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993B1 -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993B1
KR101944993B1 KR1020170096374A KR20170096374A KR101944993B1 KR 101944993 B1 KR101944993 B1 KR 101944993B1 KR 1020170096374 A KR1020170096374 A KR 1020170096374A KR 20170096374 A KR20170096374 A KR 20170096374A KR 101944993 B1 KR101944993 B1 KR 101944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valve
path
circumferential surface
movable rod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보
박건영
강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to KR1020170096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27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22Magnetic elements
    • B60G2600/26Electromagnets; Soleno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모드 전환을 위한 이동용 외부경로와 별도로 분리되는 유체의 이동용 내부경로를 설정하고 외부경로와 내부경로를 통한 압력을 평형상태로 조성하는 압력 평형부를 솔레노이드 밸브 측에 일체화하여 적용함으로써 부품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의 코일에 인가되는 작은 크기의 동작전원에 대한 제어만으로도 포트의 개방과 폐쇄를 원활하게 제어하고, 외부경로와 내부경로를 통한 압력을 평형상태로 조성하는 압력 평형부에 대해 기밀성을 함께 부여하며 세퍼레이터의 각 포트 사이의 기밀 유지를 위한 메인 실링부에 이중 기밀구조를 적용함과 동시에 완충성 기능구조를 함께 적용함으로써 밸브의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과 소음을 최소화하고 내구시에도 포트의 개방과 폐쇄로의 전환을 정상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현가장치의 모드 전환용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를 개시한다.
전술한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는 복수의 독립된 체임버와 개별적으로 교통 가능한 복수의 포트를 갖춘 세퍼레이터(400), 상기 세퍼레이터(400)의 포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루어지는 체임버 사이의 유체 이동을 조절하는 실링 구조물, 상기 실링 구조물(500)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세퍼레이터(400)의 포트를 통한 유체 이동용 외부경로와 분리되어 압력 평형을 구현하는 유체 이동용 내부경로를 갖추며, 상기 유체 이동용 외부경로와 내부경로 사이의 교통을 단절하는 압력 평형부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SWITCHABLE SOLENOID VALVE ASSEMBLY FOR AIR SPRING FOR CHANGING DRIVE MODE IN SUSPENSION SYSTEM}
본 발명은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체임버 사이의 유동경로에 대한 개폐를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해 유체의 이동을 위한 외부경로와 별도로 분리되는 유체의 이동용 내부경로를 설정하고 외부경로와 내부경로를 통한 압력을 평형상태로 조성하는 압력 평형부를 솔레노이드 밸브 측에 일체화하여 적용함으로써 부품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의 코일에 인가되는 작은 크기의 동작전원에 대한 제어만으로도 포트의 개방과 폐쇄를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는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경로와 내부경로를 통한 압력을 평형상태로 조성하는 압력 평형부에 대해 기밀성을 함께 부여하고 세퍼레이터의 각 포트 사이의 기밀 유지를 위한 메인 실링부에 이중 기밀구조를 적용함과 동시에 완충성 기능구조를 함께 적용으로써 밸브의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과 소음을 최소화하고 내구시에도 포트의 개방과 폐쇄로의 전환을 정상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적용되는 전자 제어식 현가장치(ECS, 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system)는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주행조건이나 노면의 상태, 또는 운전자에 의한 모드 선택 등을 기반으로 하여 차체의 높이와 댐핑력을 자동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특히, 고압의 공기에 대한 유동을 단속하는 공기식 스프링(Air Spring)의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댐핑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공개특허 제10-2010-0022652호는 공기식 스프링의 유동 제어를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시하고 있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는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전원의 인가시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코일, 하우징의 일측을 커버하며 중공부를 갖춘 브라켓, 일측이 브라켓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코일의 내부에 구비되고 타측은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형성하여 하우징의 개방측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플런져, 플런져의 내부에 구비되며 코일의 전자기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어 플런져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승강부, 및 플런져의 일단과 결합되며 승강부의 승강에 의해 개방되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를 제공받아 이를 유출구로 배출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종래 솔레노이드 밸브에서는 사용 유체의 압력이 높을 경우, 밸브를 온/오프 제어하는 데 큰 전자기력이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필요 이상으로 정격 용량이 큰 대용량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되거나 밸브의 개폐 제어를 위한 소비 전력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문제가 수반된다.
