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250B1 - 조립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조립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250B1
KR101927250B1 KR1020180061759A KR20180061759A KR101927250B1 KR 101927250 B1 KR101927250 B1 KR 101927250B1 KR 1020180061759 A KR1020180061759 A KR 1020180061759A KR 20180061759 A KR20180061759 A KR 20180061759A KR 101927250 B1 KR101927250 B1 KR 101927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ngaging
engagement
ho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귀
Original Assignee
박진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귀 filed Critical 박진귀
Priority to KR1020180061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6Underframes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조립식 테이블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다수 개의 기둥과, 제1 상면과, 제1 상면의 가장자리에서 수직 하향 돌출된 제1 측면과, 제1 측면에서 내측으로 수직 돌출된 제1 결합면을 구비하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상면과, 제2 상면의 가장자리에서 수직 하향 돌출된 제2 측면과, 제2 측면에서 내측으로 수직 돌출된 제2 결합면과, 제2 상면에 형성되고 기둥이 삽입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와, 기둥에 삽입되어 일정한 높이에 각각 위치하고, 제1 플레이트이 높이를 결정하는 다수 개의 제1 결합부재와, 제2 플레이트의 높이를 결정하는 다수 개의 제2 결합부재와,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결합홀과, 결합홀에서 상호 수직으로 돌출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구비하고,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각각 제1 상면 및 제2 상면의 하면과 접하는 결합상면과, 결합상면에서 수직으로 하향 돌출되는 수직면과, 수직면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수직 돌출되는 결합하면을 구비하고, 결합하면은 제1 결합면 및 제2 결합면과 체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기둥 및 브라켓은 금속에 의해서 제작되며, 제1 플레이트는 제2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고, 기둥은 제2 플레이트의 관통공을 관통한 후 제1 플레이트의 제1 상면의 하부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테이블{SECTIONAL TABLE}
본 발명은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식당이나 주방에서 사용하는 테이블은 조리대 또는 세정대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는 테이블 구조를 갖는다. 테이블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판 및 하판을 구비하고, 상판이 편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주방에서 사용되는 테이블은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에 의해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테이블은 금속으로 제작되는 경우, 필요한 부품을 가공하기 위해서 금속을 절단 후 절곡하고, 이들을 용접한 후 연마하여 금속 부품을 제작하며, 제작된 금속 부품을 조립한 후 다시 연마하는 공정을 거친다. 따라서 종래의 테이블은 절단, 절곡, 용접, 연마, 조립, 연마 및 검사의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제작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서 제작된 종래의 테이블은 높이가 85~90cm로서 부피가 크기 때문에 운송 및 보관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0015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한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다수 개의 기둥과, 제1 상면과, 제1 상면의 가장자리에서 수직 하향 돌출된 제1 측면과, 제1 측면에서 내측으로 수직 돌출된 제1 결합면을 구비하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상면과, 제2 상면의 가장자리에서 수직 하향 돌출된 제2 측면과, 제2 측면에서 내측으로 수직 돌출된 제2 결합면과, 제2 상면에 형성되고 기둥이 삽입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와, 기둥에 삽입되어 일정한 높이에 각각 위치하고, 제1 플레이트이 높이를 결정하는 다수 개의 제1 결합부재와, 제2 플레이트의 높이를 결정하는 다수 개의 제2 결합부재와,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결합홀과, 결합홀에서 상호 수직으로 돌출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구비하고,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각각 제1 상면 및 제2 상면의 하면과 접하는 결합상면과, 결합상면에서 수직으로 하향 돌출되는 수직면과, 수직면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수직 돌출되는 결합하면을 구비하고, 결합하면은 제1 결합면 및 제2 결합면과 체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기둥은 금속에 의해서 제작되며, 제1 플레이트는 제2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고, 기둥은 제2 플레이트의 관통공을 관통한 후 제1 플레이트의 제1 상면의 하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결합면 및 제2 결합면의 단부는 수직면과 접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는 그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의해서 기둥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는 원뿔대 형상의 경사외면을 구비하고, 브라켓의 결합홀은 경사외면에 대응하는 경사내면을 구비할 수 있다.
