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256B1 - 열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열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256B1
KR101704256B1 KR1020150128288A KR20150128288A KR101704256B1 KR 101704256 B1 KR101704256 B1 KR 101704256B1 KR 1020150128288 A KR1020150128288 A KR 1020150128288A KR 20150128288 A KR20150128288 A KR 20150128288A KR 101704256 B1 KR101704256 B1 KR 101704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housing
cover element
fluid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5007A (ko
Inventor
펠릭스 기르쉐이드
게로 슈메이커
플로리안 비에르거
임홍영
송준영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45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01Work-pieces; preparation of the work-pieces, e.g. lubricating,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6/00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 B21D26/02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by applying fluid pressure
    • B21D26/021Deforming sheet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0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medium being in heat conductive contact with the conduits for the other medium
    • F28D7/002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medium being in heat conductive contact with the conduits for the other medium the conduits for one medium or the conduits for both media being flat tubes or arrays of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 F28D7/161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the conduits being inside a casing and extending at an angl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asing; the conduits crossing the conduit for the other heat exchange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 F28F1/02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with multiple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1/00Arrangements for sealing leaky tubes and conduits
    • F28F11/02Arrangements for sealing leaky tubes and conduits using obturating elements, e.g. washers, insert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28F9/0251Massive connectors, e.g. blocks; Plate-like connectors
    • F28F9/0253Massive connectors, e.g. blocks; Plate-like connectors with multiple channels, e.g. with combined inflow and outflow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1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 F28F9/18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5/00Heat exchanger elements made of materials having special features or resulting from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F28F2255/10Heat exchanger elements made of materials having special features or resulting from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made by hydrofor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5/00Heat exchanger elements made of materials having special features or resulting from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F28F2255/16Heat exchanger elements made of materials having special features or resulting from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extru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제1 유체와 제2 유체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열 전달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1)는, 유입구(6) 및 배출구(7)를 갖는 연결 어셈블리(4), 및 제1 유체를 위한 연결 소자(13), 그리고 하우징(14)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용적 내부에 배치된 열 전달기(2)를 갖는 폐쇄된 하우징(14)을 구비한다. 이때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된 하우징(14)은 수용 소자(15) 및 커버 소자(3)를 구비하며, 이 경우 열 전달기(2)는 수용 소자(15) 내부에 통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커버 소자(3)는 열 전달기(2) 및 연결 어셈블리(4)와 단단히 연결되어 하나의 열 전달기-연결-유닛(16)을 형성하며, 이 경우 커버 소자(3)는 직사각의 형태를 갖고, 모서리 영역에는 각각 관통 개구(11)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소자(3)는 수용 개구(12)를 구비하며, 이 수용 개구는, 연결 소자(13)가 수용 개구(12)를 관통하여 열 전달기(2) 내에 형성된 개구 내부까지 돌출하도록, 이 열 전달기(2) 내에 형성된 개구 및 연결 어셈블리(4)의 연결 소자(13)와 일치한다.

Description

열 전달 장치{DEVICE FOR HEAT TRANSFER}
본 발명은, 특히 승용차에 적용하기 위한 열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열은 바람직하게 액체 상태의 유체와 냉매 사이에서 전달된다. 이 장치는,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갖춘 연결 어셈블리, 및 제1 유체를 위한 연결 소자, 그리고 하우징에 의해서 완전히 둘러싸인 용적 내부에 배치된 열 전달기를 갖춘 폐쇄된 하우징을 구비한다. 하우징은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수용 소자 및 커버 소자를 구비한다. 열 전달기는 수용 소자 내부에 통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액체 상태의 유체로서는, 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냉매로 열을 방출하는 물 또는 물-글리콜-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냉매로서는, 바람직하게 R744 또는 CO2로서도 명명되는 이산화탄소가 사용된다.
선행 기술에는, 냉매 순환계 및 이 냉매 순환계 내에 통합된 열 전달기를 구비하는 승용차용 공기 조화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이 열 전달기는 한 편으로는 증발기로서 그리고 이와 더불어 액체 상태의 유체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액체 상태의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응축기로서 작동된다. 한 편으로는 냉매가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액체 상태의 유체, 예컨대 물 또는 물-글리콜-혼합물이 제공되는 열 전달기는 칠러(chiller)로서도 명명된다.
