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872U - 단열 갱폼 - Google Patents

단열 갱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872U
KR20230001872U KR2020220000686U KR20220000686U KR20230001872U KR 20230001872 U KR20230001872 U KR 20230001872U KR 2020220000686 U KR2020220000686 U KR 2020220000686U KR 20220000686 U KR20220000686 U KR 20220000686U KR 20230001872 U KR20230001872 U KR 202300018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supports
horizontal
horizontal support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6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일엔지니어링
박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일엔지니어링, 박상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2200006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872U/ko
Publication of KR20230001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8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열 갱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갱폼은, 건축물의 외벽에 대면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의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며, 플레이트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수평 지지대; 복수의 수평 지지대와 수직하도록 플레이트의 수평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며, 복수의 수평 지지대를 지지하는 복수의 수직 지지대; 플레이트 및 복수의 수평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수평 지지대 각각의 제1 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제1 단열 부재; 복수의 수직 지지대 각각의 사이에 복수개 배치되며, 복수의 수평 지지대 각각의 제1 면을 제외한 제2 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제2 단열 부재; 및 복수의 수직 지지대 각각의 사이에 복수개 배치되며, 복수의 제2 단열 부재 각각을 복수의 수평 지지대 각각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 갱폼{Insulating gang form}
본 고안은 단열 갱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갱폼의 노출 면적을 최소화하고 갱폼의 단열 면적을 최대화하여 갱폼의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고 외부 온도에 따른 양생 콘크리트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단열 갱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공공 주택, 고층 건물 등 상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는 건물의 외벽은 콘크리트 타설 방법으로 시공되는데, 이를 위해 대형 철재 구조물인 외부 거푸집, 즉, 갱폼(Gang form)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갱폼은 건축물의 외벽에 대면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수평 지지대와, 복수의 수평 지지대 각각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수직 지지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갱폼은 내부 거푸집 패널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갱폼과 내부 거푸집 패널의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 건축물의 외벽이 형성된다.
한편, 콘크리트는 물과 시멘트의 화학 반응(수화 반응)에 의해서 경화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외부 온도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는다. 즉,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는 수화 반응의 지연과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 동결로 인한 동해를 유발하므로 소정의 강도를 얻기가 어렵고,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는 수분이 급격하게 증발하여 적정 습윤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수화열과 외기 온도로 인해 콘크리트 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여 균 열현상 등의 내부 결함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단열 구조가 적용된 갱폼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02061호(콘크리트 양생용 단열갱폼)(2012년 11월 15일 공고),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24293호(단열갱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방법)(2013년 1월 14일 공고) 등에는 콘크리트 양생용 단열 갱폼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단열 갱폼은 갱폼과 내부 거푸집 패널의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단열 부재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갱폼이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넓어 갱폼의 단열 효과가 현저히 감소되므로 양생 콘크리트의 품질이 현저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갱폼의 노출 면적을 최소화하고 갱폼의 단열 면적을 최대화하여 갱폼의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고 외부 온도에 따른 양생 콘크리트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단열 갱폼이 요구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02061호(콘크리트 양생용 단열갱폼)(2012년 11월 15일 공고)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24293호(단열갱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방법)(2013년 1월 14일 공고)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갱폼을 구성하는 플레이트와 복수의 수평 지지대 사이에 제1 단열 부재를 설치하고, 복수의 수평 지지대 각각에 제2 단열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갱폼의 단열 면적을 최대화하여 갱폼의 단열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 온도에 따른 양생 콘크리트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단열 갱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갱폼은, 건축물의 외벽에 대면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수평 지지대;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대와 수직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수평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대를 지지하는 복수의 수직 지지대;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대 각각의 제1 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제1 단열 부재; 상기 복수의 수직 지지대 각각의 사이에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대 각각의 제1 면을 제외한 제2 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제2 