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345B1 -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 Google Patents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345B1
KR101928345B1 KR1020180065823A KR20180065823A KR101928345B1 KR 101928345 B1 KR101928345 B1 KR 101928345B1 KR 1020180065823 A KR1020180065823 A KR 1020180065823A KR 20180065823 A KR20180065823 A KR 20180065823A KR 101928345 B1 KR101928345 B1 KR 101928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mensional
decoration
deco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Priority to KR1020180065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05Removing selectively parts of at least the upper layer of a multi-layer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46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bearing graphical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투명부재와, 상기 투명부재의 일면에 부착된 접착부재와, 상기 접착부재의 일면에 색상, 패턴, 금속질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도록 적층된 데코레이션부와, 상기 데코레이션부 일부를 제거하여 투명부재의 후방으로 투명한 로고, 문양, 숫자, 문자 등의 나타나도록 한 입체공간과, 상기 입체공간을 채워 3차원적으로 형성되고 색상, 패턴, 금속질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입체장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Decoration unit having three-dimensional decorative part}
본 발명은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에 관한 것으로, 3차원적으로 형성된 입체장식부를 구비하여 심미감을 갖고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투명부재에 절삭, 식각 등의 가공을 하지 않고 표면이 고른 상태를 유지하면서 입체적인 로고, 글자, 무늬, 패턴 등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 중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고가의 투명부재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투명부재에 절삭, 식각 등의 가공부가 없고 접착부재와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파손시 유리 파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데코레이션 유닛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하면서 통화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기를 의미한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에는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의 시대에 맞추어 여러 가지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들이 구현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AOD(audio on demand)와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통화 당사자들이 상대방의 얼굴을 직접 보며 전화를 하는 화상통화를 하거나, 게임을 다운로드 하여 플레이 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더 이상 음성통화 기기의 영역에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지 않다.
이렇게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기능들이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들은 휴대용 단말기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어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고,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사는 터치 스크린 기능이 구현되는 표시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였다.
그리고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윈도우가 있는 전면 뿐만 아니라 후면에도 회사마크나 로고를 형성하여 회사나 자사 제품의 홍보에 적극 이용하고 있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종래의 커버글라스(10)는 유리기판(20)의 하면에 OCA(30)와 PET필름(40)을 구비하고, PET 필름(40)에 UV패턴(50)과 레이어(60)을 형성하여 심미감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빛의 반사를 이용한 착시 현상으로서, UV패턴(50)과 레이어(60)가 유리기판(20)의 외측에서 들여다 보았을 때 3차원적으로 형성되었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6936호에는 도 2와 같이 유리기판(210)을 비불산계 에칭액으로 에칭하여 패턴부(220)를 형성하고, 인쇄부(230)를 형성하여 고급스러운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 커버글라스(200)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48263호에는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 윈도우 뒷면에 음각가공을 하여 음각된 부분에 바닥면과 경사면을 형성한 후 바닥면과 경사면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하여 로고가 뚜렷한 입체감과 정밀함을 갖도록 한 디스플레이 윈도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3606호에는 도 4와 같이 유리기판(110)에 에칭을 통해 제1패턴(210)과 제2패턴(220)을 식각 형성하고, 제2패턴(220)에 제1색상층(310)을 형성하여 슬림하면서도 임체감 있는 패턴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한 커버글라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7570호에는 도 5와 같이 유리기판(110)에 에칭을 통해 로고부(220)를 함몰 형성한 후 인쇄부(150)와 보완막(230)을 형성하여 로고부(220)가 입체감을 갖도록 한 커버글라스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입체적인 이미지나 로고를 형성하기 위해 에칭을 적용하였으므로 에칭된 면의 투명도가 낮아져 시인성이 좋지 않게 되어 입체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리기판은 에칭에 의해 식각되어 함몰된 상태이므로 두께가 얇아져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므로 내구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칭에 의해 함몰 형성된 부위의 측면은 직선 상태가 아닌 물방울 형태로 라운드지게 되므로 시인성을 보다 떨어뜨리게 되므로 심미감을 갖도록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 중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식각된 유리기판은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제조 원가를 급격하게 증가시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유리기판에는 파손시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어떠한 구조도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소비자의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3차원적으로 형성된 입체장식부를 구비하여 심미감을 갖고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관을 형성하는 투명부재에 절삭, 식각 등의 가공을 하지 않고 표면이 고른 상태를 유지하면서 입체적인 로고, 문양, 패턴, 문자 등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 중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고가의 투명부재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명부재에 절삭, 식각 등의 가공부가 없고 접착부재와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파손시 유리 