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194B1 -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 및 그를 구비하는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 및 그를 구비하는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194B1
KR101929194B1 KR1020180071263A KR20180071263A KR101929194B1 KR 101929194 B1 KR101929194 B1 KR 101929194B1 KR 1020180071263 A KR1020180071263 A KR 1020180071263A KR 20180071263 A KR20180071263 A KR 20180071263A KR 101929194 B1 KR101929194 B1 KR 101929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tank
housing
cov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원
Original Assignee
송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원 filed Critical 송기원
Priority to KR1020180071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10Measuring moisture content, e.g. by measuring change in length of hygroscopic filament; Hygromete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1/00Apparatus which can be set and started to measure-off predetermined or adjustably-fixed time intervals without driving mechanisms, e.g. egg timers
    • G04F1/005Apparatus which can be set and started to measure-off predetermined or adjustably-fixed time intervals without driving mechanisms, e.g. egg timers using electronic timing, e.g. count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 및 그를 구비하는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는, 사료가 내부에 충전되며, 상기 사료가 배출되는 사료 배출부가 하단부 일측에 마련되는 사료 탱크; 상기 사료 탱크를 개폐하는 개폐식 탱크 덮개; 상기 사료 탱크와 상기 개폐식 탱크 덮개 사이에 마련되는 패드; 상기 사료 배출부에 마련되며, 상기 사료 배출부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기; 상기 사료 배출부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사료 배출부를 통해 낙하하는 사료가 저장되는 사료 그릇; 상기 사료 탱크에 결합되며, 상기 사료의 공급모드에서는 개방위치에 배치되어 가축이 상기 사료 그릇 내로 접근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사료의 중단모드에서는 차폐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사료 그릇 내로 이물질 또는 축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성 커버; 및 상기 기능성 커버를 구동시키는 커버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 및 그를 구비하는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Automatic feed supply apparatus and house stable automatic system}
본 발명은,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 및 그를 구비하는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료의 공급 또는 중단 동작에 연동되어 사료 그릇이 개방 또는 차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료 그릇에 이물질이나 가축의 축분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청소와 관리의 횟수를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 및 그를 구비하는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축사는 가축을 사육하는 건축물을 일컫는다. 축사는 가축관리의 능률화와 자연의 기상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축사의 요건은 위치, 방향, 통풍, 채광, 환기, 보온이 양호하고 사료주기, 청소, 위생관리에 적절한 설비가 갖추어져야 한다.
축사의 크기나 구조는 수용하는 가축의 종류나 두수에 따라서 단사(單飼) 방식과 군사(群飼) 방식으로 크게 구별된다.
전자는 번식용의 종축을 수용하는 경우에, 후자는 육성 중인 가축 또는 생산가축(비육돈, 젖 짜는 소 등)을 수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최근에는 다두사육(多頭飼育) 형태의 보급에 따라서 관리노력의 생력화(省力化)를 목적으로 한 루스판식의 축사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축사의 구조상 외기와 사내와의 차단의 정도에 따라서 개방식과 밀폐식으로 구별되며, 기상조건에 따라서 밀폐의 정도는 여러 가지이다.
축사환경에 대하여 여러 각도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축사 내 환경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시도도 있었는데, 이 경우 철저한 밀폐식 축사가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은 축사에는 사료 급이기(사료 공급장치)가 마련된다. 사료 급이기는 상부가 개방된 사료 그릇 안에 단순히 사료를 담아두는 구조에서부터 일정량만큼의 사료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특히, 후자의 경우, 즉 일정량만큼의 사료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사료 급이기가 실질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는 시간별로 사료가 배출되는 양을 조절하는 방식을 갖는다.
그런데, 이처럼 사료가 배출되는 양만을 조절하는 방식을 갖는 종래의 사료 급이기의 경우, 사료의 공급이 중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료가 낙하되어 저장되는 사료 그릇이 계속 개방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사료 그릇에 이물질이나 가축의 축분이 유입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지속적인 청소와 관리가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10873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15457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4-012039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3242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료의 공급 또는 중단 동작에 연동되어 사료 그릇이 개방 또는 차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료 그릇에 이물질이나 가축의 축분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청소와 관리의 횟수를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 및 그를 구비하는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사료가 내부에 충전되며, 상기 사료가 배출되는 사료 배출부가 하단부 일측에 마련되는 사료 탱크; 상기 사료 탱크를 개폐하는 개폐식 탱크 덮개; 상기 사료 탱크와 상기 개폐식 탱크 덮개 사이에 마련되는 패드; 상기 사료 배출부에 마련되며, 상기 사료 배출부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기; 상기 사료 배출부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사료 배출부를 통해 낙하하는 사료가 저장되는 사료 그릇; 상기 사료 탱크에 결합되며, 상기 사료의 공급모드에서는 개방위치에 배치되어 가축이 상기 사료 그릇 내로 접근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사료의 중단모드에서는 차폐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사료 그릇 내로 이물질 또는 축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성 커버; 및 상기 기능성 커버를 구동시키는 커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커버 구동부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 일단부가 상기 감속기의 회전축에 링크 결합되는 메인 캠 링크; 일단부가 상기 메인 캠 링크의 타단부에 링크 결합되는 서브 캠 링크; 상기 사료 탱크의 일측에 마련되는 캠 슬라이딩 가이드; 상기 서브 캠 링크의 타단부가 링크 결합되되 상기 캠 슬라이딩 가이드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모터의 동작 시 상기 캠 슬라이딩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기능성 커버가 상기 차폐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차폐용 캠; 상기 기능성 커버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부; 및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며, 상기 차폐용 캠이 원위치 복귀되도록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구동부는, 상기 메인 캠 링크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캠 링크가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 구동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캠 