단열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수직 지지대 각각의 사이에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 단열 부재 각각을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대 각각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제2 단열 부재 각각은 내부에 공기 층이 형성된 단열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고정 부재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2 단열 부재 각각이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대 각각의 제2 면을 감싸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고정 부재 각각은, 상기 복수의 수직 지지대 각각의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수직 지지대 각각과 인접한 위치에 한 쌍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 단열 부재 각각의 양단을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대 각각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갱폼에 따르면, 갱폼을 구성하는 플레이트와 복수의 수평 지지대 사이에 제1 단열 부재를 설치하고, 복수의 수평 지지대 각각에 제2 단열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갱폼의 단열 면적을 최대화하여 갱폼의 단열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 온도에 따른 양생 콘크리트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갱폼에 따르면, 복수의 수평 지지대 각각에 설치되는 제2 단열 부재를 복수의 수평 지지대 각각의 노출 면을 감싸도록 단열 시트로 구성함으로써, 갱폼의 노출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열 부재의 설치, 분해 및 유지 보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갱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갱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갱폼을 구성하는 제2 단열 부재 및 고정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갱폼을 구성하는 제2 단열 부재 및 고정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단열 갱폼(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갱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갱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갱폼(100)은 플레이트(110), 복수의 수평 지지대(120), 복수의 수직 지지대(130), 제1 단열 부재(140), 복수의 제2 단열 부재(150) 및 복수의 고정 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10)는 건축물의 외벽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복수의 수평 지지대(120)는 플레이트(110)의 수직 방향(도 2의 예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복수개 배치되며, 플레이트(110)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고, 복수의 수직 지지대(130)는 복수의 수평 지지대(120)와 수직하도록 플레이트(110)의 수평 방향(도 2의 예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복수개 설치되며, 복수의 수평 지지대(120)를 지지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플레이트(110)는 발코니 등을 설치하기 위해 건물의 외벽에 형성된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내부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열 부재(140)는 플레이트(110) 및 복수의 수평 지지대(120)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수평 지지대(120) 각각의 제1 면(후술할 도 4의 우측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단열 부재(140)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소재의 단열 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단열 부재(150)는 복수의 수직 지지대(130) 각각의 사이에 복수개 배치되며, 복수의 수평 지지대(120) 각각의 제1 면을 제외한 제2 면(후술할 도 4의 상부면, 좌측면 및 하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 부재(160)는 복수의 수직 지지대(130) 각각의 사이에 복수개 배치되며, 복수의 제2 단열 부재(150) 각각을 복수의 수평 지지대(120) 각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갱폼(100)은 플레이트(110) 및 복수의 수평 지지대(120)가 제1 단열 부재(140) 및 복수의 제2 단열 부재(150)에 의해 단열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수평 지지대(120) 각각은 제1 단열 부재(140)에 의해 제1 면이 단열되고, 제2 단열 부재(150)에 의해 제2 면이 단열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갱폼(100)은, 갱폼을 구성하는 플레이트(110)와 복수의 수평 지지대(120) 사이에 제1 단열 부재(140)를 설치하고, 복수의 수평 지지대(120) 각각에 제2 단열 부재(150)를 설치함으로써, 갱폼의 단열 면적을 최대화하여 갱폼의 단열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 온도에 따른 양생 콘크리트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갱폼(100)을 구성하는 제2 단열 부재(150)는 복수의 수평 지지대(120) 각각의 제2 면을 감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갱폼을 구성하는 제2 단열 부재 및 고정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갱폼을 구성하는 제2 단열 부재 및 고정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2 단열 부재(150)는 내부에 공기 층이 형성된 단열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2 단열 부재(150)는 플렉셔블한 형태로 구성되므로, 수평 지지대(120)의 제2 면(도 4의 상부면, 좌측면 및 하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 부재(160)는 전체적으로 'ㄷ' 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2 단열 부재(150)가 수평 지지대(120)의 제2 면을 감싸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고정 부재(160)는 제2 단열 부재(150)가 수평 지지대(120)의 제2 면을 감싼 상태에서 'ㄷ' 자 형상의 몸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홀(161)에 삽입되는 리벳(Rivet)(162)에 의해 제2 단열 부재(150)와 함께 수평 지지대(120)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직 지지대(130)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는 각각의 고정 부재(160)는 복수의 수직 지지대(130) 중 인접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대(130) 각각과 각각과 인접한 위치에 한 쌍이 배치되며, 복수의 제2 단열 부재(150) 각각의 양단을 복수의 수평 지지대(120) 각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갱폼(100)은, 복수의 수평 지지대(120) 각각에 설치되는 제2 단열 부재(150)를 복수의 수평 지지대(120) 각각의 노출 면을 감싸도록 단열 시트로 구성함으로써, 갱폼의 노출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열 부재의 설치, 분해 및 유지 보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단열 갱폼
110: 플레이트 120: 수평 지지대
130: 수직 지지대 140: 제1 단열 부재
150: 제2 단열 부재 160: 고정 부재

