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030B1 -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030B1
KR101898030B1 KR1020180043541A KR20180043541A KR101898030B1 KR 101898030 B1 KR101898030 B1 KR 101898030B1 KR 1020180043541 A KR1020180043541 A KR 1020180043541A KR 20180043541 A KR20180043541 A KR 20180043541A KR 101898030 B1 KR101898030 B1 KR 101898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tection plate
lower body
camera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덕
진원혁
Original Assignee
(주)해양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양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해양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80043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04N5/225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이미지를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카메라의 각도를 원하는 대로 자동 조절하여 영상이미지를 수월하게 취득하므로 인해 영상도화용 대상 지형지물을 주변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하게 도화하는 한편, 무한궤도부의 진행에 따른 지면으로부터 튀어오르는 물이나, 돌 등의 이물질이 카메라부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여 카메라부의 고장 등을 방지하기 위한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IMAGE MAP MAKING SYSTEM FOR TOPOGRAPHY BE BASED ON REFERENCE POINT IMAGE}
본 발명은 공간영상 도화 기술 분야 중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이미지를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카메라의 각도를 원하는 대로 자동 조절하여 영상이미지를 수월하게 취득하므로 인해 영상도화용 대상 지형지물을 주변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하게 도화하는 한편, 무한궤도부의 진행에 따른 지면으로부터 튀어오르는 물이나, 돌 등의 이물질이 카메라부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여 카메라부의 고장 등을 방지하기 위한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한 수치지도는 항공촬영과 지상촬영을 통해 수집한 이미지로부터 제작되고, 이렇게 수집된 이미지는 영상도화처리되어 수치지도로 제작되며, 이러한 수치지도에는 다양한 GIS정보가 저장된다.
종래에는 지상의 영상이미지를 촬영하는데 있어서 한번 촬영한 후에 특정 지역에 새로이 형성된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정보를 촬영하여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해당 지역을 방문하고, 해당 지역의 지형지물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여 미확인 지형지물의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영상도화 이미지를 업데이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넓은 지역을 직접 방문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많은 노동력, 시간 등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변경(변화)된 지형지물에 대한 도화이미지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이미지를 촬영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23245(2013.01.17.)에는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도화하기 위한 대상 지형물을 촬영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은 무한궤도부의 진행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튀어오르는 물이나, 돌 등의 이물질이 상부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카메라부에 고장 등은 물론, 카메라부의 오염으로 인한 영상이미지의 불선명한 촬영 등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23245호(2013.01.17.)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도화하기 위한 대상 지형물을 촬영하는 공간 영상도화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이미지를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카메라의 각도를 원하는 대로 자동 조절하여 영상이미지를 수월하게 취득하므로 인해 영상도화용 대상 지형지물을 주변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하게 도화하는 한편, 무한궤도부의 진행에 따른 지면으로부터 튀어오르는 물이나, 돌 등의 이물질이 카메라부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여 카메라부의 고장 등을 방지하기 위한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GPS 인공위성(10)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아 현재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연산하여 GPS보정값을 무선 송출하는 기준국(100); 상기 기준국(100)으로부터 GPS보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GPS 인공위성(10)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하며 카메라(310)로부터의 영상이미지를 송출하는 송수신부(260)를 갖는 촬영장치(200); 및 상기 영상이미지를 전송받아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처리장치(500)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장치(200)는, 하부몸체(220); 상기 하부몸체(220)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고, 카메라부(300)가 설치되는 상부몸체(210); 상기 하부몸체(220)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몸체(210)를 회전시키는 상하회전모터(221); 상기 하부몸체(220)의 하단에 설치되어 지면을 따라 구르는 무한궤도부(230); 및 상기 기준국(100)으로부터 GPS보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GPS 인공위성(10)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하며, 상기 카메라(310)로부터의 영상이미지를 송출하는 송수신부(26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210)는,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외부면은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외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기 카메라부(300)는,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310); 상기 카메라(310)의 외측 둘레를 에워싸는 커버(320); 상기 커버(320)를 회전시키는 커버회전모터(340); 상기 커버(320)의 전방으로 일정압의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토출기(360); 상기 커버(320)를 회전 지지하는 외측커버(330); 상기 외측커버(33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커버(33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기(350); 