 대향 위치한 내부거푸집평판과 고정시키기 위해 단열재(400) 및 평판(100)을 관통하여 배치된 고정기구(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기구(600)는 단열재(400)와 평판(100)을 관통하여 배치된 타이볼트(610), 타이볼트(6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수직지지대(300)의 윗면에 얹혀지는 걸림판(620)과, 타이볼트(610)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단열재(400)와 평판(100)의 구멍을 폐쇄하도록 배치된 밀폐링을 구비하고,
    상기 밀폐링은 타이볼트(610)가 억지로 끼워지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기본으로 하고, 상단에 성형된 상부수밀플랜지(641)와, 하단에 측면상 테두리부위가 상, 하부로 나뉘어 서로 이격되면서 두께가 측면상 테두리측으로 점감되는 형상의 하부수밀플랜지(642)를 구비한 형상으로 제작된 제1밀폐링(640)이고,
    상기 상부수밀플랜지(641)의 지름은 단열재(400)의 구멍을 폐쇄하고, 하부수밀플랜지(642)의 지름은 평판(100)의 구멍을 폐쇄하며, 중간부위의 지름은 단열재(400)의 구멍에 삽입되는 정도이거나,
    상기 밀폐링은 타이볼트(610)가 억지로 끼워지는 중공의 역사다리꼴 형상을 기본으로 하고, 하단에 측면상 테두리부위가 상, 하부로 나뉘어 서로 이격되면서 두께가 측면상 테두리측으로 점감되는 형상의 하부수밀플랜지(642)를 구비한 형상으로 제작된 제2밀폐링(650)이고,
    상기 하부수밀플랜지(642)의 지름은 평판(100)의 구멍을 폐쇄하는 정도이고, 제2밀폐링(650)의 상부가 단열재(400)의 구멍을 폐쇄하는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단열재(400)와 평판(100) 사이에 형성된 단열공간(700);과,
    상기 단열공간(700)에 배치된 보조단열재(7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400)와 평판(100)을 이격시켜 단열공간(700)을 마련하기 위해 단열재(400)의 테두리이면서 단열재(400)와 평판(100) 사이에 배치된 제1간격부재(800)와, 수평지지대(200)의 측면이면서 일정 높이에 돌출되어 부착된 제2간격부재(81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간격부재(810)에 단열재(400)의 측면 홈이 슬라이딩 끼움되고,
    상기 보조단열재(710)는 벌집 형상으로 만들어진 단열폼(711)과, 이 단열폼(711)의 양측면에 부착된 단열시트(712)를 구비하고,
    상기 단열재(400)는 다수 배치되면 서로 맞닿는 측면에 상응하도록 가공된 단차형태의 굴절부들이 끼움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5. 제4항에서,
    상기 단열재(400)와 평판(100)을 관통하여 배치된 타이볼트(610), 타이볼트(6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수직지지대(300)의 윗면에 얹혀지는 걸림판(620)과, 타이볼트(610)에 끼움 결합되어 단열재(400)와 평판(100)의 구멍을 폐쇄하도록 배치된 밀폐링을 구비한 고정기구(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기구(600)는 단열재(400)와 평판(100)을 관통하여 배치된 타이볼트(610), 타이볼트(6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수직지지대(300)의 윗면에 얹혀지는 걸림판(620)과, 타이볼트(610)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단열재(400)와 평판(100)의 구멍을 폐쇄하도록 배치된 밀폐링을 구비하고,
    상기 밀폐링은 타이볼트(610)가 억지로 끼워지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기본으로 하고, 상단에 성형된 상부수밀플랜지(641)와, 하단에 측면상 테두리부위가 상, 하부로 나뉘어 서로 이격되면서 두께가 측면상 테두리측으로 점감되는 형상의 하부수밀플랜지(642)를 구비한 형상으로 제작된 제1밀폐링(640)이거나,
    상기 상부수밀플랜지(641)의 지름은 단열재(400)의 구멍을 폐쇄하고, 하부수밀플랜지(642)의 지름은 평판(100)의 구멍을 폐쇄하며, 중간부위의 지름은 단열재(400)의 구멍에 삽입되는 정도이거나,
    상기 밀폐링은 타이볼트(610)가 억지로 끼워지는 중공의 역사다리꼴 형상을 기본으로 하고, 하단에 측면상 테두리부위가 상, 하부로 나뉘어 서로 이격되면서 두께가 측면상 테두리측으로 점감되는 형상의 하부수밀플랜지(642)를 구비한 형상으로 제작된 제2밀폐링(650)이고,
    상기 하부수밀플랜지(642)의 지름은 평판(100)의 구멍을 폐쇄하는 정도이고, 제2밀폐링(650)의 상부가 단열재(400)의 구멍을 폐쇄하는 정도이고,
