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199B1 - 열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열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199B1
KR101890199B1 KR1020150128056A KR20150128056A KR101890199B1 KR 101890199 B1 KR101890199 B1 KR 101890199B1 KR 1020150128056 A KR1020150128056 A KR 1020150128056A KR 20150128056 A KR20150128056 A KR 20150128056A KR 101890199 B1 KR101890199 B1 KR 101890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lements
heat exchanger
tubes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5006A (ko
Inventor
펠릭스 기르쉐이드
게로 슈메이커
플로리안 비에르거
피터 헤일
송준영
임홍영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4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 F28D7/168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7/169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with particular pattern of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e.g. change of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0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medium being in heat conductive contact with the conduits for the other medium
    • F28D7/002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medium being in heat conductive contact with the conduits for the other medium the conduits for one medium or the conduits for both media being flat tubes or arrays of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4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28F9/0251Massive connectors, e.g. blocks; Plate-like connectors
    • F28F9/0253Massive connectors, e.g. blocks; Plate-like connectors with multiple channels, e.g. with combined inflow and outflow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1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 F28F9/18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제1 유체와 제2 유체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열 전달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1)는 제1 유체를 가이드 하기 위한 튜브들로부터 형성된 열 전달기(2)를 구비하며, 이 열 전달기는 폐쇄된 하우징(11)에 의해서 완전히 둘러싸인 용적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하우징(11)은, 하나 이상의 하우징 소자(12, 13) 및 하나 이상의 측벽 소자(14a, 14b)로 이루어진 튜브 둘레로 제2 유체를 가이드 하기 위하여 여러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측벽 소자(14a, 14b)는 관통 개구(15)를 구비하여, 열 전달기(2)와 단단히 그리고 유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관통 개구(15)는 각각 형상에 있어서 열 전달기(2)의 튜브들의 외부 형상과 일치한다. 튜브들은 관통 개구(15)를 관통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열 전달 장치(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도 관련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측벽 소자(14a, 14b)의 관통 개구(15)를 관통한 상태로 배치된 열 전달기(2) 튜브들의 납땜 공정과 하나 이상의 측벽 소자(14a, 14b)의 납땜 공정이 하나의 제조 공정에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열 전달 장치{DEVICE FOR HEAT TRANSFER}
본 발명은, 특히 승용차에 적용하기 위한 열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열은 바람직하게 제1 유체로서의 냉매와 액체 상태의 제2 유체 사이에서 전달된다. 이 장치는 제1 유체를 가이드 하기 위한 튜브들로부터 형성된 열 전달기를 구비하며, 이 열 전달기는 폐쇄된 하우징에 의해서 완전히 둘러싸인 용적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하우징 소자 및 하나 이상의 측벽 소자로 이루어진 튜브 둘레로 제2 유체를 가이드 하기 위하여 여러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액체 상태의 유체로서는, 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냉매로 열을 방출하는 물 또는 물-글리콜-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냉매로서는, 바람직하게 R744 또는 CO2로서도 명명되는 이산화탄소가 사용된다.
선행 기술에는, 냉매 순환계 및 이 냉매 순환계 내에 통합된 열 전달기를 구비하는 승용차용 공기 조화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이 열 전달기는 한 편으로는 증발기로서 그리고 이와 더불어 액체 상태의 유체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액체 상태의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응축기로서 작동된다. 한 편으로는 냉매가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액체 상태의 유체, 예컨대 물 또는 물-글리콜-혼합물이 제공되는 열 전달기는 칠러(chiller)로서도 명명된다.
증발기를 관류할 때에는 냉매가 증발하는 한편, 응축기를 관류할 때에는 냉매가 액화된다. 따라서, 냉매 순환계의 응축기는 액체 냉각된 상태로 작동된다. 액체 상태의 유체와 냉매 사이에서의 열 전달은 냉매의 위상 변동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냉매 순환계 내에서는, 이산화탄소에 비해 훨씬 더 낮은 압력을 갖는, 예컨대 R134a 및 1234yf와 같은 종래의 냉매가 순환한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R134a 및 1234yf와 같은 냉매를 위한 열 전달기는 플레이트 열 전달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이하에서 냉각제로서도 명명되는 액체 상태의 유체뿐만 아니라 냉매도 플레이트를 통해서 가이드 된다. 냉각제 및 냉매는 각각 플레이트 내부에서 흐른다. 이때, 벽이 얇은 알루미늄판 또는 강철판으로부터 제조된 플레이트는 각각 사전에 결정된 압력에서 냉매의 강도 요구 수준에 상응한다. 열 전달기가 증발기로서 작동되는 경우에는, 내부 작동 압력이 약 4 bar이며, 이 경우 파열압(bursting pressure)은 약 31 bar에 달한다. 열 전달기가 응축기, 소위 고압 칠러로서 작동되는 경우에는, 내부 작동 압력이 약 18 bar이고, 파열압은 약 60 bar이다.
파열압뿐만 아니라 작동 압력도, 우수한 환경 친화성으로 인해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냉매 R744를 위해서는, 온도에 대한 요구 조건이 동일한 경우에는 냉매 R134a 또는 1234yf에서보다 약 10배만큼 더 높다. R744를 적용하는 경우에, 파열압은 증발기를 위해서는 약 260 bar에 놓이고, 가스 냉각기를 위해서는 약 340 bar에 놓인다.
예컨대 냉매 R134a를 사용하여 임계치 아래에서 작동이 이루어질 때 또는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특정 주변 조건에서 냉매의 액화가 이루어지면, 열 전달기는 응축기로서 명명된다. 열 교환의 한 부분은 일정한 온도에서 이루어진다. 열 전달기 내에서 임계치 위에서 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또는 열이 임계치를 초과해서 방출되는 경우에는, 냉매의 온도가 일정하게 감소한다. 이 경우에, 열 전달기는 가스 냉각기로서도 명명된다.
