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000B1 -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000B1
KR101935000B1 KR1020180025913A KR20180025913A KR101935000B1 KR 101935000 B1 KR101935000 B1 KR 101935000B1 KR 1020180025913 A KR1020180025913 A KR 1020180025913A KR 20180025913 A KR20180025913 A KR 20180025913A KR 101935000 B1 KR101935000 B1 KR 101935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mage
thumbnail image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002A (ko
Inventor
은동진
김학준
강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5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0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5/232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하고, 식별된 기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식별된 기기로 전송하는 기기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통한 영상에서 인식된 기기의 컨텐트를 표시하고, 이를 연결된 다른 기기에서 재생하도록 하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증강 현실 기술이 발달하면서 사회적, 문화적으로 많은 활용이 되고 있다. 특히, 고성능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가 출시되면서 증강 현실 관련 응용 소프트웨어의 활용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현실환경과 가상환경을 융합하는 복합형 가상현실 시스템(hybrid VR system)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미국·일본을 중심으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현실세계를 가상세계로 보완해주는 개념인 증강 현실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을 사용하지만 주역은 현실환경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현실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3차원 가상영상을 겹침(overlap)으로써 현실환경과 가상화면과의 구분이 모호해지도록 한다는 뜻이다.
가상현실기술은 가상환경에 사용자를 몰입하게 하여 실제환경을 볼 수 없다. 하지만 실제환경과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증강 현실기술은 사용자가 실제환경을 볼 수 있게 하여 보다 나은 현실감과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카메라로 주변을 비추면 인근에 있는 상점의 위치,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입체영상으로 표기된다.
원격의료진단·방송·건축설계·제조공정관리 등에 활용된다. 최근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본격적인 상업화 단계에 들어섰으며, 게임 및 모바일 솔루션 업계·교육 분야 등에서도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재생할 기기와 컨텐트를 가지고 있는 기기를 보면서 직관적으로 공유를 수행하기 위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기 제어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기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식별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기 제어 방법은 상기 식별된 기기로 컨텐트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기기로부터 컨텐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컨텐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 제어 방법은 기저장된 컨텐트에 대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컨텐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트 정보는 컨텐트 썸네일, 컨텐트 메타데이터 및 컨텐트 파일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컨텐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컨텐트 정보를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식별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 재생 명령을 상기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트 재생 명령을 상기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트의 어드레스를 상기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트 정보를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트 정보를 드래그하여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기기로부터 컨텐트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컨텐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은 소정의 카메라를 통하여 인식된 소정의 기기 영상 정보와 상기 인식된 소정의 기기 정보를 매칭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소정의 영상 분석을 통하여 기기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기기의 영상 정보와 등록된 소정의 영상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인식된 기기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식별된 기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식별된 기기로 전송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하는 제어부; 상기 식별된 기기로부터 컨텐트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표시된 컨텐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실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록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방법에 대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방법에 대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방법에 대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에 관한 블록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컨텐트 재생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한다. 등록된 기기란 미리 소정의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가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미리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카메라를 통하여 인식된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를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기기의 기기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그 후,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가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된 화면에서 인식된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영상 인식 정보를 비교한 후, 일치하는 경우, 비교된 영상 인식 정보에 매칭된 기기 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를 식별한다.
단계 12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식별된 기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식별된 기기로 컨텐트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자체에 저장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를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 자체에서 컨텐트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재생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가 저장된 컨텐트에 대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컨텐트 정보를 이동시키는 일 예로는 사용자가 표시된 컨텐트 정보 중 하나를 드래그(drag)하여 식별된 기기에 드랍(drop)한다.
단계 13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식별된 기기로 전송한다. 단계 120의 예에서, 제어 명령은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의 재생 명령을 의미한다. 단지 재생 명령은 예일 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입력의 특징에 따라 제어 명령은 다양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록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하고 표시 중인 기기의 영상을 입력한다.
