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808B1 - printing method of color pattern for contactlens mold and color contactlens mold - Google Patents

printing method of color pattern for contactlens mold and color contactlens mol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808B1
KR101938808B1 KR1020160076020A KR20160076020A KR101938808B1 KR 101938808 B1 KR101938808 B1 KR 101938808B1 KR 1020160076020 A KR1020160076020 A KR 1020160076020A KR 20160076020 A KR20160076020 A KR 20160076020A KR 101938808 B1 KR101938808 B1 KR 101938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mold
printed
areas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0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42493A (en
Inventor
주형태
장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스
Priority to KR1020160076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808B1/en
Publication of KR2017014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4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8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29D11/00894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colouring or tinting
    • B29D11/00903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colouring or tinting on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17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29D11/00923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on lens surfaces for colouring or t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러 콘택트렌즈용 몰드의 컬러패턴 인쇄방법과 이를 이용한 컬러 콘택트렌즈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컬러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에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컬러패턴을 인쇄함으로써 몰드의 제작공정을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어 몰드 제작에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컬러패턴 인쇄방법과 이를 이용한 컬러 콘택트렌즈용 몰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컬러 콘택트렌즈용 몰드의 컬러패턴 인쇄방법은 볼록한 곡면의 코어가 상부에 형성된 몰드를 테이블에 장착하는 장착단계와, 코어의 정점에 위치하는 광학존을 제외한 나머지의 코어 표면을 다수의 인쇄대상영역들로 구획하는 구획단계와, 몰드의 상방에 설치된 잉크젯 헤드를 통해 상기 인쇄대상영역들에 잉크를 분사하여 상기 코어의 표면에 컬러패턴을 인쇄하는 프린팅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린팅단계는 상기 인쇄대상영역별로 상기 컬러패턴을 분할하여 인쇄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pattern printing method for a mold for a color contact lens and a mold for a color contact lens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ld for manufacturing a color contact lens by printing a color pattern using an in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pattern printing method and a mold for a color contact lens using the same.
A color pattern printing method of a mold for a color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unting step of mounting a mold having a convex curved core on a table to a table and a step of mounting a remaining core surface except an optical zone located at a vertex of the core, And a printing step of printing a color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core by ejecting ink to the areas to be printed through an ink jet head installed above the mold, The color pattern is divided and printed for each print target area.

Description

컬러 콘택트렌즈용 몰드의 컬러패턴 인쇄방법과 이를 이용한 컬러 콘택트렌즈용 몰드{printing method of color pattern for contactlens mold and color contactlens mol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pattern printing method of a mold for a color contact lens and a mold for a color contact len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컬러 콘택트렌즈용 몰드의 컬러패턴 인쇄방법과 이를 이용한 컬러 콘택트렌즈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컬러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에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컬러패턴을 인쇄함으로써 몰드의 제작공정을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어 몰드 제작에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컬러패턴 인쇄방법과 이를 이용한 컬러 콘택트렌즈용 몰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pattern printing method for a mold for a color contact lens and a mold for a color contact lens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ld for manufacturing a color contact lens by printing a color pattern using an in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pattern printing method and a mold for a color contact lens using the same.

콘택트렌즈 착용 인구 증가와 더불어 지속적인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개발 노력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시력교정이라는 콘택트렌즈 고유의 임무 외에도 미용효과까지 낼 수 있는 칼라 콘택트렌즈의 개발은 여성들의 미적 추구 욕구와 제품개발 성과가 어우러져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를 콘택트렌즈 분야의 중요한 제품군 중의 하나로 등장하게 하였다.Along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earing contact lenses, efforts have been actively made to develop a variety of products that can generate continuous demand. In addition to the unique mission of contact lenses called vision correction, the development of color contact lenses, which can achieve cosmetic effects, combines the aesthetic pursuit desire of women and product development achievements, making beauty color contact lenses an important product line in the contact lens field.

특히 세계가 글로벌화되면서 서로 다른 인종과 문화권 사이의 교류가 많아져 눈동자의 색깔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미용 컬러 콘택트렌즈에 관한 수요는 더욱 증대되고 있다.In particular, as the world is becoming globalized, the exchange of different races and cultures increases, and the demand for beauty color contact lenses that can change the color of the eyes at will is further increasing.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 부류로 나누어지는데 첫번째로 투명 채색 렌즈가 있다. 투명 채색렌즈는 본래의 홍채 색상을 변경시켜 주는 목적보다는 투명성을 강조하거나, 광선의 차단 효과 등을 위하여 개발되었다. 따라서 투명 채색렌즈로는 눈동자를 원하는 색상으로 변경시켜주는 데는 한계가 있어 미용용보다는 식별용이나 자외선 차단용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두 번째는 본래의 홍채 색상을 다른 색상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불투명 채색렌즈이다. There are two main types of cosmetic contact lenses. Firstly, there are transparent colored lenses. Transparent colored lenses were developed to emphasize transparency rather than to change the original iris color, or to block rays of light. Therefore, the transparent colored lens has limitations in changing the pupil to a desired color, and is used for identification purposes or ultraviolet ray shielding rather than beauty use. The second is an opaque coloring lens that can change the original iris color to another color.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암몰드에 렌즈성형용 고분자 물질을 투입한후 숫몰드를 암몰드와 결합시킨 다음 일정 시간 그대로 두어 렌즈 성형액을 경화시킨다. 그리고 숫몰드와 암몰드를 분리하여 성형된 콘택트렌즈를 얻을 수 있다. In order to manufacture a contact lens, a polymer material for lens molding is usually injected into an arm mold, the male mold is bonded to the arm mold, and then the lens mold is c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n, a molded contact lens can be obtained by separating the male mold and the arm mold.

컬러 콘택트렌즈의 경우에는 암몰드와 결합되는 숫몰드의 코어에 컬러패턴이 인쇄되어 있어서 성형과정에서 컬러패턴이 렌즈의 표면에 전사된다. 따라서 컬러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코어의 표면에 컬러패턴이 인쇄된 몰드가 있어야 한다. In the case of a color contact lens, a color pattern is printed on the core of the male mold coupled with the female mold, so that the color pattern is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lens during the molding process. Therefore, in order to manufacture a color contact lens, a mold having a color pattern printed on the surface of a core having a curved shape must be provided.