훨씬 더 높은 강도 요구 조건에 상응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시트의 벽은 훨씬 더 두꺼운 두께로 그리고/또는 특수강과 같은 다른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더 두꺼운 벽으로 그리고/또는 특수강으로부터 제조된 열 전달기는 매우 무거운 중량 및 큰 설치 공간을 갖고, 제조 시에 그리고 유지 시에 매우 비용 집약적이다. 냉각제 측에 대한 요구 조건들은 사용된 냉매와 거의 무관하다.
유럽 공개 실용신안 출원서 EP 2 402 694 A1호로부터는 열 전달기, 특히 응축기로서 작동되는, 자동차 공기 조화 설비의 열 전달기가 제시된다. 응축기는, 냉매와 냉각제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기 위한 튜브 다발 및 하우징을 구비하며, 이 경우 냉매는 튜브 다발의 튜브들을 통해서 가이드 되고, 냉각제는 하우징을 통해서 가이드 된다. 냉각제는 외부 면에서 튜브 둘레로 흐른다. 튜브들은 단부에서 각각 수집기로 형성된 소자 내부와 연통된다. 열 전달기는 십자 흐름(cross current) 내에서 작동된다. 하우징의 재료는 플라스틱이다.
선행 기술에 공지되어 있고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시스템으로서는, 실질적으로 응축기로서 작동할 수 있거나 이산화탄소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스 냉각기로서 작동할 수 있는 열 전달기가 사용되며, 이 경우 열은 냉매로부터 냉각제로 전달된다. 열 전달기에는 튜브 다발의 튜브들 사이에 배치된 얇은 막(lamella)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얇은 막은 튜브의 외부 면에서 열 교환 면적을 확대시키고, 튜브들과 열적인 접촉 상태에 있다. 열 전도성이 매우 우수하게 재료로부터 형성된 얇은 막은, 열 전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튜브들과 열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얇은 막들은 금속, 특히 알루미늄 또는 강철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동일한 재료로부터 제조된 튜브와 접촉하면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두 가지 유체 사이에서, 특히 냉매와 냉각제로서의 액체 상태의 유체 사이에서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열 전달기에 의해서는, 구조물의 크기가 최소인 경우 또는 설치 공간 수요가 최소인 경우에 최대의 열 출력이 전달될 수 있어야만 한다. 유체들은 열 전달기를 관류할 때에 다만 가급적 적은 압력 손실만을 가져야만 한다. 증가된 압력 요구 조건에 매칭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리고 적어도 동일한 출력 및 최대로는 구성 부품의 동일한 치수에 도달하도록, 예컨대 R134a와 같은 공지된 냉매를 위한 종래의 열 전달기를 대체하기 위하여, 열 전달기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작동에 적합해야만 한다. 또한, 열 전달기는 최소의 중량을 가져야만 하고, 최소의 제조 비용 및 재료 비용을 야기해야만 한다.
이때, "냉각제"라는 명칭은 오로지 냉매로부터 냉각제로의 열 전달, 다시 말해 냉매의 "냉각"과만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다. 냉각제로부터 냉매로의 열 전달도 마찬가지로 가능해야만 한다.
상기 과제는, 독립 특허 청구항들의 특징들을 갖는 대상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개선 예들은 종속 특허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장치, 특히 제1 유체와 제2 유체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서 해결된다. 이 장치는, 제1 유체를 가이드 하기 위한 튜브들로부터 형성된 열 전달기를 구비하며, 이 열 전달기는 폐쇄된 하우징에 의해서 완전히 둘러싸인 용적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하우징 소자 및 하나 이상의 측벽 소자로 이루어진 튜브를 둘레로 제2 유체를 가이드 하기 위하여 여러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컨셉에 따라, 관통 개구를 갖는 하나 이상의 측벽 소자는 열 전달기와 단단히 그리고 유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관통 개구의 형상은 각각 열 전달기 튜브의 외부 형상과 일치한다. 튜브들은 관통 개구를 통과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에는, 바람직하게 각각 하나의 튜브가 하나의 관통 개구를 관통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각각의 튜브 단부에는 정확하게 하나의 관통 개구가 할당된다.
열 전달기 튜브와 측벽 소자의 고정 연결 및 그 결과로서 이루어지는 열 전달기와 측벽 소자의 고정 연결이 기술적으로 밀봉된 제로-누설 결합으로 이해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튜브들과 측벽 소자 사이에서는 추가의 밀봉 소자가 형성될 필요가 없다. 하우징은, 적어도 열 전달기의 부분들을 주변 쪽으로 밀폐식으로 밀봉시킨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하우징은 관통 개구를 갖는 2개의 측벽 소자를 구비한다. 이들 측벽 소자는 열 전달기와 단단히 그리고 유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관통 개구들은 각각 형상에 있어서 열 전달기 튜브들의 외부 형상과 일치한다. 개별 튜브는 각각 제1 단부에 의해서는 제1 측벽 소자 내에 형성된 관통 개구를 통과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제2 단부에 의해서는 제2 측벽 소자 내에 형성된 관통 개구를 통과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튜브들은 바람직하게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열 전달기는 바람직하게 또한 제1 유체를 위한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갖는 연결 어셈블리를 구비하며, 이 경우 이 연결 어셈블리는 열 전달기와 단단히 그리고 유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개선 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측벽 소자는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부터 형성되어 있고, 납땜에 의해서 열 전달기의 튜브들과 단단히 그리고 액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측벽 소자는 바람직하게 보강 만곡부를 갖는 시트로서 형성되어 있고, 디프 드로잉(deep drawing) 공정 또는 하이드로포밍(hydroforming)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시트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납작한 롤링 공구 완제품으로 이해된다. 고압 성형으로도 명명되는 하이드로포밍 공정은, 폐쇄된 성형 공구 내에서 압력을 이용하여 시트를 변형시키는 공정으로서 간주 되며, 이 압력은 예를 들어 공구 내에서 물-오일-에멀젼에 의해 발생된다.