링크 간격 조절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 탱크 내에 마련되며, 상기 사료 탱크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탱크 습도 감지기; 상기 사료 탱크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지지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에 연결되는 단열패드와,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을 형성하는 쿨링 싱크와,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을 형성하는 히팅 싱크와, 상기 히팅 싱크에 연결되는 쿨링팬을 구비하는 열전 모듈; 상기 열전 모듈에 이웃하게 상기 사료 탱크에 마련되되 일측에 결로수 배출구가 형성되는 결로수 배출통; 세팅(setting)이 가능한 타이머; 상기 탱크 습도 감지기 및 상기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타이머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 구동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탱크 습도 감지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열전 모듈이 자동으로 구동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가축이 사육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하우스 구조로 형성되는 축사 본체부; 상기 축사 본체부의 외측벽을 형성하는 외부 비닐; 상기 외부 비닐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축사 본체부의 내측벽을 형성하되 상기 외부 비닐과의 사이에 이격간격을 형성하는 내부 비닐; 상기 외부 비닐과 상기 내부 비닐 사이의 이격간격에 배치되는 다공성 보온재; 상기 외부 비닐에 결합되며, 상기 외부 비닐의 일부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외부 비닐 자동 개폐기; 상기 내부 비닐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 비닐의 일부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내부 비닐 자동 개폐기; 상기 다공성 보온재에 결합되며, 상기 다공성 보온재의 일부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보온재 자동 개폐기; 상기 축사 본체부의 하부 일측을 이루되 대지 상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깊이의 홈부가 형성되는 제1 콘크리트 축조부; 상기 홈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축이 다니는 복도를 이루는 발판부; 상기 제1 콘크리트 축조부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발판부를 비롯해서 상기 외부 비닐, 상기 내부 비닐, 그리고 상기 다공성 보온재를 지지하는 지지체;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최상단에서 수평되게 형성되는 수평부를 구비하며, 상기 축사 본체부의 바닥을 이루는 축사 바닥부; 상기 축사 바닥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가축이 사육되는 장소를 이루는 가축 사육 펜스; 상기 가축 사육 펜스의 일측에 마련되며, 사육되는 가축으로 사료를 공급하는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 상기 가축 사육 펜스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가축 사육 펜스에서 사육되는 가축에게 식수를 공급하는 식수 공급부; 상기 축사 바닥부의 경사부와 수평부 내에 마련되는 냉난방용 배관; 상기 축사 바닥부와 상기 대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축사 바닥부와 동일한 형태로 가공되어 배치되며, 상기 축사 바닥부보다 얇은 두께를 형성하는 축사 단열부; 상기 축사 바닥부와 상기 축사 단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콘크리트 축조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되 상기 가축이 다니는 복도를 이루는 제2 콘크리트 축조부; 상기 제2 콘크리트 축조부에 형성되되 상기 축사 바닥부의 경사부가 끝나는 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축사 바닥부의 경사부를 따라 흘러내리는 축분을 모아 저장하는 축분 저장부; 일단부는 상기 홈부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축사 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연통; 상기 축사 본체부의 외부에 배치되되 지하수와 연결되며, 축분을 소각하는 기능과, 심야전기나 기름을 이용하는 기능이 혼합된 방식의 보일러; 상기 보일러와 상기 식수 공급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보일러와 상기 냉난방용 배관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 상기 축사 본체부의 정면 또는 측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문; 상기 축사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배기팬; 상기 축사 본체부 내의 상부에 배치되는 분무 유닛; 상기 축사 본체부 내에 마련되며, 상기 축사 본체부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축사 본체부 내에 마련되며, 상기 축사 본체부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와 상기 습도 센서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비닐 자동 개폐기, 상기 내부 비닐 자동 개폐기, 그리고 상기 보온재 자동 개폐기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는, 상기 사료가 내부에 충전되며, 상기 사료가 배출되는 사료 배출부가 하단부 일측에 마련되는 사료 탱크; 상기 사료 탱크를 개폐하는 개폐식 탱크 덮개; 상기 사료 탱크와 상기 개폐식 탱크 덮개 사이에 마련되는 패드; 상기 사료 배출부에 마련되며, 상기 사료 배출부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기; 상기 사료 배출부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사료 배출부를 통해 낙하하는 사료가 저장되는 사료 그릇; 상기 사료 탱크에 결합되며, 상기 사료의 공급모드에서는 개방위치에 배치되어 가축이 상기 사료 그릇 내로 접근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사료의 중단모드에서는 차폐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사료 그릇 내로 이물질 또는 축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성 커버; 및 상기 기능성 커버를 구동시키는 커버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구동부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 일단부가 상기 감속기의 회전축에 링크 결합되는 메인 캠 링크; 일단부가 상기 메인 캠 링크의 타단부에 링크 결합되는 서브 캠 링크; 상기 사료 탱크의 일측에 마련되는 캠 슬라이딩 가이드; 상기 서브 캠 링크의 타단부가 링크 결합되되 상기 캠 슬라이딩 가이드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모터의 동작 시 상기 캠 슬라이딩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기능성 커버가 상기 차폐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차폐용 캠; 상기 기능성 커버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며, 상기 차폐용 캠이 원위치 복귀되도록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메인 캠 링크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캠 링크가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 구동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캠 링크 간격 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는, 상기 사료 탱크 내에 마련되며, 상기 사료 탱크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탱크 습도 감지기; 상기 사료 탱크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지지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에 연결되는 단열패드와,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을 형성하는 쿨링 싱크와,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을 형성하는 히팅 싱크와, 상기 히팅 싱크에 연결되는 쿨링팬을 구비하는 열전 모듈; 상기 열전 모듈에 이웃하게 상기 사료 탱크에 마련되되 일측에 결로수 배출구가 형성되는 결로수 배출통; 세팅(setting)이 가능한 타이머; 및 상기 탱크 습도 감지기 및 상기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타이머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 구동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탱크 습도 감지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열전 모듈이 자동으로 구동되게 컨트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료의 공급 또는 중단 동작에 연동되어 사료 그릇이 개방 또는 차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료 그릇에 이물질이나 가축의 축분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청소와 관리의 횟수를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정면 구조도로서 커버 구동부의 동작을 보인 도면들이다.
