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286B1 - 회전 각도 검출 장치, 회전 전기, 및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 Google Patents

회전 각도 검출 장치, 회전 전기, 및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286B1
KR101923286B1 KR1020167016562A KR20167016562A KR101923286B1 KR 101923286 B1 KR101923286 B1 KR 101923286B1 KR 1020167016562 A KR1020167016562 A KR 1020167016562A KR 20167016562 A KR20167016562 A KR 20167016562A KR 101923286 B1 KR101923286 B1 KR 101923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output
output winding
teeth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6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8931A (ko
Inventor
류이치 다키구치
모리시게 미노베
사토루 나카다
슈헤이 니이쿠라
나오히로 모토이시
유스케 모리타
다카노리 고마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8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 G01D5/20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by influencing the mutual induction between two or more coils
    • G01D5/204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by influencing the mutual induction between two or more coils by a movable ferromagnetic element, e.g. a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25Detecting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1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02K21/16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having annular armature cores with salient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서는,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의 각 티스에 여자 권선이 각각 감겨져 있다. 서로 다른 상(相)의 출력 권선인 제1 출력 권선 및 제2 출력 권선은, 주방향(周方向)에 대해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티스에 동일한 상의 출력 권선이 감겨지는 것을 피하면서, 서로 다른 티스에 감겨져 있다. 여자 권선의 극쌍수를 1이상의 정수인 M으로 하고, 검출용 로터의 돌극의 수를 1이상의 정수인 N으로 하면, 제1 출력 권선 및 제2 출력 권선의 각각의 권수의 공간 분포는, 공간 |M±N|차의 정현파로 나타내어지는 함수에 의해서 얻어진다. 또,|M-|M±N||으로 나타내어지는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δ-M|으로 나타내어지는 오차의 공간 차수 ε는, 1 및 2 이외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회전 각도 검출 장치, 회전 전기, 및 엘리베이터용 권상기{ROTATION ANGLE DETECTOR,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ELEVATOR HOIST}
본 발명은, 검출용 스테이터와, 검출용 스테이터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검출용 로터를 가지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회전 전기, 및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3개의 돌극(突極, salient pole)을 가지는 회전자와, 회전자의 외주(外周)를 둘러싸는 고정자를 가지며, 여자(勵磁) 권선이 고정자의 12개의 각 티스(teeth)에 각각 감겨지고, SIN 출력 권선 및 COS 출력 권선이 고정자의 주방향(周方向, 둘레 방향)에 대해서 각 티스에 교호로 감겨진 회전 각도 검출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7-288961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어져 있는 종래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서는, 여자 권선의 공간 차수(次數)가 저하되기 때문에, 여자 권선의 차수당 슬롯수가 많게 되어, 서로 인접하는 슬롯 사이의 누설 자속(磁束)의 양이 많아지기 쉽다. 이것에 의해, 종래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서는, 검출 각도의 오차가 커지기 쉬어져 버린다.
또,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어져 있는 종래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서는, SIN 출력 권선 및 COS 출력 권선의 검출 가능한 차수가 1차, 3차, 5차로 되어 있지만, 그 간격이 2차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회전 각도 검출 장치의 고정자에 2차 변형이 가해지면,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 의한 검출 각도에 고정자의 변형에 의한 오차가 포함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것에 의해, 종래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서는, 검출 각도의 오차가 더 커져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누설 자속을 억제할 수 있어, 검출 오차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회전 전기, 및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는,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와,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여자(勵磁) 권선, 제1 출력 권선 및 제2 출력 권선을 가지는 검출용 스테이터, 및 주방향(周方向,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돌극(突極, salient pole)을 가지고, 검출용 스테이터에 각 돌극을 지름 방향에 대해 대향시키면서 상기 검출용 스테이터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검출용 로터를 구비하며, 제1 출력 권선 및 상기 제2 출력 권선은, 서로 다른 상(相)의 출력 권선이 되고,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는, 주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티스(teeth)를 가지고, 여자 권선은, 각 티스에 각각 감겨지며, 제1 출력 권선 및 제2 출력 권선은, 주방향에 대해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티스에 동일한 상(相)의 출력 권선이 감겨지는 것을 피하면서, 서로 다른 티스에 감겨져 있고, 여자 권선의 극쌍수(數)는, 1이상의 정수(整數)인 M이 되고, 돌극의 수는, 1이상의 정수인 N으로 되어 있고, 제1 출력 권선 및 제2 출력 권선의 각각의 권수의 공간 분포는, 공간 |M±N|차의 정현파(正弦波)로 나타내어지는 함수에 의해서 얻어지며, |M-|M±N||으로 나타내어지는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δ-M|으로 나타내어지는 오차의 공간 차수 ε는, 1 및 2 이외로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전기, 및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는,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 ε이 1 및 2 이외로 되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 회전 전기, 및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의하면,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 ε이 1 및 2 이외로 되어 있으므로, 1차 및 2차의 오차의 공간 차수를 각 출력 권선이 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예를 들면 검출용 스테이터 또는 검출용 로터의 편심, 타원 모양 변형 및 자기(磁氣) 이방성 등의 노이즈에 대해서, 각도 오차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여자 권선의 극쌍수(數) M이 여자 권선의 공간 차수가 되므로, 티스의 수 2M에 대해서 여자 권선의 공간 차수를 최대로 할 수 있어, 누설 자속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회전 전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여자(勵磁) 권선, 제1 출력 권선 및 제2 출력 권선의 각각의 도선(導線)의 권수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5는 도 3의 티스 번호 1인 티스에 감겨져 있는 여자 권선 및 제1 출력 권선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3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의 돌극(突極)의 수(축배각(軸倍角)), 티스의 수, 여자 권선의 공간 차수, 제1 및 제2 출력 권선의 공간 차수를 실시예 1-1로서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은 도 3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서의 검출용 스테이터의 각도 θs와 검출용 로터의 회전 각도 θr과의 좌표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축배각과 슬롯수와의 조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여자 권선 및 제1 출력 권선의 영역에서의 자속 밀도의 분포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6의 비교예에서의 여자 권선, 제1 출력 권선 및 제2 출력 권선의 영역에서의 자속 밀도의 분포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서의 검출용 로터의 회전 각도의 오차와, 도 6의 비교예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서의 검출용 로터의 회전 각도의 오차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여자 권선과, 권수가 많은 제1 출력 권선이 티스에 마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여자 권선과, 권수가 적은 제1 출력 권선이 티스에 마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티스에 마련된 제1 출력 권선의 지름 방향 위치와, 제1 출력 권선의 쇄교(鎖交) 자속 및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에 의한 검출 각도 오차의 각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도 18 및 도 19의 제1 출력 권선의 각각에서의 검출용 로터의 지름 방향에 대한 자속 밀도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여자 권선과, 권수가 많은 제1 출력 권선이 티스에 마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여자 권선과, 권수가 적은 제1 출력 권선이 티스에 마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여자 권선, 제1 출력 권선 및 제2 출력 권선의 각각의 도선의 권수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27은 도 25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의 돌극의 수(축배각), 티스의 수, 여자 권선의 공간 차수, 제1 및 제2 출력 권선의 공간 차수를 실시예 8-1로서 나타내는 표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회전 전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 및 회전 전기를 적용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회전 전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회전 전기(101)는, 링 모양의 스테이터(102)와, 스테이터(102)의 내측에 배치되며, 스테이터(10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로터(103)와, 스테이터(102) 및 로터(103)를 지지하는 하우징(104)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104)은, 판 모양의 하우징 본체(105)와, 하우징 본체(105)의 외주부에 고정된 원통 모양의 하우징 통부(筒部)(106)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 본체(105)의 중앙부에는, 관통공(107)이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04)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05)에 고정되어 하우징 통부(106)의 중심축선 상에 배치된 지지축(108)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축(108)은, 관통공(107)에 내부가 연통된 중공(中空)(통 모양)의 축이다. 로터(103)는, 베어링(109)을 매개로 하여 지지축(10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로터(103)는, 지지축(108)을 매개로 하여 하우징(104)에 지지되어 있다.
스테이터(102)는, 로터(103)와 동축(同軸)에 배치되어 있다. 또, 스테이터(102)는, 로터(103)의 외주를 둘러싸는 링 모양의 스테이터 코어(110)와, 스테이터 코어(110)에 각각 마련되고, 스테이터 코어(110)의 주방향으로 늘어놓여진 복수의 스테이터 코일(111)과, 스테이터 코어(110)에 마련되며, 스테이터 코어(110)와 각 스테이터 코일(111)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인슐레이터(112)를 가지고 있다. 스테이터(102)는, 스테이터 코어(110)가 하우징 통부(106) 내에 끼워진 상태로 하우징(104)에 지지되어 있다. 각 스테이터 코일(111)과 스테이터 코어(110)와의 사이의 절연 상태는, 인슐레이터(112)에 의해 확보된다.
스테이터 코어(110)는, 지지축(108)의 축선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매의 강판(자성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스테이터 코어(110)는, 하우징 통부(106)의 내주면을 따른 링 모양의 백 요크부(back yoke部)(113)와, 백 요크부(113)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각각 돌출하며, 스테이터 코어(110)의 주방향에 대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자극(磁極) 티스부(114)를 가지고 있다. 각 자극 티스부(114)는, 스테이터 코어(110)의 주방향에 대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터 코일(111)은, 각 자극 티스부(114)에 개별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각 스테이터 코일(111)은, 스테이터 코어(110)의 주방향에 대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터(102)에는, 각 스테이터 코일(111)로의 통전(通電)에 의해 회전 자계(磁界)가 발생한다. 로터(103)는, 스테이터(102)의 회전 자계의 발생에 의해 지지축(108)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로터(103)는, 로터 요크(115)와, 로터 요크(115)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영구 자석(로터 자극부)(116)을 가지고 있다.
로터 요크(115)는, 주철(鑄鐵)로 구성된 주물(鑄物)로 되어 있다. 또, 로터 요크(115)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109)이 장착된 로터 요크 본체(117)와, 로터 요크 본체(117)의 외주부에 고정되며, 지지축(108)과 동축에 배치된 원통 모양의 로터 통부(118)와, 로터 요크 본체(117)의 중앙부에 고정되며, 지지축(108)의 내부를 통과하여 관통공(107) 내에 도달하는 검출기용 축(119)을 가지고 있다.
로터 요크(115)는, 로터(103)의 지름 방향에 대해 로터 통부(118)의 외주면을 스테이터(102)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스테이터(10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로터 통부(118)의 외주면은, 지름 방향에 대해 각 자극 티스부(114)의 선단면에 대향하고 있다.