하나 이상의 하우징 소자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또는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열 전달기는 또한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된 플랫 튜브(flat tube)들로부터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플랫 튜브는 각각 2개의 수집기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때, 하나 이상의 측벽 소자는 수집기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열 전달기는 바람직하게 1열로 또는 다수의 열로, 특히 2열로 관류할 수 있으며, 길이, 폭 및/또는 높이와 같은 치수에 있어서 크기 조정(scaling) 가능하다. 또한, 열 전달기는 바람직하게, 단지 플랫 튜브의 영역에서만 유체들 사이에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이웃하여 배치된 플랫 튜브들의 중간 공간에 유동 횡단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그리고/또는 열 전달 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한 소자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이들 소자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개선 예에 따라, 하우징은 횡단면 상으로 볼 때 U자 모양으로 형성된 2개의 하우징 소자를 구비하며, 이들 하우징 소자는 레그의 세로 에지에 의해서 서로에 대해 정렬되어 있고, 세로 에지에서 서로 단단히 그리고 유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하우징 소자 와 하나 이상의 측벽 소자는 하우징을 밀봉하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측벽 소자가 하우징 소자의 한 내부 면에서 측벽 에지와 인접하도록, 하우징 소자는 횡단면 상으로 볼 때 측벽 소자의 측면 에지의 형상과 일치한다.
하우징 소자의 한 내부 면에는 바람직하게 제2 유체를 의도한 바대로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 소자는 하우징 소자 내부에 통합되어 있거나 하우징 소자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특히 2개의 하우징 소자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가이드 소자가 바람직하게 제1 하우징 소자에 그리고/또는 제2 하우징 소자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하우징은 제2 유체를 가이드 하기 위한 연결관을 구비한다. 이때, 유체는 유입구를 통해서는 하우징 내부로 가이드 될 수 있고, 배출구를 통해서는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가이드 될 수 있다. 연결관들은 각각 하우징 측벽에서 양측으로 돌출한다. 가이드 소자는 예를 들어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서 유체의 단속적인 흐름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한 개선 예에 따라, 유입구의 연결관들은 열 전달기 쪽으로 정렬된 전면에서는 폐쇄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열 전달기 쪽으로 정렬된 전면의 영역에서 한 외부면에 유체 흐름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개구들을 구비한다.
하우징 소자는 제2 유체, 특히 냉각제를 위한 연결관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일체형의 소자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하우징 소자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제조되거나,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부터 제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하우징 소자가 제2 유체를 위한 연결관 및 가이드 소자와 함께 일체형의 소자로서, 특히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개선 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측벽 소자를 갖는 열 전달기 및 연결관을 갖춘 하나 이상의 하우징 소자를 갖는 하우징은, 제1 유체의 유입구 및 배출구에 대한 제2 유체의 연결관들의 정렬 상태가 하우징 소자를 기준으로 하는 열 전달기의 회전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도록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유체의 유입구 및 배출구에 대한 제2 유체의 연결관들의 정렬 상태는 바람직하게 하우징 소자에 대한 열 전달기의 회전에 의해서 180°만큼 변경된다.
바람직하게 순전히 십자 흐름 형태로 또는 역류 형태로 또는 십자 흐름과 역류의 조합 형태로 작동할 수 있는 열 전달기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라 냉매 순환계 내에 통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열 전달기는 냉각 순환계 또는 가열 순환계의 유체를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때, 열 전달기는 응축기, 가스 냉각기 또는 증발기로서 상이한 적용 예에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냉매 제공된 충전 공기 냉각기로서, 오일 냉각기로서 또는 전자 구성 부품들을 냉각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때에는, 냉매로서의 다른 매체들 및 물, 또는 오일 혹은 폐가스와 같은 물-글리콜-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전술된 특징들을 갖는 열 전달 장치, 특히 제1 유체와 제2 유체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도 해결된다.
하나 이상의 측벽 소자의 관통 개구들을 통과한 상태로 배치된, 열 전달기 튜브들과 하나 이상의 측벽 소자의 튜브들의 납땜은 본 발명의 컨셉에 따라 하나의 제조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2개의 수집기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튜브 및 복수의 개별 소자들로부터 형성된 연결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열 전달기의 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모든 개별 부품들의 납땜이 하나의 제조 공정 내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열 전달기의 튜브들 사이에 형성된 중간 공간에 유동 횡단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그리고/또는 열 전달 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한,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소자들이 제공되어 있으면, 이들 소자는 바람직하게 단 하나의 납땜 공정에서 열 전달기와 결합된다.
요약해서 말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 2개의 유체, 특히 냉각제로서의 액체 상태의 유체와 냉매 사이에서 열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 구조물의 크기가 최소인 경우 또는 설치 공간 수요가 최소인 경우에, 다시 말해 개장된 용적에 대한 전달 가능한 열 출력의 비율이 최적인 경우에, 최대의 열 출력이 전달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공지된 구성 부품들의 재사용 또는 추가 사용이 가능하며,
- 특히 자동차에 적용하기 위해, 고압에서뿐만 아니라 저압에서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작동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특히 플랫 튜브를 사용함으로써, 냉매 측에서 파열압에 대해 제기되는 높은 수준의 요구 조건들이 충족되고, 매우 높은 압축 강도에 도달하며,
- 최소의 중량을 가지며,
- R744-가스 냉각기 및 R744-증발기의 표준 플랫 튜브 프로필을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연결 위치들 - 동일한 하위 소자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상이한 연결 위치들 - 을 변경하기 위해 다양하게 장착될 수 있는 하우징 셸을 사용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최소로 되고, 재료 경비도 최소로 되며,
- 냉각제 측에 열 전달용 얇은 막을 갖는 구조 및 이러한 얇은 막을 갖지 않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며,
- 특히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된 하우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식성(corrosion resistance)이 높으며, 그리고
- 구성 부품들 및 부분들이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부터 형성된 경우에는, 열 전달기의 개별 구성 부품들 및 하우징의 부분들이 단 하나의 제조 공정으로 오븐 내부에서 납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이 또 다른 세부 사항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관련 도면을 참조해서 이루어지는 실시 예들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도면에 대한 설명:
도 1은 열 전달기, 연결 어셈블리 및 하우징을 개별 구성 부품으로서 구비하는 열 전달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납땜 된 열 전달기, 납땜 된 연결 어셈블리 및 개방된 하우징 소자들을 구비하는 열 전달 장치의 개략도이며, 그리고
도 3은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 열 전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는, 열 전달기(2), 연결 어셈블리(3) 및 하우징(11)을 개별 구성 부품으로서 구비하는 열 전달 장치(1)가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다.
