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698B1 - 조작기를 갖는 차단기 - Google Patents

조작기를 갖는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698B1
KR101912698B1 KR1020170023132A KR20170023132A KR101912698B1 KR 101912698 B1 KR101912698 B1 KR 101912698B1 KR 1020170023132 A KR1020170023132 A KR 1020170023132A KR 20170023132 A KR20170023132 A KR 20170023132A KR 101912698 B1 KR101912698 B1 KR 101912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fixing
terminal
fixing par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421A (ko
Inventor
양승필
이상철
김영국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3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698B1/ko
Priority to EP18155763.8A priority patent/EP3364439B1/en
Priority to CN201810129175.0A priority patent/CN108461347B/zh
Priority to ES18155763T priority patent/ES2755893T3/es
Priority to US15/900,331 priority patent/US10424453B2/en
Priority to JP2018028620A priority patent/JP6490848B2/ja
Publication of KR20180096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8Manual release or trip mechanisms, e.g. for test purpo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2Knife-and-clip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2071/0292Housing or frames containing grooves or slots for guiding 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H01H2071/046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exclusively by position of operating part, e.g. with additional labels or marks but no other movable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 H01H21/50Driving mechanisms with indexing or latching means, e.g. indexing by ball and spring; with means to ensure stopping at intermediate operative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54Lever switches with blade-type contact co-operating with one or two spring-clip contacts, e.g. knif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Landscapes

  • Breakers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Locating Fault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회로를 개폐하는 차단기는, 회로에서 이상전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부, 이상전류가 검출되면, 회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통전부 및 검출부와 통전부를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조작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작기를 갖는 차단기{CIRCUIT BREAKER HAVING OPERATING DEVICE}
다양한 실시예들은 유지보수를 위한 조작기를 갖는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전원과 부하 사이에 설치되어, 회로들을 개폐한다. 즉 차단기는 회로들에서 이상전류를 검출하고 회로들을 차단함으로써, 설비 및 인명을 보호한다. 이러한 차단기는 주회로와 검출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주회로는 실질적으로 회로들의 개폐를 위해 제공되며, 검출회로는 회로들의 상태 파악을 위해 제공된다. 여기서, 검출회로가 이상전류를 검출함에 따라, 주회로가 회로들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차단기에서,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을 실시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는, 차단기가, 주회로와 검출회로의 분리가 불가능한 구조로 구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단기에서 주회로와 검출회로를 분리시킬 수 있는 구성이 요구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작기는, 차단기의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한다. 즉 차단기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조작기가 차단기에서 주회로와 검출회로를 분리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회로를 개폐하는 차단기는, 회로에서 이상전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부, 상기 이상전류가 검출되면, 상기 회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통전부, 및 상기 검출부와 통전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호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 및 상기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 사이에서 회전하여 상기 검출부와 통전부를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조작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검출부 또는 통전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 1 고정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검출부 또는 통전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고정 단자에 대향하는 제 2 고정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가동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를 관통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고정 단자 및 제 2 고정 단자에 접촉하거나, 상기 제 1 고정 단자 및 제 2 고정 단자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가동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고정 단자와 제 2 고정 단자는, 상기 가동 단자의 양 측면들에 접촉하며, 상기 가동 단자에 대향하는 곡면을 갖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고,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가동 단자는,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부 사이에 인입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만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가동부는, 상기 회전부에 삽입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고정부 또는 제 2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각각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고정부 또는 제 2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상기 볼을 가이드하며, 상기 볼을 통해 상기 스프링에 인가되는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굴곡 형상을 갖는 볼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볼 가이드부는, 두 개의 오목부들 및 상기 오목부들을 연결하며, 상기 오목부들 사이에 만곡되는 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는, 상기 가동 단자를 통과시키기 위한 단자 홀 및 상기 단자 홀의 내벽에서 상기 가동 단자에 대향하여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가동부는, 상기 회전부의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는,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호에 체결되어 상기 가동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핸들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핸들의 이동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작기가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차단기에서 주회로와 검출회로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단기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조작기가 차단기에서 주회로와 검출회로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기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조작기를 도시하는 정면도들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작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가동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가동 단자부와 가동 단자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 제 1 고정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서 제 1 고정 단자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컨대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또는 “제 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기(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기(100)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서 조작기(140)를 도시하는 정면도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기(100)는, 통전부(110), 검출부(120), 개폐부(130) 및 조작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전부(110)는 전원과 부하 사이의 회로들에서 통전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통전부(110)는 고정 접촉자, 가동 접촉자 및 소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접촉자는 고정 접점들을 포함하며, 고정 접점들은 회로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가동 접촉자는 가동 접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고정 접점들과 가동 접점들이 접촉하면, 통전이 이루어지며, 고정 접점들과 가동 접점들이 분리되면, 통전이 차단될 수 있다. 소호부는 고정 접점들과 가동 접점들의 접촉과 분리에 따른 아크(arc)를 소호할 수 있다.
