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732B1 - 부스덕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부스덕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732B1
KR101938732B1 KR1020170066245A KR20170066245A KR101938732B1 KR 101938732 B1 KR101938732 B1 KR 101938732B1 KR 1020170066245 A KR1020170066245 A KR 1020170066245A KR 20170066245 A KR20170066245 A KR 20170066245A KR 101938732 B1 KR101938732 B1 KR 101938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expansion
casing
refractory
hou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0302A (ko
Inventor
박상규
주성은
이종태
이일행
김성균
왕남웅
강은수
Original Assignee
대한전선 주식회사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선 주식회사,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filed Critical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6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732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61Tubular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a)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가지는 내화재 케이싱의 내측면에 열팽창 내화재를 구비시키는 단계; b) 상기 열팽창 내화재가 구비된 상기 내화재 케이싱을 하우징에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내화재 케이싱이 결합된 상기 하우징을 차단벽에 형성된 관통홀에 관통 삽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관통홀에 관통 삽입된 상기 하우징을 상기 차단벽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 찬넬에 지지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내화재 케이싱은 상기 차단벽의 일면과 타면 부위에 각각 구비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이격 설치된 것인 부스덕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스덕트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BUS DUCT}
본 발명은 부스덕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염 및 차열이 우수하며, 설치가 간편하도록 이루어진 부스덕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 수요가 많은 고층 건물이나 아파트, 대단위 공장 등에서는 부스덕트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스덕트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2는 화재 발생 후 종래의 부스덕트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스덕트(10)는 플로어 또는 벽체 등의 차단벽(w)에 형성된 관통홀(h)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벽(w)은 건물의 층과 층을 이루는 플로어 형태인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부스덕트(10)는 하우징(1), 베이스 찬넬(2), 하우징 고정부(3) 및 방화폼(4)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우징(1)은 전력을 전달하는 도체(미도시)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여기서 도체는 부스바일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찬넬(2)은 관통홀(h)이 형성된 차단벽(w)에 설치되며, 관통홀(h)에 관통 삽입되는 하우징(1)을 지지하게 된다. 즉, 하우징(1)은 하우징 고정부(3)에 의해 베이스 찬넬(2)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방화폼(4)은 관통홀(h)에 관통 삽입된 하우징(1) 이외의 관통홀(h) 부분을 채우게 된다. 이러한 방화폼(4)은 우레탄폼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화폼(4)은 관통홀(h)을 메움으로써, 차단벽(w)을 기준으로 아래층에서 화재가 발생될 시, 관통홀(h)을 통해 위층으로 화염이 안내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관통홀(h)에 채워진 방화폼(4)은 화재 발생시, 열기에 의해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다. 더 나아가 열기에 의해 흘러내리는 방화폼(4)은 자중에 의해 관통홀(h)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아래층에서 발생된 불꽃 및 열기 등은 위층으로 이동되어 화재의 피해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화재 발생 후 종래의 부스덕트(10)를 보여주는 이미지로, 관통홀(h)을 채우고 있는 방화폼(4)이 열기에 의해 흘러내린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차염(遮焰) 및 차열(遮熱)이 우수한 부스덕트에 관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3796호(2006.08.0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염 및 차열이 우수하며, 설치가 간편하도록 이루어진 부스덕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a)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가지는 내화재 케이싱의 내측면에 열팽창 내화재를 구비시키는 단계; b) 상기 열팽창 내화재가 구비된 상기 내화재 케이싱을 하우징에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내화재 케이싱이 결합된 상기 하우징을 차단벽에 형성된 관통홀에 관통 삽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관통홀에 관통 삽입된 상기 하우징을 상기 차단벽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 찬넬에 