증발기를 관류할 때에는 냉매가 증발하는 한편, 응축기를 관류할 때에는 냉매가 액화된다. 따라서, 냉매 순환계의 응축기는 액체 냉각된 상태로 작동된다. 액체 상태의 유체와 냉매 사이에서의 열 전달은 냉매의 위상 변동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냉매 순환계 내에서는, 이산화탄소에 비해 훨씬 더 낮은 압력을 갖는, 예컨대 R134a 및 1234yf와 같은 종래의 냉매가 순환한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R134a 및 1234yf와 같은 냉매를 위한 열 전달기는 플레이트 열 전달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이하에서 냉각제로서도 명명되는 액체 상태의 유체뿐만 아니라 냉매도 플레이트를 통해서 가이드 된다. 냉각제 및 냉매는 각각 플레이트 내부에서 흐른다. 이때, 벽이 얇은 알루미늄판 또는 강철판으로부터 제조된 플레이트는 각각 사전에 결정된 압력에서 냉매의 강도 요구 수준에 상응한다. 열 전달기가 증발기로서 작동되는 경우에는, 내부 작동 압력이 약 4 bar이며, 이 경우 파열압(bursting pressure)은 약 31 bar에 달한다. 열 전달기가 응축기, 소위 고압 칠러로서 작동되는 경우에는, 내부 작동 압력이 약 18 bar이고, 파열압은 약 60 bar이다.
파열압뿐만 아니라 작동 압력도, 우수한 환경 친화성으로 인해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냉매 R744를 위해서는, 온도에 대한 요구 조건이 동일한 경우에는 냉매 R134a 또는 1234yf에서보다 약 10배만큼 더 높다. R744를 적용하는 경우에, 파열압은 증발기를 위해서는 약 260 bar에 놓이고, 가스 냉각기를 위해서는 약 340 bar에 놓인다.
예컨대 냉매 R134a를 사용하여 임계치 아래에서 작동이 이루어질 때 또는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특정 주변 조건에서 냉매의 액화가 이루어지면, 열 전달기는 응축기로서 명명된다. 열 교환의 한 부분은 일정한 온도에서 이루어진다. 열 전달기 내에서 임계치 위에서 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또는 열이 임계치를 초과해서 방출되는 경우에는, 냉매의 온도가 일정하게 감소한다. 이 경우에, 열 전달기는 가스 냉각기로서도 명명된다.
훨씬 더 높은 강도 요구 조건에 상응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시트의 벽은 훨씬 더 두꺼운 두께로 그리고/또는 특수강과 같은 다른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더 두꺼운 벽으로 그리고/또는 특수강으로부터 제조된 열 전달기는 매우 무거운 중량 및 큰 설치 공간을 갖고, 제조 시에 그리고 유지 시에 매우 비용 집약적이다. 냉각제 측에 대한 요구 조건들은 사용된 냉매와 거의 무관하다.
유럽 공개 실용신안 출원서 EP 2 402 694 A1호로부터는 열 전달기, 특히 응축기로서 작동되는, 자동차 공기 조화 설비의 열 전달기가 제시된다. 응축기는, 냉매와 냉각제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기 위한 튜브 다발 및 하우징을 구비하며, 이 경우 냉매는 튜브 다발의 튜브들을 통해서 가이드 되고, 냉각제는 하우징을 통해서 가이드 된다. 냉각제는 외부 면에서 튜브 둘레로 흐른다. 튜브들은 단부에서 각각 수집기로 형성된 소자 내부와 연통된다. 열 전달기는 십자 흐름(cross current) 내에서 작동된다. 하우징의 재료는 플라스틱이다.
선행 기술에 공지되어 있고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시스템으로서는, 실질적으로 응축기로서 작동할 수 있거나 이산화탄소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스 냉각기로서 작동할 수 있는 열 전달기가 사용되며, 이 경우 열은 냉매로부터 냉각제로 전달된다. 열 전달기에는 튜브 다발의 튜브들 사이에 배치된 얇은 막(lamella)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얇은 막은 튜브의 외부 면에서 열 교환 면적을 확대시키고, 튜브들과 열적인 접촉 상태에 있다. 열 전도성이 매우 우수하게 재료로부터 형성된 얇은 막은, 열 전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튜브들과 열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얇은 막들은 금속, 특히 알루미늄 또는 강철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동일한 재료로부터 제조된 튜브와 접촉하면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두 가지 유체 사이에서, 특히 냉매와 냉각제로서의 액체 상태의 유체 사이에서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열 전달기에 의해서는, 구조물의 크기가 최소인 경우 또는 설치 공간 수요가 최소인 경우에 최대의 열 출력이 전달될 수 있어야만 한다. 유체들은 열 전달기를 관류할 때에 다만 가급적 적은 압력 손실만을 가져야만 한다. 열 전달기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작동에 적합해야만 한다. 또한, 열 전달기는 최소의 중량을 가져야만 하고, 최소의 제조 비용 및 재료 비용을 야기해야만 한다. 누설 위험은 최소로 될 수 있다.
