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063B1 - 다양한 액체를 혼합할 수 있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 - Google Patents

다양한 액체를 혼합할 수 있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063B1
KR101931063B1 KR1020180097381A KR20180097381A KR101931063B1 KR 101931063 B1 KR101931063 B1 KR 101931063B1 KR 1020180097381 A KR1020180097381 A KR 1020180097381A KR 20180097381 A KR20180097381 A KR 20180097381A KR 101931063 B1 KR101931063 B1 KR 101931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mixing
container
hol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완기
배훈열
Original Assignee
최완기
배훈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완기, 배훈열 filed Critical 최완기
Priority to KR1020180097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063B1/ko
Priority to US16/966,572 priority patent/US11759055B2/en
Priority to PCT/KR2019/008448 priority patent/WO2020040425A1/ko
Priority to CN201980011046.4A priority patent/CN111670069B/zh
Priority to JP2020561652A priority patent/JP7333639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7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mixing drinks; Hand-held shakers
    • B01F3/0869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of liquid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2Mechanically-driven liquid sh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B01F13/08
    • B01F15/00331
    • B01F15/00538
    • B01F15/00857
    • B01F15/0087
    • B01F15/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5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flow mixing
    • B01F23/452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flow mixing by uniting flows taken from different parts of a receptacle or silo; Sandglass-type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5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5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 B01F33/453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using supported or suspended stirring elements
    • B01F33/4532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using supported or suspended stirring elements using a bearing, tube, opening or gap for internally supporting the stir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50Movable or transportable mixing devices or plants
    • B01F33/501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 B01F33/5014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movable by human force, e.g. kitchen or tabl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4Mixing plants with mixing receptacles receiving material dispensed from several component receptacles, e.g. paint tins
    • B01F33/846Mixing plants with mixing receptacles receiving material dispensed from several component receptacles, e.g. paint tins using stored recipes for determining the composition of the mixture to be produced, i.e. for determining the amounts of the basic components to be dispensed from the componen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1Amount of delivered fluid during a peri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B01F35/514Mixing receptacles the mixing receptacle or conduit being transparent or comprising transpar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B01F35/52Receptacles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 B01F35/522Receptacles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comprising compartments keeping the materials to be mixed separated until the mixing is init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01F35/83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controlling the ratio of two or more flows, e.g. using flow sensing or flow controlling devices
    • B01F35/831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controlling the ratio of two or more flows, e.g. using flow sensing or flow controlling devices using one or more pump or other dispensing mechanisms for feeding the flows in predetermined proportion, e.g. one of the pumps being driven by one of the f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01F35/88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feeding the materials batchw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83Cylindrical or polygonal containers, e.g. bottles, with two or more substantially axially offset, side-by-side compartments for simultaneous dispensing
    • B65D81/3288Cylindrical or polygonal containers, e.g. bottles, with two or more substantially axially offset, side-by-side compartments for simultaneous dispensing composed of two or more separate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01F2101/14Mixing of ingredients for non-alcoholic beverages; Dissolving sugar in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종류의 다양한 액체를 혼합할 수 있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액체에는 다양한 음료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액체를 각각 함유하는 복수 개의 용기, 복수 개의 용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유닛, 선택된 액체를 혼합용기에 주입하는 것을 제어하는 조절유닛, 혼합용기에 주입된 여러 액체를 혼합하는 혼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액체를 혼합할 수 있다. 특히 여러 맛을 가지는 음료를 각 용기에 넣은 후 이를 혼합하여 마실 수 있다. 또한, 혼합용기 표면에는 눈금이 표기되어 있어 각 액체의 양을 정밀하게 계측할 수 있어 각 액체를 정확한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액체를 혼합할 수 있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A PORTABLE LIQUID MIXING APPARATUS WHERE A VARIOUS LIQUID CAN BE MIXED}
본 발명은 다양한 액체를 혼합할 수 있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주류, 음료수, 식수 등을 저장하여 유통 및 판매하는 용기로서 마개를 열어 마실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음료용기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마개에 의해 개폐되는 취출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음료용기는 몸체가 일체형으로 단일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질의 음료를 분리 저장할 수는 없어 다양해진 소비자의 취향과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었다. 다양한 음료를 여러 가지로 맛보기를 원하는 기호가 강한 소비자에게 보다 다양한 음료식품을 제공할 수 없어 다수 개의 컵이나 용기에 음료식품을 각각 담아 제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보다 다양해진 소비자의 취향과 소비상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하나의 용기에 이질의 음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중 내부공간을 갖춘 공간분할형 음료용기가 소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간분할형 음료용기는 용기 본체 내부의 중앙에 격벽을 설치하여 내부의 내부공간을 분할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연구자들은 수요자들의 보다 다양한 취향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7285호(2001.09.06.)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0558호(2016.06.01.)
본 발명은 다양한 액체를 혼합할 수 있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의 액체를 혼합할 수 있는 액체혼합장치에 있어서, 제1 액체가 들어 있는 제1 용기, 제2 액체가 들어 있는 제2 용기,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을 통하여 각각 제1 용기 및 제2 용기와 연결되어 통하고 제1 연결관만을 선택적으로 열어 제1 액체를 주입 받거나 제2 연결관만을 선택적으로 열어 제2 액체를 주입 받아 수용할 수 있는 선택적 수용공간을 가지는 선택유닛, 선택된 액체를 혼합용기에 주입하는 것을 제어하는 조절유닛, 선택유닛으로부터 제1 액체 또는 제2 액체를 주입 받아 저장하여 혼합이 이루어지는 혼합용기, 및 혼합용기 내의 액체를 혼합하는 혼합유닛을 포함하되, 제1 연결관만을 선택적으로 열어 제1 액체를 상기 혼합용기에 주입한 후 제2 연결관만을 선택적으로 열어 제2 액체를 혼합용기에 주입하고 제1 액체 및 제2 액체를 혼합하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일 수 있다.
