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913B1 - 접이 가능한 안전모 - Google Patents

접이 가능한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913B1
KR101946913B1 KR1020160145938A KR20160145938A KR101946913B1 KR 101946913 B1 KR101946913 B1 KR 101946913B1 KR 1020160145938 A KR1020160145938 A KR 1020160145938A KR 20160145938 A KR20160145938 A KR 20160145938A KR 101946913 B1 KR101946913 B1 KR 101946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ing member
main body
helmet
tighten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9698A (ko
Inventor
송문희
Original Assignee
송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문희 filed Critical 송문희
Priority to KR102016014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91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9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2Collapsible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73Neck restrai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42B3/069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with soft external layer, e.g. for use in impact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6Ear protection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상면(110) 및 하면(120)이 개방되어 있고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 부재로 이루어져 접이 가능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110)을 수축시켜 머리를 감싸는 형태로 만들어주는 조임끈(200); 및 상기 조임끈(200)에 설치되어 상기 조임끈(200)의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조임홀더(3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는 외부 완충 부재(130)와 내부 완충 부재(140)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완충 부재는 그 상부(130A)가 복수개의 삼각형이 연속하여 배열되는 형태로서 상기 조임끈(200)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110)이 수축될 때 상기 삼각형의 상단이 상호 겹쳐져서 머리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는 그 높이(H2)가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 상부의 삼각형의 높이(H1)와 동일하며, 그 상단부가 복수개의 요철 형상이 연속하여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철 형상의 산(X)이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의 삼각형의 상단 꼭지점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임끈(200)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110)이 수축될 때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는 매끄러운 모자 형태로 변형되면서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는 주름이 생겨 충격완화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조임끈(200)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가 손쉽고 빠르게(약 0.3초 이내) 안전모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안전모가 매끄러운 모자 형태를 가지면서 충격완화효과가 증대되어 지진 재난 시에도 신속하게 안전모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 가능한 안전모{foldable safety helmet}
본 발명은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는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건설 근로 현장에서 사용하는 건설산업용 안전모와 자전거, 오토바이, 인라인 등의 레저 스포츠에서 사용하는 스포츠용 안전모 및 지진 재난시 재난 현장에서 신체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재난용 안전모 등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지진 발생이 증대됨에 따라 가정에서도 지진 등에 의한 위험을 대비한 안전모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모는 금속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그 크기와 무게에 의해 휴대가 불편하며 부피가 커 보관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휴대가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립식 안전모(1)가 개발되었으나(도 2 및 도 3 참조, 한국등록특허 제10-1167457호) 안전모를 사용하기 위하여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겹쳐져 있는 복수개의 절편(3)의 결합공(6)에 결합핀(2)을 끼우고 이 결합핀(2) 중심으로 절편(3)을 회전이동시켜 도 2의 상태로 만든 후 힌지수단(9)을 매개로 반으로 접혀 있는 연결부(5)를 펼치고 이 연결부(5)의 결합수단(8)에 각 절편(3)의 결합수단(7)을 스냅연결방식으로 결합한 후 충격흡수재(13)를 본체부의 내면에 밀착하여 위치시키고 연결부(5)의 내부 둘레면에 형성된 고정수단에 머리끈의 고정수단을 결합한 후 머리끈을 매개로 착용자가 안전모를 착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개발된 조립식 안전모는 안전모로 변형하는 과정이 아주 복잡하므로 안전모 사용을 위해서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지진과 같은 긴급 상황에서 짧은 시간에 안전모로 변형하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조립식 안전모(1)는 복잡한 형태 및 과정으로 인해 반복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고장이 나거나 부품을 분실할 수 있는 우려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67457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전모의 형태로 변형이 빠르고 용이하며, 접이 가능하여 휴대 및 비치가 용이한 안전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 부재로 이루어져 접이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수축시켜 머리를 감싸는 형태로 만들어주는 조임끈; 및 상기 조임끈에 설치되어 상기 조임끈의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조임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외부 완충 부재와 내부 완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완충 부재의 상부는 복수개의 삼각형이 연속하여 배열되는 형태로서 상기 조임끈에 의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이 수축될 때 상기 삼각형의 상단이 상호 겹쳐져서 머리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내부 완충 부재의 상단부는 복수개의 요철 형상이 연속하여 배열된 형태로, 상기 요철 형상의 산은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의 