플랫 튜브(9)로부터, 압출된 플랫 튜브 열 전달기로서 형성된 열 전달기(2)는, 출력 요구 조건에 따라 1열로 또는 복수의 열로 형성되어 있고, 크기에 있어서, 다시 말해 특히 길이에 있어서 그리고 폭에 있어서 크기 조정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열 전달기(2)는 2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에는, R744를 위해 공지된 증발기 또는 응축기/가스 냉각기의 사용을 생각할 수 있다.
2개의 평행한 열로 나란히 그리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 플랫 튜브(9)는 폭이 넓은 측을 갖는 각각의 열 내부에서 서로에 대해 배치되어 있으며, 그 결과 직접 이웃하는 플랫 튜브(9) 사이에서는 유체, 특히 냉각제를 위한 유동 경로가 각각 하나씩 생성된다. 이때, 이 유동 경로는 각각 제1 열의 플랫 튜브(9)들 사이에서 뻗고, 그 다음에는 제2 열의 플랫 튜브(9)들 사이에서 뻗거나, 유체의 유동 방향(18)에 따라 처음에는 제2 열의 플랫 튜브(9)들 사이에서 그리고 그 다음에는 제2 열의 플랫 튜브(9)들 사이에서 뻗는다. 제1 열 및 제2 열의 플랫 튜브(9)는 서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 2개의 수집기(8a, 8b) 사이에서 연장된다. 플랫 튜브(9)의 내부 용적은 수집기(8a, 8b)의 내부 용적과 연결되어 있다.
유동 경로 내에서 그리고 이와 더불어 중간 공간 내에서 이웃하여 배치된 플랫 튜브(9) 내에는, 유동 횡단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그리고/또는 열 전달 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한 소자(10)가 배치되어 있다.
유동 횡단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그리고/또는 열 전달 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한 소자(10)로서는, 응축기 또는 증발기용으로 공지된 공기 조절용 얇은 막 또는 물로써 열을 전달하기에 최적화된 얇은 막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리브(rib)도 사용될 수 있다. 이 소자(1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이 열 전도 능력이 매우 우수한 재료 또는 플라스틱 또는 밀도가 낮은 다른 재료들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크기가 없는 레이놀즈 수(Reynolds number)를 참조해서 특징화 되는 냉각제의 유동을 기준으로 장치의 크기를 설계한 경우에, 소자(10)는 오로지 유동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만 또는 냉각제의 난류 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냉각제는, 플랫 튜브(9)들 사이의 중간 공간을 통과해서 그리고 유동 경로의 유동 횡단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소자(10) 둘레로 가이드 된다.
플랫 튜브(9)들 사이에 형성된 유동 경로의 유동 횡단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소자(10)가 예컨대 납땜에 의해서 플랫 튜브(9)와 단단히 연결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하지만, 열 전달 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한 얇은 막을 구비하는 실시 예에서는, 열 전달기(2)의 출력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플랫 튜브(9)와 소자(10)의 단단한 그리고 열 전도 방식의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모든 압출된 플랫 튜브(9) 또는 플랫 튜브 프로필이 그 내부에 납땜 되어 있는 수집기(8a, 8b)의 형상이 적합한 경우에는, 플랫 튜브(9)들의 간격도 더욱 줄어들 수 있고, 최소로 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실시 예는 얇은 막 없이 형성된다.
소자(10)는 대안적으로 순전히 와류 발생기로서도 배치될 수 있는데, 이 와류 발생기는 바람직하게 열 전달기(2)를 둘러싸는 하우징(11)과 동일한 재료로부터, 다시 말해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부터 또는 밀도가 낮은 다른 적합한 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와류 발생기는 실질적으로 유동 횡단면을 변경시키기 위해서, 또는 오로지 플랫 튜브(9)들 사이의 유동 경로를 관류할 때에 유동 속도 또는 냉각제의 난류 형성을 높이기 위해서 그리고 이로써 냉각제 측에서의 열전달을 개선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열 전달기(2)가 조립된 상태에서, 열 전달기(2)의 전면 또는 좁은 측에는 측벽 소자(14a, 14b)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열 전달기(2)의 플랫 튜브(9)의 단부들이 향하고 있는 측이 전면으로서 간주 될 수 있다.
측벽 소자(14a, 14b)는 각각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실질적으로 직사각 시트의 형태로, 보강 만곡부를 갖는 디프 드로잉 부분 또는 하이드로포밍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보강 만곡부는 전경에서 냉각제 측 압력을 견디기 위하여, 그러나 또한 인접한 하우징 소자(12, 13)의 접촉면으로서 이용되고, 시트 표면으로부터 출발해서 두 가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단 한 가지 방향에서만 보강 만곡부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측벽 소자(14a, 14b)는 또한 오로지 천공에 의해서만 제조될 수도 있다.
