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967B1 - 통신 집약 시스템, 제어 장치, 처리 부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 집약 시스템, 제어 장치, 처리 부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967B1
KR101917967B1 KR1020177009246A KR20177009246A KR101917967B1 KR 101917967 B1 KR101917967 B1 KR 101917967B1 KR 1020177009246 A KR1020177009246 A KR 1020177009246A KR 20177009246 A KR20177009246 A KR 20177009246A KR 101917967 B1 KR101917967 B1 KR 101917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ces
gateway
gateway device
group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503A (ko
Inventor
노리오 우찌다
도루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 H04L67/1008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based on parameters of servers, e.g. available memory or work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5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balancing the load, e.g. traffic engin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core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하가 다른 게이트웨이 장치에 비해 너무 높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통신 집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통신 집약 시스템은 이상 발견시에 송신하는 데이터양이 평상시에 송신하는 데이타양보다도 증가하는 복수의 디바이스(3)~(6);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 장치(1);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 장치(2); 및 이상이 발견됨으로써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양이 증가하고 게이트웨이 장치 간의 처리 부하 차이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게이트웨이 장치들 간의 처리 부하 차이가 제2 임계치보다 낮게 되도록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3)~(6)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하는 제어 장치(7)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통신 집약 시스템, 제어 장치, 처리 부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COMMUNICATION AGGREGATION SYSTEM, CONTROL DEVICE, PROCESSING LOAD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통신 집약 시스템, 제어 장치, 처리 부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통신 집약 시스템, 제어 장치, 처리 부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가, 검출된 데이터를 자율적으로 서버 장치 등에 전송함으로써, 서버 장치 등은, 자동적인 데이터 수집 및 디바이스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머신 투 머신(Machine-to-Machine, M2M)이라고 호칭되며, 최근 M2M의 유용성에 대해서 주목받고 있다.
M2M 서비스의 일례로서, 가정 및 빌딩의 전력 사용량 미터를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서버 장치 등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전력 사용량을 수집하는 사업자는, 이렇게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발전량의 최적화를 도모하는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M2M 서비스의 이용을 확대시킬 경우, 복수의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디바이스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케이스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케이스를 효율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 복수의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되는 공통의 기능을 함께 제어하는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를 설치하고, 신규 서비스의 출현을 촉진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를 집약하는 장치로서, 게이트웨이 장치가 사용된다. 게이트웨이 장치는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와 복수의 디바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서버 장치는,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다수의 디바이스에 대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한다. 데이터 송신의 요구에 응답하여, 다수의 디바이스는 서버 장치에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한다. 이때, 각각의 디바이스는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에 헤더 정보를 부가한다. 따라서, 다수의 디바이스가 헤더 정보를 갖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대역의 사용률이 증가한다. 또한, 서버 장치는 다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때문에, 처리 부하가 증가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복수의 디바이스를 하나의 그룹으로서 다루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바이스를 하나의 그룹으로서 다룸으로써, 공통 그룹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함께 묶어서 이들을 번들(bundle)로 송신할 수 있다. 이것은 데이터 통신의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써 서버 장치에서의 처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복수의 디바이스를 하나의 그룹로서 다루는 예로서, 특허문헌 1에, 상이한 종류의 디바이스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 하에서, 공통 특징을 갖는 디바이스를 함께 그룹화하는 동작이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종류(카메라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그룹화하는 구성과 이동 가능한 기기와 고정된 기기를 상이한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국제 특허 공보 제2012/111255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통 특징을 갖는 디바이스들이 함께 그룹화되면, 어떤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의 데이터 송신 빈도가 증가할 경우, 해당 그룹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하만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어느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하가 증가할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며 또한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게이트웨이 장치는 가능한 최대의 처리 부하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임의의 시점에서, 해당 게이트웨이 장치 이외에서는 부하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에서는 처리 능력의 낭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하를, 다른 게이트웨이 장치와 (동적으로) 평준화할 수 있는 통신 집약 시스템, 제어 장치, 처리 부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통신 집약 시스템은, 이상 발견시에 송신하는 데이터양이 평상시에 송신하는 데이터양보다 많은 복수의 디바이스,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1 게이트웨이 장치; 및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2 게이트웨이 장치, 및 이상의 검출로 인해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양이 증가하고,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 간의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2 임계치보다 낮도록,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제어 장치는, 이상 발견시에 송신하는 데이터양이 평상시에 송신하는 데이터양보다도 많은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2 게이트웨이 장치를 접속하는 제어 장치이며, 이 제어 장치는 제1 게이트웨이 장치 및 제2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부하 정보를 취득하는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 및 이상의 검출로 인해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양이 증가하고,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제2 게이트웨이 장치 간의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2 임계치보다 낮도록,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하는 그룹화 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처리 부하 제어 방법은 이상 발견시에 송신하는 데이터양이 평상시에 송신하는 데이터양보다도 많은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2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부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이상의 검출로 인해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양이 증가하고,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제2 게이트웨이 장치 간의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2 임계치보다 낮도록,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프로그램은 이상 발견시에 송신하는 데이터양이 평상시에 송신하는 데이터양보다도 많은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2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부하 정보를 취득하고; 이상의 검출로 인해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양이 증가하고,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제2 게이트웨이 장치 간의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2 임계치보다 낮도록,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하는 것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하를, 다른 게이트웨이 장치와 (동적으로) 평준화할 수 있는 통신 집약 시스템, 제어 장치, 처리 부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준화에 의해, 게이트웨이 장치가 구비해야 할 처리 능력의 최댓값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집약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집약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다리 등의 구조물의 이상 검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그룹의 변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그룹의 변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그룹의 변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집약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그룹 변경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그룹 변경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집약 시스템은 게이트웨이 장치(1 내지 2), 디바이스(3 내지 6) 및 제어 장치(7)를 포함한다.