검출부(120)는 전원과 부하 사이의 회로들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검출부(120)는 전원과 부하 사이의 회로들에서 이상전류의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부(120)는, 예컨대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 등을 이상전류로 검출할 수 있다.
개폐부(130)는 통전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개폐부(130)는 회로들의 상태에 기반하여, 가동 접촉자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개폐부(130)가 가동 접촉자를 제어하여, 가동 접점들을 고정 접점들에 접촉시키거나 고정 접점들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130)는 이상전류에 대응하여, 가동 접점들을 고정 접점들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조작기(140)는 차단기(100)의 유지보수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기(140)는 차단기(100)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통전부(110)와 검출부(120) 또는 검출부(120)와 개폐부(130)를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차단기(100)의 유지보수 시, 조작기(140)가 통전부(110)와 검출부(12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 때 통전부(110)와 검출부(120)가 분리되면, 가동 접점들이 고정 접점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차단기(100)의 유지보수 완료 시, 조작기(140)가 통전부(110)와 검출부(120)를 접속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작기(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되면, 조작기(140)는 통전부(110)와 검출부(120)를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되면, 조작기(140)는 통전부(110)와 검출부(120)를 접속시킬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작기(400)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서 가동부(4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서 가동 단자부(415)와 가동 단자(419)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4에서 제 1 고정부(430)를 도시하는 사시도와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4에서 제 1 고정 단자(445)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작기(400)는, 가동부(410), 제 1 고정부(430), 제 2 고정부(450) 및 체결 부재(47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방향, 제 2 방향 및 제 3 방향이 정의될 수 있다. 제 1 방향은, 가동부(410), 제 1 고정부(430) 및 제 2 고정부(450)가 적층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제 2 방향은, 제 1 방향에 수직하며, 가동부(410), 제 1 고정부(430) 및 제 2 고정부(45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제 3 방향은, 가동부(410)의 회전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방향은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가동부(410)는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5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가동부(410)는 제 3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가동부(410)는 회전부(411), 가동 단자(419)들, 핸들(421) 및 탄성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411)는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50)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회전부(411)는 가동 단자(419)들, 핸들(421) 및 탄성부(423)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411)는 가동부(410)와 제 1 고정부(430) 및 제 2 고정부(450) 간 절연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부(411)의 둘레 영역이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50)에 대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411)는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부(411)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411)는 수용부(412)들 및 가동 단자부(41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412)들은 회전부(41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수용부(412)들은 회전부(4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412)들은 회전부(411)를 제 1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412)들은 미리 정해진 깊이를 갖고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412)들은 제 1 수용부(413)와 제 2 수용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수용부(413)는 회전부(411)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 수용부(414)는 제 1 수용부(413)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가동 단자부(415)들은 회전부(411)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단자부(415)들은 단자 홀(416)들, 보조 홀(417)들 및 돌기부(418)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자 홀(416)들과 보조 홀(417)들은 회전부(4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자 홀(416)들과 보조 홀(417)들은 회전부(411)를 제 1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또한 단자 홀(416)들과 보조 홀(417)들은 상호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돌기부(418)들은 단자 홀(416)들에서 보조 홀(417)에 인접한 내벽에 배치되어, 단자 홀(416)들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부(418)들은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가동 단자(419)들은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50)에 대향하여, 회전부(41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동 단자(419)들은 회전부(411)에서 가동 단자부(415)들에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가동 단자(419)들은 단자 홀(416)들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단자(419)들의 두께는 가장자리 영역으로 갈수록 얇아질 수 있다. 여기서, 가동 단자(419)들의 두께는 제 2 방향을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동 단자(419)들에서, 중앙 영역의 두께는 균일할 수 있다. 한편, 가동 단자(419)들에서, 중앙 영역의 두께는 가장자리 영역의 두께 보다 두꺼울 수 있다. 또한 가동 단자(419)들에서, 가장자리 영역의 두께는 외곽으로 갈수록 얇아질 수 있다. 