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757B1 - 필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필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757B1
KR101955757B1 KR1020160071344A KR20160071344A KR101955757B1 KR 101955757 B1 KR101955757 B1 KR 101955757B1 KR 1020160071344 A KR1020160071344 A KR 1020160071344A KR 20160071344 A KR20160071344 A KR 20160071344A KR 101955757 B1 KR101955757 B1 KR 101955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tate
unit
displa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8898A (ko
Inventor
허재승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1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757B1/ko
Priority to CN201780035351.8A priority patent/CN109313302A/zh
Priority to PCT/KR2017/005004 priority patent/WO2017213356A1/ko
Priority to TW106118819A priority patent/TWI693150B/zh
Publication of KR20170138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J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필름 처리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필름 처리장치는, 필름을 촬상하는 상태측정부와, 상태측정부에서 촬상한 필름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와, 상태판단부에서 판단한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기초하여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을 필름에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FILM}
본 발명은 필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필름의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필름의 상태를 표시하여, 필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필름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학필름이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필름으로써, 편광필름, 확산필름, 반사필름, 프리즘필름 등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필름에 해당한다.
편광필름은 광학필름의 일종으로, 액정표시소자에 특정 파장의 빛을 투과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광학소자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편광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수지로 된 편광자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AC, TriAcetyl Cellulose)으로 대표되는 편광자 보호필름이 적층되어 있으며, 편광자 보호필름상에 점착제층, 이형필름, 표면보호필름 또는 기능성 코팅층이 적층되어 있는 다층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다층구조의 편광필름은 일반적으로 롤에 감겨진 시트 형상 제품으로서 제조되며, 용도에 따라 낱장의 편광필름으로 절단되어 사용된다.
일반적인 편광필름 제조 공정은 PVA 필름을 요오드 또는 염료로 염착하는 단계, 붕산 등을 첨가하여 요오드 또는 염료를 PVA 필름에 가교시키는 단계, PVA 필름을 연신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염착, 가교 연신 단계는 개별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각각의 단계들의 순서 또한 고정적이지 않다.
상기 단계들이 완료되면, 제조된 편광자를 건조시키고, 건조된 편광자의 한 면 또는 양면에 TAC 등의 편광자 보호필름을 접착하여 편광판을 제조한다.
다만, 종래의 광학필름은 필름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식이 제품의 제작 과정에서 지워지거나 변경되어 필름의 상태를 인식하기 어려우며, 표식에 해당하는 결함의 위치를 사용자가 특정하기 어려운 바, 필름의 상태를 재확인 하기 위한 작업이 상당히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필름의 상태에 따른 완제품 또는 반제품 단계에서의 불량 여부를 특정하기 어려운 바, 제품의 불량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필름의 제작과정을 과다한 조건으로 관리하므로 필름의 제작 효율이 떨어지고, 필름의 제작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12441호(2016.02.03 공개, 발명의 명칭: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광학 부재 및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적표시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필름의 상태를 측정, 판단하고, 표시할 수 있는 필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는, 필름을 촬상하는 상태측정부; 상기 상태측정부에서 촬상한 상기 필름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 및 상기 상태판단부에서 판단한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을 상기 필름에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측정부는, 상기 필름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상기 필름에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상기 필름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필름의 폭 방향에 평행한 라인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측정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측정부는, 상기 필름의 일측에 제1광조사부가 위치하며, 상기 필름의 타측에 제1촬상부가 위치하는 제1상태측정부; 및 상기 필름의 타측에 제2광조사부가 위치하며, 상기 필름의 일측에 제2촬상부가 위치하는 제2상태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을, 상기 필름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필름에 잉크를 분사하여 상기 필름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필름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필름에 복수의 잉크젯 Dot를 분사하여 상기 필름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는 표시지지부; 및 상기 표시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표시지지부를 이동시키는 표시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이동부는, 