디바이스(3 내지 6)는 이상 발견시에 송신하는 데이터양이 평상시에 송신하는 데이터양에 비해 증가된 양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3 내지 6)는 디바이스 내부 또는 근방의 정보를 계측 및 취득하고, 게이트웨이 장치(1 또는 2)를 통해 서버 장치 등에 취득된 데이터를 송신한다. 디바이스(3 내지 6)는 센서 장치, 또는 M2M 서비스에 사용되는 M2M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센서 장치는 예를 들어, 진동, 온도, 습도 등의 외부 환경의 변화를 검출하는 장치일 수 있다. M2M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자동 판매기의 판매를 자율적으로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 장치 등의, 유저 조작을 수반하지 않고 자율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이상 발견시는, 평상시와 상이한 예외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발견시를 가리키고, 디바이스(3 내지 6)가 계측한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했을 경우, 디바이스(3 내지 6)가 검출한 진동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했을 경우 등일 수 있다. 평상시란, 디바이스(3 내지 6)가 계측 또는 검출한 수치 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 내에 수용될 경우일 수 있다.
평상시에는, 디바이스(3 내지 6)는 계측 또는 검출한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서버 장치 등에 송신하고, 이상 발견시에는, 디바이스(3 내지 6)는 평상시보다 빈번히 계측 또는 검출 처리를 행하고, 계측 또는 검출한 데이터를 서버 장치 등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이상 발견시에는, 디바이스(3 내지 6)는 평상시보다도 상세한 데이터를 서버 장치 등에 송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1 및 2)는 복수의 디바이스와 서버 장치 등 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이 도면에서, 게이트웨이 장치(1)는 디바이스(3 및 4)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집약하고, 게이트웨이 장치(2)는 디바이스(5 및 6)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집약한다.
게이트웨이 장치(1 및 2)는 주로 IP 레이어에서의 통신을 제어하는 라우터 장치, 또는 주로 MAC 레이어에서의 통신을 제어하는 스위치 장치 등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1 및 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동작하는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디바이스(3 및 4)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는 제1 그룹을 형성하고, 디바이스(5 및 6)을 포함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는 제2 그룹을 형성한다. 게이트웨이 장치(1)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게이트웨이 장치(2)는 제2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게이트웨이 장치(1 및 2)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 또는 제2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와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3 및 4)는,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에, 미리 접속될 디바이스로서 결정된 게이트웨이 장치(1)와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5 및 6)도, 마찬가지로,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에, 미리 접속될 디바이스로서 결정된 게이트웨이 장치(2)와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 장치(1 및 2)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 또는 제2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와 유선 채널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제어 장치(7)는 게이트웨이 장치(1 및 2)의 처리 부하의 차이에 따라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한다. 디바이스(3 내지 6)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에서 이상이 발견된 경우, 디바이스(3 내지 6)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양이 증가한다. 따라서, 데이터양이 증가한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처리 부하가 증가한다.
제어 장치(7)는, 게이트웨이 장치(1)와 게이트웨이 장치(2) 간의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2 임계치를 하회하도록, 복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1개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7)는 게이트웨이 장치(1) 및 게이트웨이 장치(2)에서의 처리 부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할 수도 있다. "실질적으로 동일"이란, 게이트웨이 장치(1)의 처리 부하와 게이트웨이 장치(2)의 처리 부하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처리 부하는 관리 하의 디바이스로부터 게이트웨이 장치(1 및 2)에 송신되는 데이터양을 사용하여 표시될 수 있거나, 관리 하의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되는 빈도를 사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통신 집약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디바이스가 계측 또는 검출한 데이터에 이상이 발견되어,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양이 증가할 경우에, 제어 장치(7)는 디바이스가 속한 그룹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게이트웨이 장치(1) 및 게이트웨이 장치(2) 간의 처리 부하의 차이를 축소하고 하나의 게이트웨이 장치의 처리 부하를 다른 게이트웨이 장치의 처리 부하와 평준화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집약 시스템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의 통신 집약 시스템은 디바이스(10 내지 17), 게이트웨이 장치(20), 게이트웨이 장치(21), 네트워크(30),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50 내지 52)를 포함한다. 이 도면에서는, 3개의 애플리케이션 서버(50 내지 52)를 갖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그 대신에 1개의 애플리케이션 서버(5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2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포함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10 내지 17)에 관해서도, 8개보다 많은, 또는 8개보다 적은 디바이스가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와 접속될 수 있다.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는 예를 들어, M2M플랫폼이며, 머신 투 머신 서비스의 표준화에 대해 oneM2M에 정의된 M2M 서비스 기반구조일 수도 있다. M2M 서비스 기반구조는 oneM2M 아키텍쳐에서의 IN(Infrastructure Node)에 대응하고, oneM2M에 의해 정의된 CSF(Common Services Function) 그룹을 제공하는 CSE(Common Services Entity)를 갖는다.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는 복수의 CSE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IN내의 CSE는 IN(Infrastructure Node)-CSE라고도 호칭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네트워크(30)는 예를 들어,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이동 통신망이며, oneM2M에 의해 정의되는 근본적인 네트워크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20 및 21)는 예를 들어, 모바일 라우터이며, oneM2M에 의해 정의되는 M2M 게이트웨이일 수 있다. M2M 게이트웨이는 oneM2M 아키텍쳐에서의 MN(Middle Node)에 대응하고, CSE를 갖는다. MN내의 CSE는 MN-CSE라고도 호칭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디바이스(10 내지 17)는 예를 들어, 센서 디바이스이며, oneM2M에 의해 정의되는 M2M 디바이스일 수 있다. M2M 디바이스는 oneM2M 아키텍쳐에서의 ASN(Application Service Node) 또는 ADN(Application Dedicated Node)에 대응하고, ASN은 CSE를 갖는다. ASN내의 CSE는 ASN-CSE라고도 호칭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서버(50 내지 52)는 예를 들어, 특정한 작업을 처리하는 서버이며, oneM2M에 의해 정의되는 M2M 애플리케이션 기반구조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50 내지 52)는 oneM2M 아키텍쳐에서의 AE(Application Entity)를 가질 수 있다. oneM2M에 의해 정의되는 기반구조 도메인에 있으며, IN-CSE에 접속되는 AE는 IN(Infrastructure Node)-AE라고도 호칭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디바이스(10 내지 17)는 도 1에서의 디바이스(3 내지 6)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장치(20 및 21)는 도 1에서의 게이트웨이 장치(1 및 2)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는 디바이스(10 내지 17)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한다.