특정 형태의 컬러패턴이 인쇄된 몰드를 제작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패드프린팅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패드프린팅 방법은 컬러패턴을 디자인한 후 이미지를 색상별로 필름에 인쇄한 다음 인쇄된 필름을 이용하여 동판을 에칭시킨다. 그리고 에칭된 동판을 이용하여 컬러패턴을 만든 다음 실리콘 패드에 부착시킨 후 실리콘 패드를 몰드에 찍어서 몰드에 컬러패턴이 최종적으로 인쇄된다. A pad printing method is typically used to produce molds with certain types of color patterns printed on them. The pad printing method designs a color pattern, prints the image on a film by color, and then etches the copper plate using the printed film. Then, a color pattern is formed by using the etched copper plate, then attached to the silicon pad, and the silicon pattern is finally printed on the mold by printing on the mold.

패드프린팅 방식의 인쇄방법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0298호에는 컬러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컬러 콘택트렌즈에 개시되어 있다. A printing method using a pad printing method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910298, and a color contact lens manufactured by the method.

상기 특허는 부식판에 원하는 형상의 디자인을 채색하여 부식시키는 단계; 상기 디자인이 형성된 부식판에 채색부 형성용 조성물을 프린팅하는 단계; 상기 프린팅된 채색부 형성용 조성물을 실리콘 패드에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채색부 형성용 조성물로 구성된 디자인을 몰드에 이전하기 위하여 실리콘 패드를 몰드 상에 프린팅하는 단계; 상기 채색부 형성용 조성물의 중합율이 60 내지 80%가 될 때까지 UV를 8 내지 25분간 조사하고 상기 조성물을 중합하여 채색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색부의 상부에 렌즈 형성용 고분자를 도포하여 렌즈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컬러 콘택트렌즈를 제조한다. The above patent discl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rrugated board, comprising the steps of: Print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colored part on a corrosion plate on which the design is formed; Attaching the printed color forming composition to a silicon pad; Printing a silicone pad onto the mold to transfer the design composed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colored part to the mold; Irradiating UV for 8 to 25 minutes until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colored part becomes 60 to 80%, and polymerizing the composition to form a colored part; And forming a lens by applying a polymer for forming a len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lored portion.

위와 같이 종래의 패드프린팅에 의한 인쇄방법은 몰드제작이 매우 복잡하다. 또한, 몰드제작에 걸리는 시간과 비용, 인력이 많이 소모되어 생산단가를 올리는 원인이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method of printing by pad printing is very complicated in producing a mold. In addition, the time, cost, and manpower required for the mold production are consumed to increase the production cos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0298호: 컬러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컬러 콘택트렌즈Korean Patent No. 10-0910298: Method for manufacturing color contact lens and color contact lens manufactured by the method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은 종래의 패드프린팅 방식을 대체하여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몰드에 컬러패턴을 인쇄함으로써 몰드의 제작공정을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몰드제작에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컬러패턴 인쇄방법과 이를 이용한 컬러 콘택트렌즈용 몰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an replace a conventional pad printing method and print a color pattern on a mold by an ink-jet printing metho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greatly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ol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lor pattern printing method and a mold for a color contact lens using the sam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컬러 콘택트렌즈용 몰드의 컬러패턴 인쇄방법은 볼록한 곡면의 코어가 상부에 형성된 몰드를 테이블에 장착하는 장착단계와; 상기 코어의 정점에 위치하는 광학존을 제외한 나머지의 코어 표면을 다수의 인쇄대상영역들로 구획하는 구획단계와; 상기 몰드의 상방에 설치된 잉크젯 헤드를 통해 상기 인쇄대상영역들에 잉크를 분사하여 상기 코어의 표면에 컬러패턴을 인쇄하는 프린팅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린팅단계는 상기 인쇄대상영역별로 상기 컬러패턴을 분할하여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lor pattern printing method for a color contact lens mold, including: mounting a mold having a convex curved core on a table; Dividing a remaining core surface except an optical zone located at a vertex of the core into a plurality of print target areas; And printing a color pattern on a surface of the core by spraying ink onto the areas to be printed through an inkjet head installed above the mold, And printing is performed in a divided manner.

상기 구획단계는 상기 코어의 표면을 높이에 따라 가로방향으로 구획하여 상기 인쇄대상영역들이 상기 광학존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형성한다.Wherein the dividing step divides the surface of the core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height so that the printing target areas form a concentric circle around the optical zone.

상기 프린팅단계는 상기 몰드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잉크젯 헤드를 상기 인쇄대상영역들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잉크젯 헤드와 상기 인쇄대상영역들의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인쇄한다.The printing step moves the ink jet hea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areas to be printed in a state where the height of the mold is fixed and prints while maintaining the same interval between the inkjet head and the areas to be printed.

상기 프린팅단계는 상기 잉크젯 헤드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를 상기 인쇄대상영역들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잉크젯 헤드와 상기 인쇄대상영역들의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인쇄한다.The printing is performed by moving the mol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areas to be printed in a state where the height of the ink jet head is fixed while maintaining the same interval between the inkjet head and the areas to be printed.

상기 잉크젯 헤드는 높이를 달리하여 다수가 상기 몰드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프린팅단계는 상기 인쇄대상영역들 각각을 인쇄할 때마다 상기 몰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다수의 잉크젯 헤드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인쇄대상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인쇄한다.Wherein the plurality of inkjet heads are positioned above the mold at different heights and the printing step moves the molds in a horizontal direction each time the respective printing target areas are printed so that one of the plurality of inkjet heads Prints one of the areas to be printed.

상기 잉크젯 헤드는 동일한 높이에 다수가 상기 몰드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프린팅단계는 상기 인쇄대상영역들 각각을 인쇄할 때마다 상기 몰드를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다수의 잉크젯 헤드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인쇄대상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인쇄한다.Wherein the plurality of ink jet heads ar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nd above the mold, and the printing step moves the mol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every time the respective printing target areas are printed, One of which prints one of the areas to be printed.

