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722B1 - 엔진오일 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오일 배출 방법 - Google Patents

엔진오일 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오일 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722B1
KR101925722B1 KR1020170102322A KR20170102322A KR101925722B1 KR 101925722 B1 KR101925722 B1 KR 101925722B1 KR 1020170102322 A KR1020170102322 A KR 1020170102322A KR 20170102322 A KR20170102322 A KR 20170102322A KR 101925722 B1 KR101925722 B1 KR 101925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oil
oil
internal space
oil pa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2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5Removing lubricant by s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오일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이상으로 유지시키며, 추출된 폐유가 보관되는 컨테이너 내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켜 엔진오일을 교환하도록 구현한 엔진오일 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오일 배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엔진에 구비된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엔진오일 팬에 장착 설치되는 압축공기 공급부; 엔진오일 팬에 고인 엔진오일을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엔진오일 팬에 삽입되는 오일 배출부; 내부 공간을 진공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오일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엔진오일을 내부 공간에 저장해 둘 수 있도록 상기 오일 배출부에 연결 설치되는 오일 탱크부; 및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과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을 기 설정된 압력차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의 압축공기 공급 및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의 진공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배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엔진오일 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오일 배출 방법{Engine Oil Discharging Device and Discharg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엔진오일 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오일 배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오일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이상으로 유지시키며, 추출된 폐유가 보관되는 컨테이너 내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켜 엔진오일을 교환하도록 구현한 엔진오일 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오일 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은 많은 기계부품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동작되는데, 원활한 동작을 위해서는 윤활유가 주입된다.
이러한 윤활유는 동작하는 각 부품들의 마찰면에 유막을 형성하여 마찰과 마모를 줄여줌과 동시에 냉각과 부식을 억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윤활유는 적절한 점도를 유지해야 하는데, 차량을 일정 기간 운행하게 되면, 윤활유의 점도가 낮아져 윤활 기능이 크게 저하되거나 상실된다.
특히, 엔진오일의 경우에는 부분적인 산화와 표면 마모에 따른 쇳가루 등의 이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고열에 의해 엔진부품에 고착됨으로써 고장을 유발할 우려가 매우 많다. 따라 윤활유를 일정 기간 사용한 후에는 이를 배출시키고 새로운 엔진오일을 충진하게 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4983호(2005.12.26.)는, 오일의 교환작업 시, 폐유가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복에 묻거나 지면에 떨어져 야기하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오일을 교환할 수 있으며, 폐유를 용이하게 폐유수거통에 수거할 수 있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자동차용 오일탱크에 마련되어 사용 완료된 상기 오일탱크 내의 폐유를 교환하는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탱크 내에 마련되어 상기 오일탱크 내에서 상기 오일탱크의 일측벽에 형성된 오일방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볼부재; 상기 오일탱크 내에 마련되어 상기 볼부재의 이동을 안내 지지하는 볼지지가이드; 상기 볼지지가이드 내에 마련되어 상기 볼부재가 상기 오일방출구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 니플몸체와, 상기 니플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오일탱크의 외측에서 상기 오일방출구로 삽입 체결되어 단부가 상기 볼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오일방출구를 개방하는 푸셔와, 상기 니플몸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폐유배출관에 접속하는 관접속부를 갖는 니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폐유가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복에 묻거나 지면에 떨어져 야기하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오일을 교환할 수 있으며, 폐유를 용이하게 폐유수거통에 수거할 수 있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4531호(2016.12.30.)는, 차량의 오일팬에 오일팬연결체에 의해 오일수용호스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오일수용호스의 타측에는 오일배출체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오일이나 기어오일 또는 밋션오일 교환작업시에 차량의 하체측으로 작업자가 기어 들어가지 않고도 오일배출체를 차량의 외측으로 노출시켜 오일을 배출할 수 있어 오일교체작업에 따른 작업효율성은 물론 작업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일배출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차량의 오일팬에 구비되는 오일배출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오일팬연결체; 상기 오일팬연결체로부터 일측이 연결고정되는 오일수용호스; 상기 오일수용호스의 타측에 연결고정되어 개방시에 상기 오일팬에 들어 있는 오일이 배출되도록 하는 오일배출체로 구비되고, 상기 오일팬연결체는, 차량의 오일팬에 구비되는 오일배출구멍에 나사체결되도록 상부 외면에 제1나사체결부가 구비되고 내부가 중공된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의 하단에 위치되되 상기 제1나사체결부가 구비되는 제1연결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턱; 상기 돌출턱에 안착되어 상기 오일팬에 구비되는 오일배출구멍과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제1고무링 및 제1금속오링; 상기 제1연결부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의 