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099B1 - 컨텐츠 재생 장치, 그 ui 제공 방법,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재생 장치, 그 ui 제공 방법,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099B1
KR101934099B1 KR1020120146335A KR20120146335A KR101934099B1 KR 101934099 B1 KR101934099 B1 KR 101934099B1 KR 1020120146335 A KR1020120146335 A KR 1020120146335A KR 20120146335 A KR20120146335 A KR 20120146335A KR 101934099 B1 KR101934099 B1 KR 101934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mmand
information
controlling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7481A (ko
Inventor
이강민
심정현
진선미
권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6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099B1/ko
Priority to PCT/KR2013/011509 priority patent/WO2014092469A1/en
Priority to EP13197248.1A priority patent/EP2744216B1/en
Priority to US14/105,263 priority patent/US20140173446A1/en
Priority to JP2013257989A priority patent/JP6399748B2/ja
Priority to EP18164147.3A priority patent/EP3358850B1/en
Priority to CN201310690148.8A priority patent/CN103873909B/zh
Priority to CN201910180772.0A priority patent/CN109756406B/zh
Publication of KR20140077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컨텐츠 재생 장치가 개시된다. 본 컨텐츠 재생 장치는 컨텐츠 공유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UI를 생성하는 GUI 처리부, 통합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통합 UI 상에서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명령을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여,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재생 장치, 그 UI 제공 방법,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 CONTENTS PLAYING APPARATUS,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CONTENTS PLAYING APPARATUS, NETWORK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ONG THE NETWORK SERVER }
본 발명은 컨텐츠 재생 장치, 그 UI 제공 방법,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장치, 그 UI 제공 방법,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home)에 설치되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와 외부 통신 네트워크 간의 네트워크 정합을 수행함으로써 지능화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의미하며, 이러한 네트워크화를 통해 가정 내 정보자원의 공유와 개별 제품들의 효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홈 디바이스에는, 퍼스널 컴퓨터, 팩스, 스캐너, 프린터 등과 같은 정보계 디바이스, TV, 셋탑박스, DVD, VCR, 오디오, 캠코더, 가정용 게임기 등과 같은 A/V 디바이스, 커피메이커, 전기밥솥,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카메라 등과 같은 제어계 디바이스, 및 리모콘, 인터폰, 센서, 라이트 등과 같은 더미 디바이스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편입시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해 홈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홈 디바이스와 포터블 디바이스는, 전화선, 무선랜(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또는 전력선 등과 같은 서브망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그 UI 제공 방법,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는 컨텐츠 공유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UI를 생성하는 GUI 처리부, 상기 통합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통합 UI 상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을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디바이스 중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종류 및 상기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UI는,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 상기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및 상기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복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UI를 생성하도록 상기 GUI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복수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통합 UI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통신부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디바이스 중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종류 및 상기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UI는,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 상기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및 상기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기설정된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기설정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UI 제공 방법은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UI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합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UI 상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을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디바이스 중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종류 및 상기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UI는,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 상기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및 상기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복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UI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공유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을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통합 UI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디바이스 중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종류 및 상기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UI는,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 상기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및 상기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기설정된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를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통합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컨텐츠 재생 장치(100) 네트워크 장치(200) 및, 디바이스(310, 320, 330, 340)로 구축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200)는 홈 게이트웨이 장치, 홈 네트워크 서버 등으로 구현되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즉, 네트워크 장치(200)는 자신과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 장치(20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디바이스(310, 320, 330, 340)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각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또한, 네트워크 장치(200)는 수신된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각 디바이스 별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된 경우, 네트워크 장치(200)는 스마트 TV(310), 홈 시어터(320), 전등(330), 및 냉장고(340)에서 제공 가능한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저장하고,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각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네트워크 장치(200)는 홈 시어터(320)의 볼륨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면, 기저장된 제어 명령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도록 홈 시어터(320)의 볼륨을 변경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홈 시어터(32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네트워크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통합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합 UI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바이스(310, 320, 330, 340)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합 UI를 구성하는 항목은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명령, 네트워크 장치(200)에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바이스(310, 320, 330, 340)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태블릿, 스마트 TV, PC, PMP 등과 같이 다른 기기들과 통신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바이스(310, 320, 330, 34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310, 320, 330, 340)는 스마트 TV(310), 홈 시어터(320), 전등(330) 및 냉장고(340)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디바이스는 에어컨, 세탁기, 모니터, DVD 플레이어,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전자 액자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컨텐츠 재생 장치(100)와 디바이스(310, 320, 330, 340)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재생 장치(100)와 디바이스(310, 320, 330, 340)는 유/무선 LAN, WAN, 이더넷,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와이파이(Wifi) 또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치(100)와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디바이스(310, 320, 330, 340)와 같이 댁내 존재할 수 있지만, 댁외에 존재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를 이용하여 댁내에서 디바이스(310, 320, 330, 3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댁외에서 디바이스(310, 320, 330, 34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GUI 처리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입력부(110)는 컨텐츠 공유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 공유 명령이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다른 디바이스와 컨텐츠를 공유하여, 공유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를 다른 디바이스에서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장치(20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공유 명령을 수신하면,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장치(200)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에 기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장치(미도시) 또는 웹 서버(미도시) 등으로부터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스트리밍되는 컨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된 경우, 음악, 동영상 등과 같은 컨텐츠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다른 디바이스에서 재생하기 위해,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를 네트워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10)는 키버튼, 키패드 등으로 구현되거나 리모컨과 같은 원격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유/무선 LAN, WAN, 이더넷,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와이파이(Wifi) 또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치(200)를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각 통신 방식에 대응되는 칩 또는 외부 입력 포트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200)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디바이스 중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종류 및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 재생 장치(10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재생할 때 사용자자 원하는 상황 또는 조건을 달성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영상이 스마트 TV(도 1의 310)를 통해 출력되고 오디오가 홈 시어터(도 1의 320)를 통해 출력되며, 전등(도 1의 330)의 전원이 오프되는 상태에서 컨텐츠를 시청하기를 원할 수 있다.