각 영구 자석(116)은, 로터 통부(118)의 외주면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 각 영구 자석(116)은, 로터 통부(118)와 스테이터(102)와의 사이의 공간에서 로터(103)의 주방향(로터(103)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영구 자석(116)이 로터(103)의 주방향에 대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05)의 관통공(107) 내에는, 로터(103)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1)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 각도 검출 장치(1)는, 관통공(107)내에서 하우징 본체(105)에 고정된 검출용 스테이터(2)와, 지름 방향에 대해 검출용 스테이터(2)와 대향하며, 검출용 스테이터(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자성체인 검출용 로터(3)를 가지고 있다. 이 예에서는, 검출용 스테이터(2)의 형상이 링 모양으로 되고, 검출용 로터(3)가 검출용 스테이터(2)의 지름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검출용 로터(3)가 검출기용 축(119)에 고정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검출용 스테이터(2)는, 자성체인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와,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여자 권선(22), 복수의 제1 출력 권선(23) 및 복수의 제2 출력 권선(24)과,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에 마련되며, 각 여자 권선(22), 각 제1 출력 권선(23) 및 각 제2 출력 권선(24)의 각각과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절연체(25)를 가지고 있다. 각 여자 권선(22), 각 제1 출력 권선(23) 및 각 제2 출력 권선(24)의 각각과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와의 사이의 절연 상태는, 절연체(25)에 의해 확보된다.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는, 링 모양의 코어 백(core back)(26)과, 코어 백(26)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며,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의 주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티스(27)를 가지고 있다. 이 예에서는, 18개의 티스(27)가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의 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늘어서 있다. 각 티스(27) 사이에는, 여자 권선(22)과,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슬롯(28)이 형성되어 있다.
여자 권선(22)은, 각 티스(27)에 각각 감겨져 있다. 각 여자 권선(22)은, 전기적으로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출력 권선(COS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SIN 권선)(24)은, 서로 다른 상(相)의 출력 권선으로 되어 있다. 각 제1 출력 권선(23)은 전기적으로 서로 직렬로 접속되며, 각 제2 출력 권선(24)도 전기적으로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은,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의 주방향에 대해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티스(27)에 동일한 상의 출력 권선(23, 24)이 감겨지는 것을 피하면서, 서로 다른 티스(27)에 각각 감겨져 있다. 이 예에서는, 복수의 티스(27) 중 주방향에 대해서 1개 간격으로 선택된 복수의 티스(27)에, 제1 출력 권선(23)이 각각 감겨지고, 제1 출력 권선(23)이 감겨져 있는 티스(27)와 다른 복수의 티스(27)에, 제2 출력 권선(24)이 각각 감겨져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제1 출력 권선(23)이 여자 권선(22)의 외주를 덮으며, 제2 출력 권선(24)도 여자 권선(22)의 외주를 덮은 상태로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각각이 티스(27)에 감겨져 있다.
검출기용 축(119)에는, 검출용 로터(3)의 중심부가 감합(嵌合, 끼워 맞춤)(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검출용 로터(3)는, 검출기용 축(119)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검출기용 축(119)과 일체로 회전된다.
검출용 로터(3)는, 검출용 로터(3)의 주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돌극(31)을 가지고 있다. 또, 검출용 로터(3)는, 검출용 스테이터(2)의 내주면에 각 돌극(31)을 지름 방향에 대해 대향시키면서 검출용 스테이터(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검출용 로터(3)가 검출용 스테이터(2)에 대해서 회전했을 때에는, 검출용 로터(3)와 검출용 스테이터(2)와의 사이에서의 퍼미언스(permeance)의 맥동(脈動)이 각 돌극(31)의 존재에 의해서 정현파(正弦波) 모양으로 변화한다.
각 여자 권선(22)에는, 각 여자 권선(22)으로의 교류 전력의 공급에 의해 기자력(起磁力)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검출용 로터(3) 및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를 통과하는 자속이 발생한다.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에는, 이 자속이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을 쇄교(鎖交)하는 것에 의해 전압이 발생한다. 검출용 로터(3)와 검출용 스테이터(2)와의 사이에서의 퍼미언스가 검출용 로터(3)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정현파 모양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검출용 로터(3)의 회전 각도는,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의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검출된다.
도 4는, 도 3의 여자 권선(22),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의 각각의 도선(導線)의 권수(卷數)를 나타내는 표이다. 또, 도 4에서 나타내어져 있는 티스 번호는, 도 3의 각 티스(27)에 편의적으로 배정한 주방향으로 연속하는 번호(도 3에서 사각형의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번호)이다. 또, 도 4의 티스 번호 아래에 있는 숫자는, 티스 번호에 대응하는 티스(27)에 감겨진 도선의 권수이다. 게다가, 도 4의 권수에서의 정(正)의 숫자와 부(負)의 숫자는, 도선의 감김 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자 권선(22)의 도선은, 서로 이웃하는 티스(27)마다 감김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하여, 모든 티스(27)에 40회씩 감겨져 있다.
제1 출력 권선(23)의 도선은, 티스 번호가 1, 7, 13인 각 티스(27)에 460회씩 감겨지고, 티스 번호가 3, 5, 9, 11, 15, 17인 각 티스(27)에 230회씩 감겨져 있다. 티스 번호가 1, 7, 13인 각 티스(27)에 감겨져 있는 제1 출력 권선(23)의 도선은, 각각 동일 방향으로 감겨져 있다. 또, 티스 번호가 3, 5, 9, 11, 15, 17인 각 티스(27)에 감겨져 있는 제1 출력 권선(23)의 도선은, 티스 번호가 1, 7, 13인 각 티스(27)에 감겨져 있는 제1 출력 권선(23)의 도선의 감김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감겨져 있다.
제2 출력 권선(24)의 도선은, 티스 번호가 2, 6, 8, 12, 14, 18인 각 티스(27)에 398회씩 감겨져 있다. 티스 번호가 2, 8, 14인 각 티스(27)에 감겨져 있는 제2 출력 권선(24)의 도선은, 티스 번호가 1, 7, 13인 각 티스(27)에 감겨져 있는 제1 출력 권선(23)의 도선의 감김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각각 감겨져 있다. 또, 티스 번호가 6, 12, 18인 각 티스(27)에 감겨져 있는 제2 출력 권선(24)의 도선은, 티스 번호가 2, 8, 14인 각 티스(27)에 감겨져 있는 제2 출력 권선(24)의 도선의 감김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감겨져 있다. 티스 번호가 4, 10, 16인 각 티스(27)에는, 출력 권선을 정현파 모양으로 분포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은 감겨져 있지 않다.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의 티스(27)의 수(數)를 2M으로 했을 때의 여자 권선(22)의 극쌍수(數)를 M(M은, 1이상의 정수), 검출용 로터(3)의 돌극(31)의 수(즉, 축배각(軸倍角))를 N(N은, 1이상의 정수), 각 티스(27)에서의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의 각각의 권수를 각각 wsin,i, wcos,i(i는 1, 2,…2M), 1개의 티스(27)당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의 각각의 최대 권수를 각각 wmax로 한 경우,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의 각각의 권수의 공간 분포는, 각각 이하의 식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여기서, 식 (1)~식 (6)의 복호(複號, 복부호)는 동순(同順, 동일한 순서)이다.
[수식 1]
Figure 112016060059113-pct00041
[수식 2]
Figure 112016060059113-pct00042
식 (1)~식 (6)에 의해, 제1 출력 권선(COS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SIN 권선)(24)이 각 티스(27)에 1상(相)씩 교호로 감겨지고,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각각의 권수가, 공간 |M±N|차의 정현파로 나타내어지는 함수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식 (1) 및 식 (4)에 의해,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의 각각의 권수의 공간 분포는, 공간 |M-|M±N||차의 정현파로 나타내어지는 함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티스 번호 1인 티스(27)에 감겨져 있는 여자 권선(22) 및 제1 출력 권선(23)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각 티스(27)의 선단부에는, 검출용 로터(3)의 주방향을 따라서 서로 역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27a)가 마련되어 있다. 여자 권선(22) 및 제1 출력 권선(23)의 각각의 도선은, 돌출부(27a)와 코어 백(26)과의 사이의 범위에서 절연체(25)를 매개로 하여 티스(27)에 감겨져 있다. 이것에 의해, 검출용 로터(3)와 티스(27)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자속이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를 효율 좋게 통과하여, 제1 출력 권선(23)에 쇄교하는 자속이 크게 되어, 제1 출력 권선(23)의 출력 전압의 값이 크게 된다.
여자 권선(22)은, 돌출부(27a)와 코어 백(26)과의 사이의 범위에 걸쳐서 티스(27)를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제1 출력 권선(23)은, 여자 권선(22)의 외주를 덮은 상태로 티스(27)에 마련되어 있다. 즉, 티스(27)에는, 여자 권선(22)과, 여자 권선(22)의 외주에 감겨진 제1 출력 권선(23)이 마련되어 있다.
다른 티스(27)에 마련된 제1 출력 권선(23)도, 마찬가지로, 여자 권선(22)의 외주에 감겨져 있다. 또, 티스(27)에 마련된 각 제2 출력 권선(24)도, 마찬가지로, 여자 권선(22)의 외주에 감겨져 있다. 즉,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의 각각의 도선은, 티스(27)에 여자 권선(22)의 도선이 감겨진 후에, 티스(27)와 함께 여자 권선(22)을 덮도록 하여 티스(27)에 감겨져 있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비교예에서는, 여자 권선(22),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의 각각이 각 티스(27)에 감겨져 있다. 또, 비교예에서는, 여자 권선(22)이, 돌출부(27a)와 코어 백(26)과의 사이의 범위에 걸쳐서 티스(27)를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비교예에서는, 제1 출력 권선(23)의 도선이 여자 권선(22)의 외주에 감겨지고, 제2 출력 권선(24)의 도선이 제1 출력 권선(23)의 외주에 감겨져 있다. 즉, 비교예에서는, 여자 권선(22)의 도선이 티스(27)에 감겨진 후에, 제1 출력 권선(23)의 도선이 여자 권선(22)의 외주에 감겨지고, 제1 출력 권선(23)의 도선이 감겨진 후에, 제2 출력 권선(24)의 도선이 제1 출력 권선(23)의 외주에 감겨져 있다.