브라켓의 관통공의 내면과 제1 결합부재의 외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브라켓의 관통공의 내면과 제1 결합부재의 외면 중 다른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 및 결합홈은 제1 측면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플레이트에 대해서 좌우 또는 상하 대칭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작이 용이한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한 플레이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브라켓을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브라켓을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결합부재의 분해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결합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서 제1 플레이트와 결합부재 및 브라켓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서 제2 플레이트와 결합부재 및 브라켓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에서 제1 플레이트와 결합부재 및 브라켓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예시된 조립식 테이블에서 제1 플레이트가 상향 이동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100)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100)은 상부에 위치한 제1 플레이트(120)와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플레이트(130)와, 상기 제1 플레이트(120) 및 제2 플레이트(130)를 지지하는 기둥(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플레이트(120) 및 제2 플레이트(130)는 브라켓(도시하지 않음)과 결합부재(160)에 의해서 기둥(110)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결합한다.
도 1에서 제1 플레이트(120) 및 제2 플레이트(130)는 직사각 형상이고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의 크기 및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은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가 타원형, 원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기둥(110)은 제2 플레이트(130)를 관통해서 그 상부에 위치하는 제1 플레이트(120)에 결합하고, 제1 플레이트(120)의 상면으로는 돌출되지 않는다.
도 2는 제1 플레이트(120)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 1플레이트(120)는 제1 상면(122)과, 좌우 대칭되는 제1 측면(124)과, 좌우 대칭되는 제1 결합면(126)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120)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상면(122)은 조립식 테이블(100)의 작업 공간에 해당하는 면으로, 편평하게 형성되고 기둥(110)이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제1 측면(124)은 제1 상면(122)의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하향 돌출된 면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1 측면(124)은 제1 플레이트(120)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1 플레이트(120)는 네 개의 둘레면에 해당하는 제1 측면(124)을 구비한다.
제1 결합면(126)은 제1 측면(124)의 단부에서 내측으로(즉, 중심선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돌출된 면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1 결합면(126)은 제1 측면(124)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제1 결합면(126)에는 다수 개의 체결홀(128)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홀(128)에는 브라켓(140)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도시하지 않음) 등이 결합한다. 그리고 제1 결합면(126)의 상면은 브라켓(140)의 결합하면(150)과 면접한다.
도 3 및 도 4는 브라켓(140)을 예시하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브라켓(140)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브라켓(140)은 ㄱ자 형상을 갖고 중앙에 결합부재(160)가 삽입되는 결합홀(154)을 구비한다. 브라켓(140)은 제1 플레이트(120) 및 제2 플레이트(130)가 기둥(110)에 대해 일정한 높이를 갖게 한다.
브라켓(140)의 결합홀(154)을 중심으로 제1 결합부(142) 및 제2 결합부(144)가 상호 수직으로 돌출된다. 제1 결합부(142) 및 제2 결합부(144)는 동일한 크기 및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2 결합부(144)에 대한 설명을 제1 결합부(142)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제1 결합부(142)는 결합상면(146)을 구비한다. 결합상면(146)은 제1 상면(122)의 하면과 제2 상면(132)의 하면에 각각 접하는 면에 해당한다. 결합상면(146)에는 다수 개의 체결홀(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에는 제2 상면(132)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도시하지 않음) 등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42)는 결합하면(150)을 구비한다. 결합하면(150)은 수직면(148)에 의해서 결합상면(146)과 연결된다. 결합하면(150)은 수직면(148)에서 외향 돌출된 면에 해당한다. 결합하면(150)에는 다수 개의 체결홀(152)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홀(152)에는 제1 결합면(126) 및 제2 결합면(136)의 체결홀(128, 138)에 각각 결합하기 위한 나사(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될 수 있다.
결합홀(154)은 수직면(148)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고, 그 내부에는 결합부재(160)가 삽입된다. 결합홀(154)의 내부에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 경사내면(156)이 형성되어 있다. 즉, 경사내면(156)은 상단부의 직경이 하단부의 직경에 비해 다소 작게 형성된다. 결합홀(154)은 두 개의 결합상면(146) 사이에서 결합하면(150)에 비해서 내측에 위치한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결합부재(160)의 분해된 상태 및 결합된 상태를 각각 예시하는 도면이다.