단계 22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입력된 기기 영상으로부터 기기 영상 인식 정보를 분석한다. 또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 가능한 기기를 검색한다. 소정의 네트워크의 예로는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IEEE802.11, HomeRF(Radio Frequency),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USB(Ultra Wire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무선 1394와 같은 무선 프로토콜 또는 이더넷, HomePNA(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PLC(Power Line Communication), IEEE 1394,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유선 프로토콜 기반의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단계 23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분석된 기기 영상 인식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기기 정보를 매칭한다.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분석된 기기 영상 인식 정보 및 검색된 연결 가능한 기기를 표시한다. 그 후, 사용자가 표시된 기기 영상 인식 정보 및 검색된 연결 가능한 기기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표시 기기 영상 인식 정보와 검색된 연결 가능한 기기를 매칭시킨다.
단계 24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기기 영상 인식 정보와 기기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표시된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 및 연결되는 기기의 기기 정보(예를 들어, 기기의 고유 ID)를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의 소정의 저장소에 저장한다. 물론, 양 정보의 매칭 정보 또한 저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한다. 우선,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표시된 기기를 인식한다. 그 후, 인식된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를 추출하여, 도 2의 방법에 의하여 등록된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와 비교한다. 일치하는 경우,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비교된 영상 인식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기기로 식별한다.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식별된 기기를 소정의 표시(예를 들어, 테두리에 색선으로 다른 기기와 구별되게 표시)를 통하여 식별된 기기임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식별된 기기 중에서 컨텐트가 재생 가능한 기기의 경우, 식별 표시와 다른 방법으로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 32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식별된 기기로 컨텐트 정보를 요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트 정보는 컨텐트의 썸네일(thumbnail), 기기 및 컨텐트의 저장 폴더명과 같은 컨텐트의 어드레스 정보 및 컨텐트의 파일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의 썸네일 및 컨텐트의 파일명은 컨텐트의 어드레스 정보까지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33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컨텐트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컨텐트 정보를 송신한 기기 주위에 배치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또한, 식별된 기기의 위치와 상관없이 플레이 리스트와 같은 메뉴 화면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컨텐트 정보가 복수인 경우,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개수의 제한을 두어 컨텐트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른 컨텐트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컨텐트 정보를 송신한 기기 주위에 반원의 모양으로 수신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의 드래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회전시켜 다른 컨텐트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단계 310 내지 단계 33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가 포커싱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모든 등록된 기기에 대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포커싱된 기기에 대해서만 단계 310 내지 단계 330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계 34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를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를 소정의 입력 수단으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 중 하나를 드래그(drag)하여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에 드랍(drop)한다.
단계 35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이동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의 재생 명령을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한다. 이 경우,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이동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의 어드레스 정보를 컨텐트 재생 명령과 함께 컨텐트 재생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 어드레스 정보가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함께 전송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컨텐트 정보를 송신한 기기에 요청하여 수신한 후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컨텐트 정보를 송신한 기기에 컨텐트 어드레스 정보를 직접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물론, 컨텐트 정보 자체에 컨텐트 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그 후, 컨텐트 재생 기기는 컨텐트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방법에 대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400)는 디스플레이(410) 및 카메라(420)를 포함한다.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400)는 카메라(420)를 통하여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한다. 도 4a에서는, 디스플레이(410)의 화면에 표시된 기기로는 텔레비전(411), 노트북(412), 냉장고(413) 등이 있다. 