특히, 종래 전자 제어식 현가장치의 경우, 사용하는 공기의 압력이 고압일 뿐만 아니라 고압 유체의 유동경로에 대한 개폐 조절과 기밀 유지는 안정적인 기능 및 내구 성능과도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에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기밀 부품에서 누설이 발생하지 않게 해야 하는 데, 사용 압력의 크기와 누설 발생의 가능성 사이에는 상호 비례하는 특성이 있는 관계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온/오프 제어식 솔레노이드 밸브의 경우에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과정에서 부품 사아의 접촉에 의한 이상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할 경우 플런져와 같은 가동부품이 고착되어 정상적인 동작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10-0022652호의 전자제어 현가장치용 솔레노이드 밸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현가장치의 작동을 노말 모드 또는 스포츠 모드의 상태로 선택적인 전환을 구현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를 구성함에 있어, 봉입된 유체의 모드 전환을 위한 이동용 외부경로와 별도로 분리되는 유체의 이동용 내부경로를 설정하고 외부경로와 내부경로를 통한 압력을 평형상태로 조성하는 압력 평형부를 솔레노이드 밸브 측에 일체화하여 적용함으로써 부품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의 코일에 인가되는 작은 크기의 동작전원에 대한 제어만으로도 포트의 개방과 폐쇄를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부경로와 내부경로를 통한 압력을 평형상태로 조성하는 압력 평형부에 대해 기밀성을 함께 부여하고 세퍼레이터의 각 포트 사이의 기밀 유지를 위한 메인 실링부에 이중 기밀구조를 적용함과 동시에 완충성 기능구조를 함께 적용함으로써 밸브의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과 소음을 최소화하고 내구시에도 포트의 개방과 폐쇄로의 전환을 정상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독립된 체임버와 개별적으로 교통 가능한 복수의 포트를 갖춘 세퍼레이터, 상기 세퍼레이터의 포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루어지는 체임버 사이의 유체 이동을 조절하는 실링 구조물, 상기 실링 구조물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세퍼레이터의 포트를 통한 유체 이동용 외부경로와 분리되어 압력 평형을 구현하는 유체 이동용 내부경로를 갖추며, 상기 유체 이동용 외부경로와 내부경로 사이의 교통을 단절하는 압력 평형부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세퍼레이터의 포트의 개방 및 폐쇄시 외부경로와 내부경로를 통한 상기 압력 평형부의 양측 수압부에 대한 면적이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실링 구조물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로드, 상기 가동로드를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세퍼레이터와 동축상으로 결합되는 마그네틱 코어, 상기 가동로드와 동축상으로 결합되고 상기 마그네틱 코어를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져, 및 상기 마그네틱 코어와 동축상으로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가동로드와 상기 플런져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보빈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압력 평형부는 상기 가동로드의 외주면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외측으로 돌출되는 확경부, 상기 확경부의 외주면 전 둘레부위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부, 및 상기 요홈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오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확경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동일한 수압면적을 가지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가동로드와 상기 플런져는 내부경로의 형성을 위한 축방향 관통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보빈은 내주면에 상기 플런져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내부경로의 형성을 위한 축방향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마그네틱 코어는 내주면에 상기 가동로드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부시를 구비하고, 상기 마그네틱 코어는 내주면에 상기 부시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내부경로의 형성을 위한 축방향 요홈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가동로드는 상기 실링 구조물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전 둘레부위에 걸쳐 상기 실링 구조물을 향해 절곡되는 기밀 유지용 하향 돌출단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마그네틱 코어는 내주면에 상기 부시를 축방향으로 구속하도록 상기 축방향 요홈부의 일단부로부터 중심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턱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축방향 요홈부는 상기 걸림턱부를 절개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마그네틱 코어는 내부에 상기 가동로드의 확경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오링과 긴밀하게 접촉하며, 상기 단차부는 저면부 외측에서 전 둘레부위를 따라 축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내부경로는 상기 가동로드의 축방향 관통부, 상기 플런져의 축방향 관통부, 상기 보빈의 축방향 돌기부, 및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축방향 요홈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확경부의 상부면에 이르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세퍼레이터는 전 둘레부위로 배치되는 제1포트, 상기 제1포트와 교차하는 제2포트,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2포트 사이에서 상기 실링 구조물의 설치를 위해 수용홈부를 형성하도록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이중 격벽, 및 상기 이중 격벽의 외측에서 외주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부로 삽입되는 돌출단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실링 구조물은 상기 가동로드의 하향 돌출단부를 향해 배치되는 상부몸체부, 상기 상부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몸체부, 및 상기 상부몸체부와 상기 하부몸체부 사이의 전 둘레부위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완충성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몸체부는 