결합부재(160)는 기둥(110)에 삽입 및 위치 설정되고, 그 둘레에는 브라켓(140)이 삽입되어 위치 설정된다. 이와 같이 결합부재(160)는 브라켓(140)을 기둥(110)에 대해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삽입하는 것으로, 원뿔대 형상을 가져서 브라켓(140)이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한다.
결합부재(160)는 중공(中空)의 관 형상을 갖는 것으로 외경은 원뿔대 형상을 갖고 그 상면 및 하면은 개방되어 있다. 결합부재(160)는 제1 결합부재(162) 및 제2 결합부재(164)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제1 결합부재(162) 및 제2 결합부재(164)는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결합부재(160)를 형성한다.
제1 결합부재(162) 및 제2 결합부재(164)는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호 결합하여 원뿔대 형상을 갖는 결합부재(160)를 형성한다.
제1 결합부재(162)는 중공의 원뿔대를 길이 방향으로 자른 한 부분에 해당한다. 제1 결합부재(162)는 반원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그 단부에는 결합돌기(166) 및 결합홈(16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결합부재에 형성된 결합돌기(166)는 다른 결합부재에 형성된 결합홈(168)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결합돌기(166) 및 결합홈(168)의 결합에 의해서, 제1 결합부재(162) 및 제2 결합부재(164)가 상호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제2 결합부재(164)는 그 내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170)를 구비한다. 고정돌기(170)는 기둥(110)에 형성된 홀(도면부호 없음)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결합부재(160)가 기둥(110)에 일정한 높이를 갖고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160)는 제1 결합부재(162) 및 제2 결합부재(164)와 같이 두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기둥(110)의 둘레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재(162)를 기둥(110)의 원하는 위치에 밀착한 후 제2 결합부재(164)를 제1 결합부재(162)에 결합하면 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결합부재(160)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상단부 직경이 하단부 직경에 비해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160)의 상단부 직경 및 하단부 직경은, 브라켓(140)에 형성된 결합홀(154)의 상단부 내경 및 하단부 내경과 동일하거나 오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홀(154)에는 결합부재(160)가 억지끼워맞춤에 의해서 삽입될 수 있고, 결합부재(160)는 하부 외경이 상부 외경에 의해 크기 때문에, 브라켓(140)은 결합부재(160)에 걸려서 아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물론, 결합부재(160)는 브라켓(140)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해서 삽입되기 때문에, 브라켓(140)은 결합부재(160)의 상부 방향으로도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결합부재(160)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결합부재(160)의 재질 및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결합부재(160)는 두 개의 부분(162, 164)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결합부재(160)는 기둥(110)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부터 삽입되어 원하는 높이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제2 플레이트(130)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2 플레이트(130)는 제1 플레이트(120)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다만, 기둥(110)이 삽입되어서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133)을 구비하는 점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제2 플레이트(130)는 제2 상면(132), 제2 측면(134) 및 제2 결합면(136)을 구비하는데, 이는 제1 플레이트(120)의 제1 상면(122), 제1 측면(124) 및 제1 결합면(126)과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2 상면(132)은 결합홀(154)과 연통하는 관통공(133)이 제2 플레이트(130)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에 위치한다.
도 8은 도 1의 도 1에서 제1 플레이트(120)와 결합부재(160) 및 브라켓(140)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 플레이트(120)에는 브라켓(140)이 결합된다. 즉, 브라켓(140)의 결합하면(150)의 상면은 제1 플레이트(120)의 결합면(126)의 하면과 면접촉하고, 각각의 체결홀(128, 152)에 삽입된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상호 결합한다. 그리고 결합면(126)의 단부는 수직면(148)과 접하는데, 이로 인해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브라켓(140)과 제1 플레이트(120)의 결합 부분에서 유격이 발생하지 않는다.
브라켓(140)의 결합하면(150)은 외부로 노출되고, 체결부재(151)도 제1 플레이트(120)의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100)은 조립 및 분해가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결합면(126)의 단부는 수직면(148)과 접하고 있어서 강도를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갖는다. 브라켓(140)의 결합상면(146)은 제1 상면(122)의 하면과 접하지만, 나사 등에 의해서 체결되지 않는다.