그 후,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400)는 카메라(4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410)의 화면에 표시된 기기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한다. 식별된 기기는 일반 기기와는 다르게 소정의 표시(예를 들어, 테두리에 색깔 표시 등등)를 할 수 있다. 도 4a에서는 식별된 기기로는 텔레비전(411)과 노트북(412)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등록된 기기가 식별된 후에는, 기기(400)는 식별된 기기로 컨텐트 정보를 요청한다. 그 후, 요청한 컨텐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400)는 디스플레이(410)의 화면에 수신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한다. 도 4a에서, 컨텐트 정보의 예로써, 디스플레이(410) 화면에 각각의 컨텐트의 썸네일(401~404)이 표시되어 있다. 도 4a에서는 컨텐트 정보를 송신한 기기, 즉, 노트북(412) 주변에 컨텐트 썸네일(401~404)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썸네일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드래그(drag)하는 경우, 반원 모양의 썸네일(401~404)이 회전하면서 다른 썸네일이 표시된다. 사용자(430)가 표시된 썸네일(403)을 재생 가능한 기기인 텔레비전(411)에 드래그 & 드랍(drag & drop)하는 경우에,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400)는 컨텐트 썸네일(403)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트 주소를 추출하여 텔레비전(411)에 전달하고, 텔레비전(411)에 재생 명령을 송신한다. 그 후, 텔레비전(411)은 수신한 컨텐트 주소에 따라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도 4b는 텔레비전(411)에서 컨텐트 썸네일(403)에 대응되는 컨텐트를 재생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은 도 3의 단계 310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52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기저장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한다. 즉,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정보를 표시한다. 컨텐트 정보는 도 3의 단계 320에서 설명한 컨텐트 정보와 동일하다. 단계 52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도 3의 단계 320 및 단계 330과 같이 식별된 기기로 컨텐트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한 후,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 530 및 단계 540은 도 3의 단계 340 및 단계 350과 유사하다. 다만, 사용자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는 컨텐트 정보가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에 대한 컨텐트 정보인 것이 차이가 있다. 물론, 식별된 기기로부터 컨텐트 정보를 수신하여 더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는 컨텐트 정보가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 자체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에 대한 컨텐트 정보뿐만 아니라 수신한 컨텐트 정보인 것이 차이가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방법에 대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600)는 디스플레이(610) 및 카메라(620)를 포함한다.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600)는 카메라(620)를 통하여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한다. 도 6a에서는, 디스플레이(610)의 화면에 표시된 기기로는 텔레비전(611), 노트북(612) 등이 있다. 그 후,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600)는 카메라(6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610)의 화면에 표시된 기기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한다. 식별된 기기는 일반 기기와는 다르게 소정의 표시(예를 들어, 테두리에 색깔 표시 등등)를 할 수 있다. 도 6a에서는 식별된 기기로는 텔레비전(611)과 노트북(612)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600)는 자체 저장된 컨텐트 정보인, 컨텐트 썸네일(605~608)을 소정의 영역(630)에 표시한다. 또는, 부가적으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600)는 식별된 기기로 컨텐트 정보를 요청한다. 그 후, 요청한 컨텐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600)는 디스플레이(610)의 화면에 수신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한다. 도 6a에서, 컨텐트 정보의 예로써, 디스플레이(610) 화면에 각각의 컨텐트의 썸네일(601~604)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체 저장된 컨텐트 썸네일(605~608) 중 하나를 드래그 & 드랍으로 재생 가능한 기기에 이동시킬 수 있고, 수신한 컨텐트 썸네일(601~604) 중 하나를 드래그 & 드랍으로 재생 가능한 기기에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a에서는 사용자(640)가 자체 저장된 컨텐트 중 표시된 썸네일(606)을 재생 가능한 기기인 노트북(612)에 드래그 & 드랍(drag & drop)하는 경우에,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600)는 컨텐트 썸네일(606)에 대응되는 컨텐트 주소를 추출하여 노트북(612)에 전달하고, 노트북(612)에 재생 명령을 송신한다. 그 후, 노트북(612)은 수신한 컨텐트 주소에 따라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도 6b는 노트북(612)에서 컨텐트 썸네일(606)에 대응되는 컨텐트를 재생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 내지 단계 730은 도 3의 단계 310 내지 단계 330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74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도 7에서는 도 3 또는 도 5의 방법과 다르게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 자체에서 표시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재생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 입력이란,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 자체에서 선택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재생하라는 사용자 입력이다. 인터페이스의 예로는, 단순히 컨텐트 정보를 클릭하는 경우를 본 단계에 따른 사용자 입력으로 인식하거나,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 자체에서 재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버튼이 구비되어, 버튼이 활성화(예를 들어, 표시된 컨텐트 정보 중 하나를 드래그하여 버튼에 드랍하는 경우)를 본 단계에 따른 사용자 입력으로 인식하는 방법 등이 있다.
