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904B1 - 목재데크시스템 - Google Patents

목재데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904B1
KR101931904B1 KR1020180019982A KR20180019982A KR101931904B1 KR 101931904 B1 KR101931904 B1 KR 101931904B1 KR 1020180019982 A KR1020180019982 A KR 1020180019982A KR 20180019982 A KR20180019982 A KR 20180019982A KR 101931904 B1 KR101931904 B1 KR 101931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upport frame
connector
wooden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궁
Original Assignee
이관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궁 filed Critical 이관궁
Priority to KR1020180019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9Tread-and-riser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08Treads of wood or with an upper layer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7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94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목재데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재데크 및 상기 목재데크를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결합시켜 상기 목재데크를 계단 형태로 배치되도록 하는 데크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연결구는 상기 계단의 내측 모서리를 형성하는 상기 목재데크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제3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재데크시스템{A SYSTEM OF WOOD DECK}
본 발명은 목재데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적으로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공원 내의 산책로, 등산로, 인도교, 호수 주변을 따라 형성된 보도, 전원주택이나 펜션 등의 테라스와 같은 다양한 장소의 바닥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바닥, 외벽 및 내벽 마감에도 목재데크시스템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데크는 바닥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프레임 상측에 복수개로 나열된 상태로 설치되며, 특히 산책로, 등산로 및 호수 주변의 보도 등에는 경사가 심한 경우가 많아 계단형으로 보행자가 통행할 수 있는 발판을 설치하여 안전한 보행을 유도하고 있다.
다만, 목재데크를 시공하기 위하여는 볼트로 체결하거나 또는 여러 가지의 고정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을 하는데 많은 공구와 부품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 목재데크와 프레임의 상호 재질의 차이로 인하여 밀착되지 못하고 중간 중간에 틈새가 벌어지게 되고, 그 틈새에 해충이 기생하는 등 목재데크와 프레임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이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목재데크와 프레임 사이의 볼트 또는 여러 가지의 고정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보일 수 있어 외관상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판형뿐만 아니라 계단형 발판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목재데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목재데크와 지지프레임 사이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목재데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공부 및 삽입홈이 형성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재데크; 및 상기 목재데크를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결합시켜 상기 목재데크를 계단 형태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연결구를 가지는 데크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구는 중심축이 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돌출부; 상기 수직부에 연결되어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중공부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덮개부와, 상기 삽입홈 내측에 위치하는 제2 덮개부를 가지는 덮개부; 및 상기 수직부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단부가 상기 제1 덮개부를 향해 수직하게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크연결구는 상기 돌출부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목재데크를 지지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끼워지는 제2 부재를 가지는 제2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크연결구는 복수개의 톱니부가 형성된 제1 면;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며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3 면을 가지는 제3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재데크는 일측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상기 데크연결구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크연결구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판 형상의 끼움부재; 및 상기 끼움부재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하측으로 연장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제4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삽입홈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일면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데크연결구와 면 접촉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은 조립식 구조로 되어있어 판형뿐만 아니라 계단형 발판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목재데크와 지지프레임 사이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지지프레임의 제1 변형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제3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제2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제1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제4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내측 모서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외측 모서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변형된 내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지지프레임의 제1 변형예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1000)은 목재데크(200)를 기둥부(400)에 결합시킴으로써 다른 재료에 비하여 자연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1000)은 지지프레임(100), 목재데크(200) 및 데크연결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100)은 직사각형 단면의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지지프레임(100)은 강한 강성을 지닌 스틸 소재로 이뤄질 수 있고, 목재데크시스템(1000)으로 전달되는 힘 또는 충격을 지탱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0)은 내부에 