이때, "냉각제"라는 명칭은 오로지 냉매로부터 냉각제로의 열 전달, 다시 말해 냉매의 "냉각"과만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다. 냉각제로부터 냉매로의 열 전달도 마찬가지로 가능해야만 한다.
상기 과제는, 독립 특허 청구항들의 특징들을 갖는 대상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개선 예들은 종속 특허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장치, 특히 제1 유체와 제2 유체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서 해결된다. 이 장치는,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갖춘 연결 어셈블리, 및 제1 유체를 위한 연결 소자, 그리고 폐쇄된 하우징을 구비한다. 하우징에 의해서 완전히 둘러싸인 용적 내부에 열 전달기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은, 수용 소자 및 커버 소자를 구비하여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열 전달기는 수용 소자 내부에 통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컨셉에 따라, 커버 소자는 열 전달기 및 연결 어셈블리와 단단히 연결되어 하나의 열 전달기-연결-유닛을 형성한다. 이때, 커버 소자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에지 영역에 각각 관통 개구를 구비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소자 내에는 수용 개구들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들 수용 개구는, 연결 소자가 수용 개구를 통과해서 열 전달기 내에 형성된 개구들 내부까지 돌출하도록, 열 전달기 내에 형성된 개구 및 연결 어셈블리의 연결 소자들에 상응한다.
이때, 열 전달기 및 연결 어셈블리와 커버 소자의 고정 연결이 기술적으로 밀봉된 제로-누설 결합으로 이해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연결 어셈블리의 연결 소자들과 커버 소자 사이에서는 추가의 밀봉 소자가 형성될 필요가 없다. 연결 어셈블리의 연결 소자들은 열 전달기에 대한 연결부로서, 연결 어셈블리와 열 전달기 사이에서 기계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유체 측 연결까지도 만들어준다. 제1 유체로서는 특히 냉매가 사용된다.
하우징은 주변에 대해 열 전달기를 밀폐 밀봉 방식으로 밀봉시키며, 이 경우 수용 소자와 커버 소자 사이에는 바람직하게 밀봉 소자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개선 예에 따라, 커버 소자는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부터 형성되어 있고, 납땜에 의해서 열 전달기 및 연결 어셈블리의 연결 소자들과 단단히 그리고 액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커버 소자는 바람직하게 보강 만곡부를 갖는 시트로서 형성되어 있고, 디프 드로잉(deep drawing) 공정 또는 하이드로포밍(hydroforming)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시트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납작한 롤링 공구 완제품으로 이해된다. 고압 성형으로도 명명되는 하이드로포밍 공정은, 폐쇄된 성형 공구 내에서 압력을 이용하여 시트를 변형시키는 공정으로서 간주 되며, 이 압력은 예를 들어 공구 내에서 물-오일-에멀젼에 의해 발생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열 전달기는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된 플랫 튜브(flat tube)들로부터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플랫 튜브는 각각 2개의 수집기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때, 열 전달기는 바람직하게, 플랫 튜브의 영역에 있는 유체들과 수집기의 영역에 있는 유체들 사이에서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하우징의 수용 소자는 리브(rib), 및 유체를 의도한 바대로 가이드 하기 위한 그리고 열 전달기를 가이드 및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 소자를 구비한다. 리브 및 가이드 소자는 수용 소자의 한 내부 면에 통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리브는 바람직하게 상부 면에 그리고 이 상부 면에 마주 놓여 있는 하부 면에 배치되어 있고, 가이드 소자들은 수용 소자의 서로 마주 놓인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개선 예에 따라, 가이드 소자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으며, 수용 소자의 한 측면의 길이에 걸쳐 연장되면서, 열 전달기의 한 세로 측에서 수집기와 접촉하면서, 수집기에 유체 밀봉 방식으로 접하면서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소자의 유체 밀봉 방식의 배열은 다른 무엇보다도 하우징과 열 전달기 사이에서 흐르는 유체를 의도한 바대로 가이드 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원치 않는 바이패스를 통한 누설 질량 흐름을 방지해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열 전달기 내에 제공되어 있고 연결 어셈블리의 연결 소자와 일치하는 개구들은 한 수집기의 한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커버 소자는 바람직하게 수집기의 전면에서, 이 수집기의 세로 연장부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플랫 튜브와 평행하게 정렬된 상태로 열 전달기에 배치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커버 소자는 또한 수집기의 세로 연장부와 평행하게 그리고 플랫 튜브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로 열 전달기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의 수용 소자는 바람직하게 제2 유체, 특히 냉각제를 위한 연결관과 함께 일체형의 소자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수용 소자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제조되거나,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부터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수용 소자는 직사각형의 횡단면 및 개방된 측면을 갖는다. 이때, 개방된 측면의 에지 영역에는 고정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 수용부는, 고정 소자가 관통 개구를 통과해서 고정 수용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그리고 커버 소자가 수용 소자와 단단히 연결될 수 있도록, 커버 소자의 관통 개구와 일치한다.
