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549B1 - 주근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주근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549B1
KR101940549B1 KR1020180062290A KR20180062290A KR101940549B1 KR 101940549 B1 KR101940549 B1 KR 101940549B1 KR 1020180062290 A KR1020180062290 A KR 1020180062290A KR 20180062290 A KR20180062290 A KR 20180062290A KR 101940549 B1 KR101940549 B1 KR 101940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unit
falling
bar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림
Original Assignee
한국철강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강산업(주) filed Critical 한국철강산업(주)
Priority to KR1020180062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B21F27/1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with soldered or welded cros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격자망을 이루는 복수 개의 주근을 한 개씩 자동으로 분리하여 차례대로 공급하는 주근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주근과 배력근이 격자형태로 접합된 철근 격자망을 제조하기 위해 주근을 자동 공급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주근이 상부에 적재되는 적재대; 상기 적재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주근을 좌우로 나란히 정렬하는 정렬체인; 상기 적재대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어 정렬된 상기 주근을 한 개씩으로 분리하는 계단분리기; 상기 계단분리기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된 멈춤턱이 구비되어 한 개씩 분리된 상기 주근을 경사지게 낙하시키는 낙하안내암; 상기 경사면 상에 구비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승강 운동하여 낙하하는 상기 주근의 낙하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멈춤턱에 멈춤시키는 감속스토퍼; 상기 멈춤턱의 전방에 설치되고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승강 운동하여 멈춤된 상기 주근을 상방으로 밀어주는 푸시바; 및 상기 낙하안내암의 단부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방으로 밀어진 상기 주근을 낙하시켜 공급하는 낙하안내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근 자동 공급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된 복수 개의 주근을 한 개씩 분리하여 차례대로 낙하시켜 공급하는 주근 공급부; 상기 주근 공급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공급된 상기 복수 개의 주근을 좌우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열하며 전후 이송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주근 배열부; 상기 주근 배열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배열된 상기 복수 개의 주근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주근 이송부; 상기 주근 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이송되는 상기 복수 개의 주근 선단 위치를 정렬하는 주근 정렬부; 상기 주근 정렬부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고 적재된 복수 개의 배력근을 한 개씩 차례대로 공급하는 배력근 공급부; 상기 배력근 공급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공급되는 상기 복수 개의 배력근을 배열된 상기 복수 개의 주근 상부에 차례대로 투입하는 배력근 투입부; 상기 배력근 투입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투입되는 상기 복수 개의 배력근을 상기 복수 개의 주근에 차례대로 용접하여 철근 격자망을 형성하는 용접부; 상기 주근 정렬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배력근이 상기 복수 개의 주근 상부에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차례대로 용접되도록 상기 철근 격자망을 전방으로 견인하는 격자망 견인부; 및 상기 견인부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견인부에 의해 견인되는 상기 철근 격자망이 상측에 적재되는 격자망 적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주근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 장치{Apparatus for feeding main rebar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ebar grid thereof}
본 발명은 철근 격자망을 이루는 복수 개의 주근을 한 개씩 자동으로 분리하여 차례대로 공급하는 주근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격자망은 건축 및 토목 공사에서 바렛말뚝(barrette pile), 슬러리월(slurry wall), 구조말뚝(structure pile), 물막이벽, 사각기둥, 보, 교각 등의 철근 골조로 사용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주근과 배력근이 일정간격을 두고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고 접합되어 주근과 배력근이 격자형태를 이루는 철근망을 말한다.
한편, 철근 격자망은 시공현장에서 작업자가 직접 직선철근인 주근과 배력근을 직교하게 배열하고, 배열된 주근과 배근의 교점을 일일이 금속재질의 결속선으로 결속시켜 제조하였다.
즉, 작업자가 직접 고중량의 주근과 배력근을 운반 및 배열한 후 결속선으로 주근과 배력근의 교점을 일일이 결속시켜야 하므로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인건비의 소비도 과다하게 발생함에 따라 제조효율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고 고중량 주근과 배력근을 작업자가 직접 취급함에 따라 크고 작은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관여하는 작업을 최대한 줄인 철근 격자망 제조장치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작업자가 복수 개의 주근을 일정간격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체인을 이용하여 주근의 상부에 복수 개의 배력근을 일정간격을 두고 차례대로 공급하여 주근과 배력근의 교점을 스폿 용접하는 구조이다.
즉, 상기한 종래의 철근 격자망 제조장치는 여전히 작업자가 주근을 직접 취급하여 배열해야 하므로 적어도 두 명 이상의 작업자가 필요하여 인건비 절감 효과가 매우 적고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도 여전히 있다.
