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099B1 -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099B1
KR101905099B1 KR1020150006522A KR20150006522A KR101905099B1 KR 101905099 B1 KR101905099 B1 KR 101905099B1 KR 1020150006522 A KR1020150006522 A KR 1020150006522A KR 20150006522 A KR20150006522 A KR 20150006522A KR 101905099 B1 KR101905099 B1 KR 101905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communication mode
usb interface
cpu
physic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4685A (ko
Inventor
야스히코 히라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4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1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power consum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53Power saving in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Power Source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절전상태에서 통신이 가능함과 아울러, 소비 전력의 억제가 가능한 정보처리장치. 제1 통신부는 제1 통신 모드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제2 통신부는 제2 통신 모드에서의 통신을 행한다. 케이블을 거쳐 실행된 통신의 통신모드는, 이행 조건이 충족시켜진 것이 검지되고, 또한, 특정된 통신 모드가 상기 제1 통신 모드일 경우에, 상기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전환된다. 통신 모드를 상기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1 통신부에의 전원공급을 정지한다.

Description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SUPPRESSES POWER CONSUMP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 등의 상위장치인 호스트 기기와 하위장치인 화상형성장치는, 범용직렬버스(USB)에 의해 접속가능하다. 최근, USB규격으로서 데이터 통신속도를 향상시킨 USB 3.0이 보급되고 있다. 이 USB 3.0은 하위호환성을 가지고 있다. USB 3.0에 대응하는 기기는, USB 2.0에도 대응한다. 그 때문에, USB 3.0에 대응하는 기기는, USB 3.0의 Super Speed(데이터 통신속도가 최대로 5Gbps, 이하 "SS"라고 한다)와 USB 2.0의 High Speed(데이터 통신속도가 최대로 480Mbps, 이하 "HS"라고 한다)에 대응한다.
이렇게, SS는 HS보다 고속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SS에 대응하는 물리층 회로(이하, "PHY"라고 한다)의 소비 전력은, HS에 대응하는 PHY의 소비 전력보다 크다. 그 때문에, 이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소정시간이상에 걸쳐 동작 요구등이 없을 경우에, 소비 전력을 저감한 상태인 슬립(sleep) 상태에 이행하는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최근에, 절전 요구가 한층 더 높아져, 슬립 상태에서의 전력저감이 필요하다. 따라서, 슬립 상태에서의 USB인터페이스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93419호 참조).
그렇지만,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9-93419호에 개시된 정보처리장치에서는, 슬립 상태에서는 USB인터페이스의 전원이 차단되어버린다. 따라서, 통신이 불가능해진다. 정보처리장치에서는, 통상의 사용시에 소비 전력의 억제도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절전상태에서 통신이 가능함과 아울러, 소비 전력의 억제가 가능한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국면은, 정보처리장치로서, 메모리; USB 2.0의 High Speed로 동작하는 제1 물리층 회로와 USB 3.0의 Super Speed로 동작하는 제2 물리층 회로를 갖는 USB인터페이스; USB 3.0의 Super Speed에 근거하는 통신 모드로부터 USB 2.0의 High Speed에 근거하는 통신 모드로, 상기 USB인터페이스를 위한 통신 모드를 변경하고, 절전 상태로 상기 제1 물리층 회로를 제어하고, 절전을 위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가 소정의 슬립 이행 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에 따라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절전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물리층 회로에서 전원을 절단하는 변경부; 상기 USB인터페이스를 위한 상기 통신 모드를 변경하기 전에 상기 USB인터페이스를 위한 상기 통신 모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억하는 기억부; 절전 상태로부터의 복귀와 관련된 요인을 검지하는 검지부; 상기 절전 상태로부터의 복귀와 관련된 요인의 검지후에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통신 모드에 관한 상기 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상기 통신 모드에 관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USB인터페이스의 상기 통신 모드를 USB 3.0의 Super Speed로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물리층 회로에 전원을 공급할 것인가 아닌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국면은, 메모리와 USB 2.0의 High Speed로 동작하는 제1 물리층 회로와 USB 3.0의 Super Speed로 동작하는 제2 물리층 회로를 갖는 USB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USB 3.0의 Super Speed에 근거하는 통신 모드로부터 USB 2.0의 High Speed에 근거하는 통신 모드로,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위한 통신 모드를 변경하고, 절전 상태로 상기 제1 물리층 회로를 제어하고, 절전을 위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가 소정의 슬립 이행 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에 따라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절전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물리층 회로에서 전원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USB인터페이스를 위한 상기 통신 모드를 변경하기 전에 상기 USB인터페이스를 위한 상기 통신 모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억하는 단계; 절전 상태로부터의 복귀와 관련된 요인을 검지하는 단계; 상기 절전 상태로부터의 복귀와 관련된 요인의 검지후에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통신 모드에 관한 상기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하는 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통신 모드에 관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USB인터페이스의 상기 통신 모드를 USB 3.0의 Super Speed로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물리층 회로에 전원을 공급할 것인가 아닌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국면은, 메모리와 USB 2.0의 High Speed로 동작하는 제1 물리층 회로와 USB 3.0의 Super Speed로 동작하는 제2 물리층 회로를 갖는 USB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제어 방법은, USB 3.0의 Super Speed에 근거하는 통신 모드로부터 USB 2.0의 High Speed에 근거하는 통신 모드로,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위한 통신 모드를 변경하고, 절전 상태로 상기 제1 물리층 회로를 제어하고, 절전을 위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가 소정의 슬립 이행 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에 따라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절전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물리층 회로에서 전원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USB인터페이스를 위한 상기 통신 모드를 변경하기 전에 상기 USB인터페이스를 위한 상기 통신 모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억하는 단계; 절전 상태로부터의 복귀와 관련된 요인을 검지하는 단계; 상기 절전 상태로부터의 복귀와 관련된 요인의 검지후에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통신 모드에 관한 상기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하는 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통신 모드에 관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USB인터페이스의 상기 통신 모드를 USB 3.0의 Super Speed로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물리층 회로에 전원을 공급할 것인가 아닌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처리장치가 통상의 사용 상태에 있을 때에, 통신이 실행되지 않는 통신 모드의 기능 블록에의 전원의 공급이 정지되어서,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정보처리장치가 절전상태에 있을 때에는, 저속의 제2 통신 모드에서의 접속이 유지되어서, 절전상태에서도 통신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소비 전력을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로서의 디지털 복합기(MFP)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및 그 MFP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MFP가 구비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USB인터페이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호A, B, C, D의 타이밍 차트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USB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MFP가 슬립 상태에 이행할 때 행해진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USB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MFP가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할 때 행해진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USB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MFP의 중앙처리장치(CPU)에 의해 실행되는 슬립 이행 처리의 흐름도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USB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MFP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슬립 복귀 처리의 흐름도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MFP가 구비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USB인터페이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USB인터페이스의 케이블 접속후의 처리의 흐름도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USB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MFP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제1 슬립 이행 처리의 흐름도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USB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MFP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제1 슬립 복귀 처리의 흐름도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USB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MFP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제2 슬립 이행 처리의 흐름도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USB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MFP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제2 슬립 복귀 처리의 흐름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로서의 화상형성장치(이하, 디지털 복합기(MFP)라고 한다)(1000)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 및 MFP(10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MFP(1000)는, 콘트롤러(100), 조작부(120), 판독부(130), 인쇄부(140) 및 전원(150)을 구비한다.