도 4는 기능성 커버가 개방위치에 배치된 상태의 커버 구동부의 구조도이다.
도 5는 기능성 커버가 차폐위치에 배치된 상태의 커버 구동부의 구조도이다.
도 6은 열전 모듈의 구조도이다.
도 7은 초기모드에서의 기능성 커버에 대한 배치도이다.
도 8은 사료의 공급모드에 대한 기능성 커버의 배치도이다.
도 9는 사료의 중단모드에 대한 기능성 커버의 배치도이다.
도 10은 도 1의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를 구비하는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정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내부 및 외부 비닐과 다공성 보온재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에 적용되는 커버 구동부의 동작도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정면 구조도로서 커버 구동부의 동작을 보인 도면들, 도 4는 기능성 커버가 개방위치에 배치된 상태의 커버 구동부의 구조도, 도 5는 기능성 커버가 차폐위치에 배치된 상태의 커버 구동부의 구조도, 도 6은 열전 모듈의 구조도, 도 7은 초기모드에서의 기능성 커버에 대한 배치도, 도 8은 사료의 공급모드에 대한 기능성 커버의 배치도, 도 9는 사료의 중단모드에 대한 기능성 커버의 배치도, 그리고 도 10은 도 1의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1)는 사료의 공급 또는 중단 동작에 연동되어 사료 그릇(20)이 개방 또는 차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료 그릇(20)에 이물질이나 가축의 축분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청소와 관리의 횟수를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1)는 도 1 내지 도 10처럼 단독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도 11 내지 도 15처럼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의 한 구성요소로 적용될 수도 있다. 후자에 대해서는 아래의 실시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1)는 사료 탱크(10), 사료 탱크(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사료 그릇(20), 그리고 기능성 커버(25)를 포함할 수 있다.
사료 탱크(10)는 사료가 내부에 충전되는 일종의 통이다. 이러한 사료 탱크(10)의 하단부에는 사료가 배출되는 사료 배출부(11)가 마련된다. 사료 배출부(11)에는 배출구 개폐기(17)가 마련된다. 배출구 개폐기(17)는 사료 배출부(11)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배출구 개폐기(17)는 사료의 공급모드에서 도 7에서 도 8처럼 자동으로 동작되면서 사료를 배출할 수 있다. 배출되는 사료는 낙하되어 사료 탱크(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사료 그릇(20)에 쌓인다.
사료 탱크(10) 내에 사료를 충전할 수 있도록 개폐식 탱크 덮개(13)가 마련된다. 개폐식 탱크 덮개(13)는 사료 탱크(10)의 상단부에서 상기 사료 탱크(10)의 상단부 개구를 개폐한다.
사료 탱크(10)와 개폐식 탱크 덮개(13) 사이에는 패드(14)가 마련된다. 패드(14)는 사료 탱크(10)와 개폐식 탱크 덮개(13) 사이를 밀봉한다. 따라서 사료가 눅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료 그릇(20)은 사료 배출부(11)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며, 사료 배출부(11)를 통해 낙하하는 사료가 저장되는, 즉 쌓이는 장소를 이룬다. 도 7에서 도 8처럼 사료 배출부(11)를 통해 낙하하는 사료는 사료 그릇(20)에 쌓일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가축이 사료를 먹을 수 있다.
한편, 기능성 커버(25)는 사료 탱크(10)에 결합되며, 사료의 공급모드에서는 개방위치(도 8 참조)에 배치되어 가축이 사료 그릇(20) 내로 접근 가능하도록 하고, 사료의 중단모드에서는 차폐위치(도 9 참조)에 배치되어 사료 그릇(20) 내로 이물질 또는 축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종전과 달리 기능성 커버(25)가 적용되고, 이러한 기능성 커버(25)가 사료의 중단모드에서 차폐위치(도 9 참조)에 배치되기 때문에 빈 사료 그릇(20) 내로 이물질 또는 축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종전처럼 사료 그릇(20)에 대하여 지속적인 청소와 관리가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성 커버(25)가 개방위치(도 8 참조)와 차폐위치(도 9 참조) 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기능성 커버(25)를 구동시키는 커버 구동부(30)가 마련된다.