상기 프린팅단계는 어느 하나의 줄에 해당하는 몰드에 어느 하나의 인쇄대상영역을 인쇄한 후 상기 잉크젯 헤드 또는 상기 몰드를 이동시켜 다른 줄에 해당하는 몰드에 어느 하나의 인쇄대상영역을 인쇄한다. In the printing step, any one of the printing target areas is printed on a mold corresponding to one line, and then the ink jet head or the mold is moved to print one of the printing target areas on a mold corresponding to another line.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컬러 콘택트렌즈용 몰드는 상기 인쇄방법에 의해 코어에 컬러패턴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lor contact lens mold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lor pattern is printed on the core by the printing metho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종래의 패드프린팅 방식을 대체하여 제작공정을 매우 간소화시킬 수 있는 잉크젯 프린팅 방식의 인쇄방법을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k-jet printing type printing method which can greatly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replacing the conventional pad printing method, which is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컬러패턴을 인쇄함으로써 몰드의 제작에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and cost involved in producing a mold by printing a color pattern on a mold for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using an inkjet print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몰드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몰드의 코어 표면이 3개의 인쇄대상영역으로 구획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인쇄대상영역별로 나누어서 컬러패턴을 인쇄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인쇄대상영역별로 나누어서 컬러패턴을 인쇄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인쇄대상영역별로 나누어서 컬러패턴을 인쇄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인쇄대상영역별로 나누어서 컬러패턴을 인쇄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인쇄대상영역별로 나누어서 컬러패턴을 인쇄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mol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re surface of the mold applied in FIG. 1 is divided into three areas to be printed,
Fig. 3 is a plan view of Fig. 2,
FIG.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printing a color pattern by dividing a region to be pri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printing a color pattern by dividing a region to be prin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printing a color pattern by dividing a region to be prin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printing a color pattern by dividing a print target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printing a color pattern by dividing a print target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컬러 콘택트렌즈용 몰드의 컬러패턴 인쇄방법과 이를 이용한 컬러 콘택트렌즈용 몰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lor pattern printing method of a mold for a color contact le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ld for a color contact lens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컬러 콘택트렌즈용 몰드의 컬러패턴 인쇄방법은 볼록한 곡면의 코어가 형성된 몰드를 테이블에 장착하는 장착단계와, 코어 표면을 다수의 인쇄대상영역들로 구획하는 구획단계와, 잉크젯 헤드를 통해 인쇄대상영역들에 잉크를 분사하여 코어의 표면에 컬러패턴을 인쇄하는 프린팅단계를 포함한다.A color pattern printing method of a mold for a color contact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step of mounting a mold having a convex curved core on a table, a dividing step of dividing the core surface into a plurality of printing target areas And a printing step of jetting ink onto the areas to be printed through the inkjet head to print a color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core.

먼저, 장착단계에서 컬러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를 테이블에 장착한다. First, a mold for manufacturing a color contact lens is mounted on a table in a mounting step.

몰드(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코어(15)가 형성된다. 코어(15)는 캐비티 공간이 형성된 암몰드와 결합되어 콘택트렌즈를 성형하는 부위이다. 코어(15)는 콘택트렌즈와 대응되는 형상인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곡면으로 이루어진 코어(15)의 표면에 컬러패턴이 인쇄된다. The mold 10 has a core 15 formed thereon as shown in Fig. The core 15 is a portion for molding a contact lens by being combined with an arm mold having a cavity formed therein. The core 15 is formed of a convex curved surf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lens. A color pattern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core 15 made of a curved surface.

몰드(10)는 인쇄를 위해 테이블(20)에 장착된다. 테이블(20)은 고정되어 있거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테이블은 잉크젯 헤드가 설치된 프린터의 일 구성일 수 있다. 몰드(10)는 테이블에 직접 고정되거나, 지그에 의해 테이블에 고정될 수 있다. The mold 10 is mounted on the table 20 for printing. The table 20 can be fixed or movable. The table may be a constitution of a printer in which an ink jet head is installed. The mold 10 may be fixed directly to the table or fixed to the table by a jig.

다음으로, 코어(15) 표면을 다수의 인쇄대상영역들로 구획한다. Next, the surface of the core 15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to be printed.

몰드(10)의 코어(15)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통상적인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하여 코어의 표면에 특정 이미지를 인쇄하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코어(15)의 표면을 다수의 인쇄대상영역들로 구획한 후 각 인쇄대상영역별로 인쇄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Since the core 15 of the mold 10 has a curved surface, it is difficult to print a specific image on the surface of the core using a conventional inkjet print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method of dividing the surface of the core 15 into a plurality of areas to be printed and then printing each area to be printed.

도 2 및 도 3에 코어(15)의 표면에 형성된 인쇄대상영역들(17,18,19)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 인쇄대상영역은 눈으로 볼 수 없는 가상의 영역이다. 따라서 가상의 인쇄대상영역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도면에서는 인쇄대상영역들간의 경계(A,B,C)를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Figs. 2 and 3 show the states of the printing target areas 17, 18 and 19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re 15. Fig. In reality, the print target area is a virtual area that can not be seen by the eyes. Therefore, in order to visually represent the virtual print target area, the boundaries (A, B, C) between the print target areas are indicated by dotted lines in the figure.

코어(15)의 정점에 광학존(16)이 위치한다. 광학존(16)은 인쇄가 되지 않은 영역이다. 광학존(16)은 코어의 정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반경을 갖는 원형의 영역이다. The optical zone 16 is located at the apex of the core 15. The optical zone 16 is an area that is not printed. The optical zone 16 is a circular area having a constant radius with respect to the vertex of the core.

광학존(16)을 제외한 나머지의 코어 표면을 다수의 인쇄대상영역들(17,18,19)로 구획한다. 도시된 예에서 코어(15)의 표면을 3개의 인쇄대상영역들(17,18,19)로 구획하고 있다. 이러한 인쇄대상영역들은 도시된 바와 달리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구획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remaining core surfaces except for the optical zone 16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rinting target areas 17, 18 and 19.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urface of the core 15 is divided into three areas 17, 18 and 19 for printing.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se printing subject areas may be divided into two or four or more areas as shown.