콘트롤러(100)는, MFP(1000) 전체를 제어한다. 조작부(120)는,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고, 유저에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판독부(130)는, 원고를 판독하고, 그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인쇄부(140)는,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을 종이등의 기록 매체에 인쇄한다. 전원(150)은, MFP(1000)를 구성하는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콘트롤러(100)는, 중앙처리장치(CPU)(101), 판독전용 메모리(ROM)(102),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03), 클록 생성부(104), 화상처리부(105), 조작부 인터페이스(106), 판독부 인터페이스(107), 인쇄부 인터페이스(108), 슬립 제어부(109) 및 제1 실시예에 따른 USB인터페이스(110)를 구비한다.
CPU(101)는, 콘트롤러(100)를 제어하여 MFP(1000) 전체를 제어한다. ROM(102)은, 부트 프로그램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RAM(103)은, CPU(101)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되고, 또한 각종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후술하는 시퀀스 도 및 흐름도에 도시된, MFP(1000)로 실행되는 각종의 처리는, CPU(101)가 ROM(10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03)에 래스터화할 때 실시된다.
클록 생성부(104)는, 콘트롤러(100)의 각 부에 클록을 생성하여, 공급한다. 화상처리부(105)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 각종 화상처리를 행한다.
조작부 인터페이스(106)는, 콘트롤러(100)와 조작부(120) 사이의 인터페이스다. 판독부 인터페이스(107)는, 콘트롤러(100)와 판독부(130) 사이의 인터페이스다. 인쇄부 인터페이스(108)는, 콘트롤러(100)와 인쇄부(140) 사이의 인터페이스다.
슬립 제어부(109)는, 콘트롤러(100)의 절전상태에서의 제어를 행한다. USB인터페이스(110)는, USB통신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MFP(1000)는, USB케이블(3000)을 통해 호스트 장치인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한다)(2000)의 USB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USB인터페이스(1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USB인터페이스(110)에 더하여, 클록 생성부(104), 슬립 제어부(109) 및 전원(150)이 도시되어 있다.
USB인터페이스(110)는, 내부 버스 인터페이스(111), USB 2.0제어부(112), HS_PHY(113), USB 3.0제어부(114), SS_PHY(115), 선택부(116) 및 신호 분리 제어부(220, 221)를 구비한다.
내부 버스 인터페이스(111)는, 콘트롤러(100)의 내부 버스와의 인터페이스다.
USB 2.0제어부(112)는, USB 2.0(제2 통신 모드)에서의 통신을 제어한다. HS_PHY(113)는, USB 2.0의 High Speed(HS)에서의 통신을 행하는 물리층 회로(제2 기능 블록)다.
USB 3.0제어부(114)는, USB 3.0(제1 통신 모드)에서의 통신을 제어한다. SS_PHY(115)는, USB 3.0의 Super Speed(SS)에서 통신을 행하는 물리층 회로(제1 기능 블록)다. 이 SS_PHY(115)가 동작하는 상태(제1 전력상태)에서의 소비 전력은, HS_PHY(113)가 동작하는 상태(제2 전력상태)에서의 소비 전력보다 크다. MFP(1000)는, 상기 제1 전력상태 또는 제2 전력상태에서 동작가능하다.
선택부(116)는, USB 2.0에 의한 통신 및 USB 3.0에 의한 통신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한다. USB 2.0에서의 통신 속도는, USB 3.0에서의 통신 속도보다 저속이다.
각 신호 분리 제어부 220, 221은, 영역 300과 310의 경계신호를 분리한다. 이 영역 300과 310은, 전원(150)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영역이다. 영역 310에서는 SS_PHY(115)에 전원이 공급되고, 영역 300에서는 SS_PHY(115)이외의 부에 전원이 공급된다.
영역 310에 대하여, 전원제어부(210)에 의해, 전원의 공급과, 공급 정지가 가능하다. 클록 생성부(104)가 생성한 클록은, 영역 300과 310 각각에 공급된다. 이때, 영역 310에 대하여, 클록 게이트부(200)에 의해, 클록 생성부(104)로부터의 클록의 공급과 공급 정지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슬립 제어부(109)는, 클록 게이트부(200), 전원제어부(210) 및 신호 분리 제어부(220, 221)와 접속되어, 그 부들을 제어한다. 도 2에 있어서, 슬립 제어부(109)로부터의 신호 선 A, C, D와 신호 분리 제어부(220)로부터의 신호 선 B를 거쳐 송신되는 신호A∼D의 내용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호A, B, C, D의 타이밍 차트다. 신호A는, 슬립 제어부(109)로부터 클록 게이트부(200)에의 클록 제어신호다. 신호B는, 클록 게이트부(200)로부터 SS_PHY(115)에의 클록 신호다. 신호C는, 슬립 제어부(109)로부터 신호 분리 제어부(220, 221)에의 신호 분리 제어신호다. 신호D는, 슬립 제어부(109)로부터 전원제어부(210)에의 전원공급 제어신호다.