파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데코레이션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투명부재와, 상기 투명부재의 일면에 부착된 접착부재와, 상기 접착부재의 일면에 색상, 패턴, 금속질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도록 적층된 데코레이션부와, 상기 데코레이션부 일부를 제거하여 투명부재의 후방으로 투명한 로고, 문양, 숫자, 문자 등의 나타나도록 한 입체공간과, 상기 입체공간을 채워 3차원적으로 형성되고 색상, 패턴, 금속질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입체장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체공간은 데코레이션부를 천공되게 제거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체공간은 데코레이션부 및 접착부재를 동시에 천공되게 제거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코레이션부는, 색상, 패턴, 금속질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현하는 데코레이션층과, 상기 데코레이션층과 접착부재 사이에 투시성을 갖도록 배치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데코레이션층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데코형성가능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체장식부는 데코형성가능층의 두께보다 높게 형성되며, 데코레이션층에 대하여 단차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부재는 표면에 요철을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입체장식부와 상이한 위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3차원적으로 형성된 입체장식부를 구비하되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심미감을 가지며, 구매욕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관을 형성하는 투명부재에 절삭, 식각 등의 가공을 하지 않고 표면이 고른 상태를 유지하면서 입체적인 로고, 문자, 숫자, 패턴, 문양 등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 중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고가의 투명부재를 재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불량율을 최소화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투명부재에 절삭, 식각 등의 가공부가 없고 접착부재와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파손시 유리 파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커버글라스의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6936호에 개시된 커버글라스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3 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48263호에 개시된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3606호에 개시된 커버글라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7570호에 개시된 커버글라스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이 채택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이 채택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후면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제1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 종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의 제2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에서 일 구성인 투명부재에 데코형성가능층이 부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종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에서 일 구성인 데코형성가능층에 데코레이션층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부분 종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에서 일 구성인 입체공간의 제1실시예의 형성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에서 일 구성인 입체공간의 제2실시예의 형성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에서 제1실시예의 입체공간에 입체장식부를 형성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에서 제2실시예의 입체공간에 입체장식부를 형성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17 은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에서 일 구성인 데코레이션층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부분확대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이하 '데코레이션 유닛(100)'이라 칭함)의 적용예를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180)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100)이 채택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 외관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이 채택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후면 외관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코레이션 유닛(100)은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10)와 냉장고, 세탁기 등의 대형 가전제품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다양한 색상, 무늬, 패턴, 문양, 금속질감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레이션 유닛(100)은 로고, 문자, 숫자, 그림 등을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입체장식부(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체장식부(180)는 데코레이션 유닛(100)의 외면에서 보았을 때 입체적으로 보이지만, 만졌을때는 돌출 또는 함몰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입체장식부(180)는 평면 부위와 라운드진 부위 및 경사진 부위에도 형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데코레이션 유닛(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180)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100)의 제1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180)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100)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의 라운드진 모서리부위에는 입체장식부(180)가 구비된다. 상기 입체장식부(180)는 외관을 형성하는 투명부재(120)의 내측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투명부재(120)는 투명한 소재로 제조되어 내측을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라면 다양한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투명부재(120)는 외측면 및 내측면에 요철을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제조 공정중에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부위를 제거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투명부재(120)와 입체장식부(180)는 서로 위상이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입체장식부(180)는 투명부재(120)의 하면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투명부재(120)의 하면에는 접착부재(130)가 구비된다. 상기 접착부재(130)는 양면에 이물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필름이 구비되어 있다가 제거된 후 투명부재(120) 하면에 부착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OCA(Optical Clear Adhesive) 를 적용하였다.