에지 영역이 라운딩 처리된 측벽 소자(14a, 14b)는 열 전달기(2)의 플랫 튜브(9)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 개구(15)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납땜에 의해서 개별 플랫 튜브(9)와 측벽 소자(14a, 14b) 사이에 유체 밀봉 방식의 연결부를 만들기 위하여, 관통 개구(15)는 플랫 튜브(9)의 외부 치수와 일치한다. 장치(1)가 조립된 상태에서, 측벽 소자(14a, 14b)는 수집기(8a, 8b)와 소자(1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측벽 소자(14a, 14b)는 장치(1)의 하우징(11)의 구성 부품들이다.
개별 구성 부품(4)으로부터 형성된 연결 어셈블리(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연결 소자들 이외에, 열 전달기(2)의 수집기(8a)에 대한 연결부로서 냉매를 위한 유입구(6) 및 배출구(7)를 구비하며, 이때 냉매는 유동 방향(5)으로 유입구(6) 및 배출구(7)를 관류한다. 이때, 수집기(8a)에 대한 연결 소자들은 연결 어셈블리(3)와 열 전달기(2) 사이에 기계적인 그리고 냉매 측의 연결부를 만든다. 연결 어셈블리(3)를 관류할 때에는, 냉매가 유입구(6)로부터 수집기(8a)로 그리고 수집기(8a)로부터 배출구(7)로 가이드 되고, 각각 90°의 각으로 방향 전환된다.
유입구(6) 및 배출구(7)는 냉매 순환계의, 예를 들어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의 냉매 라인에 대한 연결 어셈블리(3)의 연결부들이다.
이때에는 또한, 냉매를 위한 유입구(6) 및 배출구(7)가 각각 반대 유동 방향(5)으로 제공되어 유입구(6)와 배출구(7)가 서로 교체되도록, 냉매 라인이 장치(1)에 연결될 수 있거나 냉매의 유동 방향(5)이 정렬될 수 있다.
열 전달 장치(1)를 최종적으로 조립하기 전에, 열 전달기(2)는 수집기(8a, 8b)에 연결되고, 플랫 튜브(9), 측벽 소자(14a, 14b), 및 연결 어셈블리(3)가 연결되는데, 이들은 특히 납땜된다. 납땜 과정은 바람직하게 하나의 제조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유동 횡단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그리고/또는 열 전달 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한 소자(10)에 대한 열 전달기(2)의 형상에 따라, 동일한 방법 단계에서는 소자(10)도 플랫 튜브(9)에 연결되는데, 특히 납땜된다.
대안적으로, 측벽 소자(14a, 14b)는 또한 추가의 제조 공정에서 플랫 튜브(9)와 납땜 될 수 있거나 접착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서로 접착되는 플라스틱 소자들로 이루어진 하우징(11)의 한 실시 예에서는, 유동 횡단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그리고/또는 열 전달 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한 소자(10)가 또한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으며, 장치(1)를 조립할 때에는 다만 플랫 튜브(9)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냉매에 의해서 관류 된 플랫 튜브(9)가 하우징(11)의 벽을 통과하는 영역에서 냉각제의 누설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측벽 소자(14a, 14b)는 하우징(11)의 구성 부품으로서 그리고 폐쇄 커버로서 열 전달기(2)와, 다시 말해 플랫 튜브(9)와 유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플랫 튜브(9)의 영역에서 열 전달기(2)를 둘러싸고 있는 하우징(11)은 실질적으로 플랫 튜브(9)들 사이에 형성된 중간 공간 및 유동 경로를 통해서 냉각제를 의도한 바대로 가이드 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때에는 수집기(8a, 8b)가 냉각제에 의해서 순환되지 않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집기(8a, 8b)의 벽들을 통해서는 열이 냉매와 냉각제 사이에서 전달되지 않는다.
하우징(11)은, 플랫 튜브(9)와 유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된 측벽 소자(14a, 14b) 이외에 2개의 하우징 소자(12, 13) 및 하나의 가이드 소자(20)를 구비한다. 하우징 소자(12, 13)는 상부 셸(12) 및 하부 셸(13)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부 셸(12)은 냉각제 순환계의 연결관(16, 17)을 위한 2개의 원형 관통 개구를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상부 셸(12)은 연결관(16, 17)과 일체형 소자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 소자(12, 13)는 횡단면 상으로 볼 때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형상은 장치(1)가 조립된 상태에서 측벽 소자(14a, 14b)의 측면 에지의 형상들과 일치한다. 열 전달기(2)는, 유입구(16)를 통해 장치(1) 내부로 유입되는 냉각제가 플랫 튜브(9)에 의해 형성된 중간 공간에 위로부터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우징 소자(12, 13)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고, 유동 방향(18)으로 열 전달기(2)와 하부 셸(13) 사이에 형성된 갭(gap)까지 흘러가며, 이 갭 내부로 유입될 때 그리고 이 갭으로부터 외부로 유출될 때에는 각각 90°만큼 방향 전환된다. 그 다음에 이어서, 냉각제는 유입구(16) 뒤에서는 유동과 반대 방향으로 플랫 튜브(9)에 의해 형성된 중간 공간을 통해서 배출구(17)로 가이드 된다.
이때에는, 냉각제를 위한 유입구(16) 및 배출구(17)가 각각 반대 유동 방향(18)으로 제공되어 유입구(16)와 배출구(17)가 서로 교체되도록, 냉각제 순환계의 냉각제 라인이 장치(1)에 연결될 수 있거나, 냉각제의 유동 방향(18)이 정렬될 수도 있다.