이러한 가동 단자(419)들은 삽입부(4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420)들은 가동 단자(419)들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420)들은 가동 단자(419)들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420)들은 가동 단자(419)들을 제 2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 단자(419)들이 단자 홀(416)들을 통과함에 따라, 돌기부(418)들이 삽입부(420)들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 홀(417)들이, 돌기부(418)들이 삽입부(420)들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420)들에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핸들(421)은 가동부(410)의 회전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즉 핸들(421)은 사용자 조작에 기반하여, 가동부(410)에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핸들(421)은 회전부(411)의 둘레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핸들(421)은 회전부(411)의 외곽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스티커(422)들이 회전부(411)의 둘레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스티커(422)들은 가동부(410)의 회전 방향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핸들(421)을 기준으로 부착될 수 있다.
탄성부(423)는 가동부(410)의 회전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즉 탄성부(423)는 가동부(410)에 인가되는 회전력에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423)는 가동부(41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성부(423)는 수용부(412)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423)는 제 2 수용부(41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423)는 적어도 하나의 볼(424)과 스프링(425)을 포함할 수 있다. 볼(424)은 제 1 고정부(430) 또는 제 2 고정부(4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볼(424)의 적어도 일 부분이 제 2 수용부(414)로부터 제 1 고정부(430) 또는 제 2 고정부(450)에 대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스프링(425)은 회전부(411)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볼(424)이 스프링(425)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가동부(410)가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50)에 결합됨에 따라, 스프링(425)이 압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볼(424)들이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50) 각각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425)은 회전부(411)을 관통하여, 볼(424)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부(410)가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50)에 결합됨에 따라, 스프링(425)이 볼(424)들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볼(424)이 제 1 고정부(430) 또는 제 2 고정부(450) 중 어느 하나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425)은 회전부(411)에 삽입되어, 회전부(411)와 볼(4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부(410)가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50)에 결합됨에 따라, 스프링(425)이 회전부(411)와 볼(424)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50)는 상호에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50)는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며,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호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50)는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호에 맞물림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제 1 고정부(430) 또는 제 2 고정부(45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측에서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50)는 각각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호에 대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5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50)는 내부 공간에 가동부(410)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430)는 가동부(410)를 기준으로, 제 2 고정부(450)의 맞은 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1 고정부(430)는 제 1 방향을 따라, 가동부(410)의 일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고정부(430)가 가동부(410)의 하부에 배치되고, 가동부(410)가 제 1 고정부(4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고정부(430)는 제 1 케이스(431)와 제 1 고정 단자(44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케이스(431)는 가동부(410) 및 제 2 고정부(45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케이스(431)는 가동부(410), 제 1 고정부(430) 및 제 3 고정부(450) 간 절연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케이스(431)는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케이스(431)는 제 1 핸들 가이드부(433), 체결 홈(434)들, 지지부(435), 피봇(437), 볼 가이드부(439), 고정 단자부(443)들 및 배선 가이드부(44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동부(410)의 볼(424)이 제 1 고정부(430)에 대향하는 경우, 제 1 케이스(431)가 볼 가이드부(439)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동부(410)의 볼(424)이 제 1 고정부(430)에 대향하지 않는 경우, 제 1 케이스(431)는 볼 가이드부(439)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 핸들 가이드부(433)는 제 1 케이스(431)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핸들 가이드부(433)는 가동부(410)의 핸들(421)을 제 1 케이스(431)의 외측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1 핸들 가이드부(433)는 핸들(421)의 이동 가능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핸들 가이드부(433)는 제 3 방향을 따라, 핸들(421)의 이동 가능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핸들(421)이 제 1 핸들 가이드부(433)의 양 단부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가동부(410)의 회전 각도가 가동부(410)의 회전 축으로부터 제 1 핸들 가이드부(433)의 양 단부들로 연장되는 직선들 사이의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체결 홈(434)들은 제 1 케이스(431)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체결 홈(434)들은 제 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홈(434)들은 미리 정해진 깊이를 갖고 구현될 수 있다.