상기 표시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표시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이동부; 및 상기 표시지지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판단부는, 상기 상태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필름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gray) 값이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판단부는, 상기 필름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값이, 상기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결함영역의 넓이,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진원도(眞圓度)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폭,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처리방법은, 필름을 촬상하는 상태측정단계; 상기 상태측정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필름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분류하는 상태판단단계; 및 상기 상태판단단계에서 판단한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을 상기 필름에 표시하는 상태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측정단계는,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상태측정부가 상기 필름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판단단계는, 상기 상태측정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필름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gray)값이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판단단계는, 상기 필름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값이, 상기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결함영역의 넓이,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진원도(眞圓度)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폭,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표시단계는,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상기 표식을, 상기 필름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은,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태에 대응하는 표식을 필름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므로, 필름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측정된 필름의 이미지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필름의 결함영역의 넓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결함영역의 진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결함영역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결함영역의 방향에 따른 길이 비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1)는, 상태측정부(100), 상태판단부(200) 및 상태표시부(300)를 포함하여 필름(10)의 상태를 측정, 판단하고, 필름(10)의 상태에 따른 표식(70)을 필름(10)의 해당 위치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름(10)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광학필름으로써, 편광필름, 확산필름, 반사필름, 프리즘필름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름(10)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액정표시패널에 부착하기 전의 편광필름으로 예시되며, 상태측정부(100) 및 상태판단부(200)에 의하여 위치별 상태가 측정된 후, 상태표시부(300)에 의하여 해당 상태를 나타내는 표식(70)이 표시됨으로써, 패널에 부착되기 전, 또는 패널에 부착된 이후에라도, 해당 필름(10)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름(10)은 이송롤러(31)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이송되는 도중에 상태측정부(100)에 의하여 측정될 수도 있으며, 필름 이송부(30)의 이송롤러(31) 상에 정지된 상태에서 상태측정부(100)에 의하여 측정될 수도 있다.
상태측정부(100)에서 필름(10)의 상태를 측정할 때, 필름(10)의 이동 여부는 필름(10)의 종류, 상태측정부(100)의 개수, 및 사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태측정부(100)는 필름(10)을 촬상하여 필름(10)의 이미지를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측정부(100)는 광조사부(110) 및 촬상부(130)를 포함하여, 필름(10)에 광을 조사하고, 필름(10)을 투과하거나, 필름(10)에 반사된 광을 촬상하여 필름(10)의 아날로그 이미지를 취득한다.
광조사부(110)는 필름(10)에 광을 조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조사부(110)는 필름(10)의 폭 방향(도 3 기준 좌우 방향)에 평행한 라인광을 조사하여, 촬상부(130)에서 필름(10)의 폭 방향으로 조사된 광이 필름(10)을 투과하거나, 반사되는 것을 수광, 이를 기초로 필름(10)의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게 한다.
촬상부(130)는 광조사부(110)에서 필름(10)에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방식으로 필름(10)을 촬상하여 아날로그 이미지를 취득하며, 카메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촬상부(130)는 정지, 또는 저속으로 이동되는 상태의 필름(10)의 영역(area) 이미지를 촬상하는 영역카메라(area camera) 또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상태의 필름(10)으로부터 라인광을 촬상하는 라인카메라(line camera)로 예시되며, 필름(10)의 이동 여부, 광조사부(110)에서 조사하는 광의 종류 등에 따라 카메라의 종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측정부(10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필름(10)의 길이 방향(도 3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복수의 지점에서 필름(10)의 이미지를 취득함으로써, 취득된 필름(10) 이미지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필름(10)의 촬상을 위한 필름(10)의 이송이 정지되거나, 또는 필름(10)의 이송속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측정부(100)는 제1상태측정부(150) 및 제2상태측정부(170)를 포함하여, 필름(10)의 상태를 다중 측정한다.