그리고 주근과 배력근의 교점을 스폿 방식으로 용접함에 따라 주근과 배력근의 교점 일부만을 순간적으로 국부 가열하여 접합함에 따라 주근과 배력근의 직경이 16mm 이상으로 굵은 경우 접합강도가 약하여 철근 격자망을 적재하고 운반하며 시공하는 과정에 주근과 배력근이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철근 격자망 제조장치는 주근의 선단을 지그재그 형태로 정렬하기 위한 구성이 전혀 포함되지 않아 이를 통해 제조된 철근 격자망에 철근 커플러를 적용할 수 없다. 즉, 종래의 철근 격자망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철근 격자망들을 다단 연결할 때 철근 커플러 적용이 불가능하여 주근을 기준으로 적어도 2m 이상을 겹이음하는 형태로 연결해야 하므로 그만큼 철근 소모가 많아지면서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철근 격자망의 제조효율을 높이고 품질을 향상시키며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철근 커플러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주근과 배력근의 공급부터 시작하여 철근 격자망의 제조가 완료될 때까지 작업자의 개입을 완전히 배제한 무인 자동화방식으로 철근 커플러 적용이 가능한 철근 격자망을 제조할 수 있는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0042호, 2012.03.07.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철근 격자망의 제조효율을 높이고 품질을 향상시키며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철근 커플러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주근과 배력근의 공급부터 시작하여 철근 격자망의 제조가 완료될 때까지 작업자의 개입을 완전히 배제한 무인 자동화방식으로 주근의 선단 정렬이 가능한 철근 격자망을 제조할 수 있는 주근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근 자동 공급 장치는 복수 개의 주근과 배력근이 격자형태로 접합된 철근 격자망을 제조하기 위해 주근을 자동 공급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주근이 상부에 적재되는 적재대; 상기 적재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주근을 좌우로 나란히 정렬하는 정렬체인; 상기 적재대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어 정렬된 상기 주근을 한 개씩으로 분리하는 계단분리기; 상기 계단분리기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된 멈춤턱이 구비되어 한 개씩 분리된 상기 주근을 경사지게 낙하시키는 낙하안내암; 상기 경사면 상에 구비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승강 운동하여 낙하하는 상기 주근의 낙하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멈춤턱에 멈춤시키는 감속스토퍼; 상기 멈춤턱의 전방에 설치되고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승강 운동하여 멈춤된 상기 주근을 상방으로 밀어주는 푸시바; 및 상기 낙하안내암의 단부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방으로 밀어진 상기 주근을 낙하시켜 공급하는 낙하안내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낙하안내편의 단부 하측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낙하 공급되는 상기 주근이 기설정된 공급지점에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공급지점안내편;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급지점안내편은 상기 공급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서 가이드하여 상기 공급지점으로 낙하되도록 하향 경사진 제1경사바와 상향 경사진 제2경사바가 상호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장치는 적재된 복수 개의 주근을 한 개씩 분리하여 차례대로 낙하시켜 공급하는 주근 공급부; 상기 주근 공급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공급된 상기 복수 개의 주근을 좌우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열하며 전후 이송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주근 배열부; 상기 주근 배열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배열된 상기 복수 개의 주근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주근 이송부; 상기 주근 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이송되는 상기 복수 개의 주근 선단 위치를 정렬하는 주근 정렬부; 상기 주근 정렬부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고 적재된 복수 개의 배력근을 한 개씩 차례대로 공급하는 배력근 공급부; 상기 배력근 공급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공급되는 상기 복수 개의 배력근을 배열된 상기 복수 개의 주근 상부에 차례대로 투입하는 배력근 투입부; 상기 배력근 투입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투입되는 상기 복수 개의 배력근을 상기 복수 개의 주근에 차례대로 용접하여 철근 격자망을 형성하는 용접부; 상기 주근 정렬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배력근이 상기 복수 개의 주근 상부에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차례대로 용접되도록 상기 철근 격자망을 전방으로 견인하는 격자망 견인부; 및 상기 견인부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견인부에 의해 견인되는 상기 철근 격자망이 상측에 적재되는 격자망 적재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근 공급부는 복수 개의 주근이 적재되는 적재대; 상기 적재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주근을 좌우로 나란하게 정렬하는 정렬체인; 상기 적재대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주근을 한 개씩으로 분리하는 계단분리기; 상기 계단분리기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된 멈춤턱이 구비되어 한 개씩 분리된 상기 주근을 경사지게 낙하시키는 낙하안내암; 상기 경사면 상에 구비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승강 운동하여 낙하하는 상기 주근의 낙하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멈춤턱에 멈춤시키는 감속스토퍼; 상기 멈춤턱의 전방에 설치되고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승강 운동하여 멈춤된 상기 주근을 상방으로 밀어주는 푸시바; 및 상기 낙하안내암의 단부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방으로 밀어진 상기 주근을 낙하시켜 공급하는 낙하안내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근 공급부는 상기 낙하안내편의 단부 하측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낙하 공급되는 상기 주근이 기설정된 공급지점에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공급지점안내편;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급지점안내편은 상기 공급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서 가이드하여 상기 공급지점으로 낙하되도록 하향 경사진 제1경사바와 상향 경사진 제2경사바가 상호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주근을 한 개씩 분리한 후 차례대로 이동시켜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공급함으로써 주근의 배열 작업을 원활하게 보장하여 어려움 없이 무인 자동화방식으로 철근 격자망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철근 격자망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 장치의 주근 공급부와 주근 배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 장치의 주근 공급부와 주근 배열부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 장치의 주근 공급부에 의한 주근 공급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건축 및 토목 공사에서 바렛말뚝(barrette pile), 슬러리월(slurry wall), 구조말뚝(structure pile), 물막이벽, 사각기둥, 보, 교각 등의 철근 골조로 사용되도록 복수 개의 주근과 배력근이 일정간격을 두고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고 접합되어 주근과 배력이 격자형태를 결합된 철근 격자망을 제조하기 위한 주근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주근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 장치는 주근을 철근 격자망의 제조효율을 높이고 품질을 향상시키며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철근 커플러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주근과 배력근의 공급부터 시작하여 철근 격자망의 제조가 완료될 때까지 작업자의 개입을 완전히 배제한 무인 자동화방식으로 주근의 선단 정렬이 가능한 철근 격자망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장치는 도 1과 같이 복수 개의 주근(M)과 배력근(S)이 격자형태로 결합된 철근 격자망(R)을 무인 자동화방식으로 연속 제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근 공급부(10), 주근 배열부(20), 주근 이송부(30), 주근 정렬부(40), 배력근 공급부(50), 배력근 투입부(60), 용접부(70), 격자망 견인부(80), 격자망 적재부(90), 격자망 받침부(100), 주근 승강부(110) 및 이송길이 감지부(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주근 공급부(10)는 복수 개의 주근(M)을 한 개씩 분리한 후 주근 배열부(20)로 차례대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때 주근(M)의 길이방향이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장치의 전후방향과 일치하도록 적재되고, 적재된 주근(M)은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한 개씩 분리되어 공급된다.