즉,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는 스마트 TV(310), 홈 시어터(320)와 같이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되거나, 전등(330)과 같이 컨텐츠 시청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냉장고(도 1의 340)와 같이 컨텐츠의 재생 및 컨텐츠 시청 환경과 무관한 디바이스는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 TV(310), 홈 시어터(320) 및 전등(330)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일 뿐이다. 즉,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디바이스 중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되거나 컨텐츠 재생 시청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모든 디바이스가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젝터(미도시), 모니터(미도시), DVD 플레이어(미도시), 디지털 카메라(미도시), 전자 액자(미도시), 세탁기(미도시), 에어컨(미도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네트워크 장치(200)는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기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200)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되거나 컨텐츠 시청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종류, 명칭, 제품 고유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거나, 각 디바이스들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장치(200)는 해당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에 입력한 경우, 네트워크 장치(20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장치(20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통해 각 디바이스들의 종류, 명칭, 제품 고유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들 중에서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 네트워크 장치(200)가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예일 뿐이다. 즉, 네트워크 장치(200)는 디바이스의 명칭, 제품 고유번호 등과 같이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 중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정 상태란, 디바이스의 전원 상태, 볼륨 상태, 화면 모드 상태 등과 같이 각 디바이스에서 제공 가능한 기능에 대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TV(310)의 볼륨 상태, 스마트 TV(310)의 화면 모드 상태, 홈 시어터(320)의 볼륨 상태, 전등(330)의 전원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네트워크 장치(200)와 관련된 도면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GUI 처리부(130)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UI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GUI 처리부(130)는 생성된 통합 UI를 디스플레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합 UI는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합 UI는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UI는 스마트 TV(310)의 볼륨 상태, 홈 시어터(320)의 볼륨 상태, 전등(330)의 전원 상태 등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합 UI는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합 UI는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은 컨텐츠 공유 명령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다른 디바이스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타이틀, 재생 시간, 용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에 기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장치(미도시) 또는 웹 서버(미도시) 등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은 재생 중인 컨텐츠의 재생 시점을 나타내는 프로그래스 바(progress bar), 일시 정지, 재생, 이전 컨텐츠 재생, 다음 컨텐츠 재생 등과 같이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40)는 통합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40)은 출력 장치 이외에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입력부(110)로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40)는 컨텐츠 공유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리스트 상에서 컨텐츠 공유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40)는 컨텐츠 공유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GUI가 선택되면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받을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되면,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를 네트워크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다른 디바이스에서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도록,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를 네트워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장치(20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네트워크 장치(200)는 컨텐츠를 스마트 TV(3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TV(310)는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출력하고, 스마트 TV(310)와 연결된 홈 시어터(320)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장치(200)와 관련된 도면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홈 시스템 내의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UI를 생성하도록 GUI 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합 UI는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및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컨텐츠 공유 명령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다른 디바이스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네트워크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UI를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판단하고, 각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스마트 TV(310), 홈 시어터(320) 및 전등(330)이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홈 시어터(320) 및 전등(330)을 통합 UI를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홈 시어터(320)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 및, 전등(330)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경우, 스마트 TV(310), 홈 시어터(320)는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 중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디바이스에 해당된다. 하지만, 컨텐츠 시청 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컨텐츠의 볼륨을 제어하고자 하므로, 제어부(150)는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디바이스 중 오디오를 출력하는 디바이스를 통합 UI를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장치(200)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를 예로 들면, 네트워크 장치(200)는 컨텐츠에 대한 영상이 스마트 TV(310)에서 출력되고,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가 홈 시어터(320)에서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컨텐츠 공유 시 오디오가 출력되는 디바이스는 홈 시어터(320)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에서 홈 시어터(32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네트워크 장치(200)는 스마트 TV(310)에서 컨텐츠의 영상 및 오디오 모두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컨텐츠 공유 시 오디오가 출력되는 디바이스는 스마트 TV(310)인 것으로 판단하고, 스마트 TV(310)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디바이스의 볼륨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어부(150)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제어부(150)는 영상을 출력하는 스마트 TV(310)의 화면 모드(가령, 영화 화면 모드, 표준 화면 모드, 선명한 화면 모드 등)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생성하여 통합 UI에 부가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디바이스의 현재 설정 상태를 반영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예들에서, 제어부(150)는 스마트 TV(310)의 현재 볼륨 상태를 기초로 스마트 TV(310)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생성하며, 홈 시어터(320)의 현재 볼륨 상태를 기초로 홈 