단계 750에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를 재생한다.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의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제어 방법에 관한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텔레비전의 경우 이동하는 경우가 드물겠지만, 노트북과 같은 경우 잦은 이동으로 인하여 고정된 위치에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컨텐트를 가지고 있지 않은 기기(예를 들어, 냉장고, 세탁기 등)를 가상의 노트북으로 도 2의 방법에 의하여 등록할 수가 있다.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는 가상 등록된 기기를 카메라를 통하여 비추는 경우, 노트북으로 등록된 기기로 식별하고, 컨텐트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가상 등록된 기기와 노트북과는 통신 상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900)는 카메라(920)를 통하여 냉장고(912)가 디스플레이(910) 화면에서 인식되는 경우, 이를 등록된 기기인 노트북으로 인식하여 컨텐트 정보(901~904)를 요청하여 표시하고, 도 3 내지 도 8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와 도 2의 방법에 의하여 등록된 기기와 통신 상태만 유지된다면, 장애물(예를 들어, 벽)이 있는 경우에는 등록된 기기를 표시하고, 등록된 기기에 컨텐트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 후, 도 3 내지 도 8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는 영상 입력부(1010), 제어부(1020), 저장부(1030), 사용자 입력부(1040), 디스플레이부(1050) 및 통신부(1060)를 포함한다.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는 영상 입력부(1010)를 통하여 인식될 기기와 소정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소정의 네트워크의 예로는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IEEE802.11, HomeRF(Radio Frequency),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USB(Ultra Wire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무선 1394와 같은 무선 프로토콜 또는 이더넷, HomePNA(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PLC(Power Line Communication), IEEE 1394,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유선 프로토콜 기반의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영상 입력부(1010)는 카메라를 의미한다. 다만, 카메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이면 그 제한은 없다.
디스플레이부(1050)는 영상 입력부(10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후술할 컨텐트 정보에 대해서도 표시한다.
제어부(1020)는 영상 입력부(1010)를 통해 입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050)에 표시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한다. 등록된 기기란 미리 소정의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가 저장부(1030)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미리 제어부(1020)는 영상 입력부(1010)를 통하여 인식된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를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기기의 기기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그 후, 제어부(1020)가 영상 입력부(1010)를 통하여 입력된 화면에서 인식된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영상 인식 정보를 비교한 후, 일치하는 경우, 비교된 영상 인식 정보에 매칭된 기기 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를 식별한다.
사용자 입력부(1040)는 식별된 기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20)는 통신부(1030)를 통하여 식별된 기기로 컨텐트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저장부(1030)에 저장된 컨텐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부(1040)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를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저장부(1030)에 저장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재생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050)가 저장된 컨텐트에 대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040)는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컨텐트 정보를 이동시키는 일 예로는 사용자가 표시된 컨텐트 정보 중 하나를 드래그(drag)하여 식별된 기기에 드랍(drop)한다. 사용자 입력부(1040)는 일 예로 터치 스크린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05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 후, 제어부(102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통신부(1060)를 통하여 식별된 기기로 전송한다. 제어 명령은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의 재생 명령을 의미한다. 단지 재생 명령은 예일 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입력의 특징에 따라 제어 명령은 다양할 수 있다.
각각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소정의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020)는 영상 입력부(1010)를 통하여 촬영하고 디스플레이부(1050)에 표시 중인 기기의 영상을 입력한다. 그 후, 제어부(1020)는 입력된 기기 영상으로부터 기기 영상 인식 정보를 분석한다. 또한, 제어부(1020)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 가능한 기기를 검색한다. 그 후, 제어부(1020)는 분석된 기기 영상 인식 정보 및 검색된 연결 가능한 기기를 디스플레이부(1050)에 표시한다. 그 후,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04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050)에 표시된 기기 영상 인식 정보 및 검색된 연결 가능한 기기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020)는 선택된 표시 기기 영상 인식 정보와 검색된 연결 가능한 기기를 매칭시킨다. 그 후, 제어부(1020)는 기기 영상 인식 정보와 기기 정보를 저장부(1030)에 저장한다.