본 측면에서, 선택유닛은 외측 멤버와 그 내부에 장착되는 내측 멤버를 포함하고, 외측 멤버와 내측 멤버는 상호 간에 회전 시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하되, 외측 멤버는 원통의 형태를 가지되 제1 연결관 또는 제2 연결관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외측 관통공, 외주면에 형성되고 측면 케이스의 제1 암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 암, 제2 암에 형성되고 제2 자석이 장착된 제2 자석홈,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내주홈을 포함하고, 내측 멤버는 원통의 형태를 가지되, 외측 관통공과 대응되도록 원통 벽에 형성된 1개의 내측 관통공, 원통의 하단 원주가 중심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하부 연통공, 하부 연통공의 내주가 아래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하부 연통부, 하부 연통부의 원통 벽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연통 방사공, 및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내주홈과 결합되어 상호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외주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측면에서, 조절유닛은 하부 연통공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가짐으로서 하부 연통공을 밀폐할 수 있는 조절디스크, 상기 조절디스크를 지지하는 지지봉 및 연결대를 매개로 하여 지지봉과 연결되어 조절디스크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손잡이 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측면에서, 혼합용기는 투명한 재질로서 원통의 형상을 가지고, 표면에는 눈금이 표기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조절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는 리미트 돌기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밀폐부가 결합되어 외부로의 액체 누출을 막을 수 있다.
본 측면에서, 혼합유닛은, 혼합용기의 외부에 위치하고 극성이 다른 자석을 각각 가지고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외부 로터 및 혼합용기 내부에 위치하여 극성이 다른 자석을 각각 가지고 외부 로터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내부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측면은 제1 용기 또는 제2 용기가 수납되는 측면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측면 케이스는 제1 암에 형성되어 측면 케이스의 상부 방향 회동을 촉진하는 견인부재를 더 포함하되, 견인부재는, 제1 자석이 장착된 제1 자석홈 및 측면 케이스의 상부 방향 회동을 일정 정도로 제한하는 회동제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측면은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되, 하부 케이스는, 위로 오픈되고 바닥이 막힌 원통형 구조로서, 중심부에는 밀폐부와 결합하는 지지결합부를 가지고, 지지결합부의 내부에 모터가 수직으로 장착되고, 측벽에는 전원의 온오프를 통하여 모터를 동작시킬 수 있는 스위치가 장착되고, 측벽 상단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측면 케이스의 하단의 홈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액체를 혼합할 수 있다. 특히 여러 맛을 가지는 음료를 각 용기에 넣은 후 이를 혼합하여 마실 수 있다. 또한, 여러 음료를 혼합하지 않고 그 중 선호하는 액체만을 선택적으로 마실 수도 있다.
또한, 혼합용기 표면에는 눈금이 표기되어 있어 각 액체의 양을 정밀하게 계측할 수 있어 각 액체를 정확한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혼합용기에 얼음(차가운 물)이나 고온의 물을 넣은 경우에는 이로 인한 냉기 또는 온기로 인하여 음료 커피 등의 액체를 차갑게 또는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보냉장치 또는 보온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좌측에는 상부 케이스에 의하여 가려진 상태를 나타내고, 우측에는 일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에서 상부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색상을 부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의 상부 케이스에 대한 도면이다(좌측은 내측 상부 케이스, 우측은 외측 상부 케이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의 측면 케이스가 전개되어 올라간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중심부에 대한 일부 단면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에서 선택유닛의 외측 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에서 선택유닛의 외내 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에서 하부 연통공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에서 하부 연통공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의 조절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의 측면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의 견인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의 혼합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의 밀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의 하부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의 혼합용기와 하부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 확대도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의 외부 로터의 하부 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b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의 외부 로터의 상부 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의 내부 로터의 하부 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b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의 내부 로터의 상부 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제1 또는 제2 라는 표현은 순서, 중요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구성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종류의 다양한 액체를 혼합할 수 있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액체에는 다양한 음료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도 1의 좌측에는 내측 상부 케이스(22) 및 외측 상부 케이스(21)로 가려진 상태를 나타내고, 우측에는 외측 상부 케이스(21)를 45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외측 상부 케이스(21)를 90도 회전함으로써 측면 케이스(31, 32)가 위쪽으로 올라갈 때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에서 상부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액체혼합장치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하였으며, 도 4에는 도 3에 색상을 부가하여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휴대용 액체혼합장치는, 특정한 액체를 각각 함유하는 복수 개의 용기(60), 복수 개의 용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유닛(90), 선택된 액체를 혼합용기(70)에 주입하는 것을 제어하는 조절유닛(80), 혼합용기(70)에 주입된 여러 액체를 혼합하는 혼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액체혼합장치는 복수 개의 각 용기에 서로 다른 액체를 담은 후 이를 휴대하고 이동하는 과정 등에서 각 액체를 원하는 비율로 혼합한 후 이를 음용하거나 특정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여러 음료를 혼합하지 않고 그 중 선호하는 액체만을 선택적으로 마실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용기(60)에는 각기 다른 다양한 종류의 액체가 들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는 다양한 맛을 낼 수 있는 음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피맛 음료, 레몬맛 음료, 박하맛 음료, 사과맛 음료, 식혜, 수정과 등의 다양한 음료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식초, 간장 등의 액상 양념을 담아 두고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주류를 각 용기에 담고 이들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칵테일을 제조하여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용기의 재질은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일 수 있다. 휴대용임을 고려하면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에는 상부 케이스를 도시하였다. 도 5의 좌측에는 선택유닛(90)과 결합하는 내측 상부 케이스(22)를 도시하였고, 우측에는 내측 상부 케이스 위에 결합되는 외측 상부 케이스(21)를 도시하였다.
상부 케이스는 복수 개의 다리(224, 225)가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다리가 90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상부 케이스(22)와 외측 상부 케이스(21)를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는 경우 내측 상부 케이스의 다리(224)와 외측 상부 케이스의 다리(225)에 의하여 가려져 내부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내측 상부 케이스(22) 외면에는 개폐홈(223)이 복수 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외측 상부 케이스(21)의 내면에는 개폐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내측 상부 케이스에 개폐돌기가 형성되고 외측 상부 케이스에 개폐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리가 4개인 경우 개폐홈(223) 및 개폐돌기는 각각 8개가 일정한 간격, 즉 45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쉽고도 정확하게 45도씩 회전시킬 수 있어 개폐가 가능하다. 즉 내측 상부 케이스(22)와 외측 상부 케이스(21)의 다리가 포개져 있는 열린 상태(개)에서 어느 하나를 45도 회전시킨 경우에는 서로 다리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어 내부가 보이지 않는 닫힌 상태(폐)가 될 수 있다.