시어터(320)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전등(330)의 전원이 현재 오프 상태인 경우, 전등(33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합 UI 상에서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명령을 네트워크 장치(200)로 전송하여,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150)는 통합 UI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판단하고, 이를 네트워크 장치(200)로 전송하여,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가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40)가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된 경우, 제어부(150)는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전달받은 터치 좌표 등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합 UI에서 선택된 항목을 판단하고, 해당 항목에 대응되는 사용자 명령을 네트워크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도 1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되는 통합 UI는 홈 시어터(320)의 볼륨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전등(330)의 전원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시어터(320)의 볼륨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해당 사용자 명령을 네트워크 장치(200)로 전송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홈 시어터(320)의 볼륨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등(330)의 전원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해당 사용자 명령을 네트워크 장치(200)로 전송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전등(330)의 전원 상태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통합 UI는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되는 컨텐츠를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해당 사용자 명령을 네트워크 장치(200)로 전송하여 스마트 TV(310) 및 홈 시어터(320)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다만, 제어부(150)는 컨텐츠를 계속적으로 전송할 수는 있다.
또한, 일시 정지된 컨텐츠를 재생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해당 사용자 명령을 네트워크 장치(200)로 전송하여 스마트 TV(310) 및 홈 시어터(320)에서 일시 정지되었던 컨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래스 바 상에서 재생 시점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해당 사용자 명령을 네트워크 장치(200)로 전송하여 스마트 TV(310) 및 홈 시어터(320)에서 사용자 선택한 재생 시점부터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음 컨텐츠 또는 이전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가 스마트 TV(310) 및 홈 시어터(320)에서 출력되도록 해당 컨텐츠를 네트워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이전에 재생되던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새롭게 전송되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네트워크 장치(200)로 전송하여, 스마트 TV(310) 및 홈 시어터(320)에서 새로운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컨텐츠 공유 명령을 중단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항목을 생성하여 통합 UI에 부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컨텐츠 공유 명령을 중단하기 위한 항목이 선택되면, 그에 대응되는 사용자 명령을 네트워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복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UI를 생성하도록 GUI 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바이스 중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이 포함되도록 통합 UI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은 예에서, 제어부(150)는 홈 시어터(320)의 볼륨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및 전등(330)의 전원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이 포함되도록 통합 UI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컨텐츠 재생 장치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GUI 처리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제어부(150), 저장부(160), 감지부(170), 오디오 처리부(180), 비디오 처리부(185), 스피커(190), 버튼(191), USB 포트(192), 카메라(193), 마이크(194)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제어부(150)의 동작은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60)에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입력되거나 설정되는 각종 데이터, 컨텐츠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60)는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종류, 명칭, 제품 고유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디바이스 중에서 오디오를 출력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저장부(160)에 저장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도 4를 참고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감지부(17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에 대한 터치, 모션, 회전, 기울기, 압력, 접근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감지부(170)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디스플레이부(140)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40)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터치 센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7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자기 센서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고, 자이로 센서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고, 가속도 센서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의 기울어짐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또한, 감지부(170)를 통해 UI 상에 제공되는 항목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해당 항목의 기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감지부(17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통합 UI 상에서 선택된 항목을 판단하고, 그에 대응되는 사용자 명령을 네트워크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170)를 통해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의 회전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세로 모드에 적합하게 디스플레이된 UI 화면을 가로 모드에 적합하도록 리스케일링 또는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세로 모드 및 가로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UI 화면은 리스케일링을 통해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세로 모드 및 가로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구성하는 UI 구성요소 및 그 크기, 위치 등에 관한 정보가 별도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처리부(18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8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85)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85)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90)는 오디오 처리부(18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191)은 컨텐츠 재생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재생 장치(100)의 전원을 ON/OFF 하기 위한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USB 포트(192)는 USB 케이블을 통해서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충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193)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93)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194)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50)는 마이크(19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193) 및 마이크(194)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50)는 마이크(19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카메라(193)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카메라(193)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특정 모션이나 특정 음성으로 입력되면, 그에 대응되는 답변을 검출할 수 있다.