상기 가동로드의 플랜지부의 하향 돌출단부를 향해 개구된 요홈부를 갖춘 이중 돌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플런져는 상부면에 상기 보빈의 상부 내측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댐퍼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플런져의 상부면에 형성된 수용홈부에 안착되고, 상기 댐퍼는 전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상기 플런져의 축방향 관통부와 상기 보빈의 축방향 돌기부 사이의 유동경로를 상호 교통 가능하게 하는 내부경로의 설정을 위해 절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현가장치의 구동 모드를 노말 모드 또는 스포츠 모드의 상태로 각각 전환함에 있어, 독립된 복수의 체임버로부터 각 포트를 통한 유체의 유동경로를 외부경로와 내부경로로 분할함과 더불어 외부경로와 내부경로를 통한 압력을 평형상태로 조성하는 압력 평형부를 솔레노이드 밸브 측에 일체화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부품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작은 크기의 동작전원만으로도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한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여 세퍼레이터의 포트에 대한 개폐 전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외부경로와 내부경로를 통한 압력을 평형상태로 조성하는 압력 평형부에 대해 기밀성을 함께 부여하고 세퍼레이터의 각 포트 사이의 기밀 유지를 위한 메인 실링부에 이중 기밀구조를 적용함과 동시에 완충성 기능구조를 함께 적용함으로써 밸브의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과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시에도 포트의 개방과 폐쇄로의 전환을 정상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플런져의 상단부와 보빈의 상측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댐퍼를 매개로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함과 더불어, 이상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보빈의 내주면에 축방향 돌기부를 형성하여 이를 유체의 이동을 위한 내부경로의 설정기능 외에도 부재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시키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플런져의 축방향 이동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시 마그네틱 코어의 내주면에 설치된 부시를 매개로 가동로드의 고착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원활한 내구 성능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시 압력 평형부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하향 돌출단부와 세퍼레이터에 설치되는 실링 구조물의 이중 돌기부에 형성된 요홈부 사이의 이중 기밀구조에 의한 밀착 효과를 매개로 현가장치의 구동 모드를 원하는 모드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로부터 케이스와 사출 몸체부를 각각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에서 케이스와 사출 몸체부 및 터미널 등의 주변 구성요소를 제외한 주요 구성부품에 해당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세퍼레이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와 세퍼레이터의 결합관계를 분리하여 상부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주요 구성요소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와 세퍼레이터의 결합관계를 분리하여 하부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주요 구성요소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은 현가장치에서 모드의 전환을 위해 온/오프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로서, 현가장치에 설치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를 내장하도록 성형되는 사출 몸체부(200), 상기 사출 몸체부(200)의 내부에 수용되어 통전시 자화되고 기밀성의 압력 평형부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00),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에 결합되고 현가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체임버 사이와 개별적으로 교통 가능한 포트를 갖춘 세퍼레이터(400),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의 작동과 연동되어 상기 세퍼레이터(400)의 포트에 대한 개폐를 조절하여 유동경로를 통한 유체의 이동을 허용 또는 차단함으로써 현가장치의 기능 모드를 노말 모드 또는 스포츠 모드와 같이 서로 다르게 전환하고 상기 세퍼레이터(400)의 각 포트 사이에 직접적으로 설치되는 실링 구조물(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하부가 개구된 중공의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내부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 2의 종단면도를 참조로 하면, 상기 케이스(100)는 하단부 내측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의 마그네틱 코어(32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0)의 하단부 내주면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의 마그네틱 코어(320)의 외주면 사이에는 오링이 설치되어 있어 외부와 격리될 수 있는 기밀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사출 몸체부(200)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를 내부에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100)의 상측 내주면과 상기 사출 몸체부(200)의 상측 외주면 사이에는 링형상의 완충용 부재(210)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 이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는 통전시 상기 실링 구조물(500)을 향한 하방향의 작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세퍼레이터(400)의 포트를 통해 이루어지는 현가장치의 체임버와의 봉입된 유체의 이동을 위한 외부경로와 함께, 외부경로로부터 분리되어 압력 평형을 구현하기 위해 솔레노이드의 내부 공간으로 형성되는 유체 이동용 내부경로를 별도로 갖추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에 있어, 외부경로는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해 복수의 체임버 사이의 교통을 위해 마련된 것이고, 내부경로는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가 온/오프될 때 작은 크기의 동작전원에 대한 제어만으로도 포트의 개방과 