지지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내화재 케이싱은 상기 차단벽의 일면과 타면 부위에 각각 구비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이격 설치된 것인 부스덕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의 메인 지지부에 상기 열팽창 내화재를 구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의 측면 지지부에 상기 열팽창 내화재를 구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지지부의 상부와 하부로부터 절곡된 받침부는 상기 메인 지지부에 구비되는 상기 열팽창 내화재의 상부와 하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측면 지지부에 구비되는 상기 열팽창 내화재의 상부와 하부를 일부 지지하며 안내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메인 지지부에 구비되는 상기 열팽창 내화재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날개부의 절곡면에 지지 결합되고, 상기 측면 지지부에 구비되는 상기 열팽창 내화재는 상기 날개부의 단부에 지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열팽창 내화재의 일단부는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열팽창 내화재의 타단부는 상기 차단벽으로부터 500mm 이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의 시공방법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팽창 내화재는 내화재 케이싱에 의해 하우징의 다양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부스덕트의 설치 현장에서도 하우징의 요구되는 위치에 열팽창 내화재를 간단히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의 시공방법은 종래의 방화폼을 사용하는 부스덕트의 시공방법에 비해 시공 과정이 단순함은 물론 부스덕트의 시공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부스덕트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화재 발생 후 종래의 부스덕트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팽창 내화재가 결합된 하우징과 베이스 찬넬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화재 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팽창 내화재가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팽창 내화재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열팽창 내화재의 열팽창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팽창 내화재가 결합된 하우징과 베이스 찬넬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스덕트(1000)는 하우징(100), 열팽창 내화재(200), 내화재 케이싱(300), 베이스 찬넬(400) 및 하우징 고정부(5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스덕트(1000)는 플로어 또는 벽체의 차단벽(w)에 형성된 관통홀(h)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차단벽(w)은 건물의 층과 층을 이루는 플로어(floor) 형태인 것을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부(미도시)에 내재된 도체를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수용 공간부에 내재된 도체는 부스바일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하우징(100)은 무게가 가벼워 부스덕트(1000)의 설치 작업이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열팽창 내화재(200)는 하우징(100)의 외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열팽창 내화재(200)는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가열될 경우, 열팽창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소재일 수 있다. 예로, 열팽창 내화재(200)에는 열팽창흑연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열팽창 내화재(200)는 특정 소재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가열시 열팽창이 이루어지는 무기계 팽창제, 유기계 팽창제 등의 다양한 팽창제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열팽창 내화재(200)는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가열될 시, 최대 20배까지 열팽창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화재 발생시 열팽창 내화재(200)가 열팽창에 의해 차단벽(w)에 형성된 관통홀(h)을 차단함은 물론 열에 의해 용융되어 단선된 도체 및 용융된 하우징(100) 부분을 덮기 위함이다.
여기서 열팽창 내화재(200)의 열팽창이 이루어지는 온도는 열팽창 내화재(200)의 소재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으나, 대략 180℃ 이상의 온도에서 열팽창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열팽창 내화재(200)는 차단벽(w)의 일면과 타면 부위에 각각 배치된다. 즉, 건물의 층과 층을 이루는 플로어인 차단벽(w)을 기준으로, 위층에서는 바닥 부분인 차단벽(w)의 일면 부위와 아래층에서는 천장 부분인 차단벽의 타면 부위에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아래층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차단벽(w)의 타면측에 배치된 열팽창 내화재(200)는 열에 의한 열팽창이 이루어지며 관통홀(h)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달리, 위층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차단벽(w)의 일면측에 배치된 열팽창 내화재(200)는 열에 의한 열팽창이 이루어지며 관통홀(h)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단벽(w)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배치된 열팽창 내화재(200)는 화재 지점과 가까운 열팽창 내화재(200)의 신속한 열팽창을 통해 화재 피해를 최소화하게 된다.