인쇄대상영역들(17,18,19)은 코어(15)의 표면을 높이에 따라 가로방향으로 구획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대상영역들은 광학존(16)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형성한다. 즉, 광학존(16)을 중심으로 광학존(16)의 바깥에 환형의 제 1인쇄대상영역(17)이 형성되고, 제 1인쇄대상영역(17)의 바깥에 환형의 제 2인쇄대상영역(18)이 형성되고, 제 2인쇄대상영역(18)의 바깥에 제 3인쇄대상영역(19)이 형성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광학존(16)과 제 1인쇄대상영역(17)의 경계를 제 1경계(A)라 하고, 제 1인쇄대상영역(17)과 제 2인쇄대상영역(18)의 경계를 제 2경계(B)라 하고, 제 2인쇄대상영역(18)과 제 3인쇄대상영역(19)의 경계를 제 3경계(C)라 한다. The printing target areas 17, 18, and 19 may be formed by dividing the surface of the core 15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height. Thus, the areas to be printed form a concentric circle around the optical zone 16. [ That is, an annular first printing target area 17 is formed outside the optical zone 16 around the optical zone 16, and an annular second printing target area 17 is formed outside the first printing target area 17. [ And a third printing target area 19 is formed outside the second printing target area 18. The second printing target area 18 is formed with a first printing area 18,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optical zone 16 and the first printing area 17 is referred to as a first boundary A,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printing area 17 and the second printing area 18 is referred to as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second printing target area 18 and the third printing target area 19 is referred to as a third boundary C. [

각 인쇄대상영역의 상하 폭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모두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respective printing target areas may be the same o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코어의 표면을 가상의 인쇄대상영역들로 구획하여 인쇄대상영역들에 잉크를 분사하는 방법으로 코어의 표면에 컬러패턴을 인쇄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ints the color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core by dividing the surface of the core into virtual print target areas and injecting ink onto the print target areas.

인쇄는 컴퓨터와 프린터를 통해 수행된다. 사용자가 만든 컬러패턴 이미지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다수의 부분이미지로 분할되어 비트맵 형식으로 프린터에 보내진다. 컴퓨터에서 보내진 비트맵은 프린터의 로직보드에서 해석되고, 로직보드의 케이블을 통해 잉크젯 헤드로 보내진다. 그리고 잉크젯 헤드는 만들어진 비트맵을 코어의 표면에 표현하기 위해 잉크를 인쇄대상영역들에 분사하여 컬러패턴을 형성한다. Printing is performed through a computer and a printer. A color pattern image created by a us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ial images by a computer program and sent to the printer in a bitmap format. The bitmap sent from the computer is interpreted by the printer's logic board and sent to the inkjet head through the cable on the logic board. The ink jet head forms a color pattern by jetting ink onto the areas to be printed so as to express the created bit map on the surface of the core.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잉크젯 헤드(50)는 테이블(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몰드(10)의 상방에 위치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잉크젯 헤드(50)는 프린터의 이송대에 장착될 수 있다. 이송대에 장착된 프린터는 좌우 방향 또는 좌우/전후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젯 헤드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X-Y축 방향의 이송은 주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잉크젯 헤드는 좌우/전후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inkjet head 50 is installed above the table 20 and is located above the mold 10. Although not shown, the inkjet head 50 can be mounted on a conveyance belt of the printer. The printer mounted on the conveying belt can be convey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in the left-right / back-and-forth direction. Therefore, the ink jet head is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transported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The transfer in the X-Y-axis direction is a well-known techniqu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urther, the inkjet head can be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left / right / front-back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잉크젯 헤드(50)는 통상적인 잉크젯 프린터에 이용되는 헤드와 동일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잉크젯 헤드(50)의 노즐을 통해 카트리지에 담긴 잉크가 인쇄대상영역으로 분사된다. 잉크젯 헤드의 잉크 분사방식은 피에조 방식, 가열방식, 버블젯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The inkjet head 5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a head used in a conventional inkjet printer. The ink contained in the cartridge is ejected through the nozzle of the inkjet head 50 into the region to be printed. The ink jetting method of the ink jet head may be a piezo method, a heating method, a bubble jet method, or the like.

잉크젯 헤드(50)는 잉크를 분사하기 위한 하나의 노즐컬럼 또는 2 이상의 다수의 노즐컬럼을 구비할 수 있다. 각 노즐컬럼은 어느 하나의 색상을 갖는 잉크를 분사한다. 2가지 이상의 색상을 갖는 잉크의 혼합에 의해 컬러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The inkjet head 50 may have one nozzle column or two or more nozzle columns for jetting ink. Each nozzle column ejects ink having a certain color. A color pattern can be realized by mixing inks having two or more colors.

카트리지는 잉크젯 헤드와 결합되어 있거나 별도의 잉크공급튜브를 통해 잉크젯헤드와 연결될 수 있다. The cartridge may be coupled to the inkjet head or may be connected to the inkjet head through a separate ink supply tube.

잉크는 인체에 무독성이고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것을 이용한다. 일 예로 고분자용액에 안료를 첨가한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가령, 고분자 용액으로 독성이 없는 폴리비날알콜을 물에 용해시킨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안료는 잉크의 색깔에 따라 공지의 안료들을 이용할 수 있다. 안료로 인체에 무해한 유기계 또는 무기계 안료를 이용할 수 있다. 가령, 산화철블랙(Iron(Ⅲ) oxide), 산화티탄(Titanium(Ⅳ) oxide), Remazol Brilliant Blue R, Reactive Black 5, Quinoline Yellow, Solvent Green 3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ink utilizes a material which is non-toxic to the human body and excellent in biocompatibility. For example, a composition in which a pigment is added to a polymer solution may be used. For example, polyvinylalcohol which is not toxic to a polymer solution and dissolved in water can be used. The pigments can use known pigments depending on the color of the ink. Organic or inorganic pigments harmless to the human body can be used as the pigment. For example, Iron (III) oxide, Titanium (IV) oxide, Remazol Brilliant Blue R, Reactive Black 5, Quinoline Yellow and Solvent Green 3 can be used.

본 발명은 인쇄대상영역들(17,18,19)별로 인쇄가 수행된다. 즉, 제 1인쇄대상영역(17)을 인쇄한 후 제 2인쇄대상영역(18)을 인쇄한다. 그리고 제 3인쇄대상영역(19)을 인쇄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printing is performed for each of the areas to be printed (17, 18, 19). That is, the second printing area 18 is printed after the first printing area 17 is printed. Then, the third print target area 19 is printed.

이와 달리 제 3인쇄대상영역(19)을 인쇄한 후 제 2인쇄대상영역(18)을 인쇄하고, 마지막으로 제 1인쇄대상영역917)을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제 2인쇄대상영역(18)을 먼저 인쇄한 후 제 1 또는 제 3인쇄대상영역을 인쇄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econd print target area 18 may be printed after the third print target area 19 is printed, and finally, the first print target area 917 may be printed. Further, it is possible to print the first or third printing target area after printing the second printing target area 18 firs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인쇄대상영역을 먼저 인쇄한 후 나머지 인쇄대상영역들을 각각 별도로 인쇄한다. 각 인쇄대상영역의 인쇄시 잉크젯 헤드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테이블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테이블은 고정되고 잉크젯 헤드가 좌우 및 전후,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irst prints one of the print target areas and then prints the remaining print target areas separately. The ink jet head mov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when printing each printing object area, and the table can be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Further, the table is fixed and the ink jet head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front and back, and up and down directions.