삼각형의 상단의 꼭지점의 위치와 일치하는 것인 접이 가능한 안전모를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조임끈은 상기 외부 완충 부재와 상기 내부 완충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의 다수의 삼각형과 이에 대응하는 내부 완충 부재의 사이에 다수의 터널 공간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터널 공간에 상기 조임끈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조임끈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조임끈은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1cm 내지 2cm 이격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의 삼각형의 수는 6 내지 12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깊이는 5mm 내지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의 삼각형의 높이는 외부 완충 부재의 둘레의 0.15 내지 0.17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내부 완충 부재의 높이는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의 삼각형의 높이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두께는 10mm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외부 완충 부재의 두께는 8mm 내지 15mm이고, 상기 내부 완충 부재의 두께는 2mm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접었을 때 ㄱ자 형태로 이루어져 착용시 머리 전체와 귀 및 목 뒷 부분을 덮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외부 완충 부재 및 상기 내부 완충 부재의 재질은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조임끈의 단부가 상기 본체의 일면에 벨크로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조임 홀더의 적어도 일면에 야광필름이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조임 홀더의 일면에 설치된 랜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된 안전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조임끈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가 손쉽고 빠르게(약 0.3초 이내) 안전모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지진 재난 시에도 신속하게 안전모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본체 내부에 주름이 생겨 완충재의 두께가 두꺼워짐과 동시에 공기층이 형성됨에 따라 충격 완화 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완충 부재로 이루어진 본체가 머리(특히 정수리 부분)를 완전히 감쌀 수 있어 보다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재질과 구조가 접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약간의 공간만 있어도 비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모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조립된 상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조립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를 접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를 안전모 형태로 변형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를 착용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서 외부 완충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전개도이며, (b)는 내부 완충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전개도이고, (c)는 외부 완충 부재와 내부 접착 부재가 결합된 본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전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를 안전모 형태로 변형했을 때 본체 내부에 형성된 내부 주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의 조임 홀더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도면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사용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를 접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를 안전모 형태로 변형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를 착용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는 본체(100), 조임끈(200) 및 조임 홀더(300)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상기 본체(100)는 안전모의 본체로서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여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접이 가능하여 착용 시 안전모 형태로 변형되고 미 착용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0)는 상면(110) 및 하면(120)이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상면(110) 및 하면(120)이 모두 개방되면 본체(100)가 두꺼워지더라도 손쉽게 접이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상면(110)이 개방된 이유는 상술한 내용 외에 상면(110)이 개폐되는 구조가 되어 상면(110)의 개방된 부분이 폐쇄될 때 손쉽게 안전모 형태로 변형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하면(120)이 개방된 이유는 상술한 이유 외에 안전모가 머리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면이란 본체의 윗면을 말하며(조임끈이 조여져 있지 않을 때의 본체 윗면, 도 4 참조), 하면이란 본체의 밑면을 말하고 착용시 머리가 삽입되어 머리 둘레를 감싸는 부분을 말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형상은 상면(110) 및 하면(120)이 개방된 입체 형상으로서, 하기 설명할 조임끈(200)에 의해 개방된 상면(110)이 조여졌을 때(수축되었을 때) 머리가 감싸지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면(110) 및 하면(120)이 개방된 원통 형상, 원뿔대 형상, 원통 형상과 원뿔대 형상에서 일부 변형된 형상(도 4 참조) 등이 가능할 것이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접었을 때 ㄱ자 형태로 이루어져 착용시 머리 전체와 귀 및 목의 뒷 부분을 모두 덮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100)가 이러한 형상을 가질 때 착용을 위해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본체(100)가 머리 전체와 귀 및 목 부분(척추의 경추 부분)까지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본체(100)는 착용시 귀에 해당되는 부분에 일정 크기의 개구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착용자의 소리를 듣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미착용시 상기 본체(100)가 접혀지는 선(이하, 접힘선)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8(c)의 전개도에서 상기 본체(100)의 중앙선이 