여기서는 다리가 4개인 경우(측면 케이스도 4개)를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리가 3개인 경우(측면 케이스도 3개)에는 개폐홈(223) 및 개폐돌기는 각각 6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60도 회전할 때마다 개폐의 상호 전환이 발생할 수 있다.
내측 상부 케이스(22)는 선택유닛(90)에 결합되는 결합부(226)를 가질 수 있다. 결합부(226)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선택유닛(90)의 외측 멤버(23)의 외주면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된 내측 상부 케이스가 아래로 이동하지 않도록 선택유닛의 외부 멤버(23)의 외주면 상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결합띠(108)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상부 케이스(22)에는 뚜껑(10)이 결합될 수 있으며, 뚜껑에 의하여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측면 케이스(30)가 올라간 상태를 다양하게 도시하였다. 도 6에는 측면 케이스(30)가 올라간 상태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였고, 도 7에는 중심부에 대한 일부 단면을 도시하였으며, 도 8에는 측면 케이스(30)가 올라간 상태에 대한 단면을 나타내었다. 측면 케이스(30)를 위로 올리기 위하여는 하부 케이스(40)를 살짝 아래로 당김으로써 하부 케이스의 돌기(43)와 측면 케이스(30)의 하단 홈(35, 36)의 결합을 해제한 후 측면 케이스(30)를 위로 살짝 올리면 선택유닛의 외측 멤버(23)의 제2 암(103)에 장착된 제2 자석과 측면 케이스(30)의 제1 암(33)에 장착된 견인부재(102)에 장착된 제1 자석 사이의 인력에 의하여 측면 케이스(30)가 위로 올라가게 된다. 견인부재(102)에 형성된 회동제한돌기(109)에 의하여 측면 케이스(30)는 어느 정도 올라간 후에는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고 멈추게 된다.
선택유닛(90)은 외측 멤버(23)와 그 내부에 장착되는 내측 멤버(2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멤버(24)와 외측 멤버(23)는 서로 밀착되어 있으나 회전 시 상호 간에 슬라이딩이 일어날 수 있다. 선택유닛을 통하여 다양한 액체 중 특정 액체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액체는 주입구를 통하여 선택유닛 내의 수용공간으로 흘러 들어 갈 수 있다. 외측 멤버에는 액체가 들어 있는 용기의 개수 만큼 외측 관통공(12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외측 관통공(120)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용기인 경우 4개의 외측 관통공(120)이 형성되고, 각 외측 관통공(120)은 각각 90도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외측 관통공(120)은 주름관을 통하여 용기와 연통될 수 있다. 내측 멤버에는 내측 관통공(130)이 하나만 형성될 수 있다. 내측 관통공(130)은 외측 관통공(1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멤버를 회전시키면 내측 관통공(130)도 회전할 수 있다. 내측 멤버를 회전시켜 내측 관통공(130)을 특정 외측 관통공(120)에 매칭시키는 경우 해당 외측 관통공(120)에 연통되는 용기가 선택하는 것이 되고, 해당 용기 내에 들어 있는 액체를 선택적으로 선택유닛의 수용공간(110)으로 주입할 수 있다. 즉 선택유닛에서는 특정 액체를 선택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내측 멤버(24)를 90도 회전시켜 다른 액체를 선택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이렇게 특정 액체를 선택하고 이를 바로 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경우에는 해당 특정 액체만을 음용하거나 하는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각 용기에 여러 음료를 담고 휴대하면서 자신이 선호하는 특정 음료만을 선택하여 마실 수 있다.
도 9에는 선택유닛의 외측 멤버(23)를 도시하였다. 외측 멤버(23)는 원통 형태로서 위쪽으로 오픈되어 토출구(111)를 형성하고 토출구를 통하여 액체 등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외측 멤버(23) 원통의 아래쪽 벽에는 복수 개의 외측 관통공(120)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관통공이 4개인 경우에는 90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관통공(120)은 연결관(주름관)(63)을 매개로 용기(60)와 연통될 수 있다. 용기(60) 내에 들어 있는 액체가 연결관(주름관)(63) 및 외측 관통공(1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선택유닛 내의 수용공간(110)으로 주입될 수 있다. 외측 관통공(120)의 개수는 용기(6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9에는 4개의 외측 관통공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외측 멤버의 상부 외주면에는 제2 암(103)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암(103)은 외측 관통공(120)의 좌우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암(103)은 측면 케이스(30)의 제1 암(35)과 결합할 수 있다.
