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925B1 - 하지 재활 운동 로봇 및 이 로봇의 탑승 및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하지 재활 운동 로봇 및 이 로봇의 탑승 및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925B1
KR101955925B1 KR1020180075316A KR20180075316A KR101955925B1 KR 101955925 B1 KR101955925 B1 KR 101955925B1 KR 1020180075316 A KR1020180075316 A KR 1020180075316A KR 20180075316 A KR20180075316 A KR 20180075316A KR 101955925 B1 KR101955925 B1 KR 101955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disabled person
harness
rehabilit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825A (ko
Inventor
송원경
이휘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075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9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9Vertical extending columns or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1Flexible harnesses or s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지 재활 운동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하지에 장애가 있는 장애인의 하지 재활 운동을 위한 로봇에 있어서, 장애인이 탑승하는 탑승의자, 탑승의자의 양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외골격 로봇, 탑승의자의 등받이 부분에 구비되어 상하로 구동하는 상하 프레임, 및 상하 프레임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전후방으로 구동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수의적인 체간 조절 및 사지 움직임이 어려운 중증 장애인도 최소한의 외부 인력의 도움으로 이송 및 탑승이 가능하고, 잔존 기능이 있는 상지 부위에 센서를 부착하여 독립적으로 보행 훈련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지 재활 운동 로봇 및 이 로봇의 탑승 및 구동방법{REHABILITATION ROBOT OF LEGS, BOARD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하지 재활 운동 로봇 및 이 로봇의 탑승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의적으로 체간 및 사지를 조절하기 어려운 중증 장애인이나 환자를 하지 재활 운동 로봇으로 이송 및 구동을 함에 있어, 안전하고 손쉬운 탑승 및 구동을 지원할 수 있는 수단을 확보한 하지 재활 운동 로봇 및 이 로봇의 탑승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있다.
먼저, 특허문헌 1은 하체에 착용하는 외골격을 휠체어 형태의 리프트 및 주행부와 함께 결합한 휠체어식 보행 보조 로봇으로 환자의 보행 재활 또는 노약자의 거동 보조를 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특허문헌 1은 기능적으로 보행 보조, 재활 기능 및 주행 기능을 결합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장거리 주행이 가능하여 이동 수단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의자 상단부가 고정 결합되는 리프트 체결부와, 허벅지 브레이스가 결합된 상부 프레임과, 종아리 브레이스가 결합된 하부 프레임, 상기 리프트 체결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 체결부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고관절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슬관절부를 구비하는 외골격을 제공한다.
그리고 특허문헌 2는 사용자의 보행시 상지 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측정하고 이를 사용자의 보행 재활 진행 상황에 반영하여 보행 재활을 도울 수 있는 상지 연동형 재활로봇으로, 상지 입력 부를 통하여 재활단계에 따라 팔의 회전 각 및 회전력, 손잡이의 토오크 및 손잡이 스위치 센서 값 등에 비례하여 보행 속도 및 보폭 조절을 통해 자연스러운 보행 능동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특허문헌 2의 상지 입력 부는 팔과 손, 손가락의 회전 및 세기 정보 등을 이용해 슬라이딩 기구부의 전 후진 위치 및 속도를 제어하고, 슬라이딩 기구부의 플랫폼 위에 위치한 발 지지부의 상하운동 및 회전 운동의 위치 및 속도를 조절하고, 사용자의 상지 운동에 관련된 센서 정보들을 토해 하지의 보행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들은 체간 및 사지의 마비로 수의적 움직임의 조절이 어려운 중증 장애인을 시스템으로 이송 및 탑승하는 데 안전상의 어려움이 있 고,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하지의 외골격부를 착용함에 있어서도,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수 있고, 보행에 있어 상지 입력부의 손잡이를 잡고 보행을 진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자연스러운 보행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3207호(2011.06.15)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1177호(2008.06.1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하지 재활 운동 로봇에 접근할 때,