이러한 열팽창 내화재(200)는 차단벽(w)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배치됨에 따라 1차 및 2차에 걸쳐 차염 및 차열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내화재 케이싱(300)은 차단벽(w)의 일면과 타면 부위에 위치된 하우징(100)에 열팽창 내화재(200)를 이격된 상태로 각각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내화재 케이싱(300)은 제1 케이싱(310)과 제2 케이싱(32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 케이싱(310)과 제2 케이싱(320)은 한 쌍을 이루며 서로 결합되어 열팽창 내화재(200)를 하우징(100)에 견고히 지지 고정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제1 케이싱(310)과 제2 케이싱(320)의 내측면에 열팽창 내화재(20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 케이싱(310)과 제2 케이싱(320)의 결합을 통해 열팽창 내화재(200)를 하우징(100)의 요구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부스덕트(1000)의 설치 현장에서도 열팽창 내화재(200)를 하우징(100)의 요구되는 위치에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열팽창 내화재(200)와 하우징(100)의 결합 작업은 내화재 케이싱(300)에 의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1000)는 종래의 관통홀(h)에 방화폼을 채우는 부스덕트에 비해 작업이 과정이 간단하고, 설치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내화재 케이싱(300)은 내열성이 우수한 스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600℃ 이상의 고온에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0)이 용융되더라도, 내화재 케이싱(300)은 용융되지 않으며 열팽창 내화재(200)를 지지 고정하게 된다. 이에, 가열을 통해 열팽창이 이루어진 열팽창 내화재(200)는 관통홀(h)과 용융되어 단선된 도체 및 용융된 하우징(100)을 덮으며, 부스덕트(1000)의 피해 손실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러한 열팽창 내화재(200)가 하우징(100)에 결합됨에 있어, 열팽창 내화재(200)의 일단부는 관통홀(h)에 배치되고, 열팽창 내화재(200)의 타단부는 차단벽(w)의 일면 또는 타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d) 이내에 배치된다. 이때, 미리 정해진 거리(d)는 500mm 이내로 이루어짐 바람직하다.
이는, 열팽창 내화재(200)가 열에 의한 열팽창이 이루어짐에 있어, 관통홀(h)을 차단함은 물론 단선된 도체 및 용융된 하우징(100)을 덮기 위함이다.
한편, 베이스 찬넬(400)은 관통홀(h)이 형성된 차단벽(w)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베이스 찬넬(400)은 관통홀(h)에 관통 삽입되는 하우징(100)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1 고정부(510), 제2 고정부(520) 및 제3 고정부(530)를 갖는 하우징 고정부(500)는 베이스 찬넬(400)과 결합되며 하우징(100)을 베이스 찬넬(400)에 지지 고정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화재 케이싱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팽창 내화재가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팽창 내화재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열팽창 내화재의 열팽창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하우징(100)은 몸체부(110)와 충전 형성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부(110)는 제1면(111) 내지 제4면(114)을 가지는 사각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을 이루는 충전 형성부(120)는 몸체부(110)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이러한 충전 형성부(120)는 몸체부(110)와 연결되되, 몸체부(110)의 제1면(111)과 제3면(113)에는 제1 충전홈(101)을 형성하고, 몸체부(110)의 제2면(112)과 제4면(114)에는 제2 충전홈(102)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내화재 케이싱(300)이 설치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충전홈(101)과 제2 충전홈(102)은 열팽창 내화재(200)의 열팽창시, 열팽창 내화재(200)가 충전되는 공간이 된다. 즉, 열팽창 내화재(200)는 열팽창을 통해 내화재 케이싱(300) 배치된 제1 충전홈(101)과 제2 충전홈(102)에 충전되며, 내화재 케이싱(300)에 더욱 견고히 지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열팽창에 의해 열팽창 내화재(200)가 관통홀(h)을 차단하고 단선된 도체를 덮도록 부피가 커지더라도 열팽창 내화재(200)는 하우징(100) 및 내화재 케이싱(300)에 견고히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열팽창 내화재(200)는 자중에 의해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형성부(120)는 평판부(121) 및 날개부(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을 이루는 충전 형성부(120)의 평판부(121)는 몸체부(110)의 제2면(112)과 제4면(114)에 각각 결합되며 대칭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평판부(121)의 양측에는 날개부(122)가 구비된다. 즉, 날개부(122)는 평판부(121)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된다. 이러한 충전 형성부(120)는 'ㄷ' 자 형상을 이루며, 몸체부(110)의 둘레를 따라 제1 충전홈(101)과 제2 충전홈(102)을 교대로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열팽창 내화재(200)는 하우징(100)에 결합됨에 있어, 날개부(122)의 단부는 몸체부(110)의 제2면(112)과 제4면(114)에 배치되는 열팽창 내화재(200)를 지지하고, 날개부(122)의 절곡면은 몸체부(110)의 제1면(111)과 제3면(113)에 배치되는 열팽창 내화재(200)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열팽창 내화재(200)는 하우징(100)에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내화재 케이싱(300)은 제1 케이싱(310)과 제2 케이싱(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케이싱(310)과 제2 케이싱(320)은 한 쌍을 이루며 서로 결합되어 열팽창 내화재(200)를 하우징(100)에 고정시키게 된다. 