브라켓(140)의 결합홀(154)에는 결합부재(160)가 삽입된다. 그리고 결합부재(160)는 기둥(110)에 대해서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160)의 상단부 및 기둥(110)의 상단부는 제1 상면(122)의 하면과 접하고, 기둥(110)의 상단부는 제1 상면(122)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도 9는 도 1에서 제2 플레이트(130)와 결합부재(160) 및 브라켓(140)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제2 플레이트(130)에도 브라켓(140)이 결합되고, 브라켓(140)의 결합홀(154)에는 기둥(110)이 삽입된다. 그리고 제2 상면(132)에는 관통공(133)이 형성되어 있는데, 관통공(133)을 통해서 기둥(110)이 제2 플레이트(130)를 관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200)에서 제1 플레이트(120)와 결합부재(260) 및 브라켓(240)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2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100)과 구성이 동일하고 다만, 결합부재(260)와 브라켓(240)의 접촉면이 경사 구조가 아니라 직선이고 걸림홈(258) 및 걸림돌기(274)가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걸림홈(258) 및 걸림돌기(274)는 다수 개가 형성되어서 결합부재(160)에 대한 브라켓(140)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걸림홈(258)이 브라켓(240)의 결합홀(254)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경우, 걸림돌기(274)는 결합부재(26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걸림홈(258)과 걸림돌기(274)는 그 형성 위치가 반대로 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홈(258) 및 걸림돌기(274)가 형성되는 위치는 제1 플레이트(120)의 제 1 측면(124)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홈(258) 및 걸림돌기(274)가 제1 플레이트(120)의 내측이 아닌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은, 걸림홈(258) 및 걸림돌기(274)를 좌우 대칭으로 형성해서 제1 플레이트(120)의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걸림홈(258) 및 걸림돌기(274)는 제1 플레이트(120)의 좌우 대칭 또는 상하 대칭 중 어느 한 쌍으로만 형성된다. 이는, 걸림홈(258) 및 걸림돌기(274)가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 모두 형성되는 경우, 제1 플레이트(120)의 높이 조절이 어렵기 때문이다.
도 11은 도 10에 예시된 조립식 테이블(200)에서 제1 플레이트(120)가 상향 이동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걸림홈(258) 및 걸림돌기(274)는 제1 플레이트(120)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만 형성되고 상하 대칭으로는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한 쌍의 걸림홈(258) 및 걸림돌기(274)는 제1 플레이트(120)에서 제1 측면(124)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120)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제1 플레이트(120
)의 좌측 및 우측을 동시에 들어 올릴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0)의 좌측 및 우측을 동시에 들어 올리면, 좌우측의 걸림홈(258)에서 걸림돌기(274)가 이탈하면서 상부에 위치하는 결합홈(258)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제1 플레이트(120)는 도 11과 같이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높이가 상승한다.
이와 같이, 걸림홈(258) 및 걸림돌기(274)를 다수 개 형성함으로써, 제1 플레이트(120)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는 거리를 확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조립식 테이블(200)에서 제1 플레이트(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100, 200)은 용접에 의해서 제작되지 않고 브라켓(140) 및 결합부재(160)를 이용해서 조립식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서 작업 공정을 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100, 200)은 금속의 절단 및 절곡, 조립 및 검사 공정을 수행하는데, 이는 종래의 절단 및 절곡, 용접, 연마, 조립, 연마 및 검사에 비해서 공정수가 대폭 감소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100, 200)은 설치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완제품을 이송하는 경우에 비해서 부피를 줄여서 운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100, 200)은 제1 플레이트(120)가 편평한 상면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제1 플레이트(120)의 중앙이 함몰되어서 세정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조립식 테이블
110: 기둥 120: 제1 플레이트
130: 제2 플레이트 140: 브라켓
160: 결합부재

Claims (6)

  1. 일정한 길이를 갖는 다수 개의 기둥;
    제1 상면과, 상기 제1 상면의 가장자리에서 수직 하향 돌출된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에서 내측으로 수직 돌출된 제1 결합면을 구비하는 제1 플레이트;