제2 암(103)에는 제2 자석홈(10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자석홈에는 제2 자석이 장착될 수 있다. 측면 케이스(30)의 제1 암(35)에 장착된 견인부재(15)에도 제1 자석홈(101)이 형성되어 제1 자석(미도시)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자석과 제2 자석은 서로 반대 극성을 띠어 상호 간에 인력이 작용하며, 이러한 자석 간 인력에 의하여 측면 케이스를 위쪽으로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다. 즉, 견인부재(102)는 측면 케이스가 위쪽으로 회동할 때 회동을 촉진시키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초기에는 측면 케이스를 들어 올림에 있어 사람의 손 등을 통하여 외력을 가하여 시작하지만, 측면 케이스가 올라가기 시작하게 되면 견인부재(102)에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측면 케이스(30)가 저절로 위로 올라가는 회동을 할 수 있다. 측면 케이스가 위로 올라가게 되면 측면 케이스(30) 내 용기(60, 61, 62)에 존재하는 액체가 주름관(63)을 통하여 선택유닛 내의 수용공간(1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외측 멤버(23)의 상부 외주면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 개의 미세돌기(107)가 형성될 수 있다. 미세돌기(107)의 개수는 용기의 개수(외측 관통공(120)의 개수)와 동일하다. 용기가 4개인 경우에는 90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멤버(24)에는 미세돌기(107)와 결합할 수 있는 미세홈(136)이 형성될 수 있다. 미세돌기(107)를 형성하는 이유는 외측 멤버(23)와 결합되어 회전 시 슬라이딩 되는 내측 멤버(24)가 일정한 각도만큼 정확하게 회전되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내측 멤버(24)의 회전 시 외측 멤버(23)의 미세돌기(107)와 내측 멤버의 미세홈(136)이 결합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외측 관통홀(120)과 내측 관통홀(230)이 형성되는 위치를 정할 수 있다. 외측 멤버(23)의 내주면을 따라 내주홈(1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내측 멤버(24)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주띠(132)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0에는 선택유닛의 내측 멤버(24)를 도시하였다. 내측 멤버는 원통 형태의 바디부(131)를 가지고, 위쪽으로 오픈되어 토출구(111)를 형성할 수 있다. 내측 멤버(24)의 바디부의 상단은 바깥쪽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된 후 아래 쪽으로 꺾이고 연장되어 절곡부(13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바디부(131) 외주면과의 사이에 홈(137)이 형성될 수 있다. 홈(137)은 내측 멤버의 상단부 외면을 감싸게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멤버(24)와 외측 멤버(23)의 조립 시 외측 멤버(23)의 상단부가 내측 멤버의 홈(24)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내측 멤버(24)와 외측 멤버(23)는 조립 후 회전 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또한 절곡부(133)의 홈 안쪽에는 미세홈(136)이 형성될 수 있다. 미세홈(136)은 외측 멤버의 미세돌기(107)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미세홈(136)은 미세돌기(107)와 대응되는 개수 만큼 형성될 수 있다. 미세돌기(107)가 4개인 경우 미세홈(136)도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멤버(24)와 외측 멤버(23)가 회전 슬라이딩 할 때 미세돌기(107)와 미세홈(136)이 결합되는 위치에서 일단 정지될 수 있으며, 더 힘을 가하면 회전 슬라이딩을 지속할 수 있고, 다음에 위치하는 미세돌기(107)와 미세홈(136)이 결합되면 일단 정지될 수 있다. 이로써 회전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내측 멤버(24)의 원통 벽에는 내측 관통공(230)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관통공(230)은 1개일 수 있다. 내측 관통공(230)은 외측 관통공(120)과 대응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층 관통공(230)은 1개이고 외측 관통공(120)은 복수 개이다. 예를 들어 외측 관통공(120)은 4개 일수 있다. 내측 멤버(24)를 회전시키다가 그 위치를 복수 개의 외측 관통공(1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그와 일치시키면 그 외측 관통공(120)에 연결된 용기의 액체를 선택하는 것이 되고, 선택된 액체는 연결관(63)을 통하여 선택유닛의 수용공간(110)으로 이동(주입)될 수 있다.
또한, 내측 멤버(24)의 외주면을 따라 외주띠(1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외측 멤버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내주홈(122)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에 의하여 내측 멤버(24)와 외측 멤버(23)가 상하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상호 움직임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내측 멤버(24)의 바디부(131)의 원통 하단의 원주는 중심쪽으로 꺾여 일정 길이 만큼 연장되어 하부 연통공(135)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연통공(135)의 내주는 아래쪽으로 일정 길이 만큼 연장되어 하부 연통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연통공(135)의 지름은 바디부(131)의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하부 연통부 또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그 원통 벽에는 복수 개의 연통 방사공(13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연통 방사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 방사공(130)의 개수가 많을수록 이를 통한 물질 이동이 빠를 수 있다. 하부 연통부에는 조절유닛(80)의 조절디스크(82)가 결합될 수 있다. 조절디스크의 지름은 하부 연통공(135) 및 하부 연통부의 지름과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조절디스크(82)가 하부 연통공(135)을 밀폐할 수 있어 액체 누출을 막을 수 있다. 조절유닛(80)을 아래로 이동시켜 조절디스크(82)가 연통 방사공(130)을 지나 하부 연통부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면, 선택유닛의 수용공간(110)과 혼합용기(70)의 혼합 공간(70)이 하부 연통공(135), 연통 방사공(130)을 매개로 연결되어 통하게 되고, 이를 통한 물질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수용공간(110)에 있는 액체는 하부 연통공(135) 및 연통 방사공(130)을 통하여 혼합용기(70)로 이동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이동도 가능하다.
도 11에는 하부 연통공(135)이 닫힌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절유닛이 위쪽으로 밀어 올려져 조절유닛(80)의 조절디스크(82)가 선택유닛 내측 멤버(24)의 하부 연통공(35)을 막아 밀폐시키고 있기 때문에 수용공간(110)에 존재하는 액체는 혼합용기(70)의 혼합공간(71)으로 이동할 수 없다. 또한, 도 11에는 선택유닛의 내측 멤버(24)의 왼쪽이 오픈되어 있는데 이로부터 왼쪽 용기를 선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왼쪽 용기의 액체가 선택유닛의 수용공간(1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하부 연통공(135)이 조절디스크(82)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왼쪽 용기의 액체는 수용공간(110)에 머무를 뿐 혼합용기(70)의 혼합공간(71)으로는 이동할 수는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로 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경우에는 해당 특정 액체만을 음용하거나 하는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각 용기에 여러 음료를 담고 휴대하면서 자신이 선호하는 특정 음료만을 선택하여 마실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장치는 다수의 액체를 혼합하거나 또는 특정 액체만을 선택할 수 있고, 이를 음용하는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2에는 하부 연통공(135)이 열린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2를 참조하면 조절유닛(80)을 아래로 당겨 내림으로써 조절디스크가 하부 연통부의 끝단에 위치하고, 하부 연통공(135) 및 연통 방사공(130)은 열린 상태로 된다. 또한, 도 11과 마찬가지로, 선택유닛의 내측 멤버(24)의 왼쪽이 오픈되어 있는데 이로부터 왼쪽 용기를 선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왼쪽 용기의 액체가 선택유닛의 수용공간(1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더불어 하부 연통공(135) 및 연통 방사공(130)이 오픈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액체는 혼합용기(70)의 혼합공간(7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3에는 조절유닛(80)을 도시하였다. 조절유닛(80)은 선택유닛과 혼합용기 상호 간에 액체의 이동을 조절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조절유닛은 조절디스크(82), 지지봉(84), 손잡이부(81), 연결대(83)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디스크(82)는 선택유닛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연통공에 매치되어 형성되며, 조절디스크가 관통공을 막으면 액체의 이동이 정지되고, 조절디스크(82)를 아래로 내리면 관통공이 열리게 되어 액체의 이동이 가능하다(도 11 및 도 12 참조). 조절디스크(82)는 혼합용기(7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조절디스크의 하면에는 지지봉(84)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조절디스크(82)를 지지할 수 있다.