제1상태측정부(150)는 필름(10)의 일측(도 2 기준 상측)에 제1광조사부(111)가 위치하며, 필름(10)의 타측(도 2 기준 하측)에 제1촬상부(131)가 위치하여, 필름(10)의 일측에서 조사되어 필름(10)을 투과하는 투과광으로부터 필름(10)의 이미지를 취득한다.
제2상태측정부(170)는 필름(10)의 타측에 제2광조사부(113)가 위치하며, 필름(10)의 일측에 제2촬상부(133)가 위치하여, 필름(10)의 타측에서 조사되어 필름(10)을 투과하는 투과광으로부터 필름(10)의 이미지를 취득한다.
즉, 필름(10)에 투과하는 광의 방향, 필름(10)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위치 등을 조절하여 필름(10)으로부터 다중 이미지를 취득하고, 취득된 이미지를 상태판단부(200)에 전달함으로써, 상태판단부(200)가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필름(10)의 상태를 판단,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다중 이미지는 광조사부(110) 및 촬상부(130)가 필름(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하는 것 이외에도, 광조사부(110)가 필름(10)에 조사하는 광이 필름(10)의 길이 방향에 대한 기울기, 또는 촬상부(130)가 필름(1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정도 등을 조절하여 취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촬상부(130)의 필름(10) 이지지 취득 방식은 필름(10)의 종류, 필름(10)의 이동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제1상태측정부(150)와 제2상태측정부(170)에 더하여 제3, 제4의 상태측정부가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상태측정부(190)는 필름(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θ) 기울어지도록 광을 조사하는 제3광조사부(115)와, 제3광조사부(115)의 광을 촬상하는 제3촬상부(135)를 포함하여, 제1, 2상태측정부(150, 170)와는 다른 각도에서 촬상한 필름(10)의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다.
상태판단부(200)는 상태측정부(100)에서 촬상한 필름(10)의 이미지로부터 필름(10)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측정된 필름의 이미지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필름의 결함영역의 넓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태판단부(200)는 상태측정부(100)에서 측정한 필름(10)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gray)값이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필름(10)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며, 판단된 필름(10)의 상태 이력은 저장부에 저장되거나, 출력부(90)에 출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태판단부(200)는 상태측정부(100)에서 측정한 8비트 아날로그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영역의 음영(gray) 값을 0 ~ 255 레벨로 수치화한 후, 수치화된 음영값이 기준 음영값(기준 음영값은 측정 이력을 기초로 기 설정되거나, 상태측정부(100)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의 범위에 들어가는 지 여부에 기초하여 해당 영역에 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정 영역의 음영값이 기 설정된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 해당 영역은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함영역(S)의 넓이, 결함영역(S)의 폭 방향 길이 또는 필름(10)의 길이 방향 길이 등에 기초하여 해당 위치별로 필름(10) 상태를 분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결함영역(S)의 넓이(area)는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부분의 폭(w)과 길이(ℓ)에 기초하여 area = (w + ℓ)/2 와 같은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결함영역의 진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결함영역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결함영역의 방향에 따른 길이 비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결함영역(S)의 넓이를 측정하여 필름(10)의 상태를 분류하는 방식 이외에도 필름(10)의 위치별 상태는 결함영역(S)의 진원도(眞圓度)의 정도에 따라 결함이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함영역(S)의 진원도(0)가 낮은 경우, 해당 결함영역(S)은 스크래치에 의한 결함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결함영역(S)의 기울기(도 7 참조) 또는 결함영역(S)의 방향 별 비율(도 8 참조) 등에 따라 필름(10)의 상태가 분류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음영값의 차이 등에 기초하여 필름(10)의 위치별 상태가 판단될 수 있다.