이를 위해 주근 공급부(10)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대(11), 정렬체인(12), 계단분리기(13), 낙하안내암(14), 감속스토퍼(15), 푸시바(16), 낙하안내편(17) 및 공급지점안내편(1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재대(11)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부에 주근(M)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적재되는 적재공간이 마련된 구성이다.
상기 정렬체인(12)은 복수 개로 구성되고 적재대(11)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며 서로 간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구동모터와 스프로킷에 의해 무한궤도 운동하여 적재대(11)에 적재된 주근(M)을 좌우방향으로 유동시켜 상하로 적층되지 않도록 좌우 나란하게 정렬하는 구성이다.
상기 계단분리기(13)는 적재대(11)의 우측에 설치되고 고정계단(13a)과 캠에 의해 편심되게 회전운동하는 회전계단(13b)이 구비되어 회전계단(13b)의 편심회전에 의해 좌우 나란하게 정렬된 주근(M)을 고정계단(13a)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한 개씩 분리하는 구성이다.
상기 낙하안내암(14)는 계단분리기(13)와 주근 배열부(20)의 사이에서 계단분리기(13)의 고정계단(13a)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면에 주근 배열부(20) 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14a)이 형성되며 단부에 경사면(14a)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멈춤턱(14b)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즉, 낙하안내암(14)은 계단분리기(13)에 의해 한 개씩 분리된 주근(M)을 경사면(14a)을 통해 주근 배열부(20) 측으로 경사지게 낙하시킨 후 멈춤턱(14b)으로 낙하를 멈춤시키는 구성이다.
한편, 낙하안내암(14)의 경사면(14a) 일측에는 낙하하는 주근(M)의 개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주근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속스토퍼(15)는 낙하안내암(14)의 경사면(14a) 일측에 설치되고 실린더(16a)의 작동에 따라 승강 운동하는 구성이다.
즉, 감속스토퍼(15)는 도 5와 같이 상승한 상태에서 낙하안내암(14)의 경사면(14a)을 따라 낙하하는 주근(M)의 낙하를 일시 중지시켜 속도를 낮춘 후 도 6과 같이 하강하여 주근(M)이 경사면(14a)을 따라 계속 낙하하여 멈춤턱(14b)에서 안정적으로 멈춤되도록 한다.
상기 푸시바(16)는 낙하안내암(14)의 멈춤턱(14b) 전방에 설치되고 실린더(16a)의 작동에 따라 승강 운동하는 구성이다.
즉, 푸시바(16)는 도 6과 같이 주근(M)이 멈춤턱(14b)에 멈춤된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상승하면서 주근(M)을 상방으로 밀어 멈춤턱(14b)에 걸리지 않고 주근 배열부(20) 측으로 낙하하여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낙하안내편(17)는 멈춤턱(14b)의 후방에 설치되어 푸시바(16)에 의해 멈춤턱(14b)에 걸리지 않도록 상방으로 밀어진 주근(M)을 주근 배열부(20)의 일측 상부로 경사지게 낙하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공급지점안내편(18)은 낙하안내편(17)의 단부 하측에 설치되어 낙하안내편(17)에 의해 주근 배열부(20)의 일측 상부로 낙하되는 주근(M)을 기설정된 공급지점에 맞게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구성이다.
이때 공급지점안내편(18)은 공급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서 가이드하여 상기 공급지점으로 낙하되도록 하향 경사진 제1경사바(18a)와 상향 경사진 제2경사바(18b)가 상호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주근 배열부(20)는 주근 공급부(10)의 우측에 설치되어 주근 공급부(10)에서 한 개씩 차례대로 분리 공급된 복수 개의 주근(M)을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하는 구성이다.
즉, 주근 배열부(20)는 주근 공급부(10)에 의해 공급되는 주근(M)을 차례대로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조하고자 하는 철근 격자망(R)의 주근(M) 배열 간격과 대응되게 좌우로 이격 배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근 배열부(20)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대(21), 배열체인(22) 및 배열롤러(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열대(21)는 주근 공급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부에 주근(M)을 배열하기 위한 배열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배열체인(22)은 배열대(21)의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구동모터와 스프로킷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무한궤도 운동하는 구성이다.
상기 배열롤러(23)는 배열체인(22)의 일측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외면에 주근(M)이 수용되는 "V"자형상의 주근수용홈이 형성되어 배열체인(22)의 무한궤도 운동에 따라 주근(M)을 차례대로 수용하여 좌우로 이격되게 배열하는 구성이다.