그 밖에, 헤드셋, 마우스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가령, 제어부(15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그 실행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컨텐츠를 재생하여 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RAM(151), ROM(152), 메인 CPU(153), 그래픽 처리부(15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55-1 ~ 155-n), 버스(156)를 포함한다.
RAM(151), ROM(152), 메인 CPU(153), 그래픽 처리부(15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55-1 ~ 155-n) 등은 버스(15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55-1 내지 15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53)는 저장부(16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5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53)는 ROM(15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60)에 저장된 O/S를 RAM(15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53)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51)에 복사하고, RAM(15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5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4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도 3은 컨텐츠 재생 장치(100)에 포함된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든 것으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GPS 수신부(미도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수신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저장부(160)에는 베이스 모듈(161), 센싱 모듈(162), 통신 모듈(163), 프리젠테이션 모듈(164), 웹 브라우저 모듈(165), 서비스 모듈(166)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61)이란 컨텐츠 재생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61)은 스토리지 모듈(161-1), 보안 모듈(161-2) 및 네트워크 모듈(161-3)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16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메인 CPU(153)는 스토리지 모듈(161-1)을 이용하여 저장부(16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보안 모듈(161-2)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61-3)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162)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센싱 모듈(162)은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6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63)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16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16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6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64)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6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16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16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16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렌더링 모듈(164-2)은 미션 수행과 관련된 다양한 UI를 구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16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6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166)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모듈(156)은 본 발명에 따른 UI 제공 프로그램 외에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전자 책 프로그램, 달력 프로그램, 알람 관리 프로그램, 기타 위젯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모듈(16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키 사용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도시하였으나, 도시된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컨텐츠 재생 장치(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GPS 칩과 같은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위치 기반 모듈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치(200)는 통신부(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복수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통신부(21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 및 디바이스(310, 320, 330, 3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1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 중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는 영상 및 오디오를 모두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도 1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스마트 TV(310)가 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여 각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디바이스의 종류, 명칭, 제품 고유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각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1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각종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 중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디바이스의 종류, 명칭, 제품 고유번호 및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각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네트워크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각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는 영상 및 오디오를 모두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스마트 TV(31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장치(200)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기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200)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종류, 명칭, 제품 고유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거나, 각 디바이스들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장치(200)는 해당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에 입력한 경우, 네트워크 장치(20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2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로부터 각 디바이스의 종류, 명칭, 제품 고유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수신되면,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제어부(220)는 스마트 TV(310)로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TV(310)는 홈 시어터(320)와 연결되어 있으며, 스마트 TV(310)는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출력하고 홈 시어터(320)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 홈 시어터(32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스마트 TV(310)는 영상 및 오디오 모두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복수의 디바이스 중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전송되면, 복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바이스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 중에서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컨텐츠 공유 명령이 수신되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장치(200)는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기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200)는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종류, 명칭, 제품 고유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거나, 각 디바이스들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장치(200)는 해당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에 입력한 경우, 네트워크 장치(20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컨텐츠 재생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재생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상황 또는 조건을 달성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되거나, 컨텐츠 시청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200)는 스마트 TV(310), 홈 시어터(320)를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디바이스로 기저장하고, 전등(330)을 컨텐츠 시청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제어부(22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TV(310), 홈 시어터(320)를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디바이스로 판단하고 전등(330)을 컨텐츠 시청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스마트 TV(310), 홈 시어터(320) 및 전등(330)을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로 판단하고, 냉장고(340)는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도 1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시어터(32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20)는 스마트 TV(310) 및 전등(330)을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시어터(320) 및 전등(33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20)는 스마트 TV(310)만을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2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각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와 기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존재하는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통신부(210)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디바이스 중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종류 및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UI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와 관련된 도면에서 상술한 바 있다.
한편, 제어부(220)는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디바이스 중 오디오를 출력할 디바이스를 판단하고, 오디오를 출력할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장치(200)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 스마트 TV와 홈 시어터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홈 시어터가 오디오를 출력하고,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 스마트 TV만 존재하는 경우 스마트 TV에서 오디오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는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제어부(22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 스마트 TV(310)와 홈 시어터(320)가 동시에 존재한다는 점에서 오디오를 출력할 디바이스는 홈 시어터(320)인 것으로 판단하고, 홈 시어터(320)에서 오디오가 출력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도 1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시어터(32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20)는 스마트 TV(310)가 오디오를 출력할 디바이스인 것으로 판단하고, 스마트 TV(310)에서 오디오가 출력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2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통한 UI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바이스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통합 UI는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및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와 관련된 도면에서 설명한 바 있다.