통상의 사용 상태로부터 절전상태인 슬립 상태에 이행하는 타이밍T1에서, 슬립 제어부(109)는, 우선, 클록 제어신호A를 하이(High)로부터 로우(Low)로 전환한다. 클록 제어신호A가 하이일 경우에, 클록 게이트부(200)로부터 SS_PHY(115)에 클록 신호B가 공급된다. 한편, 클록 제어신호A가 로우일 경우에는, 클록 게이트부(200)로부터 SS_PHY(115)에 클록 신호B가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타이밍T1에서 SS_PHY(115)에의 클록의 공급이 정지된다.
타이밍T1 이후의 타이밍T2에서, 슬립 제어부(109)는, 신호 분리 제어신호C를 로우로부터 하이로 전환한다. 신호 분리 제어신호C가 하이일 경우에는, 신호 분리 제어부 220, 221 각각은 신호 분리를 행한다. 신호 분리 제어신호C가 로우일 경우에, 신호 분리 제어부 220, 221 각각은 신호 분리하지 않고, 신호 접속을 행한다. 그러므로,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타이밍T2로부터 신호 분리를 행한다.
타이밍T2 이후의 타이밍T3에서, 슬립 제어부(109)는, 전원공급 제어신호D를 하이로부터 로우로 전환한다. 전원공급 제어신호D가 하이일 경우에는, 전원제어부(210)를 통해서 SS_PHY(115)에 전원이 공급된다. 전원공급 제어신호D가 로우일 경우에는, SS_PHY(115)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타이밍T3에서, SS_PHY(115)에의 전원공급이 정지된다.
이렇게 하여, 타이밍T3에서, MFP(1000)는, 슬립 상태에 이행한다. 그 후에, PC(2000)로부터의 인쇄 요구등의 슬립 복귀 요인이 발생한 타이밍T4에서, 슬립 제어부(109)는, 전원공급 신호D를 로우로부터 하이로 전환한다. 따라서, 타이밍T4에서, SS_PHY(115)에의 전원공급이 재개된다.
타이밍T4 이후의 타이밍T5에서, 슬립 제어부(109)는, 클록 제어신호A를 로우로부터 하이로 전환한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타이밍T5에서, 록업(lock-up) 타임을 경과한 후 클록 신호B의 공급이 재개 된다. 록업 타임 경과후의 타이밍T6에서, 슬립 제어부(109)는, 신호 분리 제어신호C를 하이로부터 로우로 전환한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타이밍T6에서 신호 분리 제어부 220, 221 각각이 신호 접속을 행한다.
이렇게 해서, MFP(1000)는, 슬립 상태로부터 통상의 사용 상태에 복귀함과 아울러, PC(2000)와 MFP(1000) 사이에 USB 3.0에 의한 접속이 확립된다.
도 4는, MFP(1000)가 슬립 상태에 이행할 때 행해진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다.
PC(2000)와 MFP(1000)가 USB케이블(3000)을 거쳐 서로 접속되면, 단계S3000에서, USB호스트인 PC(2000)는, USB 2.0접속 요구를 MFP(1000)에 송신한다. 단계S4000에서, MFP(1000)는, USB 2.0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긍정응답(ACK)을 PC(2000)에 회신한다.
그리고, 단계S3010에서, PC(2000)는, USB 3.0접속 요구를 MFP(1000)에 송신한다. 단계S4010에서, MFP(1000)는, USB 3.0에 대응하기 때문에, USB 3.0접속 요구의 응답으로서, ACK를 PC(2000)에 회신한다. 이에 따라, PC(2000)와 MFP(1000) 사이에서, USB 3.0에 의한 접속이 확립된다. CPU(101)는, USB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하여, USB케이블(3000)을 통해 실행된 통신의 통신 모드를 특정한다.
단계S3020에서, PC(2000)가 소정의 코맨드를 MFP(1000)에 송신한다. 단계S4020에서, MFP(1000)는, ACK를 PC(2000)에 회신한다. 그리고, 단계S3030에서, PC(2000)는 인쇄 요구를 MFP(1000)에 송신한다. 단계S4030에서, MFP(1000)는, ACK를 PC(2000)에 회신한다. 그리고, 단계S3040에서, PC(2000)는 인쇄 데이터를 MFP(1000)에 송신한다. 단계S4040에서, MFP(1000)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ACK를 PC(2000)에 회신한다. 단계S4050에서, MFP(1000)는, 인쇄를 행한다.
그 후에, 단계S4060에서, MFP(1000)는, 슬립 상태에 이행하기 위해서 소정의 슬립 이행 시간이 경과하는등의, 슬립 이행의 조건이 성립하면, 슬립 이행 제어를 개시한다. 단계S4070에서, MFP(1000)는, 슬립 이행 제어를 개시할 때, 우선, USB 3.0에서의 접속을 절단한다. USB 3.0에서의 접속의 절단은, USB케이블(3000)을 접속한 채,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소프트웨어로 논리적인 접속을 절단하는 것이다. MFP(1000)와 PC(2000)는, 물리층에서 서로 접속된 채로 있다.
단계S3050에서, USB 3.0에서의 접속이 절단된 것을 받고, PC(2000)는, 재차,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서, USB 2.0접속 요구를 MFP(1000)에 송신한다. 단계S4080에서, MFP(1000)는, USB 2.0접속 요구의 응답으로서, ACK를 PC(2000)에 회신한다.
그리고, 단계S3060에서, PC(2000)는, USB 3.0접속 요구를 MFP(1000)에 송신한다. 단계S4090에서, MFP(1000)는, 슬립 상태에 이행할 때 USB 3.0에 대응하지 않고, USB 3.0접속 요구의 응답으로서, 부정 응답(NACK)을 PC(2000)에 회신한다. 이에 따라, PC(2000)와 MFP(1000) 사이에서 USB 2.0에서의 재접속이 확립된다. 그 후에, 단계S4100에서, MFP(1000)는, 슬립 상태에 이행한다.
슬립 상태에 있는 MFP(1000)에서는, 전원제어부(210)에 의해, 영역 310에의 전원공급이 정지된다. 따라서, SS_PHY(115)에의 전원공급이 정지되어 있다. 또한, 클록 게이트부(200)는, 클록 생성부(104)가 생성한 클록의 영역 310에의 공급도 정지시킨다. 따라서, SS_PHY(115)에의 클록 공급도 정지되어 있다.
도 5는, MFP(1000)가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할 때 행해진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다.