    상기 단열공간(700)에 배치되면서 평판(100) 또는 단열재(400)의 구멍과 단열공간(700)을 차단하도록 측면상 하부 테두리부위가 단차를 이루도록 제작된 중공의 원기둥형상의 제1수밀부재(900);와
    상기 타이볼트(610)의 상부에 고정되고, 중공의 원반 형상이고, 평면상 중앙부위로부터 테두리측으로 점점 두께가 감소하는 제2수밀부재(92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수밀부재(900)는 타이볼트(610)가 관통하면서 평판(100)의 구멍을 폐쇄하는 정도의 하부 지름과, 상면이 단열재(400)를 받쳐서 지지하면서 타이볼트(610)가 관통하는 정도의 상부 지름을 가지고, 상기 밀폐링의 하부가 삽입되는 상부의 대내경과, 타이볼트(610)가 관통하는 하부의 소내경을 갖도록 제작되고,
    상기 밀폐링은 타이볼트(610)의 하부에 고정되고, 링 형상이면서 측면상 테두리부위가 상, 하부로 나뉘어 서로 이격되면서 두께가 평면상 테두리측으로 점감되는 형상의 제3밀폐링(660)이고
    상기 제3밀폐링(660)은 평판(100)과 단열재(400) 사이에 배치되어 수밀하고, 제2수밀부재(910)는 단열재(400)의 구멍을 폐쇄하기 위해 단열재(400)의 상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구조의 조립식 갱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80106845A 2018-09-07 2018-09-07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KR101958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845A KR101958237B1 (ko) 2018-09-07 2018-09-07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845A KR101958237B1 (ko) 2018-09-07 2018-09-07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237B1 true KR101958237B1 (ko) 2019-05-22

Family

ID=6667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845A KR101958237B1 (ko) 2018-09-07 2018-09-07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2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886B1 (ko) * 2020-05-20 2021-03-11 신성스틸(주) 단열 갱폼
KR102285511B1 (ko) * 2020-08-25 2021-08-03 박상우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KR102311617B1 (ko) 2021-07-26 2021-10-13 미진정공(주) 단열 갱폼
KR20210141318A (ko) * 2020-05-15 2021-11-23 최서준 단열 갱폼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470Y1 (ko) * 2005-04-25 2005-07-18 미래테크(주)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0449853Y1 (ko) * 2008-02-01 2010-08-16 (주)블루폼 탈부착이 가능한 면귀
KR101027618B1 (ko) 2009-09-25 2011-04-06 강인선 외부 단열 갱폼, 건축물의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건축물의 콘크리트 외부벽체
KR20120105824A (ko) 2011-03-16 2012-09-26 미진정공(주) 단열 갱폼
KR101202061B1 (ko) 2012-05-24 2012-11-15 대건기술 주식회사 콘크리트 양생용 단열갱폼
KR101224293B1 (ko) 2012-05-25 2013-01-21 대건기술 주식회사 단열갱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방법
KR200467915Y1 (ko) 2012-01-16 2013-07-10 대산이엔지 주식회사 갱폼 고정장치
KR101305109B1 (ko) 2012-03-12 2013-09-05 주식회사 근하기공 개량형 타이볼트 장치를 가진 외단열 갱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KR20140080223A (ko) * 2012-12-20 2014-06-30 김재환 경량·단열·차음 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KR20150119776A (ko) 2014-04-16 2015-10-26 염성은 콘크리트 양생을 위한 단열재를 포함하는 갱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41848A (ko) * 2014-06-10 2015-12-21 함정현 콘크리트 양생을 위한 단열재를 포함하는 갱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470Y1 (ko) * 2005-04-25 2005-07-18 미래테크(주)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0449853Y1 (ko) * 2008-02-01 2010-08-16 (주)블루폼 탈부착이 가능한 면귀