이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접힘선의 하단 즉 도 8(c)의 전개도에서 상기 본체(100)의 중앙선의 하단에 v자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본체(100)를 보다 용이하게 접을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접혀질 때 일정한 형태로 접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두께는 10mm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본체(100)의 두께가 10mm 미만인 경우 중간 정도의 충격으로도 본체(100)가 찢어질 우려가 있어 완충 효과가 무의미해지며, 20mm 초과하는 경우 안전모 형태로 변형이 어렵고 모양도 변형되어 안전모로서의 본질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는 휴대나 비치를 위해 접거나 사용을 위해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신속하게 모양이 변형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와 동시에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모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 부재는 엠보싱이나 공기층을 구비하며 전체적으로 가볍고 접힐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무해한 폴리에틸렌(P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외부 완충 부재(130)와 내부 완충 부재(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 및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내부 완충 부재(140)는 조임끈(200)에 의해 조여질 때 상부에 주름이 생겨 착용시 머리 상부에 해당되는 부위의 완충 부재를 두껍게 하고 주름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충격 완화 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도 9 참조). 그리고 외부 완충 부재(130) 및 내부 완충 부재(140)는 그 형태상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머리를 완전히 덮는 반구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외부 완충 부재(130)는 보다 매끄러운 반구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도 6 및 7 참조)
도 8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에서 외부 완충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전개도이며, (b)는 내부 완충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전개도이고, (c)는 외부 완충 부재와 내부 접착 부재가 결합된 본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전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를 안전모 형태로 변형했을 때 본체 내부에 형성된 내부 주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외부 완충 부재(130) 및 내부 완충 부재(14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의 형상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130A)는 복수개의 삼각형이 연속하여 배열되어 있는 형태로서(도 4, 도 5 및 도 8(a) 참조) 상기 조임끈(200)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110)이 수축될 때 상기 삼각형의 상단이 상호 겹쳐져서 머리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도 6 및 도 7 참조). 이는 조임끈(200)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110)이 수축되어 안전모 형태로 변형될 때 본체(100)의 모양이 착용자의 머리를 완전히 감싸는 반구 형상으로 변형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며, 또한 본체(100)의 외면이 주름이나 울퉁불퉁한 곳 없이 매끄러운 미려한 안전모 형태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삼각형의 수는 4 내지 20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삼각형의 수가 4개 미만인 경우 머리를 감싸는 형태로 변형되는 것이 불가능하며 20개 초과하는 경우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머리의 정수리에 해당되는 부분이 너무 많이 열려져 안전성 확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삼각형의 수는 6 내지 12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삼각형의 수가 상기 범위 내일 때, 본체가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머리가 완전히 감싸지기에 가장 적합한 반구 형상이 되고, 내부 주름 수에 의한 충격완화 효과도 최대화되며, 제조 공정도 용이하여 가장 바람직하기 때문이다(도 4 및 도 5는 삼각형의 수가 8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음).
도 8 (a)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130A)의 둘레(W2)는 착용자 머리의 가장 굵은 부위를 지나는 수평 둘레 즉, 이마에서 귀 위를 지나 뒷머리의 돌출된 부분을 지나는 길이(머리 둘레)와 일치하며 500mm 내지 64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130A)의 둘레(W2)는 성인용 안전모의 경우 560mm 내지 640mm인 것이 바람직하며(가장 바람직하게는 600mm), 아동용 안전모의 경우 500mm 내지 580mm(가장 바람직하게는 54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의 둘레(W2)의 상술한 범위는 성인 또는 아동의 일반적인 머리 둘레를 반영하여 결정한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130A)의 삼각형 높이(H1)는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의 둘레(W2)의 0.15 내지 0.17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55 내지 0.16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치로 표현해보면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130A)의 둘레(W2)가 600mm인 경우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130A)의 삼각형 높이(H1)는 약 90mm 내지 102mm인 것이 바람직하고, 93mm 내지 96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130A)의 둘레(W2)가 540mm인 경우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130A)의 삼각형 높이(H1)는 약 81mm 내지 92mm인 것이 바람직하며, 83.7mm 내지 86.4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130A)의 삼각형 높이(H1)가 상기 외부 부재 상부 둘레(W2)의 0.15배 미만이면 착용시 안전모의 상부가 머리 상부에 너무 밀착되어 2차적인 충격완화효과를 확보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으며,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130A)의 삼각형 높이(H1)가 상기 외부 부재 상부 둘레(W2)의 0.17배 초과하는 경우 머리 둘레에 비해 머리 상부 위쪽으로 생기는 공간이 너무 커져 안전모 착용이 불편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 안전모를 제작하였을 때 착용시 안전모의 상부가 머리 상부에 밀착되지 않고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여 상기 일정한 공간을 통해 2차적인 충격 완화 효과를 확보하는 것이 최적화된다.
