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990B1 - 가변형 헬멧 - Google Patents

가변형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990B1
KR102142990B1 KR1020200000866A KR20200000866A KR102142990B1 KR 102142990 B1 KR102142990 B1 KR 102142990B1 KR 1020200000866 A KR1020200000866 A KR 1020200000866A KR 20200000866 A KR20200000866 A KR 20200000866A KR 102142990 B1 KR102142990 B1 KR 102142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tection
pad
protective pad
pro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이처모빌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이처모빌리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이처모빌리티
Priority to KR1020200000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990B1/ko
Priority to US17/032,812 priority patent/US20210204632A1/en
Priority to EP20200475.0A priority patent/EP3845085B1/en
Priority to ES20200475T priority patent/ES2962443T3/es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2Collapsible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4Adjustable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42B3/062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with reinforcing means
    • A42B3/063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with reinforcing means using layere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5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시 평평하게 펼쳐서 보관 또는 휴대할 수 있는 가변형 헬멧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두부(頭部)를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반구형태가 되기도 하며 판체와 같이 평평하게 펼쳐질 수도 있도록 복수개의 단위패드가 모자이크와 같이 평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양쪽 끝에 톱니의 형태로 요철부가 마련되어 있는 보호패드; 상기 보호패드의 양쪽 끝이 서로 달라붙음으로써 상기 단위패드가 반구형태가 되도록 하는 양끝고정수단; 상기 보호패드가 두부에 씌워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턱을 받칠 수 있게끔 상기 보호패드에 설치되는 턱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형 헬멧{Transformable Helmet}
본 발명은 헬멧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을시 부피를 줄임으로써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가변형 헬멧에 관한 것이다.
헬멧은 인라인스케이트, 전동퀵보드, 산악자전거 등 속도를 즐기기 위한 레저활동에서 안전을 위해 착용해야 하는 안전장비이다. 헬멧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고가 생기면 그 피해는 치명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위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헬멧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는데, 이는 사용상 불편한 것은 물론이고 소지하기 다니기에도 불편하기 때문일 것이다. 헬멧은 그 특성상 무게는 많이 나가지 않지만 부피가 크기 때문에 일반적인 가방에 넣고 다니기가 어렵다. 그 이유로 헬멧을 사용하는 빈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035677호와 같은 접이식 헬멧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강도가 취약하여 큰 충격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착용하고 빠른 속도로 움직일 때 저항이 커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016978호는 접이식 에어 튜브 헬멧을 제안하고 있는데, 이는 사용시 튜브를 팽창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큰 압력과 열에 의해 튜브가 손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035677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016978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은 사용상 불편함을 개선함으로써 안전장비로서의 헬멧의 사용빈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부피감을 크게 줄임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며, 사용할 때도 번거롭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미적으로도 손상이 없는 가변형 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두부(頭部)를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반구형태가 되기도 하며 판체와 같이 평평하게 펼쳐질 수도 있도록 복수개의 단위패드가 모자이크와 같이 평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양쪽 끝 테두리는 톱니의 형태로 요철부 형상을 이루는 보호패드; 상기 보호패드의 양쪽 끝이 서로 달라붙음으로써 상기 단위패드가 반구형태가 되도록 하는 양끝고정수단; 상기 보호패드가 두부에 씌워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턱을 받칠 수 있게끔 상기 보호패드에 설치되는 턱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헬멧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양끝고정수단은 상기 보호패드의 양쪽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보호패드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게 하는 조정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양끝고정수단은 자석체, 벨크로테잎 또는 스냅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호패드는, 복수 개의 제1단위보호판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중심보호유닛; 상기 중심보호유닛의 좌우 양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제2단위보호판이 2열로 대칭되게 배열되어 있는 제1측부보호유닛; 상기 제1측부보호유닛의 좌우 양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제3단위보호판이 2열로 대칭되게 배열되어 있는 제2측부보호유닛; 상기 제2측부보호유닛의 