실시 형태 1과 비교예를 비교하면, 실시 형태 1에서는, 1개의 티스(27)에 대해서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 중, 어느 하나만이 마련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비교예에서는, 1개의 티스(27)에 대해서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모두 마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실시 형태 1에서는, 비교예에 비해, 티스(27)에 마련된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각각의 도선의 권수를 많이 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1개의 티스(27)에 마련하는 권선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여자 권선(22),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을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에 마련하는 작업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비교예에서는,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각각의 도선의 감김 시작과 감김 종료가 있으므로 감김 꼬임이 발생되기 쉬워지지만, 실시 형태 1에서는, 감김 시작와 감김 종료가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 중 어느 하나만에 의해 생길뿐이므로 감김 꼬임이 발생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돌극(31)의 수(축배각), 티스(27)의 수, 여자 권선(22)의 공간 차수,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공간 차수를 실시예 1-1로서 나타내는 표이다. 또, 도 8은, 도 3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에서의 검출용 스테이터(2)의 각도 θs와 검출용 로터(3)의 회전 각도 θr과의 좌표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7에서는, 실시예 1-1 뿐만 아니라, 실시 형태 1에서 돌극(31)의 수(축배각)를 변경한 다른 실시예 1-2 및 1-3의 티스(27)의 수, 여자 권선(22)의 공간 차수,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공간 차수에 대해서도 나타내고 있다.
검출용 스테이터(2)와 검출용 로터(3)와의 사이의 간극(공극)에서의 자속 밀도를 Bgs), 여자 권선(22)의 기자력을 F(θs), 검출용 스테이터(2)와 검출용 로터(3)와의 사이의 간극에서의 자속의 통과 용이성을 나타내는 퍼미언스를 P(θs), 각도에 의존하지 않은 퍼미언스 성분을 Pθ, 검출용 로터(3)의 축배각에 의해서 변동하는 퍼미언스 성분의 진폭을 PN, 검출용 로터(3)의 축배각 이외의 오차에 의해서 변동하는 퍼미언스 성분의 진폭 및 공간 차수를 각각 Pr 및 r, 검출용 스테이터(2)의 오차에 의해서 변동하는 퍼미언스 성분의 진폭 및 공간 차수를 각각 Ps 및 s, 여자 권선(22)의 기자력의 진폭을 FM으로 하면, 자속 밀도 Bgs)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수식 3]
Figure 112016059786174-pct00003
[수식 4]
Figure 112016059786174-pct00004
[수식 5]
Figure 112016059786174-pct00005
또, i번째의 티스(27)에서의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이 검출하는 권수 1당 쇄교 자속을 φi,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의 축선 방향의 길이를 L,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의 내주면의 반경을 R, 제1 출력 권선(23)이 검출하는 전압을 Vcos, 제2 출력 권선(24)이 검출하는 전압을 Vsin으로 하면,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각도 오차 e(θr)는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수식 6]
Figure 112016059786174-pct00006
[수식 7]
Figure 112016059786174-pct00007
[수식 8]
Figure 112016059786174-pct00008
[수식 9]
Figure 112016059786174-pct00009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권수의 공간 분포는, 식 (1)~식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공간 |M±N|차의 정현파로 나타내어지는 함수에 의해서 얻어지기 때문에, 식 (11)과 같이, 식 (2) 및 식 (6)을 식 (10)에 곱하여, 티스(27)마다 검출용 스테이터(2)의 각도 θs로 적분하면, 각도 θs의 계수(係數)가 |M±N|와 동일하게 되는 COS 함수의 위상 성분에 포함되는 검출용 로터(3)의 회전 각도 θr의 계수는,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이 검출하는 권수 1당 쇄교 자속 φi의 검출용 로터(3)의 1회전에서의 파형의 차수가 된다.
또, 각도 오차 e(θr)가 식 (14)로부터 얻어지기 때문에, 식 (10)에서 제2항 및 제3항의 위상 성분만을 검출한 경우에는, 식 (14)의 θr의 계수가 0이 되어 각도 오차를 일으키지 않는다.
한편, 식 (10)에서 제2항 및 제3항의 위상(位相) 성분 이외의 제1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의 위상 성분에 포함되는 검출용 스테이터(2)의 각도 θs의 계수가 |M±N|와 동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이 제1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의 위상 성분을 검출해 버려, 식 (14)로부터의 θr의 계수가 0 이외로 되어 각도 오차가 생겨 버린다. 또, 식 (1) 및 식 (4)에 의해,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권수의 공간 분포가 공간 |M-|M±N||차의 정현파로 나타내어지는 함수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1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의 위상 성분에 포함되는 검출용 스테이터(2)의 각도 θs의 계수가 |M-|M±N||와 동일하게 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식 (14)로부터 각도 오차가 생겨 버린다.
따라서,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에 포함되는|M±N|차 및|M-|M±N||차 양쪽 모두가, 오차가 되는 위상 성분을 검출하지 않도록, 여자 권선(22)의 극쌍수 M과, 검출용 로터(3)의 돌극(31)의 수(축배각) N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식 (10)에서의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의 위상 성분에 포함되는 검출용 스테이터(2)의 각도 θs의 계수 r 또는 s에 상당하는 오차의 공간 차수를 δ=|M-|M±N||및 ε=|δ-M|=||M-|M±N||-M|으로 하면, 오차의 공간 차수 δ는 식 (1) 및 식 (4)의 제1항이 취하는 공간 차수가 되며, 오차의 공간 차수 ε는식 (1) 및 식 (4)의 제2항이 취하는 공간 차수가 된다.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 ε이 위의 식의 값이 되는 경우, 회전 각도 검출 장치의 각도 오차 e(θr)는, 식 (14)로부터, r, s, N±r 또는 N±s 등의 각도 오차의 차수가 생겨 각도 오차가 증대해 버린다. 따라서,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 ε이,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사용시에 상정(想定)되는 노이즈의 공간 차수가 되지 않도록, 여자 권선(22)의 극쌍수 M(즉, 검출용 스테이터(2)의 티스(27)의 수 2M)과, 검출용 로터(3)의 돌극(31)의 수(즉, 축배각) N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각도 오차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1-1에서는, 도 7에서의 축배각 N이 15, 여자 권선(22)의 공간 차수 M(즉, 티스(27)의 수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이 9,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공간 차수 |M±N|이 24 또는 6(또, 24는,|18-24|=6이 되기 때문에 6과 등가(等價))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시예 1-1에서는,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검출하는 오차의 공간 차수 δ=|M-|M±N||가 15 및 3, 공간 차수 δ를 검출하는 오차의 공간 차수 ε=|δ-M|이 6으로 되어 있다. 즉, 실시예 1-1에서는,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 ε이 1, 2, 4 이외로 설정되어 있다.
실시예 1-1에서는, 오차의 공간 차수 δ가 15 및 3이 되고, 공간 차수 δ를 검출하는 오차의 공간 차수 ε이 6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오차의 공간 차수의 저차(低次) 성분인 1차, 2차, 4차의 오차의 공간 차수를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취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1차의 오차의 공간 차수로서는, 예를 들면 검출용 스테이터(2) 또는 검출용 로터(3)의 편심 등이 고려되며, 2차의 오차의 공간 차수로서는, 예를 들면 검출용 스테이터(2) 또는 검출용 로터(3)의 타원 모양 변형, 자기 이방성 또는 그 조합 등이 고려되어진다. 또, 4차의 오차의 공간 차수로서는, 예를 들면 검출용 스테이터(2) 또는 검출용 로터(3)의 사각형 모양의 변형, 자기 이방성 또는 그 조합 등이 고려되어진다. 실시예 1-1에서는, 이들 1차, 2차, 4차의 오차 성분을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취하지 않기 때문에, 검출용 스테이터(2) 또는 검출용 로터(3)의 편심, 타원 모양 변형, 사각형 모양의 변형, 자기 이방성 등의 노이즈에 대해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각도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도 7의 실시예 1-2에서는, 축배각 N이 24, 여자 권선(22)의 공간 차수 M이 9,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공간 차수 |M±N|이 33 또는 15(또, 33 및 15 모두 3으로 등가)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시예 1-2에서는,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검출하는 오차의 공간 차수 δ=|M-|M±N||가 24 및 6, 공간 차수 δ를 검출하는 오차의 공간 차수 ε=|δ-M|가 15 및 3으로 되어 있다. 즉, 실시예 1-2에서도,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 ε이 1, 2, 4 이외로 설정되어 있다.
실시예 1-2에서도,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1차, 2차, 4차의 오차 성분을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취하지 않기 때문에, 검출용 스테이터(2) 또는 검출용 로터(3)의 편심, 타원 모양 변형, 사각형 모양의 변형, 자기 이방성 등의 노이즈에 대해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각도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도 7의 실시예 1-3에서는, 축배각 N이 30, 여자 권선(22)의 공간 차수 M이 9,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공간 차수 |M±N|이 39 또는 21(또, 39 및 21 모두 3과 등가)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시예 1-3에서는,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검출하는 오차의 공간 차수 δ=|M-|M±N||가 30 및 12, 공간 차수 δ를 검출하는 오차의 공간 차수 ε=|δ-M|가 21 및 3으로 되어 있다. 즉, 실시예 1-3에서도,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 ε이 1, 2, 4 이외로 설정되어 있다.
실시예 1-3에서도,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1차, 2차, 4차의 오차 성분을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취하지 않기 때문에, 검출용 스테이터(2) 또는 검출용 로터(3)의 편심, 타원 모양 변형, 사각형 모양의 변형, 자기 이방성 등의 노이즈에 대해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각도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에서는, 여자 권선(22)의 극쌍수를 M, 검출용 로터(3)의 돌극(31)의 수(축배각)를 N으로 하면,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각각의 권수의 공간 분포가, 공간 |M±N|차의 정현파로 나타내어지는 함수에 의해서 얻어지며,|M-|M±N||으로 나타내어지는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δ-M|으로 나타내어지는 오차의 공간 차수 ε는, 1 및 및 2 이외로 되어 있으므로, 1차 및 2차의 각각의 오차 성분을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검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검출용 스테이터(2) 또는 검출용 로터(3)의 편심, 타원 모양 변형 및 자기 이방성 등의 노이즈에 대해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각도 오차를 저감할 수 있어, 검출 오차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여자 권선(22)이 모든 티스(27)에 각각 감겨져 있으므로, 검출용 스테이터(2)의 티스(27)의 수(즉, 2M)에 대해서, 여자 권선(22)의 공간 차수(극쌍수) M을 최대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여자 권선(22)의 기자력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이 티스(27) 사이에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 각도 검출 장치(1)를 이용한 회전 전기(101)에서는, 로터(103)의 위치 및 속도의 제어에 대해서 고정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 ε는, 1 및 2 뿐만 아니라, 또한 4 이외로도 되어 있으므로, 검출용 스테이터(2) 또는 검출용 로터(3)의 편심, 타원 모양 변형 및 자기 이방성 등에 더하여, 사각형 모양의 변형의 노이즈에 대해서도,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각도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 티스(27)의 선단부에는, 검출용 로터(3)의 주방향을 따라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37a)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에 쇄교하는 자속이 크게 되어, 여자 권선(22)에 흐르는 전류의 값을 크게 하지 않고,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각각의 출력 전압의 값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축배각과 슬롯수와의 조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에서는, 축배각과 슬롯수와의 조합을 이하의 (1)~(4)의 경우로 나누어 나타내고 있다. 또, 도 9의 (1)~(4)의 숫자는, 이하의 (1)~(4)의 경우로 나누어 대응시키고 있다.