또한,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 하부의 둘레(W1)는, 착용자의 머리 형태를 고려해 보았을 때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130A)의 둘레(W2)의 0.95 내지 1배가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의 둘레(W2)와 상기 외부 완충 부재 하부의 둘레(W1)를 동일하게 하여 안전모를 제작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는 상기 본체(100)의 형상 부분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미착용시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가 접혀지는 선(이하, 접힘선)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8(a)의 전개도에서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의 중앙선이 이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의 접힘선의 하단 즉 도 8(a)의 전개도에서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의 중앙선의 하단에 v자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본체(100)를 보다 용이하게 접을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접혀질 때 일정한 형태로 접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의 형상을 살펴보면, 도 4, 도 5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의 상단부는 복수개의 요철 형상이 연속하여 배열된 형태로 상기 요철 형상의 산 부분(X)은 상기 외부 완충 부재의 삼각형의 상단의 꼭지점의 위치와 일치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요철 형상이란, 도 4, 도 5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완충 부재(140)의 상단부가 돌기와 홈이 반복되는 형상이 복수개 연속되어 배열되어 있는 형상인 것을 말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유는 조임끈(200)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110)이 수축될 때 내부 완충 부재(140)에 의한 방해 없이 외부 완충 부재(130)의 삼각형의 상단이 상호 겹쳐지면서 머리 상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머리를 완전히 감싸는 반구 형상으로 만들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요철의 깊이(d, 요철의 산(X)에서 요철의 골(Y)까지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5mm 내지 15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mm 내지 12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0mm이다. 만약 상기 요철의 깊이(d)가 5mm 미만인 경우 외부 완충 부재(130)의 삼각형의 상단이 상호 겹쳐지면서 머리 상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때 내부 완충 부재(140)의 방해에 의해 빈 공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상기 요철의 깊이(d)가 15mm 초과하는 경우 내부 완충 부재(140) 중 절개되는 부분이 커져 내부 주름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요철의 깊이(d)가 8 내지 12mm인 경우 조임끈(200)이 조여져 안전모로 변형될 때 본체(100)가 머리 정수리 부분을 완전히 덮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변형되며, 동시에 내부 완충 부재의 주름이 가장 적절한 형태로 형성되어 충격완화효과가 최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요철의 형상은 도 4, 도 5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결 형태의 요철 형상이 될 수도 있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V자 형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요철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의 높이(H2)는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130A)의 삼각형 높이(H1)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의 높이(H2)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의 산(X) 지점에서 측정한 높이를 말한다. 이는 충격이 가해질 가능성이 높은 "머리 상부"에 해당되는 부분의 본체 두께를 더 두껍게 하고 내부 완충 부재(140)에 의한 주름도 형성함과 동시에, 주름이 생기지 않고 충격이 가해질 가능성이 작은 나머지 부분의 두께를 좀 더 얇게 제작함으로써 안전모의 변형도 더 쉽게 하고, 꼭 필요한 부분의 충격 완화 효과도 높이기 위함이다(도 8(b) 및 (c) 참조). 그리고, 또한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의 둘레(W3)는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130A)의 둘레(W2)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 중 머리 상부를 덮는 부분을 일정하게 두껍게 하고 내부 주름을 충분히 형성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는 상기 본체(100)의 형상 부분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미착용시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가 접혀지는 선(이하, 접힘선)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8(b)의 전개도에서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의 중앙선이 이에 해당된다. 