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813B1 -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813B1
KR101945813B1 KR1020120061623A KR20120061623A KR101945813B1 KR 101945813 B1 KR101945813 B1 KR 101945813B1 KR 1020120061623 A KR1020120061623 A KR 1020120061623A KR 20120061623 A KR20120061623 A KR 20120061623A KR 101945813 B1 KR101945813 B1 KR 101945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communication method
mobil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video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7923A (ko
Inventor
황선중
홍성표
이명구
이석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1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813B1/ko
Priority to US13/840,366 priority patent/US9398344B2/en
Priority to EP13002410.2A priority patent/EP2672721B1/en
Priority to CN201310174165.6A priority patent/CN103491445B/zh
Publication of KR20130137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이동 단말기와, 동기화하는 단계와, 멀티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제1 무선 통신 방식과 다른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추출된 오디오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표시장치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 무선으로오디오 데이터를 간편하게 전송하고, 재생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이동 단말기와, 동기화하는 단계와, 멀티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제1 무선 통신 방식과 다른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추출된 오디오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에 따라,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영상표시장치와, 동기화하는 단계와, 제1 무선 통신 방식과 다른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에 따라,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동기화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며,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과 다른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추출된 오디오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과, 영상표시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부와,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에 따라,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영상표시장치와, 동기화하도록 제어하며, 제1 무선 통신 방식과 다른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에 따라, 영상표시장치는,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이동 단말기와, 동기화하고, 제1 무선 통신 방식과 다른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추출된 오디오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동기화와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오디오 무선 전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되게 된다.
특히, 제1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기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제어 데이터와 피드백 데이터 등의, 데이터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무선 통신 방식으로,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 및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기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오디오 데이터의 저지연 스트리밍과 다중 사용자 지원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이동 단말기로의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가 실행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를 청취하고자 하는 사용자만이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청취할 수 있게 되고, 오디오 데이터를 청취를 원하지 않는 사용자는 오디오 데이터를 청취하지 않을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 취향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결국,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5는 도 1의 무선 공유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도 7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또는 도 8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5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5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또는 도 16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0은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2a 내지 도 23d는 도 20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또는 도 21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 시스템(10)은, 영상표시장치(100), 이동 단말기(600), 및 네트워크 공유기(500)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를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HDMI 단자 등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네트워크 공유기(500)로부터 스트리밍(streaming)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외부 입력 신호, 또는 스트리밍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해당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고, 해당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영상표시장치(100)는,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인 경우,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로, 오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는, 이동 단말기와 직접 통신 또는 간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네트워크 공유기(50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표시 가능한 티브이(TV), 모니터,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공유기(50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의 데이터를 교환가능하도록,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공유기(500)가 무선 네트워크 공유기인 경우, 외부로부터의 동일 아이피(IP)를 사용하면서, 내부적으로 가상의 복수 아이피를 이용하여, 각각의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에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가상의 아이피에 대응하여, 무선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공유기(500)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제1 가상 아이피에 대응하여, 제1 무선 채널을 할당하고, 제1 이동 단말기(600a)에, 제2 가상 아이피에 대응하여, 제2 무선 채널을 할당하고, 제2 이동 단말기(600b)에, 제3 가상 아이피에 대응하여, 제3 무선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공유기(500)는, 각 할당된 채널을 통해, 영상표시장치(100), 이동 단말기들(600a,600b) 사이에,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공유기(500)가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추가로, 무선 데이터 통신 가능한 전자 장치가 추가되는 경우, 네트워크 공유기(5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전자 장치에 대해, 추가로, 가상 아이피, 및 무선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공유기(500)는, 영상표시장치(100), 이동 단말기들(600a,600b), 각각에, 해당하는 무선 채널의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무선 채널의, 보안 정보, 채널명 정보, 신호 세기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공유기(500)가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는, WiFi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는, 음성 통신 또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핸드폰, 스마트 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600)는,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인 경우,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60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직접 통신 또는 간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무선 전송/수신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먼저,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들(600a,600b) 사이에,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동기화를 수행한다. 즉, 이동 단말기들(600a,600b)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 제어 데이터(control data)가 전송되며,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이동 단말기들(600a,600b)로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피드백 데이터(feedback data)가 전송될 수 있다.
