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174B1 - Ptt 통신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Ptt 통신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174B1
KR101945174B1 KR1020170015863A KR20170015863A KR101945174B1 KR 101945174 B1 KR101945174 B1 KR 101945174B1 KR 1020170015863 A KR1020170015863 A KR 1020170015863A KR 20170015863 A KR20170015863 A KR 20170015863A KR 101945174 B1 KR101945174 B1 KR 101945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t
mobile terminal
voice
voice data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0699A (ko
Inventor
하복수
박형근
박인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5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17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0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04L65/6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PTT 통신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PTT 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음성통화/미디어 재생과 무관하게 PTT 통신 서비스 제공을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PTT 통신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Program Stored in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Automatic Response Service}
본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PTT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PTT(Push To Talk) 통신 서비스는 워키토키형(Walkie-Talkie Type) 무전기에서 사용되는 통화 방식으로, 일대일 또는 일대다 형식으로 통화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PTT 서비스는 동시에 다수 개의 단말기들을 호출하는 그룹 콜(Group call)에 이용될 수도 있다.
최근에는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실행되는 PTT 프로그램 및 모바일 단말기와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된 핸즈프리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와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하는 IP기반의 PTT(이하, IP-PTT) 통신 서비스도 개발되었으며, 블루투스 통신 규격의 HFP(Hands-free Profile) 또는 HSP(Headset Profile)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와 핸즈프리 장치간 무전 음성 스트리밍을 구현한다. 다만, HFP 또는 HSP와 같은 블루투스 프로파일에는 모바일 단말기의 오디오 프레임워크(Audio Framework)가 적용되기 때문에 PTT 서비스의 오디오보다 음성통화 서비스/미디어 재생 서비스의 오디오가 우선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무전 중이라 하더라도 전화가 오거나 미디어가 재생되면 무전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은 중단되고 음성통화 데이터 또는 재생 중인 미디어가 핸즈프리 장치로 출력된다. 즉, 종래의 IP-PTT 통신 서비스에 따르면, 음성통화/미디어 재생과 무전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PTT 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음성통화/미디어 재생과 무관하게 PTT 통신 서비스 제공을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내장된 PTT(Push To Talk) 애플리케이션이 외부 단말기 또는 PTT 통신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1 음성 패킷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제1 음성데이터를 생성한 후, 모바일 단말기의 운영 체제(OS)에 탑재된 기본 오디오 프레임워크(Audio Framework)와는 독립적인 PTT 프로파일로 제1 음성데이터를 전달하는 과정, 및 PTT 프로파일이 PTT 서비스를 위해 정의된 규격으로 제1 음성데이터를 변환하여 PTT 지원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PTT 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음성통화/미디어 재생과 무관하게 PTT 통신 서비스 제공을 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PTT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음성데이터(즉, 무전데이터) 처리 경로와 기타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의 처리 경로를 분기함으로써, PTT 통신 서비스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PTT 통신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및 PTT 지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PTT 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음성통화/미디어 재생과 무관하게 PTT 통신 서비스 제공을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PTT 통신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PTT 통신 시스템(100)은 모바일 단말기(110), 통신 네트워크(120), PTT 통신 서버(130),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기(140) 및 PTT 지원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단말기(140)는 모바일 단말기(110)와 동일한 PTT 통신 그룹에 속하여 모바일 단말기(110)와 PTT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모바일 단말기(110)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PT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120) 및 PTT 통신 서버(13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기(140)와 PTT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PTT 프로그램은 PT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실행되는 PTT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단말기(110)와 PTT 지원장치(150) 간의 통신 규약을 정의하는 PTT 전용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외부 단말기(140)로 입력된 음성데이터는 통신 네트워크(12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10)로 전송되고, 모바일 단말기(110)는 수신한 음성데이터를 연결상태에 있는 PTT 지원장치(150)로 전달하여 PTT 지원장치(150)의 스피커 등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외부 단말기(140)로 입력된 음성데이터는 PTT 통신 서버(130)를 거쳐 모바일 단말기(110)로 전송될 수도 있다.
반대로 모바일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PTT 지원장치(150)에 구비된 버튼 등의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이용하여 발언권을 획득한 후, 음성데이터를 입력하여 통신 네트워크(120) 및 PTT 통신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기(140)로 입력한 음성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10) 및 외부 단말기(140)는 통신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이다. 예컨대,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PTT 통신 서버(130)는 서버에 접속된 단말기들로 구성된 PTT 통신 그룹 내의 채널을 관리하고 접속 단말기들에 발언권을 부여하는 등 PTT 통신 기능을 지원한다.