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는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 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복수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플랫폼일 수 있으며, 공통 서비스 플랫폼이라고 호칭될 수도 있다.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는 서버 장치 등의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50 내지 52)는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공유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50 내지 52)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50 내지 52)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때,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가 디바이스(10 내지 17)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50 내지 52) 간에 데이터를 공유한다는 것은, 동일한 디바이스(10 내지 17)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서버(50 내지 52)가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네트워크(30)는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와 게이트웨이 장치(20) 또는 게이트웨이 장치(21)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한다. 네트워크(30)는 패킷 데이터를 통신하는 IP 네트워크 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신 사업자가 관리하는 통신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20)는 디바이스(10 내지 13)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네트워크(30)을 통해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로 송신한다. 게이트웨이 장치(21)는 디바이스(14 내지 17)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네트워크(30)을 통해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로 송신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통신 집약 시스템의 구체적인 예로서, 다리 등의 구조물의 이상 검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시스템은 다리 등의 구조물에 다수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진동 센서)를 장착하고, 국소적인 이상을 검출하는 시스템이다. 이상을 검출하기에 충분한 개수의 디바이스가 필요한 곳에 배치된다. 게이트웨이 장치는 복수의 디바이스의 관측 데이터를 집약하여 이를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에 전송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에서 저장되어 있는 관측 데이터를 이용한다.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 장치는 특정 무선 방식에 의해 접속된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 장치는 유선 회선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의 네트워크가 휴대 전화망과 같이 데이터양에 따라 요금이 변동하는 회로일 경우, 송수신되는 데이터양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물 진단 시스템의 시스템 요건은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가능한 한 통신량을 절약하고, 이상 발견시에는 이상을 검출한 디바이스와, 그 디바이스와 인과 관계를 가질 가능성이 있는 근방의 디바이스를 상세하게, 또는 높은 빈도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도 3은 다리 위를 차량이 통과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다리 밑의 원은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3에는, 다리 밑에 충분한 수의 디바이스가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1)에서는, 감시 대상의 다리에 교통량이 없고, 이상을 검출하는 모든 디바이스가 평상 상태에 있다. 도 3의 (2)에서는, 1대의 차량이 다리를 통과하고 있고, 차량이 운행하고 있는 곳에서 진동이 커지고, 차량이 운행하고 있는 부분에 설치된 디바이스는 차량이 통과할 때에만 진동이 커지는 것을 검출한다. 도 3의 (3)에서는, 복수의 차량이 다리를 통과하고 있고, 다리의 대부분에서 진동이 커진다. 도 3의 (4)는 다리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상이 발생한 곳에서 불규칙한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상이 발생한 곳 근방에서 높은 빈도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그들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시스템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는, 디바이스를 복수의 동작 모드를 사용하여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작 모드들 중 하나는 평상 관측 모드이며, 디바이스는, 평상 관측 모드에서는 예를 들어, 작은 동적 범위(dynamic range), 거친 양자화 정밀도, 낮은 측정 빈도, 및 단시간에서의 측정을 행하고, 송신 전에 데이터를 압축할 경우에는 압축률이 높은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다른 동작 모드는 상세 관측 모드이고, 디바이스는, 상세 관측 모드에서는 예를 들어, 큰 동적 범위, 미세한 양자화 정밀도, 높은 측정 빈도, 및 장시간에서의 측정과, 낮은 데이터압축율 중 적어도 1개의 조건을 만족한 상태에서 측정을 행한다. 예를 들어, 평상 관측 모드에서의 단위 시간당 데이터양은 1로 하고, 상세 관측 모드에서의 단위 시간당 데이터양은 10이라고 가정한다. 즉, 상세 관측 모드에서의 단위 시간당 데이터양은, 평상 관측 모드에서의 단위 시간당 데이터양의 10배로 한다. 데이터양의 차이는 10배에 제한되지 않고, 송신될 데이터의 종류 등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하는 처리될 데이터양에 비례한다. 또한, 동작 모드의 수는 2개에 제한되지 않고, 평상 관측 모드에서의 데이터양보다 많고, 상세 관측 모드에서의 데이터양보다 적은 동작 모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평상 관측 모드에서보다 큰 동적 범위, 거친 양자화 정밀도, 낮은 측정 빈도 및 단시간에서의 측정과, 낮은 데이터 압축율 중 적어도 1개의 조건을 만족하는 동작 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
어떤 디바이스에서, 평상 관측 모드에서의 관측 결과로부터 국소적인 이상 또는 국소적인 이상의 징후를 검출한 경우, 해당 디바이스와 그 근방의 디바이스만을 상세 관측 모드로 이행시킨다. 디바이스 i와 디바이스 j 간의 상관 관계를 s(i,j)로 표시한다. 상관 관계는 진단 대상 구조물에서의 디바이스들 간의 물리적인 거리 및 구조적인 상관도로부터 미리 정의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기둥에 장착되어 있는 디바이스는 상관도가 높다. 대안적으로, 평상 관측 모드에서의 관측 데이터로부터 디바이스들 간의 상관도가 도출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 i의 데이터로부터 이상이 검출된 경우, s(i,j)(j = 1, 2, ... , n(n은 전체 디바이스의 수))의 값을 내림차순으로 배열하고, 위로부터 특정 수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5개의 디바이스)를 상세 관측 모드로 이행시킨다. 정의로부터 s(i,i)은 상관도가 최대이기 때문에, 디바이스 i는 항상 상세 관측 모드로 이행시키게 된다. 상술한 것은 가장 단순한 경우이지만, 상세 관측 모드로 이행시킬 디바이스를 선택할 때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세 관측 모드에서의 디바이스 배치가 편중되지 않도록, s(i,j)의 값 이외에 x축, y축, z축 방향의 분산도를 고려하여, 상세 관측 모드로 이행하는 디바이스가 하나의 축 방향에만 편중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경우에, 평상시에는 도 4에 도시한 것 같은 구성으로 되고, 각 게이트웨이 장치에 6개의 디바이스가 접속된다. 따라서, 각 게이트웨이 장치가 처리하는 단위 시간당 데이터양(처리 부하)은 6이 된다. 도 4에서의 실선의 원은 평상 관측 모드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이상 발견시는, 각 게이트웨이 장치(21)에 접속되어 있는 5개의 디바이스가 상세 관측 모드에 진입하고, 그에 따라 게이트웨이 장치(20)와 게이트웨이 장치(21) 간에 처리 부하의 불균형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게이트웨이 장치(20)의 처리 부하는 6을 유지하고 있지만, 게이트웨이 장치(21)의 처리 부하는 51이 된다. 도 5에서의 점선의 원은 상세 관측 모드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 장치의 구성(즉, 디바이스의 그룹화 구성)이 고정되어 있을 경우, 상세 관측 모드에 있는 디바이스가 어떤 게이트웨이 장치에 집중된 최악일 경우를 상정한 게이트웨이 장치의 최대 처리 능력 및 채널 용량이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 장치의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세 관측 모드로의 이행되는 디바이스 배치가 편중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서버(50) 또는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 등은 디바이스의 그룹화 재할당을 지시하고, 복수의 게이트웨이 간의 부하를 평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세 관측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3개의 디바이스를 게이트웨이 장치(20)에 접속하고, 상세 관측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나머지 2개의 디바이스는 게이트웨이 장치(21)에 접속한 채로 유지한다. 도 6에서, 그룹화 재할당의 결과로서, 게이트웨이 장치(20)의 부하가 27이 되고, 게이트웨이 장치(21)의 부하가 30이 된다.