유입구(16)로부터 배출구(17)까지 냉각제의 단속적인 흐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플랫 튜브(9)에 의해 형성된 중간 공간 내부로 냉각제를 의도한 바대로 가이드 하기 위하여, 열 전달기(2)와 상부 셸(12) 사이에 형성된 갭이 가이드 소자(20)에 의해서 폐쇄된다. 가이드 소자(20)는 상부 셸(12)의 U자 모양 횡단면의 평행한 평면에서 상부 셸(12)에 대해 유체 밀봉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부 셸(12)을 열 전달기(2) 쪽으로 밀봉시킨다. 가이드 소자(20)에 형성된 고정 형상부는 상부 셸(12) 내에 형성된 개구와 일치하며, 이 경우 상기 고정 형상부는 하우징(11) 및 장치(1)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부 셸(12)의 개구를 통해 돌출한다.
냉각제를 위한 연결관(16, 17)은 유동 방향(18)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에서는 유동 방향(18)으로 일정한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연결관(16) 관류 부분의 중공 실린더 모양의 용적은 열 전달기(2) 쪽으로 정렬된 전면에 연결되어 있다. 유입구(16)는 이 영역에 다중의 규정된 개구(19)를 구비한다. 연결관(16)의 외부 면에 형성된 개구(19)는 플랫 튜브(9)의 중간 공간 내부로 그리고 유동 횡단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소자(10) 위로 냉각제의 균일한 분배 및 분포를 가능하게 한다. 연결관(16)의 외부 면 둘레에 걸쳐서 바람직하게 균일하게 분배 배치된 개구(19)는 하나의 공동 평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동 평면은 유동 방향(18)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고, 원형, 타원형, 각진 모양 또는 슬롯 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냉각제가 유동 방향(18)으로 유입구(16)를 통해 유입되어 냉매가 제공된 열 전달기(2)에 분포된 후에는, 냉각제가 새로이 90°만큼 방향 전환되어 제2 유동 경로 내에서 플랫 튜브(9)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플랫 튜브(9)들 사이에 형성된 중간 공간을 통해서 그리고 배출구(17)를 통해서 재차 배출되기 전에, 냉각제가 제1 유동 경로 내에서 플랫 튜브(9)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플랫 튜브(9)들 사이에 형성된 중간 공간을 통해 흐르고, 그 다음에는 열 전달기(2)와 하부 셸(13)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과할 때에는 플랫 튜브(9)의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며, 플랫 튜브(9)에 대해 평행하게 흘러간다. 이로써, 냉각제는 실질적으로 냉매에 대해 십자 흐름으로 장치(1)를 통과하게 된다. 장치(1)는 특별히 가스 냉각기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십자-역류-열 전달기로서 작동된다.
도 2는, 플랫 튜브(9) 및 수집기(8a, 8b)로부터 납땜 된 열 전달기(2), 개별 구성 부품(4)으로 이루어진 열 전달기(2)와 납땜 된 연결 어셈블리(3), 및 열 전달기(2)에 연결된 측벽 소자(14a, 14b), 그리고 연결관(16, 17)을 갖는 개방된 하우징 소자(12, 13)를 구비하는 열 전달 장치(1)를 분해도로 보여준다. 3에는, 폐쇄된 하우징(11)과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열 전달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수집기(8a, 8b)의 서로를 향하는 측에 배치된 측벽 소자(14a, 14b)는 하우징(11)의 구성 부품으로서 열 전달기(2), 특히 플랫 튜브(9)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이때, 측벽 소자(14a, 14b)는 열 전달기(2)와 납땜, 접착 또는 용접되어 있다. 고정 연결이 기술적으로 밀봉된 제로-누설 결합으로 간주 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측벽 소자(14a, 14b)와 열 전달기(2) 사이에서는 밀봉 장소가 형성될 필요가 없다. 이로써, 플랫 튜브(9)에 대해 하우징(11)을 복잡하게 밀봉시키는 과정이 피해진다. 측벽 소자(14a, 14b)는 플랫 튜브(9)의 좁은 측에서, 플랫 튜브(9)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로 열 전달기(2)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1)의 측벽 소자(14a, 14b)는 바람직하게 알루미늄으로부터 제조되었고, 납땜에 의해서 열 전달기(2)에 유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개별 구성 부품들, 즉 열 전달기(2), 연결 어셈블리(4) 및 측벽 소자(14a, 14b)의 납땜은 추가 밀봉 소자 없이도, 하우징(11)에 대한 플랫 튜브(9)의 바람직한 밀봉 및 열 전달기(2)에 대한 냉매 라인의 바람직한 밀봉을 유도한다. 특히 하우징 벽으로서의 측벽 소자(14a, 14b)를 통과하는 관통부로서의 플랫 튜브(9)를 냉각제 밀봉 방식으로 납땜하는 것은, 냉각제가 장치(1)로부터 주변으로 누설되는 상황을 방지해준다.
조립된 상태에서 용적을 완전히 둘러싸는 하우징 소자(12, 13) 및 측벽 소자(14a, 14b)는 간단히 삽입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 소자(12, 13)는 레그의 세로 에지에서 U자 모양의 셸로서 서로 연결되며, 금속, 특히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된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납땜, 용접 또는 접착된다. 이때, 상부 셸(12)은, 확장된 영역이 각각 하나의 에지로 끝나고 이 에지에서 레그로 넘어가도록, 확장부를 갖는 세로 에지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을 조립할 때에는, 상부 셸(12)의 확장된 영역이 하부 셸(13)의 세로 에지 위로 이동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하부 셸(13)의 세로 에지는 하우징(11) 내부에서 상부 셸(12)의 확장된 영역의 에지에 접하게 되고, 상부 셸(12)의 확장된 영역은 하부 셸(13)의 세로 에지를 둘러싸게 된다. 상부 셸(12) 및 하부 셸(13)은 확장된 영역 내부에서 각각 세로 에지에서, 확장된 영역의 에지에서 및 하부 셸(13)의 외부 면에서 그리고 상부 셸(12)의 내부 면에서 서로 연결된다.