본 발명의 한 개선 예에 따라, 커버 소자의 관통 개구들 및 수용 소자의 고정 수용부는 하우징의 수용 소자와 커버 소자 사이에 있는 연결부로서, 제1 유체의 유입구 및 배출구에 대한 제2 유체의 연결관들의 정렬 상태가 커버 소자를 기준으로 하는 수용 소자의 회전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도록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 소자와 커버 소자는 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단단히 연결되어 있으며, 이 경우 수용 소자와 커버 소자는 바람직하게 서로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나사가 고정 소자로서 사용된다.
대안적인 실시 예들에 따라, 수용 소자와 커버 소자는 서로 클램핑(clamping) 결합 되거나 접착되거나 용접되거나 크림핑(crimping) 결합 된다. 이때, 크림핑 결합이란 일종의 접어 올리는 결합 방법으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2개의 구성 성분이 소서 변형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순전히 십자 흐름 형태로 또는 역류 형태로 또는 십자 흐름과 역류의 조합 형태로 작동할 수 있는 열 전달기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라 냉매 순환계 내에 통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열 전달기는 냉각 순환계 또는 가열 순환계의 유체를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때, 열 전달기는 응축기, 가스 냉각기 또는 증발기로서 상이한 적용 예에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냉매 제공된 충전 공기 냉각기로서, 오일 냉각기로서 또는 전자 구성 부품들을 냉각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때에는, 냉매로서의 다른 매체들 및 물, 또는 오일 혹은 폐가스와 같은 물-글리콜-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요약해서 말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 2개의 유체, 특히 냉각제로서의 액체 상태의 유체와 냉매 사이에서 열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 구조물의 크기가 최소인 경우 또는 설치 공간 수요가 최소인 경우에, 다시 말해 개장된 용적에 대한 전달 가능한 열 출력의 비율이 최적인 경우에, 최대의 열 출력이 전달될 수 있으며,
- 특히 자동차에 적용하기 위해, 고압에서뿐만 아니라 저압에서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작동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특히 플랫 튜브를 사용함으로써, 냉매 측에서 파열압에 대해 제기되는 높은 수준의 요구 조건들이 충족되고, 매우 높은 압축 강도에 도달하며,
- 최소의 중량을 가지며,
- R744-가스 냉각기 및 R744-증발기의 표준 플랫 튜브 프로필을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연결 위치들 - 동일한 하위 소자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상이한 연결 위치들 - 을 변경하기 위해 회전 가능한 하우징을 사용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최소로 되고, 재료 경비도 최소로 되며,
- 냉각제 측에 열 전달용 얇은 막을 갖는 구조 및 이러한 얇은 막을 갖지 않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며,
- 특히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된 하우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식성(corrosion resistance)이 높으며,
- 유체 조합에 모듈 방식으로 적응될 수 있으며, 그리고
- 커버 소자와 하우징의 폐쇄 소자 사이에 최소 개수의 밀봉 영역 및 최소의 밀봉 면적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이 또 다른 세부 사항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관련 도면을 참조해서 이루어지는 실시 예들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도면에 대한 설명:
도 1은 열 전달 장치의 열 전달기-연결-유닛의 개별 구성 부품으로서의 열 전달기, 커버 소자 및 연결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 전달 장치의 열 전달기-연결-유닛으로서의 열 전달기, 커버 소자 및 연결 어셈블리를 납땜 된 상태에서 그리고 하우징의 수용 소자 및 밀봉 소자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3a는 열 전달 장치, 특히 리브 및 가이드 소자 그리고 수용된 열 전달기를 구비하는 하우징의 수용 소자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b는 열 전달기 없이 리브 및 가이드 소자를 구비하는 하우징의 수용 소자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하우징의 조성 및 냉각제 연결관의 정렬 상태를 변경한 상태로 조립한 상태에서 열 전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그리고
도 5는 열 전달 장치의 하우징의 수용 소자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열 전달 장치의 열 전달기-연결-유닛(16)의 개별 구성 부품으로서의 열 전달기(2), 커버 소자(3) 및 연결 어셈블리(4)가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열 전달기(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플랫 튜브(9)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플랫 튜브(9)가 넓은 측에 의해 서로에 대해 정렬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직접 이웃하는 플랫 튜브(9)들 사이에서는 유체를 위한, 특히 냉각제를 위한 유동 경로가 각각 하나씩 생성된다. 플랫 튜브(9)는 각각 2개의 수집기(8) 사이에서 연장된다. 플랫 튜브(9)의 내부 용적은 수집기(8)의 내부 용적과 연결되어 있다.