(1) 1차 및 2차의 오차 성분의 공간 차수를 회피하고,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감겨져 있지 않은 티스(27)가 검출용 스테이터(2)에 존재하는 축배각과 슬롯수와의 조합
(2) 1차, 2차 및 4차의 오차 성분의 공간 차수를 회피하고,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감겨져 있지 않은 티스(27)가 검출용 스테이터(2)에 존재하는 축배각과 슬롯수와의 조합
(3) 1차 및 2차의 오차 성분의 공간 차수를 회피하고,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감겨져 있지 않은 티스(27)가 검출용 스테이터(2)에 존재하지 않은 축배각과 슬롯수와의 조합
(4) 1차, 2차 및 4차의 오차 성분의 공간 차수를 회피하고,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감겨져 있지 않은 티스(27)가 검출용 스테이터(2)에 존재하지 않는 축배각과 슬롯수와의 조합
상기 (1) 및 (2)의 축배각과 슬롯수와의 조합에서는,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감겨져 있지 않은 티스(27)가 존재하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티스(27)에 출력 권선을 감을 때의 권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리드선(lead wire)의 결선(結線) 스페이스에도 이용할 수 있어, 결선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서로 인접하는 티스(27)에 감겨진 출력 권선의 도선 지름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권선이 절단되기 어렵게 되어, 권선 작업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감겨져 있지 않은 티스(27)가 존재하기 때문에, 출력 권선 전체의 동량(銅量)과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게다가 출력 권선의 저항이 저감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에서 생기는 동손(銅損)을 저감시킬 수 있어,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 도 10은, 여자 권선(22) 및 제1 출력 권선(23)이 티스(27)에 마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각각과 여자 권선(22)과의 위치 관계가 다르다.
즉, 공통의 티스(27)에 마련되어 있는 여자 권선(22) 및 제1 출력 권선(23)은,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늘어서 있다. 또, 여자 권선(22)은,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제1 출력 권선(23)보다도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즉, 여자 권선(22)의 도선은, 티스(27)의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선단부에 감겨지며, 제1 출력 권선(23)의 도선은, 여자 권선(22)보다도 코어 백(26)에 가까운 티스(27)의 부분에 감겨져 있다.
다른 티스(27)에 마련된 제1 출력 권선(23)도, 마찬가지로,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여자 권선(22)보다도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 각 티스(27)에 마련된 제2 출력 권선(24)도, 마찬가지로,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여자 권선(22)보다도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여기서, 도 10의 티스(27)에 감겨져 있는 여자 권선(22) 및 제1 출력 권선(23)의 영역에서의 자속 밀도의 분포를 계산에 의해 산출했다. 또, 도 11의 자속 밀도의 분포와 비교하기 위해서, 도 6의 비교예에서의 여자 권선(22),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의 영역에서의 자속 밀도의 분포도 계산에 의해 산출했다. 또, 실시 형태 2에서는, 여자 권선(22) 및 제2 출력 권선(24)의 영역에서의 자속 밀도의 분포도, 제1 출력 권선(23)의 경우와 동일하게 된다.
도 11은, 도 10의 여자 권선(22) 및 제1 출력 권선(23)의 영역에서의 자속 밀도의 분포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 도 12는, 도 6의 비교예에서의 여자 권선(22),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의 영역에서의 자속 밀도의 분포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비교하면, 도 11에 나타내어져 있는 자속 밀도의 변화가, 도 12에 나타내어져 있는 자속 밀도의 변화에 비해, 검출용 로터(3)의 주방향에 대해서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시 형태 2에서는,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이 설계 위치로부터 검출용 로터(3)의 주방향으로 어긋난 경우라도, 비교예에 비해,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각각으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변화하기 어렵게 되어,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출력 전압에 포함되는 오차가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에서의 검출용 로터(3)의 회전 각도의 오차와, 도 6의 비교예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에서의 검출용 로터의 회전 각도의 오차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또, 도 13에서는, 실시 형태 2의 검출용 로터(3)의 회전 각도의 오차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도 6의 비교예의 검출용 로터의 회전 각도의 오차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2에 의한 검출용 로터(3)의 회전 각도의 오차가, 비교예에 의한 검출용 로터의 회전 각도의 오차 보다도, 큰 폭으로 작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에서는, 공통의 티스(27)에서, 여자 권선(22)이 출력 권선(23, 24)보다도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티스(27)의 주위에서의 자속 밀도의 변화를 검출용 로터(3)의 주방향에 대해서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설계 위치로부터 검출용 로터(3)의 주방향으로 어긋난 경우라도,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에 쇄교하는 자속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출력 전압에 포함되는 오차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검출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에 쇄교하는 자속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를 제조한 경우, 회전 각도 검출 장치(1)마다의 검출 정밀도의 편차를 저감 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에서는, 한 쌍의 돌출부(27a)가 방해가 되므로, 절연체(25)를 티스(27)에 장착하기 전에, 제1 또는 제2 출력 권선(23, 24)과 여자 권선(22)을 절연체(25)에 미리 마련해 둘 수 없다. 따라서, 실시 형태 2에서는, 절연체(25)를 장착한 각 티스(27)에 권선기(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도선을 감고, 제1 또는 제2 출력 권선(23, 24)과 여자 권선(22)을 티스(27)에 마련하게 된다. 이 경우, 티스(27)에 권선기에 의해 도선을 감으므로, 도선의 위치가 설계 위치로부터 어긋나기 쉽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이와 같이 도선의 위치가 어긋나기 쉬운 권선기에 의해 티스(27)에 도선을 감는 경우라도,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출력 전압에 포함되는 오차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여자 권선(22)이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보다도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도선을 여자 권선(22)의 외주에 감을 필요가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찌그러진 감김(winding collapse)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각 티스(27)에 도선을 감는 순서를 여자 권선(22) 및 출력 권선(23, 24)의 어느 쪽으로부터에서도 행할 수 있어, 검출용 스테이터(2)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공통의 티스(27)에 마련된 여자 권선(22) 및 출력 권선(23, 24) 중,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출력 권선(23, 24)보다도 여자 권선(22)이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지만, 공통의 티스(27)에 마련된 여자 권선(22) 및 출력 권선(23, 24) 중,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여자 권선(22)보다도 출력 권선(23, 24)을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해도,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영역에서의 자속 밀도의 변화를 검출용 로터(3)의 주방향에 대해서 작게 할 수 있어,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에 쇄교하는 자속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11의 자속 밀도의 분포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티스(27)의 선단부(즉,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위치)측의 쪽이, 검출용 로터(3)의 주방향에 대한 자속 밀도의 구배(句配)가 크기 때문에, 슬롯(28) 내에서,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한 티스(27)의 범위 중,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범위이고, 또한 티스(27)의 길이의 1/2 이내의 범위에 모든 여자 권선(22)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슬롯(28) 내에서의 자속 분포의 편차를 더 저감시킬 수 있어,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위치가 어긋나도 출력 권선(23, 24)의 출력 전압의 편차를 더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검출 정밀도의 저하를 더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 도 14는, 여자 권선(22) 및 제1 출력 권선(23)이 티스(27)에 마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3에서는,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각각과 여자 권선(22)과의 위치 관계가 다르다.
즉, 공통의 티스(27)에 마련되어 있는 여자 권선(22) 및 제1 출력 권선(23) 중, 제1 출력 권선(23)은,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티스(27)의 범위에 걸쳐서 마련되며, 여자 권선(22)은,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서 티스(27)의 범위의 일부에만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여자 권선(22)이, 티스(27)의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선단부에만 마련되어 있다. 제1 출력 권선(23)은, 여자 권선(22)의 외주를 덮은 상태로 마련되어 있음과 아울러, 여자 권선(22)보다도 코어 백(26)에 가까운 티스(27)의 부분(즉,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여자 권선(22)보다도 검출용 로터(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티스(27)의 부분)에도 마련되어 있다.
다른 티스(27)에 마련된 제1 출력 권선(23)도, 마찬가지로, 여자 권선(22)의 외주를 덮은 상태로 마련되어 있음과 아울러, 여자 권선(22)보다도 코어 백(26)에 가까운 티스(27)의 부분에도 마련되어 있다. 또, 각 티스(27)에 마련된 제2 출력 권선(24)도, 마찬가지로, 여자 권선(22)의 외주를 덮은 상태로 마련되어 있음과 아울러, 여자 권선(22)보다도 코어 백(26)에 가까운 티스(27)의 부분에도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각각의 도선은, 티스(27)에 여자 권선(22)의 도선을 감은 후에, 티스(27)와 함께 여자 권선(22)을 덮도록 하여 티스(27)에 감겨져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에서는,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여자 권선(22)의 외주를 덮은 상태로 마련되어 있음과 아울러,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여자 권선(22)보다도 검출용 로터(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티스(27)의 부분에도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각각의 권수를 많이 할 수 있어, 여자 권선(22)에 흐르는 전류의 값을 크게 하지 않고,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각각의 출력 전압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여자 권선(22)이, 티스(27)의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선단부에만 마련되어 있으므로,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에 쇄교하는 자속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어, 복수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제조했을 때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마다의 검출 정밀도의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여자 권선(22)의 도선의 권수가 각 티스(27) 모두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도선이 여자 권선(22)의 외주에 감겨져도, 여자 권선(22)의 권수에 좌우되지 않고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도선을 감을 수 있어,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각각의 도선의 찌그러진 감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티스(27)의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위치에만 여자 권선(22)이 마련되어 있지만,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티스(27)의 검출용 로터(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만 여자 권선(22)을 마련하고, 여자 권선(22)의 외주, 및 여자 권선(22)보다도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티스(27)의 부분에, 제1 또는 제2 출력 권선(23, 24)을 마련하도록 해도 괜찮다.