상태표시부(300)는 상태판단부(200)에서 판단한 필름(10)의 위치별 상태에 기초하여 필름(10)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70)을 필름(10)의 해당 위치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표시부(300)는 필름(10)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70)을 필름(10)의 상태가 측정된 해당 위치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필름(10)의 위치별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표시부(300)는 표시부(310)를 포함한다. 표시부(310)는 필름(10)에 잉크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필름(10)에 해당 위치의 상태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31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필름(10)의 폭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표시부(310)를 필름(10)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 없이,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표시부(310)를 작동시켜 해당 위치에 표식(7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식(70)은 필름(10)에 표시되는 길이, 영역, 면적 등을 다르게 하여, 상태 별로 다른 표식(70)을 함으로써 이 후 작업자가 해당 필름(10)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식(70)은 복수의 잉크젯 Dot(71)를 분사하여 형성되며, 해당 영역의 상태 등에 따라 잉크젯 Dot(71)의 개수 및 간격 등의 배열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잉크젯 Dot(71)은 소정의 크기, 예를 들어 0.3 ~ 5.0 mm 정도로 형성되고, 잉크젯 Dot(71)의 최소 간격은 0.3 ~ 5.0 mm 간격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잉크젯 Dot(71)의 크기, 간격 등은 필름(10)의 크기, 표식(70)을 인식하는 사용자 또는 표식인식부(400)의 분해능, 또는 표시부(310)의 개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잉크젯 Dot(71)는 광학필름의 캐리어필름 또는 보호필름 등에 표시되어, 제품의 제작 이후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필름(10)에 표시함으로써, 제품의 제작에 영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식(70)은 복수 열로 형성되는 잉크젯 Dot(71)로 표시될 수 있다. 표식(70)이 2열의 잉크젯 Dot(71)로 형성되는 경우, 제1열은 결함의 종류를 표시하고, 제2열은 결함영역(S)의 넓이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열에 Dot(71)가 1개 표시된 경우, 결함의 종류가 스크래치임을 표시하고, 제1열에 Dot(71) 가 2개 표시된 경우 결함의 종류가 찍힘에 의한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2열에 Dot(71)가 표시된 개수는 결함영역(S)의 면적을 나타낼 수 있다. 즉, 결함영역(S)의 면적이 넓을수록, 제2열에 Dot(71)가 표시된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결함영역(S)의 면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 이외에도 표식(70)은 복수의 Dot(71)의 배열, 간격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태를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표시부(300)는 표시지지부(330) 및 표시이동부(350)를 더 포함한다. 표시지지부(330)는 표시부(310)에 결합되어 표시부(310)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지지부(330)는 필름(1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복수 개의 표시부(310)를 지지한다.
표시이동부(350)는 표시지지부(330)에 결합되며, 표시지지부(330)를 이동시켜, 표시부(310)가 필름(10)에 표시하는 표식(7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거나, 표시부(310)의 수리, 관리 등을 위하여 표시부(3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이동부(350)는 승강이동부(351) 및 회전이동부(353)를 포함한다.
승강이동부(351)는 표시지지부(330)의 단부에 결합되어, 표시지지부(330)를 승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이동부(351)는 유압실린더 또는 랙/앤 피니언 기어 방식 등을 적용하여, 표시지지부(33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표시지지부(330)를 승강시킬 수 있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른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전이동부(353)는 표시지지부(330)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이동부(353)는 회전축이 표시지지부(330)에 결합되며, 모터 등의 회전동력 발생장치를 포함하여, 표시지지부(330)를 회전시킴으로써, 필름(10)에 표식(70)이 표시되는 부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름 처리장치(1)는 표식인식부(400)를 더 포함한다. 표식인식부(400)는 상태표시부(300)에 의하여 필름(10)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하는 표식(70)을 읽고, 해당 필름(10)의 사용 여부를 판단한다.