코어의 표면에 인쇄될 컬러패턴은 인쇄대상영역들별로 나누어서 인쇄된다. 즉, 컬러패턴은 인쇄대상영역들의 경계를 따라 다수의 부분이미지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 부분이미지들은 해당 인쇄대상영역에 인쇄된다. The color pattern to be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core is printed separately for each print target area. That is, the color patter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ial images along the boundaries of the areas to be printed, and each divided partial image is printed on the corresponding printing area.

코어의 표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잉크젯 헤드(50)와 각 인쇄대상영역들(17,18,19)의 상하 간격이 다르다. 따라서 잉크젯 헤드(50)가 제 1인쇄대상영역(17)을 인쇄하는 경우와 잉크젯헤드(50)가 제 2인쇄대상영역(18)을 인쇄하는 경우에 간격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곡면으로 이루어진 코어의 표면에 컬러패턴을 인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잉크젯 헤드 또는 몰드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인쇄를 수행한다. Since the surface of the core is curved, the top and bottom spaces of the inkjet head 50 and the respective printing target areas 17, 18, and 19 are different. Therefor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interval is different when the inkjet head 50 prints the first printing area 17 and when the inkjet head 50 prints the second printing area 18. Therefore, in order to print a color pattern on the surface of a core made of a curved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printing while adjusting the height of the inkjet head or the mold.

일 예로 본 발명은 몰드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잉크젯 헤드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잉크젯 헤드를 인쇄대상영역들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잉크젯 헤드와 인쇄대상영역들의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he ink jet head up and down with the height of the mold fixed. It is possible to move the ink jet hea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printing object areas to maintain the same interval between the inkjet head and the printing object areas.

도 4를 참조하면, 특정 높이(h1)에 위치하는 잉크젯 헤드(50)를 통해 먼저 제 1인쇄대상영역(17)에 잉크를 분사하여 제 1인쇄대상영역(17)에 부분 이미지를 인쇄하는 1차 프린팅 과정(a)이 수행된다. Referring to FIG. 4, ink 1 is first printed on the first printing area 17 by spraying ink onto the first printing area 17 through the inkjet head 50 located at a specific height h1. A difference printing process (a) is performed.

그리고 제 1인쇄대상영역(17)의 인쇄가 완료된 후 제 2인쇄대상영역(18)에 잉크를 분쇄하여 제 2인쇄대상영역(18)에 부분 이미지를 인쇄하는 2차 프린팅 과정(b)이 수행된다. 제 2인쇄대상영역을 인쇄하기 위해 잉크젯 헤드(5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즉, 잉크젯 헤드는 높이 h1에서 h2로 이동한다. h1에서 h2로 이동한 거리는 제 1인쇄대상영역(17)의 수직방향 폭과 동일하다. 제 1인쇄대상영역(17)의 수직방향 폭은 제 1경계(A)와 제 2경계(B) 사이의 수직방향 거리이다. After the printing of the first printing area 17 is completed, the secondary printing process (b) for printing the partial image on the second printing area 18 by pulverizing the ink to the second printing area 18 is performed do. The inkjet head 50 is moved downward to print the second printing area. That is, the inkjet head moves from the height h1 to the height h2. The distance moved from h1 to h2 is equal to the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printing area 17. The vertical width of the first printing area 17 is a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undary A and the second boundary B. [

그리고 제 2인쇄대상영역(18)의 인쇄가 완료된 후 제 3인쇄대상영역(19)에 잉크를 분쇄하여 제 3인쇄대상영역(19)에 부분 이미지를 인쇄하는 3차 프린팅 과정(c)이 수행된다. 제 3인쇄대상영역(19)을 인쇄하기 위해 잉크젯 헤드(5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즉, 잉크젯 헤드(50)는 높이 h2에서 h3로 이동한다. h2에서 h3로 이동한 거리는 제 2인쇄대상영역의 수직방향의 폭과 동일하다. 제 2인쇄대상영역의 수직방향의 폭은 제 2경계(A)와 제 3경계(B) 사이의 수직방향 거리이다.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inting of the second printing object area 18, the third printing process (c) of crushing the ink to the third printing object area 19 and printing the partial image on the third printing object area 19 is performed do. The inkjet head 50 is moved downward to print the third printing area 19. That is, the inkjet head 50 moves from the height h2 to h3. The distance moved from h2 to h3 is equal to the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printing object area. The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printing object region is a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second boundary A and the third boundary B.

위과 같이 몰드(10)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잉크젯 헤드(50)를 인쇄대상영역들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잉크젯 헤드(50)와 인쇄대상영역들의 간격(Δh)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인쇄할 수 있다. The inkjet head 50 is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areas to be printed in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mold 10 is fix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distance? H between the inkjet head 50 and the areas to be printed can do.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린팅단계를 도 5에 나타내고 있다. A printing ste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프린팅단계는 잉크젯 헤드(50)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몰드(10)를 상하로 이동시켜 잉크젯 헤드(50)와 인쇄대상영역들(17,18,19)의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인쇄한다. 즉, 인쇄되는 인쇄대상영역들이 바뀔 때마다 몰드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5, in the printing step, the mold 10 is moved up and down in a state where the height of the inkjet head 50 is fix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nkjet head 50 and the areas 17, 18, While keeping the same. That is, the mold is moved up and down every time print target areas to be printed are changed.

이를 위해 테이블(20)에는 몰드(1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대(25)가 마련될 수 있다. 승강대(25)는 통상적인 액츄에이터를 적용할 수 있다. 승강대(25)의 상부에 장착된 몰드는 승강대(25)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다. To this end, the table 20 may be provided with a platform 25 for moving the mold 10 up and down. The platform 25 may be a conventional actuator. The height of the mold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latform 25 is adjusted by the platform 25.

가령, 높이가 고정된 잉크젯 헤드(50)를 통해 먼저 제 1인쇄대상영역(17)에 잉크를 분사하여 제 1인쇄대상영역(17)에 부분 이미지를 인쇄하는 1차 프린팅 과정(a)이 수행된다. A primary printing process (a) for printing a partial image on the first printing area 17 by spraying ink onto the first printing area 17 first through the inkjet head 50 having a fixed height is performed do.