폐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는 유체 이동용 외부경로와 유체 이동용 내부경로 사이의 교통을 단절하고 외부경로를 통한 수압부의 면적과 내부경로를 통한 수압부의 면적을 상호 동일하게 설정하면서 수압부 사이의 기밀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압력 평형부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압력 평형부는 상기 세퍼레이터(400)의 포트의 개방 및 폐쇄시 외부경로를 통해 압력을 받는 수압부의 면적과 내부경로를 통해 압력을 받는 수압부의 면적이 서로 같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의 코일(360)에 인가되는 작은 크기의 동작전원만으로 상기 세퍼레이터(400)에 형성된 포트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상기 실링 구조물(500)을 향해 상하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형상의 가동로드(310), 상기 가동로드(310)를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세퍼레이터(400)의 상부에서 동축상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케이스(100)의 하측 내주면에 고정되는 중공형상의 마그네틱 코어(320), 상기 가동로드(310)의 상단부에서 동축상으로 결합되고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를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형상의 플런져(330),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의 상단부와 상기 플런져(330)의 하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져(330)에 대해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340),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의 외부에서 동축상으로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가동로드(310)와 상기 플런져(330)를 각각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중공형상의 보빈(350), 상기 보빈(350)에 권취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기력을 생성하여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를 향한 상기 플런져(330)의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코일(360), 상기 플런져(330)의 상측 외주면과 상기 보빈(350)의 상측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플런져(330)의 복원 이동시 보빈(350)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소음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배제하는 완충 스프링(370), 및 상기 코일(36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3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동로드(310)는 내부경로의 형성을 위해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되는 유체 이동용 축방향 관통부(312)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축방향 관통부(312)는 상기 가동로드(310)의 축중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가동로드(310)는 상기 실링 구조물(500)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외주면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반경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31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플랜지부(314)는 상기 실링 구조물(500)을 향해 하향 절곡되게 형성되어 실링 구조물(500)과의 긴밀한 접촉을 구현하는 하향 돌출단부(314a)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가동로드(310)의 플랜지부(314)는 압력 평형을 위해 외부경로를 통한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한 수압부 면적이 상호 동일하게 구성됨은 물론이다. 즉, 상기 세퍼레이터(400)의 포트의 개방 및 폐쇄시 외부경로를 통한 상기 플랜지부(314)와 하향 돌출단부(314a)를 포함한 부위에 대한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양측 수압부에 대한 면적이 상호 동일하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가동로드(310)는 상기 플랜지부(314)의 상부에서 외주면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외측으로 돌출되어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확경부(316)를 구비하고, 상기 확경부(316)는 외주면의 전 둘레부위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부(316a)를 구비하며, 상기 요홈부(316a)에는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오링(318)이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압력 평형부는 상기 가동로드(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확경부(316), 상기 확경부(316)의 외주면의 전 둘레부위에 형성되는 요홈부(316a), 및 상기 요홈부(316a)에 설치되는 오링(3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확경부(316)는 상기 오링(318)을 매개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의 외부경로와 내부경로 사이의 교통을 단절함과 동시에, 압력 평형을 위해 외부경로를 통한 하부의 외측면 수압부 면적과 내부경로를 통한 상부의 내측면 수압부 면적이 상호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세퍼레이터(400)의 포트의 개방 및 폐쇄시 외부경로와 내부경로를 통한 상기 압력 평형부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양측 수압부에 대한 면적이 상호 동일하게 설정된다.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는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내주면에 상기 가동로드(310)의 외주면과의 접촉시 발생하는 저항력을 줄일 수 있게 하는 부시(390)를 별도로 설치한다. 