특히 하우징 소자(12, 13)가 상호 결합 된 상태에서 측벽 소자(14a, 14b)의 외부 면의 형상은, 하우징 소자(12, 13)의 내부 면이 측벽 소자(14a, 14b)에 밀봉 방식으로 접하도록, 하우징 소자(12, 13)의 내부 면과 좁은 측으로서 일치한다.
보강을 위해 측벽 소자(14a, 14b)의 측면 에지들을 변형시키는 것과 동시에, 장치(1)가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 소자(12, 13)의 내부 면에 밀봉 방식으로 접하는 측벽 소자(14a, 14b)의 에지들의 지지면도 확대된다. 예를 들어 금속, 특히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된 측벽 소자(14a, 14b) 및 하우징 소자(12, 13)의 실시 예에 따라, 상호 접하는 구성 부품들은 서로 납땜, 용접 또는 접착된다.
하우징(11) 내부, 다시 말해 하우징(11)에 의해 둘러싸인 용적 내부에는 플랫 튜브(9) 및 경우에 따라서는 소자(10)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1)은 열 전달기(2)를 주변 쪽으로 밀폐식으로 조밀하게 밀봉시킨다. 장치(1)의 작동 중에는 냉매가 열 전달기(2) 내부에서 흐른다. 냉매는 유동 방향(5)으로 유입구(6)를 통해서는 열 전달기(2) 내부로 유입되고, 배출구(7)를 통해서는 배출된다. 열 전달기(2)는 또한 액체 상태의 유체, 특히 예를 들어 물 또는 물-글리콜-혼합물과 같은 냉각제에 의해서도 순환된다. 따라서, 냉각제는 열 전달기(2)의 외부 면에 있는 중간 공간 내에서 그리고 열 전달기(2)와 하우징(11)의 내부 면 사이에서 유동 방향(18)으로 장치(1)를 통해서 흐른다.
하우징(11)의 형상에 의해, 냉각제는 의도한 바대로 열 전달기(2)의 외부 면을 따라 가이드 된다. 하우징(11)은 유동 방향(18)으로 열 전달기(2) 주변으로의 냉각제의 관류를 규정한다. 이때, 하우징(11)은 냉각제를 플랫 튜브(9)들 사이에 있는 중간 공간을 통해서 그리고 유동 경로의 유동 횡단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소자(10) 주변으로 가이드 된다.
하우징(11)은 상부 셸(12)에 배치된, 냉각제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2개의 연결관(16, 17)을 구비한다. 연결관(16, 17)은 상부 셸(12)의 임의의 장소에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냉각제는 유입구(16)를 통해서는 장치(1) 내부로 유입되고, 배출구(17)를 통해서는 장치(1)로부터 재차 배출된다.
상부 셸(12)은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부터 연결관(16, 17)이 통합된 사출 성형부로서, 일체형의 소자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셸(12)과 연결관(16, 17)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냉각제가 주변으로 누설될 위험을 높여주고, 장치(1)의 제조 및 관리 시에 추가 비용을 유발시키는 추가 밀봉 부재의 사용이 피해진다.
열 전달기(2)가 측벽 소자(14a, 14b)와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열 전달기(2)가 연결 어셈블리(3)와 함께 하우징 소자(12, 13)에 대해 180°만큼 회전함으로써는, 하우징(11)의 구성 부품에서의 변경 없이, 냉매의 유입구(6) 및 배출구(7)에 대해서도 연결관(16, 17)의 다양한 위치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연결관(16, 17) 그리고 냉매의 유입구(6) 및 배출구(7)는 동일한 구성 부품을 사용하여 단지 서로에 대한 조립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만으로도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장치(1)의 유연한 형상 및 그와 더불어 장치(1)의 상이한 실시 예를 가능하게 한다.
냉각제는 바람직하게 냉매의 유동 방향(5)에 대해 십자 역류 형태로 가이드 되지만, 대안적으로는 냉매에 대해 순전히 역류 상태로만 하우징(11)을 통해서 가이드 될 수도 있다.
이때, 냉매는 연결 어셈블리(4)의 유입구(6)를 통해 냉매의 유동 방향(5)으로 열 전달기(2) 내부로 유입되고, 제1 수집기(8a) 내에서 제1 열의 플랫 튜브(9)에 분배된다. 그 다음에, 냉매는 압출된 플랫 튜브(9)를 통해 제2 수집기(8b)로 흘러가서 수집되고, 제2 열의 플랫 튜브(9)에 분배되며, 플랫 튜브(9)를 통해서는 제1 수집기(8a)로 역류하고, 연결 어셈블리(3)의 배출구(7)를 통해서는 열 전달기(2)로부터 배출된다.