그리고 제 1인쇄대상영역(17)의 인쇄가 완료된 후 제 2인쇄대상영역(18)에 잉크를 분사하여 제 2인쇄대상영역(18)에 부분 이미지를 인쇄하는 2차 프린팅 과정(b)이 수행된다. 제 2인쇄대상영역(18)을 인쇄하기 위해 몰드(1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몰드는 높이 h1에서 h2로 이동한다. h1에서 h2로 이동한 거리는 제 1인쇄대상영역(17)의 수직방향의 폭과 동일하다. Then, a secondary printing process (b) for printing a partial image on the second printing area 18 by spraying ink onto the second printing area 18 after the printing of the first printing area 17 is completed is performed do. The mold 10 is moved upward to print the second printing area 18. The mold moves from height h1 to h2. The distance moved from h1 to h2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printing area 17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제 2인쇄대상영역(18)의 인쇄가 완료된 후 제 3인쇄대상영역(19)에 잉크를 분사하여 제 3인쇄대상영역에 부분 이미지를 인쇄하는 3차 프린팅 과정(c)이 수행된다. 제 3인쇄대상영역(19)을 인쇄하기 위해 몰드(1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즉, 몰드는 높이 h2에서 h3으로 이동한다. h2에서 h3로 이동한 거리는 제 2인쇄대상영역(18)의 수직방향의 폭과 동일하다. After the printing of the second printing area 18 is completed, a third printing process (c) is performed in which ink is jetted onto the third printing area 19 to print a partial image on the third printing area. The mold 10 is moved upward to print the third printing area 19. That is, the mold moves from height h2 to h3. The distance moved from h2 to h3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second printing area 18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린팅단계를 도 6에 나타내고 있다. A printing ste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도 6을 참조하면, 잉크젯 헤드(50,53,55)가 다수로 마련된다. 잉크젯 헤드는 인쇄대상영역(17,18,19)과 동일한 수로 마련된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는 잉크젯 헤드가 3개 마련된다. Referring to FIG. 6, a plurality of inkjet heads 50, 53, and 55 are provided. The ink-jet head is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areas 17, 18, and 19 to be printed. Therefore, three ink jet heads are provided in the illustrated example.

3개의 잉크젯 헤드는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된다. 가령, 제 1잉크젯 헤드(50)는 h1의 높이에 위치하고, 제 2잉크젯 헤드(53)는 h2의 높이에 위치하고, 제 3잉크젯 헤드(53)는 h3의 높이에 위치한다. The three inkjet heads are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For example, the first inkjet head 50 is located at a height of h1, the second inkjet head 53 is located at a height of h2, and the third inkjet head 53 is located at a height of h3.

h1과 h2의 높이의 차는 제 1인쇄대상영역(17)의 수직방향 폭과 동일하다. 제 1인쇄대상영역(17)의 수직방향의 폭은 제 1경계(A)와 제 2경계(B) 사이의 수직방향 거리이다. h2와 h3의 높이의 차는 제 2인쇄대상영역(18)의 수직방향의 폭과 동일하다. 제 2인쇄대상영역(18)의 수직방향의 폭은 제 2경계(B)와 제 3경계(C) 사이의 수직방향 거리이다.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h1 and h2 is equal to the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printing area 17. The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printing area 17 is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undary A and the second boundary B. [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h2 and h3 is equal to the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printing area 18. The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printing area 18 is a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second boundary B and the third boundary C. [

인쇄대상영역들이 바뀔 때마다 테이블(2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잉크젯 헤드들 중 어느 하나의 하방에 몰드를 위치시킨다. The table 2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very time the areas to be printed are changed to place the mold under any one of the inkjet heads.

제 1잉크젯 헤드(50)에 의해 제 1인쇄대상영역(17)이 인쇄된다. 그리고 제 1인쇄대상영역(17)이 인쇄된 후 테이블(2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몰드(10)를 제 2잉크젯 헤드(53)의 하방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 2잉크젯 헤드(53)를 통해 제 2인쇄대상영역(18)을 인쇄한다. 그리고 제 2인쇄대상영역(18)이 인쇄된 후 테이블(20)을 이동하여 몰드(10)를 제 3잉크젯 헤드(55)의 하방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 3잉크젯 헤드(55)를 통해 제 3인쇄대상영역(19)을 인쇄한다. The first printing area 17 is printed by the first inkjet head 50. After the first printing area 17 is printed, the table 2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place the mold 10 below the second inkjet head 53. Then, the second printing area 18 is printed through the second inkjet head 53. After the second printing area 18 is printed, the table 20 is moved to place the mold 10 below the third inkjet head 55. Then, the third printing area 19 is printed through the third inkjet head 55.

이와 같이 인쇄함으로써 잉크젯 헤드와 인쇄대상영역들의 상하 간격(Δh)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By printing in this way, the top-to-bottom spacing DELTA h of the inkjet head and the printing object areas can be kept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린팅단계를 도 7에 나타내고 있다. A printing ste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도 7을 참조하면, 다수의 잉크젯 헤드(50,53,55)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잉크젯 헤드는 인쇄대상영역과 동일한 수로 마련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잉크젯 헤드가 3개 마련된다. Referring to Fig. 7, a plurality of inkjet heads 50, 53, and 55 are located at the same height. The ink jet head is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area to be printe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ree ink jet heads are provided.

각 인쇄대상영역을 인쇄할 때마다 테이블이 이동하여 각 잉크젯 헤드의 하방에 몰드를 위치시킨다. 테이블의 이동시마다 몰드는 승강대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다. Each time the print target area is printed, the table moves and the mold is positioned below each ink jet head. Each time the table is moved, the height of the mold is adjusted by the platform.