커버 구동부(30)는 모터(31)와, 모터(31)에 연결되며, 모터(3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32)와, 일단부가 감속기(32)의 회전축에 링크 결합되는 메인 캠 링크(33)와, 일단부가 메인 캠 링크(33)의 타단부에 링크 결합되는 서브 캠 링크(34)와, 사료 탱크(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캠 슬라이딩 가이드(35)와, 서브 캠 링크(34)의 타단부가 링크 결합되되 캠 슬라이딩 가이드(35)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모터(31)의 동작 시 캠 슬라이딩 가이드(35)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기능성 커버(25)가 차폐위치(도 9 참조)에 배치되도록 하는 차폐용 캠(36)과, 기능성 커버(25)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부(37)와, 회전축부(37)에 결합되며, 차폐용 캠(36)이 원위치 복귀되도록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3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도 8에서 도 9처럼 모터(31)가 가동되면 감속기(32)를 통해 회전속도가 감속된 후, 메인 캠 링크(33)와 서브 캠 링크(34)를 동작시켜 차폐용 캠(36)이 캠 슬라이딩 가이드(35) 상에서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며, 이러한 동작에 의해 기능성 커버(25)가 차폐위치(도 9 참조)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탄성부재(38)는 압축된 상태를 취한다.
역으로, 모터(31)의 동작이 정지되면 탄성부재(3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차폐용 캠(36)이 캠 슬라이딩 가이드(35) 상에서 상부로 원위치 이동됨으로써 기능성 커버(25)가 개방위치(도 8 참조)에 배치되게끔 한다.
커버 구동부(30)에는 캠 링크 간격 조절구(39)가 더 마련된다. 캠 링크 간격 조절구(39)는 메인 캠 링크(33)의 주변에 배치되며, 메인 캠 링크(33)가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 구동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료 탱크(10) 내에는 사료 탱크(10)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탱크 습도 감지기(41)가 마련된다.
그리고 사료 탱크(10)에는 열전 모듈(50)이 결합된다. 열전 모듈(50)은 사료 탱크(10)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51)과, 고정판(51)에 지지되는 열전소자(52)와, 열전소자(52)에 연결되는 단열패드(53)와, 열전소자(52)의 일측을 형성하는 쿨링 싱크(54)와, 열전소자(52)의 타측을 형성하는 히팅 싱크(55)와, 히팅 싱크(55)에 연결되는 쿨링팬(5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 모듈(50)의 주변에는 사료 탱크(10)에 마련되되 일측에 결로수 배출구(43)가 형성되는 결로수 배출통(42)이 형성된다.
이에, 탱크 습도 감지기(41)가 사료 탱크(10) 내의 습도를 감지하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면 열전 모듈(50)이 작동한다. 이때, 쿨링 싱크(54)는 냉각되며, 쿨링 싱크(54)에 결로현상이 발생. 모아진 습기는 쿨링 싱크(54)의 하부에 설치되는 결로수 배출통(42)에 모일 수 있으며, 이후에 결로수 배출구(43)를 통해 외부로 드레인될 수 있다.
실제 기존의 제품들에는 습도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가 부가되지 않아 여름철 등 온, 습도가 높은 계절에는 사료가 부패하여 가축의 질병과 폐사를 유발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열전 모듈(50)이 적용되는 한편 열전 모듈(50)이 탱크 습도 감지기(41)에 의해 자동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료의 부패 현상을 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1)에는 타이머(44)가 마련된다. 타이머(44)는 세팅(setting)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정해진 시간에 타이머(44)가 작동함으로서 사료의 공급모드가 진행되어 기능성 커버(25)가 개방위치(도 8 참조)에 배치되게 함으로써 가축은 사료를 섭취할 수 있으며,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기능성 커버(25)가 차폐위치(도 9 참조)에 배치됨으로써 가축에 대한 사료의 섭취를 제한하는 한편, 사료 그릇(20)에 이물질이나 가축의 축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타이머(44)의 동작을 위하여 스위치(45)가 마련된다. 스위치(45)는 타이머(44)의 동작 외에도 탱크 습도 감지기(41)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1)에는 컨트롤러(80)가 더 마련된다. 컨트롤러(80)는 타이머(44)의 신호에 기초하여 커버 구동부(3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탱크 습도 감지기(41)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열전 모듈(50)이 자동으로 구동되게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80)는 중앙처리장치(81, CPU), 메모리(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81)는 본 실시예에서 타이머(44)의 신호에 기초하여 커버 구동부(3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탱크 습도 감지기(41)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열전 모듈(50)이 자동으로 구동되게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81)와 연결된다. 메모리(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80)는 타이머(44)의 신호에 기초하여 커버 구동부(3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탱크 습도 감지기(41)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열전 모듈(50)이 자동으로 구동되게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료의 공급 또는 중단 동작에 연동되어 사료 그릇(20)이 개방 또는 차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료 그릇(20)에 이물질이나 가축의 축분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청소와 관리의 횟수를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를 구비하는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정단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내부 및 외부 비닐과 다공성 보온재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 도 14는 도 12의 요부 확대도, 그리고 도 15는 도 11의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1)가 적용된다.