이는 사용자가 본체(100)를 보다 용이하게 접을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접혀질 때 일정한 형태로 접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의 두께는 8 내지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의 두께가 8mm 미만인 경우 충격 흡수 효과가 작아 머리를 보호하는 안전모 역할을 수행할 수 없으며, 15mm 초과하는 경우 내부 완충 부재(140)와 결합되면 본체(100)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게 되어 안전모 형태로 변형이 어렵고 모양도 변형되어 안전모로서의 본질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의 두께는 2mm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의 두께가 2mm 미만인 경우 두께가 너무 얇아 주름 형성에 의한 완충 증대 효과가 너무 미미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5mm 초과하는 경우 내부 주름 형성시 그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서 안전모 형태로 변형이 어렵고 모양도 변형되어서 안전모로서의 본질을 잃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 및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의 재질은 상술한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 부재로서 엠보싱이나 공기층을 구비하며 전체적으로 가볍고 접힐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무해한 폴리에틸렌(P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는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보다 고밀도의 재질로 이루어져 내구성 및 충격방지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 및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는 접합 또는 접착의 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와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 각각은 여러개의 완충재가 겹쳐져서 일체로 이루어진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임끈(200)은 조이는 작동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110)을 수축시켜 상기 본체(100)를 머리를 감싸는 형태로 만들어 주며, 풀어주는 작동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상면을 개방시켜 상기 본체(100)가 용이하게 접혀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임끈(200)을 조여주는 작동에 의해 상기 본체(100) 중 내부 완충 부재(140)에 주름이 생겨 본체(100)의 두께가 두꺼워짐과 동시에 주름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안전모의 충격 완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도 9 참조). 이하 상기 조임끈(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조임끈(200)은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임끈(200)은 상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A)하여 설치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임끈(200)은 상기 본체(200)의 상단으로부터 1cm 내지 2cm 이격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범위 내에서 조임끈(200)에 의해 본체(200)의 상면이 수축하여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머리 형태에 최대한 가깝게 본체가 변형되고 머리가 최대한 감싸지도록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조임끈(200)이 설치되는 방식은 상기 본체(100)의 외부 완충 부재(130)와 내부 완충 부재(140)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와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가 접하는 일정 공간(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의 삼각형과 이에 대응하는 내부 완충 부재(140) 사이의 일정 공간)에 조임끈(200)이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터널 공간(내구성이 강한 합성수지로 형성된 빨대 형상의 터널 공간)이 설치되고, 상기 조임끈(200)이 상기 다수의 터널 공간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터널 공간을 설치하는 이유는 조임끈(200)을 보다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함이다(도 4 및 도 5 참조).
상술한 방식으로 조임끈(200)이 설치되는 경우 본체(100)가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터널공간과 터널 공간 사이의 위치(상기 외부 부재(130)와 접하지 않는 내부 완충 부재(140)의 위치)마다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에 주름이 생기고 이러한 주름에 의해 완충 효과가 생기게 되며, 상기 주름의 수가 늘어날 수록 완충효과가 증대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조임끈(200) 설치방식은 상기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 기술 중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130A)의 삼각형과 그에 대응되는 내부 완충 부재(140))에 복수의 삽입공을 만들어 상기 삽입공에 조임끈(200)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미도시). 이외에도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관용기술을 채택하여 변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끈(200)의 단부가 상기 본체(100)의 일면에 벨크로(600)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다. 이는 필요에 따라 상기 조임끈(200)을 본체(100)에 고정시켜 사용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임끈(200)의 단부에 수벨크로(600A)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의 일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임끈(200)에 의해 조여져 안전모 형태로 변형되었을 때 안전모의 정면에 해당되는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의 위치에 암벨크로(600B)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의 조임 홀더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조임 홀더(300)는 상기 조임끈(200)에 설치되어 상기 조임끈(200)의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조임 홀더(300)는 상기 조임홀더(300)의 양 홀더 개구(310)를 통해서 상기 조임끈(200)과 연결되는 방식으로 상기 조임끈(200)에 설치된다.