하지의 움직임을 발생시킬 수 있는 외골격 로봇과 기립이 가능하고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로봇, 체중지지 장치 등으로 구성된 하지 재활 운동 로봇과 휠체어 사이에 안전한 이송 및 탑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사지의 마비나 감각 저하로 인해, 기립 상태로 보행 보조 기구로의 접근이 어려운 중증 장애인은 하네스를 착용한 후, 하지 재활 운동 로봇을 전면에서 바라보는 상태로 접근하여, 하네스를 하지 재활 운동 로봇과 연결한 후, 공중에 띄운 상태에서 180도 회전하여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하지 재활 운동 로봇 및 이 로봇의 탑승 및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지 외골격을 착용할 때, 의자 끝에 앉아서 착용을 할 경우, 체간 조절을 하지 못하는 중증장애인은 낙상의 위험이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지 재활 운동 로봇의 의자부와 하지 외골격부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외골격부를 착용할 때에도 사용자가 체간 및 엉덩이를 전방으로 옮길 필요가 없고, 안정적으로 외골격부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지 재활 운동 로봇 및 이 로봇의 탑승 및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보행시 상지의 자연스러운 팔 흔듦이 이루어지기 위해, 별도의 기구부를 장착하지 않고, 상지에 휴대용 무선 센서를 부착해 팔 흔듦 시의 각속도에 관한 정보를 하지 외골격부에 전달하여 자연스러운 보행 훈련이 가능하게 하는 하지 재활 운동 로봇 및 이 로봇의 탑승 및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지 재활 운동 로봇은 하지에 장애가 있는 장애인의 하지 재활 운동을 위한 로봇에 있어서, 장애인이 탑승하는 탑승의자, 탑승의자의 양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외골격 로봇, 탑승의자의 등받이 부분에 구비되어 상하로 구동하는 상하 프레임, 및 상하 프레임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전후방으로 구동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지 재활 운동 로봇 탑승 방법은 하지에 장애가 있는 장애인의 하지 재활 운동 로봇 탑승방법에 있어서,기립 또는 착석한 상태로 하네스를 착용한 장애인이 하지 재활 운동 로봇으로 진입하는 단계, 하지 재활 운동 로봇의 결합부가 전방으로 전진하는 단계, 하네스와 결합부의 말단에 구비된 슬링부를 연결하는 단계, 하지 재활 운동 로봇의 상한 프레임이 상부로 구동되어 장애인을 지면으로부터 부양시키는 단계, 하지 재활 운동 로봇의 결합부가 후방으로 후진하여 부양된 상태의 장애인을 탑승의자에 탑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지 재활 운동 로봇 구동 방법은 장애인의 상완 또는 손목에 3차원 가속도계나 자이로 센서와 같은 무선형 센서부가 착용되어 팔의 흔듦을 하지 외골격 로봇이 감지함에 따라 팔을 전후로 움직일 때 발생하는 각속도의 방향과 크기로 하지 외골격 로봇의 보행 폭과 속도가 조절되어 재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지 재활 운동 로봇은 휠체어, 의자 또는 침대에 있는 중증 장애인을 연결부 말단에 하네스를 연결하여 환자를 든 상태에서 회전하여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지 재활 운동 로봇에 탑승 후 기립 및 보행이 필요한 하지 외골격 로봇를 사용자의 체간 및 엉덩이의 움직임 없이 착용이 가능하므로, 안전성 및 착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지에 휴대형 무선 센서를 부착하여, 실제 보행 시 나타나는 팔 움직임을 통해 자연스러운 보행 훈련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수의적인 체간 조절 및 사지 움직임이 어려운 중증 장애인도 최소한의 외부 인력의 도움으로 이송 및 탑승이 가능하고, 잔존 기능이 있는 상지 부위에 센서를 부착하여 독립적으로 보행 훈련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지 재활 운동 로봇을 이용한 재활 치료자의 탑승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지 재활 운동 로봇의 탑승의자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기립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장애인을 하지 재활 운동 로봇(100)에 탑승시키는 순서도면,
도 4는 착석한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장애인을 하지 재활 운동 로봇(100)에 탑승시키는 순서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지 재활 운동 로봇을 이용하는 장애인이 손목에 센서를 착용하고 허벅지 외골격 로봇을 제어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지 재활 운동 로봇을 이용하는 장애인이 착용한 하네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지 재활 운동 로봇을 이용한 재활 치료자의 탑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지 재활 운동 로봇은 탑승의자(110), 상하 프레임(120) 및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탑승의자(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벅지 외골격 로봇(111)이 일체형으로 구비되되, 외골격의 허벅지부 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여 탑승자의 허벅지 일부가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외골격 로봇(111)이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탑승의자(110)가 위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는 하지 외골격 로봇(111)을 착용하기 위해 체간 및 엉덩이를 앞쪽으로 옮기지 않고도 의자에 탑승한 상태에서 외골격 로봇(111)과 신체를 고정시키는 커프(cuff)를 이용해 쉽게 착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골격 로봇(111)은 사용자의 기립 및 보행시, 편의성을 위해 상기 탑승의자(111)에서 탈부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 프레임(120)은 상기 탑승의자(110)의 등받이 부분에 구비되고, 상하로 움직여 사용자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상하 프레임(120)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말단부위에 사용자가 착용한 하네스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슬링부(131)가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사용자를 재활 운동 로봇(100)으로 탑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슬링부(131)를 회전시켜 사용자의 방향전환을 통해 사용자가 탑승의자(110)에 올바르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탑승의자(110)는 사용자가 기립한 상태에서 하지 외골격 로봇에 의한 재활운동 등을 실시할 경우 바닥이 아래쪽으로 접혀서 재활운동이 가능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재활 운동 로봇(100)으로 사용자를 탑승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3은 기립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장애인을 하지 재활 운동 로봇(100)에 탑승시키는 순서도 이다.