이처럼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1)가 적용될 수 있는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은 종전과 달리 축사 본체부(110)가 비닐하우스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골조의 둘레를 따라 외부 비닐(111)과 내부 비닐(112)이 설치된다. 외부 비닐(111)과 내부 비닐(112)은 축사 본체부(110)의 실질적인 벽체를 이룬다.
외부 비닐(111)은 축사 본체부(110)의 외측벽을 형성하는 비닐이다. 내부 비닐(112)은 외부 비닐(111)의 내측에 배치되어 축사 본체부(110)의 내측벽을 형성하되 외부 비닐(111)과의 사이에 이격간격을 형성하는 비닐이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비닐(111)과 내부 비닐(112) 사이의 이격간격에는 다공성 보온재(113)가 배치된다. 다공성 보온재(113)는 마치 스펀지처럼 구멍이 군데군데 형성된 보온 시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햇빛은 차단하면서도 공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끔 한다.
이와 같은 외부 비닐(111), 내부 비닐(112) 및 다공성 보온재(113)는 모두가 플렉시블한 시트 형상을 가지므로 도 12에서 도 13처럼 그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비닐 자동 개폐기(121), 내부 비닐 자동 개폐기(122), 보온재 자동 개폐기(123)가 마련된다.
외부 비닐 자동 개폐기(121)는 외부 비닐(111)에 결합되며, 외부 비닐(111)의 일부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하고, 내부 비닐 자동 개폐기(122)는 내부 비닐(112)에 결합되며, 내부 비닐(112)의 일부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보온재 자동 개폐기(123)는 다공성 보온재(113)에 결합되며, 다공성 보온재(113)의 일부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 비닐 자동 개폐기(121), 내부 비닐 자동 개폐기(122), 보온재 자동 개폐기(123)에 대해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부 비닐 자동 개폐기(121), 내부 비닐 자동 개폐기(122), 보온재 자동 개폐기(123)는 예컨대, 커튼 등으로 적용되는 롤 블라인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자세한 도시는 생략한다.
그리고 외부 비닐 자동 개폐기(121), 내부 비닐 자동 개폐기(122), 보온재 자동 개폐기(123)는 축사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군데군데 마련되어 해당 영역의 개폐할 수 있다.
축사 본체부(110)의 하부 일측에는 대지 상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깊이의 홈부(133)가 형성되는 제1 콘크리트 축조부(131)가 마련된다. 제1 콘크리트 축조부(131)는 거푸집으로 소정의 형상을 만든 후,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해서 만든 구조물이다.
홈부(133)에는 연통(142)이 배치된다. 연통(142)은 그 일단부가 홈부(133)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축사 본체부(110)의 외측에 배치된다. 연통(142)은 내부 온도 관리에 도움을 준다.
후술할 축사 바닥부(135)와 축사 단열부(140)를 사이에 두고 제1 콘크리트 축조부(131)의 반대편에는 가축이 다니는 복도를 이루는 제2 콘크리트 축조부(132)가 마련된다. 제2 콘크리트 축조부(132) 역시, 거푸집으로 소정의 형상을 만든 후,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해서 만든 구조물이다.
제1 콘크리트 축조부(131)에 형성되는 홈부(133)의 상부에는 가축이 다니는 복도를 이루는 발판부(134)가 마련된다. 발판부(134)는 가축 혹은 사람이 딛는 장소를 이룬다.
그리고 제1 콘크리트 축조부(131)의 상부 일측에는 발판부(134)를 비롯해서 외부 비닐(111), 내부 비닐(112), 그리고 다공성 보온재(113)를 지지하는 지지체(150)가 마련된다. 예컨대, 외부 비닐(111), 내부 비닐(112), 그리고 다공성 보온재(113)는 그 단부에 후크 등이 마련되어 지지체(150)의 고리에 걸릴 수 있다.
축사 본체부(110)의 하부에는 그 바닥을 이루는 축사 바닥부(135)가 마련된다. 이러한 축사 바닥부(135)는 경사부(135a)와, 경사부(135a)의 최상단에서 수평되게 형성되는 수평부(135b)를 포함한다.
축사 바닥부(135)에 경사부(135a)가 형성되기 때문에 축분이 흘러내려 축분 저장부(141)에 용이하게 저장될 수 있다.
축사 바닥부(135)의 상부에는 가축이 사육되는 장소를 이루는 가축 사육 펜스(136)가 마련된다. 그리고 가축 사육 펜스(136)의 일측에는 사육되는 가축으로 사료를 공급하는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1)는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는 장치일 수 있다.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1)에 대한 자세한 구조와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도면과 설명으로 대체하며,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피한다.
가축 사육 펜스(136)의 일측에는 가축 사육 펜스(136)에서 사육되는 가축에게 식수를 공급하는 식수 공급부(138)가 마련된다.
축사 바닥부(135)의 경사부(135a)와 수평부(135b) 내에는 냉난방용 배관(139)이 매입된다.
그리고 축사 바닥부(135)와 대지 사이에는 축사 바닥부(135)와 동일한 형태로 가공되어 배치되는 축사 단열부(140)가 마련된다.