한편, 제어부(220)는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장치(200)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각 디바이스별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200)는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를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각 디바이스별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20)는 기저장된 제어 명령 중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하고, 해당 제어 명령을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는 통합 UI는 홈 시어터(320)의 볼륨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전등(330)의 전원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UI를 통해 홈 시어터(320)의 볼륨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2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도록 홈 시어터(320)의 볼륨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홈 시어터(3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합 UI를 통해 전등(330)의 전원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2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도록 전등(330)의 전원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등(3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는 통합 UI는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UI를 통해 컨텐츠를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2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스마트 TV(3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TV(3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재생이 일시 정지될 수 있으며, 스마트 TV(310)로부터 오디오를 수신받는 홈 시어터(32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의 출력이 일시 정지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제어부(220)는 스마트 TV(310) 및 홈 시어터(320) 모두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통합 UI를 통해 일시 정지된 컨텐츠를 재생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2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일시 정지된 컨텐츠를 재생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스마트 TV(3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TV(310)는 일시 정지되었던 영상을 재생할 수 있으며, 홈 시어터(320)에서 일시 정지되었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제어부(220)는 스마트 TV(310) 및 홈 시어터(320) 모두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통합 UI를 통해 프로그래스 바 상에서 재생 시점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2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재생 시점부터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스마트 TV(3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컨텐츠에 대한 영상이 스마트 TV(310)에서 출력되고 새로운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가 홈 시어터(320)에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통합 UI를 다음 컨텐츠 또는 이전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네트워크 장치(20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을 재생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스마트 TV(310)로 전송하여, 다음 컨텐츠 또는 이전 컨텐츠가 스마트 TV(310) 및 홈 시어터(320)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통합 UI를 통해 컨텐츠 공유 명령을 중단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되면, 제어부(22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스마트 TV(310)의 전원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스마트 TV(310)로 전송하고, 홈 시어터(320)의 전원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홈 시어터(3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TV(310) 및 홈 시어터(320)는 전원을 오프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220)는 컨텐츠 공유 명령이 전송되면, 복수의 디바이스 중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기설정된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기설정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황 또는 조건을 달성하기 위해,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수신되면,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각 디바이스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기설정된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장치(200)는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기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명령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영상이 스마트 TV(310)를 통해 출력되고 오디오가 홈 시어터(320)를 통해 출력되며, 전등(330)의 전원이 오프되는 상태에서 컨텐츠를 시청하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장치(200)는 스마트 TV(310)의 전원을 온 시키고, 화면 모드를 영화 화면 모드로 변경하고, 볼륨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 홈 시어터(320)의 전원을 온 시키고, 스마트 TV(310)와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를 선택하고, 기설정된 크기의 볼륨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 및, 전등(33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저장되는 제어 명령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TV(310)의 화면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 명령이 제외될 수 있으며, 전등(33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도 제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2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수신되면, 기저장된 제어 명령을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각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에 대한 정보가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됨은 전술한 바 있다. 즉, 제어부(220)는 기설정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상태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전원 상태, 볼륨 상태, 화면 모드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스마트 TV(310)의 볼륨 상태, 화면 모드 상태, 홈 시어터(320)의 볼륨 상태, 전등(330)의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디바이스의 현재 설정 상태가 반영된 통합 UI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UI는 스마트 TV(310)의 현재 볼륨 상태를 기초로 스마트 TV(310)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 홈 시어터(320)의 현재 볼륨 상태를 기초로 홈 시어터(320)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 전등(330)의 전원이 현재 오프 상태인 경우, 전등(33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네트워크 장치(200)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한 바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장치(2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220)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바이스들 중에서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모든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어부(220)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디바이스 중에서 오디오를 출력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가령, 종류, 명칭, 제품 고유번호 등)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별도의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수신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UI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오디오를 출력하는 디바이스를 판단하고, 해당 디바이스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을 생성하여 통합 UI에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네트워크 장치(200)의 제어부(220)는 홈 시어터(320) 및 전등(330)에 대한 정보만을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홈 시어터(320)에서 오디오가 출력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홈 시어터(320)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으로 생성하여 통합 UI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도 1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시어터(32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200)의 제어부(220)는 스마트 TV(310) 및 전등(330)에 대한 정보만을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스마트 TV(310)에서 오디오가 출력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스마트 TV(310)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으로 생성하여 통합 UI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통합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6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스마트 TV(310), 홈 시어터(320), 전등(330) 및 냉장고(340)가 포함된 경우를 도시하며, 도 7은 도 6과 같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성될 때 컨텐츠 재생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는 통합 UI를 나타낸다.