제어 데이터는,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의 시작 정보 또는 종료 정보, 무선 채널 설정 요청 정보, 무선 채널 변경 요청 정보, 할당된 무선 채널 정보 , 디코딩 가능 정보, 무선 채널 환경 정보 또는 재생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데이터는,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 개수 정보, 부호화 수준 정보, 부호화 방식 정보, 재생 시점 정보, 현재 시간 정보(current ti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를 위해,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양방향 통신 기반의 통신 방식으로서,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기반의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 단말기(600a)에서,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 시작 신호(start)가, TCP 패킷 데이터로서, 무선 공유기(500)를 거쳐,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를 위해, 영상표시장치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 개수 정보, 부호화 수준 정보, 부호화 방식 정보 등을, TCP 패킷 데이터로서, 무선 공유기(500)를 거쳐, 제1 이동 단말기(600a)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들(600a,600b) 사이에, 동기화가 완료된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1 무선 통신 방식과 다른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무선 공유기(500)를 거쳐, 이동 단말기들(600a,600b)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데이터의 저지연 스트리밍과 다중 사용자 지원을 위해, 제2 무선 통신 방식은, 일방향 및 멀티 캐스트 기반의 통신 방식로서,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 및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기반의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600a,600b)와 영상표시장치(100) 사이에 동기화가 완료된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재생 중인 방송 영상의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RTP/UDP 패킷을 무선 공유기(500)를 거쳐,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600a,600b)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는, 이동 단말기 내에서의 디코딩 가능 여부, 무선 채널 환경, 이동 단말기의 재생 지연 등에 따라, 적응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레오 채널의 역다중화된 오디오 신호, 모노 채널의 역다중화된 오디오 신호, 스테레오 채널의 복호화된 오디오 신호, 모노 채널의 복호화된 오디오 신호, 스테레오 채널의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 모노 채널의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 등 다양한 오디오 신호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이동 단말기들(600a,600b)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데이터 전송 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점 정보, 현재 시간 정보(current time) 등이, 이동 단말기들(600a,600b)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재생 시점 정보, 현재 시간 정보(current time) 등은,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RTP/UDP 패킷의 형태로, 무선 공유기(500)를 거쳐, 이동 단말기들(600a,600b)들로 전송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와 달리, 오디오 데이터와 별도로, TCP 패킷 데이터로서, 무선 공유기(500)를 거쳐, 이동 단말기들(600a,600b)들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달리, 네트워크 공유기(500) 없이, 영상표시장치(100), 각 이동 단말기들(600a,600b) 사이에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이때, 각 장치들 사이에는, WiFi Direct 기반의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 시스템 하에서, 오디오 무선 전송/수신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에서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영상 데이터(50)는, 계속 재생되어 표시되며,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오디오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800)는, 이동 단말기(60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에서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어폰(700)을 통해, 간편하게 청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 하에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오디오 출력부(185)는, 무음 모드(mute mode)로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의 오디오 데이터의 청취를 원하지 않는 다른 사용자들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시,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무음 모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6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3은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원격제어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구비하면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부(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유선 통신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서버(미도시)로부터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 공유기(5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공유기(500) 하의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 하에서 이동 단말기(600)와의 동기화를 위해, TCP 패킷 형태의 제어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네트워크 공유기(500)를 거쳐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TCP 패킷 형태의 피드백 데이터를, 네트워크 공유기(500)를 거쳐,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동기화 완료 후, 영상표시장치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RTP/UDP 패킷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를, 네트워크 공유기(500)를 거쳐,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복호화된 영상 등과 함께 스트림 복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3차원 영상 시청을 위해, 디스플레이(180)는,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추가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안경(glass) 등이 없이, 디스플레이(180) 단독으로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디스플레이(180) 외에 시청장치(미도시)로서 추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타입, 안경 타입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안경 타입은, 편광 안경 타입 등의 패시브(passive) 방식과, 셔터 글래스(ShutterGlass) 타입 등의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다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타입에서도 패시브 방식과 액티브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한편, 시청장치(미도시)는, 입체 영상 시청이 가능한 3D용 글래스일 수도 있다. 3D용 글래스(미도시)는, 패시브 방식의 편광 글래스 또는 액티브 방식의 셔터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헤드 마운트 타입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시청장치(미도시)는, 사용자 별로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의 시청이 가능한 글래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청장치는 제1 영상만이 시청 가능한 글래스이고, 제2 시청장치는 제2 영상만이 시청 가능한 글래스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3의 도시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오디오 처리부(315),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315)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315)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로의 오디오 데이터의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오디오 처리부(315)는, 인코더(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의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 하에서,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1) 역다중화부(310)에서 역다중화되고, 오디오 처리부(315)에서 복호화되지 않은 오디오 데이터이거나, 2) 역다중화부(310)에서 역다중화되고, 오디오 처리부(315)에서 복호화 된 후, 다시 이동 단말기(600)로의 전송을 위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이거나, 3) 역다중화부(310)에서 역다중화되고, 오디오 처리부(315)에서 복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1)의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 획득 시간이 짧으나, 아직 복호화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를 수신 받은 이동 단말기(600)에서, 해당 디코더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이를 복호화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2)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 복호화된 즉, 비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므로, 이동 단말기(600)로의 무선 전송시의 전송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부호화시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디코더를 고려하여, 부호화할 수 있으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역다중화, 복호화, 및 부호화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영상표시장치와 이동 단말기 사이의 재생 동기화가 어려울 수 있게 된다.