좌우 양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끼움부가 마련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4단위보호판이 2열로 대칭되게 배열되어 있는 제3측부보호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보호유닛(101), 제 1, 2, 3측부보호유닛(102, 103, 104)은 각 연결부위는 가요성 소재로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보호패드가 반구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중심보호유닛(101), 제 1, 2, 3측부보호유닛(102, 103, 104)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두부를 보호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는 커버판; 상기 커버판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가요성을 갖는 연질패드; 및 상기 연질패드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충격의 완화를 위한 발포성 소재로 된 완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노트나 책과 같이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어서 부피감이 크게 줄어들 수 있음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가변형 헬멧이 제공된다. 또한 사용할 때도 끈부재만 당겨서 고정시키면 되기 때문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가변형 헬멧이 제공된다. 이렇듯 사용이 편리하기 때문에 헬멧의 사용을 장려할 수 있음으로써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변형 헬멧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헬멧의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헬멧의 펼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헬멧의 헬멧으로 변형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헬멧의 헬멧으로 변형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헬멧의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헬멧의 펼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헬멧의 양끝고정수단의 구성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동시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나머지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헬멧은 각종 레저활동에서 두부(頭部)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용도이다. 그래서 헬멧의 구체적인 사용처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가변형 헬멧은 보호패드(100), 양끝고정수단 및 턱끈을 포함한다.
양끝고정수단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조정끈부재(200,300)이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자석(410)이다. 우선 전자를 먼저 설명한 뒤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조정끈부재(200,300)와 턱끈은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즉 조정끈부재(200,300)가 턱끈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보호패드(100)는 두부를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반구형태가 되기도 하며(도 3,4 참조), 사용자의 조정에 따라서 책, 노트 기타 판체와 같이 평평하게 펼쳐질 수도 있다(도 1,2 참조). 보호패드(100)는 복수개의 단위패드가 모자이크와 같이 평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양쪽 끝 테두리는 톱니의 형태로 요철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조정끈부재(200,300)는 보호패드(100)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길이를 줄여 조이거나 길이를 늘려 이완시킴으로써 보호패드(100)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조정끈부재(200,300)는 보호패드(100)가 두부에 씌워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턱을 받칠 수 있는 턱끈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조정끈부재(200,300)는 일반적인 턱끈과 유사하게 버클(220,3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턱에 지지되는 턱보호패드(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보호패드(100)는 중심보호유닛(101), 제1측부보호유닛(102), 제2측부보호유닛(103) 및 제3측부보호유닛(104)을 포함한다.
중심보호유닛(101)은 복수 개의 제1단위보호판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서 정수리를 포함하는 신체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제1단위보호판은 도시된 바에 의하면 마름모꼴로 되어 있으며, 그의 전부 또는 일부의 중심에는 통기공(109)이 마련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 다이얼과 같은 후두부 가압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후두부 가압수단은 다이얼을 회전 조정함에 따라 후두부를 향해 팽창되어 헬멧을 단단히 고정시키고 후두부를 보호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제1측부보호유닛(102)은 중심보호유닛(101)의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2열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2단위보호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2단위보호판 역시 마름모꼴로 되어 있다. 나아가 하나의 개별적 제2단위보호판도 더 세부적으로 나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2단위보호판은 삼각형태로 된 2개의 부속단위보호판으로 나뉘어져 있다.
제2측부보호유닛(103)은 제1측부보호유닛(102)의 좌우 양측에 연결된다. 제2측부보호유닛(103)은 2열로 대칭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3단위보호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측부보호유닛(104)이 제2측부보호유닛(103)의 좌우 양측에 연결된다. 제3측부보호유닛(104)은 2열로 대칭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4단위보호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호패드(1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 형태를 가지고 있으되, 제2,3측부보호유닛(103,104)이 설치된 양쪽은 톱니 형태로 되어 있다. 이는 반구각을 평평하게 펼침으로써 자연스럽게 생기는 형태이다.