지지부(435)는 가동부(410)의 회전부(411)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435)는 가동부(410)의 회전부(411)를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435)는 수용부(412)들과 가동 단자부(415)들 사이에서, 회전부(411)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435)는 가동부(410)의 회전부(411)에 대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435)는 제 1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435)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435)의 지름은 가동부(410)에서 회전부(411)의 지름 미만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부(435)의 내측에서, 가동부(410)의 수용부(412)들이 노출되고, 지지부(435)의 외측에서, 가동부(410)의 가동 단자부(415)들이 노출될 수 있다.
피봇(437)은 지지부(435)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피봇(437)은 가동부(410)의 수용부(412)들 중 어느 하나에 대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피봇(437)은 제 1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피봇(437)은 미리 정해진 높이를 갖고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봇(437)은 가동부(410)의 수용부(412)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피봇(437)은 가동부(410)의 제 1 수용부(413)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봇(437)이 가동부(410)의 회전 축이 될 수 있으며, 가동부(410)가 피봇(437)을 중심으로, 제 1 고정부(430)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다.
볼 가이드부(439)는 지지부(435)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볼 가이드부(439)는 가동부(410)의 수용부(412)들 중 다른 하나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볼 가이드부(439)는 가동부(410)의 제 2 수용부(414)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볼 가이드부(439)는 가동부(410)의 탄성부(423)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볼 가이드부(439)는 탄성부(423)에서 볼(424)의 이동 가능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볼 가이드부(439)는 가동부(410)의 회전 각도에 기반하여, 볼(424)의 이동 가능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볼 가이드부(439)는 제 1 핸들 가이드부(433)와 피봇(43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볼 가이드부(439)는 굴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부(423)에서 스프링(425)에 인가되는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볼 가이드부(439)는 두 개의 오목부(440)들과 볼록부(441)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440)들은 상호에 연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440)들의 최저점들이 피봇(437)으로부터 제 1 핸들 가이드부(433)의 양 단부들로 연장되는 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볼록부(441)는 오목부(440)들 사이에서 만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볼 가이드부(439)는 가동부(410)의 회전 각도 내에서, 볼(424)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고정 단자부(443)들은 지지부(435)의 외곽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고정 단자부(443)들은 가동부(410)의 가동 단자부(415)들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단자부(443)들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단자부(443)들은 제 1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단자부(443)들은 미리 정해진 깊이를 갖고 구현될 수 있다.
배선 가이드부(444)들은 지지부(435)의 외곽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배선 가이드부(444)들은 고정 단자부(443)에 인접하여, 배선들의 연장 경로 상에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배선 가이드부(444)들은 배선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선 가이드부(444)들은 아치(arch)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선들을 통과시킬 수 있다.
제 1 고정 단자(445)들은 가동 단자(419)들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1 고정 단자(445)들은 고정 단자부(443)들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고정 단자(445)들은 접촉부(446)들과 연결부(447)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446)들은 고정 단자부(443)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접촉부(446)들은 가동 단자(419)들에 대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부(446)들은 가동 단자(419)들과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부(446)들은 가동 단자(419)들의 양 측면들에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446)들은 가동 단자(419)들에 대향하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가동 단자(419)들은 제 3 방향을 따라, 접촉부(446)들 사이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이 때 접촉부(446)들은, 가동 단자(419)들이 접촉부(446)들 사이로 인입되는 방향을 따라,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동 단자(419)들이 시계 방향을 따라 접촉부(446)들 사이로 인입되는 경우, 접촉부(446)들은 시계 방향을 따라 만곡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가동 단자(419)들은 반시계 방향으로 접촉부(446)들 사이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부(446)들이 제 2 방향을 따라 상호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부(446)들 간 이격 거리는 가동 단자(419)들의 두께 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촉부(446)들의 곡면들에서 제 2 방향을 따라 대응되는 지점들 간의 이격 거리들 중 최소 거리는 가동 단자(419)에서 최대 두께 미만일 수 있다.