PTT 지원장치(150)는 모바일 단말기(110)와 연결되어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PTT 지원장치(150)는 발언권을 획득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110)로 전송하고, 외부 단말기(140)에서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 전달받아 출력할 수 있다. PTT 지원장치(150)는 예컨대, 이어폰, 헤드셋, 스마트 손목시계 및 스마트 안경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기기일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기(110) 및 PTT 지원장치(15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10) 및 PTT 지원장치(15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Configuratio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여러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10)는 통신부(210), 사용자 입력부(212), 출력부(214), 프로세서(216), 메모리(218) 및 전원공급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연결된 PTT 지원장치(15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140) 또는 PTT 통신 서버(13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i)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 (ii) 무선 랜 모듈 등의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iii)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등의 유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 모듈은 모바일 단말기(110)와 PTT 지원장치(150) 사이에서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및 지그비(Zigbe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무선 통신 모듈에는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커넥터는 USB 2.0, USB 3.0, HDMI, IEEE 1394 등 다양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커넥터는 프로세서(216)의 제어 명령에 따라 커넥터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PTT 지원장치(150)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12)는 모바일 단말기(1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12)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마이크로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14)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 음향 출력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18)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모바일 단말기(11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16)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메모리(218)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모바일 단말기(110)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프로세서(216)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6)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8)는 모바일 단말기(110)의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로서, 프로세서(216)와 연결되어 프로세서(216)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220), 일반 파일 및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18)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 SD 또는 XD 메모리 등),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10)는 인터넷 상에서 메모리(218)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220)은 브라우저, 주소록(Address Book) 관리, 접촉 리스트, 이메일, 즉석 메시지,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위젯(Widget), JAVA 인에이블 애플리케이션, 부호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음성 인식,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GPS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과 같은), 음악 플레이어 기능을 제한없이 포함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220)의 탑재 형태는 임베디드(Embedded) 형태는 물론,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110) 내의 OS에 인스톨되는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220)은 PTT 지원장치(150)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기(140)와 PTT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PTT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PTT 애플리케이션이 수행하는 구체적인 기능은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전원공급부(222)는 프로세서(216)의 제어 하에 외부 전원, 내부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주는 모듈이다.
한편, PTT 지원장치(150)는 사용자 입력부(230), 출력부(232), 프로세서(234), 통신부(236) 및 전원공급부(23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PTT 지원장치(15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12)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마이크로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발언권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발언권 요청 신호의 전송으로 발언권을 획득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통해 음성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된 음성데이터는 모바일 단말기(110)로 전송된다. 여기서, 입력된 음성데이터는 발언권 요청 신호가 지속되는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110)로 전송되고, 발언권 요청 신호가 중단되면 모바일 단말기(110)로의 전송 역시 중단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30)가 버튼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발언권 요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버튼을 누른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발언권 요청 신호를 지속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발언권 요청 신호는 버튼의 눌림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중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발언권 요청 신호는 버튼이 눌린 때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언권 요청 신호는 버튼이 눌린 때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중단될 수 있다.
출력부(232)는 모바일 단말기(110)가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기(140) 또는 PTT 통신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음성데이터를 전달받아 출력한다. 출력부(232)의 구체적인 예시는 전술한 모바일 단말기(110)의 출력부(214)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세서(234)는 PTT 지원장치(1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4)는 모바일 단말기(110)와의 음성데이터 송수신 및 PTT 지원장치(150) 내의 음성데이터 처리를 제어한다. 프로세서(234)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34)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6)는 모바일 단말기(110)와 연결절차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236)는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및 커넥터(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부(236)는 근거리 통신 모듈(예: 블루투스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238)는 프로세서(234)의 제어 하에 외부 전원, 내부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주는 모듈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110), PTT 지원장치(150), 모바일 단말기(110) 내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PTT 애플리케이션(310), 및 PTT 프로파일(320)을 이용하여 PTT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바일 단말기(110)의 메모리(218)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220)은 PTT 애플리케이션(310)과 기타 애플리케이션(3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PTT 애플리케이션(310)에 의해 처리되는 음성데이터(즉, 무전 데이터)의 경로와 기타 애플리케이션(330)에 의해 처리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경로는 서로 분리된다. PTT 애플리케이션(310)에 의해 처리되는 음성데이터는 PTT 통신 서비스를 위한 전용 프로파일인 PTT 프로파일(320)을 통해 PTT 지원장치(150)로 송신되고 PTT 지원장치(150)로부터 수신된다. PTT 애플리케이션(310)을 제외한 기타 애플리케이션(330, 오디오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기(110) 자체의 오디오 프레임워크(340)의 적용을 받는다.