도 4는 착석한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장애인을 하지 재활 운동 로봇(100)에 탑승시키는 순서도 이다.
하지 재활 운동 로봇의 탑승 방법은 장애인의 상태에 따라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기립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장애인이 체중 지지용 하네스(210)와 하지 외골격 로봇(111)을 착용한 상태에서 하지 재활 운동 로봇(100)으로 진입하면, 하네스(210) 줄을 상기 슬링부(131)에 걸고 180도 회전 후, 탑승의자(110)에 탑승시키는 방법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하지 재활 운동 로봇(100)의 탑승의자(110)와 하지 외골격 로봇(111)은 분리가 가능하므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기립 상태에서 하지 외골격 로봇(111)을 착용한 후, 하지 재활 운동 로봇(100) 방향으로 진입한다.
이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한 상기 체중 지지용 하네스(210) 줄을 결합부(130)의 슬링부(131)에 걸어 고정시킨 후, 상기 상하 프레임(120)이 상부로 구동하여 사용자를 들어올리면, 전방으로 전진한 상태의 상기 결합부(130)가 후방으로 후진하여 사용자를 하지 재활 운동 로봇(100) 쪽으로 이동시키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링부가 180도 회전하여 사용자를 하지 재활 운동하기에 올바른 자세로 위치시킨다.
두 번째 방법은 사지 마비로 인해 기립 자세를 유지할 수 없어 체간 조절이 어려운 중증 장애인의 재활 운동을 위한 방법이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 의자 또는 침대에서 체중 지지용 하네스(210)를 입은 상태에서 하네스(210) 줄을 상기 슬링부(131)에 걸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 프레임(120)으로 장애인을 공중에 살짝 띄운 상태에서 180도 회전시킨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의자(110)에 탑승시켜, 상기 탑승의자(110)에 결합된 하지 외골격 로봇(111)을 착용하게 하여 하지 재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필요한 경우 하네스(210) 줄로부터 상기 슬링부(131)를 제거할 수 있거나, 중증장애인의 경우 슬링부와 하네스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체중지지를 받을 수 있으므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지 외골격 로봇(111)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비슷한 방법으로 하네스(210) 줄을 슬링부(131)에 걸고 사용자를 휠체어에서 하지 재활 운동 로봇(100) 이동시켜 사용자가 기립한 상태에서 하지 외골격 로봇(111)을 착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지 재활 운동 로봇으로 하지 재활 운동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가속도계나, 자이로 센서(상대적 자세 정보) 등의 무선형 센서부(220)를 밴드 형태로 사용자의 상지에 착용한 후(상완 착용형 또는 손목 착용형이 있을 수 있음.) 상지의 흔듦을 상기 하지 외골격 로봇(111)이 감지하여 하지 외골격 로봇(111)을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지 재활 운동 로봇을 이용하는 장애인이 손목에 센서를 착용하고 허벅지 외골격 로봇을 제어하는 도면이다.
위와 같은 제어로 인해, 기존의 건강한 성인의 걸음걸이를 모사한 보행 패턴이 가능해지는데, 외쪽 상지를 흔들면, 오른쪽 다리가 움직이는 등의 상하지 상호 교대적 움직임이 일어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지의 움직임에 따라 하지의 다리 움직임이 교차로 일어나 보행 훈련이 가능하고, 팔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방향과 각속도에 의해 보행의 폭 및 속도조절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의 팔목 혹은 팔의 상단부에 휴대형 타입의 3차원 가속도계 또는 자이로 센서와 같은 무선형 센서부(220)를 착용하고, 팔을 전후로 움직일 때 발생하는 각속도의 방향과 양에 따라 하지 외곡격 로봇(111)의 보행 폭과 속도가 조절된다.