연결부(447)는 접촉부(446)들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447)는 접촉부(446)들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447)는 고정 단자부(443)에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447)의 적어도 일 부분이 고정 단자부(443)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447)는 배선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447)는 텐션 홀(448)과 연결 홀(449)을 포함할 수 있다. 텐션 홀(448)은 연결부(447)에서 접촉부(446)들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텐션 홀(448)은 연결부(447)에서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연결부(447)를 제 3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여기서, 텐션 홀(448)의 연장 길이는 접촉부(446)들의 이격 거리를 초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텐션 홀(448)의 연장 길이는 접촉부(446)들의 곡면들에서 제 2 방향을 따라 대응되는 지점들 간의 이격 거리들 중 최대 거리를 초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텐션 홀(448)은, 가동 단자(419)들이 접촉부(446)들 사이로 인입되거나 접촉부(446)들 사이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접촉부(446)들에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 홀(449)은 배선들과 연결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즉 배선들이 배선 가이드부(444)를 통과하여, 연결 홀(449)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고정부(450)는 가동부(410)를 기준으로, 제 1 고정부(430)의 맞은 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2 고정부(450)는 제 1 방향을 따라, 가동부(410)의 타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고정부(450)가 가동부(410)의 상부에 배치되고, 가동부(410)가 제 2 고정부(4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고정부(450)는 제 2 케이스(451)와 제 2 고정 단자(46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2 고정부(450)는 가동부(410)를 기준으로, 제 1 고정부(430)와 대칭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고정부(450)는 제 1 고정부(430)와 유사하게 구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다만, 제 2 케이스(451)의 제 2 핸들 가이드부(453)는 제 1 케이스(431)의 제 1 핸들 가이드부(433)에 체결되어, 제 1 핸들 가이드부(433)와 함께 핸들(421)의 이동 가능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케이스(451)의 체결 홀(454)들은 제 1 케이스(431)의 체결 홈(434)들로부터 연장되는 동일 선 상에 배치되어, 제 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부재(470)는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5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체결 부재(470)는 제 1 방향을 따라,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5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체결 부재(470)는 제 1 케이스(431)의 체결 홈(434)과 제 2 케이스(451)의 체결 홀(454)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부재(470)는 제 2 케이스(451)의 체결 홀(454)을 통과하여, 제 1 케이스(431)의 체결 홈(434)에 체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핸들(421)이 제 1 핸들 가이드부(433)와 제 2 핸들 가이드부(453)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50) 사이에서, 가동부(410)에 회전력이 인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423)의 볼(424)이 볼 가이드부(439)에서 오목부(440)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423)의 볼(424)이 볼록부(441)를 통과함에 따라, 스프링(423)으로부터 볼(424)에 탄성력이 인가될 수 있다. 즉 볼(424)을 통해 스프링(425)이 압축되어, 스프링(425)으로부터 볼(424)에 미는 힘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부(410)가 회전력과 탄성력에 기반하여,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50)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동부(410)가 제 1 고정부(430)와 제 2 고정부(450) 사이에서 회전함에 따라, 가동 단자(419)들이 접촉부(446)들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즉 가동단자(419)들이 접촉부(446)들 사이로 인입되거나, 접촉부(446)들 사이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 때 가동 단자(419)들이 접촉부(446)들 사이로 인입됨에 따라, 가동 단자(419)들이 접촉부(446)들과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 단자(419)들이 제 1 고정 단자(445)들 및 제 2 고정 단자(465)들과 접촉하여, 배선들의 통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가동 단자(419)들이 접촉부(446)들 사이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가동 단자(419)들이 접촉부(446)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 단자(419)들이 제 1 고정 단자(445)들 및 제 2 고정 단자(465)들로부터 분리되어, 배선들의 통전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고정 단자(445)들이 검출부(도 1 및 도 2의 120)에 연결되어 있고, 제 2 고정 단자(465)들이 통전부(도 1 및 도 2의 110) 또는 개폐부(도 1 및 도 2의 13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100 차단기
110 통전부 120, 검출부
130 개폐부 140, 400 조작기
410 가동부 411 회전부
412 수용부 415 가동 단자부