실시 형태 4.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 도 15는, 여자 권선(22) 및 제1 출력 권선(23)이 티스(27)에 마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티스(27)에 마련되어 있는 여자 권선(22) 및 제2 출력 권선(24)에 대해서도, 도 15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절연체(25)는, 각 티스(27)의 측면을 따라서 마련된 권심부(卷芯部)(25a)와, 지름 방향에 대해 권심부(25a)의 외측 단부로부터 코어 백(26)의 내주면을 따라서 돌출되는 외측 절연부(25b)와, 지름 방향에 대해 권심부(25a)의 내측 단부로부터 검출용 로터(3)의 주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내측 절연부(25c)와, 외측 절연부(25b)와 내측 절연부(25c)와의 사이에서 주방향에 대해서 권심부(25a)로부터 검출용 로터(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획부(25d)를 가지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절연체(25)가, 합성 수지 재료(예를 들면, 66나일론(등록상표)(유리 섬유 강화품)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외측 절연부(25b)와 구획부(25d)와의 사이에는 제1 권선 영역(Aw1)이 형성되며, 내측 절연부(25c)와 구획부(25d)와의 사이에는 제2 권선 영역(Aw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권선 영역(Aw1)은,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서, 제2 권선 영역(Aw2) 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여자 권선(22)은 제2 권선 영역(Aw2)에 마련되고, 제1 또는 제2 출력 권선(23, 24)은 제1 권선 영역(Aw1)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각각과 여자 권선(22)은,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구획부(25d)에 의해서 나누어져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이러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에서는, 절연체(25)가,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각각과 여자 권선(22)을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구획하는 구획부(25d)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과 여자 권선(22)과의 사이의 절연 상태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구획부(25d)를 기준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과 여자 권선(22)과의 각각의 위치를 보다 확실히 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자동 권선기에 의해 도선을 티스(37)에 감는 것에 의해서도,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각각과 여자 권선(22)을, 보다 확실히 또한 보다 정확하게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분리하여 슬롯(28)에 배치할 수 있고, 실시 형태 2 또는 3의 경우 보다도, 여자 권선(22),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각각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여자 권선(22),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각각의 도선의 찌그러진 감김을 작게 하여 검출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 구획부(25d)는, 규소강판을 적층한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의 일부로서 형성해도 좋다. 단, 누설 자속의 방지의 관점으로부터, 비자성체에 의해 구획부(25d)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티스(27)의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위치에만 여자 권선(22)이 마련되어 있지만,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티스(27)의 검출용 로터(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만 여자 권선(22)을 마련하고, 여자 권선(22)의 외주, 및 여자 권선(22)보다도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티스(27)의 부분에, 제1 또는 제2 출력 권선(23, 24)을 마련하도록 해도 괜찮다. 즉, 제1 권선 영역(Aw1)에 여자 권선(22)을 마련하고, 제2 권선 영역(Aw2)에 제1 또는 제2 출력 권선(23, 24)을 마련해도 괜찮다.
실시 형태 5.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 도 16은, 여자 권선(22) 및 제1 출력 권선(23)이 티스(27)에 마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티스(27)에 마련되어 있는 여자 권선(22) 및 제2 출력 권선(24)에 대해서도, 도 16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권심부(25a)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여자 권선(22)이 끼워지는 오목부(41)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41)는,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권심부(25a)의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위치(즉, 티스(27)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만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여자 권선(22)의 전체가 오목부(41)에 수용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여자 권선(22)의 두께를 오목부(41)의 깊이와 일치시켜 여자 권선(22)이 오목부(41)에 수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동일하다.
이러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에서는, 여자 권선(22)이 끼워지는 오목부(41)가 권심부(25a)의 외주면의 일부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여자 권선(22)의 티스(27)에 대한 위치 결정을 보다 정확하게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티스(27) 마다 또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1)마다 생기는 여자 권선(22)의 위치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여자 권선(22)의 외주에 제1 또는 제2 출력 권선(23, 24)의 도선을 감을 때에, 제1 또는 제2 출력 권선(23, 24)의 도선의 찌그러진 감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검출 정밀도의 향상을 더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여자 권선(22)의 전체가 오목부(41)에 수용되어 있지만, 여자 권선(22)이 오목부(41)에 끼워져 있으면 여자 권선(22)의 위치 결정을 보다 정확하게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여자 권선(22)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부(41)에 수용되어 있으면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권심부(25a)의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위치에 오목부(41)가 마련되어 있지만, 오목부(41)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권심부(25a)의 검출용 로터(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오목부(41)를 마련해도 좋다.
실시 형태 6.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 18은, 도 17의 여자 권선(22)과, 권수가 많은 제1 출력 권선(23)과 티스(27)에 마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게다가, 도 19는, 도 17의 여자 권선(22)과, 권수가 적은 제1 출력 권선(23)이 티스(27)에 마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제1 출력 권선(23)이 마련되어 있는 각 티스(27) 중, 일부의 복수의 티스(27)(즉, 티스 번호가 1, 7, 13인 각각의 티스(27))에 마련되어 있는 제1 출력 권선(23)(도 18)의 권수와, 나머지의 복수의 티스(27)(즉, 티스 번호가 3, 5, 9, 11, 15, 17인 각각의 티스(27))에 마련되어 있는 제1 출력 권선(23)(도 19)의 권수는,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르다. 이 예에서는, 티스 번호가 3, 5, 9, 11, 15, 17인 각각의 티스(27)에 마련되어 있는 제1 출력 권선(23)의 권수(즉, 도 19에 나타내어져 있는 제1 출력 권선(23)의 권수)가, 모든 제1 출력 권선(23) 중에서 가장 적은 권수(최소의 권수)로 되어 있다. 또, 각 제1 출력 권선(23)의 도선의 지름은, 동일하다. 따라서, 서로 권수가 다른 복수의 제1 출력 권선(23)이 차지하는 각각의 영역의 크기는, 서로 다르다.
또, 서로 권수가 다른 복수의 제1 출력 권선(23)의 각각의 치수는,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르다. 즉, 권수가 많은 제1 출력 권선(23)의 지름 방향 치수 D1은, 권수가 적은 제1 출력 권선(23)의 지름 방향 치수 D2 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게다가, 서로 권수가 다른 복수의 제1 출력 권선(23)의 각각의 위치(중심 위치)는,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르다.
도 20은, 도 19의 티스(27)에 마련된 제1 출력 권선(23)의 지름 방향 위치와 제1 출력 권선(23)의 쇄교 자속 및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에 의한 검출 각도 오차의 각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수가 가장 적은 제1 출력 권선(23)의 지름 방향 위치가 변화하면, 제1 출력 권선(23)의 쇄교 자속의 0차 성분인 오프셋(offset)값이 크게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1 출력 권선(23)의 쇄교 자속의 오프셋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에 제1 출력 권선(23)이 있을 때에,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에 의한 검출 각도 오차가 최소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1은, 도 18 및 도 19의 각각 제1 출력 권선(23)의 각각에서의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한 권수 1당 쇄교 자속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수 1당 쇄교 자속 φ(x)는, 도 18 및 도 19에서 티스(27)와 돌출부(27a)와의 교점(交点)을 원점으로 하는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한 x좌표에 대한 함수로 되어 있다. 또,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출력 권선(23)의 지름 방향 치수는, 각각 D1=D1e-D1s 및 D2=D2e-D2s로 나타내어진다. 또, D1s<D2s<D2e<D1e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도 18의 제1 출력 권선(23)에서의 쇄교 자속 φ1과, 도 19의 제1 출력 권선(23)에서의 쇄교 자속 φ2와의 관계는,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당 권수를 Wx로 하면,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수식 10]
Figure 112016059786174-pct00010
이와 같이, 권수가 많은 제1 출력 권선(23)의 쇄교 자속의 양과, 권수가 적은 제1 출력 권선(23)의 쇄교 자속의 양은, 서로 다르다. 게다가, 도 21로부터, 권수 1당 쇄교 자속 φ(x)가 x좌표에 대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도 19의 제1 출력 권선(23)에서의 D2s와 D2e가 다르면, D2가 동일한 경우에도 쇄교 자속 φ2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1 출력 권선(23)의 권수가 동일해도, 제1 출력 권선(23)의 x좌표의 위치가 다름으로써, 제1 출력 권선(23)의 쇄교 자속의 양은 다르다.
이와 같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수가 서로 다른 복수의 제1 출력 권선(23) 사이에서 쇄교 자속의 양이 다른 것과, 권수가 동일하고 x좌표의 위치가 다른 제1 출력 권선(23)의 쇄교 자속의 양이 다른 것과,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수가 서로 다른 복수의 제1 출력 권선(23) 사이에서 감김 방향(즉, 극성)도 다른 것에 의해, 제1 출력 권선(23)의 쇄교 자속에 오프셋값이 생기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출력 권선(23)의 지름 방향 위치가 변화하면, 제1 출력 권선(23)의 쇄교 자속의 오프셋값이 크게 변화한다.
제1 출력 권선(23)의 쇄교 자속의 오프셋값이 클수록, 제1 출력 권선(23)의 출력 전압의 0차 성분이 커져, 각도 오차의 축배각 성분이 커진다. 반대로, 제1 출력 권선(23)의 쇄교 자속의 오프셋값이 작아지도록 제1 출력 권선(23)의 지름 방향 위치를 조정하면, 식 (10) 및 식 (14)로부터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검출 각도 오차의 축배각 성분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에서는, 권수가 가장 적은 제1 출력 권선(23)의 위치를,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조정하는 것에 의해, 서로 권수가 다른 복수의 제1 출력 권선(23)의 각각의 위치가 서로 다른 위치가 되어, 제1 출력 권선(23)의 쇄교 자속의 오프셋값이 작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이러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에서는, 서로 권수가 다른 복수의 제1 출력 권선(23)의 각각의 위치가,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르므로, 제1 출력 권선(23)의 쇄교 자속의 오프셋값이 작아지도록 조정하는 것에 의해,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에 의한 검출 각도 오차의 축배각 성분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어, 검출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각 제1 출력 권선(23) 중, 권수가 가장 적은 제1 출력 권선(23)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서로 권수가 다른 복수의 제1 출력 권선(23)의 각각의 위치가,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가 되므로, 각 제1 출력 권선(23) 중, 일부의 제1 출력 권선(23)만의 위치 조정을 행하는 것만으로, 제1 출력 권선(23)의 쇄교 자속의 오프셋값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제1 출력 권선(23)의 위치 조정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티스(27)의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위치에만 여자 권선(22)이 마련되어 있지만,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티스(27)의 검출용 로터(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만 여자 권선(22)을 마련하고, 여자 권선(22)의 외주, 및 여자 권선(22)보다도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티스(27)의 부분에, 제1 또는 제2 출력 권선(23, 24)을 마련하도록 해도 괜찮다.