    제2 상면과, 상기 제2 상면의 가장자리에서 수직 하향 돌출된 제2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에서 내측으로 수직 돌출된 제2 결합면과, 상기 제2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둥이 삽입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기둥에 삽입되어 일정한 높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높이를 결정하는 다수 개의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높이를 결정하는 다수 개의 제2 결합부재; 및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에서 상호 수직으로 돌출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각각 상기 제1 상면 및 제2 상면의 하면과 접하는 결합상면과, 상기 결합상면에서 수직으로 하향 돌출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수직 돌출되는 결합하면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하면은 상기 제1 결합면 및 제2 결합면과 체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기둥은 금속에 의해서 제작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기둥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후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상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홀은 두 개의 상기 결합상면 사이에서 상기 결합하면에 비해서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상면은 상기 결합홀과 연통하는 관통공이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결합면 및 제2 결합면의 단부는 상기 수직면과 접하고,
    상기 브라켓의 상기 결합홀의 내면과 상기 제1 결합부재의 외면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상기 결합홀의 내면과 상기 제1 결합부재의 외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 및 걸림돌기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내측이 아닌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브라켓의 접촉면은 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 및 걸림홈은 각각 다수 개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에 대한 상기 브라켓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조립식 테이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는 고정돌기에 의해서 상기 기둥에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는 원뿔대 형상의 경사외면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의 상기 결합홀은 상기 경사외면에 대응하는 경사내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5. 삭제
  6. 삭제
KR1020180061759A 2018-05-30 2018-05-30 조립식 테이블 KR101927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759A KR101927250B1 (ko) 2018-05-30 2018-05-30 조립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759A KR101927250B1 (ko) 2018-05-30 2018-05-30 조립식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250B1 true KR101927250B1 (ko) 2018-12-10

Family

ID=6467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759A KR101927250B1 (ko) 2018-05-30 2018-05-30 조립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2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850A (ko) * 2021-02-24 2022-08-31 이재오 소형 주거공간을 위한 조립식 가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236A (ja) * 1998-07-21 2000-02-08 Uirutekku Kk 自在棚及び自在棚運搬用キャスタ
JP2011229821A (ja) * 2010-04-30 2011-11-17 Kawajun Co Ltd カップリング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組立棚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236A (ja) * 1998-07-21 2000-02-08 Uirutekku Kk 自在棚及び自在棚運搬用キャスタ
JP2011229821A (ja) * 2010-04-30 2011-11-17 Kawajun Co Ltd カップリング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組立棚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850A (ko) * 2021-02-24 2022-08-31 이재오 소형 주거공간을 위한 조립식 가구
KR102458698B1 (ko) 2021-02-24 2022-10-24 이재오 소형 주거공간을 위한 조립식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9236B1 (ko) 조립이 간편하고 견고한 가구용 프레임
KR101927250B1 (ko) 조립식 테이블
US3480155A (en) Steel shelving
US4496125A (en) Support leg assembly
KR20160133080A (ko)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KR101766113B1 (ko) 조립식 선반
JP2007255431A (ja) テーブル等における天板の支持脚
KR200486529Y1 (ko)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
JP5971760B2 (ja) 支柱継手構造体及びこれを用いた平台
EP3724519B1 (en) A connecting element, a mechanical joint and use of two connecting elements in a mechanical joint
KR101677423B1 (ko) 빔 연결 고정 장치
KR102003181B1 (ko)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KR200147655Y1 (ko) 탁자 받침구
KR101785905B1 (ko) 프레임 결합 구조
KR101848778B1 (ko) 폐단면 곡면용 뒷댐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강관 기둥의 접합 방법
KR20210104347A (ko) 테이블 코너용 브라켓
KR101943513B1 (ko) 결합 강도 개선형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
KR101527508B1 (ko) 휀스
KR200329322Y1 (ko) 테이블 지지용 받침다리의 결합구조
KR100805214B1 (ko) 테이블 다리조립체
KR101396827B1 (ko) 책걸상용 레그 및 그 제조방법
JPH04136515A (ja) 結合構造およびパネル状材の結合構造
KR200481868Y1 (ko) 싱크대 고정용 빌트인 가스레인지 브라켓
KR101757122B1 (ko) 강도가 보강된 금속재 사각파이프 및 그 성형방법
KR101605370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