또한, 이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각 게이트웨이 장치는 각 디바이스가 2개 이상의 게이트웨이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애플리케이션 서버(50)가 복수의 게이트웨이 장치 간의 부하를 평준화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게이트웨이 장치(20 및 21)와 애플리케이션 서버(50) 간에 배치되는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가 생략되어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버(50)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51 및 52)는 애플리케이션 서버(5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50)는 데이터 수신부(501), 모드 선택부(502),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503) 및 그룹화 결정부(504)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50)는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 게이트웨이 장치(20 또는 21)를 통해 각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서버(50)의 데이터 수신부(501)는 각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애플리케이션 서버(50) 내부에서 특정 처리가 수행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50)는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동작하는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부(501), 모드 선택부(502),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503) 및 그룹화 결정부(504)는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처리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모듈 등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부(501), 모드 선택부(502),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503) 및 그룹화 결정부(504)는 회로 또는 칩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모드 선택부(502)는 수신된 데이터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증한다. 예를 들어, 모드 선택부(502)는 과거에 수신한 데이터와 현재 수신한 데이터가 상관이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검증을 행한다. 대안적으로, 모드 선택부(502)는 특정의 임계치를 준비하고, 그 임계치와의 비교에 의해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모드 선택부(502)가 수신된 데이터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와 게이트웨이 장치(20 또는 21)를 통해 이상이 있는 데이터를 검출한 디바이스를 상세 관측 모드로 설정한다. 모드 선택부(502)가 이상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평상 관측 모드를 유지한다. 또한, 모드 선택부(502)가 어떤 디바이스에서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그 근방의 디바이스도 상세 관측 모드로 설정한다. 데이터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이상 검출 동작과 이상을 검출한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디바이스 또는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해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을 검출한 디바이스의 근방의 디바이스 동작 모드의 변경에 대해서는, 애플리케이션 서버(50) 또는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에 의해 수행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503)는 각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현 시점에서의 각 게이트웨이 장치의 처리 부하 정보 외에, 각각의 게이트웨이 장치가 어느 디바이스와 접속하고, 그것들의 디바이스가 평상 관측 모드에 있는지 또는 상세 관측 모드에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503)는 취득한 각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하에 관한 정보를 그룹화 결정부(504)에 출력한다.
그룹화 결정부(504)는,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503)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사용하여,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디바이스의 그룹화를 결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그룹화 결정부(504)는 각 디바이스를 어느 게이트웨이 장치에 수용할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그룹화 결정부(504)는 게이트웨이 장치(20)와 게이트웨이 장치(21) 간의 부하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제1 임계치라고 칭한다)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게이트웨이 장치(20)와 게이트웨이 장치(21) 간의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그룹화 결정부(504)는 게이트웨이 장치(20)와 게이트웨이 장치(21) 간의 부하의 차이를 축소하도록 디바이스의 그룹화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그룹화 결정부(504)는 게이트웨이 장치(20)와 게이트웨이 장치(21) 간의 부하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제2 임계치라고 칭한다) 이하가 되도록, 디바이스의 그룹화를 결정한다. 제2 임계치는 제1 임계치 이하인 값으로 한다.
그룹화 결정부(504)는, 디바이스의 그룹화를 결정한 후에, 디바이스(10 내지 17) 모두에게, 접속해야 할 게이트웨이 장치의 식별자를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화 결정부(504)는 변경을 지시하는 공통 통지에 게이트웨이 장치의 식별자를 부가하여 이를 디바이스(10 내지 17)에 송신한다. 이 경우, 디바이스(10 내지 17)는, 현재 접속하고 있는 게이트웨이 장치와 다른 게이트웨이 장치의 식별자가 통지된 경우, 접속된 게이트웨이 장치를 변경한다. 한편, 디바이스(10 내지 17)는, 현재 접속하고 있는 게이트웨이 장치와 동일한 게이트웨이 장치의 식별자가 통지된 경우, 현재의 접속을 유지한다.