실시 형태 7.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 23은, 도 22의 여자 권선(22)과, 권수가 많은 제1 출력 권선(23)이 티스(27)에 마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게다가, 도 24는, 도 22의 여자 권선(22)과, 권수가 적은 제1 출력 권선(23)이 티스(27)에 마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각 제1 출력 권선(23) 및 각 제2 출력 권선(24)의 각각의 구성은, 실시 형태 6과 동일하다. 즉, 권수가 많은 제1 출력 권선(23)의 지름 방향 치수 D1은, 권수가 적은 제1 출력 권선(23)의 지름 방향 치수 D2 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 서로 권수가 다른 복수의 제1 출력 권선(23)의 각각의 위치(중심(中心) 위치)는,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르다.
실시 형태 7에서는, 제1 출력 권선(23)과 코어 백(26)과의 사이의 공간이 외측 절연부(25b)에 의해 메워지며, 제1 출력 권선(23)과 여자 권선(22)과의 사이의 공간이 구획부(25d)에 의해 메워져 있다. 또, 제1 출력 권선(23)과 코어 백(26)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외측 절연부(25b)의 치수와, 제1 출력 권선(23)과 여자 권선(22)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구획부(25d)의 치수가, 각 제1 출력 권선(23)의 지름 방향 치수 D1, D2(도 18 및 도 19)에 맞추어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서로 다른 지름 방향 치수 D1, D2를 가지는 각 제1 출력 권선(23)에 대한 외측 절연부(25b) 및 구획부(25d)의 각각의 치수는,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르다. 즉, 지름 방향 치수 D2를 가지는(즉, 권수가 적은) 제1 출력 권선(23)에 대한 외측 절연부(25b) 및 구획부(25d)의 각각의 치수는, 지름 방향 치수 D2 보다도 큰 지름 방향 치수 D1를 가지는(즉, 권수가 많은) 제1 출력 권선(23)에 대한 외측 절연부(25b) 및 구획부(25d) 각각의 치수 보다도,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크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4와 동일하다.
이러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에서는, 서로 다른 지름 방향 치수 D1, D2를 가지는 각 제1 출력 권선(23)의 각각에 대해서, 제1 출력 권선(23)과 코어 백(26)과의 사이의 공간이 외측 절연부(25b)에 의해 메워지며, 제1 출력 권선(23)과 여자 권선(22)과의 사이의 공간이 구획부(25d)에 의해 메워져 있으므로, 서로 다른 지름 방향 치수 D1, D2를 가지는 각 제1 출력 권선(23)이라도, 외측 절연부(25b) 및 구획부(25d)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출력 권선(23)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어,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각 제1 출력 권선(23)의 각각의 위치 결정을 보다 정확하게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서로 권수가 다른 복수의 제1 출력 권선(23)의 각각의 위치가,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르므로, 각 제1 출력 권선(23)의 위치의 조정에 의해, 실시 형태 6과 마찬가지로 검출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티스(27)의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위치에만 여자 권선(22)이 마련되어 있지만,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티스(27)의 검출용 로터(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만 여자 권선(22)을 마련하고, 여자 권선(22)의 외주, 및 여자 권선(22)보다도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티스(27)의 부분에, 제1 또는 제2 출력 권선(23, 24)을 마련하도록 해도 괜찮다. 즉, 제1 권선 영역(Aw1)에 여자 권선(22)을 마련하고, 제2 권선 영역(Aw2)에 제1 또는 제2 출력 권선(23, 24)을 마련해도 괜찮다.
실시 형태 8.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 26은, 도 25의 여자 권선(22),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의 각각의 도선의 권수를 나타내는 표이다. 또, 도 26에서 나타내어져 있는 티스 번호는, 도 25의 각 티스(27)에 편의적으로 배정한 주방향으로 연속하는 번호(도 25에서 사각형의 프레임으로 둘러싸고 있는 번호)이다. 또, 도 26의 티스 번호 아래에 있는 숫자는, 티스 번호에 대응하는 티스(27)에 감겨진 도선의 권수이다. 게다가, 도 26의 권수에서의 정의 숫자와 부의 숫자는, 도선의 감김 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 형태 8에서는, 티스(27)의 수, 여자 권선(22),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의 각각의 권수, 검출용 로터(3)의 돌극(31)의 수가, 실시 형태 1과 다르다.
즉, 실시 형태 8에서는, 주방향에 대해서 등간격으로 늘어서는 티스(27)의 수가 30개로 되어 있다. 또, 검출용 로터(3)가 검출용 스테이터(2)에 대해서 회전했을 때에는, 검출용 로터(3)와 검출용 스테이터(2)와의 사이에서의 퍼미언스의 맥동이 각 돌극(31)의 존재에 의해서 정현파 모양으로 변화한다.
여자 권선(22)의 도선은, 서로 이웃하는 티스(27)마다 감김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하여, 모든 티스(27)에 40회씩 감겨져 있다.
제1 출력 권선(23)의 도선은, 티스 번호가 1, 7, 13, 19, 25인 각 티스(27)에 380회씩 감겨지고, 티스 번호가 3, 5, 9, 11, 15, 17, 21, 23, 27, 29인 각 티스(27)에 190회씩 감겨져 있다. 티스 번호가 1, 7, 13, 19, 25인 각 티스(27)에 감겨져 있는 제1 출력 권선(23)의 도선은, 각각 동일 방향으로 감겨져 있다. 또, 티스 번호가 3, 5, 9, 11, 15, 17, 21, 23, 27, 29인 각 티스(27)에 감겨져 있는 제1 출력 권선(23)의 도선은, 티스 번호가 1, 7, 13, 19, 25인 각 티스(27)에 감겨져 있는 제1 출력 권선(23)의 도선의 감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감겨져 있다.
제2 출력 권선(24)의 도선은, 티스 번호가 2, 6, 8, 12, 14, 18, 20, 24, 26, 30인 각 티스(27)에 330회씩 감겨져 있다. 티스 번호가 2, 8, 14, 20, 26인 각 티스(27)에 감겨져 있는 제2 출력 권선(24)의 도선은, 각각 동일 방향으로 감겨져 있다. 또, 티스 번호가 2, 8, 14, 20, 26인 각 티스(27)에 감겨져 있는 제2 출력 권선(24)의 도선은, 티스 번호가 6, 12, 18, 24, 30인 각 티스(27)에 감겨져 있는 제2 출력 권선(24)의 도선의 감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감겨져 있다. 티스 번호가 4, 10, 16, 22, 28인 각 티스(27)에는, 출력 권선을 정현파 모양으로 분포시키기 때문에,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은 감겨져 있지 않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도 27은, 도 25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돌극(31)의 수(축배각), 티스(27)의 수, 여자 권선(22)의 공간 차수,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공간 차수를 실시예 8-1로서 나타내는 표이다. 또, 도 27에서는, 실시예 8-1 뿐만 아니라, 실시 형태 8에서 돌극(31)의 수(축배각)를 변경한 다른 실시예 8-2 및 8-3의 티스(27)의 수, 여자 권선(22)의 공간 차수,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공간 차수에 대해서도 나타내고 있다.
실시 형태 8에서의 실시예 8-1에서는, 도 27에서의 축배각 N이 20, 여자 권선(22)의 공간 차수 M(즉, 티스(27)의 수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가 15,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공간 차수 |M±N|가 35 또는 5(또, 35는 5와 등가)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시예 8-1에서는,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검출하는 오차의 공간 차수 δ=|M-|M±N||가 20 및 10, 공간 차수 δ를 검출하는 오차의 공간 차수 ε=|δ-M|가 5로 되어 있다. 즉, 실시예 8-1에서는,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 ε이 1, 2, 3, 4 이외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시예 8-1에서는, 오차의 공간 차수 δ가 20 및 10이며, 공간 차수 δ를 검출하는 오차의 공간 차수 ε이 5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오차의 공간 차수의 저차 성분인 1차, 2차, 3차, 4차의 오차의 공간 차수를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취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실시예 8-1에서는, 이들 1차, 2차, 3차, 4차의 오차 성분을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취하지 않기 때문에, 검출용 스테이터(2) 또는 검출용 로터(3)의 편심, 타원 모양 변형, 삼각형 모양의 변형, 사각형 모양의 변형, 자기 이방성 등의 노이즈에 대해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각도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도 27의 실시예 8-2에서는, 축배각 N이 10, 여자 권선(22)의 공간 차수 M이 15,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공간 차수 |M±N|이 25 또는 5(또, 25는 5와 등가)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시예 8-2에서는,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검출하는 오차의 공간 차수 δ=|M-|M±N||가 10, 공간 차수 δ를 검출하는 오차의 공간 차수 ε=|δ-M|가 5로 되어 있다. 즉, 실시예 8-2에서도,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 ε이 1, 2, 3, 4 이외로 설정되어 있다.
게다가, 도 27의 실시예 8-3에서는, 축배각 N이 24, 여자 권선(22)의 공간 차수 M이 15,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의 공간 차수 |M±N|이 39 또는 9(또, 39는 9와 등가)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시예 8-3에서는,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검출하는 오차의 공간 차수 δ=|M-|M±N||가 24 및 6, 공간 차수 δ를 검출하는 오차의 공간 차수 ε=|δ-M|가 9로 되어 있다. 즉, 실시예 8-3에서도, 오차의 공간 차수 ε이 1, 2, 3, 4 이외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8-2 및 8-3에서도, 실시예 8-1과 마찬가지로 1차, 2차, 3차, 4차의 오차 성분을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취하지 않기 때문에, 검출용 스테이터(2) 또는 검출용 로터(3)의 편심, 타원 모양 변형, 삼각형 모양의 변형, 사각형 모양의 변형, 자기 이방성 등의 노이즈에 대해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각도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에서는,|M-|M±N||로 나타내어지는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δ-M|로 나타내어지는 오차의 공간 차수 ε가 1, 2, 3, 4 이외로 되어 있으므로, 1차, 2차, 3차, 4차의 각각의 오차 성분을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이 검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검출용 스테이터(2) 또는 검출용 로터(3)의 편심, 타원 모양 변형, 삼각형 모양의 변형, 사각형 모양의 변형 및 자기 이방성 등의 노이즈에 대해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각도 오차를 저감할 수 있어, 검출 오차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여자 권선(22)이 모든 티스(27)에 각각 감겨져 있으므로, 검출용 스테이터(2)의 티스(27)의 수(즉, 2M)에 대해서, 여자 권선(22)의 공간 차수(극쌍수) M을 최대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여자 권선(22)의 기자력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이 티스(27) 사이에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 각도 검출 장치(1)를 이용한 회전 전기(101)에서는, 로터(103)의 위치 및 속도의 제어에 대해서 고정밀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9.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회전 전기(101)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로터 요크(115)는, 베어링(109)이 장착된 로터 요크 본체(117)와, 로터 요크 본체(117)의 외주부에 고정되며, 지지축(108)과 동축에 배치된 원통 모양의 로터 통부(118)를 가지고 있다. 로터 요크 본체(117)의 중앙부에는, 관통공(121)이 마련되어 있다. 지지축(108)의 선단부에는, 관통공(121) 내에 도달하는 검출기용 축(122)이 지지축(108)과 동축에 마련되어 있다. 검출기용 축(122)의 외경은, 지지축(108)의 외경 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로터 요크 본체(117)의 관통공(121) 내에는, 로터(103)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1)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 각도 검출 장치(1)는, 검출기용 축(122)에 고정된 검출용 스테이터(2)와, 지름 방향에 대해 검출용 스테이터(2)와 대향하며, 검출용 스테이터(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자성체인 검출용 로터(3)를 가지고 있다. 이 예에서는, 검출용 로터(3)의 형상이 링 모양이 되고, 검출용 스테이터(2)가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검출용 로터(3)가 로터 요크 본체(117)의 관통공(121) 내에 고정되며, 검출용 로터(3)가 로터 요크 본체(117)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 전기(101)의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도 29는, 도 28의 회전 각도 검출 장치(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검출용 스테이터(2)는, 자성체인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와,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여자 권선(22), 복수의 제1 출력 권선(23) 및 복수의 제2 출력 권선(24)과,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에 마련되며, 각 여자 권선(22), 각 제1 출력 권선(23) 및 각 제2 출력 권선(24)의 각각과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절연체(25)를 가지고 있다. 각 여자 권선(22), 각 제1 출력 권선(23) 및 각 제2 출력 권선(24)의 각각과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와의 사이의 절연 상태는, 절연체(25)에 의해 확보된다.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는, 검출기용 축(122)에 중앙부가 감합(嵌合, 끼워 맞춤)(고정)된 코어 백(26)과, 코어 백(26)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며,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의 주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티스(27)를 가지고 있다. 이 예에서는, 18개의 티스(27)가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의 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늘어서 있다.