단계S3500에서, MFP(1000)가 슬립 상태중에, PC(2000)가 인쇄 요구를 MFP(1000)에 송신한다. 단계S4500에서, MFP(1000)는, 슬립 상태에 있어서 그 인쇄 요구에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NACK를 PC(2000)에 회신한다.
단계S4510에서, 인쇄 요구가 MFP(1000)에 대한 슬립 복귀 요인이기 때문에, MFP(1000)는, 슬립 복귀 제어를 개시한다.
MFP(1000)에서는, 슬립 복귀 제어가 개시되면, 전원제어부(210)에 의해, 영역 310에의 전원공급이 재개된다. 그러므로, SS_PHY(115)에의 전원공급이 재개된다. 또한, 클록 생성부(104)가 생성한 클록의 영역 310에의 공급도 클록 게이트부(200)에 의해 재개된다. 따라서, SS_PHY(115)에의 클록 공급도 재개된다. 단계S3510에서, 이 클록 공급에 의한 록업 타임이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에, PC(2000)가 인쇄 요구를 MFP(1000)에 송신한다. 단계S4520에서, MFP(1000)는 NACK를 PC(2000)에 회신한다.
이어서, 단계S4530에서, MFP(1000)는, 슬립 복귀 제어에 있어서, USB 2.0에서의 접속을, 단계S4070과 같이, 논리적으로 절단한다. 단계S3520에서, USB 2.0에서의 접속이 절단된 것을 받고, PC(2000)는, 재차,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서, USB 2.0접속 요구를 MFP(1000)에 송신한다. 단계S4540에서, MFP(1000)는, USB 2.0접속 요구의 응답으로서, ACK를 PC(2000)에 회신한다.
단계S3530에서, 그리고, PC(2000)는, USB 3.0접속 요구를 MFP(1000)에 송신한다. 단계S4550에서, MFP(1000)는,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한 후에는 USB 3.0에 대응하기 때문에, USB 3.0접속 요구의 응답으로서, ACK를 PC(2000)에 회신한다. 이에 따라, PC(2000)와 MFP(1000) 사이에서, USB 3.0에서의 재접속이 확립된다. USB 3.0에서의 접속이 확립되면, 도 4에 도시된 단계S3030∼단계S4050에서 설명한 인쇄도 행해질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의 시퀀스 도에 있어서의 MFP(1000)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MFP(1000)를 슬립 상태에 이행시키는 처리를 슬립 이행 처리라고 칭하고, 슬립 상태에 있는 MFP(1000)를 통상의 사용 상태에 이행시키는 처리를 슬립 복귀 처리라고 칭한다.
도 6은, MFP(1000)에 있어서 CPU(101)에 의해 실행된 슬립 이행 처리의 흐름도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USB 3.0에 의한 접속을 간단히 SS의 접속으로서 표현하고, USB 2.0에 의한 접속을 간단히 HS의 접속으로서 표현한다. 도 6에 도시된 각 처리는, CPU(101)가 ROM(10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03)에 래스터화하고, 콘트롤러(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때 실시된다.
단계S601에서, CPU(101)는, 슬립 이행 조건이 성립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1)는 슬립 이행 조건이 성립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S601에서 NO), CPU(101)는, 단계S601의 판정을 반복한다. CPU(101)는, 슬립 이행 조건이 성립하였다고 판정하면(단계S601에서 YES), 처리를 단계S602에 진행시킨다.
단계S602에서, CPU(101)는, SS에서 접속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1)는, SS에서 접속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602에서 YES), 처리를 단계S603에 진행시킨다. CPU(101)는, SS에서 접속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S602에서 NO), 처리를 단계S604에 진행시킨다.
단계S603에서, CPU(101)는, SS에서의 접속으로부터 HS에서의 접속으로 전환한다. 이어서, 단계S604에서, CPU(101)는, SS_PHY(115)에의 클록 공급을 정지한다. 단계S604의 처리는, 도 3에 도시된 타이밍T1에서의 처리에 해당한다.
이어서, 단계S605에서, CPU(101)는, 신호 분리 제어부(220, 221) 각각에 의해 신호 분리시키고, 한층 더, SS_PHY(115)에의 전원공급을 정지한다. 단계S605의 처리는, 도 3에 도시된 타이밍T2,T3에서의 처리에 해당한다.
그 후에, 단계S606에서, CPU(101)는, HS에서 접속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1)는, HS에서 접속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606에서 YES), 처리를 단계S607에 진행시킨다. CPU(101)는, HS에서 접속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606에서 NO), CPU(101)는, 단계S606의 판정을 반복한다. 단계S607에서, CPU(101)는, MFP(1000)를 슬립 상태에 이행시켜, USB 2.0에서의 접속인채로 대기한다. 이렇게 하여, 본 처리를 종료한다. 도 6에 도시된 처리는, 도 4의 단계S4070∼단계S4090의 처리에 대응한다.
도 7은, MFP(1000)에 있어서 CPU(101)에 의해 실행되는 슬립 복귀 처리의 흐름도다. 도 7에 나타내는 각 처리는, CPU(101)가 ROM(10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03)에 래스터화하고, 콘트롤러(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때 실시된다.
단계S701에서, CPU(101)는, 슬립 복귀 요인이 발생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1)는, 슬립 복귀 요인이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701에서 YES), 처리를 단계S702에 진행시킨다. 슬립 복귀 요인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701에서 NO), CPU(101)는 단계S701의 판정을 반복한다.
단계S702에서, CPU(101)는, 슬립 복귀 요인이 SS에서의 접속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1)는, 슬립 복귀 요인이 SS에서의 접속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S702에서 YES), 처리를 단계S703에 진행시킨다. CPU(101)는, 슬립 복귀 요인이 SS에서의 접속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단계S702에서 NO), HS에서의 접속을 유지하고, 본 처리를 종료시킨다.
단계S703에서, CPU(101)는, SS_PHY(115)에의 전원공급을 재개한다. 단계S703의 처리는, 도 3에 나타낸 타이밍T4에서의 처리에 해당한다.
이어서, 단계S704에서, CPU(101)는, SS_PHY(115)에의 클록 공급을 재개한다. 단계S704의 처리는, 도 3에 나타낸 타이밍T5에서의 처리에 해당한다. 그 후, 단계S705에서, CPU(101)는, 록업 타임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1)는, 록업 타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705에서 NO), CPU(101)는, 단계S705의 판정을 반복한다. CPU(101)는, 록업 타임이 경과하였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705에서 YES), 처리를 단계S706에 진행시킨다.