대안적으로, 그룹화 결정부(504)는, 디바이스의 그룹화를 결정한 후에, 접속하고 있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디바이스에만, 변경 후의 게이트웨이 장치의 식별자를 통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가 애플리케이션 서버(50)로부터 송신된 게이트웨이 장치의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접속된 게이트웨이 장치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통지를 수신하면, 접속하고 있었던 게이트웨이 장치와의 접속을 차단하고, 수신된 식별자를 사용하여 변경 후의 게이트웨이 장치와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20)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게이트웨이 장치(21)는 게이트웨이 장치(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게이트웨이 장치(20)는 게이트웨이 부하 송신부(201), 그룹화 정보 수신부(202), 그룹화 처리부(203), 데이터 수신부(204), 송신 데이터 생성부(205), 데이터 송신부(206)를 포함한다. 게이트웨이 장치(20)는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동작하는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 부하 송신부(201), 그룹화 정보 수신부(202), 그룹화 처리부(203), 데이터 수신부(204), 송신 데이터 생성부(205), 데이터 송신부(206)는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처리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모듈 등일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 부하 송신부(201), 그룹화 정보 수신부(202), 그룹화 처리부(203), 데이터 수신부(204), 송신 데이터 생성부(205), 데이터 송신부(206)는 회로 또는 칩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부하 송신부(201)는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수에 따라 변화하는 게이트웨이 장치(20)의 부하에 관한 정보를,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50)에 송신한다. 부하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 장치(20)에서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 사용률 또는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양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부하에 관한 정보는 게이트웨이 장치(20)에 접속되며 평상 관측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수 및 상세 관측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부하에 관한 정보는 게이트웨이 장치(20)에서의 통신 빈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그룹화 정보 수신부(202)는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로부터 송신된 디바이스의 그룹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그룹화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각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이 특정된 정보이다. 그룹화에 관한 정보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와 제2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가 특정된 정보일 수 있다. 즉, 그룹화 정보 수신부(202)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제2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도 수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20)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그룹화 처리부(203)는, 그룹화 정보 수신부(202)에 의해 수신된 그룹화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제1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에게 게이트웨이 장치(20)의 식별자를 통지한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 장치(20)의 식별자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게이트웨이 장치(20)에 접속된다. 대안적으로, 그룹화 처리부(203)는 현재 접속하고 있는 디바이스에게 그룹화에 관한 정보 및 게이트웨이 장치(20)의 식별자를 통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디바이스는 자신이 속하는 그룹을 인식하고 자신이 속하는 그룹이 접속해야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에 접속한다. 디바이스는, 현재 접속하고 있는 게이트웨이 장치와 다른 게이트웨이 장치의 식별자가 통지된 경우, 접속하고 있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변경한다. 한편, 디바이스는, 현재 접속하고 있는 게이트웨이 장치와 같은 게이트웨이 장치의 식별자가 통지된 경우, 현재의 접속을 유지한다.
데이터 수신부(204)는 게이트웨이 장치(20)와 접속하고 있는 각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데이터 수신부(204)는 수신된 데이터를 송신 데이터 생성부(205)에 출력한다.
송신 데이터 생성부(205)는 각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예를 들어 하나의 패킷 데이터에 입력함으로써,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에 송신될 송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송신 데이터 생성부(205)는, 패킷 길이가 최대 사이즈를 초과할 경우, 송신 데이터를 복수의 패킷 데이터로 분할할 수 있다. 송신 데이터 생성부(205)는 생성된 송신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부(206)에 송신한다. 데이터 송신부(206)는 송신 데이터 생성부(205)로부터 출력된 송신 데이터를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에 출력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집약 시스템에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1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는 측정 또는 관측 등을 한 데이터를 송신한다(S101). 다음으로, 게이트웨이 장치(20)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집약한다. 게이트웨이 장치(20)는 집약된 데이터를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에 송신한다(S102). 다음으로,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는 게이트웨이 장치(2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서버(50)에 송신한다(S103). 제2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도, 제1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와 동일한 방식으로, 스텝 S104 내지 S106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50)에 송신된다.
다음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50)는 디바이스 동작 모드 변경 처리를 수행한다(S107). 디바이스 동작 모드 변경 처리는 수신된 데이터가 이상 상태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한 디바이스 및 그 근방에 배치된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변경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50)가 동작 모드를 변경할 디바이스를 특정한 후에, 특정한 디바이스에 동작 모드 변경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S108).
다음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50)는 게이트웨이 장치(20) 및 게이트웨이 장치(21)로부터 부하 정보를 취득한다(S109, S110).
다음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50)는 게이트웨이 장치(20) 및 게이트웨이 장치(21)로부터 취득한 부하 정보를 사용하여 그룹 변경 처리를 수행한다(S110). 다음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50)는 그룹을 변경하는 디바이스에 그룹 변경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S112).
스텝 S108 및 S112에서의 메시지는 대상으로 되는 디바이스에만 송신될 수 있거나, 모든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다.
이 도면에서의 스텝 S107 및 S108과 S111 및 S112의 동작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스텝 S107 및 S108에서의 동작 모드의 변경에 관한 처리 전에, 스텝 S111 및 S112에서의 그룹 변경에 관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서버(50)는 스텝 S109 및 S110에서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하 정보를 취득하는 것 대신에, 스텝 S103 및 S106에서 취득한 집약 데이터를 사용하여,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하를 판단하여, 디바이스의 그룹화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버(50)에서의 동작 모드 변경 처리 및 그룹 변경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데이터 수신부(501)는 각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한다(S11). 다음으로, 모드 선택부(502)는 데이터 수신부(501)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이상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2). 예를 들어, 모드 선택부(502)는 과거에 수신한 데이터와 현재 수신한 데이터가 상관이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판정을 행한다. 모드 선택부(502)가 수신한 데이터가 이상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모드 선택부(502)가 수신한 데이터가 이상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동작 모드가 변경될 디바이스를 특정한다(S13). 동작 모드의 변경은 예를 들어, 평상 관측 모드에서 상세 관측 모드로의 변경이다. 동작 모드가 변경될 디바이스는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한 디바이스와, 그 디바이스의 근방에 배치된 디바이스이다.
다음으로, 모드 선택부(502)는 동작 모드가 변경될 디바이스에게, 동작 모드가 평상 관측 모드에서 상세 관측 모드로 변경될 것이라는 것을 통지한다(S14). 다음으로,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503)는 게이트웨이 장치(20 및 21)로부터 부하 정보를 취득한다(S15). 다음으로, 그룹화 결정부(504)는 게이트웨이 장치(20)와 게이트웨이 장치(21) 간의 부하 차이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6). 그룹화 결정부(504)가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보다 낮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그룹화 결정부(504)가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한다고 판정한 경우,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한다(S17). 예를 들어, 그룹화 결정부(504)는 게이트웨이 장치(20 및 21)의 부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한다. 다음으로, 그룹화 결정부(504)는 그룹 정보를 각 디바이스에게 통지한다(S18).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버(50)을 사용함으로써,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애플리케이션 서버(50)는, 데이터 송신 빈도가 높은 디바이스가 상이한 게이트웨이 장치에 속하도록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의 그룹화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게이트웨이 장치에 필요한 최대 처리능력과 통신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는 애플리케이션 서버(5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고, 그룹화를 결정한다.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는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401), 그룹화 결정부(402), 데이터 수신부(403), 데이터 송신부(404), 모드 선택부(405) 및 디바이스 정보 취득부(406)를 포함한다.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는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동작하는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401), 그룹화 결정부(402), 데이터 수신부(403), 데이터 송신부(404), 모드 선택부(405) 및 디바이스 정보 취득부(406)는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처리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모듈 등일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401), 그룹화 결정부(402), 데이터 수신부(403), 데이터 송신부(404), 모드 선택부(405) 및 디바이스 정보 취득부(406)는 회로 또는 칩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50)는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와 게이트웨이 장치(20 또는 21)를 통해 각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에서, 데이터 수신부(403)는 각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데이터 수신부(403)는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부(404)에 출력한다. 데이터 송신부(404)는 데이터 수신부(403)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서버(50)에 송신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50)는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평가하고, 해당 데이터를 생성한 디바이스 및 근방의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의 디바이스 정보 취득부(406)는 애플리케이션 서버(50)로부터, 각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평상 관측 모드 또는 상세 관측 모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401)는 게이트웨이 장치(20 및 21)의 부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401)는 현시점에서의 각 게이트웨이 장치의 처리 부하 정보 외에, 각각의 게이트웨이 장치가 어느 디바이스를 취급하고 있는지를 취득한다.