특히,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는 관통구멍의 내주면에 상기 부시(39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내부경로의 형성을 위해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축방향 요홈부(322)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축방향 요홈부(322)는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의 내주면 전체 부위에 걸쳐 적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수량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는 관통구멍의 내주면에 상기 부시(390)를 축방향으로 구속하기 위해 상기 축방향 요홈부(322)의 일단부로부터 중심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턱부(32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축방향 요홈부(322)는 상기 걸림턱부(324)를 절개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부시(390)의 이동을 제한하는 반면에 유체의 원활한 이동을 보장하여 안정적인 내부경로의 확보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는 상기 축방향 요홈부(322)의 하부에 압력 평형부의 수용을 위해 내경이 확장된 형태로서 상기 확경부(316)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단차부(326)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는 상기 단차부(326)의 저면부 외측에서 전 둘레부위를 따라 상기 세퍼레이터(400)와의 결합을 위해 축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부(328)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단차부(326)는 상기 압력 평형부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가동로드(310)의 확경부(316)에 형성되는 요홈부(316a)에 장착되는 상기 오링(318)과의 긴밀한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부위로서, 상기 오링(318)과 함께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의 외부경로와 내부경로 사이의 교통을 단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플런져(330)는 내부경로의 형성을 위해 상기 가동로드(310)의 축방향 관통부(312)와 상호 교통 가능한 형태로서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되는 유체 이동용 축방향 관통부(332)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축방향 관통부(332)는 상기 플런져(330)의 축중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플런져(330)는 상부면에 상기 보빈(350)의 상부 내측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빈(350)의 상측 내주면과의 충돌을 완충시키기 위한 링형상의 댐퍼(336)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의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댐퍼(336)는 상기 플런져(330)의 상단부와 상기 보빈(350)의 상측 내주면과의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촉에 따른 이상 소음의 발생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댐퍼(336)는 상기 플런져(330)의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홈부(334)에 삽입되어 안착되고, 상기 댐퍼(336)는 전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상기 플런져(330)의 축방향 관통부(332)와 상기 보빈(350)의 축방향 돌기부(352) 사이의 유동경로를 상호 교통 가능하게 하여 유체의 이동을 위한 내부경로를 확보하는 절개부(338)를 구비한다.
상기 리턴 스프링(340)은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의 관통구멍의 상단부와 상기 플런져(330)의 관통구멍의 하단부 사이에 각각 양단부가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코일(360)의 비자화시 상기 플런져(330)에 대해 상방향 이동을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리턴 스프링(340)의 상단부는 상기 플런져(330)의 축방향 관통부(33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차진 부위에 지지되고, 하단부는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의 관통구멍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부(324)에 지지된다.
상기 보빈(350)은 내주면에 상기 플런져(33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내부경로의 형성을 위해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서 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유체 이동용 축방향 돌기부(352)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축방향 돌기부(352)는 상기 보빈(350)의 내주면 전체 부위에 걸쳐 적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수량으로 형성됨으로써, 내부경로의 형성 기능 외에도 부재의 구조적 강성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코일(360)의 자화에 따른 상기 플런져(330)의 축방향 이동시 정확한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까지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보빈(350)의 내주면과 상기 플런져(330)의 외주면 사이에서 내부경로의 형성을 위해 마련되는 상기 축방향 돌기부(352)는 상기 플런져(33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돌기부의 형태가 아니라 소재의 두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부의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코일(360)은 상기 보빈(350)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상기 터미널(380)을 통해 제공되는 동작전원에 의해 자화되어 자기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를 향한 상기 플런져(330)의 이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완충 스프링(370)은 상기 플런져(330)의 상측 외주면과 상기 보빈(350)의 상측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져(330)의 복원 이동시 상기 보빈(350)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소음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배제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완충 스프링(370)의 하단부는 상기 댐퍼(336)의 내주면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완충 스프링(370)의 하단부는 상기 댐퍼(336)의 내주면에 끼워지도록 설치됨으로써 조립시 정확한 위치 설정을 안내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터미널(380)은 상기 보빈(350)의 상측에서 상기 코일(3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터미널(380)은 상기 사출 몸체부(200)의 상측 구조물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00)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부시(390)는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의 축방향 관통부(312)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로드(310)의 외주면과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부시(390)의 상단부는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의 걸림턱부(324)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가동로드(310)의 이동시 축방향 이탈이 억제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에 있어, 유체 이동용 내부경로는 상기 가동로드(310)의 축방향 관통부(312)와 상기 플런져(330)의 축방향 관통부(332), 상기 보빈(350)의 축방향 돌기부(352), 및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의 축방향 요홈부(322)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압력 평형부에 해당하는 상기 확경부(316)의 상부면에 이르도록 설정된다. 