오른쪽 팔이 전방으로 향하면, 왼쪽 다리가 전방으로 향하고, 왼쪽 팔이 전방으로 향하면, 오른쪽 다리가 전방으로 향하도록 상호 교대적인 움직임으로 보행이 가능하고, 팔의 흔드는 범위와 속도에 따라 보폭과 보행속도가 달라진다.
참고로, 상기 무선형 센서부(220)가 무선으로 되어 있어 하지 외골격 로봇(111)은 복잡한 환경에서 적용되는 되는데 효과적이다.
즉, 기존 시스템과 달리 상지부에 별도의 기구물이 없어, 상지 흔듦이 가능할 정도의 공간이 확보되면 구동이 가능하고, 기존 시스템에 있는 손잡이부가 없어 마비 및 근력 약화로 인해 파지 및 손가락의 선택적 움직임이 가능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체중 지지용 하네스(2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체중 지지용 하네스(210)는 체간 고정부(211), 하지 고정부(212) 및 체간 고정부(211)와 하지 고정부(212)를 연결하는 연결부(2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간 고정부(211)는 사용자의 겨드랑이 아랫부분부터 복부를 충분히 감싸고, 양단에 구비된 이중의 고정장치로 고정되고,
상기 하지 고정부(212)는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벅지를 충분히 감싸고 역시 양단에 구비된 고정장치로 고정되는데, 상기 고정장치는 벨크로, 자크 등과 같은 고정장치가 해당 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3)는 앞쪽 연결부(213a)와 뒤쪽 연결부(213b)로 구성되는데, 상기 앞쪽 연결부(213a)는 상기 체간 고정부(211)와 하지 고정부(212)를 측면에서 고정되어 연결하고,
상기 뒤쪽 연결부(213b)는 상기 하네스(210)의 줄과 하지 상기 슬링부(131)를 연결하여 사용자를 수직으로 살짝 들어올려, 하지 고정부(212)의 뒤쪽에 남아 있는 부분을 사용자의 엉덩이를 감싸고 상기 체간 고정부(211)와 상기 하지 고정부(212)를 연결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 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하기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하지 재활 운동 로봇 110 : 탐승의자
111 : 허벅지 외골격 로봇 120 : 상하 프레임
130 : 결합부 131 : 슬링부
200 : 휠체어 210 : 하네스
211 : 체가 고정부 212 : 하지 고정부
213 : 연결부 213a : 앞쪽 연결부
213b : 뒤쪽 연결부 220 : 무선형 센서

Claims (6)

  1. 삭제
  2. 하지에 장애가 있는 장애인의 하지 재활 운동을 위한 로봇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이 탑승하는 탑승의자(110);
    상기 탑승의자(110)의 양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외골격 로봇(111);
    상기 탑승의자(110)의 등받이 부분에 구비되어 상하로 구동하는 상하 프레임(120); 및
    상기 상하 프레임(120)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전후방으로 구동하는 결합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130)의 말단에는 고리형태로 슬링부(131)가 구비되어 상기 장애인이 착용하고 있는 하네스(210)와 결합되며,
    상기 하네스(210)는
    상기 장애인의 겨드랑이 아랫부분부터 복부를 감싸고 양단에 고정장치가 구비된 체간 고정부(211);
    상기 장애인이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고 양단에 고정장치가 구비된 하지 고정부(212); 및
    상기 체간 고정부(211)와 상기 하지 고정부(212)를 연결하는 연결부(213)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213)는
    상기 체간 고정부(211)와 하지 고정부(212)를 측면에서 고정되어 연결되는 앞쪽 연결부(213a)와
    상기 하네스(210)의 줄과 하지 상기 슬링부(131)를 연결하여 사용자를 수직으로 살짝 들어올려, 하지 고정부(212)의 뒤쪽에 남아 있는 부분을 사용자의 엉덩이를 감싸고 상기 체간 고정부(211)와 상기 하지 고정부(212)를 연결하는 뒤쪽 연결부(21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운동 로봇.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프레임(120)은 상기 하네스(210)와 상기 슬링부(131)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구동하여 기립 또는 착석해 있는 장애인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운동 로봇.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30)는 전후방으로 구동하여 상기 상하 프레임(120)에 의해 부양된 장애인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운동 로봇.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링부(131)는 상기 결합부(130)의 말단에서 180°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운동 로봇.