416 단자 홀 417 보조 홀
418 돌기부 419 가동 단자
420 삽입부 421 핸들
422 스티커 423 탄성부
424 볼 425 스프링
430 제 1 고정부 431 제 1 케이스
433 제 1 핸들 가이드부 435 지지부
437 피봇 439 볼 가이드부
443 고정 단자부 445 제 1 고정 단자
446 접촉부 447 연결부
448 텐션 홀 449 연결 홀
450 제 2 고정부 451 제 2 케이스
453 제 2 핸들 가이드부 465 제 2 고정 단자
470 체결 부재

Claims (13)

  1. 주회로를 갖는 통전부;
    상기 주회로에서 이상전류를 검출하는 검출 회로를 갖는 검출부; 및
    상기 주회로와 검출 회로를 접속하거나 분리하는 조작기;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기는,
    상기 주회로와 검출 회로에 각각 연결되고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 및
    상기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주회로와 검출 회로를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제 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에 평행한 면 상에서 회전하는 원판 형상의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부 또는 제 2 고정부에는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원관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검출부 또는 통전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 1 고정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검출부 또는 통전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고정 단자에 대향하는 제 2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차단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회전부를 관통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고정 단자 및 제 2 고정 단자에 접촉하거나, 상기 제 1 고정 단자 및 제 2 고정 단자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가동 단자를 더 포함하는 차단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단자와 제 2 고정 단자는,
    상기 가동 단자의 양 측면들에 접촉하며, 상기 가동 단자에 대향하는 곡면을 갖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고,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는,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부 사이에 인입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만곡된 차단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회전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1 수용부 및 상기 제 1 수용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수용부를 갖는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 1 수용부에 삽입되어 회전축의 역할을 하는 피봇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 2 수용부에 삽입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고정부 또는 제 2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각각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을 더 포함하는 차단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 또는 제 2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상기 볼을 가이드하며, 상기 볼을 통해 상기 스프링에 인가되는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굴곡 형상을 갖는 볼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차단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가동 단자를 통과시키기 위한 단자 홀; 및
    상기 단자 홀의 내벽에서 상기 가동 단자에 대향하여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차단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회전부의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차단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는,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호에 체결되어 상기 가동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핸들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핸들의 이동 영역을 제공하는 차단기.
KR1020170023132A 2017-02-21 2017-02-21 조작기를 갖는 차단기 KR101912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132A KR101912698B1 (ko) 2017-02-21 2017-02-21 조작기를 갖는 차단기
EP18155763.8A EP3364439B1 (en) 2017-02-21 2018-02-08 Circuit breaker having circuit operating device
CN201810129175.0A CN108461347B (zh) 2017-02-21 2018-02-08 具有电路操作装置的断路器
ES18155763T ES2755893T3 (es) 2017-02-21 2018-02-08 Disyuntor que tiene un dispositivo de operación de circuito
US15/900,331 US10424453B2 (en) 2017-02-21 2018-02-20 Circuit breaker having circuit operating device
JP2018028620A JP6490848B2 (ja) 2017-02-21 2018-02-21 回路操作器を有する遮断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132A KR101912698B1 (ko) 2017-02-21 2017-02-21 조작기를 갖는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421A KR20180096421A (ko) 2018-08-29
KR101912698B1 true KR101912698B1 (ko) 2018-10-29

Family

ID=61188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132A KR101912698B1 (ko) 2017-02-21 2017-02-21 조작기를 갖는 차단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24453B2 (ko)