이때 주근(M) 간의 좌우간격은 배열롤러(23)의 설치간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라 배열롤러(23)의 설치간격이 100mm이면, 모든 배열롤러(23)에 주근(M)이 수용되면 100mm, 배열롤러(23) 두 개마다 주근(M) 한 개가 수용되면 200mm, 배열롤러(23) 세 개마다 주근(M) 한 개가 수용되면 300mm로 각각 주근(M)의 좌우간격이 결정된다.
그리고 주근 공급부(10)의 낙하지점안내편(18)은 주근(M)이 차례대로 수용되는 배열롤러(23)의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주근 배열부(20)는 철근 격자망의 규격에 따라 주근(M)의 좌우간격이 다양하게 적용되더라도 배열롤러(23)의 설치간격에 의해 대응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철근 격자망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주근 이송부(30)는 주근 배열부(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주근 배열부(20)에 의해 좌우로 이격 배열된 주근(M)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주근 이송부(30)는 지지대, 이송롤러 및 구동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주근 배열부(20) 상에 설치되고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이송롤러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지지대 상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며 전후방향을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양단이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다.
상기 구동체인은 지지대(31)의 일측에 설치되고 이송롤러의 일단에 고정된 스프로킷과 연결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무한궤도로 운동하면서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즉, 주근 이송부(30)는 구동체인의 무한궤도 운동에 따라 이송롤러가 회전 운동하여 이송롤러의 상부에 안착된 주근(M)을 전방으로 이송하게 된다.
단, 주근 이송부(30)는 기설정된 이송위치까지만 주근(M)을 전방으로 이송하고, 상기 이송위치 이후부터는 후술할 격자망 견인부(80)를 통해 주근(M)을 전방으로 견인한다.
다음으로, 상기 주근 정렬부(40)는 주근 이송부(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주근 이송부(30)에 의해 이송되는 주근(M)의 선단을 기설정된 정렬형태로 정렬하는 구성이다.
즉, 주근 정렬부(40)는 제조하고자 하는 철근 격자망(R)의 연결위치에 대응될 수 있도록 주근(M)의 선단을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정렬하거나 지그재그형태로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철근 커플러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주근(M)의 선단을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정렬할 때는 해당 철근 격자망(R)이 선두나 후미에 연결되는 경우이다. 그리고 주근(M)의 선단을 지그재그형태가 되도록 하나는 전방으로 이웃한 다른 하나는 후방에 위치하도록 정렬할 때는 해당 철근 격자망(R)이 선두나 후미의 철근 격자망(R)의 사이에 연결되는 경우이다.
이를 위해 주근 정렬부(40)는 전방지지축, 후방지지축, 전방머리정렬스토퍼 및 후방머리정렬스토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축은 주근 이송부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후방지지축은 전방지지축의 후방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전방머리정렬스토퍼는 주근(M)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고 전방지지축을 따라 좌우 간격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마련된 전방회전수단에 의해 수평각도에서 수직각도로 회전되는 구성이다.
상기 후방머리정렬스토퍼는 주근(M)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고 후방지지축을 따라 좌우 간격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마련된 후방회전수단에 의해 수평각도에서 수직각도로 회전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주근(M)의 선단을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정렬할 때는 전방머리정렬스토퍼를 전방회전수단을 통해 수평각도에서 수직각도로 회전시키고 후방머리정렬스토퍼는 수평 각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주근 이송부(30)로 주근(M)을 이송하면 된다.
그러면 주근(M)의 선단이 모두 전방머리정렬스토퍼에 밀착되면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단, 전방머리정렬스토퍼의 좌우간격을 주근(M)의 좌우 배열간격과 대응되게 조절한다.
그리고 주근(M)의 선단을 지그재그 형태로 정렬할 때는 전방머리정렬스토퍼를 전방회전수단을 통해 수평각도에서 수직각도로 회전시키고 후방머리정렬스토퍼를 전방머리정렬스토퍼의 사이사이에서 후방회전수단을 통해 수평각도에서 수직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주근 이송부(30)를 통해 주근(M)을 이송하면 된다.
그러면 주근(M)의 선단은 한 개 간격으로 전방머리정렬스토퍼와 후방머리정렬스토퍼에 번갈아가며 밀착되면서 지그재그형태로 정렬된다. 단, 전방머리정렬스토퍼와 후방머리정렬스토퍼 간의 좌우간격은 주근(M)의 좌우 배열간격과 대응되게 조절해야 한다.
따라서 주근(M)의 선단이 지그재그 혹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으므로 철근 커플러를 적용할 수 있는 철근 격자망(R)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주근 정렬부(40)에 의해 주근(M)의 선단 정렬이 완료되면 주근 이송부(30)를 통해 주근(M)을 전방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전방머리정렬스토퍼와 후방머리정렬스토퍼를 수직각도에서 수평각도로 회전시켜 주근(M)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력근 공급부(50)는 주근 정렬부(40)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어 적재된 복수 개의 배력근(S)을 한 개씩 차례대로 분리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때 배력근(S)의 길이방향이 좌우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적재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한 개씩 분리 공급된다. 그러면 주근(M)과 배력근(S)은 상호 수직으로 교차하면서 격자형태로 연결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를 위해 배력근 공급부(50)는 적재대, 정렬체인 및 계단분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재대는 주근 정렬부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부에 배력근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적재될 수 있는 적재공이 마련된 구성이다.