3)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 역다중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므로, 비압축의 오디오 데이터가 이동 단말기(600)에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600)에서는 별도의 복호화 단계 없이, 바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의 무선 전송시, 전송할 무선 데이터량이 많아져, 무선 채널 상에 넓은 주파수 대역폭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채널 환경 또는, 이동 단말기 등의 재생 지연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0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315)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3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3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무선 공유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공유기(5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 저장부(540), 및 프로세서(520)를 구비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는,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는,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시, 이동 단말기(600)와의 동기화를 위해, 이동 단말기(600)로부터의 TCP 패킷 기반의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고,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의 TCP 패킷 기반의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30)는, 동기화가 완료된 경우, 이동 단말기(600)로의 오디오 데이터 무선 전송을 위해,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의 RTP/UDP 패킷 기반의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540)는, 무선 네트워크 제공을 위한, 외부 아이피 주소, 내부적으로 할당한 가상의 아이피 주소, 그리고, 각 가상의 아이피에 대응하는, 무선 채널명, 주파수 범위, 보안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공유기(500)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장치명, 이동 단말기(600)의 장치명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520)는, 네트워크 공유기(500)이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무선 전송/수신 모드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추가로 전자 장치가 추가되는 경우, 해당 전자 장치에 대해, 추가로, 가상 아이피, 및 무선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그 외, 영상표시장치(100), 이동 단말기(600)에, 해당하는 무선 채널의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무선 채널의, 보안 정보, 채널명 정보, 신호 세기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무선 통신부(610), A/V(Audio/Video) 입력부(620), 사용자 입력부(630), 센싱부(640), 출력부(650), 메모리(660), 인터페이스부(670), 제어부(680), 및 전원 공급부(6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610)는,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 시, 영상표시장치(100)와의 동기화를 위해, TCP 패킷 기반의 제어 데이터를, 무선 공유기(500)를 거쳐,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고,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의 TCP 패킷 기반의 피드백 데이터를, 무선 공유기(500)를 거쳐,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610)는, 동기화가 완료된 경우,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의 RTP/UDP 패킷 기반의 오디오 데이터를, 무선 공유기(500)를 거쳐,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610)는, 방송수신 모듈(611), 이동통신 모듈(613), 무선 인터넷 모듈(615), NFC 모듈(617), 및 GPS 모듈(6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6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6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6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6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이동 단말기(6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WiFi 기반의 무선 통신 또는 WiFi Direct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617)은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617)은, NFC 태그 또는 NFC 모듈이 탑재된 전자장치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즉 태깅하는 경우, 해당 전자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해당 전자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 외,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6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6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621)와 마이크(6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6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6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640)는 이동 단말기(6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6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센싱부(640)는, 감지센서(641), 압력센서(643), 및 모션 센서(6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6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움직임이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각도)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650)는 디스플레이부(651), 음향출력 모듈(653), 알람부(655), 및 햅틱 모듈(6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51)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6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6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653)은 무선 통신부(6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6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6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655)는 이동 단말기(6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
햅틱 모듈(haptic module)(6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6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메모리(660)는 제어부(6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670)는 이동 단말기(6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6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6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은 제어부(6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6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재생 등에 대한 제어부(68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1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전원 공급부(690)는, 제어부(6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6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6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영상표시장치(100)는,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 진입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로 진입한다(S725). 그리고,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이동 단말기(600)와 동기화를 수행한다(S730).
영상표시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무선 공유기(500)를 거쳐,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 시작 신호(start)를 포함하는 TCP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를 위해, 제1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기반의 통신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이러한 TCP 패킷 내의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 시작 신호(start)를 수신하는 경우,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와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수신되는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 시작 신호(start)에 대응하여, 피드백 데이터로서,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 개수 정보, 부호화 수준 정보, 부호화 방식 정보 등을 TCP 패킷 형태로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개수 정보는,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이 모노 채널인지, 스테레오 채널인지, 5.1 채널인 지 등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한편, 부호화 수준 정보는, 1)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가, 역다중화부(310)에서 역다중화되고 오디오 처리부(315)에서 복호화되지 않은 오디오 데이터이거나, 2) 역다중화부(310)에서 역다중화되고, 오디오 처리부(315)에서 복호화 된 후, 다시 이동 단말기(600)로의 전송을 위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이거나, 3) 역다중화부(310)에서 역다중화되고, 오디오 처리부(315)에서 복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인지 등에 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부호화 방식 정보는, 부호화 수준 정보가,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경우에 유효한 것으로서, 부호화 방식이, AC3 부호화인지, AAC 부호화인지 등에 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가 소정 채널의 방송 영상을 멀티미디어 데이터로서, 재생하고 있는 상태에서,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 시작 신호(start)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이 AAC 부호화 방식인 경우, AAC를 부호화 방식 정보로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채널 개수가 2개인 경우, 스테레오 채널을 채널 개수 정보로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이동 단말기(600)와 동기화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동기화 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TCP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에 동기화가 완료되게 된다. 즉,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 하에서, 오디오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추출한다(S740). 그리고, 추출된 오디오 신호를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S750).
동기화 완료 후,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전송할 오디오 신호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방송 신호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 특히 역다중화부(310)는, 방송 스트림을 역다중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데이터 신호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1) 역다중화부(310)에서 역다중화되고, 오디오 처리부(315)에서 복호화되지 않은 오디오 데이터이거나, 2) 역다중화부(310)에서 역다중화되고, 오디오 처리부(315)에서 복호화 된 후, 다시 이동 단말기(600)로의 전송을 위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이거나, 3) 역다중화부(310)에서 역다중화되고, 오디오 처리부(315)에서 복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를, 일방향 멀티캐스팅이 가능한 RTP/UDP 패킷 형태로,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의 저지연 스트리밍과 다중 사용자 지원을 위해, 제2 무선 통신 방식으로,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 및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기반의 통신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한다(S760). 특히,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된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데이터 신호 중 비디오 신호를 복호화하고,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의 오디오 출력부(185)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무음 모드(mute mode)로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의 오디오 데이터의 청취를 원하지 않는 다른 사용자들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시,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기(600)는,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원격제어모드로 진입한다(S805). 그리고 원격제어화면을 표시한다(S810). 그리고, 원격제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 시작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815), 해당하는 경우,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로 진입한다(S816). 그리고, 오디오 무선 수신 화면을 표시하며(S818),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영상표시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한다(S820).