단계S706에서, CPU(101)는, HS에서의 접속으로부터 SS에서의 접속으로 전환한다. 그 후에, CPU(101)는, 본 처리를 종료시킨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처리는, 도 5에 도시된 단계S4500∼단계S4550의 처리에 대응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USB케이블(3000)이 제1 통신 모드로 접속되고, MFP(1000)가 제1 전력상태로부터 제2 전력상태에 이행할 경우, USB케이블(3000)을 통해 실행하는 통신의 통신 모드를 고속의 제1 통신 모드로부터 저속의 제2 통신 모드로 이행한다. 이에 따라, 절전상태(슬립 상태)에서 통신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MFP(1000)가 슬립 상태에 있을 때에도, MFP(1000)는 USB 2.0에 의해 PC(2000)와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SS에서의 접속이 필요한 슬립 복귀 요인이 발생하면, 조속히 SS_PHY(115)에의 전원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SS_PHY(115)에의 클록 공급을 재개하여, 다시 USB 3.0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이하, 제2 실시예에 따른 USB인터페이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USB인터페이스는, 제1 실시예에 따른 USB인터페이스(110)와 다른 점은, USB 2.0용의 HS_PHY(113)도 전원공급 영역으로서 독립적이다는 것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USB인터페이스 110A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는, USB인터페이스 110A를 구비하는 콘트롤러 100A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USB인터페이스 110을 구비하는 콘트롤러 100과 같은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부착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MFP(10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USB인터페이스 110 대신에, 제2 실시예에 따른 USB인터페이스 110A가 장착될 수 있다. USB인터페이스 110A가 구비하는 HS_PHY(113)는, 전원(150)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영역 320으로서 독립적이다. USB인터페이스 110A는, 신호 분리 제어부(222, 223)를 구비한다. 신호 분리 제어부(222, 223) 각각은, 영역 300과 320의 경계신호를 분리시킨다. 영역 320에 대하여는, 전원제어부(210)에 동등한 전원제어부(211)에 의해, 전원의 공급 및 정지가 가능해진다.
클록 생성부(104)가 생성한 클록은, 영역 300, 310, 320 각각에 공급된다. 클록 생성부(104)로부터 영역 310, 320에의 클록의 공급과 정지는, 클록 게이트부(200)에 의해 영역 310, 320마다 전환할 수 있다.
콘트롤러 100A가 구비하는 PHY전원제어부(117)는, 콘트롤러 100이 구비하는 슬립 제어부(109)와 마찬가지로, 클록 게이트부(200), 전원제어부(210, 211) 및 신호 분리 제어부(220, 221, 222, 223)와 접속되어, 그 부들을 제어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신호A, B, C, D는, 영역 310, 320마다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신호A∼D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신호A∼D와 동등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A는, PHY전원제어부(117)로부터 클록 게이트부(200)에의 클록 제어신호다. 신호B는, 클록 게이트부(200)로부터 SS_PHY(115) 및 HS_PHY(113)에의 클록 신호다. 신호C는, PHY전원제어부(117)로부터 신호 분리 제어부(220, 221, 222, 223)에의 신호 분리 제어신호다. 신호D는, PHY전원제어부(117)로부터 전원제어부(210, 211)에의 전원제어신호다. 이에 따라, 도 3의 타이밍 차트는, 영역 310, 320마다 독립적이지만, 영역 310과 320 사이에서 신호간의 관계는 동일하다.
도 9는, 콘트롤러 100A를 구비하는 MFP(1000)에 의해 실행된 USB케이블을 거쳐 접속한 후의 처리의 흐름도다. 필요에 따라, USB 3.0에 의한 접속을 간단히 SS에서의 접속이라고 표현하고, USB 2.0에 의한 접속을 간단히 HS에서의 접속이라고 표현한다.
단계S901에서, USB케이블이 접속된다. 단계S902에서, 적어도 도 4에 도시된 단계S3000의 접속 요구와, 단계S4000의 ACK가 행해진다. 이에 따라, MFP(1000)와 PC(2000) 사이에서 접속이 확립된다. 그리고, 단계S903에서, 도 4에 도시된 단계S3010의 접속 요구와 단계S4010의 ACK가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단계S903이후의 처리는, MFP(1000)의 내부에서 행해진 처리이며, CPU(101)가 ROM(10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03)에 래스터화하고, 콘트롤러 100A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때 실시된다.
단계S903에서, CPU(101)는, PC(2000)로부터의 USB접속 요구가 SS에서의 접속을 위한 것인지 HS에서의 접속을 위한 것인지를 판정한다. CPU(101)는, SS에서의 접속을 위한 USB접속 요구를 받았을 경우, 처리를 단계S904에 진행시킨다. CPU(101)는, HS에서의 접속을 위한 USB접속 요구를 받았을 경우, 처리를 단계S906에 진행시킨다.
단계904에 있어서 CPU(101)는, HS_PHY(113)에의 클록 공급을 정지한다. 그리고, 단계S905에서, CPU(101)는, 신호 분리 제어부(222, 223) 각각에 의해 신호 분리를 행하고, HS_PHY(113)에의 전원공급을 정지한다.
단계906에서, CPU(101)는, SS_PHY(115)에의 클록 공급을 정지한다. 그리고, 단계S907에서, CPU(101)는, 신호 분리 제어부(220, 221)에 의해 신호 분리를 행하고, SS_PHY(115)에의 전원공급을 정지한다. 단계S905, S907이 종료하면, 본 처리는 종료된다. 이렇게 해서, CPU(101)는, HS_PHY(113)와 SS_PHY(115) 중 사용하지 않는 쪽에의 전원공급을 정지함에 의해, 절전화를 꾀할 수 있다.
도 10은, 콘트롤러 100A를 구비하는 MFP(1000)에 있어서 CPU(101)에 의해 실행된 제1 슬립 이행 처리의 흐름도다. 도 10에 도시된 각 처리는, CPU(101)가 ROM(10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03)에 래스터화하고, 콘트롤러 100A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때 실시된다.
단계S1001에서, CPU(101)는, 슬립 이행 조건이 성립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1)는, 슬립 이행 조건이 성립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001에서 NO), CPU(101)는, 단계S1001의 판정을 반복한다. CPU(101)는, 슬립 이행 조건이 성립하였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001에서 YES), 처리를 단계S1002에 진행시킨다.