상기 정렬체인은 복수 개로 구성되고 적재대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고 서로 간에는 좌우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구동모터와 스프로킷에 의해 무한궤도 운동하여 적재대에 적재된 배력근을 전후방향으로 유동시켜 상하로 적층되지 않도록 전후 나란하게 정렬하는 구성이다.
상기 계단분리기는 적재대의 후방에 설치되고 고정계단과 캠에 의해 편심되게 회전운동하는 회전계단이 구비되어 회전계단의 편심회전에 의해 전후 나란하게 정렬된 배력근(S)을 고정계단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한 개씩 분리하여 공급하는 구성이다.
즉, 적재대에 배력근(S)이 적재되면 배력근(S)이 상하로 적층되지 않도록 정렬체인을 통해 전후 가지런하게 정렬한 후 계단분리기를 통해 한 개씩 분리하여 공급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력근 투입부(60)는 배력근 공급부(50)의 전방에 설치되어 배력근 공급부(50)에 의해 한 개씩 분리 공급되는 배력근(S)을 주근 이송부(30)에 의해 이송되는 주근(M)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차례대로 투입하는 구성이다.
즉, 배력근 투입부(60)는 주근(M)의 상부에 배력근(S)을 좌우방향으로 길게 투입하여 주근(M)과 배력근(S)이 격자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배력근 투입부(60)는 경사대, 투입체인 및 운반갈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대는 배력근 공급부(50)의 전방에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설치되고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가진 구성이다.
상기 투입체인은 복수 개로 구성되고 경사대를 따라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서로 간에 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구동모터와 스프로킷에 의해 무한궤도 운동하는 구성이다.
상기 운반갈퀴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투입체인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투입체인이 무한궤도 운동할 때 배력근 공급부(50)에 의해 한 개씩 분리 공급된 배력근(S)을 차례대로 하향 운반하는 구성이다.
즉, 배력근 투입부(60)는 한 개씩 분리 공급되는 배력근(S)을 차례대로 하향 경사진 각도로 운반하여 주근 이송부(30)에 의해 전방 이송되는 주근(M)의 상부에 투입한다.
다음으로, 상기 용접부(70)는 배력근 투입부(60)의 전방에 설치되어 배력근 투입부(60)에 의해 주근(M)의 상부에 한 개씩 차례대로 투입되는 배력근(S)을 주근(M)에 용접하여 철근 격자망(R)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용접부(70)는 용접거더, 이동블록, CO2용접기 및 배력근고정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접거더는 배력근 투입부(60)의 전방에 배력근(S)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이동블록은 복수 개로 구성되고 지지대에 설치되며 주근(M)의 좌우 배열간격과 대응되도록 지지대를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CO2용접기는 이동블록에 각각 설치되어 투입된 배력근(S)을 주근(M)과 CO2 방식으로 동시에 용접하는 구성이다.
이때 CO2용접기는 주근(M) 내지 철근 격자망(R)이 전방으로 이송 내지 견인 가능하도록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LM가이드를 사이에 두고 이동블록에 연결된다.
즉, CO2용접기는 주근(M) 내지 철근 격자망(R)이 전방으로 이송 내지 견인될 때는 상승 운동하고 주근(M) 내지 철근 격자망(R)이 전방으로 이송 내지 견인이 완료될 때는 하강 운동하여 주근(M)과 배력근(S)을 용접한다.
단, CO2용접기가 승강 운동할 때 CO2용접기로 공급되는 용접와이어가 배력근(S)에 걸리지 않고 CO2용접기의 단부가 배력근(S)과 주근(M)이 만나는 교점까지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LM가이드는 상단이 후방으로 경사진 각도로 설치된다.
상기 배력근고정구는 CO2용접기로 배력근(S)을 주근(M)에 용접할 때 배력근(S)이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성이다.
즉, 배력근 투입부(60)에 의해 배력근(S)이 차례대로 투입되면 배력근고정구에 의해 배력근(S)이 고정된 후 CO2용접기가 동시 작동하여 배력근(S)을 주근(M)에 CO2 용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용접작업을 주근(M)에 연결되는 배력근(S)의 개수에 대응되게 반복 수행하면 철근 격자망(R)을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용접부(70)에 의해 용접작업이 반복 수행될 때 배력근(S)이 주근(M)에 일정간격으로 용접될 수 있도록 주근(M) 내지 철근 격자망(R)은 주근 이송부(30)와 격자망 견인부(80)에 의해 다단 이송 내지 견인된다.
여기서 CO2용접 방식으로 주근(M)과 배력근(S)을 접합하는 이유는 스폿 용접에 비해 설비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주근(M)과 배력근(S)의 직경이 16mm 이상으로 매우 굵은 경우에도 배력근(S)과 주근(M)의 접합강도가 우수하여 적재, 운반 및 시공작업 중에 주근(M)과 배력근(S)이 서로 떨어질 우려가 없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격자망 견인부(80)는 주근 정렬부(40)의 전방에 설치되어 주근(M)의 상부에 배력근(S)이 용접된 철근 격자망(R)을 전방으로 견인하는 구성이다.
단, 격자망 견인부(80)는 용접부(70)에 의해 반복 수행되는 용접 작업과 연동할 수 있도록 철근 격자망을 전방으로 다단 견인한다. 즉, 용접부(80)에서 용접 작업이 수행되면 배력근(S)의 설치간격과 대응되는 견인길이만큼 철근 격자망(R)을 전방으로 견인한다.