이동 단말기(600)의 원격제어 메뉴 항목, 또는 원격제어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실행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영상표시장치(100)에 대한 원격제어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도 13(a)와 같은 원격제어화면(1310)이 디스플레이부(65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a)의 원격제어화면(1310)은, 음소거 항목(Mute), 채널 조정 항목, 볼륨 조절 항목,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 항목(WiFi Sound)(1315) 등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 중 사용자가,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 항목(WiFi Sound)(1315)을 선택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가 선택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를 나타내는 오디오 무선 수신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b)는, 오디오 무선 수신 화면으로서,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를 나타내는 WiFi Sound 화면(1330)이, 디스플레이부(65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b)의 WiFi Sound 화면(1330)은,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WiFi Sound라 표시됨)(1332), 채널 조정 항목(1334), 볼륨 조정 항목(1336)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원격제어화면(1310) 내의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 항목(WiFi Sound)(1315)이 선택되는 경우, 도 13(b)와 같이, WiFi Sound 화면(1330)이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별도로,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 시작 신호(start)를 포함하는 TCP 패킷을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장치(100)와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는,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로 진입하여, 이동 단말기와 동기화를 수행한다. 즉, 영상표시장치(100)는, 피드백 데이터로서,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 개수 정보, 부호화 수준 정보, 부호화 방식 정보 등을 TCP 패킷 형태로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무선 통신부(610)를 거쳐, 이러한 채널 개수 정보, 부호화 수준 정보, 부호화 방식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동기화가 완료된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와 동기화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동기화 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TCP 패킷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는,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S850). 동기화 완료 이후, 영상표시장치(100)는, 오디오 데이터를 RTP/UDP 패킷 형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의 오디오 데이터는, 1) 복호화되지 않은 오디오 데이터이거나, 2)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이거나, 3) 역다중화 및 복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S865). 특히,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상술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고,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음향 출력 모듈(653)을 통해 출력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의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영상을 시청하면서, 이동 단말기(6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과 달리, 이동 단말기(600)에 원격제어화면이 표시되지 않아도, 바로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로 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에서,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를 나타내는 핫 키(hot key)가 동작하거나,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 앱(app)이 실행되는 경우, 바로,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로 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핫 키 동작 또는 앱의 실행에 의해, 원격제어화면 표시 없이, 이동 단말기(600)에, 도 13(b)와 같은, WiFi Sound 화면(1330)이 바로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9의 영상표시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는, 도 7 및 도 8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제905 단계 내지 제918 단계(S905,S910,S915,S916,S918)는, 도 8의 제805 단계 내지 제818 단계(S805,S810,S815,S816,S818)에 대응하며, 제922 단계 내지 제928 단계는(S922,S924,S926,S928), 도 8의 제830 단계(S830)와 도 7의 제730 단계(S730)에 대응한다.
그리고, 제940 단계(S940)는, 도 7의 제740 단계(S740)에 대응하며, 제942 단계 내지 제944 단계(S942,S944)는, 도 7의 제750 단계(S750)와 도 8의 제850 단계(S850)에 대응한다.
한편, 제960 단계(S960)는, 도 7의 제760 단계(S760)에 대응하며, 제965 단계(S965)는, 도 8의 제865 단계(S865)에 대응한다.
도 10은 영상표시장치와 이동 단말기 사이의 TCP 패킷 데이터 교환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TCP 송신부(1125)를 통해, 제어 데이터(control data)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데이터는,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의 시작 정보 또는 종료 정보, 무선 채널 설정 요청 정보, 무선 채널 변경 요청 정보, 할당된 무선 채널 정보, 디코딩 가능 정보, 무선 채널 환경 정보 또는 재생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데이터 중, 동기화 과정 중에서,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의 시작 정보, 무선 채널 설정 요청 정보, 할당된 무선 채널 정보, 디코딩 가능 정보, 등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어 데이터 중, 오디오 데이터 수신 과정 중에서,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의 종료 정보, 무선 채널 변경 요청 정보, 무선 채널 환경 정보 또는 재생 지연 정보 등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TCP 수신부(1025)를 통해,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TCP 송신부(1020)를 통해, 피드백 데이터(feedback data)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피드백 데이터는,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 개수 정보, 부호화 수준 정보, 부호화 방식 정보, 재생 시점 정보, 현재 시간 정보(current ti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데이터 중, 동기화 과정 중에서,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 개수 정보, 부호화 수준 정보, 부호화 방식 정보 등이,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어 데이터 중, 오디오 데이터 송신 과정 중에서,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점 정보 등이,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동기화부(101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마련되어, 현재 시간 정보(current time)가 피드백 데이터와 별도로, TCP 송신부(102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동기화부(1110)가 제어부(680)와 별도로 마련되어, TCP 수신부(1120)를 통해, 피드백 데이터와 함께 수신되는 것을 예시한다.
물론, 이와 달리, 현재 시간 정보(current time)가 피드백 데이터 내에 구비되어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TCP 수신부(1025), TCP 송신부(1020)는, 도 3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600)의 TCP 수신부(1120), TCP 송신부(1125)는, 도 6의 무선 통신부(6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영상표시장치와 이동 단말기 사이의 RTP/UDP 패킷 데이터 교환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며, 도 12는, RTP/UDP 패킷 데이터의 구조를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영상표시장치(100)는, 튜너부(11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스트림 데이터인 경우, 역다중화부(310)는, 스트림 데이터를 역다중화하고, 디코더(1030)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며, 인코더(1040)는, 복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이때의 역다중화부(310), 디코더(1030), 인코더(1040)는, 제어부(170) 내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 가능한 오디오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①의 역다중화부(310)에서 역다중화되고, 디코더(1030)에서 복호화되지 않은 오디오 데이터이거나, ②의 역다중화부(310)에서 역다중화되고, 디코더(1030)에서 복호화 된 후, 다시 인코더(1040)에서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이거나, ③의 역다중화부(310)에서 역다중화되고, 디코더(1030)에서 복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도 12와 같이,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121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RTP 송신부(1045)에서 RTP 패킷(1220)이 추가되고, UDP 송신부(1050)에서 UDP 패킷(1230)이 패킷이 추가되어, IP 패킷(1240)으로서,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UDP 수신부(1150)는 UDP 패킷(1230)을 분리하고, RTP 수신부(1145)는 RTP 패킷(1220)을 분리하여, 오디오 데이터(1210)를 인코더(1130) 또는 음향출력모듈(653)(더 정확히는 오디오 재생 버퍼)에 공급한다.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① 또는 ②의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부호화된 상태이므로, 디코더(1130)에서 복호화된 후, 음향 출력 모듈(653)로 제공된다.