손잡이 부(81)는 조절디스크(82)의 상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외부에서 힘을 가하기 위하여 형성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이다. 손잡이 부(81)는 혼합용기의 외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대(84)는 혼합용기(70)의 외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의 손잡이 부(81)와 혼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봉(84)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대(83)는 방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대(83)는 혼합용기(70)에 형성된 장공형의 관통홀(73)에 삽입되어 관통함으로써 손잡이 부(81)와 지지봉(84)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4에는 측면 케이스(30)를 도시하였다. 측면 케이스(30)에는 액체를 포함하는 용기(60)가 수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측면 케이스(30)가 4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일 수 있다. 측면 케이스 상부의 내면에는 제1 암(3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암(35)의 단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홈과 수직으로 제1 결합공(3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암(35)은 선택유닛(90)에 형성된 제2 암(103)과 결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제2 암(103)의 단부를 제1 암(35)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한 후 제1 암(35)의 제1 결합공(36)과 제2 암(103)의 제2 결합공(106)의 위치를 일치시키고 제1 결합공(36) 및 제2 결합공(106)을 통과하는 결합핀(미도시)을 삽입함으로써 제1 암(35)과 제2 암(103)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암(35)과 제2 암(103)은 결합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측면 케이스를 들어 올리면 결합핀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측면 케이스는 위쪽으로 회동할 수 있다(도 6 참조).
측면 케이스(30)에 형성된 제1 암(35)에는 견인부재(102)가 장착될 수 있다. 견인부재(102)는 측면 케이스가 위쪽으로 회동할 때 회동을 촉진시키는 힘을 가할 수 있다(측면 케이스의 상부 방향 회동을 촉진). 초기에는 측면 케이스를 들어 올림에 있어 사람의 손 등을 통하여 외력을 가하여 시작하지만, 측면 케이스가 올라가기 시작하게 되면 견인부재(102)에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측면 케이스가 저절로 위로 올라가는 회동을 할 수 있다.
도 15에 견인부재를 도시하였다. 도 15를 참조하면, 견인부재(102)는 2개의 소판(100)이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견인부재(102)에는 제1 자석홈(101)이 형성되어 제1 자석이 장착될 수 있다. 선택유닛의 제2 암(103)에도 자석홈(105)이 형성되어 제2 자석이 장착될 수 있다. 제1 자석과 제2 자석은 서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는 반대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측면 케이스가 저절로 위로 올라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측면 케이스마다 2개의 견인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견인부재의 개수가 많을수록 자석 사이의 인력이 커지기 때문에 측면 케이스는 더 수월하게 위로 올라갈 수 있다.
또한 견인부재(102)에는 회동제한돌기(109)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측면 케이스(30)가 위로 올라가더라도 그 한계를 정할 필요가 있는데, 회동제한돌기(109)를 형성함으로써 측면 케이스가 일정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회동제한돌기(109)의 위치는 측면 케이스의 회동 궤적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도 16에는 혼합용기(70)를 도시하였다. 혼합용기(70)는 원통형일 수 있다. 내부에 존재하는 액체의 양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혼합용기(70)는 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유리는 물론이고 투명의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혼합용기(70)의 표면에는 눈금을 액체의 양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72)을 표기할 수 있다. 밀폐부(140)가 결합되는 혼합용기(70)의 하단부의 지름은 상단부의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혼합용기(70)의 상부에는 조절유닛이 삽입되는 장공형의 관통홀(73)이 형성될 수 있다. 장공형 관통홀(73)은 혼합용기(7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관통홀(73)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조절유닛(80)이 위쪽으로 지나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리미트 돌기(74)가 혼합용기(70)의 외주면에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혼합용기(70)의 상부에 결합된 조절유닛(80)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조절유닛을 아래로 이동하면 선택유닛의 하부 연통공(135)이 오픈되어 선택유닛(90)에 존재하는 액체가 혼합용기(7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멈추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절유닛을 위로 이동시켜 선택유닛의 하부 연통공(35)을 막음으로써 액체의 유입을 정지시킬 수 있다. 선택유닛(90)의 내측 멤버(24)의 하부 연통공(35)을 정확하게 막을 수 있을 정도로 조절유닛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리미트 돌기(74)를 형성하는 것이다. 즉 조절유닛을 위로 이동시켜 리미트 돌기(74)에 닿았을 때 선택유닛의 하부 연통공(35)이 막히도록 리미트 돌기(7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용기에 음료 등의 액체를 넣은 상태에서, 혼합용기에 얼음이나 차가운 물 또는 이들을 섞어서 넣어 놓은 경우에는 혼합용기의 냉기로 인하여 용기에 들어 있는 음료 커피 등의 액체가 차갑게 유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장치를 보냉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혼합용기에 고온의 물 등을 넣은 경우에는 혼합용기의 온기로 인하여 용기에 들어 있는 음료 커피 등의 액체가 따뜻하게 유지될 수 있어, 이 경우에는 보온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7에는 혼합용기(70)의 하단에 결합되어 밀폐시켜 혼합용기(70) 내의 액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밀폐부(140)를 도시하였다. 밀폐부(140)는 원판 형상의 바닥면을 가지되 원판의 원주가 수직으로 위쪽으로 일정 길이 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결합벽(341)을 가질 수 있다. 결합벽(341)이 혼합용기(7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원판의 중심부에는 만입되어 위 방향으로 돌출된 만입돌출부(343)가 형성될 수 있고, 만입돌출부(343)의 반대 쪽에는 만입 공(344)이 형성될 수 있다. 만입 공(344)에는 모터(42)의 축봉이 삽입될 수 있다. 모터(42)의 축봉과 만입 공의 내벽 사이에는 충분한 유격이 있어 만입 공(343)의 내벽으로 인하여 모터(42) 축봉의 회전이 방해되지 않아야 한다. 아래쪽으로는 다리가 형성되어 밀폐부(140)를 지지할 수 있다. 다리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다리는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리(342)의 끝단에는 바깥쪽으로 꺾여진 돌출부(345)가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140)와 하부 케이스(40)의 결합 시 하부 케이스(30)에 돌출부(345)와 결합할 수 있는 홈부(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밀폐부(140)와 하부 케이스(4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혼합용기(70)에 밀폐부(140)를 결합하게 되면 밀폐부(140)는 혼합용기(70)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된다. 혼합용기(70)와 밀폐부(140)가 결합함으로써 비로소 혼합용기(70)가 그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완성되는 셈이다.