이를 위해 격자망 견인부(80)는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레일, 이동블록, 연결대 및 견인클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견인레일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주근 정렬부(40)의 전방 하부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이동블록은 견인레일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견인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구성이다.
상기 연결대는 이동블록의 상부를 좌우로 연결하도록 견인레인을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이동블록과 함께 직선 이동하는 구성이다.
상기 견인클램프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연결대의 후단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실린더가 구비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철근 격자망(R)의 배력근(S)을 파지하는 구성이다.
즉,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복수 개의 견인클램프가 철근 격자망의 배력근(S)을 동시 파지한 상태에서 구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이동블록의 전방 이동하면서 철근 격자망을 전방으로 견인한다.
단, 격자망 견인부(80)는 주근 정렬부(40)와 배력근 공급부(50)와 배력근 투입부(60) 및 용접부(70)의 크기와 배치에 따라 철근 격자망(R)이 견인클램프가 파지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송되면 비로소 동작하고, 그 이전까지의 철근 격자망(R)의 전방 이송은 주근 이송부(30)가 담당한다.
다음으로, 상기 격자망 적재부(90)는 격자망 견인부(8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격자망 견인부(80)에 의해 견인 완료된 철근 격자망 복수 개를 상하로 적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격자망 적재부(90)는 적재대, 가이드롤러 및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재대는 격자망 견인부(8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고 내측에 철근 격자망(80)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이 마련된 구성이다.
상기 가이드롤러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적재대 상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며 서로 간에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철근 격자망(R)과의 접촉시 구름운동하여 적재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승강수단은 적재대에 구비되어 적재대를 상하 다단으로 승강시켜 복수 개의 철근 격자망(R)이 적재대에 안정적으로 적재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승강수단에 의해 적재대가 최고 높이로 승강된 상태에서 격자망 견인부(80)에 의해 철근 격자망(R)이 한 개씩 차례대로 견인되어 적재될 때 단계별로 적재대의 높이를 낮춰가면서 복수 개의 철근 격자망(R)을 동시에 적재한다.
실시예에 따라 적재대(91)에 총 5개의 철근 격자망(R)을 적재하고자 하는 경우 적재대는 최고 높이로 상승한 상태에서 승강수단(93)에 의해 총 5단계로 하강하게 되면 총 5개의 철근 격자망(R)을 적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격자망 받침부(100)는 격자망 적재부(90)의 상부에 설치되어 격자망 견인부(80)에 의해 견인되는 철근 격자망(R)의 견인을 원활하게 하는 구성이다.
즉, 격자망 받침부(100)는 격자망 적재부(90) 또는 격자망 적재부(90)에 그 이전에 적재된 다른 철근 격자망(R)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격자망 받침부(100)는 가이드레일, 이동블록 및 크로스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격자망 적재부(9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이동블록은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구성이다.
상기 크로스바는 이동블록의 상부를 좌우로 연결하여 격자망 견인부(80)에 의해 견인되는 철근 격자망(R)을 하부에서 받쳐주는 구성이다.
즉, 철근 격자망(R)이 격자망 견인부(80)에 의해 전방으로 견인될 때 크로스바가 격자망 적재부(90)의 상부에서 제1위치에 위치하여 철근 격자망(R)이 원활하게 견인되도록 한다.
그러다가 철근 격자망(R)이 견인 완료되면 크로스바가 제1위치보다 전방인 제2위치로 이동하여 철근 격자망(R)이 격자망 적재부(90)로 낙하하여 적재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다시 새로운 철근 격자망(R)이 견인될 때는 다시 제1위치로 이동하여 격자망 견인부(80)에 의한 철근 격자망(R)의 견인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주근 승강부(110)는 주근 배열부(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주근 배열부(20)를 승강시키는 구성이다.
즉, 주근 승강부(110)는 주근(M)이 주근 이송부(3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주근 배열부(20)를 제1높이로 하강시켜 주근(M)이 주근 이송부(30)의 이송롤러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주근(M)이 주근 배열부(20)에 의해 배열되거나 격자망 견인부(80)에 의해 전방으로 견인 가능하도록 주근 배열부(20)를 제1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로 상승시켜 주근(M)이 배열롤러의 주근수용홈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주근 승강부(110)는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 팽창튜브, 공기압축기 및 개폐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주근 배열부(20)의 지지대를 이루는 수직지지대의 중간부에 상하 이격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팽창튜브(112)는 지지판 간의 상하 이격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하로 팽창되면서 주근 배열부(20)의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공기압축기는 팽창튜브가 팽창되도록 외부의 공기를 압축하여 공기압을 팽창뷰브에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기 개폐밸브는 공기압축기와 팽창튜브를 연결하는 공압배관 상에 연결되어 공기압축기에서 팽창튜브로 공급되는 공기압을 단속하여 팽창튜브가 팽창 또는 원상태로 수축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즉, 주근(M)이 주근 배열부(20)에 의해 배열되거나 격자망 견인부(80)에 의해 전방으로 견인될 때는 공기압이 인가되면서 팽창튜브가 상하로 팽창되어 주근(M)이 배열롤러의 주근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주근(M)이 주근 이송부(3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될 때는 공기압이 해제되면서 팽창튜브가 원상태로 수축되어 주근(M)이 이송롤러에 밀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이송길이 감지부(120)는 용접부(70)의 하부에 설치되어 주근 이송부(30)에 의해 전방 이송되는 주근(M)의 이송길이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즉, 이송길이 감지부(120)는 주근(M)에 배력근(S)이 차례대로 용접된 후 주근 이송부(30)에 의해 이송될 때 주근(M)의 이송길이를 감지하여 배력근(S)의 간격을 기설정된 간격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이송길이 감지부(120)가 필요한 이유는 주근 이송부(30)에 의해 주근(M)이 이송될 때 주근(M)과 이송롤러(32) 간의 슬립 현상 등이 발생하여 주근(M)의 이송길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단, 이송길이 감지부(120)는 주근(M)의 이송길이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 주근(M)에 차례대로 용접되는 배력근(S)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송길이 감지부(120)는 지지대 및 감지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용접부(70)의 하부에 설치되고 배력근(S)의 간격 조절을 위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감지바는 지지대의 단부에 상방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상방으로 돌출되는 구성이다.