다른 예로,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③인 경우, 복호화된 상태이므로, 별도의 복호화가 필요 없어, 바로, 음향 출력 모듈(653)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RTP 송신부(1045), UDP 송신부(1050)는, 도 3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600)의 UDP 수신부(1150), RTP 수신부(1145)는, 도 6의 무선 통신부(6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도 13과 유사하게,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내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3과 달리, 도 14(a)의 원격제어화면(1310) 중 'TV Sharing" 항목(1305)이 선택되는 경우, 도 14(b)와 같이, TV Sharing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TV Sharing 화면이, WiFi Sound 항목(1322), second TV 항목(1324), Cloud TV 항목(1326) 등의 원격제어 가능한 항목들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 중 WiFi Sound 항목(1322)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WiFi Sound 화면(133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WiFi Sound 화면(1330)과 별도로,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 시작 신호(start)를 포함하는 TCP 패킷을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장치(100)와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 진입 신호를 수신한다(S1510). 도 7의 제710 단계(S7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는,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 시작 신호(start)를 포함하는 TCP 패킷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TCP 수신부(1025)는, TCP 패킷을 분리하여,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 시작 신호(start)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S1520). 예를 들어, TCP 수신부(1020)는,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 개수 정보, 부호화 수준 정보, 부호화 방식 정보 등을 포함하는 TCP 패킷을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디코딩 가능 정보를 수신한다(S1530). 그리고, 디코딩 가능 정보에 대응하는 부호화 수준의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1540).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 관련 정보 중 특히, 부호화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600) 내에서 수신될 오디오 데이터가 복호화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디코딩 가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디코딩 가능 정보는 플래그(flag) 형태로서, '1"의 경우 디코딩 가능을 나타내고, '0'의 경우 디코딩 불가능을 나타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TCP 수신부(1020)를 통해, 디코딩 가능 정보를 수신하고, 디코딩 가능 경우, 전송하려고 한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코딩 가능 정보가 디코딩 불가능을 나타내는 경우, 전송하려고 한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을 변경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송하려고 한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이, AAC 부호화 방식이며, 이러한 부호화 방식을 이동 단말기(600)가 디코딩할 수 없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이러한 디코딩 불가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는, 전송할 오디오 부호화 방식을, AC3 부호화 방식으로 변경하고, 이러한 정보를 다시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가, AC3 부호화 방식을 디코딩할 수 있는 경우, 디코딩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는, AC3 부호화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화 방식의 변경은,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의 소스를 변경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를, 도 11의 ①의 오디오 데이터에서, 도 11의 ③의 오디오 데이터를 변경함으로써, 부호화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①의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이, AAC 부호화 방식이고, 인코더(1040)의 부호화 방식이, AC3의 부호화 방식인 경우,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를, ①의 오디오 데이터에서, 도 11의 ③의 오디오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다음, 영상표시장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한다(S1550). 특히,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된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데이터 신호 중 비디오 신호를 복호화하고,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의 오디오 출력부(185)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5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또는 도 16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 진입 신호를 송신한다(S1610).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관련 정보룰 수신한다(S1620). 제1610 단계(S1610)는 도 17의 제1710 단계(S1710)에 대응하며, 제1620 단계(S1620) 단계는, 도 17의 제1720 단계(S1720)에 대응한다.
이동 단말기(600)의 TCP 송신부(1125)는,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 시작 신호(start)를 포함하는 TCP 패킷 데이터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9(a)는,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 시작 신호(SWi_s)가, 이동 단말기(600)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TCP 수신부(1025)는,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 시작 신호(start)를 포함하는 TCP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TCP 패킷 분리하여,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 시작 신호(start)를, 재생 관리부(107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재생 관리부(1070)는, 수신되는 오디오 무선 수신 모드 시작 신호(start)를, 영상표시장치(100) 기준으로,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 시작 신호(start)로 판단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재생 관리부(1070)는,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 관련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TCP 송신부(1020)는,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 개수 정보, 부호화 수준 정보, 부호화 방식 정보 등을 포함하는 TCP 패킷을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9(b)는,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 관련 정보(Inf_aud)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의 TCP 수신부(1120)는, 오디오 데이터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TCP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TCP 패킷 분리하여,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 개수 정보, 부호화 수준 정보, 부호화 방식 정보 등, 재생 관리부(117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디코딩 가능 정보를 송신한다(S1630).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디코딩 가능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S1640). 그리고,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S1650). 제1630 단계(S1630)는 도 17의 제1730 단계(S1730)에 대응하며, 제1640 단계(S1640) 단계는, 도 17의 제1740 단계(S1740)에 대응하고, 제1650 단계(S1650) 단계는, 도 17의 제1750 단계(S1750)에 대응한다.