제3측부보호유닛(104)에는 조정끈부재(200,300)를 끼울 수 있는 끼움부(106)가 마련될 수 있다. 조정끈부재(200,300)가 납작한 형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이 끼움부(106)의 단면 형태도 납작한 구멍 형태로 되어 있다. 조정끈부재(200,300)의 일측에는 조정끈부재(200,300)가 일정한 형태로 당겨질 수 있도록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10,31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정끈부재(200,300)를 잡아당긴 도 4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클립(미도시되)과 같은 끈고정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조정끈부재(200,300)를 보호패드(100)에 설치하는 방식 내지 조정끈부재(200,300)를 잡아당기거나 잡아당긴 상태에서 고정하는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보호패드(100)는 전체적으로 모자이크 형태로 되어 있으며 각 모자이크 조각의 연결부위, 즉 제1,2,3,4단위보호판의 연결부위는 가요성 소재로 되어 있다. 이로써, 보호패드(10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반구형으로 구부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제1,2,3,4단위보호판은 신체의 형태에 더 부합되게끔 세부적으로 나뉠 수도 있다. 다만 너무 세분화되면 보호기능이 약해질 수 있으며 제작하기에도 불편하므로 적정한 크기를 가지고 있는 것이 좋다.
한편 보호패드(100)의 층구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보호패드(10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두부를 보호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는 커버판(150)과, 상기 커버판(150)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가요성을 갖는 연질패드(151)와, 상기 연질패드(151)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충격의 완화를 위한 완충패드(15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판(150)의 가장자리는 우레탄이나 실리콘 등의 패킹 또는 코팅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날카로운 단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연질패드(151)는 실리콘, 고무, 우레탄, 직물, 가죽 등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연질패드(151)는 탄성을 갖도록 실리콘, 고무 또는 우레탄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질패드(151)는 보호패드(100) 전체에 걸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완충패드(152)는 EPP, EPS 등 경량의 발포성 소재가 적합하다. 완충패드(152)는 충격흡수의 극대화를 위하여 상부발포체와, 강성을 가진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의 중간판 및 하부발포체가 접합된 3중의 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완충패드(152)의 저면에는 땀의 흡수를 위한 면과 같은 소재로 된 머리띠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중심보호유닛(100)의 끝단에는 햇빛을 가리기 위한 챙(120)이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평평한 보호패드를 반구형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양끝고정수단에 관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에서는 턱끈은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다만 턱끈을 끼우기 위한 턱끈끼움공은 보호패드(100)에 마련되어 있다.
보호패드(100)의 양끝 요철부위를 구성하는 제3측부호보유닛(104)에는 자석고정부(400,400')가 마련된다. 자석고정부(400,400')는 고정판(410,410')과, 고정판(410,410') 상에 설치되는 자석체(420,420')를 포함한다.
한쪽 자석고정부(400. 이하, '제1자석고정부'라 한다)는 혹과 같이 제3측부호보유닛(104)의 일측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 자석고정부(400'. 이하, '제2자석고정부'라 한다)는 제3측부호보유닛(104) 자체에 마련되고 있다. 제1자석고정부(400)는 이웃하는 제2자석고정부(400')에 포개진 상태에서 자력으로 고정된다. 이에 의해 이웃하는 제3측부호보유닛(104) 간에 서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고정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돌기와 구멍으로 구성된 요철결합부(430,430')가 각각의 자석고정부(400,400')에 마련될 수 있다. 요철결합부(430,430')는 스냅버튼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자석고정부(400,400')는 벨크로테잎으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병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 구성된 죠그의 회전에 따라 원형 표시부가 전후진하여 두상에 따른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발광을 통해 방향지시 조명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보호패드 101 : 중심보호유닛
102 : 제1측부보호유닛 103 : 제2측부보호유닛
104 : 제3측부호보유닛 106 : 끼움부
109 : 통기공 120 : 챙
150 : 커버판 151 : 연질패드
152 : 완충패드 200,300 : 조정끈부재
220,320 : 버클 400,400' : 자석고정부
410, 410' : 고정판 420,420' : 자석체
430,430' : 요철결합부