중공홀(10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공홀(100a)은 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0)에 중공홀(100a)이 형성됨으로써 원가절감에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00)의 일면 예를 들어, 상부면에 후술할 데크연결구(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홈(110)의 내측방향으로 걸림턱(111)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10)의 내측으로 데크연결구(300)가 삽입될 때 데크연결구(300)의 일면이 걸림턱(111)과 면 접촉되면서 지지프레임(100)과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0)은 지반을 고르게 다진 지면 상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정되거나 지면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150)은 판 형상의 판부재(151)에 한 쌍의 요철부(152)가 돌출되어 지지프레임(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요철부(152)는 직사각형 형상이며 내부에 중공홀(152a)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홀(152a)은 지지프레임(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1)에 중공홀(152a)이 형성됨으로써 원가절감에 유용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요철부(152)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요철부(152) 사이에는 삽입홈(15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152b)에는 데크연결구(30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홈(152b)의 내측방향으로 걸림턱(153)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52b)의 내측으로 데크연결구(300)가 삽입되어 데크연결구(300)의 일면이 걸림턱(153)과 면 접촉되면서 지지프레임(150)과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50)은 벽면 또는 시멘트바닥 등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정되거나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지형이 낮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목재데크(200)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목재데크(200)는 복수개가 지지프레임(100) 상에 나란하게 연결 조립되고, 원통형 목재가 판재 형상으로 가공 처리되어 다양한 규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목재데크(200)는 일측면에 끼움홈(200a)이 형성되고, 끼움홈(200a)은 목재데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200a)에는 데크연결구(30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목재데크(200)는 수평부재(210), 수직부재(220) 및 연결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평부재(2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끼움홈(210a)이 수평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재(210)는 데크연결구(300)를 매개로 지면에 수평하게 고정된 지지프레임(1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직부재(220)는 수평부재(210)와 같은 형상 및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수직부재(220)도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끼움홈(220a)이 수직부재(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직부재(220)는 수평부재(210)와 수직하게 설치되어 일측이 발판의 내측 모서리를 형성하며 계단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직부재(220)는 데크연결구(300)를 매개로 지면에 수직하게 고정된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23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부재(220)와 수평부재(2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230)는 일측이 수직부재(220)와 연결되고, 타측이 수평부재(210)와 연결되어 보행자가 발을 딛는 계단형 발판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230)는 수직부재(220)와 면 접촉되어 발판의 외측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230)의 하측면 즉, 수직부재(220)와 면 접촉된 하측면에 결합홈(23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홈(230b)은 연결부재(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30)의 결합홈(230b)과 수직부재(220)의 끼움홈(220a) 사이에 데크연결구(300)가 끼움 결합되어 연결부재(230)는 데크연결구(300)를 매개로 수직부재(22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연결부재(230)는 우측 단부에 끼움홈(23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끼움홈(230a)은 연결부재(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30)는 끼움홈(230a)에 데크연결구(300)의 좌측이 결합되고 수평부재(210)의 끼움홈(210a)에 데크연결구(300)의 우측이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제3 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제2 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제1 연결구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제4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데크연결구(30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목재데크(200)를 지지프레임(100) 상에 연결함으로써 판형 또는 계단형 발판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목재데크(200)를 지지프레임(100) 상에 연결시키기 위해서 데크연결구(300)는 제3 연결구(310), 제2 연결구(320), 제1 연결구(330) 및 제4 연결구(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연결구(310)는 제1 면(311), 제2 면(312) 및 제3 면(313)을 포함하며, 수직부재(220)와 지면과 수직하게 고정된 지지프레임(1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면(311)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복수개의 톱니부(31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면(312)은 제1 면(311)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제1 면(31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면(312)의 상부측에 홀(31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측면(313)은 제1 면(311)과 제2 면(312)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면(311)과 제2 면(312)을 연결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구(320)는 판 형상으로 제1 부재(321), 제2 부재(322) 및 제3 부재(3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부재(321)는 연결부재(230)의 하측면에 형성된 결합홈(230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재(321)의 폭 길이는 결합홈(230b)의 폭(w) 길이와 같거나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321)는 연결부재(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결합홈(230b)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재(322)는 제1 부재(32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재(322)의 길이는 제1 부재(32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부재(323)는 제1 부재(321)와 제2 