상기 접착부재(130)의 하측에는 데코레이션부(140)가 형성된다. 데코레이션부(140)는 접착부재(130)의 하면에 색상, 패턴, 금속질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도록 적층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데코레이션부(140)를 도 9를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데코레이션부(140)는 색상, 패턴, 금속질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현하는 데코레이션층(142)과, 상기 데코레이션층(142)과 접착부재(130) 사이에 투명하게 배치되고 소정의 두게를 가지며, 상기 데코레이션층(142)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데코형성가능층(1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코레이션층(142)은 글자, 문자, 패턴, 금속질감,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투명부재(120)와 접착부재(130) 및 데코형성가능층(144)을 투시하여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데코레이션층(142)은 굴곡을 갖도록 형성된 패턴층과, 상기 패턴층의 외면에 굴곡을 차폐하도록 형성되어 굴곡의 시인성을 높이는 증착층과, 상기 증착층의 외면에 색상, 무늬,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인쇄된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레이션층(142)은 패턴층과 증착층이 형성되지 않고 인쇄층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인쇄층은 다수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형성가능층(144)은 접착부재(130)에 데코레이션층(142)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서, 접착부재(130)의 접착 기능을 현저히 낮추거나 상실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착부재(130)의 하면에 데코형성가능층(144)을 형성하여 접착부재(130)의 접착력을 상실케함으로써 데코레이션층(142)을 형성시에 접착능력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데코형성가능층(144)은 UV 경화형 소재, 열경화형 소재, PET, PC, PMMA, TPU 중에 어느 하나의 소재가 채택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착부재(130)와 데코레이션부(140)를 관통해서는 입체장식부(180)가 구비된다. 상기 입체장식부(180)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으로서, 투명부재(120)의 곡면부에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투명부재(120)의 하측에는 입체공간(150)이 형성된다. 상기 입체공간(150)은 데코레이션층(142)과 데코형성가능층(144) 및 접착부재(130)를 동시에 천공하되, 천공된 형상이 글자, 문자, 숫자, 문양, 로고 등을 나타내도록 구성된 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입체공간(150)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입체공간(150)은 접착부재(130)와 데코레이션부(140)가 합지된 상태로 레이저가공, CNC가공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고, 접착부재(130)와 부착되지 않은 데코레이션부(140)를 별도의 금형을 이용하여, 글자, 로고 등의 형태로 천공하여 입체공간(15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체공간(150)이 형성된 데코레이션부(140)는 접착부재(130)와 합지된 후 투명부재(12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상기 접착부재(130)의 상면에는 보호비닐이 부착된 상태여야 하며, 보호비닐을 제거한 상태에서 투명부재(120)의 하면에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체공간(150)에 패턴, 인쇄, 증착 등을 실시하여 패턴을 가진 금속 질감의 로고를 표현할 수도 있고, 색상을 부여한 인쇄를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체장식부(180)는 증착, 인쇄, 패턴 등이 적용될 수 있고, 금박, 은박 등을 핫스탬핑 또는 콜드스탬핑 방식으로 적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공정에서 박막 형태로 형성된 후 진공합지공정 등의 별도 부착 공정을 통해 입체공간(150)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체장식부(180)는 도 10과 같이 접착부재(130)를 제외한 데코레이션부(140)만 로고형태, 글자 형태로 천공하여 입체공간(150)을 만든 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데코레이션 유닛(100)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180)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100)에서 일 구성인 투명부재(120)에 데코형성가능층(144)이 부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180)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100)에서 일 구성인 데코형성가능층(144)에 데코레이션층(142)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부분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180)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100)에서 일 구성인 입체공간(150)의 제1실시예의 형성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180)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100)에서 일 구성인 입체공간(150)의 제2실시예의 형성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입체장식부(180)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100)에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입체공간(150)에 입체장식부(180)를 형성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우선 도 11과 같이 상기 투명부재(120)의 하측에는 접착부재(130)에 의해 부착된 데코형성가능층(144)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데코형성가능층(144)의 하면에는 도 12와 같이 데코레이션층(142)의 형성이 가능하다.
상기 데코레이션층(142)은 단일층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한 것일 뿐, 증착, 패턴, 인쇄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하다.
이후 로고 등이 형성될 부위에 상기 데코레이션층(142)과 접착부재(130)를 관통하는 입체공간(150)을 도 13과 같이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체공간(150)은 도 14와과 같이 접착부재(130)를 제외하고 데코레이션층(142)에만 천공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체공간(150)에 입체장식부(180)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입체장식부(180)는 도 15 및 도 16과 같이 단차진 형태를 가지게 되며, 상기 입체장식부(180)의 높이는 데코형성가능층(144)의 두께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고, 투명부재(120)의 외측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입체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체장식부(180)는 휴대용 전자기기(10)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고 외형만 형성하는 세탁기, 냉장고 등의 외부케이스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코레이션층(142)은 도 10과 같이 3개의 층으로 구성하고, 데코형성가능층(144)은 투명하게 적용하였으나, 도 17과 같이 데코형성가능층(144) 자체에 색상을 부여하고, 데코레이션층(142)의 층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데코형성가능층(144) 자체가 푸른빛을 띄도록 하되 투시성을 가지고, 데코레이션층(142)은 은색증착층과 인쇄층을 포함하도록 하여 외부에서 보았을 때 반짝이는 푸른색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상기 데코형성가능층(144) 자체가 색상 및 투시성을 갖도록 한 것은 일반적으로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증착 공정시 발생하는 균일성 저하(색상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진하거나 옅게 형성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함이다.