이웃하여 배치된 플랫 튜브(9)의 중간 공간에는, 유동 횡단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그리고/또는 열 전달 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한 소자(10), 예를 들어 얇은 막이 배치되어 있다.
유동 횡단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그리고/또는 열 전달 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한 소자(10)로서는, 응축기 또는 증발기용으로 공지된 공기 조절용 얇은 막 또는 물로써 열을 전달하기에 최적화된 얇은 막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리브(rib)도 사용될 수 있다. 이 소자(1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이 열 전도 능력이 매우 우수한 재료 또는 플라스틱 또는 밀도가 낮은 다른 재료들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크기가 없는 레이놀즈 수(Reynolds number)를 참조해서 특징화 되는 냉각제의 유동을 기준으로 장치의 크기를 설계한 경우에, 소자(10)는 오로지 유동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만 또는 냉각제의 난류 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냉각제는, 플랫 튜브(9)들 사이의 중간 공간을 통과해서 그리고 유동 경로의 유동 횡단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소자(10) 둘레로 가이드 된다. 열 전달기(2)의 수집기(8)도 냉각제에 의해 순환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집기(8)도 냉각제와 냉매 사이의 열 전달에 관여한다.
플랫 튜브(9)들 사이에 형성된 유동 경로의 유동 횡단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소자(10)가 예컨대 납땜에 의해서 플랫 튜브(9)와 단단히 연결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하지만, 열 전달 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한 얇은 막을 구비하는 실시 예에서는, 열 전달기(2)의 출력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플랫 튜브(9)와 소자(10)의 단단한 그리고 열 전도 방식의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모든 압출된 플랫 튜브(9) 또는 플랫 튜브 프로필이 그 내부에 납땜 되어 있는 수집기(8)의 형상이 적합한 경우에는, 플랫 튜브(9)들의 간격도 더욱 줄어들 수 있고, 최소로 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실시 예는 얇은 막 없이 형성된다.
소자(10)는 대안적으로 순전히 와류 발생기로서도 배치될 수 있는데, 이 와류 발생기는 바람직하게 열 전달기(2)를 둘러싸는 하우징(11)과 동일한 재료로부터, 다시 말해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부터 또는 밀도가 낮은 다른 적합한 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와류 발생기는 실질적으로 유동 횡단면을 변경시키기 위해서, 또는 오로지 플랫 튜브(9)들 사이의 유동 경로를 관류할 때에 유동 속도 또는 냉각제의 난류 형성을 높이기 위해서 그리고 이로써 냉각제 측에서의 열전달을 개선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플랫 튜브(9)로부터, 압출된 플랫 튜브 열 전달기로서 형성된 열 전달기(2)는, 출력 요구 조건에 따라 1열로 또는 복수의 열로 형성되어 있고, 크기에 있어서, 다시 말해 특히 길이에 있어서 그리고 폭에 있어서 크기 조정 가능하다. 이때에는, R744를 위해 공지된 증발기 또는 응축기/가스 냉각기의 사용을 생각할 수 있다.