Claims (6)

  1. 두부(頭部)를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반구형태가 되기도 하며 판체와 같이 평평하게 펼쳐질 수도 있도록 복수개의 단위패드가 모자이크와 같이 평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양쪽 끝 테두리는 톱니의 형태로 요철부 형상을 이루는 보호패드(100);
    상기 보호패드(100)의 양쪽 끝 단위패드끼리 서로 연결되어 상기 단위패드가 반구형태가 되도록 하는 양끝고정수단;
    상기 보호패드(100)가 두부에 씌워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턱을 받칠 수 있게끔 상기 보호패드(100)에 설치되는 턱끈;을 포함하되,
    상기 보호패드(100)는,
    마름모꼴형상의 복수 개의 제1단위보호판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통기공(109)이 구비된 중심보호유닛(101);
    상기 중심보호유닛(101)의 좌우 양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마름모꼴 형상의 복수 개의 제2단위보호판이 2열로 대칭되게 배열되어 있는 제1측부보호유닛(102);
    상기 제1측부보호유닛(102)의 좌우 양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제3단위보호판이 2열로 대칭되게 배열되어 있는 제2측부보호유닛(103);
    상기 제2측부보호유닛(103)의 좌우 양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제4단위보호판이 2열로 대칭되게 배열되어 있는 제3측부보호유닛(104)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보호유닛(101), 제 1, 2, 3측부보호유닛(102, 103,104)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두부를 보호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는 커버판(150);
    상기 커버판(150)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가요성을 갖는 연질패드(151); 및
    상기 연질패드(151)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충격의 완화를 위한 발포성 소재로 된 완충패드(152)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보호유닛(101), 제 1, 2, 3측부보호유닛(102, 103, 104)은 보호패드(100) 전체에 걸쳐 일체형으로 구성된 연질패드(151)로 서로 연결되어 반구형이 되며,
    상기 양끝고정수단은,
    상기 제3측부보호유닛(104)의 양쪽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끼움부(106); 및
    상기 끼움부(106)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보호패드(100)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게 하는 조정끈부재(200, 300);를 포함하되,
    상기 조정끈부재(200)와 턱끈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헬멧.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드(100)의 양끝 요철부위를 구성하는 제3측부호보유닛(104)에 구비되는 자석고정부(400,400')를 포함하되,
    상기 자석고정부(400,400')는
    고정판(410,410')과,
    상기 고정판(410,410') 상에 설치되는 자석체(420,420')
    상기 고정판(410,410')에 구비되는 요철결합부(430,430')를 포함하며,
    한쪽 자석고정부(400는 제3측부호보유닛(104)의 일측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 자석고정부(400')는 제3측부호보유닛(104) 자체에 마련되고 있으며,
    제1자석고정부(400)는 이웃하는 제2자석고정부(400')에 포개진 상태에서 자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헬멧.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00866A 2020-01-03 2020-01-03 가변형 헬멧 KR102142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866A KR102142990B1 (ko) 2020-01-03 2020-01-03 가변형 헬멧
US17/032,812 US20210204632A1 (en) 2020-01-03 2020-09-25 Variable helmet
EP20200475.0A EP3845085B1 (en) 2020-01-03 2020-10-07 Variable helmet
ES20200475T ES2962443T3 (es) 2020-01-03 2020-10-07 Casco vari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866A KR102142990B1 (ko) 2020-01-03 2020-01-03 가변형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990B1 true KR102142990B1 (ko) 2020-08-10

Family

ID=7204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866A KR102142990B1 (ko) 2020-01-03 2020-01-03 가변형 헬멧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204632A1 (ko)
EP (1) EP3845085B1 (ko)
KR (1) KR102142990B1 (ko)
ES (1) ES2962443T3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058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네이처모빌리티 가변형 헬멧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182098A1 (ko) * 2021-02-23 2022-09-01 아이투엠 주식회사 접이식 헬멧
KR102458517B1 (ko) * 2021-07-26 2022-10-25 우인덕 폴더블 헬멧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259250A1 (en) * 2021-06-08 2022-12-15 Mordehai Sholev Foldable helmet