기타 애플리케이션(330)의 예로는, 음성통화 기능, 음악 플레이어 기능 등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TT 통신 기능을 제외한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10)가 PTT 통신 시스템(100) 내의 외부 단말기(140) 또는 PTT 통신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음성 패킷스트림은 음성데이터 처리부(312)에 의해 지터 버퍼링, 복호화 등의 절차를 거쳐 통신모듈(314)로 전달된다. 통신모듈(314)은 PTT 지원장치(15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블루투스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모듈(314)은 음성데이터 처리부(312)로부터 전달받은 음성데이터를 PTT 프로파일(320)로 전송한다. PTT 프로파일(320)은 모바일 단말기(110)의 운영 체제(OS)에 탑재된 기본 오디오 프레임워크(340)와는 독립적이다. PTT 프로파일(320)은 PTT 서비스를 위해 정의된 규격으로 음성데이터를 변환하여 PTT 지원장치(150)로 전송한다. PTT 지원장치(150)는 출력부(232)를 통해 PTT 프로파일(320)로부터 전달받은 음성데이터를 출력한다.
PTT 프로파일(320)은 모바일 단말기(110)의 오디오 프레임워크(340)에 따라 송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와는 별개로 PTT 서비스를 위한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즉, HFP(Hands-Free Profile) 또는 HSP(Headset Profile)와 같이 오디오 프레임워크(340)의 적용을 받는 프로파일이 아닌, 비(非) 오디오 프로파일로서 예컨대 SPP(Serial Port Profile)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 프로파일 등을 기반으로 하는 프로파일로 정의될 수 있다.
PTT 프로파일(320)은 비(非) 오디오 프로파일을 기초로 PTT 통신 서비스 및 PTT 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특성(Characteristic)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TT 프로파일(320)이 BLE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정의되는 경우, PTT 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특성(Characteristic)은 [표 1]과 같을 수 있다.
Figure 112017011861683-pat00001
즉, PTT 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특성(Characteristic)은 모바일 단말기(110)에서 PTT 지원장치(150)로 전송되는 음성데이터, PTT 지원장치(150)에서 모바일 단말기(110)로 전송되는 음성데이터, 발언권 요청 신호의 발생상태, 음성데이터에 적용되는 오디오 코덱, 및 음성데이터의 패킷화(Packetization)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발언권 요청 신호의 발생상태는 발언권 요청 신호의 발생여부, 발생한 이후 발언권 요청 신호가 지속되는지 여부 및 지속되던 발언권 요청 신호의 중단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음성데이터에 적용되는 오디오 코덱으로는 예를 들어, PCMA, PCMU, IMA-ADPC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음성데이터의 패킷화 정보로는 예를 들어, 패킷화 구간(Packetization Period) 등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표 1]에 정의된 특성(Characteristic)은 예시에 불과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비(非) 오디오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TT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PTT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음성 호가 발생하거나 미디어가 재생되더라도 이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프레임워크(340)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10) 내 오디오 회로(350)로 출력되고, PTT 통신과 관련된 음성데이터는 PTT 지원장치(150)로 입출력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타 애플리케이션(330)에 의하여 PTT 통신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모바일 단말기(110)와 PTT 지원장치(150)는 상호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S410). 예를 들어, 페어링(paring) 기반 방법, 연결 기반 방법 등의 블루투스 방법으로 모바일 단말기(110)와 PTT 지원장치(150)가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10)와 PTT 지원장치(150) 간의 연결이 완료되면, 모바일 단말기(110)에 내장된 PTT 애플리케이션(310)이 PTT 통신 서버(130) 또는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기(140)로부터 수신한(S412) 제1 음성 패킷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제1 음성데이터를 생성한다(S414).
제1 음성데이터는 모바일 단말기(110)의 운영 체제(OS)에 탑재된 기본 오디오 프레임워크(340)와는 독립적인 PTT 프로파일(320)로 전달된다. PTT 프로파일(320)은 PTT 서비스를 위해 정의된 규격으로 제1 음성데이터를 변환하여 PTT 지원장치(150)로 전송한다(S416). PTT 지원장치(150)는 PTT 프로파일(320)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제1 음성데이터를 출력한다(S418).
PTT 지원장치(150)의 사용자가 발언권 획득을 위하여 PTT 지원장치(150)의 사용자 입력부(230)를 통해 발언권 요청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S420), PTT 지원장치(150)는 발생한 발언권 요청 신호를 모바일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422).
모바일 단말기(110)가 발언권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PTT 프로파일(320)은 PTT 지원장치(150)로 입력된(S424) 제2 음성데이터를 수신한다(S426). PTT 프로파일(320)은 수신한 제2 음성데이터를 PTT 애플리케이션(310)으로 전달한다. 제2 음성데이터는 발언권 요청 신호가 지속되는 동안 PTT 지원장치(150)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10)로 전송되고, 발언권 요청 신호가 중단되면 모바일 단말기(110)로의 전송 역시 중단된다.
제2 음성데이터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110) 내 PTT 애플리케이션(310)은 제2 음성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제2 음성 패킷스트림을 생성한다(S428). 제2 음성 패킷스트림은 모바일 단말기(110)에서 PTT 통신 서버(130) 또는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기(140)로 전송된다(S430).