이동 단말기(600)의 재생 관리부(1170)는, 수신되는 부호화 방식 정보 등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디코더(1130)에서 수신될 오디오 데이터의 복호화가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의 재생 관리부(1170)는, 디코딩 가능한 지 또는 불가능한 지 여부를 나타내는 디코딩 가능 정보를, TCP 송신부(1125)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9(c)는, 디코딩 가능 정보(Inf_able)가, 이동 단말기(600)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100)의 TCP 수신부(1025)는, 디코딩 가능 정보를 포함하는 TCP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TCP 패킷 분리하여, 디코딩 가능 정보를, 재생 관리부(1070)로 전달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재생 관리부(1070)는, 수신되는 디코딩 가능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되는 디코딩 가능 정보에 대응하여,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의 소스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를, 도 11의 ①의 오디오 데이터에서, 도 11의 ③의 오디오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가, AC3 부호화 방식을 디코딩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①의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이, AAC 부호화 방식이고, 인코더(1040)의 부호화 방식이, AC3의 부호화 방식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재생 관리부(1070)는,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를, ①의 오디오 데이터에서, 도 11의 ③의 오디오 데이터를 변경하도록, 변환부(1085)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RTP 송신부(1045), 및 UDP 송신부(1050)는,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에, 각각 RTP 패킷과, UDP 패킷이 부가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재생 관리부(1070)는,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점 정보, 현재 시간 정보(current time)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동기화부(10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재생 시점 정보, 현재 시간 정보(current time)는, 동기화부(1080)에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TCP 송신부(1020)는, 재생 시점 정보, 현재 시간 정보(current time) 등을 포함하는 TCP 패킷을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9(d)는, 오디오 데이터(Audio_1,2,or 3) 및 재생 시점 정보(Inf_pt) 등이,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UDP 수신부(1150)와 RTP 수신부(1145)는, 각각 UDP 패킷과 RTP 패킷을 분리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버퍼(119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의 재생 관리부(1170)는,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① 또는 ②의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부호화된 상태이므로, 디코더(1130)에서 복호화된 후, 음향 출력 모듈(653)로 제공된다.
다른 예로,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③인 경우, 복호화된 상태이므로, 별도의 복호화가 필요 없어, 바로, 음향 출력 모듈(653)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8의 역다중화부(310), 디코더(1030), 인코더(1040), 재생 관리부(107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중, 재생 관리부(1070)는, 도 4의 프로세서(330)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18의 TCP 송신부(1020), TCP 수신부(1025), UDP 송신부(1050) RTP 송신부(1045)는, 도 3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버퍼(1090)는, 저장부(140)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도 18의 이동 단말기(600)의 재생 관리부(1170)는,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8의 TCP 송신부(1125), TCP 수신부(1120), UDP 수신부(1150) RTP 수신부(1145)는, 도 6의 무선 통신부(6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버퍼(1190)는, 메모리(660)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도 18에서는, RTP 수신부(1145)에서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가, 버퍼(1130)를 거쳐, 디코더(1130) 또는 음향 출력 모듈(653)로 출력되는 것을 도시하나, 이와 달리, RTP 수신부(1145)에서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가,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인 경우, 디코더(1130)를 거친 후, 복호화된 오디오 신호가 버퍼(1130)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버퍼(113)의 위치가, 음향 출력 모듈(653)과 디코더(11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0은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며, 도 22a 내지 도 23d는 도 20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또는 도 21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한다(S2005).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S2105).
영상표시장치(100)의 RTP 송신부(1045)와 UDP 송신부(1050)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RTP/UDP 패킷을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UDP 수신부(1150)와 RTP 수신부(1145)는, 각각 UDP 패킷과 RTP 패킷을 분리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버퍼(119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22a는, 채널이 스테레오 채널이며, 부호화 수준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인, 제1 오디오 데이터(Audio_a)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 외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점 정보, 현재 시간 정보(current time)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할 수 있다. 이러한 재생 시점 정보, 현재 시간 정보(current time)는, 동기화부(1080)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TCP 송신부(1020)는, 재생 시점 정보, 현재 시간 정보(current time) 등을 포함하는 TCP 패킷을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TCP 수신부(1120)는, 재생 시점 정보, 현재 시간 정보(current time) 등을 포함하는 TCP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TCP 패킷 분리하여, 재생 시점 정보, 현재 시간 정보(current time) 등을 재생 관리부(117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재생 관리부(1170)는, 재생 지연 정보를 연산한다(S2107). 이동 단말기(600)의 재생 관리부(1170)는,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시점 정보, 현재 시간 정보(current time), 그리고, 동기화부(1180)로부터의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지연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한다(S2010). 이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S2110).
영상표시장치(100)의 재생 관리부(107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디코더(1030)에서 복호화된 비디오 데이터를 버퍼(1090)로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버퍼(1090)의 버퍼링을 제어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비디오 재생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버퍼(1090)는, 설정된 버퍼링값에 따라,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80)로 출력한다. 한편, 도 22a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버퍼(1090)의 버퍼링값이 2ms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재생 관리부(1170)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도 22a에서, 제1 오디오 데이터(Audio_a)가 수신되었으므로, 재생 관리부(1170)는, 버퍼(1190)에 일시 저장된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더(1130)로 제공하고, 디코더(1130)에서 복호화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복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음향 출력 모듈(653)으로 제공하여,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재생 관리부(1170)는, 제2107 단계에서, 연산한 재생 지연 정보가 소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2113), 해당하는 경우, 재생 지연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S2120). 이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는, 재생 지연 정보를 수신한다(S2020).