하부로부터 절곡연장되고 외면에 제2나사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연결부의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도록 내부가 중공되는 제2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일배출체는, 상기 오일수용호스의 타측이 연결되고 내부가 중공되는 제3연결부; 상기 제3연결부의 끝단부 내주면에 구비되는 제1나사체결홈부; 상기 제1나사체결홈부에 끼워지는 제1나사체결돌부가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3연결부의 끝단부를 밀착하는 밀착플랜지부를 갖는 개폐부; 상기 밀착플랜지부에 끼워져 상기 오일수용호스와 타측이 연결되고 내부가 중공된 상기 제3연결부로부터 오일이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제2고무링 및 제2금속오링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사용되어 왔던 오일 배출 장치로는 먼저, 1) 엔진오일 추출(suction)을 위해 엔진오일 점검용 게이지 라인으로 고무 소재의 튜브를 삽입한 후, 튜브에 연결된 일정 크기의 용기의 내부 압력을 수동(hand pumping)으로 낮추어 엔진오일을 추출하는 Hand pumping 타입의 엔진오일 진공 추출 방법, 2) 고가의 전용 장비를 사용하여 엔진오일들이 지나가는 복잡한 구조의 오일 라인에 막혀있는 슬러지를 제거하고, 순환식 고압 호스를 통해 오일 라인의 세척이 가능한 순환식 엔진오일 교환 방법과, 3)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자유 낙하식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1, 3번 방식은, 수동 방식, 엔진오일 팬(oil pan)을 포함하는 엔진 내부의 공기압이 대기압 정도로 유지되어 엔진오일을 추출이 매우 느림, 엔진오일 팬의 하부에 체결된 drain plug(또는 drain bolt)을 분해하지 않는 경우 잔유가 많이 남는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2번 방식은 고가의 전용 장비 필요하며, 차량 이송이 힘들어 이동형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4983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4531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엔진오일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이상으로 유지시키며, 추출된 폐유가 보관되는 컨테이너 내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켜 엔진오일을 교환하도록 구현한 엔진오일 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오일 배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 배출 장치는, 엔진에 구비된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엔진오일 팬에 장착 설치되는 압축공기 공급부; 엔진오일 팬에 고인 엔진오일을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엔진오일 팬에 삽입되는 오일 배출부; 내부 공간을 진공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오일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엔진오일을 내부 공간에 저장해 둘 수 있도록 상기 오일 배출부에 연결 설치되는 오일 탱크부; 및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과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을 기 설정된 압력차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의 압축공기 공급 및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의 진공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배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는, 상기 배출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압축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공기를 압축시켜 주기 위한 공기압축부재; 및 상기 공기압축부재로부터 엔진오일 팬으로 압축공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공기압축부재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엔진오일 팬에 장착 설치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오일 배출부는, 오일 딥스틱 튜브(oil dipstick tube)를 통해 엔진오일 팬의 바닥면에 배치될 때까지 삽입하기 위한 노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오일 배출부는, 상기 노즐부재가 오일 딥스틱 튜브에 삽입된 후 오일 딥스틱 튜브의 입구를 밀봉할 수 있도록 오일 딥스틱 튜브의 입구에 장착 설치되는 밀봉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오일 탱크부는, 상기 오일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엔진오일을 저장해 두기 위한 저장부재; 및 상기 배출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진공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재의 내부 공간의 공기를 빨아들여서 진공으로 만들기 위해 상기 저장부재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는 진공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저장부재는, 6 내지 7리터의 엔진오일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 제어부는,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에 장착 설치되어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에 대응하는 제1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감지부재;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에 장착 설치되어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의 압력에 대응하는 제2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감지부재; 및 상기 제1감지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제1감지신호와 상기 제2감지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제2감지신호를 판독하여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과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을 기 설정된 압력차로 유지시켜 주기 위한 압축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로 전달하거나, 진공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오일 탱크부로 전달하기 위한 압력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1기압 내지 3기압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과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의 압력차가 750mmHg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 배출 방법은, 엔진오일 팬에 장착 설치된 압축공기 공급부에서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엔진오일 팬에 삽입된 오일 배출부에서 엔진오일 팬에 고인 엔진오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단계; 및 내부 공간이 진공 상태로 유지되는 오일 탱크부에서 상기 오일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엔진오일을 내부 공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오일 배출부를 엔진오일 팬에 삽입한 후 엔진오일 팬의 입구를 밀봉캡으로 밀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따.