축사 단열부(140)가 축사 바닥부(135)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기 때문에 축사 단열부(140) 역시 일측이 경사진 형태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축사 단열부(140)는 축사 바닥부(135)보다 얇은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콘크리트 축조부(132)에는 축사 바닥부(135)의 경사부(135a)가 끝나는 지점에 형성되며, 축사 바닥부(135)의 경사부(135a)를 따라 흘러내리는 축분을 모아 저장하는 축분 저장부(141)가 마련된다. 축분 저장부(141)에 저장된 축분은 추후에 스크레이퍼 등으로 긁어 폐기될 수 있다.
축사 본체부(110)의 외부에는 보일러(143)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일러(143)는 축분을 소각하는 기능과, 심야전기나 기름을 이용하는 기능이 혼합된 방식의 보일러이다. 이러한 보일러(143)는 지하수와 연결될 수 있다. 보일러(143)가 가동될 때는 지하수가 가열되지만 보일러(143)가 가동되지 않으면 지하수가 보일러(143)를 단순히 경유한다.
이와 같은 보일러(143)와 식수 공급부(138)는 제1 연결부(144)에 의해 연결되며, 보일러(143)와 냉난방용 배관(139)은 제2 연결부(145)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동절기에는 따뜻한 온수를, 하절기에는 시원한 지하수 냉수를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축사 본체부(110)의 정면 또는 측면에는 출입문(146)이 마련된다. 축사 본체부(110)의 규모가 크면 클수록 출입문(146)이 곳곳에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축사 본체부(110)의 상부에는 배기팬(147)이 배치된다. 배기팬(147)은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내부 악취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축사 본체부(110) 내의 상부에는 분무 유닛(148)이 마련된다. 분무 유닛(148)은 화재방지 기능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여름철 가축의 더위를 식히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에는 온도 센서(161), 습도 센서(162) 및 컨트롤러(180)가 더 갖춰진다.
온도 센서(161)는 축사 본체부(110) 내에 마련되며, 축사 본체부(110)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습도 센서(162)는 축사 본체부(110) 내에 마련되며, 축사 본체부(110)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온도 센서(161)와 습도 센서(162)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비닐 자동 개폐기(121), 내부 비닐 자동 개폐기(122), 그리고 보온재 자동 개폐기(123)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한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가 동절기의 낮에는 내부 비닐(112)과 외부 비닐(111)이 차폐되게 하는 한편 다공성 보온재(113)가 개방되어 햇빛이 실내로 충분히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높아지게 컨트롤하고, 밤이나 날씨가 흐린 날에는 다공성 보온재(113)도 함께 차폐되게 하여 외부의 냉기 유입을 차단하는 한편 보일러(143)를 통해 냉난방용 배관(139)으로 온수가 흐르도록 유도해서 축사 바닥부(135)가 가열되게 컨트롤한다.
또한 컨트롤러(180)가 하절기의 낮에는 내부 비닐(112)과 외부 비닐(111)을 개방하되 다공성 보온재(113)는 닫아 통풍은 되게 하면서 햇빛을 막아 내부에 그늘막 효과로 온도가 조절되게 컨트롤하는 한편 냉난방용 배관(139)으로 지하수의 냉수가 흐르도록 유도해서 축사 바닥부(135)가 냉각되게 컨트롤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전술한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1)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사료의 공급 또는 중단 동작에 연동되어 사료 그릇(20)이 개방 또는 차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료 그릇(20)에 이물질이나 가축의 축분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청소와 관리의 횟수를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에 적용되는 커버 구동부의 동작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사료 탱크(10)의 하부 영역을 개폐하는 커버가 슬라이딩 기능성 커버(225)로 적용되며, 이와 같은 슬라이딩 기능성 커버(225)의 슬라이딩 동작을 위하여 커버 구동부(230) 및 이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226)가 갖춰진다.
이에, 솔레노이드(226)가 소정의 오픈(open) 컨트롤 신호를 커버 구동부(230)로 전송하면 커버 구동부(230)가 슬라이딩 기능성 커버(225)를 도 17처럼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서 사료 탱크(10)로부터 사료가 배출되어 사료 그릇(20)에 쌓이도록 한다.