그룹화 결정부(402)는,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401)에 의해 취득된 정보와 디바이스 정보 취득부(406)에 의해 취득된 디바이스 동작 모드 정보를 사용하여,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디바이스의 그룹화를 결정한다. 디바이스의 그룹화는 각 디바이스를 어느 게이트웨이 장치에 수용할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디바이스의 그룹화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에 접속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디바이스의 그룹화를 결정하기 위한 기능을 가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1)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1)가 애플리케이션 서버(50)로부터 정보의 제공을 받지 않고, 그룹화를 결정한다.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1)는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401), 그룹화 결정부(402), 데이터 수신부(403), 데이터 송신부(404) 및 모드 선택부(405)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50)는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1)와 게이트웨이 장치(20 또는 21)를 통해 각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1)에서, 데이터 수신부(403)는 각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데이터 수신부(403)는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부(404)에 출력한다. 데이터 송신부(404)는 데이터 수신부(403)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서버(50)에 송신한다. 이때, 데이터 수신부(403)는 데이터 수신의 빈도를 그룹화 결정부(402)에게 통지한다.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401)는 각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401)는, 현 시점에서의 각 게이트웨이 장치의 처리 부하 정보 외에, 각각의 게이트웨이 장치가 어느 디바이스를 취급하고 있는지를 취득한다. 그룹화 결정부(402)는,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401)에 의해 취득된 정보와 데이터 수신부(403)로부터 취득한 데이터 수신 빈도를 사용하여,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디바이스의 그룹화(각 디바이스를 어느 게이트웨이 장치에 수용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이 경우, 그룹화 결정부(402)는 각 게이트웨이 장치에서의 데이터 수신 빈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디바이스의 그룹화를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1)는 각 디바이스가 평상 관측 모드에 있는지 또는 상세 관측 모드에 있는지에 관한 정보없이, 데이터 수신 빈도 정보를 사용하여 복수의 디바이스가 최적인 그룹화를 결정한다. 따라서,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1)는 도 11의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에 비해, 단순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이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동작 모드의 변경에 수반하여 데이터양이 증가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작 모드의 변경없이 데이터양이 증가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로부터 단위 시간당 송신되는 데이터양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로서 사용되는 디바이스가 단위 시간당 파형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송신량은 파형에 따라 변동한다. 또한, 이상 발생시 파형이 복잡해질 경우, 데이터 송신량은 증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50) 등이 동작 모드를 변경하지 않을 경우에서도, 이상 상태를 검출한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양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10의 스텝 S13 및 S14에서 동작 모드를 변경할 디바이스를 특정하고,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 대신에,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는 데이터양이 증대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특정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데이터양이 증가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특정하는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201 및 S202는 도 9에서의 스텝 S101 및 S102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스텝 S203 및 S204는 도 9에서의 스텝 S104 및 S105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는 스텝 S202 및 S204에서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송신된 집약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송신량이 증가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특정한다(S205). 다음으로,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디바이스의 그룹화를 결정한다(S206). 구체적으로,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는 게이트웨이 장치에서의 데이터 송신량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디바이스의 그룹화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는 그룹이 변경될 디바이스에 그룹 변경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S207).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 모드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을 경우에서도, 애플리케이션 서버(50) 등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양의 증가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서버(50) 등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양에 따라, 디바이스의 그룹 변경 등을 행함으로써, 게이트웨이 장치(20) 및 게이트웨이 장치(21)의 부하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 서버(50 내지 52),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0) 및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41)에서의 처리를, CPU(Central Processing Unit)으로 하여금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구현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프로그램은 임의 타입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사용하여 저장되어, 컴퓨터에 제공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임의 타입의 유형적 기록 매체(tangible storage medium)를 포함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는 자기 기록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 광자기 기록 매체(예를 들어, 광자기 디스크), CD-ROM(Read Only Memory), CD-R, CD-R/W, 및 반도체 메모리(예를 들어, 마스크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M), 플래시 ROM, RAM(Random Access Memory) 등)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임의 타입의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사용하여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는, 전기 신호, 광신호 및 전자파를 포함한다.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전선 및 광 파이버 등의 유선 통신선 또는 무선 통신선을 통해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많은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이하의 부기와 같이 기술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기 1) 통신 집약 시스템은 복수의 디바이스;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1 게이트웨이 장치;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2 게이트웨이 장치; 및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양이 증가하고,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제2 게이트웨이 장치 간의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보다 큰 경우,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 이하의 값인 제2 임계치 이하가 되도록,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부기 2) 부기 1에 따른 통신 집약 시스템에서, 제어 수단은 제1 게이트웨이 장치 및 제2 게이트웨이 장치에서의 처리 부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한다.
(부기 3) 부기 1에 따른 통신 집약 시스템에서, 제어 수단은 제1 게이트웨이 장치 및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에서의 데이터 수신 빈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한다.
(부기 4) 부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집약 시스템에서, 제어 수단은,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에서 이상이 발견된 경우,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평상 관측 모드에서 상세 관측 모드로 변경하고, 또한 디바이스와 상관도가 높은 근방의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도 평상 관측 모드에서 상세 관측 모드로 변경한다.
(부기 5)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집약 시스템에서,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복수의 게이트웨이 장치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배치되는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제어 수단은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에 포함된다.