부재(322)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부재(321)와 제2 부재(32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구(33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부(331), 돌출부(332), 덮개부(333) 및 절곡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구(330)는 수직부(331)를 중심으로 돌출부(332)가 수직부(331)의 상단부에 우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332)는 수직부(331)의 연장방향과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32)는 외주면에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는 탄성 재질일 수 있고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덮개부(333)는 돌출부(332)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333)는 내면에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는 탄성 재질일 수 있고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334)는 수직부(331)의 타측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고 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곡부(334)는 돌출부(332)와 수직부(331)를 두고 반대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곡부(334)는 내면에 톱니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구(320)와 제1 연결구(330)는 한 쌍으로 목재데크시스템(1000)의 계단형 발판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연결구(320)와 제1 연결구(330)가 서로 연결되면서 계단형 발판의 외측 모서리를 형성하는 수직부재(220) 및 연결부재(23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연결구(340)는 판형의 발판을 이루는 연결부재(230) 및 수평부재(2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4 연결구(340)는 끼움부재(341) 및 탄성부재(3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끼움부재(34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342)는 끼움부재(341)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342)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342)는 지지프레임(100)의 내측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지지프레임(100)의 삽입홈(110)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100), 목재데크(200) 및 데크연결구(300) 각각의 연결관계 및 연결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내측 모서리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외측 모서리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변형된 내부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직부재(220)는 제3 연결구(310)를 매개로 수직하게 고정된 지지프레임(100)과 연결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면(311)은 수직부재(220)의 끼움홈(220a)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면(311)에 형성된 복수개의 톱니부(311a)는 수직부재(220)의 끼움홈(220a) 내측을 가압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면(312)은 지지프레임(100)의 내부 즉, 지지프레임(100)에 형성된 삽입홈(1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면(312)은 삽입홈(1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도 2참고, 111)과 면 접촉되어 삽입홈(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제2 면(312)의 상부에 형성된 홀(312a)에 피스(P)가 끼워지게 되면서 지지프레임(100)의 내측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복잡한 공구의 사용 없이도 조립에 의해 설치가 가능하며, 수직부재(220)와 지지프레임(100) 보다 안정적으로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 면(313)은 수평하게 고정된 지지프레임(100)의 상면과 면 접촉될 수 있다.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면(313)은 지지프레임(100) 및 수직부재(220)와 각각 면 접촉되어 위치한 수평부재(210)의 상면에 놓여질 수 있다. 이때, 제3 면(313)은 제2 면(312)이 삽입홈(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홈(110)이 형성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제3 면(313)의 길이는 삽입홈(11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도 2참고, 111)의 사이 길이와 동일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직부재(220), 연결부재(230) 및 지지프레임(100)은 제2 연결구(320) 및 제1 연결구(33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부재(321) 및 제3 부재(323)는 연결부재(230)의 하측면에 형성된 결합홈(230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재(321)의 상면과 제3 부재(323)의 외측면이 결합홈(230b)과 면 접촉될 수 있다. 제1 부재(321)와 제2 부재(322)는 제3 부재(323)의 길이만큼의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직부(331)의 상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332)는 제1 부재(321)와 제2 부재(322)가 이격된 공간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332)의 외주면에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332)는 제2 연결구(320)의 제1 부재(321)와 제2 부재(322)가 이격된 공간에 위치되면서 보다 긴밀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덮개부(333)는 돌출부(332)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덮개부(333)의 상면과 하면은 지지프레임(100)의 삽입홈(110)의 내측을 감싸며 면 접촉될 수 있다.
즉, 덮개부(333)의 상면과 하면이 지지프레임(100)에 형성된 삽입홈(110)과 중공부(100a)에 각각 끼워지면서 면 접촉될 수 있다. 이때, 덮개부(333)의 내면에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돌기에 의해 덮개부(333)는 지지프레임(100)과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수직부(331)의 타측에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절곡부(334)는 단부가 수직부재(220)의 끼움홈(220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절곡부(334)는 내면에 톱니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못이나 체결부재가 없이도 제2 연결구(320) 및 제1 연결구(330)에 의해 수직부재(220)와 지지프레임(100)은 서로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4 연결구(340)는 끼움부재(341) 및 탄성부재(3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끼움부재(341)는 연결부재(230)와 수평부재(210)의 일측면에 형성된 끼움홈(230a, 210a)에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끼움부재(341)는 중앙부에 삽입홀(341a)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341a)에는 탈거를 위한 도구가 끼워져 지지프레임(100)으로부터 목재데크(200)를 탈거할 수 있다. 