1: 장치
2: 열 전달기
3: 연결 어셈블리
4: 연결 어셈블리(3)의 개별 구성 소자들
5: 냉매 유동 방향
6: 냉매 유입구
7: 냉매 배출구
8a, 8b: 수집기
9: 플랫 튜브
10: 소자
11: 하우징
12: 하우징 소자, 상부 셸
13: 하우징 소자, 하부 셸
14a, 14b: 측벽 소자
15: 관통 개구
16: 연결관, 냉매 유입구
17: 연결관, 냉매 배출구
18: 냉매 유동 방향
19: 개구
20: 가이드 소자

Claims (10)

  1. 열 전달기(2)를 구비하며, 상기 열 전달기가 제1 유체를 가이드 하기 위한 튜브들로부터 형성되고, 폐쇄된 하우징(11)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용적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유체를 가이드 하기 위한 하우징(11)이 하나 이상의 하우징 소자(12, 13) 및 하나 이상의 측벽 소자(14a, 14b)로 이루어진 튜브들 둘레에 여러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유체와 제2 유체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열 전달 장치(1)에 있어서,
    관통 개구(15)를 구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측벽 소자(14a, 14b)는 열 전달기(2)와 단단히 그리고 유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 개구(15)들은 각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기(2)의 튜브들의 외부 형상과 일치하고, 튜브들은 상기 관통 개구(15)를 관통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열 전달기(2)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플랫 튜브(flat tube)(9)들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플랫 튜브(9)들이 각각 2개의 수집기(8a, 8b) 사이에서 연장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측벽 소자(14a, 14b)는 상기 수집기(8a, 8b)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집기는 상기 수집기의 벽들을 통해 상기 제1 유체와 제2 유체 사이에서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유체 순환에 독립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6) 및 배출되는 배출구(17)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제2 유체의 흐름 방향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소자(20)가 상기 하우징 소자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16)는 그 외주면을 따라서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개구(19)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19)는 유동 방향(18)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관통 개구(15)를 구비하는 2개의 측벽 소자(14a, 14b)는 열 전달기(2)와 단단히 그리고 유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 개구(15)들은 각각 형태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기(2)의 튜브들의 외부 형상과 일치하고, 각각의 튜브는 각각 제1 단부에 의해서는 제1 측벽 소자(14a) 내에 형성된 관통 개구(15)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2 단부에 의해서는 제2 측벽 소자(14b) 내에 형성된 관통 개구(15)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측벽 소자(14a, 14b)는 금속으로부터 형성되고, 납땜에 의해서 열 전달기(2)의 튜브들과 단단히 그리고 액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1).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은 횡단면 상으로 볼 때 U자 모양으로 형성된 하우징 소자(12, 13)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소자들은 레그의 세로 에지들에 의해서 서로에 대해 정렬되어 있고, 세로 에지에서 서로 단단히 그리고 유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1).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하우징 소자(12, 13)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측벽 소자(14a, 14b)는 하우징(11)을 밀봉하면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소자(12, 13)는 횡단면 상으로 볼 때 상기 열 전달 장치(1)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측벽 소자(14a, 14b)의 일 측방 에지의 형상과 일치하고, 상기 측벽 소자(14a, 14b)는 상기 하우징 소자(12, 13)의 일 내부 면에서 상기 측방 에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1).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소자(12)는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16, 17)과 함께 일체형 소자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1).
  10. 삭제
KR1020150128056A 2014-10-16 2015-09-10 열 전달 장치 KR101890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15030.9 2014-10-16
DE102014115030 2014-10-16
DE102015111398.8 2015-07-14
DE102015111398.8A DE102015111398A1 (de) 2014-10-16 2015-07-14 Vorrichtung zur Wärmeübertrag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006A KR20160045006A (ko) 2016-04-26
KR101890199B1 true KR101890199B1 (ko) 2018-08-21

Family

ID=55638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056A KR101890199B1 (ko) 2014-10-16 2015-09-10 열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0199B1 (ko)
DE (1) DE1020151113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6392B (zh) * 2018-11-30 2023-03-28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换热器
CN111256389B (zh) * 2018-11-30 2023-03-28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换热器
EP3889537B1 (en) * 2018-11-30 2024-05-01 Zhejiang Sanhua Automotive Components Co., Ltd. Heat exchange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1576A (ja) 2005-08-17 2007-03-01 Tokyo Roki Co Ltd Egrクーラ
EP2402694A1 (fr) 2010-06-30 2012-01-04 Valeo Systemes Thermiques Condenseur, notamment pour systeme de climat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et echangeur de chaleur equipe d'un tel condenseur
KR101449386B1 (ko) * 2014-06-25 2014-10-13 강영조 선박 엔진 냉각용 열교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1576A (ja) 2005-08-17 2007-03-01 Tokyo Roki Co Ltd Egrクーラ
EP2402694A1 (fr) 2010-06-30 2012-01-04 Valeo Systemes Thermiques Condenseur, notamment pour systeme de climat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et echangeur de chaleur equipe d'un tel condenseur
KR101449386B1 (ko) * 2014-06-25 2014-10-13 강영조 선박 엔진 냉각용 열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111398A1 (de) 2016-04-21
KR20160045006A (ko) 201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910B1 (ko) 열교환 장치
JP6615423B1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プレート式熱交換器を備えたヒートポンプ装置、及び、ヒートポンプ装置を備えたヒートポンプ式冷暖房給湯システム
CN112105515B (zh) 容许高压的液体-制冷剂热交换器
US20100000707A1 (en) Thermal storage device
KR101704256B1 (ko) 열 전달 장치
JP2015534030A (ja) 熱交換器
KR102043931B1 (ko) 열 전달 장치
CN106507636B (zh) 冷却剂通路连接结构和冷却***
KR101890199B1 (ko) 열 전달 장치
EP2676094B1 (en) Method of producing a heat exchanger and a heat exchanger
KR20120044851A (ko) 열교환기
CN102869942A (zh) 车室内热交换器
KR20120044849A (ko) 헤더유닛 및 이를 가지는 열교환기
KR20200011356A (ko) 일체형 액체 공냉식 응축기 및 저온 라디에이터
JP4082073B2 (ja) 熱交換器における配管接合構造
EP2982924A1 (en) Heat exchanger
CN101120224A (zh) 为热交换器容纳流体的箱,特别是用于热交换器组件的热交换器,特别是以单芯体为形式的热交换器组件
US20080105419A1 (en) Heat exchanger
KR101663382B1 (ko) 열전달 장치
US20160214457A1 (en)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a heat-transfer liquid and a refrigerant,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KR101385266B1 (ko) 열교환기
KR20080103290A (ko) 3피스 타입 헤더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의 제작방법과 그를이용한 열교환기
US20050016722A1 (en) Multi-pass fluid cooler
KR20100067164A (ko) 자동차용 열교환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26370B1 (ko) 수냉매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