연산한 재생 지연 정보는, TCP 송신부(1125)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TCP 수신부(1025)는, 재생 지연 정보를 재생 관리부(107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 영상표시장치(10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재생 지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 개수를 변경한다(S2025). 그리고, 채널 개수 변경된 오디오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한다(S2030). 이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600)는, 채널 개수 변경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22b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재생 지연 정보(Inf_d1)를 수신하는 경우, 채널이 모노 채널이며, 부호화 방식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인, 제2 오디오 데이터(Audio_b)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채널 개수가 2채널에서 1채널로 변경된 오디오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채널 개수의 변경은, 영상표시장치(100)의 변환부(1085)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의 버퍼(1190)는, 채널 개수 변경된 오디오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재생 관리부(1170)는, 다시 채널 개수 변경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재생 지연 정보를 연산한다(S2127). 이동 단말기(600)의 재생 관리부(1170)는,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시점 정보, 현재 시간 정보(current time), 그리고, 동기화부(1180)로부터의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지연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재생 관리부(1170)는, 채널 개수 변경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채널 개수가 스테레오 채널에서 모노 채널로 변경되었으므로, 오디오 재생 시간이 일부 단축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동기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재생 관리부(1170)는, 제2127 단계(S2127)에서, 연산한 재생 지연 정보가 소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2133), 해당하는 경우, 재생 지연 정보를 추가로, 영상표시장치(1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S2135). 이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는, 재생 지연 정보를 수신한다(S2035).
다음, 영상표시장치(100)가 재생 지연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는 경우, 일예로, 제2040 단계(S2040) 이하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영상표시장치(10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지연한다(S2040). 그리고, 재생 지연 정보가 추가로 수신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2045), 추가로 더 재생 지연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부호화 수준 가변된 오디오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한다(S2050).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한다(S2070).
도 22c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재생 지연 정보(Inf_d2)를 추가로 수신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에서의 재생 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을 예시한다.
즉, 도 22c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버퍼(1090)의 버퍼링값이 2ms에서 10ms로 변경된 것을 예시한다. 이와 같이 버퍼링값이 증가함에 따라, 버퍼(1090)에서 디스플레이(180)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출력 시간이 지연되므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시간이 지연되게 된다. 이러한, 버퍼링값 증가량은, 수신되는 재생 지연 정보(Inf_d2)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지연시키므로,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이동 단말기(600)로, 채널이 모노 채널이며, 부호화 방식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인, 제2 오디오 데이터(Audio_b)가, 그대로 계속 전송될 수 있다.
도 22d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재생 지연 정보(Inf_d3)를 추가로 또 수신하는 경우, 채널이 모노 채널이며, 부호화 방식이, 복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인, 제3 오디오 데이터(Audio_c)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부호화 수준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에서, 복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로 변경된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부호화 수준의 변경은, 영상표시장치(100)의 변환부(1085)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변환부(1085)는, 역다중화부(310)에서 역다중화된 ①의 오디오 데이터, 또는 인코더(1040)에서 부호화된 ②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다가, 디코더(1030)에서 복호화된 ③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의 버퍼(1190)는,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며, 이동 단말기(600)의 재생 관리부(1170)는, 별도의 디코더(1130)를 거치지 않고, 오디오 데이터를 바로 음향 출력 모듈(653)로 제공하여, 오디오 데이터가 음향 출력되도록 한다.
다음, 제2035 단계(S2035)에서, 재생 지연 정보가 추가로 수신되는 경우, 다른 예로, 제2055 단계(S2055) 이하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영상표시장치(100)는, 부호화 수준 가변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600)는, 부호화 수준 가변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S2155).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는 재생 지연 정보가 추가로 또 수신되는 경우(S2060),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지연시킨다(S2065). 그리고, 영싱표시장치(10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한다(S2070). 이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600)는, 부호화 수준 가변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S2155), 그리고,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S2170).
제2055 단계 내지 제2065 단계(S2055,S2060,S2065)는, 제2040 단계 내지 제2050 단계(S2040,S2045,S2050)에 대응하나, 오디오 채널 개수 변경 이후, 부호화 수준 가변을 한 후, 영상표시장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지연시키는 점에 그 차이가 있다.
한편, 상술한, 제2040 단계 내지 제2050 단계(S2040,S2045,S2050)는, 제2055 단계 내지 제2065 단계(S2055,S2060,S2065)와, 서로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040 단계 내지 제2050 단계(S2040,S2045,S2050)가 수행되는 경우, 제2055 단계 내지 제2065 단계(S2055,S2060,S2065)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제2055 단계 내지 제2065 단계(S2055,S2060,S2065)가 수행되는 경우, 제2040 단계 내지 제2050 단계(S2040,S2045,S2050)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3a는 도 22a와 동일하게, 채널이 스테레오 채널이며, 부호화 방식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인, 제1 오디오 데이터(Audio_1)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23b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재생 지연 정보(Inf_d1)를 수신하는 경우, 채널이 모노 채널이며, 부호화 방식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인, 제2 오디오 데이터(Audio_2)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채널 개수가 2채널에서 1채널로 변경된 오디오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23c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재생 지연 정보(Inf_d2)를 추가로 수신하는 경우, 채널이 모노 채널이며, 부호화 방식이, 복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인, 제3 오디오 데이터(Audio_3)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부호화 수준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에서, 복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로 변경된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23d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재생 지연 정보(Inf_d3)를 추가로 또 수신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에서의 재생 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을 예시한다.