특히, 상기 가동로드(310)의 외주면과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 이동용 내부경로는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의 축방향 요홈부(322)와 상기 부시(39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으로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세퍼레이터(400)는 현가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체임버(미도시)와 개별적으로 교통 가능한 공기 유동용 포트(Air flow port)를 갖추고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의 마그네틱 코어(320)의 저면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중공형상의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세퍼레이터(400)는 부재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포트(410), 상기 제1포트(410)와 교차하여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포트(420), 및 상기 제1포트(410)와 상기 제2포트(420) 사이에서 상기 실링 구조물(500)의 설치를 위해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수용홈부(430a)를 형성하도록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이중 격벽(430)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제1포트(410)와 상기 제2포트(420)는 각각 상기 세퍼레이터(400)의 외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차폐 구조물(미도시)에 의해 독립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세퍼레이터(400)는 상기 플랜지부(314)의 하향 돌출단부(314a)와 상기 실링 구조물(500) 사이를 경유한 내부경로에 한정하여 체임버 내에 봉입된 유체의 자유로운 유동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포트(410)는 현가장치의 복수의 체임버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체임버와 교통하는 것으로, 부재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다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포트(420)는 현가장치의 복수의 체임버 중에서 다른 하나의 체임버와 교통하는 것으로, 상기 플랜지부(314)의 하향 돌출단부(314a)와 상기 실링 구조물(500) 사이를 경유하여 상기 가동로드(310)의 축방향 관통부(312)와 상기 플런져(330)의 축방향 관통부(332)를 순차적으로 지나는 내부경로와 교통 가능한 단일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400)는 상기 이중 격벽(430)의 외측에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의 삽입홈부(328)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전 둘레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단부(440)를 구비한다. 즉, 상기 세퍼레이터(400)와 상기 마그네틱 코어(320) 사이의 결합은 상기 삽입홈부(328)의 내부로 상기 돌출단부(440)가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실링 구조물(500)은 상기 세퍼레이터(400)의 수용홈부(430a) 내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동로드(310)의 하향 돌출단부(314a)를 향해 배치되는 링형상의 상부몸체부(510), 상기 상부몸체부(5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링형상의 하부몸체부(520), 및 상기 상부몸체부(510)와 상기 하부몸체부(520) 사이의 전 둘레부위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완충성 연결부(53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부(510)는 상기 가동로드(310)의 플랜지부(314)의 하향 돌출단부(314a)를 향해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이중 돌기부(512)를 구비하고, 상기 이중 돌기부(512)의 상부에는 상기 하향 돌출단부(314a)와의 결합을 위해 개구된 요홈부(512a)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실링 구조물(500)은 상기 세퍼레이터(400)의 수용홈부(430a)에 삽입되는 중공형상의 유연소재로 이루어진 구조물로서, 상기 가동로드(310)의 플랜지부(314)에 형성되는 상기 하향 돌출단부(314a)와 긴밀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게 된다.
특히, 상기 실링 구조물(500)은 상부몸체부(510)와 하부몸체부(520) 사이의 전 둘레부위를 축방향으로 이격되게 연결하는 완충성 연결부(530)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의 자화에 따라 이루어지는 상기 플랜지부(314)의 하향 돌출단부(314a)와 상기 이중 돌기부(512)의 요홈부(512a) 사이의 결합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킬 뿐만 아니라, 접촉시 수반되는 소음까지도 완벽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중 돌기부(512)의 요홈부(512a)는 상기 플랜지부(314)의 하향 돌출단부(314a)와의 결합시 외측면과 내측면에 걸친 이중의 접촉방식으로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세퍼레이터(400)의 제1포트(410)와 제2포트(420) 사이의 교통을 이중의 기밀 구조로서 더욱 긴밀하게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가동로드(310)의 플랜지부(314)에 형성되는 하향 돌출단부(314a)와 상기 실링 구조물(500)의 이중 돌기부(512)에 형성되는 요홈부(512a) 사이의 긴밀한 결합관계를 통해 각 포트 사이의 교통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메인 실링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현가장치의 구동 모드를 노말 모드 또는 스포츠 모드의 상태로 각각 전환함에 있어, 독립된 복수의 체임버로부터 각 포트를 통한 유체의 유동경로를 외부경로와 내부경로로 분할하고, 분할된 외부경로와 내부경로 사이의 교통을 솔레노이드 