도 6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네트워크 장치(20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수신되면,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인 스마트 TV(310), 홈 시어터(320) 및 전등(330)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네트워크 장치(200)는 오디오가 홈 시어터(320)에서 출력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네트워크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통합 UI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통합 UI(10)는 컨텐츠 공유 명령을 중단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항목(11),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12),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13), 홈 시어터(320)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14) 및 전등(330)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륨 업에 대응되는 (+)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200)는 홈 시어터(320)의 볼륨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홈 시어터(3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홈 시어터(320)는 볼륨을 증가시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200)는 전등(330)의 전원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등(3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등(330)은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라면,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시어터(320)가 제외된 경우를 도시하며, 도 9는 도 8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성될 때 컨텐츠 재생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는 통합 UI를 나타낸다.
도 8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네트워크 장치(20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수신되면,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인 스마트 TV(310) 및 전등(330)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네트워크 장치(200)는 오디오가 스마트 TV(310)에서 출력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네트워크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통합 UI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통합 UI(20)는 컨텐츠 공유 명령을 중단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항목(21),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22),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23), 스마트 TV(320)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24) 및 전등(330)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륨 업에 대응되는 (+)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200)는 스마트 TV(310)의 볼륨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스마트 TV(3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스마트 TV(310)는 볼륨을 증가시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시어터(320) 및 전등(330)이 제외된 경우를 도시하며, 도 11은 도 10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성될 때 컨텐츠 재생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는 통합 UI를 나타낸다.
도 10과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네트워크 장치(200)는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수신되면,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인 스마트 TV(310)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네트워크 장치(200)는 오디오가 스마트 TV(310)에서 출력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네트워크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통합 UI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통합 UI(30)는 컨텐츠 공유 명령을 중단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항목(31),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32),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33) 및 스마트 TV(320)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륨 업에 대응되는 (+)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200)는 스마트 TV(310)의 볼륨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스마트 TV(3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스마트 TV(310)는 볼륨을 증가시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11과 같은 실시 예들에서, 네트워크 장치(200)는 각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기설정된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200)는 스마트 TV(310)의 전원을 온 시키고, 화면 모드를 영화 화면 모드로 변경하고, 볼륨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 홈 시어터(320)의 전원을 온 시키고, 스마트 TV(310)와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를 선택하고, 기설정된 크기의 볼륨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 및, 전등(33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각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TV(310), 홈 시어터(320) 및 전등(330)은 네트워크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가 변경된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각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고려하여 통합 UI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12를 참조한다.
도 12는 각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기초로 생성된 통합 UI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2의 (a), (b), (c)는 도 7, 도 9, 도 11에 각각 도시된 통합 UI에서 스마트 TV(310), 홈 시어터(320) 및 전등(330)의 설정 상태가 반영된 통합 UI를 도시한다. 이에 따라, 도 7, 도 9, 도 11에서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2의 (a)에서, 홈 시어터(320)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44)을 참조하면, 항목(44)에는 홈 시어터(320)에서 현재 설정된 볼륨 상태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도 12의 (b) 및 (c)에서, 스마트 TV(310)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54, 64)을 참조하면, 항목(54, 64)에는 스마트 TV(310)에서 현재 설정된 볼륨 상태가 디스플레이된다.
즉,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네트워크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스마트 TV(310) 및 홈 시어터(320)의 볼륨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디바이스의 현재 볼륨 상태를 판단하고, 현재 설정된 볼륨 상태를 기초로 각 디바이스의 볼륨을 제어할 수 있는 항목(44, 54, 64)을 생성하여 통합 UI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2의 (a), (b)에서, 전등(330)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항목(45, 55)을 참조하면, 전등(33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항목(45, 55)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네트워크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전등(330)의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등(330)의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전등(330)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전등(33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항목(45, 55)을 생성하여 통합 UI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항목(45, 55)이 선택되는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전등(33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네트워크 장치(200)로 전송하고, 네트워크 장치(200)는 전등(33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등(3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항목(45, 55)이 선택되면, 컨텐츠 재생 장치(100)는 항목(45, 55)을 전등(33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받기 위한 항목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410). 여기에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디바이스 중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종류 및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 디바이스의 명칭, 제품 고유번호 등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후,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UI를 생성하고(S420), 이를 디스플레이한다(S430). 여기에서, 통합 UI는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및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UI 상에서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명령을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한다(S440).
한편, S420 단계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복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UI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들 중에서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UI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복수의 디바이스 중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공유 명령을 수신한다(S510).