즉, 주근 이송부(30)에 의해 주근(M)이 전방으로 이송되는 중에 감지바가 구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면서 배력근(S)과 밀착된다. 그러면 주근 이송부(30)에 의한 주근(M)에 대한 전방 이송이 중단되고, 배력근 투입부(60)에 의해 새로운 배력근(S)이 투입된 후 용접부(70)에 의해 용접된다.
따라서 상기한 동작을 반복 수행하면 주근(M)에 대한 이송길이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주근(M)에 용접되는 배력근(S)의 간격도 일정하게 맞출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주근 공급부
11: 적재대
12: 정렬체인
13: 계단분리기
13a: 고정계단
13b: 회전계단
14: 낙하안내암
14a: 경사면
14b: 멈춤턱
15: 감속스토퍼
15a: 실린더
16: 푸시바
16a: 실린더
17: 낙하안내편
18: 공급지점안내편
18a: 제1경사바
18b: 제2경사바
20: 주근 배열부
21: 배열대
22: 배열체인
23: 배열롤러
30: 주근 이송부
40: 주근 정렬부
50: 배력근 공급부
60: 배력근 투입부
70: 용접부
80: 격자망 견인부
90: 격자망 적재부
100: 격자망 받침부
110: 주근 승강부
120: 이송길이 감지부
R: 격자망
M: 주근
S: 배력근

Claims (7)

  1. 복수 개의 주근과 배력근이 격자형태로 접합된 철근 격자망을 제조하기 위해 주근을 자동 공급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주근이 상부에 적재되는 적재대;
    상기 적재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주근을 좌우로 나란히 정렬하는 정렬체인;
    상기 적재대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어 정렬된 상기 주근을 한 개씩으로 분리하는 계단분리기;
    상기 계단분리기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된 멈춤턱이 구비되어 한 개씩 분리된 상기 주근을 경사지게 낙하시키고 상기 경사면의 일측에 상기 주근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주근감지센서가 구비되는 낙하안내암;
    상기 경사면 상에 구비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승강 운동하여 낙하하는 상기 주근의 낙하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멈춤턱에 멈춤시키는 감속스토퍼;
    상기 멈춤턱의 전방에 설치되고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승강 운동하여 멈춤된 상기 주근을 상방으로 밀어주는 푸시바;
    상기 낙하안내암의 단부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방으로 밀어진 상기 주근을 경사지게 낙하시켜 공급하는 낙하안내편;
    상기 낙하안내편의 단부 하측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낙하 공급되는 상기 주근이 기설정된 공급지점에 낙하되게 안내하도록 상기 공급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서 가이드하여 상기 공급지점으로 낙하되도록 하향 경사진 제1경사바와 상향 경사진 제2경사바가 상호 결합된 형태를 가지는 공급지점안내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근 자동 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적재된 복수 개의 주근을 한 개씩 분리하여 차례대로 낙하시켜 공급하는 주근 공급부;
    상기 주근 공급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공급된 상기 복수 개의 주근을 좌우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열하며 전후 이송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주근 배열부;
    상기 주근 배열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배열된 상기 복수 개의 주근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주근 이송부;
    상기 주근 이송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이송되는 상기 복수 개의 주근 선단 위치를 정렬하는 주근 정렬부;
    상기 주근 정렬부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고 적재된 복수 개의 배력근을 한 개씩 차례대로 공급하는 배력근 공급부;
    상기 배력근 공급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공급되는 상기 복수 개의 배력근을 배열된 상기 복수 개의 주근 상부에 차례대로 투입하는 배력근 투입부;
    상기 배력근 투입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투입되는 상기 복수 개의 배력근을 상기 복수 개의 주근에 차례대로 용접하여 철근 격자망을 형성하는 용접부;
    상기 주근 정렬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배력근이 상기 복수 개의 주근 상부에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차례대로 용접되도록 상기 철근 격자망을 전방으로 견인하는 격자망 견인부; 및
    상기 견인부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견인부에 의해 견인되는 상기 철근 격자망이 상측에 적재되는 격자망 적재부;로 구성되되,
    상기 주근 공급부는
    복수 개의 주근이 적재되는 적재대;
    상기 적재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주근을 좌우로 나란하게 정렬하는 정렬체인;
    상기 적재대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주근을 한 개씩으로 분리하는 계단분리기;
    상기 계단분리기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며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된 멈춤턱이 구비되어 한 개씩 분리된 상기 주근을 경사지게 낙하시키고 상기 경사면의 일측에 상기 주근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주근감지센서가 구비되는 낙하안내암;
    상기 경사면 상에 구비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승강 운동하여 낙하하는 상기 주근의 낙하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멈춤턱에 멈춤시키는 감속스토퍼;