표식인식부(400)는 바코드기(50)에 의하여 필름(10) 상에 표시된 필름(10)의 바코드와, 필름(10)의 표식(70)을 인식하고, 인식된 표식(70)을 기초로, 해당 바코드에 대응하는 필름(10)이 결함을 포함하는 불량필름인지, 결함을 포함하지 않는 정상필름인지, 또는 결함을 포함하지만 정상필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표식인식부(400)에 의하여 불량 판정이 난 필름(10)은 캐리어필름과 함께 패널 접합 위치를 통과하여, 더미필름에 함께 권취되어 폐기될 수 있다.
표식인식부(400)에 의하여 정상 판정이 난 필름(10)은 패널에 부착되어 액정표시패널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방법(S1)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방법(S1)은 상태측정단계(S100), 상태판단단계(S200) 및 상태표시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태측정단계(S100)에서는 상태측정부(100)가 필름(10)을 촬상하여 필름(10)의 이미지를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측정단계(S100)는 필름(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는 상태측정부(100)를 이용하여 필름(10)의 이미지를 촬상함으로써, 복수의 위치, 복수의 방식으로 필름(10)의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다.
상태판단단계(S200)에서는 상태측정단계(S100)에서 측정한 필름(10)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필름(10)의 위치별 상태를 분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판단단계(S200)는 상태측정단계(S100)에서 측정한 필름(10)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값이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필름(10)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태표시단계(S300)에서는 상태판단단계(S200)에서 판단한 필름(10)의 위치별 상태에 기초하여 필름(10)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70)을 필름(10)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표시단계(S300)는 필름(10)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하는 표식(70)을 필름(10)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여, 필름(10)의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방법(S1)은 표식인식단계(S400)를 더 포함한다. 표식인식단계(S400)에서는 표식(70)이 표시된 필름(10)으로부터 표식(70)을 인식하여, 필름(10)의 상태를 파악, 해당 필름(10)을 사용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1) 및 처리방법(S1)은 필름(10)의 위치별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태에 대응하는 표식(70)을 해당 위치에 표시하므로, 필름(10)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필름 처리장치 10: 필름
30: 필름이송부 31: 이송롤러
50: 바코드기 70: 표식
71: Dot 90: 출력부
100: 상태측정부 110: 광조사부
111: 제1광조사부 113: 제2광조사부
115: 제3광조사부 130: 촬상부
131: 제1촬상부 133: 제2촬상부
135: 제3촬상부 150: 제1상태측정부
170: 제2상태측정부 190: 제3상태측정부
200: 상태판단부 300: 상태표시부
310: 표시부 330: 표시지지부
350: 표시이동부 351: 승강이동부
353: 회전이동부 400: 표식인식부
S: 결함영역

Claims (18)

  1. 필름을 촬상하는 상태측정부;
    상기 상태측정부에서 촬상한 상기 필름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
    상기 상태판단부에서 판단한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을 상기 필름에 표시하는 상태표시부;
    상기 상태표시부에 의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하는 표식을 읽고, 상기 필름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표식인식부; 및
    상기 필름 상에 바코드를 표시하는 바코드기;를 포함하고,
    상기 표식인식부는,
    상기 필름 상에 표시된 바코드와 표식을 인식하고, 인식된 표식을 기초로, 해당 바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필름이 결함을 포함하는 불량필름인지, 결함을 포함하지 않는 정상필름인지, 또는 결함을 포함하지만 정상필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표식인식부에 의하여 정상 판정이 난 상기 필름은 패널에 부착하고, 상기 표식인식부에 의하여 불량 판정이 난 상기 필름은 캐리어필름과 함께 패널 접합 위치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측정부는,
    상기 필름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상기 필름에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상기 필름을 촬상하는 촬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필름의 폭 방향에 평행한 라인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측정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측정부는,
    상기 필름의 일측에 제1광조사부가 위치하며, 상기 필름의 타측에 제1촬상부가 위치하는 제1상태측정부; 및
    상기 필름의 타측에 제2광조사부가 위치하며, 상기 필름의 일측에 제2촬상부가 위치하는 제2상태측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을, 상기 필름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필름에 잉크를 분사하여 상기 필름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필름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필름에 복수의 잉크젯 Dot를 분사하여 상기 필름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는 표시지지부; 및
    상기 표시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표시지지부를 이동시키는 표시이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이동부는,
    상기 표시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표시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이동부; 및