컨텐츠 공유 명령을 수신되면, 복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제공한다(S520).
여기에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디바이스 중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종류 및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 디바이스의 명칭, 제품 고유번호 등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통합 UI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530). 구체적으로,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장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각 디바이스 별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합 UI는,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및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공유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디바이스 중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기설정된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기설정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와 관련하여서는 도 1 내지 도 12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바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UI 제공 방법 및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해 도시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재생 장치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입력부 120 : 통신부
130 : GUI 처리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제어부

Claims (18)

  1. 컨텐츠 재생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되면 복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UI를 생성하는 GUI 처리부;
    상기 통합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통합 UI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을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인 컨텐츠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디바이스 중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종류 및 상기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UI는,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 상기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및 상기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UI를 생성하도록 상기 GUI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5.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통합 UI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통신부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디바이스 중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종류 및 상기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UI는,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 상기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및 상기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기설정된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기설정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0. 컨텐츠 재생 장치의 UI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되면 복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UI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합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UI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을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인 UI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디바이스 중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종류 및 상기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UI는,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 상기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및 상기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UI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14.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디바이스 중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공유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을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통합 UI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디바이스 중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종류 및 상기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UI는,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입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항목, 상기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및 상기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상기 컨텐츠 공유 명령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기설정된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20146335A 2012-12-14 2012-12-14 컨텐츠 재생 장치, 그 ui 제공 방법,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101934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335A KR101934099B1 (ko) 2012-12-14 2012-12-14 컨텐츠 재생 장치, 그 ui 제공 방법,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3/011509 WO2014092469A1 (en) 2012-12-14 2013-12-12 Content playing apparatus, method for providing ui of content playing apparatus, network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by network server
EP13197248.1A EP2744216B1 (en) 2012-12-14 2013-12-13 Content playing apparatus, method for providing UI of content playing apparatus, network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by network server
US14/105,263 US20140173446A1 (en) 2012-12-14 2013-12-13 Content playing apparatus, method for providing ui of content playing apparatus, network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network server
JP2013257989A JP6399748B2 (ja) 2012-12-14 2013-12-13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そのui提供方法、ネットワーク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
EP18164147.3A EP3358850B1 (en) 2012-12-14 2013-12-13 Content playing apparatus, method for providing ui of content playing apparatus, network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by network server
CN201310690148.8A CN103873909B (zh) 2012-12-14 2013-12-16 用于提供ui的设备和方法以及用于进行控制的设备和方法
CN201910180772.0A CN109756406B (zh) 2012-12-14 2013-12-16 用于提供ui的设备和方法以及用于进行控制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335A KR101934099B1 (ko) 2012-12-14 2012-12-14 컨텐츠 재생 장치, 그 ui 제공 방법,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481A KR20140077481A (ko) 2014-06-24
KR101934099B1 true KR101934099B1 (ko) 2019-01-02

Family

ID=4976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335A KR101934099B1 (ko) 2012-12-14 2012-12-14 컨텐츠 재생 장치, 그 ui 제공 방법,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173446A1 (ko)
EP (2) EP3358850B1 (ko)
JP (1) JP6399748B2 (ko)
KR (1) KR101934099B1 (ko)
CN (2) CN109756406B (ko)
WO (1) WO20140924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04735A1 (en) * 2009-11-13 2014-10-09 Hydra Media Technology, Inc. Interactive network and/or devices and/or methods thereof
CN104427369B (zh) * 2013-09-09 2018-08-10 联想(北京)有限公司 遥控端设备、被遥控端设备以及用于其的方法
KR101597563B1 (ko) * 2014-06-27 2016-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WO2016017945A1 (en) * 2014-07-29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of pairing the same with electronic device
CN105491429B (zh) * 2014-09-16 2018-11-02 深圳市冠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信号转换功能的电视***
CN104375760B (zh) * 2014-10-29 2018-04-2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显示方法和装置
US10528315B2 (en) * 2015-09-25 2020-01-07 Intel Corporation Implementing wireless displays that handle rotation and/or portrait-first sinks