예로, 제1 케이싱(310)과 제2 케이싱(320)은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케이싱(310)은 제1 메인 지지부(311), 제1 측면 지지부(312), 제1 받침부(313) 및 제1 돌출부(3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케이싱(320)은 제2 메인 지지부(321), 제2 측면 지지부(322), 제2 받침부(323) 및 제2 돌출부(32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2 케이싱(320)은 제1 케이싱(310)과 동일한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1 메인 지지부(311)는 몸체부(110)의 제1면(111)에 배치되는 열팽창 내화재(200)의 테두리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1 메인 지지부(311)에는 개방홀(315)이 형성되어, 열팽창 내화재(200)는 열팽창시 개방홀(315)을 통해 외부로 열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방홀(315)을 통해 열팽창이 이루어지는 열팽창 내화재(200)는 주로 관통홀(h)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측면 지지부(312)는 제1 메인 지지부(31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절곡된다. 즉, 제1 측면 지지부(312)는 제1 메인 지지부(311)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제1 메인 지지부(31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절곡된 제1 측면 지지부(312)는 몸체부(110)의 제2면(112)과 제4면(114)에 배치되는 열팽창 내화재(200)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몸체부(110)의 제2면(112)과 제4면(114)에 배치되는 열팽창 내화재(200)는 제1 측면 지지부(312)와 제2 측면 지지부(322)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제1 측면 지지부(312)에는 고정 가이드(316)가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 가이드(316)는 제1 측면 지지부(312)의 타공 작업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몸체부(110)의 제2면(112)과 제4면(114)에 배치되는 열팽창 내화재(200)는 제1 측면 지지부(312)와 제2 측면 지지부(322)에 구비되는 고정 가이드(316, 326)에 의해 흔들림없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측면 지지부(312)에는 고정 가이드(316)의 형성을 위한 타공홀(31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타공홀(317)은 제1 측면 지지부(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열팽창 내화재(200)는 열팽창시 타공홀(317)을 통해 외부로 열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받침부(313)는 제1 메인 지지부(311)의 상부와 하부로부터 절곡되어, 제1 케이싱(310)에 지지되는 열팽창 내화재(200)를 상부와 하부에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제1 받침부(313)는 몸체부(110)의 제1면(111)에 배치되는 열팽창 내화재(200)의 상부와 하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돌출부(314)는 제1 받침부(313)로부터 돌출된다. 이러한 제1 돌출부(314)는 제1 케이싱(310)과 제2 케이싱(320)의 결합시, 제1 충전홈(101)에 삽입된다.
따라서, 몸체부(110)의 제1면(111)에 배치되는 열팽창 내화재(200)는 열팽창시, 제1 돌출부(314)에 의해 내화재 케이싱(300)의 상부측과 하부측으로의 열팽창이 제한된다. 이에, 몸체부(110)의 제1면(111)에 배치되는 열팽창 내화재(200)는 열팽창시, 개방홀(315)을 통해 외부로 열팽창이 이루어지며, 주로 관통홀(h)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몸체부(110)의 제3면(113)에 배치되는 열팽창 내화재(200)도 제2 케이싱(320)에 구비되는 제2 돌출부(324)에 의해 열팽창 내화재(200)의 열팽창시, 제2 케이싱(320)에 형성된 개방홀(325)을 통해 외부로 열팽창이 이루어지며, 주로 관통홀(h)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충전홈(101)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314) 및 제2 돌출부(324)에는 안내홀(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돌출부(314) 및 제2 돌출부(324)에 안내홀이 더 형성된 경우에는, 열팽창 내화재(200)의 열팽창시 열팽창 내화재(200)는 안내홀을 통해 내화재 케이싱(300)의 상부 또는 하부로도 열팽창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제1 받침부(313)는 제1 메인 지지부(311)의 상부와 하부로부터 절곡됨에 있어, 몸체부(110)의 제2면(112)과 제4면(114)에 배치되는 열팽창 내화재(200)의 상부와 하부의 일부를 지지하게 된다. 즉, 제1 받침부(313) 및 제2 받침부(323)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열팽창 내화재(200)의 상부와 하부는 외부로 노출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몸체부(110)의 제2면(112)과 제4면(114)에 배치되는 열팽창 내화재(200)는 열팽창시, 내화재 케이싱(300)이 위치되는 제2 충전홈(102)에 열팽창 내화재(200)의 충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2 충전홈(102)과 측면 지지부(312, 322) 사이에 형성된 안내 공간부(103)를 통해 열팽창 내화재(200)는 내화재 케이싱(300)의 상부와 하부로 열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내화재 케이싱(300)과 하우징(100)의 결합시, 몸체부(110)의 제2면(112)과 제4면(114)에는 외부로 개방된 형태의 안내 공간부(103)가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부(110)의 제2면(112)과 제4면(114)에 배치되는 열팽창 내화재(200)는 열팽창시, 안내 공간부(103)를 통해 외부로 열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 내화재 케이싱(300)의 하부측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몸체부(110)의 제2면(112)과 제4면(114)에 배치되는 열팽창 내화재(200)는 안내 공간부(103)를 통해 내화재 케이싱(300)의 하부로 열팽창이 이루어지며, 주로 열에 의해 용융된 도체 및 용융된 하우징(100)을 덮게 된다.