가령, 제 1잉크젯 헤드(50)의 하방에 몰드(10)가 위치하는 경우 몰드는 h1의 높이에 위치하고, 제 2잉크젯 헤드(53)의 하방에 몰드(10)가 위치하는 경우 몰드는 h2의 높이에 위치하고, 제 3잉크젯 헤드(55)의 하방에 몰드(10)가 위치하는 경우 몰드는 h3의 높이에 위치한다. For example, when the mold 10 is located below the first inkjet head 50, the mold is located at the height h1. When the mold 10 is located below the second inkjet head 53, And when the mold 10 is positioned below the third inkjet head 55, the mold is located at a height of h3.

h1과 h2의 높이의 차는 제 1인쇄대상영역(17)의 수직방향 폭과 동일하다. 제 1인쇄대상영역(17)의 수직방향의 폭은 제 1경계(A)와 제 2경계(B) 사이의 수직방향 거리이다. h2와 h3의 높이의 차는 제 2인쇄대상영역(18)의 수직방향의 폭과 동일하다. 제 2인쇄대상영역(18)의 수직방향의 폭은 제 2경계(B)와 제 3경계(C) 사이의 수직방향 거리이다.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h1 and h2 is equal to the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printing area 17. The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printing area 17 is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undary A and the second boundary B. [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h2 and h3 is equal to the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printing area 18. The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printing area 18 is a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second boundary B and the third boundary C. [

인쇄대상영역들이 바뀔 때마다 테이블(2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잉크젯 헤드들 중 어느 하나의 하방에 몰드를 위치시킨다. The table 2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very time the areas to be printed are changed to place the mold under any one of the inkjet heads.

제 1잉크젯 헤드(50)에 의해 제 1인쇄대상영역(17)이 인쇄된다. 그리고 제 1인쇄대상영역(17)이 인쇄된 후 테이블(2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몰드(10)의 높이를 올려 제 2잉크젯 헤드(53)의 하방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 2잉크젯 헤드(53)를 통해 제 2인쇄대상영역(18)을 인쇄한다. 그리고 제 2인쇄대상영역(18)이 인쇄된 후 테이블(2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몰드(10)의 높이를 올려 제 3잉크젯 헤드(55)의 하방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 3잉크젯 헤드(55)를 통해 제 3인쇄대상영역(19)을 인쇄한다. The first printing area 17 is printed by the first inkjet head 50. After the first printing area 17 is printed, the height of the mold 10 is raised while the table 2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ositioned below the second inkjet head 53. Then, the second printing area 18 is printed through the second inkjet head 53. Then, after the second printing area 18 is printed, the height of the mold 10 is raised while moving the table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ositioned below the third inkjet head 55. Then, the third printing area 19 is printed through the third inkjet head 55.

이와 같이 인쇄함으로써 잉크젯 헤드와 인쇄대상영역들의 상하 간격(Δh)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By printing in this way, the top-to-bottom spacing DELTA h of the inkjet head and the printing object areas can be kept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린팅단계를 도 8에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하나의 몰드를 인쇄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도 8에서는 다수의 몰드를 인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A printing ste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Although a method of printing one mold has been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a method of printing a plurality of mold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을 참조하면, 장착단계에서 테이블(20)에 다수의 몰드들(10)을 장착한다. 몰드들(10)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정렬하여 다수의 줄(L1~L10)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8, a plurality of molds 10 are mounted on the table 20 in the mounting step. The molds 10 are aligned in the later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to form a plurality of lines L1 to L10.

인쇄는 각 줄마다 하나의 인쇄대상영역을 인쇄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The printing is performed by printing one print target area for each line.

가령, 첫번째 줄(L1)에 해당하는 몰드들에 제 1인쇄대상영역을 인쇄한 후 잉크젯 헤드(50) 또는 테이블(2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두번째 줄(L2)에 해당하는 몰드들에 제 1인쇄대상영역을 인쇄한다. 그리고 세번째 줄의 제 1인쇄대상영역을 인쇄한 후 네번째 줄의 제 1인쇄대상영역을 인쇄한다. 이와 같이 마지막 줄까지 제 1인쇄대상영역을 인쇄한다. The inkjet head 50 or the table 2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fter the first printing area is printed on the molds corresponding to the first line L1 and the inkjet head 50 or the table 20 is moved 1 Print the area to be printed. Then, the first print target area of the third line is printed, and then the first print target area of the fourth line is printed. Thus, the first print target area is printed up to the last line.

그리고 잉크젯 헤드를 이동시키거나 테이블을 이동시켜 잉크젯 헤드의 하부에 첫번째 줄을 위치시킨 다음 제 2인쇄대상영역을 인쇄한다. 그리고 줄을 바꿔가면서 마지막 줄까지 제 2인쇄대상영역을 인쇄한다. Then, the inkjet head is moved or the table is moved to place the first line on the lower part of the inkjet head, and then the second printing area is printed. Then, the second print target area is printed up to the last line while changing the line.

제 2인쇄대상영역을 모두 인쇄한 후 잉크젯 헤드를 이동시키거나 테이블을 이동시켜 잉크젯 헤드의 하부에 첫번째 줄을 위치시킨 다음 제 3인쇄대상영역을 인쇄한다. 그리고 줄을 바꿔가면서 마지막 줄까지 제 3인쇄대상영역을 인쇄한다. After all the second area to be printed is printed, the inkjet head is moved or the table is moved so that the first line is positioned below the inkjet head, and then the third area to be printed is printed. Then, the third print target area is printed until the last line while changing the line.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 몰드 15: 코어
16: 광학존 17: 제 1인쇄대상영역
18: 제 2인쇄대상영역 19: 제 3인쇄대상영역
20: 테이블 50: 헤드
10: mold 15: core
16: optical zone 17: first printing area
18: second print target area 19: third print target area
20: Table 50: Head

Claims (8)