일 실시 예에서, 배출 제어부에서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과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을 기 설정된 압력차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압력차로 유지하는 단계는,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에 장착 설치된 제1감지부재에서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에 대응하는 제1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에 장착 설치된 제2감지부재에서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의 압력에 대응하는 제2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압력조절부재에서 상기 제1감지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제1감지신호와 상기 제2감지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제2감지신호를 판독하여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과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을 기 설정된 압력차로 유지시켜 주기 위한 압축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로 전달하거나, 진공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오일 탱크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수동 진공 흡입 방식과 대조적으로 전체 작업 과정을 자동화하여 균일한 교환 품질 및 엔진오일 교환 작업성 향상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강제 순환식 방식에 비하여 시설 구축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 배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압축공기 공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오일 배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오일 탱크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배출 제어부를 설명하는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 배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는 기 설정된 압력차로 유지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기존에 사용하던 엔진오일 배출 방식의 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 배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 배출 장치는, 압축공기 공급부(100), 오일 배출부(200), 오일 탱크부(300) 및 배출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압축공기 공급부(100)는, 엔진에 구비된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엔진오일 팬에 장착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압축공기 공급부(100)는, 배출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압축 공기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압축 공기를 엔진오일 팬에 형성된 오일 보충 캡 또는 오일 딥스틱 튜브(oil dipstick tube) 등을 통해 엔진오일 팬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압축공기 공급부(100)가 오일 딥스틱 튜브(oil dipstick tube)을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할 경우에는, 오일 배출부(200)가 오일 보충 캡으로 삽입되어 엔진오일을 배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압축공기 공급부(100)는, 압축 공기를 생성시키기 위해 상용의 에어 컴프레서(Air Compressor)를 구비할 수 있는데, 내부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으며, 수동 발펌프와는 달리 전기로 동작됨이 바람직하다.
오일 배출부(200)는, 엔진오일 팬에 고인 엔진오일을 흡입하여 오일 탱크부(300)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엔진오일 팬에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오일 배출부(200)는, 오일 탱크부(300)에 연결 설치되며,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진공 상태로 인한 흡입력에 의해 엔진오일 팬에 고인 엔진오일을 흡입할 수 있으며, 또한 엔진오일 팬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 공급부(100)에 의한 압축 공기에 의한 압력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엔진오일 팬에 고인 엔진오일을 흡입하여 오일 탱크부(300)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일 배출부(200)는, 자신의 독자적으로 흡입력을 방생시키기 위한 구동이 없는 경우에도 압축공기 공급부(100)에 의한 압력 및 오일 탱크부(300)에 의한 흡입력을 이용하여 엔진오일 팬에 고인 엔진오일을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오일 탱크부(300)는, 내부 공간을 진공 상태로 유지하며, 오일 배출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엔진오일을 내부 공간에 저장해 둘 수 있도록 오일 배출부(200)에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오일 탱크부(300)는, 배출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내부 공간을 진공 상태로 유지시키며, 해당 유지된 진공 상태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으로 오일 배출부(200)을 통해 엔진오일 팬에 고인 엔진오일을 흡입할 수 있다.