    상기 멈춤턱의 전방에 설치되고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승강 운동하여 멈춤된 상기 주근을 상방으로 밀어주는 푸시바;
    상기 낙하안내암의 단부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방으로 밀어진 상기 주근을 경사지게 낙하시켜 공급하는 낙하안내편;
    상기 낙하안내편의 단부 하측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낙하 공급되는 상기 주근이 기설정된 공급지점에 낙하되게 안내하도록 상기 공급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서 가이드하여 상기 공급지점으로 낙하되도록 하향 경사진 제1경사바와 상향 경사진 제2경사바가 상호 결합된 형태를 가지는 공급지점안내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62290A 2018-05-31 2018-05-31 주근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 장치 KR101940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290A KR101940549B1 (ko) 2018-05-31 2018-05-31 주근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290A KR101940549B1 (ko) 2018-05-31 2018-05-31 주근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549B1 true KR101940549B1 (ko) 2019-01-21

Family

ID=6527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290A KR101940549B1 (ko) 2018-05-31 2018-05-31 주근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5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725B1 (ko) * 2019-11-21 2020-03-11 (주) 건우기계 철근 구조물 자동 용접 장치
CN111300635A (zh) * 2020-03-24 2020-06-19 北京智创赋能技术开发中心(有限合伙) 一种预应力轨枕钢筋上料机构
KR102305779B1 (ko) 2021-05-13 2021-09-30 한국철강산업(주) 사각 기둥 철근용 xy 철근 격자망 제조를 위한 철근 자동 배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768A (ja) * 1994-01-10 1995-08-08 Mitsuba Seisakusho:Kk 金網溶接機への横筋供給装置
KR100261137B1 (ko) * 1997-12-30 2000-07-01 정순착 건축용 및 토목용 이형철근 용접철망의 제조장치
KR20020029183A (ko) * 2000-10-12 2002-04-18 안성호 건축용 패널용 와이어메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20042A (ko) 2010-08-26 2012-03-07 한국철강산업(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용 철근 격자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7745B1 (ko) * 2016-07-08 2017-01-18 한국철강산업(주) 철근 무인 자동 밴딩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768A (ja) * 1994-01-10 1995-08-08 Mitsuba Seisakusho:Kk 金網溶接機への横筋供給装置
KR100261137B1 (ko) * 1997-12-30 2000-07-01 정순착 건축용 및 토목용 이형철근 용접철망의 제조장치
KR20020029183A (ko) * 2000-10-12 2002-04-18 안성호 건축용 패널용 와이어메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20042A (ko) 2010-08-26 2012-03-07 한국철강산업(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용 철근 격자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7745B1 (ko) * 2016-07-08 2017-01-18 한국철강산업(주) 철근 무인 자동 밴딩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725B1 (ko) * 2019-11-21 2020-03-11 (주) 건우기계 철근 구조물 자동 용접 장치
CN111300635A (zh) * 2020-03-24 2020-06-19 北京智创赋能技术开发中心(有限合伙) 一种预应力轨枕钢筋上料机构
KR102305779B1 (ko) 2021-05-13 2021-09-30 한국철강산업(주) 사각 기둥 철근용 xy 철근 격자망 제조를 위한 철근 자동 배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928B1 (ko)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장치
KR101940549B1 (ko) 주근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 장치
CN110480221B (zh) 一种焊接钢筋网片时的纵向短筋上料布筋装置及其方法
CN111891760A (zh) 一种桁架楼承板生产线
CN210451492U (zh) 一种焊接钢筋网片时的纵向短筋上料布筋装置
KR20180104392A (ko) 철근 자동 정렬 및 절단장치
KR100948373B1 (ko) 철근 절단 및 절곡기의 3헤드-철근자동이송장치
KR101094565B1 (ko) 트러스거더와 단부재의 자동용접장치
CN212355736U (zh) 一种桁架楼承板生产线
KR100773229B1 (ko) 자동 형강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형강절단방법
CN114632896A (zh) 钢筋笼自动化生产设备及生产方法
CN110420876B (zh) 一种管料高效并行分拣机及管料分拣方法
KR100693279B1 (ko) 트러스거더의 자동용접장치
CN216945073U (zh) 一种工字钢自动上料平台
CN114619174B (zh) 工字钢自动对接焊接装置
CN114620464A (zh) 工字钢自动上料平台
CN109665330B (zh) 一种留出通孔的砖块码垛方法
CN219864906U (zh) 一种钻杆拖运兼辅助作业装置
CN111889913A (zh) 一种桁架端面自动焊接设备
KR102560735B1 (ko) 용접철근 격자망을 이용한 철근망 선조립 시공방법
JP2788003B2 (ja) 鉄筋プレファブ自動組立装置
JP4442975B2 (ja) Alcパネル用鉄筋マット製造装置における鉄筋マット搬送装置
JP2974278B2 (ja) 鉄筋プレファブ自動組立システム
CN117532729B (zh) 一种预应力混凝土箱梁纵向钢筋自动组拼***及组拼方法
JPH07144743A (ja) 直棒材の整列計数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