10. 휴대용 전자기기 100. 데코레이션 유닛
120. 투명부재 130. 접착부재
140. 데코레이션부 142. 데코레이션층
144. 데코형성가능층 150. 입체공간
180. 입체장식부

Claims (6)

  1. 외관을 형성하는 투명부재와,
    상기 투명부재의 일면에 부착된 접착부재와,
    상기 접착부재의 일면에 색상, 패턴, 금속질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도록 적층된 데코레이션부와,
    상기 데코레이션부 일부를 제거하여 투명부재의 후방으로 투명한 로고, 문양, 숫자, 문자 등의 나타나도록 한 입체공간과,
    상기 입체공간 내부에 색상, 패턴, 금속질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도록 3차원적으로 채워진 입체장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공간은 데코레이션부를 천공되게 제거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공간은 데코레이션부 및 접착부재를 동시에 천공되게 제거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레이션부는,
    색상, 패턴, 금속질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현하는 데코레이션층과,
    상기 데코레이션층과 접착부재 사이에 투시성을 갖도록 배치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데코레이션층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데코형성가능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장식부는 데코형성가능층의 두께보다 높게 형성되며, 데코레이션층에 대하여 단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는 표면에 요철을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입체장식부와 상이한 위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KR1020180065823A 2018-06-08 2018-06-08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KR101928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823A KR101928345B1 (ko) 2018-06-08 2018-06-08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823A KR101928345B1 (ko) 2018-06-08 2018-06-08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345B1 true KR101928345B1 (ko) 2018-12-12

Family

ID=6467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823A KR101928345B1 (ko) 2018-06-08 2018-06-08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3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2178A (zh) * 2019-01-31 2019-06-21 维沃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盖板制作的方法及盖板、移动终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0689A (ja) 1999-05-24 2000-11-30 Polymatech Co Ltd キー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30215A (ja) 2008-07-30 2010-02-12 Toyoda Gosei Co Ltd 装飾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01427B1 (ko) * 2014-11-20 2015-03-12 주식회사 에스에스뉴테크 모바일기기의 커버 윈도우 및 이의 제조 방법
JP5957799B2 (ja) 2011-03-25 2016-07-27 凸版印刷株式会社 光学物品、光学物品を備えた転写箔、転写箔を備えた印刷物、印刷物の製造方法
KR101652875B1 (ko) 2016-05-31 2016-09-02 주식회사 씨아이씨티 전자기기용 장식부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0689A (ja) 1999-05-24 2000-11-30 Polymatech Co Ltd キー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30215A (ja) 2008-07-30 2010-02-12 Toyoda Gosei Co Ltd 装飾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57799B2 (ja) 2011-03-25 2016-07-27 凸版印刷株式会社 光学物品、光学物品を備えた転写箔、転写箔を備えた印刷物、印刷物の製造方法
KR101501427B1 (ko) * 2014-11-20 2015-03-12 주식회사 에스에스뉴테크 모바일기기의 커버 윈도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52875B1 (ko) 2016-05-31 2016-09-02 주식회사 씨아이씨티 전자기기용 장식부재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2178A (zh) * 2019-01-31 2019-06-21 维沃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盖板制作的方法及盖板、移动终端
CN109922178B (zh) * 2019-01-31 2021-02-02 维沃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盖板制作的方法及盖板、移动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424B1 (ko) 접착부재 및 이를 구비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
JP2008102512A (ja) 保護パネル付き電子機器、保護パネル
KR101714309B1 (ko) 외장재
US20030184894A1 (en) Transparent panel for a display device and mobile radio device provided with such a panel
JP2002156912A (ja) 電子機器表示窓の保護パネル
KR101928345B1 (ko)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JP2009208377A (ja) 加飾シート、加飾成形体及び加飾シートの製造方法
JP6603913B2 (ja) 覗き見防止シート
KR20040052730A (ko) 키버튼 제조방법
JP4693550B2 (ja) 印刷シート及び印刷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3221985A (ja) ディスプレイ用カバー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030266A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成形体
JP5569801B2 (ja) 加飾合成樹脂成形品
KR101687206B1 (ko) 커버글라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버글라스
KR20180081915A (ko) 투시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326264A (ja) 金属調加飾成形体
KR200456840Y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
US7641839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 three dimensional emblem
CN221010475U (zh) 一种壳体及电子设备
JP2010131919A (ja) 模様付き椅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で製造された模様付き椅子
KR100502845B1 (ko) 키패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키패드
KR100712664B1 (ko) 요철형상이 일체로 형성된 정보통신기기용 윈도우패널 및그 패널 제조방법
JP2007030238A (ja) 金属調多層成形体および金属調多層成形体の製造方法
CN205015859U (zh) 玻璃盖板
JP6486163B2 (ja) 加飾積層構造体、筐体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