밸브(300)에 구비된 압력 평형부를 이용하여 단절함으로써 압력 평형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하중을 평형의 상태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솔레노이드 밸브(300)의 코일(360)에 인가되는 작은 크기의 동작전원에 대한 온/오프 제어만으로도 포트의 개방과 폐쇄의 전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외부경로와 내부경로를 통한 압력을 평형상태로 조성하는 압력 평형부를 솔레노이드 밸브(300)에 일체화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부품의 제조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런져(330)와 보빈(350) 사이에 설치되는 링형상의 댐퍼(336)를 매개로 플런져(330)의 상단부와 보빈(350)의 상측 내주면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이를 통해 이상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로드(310)의 플랜지부(314)에 형성되는 하향 돌출단부(314a)와 실링 구조물(500)의 이중 돌기부(512)에 형성되는 요홈부(512a)에 의한 이중 기밀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하향 돌출단부(314a)와 이중 돌기부(512) 사이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이중적 긴밀한 접촉을 통해 유동경로의 안정적인 폐쇄상태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현가장치를 스포츠 모드의 상태로 정확하게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링 구조물(500)의 상부몸체부(510)와 하부몸체부(520) 사이를 연결하는 완충성 연결부(530)를 매개로 솔레노이드 밸브(300)의 작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보빈(35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축방향 돌기부(352)는 유체의 이동을 위한 내부경로의 설정기능 외에도 부재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시킴과 동시에 플런져(330)의 축방향 이동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음에 따라, 하향 돌출단부(314a)와 이중 돌기부(512) 사이의 안정적인 접촉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300)의 작동시 마그네틱 코어(320)의 내주면에 설치된 부시(390)를 매개로 가동로드(310)의 고착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원활한 내구 성능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케이스
200-사출 몸체부 210-완충용 부재
300-솔레노이드 밸브
310-가동로드 312-축방향 관통부
314-플랜지부 314a-하향 돌출단부
316-확경부 316a-요홈부
318-오링
320-마그네틱 코어 322-축방향 요홈부
324-걸림턱부 326-단차부
328-삽입홈부
330-플런져 332-축방향 관통부
334-수용홈부 336-댐퍼
338-절개부
340-리턴 스프링 350-보빈
352-축방향 돌기부 360-코일
370-완충 스프링 380-터미널
390-부시
400-세퍼레이터
410-제1포트 420-제2포트
430-이중 격벽 430a-수용홈부
440-돌출단부
500-실링 구조물
510-상부 몸체부 512-이중 돌기부
512a-요홈부 520-하부몸체부
530-완충성 연결부

Claims (14)

  1. 복수의 독립된 체임버와 개별적으로 교통 가능한 복수의 포트를 갖춘 세퍼레이터;
    상기 세퍼레이터의 포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루어지는 체임버 사이의 유체 이동을 조절하는 실링 구조물;
    상기 실링 구조물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세퍼레이터의 포트를 통한 유체 이동용 외부경로와 분리되어 압력 평형을 구현하는 유체 이동용 내부경로를 갖추며, 상기 유체 이동용 외부경로와 내부경로 사이의 교통을 단절하는 압력 평형부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세퍼레이터의 포트의 개방 및 폐쇄시 외부경로와 내부경로를 통한 상기 압력 평형부의 양측 수압부에 대한 면적이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실링 구조물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로드;
    상기 가동로드를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세퍼레이터와 동축상으로 결합되는 마그네틱 코어;
    상기 가동로드와 동축상으로 결합되고 상기 마그네틱 코어를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져; 및
    상기 마그네틱 코어와 동축상으로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가동로드와 상기 플런져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보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압력 평형부는,
    상기 가동로드의 외주면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외측으로 돌출되는 확경부;
    상기 확경부의 외주면 전 둘레부위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부; 및
    상기 요홈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오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확경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동일한 수압면적을 가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동로드와 상기 플런져는 내부경로의 형성을 위한 축방향 관통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보빈은 내주면에 상기 플런져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내부경로의 형성을 위한 축방향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마그네틱 코어는 내주면에 상기 가동로드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부시를 구비하고, 상기 마그네틱 코어는 내주면에 상기 부시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내부경로의 형성을 위한 축방향 요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동로드는 상기 실링 구조물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전 둘레부위에 걸쳐 상기 실링 구조물을 향해 절곡되는 기밀 유지용 하향 돌출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코어는 내주면에 상기 부시를 축방향으로 구속하도록 상기 축방향 요홈부의 일단부로부터 중심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턱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축방향 요홈부는 상기 걸림턱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코어는 내부에 상기 가동로드의 확경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오링과 긴밀하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저면부 외측에서 전 둘레부위를 따라 축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부경로는 상기 가동로드의 축방향 관통부, 상기 플런져의 축방향 관통부, 상기 보빈의 축방향 돌기부, 및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축방향 요홈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확경부의 상부면에 이르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전 둘레부위로 배치되는 제1포트;