(부기 6)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2 게이트웨이 장치를 접속하는 제어 장치는, 제1 게이트웨이 장치 및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부하 정보를 취득하는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 및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양이 증가하고,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제2 게이트웨이 장치 간의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보다 큰 경우,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 이하의 값인 제2 임계치 이하가 되도록,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하는 그룹화 결정부를 포함한다.
(부기 7) 부기 6에 따른 제어 장치로서, 그룹화 결정부는 제1 게이트웨이 장치 및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에서의 처리 부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한다.
(부기 8) 부기 7에 따른 제어 장치로서, 그룹화 결정부는 제1 게이트웨이 장치 및 제2 게이트웨이 장치에서의 데이터 수신 빈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한다.
(부기 9) 부기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어 장치로서, 그룹화 결정부는,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에서 이상이 발견된 경우,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평상 관측 모드에서 상세 관측 모드로 변경하고, 또한 디바이스와 상관도가 높은 근방의 디바이스 동작 모드도 평상 관측 모드에서 상세 관측 모드로 변경한다.
(부기 10) 처리 부하 제어 방법은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2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부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양이 증가하고,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제2 게이트웨이 장치와 간의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보다 큰 경우,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 이하의 값인 제2 임계치 이하가 되도록,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기 11)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2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부하 정보를 취득하고;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양이 증가하고,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 간의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보다 큰 경우,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 이하의 값인 제2 임계치 이하가 되도록,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하게 것을 실행하게 한다.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특별히 도시하고 설명했지만, 본원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형태 및 상세의 변경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은 2014년 10월 7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206187호에 기초하며, 이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고,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1: 게이트웨이 장치
2: 게이트웨이 장치
3: 디바이스
4: 디바이스
5: 디바이스
6: 디바이스
7: 제어 장치
10-13: 디바이스
14-17: 디바이스
20: 게이트웨이 장치
21: 게이트웨이 장치
30: 네트워크
40: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
41: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
50: 애플리케이션 서버
51-53: 애플리케이션 서버
201: 게이트웨이 부하 송신부
202: 그룹화 정보 수신부
203: 그룹화 처리부
204: 데이터 수신부
205: 송신 데이터 생성부
206: 데이터 송신부
401: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
402: 그룹화 결정부
403: 데이터 수신부
404: 데이터 송신부
405: 모드 선택부
406: 디바이스 정보 취득부
501: 데이터 수신부
502: 모드 선택부
503: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부
504: 그룹화 결정부

Claims (10)

  1. 통신 집약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디바이스;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1 게이트웨이 장치;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2 게이트웨이 장치; 및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양이 증가하고,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 간의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처리 부하의 차이가 상기 제1 임계치 이하의 값인 제2 임계치 이하가 되도록,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에서 이상이 발견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평상(normal) 관측 모드에서 상세 관측 모드로 변경하고, 또한 상기 디바이스와 상관도가 높은 근방의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도 평상 관측 모드에서 상세 관측 모드로 변경하고 - 상기 상관도가 높은 근방의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와의 상관도의 값이 내림차순으로 배열되는 경우, 위로부터 특정 수의 디바이스임 -,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 사이의 상기 부하를 평준화하기 위해 상세 관측 모드에서 상관도가 높은 디바이스를 그룹화 재할당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집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 및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에서의 상기 처리 부하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하는 통신 집약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 및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에서의 데이터 수신 빈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하는 통신 집약 시스템.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복수의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배치되는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상기 공통 서비스 제어 장치에 포함되는 통신 집약 시스템.
  6.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2 게이트웨이 장치를 접속하는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 및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부하 정보를 취득하는 게이트웨이 부하 취득 수단; 및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양이 증가하고,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 간의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처리 부하의 차이가 상기 제1 임계치 이하의 값인 제2 임계치 이하가 되도록,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하는 그룹화 결정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그룹화 결정 수단은,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에서 이상이 발견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평상 관측 모드에서 상세 관측 모드로 변경하고, 또한 상기 디바이스와 상관도가 높은 근방의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도 평상 관측 모드에서 상세 관측 모드로 변경하고 - 상기 상관도가 높은 근방의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와의 상관도의 값이 내림차순으로 배열되는 경우, 위로부터 특정 수의 디바이스임 -,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 사이의 상기 부하를 평준화하기 위해 상세 관측 모드에서 상기 상관도가 높은 디바이스를 그룹화 재할당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 결정 수단은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 및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에서의 상기 처리 부하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하는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 결정 수단은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 및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에서의 데이터 수신 빈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하는 제어 장치.
  9. 처리 부하 제어 방법으로서,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2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부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양이 증가하고,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와 간의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처리 부하의 차이가 상기 제1 임계치 이하의 값인 제2 임계치 이하가 되도록,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에서 이상이 발견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평상 관측 모드에서 상세 관측 모드로 변경하고, 또한 상기 디바이스와 상관도가 높은 근방의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도 평상 관측 모드에서 상세 관측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 상기 상관도가 높은 근방의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와의 상관도의 값이 내림차순으로 배열되는 경우, 위로부터 특정 수의 디바이스임 -; 및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 사이의 상기 부하를 평준화하기 위해 상세 관측 모드에서 상기 상관도가 높은 디바이스를 그룹화 재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처리 부하 제어 방법.