도 18에는 하부 케이스(40)의 구조를 도시하였다. 도 19에는 혼합용기(70)와 하부 케이스(40)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하부 케이스(40)는 위로 오픈되고 바닥이 막힌 원통형 구조로서, 중심부에는 작은 원통형 구조의 지지결합부(44)가 형성되고, 지지결합부(44)를 통하여 밀폐부(140)와 결합될 수 있다. 지자결합부(44)의 내부에는 모터(42)가 수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전원수용부(47)를 가지고,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는 전원스위치(50)가 장착되는 스위치 관통홀(48)을 가질 수 있다. 전원을 켜면 모터(42)가 동작을 하게 되고 전원을 끄면 모터(42)의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40)의 측벽(41) 상단에는 돌기(43)가 형성되어 측면 케이스(30)의 하단에 형성된 홈(37, 38)에 결합될 수 있다. 돌기(43)의 개수는 측면 케이스(3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측면 케이스(35, 36)를 모은 후에 하부 케이스(40)를 밀어 올림으로써 하부 케이스의 돌기(43)와 측면 케이스의 홈(37, 38)을 암수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에 의하여 측면 케이스(30)는 고정되어 옆으로 벌어지지 않게 된다. 측면 케이스(30)를 위로 들어 올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부 케이스(40)를 아래쪽으로 살짝 당김으로써 돌기(43)와 홈(37, 38)의 결합을 해제하고 측면 케이스(30)를 옆으로 벌리면 측면 케이스(30)를 위로 들어 올릴 수 있다.
내부 로터(46)는 밀폐부(140)의 위에 장착되고, 외부 로터(45)는 밀폐부(140)의 아래에 장착될 수 있다. 혼합용기(70)에 밀폐부(140)가 결합으로써 혼합용기(70)가 완성되는 셈이므로,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그 내부에 존재하는 로터를 내부 로터(46)라 하고, 외부에 존재하는 로터를 외부 로터(45)라 할 수 있다.
혼합유닛은 혼합용기(70) 내에 주입된 여러 액체를 혼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혼합유닛은 혼합용기(70) 내에 위치하는 내부 로터(46)와 혼합용기(70)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로터(45)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로터(46)와 외부 로터(45)에는 모두 자석이 포함되어 있어 자석의 극성에 따라 인력 및 척력에 의하여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다. 모터(42)를 이용하여 외부 로터(45)를 회전시키면 이에 따라 내부 로터(46)도 회전을 하게 되어 혼합용기(70) 내의 액체에 소용돌이를 일으키게 되어 효과적으로 혼합이 일어날 수 있다.
도 20a에 외부 로터(45)의 하부 멤버(45a)를 도시하였고, 도 20b에 외부 로터(45)의 상부 멤버(45b)를 도시하였다. 외부 로터(45)의 상부 멤버(45b)를 뒤집은 후에 이를 외부 로터(45)의 하부 멤버(45a) 위에 포개서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 과정에서 상부 멤버(45b)의 결합공(242)에 하부 멤버(45a)의 결합돌기(247)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공(242) 및 결합돌기(247)를 통하여 결합함으로써 두 멤버를 쉽게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다.
외부 로터(45)의 양단에는 자석(미도시)을 수용할 수 있는 2개의 자석 수용부(244, 249)가 형성되어 있다. 자석은 디스크 형태일 수 있으며, 자석 수용부(244, 249)는 디스크 형태의 자석을 수용할 수 있는 디스크 형태의 수용공간(244, 249)을 가질 수 있다. 각 자석 수용부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자석을 장착할 수 있다.
외부 로터(245)의 상부 멤버(245b) 및 하부 멤버(245a)의 중심에는 축공(241, 246)이 형성되어 모터(42)의 회전축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모터(42)가 회전하면 그에 따라 외부 로터(45)도 회전할 수 있다. 외부 로터(45) 축공(241, 246)의 크기는 내부 로터(46)의 축공(141, 146)의 크기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외부 로터(45)의 상부 멤버(45b)의 자석 수용부의 바닥면 외측에는 마찰 돌기(245)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 로터(45)의 상부 멤버(45b)의 마찰 돌기(245)의 끝 부분이 혼합용기(70)의 바닥의 외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외부 로터(45)가 회전하는 경우 혼합용기(70) 밑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찰 돌기(245)가 혼합용기 바닥의 외측면에 접촉하지 않는 경우 외부 로터(45)의 회전 시 혼합용기(70) 바닥의 외측면에 외부 로터(45)가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어 외부 로터(45)에 떨림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1a에 내부 로터(46)의 하부 멤버(46a)를 도시하였고, 도 21b에 내부 로터(46)의 상부 멤버(46b)를 도시하였다. 상부 멤버(46b)를 뒤집은 후 하부 멤버(46a) 위에 포개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부 멤버(46b)의 결합 돌기(147)가 하부 멤버(46a)의 결합 공(142)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결합 공(142) 및 결합 돌기(147)를 통하여 결합함으로써 두 멤버를 쉽고도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다.
내부 로터(46)의 양단에는 자석을 수용할 수 있는 2개의 자석 수용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자석은 디스크 형태일 수 있으며, 자석 수용부(144)는 디스크 형태의 자석을 수용할 수 있는 디스크 형태의 수용공간(144)을 가질 수 있다. 각 자석 수용부(144)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자석을 장착할 수 있다. 자석에 의하여 유발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하여, 내부 로터(46)와 외부 로터(45)는 서로 다른 극성이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모터(42)의 회전에 의하여 외부 로터(45)가 회전하면 이에 따라 내부 로터(46)도 회전할 수 있다. 내부 로터(45)의 회전으로 인하여 혼합용기(70) 내에 있는 액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내부 로터(46)의 상부 멤버(46b) 및 하부 멤버(46a)의 중심에는 축공(141, 146)이 형성되어 밀폐부(140)의 만입돌출부(343)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축공(141, 146)과 만입돌출부(343) 사이에는 충분한 유격이 있어 만입돌출부(343)에 의하여 내부 로터의 회전이 방해받지 않아야 한다.