또한, 몸체부(110)의 제2면(112)과 제4면(114)에 배치되는 열팽창 내화재(200)는 열팽창시, 타공홀(317)을 통해 외부로 열팽창이 이루어지며 관통홀(h)을 차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내화재 케이싱(300)은 열팽창 내화재(200)를 지지 고정함은 물론 열팽창이 이루어지는 열팽창 내화재(200)의 팽창 방향 등을 효과적으로 안내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열팽창 내화재(200)가 관통홀(h)을 차단하고, 단선된 도체 및 용융된 하우징(100)을 신속하게 덮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부스덕트(1000)를 이루는 하우징(100) 및 내화재 케이싱(30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에 의해 지칭되는 구성들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고하여 부스덕트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제1 케이싱(310)과 제2 케이싱(320)을 가지는 내화재 케이싱(300)의 내측면에 열팽창 내화재(200)를 구비시킨다. (S100)
여기서 몸체부(110)의 제1면(111)과 제3면(113)에 배치되는 각각의 열팽창 내화재(200)는 제1 케이싱(310)의 제1 메인 지지부(311)와 제2 케이싱(320)의 제2 메인 지지부(321)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 제1 받침부(313)는 제1 메인 지지부(311)의 상부와 하부로부터 절곡되며 제1 메인 지지부(311)에 구비되는 열팽창 내화재(200)의 상부와 하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받침부(323)는 제2 메인 지지부(321)의 상부와 하부로부터 절곡되며 제2 메인 지지부(321)에 구비되는 열팽창 내화재(200)의 상부와 하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메인 지지부(311)와 제2 메인 지지부(321)에 구비되는 열팽창 내화재(200)는 열팽창시, 개방홀(315, 325)을 통해 열팽창이 이루어지며 주로 관통홀(h)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몸체부(110)의 제2면(112)과 제4면(114)에 배치되는 열팽창 내화재(200)는 제1 케이싱(310)과 제2 케이싱(320)에 형성된 고정 가이드(316, 326)에 지지 고정된다. 즉, 열팽창 내화재(200)는 제1 케이싱(310)과 제2 케이싱(320)의 결합시, 마주보도록 이루어진 고정 가이드(316, 326)에 지지 고정된다.
예를 들면, 몸체부(110)의 제2면(112)에 배치되는 열팽창 내화재(200)의 일측면은 제1 케이싱(310)의 고정 가이드(316)에 지지되고, 열팽창 내화재(200)의 타측면은 제2 케이싱(320)의 고정 가이드(326)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부(110)의 제2면(112)과 제4면(114)에 배치되는 열팽창 내화재(200)는 고정 가이드(316, 326)가 형성된 제1 측면 지지부(312)와 제2 측면 지지부(322)에 구비된다.