단계S1002에서, CPU(101)는, SS에서 접속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1)는, SS에서 접속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002에서 YES), 처리를 단계S1003에 진행시킨다. CPU(101)는, SS에서 접속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002에서 NO), 처리를 단계S1010에 진행시킨다.
단계S1003에서, CPU(101)는, HS_PHY(113)에의 전원공급을 재개한다. 이어서, 단계S1004에서, CPU(101)는, HS_PHY(113)에의 클록 공급을 재개한다. 그 후에, 단계S1005에서, CPU(101)는, 록업 타임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1)는, 록업 타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005에서 NO), CPU(101)는, 단계S1005의 판정을 반복한다. CPU(101)는, 록업 타임이 경과하였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005에서 YES), 처리를 단계S1006에 진행시킨다.
단계S1006에서, CPU(101)는, SS에서의 접속을 절단한다. 이때, SS에서의 접속의 절단은, USB케이블(3000)을 접속한 채, 제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에서의 논리적인 접속을 절단하는 것이다. MFP(1000)와 PC(2000)는, 물리층에서 서로 접속된 채로 있다.
그리고, 단계S1007에서, CPU(101)는, 다시 발행된 USB접속 요구에 따라 HS에서의 재접속이 확립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1)는, HS에서의 재접속이 확립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007에서 NO), CPU(101)는, 단계S1007의 판정을 반복한다. HS에서의 재접속이 확립되었으면(단계S1007에서 YES), 처리를 단계S1008에 진행시킨다.
단계S1008에서, CPU(101)는, SS_PHY(115)에의 클록 공급을 정지한다. 그리고, 단계S1009에서, CPU(101)는, 신호 분리 제어부(220, 221) 각각에 의해 신호 분리를 행하고, 한층 더 SS_PHY(115)에의 전원공급을 정지한다.
그리고, 단계S1010에서, CPU(101)는, HS에서의 접속(즉, USB 2.0에서의 접속)으로 대기한다. 이때, 단계S1002로부터 단계S1010까지 진행되었을 경우는, 단계S1002에 있어서 HS에서 접속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이다. 따라서, CPU(101)는, 그대로 단계S1010에서의 대기 상태에 이행하여, HS에서의 접속이 유지되게 된다. 단계S1010에 의해, 본 처리는 종료된다.
도 11은, 콘트롤러 100A를 구비하는 MFP(1000)에 있어서 CPU(101)에 의해 실행된 제1 슬립 복귀 처리의 흐름도다. 제1 슬립 복귀 처리는, 전술한 제1 슬립 이행 처리후의 슬립 상태로부터의 복귀 처리다. 도 11에 도시된 각 처리는, CPU(101)가 ROM(10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03)에 래스터화하고, 콘트롤러 100A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때 실시된다.
단계S1101에서, CPU(101)는, 슬립 상태에 있을 때에 슬립 복귀 요인이 발생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슬립 복귀 요인은, MFP(1000)의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조작패널의 버튼을 누르는 것과, PC(2000)로부터 USB인터페이스 110A를 거쳐서 인쇄 잡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MFP(1000)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F)를 구비하고, 네트워크I/F를 거쳐서 네트워크상의 외부장치와 통신가능하다. 그 때문에, 그 슬립 복귀 요인은 이 네트워크I/F를 거쳐서 상기 인쇄 잡을 수신하는 것도 포함한다.
CPU(101)는, 슬립 복귀 요인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101에서 NO), CPU(101)는, 단계S1101의 판정을 반복한다. CPU(101)는, 슬립 복귀 요인이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101에서 YES), 처리를 단계S1102에 진행시킨다.
단계S1102에서, CPU(101)는, SS_PHY(115)에의 전원공급을 재개한다. 그리고, 단계S1103에서, CPU(101)는, SS_PHY(115)에의 클록 공급을 재개한다. 단계S1104에서, CPU(101)는, 록업 타임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1)는, 록업 타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104에서 NO), CPU(101)는, 단계S1104의 판정을 반복한다. CPU(101)는, 록업 타임이 경과하였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104에서 YES), 처리를 단계S1105에 진행시킨다.
단계S1105에서, CPU(101)는, HS에서의 접속을 절단한다. HS에서의 접속의 절단은, USB케이블을 접속한 채, 제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에서의 논리적인 접속을 절단하는 것이다. MFP(1000)와 PC(2000)는, 물리층에서 서로 접속된 채로 있다.
단계S1105에 의해 본 처리는 종료된다. 그 후, 도 9에서 설명한 것처럼, USB케이블을 거쳐 접속한 후의 처리가 다시 개시된다.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FP(1000)는, PC(2000)에 대하여,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할때까지는 NACK를 회신하고,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한 후에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ACK를 회신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USB인터페이스 110A는, USB케이블이 접속될 때, USB케이블이 접속된 통신 모드가 아닌 통신 모드의 PHY에의 클록과 전원의 공급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슬립 상태가 아닌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제2 실시예에 따른 USB인터페이스 110A를 구비하는 MFP(1000)에서 실행되는 제2 슬립 이행 처리 및 제2 슬립 복귀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 슬립 이행 처리는, 슬립 상태로 이행할 때에 접속 정보를 기억한다는 점에서 상술한 제1 슬립 이행 처리와 다르다.
도 12는, 콘트롤러 100A를 구비하는 MFP(1000)에 있어서 CPU(101)에 의해 실행되는 제2 슬립 이행 처리의 흐름도다. 도 12에 도시된 각 처리는, CPU(101)가 ROM(10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03)에 래스터화하고, 콘트롤러 100A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때 실시된다.
단계S1201, S1202의 처리 내용은, 도 10에 도시된 단계S1001, S1002의 처리 내용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CPU(101)는, SS에서 접속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202에서 YES), 처리를 단계S1203에 진행시킨다. CPU(101)는, SS에서 접속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202에서 NO)에는, 처리를 단계S1211에 진행시킨다.