이하, 컨텐트 재생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에 관한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020)는 영상 입력부(1010)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등록된 기기를 식별한다. 우선, 제어부(1020)는 영상 입력부(1010)를 통해 입력된 화면에서 표시된 기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부(1030)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된 기기의 영상 인식 정보와 비교한다. 그 후, 제어부(1020)는 영상 인식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비교된 영상 인식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기기로 식별한다. 또한, 제어부(1020)는 식별된 기기를 소정의 표시(예를 들어, 테두리에 색선으로 다른 기기와 구별되게 표시)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050)에 식별된 기기임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20)는 식별된 기기 중에서 컨텐트가 재생 가능한 기기의 경우, 식별 표시와 다른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부(1050)에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1020)는 통신부(1060)를 통하여 식별된 기기로 컨텐트 정보를 요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트 정보는 컨텐트의 썸네일(thumbnail), 기기 및 컨텐트의 저장 폴더명과 같은 컨텐트의 어드레스 정보 및 컨텐트의 파일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의 썸네일 및 컨텐트의 파일명은 컨텐트의 어드레스 정보까지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050)는 컨텐트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050)는 컨텐트 정보를 송신한 기기 주위에 배치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부(1050)는 식별된 기기의 위치와 상관없이 플레이 리스트와 같은 메뉴 화면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컨텐트 정보가 복수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050)는 개수의 제한을 두어 컨텐트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른 컨텐트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050)는 컨텐트 정보를 송신한 기기 주위에 반원의 모양으로 수신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부(1040)를 통하여 사용자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의 드래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회전시켜 다른 컨텐트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가 포커싱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50)는 모든 등록된 기기에 대한 컨텐트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포커싱된 기기와 관련된 컨텐트 정보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040)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를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040)를 통하여 표시된 컨텐트 정보를 소정의 입력 수단으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 중 하나를 드래그(drag)하여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에 드랍(drop)한다.
그 후, 제어부(1020)는 이동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의 재생 명령을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한다. 이 경우, 제어부(1020)는 이동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의 어드레스 정보를 컨텐트 재생 명령과 함께 컨텐트 재생 기기에 통신부(1060)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 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부(10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020)는 함께 전송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컨텐트 정보를 송신한 기기에 요청하여 수신한 후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20)는 컨텐트 정보를 송신한 기기에 컨텐트 어드레스 정보를 직접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물론, 컨텐트 정보 자체에 컨텐트 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그 후, 컨텐트 재생 기기는 컨텐트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이하, 컨텐트 재생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에 관한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050)는 저장부(1030)에 저장된 컨텐트에 대응되는 컨텐트 정보를 표시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050)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정보를 표시한다. 물론, 디스플레이부(1050)는 제 1 실시예에서 기술한 외부 기기에서 수신한 컨텐트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040)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를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그 후, 제어부(1020)는 이동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의 재생 명령을 재생 가능한 식별된 기기로 전송한다.
즉, 제 2 실시예가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 자체에 저장된 컨텐트도 표시하고 이를 재생 가능한 등록된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하, 컨텐트 재생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에 관한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입력부(1040)는 표시된 컨텐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이란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 자체에서 선택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재생하라는 사용자 입력이다. 인터페이스의 예로는, 단순히 컨텐트 정보를 클릭하는 경우에 사용자 입력으로 인식하거나, 사용자 입력부(1040)에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 자체에서 재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버튼이 구비되어, 버튼이 활성화(예를 들어, 표시된 컨텐트 정보 중 하나를 드래그하여 버튼에 드랍하는 경우)를 사용자 입력으로 인식하는 방법 등이 있다.
제어부(1020)는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를 재생한다. 제어부(10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의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제 3 실시예가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표시된 컨텐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트를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 자체에서 컨텐트를 재생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제어부(1020)는 컨텐트를 가지고 있지 않은 기기(예를 들어, 냉장고, 세탁기 등)를 컨텐트를 갖는 가상의 기기로 등록할 수가 있다. 제어부(1020)는 컨텐트를 가지고 있지 않은 기기를 영상 입력부(1010)를 통하여 비추는 경우, 이를 등록된 기기로 식별하고, 컨텐트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컨텐트를 가지고 있지 않은 기기와 가상의 기기와는 통신 상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는, 제어부(1020)는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장치(1000)와 등록된 기기와 통신 상태만 유지된다면, 장애물(예를 들어, 벽)이 있는 경우에도 등록된 기기를 표시하고, 등록된 기기에 컨텐트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표시하고, 상기 기술한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컨텐트 재생 기기 제어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5)

  1. 전자 기기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등록된 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등록된 장치에서,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의 컨텐츠를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를 나타내는 제 1 기기 이미지, 상기 수신된 썸네일 이미지, 및 상기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영역을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에 함께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수신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제 1 기기 이미지의 주변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콘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상에 함께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썸네일 이미지 중에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터치하고, 상기 터치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화면에서 상기 전자 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기설정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인, 기기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에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로부터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를 포함하는 것인, 기기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 및 컨텐츠 파일 이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기기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주소를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기기 제어 방법.