및 상기 승강기(35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350)를 수평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모터(370)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310)는, 상기 승강기(350)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상부몸체(21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상부몸체(210)의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상하회전 개폐되는 상부커버(250)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몸체(210)는, 외부면에 구 형상의 구름부재(241)가 다수개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다수의 구름부재(241)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270)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장치(270)는, 상기 다수의 구름부재(241)의 외주에 밀착되고 양단이 롤러(272)에 지지되는 벨트(271); 및 상기 롤러(272)를 회전시키는 롤러회전모터(273)를 포함하는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부(230)의 진행에 따른 지면으로부터 튀어오르는 이물질이 카메라부(300)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600)는, 상기 하부몸체(220)의 전,후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호판(610); 상기 보호판(610)을 상기 하부몸체(2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620); 상기 하부몸체(220)로부터 상기 보호판(6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6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630)은, 상기 보호판(6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몸체(220)에 구비되는 고정판(631); 하부는 상기 고정판(631)에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보호판(610)을 통과하는 지지바(632); 상기 고정판(631)과 상기 보호판(61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63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하부스프링(633); 상기 보호판(6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63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상부스프링(634); 및 상기 지지바(632)의 상부로 결합되면서 상기 지지바(632)로부터 상기 상부스프링(634)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635)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610)은, 상기 지지바(632)가 통과하는 가이드공(610a)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무한궤도부(230)의 진행에 따라 상기 절첩부재(620)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상,하부스프링(633,634)은, 상기 보호판(610)의 회동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의 영상이미지를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하며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자동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주변의 영상이미지를 정확하고 수월하게 취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한궤도부의 진행시, 지면으로부터 튀어오르는 물이나, 돌 등의 이물질이 카메라부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카메라부의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카메라부가 오염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영상이미지의 불선명한 촬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나타낸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카메라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이 경사지에 위치된 경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카메라부가 상부몸체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보호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서 보호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은 기준국(100), 촬영장치(200), 영상도화처리장치(500)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국(100)은 GPS 인공위성(10)으로부터 현재 위치에서의 좌표값 또는 위치값을 수신받아 현재 수신된 위치값과 저장된 해당 절대값을 상호연산하여 GPS보정값을 무선송출한다.
상기 기준국(100)은 GPS안테나(110)를 갖추고서 GPS 인공위성(10)으로부터 위치값을 수신받는 GPS수신기(130), 상기 GPS수신기(130)로부터 전달받은 현재의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 연산하여 GPS보정값을 출력하는 제어부(150) 및 DGPS안테나(120)를 갖추고서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GPS보정값을 전달받아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DGPS송신기(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50)를 통해 연산된 GPS보정 값(위치값)은 상기 DGPS송신기(140)로 전달되고, 상기 DGPS송신기(140)와 연결된 상기 DGPS안테나(120)를 통해 이후에 설명되는 촬영장치(200)의 DGPS안테나로 무선송출된다.
상기 촬영장치(200)는 상기 기준국(100)으로부터 GPS보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GPS 인공위성(10)으로부터 좌표정보로 분석될 수 있는 현재의 위치값을 수신하며, 카메라(310)가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전송하는 송수신부(260)를 갖는다.
상기 촬영장치(200)는 하부몸체(220), 상기 하부몸체(220)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고 카메라부(300)가 설치되는 상부몸체(210), 상기 하부몸체(220)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몸체(210)를 회전시키는 상하회전모터(221), 상기 하부몸체(220)의 하단에 설치되어 지면을 따라 구르는 무한궤도부(230) 및 상기 기준국(100)으로부터 GPS보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GPS 인공위성(10)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하며 상기 카메라(310)로부터의 영상이미지를 송출하는 송수신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무한궤도부(230)는 후술되는 제어기(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하부몸체(220)를 지면 상에서 안정적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다양한 위치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몸체(210)는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외부면은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외각방향으로 점차 하향 경사지는 둘레(외부면)를 갖는다.