CN105338083B (zh) * 2015-10-30 2018-09-1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界面显示方法及装置
US10257256B2 (en) 2016-01-20 2019-04-09 Google Llc IOT interaction system
KR20170112797A (ko) * 2016-04-0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929081B1 (en) * 2017-06-06 2021-02-23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Context management for multiple devices
US10403251B1 (en) * 2018-08-08 2019-09-03 Joseph Robert Escamilla System and method of collectively producing music
CN110381692B (zh) * 2019-06-28 2020-10-23 深圳市九洲电器有限公司 机顶盒
US20220164153A1 (en) * 2020-11-24 2022-05-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adjusting content layers within media content
WO2024080607A1 (ko) * 2022-10-12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US12007870B1 (en) * 2022-11-03 2024-06-11 Vignet Incorporated Monitoring and adjusting data collection from remote participants for health research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4765A (ja) * 2000-07-28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制御システムとゲートウェイ装置
US8116889B2 (en) * 2002-06-27 2012-02-14 Openpeak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controlled residential or non-residential environments
US20070293183A1 (en) * 2002-12-11 2007-12-20 Ira Marlowe Multimedia device integration system
US8234672B2 (en) * 2003-09-02 2012-07-31 Creative Technology Ltd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playback of digital media
US7716350B2 (en) * 2003-10-23 2010-05-11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haring content on a network
US9977561B2 (en) * 2004-04-01 2018-05-22 Sonos, Inc.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provide guest access
US8516087B2 (en) * 2006-02-14 2013-08-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Home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US8510453B2 (en) * 2007-03-21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amework for correlating content on a local network with information on an external network
KR100789425B1 (ko) * 2006-04-10 2007-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US9386064B2 (en) * 2006-06-09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block-request streaming using URL templates and construction rules
US8843853B1 (en) * 2006-12-05 2014-09-23 At&T Mobility Ii Llc Home screen user interface for electronic device display
JP2009049498A (ja) * 2007-08-14 2009-03-05 Sony Corp 制御端末、情報機器、コンテンツ提供装置、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18249B1 (ko) * 2007-11-20 2014-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Rf id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그 정보 처리 방법
JP4442681B2 (ja) * 2007-11-22 2010-03-31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制御機器、再生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2009171232A (ja) * 2008-01-16 2009-07-30 Sharp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9210355B2 (en) * 2008-03-12 2015-12-08 Echostar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entertainment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564224B1 (ko) * 2009-04-17 2015-11-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기반의 디바이스간 콘텐츠공유시스템 및 방법
CN101938710B (zh) * 2009-07-02 2013-06-05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通信***中用于多屏幕业务通知和交互的方法和装置
US8724639B2 (en) * 2010-02-26 2014-05-13 Mohamed K. Mahmoud Smart home hub
US20110291971A1 (en) * 2010-05-28 2011-12-01 Funai Electric Co., Ltd. Highly Integrated Touch Screen Handheld Device
KR101690232B1 (ko) * 2010-05-28 201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8542320B2 (en) * 2010-06-17 2013-09-24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a non-gesture controlled device using gesture interactions with a gesture controlled device
KR101658560B1 (ko) * 2010-06-28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20120060100A1 (en) * 2010-09-03 2012-03-08 Packetvideo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media content
US8812498B2 (en) * 2010-09-28 2014-08-19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podcast content
US8850348B2 (en) * 2010-12-31 2014-09-30 Google Inc. Dynamic device-associated feedback indicative of responsible device usage
KR101763887B1 (ko) * 2011-01-07 201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간 동기화된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콘텐츠 동기화 장치 및 방법
US9632688B2 (en) * 2011-03-31 2017-04-25 France Telecom Enhanced user interface to transfer media content
KR20120114016A (ko) * 2011-04-06 2012-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적응적으로 스트리밍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3067526A1 (en) * 2011-11-04 2013-05-10 Remote TelePointer, LLC Method and system for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devices using a mobile device
US8930005B2 (en) * 2012-08-07 2015-01-06 Sonos, Inc. Acoustic signatures in a playbac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58850A1 (en) 2018-08-08
JP6399748B2 (ja) 2018-10-03
EP2744216A2 (en) 2014-06-18
EP3358850B1 (en) 2023-07-12
WO2014092469A1 (en) 2014-06-19
KR20140077481A (ko) 2014-06-24
US20140173446A1 (en) 2014-06-19
CN109756406A (zh) 2019-05-14
JP2014120172A (ja) 2014-06-30
CN103873909B (zh) 2019-04-05
CN103873909A (zh) 2014-06-18
CN109756406B (zh) 2022-01-11
EP2744216A3 (en) 2014-08-27
EP2744216B1 (en)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099B1 (ko) 컨텐츠 재생 장치, 그 ui 제공 방법,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US9247303B2 (en)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method thereof
US10168797B2 (en) Terminal apparatus, audio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volume of external speaker thereof
KR101977317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sns 제공 서버 및 그들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101276846B1 (ko)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EP2744152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network apparatus for enabling an intelligent 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337792A1 (en)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4013335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KR201401333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KR20170015622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033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KR101832394B1 (ko)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608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019693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87649A (ko)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P311909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50009061A (ko) 휴대 단말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US2014019598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KR102436536B1 (ko) 전자 장치 및 그 센서 배치 방법
KR20150136314A (ko)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EP3121733A1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7012500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