단계S1203에서, CPU(101)는, SS에서 접속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RAM(103)에 기억한다. 계속되는 단계S1204∼S1211의 처리 내용은, 도 10에 도시된 단계S1003∼S1010의 처리 내용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13은, 콘트롤러 100A를 구비하는 MFP(1000)에 있어서 CPU(101)에 의해 실행되는 제2 슬립 복귀 처리의 흐름도다. 제2 슬립 복귀 처리는, 상술한 제2 슬립 이행 처리후의 슬립 상태로부터의 복귀 처리다. 도 13에 도시된 각 처리는, CPU(101)가 ROM(10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03)에 래스터화하고, 콘트롤러 100A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때 실시된다.
단계S1301의 처리 내용은, 도 11에 도시된 단계S1101의 처리 내용과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S1301에서, CPU(101)는, 슬립 상태에 있을 때에 슬립 복귀 요인이 발생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1)는, 슬립 복귀 요인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301에서 NO), CPU(101)는, 단계S1301의 판정을 반복한다. CPU(101)는, 슬립 복귀 요인이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301에서 YES), 처리를 단계S1302에 진행시킨다.
그리고, 단계S1302에서, CPU(101)는 단계S1203에서 기억한 플래그를 확인한다. 단계S1303에서, CPU(101)는, 단계S1302에서 플래그가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즉, 슬립 상태로 이행전에 SS에서 접속되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101)는, 플래그가 있었을 경우(단계S1303에서 YES), 처리를 단계S1304에 진행시킨다. 한편, CPU(101)는, 플래그가 없었을 경우(단계S1303에서 NO), 즉, HS에서 접속되었을 경우에는, HS에서의 접속을 유지하고, 본 처리를 종료시킨다.
단계S1203에서, CPU(101)는, SS에서 접속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만을 기억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S1203에서, CPU(101)는, SS에서 접속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와 HS에서 접속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중 어느 하나를 기억하여도 좋다. 이 경우, 단계S1303에서, CPU(101)는, 단계S1302에서 확인한 플래그가, SS에서 접속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인지 또는 HS에서 접속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인지를 판정하여도 된다.
단계S1304∼S1306의 처리 내용은, 도 11에 도시된 단계S1102∼S1104의 처리 내용과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단계S1306에서 록업 타임이 경과하였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1306에서 YES)가 되었을 경우에 계속되어서 행해진 단계S1307에서, CPU(101)는, HS에서의 접속으로부터 SS에서의 접속으로 전환한다. 이어서, 단계S1308에서, CPU(101)는, HS에서의 접속을 절단한다.
이때, 단계S1308의 처리 내용은, 도 11에 도시된 단계S1105의 처리 내용과 같다. 단계S1308에 의해 본 처리는 종료된다. 그 후, 도 9에서 설명한 USB케이블을 거쳐 접속한 후의 처리가 다시 개시된다.
상술한 제2 슬립 이행 처리 및 제2 슬립 복귀 처리에 의하면, 슬립 상태로 이행시에 접속되는 통신 모드를 기억하고 있다. 슬립 상태로 이행전에 HS접속이었을 경우에, MFP(1000)는,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시에 USB를 거친 접속을 절단하지 않고, 단시간에 통상의 사용 상태에 복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는, USB 2.0과 USB 3.0을 사용했지만, 다른 통신 규격이어도 소비 전력이 다른 복수의 회로를 구비하고 있으면, 본 실시예를 적용가능하다.
기타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본 출원은, 여기서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14년 1월 14일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14-004243과 2014년 12월 26일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14-265132의 이점을 청구한다.

Claims (15)

  1. 정보처리장치로서,
    메모리;
    USB 2.0의 High Speed로 동작하는 제1 물리층 회로와 USB 3.0의 Super Speed로 동작하는 제2 물리층 회로를 갖는 USB인터페이스;
    USB 3.0의 Super Speed에 근거하는 통신 모드로부터 USB 2.0의 High Speed에 근거하는 통신 모드로, 상기 USB인터페이스를 위한 통신 모드를 변경하고, 절전 상태로 상기 제1 물리층 회로를 제어하고, 절전을 위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가 소정의 슬립 이행 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에 따라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절전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물리층 회로에서 전원을 절단하는 변경부;
    상기 USB인터페이스를 위한 상기 통신 모드를 변경하기 전에 상기 USB인터페이스를 위한 상기 통신 모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억하는 기억부;
    절전 상태로부터의 복귀와 관련된 요인을 검지하는 검지부;
    상기 절전 상태로부터의 복귀와 관련된 요인의 검지후에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통신 모드에 관한 상기 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상기 통신 모드에 관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USB인터페이스의 상기 통신 모드를 USB 3.0의 Super Speed로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물리층 회로에 전원을 공급할 것인가 아닌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메모리와 USB 2.0의 High Speed로 동작하는 제1 물리층 회로와 USB 3.0의 Super Speed로 동작하는 제2 물리층 회로를 갖는 USB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USB 3.0의 Super Speed에 근거하는 통신 모드로부터 USB 2.0의 High Speed에 근거하는 통신 모드로,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위한 통신 모드를 변경하고, 절전 상태로 상기 제1 물리층 회로를 제어하고, 절전을 위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가 소정의 슬립 이행 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에 따라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절전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물리층 회로에서 전원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USB인터페이스를 위한 상기 통신 모드를 변경하기 전에 상기 USB인터페이스를 위한 상기 통신 모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억하는 단계;
    절전 상태로부터의 복귀와 관련된 요인을 검지하는 단계;
    상기 절전 상태로부터의 복귀와 관련된 요인의 검지후에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통신 모드에 관한 상기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하는 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통신 모드에 관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USB인터페이스의 상기 통신 모드를 USB 3.0의 Super Speed로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물리층 회로에 전원을 공급할 것인가 아닌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1. 메모리와 USB 2.0의 High Speed로 동작하는 제1 물리층 회로와 USB 3.0의 Super Speed로 동작하는 제2 물리층 회로를 갖는 USB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제어 방법은,
    USB 3.0의 Super Speed에 근거하는 통신 모드로부터 USB 2.0의 High Speed에 근거하는 통신 모드로,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위한 통신 모드를 변경하고, 절전 상태로 상기 제1 물리층 회로를 제어하고, 절전을 위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가 소정의 슬립 이행 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에 따라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절전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물리층 회로에서 전원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USB인터페이스를 위한 상기 통신 모드를 변경하기 전에 상기 USB인터페이스를 위한 상기 통신 모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억하는 단계;
    절전 상태로부터의 복귀와 관련된 요인을 검지하는 단계;
    상기 절전 상태로부터의 복귀와 관련된 요인의 검지후에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통신 모드에 관한 상기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하는 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통신 모드에 관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USB인터페이스의 상기 통신 모드를 USB 3.0의 Super Speed로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물리층 회로에 전원을 공급할 것인가 아닌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인쇄장치인, 정보처리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절전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 상기 USB인터페이스와 외부장치 사이의 접속이 절단되고,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USB 3.0의 Super Speed에 근거하는 통신 모드로부터 USB 2.0의 High Speed에 근거하는 통신 모드로,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위한 통신 모드를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을 절단한 후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송신된 USB 3.0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NACK를 송신하는, 정보처리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절전 상태로부터 복귀하는 경우에, USB 2.0의 High Speed에 근거하는 통신 모드로부터 USB 3.0의 Super Speed에 근거하는 통신 모드로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위한 통신 모드를 변경하는, 정보처리장치.