배출 제어부(400)는,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과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을 기 설정된 압력차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 압축공기 공급부(100)의 압축공기 공급 및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의 진공 상태를 제어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존에 사용하던 엔진오일 배출 방식은, 자유낙하식(도 8(a)), 순환교환식(도 8(b)), 수동 진공펌프(도 8(c))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수동 진공흡입(vacuum extraction)은 엔진오일 자가 교환을 위한 방식으로 "엔진오일 점검용 게이지 라인(dipstick tube)"으로 고무소재의 반투명 튜브를 삽입한 후, 튜브에 연결된 일정 크기의 용기의 내부 압력을 수동(hand pumping)으로 낮추어 엔진오일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과 같은 '저가형, 이동형 엔진오일 교환 서비스'에 적합하지만, 자유낙하식과 유사하게 잔유가 남을 수 있고, 작업자가 수동 펌핑을 해야 하며, 6~7리터의 제한적인 폐유 컨테이너 용량 문제의 보완이 필요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엔진오일 배출 장치는, 엔진오일 교환 시 엔진오일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이상으로 유지시키며, 추출된 폐유가 보관되는 컨테이너 내의 압력을 진공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수동 진공 흡입 방식에 비해 신속성이 향상되며, 흡입 튜브를 엔진오일 팬으로 직접 삽입하여 엔진오일을 빠르게 흡입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엔진오일 팬 내의 잔유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엔진 내부와 추출용기 양단의 압력차를 감지 및 제어를 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엔진오일 배출 장치는, 기존의 헨드 펌핑 타입의 엔진오일 진공 추출방법과 달리 엔진 내부의 압을 대기압 이상으로 유지시키며, 고무소재의 튜브를 엔진오일 팬으로 삽입하여 엔진오일을 빠르게 흡입하고, 내부의 압력 및 추출양을 센싱하여 전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엔진오일 배출 장치는, 수동 진공 흡입 방식과 대조적으로 전체 작업 과정을 자동화하여 균일한 교환 품질 및 엔진오일 교환 작업성 향상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강제 순환식 방식에 비하여 시설 구축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압축공기 공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압축공기 공급부(100)는, 공기압축부재(110) 및 전달부재(120)를 포함한다.
공기압축부재(110)는, 배출 제어부(400)로부터 압축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압축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공기를 압축하며, 해당 압축한 공기를 전달부재(120)를 통해 엔진오일 팬으로 공급한다.
전달부재(120)는, 공기압축부재(110)로부터 엔진오일 팬으로 압축공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일측이 공기압축부재(110)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엔진오일 팬에 장착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달부재(120)는, 엔진오일 팬에 다른 일측을 장착 설치한 후 공기가 엔진오일 팬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오일 팬을 밀봉하여 엔진 오일의 배출 효율을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오일 배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일 배출부(200)는, 노즐부재(210) 및 밀봉캡(220)을 포함한다.
노즐부재(210)는, 오일 딥스틱 튜브(oil dipstick tube)를 통해 엔진오일 팬의 바닥면에 배치될 때까지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노즐부재(210)는, 일측이 엔진 오일을 담아 놓기 위한 오일 탱크부(300)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을 오일 딥스틱 튜브(oil dipstick tube)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밀봉캡(220)은, 노즐부재(210)가 오일 딥스틱 튜브에 삽입된 후 오일 딥스틱 튜브의 입구를 밀봉할 수 있도록 오일 딥스틱 튜브의 입구에 장착 설치된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오일 탱크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오일 탱크부(300)는, 저장부재(310) 및 진공조절부재(320)를 포함한다.
저장부재(310)는, 오일 배출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엔진오일을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저장부재(310)는, 6 내지 7리터의 엔진오일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진공조절부재(320)는, 배출 제어부(400)로부터 진공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진공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저장부재(310)의 내부 공간의 공기를 빨아들여서 진공으로 만들며, 저장부재(310)의 일측에 장착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진공조절부재(320)는, 제어 가능한 상용의 전기 에어 펌프를 구비할 수 있으며, 내부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으며, 수동 발펌프와는 달리 전기로 동작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배출 제어부를 설명하는 제어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출 제어부(400)는, 제1감지부재(410), 제2감지부재(420) 및 압력조절부재(430)를 포함한다.