  6. 삭제
KR1020180075316A 2018-06-29 2018-06-29 하지 재활 운동 로봇 및 이 로봇의 탑승 및 구동방법 KR101955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316A KR101955925B1 (ko) 2018-06-29 2018-06-29 하지 재활 운동 로봇 및 이 로봇의 탑승 및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316A KR101955925B1 (ko) 2018-06-29 2018-06-29 하지 재활 운동 로봇 및 이 로봇의 탑승 및 구동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503A Division KR101892237B1 (ko) 2012-05-15 2012-05-15 하지 재활 운동 로봇 및 이 로봇의 탑승 및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825A KR20180083825A (ko) 2018-07-23
KR101955925B1 true KR101955925B1 (ko) 2019-03-12

Family

ID=63102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316A KR101955925B1 (ko) 2018-06-29 2018-06-29 하지 재활 운동 로봇 및 이 로봇의 탑승 및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9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2660A (zh) * 2020-01-09 2020-05-29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助行防护装置
ES2884252B2 (es) * 2020-06-05 2022-04-08 Tecnimusa S L Aparato de rehabilitacion
IT202100019943A1 (it) * 2021-07-27 2023-01-27 Pierluigi Martini Sedia a rotelle con sollevamento utente e sostegno in piedi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3333A (en) * 1993-01-06 1994-08-02 Mah Gordon B J Transportation, sanitation and therapy system for handicapped people
JP3999888B2 (ja) * 1998-02-24 2007-10-31 松下電工株式会社 抱き上げ補助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TE247936T1 (de) * 1998-11-13 2003-09-15 Hocoma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tomatisierung der laufbandtherapie
KR100841177B1 (ko) 2007-05-04 2008-06-2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상지 연동형 보행 재활로봇
KR101043207B1 (ko) 2008-10-22 2011-06-22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식 보행 보조용 로봇
KR20160095886A (ko) * 2015-02-04 2016-08-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보행 재활로봇에 설치되는 체중분산 보조 하네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825A (ko)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8622B2 (en) Portable six-bar apparatus for lifting, lowering and self-propelled transit
EP2170241B1 (en) Device for balance and body orientation support
US6244991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exercise developmentally delayed persons
EP1260201B1 (en) Gait-locomotor apparatus
US9849048B2 (en) Mobility system including an exoskeleton assembly releasably supported on a wheeled base
KR101043207B1 (ko) 휠체어식 보행 보조용 로봇
KR101955925B1 (ko) 하지 재활 운동 로봇 및 이 로봇의 탑승 및 구동방법
KR101892237B1 (ko) 하지 재활 운동 로봇 및 이 로봇의 탑승 및 구동방법
JP2017520352A (ja) 昇降歩行器椅子、持上げデバイス、及びリハビリテーションの方法
KR20140088757A (ko) 기립 보조형 휠체어
CN110897800A (zh) 一种搭载柔性外骨骼服的多模式智能轮椅抬升机构
CN109646255B (zh) 助行辅助设备及其使用方法
WO2017093830A1 (es) Exoesqueleto dual convertible en asistente caminador y sillas de ruedas
US20130221716A1 (en) Portable six-bar apparatus for lifting, lowering and self-propelled transit
EP3378446B1 (en) System for assisting walking
KR101299351B1 (ko) 휠체어 결합형 하지 운동/재활훈련 장치
JP2007307118A (ja) 歩行訓練装置
Mori et al. Development of straight style transfer equipment for lower limbs disabled" ABLE"
WO1998000087A1 (fr) Dispositif d'assistance au corps humain
JP3701582B2 (ja) イグゾスケルトン装置、イグゾスケルトンサイボーグ装置及び、イグゾスケルトンサイボーグシステム
Hojjati Najafabadi et al. Mechanical design and simulation of a saddle-assistive device for sit-to-stand transfer in healthy subjects
WO2014179855A2 (pt) Exoesqueletoesteira apropriado como órtese para o auxílio da locomoção humana
Eguchi et al. Standing mobility vehicle with passive exoskeleton assisting voluntary postural changes
CN105943317A (zh) 一种助力型外骨骼随行装置
KR101656695B1 (ko) 하지보행 보조 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