  15. 삭제
KR1020150006522A 2014-01-14 2015-01-14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1905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04243 2014-01-14
JP2014004243 2014-01-14
JPJP-P-2014-265132 2014-12-26
JP2014265132A JP6376973B2 (ja) 2014-01-14 2014-12-26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685A KR20150084685A (ko) 2015-07-22
KR101905099B1 true KR101905099B1 (ko) 2018-10-08

Family

ID=5239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522A KR101905099B1 (ko) 2014-01-14 2015-01-14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199154A1 (ko)
EP (1) EP2894570B1 (ko)
JP (1) JP6376973B2 (ko)
KR (1) KR101905099B1 (ko)
CN (1) CN1047802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4753B2 (en) * 2015-05-28 2017-09-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KR102292827B1 (ko) * 2015-09-08 2021-08-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JP6776679B2 (ja) * 2016-07-15 2020-10-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印刷装置、及び、制御方法
JP6938991B2 (ja) * 2017-03-16 2021-09-2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07391405A (zh) * 2017-05-15 2017-11-24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Usb接口电路及usb设备
WO2019013125A1 (ja) * 2017-07-11 2019-01-17 シャープ株式会社 制御装置、電子機器、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7003649B2 (ja) * 2017-12-27 2022-01-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7287867B2 (ja) * 2019-08-30 2023-06-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用制御装置
WO2022050272A1 (ja) * 2020-09-07 2022-03-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7171A (ja) 2001-08-29 2003-03-07 Minolta Co Ltd 画像処理装置、管理ユニット、節電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042178A1 (en) * 2010-08-10 2012-02-16 Buffalo Inc. Peripheral Device
JP2012068494A (ja) 2010-09-24 2012-04-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運転計画作成方法
US20120324261A1 (en) * 2011-06-16 2012-12-20 Chih-Hung Huang Usb 3.0 host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usb 3.0 host
JP2013090006A (ja) * 2011-10-13 2013-05-13 Nikon Corp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9778B1 (en) * 2000-06-09 2005-01-04 Cypress Semiconductor Corp. Speed power efficient USB method
JP2005109534A (ja) * 2003-09-26 2005-04-21 Sharp Corp 通信接続装置
JP2009093419A (ja) 2007-10-09 2009-04-30 Canon Inc 印刷システム
JP4877347B2 (ja) * 2009-03-25 2012-0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装置
JP2011134186A (ja) * 2009-12-25 2011-07-07 Seiko Epson Corp Usbデバイス装置
JP5773595B2 (ja) * 2010-08-19 2015-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ョブ処理デバイス、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I460594B (zh) * 2011-02-11 2014-11-11 Via Tech Inc 適應性通用串列匯流排充電方法及系統
JP2012232539A (ja) * 2011-05-09 2012-11-29 Canon Inc 印刷装置、データ処理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290761A1 (en) * 2011-05-10 2012-11-15 Jui-Yen Chen USB Converter and Related Method
JP2013101520A (ja) * 2011-11-09 2013-05-23 Renesas Electronics Corp 周辺機器及びその電源制御方法
TWI482026B (zh) * 2012-02-07 2015-04-21 Etron Technology Inc 低耗電的usb3.0主控制裝置與降低usb3.0主控制裝置耗電的方法
JP6261156B2 (ja) * 2012-03-06 2018-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30113203A (ko) * 2012-04-05 2013-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파워 관리 방법
CN103825450B (zh) * 2012-11-19 2017-03-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时分多址负载***usb接口供电方法和供电设备
CN104253459A (zh) * 2013-06-28 2014-12-3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供电模式切换功能的usb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7171A (ja) 2001-08-29 2003-03-07 Minolta Co Ltd 画像処理装置、管理ユニット、節電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042178A1 (en) * 2010-08-10 2012-02-16 Buffalo Inc. Peripheral Device
JP2012068494A (ja) 2010-09-24 2012-04-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運転計画作成方法
US20120324261A1 (en) * 2011-06-16 2012-12-20 Chih-Hung Huang Usb 3.0 host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usb 3.0 host
JP2013090006A (ja) * 2011-10-13 2013-05-13 Nikon Corp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80288A (zh) 2015-07-15
EP2894570B1 (en) 2017-03-15
EP2894570A1 (en) 2015-07-15
JP6376973B2 (ja) 2018-08-22
US20150199154A1 (en) 2015-07-16
JP2015156208A (ja) 2015-08-27
KR20150084685A (ko)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099B1 (ko)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JP201517437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4037602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72779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80011023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CN105812605B (zh) 信息处理装置及信息处理装置的控制方法
US8891105B2 (en) Data printing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US20170041482A1 (en) Printing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power stat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049231B1 (ko) 정보 처리장치
CN104869271B (zh) 信息处理装置及信息处理装置的控制方法
JP201517437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300079B2 (ja) 画像機器、画像機器システム及びエネルギー消費モード制御方法
CN111508439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装置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6210099B2 (ja) 画面遷移制御方法、画面遷移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67522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130940B2 (en) Interfac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1360164A (zh) 成像设备及其存储介质控制方法
JP200821176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接続通知方法
JP6525858B2 (ja) 情報処理装置
JP7009866B2 (ja) 電子機器、通信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826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quire transition notification from host device to transit to energy saving mode
JP6520652B2 (ja) 操作システムおよび操作方法
KR20200057158A (ko) 클록 장애를 복원하는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송 시스템
JP2019097018A (ja) 通信装置、画像形成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52049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