개구부는 후술되는 카메라부(300)가 상부로 상승되어 상기 상부몸체(210)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하강되어 상기 상부몸체(210)의 내부 인입 상태로 위치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개구부에는 상부커버(250)의 일측 끝단이 힌지 결합하여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부커버(250)는 상기 카메라부(300)가 하강하여 상기 상부몸체(210)의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에 개구부를 닫아 외부로부터 먼지, 벌레,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상부몸체(210)는 둘레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서 아래를 따라 점차 넓어지게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경사면에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구름부재(241)가 회전하도록 또는 구르도록 설치된다. 상기 구름부재(241)는 회전장치(270)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회전장치(270)는 벨트(271), 롤러(272) 및 롤러회전모터(273)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271)는 상기 상부몸체(210)의 내부에서 경사면 근방에 설치되어 구름부재(241)와 접촉하고 양측 및 양측 사이가 복수의 상기 롤러(272)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롤러(272)는 롤러회전모터(273)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고, 상기 다수의 구름부재(241)는 상기 벨트(271)와 연동하여 회전된다.
상기 다수의 구름부재(241)의 회전에 따라 조류 등이 상기 상부몸체(210)에 앉거나, 둥지를 트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300)는 영상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310), 상기 카메라(310)의 외측 둘레를 에워싸는 커버(320), 상기 커버(320)를 회전시키는 커버회전모터(340), 상기 커버(320)의 전방으로 일정압의 에어(air)를 토출하는 에어토출기(360), 상기 커버(320)를 회전 지지하는 외측커버(330), 상기 외측커버(33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커버(330)를 승강시키는 승강기(350) 및 상기 승강기(35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350)를 수평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모터(37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310)는 프리즘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일반적으로 GPS를 이용하여 카메라부(300)의 위치를 확인하지만, 상기 프리즘은 측량기(기계식 및 전자식 측량장치 포함)와 레이저 또는 다른종류의 광신호를 이용하여 카메라부(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위치확인 기술은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에어토출기(360)는 상기 커버(320)를 관통하는 에어유로(361) 및 상기 에어유로(361)로 일정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기(362)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유로(361)는 단부가 상기 카메라(310)가 촬영되는 외측 영역을 따라 상기 커버(320)의 끝쪽으로 관통되면서 에어가 상기 카메라(310) 렌즈의 주변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320)는 상기 커버회전모터(34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에어유로(361)를 통해 일정압의 에어를 분사하면서 상기 커버(320)는 카메라(310)의 둘레 측에서 회전되므로 에어가 회전되면서 카메라(310)의 주변으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310)의 주변으로 모여드는 벌레 또는 조류는 회전되어 토출되는 에어의 압력에 의하여 쫓겨지므로 카메라(310)는 방해없이 주변 지형지물의 영상이미지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300)는 승강기(350)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어 개구부를 통해 돌출되거나 상기 상부몸체(2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승강기(350)는 승강실린더(351)와 외측커버(330)가 고정되는 실린더축(352)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실린더(351)는 제어기(4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해 실린더축(352)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승강실린더(351)의 아래쪽은 수평회전모터(370)와 연결되고, 상기 수평회전모터(370)는 상기 제어기(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승강실린더(351)를 수평 방향을 따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수평회전모터(370)의 회전동작과 승강기(350)의 승,하강동작에 의해 카메라(310)의 좌우 촬영각도 및 상하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상하회전모터(221)는 상기 제어기(4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21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카메라(310)의 틸팅 각도까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상하회전모터(221)는 상기 무한궤도부(230)가 경사지에 위치될 때 상기 상부몸체(210)를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촬영장치(200)가 경사지에서 넘어지거나 하는 등의 촬영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400)는 상기 무한궤도부(230)를 제어하여 상기 촬영장치(200)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상기 상하회전모터(221), 상기 커버회전모터(340), 상기 수평회전모터(370), 상기 롤러회전모터(273) 및 상기 승강기(350)를 구동시킨다.