또한, 부분적으로 목재데크시스템(1000) 보수될 경우 목재데크(200)와 제4 연결구(340)가 새롭게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삽입홀(341a)에 피스를 관통시켜 제4 연결구(340)를 지지프레임(1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342)는 지지프레임(100)의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삽입홈(110)의 내측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지지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342)는 삽입홈(1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도 2참고, 111)에 걸려 삽입홈(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1000)은 조립식 구조로 되어있어 판형 발판뿐만 아니라 계단형 발판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목재데크(200)와 지지프레임(100) 사이의 연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1000)은 못 또는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을 최소한으로 이용하여 목재데크(200)를 기둥부(400)에 결합시킴으로써 결빙과 해빙의 반복 및 빗물에 의한 부식으로 인해 초기의 결합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못 또는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을 최소한으로 이용하여 외관상으로 미관을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0: 목재데크시스템
100: 지지프레임 100a: 중공부
110: 삽입홈 111: 걸림턱
150: 지지프레임 151: 판부재
152: 요철부 152a: 중공부
152b: 삽입홈 153: 걸림턱
200: 목재데크 200a: 끼움홈
210: 수평부재 210a: 끼움홈
220: 수직부재 220a: 끼움홈
230: 연결부재 230a: 끼움홈
230b: 결합홈 300: 데크연결구
310: 제3 연결구 311: 제1 면
311a: 톱니부 312: 제2 면
312a: 홀 313: 제3 면
320: 제2 연결구 321: 제1 부재
322: 제2 부재 323: 제3 부재
330: 제1 연결구 331: 수직부
332: 돌출부 333: 덮개부
333a: 제1 덮개부 333b: 제2 덮개부
334: 절곡부 340: 제4 연결구
341: 끼움부재 341a: 삽입홀
342: 탄성부재 400: 기둥부

Claims (11)

  1. 중공부 및 삽입홈이 형성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재데크; 및
    상기 목재데크를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결합시켜 상기 목재데크를 계단 형태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연결구를 가지는 데크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구는
    중심축이 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돌출부;
    상기 수직부에 연결되어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중공부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덮개부와, 상기 삽입홈 내측에 위치하는 제2 덮개부를 가지는 덮개부; 및
    상기 수직부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단부가 상기 제1 덮개부를 향해 수직하게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목재데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연결구는
    상기 돌출부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목재데크를 지지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끼워지는 제2 부재를 가지는 제2 연결구를 포함하는 목재데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연결구는
    복수개의 톱니부가 형성된 제1 면;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며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3 면을 가지는 제3 연결구를 포함하는 목재데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데크는
    일측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상기 데크연결구가 끼움 결합되는 목재데크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연결구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판 형상의 끼움부재; 및 상기 끼움부재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하측으로 연장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제4 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목재데크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삽입홈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일면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데크연결구와 면 접촉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목재데크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19982A 2018-02-20 2018-02-20 목재데크시스템 KR101931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982A KR101931904B1 (ko) 2018-02-20 2018-02-20 목재데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982A KR101931904B1 (ko) 2018-02-20 2018-02-20 목재데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904B1 true KR101931904B1 (ko) 2018-12-21

Family

ID=64959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982A KR101931904B1 (ko) 2018-02-20 2018-02-20 목재데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9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801Y1 (ko) * 2005-03-11 2005-07-14 (주) 웹스 바닥재용 조립데크
KR100888072B1 (ko) * 2008-11-04 2009-03-11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끼움식데크를 이용한 산책로 포장용 발판대
KR200469714Y1 (ko) * 2011-10-17 2013-11-11 주식회사 연우드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801Y1 (ko) * 2005-03-11 2005-07-14 (주) 웹스 바닥재용 조립데크
KR100888072B1 (ko) * 2008-11-04 2009-03-11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끼움식데크를 이용한 산책로 포장용 발판대
KR200469714Y1 (ko) * 2011-10-17 2013-11-11 주식회사 연우드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884B1 (ko) 목재용 데크의 연결조립체
US6233886B1 (en) Floor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of making a floor assembly
KR102030900B1 (ko) 목재데크시스템
KR101848258B1 (ko) 나사못이 필요 없는 목재 데크 판재용 원터치 탄성 고정 장치
US6237295B1 (en) Flooring assembly and fastener therefor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US20050028473A1 (en) Hidden deck fastener system
KR101784932B1 (ko) 충격완충용 목재데크 고정클립
KR20200042621A (ko) 벽체 배수판 설치용 조립식 프레임 시스템
KR101260667B1 (ko) 데크 플레이트 고정 구조
KR101931904B1 (ko) 목재데크시스템
KR102218887B1 (ko) 알루미늄바를 이용한 데크의 조립구조
KR101772069B1 (ko) 데크 프레임 조립구조
US20060107612A1 (en) Anchoring device
KR20170050374A (ko) 데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KR102369330B1 (ko) 데크 시스템
KR101898941B1 (ko) 목재 데크 상판 조립용 데크 클립
JP3739255B2 (ja) 屋外床敷設工法及び屋外床敷設構造
KR20220027393A (ko) 데크 시스템
KR101850497B1 (ko) 모듈화된 마루바닥의 조립구조
KR200439812Y1 (ko) 조립식 바닥재
KR102157418B1 (ko) H빔을 포함하는 목재데크 결합 시스템
KR100981408B1 (ko) 데크 결합 구조체
KR102630113B1 (ko) 'ㄷ'자 브라켓이 구비된 난간용 기둥
KR100686618B1 (ko) 케이블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