삭제delete 볼록한 곡면의 코어가 상부에 형성된 몰드를 테이블에 장착하는 장착단계와;
상기 코어의 정점에 위치하는 광학존을 제외한 나머지의 코어 표면을 다수의 인쇄대상영역들로 구획하는 구획단계와;
상기 몰드의 상방에 설치된 잉크젯 헤드를 통해 상기 인쇄대상영역들에 잉크를 분사하여 상기 코어의 표면에 컬러패턴을 인쇄하는 프린팅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단계는 상기 코어의 표면을 높이에 따라 가로방향으로 구획하여 상기 인쇄대상영역들이 상기 광학존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형성하며,
상기 프린팅단계는 상기 컬러패턴을 상기 인쇄대상영역들의 경계를 따라 다수의 부분이미지로 분할하고, 분할된 상기 각 부분이미지들을 해당되는 상기 인쇄대상영역에 인쇄하고,
상기 프린팅단계는 상기 인쇄대상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인쇄대상영역을 먼저 인쇄한 후 나머지 인쇄대상영역들을 각각 별도로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의 컬러패턴 인쇄방법.
A mounting step of mounting a mold having a convex curved core on its top to a table;
Dividing a remaining core surface except an optical zone located at a vertex of the core into a plurality of print target areas;
And printing a color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core by spraying ink onto the areas to be printed through an inkjet head installed above the mold,
Wherein the dividing step divides the surface of the core in a lateral direction along the height so that the areas to be printed form a concentric circle around the optical zone,
Wherein the printing step divides the color pattern into a plurality of partial images along the boundary of the printing object areas, prints the divided partial images on the corresponding printing object area,
Wherein the printing step prints one of the print target areas first and then prints the remaining print target areas separatel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단계는 상기 몰드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잉크젯 헤드를 상기 인쇄대상영역들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잉크젯 헤드와 상기 인쇄대상영역들의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의 컬러패턴 인쇄방법. The print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rinting step includes moving the inkjet head up and down along the height of the printing object areas in a state where the height of the mold is fixed and maintaining the same interval between the inkjet head and the printing object areas And printing the color pattern of the color contact len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단계는 상기 잉크젯 헤드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를 상기 인쇄대상영역들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잉크젯 헤드와 상기 인쇄대상영역들의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의 컬러패턴 인쇄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inting step includes moving the mold up and down along the height of the areas to be printed in a state where the height of the inkjet head is fixed, And printing the color pattern of the color contact len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헤드는 높이를 달리하여 다수가 상기 몰드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프린팅단계는 상기 인쇄대상영역들 각각을 인쇄할 때마다 상기 몰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다수의 잉크젯 헤드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인쇄대상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의 컬러패턴 인쇄방법.
The inkjet hea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plurality of the inkjet heads are positioned above the mold at different height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kjet heads prints one of the print target areas by moving the mold in a horizontal direction each time the print target areas are printed. A method of printing a color pattern of a mold for manufacturing a len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헤드는 동일한 높이에 다수가 상기 몰드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프린팅단계는 상기 인쇄대상영역들 각각을 인쇄할 때마다 상기 몰드를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다수의 잉크젯 헤드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인쇄대상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의 컬러패턴 인쇄방법.
The inkjet hea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plurality of the ink jet heads are located at the same height above the mold,
Wherein the printing step moves the mol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every time the respective printing target areas are printed so tha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k jet heads prints one of the printing target areas Of the color pattern of the mold for manufacturing a color contact len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단계는 상기 테이블에 다수의 몰드들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정렬하여 다수의 줄을 형성하도록 장착하고,
상기 프린팅단계는 어느 하나의 줄에 해당하는 몰드에 어느 하나의 인쇄대상영역을 인쇄한 후 상기 잉크젯 헤드 또는 상기 몰드를 이동시켜 다른 줄에 해당하는 몰드에 어느 하나의 인쇄대상영역을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의 컬러패턴 인쇄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unting step includes mounting the plurality of molds on the table so as to form a plurality of rows by aligning the molds in the later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The printing step may include printing one of the printing target areas on a mold corresponding to one line and then moving the ink jet head or the mold to print one of the printing target areas on a mold corresponding to another line Of the color pattern of the mold.
삭제delete
KR1020160076020A 2016-06-17 2016-06-17 printing method of color pattern for contactlens mold and color contactlens mold KR1019388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020A KR101938808B1 (en) 2016-06-17 2016-06-17 printing method of color pattern for contactlens mold and color contactlens mo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020A KR101938808B1 (en) 2016-06-17 2016-06-17 printing method of color pattern for contactlens mold and color contactlens mo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493A KR20170142493A (en) 2017-12-28
KR101938808B1 true KR101938808B1 (en) 2019-01-15

Family

ID=6093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020A KR101938808B1 (en) 2016-06-17 2016-06-17 printing method of color pattern for contactlens mold and color contactlens mol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80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218A (en) 2021-11-10 2023-05-17 김완태 Servo printer for contact lens
KR20230145667A (en) 2022-04-11 2023-10-18 김완태 Servo printer with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mold for contact le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423B1 (en) * 2018-12-06 2020-08-1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using ink-jet
KR102145437B1 (en) * 2018-12-06 2020-08-1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using ink-j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0652A (en) 2003-07-22 2005-02-17 Seiko Epso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liquid, curved bod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 and contact lens
JP2005507808A (en) * 2001-11-07 2005-03-24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Inkjet printing system for printing colored images on contact lenses
JP2013546027A (en) 2010-12-14 2013-12-26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Color contact len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432A (en) * 2014-11-05 2016-06-07 주식회사 포스코 Ink-jet print head system capable of printing non-planar and driv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7808A (en) * 2001-11-07 2005-03-24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Inkjet printing system for printing colored images on contact lenses
JP2005040652A (en) 2003-07-22 2005-02-17 Seiko Epso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liquid, curved bod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 and contact lens
JP2013546027A (en) 2010-12-14 2013-12-26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Color contact le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218A (en) 2021-11-10 2023-05-17 김완태 Servo printer for contact lens
KR20230145667A (en) 2022-04-11 2023-10-18 김완태 Servo printer with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mold for contact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493A (en)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808B1 (en) printing method of color pattern for contactlens mold and color contactlens mold
CN106393662B (en) A kind of device and method of full color 3D printing
US10065376B2 (en) Three-dimensional object fabrication device, three-dimensional object fabrication method, and three-dimensional object
JP6426022B2 (en) Liquid discharge apparatus and liquid discharge method
JP6396723B2 (en) Droplet discharge apparatus and droplet discharge method
EP3103633B1 (en) Molded objec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5726551B2 (en) Decorative resin molded produ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60001505A1 (en) Apparatus for modeling three-dimensional object and method for modeling three-dimensional object
CN102774137B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CN104275799A (en) Colored 3D printing device and method
CN104786496A (en) Inkjet type hot-melt extrusion full-color 3D (3-dimentional) printer
JP6928678B2 (en) A 3D printer that melts powder with surface coloring using a VCSEL array
JP6532390B2 (en) Three-dimensional object formation apparatus and three-dimensional object formation method
US11642834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olored products and ink ejection device
CN110430988B (en) Method of calibrating an inkjet-based three-dimensional printing system
US11141933B2 (en) Shaping apparatus, shaping method, and shaped object
JP2016150466A (en) Three-dimensional shaping apparatus, three-dimensional shaping method, and program
JP2020147046A (en) Shaping device
JP6316611B2 (en) Mod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5311073U (en) Beat printer head bottom plate, print dolly and inkjet printing device
EP3115215A1 (en) Method for making a colored contact lens
KR10214543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using ink-jet
JP6261363B2 (en) Mod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6394104A (en) Manufacturing technique of 3D high-definition UV printing decoration product
KR10214543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using ink-j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