상기 제어기(400)는 사전에 입력되어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지정된 경로를 이동하거나 무선원격조정의 해당 신호에 의하여 각 기능부의 구동을 제어하므로 지정된 경로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영상도화처리장치(500)는 영상이미지를 전송받아 도화이미지를 작성한다.
상기 영상도화처리장치(500)는 공지 공용화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영상이미지로부터 도화이미지로 변환(작성)하며 다른 필요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동시에 해당 작업자에 의하여 직접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영상도화처리장치(500)는 기존의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며 기존의 영상이미지를 상기 촬영장치(200)의 카메라(310)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로 업데이트하는 영상이미지 저장기(510), 상기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 저장기(520),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기(530),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기(540) 및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기(550)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이미지 저장기(510)는 기존의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며 기존의 영상이미지를 촬영장치(200)의 카메라(310)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로 업데이트한다.
상기 이미지편집기(530)는 카메라(310)에서 수집한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연결 및 편집해서 하나의 영상이미지로 완성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영상이미지를 연결하기 위해 크기 및 해상도 등의 조정처리가 진행된다.
상기 이미지편집기(530)는 일반적인 그래픽 편집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 있으며 3차원 영상이미지의 출력 및 편집을 위해 공지 공용의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좌표합성기(540)는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표시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좌표를 합성한다. 상기 기준점은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표시되며 표시방법은 촬영을 통한 자연표시방법 또는 도화를 통한 인위적인 표시방법 등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영상도화기(550)은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 작업을 진행해서 수치지도의 배경이 되는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것으로서 서면(종이류)에 직접 도화하는 도화기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나, 온라인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기록하는 방식의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상기 촬영장치(20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해당 지역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경사지에서도 넘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영상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한궤도부(230)의 진행에 따른 지면으로부터 튀어오르는 물이나, 돌 등의 이물질이 카메라부(300)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호부(600)는 상기 무한궤도부(230)의 진행 즉, 구동에 따른 다양한 위치로의 이동시, 지면에 존재하는 물이나, 돌 등의 이물질이 상기 무한궤도부(230)와의 접촉 및 가압에 의해 튀어오르면서 상기 상부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부(600)는 상기 카메라부(300)의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카메라부(300)가 오염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영상이미지의 불선명한 촬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호부(600)는 상기 하부몸체(220)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호판(610), 상기 보호판(610)을 상기 하부몸체(2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620) 및 상기 하부몸체(220)로부터 상기 보호판(6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63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본체(220)의 양단부는 상기 무한궤도부(230)의 진행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본체(220)의 양단부 중 어느 한 단부는 전단부를 이루고, 다른 한 단부는 후단부를 이루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보호판(610)은 일단부가 상기 하부본체(220)를 향하고 타단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일단부가 상기 상기 절첩부재(620)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2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보호판(610)은 상기 상부몸체(210)와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이물질이 상기 상부몸체(210)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첩부재(620)는 경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보호판(610)의 양측 방향으로 복수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절첩부재(620)는 상기 무한궤도부(230)의 진행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상기 보호판(610)이 회동되면서 외력 등에 의해 상기 보호판(6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판(610)은 상기 지지바(632)가 통과하는 가이드공(610a)이 타단부로부터 일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절첩부재(620)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판(610)은 미사용시에는 회동에 따라 상기 하부몸체(220)의 상부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630)은 상기 보호판(6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몸체(220)에 구비되는 고정판(631), 하부는 상기 고정판(631)에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보호판(610)을 통과하는 지지바(632), 상기 고정판(631)과 상기 보호판(61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63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하부스프링(633), 상기 보호판(6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63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상부스프링(634) 및 상기 지지바(632)의 상부로 결합되면서 상기 지지바(632)로부터 상기 상부스프링(634)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635)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판(631)은 상기 보호판(610)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지지수단(630)은 상기 하부몸체(220)와 상기 고정판(631)을 연결하는 연결바(6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636)는 상부가 상기 하부몸체(220)에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보호판(631)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바(636)는 상기 고정판(631)의 양측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면서 상기 하부몸체(220)로부터 상기 고정판(63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636)는 일정 경사를 가지면서 상기 하부몸체(220)와 상기 고정판(631)을 연결하여 상기 하부몸체(220)로부터 상기 고정판(631)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정판(631)이 상기 보호판(610)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바(632)는 원형봉으로 이루어지며, 단수로 이루어지거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판(63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632)는 하부가 상기 고정판(631)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610a)을 통과하되, 상기 상부몸체(210)의 상하 회전시, 상기 상부몸체(210)와 접하지 않도록 배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하부스프링(633)은 상기 고정판(631)과 상기 보호판(61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632)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판(631)으로부터 상기 보호판(6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상기 보호판(610)의 회동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한다.