이때, 제1 받침부(313)와 제2 받침부(323)는 제1 측면 지지부(312)와 제2 측면 지지부(322)에 구비되는 열팽창 내화재(200)의 상부와 하부를 일부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받침부(313)와 제2 받침부(323)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열팽창 내화재(200)의 상부와 하부는 외부로 노출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내화재 케이싱(300)이 하우징(100)에 결합될 시, 안내 공간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 공간부(103)를 통해 열팽창 내화재(200)는 내화재 케이싱(300)의 상부와 하부로 열팽창이 이루어지며, 주로 열에 의해 용융된 도체 및 용융된 하우징(100)을 덮게 된다.
다음으로, 열팽창 내화재(200)가 구비된 내화재 케이싱(300)을 하우징(100)에 결합한다. (S200)
이때, 내화재 케이싱(300)과 하우징(100)의 결합과정에서 제1 메인 지지부(311)와 제2 메인 지지부(321)에 구비되는 열팽창 내화재(200)는 날개부(122)의 절곡면에 지지 결합된다.
그리고 내화재 케이싱(300)과 하우징(100)의 결합과정에서 제1 측면 지지부(312)와 제2 측면 지지부(322)에 구비되는 열팽창 내화재(200)는 날개부(122)의 단부에 지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내화재 케이싱(300)과 하우징(100)의 결합과정에서 열팽창 내화재(200)는 날개부(122)의 절곡면과 단부에 지지됨에 따라 열팽창 내화재(200)는 하우징(100)에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제1 케이싱(310)과 제2 케이싱(320)은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0)에 내화재 케이싱(300)을 결합함에 있어, 열팽창 내화재(200)의 일단부는 관통홀(h)에 배치되고, 열팽창 내화재(200)의 타단부는 차단벽(w)의 일면 또는 타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d) 이내에 배치된 상태로 열팽창 내화재(200)를 하우징(100)에 결합하게 된다.
다음으로, 내화재 케이싱(300)이 결합된 하우징(100)을 차단벽(w)이 형성된 관통홀(h)에 관통 삽입한다. (S300)
마지막으로, 관통홀(h)에 관통 삽입된 하우징(100)을 차단벽(w)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 찬넬(400)에 지지 고정하게 된다. (S400)
이때, 제1 고정부(510), 제2 고정부(520) 및 제3 고정부(530)를 갖는 하우징 고정부(500)를 통해 관통홀(h)에 관통 삽입된 하우징(100)은 베이스 찬넬(400)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의 시공방법은 종래의 방화폼을 사용하는 부스덕트의 시공방법에 비해 시공 과정이 단순함은 물론 부스덕트의 시공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101: 제1 충전홈
102: 제2 충전홈 103: 안내 공간부
110: 몸체부 120: 충전 형성부
121: 평판부 122: 날개부
200: 열팽창 내화재 300: 내화재 케이싱
310: 제1 케이싱 311: 제1 메인 지지부
312: 제1 측면 지지부 313: 제1 받침부
314: 제1 돌출부 315: 개방홀
316: 고정 가이드 317: 타공홀
320: 제2 케이싱 400: 베이스 찬넬
500: 하우징 고정부 1000: 부스덕트

Claims (5)

  1. a)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가지는 내화재 케이싱의 내측면에 열팽창 내화재를 구비시키는 단계;
    b) 상기 열팽창 내화재가 구비된 상기 내화재 케이싱을 하우징에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내화재 케이싱이 결합된 상기 하우징을 차단벽에 형성된 관통홀에 관통 삽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관통홀에 관통 삽입된 상기 하우징을 상기 차단벽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 찬넬에 지지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제1면 내지 제4면을 갖는 사각기둥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의 제1면과 제3면 측으로 제1 충전홈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제2면과 제4면 측으로 제2 충전홈을 형성하는 충전 형성부를 가지며,
    상기 충전 형성부는, 상기 몸체부의 제2면과 제4면에 각각 결합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된 날개부를 가지되, 상기 날개부의 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제2면과 제4면에 배치되는 상기 열팽창 내화재를 지지하고, 상기 날개부의 절곡면은 상기 몸체부의 제1면과 제3면에 배치되는 상기 열팽창 내화재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케이싱은, 개방홀이 형성되며 제1면에 배치되는 상기 열팽창 내화재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제1 메인 지지부와, 상기 제1 메인 지지부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되며 타공홀 형성을 통해 고정 가이드가 형성되어 제2면 및 제4면에 배치되는 상기 열팽창 내화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측면 지지부, 상기 제1 메인 지지부의 상부와 하부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열팽창 내화재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는 제1 받침부 및 상기 제1 받침부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케이싱은 상기 제1 케이싱과 한 쌍을 이루되, 개방홀이 형성되며 제3면에 배치되는 상기 열팽창 내화재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제2 메인 지지부와, 상기 제2 메인 지지부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되며 타공홀 형성을 통해 고정 가이드가 형성되어 제2면 및 제4면에 배치되는 상기 열팽창 내화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제2 측면 지지부, 상기 제2 메인 지지부의 상부와 하부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열팽창 내화재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는 제2 받침부 및 상기 제2 받침부로부터 돌출된 제2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내화재 케이싱은 상기 차단벽의 일면과 타면 부위에 각각 구비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열팽창 내화재가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경우, 상기 열팽창 내화재는 상기 개방홀을 통해 외부로 열팽창이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홀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부스덕트의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열팽창 내화재의 일단부는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열팽창 내화재의 타단부는 상기 차단벽으로부터 500mm 이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의 시공방법.