제1감지부재(410)는,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에 장착 설치되어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감지하며, 해당 감지한 압력에 대응하는 제1감지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제1감지신호를 압력조절부재(430)로 전달한다.
제2감지부재(420)는,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에 장착 설치되어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감지하며, 해당 감지한 압력에 대응하는 제2감지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제2감지신호를 압력조절부재(430)로 전달한다.
압력조절부재(430)는, 제1감지부재(410)로부터 제1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제1감지신호에서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판독하며, 제2감지부재(420)로부터 제2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제1감지신호에서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과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차(예를 들어,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의 압력보다 750mmHg이 큼)로 유지시켜 주기 위한 압축제어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압축제어신호를 압축공기 공급부(100)로 전달하거, 진공제어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진공제어신호를 오일 탱크부(30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압력조절부재(430)는,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이 이미 진공상태인 경우 압축제어신호만을 생성시켜 압축공기 공급부(100)로 전달하거나,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이 진공상태가 아닌 경우 진공제어신호와 압축제어신호를 동시에 생성시켜 각각 압축공기 공급부(100)와 오일 탱크부(3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압력조절부재(430)는, 압력조절부재(430)로부터 전달되는 압축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1기압 내지 3기압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압력조절부재(430)는, 압력조절부재(430)로부터 전달되는 압축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과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의 압력차가 750mmHg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압력조절부재(430)는, 제1감지부재(410)로부터 전달되는 제1감지신호로부터 판독한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엔진오일 배출 도중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하로 떨어질 경우 엔진오일 팬에 고인 엔진오일이 모두 배출된 것으로 판단하여 압축공기 공급부(100) 및 오일 탱크부(300)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오일이 배출되어 있는 경우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750mmHg일 경우, 해당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다가 급격히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350mmHg로 떨어질 경우를 말한다. 이는,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에 남은 엔진오일이 없게 되면,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오일 배출부(200)을 통해 오일 탱크부(300)로 유출되어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 배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엔진오일 배출 방법은, 우선 엔진오일 팬에 장착 설치된 압축공기 공급부(100)에서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한다(S610).
상술한 단계 S610에서 압축공기를 공근한 후에, 엔진오일 팬에 삽입된 오일 배출부(200)에서 엔진오일 팬에 고인 엔진오일을 흡입하여 배출한다(S620).
상술한 단계 S620에서 엔진오일을 배출한 후에, 내부 공간이 진공 상태로 유지되는 오일 탱크부(300)에서 오일 배출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엔진오일을 내부 공간에 저장한다(S630).
상술한 단계를 가지는 엔진오일 배출 방법은, 오일 배출부(200)를 엔진오일 팬에 삽입한 후 엔진오일 팬의 입구를 밀봉캡(220)으로 밀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를 가지는 엔진오일 배출 방법은, 단계 S610 이전에 배출 제어부(400)에서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과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을 기 설정된 압력차로 유지하는 단계(S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있는 기 설정된 압력차로 유지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 설정된 압력차로 유지하는 단계(S640)는, 우선,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에 장착 설치된 제1감지부재(410)에서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에 대응하는 제1감지신호를 생성한다(S641).
상술한 단계 S641에서 제1감지신호를 생성한 후에,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에 장착 설치된 제2감지부재(420)에서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의 압력에 대응하는 제2감지신호를 생성한다(S642).
상술한 단계 S642에서 제2감지신호를 생성한 후에, 압력조절부재(430)에서 제1감지부재(410)로부터 전달되는 제1감지신호와 제2감지부재(420)로부터 전달되는 제2감지신호를 통해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 및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판독한 후,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이 진공 상태 여부를 확인하여 진공 상태가 아닐 경우(단계 S463의 No의 경우) 진공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오일 탱크부(300)로 전달하여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들어 준다(S464).
이때, 압력조절부재(430)는, 제2감지부재(420)로부터 전달되는 제2감지신호를 판독하여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을 진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67).