  5. 삭제
  6. 기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등록된 기기를 식별하는 제어부;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를 나타내는 제 1 기기 이미지, 상기 수신된 썸네일 이미지, 및 상기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영역을 함께 표시하되, 상기 수신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제 1 기기 이미지의 주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화면 상에 함께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썸네일 이미지 중에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터치하고, 상기 터치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에서 상기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설정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인, 전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에 썸네일 이미지를 요청하고, 상기 식별된 등록된 기기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수신하는 것인, 전자 장치.
  8. 전자 장치가 콘텐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저장된 콘텐트에 관한 썸네일 이미지썸네일 이미지를 보내라는 요청을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상기 썸네일 이미지썸네일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썸네일 이미지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상기 콘텐트의 재생에 관련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에게 상기 콘텐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와 통신하며,
    상기 전송된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영역과 함께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표시되며,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화면 상에 함께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썸네일 이미지 중에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가 상기 기설정된 영역으로 터치되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게 전송된 것인,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기기 이미지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등록된 것인,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상기 전자 장치의 기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기기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기기 이미지를 등록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촬영된 상기 전자 장치의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등록된 기기 이미지가 비교됨으로써,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가 식별되는 것인,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 및 컨텐츠 파일 이름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를썸네일 이미지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썸네일 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서, 상기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상기 등록된 기기 이미지의 주변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기기 이미지, 상기 전자 장치의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썸네일 이미지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함께 표시되는 것인,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게 콘텐트의 주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6. 콘텐트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저장된 콘텐트에 관한 썸네일 이미지를 보내라는 요청을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전송하고,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상기 콘텐트의 재생에 관련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콘텐트를 전송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와 통신하며,
    상기 전송된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영역과 함께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표시되며,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화면 상에 함께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썸네일 이미지 중에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가 상기 기설정된 영역으로 터치되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게 전송된 것인, 전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기기 이미지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등록된 것인, 전자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검색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검색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상기 전자 장치의 기기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기기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기기 이미지를 등록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전자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촬영된 상기 전자 장치의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등록된 기기 이미지가 비교됨으로써,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가 식별되는 것인, 전자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컨텐츠 메타 데이터 및 컨텐츠 파일 이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인, 전자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서, 상기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상기 등록된 기기 이미지의 주변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전자 장치.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기기 이미지, 상기 전자 장치의 기기 이미지, 및 상기 썸네일 이미지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함께 표시되는 것인, 전자 장치.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2 디바이스에게 콘텐트의 주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전자 장치.
  24.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5. 제 8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80025913A 2018-03-05 2018-03-05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935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913A KR101935000B1 (ko) 2018-03-05 2018-03-05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913A KR101935000B1 (ko) 2018-03-05 2018-03-05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987A Division KR101837082B1 (ko) 2011-01-20 2011-01-20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002A KR20180029002A (ko) 2018-03-19
KR101935000B1 true KR101935000B1 (ko) 2019-01-03

Family

ID=6191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913A KR101935000B1 (ko) 2018-03-05 2018-03-05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0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647B1 (ko) * 2018-07-11 2023-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002A (ko) 201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082B1 (ko)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U2021204725B2 (en) Localization determination for mixed reality systems
CN104081319B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EP25234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Between Different Network Devices
KR101276846B1 (ko)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KR101839319B1 (ko) 컨텐츠 검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4040479A (zh) 第二屏幕上的替代视图视频回放
CN105264903A (zh) 用于多个显示器媒体呈现的技术和***
US20170262061A1 (en) Hand gesture recognition method, device, syste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JP2008305103A (ja) 機器間操作インターフェース、機器制御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201001617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digital contents among heterogeneous devices
RU250008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л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тносительно интерактивных операций
KR101935000B1 (ko)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077914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first electronic device
CN115243085A (zh) 显示设备及设备互联方法
AU20152553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CN117957845A (zh) 通用控制器
KR102330475B1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88666A (ko) 스마트폰내 이미지 확대 및 축소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