여자 권선(22)은, 각 티스(27)에 각각 감겨져 있다. 각 여자 권선(22)은,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출력 권선(COS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SIN 권선)(24)은, 서로 다른 상의 출력 권선으로 되어 있다. 각 제1 출력 권선(23)은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며, 각 제2 출력 권선(24)도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은,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의 주방향에 대해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티스(27)에 동일한 상의 출력 권선(23, 24)이 감겨지는 것을 피하면서, 서로 다른 티스(27)에 각각 감겨져 있다. 이 예에서는, 복수의 티스(27) 중 주방향에 대해서 1개 간격으로 선택된 복수의 티스(27)에, 제1 출력 권선(23)이 각각 감겨지고, 제1 출력 권선(23)이 감겨져 있는 티스(27)와 다른 복수의 티스(27)에, 제2 출력 권선(24)이 각각 감겨져 있다.
공통의 티스(27)에 마련되어 있는 여자 권선(22) 및 제1 출력 권선(23)은,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늘어서 있다. 또, 여자 권선(22)은,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제1 출력 권선(23)보다도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즉, 여자 권선(22)의 도선은, 티스(27)의 검출용 로터(3)에 가까운 선단부에 감겨지고, 제1 출력 권선(23)의 도선은, 여자 권선(22)보다도 코어 백(26)에 가까운 티스(27)의 부분에 감겨져 있다.
다른 티스(27)에 마련된 제1 출력 권선(23)도, 마찬가지로,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여자 권선(22)보다도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 각 티스(27)에 마련된 제2 출력 권선(24)도, 마찬가지로, 검출용 로터(3)의 지름 방향에 대해 여자 권선(22)보다도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검출용 로터(3)는, 검출용 로터(3)의 주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돌극(31)을 가지고 있다. 또, 검출용 로터(3)는, 검출용 스테이터(2)의 외주면에 각 돌극(31)을 지름 방향에 대해 대향시키면서 검출용 스테이터(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검출용 로터(3)가 검출용 스테이터(2)에 대해서 회전했을 때에는, 검출용 로터(3)와 검출용 스테이터(2)와의 사이에서의 퍼미언스의 맥동이 각 돌극(31)의 존재에 의해서 정현파 모양으로 변화한다.
각 여자 권선(22)에는, 각 여자 권선(22)으로의 교류 전력의 공급에 의해 기자력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검출용 로터(3) 및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21)를 통과하는 자속이 발생한다.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에는, 이 자속이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을 쇄교하는 것에 의해 전압이 발생한다. 검출용 로터(3)와 검출용 스테이터(2)와의 사이에서의 퍼미언스가 검출용 로터(3)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정현파 모양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검출용 로터(3)의 회전 각도는,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의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검출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즉, 실시 형태 9에서는, 검출용 스테이터(2)가 검출용 로터(3)보다도 지름 방향 내측에 있는 점과, 여자 권선(22)이 제1 및 제2 출력 권선(23, 24)보다도 지름 방향 외측에 마련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검출용 로터(3)보다도 지름 방향 내측에 검출용 스테이터(2)를 마련해도,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각 티스(27)가 코어 백(26)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각 티스(27)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28)의 개구폭을 실시 형태 1과 비교하여 넓힐 수 있어, 여자 권선(22), 제1 출력 권선(23) 및 제2 출력 권선(24)의 각각의 도선을 티스(27)에 감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검출용 로터(3)가 로터 요크 본체(117)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실시 형태 1과 같은 중공의 지지축(108) 내에 검출기용 축(119)을 통과한 구조로 할 필요가 없게 되어, 회전 전기(101)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코스트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0.
상기 실시 형태 1~9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 및 회전 전기(101)를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적용해도 괜찮다.
즉,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 및 회전 전기(101)를 적용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와, 회전 전기인 모터(171)와, 모터(17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172)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172)는, 베어링(109)을 매개로 하여 지지축(10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 쉬브(172)는, 로터 요크(115)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구동 쉬브(172) 및 로터 요크(115)를 구성하는 재료가 주철로 되어 있다. 구동 쉬브(172)는, 지지축(108)의 축선 방향에 대해서, 스테이터(102)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구동 쉬브(172) 및 로터(103)는, 스테이터 코일(111)로의 통전에 의해, 지지축(108)의 축선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된다. 구동 쉬브(172)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메인 로프용 홈(173)이 구동 쉬브(172)의 주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매다는 복수개의 메인 로프는, 각 메인 로프용 홈(173)을 따라서 구동 쉬브(172)에 감아 걸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는, 구동 쉬브(172)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 내에서 승강된다.
로터 통부(118)의 내측에는, 구동 쉬브(172) 및 로터(103)에 대해서 제동력을 부여하는 브레이크 장치(174)가 마련되어 있다. 브레이크 장치(174)는, 로터 통부(118)에 대해서 로터(103)의 지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브레이크 슈(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장치(174)는, 브레이크 슈를 로터 통부(118)의 내주면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구동 쉬브(172) 및 로터(103)에 제동력을 부여하고, 브레이크 슈를 로터 통부(118)로부터 떼어 내는 것에 의해 구동 쉬브(172) 및 로터(103)에 대한 제동력을 해제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서는, 실시 형태 1에 의한 회전 전기(101)가 모터(171)로서 이용되고 있음과 아울러, 실시 형태 1에 의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가 모터(171)에 이용되고 있으므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로터(103)의 위치 및 속도의 제어에 대해서 고정밀화를 도모할 수 있고, 토크 맥동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회전 전기(101)가 권상기의 모터(171)로 되어 있지만, 실시 형태 2 내지 9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회전 각도 검출 장치(1)를 이용한 회전 전기(101)를 권상기의 모터(171)로 해도 괜찮다.
또, 실시 형태 1~9에서는, 로터(103)의 외주를 고리 모양의 스테이터(102)가 둘러싸는 이너 로터형 회전 전기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지만, 스테이터(102)의 외주를 고리 모양의 로터(103)가 둘러싸는 아우터 로터형 회전 전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괜찮다.