상술한 단계 S464을 통해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이 진공 상태로 된 경우(단계 S463의 Yes의 경우)에,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과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의 압력의 차이가 기 설정된 압력차에 해당하지 않은 경우(단계 S465의 No의 경우) 압축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압축공기 공급부(100)로 전달하여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의 압력과 기 설정된 압력차가 되도록 한다(S466).
이때, 압력조절부재(430)는, 제1감지부재(410)로부터 전달되는 제1감지신호를 판독하여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값을 확인할 수 있다(S468).
상술한 단계 S466을 통해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과 오일 탱크부(300)의 내부 공간의 압력과 기 설정된 압력차가 된 경우(단계 S465의 Yes의 경우)에, 오일 배출부(200)에서 엔진오일 팬에 고인 엔진오일을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한다(S620).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기 설정된 압력차로 유지하는 단계(S640)에서, 단계 S641과 단계 S642는 서로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기 설정된 압력차로 유지하는 단계(S640)는, 엔진 내부의 압력 및 엔진오일 추출량을 센싱하여 전 과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따.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압축공기 공급부
110: 공기압축부재
120:전달부재
200: 오일 배출부
210: 노즐부재
220: 밀봉캡
300: 오일 탱크부
310: 저장부재
320: 진공조절부재
400: 배출 제어부
410: 제1감지부재
420: 제2감지부재
430: 압력조절부재

Claims (13)

  1. 엔진에 구비된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엔진오일 팬에 장착 설치되는 압축공기 공급부;
    엔진오일 팬에 고인 엔진오일을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엔진오일 팬에 삽입되는 오일 배출부;
    내부 공간을 진공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오일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엔진오일을 내부 공간에 저장해 둘 수 있도록 상기 오일 배출부에 연결 설치되는 오일 탱크부; 및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과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을 기 설정된 압력차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의 압축공기 공급 및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의 진공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배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 제어부는,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에 장착 설치되어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에 대응하는 제1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감지부재;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에 장착 설치되어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의 압력에 대응하는 제2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감지부재; 및 상기 제1감지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제1감지신호와 상기 제2감지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제2감지신호를 판독하여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과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을 기 설정된 압력차로 유지시켜 주기 위한 압축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로 전달하거나, 진공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오일 탱크부로 전달하기 위한 압력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상기 제1감지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제1감지신호로부터 판독한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엔진오일 배출 도중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하로 떨어질 경우 엔진오일 팬에 고인 엔진오일이 모두 배출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 및 상기 오일 탱크부의 구동을 종료하는, 엔진오일 배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는,
    상기 배출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압축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공기를 압축시켜 주기 위한 공기압축부재; 및
    상기 공기압축부재로부터 엔진오일 팬으로 압축공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공기압축부재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엔진오일 팬에 장착 설치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엔진오일 배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배출부는,
    오일 딥스틱 튜브(oil dipstick tube)를 통해 엔진오일 팬의 바닥면에 배치될 때까지 삽입하기 위한 노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배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배출부는,
    상기 노즐부재가 오일 딥스틱 튜브에 삽입된 후 오일 딥스틱 튜브의 입구를 밀봉할 수 있도록 오일 딥스틱 튜브의 입구에 장착 설치되는 밀봉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배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탱크부는,
    상기 오일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엔진오일을 저장해 두기 위한 저장부재; 및
    상기 배출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진공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재의 내부 공간의 공기를 빨아들여서 진공으로 만들기 위해 상기 저장부재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는 진공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배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재는,
    6 내지 7리터의 엔진오일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배출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1기압 내지 3기압으로 유지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배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과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의 압력차가 750mmHg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배출 장치.