상기 상부스프링(634)는 상기 보호판(6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632)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보호판(610)의 회동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한편, 상기 보호판(610)이 원상태로 원활하게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635)는 상기 지지바(632)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상부스프링(634)이 상기 지지바(6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바(63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635)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바(63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635)는 회전에 따른 승,하강에 따라 상기 상부스프링(634)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630)은 상기 지지바(632)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지지바(632)로부터 상기 이탈방지부재(635)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호캡(6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캡(636)은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지지바(632)의 상부 외측으로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지지바(632)로부터 상기 이탈방지부재(63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600)는 상기 보호판(610)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확장패드(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패드(640)는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곡면 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패드(640)는 한 쌍으로 분기되면서 상기 가이드공(610a)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보호판(610)이 상기 절첩부재(620)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하부몸체(220)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호부(600)는 상기 고정판(631)과 상기 하부스프링(633)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632)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기울기조절부재(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조절부재(65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바(632)의 외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보호판(610)의 기울기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이는, 상기 무한궤도부(230)가 통과하는 지면의 상태 등에 따라 상기 보호판(610)의 기울기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지면으로부터 튀어오르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상기 보호부(600)는 상기 무한궤도부(230)의 진행 즉, 구동에 따른 다양한 위치로의 이동시, 지면에 존재하는 물이나, 돌 등의 이물질이 상기 상부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카메라부(300)의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카메라부(300)가 오염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영상이미지의 불선명한 촬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10 : GPS 인공위성 100 : 기준국
200 : 촬영장치 210 : 상부몸체
220 : 하부몸체 230 : 무한궤도부
241 : 구름부재 250 : 상부커버
260 : 송수신기 270 : 회전장치
300 : 카메라부 310 : 카메라
320 : 커버 330 : 외측커버
340 : 커버회전모터 350 : 승강기
360 : 에어토출기 370 : 수평회전모터
400 : 제어기 500 : 영상도화처리장치
600 : 보호부 610 : 보호판
620 : 절첩부재 630 : 지지수단
631 : 고정판 632 : 지지바
633 : 하부스프링 634 : 상부스프링
635 : 이탈방지부재 640 : 확장패드
650 : 기울기조절부재

Claims (1)

  1. GPS 인공위성(10)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아 현재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연산하여 GPS보정값을 무선 송출하는 기준국(100);
    상기 기준국(100)으로부터 GPS보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GPS 인공위성(10)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하며 카메라(310)로부터의 영상이미지를 송출하는 송수신부(260)를 갖는 촬영장치(200); 및
    상기 영상이미지를 전송받아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처리장치(500)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장치(200)는,
    하부몸체(220);
    상기 하부몸체(220)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고,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310)를 포함하는 카메라부(300)가 설치되는 상부몸체(210);
    상기 하부몸체(220)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몸체(210)를 회전시키는 상하회전모터(221); 및
    상기 하부몸체(220)의 하단에 설치되어 지면을 따라 구르는 무한궤도부(230)를 포함하는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부(230)의 진행에 따른 지면으로부터 튀어오르는 이물질이 카메라부(300)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600)는,
    상기 하부몸체(220)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호판(610);
    상기 보호판(610)을 상기 하부몸체(2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620);
    상기 하부몸체(220)로부터 상기 보호판(6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6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630)은,
    상기 보호판(6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몸체(220)에 구비되는 고정판(631);
    하부는 상기 고정판(631)에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보호판(610)을 통과하는 지지바(632);