Claims (14)

  1.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여자(勵磁) 권선, 제1 출력 권선 및 제2 출력 권선을 가지는 검출용 스테이터, 및
    주방향(周方向,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돌극(突極, salient pole)을 가지고, 상기 검출용 스테이터에 각 돌극을 지름 방향에 대해 대향시키면서 상기 검출용 스테이터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검출용 로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출력 권선 및 상기 제2 출력 권선은, 서로 다른 상(相)의 출력 권선이 되고,
    상기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는, 주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티스(teeth)를 가지고,
    상기 여자 권선은, 각 상기 티스에 각각 감겨지고,
    상기 제1 출력 권선 및 상기 제2 출력 권선은, 주방향에 대해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티스에 동일한 상(相)의 상기 출력 권선이 감겨지는 것을 피하면서, 서로 다른 상기 티스에 감겨져 있고,
    상기 여자 권선의 극쌍수(數)는, 1이상의 정수(整數)인 M이 되고,
    상기 돌극의 수는, 1이상의 정수인 N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 출력 권선 및 상기 제2 출력 권선의 각각의 권수의 공간 분포는, 공간 |M±N|차의 정현파(正弦波)로 나타내어지는 함수와, 상기 공간 |M±N|차의 정현파의 진폭과 동일한 진폭을 가지는 공간 |M-|M±N||차의 정현파로 나타내어지는 함수와의 합으로 나타내어지는 함수에 의해서 얻어지며,
    |M-|M±N||으로 나타내어지는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δ-M|으로 나타내어지는 오차의 공간 차수 ε는, 1 및 2 이외로 되어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 ε는, 또한 4 이외로 되어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3.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여자(勵磁) 권선, 제1 출력 권선 및 제2 출력 권선을 가지는 검출용 스테이터, 및
    주방향(周方向,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돌극(突極, salient pole)을 가지고, 상기 검출용 스테이터에 각 돌극을 지름 방향에 대해 대향시키면서 상기 검출용 스테이터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검출용 로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출력 권선 및 상기 제2 출력 권선은, 서로 다른 상(相)의 출력 권선이 되고,
    상기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는, 주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티스(teeth)를 가지고,
    상기 여자 권선은, 각 상기 티스에 각각 감겨지고,
    상기 제1 출력 권선 및 상기 제2 출력 권선은, 주방향에 대해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티스에 동일한 상(相)의 상기 출력 권선이 감겨지는 것을 피하면서, 서로 다른 상기 티스에 감겨져 있고,
    상기 여자 권선의 극쌍수(數)는, 1이상의 정수(整數)인 M이 되고,
    상기 돌극의 수는, 1이상의 정수인 N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 출력 권선 및 상기 제2 출력 권선의 각각의 권수의 공간 분포는, 공간 |M±N|차의 정현파(正弦波)로 나타내어지는 함수에 의해서 얻어지고,
    |M-|M±N||으로 나타내어지는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δ-M|으로 나타내어지는 오차의 공간 차수 ε는, 1 및 2 이외로 되어 있고,
    상기 여자 권선의 극쌍수 M은, 9이며,
    상기 돌극의 수 N은, 15, 24 또는 30 중 어느 하나인 회전 각도 검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 ε는, 또한 4 이외로 되어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5.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여자(勵磁) 권선, 제1 출력 권선 및 제2 출력 권선을 가지는 검출용 스테이터, 및
    주방향(周方向,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돌극(突極, salient pole)을 가지고, 상기 검출용 스테이터에 각 돌극을 지름 방향에 대해 대향시키면서 상기 검출용 스테이터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검출용 로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출력 권선 및 상기 제2 출력 권선은, 서로 다른 상(相)의 출력 권선이 되고,
    상기 검출용 스테이터 코어는, 주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티스(teeth)를 가지고,
    상기 여자 권선은, 각 상기 티스에 각각 감겨지고,
    상기 제1 출력 권선 및 상기 제2 출력 권선은, 주방향에 대해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티스에 동일한 상(相)의 상기 출력 권선이 감겨지는 것을 피하면서, 서로 다른 상기 티스에 감겨져 있고,
    상기 여자 권선의 극쌍수(數)는, 1이상의 정수(整數)인 M이 되고,
    상기 돌극의 수는, 1이상의 정수인 N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 출력 권선 및 상기 제2 출력 권선의 각각의 권수의 공간 분포는, 공간 |M±N|차의 정현파(正弦波)로 나타내어지는 함수에 의해서 얻어지고,
    |M-|M±N||으로 나타내어지는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δ-M|으로 나타내어지는 오차의 공간 차수 ε는, 1 및 2 이외로 되어 있고,
    상기 여자 권선의 극쌍수 M은, 15이며,
    상기 돌극의 수 N은, 10, 20 또는 24 중 어느 하나인 회전 각도 검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오차의 공간 차수 δ 및 ε는, 또한 4 이외로 되어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 권선 및 상기 출력 권선이 감겨져 있는 공통의 상기 티스에서는, 상기 여자 권선 및 상기 출력 권선 중, 일방이 타방 보다도 지름 방향에 대해 상기 검출용 로터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 스테이터는, 상기 여자 권선 및 상기 출력 권선의 각각과 상기 티스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절연체를 더 가지며,
    상기 절연체는, 상기 여자 권선과 상기 출력 권선을 지름 방향에 대해 구획하는 구획부를 가지고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 스테이터는, 상기 여자 권선 및 상기 출력 권선의 각각과 상기 티스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절연체를 더 가지며,
    상기 여자 권선은, 지름 방향에 대한 상기 출력 권선의 범위 내의 일부에만 마련되고,
    상기 출력 권선은, 상기 여자 권선의 외주를 덮은 상태로 상기 티스에 감겨지며,
    상기 절연체에는, 상기 여자 권선이 끼워지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권수가 다른 복수의 상기 제1 출력 권선의 각각의 위치는, 지름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서로 권수가 다른 복수의 상기 제1 출력 권선의 각각의 위치는, 권수가 가장 적은 상기 제1 출력 권선의 위치의 조정에 의해, 지름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회전 각도 검출 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티스 중, 상기 제1 출력 권선 및 상기 제2 출력 권선이 감겨져 있지 않은 상기 티스가 존재하고 있는 회전 각도 검출 장치.
  13.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서 회전되는 로터, 및
    상기 검출용 로터가 상기 로터와 일체로 회전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회전 각도 검출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회전 전기.
  14. 청구항 13에 기재된 회전 전기인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sheave)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KR1020167016562A 2013-12-09 2013-12-09 회전 각도 검출 장치, 회전 전기, 및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KR101923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82980 WO2015087381A1 (ja) 2013-12-09 2013-12-09 回転角度検出装置、回転電機、及びエレベータ用巻上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931A KR20160088931A (ko) 2016-07-26
KR101923286B1 true KR101923286B1 (ko) 2018-11-28

Family

ID=53370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562A KR101923286B1 (ko) 2013-12-09 2013-12-09 회전 각도 검출 장치, 회전 전기, 및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54133B2 (ko)
JP (1) JP6009101B2 (ko)
KR (1) KR101923286B1 (ko)
CN (1) CN105814406B (ko)
BR (1) BR112016011562A2 (ko)
DE (1) DE112013007675B4 (ko)
WO (1) WO20150873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7304B2 (ja) * 2015-03-20 2019-08-28 株式会社東芝 回転電機及び巻上機
US10222240B2 (en) 2015-06-05 2019-03-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solver,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elevator hoisting machine
DE102016217255A1 (de) * 2016-09-09 2018-03-15 Robert Bosch Gmbh Drehwinkelsensor und Statorelement für diesen
US10737908B2 (en) * 2016-11-22 2020-08-11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kit for retrofitting elevator machines with thrust bearing, and retrofitted elevator machine
US10578463B2 (en) * 2016-12-19 2020-03-03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Detection of defects in motor position decoder system
US10693336B2 (en) * 2017-06-02 2020-06-23 Whirlpool Corporation Winding configuration electric motor
CN107140509B (zh) * 2017-06-05 2022-12-27 浙江西子富沃德电机有限公司 一种曳引机
JP2019032200A (ja) * 2017-08-07 2019-02-28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位置センサ及びモータ
EP3712565B1 (en) * 2017-12-22 2022-06-08 Matsuo Industries, Inc. Rotation angle sensor
JP6532574B1 (ja) * 2018-06-05 2019-06-19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角度検出装置
KR102323758B1 (ko) * 2018-09-18 2021-11-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
EP3907857B1 (en) * 2020-05-06 2024-03-13 ABB Schweiz AG An electric machine
CN115001220B (zh) * 2022-06-30 2024-07-12 天津工业大学 一种用于电机转子位置检测的平面电感线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1040A (ja) 2002-11-01 2004-05-27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角度検出装置および回転電機
JP2007288961A (ja) 2006-04-19 2007-11-01 Yasuo Iijima バリアブルリラクタンス型角度検出器
JP2011188611A (ja) 2010-03-08 2011-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ゾルバ
JP2012117862A (ja) 2010-11-30 2012-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ゾルバ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96219B1 (fr) * 1986-03-21 1988-04-22 Elf Aquitaine Circuit de commande de la commutation d'un moteur et application a la variation de vitesse du circuit de commande
JPH0328715A (ja) * 1989-06-27 1991-02-06 Okuma Mach Works Ltd アブソリュート位置検出器
US5329195A (en) * 1992-11-02 1994-07-12 Seiberco Incorporated Sensor motor
JP2698013B2 (ja) * 1993-01-19 1998-01-19 彰 石崎 位置検出装置
JP2003104666A (ja) * 2001-09-28 2003-04-09 Meidensha Corp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3938501B2 (ja) 2001-10-16 2007-06-27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角度検出装置、それを用いた永久磁石型回転電機、及び、永久磁石型回転電機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926664B2 (ja) * 2002-04-15 2007-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角度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回転電機
JP4397788B2 (ja) * 2004-10-28 2010-01-13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角度検出装置
JP4781666B2 (ja) * 2004-11-17 2011-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バリアブルリラクタンス型角度検出器
WO2007029678A1 (ja) 2005-09-05 2007-03-1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レゾルバ
JP4882513B2 (ja) 2006-05-30 2012-02-2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回転角検出装置およびトルクセンサ
DE112009001282B4 (de) 2008-05-27 2013-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Drehwinkelerfassungsvorrichtung
JP5518363B2 (ja) * 2009-04-27 2014-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角度検出装置
JP4654348B1 (ja) 2010-02-23 2011-03-16 多摩川精機株式会社 検出装置用巻線の正弦波巻線方法
JP2011064710A (ja) 2011-01-05 2011-03-31 Mitsubishi Electric Corp バリアブルリラクタンス型角度検出器
JP5646092B2 (ja) * 2011-12-23 2014-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永久磁石型モータ
EP3197030A4 (en) * 2014-08-21 2018-04-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solver
EP3211382B1 (en) * 2014-10-20 2020-01-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otation angle detection device,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elevator hoisting machine
US9755470B2 (en) * 2014-10-30 2017-09-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otary electric machin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ing rotary electric machine
US10222240B2 (en) * 2015-06-05 2019-03-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solver,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elevator hoist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1040A (ja) 2002-11-01 2004-05-27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角度検出装置および回転電機
JP2007288961A (ja) 2006-04-19 2007-11-01 Yasuo Iijima バリアブルリラクタンス型角度検出器
JP2011188611A (ja) 2010-03-08 2011-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ゾルバ
JP2012117862A (ja) 2010-11-30 2012-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ゾル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14406A (zh) 2016-07-27
US20160265944A1 (en) 2016-09-15
CN105814406B (zh) 2017-10-27
JP6009101B2 (ja) 2016-10-19
BR112016011562A2 (pt) 2017-08-08
JPWO2015087381A1 (ja) 2017-03-16
US10254133B2 (en) 2019-04-09
KR20160088931A (ko) 2016-07-26
DE112013007675B4 (de) 2024-03-28
DE112013007675T5 (de) 2016-11-17
WO2015087381A1 (ja)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286B1 (ko) 회전 각도 검출 장치, 회전 전기, 및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KR101894197B1 (ko) 회전 각도 검출 장치, 회전 전기, 및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KR101271340B1 (ko) 회전 검출기용 스테이터의 권선 방법과 그 권선 구조체 및 회전 검출기를 이용한 전동기
US20170040854A1 (en) Rotor for a rotary electric machine
JP6211235B2 (ja) レゾルバ、回転電機、及びエレベータ用巻上機
KR20150018462A (ko) 단상 브러시리스 모터
JP5105029B2 (ja) 回転検出器用ステータの巻線方法とその構造及び回転検出器を有する電動機
JP2013215021A (ja) 電磁誘導装置
US9590457B2 (en) Stator of a rotary electric machine
JP7353786B2 (ja) 回転電機の回転子
CN106487191B (zh) 单相无刷电机
JP2011030378A (ja) ステータ及び電気機器
KR101614685B1 (ko) 권선계자형 동기 전동기 및 그의 회전자
US10574102B2 (en) Rotary electrical machine with configuration minimizing torque undulations
US20170279318A1 (en) Rotary electrical machine with a ratio of dimensions which minimises the torque undulations
JP6415029B2 (ja) 電磁誘導装置
JP2017169339A (ja) 回転電機のロータ
JP2017093146A (ja) レゾルバステ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