  10. 엔진오일 팬에 장착 설치된 압축공기 공급부에서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엔진오일 팬에 삽입된 오일 배출부에서 엔진오일 팬에 고인 엔진오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단계;
    내부 공간이 진공 상태로 유지되는 오일 탱크부에서 상기 오일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엔진오일을 내부 공간에 저장하는 단계; 및
    배출 제어부에서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과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을 기 설정된 압력차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 설정된 압력차로 유지하는 단계는,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에 장착 설치된 제1감지부재에서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에 대응하는 제1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에 장착 설치된 제2감지부재에서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의 압력에 대응하는 제2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압력조절부재에서 상기 제1감지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제1감지신호와 상기 제2감지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제2감지신호를 판독하여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과 상기 오일 탱크부의 내부 공간을 기 설정된 압력차로 유지시켜 주기 위한 압축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로 전달하거나, 진공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오일 탱크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상기 제1감지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제1감지신호로부터 판독한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엔진오일 배출 도중 엔진오일 팬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하로 떨어질 경우 엔진오일 팬에 고인 엔진오일이 모두 배출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 및 상기 오일 탱크부의 구동을 종료하는, 엔진오일 배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배출부를 엔진오일 팬에 삽입한 후 엔진오일 팬의 입구를 밀봉캡으로 밀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배출 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102322A 2017-08-11 2017-08-11 엔진오일 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오일 배출 방법 KR101925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322A KR101925722B1 (ko) 2017-08-11 2017-08-11 엔진오일 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오일 배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322A KR101925722B1 (ko) 2017-08-11 2017-08-11 엔진오일 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오일 배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722B1 true KR101925722B1 (ko) 2018-12-05

Family

ID=6474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322A KR101925722B1 (ko) 2017-08-11 2017-08-11 엔진오일 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오일 배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7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880B1 (ko) * 2019-04-22 2020-05-04 곽원준 엔진 오일 교환 장치
CN111765364A (zh) * 2020-08-04 2020-10-13 台州霆麦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保养用免起吊的机油接取机构
CN112696248A (zh) * 2020-08-28 2021-04-23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机油定量抽取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600B1 (ko) 2012-07-06 2013-09-30 주식회사 임펙트 잔류 폐엔진오일 제거 및 세척오일 투입장치
KR101766677B1 (ko) * 2015-12-15 2017-08-09 주식회사 불스원 엔진 오일 교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 오일 교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600B1 (ko) 2012-07-06 2013-09-30 주식회사 임펙트 잔류 폐엔진오일 제거 및 세척오일 투입장치
KR101766677B1 (ko) * 2015-12-15 2017-08-09 주식회사 불스원 엔진 오일 교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 오일 교환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880B1 (ko) * 2019-04-22 2020-05-04 곽원준 엔진 오일 교환 장치
CN111765364A (zh) * 2020-08-04 2020-10-13 台州霆麦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保养用免起吊的机油接取机构
CN111765364B (zh) * 2020-08-04 2021-12-31 台州霆麦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保养用免起吊的机油接取机构
CN112696248A (zh) * 2020-08-28 2021-04-23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机油定量抽取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722B1 (ko) 엔진오일 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오일 배출 방법
US62342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a motor vehicle cooling system with coolant
US5476154A (en) Powered oil change apparatus
US5626170A (en) Automatic transmission fluid changer apparatus
US5772402A (en) Pre-charged vacuum fluid change/disposal apparatus
JP4986951B2 (ja) 乗物の流体交換装置及び方法
US3033311A (en) Oil removal and gauging apparatus
US6092390A (en) Portable, automatic, oil recovery system
US6772803B2 (en) Power steering fluid exchange system and method of use
US4149574A (en) Apparatus for filling a hollow and closed system provided with only one filling aperture
US2787220A (en) Pumping system
US6637472B2 (en) Coolant transfer machine for automotive vehicle & method
US4420023A (en) Device for collecting heavy oil and transferring it to suitable container
US68960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transmission fluid from fluid reservoir and associated fluid cooler with optional fluid replacement
US5845684A (en) Flush and fill apparatus for coolant systems and method of use
US2149633A (en) Draft apparatus
CA1112186A (en) Apparatus for withdrawing the oil from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200088075A1 (en) Lubricant change system for power transmissin equipment
US67425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ing a fluid system
CN211008813U (zh) 一种汽车发动机润滑油抽接油机
US7163085B1 (en) Apparatus for draining used engine oil
US6688340B1 (en) Automotive power steering flush system and methods of use
US6988506B1 (en) Fluid transfer system
JP5120647B2 (ja) ポンプ内部点検装置
US93748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x-ray tubes in sit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