EP (1) EP3364439B1 (ko)
JP (1) JP6490848B2 (ko)
KR (1) KR101912698B1 (ko)
CN (1) CN108461347B (ko)
ES (1) ES275589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699B1 (ko) 2017-07-27 2018-1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기중차단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10988A (ja) * 2007-06-12 2008-12-25 Nidec Copal Electronics Corp 高周波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2347B1 (fr) * 1987-10-26 1995-04-14 Merlin Gerin Dispositif de coupure pour un disjoncteur multipolaire a contact rotatif double
US6437262B1 (en) 2001-02-28 2002-08-20 General Electric Company Handle operating assembly for an electric disconnect switch
KR20010099395A (ko) 2001-09-25 2001-11-09 황종근 레버 구동 로터리 스위치
JP4257990B2 (ja) 2002-04-12 2009-04-30 三菱電機株式会社 引出形遮断器
DE10234925A1 (de) 2002-07-31 2004-02-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Drehwähler
JP4200291B2 (ja) 2003-05-21 2008-12-24 富士電機アセッツ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漏電遮断器
JP4315983B2 (ja) 2007-01-19 2009-08-19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スイッチ
KR100876408B1 (ko) 2007-07-12 2008-12-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계적 트립 표시 기구를 갖는 기중 차단기
MY158119A (en) * 2007-08-20 2016-08-30 Ls Ind Systems Co Ltd Circuit breaker with temperature sensor
KR20120001883U (ko) 2010-09-03 2012-03-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과전류계전기용 정격설정장치
DE102012008276A1 (de) * 2011-07-25 2013-01-31 Abb Technology A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Antriebseinheit eines Dreistellungsantriebes für ein Schaltgerät einer Schaltanlage
US8981244B2 (en) 2012-12-14 2015-03-17 Solteam Electronics Co., Ltd. Forward/backward rotation switching mechanism
KR101522272B1 (ko) * 2014-06-30 2015-05-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의 중성 극 변류기 모듈 및 중성 극 전류 검출 장치
KR101701028B1 (ko) * 2015-04-13 2017-0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안전 스위칭 부를 갖는 차단기
KR101703760B1 (ko) * 2015-07-14 2017-02-22 (주)서전기전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KR101827118B1 (ko) * 2016-05-23 2018-02-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10988A (ja) * 2007-06-12 2008-12-25 Nidec Copal Electronics Corp 高周波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37224A (ja) 2018-08-30
US20180240634A1 (en) 2018-08-23
CN108461347A (zh) 2018-08-28
KR20180096421A (ko) 2018-08-29
CN108461347B (zh) 2020-01-14
ES2755893T3 (es) 2020-04-24
EP3364439A1 (en) 2018-08-22
US10424453B2 (en) 2019-09-24
EP3364439B1 (en) 2019-08-28
JP6490848B2 (ja)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8519A2 (en) Movable contactor assembly for a current limiting type molded case circuit breaker
EP3389066A1 (en) Interlock apparatus of circuit breaker
KR101912699B1 (ko) 직류 기중차단기
KR101912698B1 (ko) 조작기를 갖는 차단기
KR102521937B1 (ko) 차단기의 트립 기구
EP2290667B1 (en) Slide type movable contactor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EP2474993B1 (en) Circuit interruption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KR101343185B1 (ko) 차단기의 가동자 어셈블리
US9991077B2 (en) Current limiting device of circuit breaker
US8907236B2 (en) Floating stationary contact to create stable, low resistance contact joints
KR101265015B1 (ko)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KR200489123Y1 (ko) 차폐부를 갖는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개폐기
KR101814927B1 (ko) 소켓아웃렛 및 그 소켓아웃렛의 인터로크 장치
US8383968B2 (en) Lever switch for safe breaking of a circuit of an exercise apparatus
CN220774261U (zh) 一种漏电试验装置及剩余电流动作断路器
KR200496083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자 어셈블리
EP2423931B1 (en) Lever switch for safe breaking of a circuit of an exercise apparatus
KR20130066053A (ko)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KR100748788B1 (ko) 쐐기 삽입형 전류 차단기
KR20180108005A (ko) 차단기의 보조 접점 장치
KR20180003310U (ko) 핸들을 갖는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