KR1020170066245A 2017-05-29 2017-05-29 부스덕트의 시공방법 KR101938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245A KR101938732B1 (ko) 2017-05-29 2017-05-29 부스덕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245A KR101938732B1 (ko) 2017-05-29 2017-05-29 부스덕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302A KR20180130302A (ko) 2018-12-07
KR101938732B1 true KR101938732B1 (ko) 2019-01-16

Family

ID=6466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245A KR101938732B1 (ko) 2017-05-29 2017-05-29 부스덕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7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202B1 (ko) 2019-08-11 2021-03-05 주식회사 광운기술 시공성이 우수한 내화 부스 덕트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1256A (ja) * 2005-12-27 2007-07-12 Kyodo Ky Tec Corp バスダクト支持構造
JP2014007893A (ja) * 2012-06-26 2014-01-16 Mirai Ind Co Ltd 中空壁における貫通孔の耐火構造及び充填材受け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0911Y2 (ja) * 1991-09-30 1997-07-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防火区画体における可燃材製長尺管体貫通部の防火構造
KR200423796Y1 (ko) 2006-05-30 2006-08-10 정수상 부스바용 덕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1256A (ja) * 2005-12-27 2007-07-12 Kyodo Ky Tec Corp バスダクト支持構造
JP2014007893A (ja) * 2012-06-26 2014-01-16 Mirai Ind Co Ltd 中空壁における貫通孔の耐火構造及び充填材受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302A (ko) 201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0033B2 (en) Fire stop for light fixture
JP5301851B2 (ja) スリーブ形成シート及び貫通部構造の形成方法
KR101938732B1 (ko) 부스덕트의 시공방법
JP5462478B2 (ja)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の防火措置構造
KR101805156B1 (ko) 부스덕트
KR101741522B1 (ko) 차열 방화셔터
JP2010166738A (ja) バスダクト壁貫通構造およびバスダクト貫通構造
KR102193077B1 (ko) 관통 슬리브유닛
JP2008240355A (ja) 柱または梁と耐火間仕切壁との取り合い構造及び方法
JP6674217B2 (ja) 耐火壁
JP2000170282A (ja) 貫通穴部の防火装置、防火構造及び防火工法
JP4927797B2 (ja) 配線ボックス用耐火処理部材
KR101967956B1 (ko) 차열프레임 및, 이를 활용한 프레임구조체
KR102412548B1 (ko) 내화발포성 슬리브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
JP2010144402A (ja) パネルの取付構造
JP6799524B2 (ja) 耐火部材及び防火区画壁構造
KR102073509B1 (ko)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
KR102417492B1 (ko) 관통 슬리브유닛
KR200350115Y1 (ko) 화재전이방지용 도선보호관
JP2017115337A (ja) ドア
KR100601339B1 (ko) 내화성 샌드위치패널
JP2017053374A (ja) 目隠しカバー及び防火構造の施工方法
KR102037629B1 (ko) 배관을 통한 화염 전파 방지 장치
KR101775647B1 (ko) 차열 방화셔터
JP2016142019A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