내부 로터(46)의 하부 멤버(46a)의 자석 수용부의 바닥면 외측에는 마찰 돌기(145)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로터(46)의 하부 멤버(4b)의 마찰 돌기(145)의 끝 부분이 혼합용기(70)의 바닥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내부 로터(46)가 회전하는 경우 혼합용기(70) 바닥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 이를 배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뚜껑
21: 외측 상부 케이스 22: 내측 상부 케이스
23: 선택유닛의 외측 멤버 24: 선택유닛의 내측 멤버
30, 31, 32, 33, 34: 측면 케이스 35: 제1 암
36: 제1 결합공 37, 38: 홈
40: 하부 케이스 42: 모터
45: 전원(배터리) 41: 측벽
43: 돌기 44: 지지결합부
45: 외부 로터 45a: 외부 로터의 하부 멤버
45b: 외부 로터의 상부 멤버 46: 내부 로터
46a: 내부 로터의 하부 멤버 46b: 내부 로터의 상부 멤버
47: 전원수용부 48: 스위치 관통홀
50: 스위치
60, 61, 63: 용기 63: 연결관(주름관)
70: 혼합용기 72: 눈금
73: 장공형 관통홀 74: 리미트 돌기
80: 조절유닛 81: 손잡이 부
82: 조절디스크 83: 연결대
84: 지지봉
90: 선택유닛
100: 소판 101: 제1 자석홈
102: 견인부재 103: 제2 암
105: 제2 자석홈 106: 제2 결합공
107: 미세돌기 108: 결합띠
109: 회동제한돌기 110: 선택유닛의 수용공간
111: 토출구
120: 외측 관통공 121: 바디부
122: 내주홈 130: 연통 방사공
131: 선택유닛의 내측 멤버 바디부 132: 외주띠
133: 절곡부 135: 하부 연통공
136: 미세홈 137: 홈
141, 146: 내부 로터의 축공 142, 242: 결합공
144, 244, 249: 자석수용부 147, 247: 결합돌기
223: 개폐홈 224, 225: 다리
226: 결합부 230: 내측 관통홀
241, 246: 외부 로터의 축공
340: 밀폐부 341: 결합벽
342: 밀폐부의 다리 343: 만입돌출부
344: 만입 공

Claims (7)

  1. 복수의 액체를 혼합할 수 있는 액체혼합장치에 있어서,
    제1 액체가 들어 있는 제1 용기;
    제2 액체가 들어 있는 제2 용기;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을 통하여 각각 상기 제1 용기 및 상기 제2 용기와 연결되어 통하고, 상기 제1 연결관만을 선택적으로 열어 상기 제1 액체를 주입 받거나 상기 제2 연결관만을 선택적으로 열어 상기 제2 액체를 주입 받아 수용할 수 있는 선택적 수용공간을 가지는 선택유닛;
    선택된 액체를 혼합용기에 주입하는 것을 제어하는 조절유닛;
    상기 선택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액체 또는 상기 제2 액체를 주입 받아 저장하여 혼합이 이루어지는 혼합용기; 및
    상기 혼합용기 내의 액체를 혼합하는 혼합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관만을 선택적으로 열어 상기 제1 액체를 상기 혼합용기에 주입한 후, 상기 제2 연결관만을 선택적으로 열어 상기 제2 액체를 상기 혼합용기에 주입하고, 상기 제1 액체 및 상기 제2 액체를 혼합하되,
    상기 선택유닛은 외측 멤버와 그 내부에 장착되는 내측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멤버와 상기 내측 멤버는 상호 간에 회전 시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하되,
    상기 외측 멤버는,
    원통의 형태를 가지되,
    상기 제1 연결관 또는 제2 연결관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외측 관통공;
    외주면에 형성되고, 측면 케이스의 제1 암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 암;
    상기 제2 암에 형성되고, 제2 자석이 장착된 제2 자석홈;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내주홈
    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멤버는,
    원통의 형태를 가지되,
    상기 외측 관통공과 대응되도록 원통 벽에 형성된 1개의 내측 관통공;
    원통의 하단 원주가 중심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하부 연통공;
    상기 하부 연통공의 내주가 아래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하부 연통부;
    상기 하부 연통부의 원통 벽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연통 방사공; 및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내주홈과 결합되어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외주띠
    를 포함하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하부 연통공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가짐으로서 상기 하부 연통공을 밀폐할 수 있는 조절디스크;
    상기 조절디스크를 지지하는 지지봉; 및
    연결대를 매개로 하여 상기 지지봉과 연결되어 상기 조절디스크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손잡이 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기는,
    투명한 재질로서 원통의 형상을 가지고, 표면에는 눈금이 표기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조절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는 리미트 돌기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밀폐부가 결합되어 외부로의 액체 누출을 막을 수 있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유닛은,
    상기 혼합용기의 외부에 위치하고 극성이 다른 자석을 각각 가지고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외부 로터; 및
    상기 혼합용기 내부에 위치하여 극성이 다른 자석을 각각 가지고 상기 외부 로터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내부 로터;
    를 포함하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 또는 상기 제2 용기가 수납되는 측면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 케이스는 제1 암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 케이스의 상부 방향 회동을 촉진하는 견인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견인부재는,
    제1 자석이 장착된 제1 자석홈; 및
    상기 측면 케이스의 상부 방향 회동을 일정 정도로 제한하는 회동제한돌기;
    를 포함하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
  7. 삭제
KR1020180097381A 2018-08-21 2018-08-21 다양한 액체를 혼합할 수 있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 KR101931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381A KR101931063B1 (ko) 2018-08-21 2018-08-21 다양한 액체를 혼합할 수 있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
US16/966,572 US11759055B2 (en) 2018-08-21 2019-07-09 Portable liquid mixing device capable of mixing various liquids
PCT/KR2019/008448 WO2020040425A1 (ko) 2018-08-21 2019-07-09 다양한 액체를 혼합할 수 있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
CN201980011046.4A CN111670069B (zh) 2018-08-21 2019-07-09 能够混合多样液体的便携型液体混合装置