반대로, 솔레노이드(226)가 소정의 클로즈(close) 컨트롤 신호를 커버 구동부(230)로 전송하면 커버 구동부(230)가 슬라이딩 기능성 커버(225)를 도 16처럼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서 사료의 배출이 정지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일부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 10 : 사료 탱크
11 : 사료 배출부 13 : 개폐식 탱크 덮개
14 : 패드 17 : 배출구 개폐기
20 : 사료 그릇 25 : 기능성 커버
30 : 커버 구동부 31 : 모터
32 : 감속기 33 : 메인 캠 링크
34 : 서브 캠 링크 35 : 캠 슬라이딩 가이드
36 : 차폐용 캠 37 : 회전축부
38 : 탄성부재 39 : 캠 링크 간격 조절구
41 : 탱크 습도 감지기 42 : 결로수 배출통
43 : 결로수 배출구 44 : 타이머
45 : 스위치 50 : 열전 모듈
51 : 고정판 52 : 열전소자
53 : 단열패드 54 : 쿨링 싱크
55 : 히팅 싱크 56 : 쿨링팬
80 : 컨트롤러

Claims (6)

  1. 사료가 내부에 충전되며, 상기 사료가 배출되는 사료 배출부가 하단부 일측에 마련되는 사료 탱크;
    상기 사료 탱크를 개폐하는 개폐식 탱크 덮개;
    상기 사료 탱크와 상기 개폐식 탱크 덮개 사이에 마련되는 패드;
    상기 사료 배출부에 마련되며, 상기 사료 배출부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기;
    상기 사료 배출부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사료 배출부를 통해 낙하하는 사료가 저장되는 사료 그릇;
    상기 사료 탱크에 결합되며, 상기 사료의 공급모드에서는 개방위치에 배치되어 가축이 상기 사료 그릇 내로 접근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사료의 중단모드에서는 차폐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사료 그릇 내로 이물질 또는 축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성 커버;
    상기 기능성 커버를 구동시키는 커버 구동부;
    상기 사료 탱크 내에 마련되며, 상기 사료 탱크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탱크 습도 감지기;
    상기 사료 탱크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지지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에 연결되는 단열패드와,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을 형성하는 쿨링 싱크와,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을 형성하는 히팅 싱크와, 상기 히팅 싱크에 연결되는 쿨링팬을 구비하는 열전 모듈;
    상기 열전 모듈에 이웃하게 상기 사료 탱크에 마련되되 일측에 결로수 배출구가 형성되는 결로수 배출통;
    세팅(setting)이 가능한 타이머;
    상기 탱크 습도 감지기 및 상기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타이머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 구동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탱크 습도 감지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열전 모듈이 자동으로 구동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구동부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
    일단부가 상기 감속기의 회전축에 링크 결합되는 메인 캠 링크;
    일단부가 상기 메인 캠 링크의 타단부에 링크 결합되는 서브 캠 링크;
    상기 사료 탱크의 일측에 마련되는 캠 슬라이딩 가이드;
    상기 서브 캠 링크의 타단부가 링크 결합되되 상기 캠 슬라이딩 가이드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모터의 동작 시 상기 캠 슬라이딩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기능성 커버가 상기 차폐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차폐용 캠;
    상기 기능성 커버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부; 및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며, 상기 차폐용 캠이 원위치 복귀되도록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구동부는,
    메인 캠 링크의 주변에 배치되며, 메인 캠 링크가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 구동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캠 링크 간격 조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
  4. 삭제
  5. 가축이 사육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하우스 구조로 형성되는 축사 본체부;
    상기 축사 본체부의 외측벽을 형성하는 외부 비닐;
    상기 외부 비닐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축사 본체부의 내측벽을 형성하되 상기 외부 비닐과의 사이에 이격간격을 형성하는 내부 비닐;
    상기 외부 비닐과 상기 내부 비닐 사이의 이격간격에 배치되는 다공성 보온재;
    상기 외부 비닐에 결합되며, 상기 외부 비닐의 일부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외부 비닐 자동 개폐기;
    상기 내부 비닐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 비닐의 일부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내부 비닐 자동 개폐기;
    상기 다공성 보온재에 결합되며, 상기 다공성 보온재의 일부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보온재 자동 개폐기;
    상기 축사 본체부의 하부 일측을 이루되 대지 상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깊이의 홈부가 형성되는 제1 콘크리트 축조부;
    상기 홈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축이 다니는 복도를 이루는 발판부;
    상기 제1 콘크리트 축조부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발판부를 비롯해서 상기 외부 비닐, 상기 내부 비닐, 그리고 상기 다공성 보온재를 지지하는 지지체;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최상단에서 수평되게 형성되는 수평부를 구비하며, 상기 축사 본체부의 바닥을 이루는 축사 바닥부;
    상기 축사 바닥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가축이 사육되는 장소를 이루는 가축 사육 펜스;
    상기 가축 사육 펜스의 일측에 마련되며, 사육되는 가축으로 사료를 공급하는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
    상기 가축 사육 펜스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가축 사육 펜스에서 사육되는 가축에게 식수를 공급하는 식수 공급부;
    상기 축사 바닥부의 경사부와 수평부 내에 마련되는 냉난방용 배관;
    상기 축사 바닥부와 상기 대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축사 바닥부와 동일한 형태로 가공되어 배치되며, 상기 축사 바닥부보다 얇은 두께를 형성하는 축사 단열부;
    상기 축사 바닥부와 상기 축사 단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콘크리트 축조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되 상기 가축이 다니는 복도를 이루는 제2 콘크리트 축조부;
    상기 제2 콘크리트 축조부에 형성되되 상기 축사 바닥부의 경사부가 끝나는 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축사 바닥부의 경사부를 따라 흘러내리는 축분을 모아 저장하는 축분 저장부;
    일단부는 상기 홈부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축사 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연통;
    상기 축사 본체부의 외부에 배치되되 지하수와 연결되며, 축분을 소각하는 기능과, 심야전기나 기름을 이용하는 기능이 혼합된 방식의 보일러;
    상기 보일러와 상기 식수 공급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보일러와 상기 냉난방용 배관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
    상기 축사 본체부의 정면 또는 측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문;
    상기 축사 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배기팬;
    상기 축사 본체부 내의 상부에 배치되는 분무 유닛;