즉, 도 23d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버퍼(1090)의 버퍼링값이 2ms에서 10ms로 변경된 것을 예시한다. 이와 같이 버퍼링값이 증가함에 따라, 버퍼(1090)에서 디스플레이(180)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출력 시간이 지연되므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시간이 지연되게 된다. 이러한, 버퍼링값 증가량은, 수신되는 재생 지연 정보(Inf_d3)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0 이하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이,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에서 직접 교환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공유기(50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또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1)

  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방송 신호에 기초하여, 방송 영상을 표시하고, 방송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이동 단말기와,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과 다른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추출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시, 상기 방송 영상을 표시하면서, 상기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피드백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양방향 통신 기반의 통신 방식이며, 상기 제2 무선 통신 방식은, 일방향 통신 기반의 통신 방식이며, 멀티 캐스트 기반의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의 시작 정보 또는 종료 정보, 무선 채널 설정 요청 정보, 무선 채널 변경 요청 정보, 할당된 무선 채널 정보, 디코딩 가능 정보, 무선 채널 환경 정보 또는 재생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전송할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 개수 정보, 부호화 수준 정보, 부호화 방식 정보, 재생 시점 정보, 현재 시간 정보(current ti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전송 중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점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기반의 통신 방식이며, 상기 제2 무선 통신 방식은,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 및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기반의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9.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원격제어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원격제어모드에 따른 원격제어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원격제어화면 내의,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 항목의 선택에 기초하여,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에 따라,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영상표시장치와,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과 다른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양방향 통신 기반의 통신 방식이며, 상기 제2 무선 통신 방식은, 일방향 통신 기반의 통신 방식이며, 멀티 캐스트 기반의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수신 중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점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수신된 방송 신호에 기초하여,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에 기초하여, 방송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동기화하고,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며,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과 다른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추출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시, 상기 방송 영상을 표시하면서, 상기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동기화를 위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피드백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양방향 통신 기반의 통신 방식이며, 상기 제2 무선 통신 방식은, 일방향 통신 기반의 통신 방식이며, 멀티 캐스트 기반의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 전송 중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점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8.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원격제어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원격제어모드에 따른 원격제어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
    영상표시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원격제어화면 내의,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 항목의 선택에 기초하여,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에 따라,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영상표시장치와, 동기화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과 다른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동기화를 위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양방향 통신 기반의 통신 방식이며, 상기 제2 무선 통신 방식은, 일방향 통신 기반의 통신 방식이며, 멀티 캐스트 기반의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 수신 중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점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원격제어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원격제어모드에 따른 원격제어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가, 상기 원격제어화면 내의, 오디오 무선 전송 모드 항목의 선택에 기초하여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20061623A 2012-06-08 2012-06-08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945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623A KR101945813B1 (ko) 2012-06-08 2012-06-08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13/840,366 US9398344B2 (en) 2012-06-08 2013-03-15 Image display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13002410.2A EP2672721B1 (en) 2012-06-08 2013-05-06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201310174165.6A CN103491445B (zh) 2012-06-08 2013-05-13 图像显示装置、移动终端以及操作它们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623A KR101945813B1 (ko) 2012-06-08 2012-06-08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923A KR20130137923A (ko) 2013-12-18
KR101945813B1 true KR101945813B1 (ko) 2019-02-08

Family

ID=4998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623A KR101945813B1 (ko) 2012-06-08 2012-06-08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8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6765A1 (ko) * 2020-06-02 2021-1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레코딩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395B1 (ko) * 2014-02-17 2021-07-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 셋톱박스 및 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
KR101628330B1 (ko) * 2015-03-18 2016-06-08 김상진 음원 재생 동기화 장치
KR20170097546A (ko) * 2016-02-18 2017-08-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종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59166B1 (ko) * 2017-10-16 2022-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EP4181516A4 (en) * 2020-10-16 2023-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WIRELESS AUDIO OUTPUT DEVICE
KR20220050610A (ko) * 2020-10-16 2022-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제어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99594A1 (en) * 2010-10-22 2012-04-26 Phorus Llc Media distribution archite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99594A1 (en) * 2010-10-22 2012-04-26 Phorus Llc Media distribution archite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6765A1 (ko) * 2020-06-02 2021-1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레코딩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923A (ko)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81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EP2672721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945813B1 (ko)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EP3226126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N107071532B (zh) 图像显示装置
KR10178806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KR102403338B1 (ko) 이동 단말기
CN108738374B (zh) 图像显示装置
JP5284494B2 (ja) 携帯端末とテレビジョン装置による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テレビジョン装置、携帯端末の通信方法、携帯端末の動作プログラム
JP2013141179A (ja) 携帯端末とテレビジョン装置による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テレビジョン装置、携帯端末のアドレス送信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25009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트 출력 제어방법
KR102287510B1 (ko) 서버, 영상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3002171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5296229B2 (ja) 携帯端末とテレビジョン装置による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テレビジョン装置、携帯端末の通信方法、携帯端末の動作プログラム
KR101877391B1 (ko) 미디어 카드, 미디어 장치, 컨텐츠 서버 및 그 동작방법
KR102444150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60018097A (ko) 영상제공장치,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KR101979270B1 (ko)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JP2013143154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920640B1 (ko) 화상회의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7183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83544A (ko) 영상표시장치, 영상전송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26235A (ko) 영상표시장치, 미디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71624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60041241A (ko)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