KR101027618B1 (ko) 2009-09-25 2011-04-06 강인선 외부 단열 갱폼, 건축물의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건축물의 콘크리트 외부벽체
KR20120105824A (ko) 2011-03-16 2012-09-26 미진정공(주) 단열 갱폼
KR200467915Y1 (ko) 2012-01-16 2013-07-10 대산이엔지 주식회사 갱폼 고정장치
KR101305109B1 (ko) 2012-03-12 2013-09-05 주식회사 근하기공 개량형 타이볼트 장치를 가진 외단열 갱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KR101202061B1 (ko) 2012-05-24 2012-11-15 대건기술 주식회사 콘크리트 양생용 단열갱폼
KR101224293B1 (ko) 2012-05-25 2013-01-21 대건기술 주식회사 단열갱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방법
KR20140080223A (ko) * 2012-12-20 2014-06-30 김재환 경량·단열·차음 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KR20150119776A (ko) 2014-04-16 2015-10-26 염성은 콘크리트 양생을 위한 단열재를 포함하는 갱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41848A (ko) * 2014-06-10 2015-12-21 함정현 콘크리트 양생을 위한 단열재를 포함하는 갱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318A (ko) * 2020-05-15 2021-11-23 최서준 단열 갱폼
KR102599467B1 (ko) * 2020-05-15 2023-11-06 최서준 단열 갱폼
KR102225886B1 (ko) * 2020-05-20 2021-03-11 신성스틸(주) 단열 갱폼
KR102285511B1 (ko) * 2020-08-25 2021-08-03 박상우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KR102311617B1 (ko) 2021-07-26 2021-10-13 미진정공(주) 단열 갱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237B1 (ko)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KR101887659B1 (ko)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
KR102285511B1 (ko)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KR102508320B1 (ko) 갱폼에 단열재를 고정하는 방법
KR101369574B1 (ko) 진공단열재 전용 고정구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KR102316502B1 (ko) 단열갱폼 및 단열갱폼을 이용한 건물벽체 시공방법
CN204282410U (zh) 一种地下室底板的伸缩缝防水结构
US20150218825A1 (en) Skyligh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210316541U (zh) 预制叠合楼板整体支撑体系
JP5976339B2 (ja) 屋上設備機器設置用架台の取付装置及び取付方法
KR101666822B1 (ko)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및 그 시공 구조체
NO123966B (ko)
JP2007002433A (ja) 外装材の取付け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躯体の外壁の構造
KR102148249B1 (ko) 수직형 압축 보강재 삽입형 하이브리드 단열판 및 이를 이용한 기초구조
KR101616500B1 (ko) 옥상 슬라브용 조립식 방수 단열 구조체
KR200242493Y1 (ko) 조합된 건축용 관통 슬리브
JP3866632B2 (ja) 床下地構造及び地下室用床下地
KR200496446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KR101087169B1 (ko) 조립식 거푸집
NO742026L (ko)
JP4746781B2 (ja) 建物の外断熱建築工法
KR102159321B1 (ko) 단열 갱폼 및 건물벽체 시공 방법
CN113982149B (zh) 一种室内外玻璃幕墙的防水装置
KR20230001872U (ko) 단열 갱폼
CN114892952B (zh) 保温层避让连墙杆的连墙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