상기 조임 홀더(300)는 종래 공개된 기술 중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다. 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실시예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조임 홀더(300)는 조임홀더 본체(41)와 상기 조임 홀더 본체(41)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조임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조임홀더 본체(41)와 조임부(42)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임부(42)를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 장치(미도시) 등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임 홀더(300)는 적어도 일면에 야광 물질로 도포하거나 야광 필름을 접착할 수 있다. 이는 조임 홀더(300)가 어두운 곳에서 별도의 에너지원 없이 빛을 내도록 하여 재난에 의해 전기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나 야간 등에 시야를 확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는, 필요한 경우 랜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랜턴은 상기 조임 홀더(300)의 일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조임끈(300)의 일단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본체(100)를 안전모 형태로 변형했을 때 전면에 해당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재난에 의해 전기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나 야간 등에 조명을 통해 시야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설치된 안전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끈(500)은 상기 안전모가 착용자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턱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끈은 벨크로 형식으로 탈부착이 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고, 일단에 조임 홀더(520)가 설치된 조임끈(510)이 본체(100)의 하단에 설치되는 형태로서 길이 조절이 되는 안전끈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는 상기 본체(100)의 외면에 외부 커버(미도시)를 접착 등의 방식으로 더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가 내부 완충 부재(140)와 외부 완충 부재(130)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외부 커버는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와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한다. 상기 외부 커버의 역할은 안전모의 미관을 좋게함과 동시에 안전모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또한, 외부 커버는 난연성의 두꺼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연두 야광색이나 주황 야광색 등으로 하여 조난시 구조자의 눈에 쉽게 발견될 수 있는 색상을 택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는 조임끈(200)의 조이는 작동에 의해 사용자가 손쉽고 빠르게(약 0.3초 이내) 안전모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지진 재난 시에도 신속하게 안전모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본체(100) 내부에 주름이 생겨 완충재의 두께가 두꺼워짐과 동시에 공기층이 형성됨에 따라 충격 완화 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완충 부재로 이루어진 본체(100)가 머리(특히 정수리 부분)를 완전히 감쌀 수 있어 보다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 가능한 안전모는 본체(100)의 재질과 구조가 안전모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약간의 공간만 있어도 비치가 가능하다.
1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
2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결합핀
3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절편
4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본체부
5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연결부
6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결합공
7, 8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결합수단
9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힌지수단
11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머리끈
13 종래의 조립식 안전모의 충격흡수 부재
100 본체
110 상면
120 하면
130 외부 완충 부재
130A 외부 완충 부재 상부
140 내부 완충 부재
150 개구부
200 조임끈
300 조임 홀더
310 조임 홀더 개구부
500 안전끈
510 안전끈의 조임끈
520 안전끈의 조임 홀더
600A 수벨크로
600B 암벨크로
600 벨크로
41 조임 홀더 본체
42 조임부
A 본체 상단으로 부터 조임끈이 설치되는 위치까지의 간격
H1 외부 완충 부재 상부의 삼각형 높이
H2 내부 완충 부재의 높이
W1 외부 완충 부재 하부의 둘레
W2 외부 완충 부재 상부의 둘레
W3 내부 완충 부재 둘레
X 요철 형상의 산
Y 요철 형상의 골
d 요철 깊이

Claims (16)

  1. 상면(110) 및 하면(120)이 개방되어 있고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 부재로 이루어져 접이 가능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110)을 수축시켜 머리를 감싸는 형태로 만들어주는 조임끈(200); 및
    상기 조임끈(200)에 설치되어 상기 조임끈(200)의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조임홀더(3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는 외부 완충 부재(130)와 내부 완충 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는 그 상부(130A)가 복수개의 삼각형이 연속하여 배열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 완충부재(140)는 그 높이(H2)가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 상부의 삼각형의 높이(H1)와 동일하며, 그 상단부가 복수개의 요철 형상이 연속하여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철 형상의 산(X)이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의 삼각형의 상단 꼭지점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임끈(200)을 조여 안전모 형태로 변형시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는 그 상부의 삼각형의 상단이 상호 겹쳐지면서 매끄러운 모자 형태로 변형되고,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는 주름이 생겨 충격 완화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가능한 안전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끈(200)은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와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설치되는 것인 접이 가능한 안전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130)의 다수의 삼각형과 이에 대응하는 내부 완충 부재(140)의 사이에 다수의 터널 공간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터널 공간에 상기 조임끈(200)이 삽입되는 것인 접이 가능한 안전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끈(200)은 상기 본체(100)의 상단으로부터 1cm 내지 2cm 이격하여 설치되는 것인 접이 가능한 안전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130A)의 삼각형의 수는 6 내지 12개인 접이 가능한 안전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의 깊이(d)는 5mm 내지 15mm인 접이 가능한 안전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완충 부재 상부(130A)의 삼각형의 높이(H1)는 외부 완충 부재 상부의 둘레(W2)의 0.15 내지 0.17배인 접이 가능한 안전모.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두께는 10mm 내지 20mm인 접이 가능한 안전모.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의 두께는 8mm 내지 15mm이고,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의 두께는 2mm 내지 5mm인 접이 가능한 안전모.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접었을 때 ㄱ자 형태로 이루어져 착용시 머리 전체와 귀 및 목 뒷 부분을 덮도록 하는 것인 접이 가능한 안전모.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완충 부재(130) 및 상기 내부 완충 부재(14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인 접이 가능한 안전모.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끈(200)의 단부가 상기 본체(100)의 일면에 벨크로(600)에 의해 탈부착되는 것인 접이 가능한 안전모.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 홀더(300)의 적어도 일면에 야광필름이 접착되는 것인 접이 가능한 안전모.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 홀더(300)의 일면에 설치된 랜턴을 더 포함하는 접이 가능한 안전모.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에 설치된 안전끈(500)을 더 포함하는 접이 가능한 안전모.