JP2020561652A JP7333639B2 (ja) 2018-08-21 2019-07-09 多様な液体を混合することができる携帯用液体混合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381A KR101931063B1 (ko) 2018-08-21 2018-08-21 다양한 액체를 혼합할 수 있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063B1 true KR101931063B1 (ko) 2018-12-19

Family

ID=6500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381A KR101931063B1 (ko) 2018-08-21 2018-08-21 다양한 액체를 혼합할 수 있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59055B2 (ko)
JP (1) JP7333639B2 (ko)
KR (1) KR101931063B1 (ko)
CN (1) CN111670069B (ko)
WO (1) WO20200404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425A1 (ko) * 2018-08-21 2020-02-27 최완기 다양한 액체를 혼합할 수 있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25496B (zh) * 2023-09-09 2024-04-16 东海县裕隆医学检验实验室有限公司 一种生化检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487A (ja) * 1999-04-02 2000-11-14 L'oreal Sa 着色化粧品の包装および分配を行うポータブルディスペンサ
JP2015530287A (ja) * 2012-07-30 2015-10-15 ディーダブリューエス エス.アール.エル. ステレオリソグラフィー用樹脂のためのパッケージ、該パッケージと共に使用するのに適した混合装置、および、該パッケージに収容されたステレオリソグラフィー用樹脂を混合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285Y1 (ko) 2001-06-29 2001-10-17 서상진 다수의 격실들을 갖는 음료용기
JP2004337582A (ja) 2003-10-27 2004-12-02 Tatsuo Okazaki 殺菌液保存方法及び殺菌用容器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開閉弁付きノズル
US20060021996A1 (en) * 2004-07-30 2006-02-02 Scott L J Iii Multi-chambered drink bottle
GB0608638D0 (en) * 2006-05-03 2006-06-14 Rocep Lusol Holdings Apparatus For Mixing An Additive In A Packaged Liquid
CN100574683C (zh) * 2008-08-12 2009-12-30 林波 自动鸡尾酒调制机
KR101141669B1 (ko) * 2009-12-17 2012-05-07 주영진 분리용기
JP5514176B2 (ja) 2011-10-11 2014-06-04 株式会社タカギ 液体混合装置
WO2013179832A1 (ja) * 2012-05-30 2013-12-05 三井化学株式会社 3成分混合装置および3成分混合接着剤キット
GB201222658D0 (en) * 2012-12-14 2013-01-30 Seabrook Crisps Ltd Closure arrangements
KR101478978B1 (ko) * 2013-01-15 2015-01-07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EP2990373B1 (en) * 2014-08-29 2018-10-03 Sidel S.p.a. Con Socio Unico A fluid-agitating tank assembly for a machine for filling containers
CN108348936A (zh) * 2015-07-15 2018-07-31 加里·雷纳 生产用于消耗的可起泡物料和/或可流动物料的***和方法
KR200480558Y1 (ko) 2015-11-09 2016-06-08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공간 분할 음료 용기
DK3376923T3 (da) * 2015-11-16 2020-01-20 Nestle Sa Fremgangsmåde til tilberedning af en drik
KR101833260B1 (ko) * 2017-10-13 2018-03-02 안중근 진공텀블러 및 이를 구비한 믹서기
CN106859395A (zh) * 2017-04-14 2017-06-20 广东百晟图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搅拌装置
KR101931063B1 (ko) * 2018-08-21 2018-12-19 최완기 다양한 액체를 혼합할 수 있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487A (ja) * 1999-04-02 2000-11-14 L'oreal Sa 着色化粧品の包装および分配を行うポータブルディスペンサ
JP2015530287A (ja) * 2012-07-30 2015-10-15 ディーダブリューエス エス.アール.エル. ステレオリソグラフィー用樹脂のためのパッケージ、該パッケージと共に使用するのに適した混合装置、および、該パッケージに収容されたステレオリソグラフィー用樹脂を混合す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425A1 (ko) * 2018-08-21 2020-02-27 최완기 다양한 액체를 혼합할 수 있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59839A1 (en) 2020-11-19
US11759055B2 (en) 2023-09-19
WO2020040425A1 (ko) 2020-02-27
JP2021533973A (ja) 2021-12-09
CN111670069A (zh) 2020-09-15
CN111670069B (zh) 2021-12-28
JP7333639B2 (ja)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063B1 (ko) 다양한 액체를 혼합할 수 있는 휴대용 액체혼합장치
JP4955500B2 (ja) 飲料ボトルおよ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US7371004B1 (en) Travel mug configured to blend food and method thereof
RU2488340C2 (ru) Крышка, в частности, со стаканом для напитков
CN105050913B (zh) 两种内容物的混合容器
US10421595B2 (en) Multi-compartment snack storage and dispensing appliance
US5967309A (en) Container apparatus for substances soluble in fluid media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mixtures in situ
US11428562B2 (en) Beverage container lid with reservoir and repetitive measuring and disbursement mechanism
WO2006126832A1 (en) Container with a web-shaped containing member between container body and lid
JP2020511204A (ja) 飲料を混合して飲むための容器
KR101302419B1 (ko) 음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컵
JP3075175B2 (ja) 液体容器
CN109674318A (zh) 一种翻转开启式水杯及其操作方法
JP2007050178A (ja) クーラー装置
KR20180133300A (ko) 온도가 다른 두 가지 내용물을 담을 수 있고 합칠 수 있는 텀블러
US11912470B2 (en) Beverage system and lid with magnetic spring mechanism
KR200195551Y1 (ko) 음료용기의 구조
US9027748B1 (en) Liquid filling kit
CN109588928A (zh) 定量取水式水壶
CN220832594U (zh) 一种多功能水杯
CN211996730U (zh) 一种具有多腔体的容器
CN212489473U (zh) 一种塑料托盘
CN113302147B (zh) 饮料分配装置
CN202286859U (zh) 具有冲泡饮料装置的保温瓶
JP2017121360A (ja) 液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