전술한 바와 같이 PTT 프로파일(320)은 모바일 단말기(110)의 오디오 프레임워크(340)에 따라 송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와는 별개로 제1 음성데이터 및 제2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PTT 프로파일(320)은 SPP 또는 BLE 프로파일을 기초로 PTT 통신 서비스 및 PTT 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특성(Characteristic)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특성(Characteristic)은 모바일 단말기(110)에서 PTT 지원장치(150)로 전송되는 음성데이터, PTT 지원장치(150)에서 모바일 단말기(110)로 전송되는 음성데이터, 발언권 요청 신호의 발생상태, 음성데이터에 적용되는 오디오 코덱, 및 음성데이터의 패킷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에서는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4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PTT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은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TT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단말기(또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PTT 통신 시스템 110: 모바일 단말기
120: 통신 시스템 130: PTT 통신 서버
140: 외부 단말기 310: PTT 애플리케이션
320: PTT 프로파일

Claims (6)

  1.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내장된 PTT(Push To Talk) 애플리케이션이 외부 단말기 또는 PTT 통신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1 음성 패킷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제1 음성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운영 체제(OS)에 탑재된 기본 오디오 프레임워크(Audio Framework)와는 독립적인 PTT 프로파일로 상기 제1 음성데이터를 전달하는 과정;
    상기 PTT 프로파일이 PTT 서비스를 위해 정의된 규격으로 상기 제1 음성데이터를 변환하여 PTT 지원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PTT 지원장치에서 발생한 발언권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PTT 지원장치로 입력된 제2 음성데이터를 상기 PTT 프로파일이 수신하여 상기 PTT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과정; 및
    상기 PTT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음성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제2 음성 패킷스트림을 생성한 후, 상기 외부 단말기 또는 상기 PTT 통신 서버로 상기 제2 음성 패킷스트림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PTT 프로파일은 비(非)오디오 프로파일을 기초로 PTT 통신 서비스 및 상기 PTT 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특성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T 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특성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PTT 지원장치로 전송되는 음성데이터, 상기 PTT 지원장치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되는 음성데이터, 발언권 요청 신호의 발생여부, 음성데이터에 적용되는 오디오 코덱, 및 음성데이터의 패킷화(Packetization)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 요청 신호는 상기 PTT 지원장치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신호가 생성됨에 따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성데이터는 상기 발언권 요청 신호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발언권 요청 신호가 중단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의 전송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170015863A 2017-02-03 2017-02-03 Ptt 통신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1945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863A KR101945174B1 (ko) 2017-02-03 2017-02-03 Ptt 통신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863A KR101945174B1 (ko) 2017-02-03 2017-02-03 Ptt 통신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699A KR20180090699A (ko) 2018-08-13
KR101945174B1 true KR101945174B1 (ko) 2019-02-07

Family

ID=63250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863A KR101945174B1 (ko) 2017-02-03 2017-02-03 Ptt 통신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286A1 (en) * 2020-02-10 2021-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udio output device connected to usb type-c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286A1 (en) * 2020-02-10 2021-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udio output device connected to usb type-c connector
US11768656B2 (en) 2020-02-10 202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udio output device connected to USB type-C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699A (ko) 201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8427B2 (en) Electronic device for reproducing audio signal via externa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762317B2 (en) Playing synchronized mutichannel media on a combination of devices
US8140116B2 (en) Duplex audio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ccessory
KR100935963B1 (ko) 프로세서 주변장치인 통신 장치와,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8032455A1 (zh) 一种蓝牙通信的方法及终端
CN103023866A (zh) 无线音频信号的易共享
KR20130111749A (ko) 더미 장치와의 연동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5338393A (zh) 媒体同步方法和装置
WO2020078330A1 (zh) 一种基于语音通话的翻译方法及电子设备
WO2021031290A1 (zh) 一种用于耳机对的翻译方法、装置、耳机对及翻译***
KR102043641B1 (ko) 통신 기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70102914A1 (en) Electronic device and audio ouputting method thereof
WO2020107290A1 (zh) 音频输出控制方法和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电子设备
WO2022213689A1 (zh) 一种音频设备间语音互通的方法及设备
US9392098B2 (en) Dummy terminal and main body
CN113411703B (zh) 音频播放方法以及耳机盒、无线耳机和耳机套件
KR101945174B1 (ko) Ptt 통신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WO2024041189A1 (zh) 一种无线音频/视频装置和无线通信方法
WO2022048020A1 (zh) 蓝牙音箱的控制方法及***、存储介质及移动终端
JP201500239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312368A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09155803B (zh) 音频数据处理方法、终端设备和存储介质
KR101673324B1 (ko)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436443B1 (ko) 이어마이크셋 기반의 오디오신호 증폭 출력 자동전환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2013246350A (ja) 楽曲データ出力装置及び楽曲データ出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