    상기 제1포트와 교차하는 제2포트;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2포트 사이에서 상기 실링 구조물의 설치를 위해 수용홈부를 형성하도록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이중 격벽; 및
    상기 이중 격벽의 외측에서 외주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부로 삽입되는 돌출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링 구조물은,
    상기 가동로드의 하향 돌출단부를 향해 배치되는 상부몸체부;
    상기 상부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몸체부; 및
    상기 상부몸체부와 상기 하부몸체부 사이의 전 둘레부위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완충성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부는 상기 가동로드의 플랜지부의 하향 돌출단부를 향해 개구된 요홈부를 갖춘 이중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런져는 상부면에 상기 보빈의 상부 내측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댐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플런져의 상부면에 형성된 수용홈부에 안착되고, 상기 댐퍼는 전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상기 플런져의 축방향 관통부와 상기 보빈의 축방향 돌기부 사이의 유동경로를 상호 교통 가능하게 하는 내부경로의 설정을 위해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KR1020170096374A 2017-07-28 2017-07-28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KR101944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374A KR101944993B1 (ko) 2017-07-28 2017-07-28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374A KR101944993B1 (ko) 2017-07-28 2017-07-28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993B1 true KR101944993B1 (ko) 2019-02-01

Family

ID=65367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374A KR101944993B1 (ko) 2017-07-28 2017-07-28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9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985B1 (ko) * 2019-07-30 2020-11-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멀티 챔버형 에어스프링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1563A (ja) * 2000-02-25 2001-09-07 Denso Corp 電磁弁
JP2005069366A (ja) * 2003-08-25 2005-03-17 Miura Co Ltd バルブ
KR20100022652A (ko) 2008-08-20 2010-03-03 주식회사 인팩 전자제어 현가장치용 솔레노이드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1563A (ja) * 2000-02-25 2001-09-07 Denso Corp 電磁弁
JP2005069366A (ja) * 2003-08-25 2005-03-17 Miura Co Ltd バルブ
KR20100022652A (ko) 2008-08-20 2010-03-03 주식회사 인팩 전자제어 현가장치용 솔레노이드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985B1 (ko) * 2019-07-30 2020-11-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멀티 챔버형 에어스프링 장치
US11415193B2 (en) 2019-07-30 2022-08-16 Hyundai Mobis Co., Ltd. Multi-chamber type air spr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990B1 (ko)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US9388877B2 (en) Pressure shock absorbing apparatus
US20110147147A1 (en) Shock absorber
JP6000462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US5285878A (en) Cylinder including a piston with a valve control
US20120049424A1 (en) Electronically switchable bi-state engine mount
US6921067B2 (en) Hydraulic damping mount
JPH01172648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20180056394A (ko) 듀얼 모드 유압식 댐퍼
CN105736308A (zh) 可变容量压缩机用控制阀
KR20010051258A (ko)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US20030192755A1 (en) Shock absorber with toroidal solenoid adjustable damping
KR101944974B1 (ko)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JP7085689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KR101944993B1 (ko)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CN107380335B (zh) 车辆高度调整设备
KR102043966B1 (ko) 현가장치의 모드 전환용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KR101944984B1 (ko) 현가장치의 드라이브 모드 전환을 위한 에어스프링용 스위처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CN110822003B (zh) 阻尼力可变减震器
EP3225529B1 (en) Flow path control device and vehicle height adjustment apparatus
EP3225528B1 (en) Flow path control device and vehicle height adjustment apparatus
KR102152017B1 (ko)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및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를 가지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CN220320182U (zh) 阀总成以及具有该阀总成的电磁阀
JP7116018B2 (ja) ソレノイド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緩衝器
CN218992202U (zh) 减振器和具有其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