    상기 표시지지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이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판단부는,
    상기 상태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필름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gray) 값이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판단부는,
    상기 필름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값이, 상기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결함영역의 넓이,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진원도(眞圓度)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폭,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14. 필름을 촬상하는 상태측정단계;
    상기 상태측정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필름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분류하는 상태판단단계;
    상기 상태판단단계에서 판단한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을 상기 필름에 표시하는 상태표시단계; 및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하는 표식을 인식하여, 상기 필름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표식인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식인식단계에서는,
    상기 필름 상에 표시된 바코드와 표식을 인식하고, 인식된 표식을 기초로, 해당 바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필름이 결함을 포함하는 불량필름인지, 결함을 포함하지 않는 정상필름인지, 또는 결함을 포함하지만 정상필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표식인식단계를 거쳐 정상 판정이 난 상기 필름은 패널에 부착하고, 불량 판정이 난 상기 필름은 캐리어필름과 함께 패널 접합 위치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측정단계는,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상태측정부가 상기 필름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판단단계는,
    상기 상태측정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필름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gray)값이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판단단계는,
    상기 필름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값이, 상기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결함영역의 넓이,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진원도(眞圓度)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폭,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방법.
  18. 제 14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단계는,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상기 표식을, 상기 필름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방법.
KR1020160071344A 2016-06-08 2016-06-08 필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955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344A KR101955757B1 (ko) 2016-06-08 2016-06-08 필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N201780035351.8A CN109313302A (zh) 2016-06-08 2017-05-15 用来处理薄膜的装置以及方法
PCT/KR2017/005004 WO2017213356A1 (ko) 2016-06-08 2017-05-15 필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TW106118819A TWI693150B (zh) 2016-06-08 2017-06-07 用來處理薄膜的裝置以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344A KR101955757B1 (ko) 2016-06-08 2016-06-08 필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898A KR20170138898A (ko) 2017-12-18
KR101955757B1 true KR101955757B1 (ko) 2019-03-07

Family

ID=6057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344A KR101955757B1 (ko) 2016-06-08 2016-06-08 필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955757B1 (ko)
CN (1) CN109313302A (ko)
TW (1) TWI693150B (ko)
WO (1) WO20172133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85444B (zh) * 2023-07-05 2024-04-02 广东汇发塑业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生物降解膜降解过程中透光度的牵引方法
KR102601715B1 (ko) * 2023-07-26 2023-11-13 주식회사 엔비컨스 필름 주름 측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4364A1 (en) 2000-06-23 2001-12-27 Akehiro Kusaka Sheet-like object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15138031A (ja) 2014-01-20 2015-07-30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検査装置及び方法
JP2016038565A (ja) 2014-08-07 2016-03-2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貼付位置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3153B2 (ja) * 1992-09-10 2004-01-0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感光性フィルムマガジンの製造方法および感光性フィルムマガジン包装体の製造方法
KR100863320B1 (ko) * 2003-11-20 2008-10-15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패턴의 얼룩 결함 검사방법 및 장치