  1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2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부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양이 증가하고,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 간의 처리 부하의 차이가 제1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처리 부하의 차이가 상기 제1 임계치 이하의 값인 제2 임계치 이하가 되도록,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속하는 그룹을 변경하고,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일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에서 이상이 발견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평상 관측 모드에서 상세 관측 모드로 변경하고, 또한 상기 디바이스와 상관도가 높은 근방의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도 평상 관측 모드에서 상세 관측 모드로 변경하고 - 상기 상관도가 높은 근방의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와의 상관도의 값이 내림차순으로 배열되는 경우, 위로부터 특정 수의 디바이스임 -,
    상기 제1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제2 게이트웨이 장치 사이의 상기 부하를 평준화하기 위해 상세 관측 모드에서 상기 상관도가 높은 디바이스를 그룹화 재할당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7009246A 2014-10-07 2015-07-30 통신 집약 시스템, 제어 장치, 처리 부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17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06187 2014-10-07
JPJP-P-2014-206187 2014-10-07
PCT/JP2015/003832 WO2016056156A1 (ja) 2014-10-07 2015-07-30 通信集約システム、制御装置、処理負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503A KR20170055503A (ko) 2017-05-19
KR101917967B1 true KR101917967B1 (ko) 2018-11-12

Family

ID=55652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246A KR101917967B1 (ko) 2014-10-07 2015-07-30 통신 집약 시스템, 제어 장치, 처리 부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62506B2 (ko)
EP (1) EP3206350B1 (ko)
JP (1) JP6540709B2 (ko)
KR (1) KR101917967B1 (ko)
WO (1) WO20160561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435A1 (ja) * 2017-09-14 2019-03-21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通信装置、情報通信方法、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JP6959519B2 (ja) * 2017-11-06 2021-11-02 富士通株式会社 処理分散プログラム、処理分散装置及び処理分散方法
CN109861925B (zh) * 2017-11-30 2021-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相关装置及网络
KR102009090B1 (ko) * 2017-12-04 2019-08-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 통신 시스템
US11082492B2 (en) * 2018-01-10 2021-08-03 EMC IP Holding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backup sessions
WO2020004033A1 (ja) * 2018-06-28 2020-01-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96242A (ja) * 2018-12-11 2020-06-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マートメータ
JP7275758B2 (ja) * 2019-03-28 2023-05-18 日本電気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装置、情報通信システム、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610503B1 (ko) * 2022-01-26 2023-12-06 주식회사 휴이노 디바이스의 무선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6603A1 (zh) * 2010-03-25 2011-09-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对mtc设备进行分组管理的方法及***
JP2013172179A (ja) * 2012-02-17 2013-09-02 Kddi Corp ゲートウェイ、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センサ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036346A (ja) * 2012-08-09 2014-02-24 Hitachi Ltd リダイレクトによる無線通信システムの負荷分散方法およびゲートウェイ装置、ユーザ管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3183B2 (en) * 2002-06-26 2007-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ccess point initiated forced roaming based upon bandwidth
EP1557986A1 (en) * 2004-01-22 2005-07-27 Alcatel Multi-criteria load balancing device for a network equipment of a communication network
JP2006209465A (ja) 2005-01-28 2006-08-10 Nec Corp 負荷分散システム、負荷分散装置、サーバ、負荷分散プログラム、及び負荷分散方法
JP2009218776A (ja) * 2008-03-10 2009-09-24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EP3211940A1 (en) * 2010-02-12 2017-08-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Access control and congestion control in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WO2012044995A1 (en) * 2010-10-01 2012-04-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Lightweight secure neighbor discovery protocol for low-power and lossy networks
US9071925B2 (en) * 2011-01-05 2015-06-30 Alcatel Lucent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between an application server and an M2M device
WO2012111255A1 (ja) 2011-02-14 2012-08-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ページング方法、ページングシステム、通信デバイス及び通信相手ノード
CN102130773B (zh) 2011-02-25 2012-12-19 华为技术有限公司 群组通信的方法和用于群组通信的装置
US9002393B2 (en) 2011-03-09 2015-04-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esynchronized network access in M2M networks
US8605586B2 (en) * 2011-03-14 2013-12-10 Clearwire Ip Holding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 balancing
EP2764641B1 (en) * 2011-10-03 2019-12-18 Intel Corporation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mechanisms
TWI501603B (zh) * 2011-12-19 2015-09-21 Ind Tech Res Inst 在機器類型通信網路中對機器類型通信裝置分組之方法以及通信方法
EP3425942A1 (en) * 2012-01-13 2019-01-09 Io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US9210645B2 (en) 2012-05-18 2015-12-08 Industrial Technology Reseach Institute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data paths, MTC gateway and network device using the same
CN104904164B (zh) 2013-01-11 2018-02-09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机器到机器(m2m)***中改变网关的方法及其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6603A1 (zh) * 2010-03-25 2011-09-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对mtc设备进行分组管理的方法及***
JP2013172179A (ja) * 2012-02-17 2013-09-02 Kddi Corp ゲートウェイ、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センサ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036346A (ja) * 2012-08-09 2014-02-24 Hitachi Ltd リダイレクトによる無線通信システムの負荷分散方法およびゲートウェイ装置、ユーザ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06350B1 (en) 2019-06-19
EP3206350A1 (en) 2017-08-16
US10362506B2 (en) 2019-07-23
US20170295514A1 (en) 2017-10-12
WO2016056156A1 (ja) 2016-04-14
JPWO2016056156A1 (ja) 2017-07-27
EP3206350A4 (en) 2018-05-23
JP6540709B2 (ja) 2019-07-10
KR20170055503A (ko) 2017-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967B1 (ko) 통신 집약 시스템, 제어 장치, 처리 부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10029702A1 (en) Network sharing
US874448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obile device locat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881837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eighbor cell list optimizing system, base station, neighbor cell list updating method, and program
US10178593B2 (en) Self-organizing customer premises network
US9913282B2 (en) Recommending channels for accessing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117656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access edge computing (MEC) selection and load balancing
CN101548569A (zh) 无线通信***及其方法、其中所使用的装置及程序
CN102802202A (zh) 终端站点接入方法、设备及***
US9693356B1 (en) Smart on-demand internet-of-things connections
KR20130004929A (ko) 무선 통신들을 위해 스펙트럼을 결정하고 할당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US20140105037A1 (en) Determining Transmission Parameters for Transmitting Beacon Framers
KR20230132820A (ko) 앵커 단말 결정 방법, 정보 송신 방법, 통신 노드 및저장 매체
EP3389025B1 (en) Data collection system, data collection method, gateway device, server device, and program
CN105357708A (zh) 一种站点确定关联接入点的方法、装置和***
WO2014114322A1 (en) A method and network node for determining a recommended cell for a user equipment
JP5895194B2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
RU2640410C2 (ru) 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информацию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и способ оценки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терминала
US20160254979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on service control apparatus,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13038583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及び劣化検出方法
CN109661005B (zh) 本地接入控制器的负载分担调整方法及装置
JP5797137B2 (ja) トラフィック制御装置、トラフィック制御システム及びトラフィック制御方法
KR102148955B1 (ko) 인지 무선 애드훅 네트워크에서의 주파수 검출 부하 감소를 위한 분산 센싱 방법 및 시스템
EP2908590B1 (en) Wireless network type of communication device
JP665612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