    상기 축사 본체부 내에 마련되며, 상기 축사 본체부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축사 본체부 내에 마련되며, 상기 축사 본체부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와 상기 습도 센서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비닐 자동 개폐기, 상기 내부 비닐 자동 개폐기, 그리고 상기 보온재 자동 개폐기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는,
    상기 사료가 내부에 충전되며, 상기 사료가 배출되는 사료 배출부가 하단부 일측에 마련되는 사료 탱크;
    상기 사료 탱크를 개폐하는 개폐식 탱크 덮개;
    상기 사료 탱크와 상기 개폐식 탱크 덮개 사이에 마련되는 패드;
    상기 사료 배출부에 마련되며, 상기 사료 배출부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기;
    상기 사료 배출부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사료 배출부를 통해 낙하하는 사료가 저장되는 사료 그릇;
    상기 사료 탱크에 결합되며, 상기 사료의 공급모드에서는 개방위치에 배치되어 가축이 상기 사료 그릇 내로 접근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사료의 중단모드에서는 차폐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사료 그릇 내로 이물질 또는 축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성 커버; 및
    상기 기능성 커버를 구동시키는 커버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구동부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
    일단부가 상기 감속기의 회전축에 링크 결합되는 메인 캠 링크;
    일단부가 상기 메인 캠 링크의 타단부에 링크 결합되는 서브 캠 링크;
    상기 사료 탱크의 일측에 마련되는 캠 슬라이딩 가이드;
    상기 서브 캠 링크의 타단부가 링크 결합되되 상기 캠 슬라이딩 가이드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모터의 동작 시 상기 캠 슬라이딩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기능성 커버가 상기 차폐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차폐용 캠;
    상기 기능성 커버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며, 상기 차폐용 캠이 원위치 복귀되도록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메인 캠 링크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캠 링크가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 구동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캠 링크 간격 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는,
    상기 사료 탱크 내에 마련되며, 상기 사료 탱크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탱크 습도 감지기;
    상기 사료 탱크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지지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에 연결되는 단열패드와,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을 형성하는 쿨링 싱크와,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을 형성하는 히팅 싱크와, 상기 히팅 싱크에 연결되는 쿨링팬을 구비하는 열전 모듈;
    상기 열전 모듈에 이웃하게 상기 사료 탱크에 마련되되 일측에 결로수 배출구가 형성되는 결로수 배출통;
    세팅(setting)이 가능한 타이머; 및
    상기 탱크 습도 감지기 및 상기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타이머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 구동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탱크 습도 감지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열전 모듈이 자동으로 구동되게 컨트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
KR1020180071263A 2018-06-21 2018-06-21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 및 그를 구비하는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 KR101929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263A KR101929194B1 (ko) 2018-06-21 2018-06-21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 및 그를 구비하는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263A KR101929194B1 (ko) 2018-06-21 2018-06-21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 및 그를 구비하는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194B1 true KR101929194B1 (ko) 2019-03-14

Family

ID=6575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263A KR101929194B1 (ko) 2018-06-21 2018-06-21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 및 그를 구비하는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70142A (zh) * 2024-02-26 2024-03-29 四川省畜牧科学研究院 一种基于饲料加工的智能养殖***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540B2 (ja) 1990-10-16 2000-09-11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アミド中空成形品
JP2003505096A (ja) * 1999-07-29 2003-02-12 マースランド エヌ・ヴィ 特に濃厚肥料を与えるための給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540B2 (ja) 1990-10-16 2000-09-11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アミド中空成形品
JP2003505096A (ja) * 1999-07-29 2003-02-12 マースランド エヌ・ヴィ 特に濃厚肥料を与えるための給餌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70142A (zh) * 2024-02-26 2024-03-29 四川省畜牧科学研究院 一种基于饲料加工的智能养殖***
CN117770142B (zh) * 2024-02-26 2024-06-04 四川省畜牧科学研究院 一种基于饲料加工的智能养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5754B2 (ja) 家畜体の環境緩和装置
CN205389864U (zh) 多功能版纳微型猪近交系仔猪猪舍
KR20090033946A (ko) 세정 및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 축사용 자동 냉/온급수장치,자동 배수장치
KR102045666B1 (ko) 자돈 인큐베이터
US11963511B2 (en) Cattle shed
KR101929194B1 (ko) 기능성 사료 자동 급이기 및 그를 구비하는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
KR101922229B1 (ko) 지상식 하우스 축사 자동화 시스템
RU24620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мления животных
CN104082156B (zh) 一种大型连栋式牛舍
Jones et al. Environmental control for confinement livestock housing
CN108812379A (zh) 一种仔猪用自动饲喂装置
KR101730470B1 (ko) 고상식 축사 자동화 시스템
CN205389886U (zh) 带有自动加料装置的版纳微型猪近交系仔猪猪舍
CN209057758U (zh) 一种新型保育舍
CN216142289U (zh) 一种灵长类动物养殖栏舍栏顶调温通风挡雨装置
CN213549070U (zh) 一种便于清洁的多功能鸽子养殖笼
RU174935U1 (ru) Малогабаритный репродукторный свинарник
KR0134395Y1 (ko) 이동식 돈사
CN220274536U (zh) 一种具有保暖功能的仔猪养殖舍
KR20170113860A (ko) 동애등에 돔형 사육설비의 보온장치
CN212813562U (zh) 一种防病效果好的鸡舍保温棚
CN211793582U (zh) 一种一体化保育与育肥猪舍
CN221488654U (zh) 一种仔猪喂养保温箱
CN220023824U (zh) 一种北方地区羔羊保温装置
CN206314403U (zh) 一种新型雏鸡脱温鸡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