JP2005274383A (ja) * 2004-03-25 2005-10-06 Sumitomo Chemical Co Ltd 配向フィルムの穴明き欠陥の検査方法
KR100701598B1 (ko) * 2005-03-30 2007-03-29 충청북도 박막 필름 결함검출장치
JP2006337630A (ja) * 2005-06-01 2006-12-14 Sumitomo Chemical Co Ltd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869053B2 (ja) * 2006-01-11 2012-02-01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積層フィルムの欠陥検出方法、積層フィルムの欠陥検出装置、積層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4777310B2 (ja) * 2007-07-31 2011-09-21 シャープ株式会社 検査装置、検査方法、検査システム、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検査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90054137A (ko) * 2007-11-26 2009-05-2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Cis 센서 모듈을 이용한 광학필름 결함 검사장치
JP2009244064A (ja) * 2008-03-31 2009-10-22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フィルムの検査方法
JP5415709B2 (ja) * 2008-03-31 2014-02-12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仕分けシステム
JP2011226957A (ja) * 2010-04-21 2011-11-10 Sanritz Corp 偏光板の欠陥検査方法及び欠陥検査装置
JP2012154679A (ja) * 2011-01-24 2012-08-16 Jx Nikko Nisseki Ekisho Firm Co Ltd 欠陥マーキング装置
KR20120110666A (ko) * 2011-03-30 2012-10-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라인 방식의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324015B1 (ko) * 2011-08-18 2013-10-31 바슬러 비전 테크놀로지스 에이지 유리기판 표면 불량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313075B1 (ko) * 2011-10-20 2013-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의 결함 검사 시스템
KR20140087715A (ko) * 2012-12-31 2014-07-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인라인 측정 장치
KR20140088789A (ko) * 2013-01-03 2014-07-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 검사 장치
JP2015108663A (ja) * 2013-12-03 2015-06-11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部材貼合体の製造装置
KR102200303B1 (ko) * 2014-08-19 2021-01-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 검사 장치
KR20160044802A (ko) * 2014-10-16 2016-04-2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시트상 제품 검사 시스템, 시트상 제품 검사 방법 및 그러한 검사에서 사용하기 위한 편광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4364A1 (en) 2000-06-23 2001-12-27 Akehiro Kusaka Sheet-like object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15138031A (ja) 2014-01-20 2015-07-30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検査装置及び方法
JP2016038565A (ja) 2014-08-07 2016-03-2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貼付位置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93150B (zh) 2020-05-11
CN109313302A (zh) 2019-02-05
TW201808597A (zh) 2018-03-16
WO2017213356A1 (ko) 2017-12-14
KR20170138898A (ko) 201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43279B (zh) 液晶显示元件的连续制造方法及装置
KR101376450B1 (ko) 화상취득장치, 패턴검사장치 및 화상취득방법
CN101981438A (zh) 偏光薄膜的检查方法
CN102809842B (zh) 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CN101910924A (zh) 连续带状形态且具有切割线的光学膜层积体及制造方法和制造装置
JP2019002834A (ja) 検査装置
US20120210895A1 (en) Method for performing print job
JP2011085631A (ja) 液晶表示素子を連続製造する装置において用いられる情報格納読出演算システム及び情報格納読出演算システムの製造方法
KR101163327B1 (ko) 타이어용 바코드 라벨 자동 부착 장치
KR101955757B1 (ko) 필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TR201810709T4 (tr) Baskı mamullerinin denetimine yönelik cihaz.
CN101980797A (zh) 偏光薄膜的分类***以及分类方法
CN1873398A (zh) 层叠光学薄膜的制造方法
JP5337914B2 (ja) ラベリングマシンにおけるラベル用マークレス位置決めシステム
KR101531676B1 (ko) 필름 재단 장치 및 방법
EP1748893B1 (en) Security sheet checking apparatus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of a printing machines
TW201736829A (zh) 用於檢查偏光板之方法及裝置
TW200839222A (en) Mark detecting method
WO2021117671A1 (ja) 機能フィルムの検査方法、検査システム及び原反ロール
KR102018955B1 (ko) 히든라벨 검사장치
CN109425616B (zh) 缺陷记录***、膜制造***以及膜的制造方法
TWI834897B (zh) 長條光學積層體之檢查方法及檢查系統
EP2675623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printing parameters of a printing machine, particularly with a plurality of consecutive printing processes
CN112005104A (zh) 图像取得方法、测量方法以及图像取得装置
TWI421489B (zh) Visual Insp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