KR20230059340A (ko) * 2021-10-26 2023-05-03 김도윤 접이식 헬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3469A1 (en) * 2017-03-29 2018-10-04 Park & Diamond Inc. Helmet
JP2023079104A (ja) * 2021-11-26 2023-06-07 Dic株式会社 安全帽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6978A (ko) 2012-03-07 2014-02-10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세라믹 콘덴서
KR20140035677A (ko) 2012-09-14 201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에 연결되는 스트로브 장치, 그리고 촬영 방법
KR20150088021A (ko) * 2014-01-23 2015-07-31 이선구 에어를 이용한 충격흡수 헬멧
KR20180049698A (ko) * 2016-11-03 2018-05-11 송문희 접이 가능한 안전모
JP2019073823A (ja) * 2017-10-16 2019-05-16 前澤化成工業株式会社 ヘルメッ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460B1 (ko) * 2013-02-14 2013-07-24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레저용 헬멧
US9693594B1 (en) * 2014-02-18 2017-07-04 Harvest Moon Inventions, LLC Protective headgear
CN108391889B (zh) * 2018-05-16 2024-04-12 晒玛实业(深圳)有限公司 可折叠式安全防护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6978A (ko) 2012-03-07 2014-02-10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세라믹 콘덴서
KR20140035677A (ko) 2012-09-14 201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에 연결되는 스트로브 장치, 그리고 촬영 방법
KR20150088021A (ko) * 2014-01-23 2015-07-31 이선구 에어를 이용한 충격흡수 헬멧
KR20180049698A (ko) * 2016-11-03 2018-05-11 송문희 접이 가능한 안전모
JP2019073823A (ja) * 2017-10-16 2019-05-16 前澤化成工業株式会社 ヘルメッ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058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네이처모빌리티 가변형 헬멧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38020B1 (ko) * 2020-11-18 2022-08-30 주식회사 네이처모빌리티 가변형 헬멧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182098A1 (ko) * 2021-02-23 2022-09-01 아이투엠 주식회사 접이식 헬멧
WO2022259250A1 (en) * 2021-06-08 2022-12-15 Mordehai Sholev Foldable helmet
KR102458517B1 (ko) * 2021-07-26 2022-10-25 우인덕 폴더블 헬멧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59340A (ko) * 2021-10-26 2023-05-03 김도윤 접이식 헬멧
KR102569647B1 (ko) * 2021-10-26 2023-08-24 김도윤 접이식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04632A1 (en) 2021-07-08
ES2962443T3 (es) 2024-03-19
EP3845085A1 (en) 2021-07-07
EP3845085B1 (en) 202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990B1 (ko) 가변형 헬멧
US2250275A (en) Protective shield support
US4821341A (en) Sun-visor and headpiece combination and package therefor
US6360376B1 (en) Protective hat
US5794272A (en) Protective helmet with improved retention system having a rear stabilizer
US3447162A (en) Safety helmet with improved stabilizing and size adjusting means
US5014365A (en) Gas-fitted protective helmet
US7673350B2 (en) Universal safety cap
US5685021A (en) Protective headgear for wrestler
US20140007324A1 (en) Soft helmet incorporating rigid panels
US11659882B2 (en) Helmet padding system
EP0638249A2 (en) Protective hat
US6546563B2 (en) Sweat-absorbing headgear
JPH026606A (ja) フルフェース型ヘルメット
US20050193477A1 (en) Protective headgear
US2739309A (en) Headgear structure
US6058516A (en) Protective headgear for wrestlers
KR100925855B1 (ko) 방탄모 및 안전모 겸용 내피
JP2010084314A (ja) 頭保護用帽子
KR20060089967A (ko) 안전모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ES2456465T3 (es) Protector de cabeza con placa de protección de sienes que no cubre las orejas
US20180279707A1 (en) Helmet padding system
JP2009120983A (ja) 乗車用および作業用ヘルメット
CN210696153U (zh) 头盔的内缓冲结构
KR101855593B1 (ko) 접이 가능한 안전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