    상기 고정판(631)과 상기 보호판(61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63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하부스프링(633);
    상기 보호판(6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63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상부스프링(634); 및
    상기 지지바(632)의 상부로 결합되면서 상기 지지바(632)로부터 상기 상부스프링(634)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635)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610)은,
    일단부가 상기 하부몸체(220)를 향하고 타단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지지바(632)가 통과하는 가이드공(610a)이 타단부로부터 일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무한궤도부(230)의 진행에 따라 상기 절첩부재(620)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상,하부스프링(633,634)은,
    상기 보호판(610)의 회동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180043541A 2018-04-13 2018-04-13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1898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541A KR101898030B1 (ko) 2018-04-13 2018-04-13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541A KR101898030B1 (ko) 2018-04-13 2018-04-13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030B1 true KR101898030B1 (ko) 2018-09-12

Family

ID=6359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541A KR101898030B1 (ko) 2018-04-13 2018-04-13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650B1 (ko) * 2018-10-16 2019-10-10 삼부기술 주식회사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도화를 위해 대상 지형지물의 이미지를 확보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245B1 (ko) 2012-09-12 2013-01-17 삼부기술 주식회사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도화하기 위한 대상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공간 영상도화 시스템
KR101728706B1 (ko) * 2016-08-25 2017-04-21 (주)에스지원정보기술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245B1 (ko) 2012-09-12 2013-01-17 삼부기술 주식회사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도화하기 위한 대상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공간 영상도화 시스템
KR101728706B1 (ko) * 2016-08-25 2017-04-21 (주)에스지원정보기술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650B1 (ko) * 2018-10-16 2019-10-10 삼부기술 주식회사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도화를 위해 대상 지형지물의 이미지를 확보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245B1 (ko)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도화하기 위한 대상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공간 영상도화 시스템
CN104067111B (zh) 用于跟踪和监测目标对象上的差异的自动化***和方法
CN100592198C (zh) 防止主持人的身影投影到投影屏上的方法和装置
KR101809229B1 (ko)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인접건축물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는 장치
KR101898030B1 (ko)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이동형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1896061B1 (ko) 은폐된 지형지물을 정밀하게 촬영하는 항공촬영시스템
JP2000055652A (ja) 電子水準儀およびその画像照準法
KR101166505B1 (ko) 지아이에스 정보 기반 수치지도의 구성 데이터 실시간 업그레이드시스템
KR102154984B1 (ko)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공간정보의 위치변화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20180066370A (ko) Vr용 흔들림 보정 헤드버디캠
DE60107988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Neigungssteuerung eines schleppergezogenen Geräts
KR101765866B1 (ko)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368372B1 (ko) 불확실한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517824B1 (ko) 지형지물의 위치변화를 반영하는 공간이미지의 도화처리 시스템
KR101899363B1 (ko) 지하시설물과 지형지물 영상촬영 데이터의 3차원 정밀 처리를 위한 측량 시스템
KR101818131B1 (ko) 지형지물의 위치변화를 감시하여 수치지도에 적용하는 시스템
KR101235314B1 (ko)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이미지 처리시스템
KR102030650B1 (ko)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도화를 위해 대상 지형지물의 이미지를 확보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1728706B1 (ko)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1492416B1 (ko)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ES2948189T3 (es) Procedimiento de control de una cámara PTZ, producto de programa de ordenador y dispositivo de control asociados
KR102515843B1 (ko) 공간정보의 변화에 따른 영상이미지 구현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90298B1 (ko) 자동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항공촬영 시스템
KR102203452B1 (ko) 수준 측량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장치
KR101830296B1 (ko) 기준점과 항공촬영 이미지를 합성한 공간영상도화 제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