KR1020160145938A 2016-11-03 2016-11-03 접이 가능한 안전모 KR101946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938A KR101946913B1 (ko) 2016-11-03 2016-11-03 접이 가능한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938A KR101946913B1 (ko) 2016-11-03 2016-11-03 접이 가능한 안전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698A KR20180049698A (ko) 2018-05-11
KR101946913B1 true KR101946913B1 (ko) 2019-02-11

Family

ID=62185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938A KR101946913B1 (ko) 2016-11-03 2016-11-03 접이 가능한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9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1242A (ko) 2021-11-16 2023-05-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딩가능한 휴대용 헬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014B1 (ko) 2019-07-04 2020-01-14 (주)한국디자인사이언스연구소 재난방재모
KR102142990B1 (ko) * 2020-01-03 2020-08-10 주식회사 네이처모빌리티 가변형 헬멧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1360B2 (ja) * 1993-10-18 2000-01-24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発泡性共重合樹脂粒子の製造方法
KR200308853Y1 (ko) * 2002-12-27 2003-03-28 이충권 개폐구조의 크라운을 갖는 모자
KR101643289B1 (ko) * 2015-09-22 2016-08-10 주식회사 유아이디에스엔 공기주입식 머리보호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1360B2 (ja) * 1993-10-18 2000-01-24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発泡性共重合樹脂粒子の製造方法
KR200308853Y1 (ko) * 2002-12-27 2003-03-28 이충권 개폐구조의 크라운을 갖는 모자
KR101643289B1 (ko) * 2015-09-22 2016-08-10 주식회사 유아이디에스엔 공기주입식 머리보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1242A (ko) 2021-11-16 2023-05-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딩가능한 휴대용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698A (ko)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913B1 (ko) 접이 가능한 안전모
KR102142990B1 (ko) 가변형 헬멧
US10178889B2 (en) Customizable head protection
US20110179557A1 (en) Helmet pro system
KR101576364B1 (ko) 접이식 헬멧
EP1034709A2 (en) Collapsible hat and method of collapsing the hat
EA021497B1 (ru) Внутреннее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опоры и фиксации защитного шлема на голове работника
KR101855593B1 (ko) 접이 가능한 안전모
US20050081279A1 (en) Elastic headwear
US20060174396A1 (en) Hard hat sun shade
JP2010084314A (ja) 頭保護用帽子
JP2010185147A (ja) 収納型ヘルメット
JP3173012U (ja) 簡易ヘルメット
FR3080749A1 (fr) Dispositif escamotable de protection de la tete d'un utilisateur contre les intemperies
KR20150076285A (ko) 접이식 헬멧
JPS639536Y2 (ko)
JP6166009B1 (ja) ヘルメット
KR200439928Y1 (ko) 양면 챙 모자
KR200462391Y1 (ko) 마스크 탈부착형 모자
KR101772773B1 (ko) 분리 가능 헬멧
JP6000729B2 (ja) 帽体、及び帽子
KR102271964B1 (ko) 안전모
JP6074103B1 (ja) 組み立て式携帯保護帽。
KR200356054Y1 (ko) 헬멧 내장재용 부유대
JP2014234563A (ja) 帽子用保護具及び帽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