Claims (3)

  1. 건축물의 외벽에 대면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수평 지지대;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대와 수직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수평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대를 지지하는 복수의 수직 지지대;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대 각각의 제1 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제1 단열 부재;
    상기 복수의 수직 지지대 각각의 사이에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대 각각의 제1 면을 제외한 제2 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제2 단열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수직 지지대 각각의 사이에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 단열 부재 각각을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대 각각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갱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단열 부재 각각은 내부에 공기 층이 형성된 단열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고정 부재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2 단열 부재 각각이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대 각각의 제2 면을 감싸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갱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 부재 각각은,
    상기 복수의 수직 지지대 각각의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수직 지지대 각각과 인접한 위치에 한 쌍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 단열 부재 각각의 양단을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대 각각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갱폼.
KR2020220000686U 2022-03-18 2022-03-18 단열 갱폼 KR202300018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686U KR20230001872U (ko) 2022-03-18 2022-03-18 단열 갱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686U KR20230001872U (ko) 2022-03-18 2022-03-18 단열 갱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872U true KR20230001872U (ko) 2023-09-26

Family

ID=88190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686U KR20230001872U (ko) 2022-03-18 2022-03-18 단열 갱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872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061B1 (ko) 2012-05-24 2012-11-15 대건기술 주식회사 콘크리트 양생용 단열갱폼
KR101224293B1 (ko) 2012-05-25 2013-01-21 대건기술 주식회사 단열갱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061B1 (ko) 2012-05-24 2012-11-15 대건기술 주식회사 콘크리트 양생용 단열갱폼
KR101224293B1 (ko) 2012-05-25 2013-01-21 대건기술 주식회사 단열갱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8320B1 (ko) 갱폼에 단열재를 고정하는 방법
JP7348363B2 (ja) 断熱構造及び建物
KR100970239B1 (ko) 건축물 외벽용 패널
KR20230001872U (ko) 단열 갱폼
JP5411037B2 (ja) 鉄骨併用鉄筋コンクリート壁式構造建築物の断熱構造
JP2012246622A (ja) 基礎構造の施工方法、及び基礎換気構造
KR102133938B1 (ko)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2133944B1 (ko)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RU2616311C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ВАРИАНТЫ)
KR101277060B1 (ko) 한옥 및 한옥의 제조방법
JP7115922B2 (ja) 断熱構造及び建物
KR20210092156A (ko) 단열갱폼
KR20120032638A (ko) 열교 차단용 단열재 구조
KR100641382B1 (ko) 배수처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외단열구조
KR19990030817A (ko) 콘크리트 옹벽의 치장벽돌 조적구조
JP3269044B2 (ja) 建物の床下断熱構造及び建物の床下断熱方法
KR100700442B1 (ko) 건축물 기초의 조립식 외단열 패널
JP2008019618A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及び建物
RU157001U1 (ru) Стеновая многослой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102324084B1 (ko) 띠장형 벽체 지지 천장 구조틀
KR101054925B1 (ko) 건식 외단열 벽체시스템
KR20120067738A (ko) 건축물의 열전달 차단구조
KR101219912B1 (ko) 건축물의 열전달 차단구조
KR102197720B1 (ko) 건물 슬라브 층간 충격음 차단 유닛 및 건물 슬라브 층간 충격음 차단 구조체
JP2002038618A (ja) 外壁の断熱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