열 전달기-연결-유닛(16)이 결합 된 상태에서는, 열 전달기(2)의 좁은 측에 커버 소자(3)가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한 실시 예에 따라, 커버 소자는 열 전달기의 세로 측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 소자(3)는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직사각 시트의 형태로, 보강 만곡부를 갖는 디프 드로잉 부분 또는 하이드로포밍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 만곡부는 전경에서 냉각제 측 압력을 견디기 위해 이용된다.
에지 영역들에서는 커버 소자(3)가 라운딩 처리되어 있고, 각각 관통 개구(15)를 하나씩 구비한다. 에지 영역에서 커버 소자(3)는 또한 수용 개구(12)를 구비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개구(12)는, 한 편으로는 열 전달기(2)의 수집기(8) 내에 제공된 개구와 일치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연결 어셈블리(4)의 연결 소자(13)와 일치한다.
연결 어셈블리(4)는 연결 소자(13)들 이외에, 열 전달기(2)의 수집기(8)에 대한 연결부로서 냉매를 위한 유입구(6) 및 배출구(7)를 구비하며, 이때 냉매는 유동 방향(5)으로 유입구(6) 및 배출구(7)를 관류한다. 이때, 연결 소자(13)는 열 전달기-연결-유닛(16)이 조립된 상태에서 연결 어셈블리(4)와 열 전달기(2) 사이에 기계적인 그리고 냉매 측의 연결부를 만든다. 연결 어셈블리(4)를 관류할 때에는, 냉매가 유입구(6)로부터 전달 라인을 통해 제1 연결 소자(13)로 그리고 제2 연결 소자(13)로부터 배출구(7)로 가이드 되고, 각각 90°의 각으로 방향 전환된다.
유입구(6) 및 배출구(7)는 냉매 순환계의, 예를 들어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의 냉매 라인에 대한 열 전달기-연결-유닛(16)의 연결부들이다.
이때에는 또한, 냉매를 위한 유입구(6) 및 배출구(7)가 각각 반대 유동 방향(5)으로 제공되어 유입구(6)와 배출구(7)가 서로 교체되도록, 냉매 라인이 열 전달기(2)에 연결될 수 있거나 냉매의 유동 방향(5)이 정렬될 수 있다.
열 전달 장치(1)를 최종적으로 조립하기 전에, 열 전달기(2), 커버 소자(3) 및 연결 어셈블리(4)는 열 전달기-연결-유닛(16)에 연결되는데, 특히 서로 납땜 된다.
도 2는, 열 전달기(2), 커버 소자(3) 및 연결 어셈블리(4)로부터 연결된 도 1에 도시된 열 전달 장치(1)의 열 전달기-연결-유닛(16)을 납땜 된 상태에서, 그리고 하우징(14)의 수용 소자(15) 및 밀봉 소자(17)를 분해도로 보여준다.
커버 소자(3)는 하우징(14)의 한 부분으로서, 열 전달기(2)와 단단히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커버 소자(3)는 열 전달기(2)와 납땜, 접착, 용접 또는 크림핑 결합 된다. 고정 연결, 특히 납땜 연결 또는 용접 연결이 기술적으로 밀봉된 제로-누설 결합으로 이해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냉매의 유입구(6) 및 배출구(7)를 위한 연결 소자(13)와 커버 소자(3) 사이에서는 추가의 밀봉 장소가 형성될 필요가 없다.
하우징(14)의 커버 소자(3)는 바람직하게 알루미늄으로부터 제조되었고, 납땜에 의해서 열 전달기(2)와 액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냉매의 유입구(6) 및 배출구(7)를 위한, 특히 이산화탄소를 위한 연결 소자(13)에서 밀봉부를 복잡하게 형성하는 과정이 피해진다. 커버 소자(3)는 수집기(8)의 한 좁은 측에서, 수집기(8)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플랫 튜브(9)와 평행하게 정렬된 상태로 열 전달기(2)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열 전달기-연결-유닛(16)에 대한 개별 구성 부품들, 즉 열 전달기(2), 커버 소자(3) 및 연결 어셈블리(4)의 납땜은 추가 밀봉 소자 없이도, 연결 소자(13)의 형태로 하우징(14)을 관통하는 냉매 튜브의 바람직한 밀봉을 유도하는데, 그 이유는 연결 소자(13)가 냉매 튜브의 관통부로서 커버 소자(3)에 밀봉 방식으로 납땜 되어 있기 때문이다. 관통부를 냉각제 밀봉 방식으로 납땜하는 것은, 냉각제가 장치(1)로부터 주변으로 누설되는 상황을 방지해준다.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된 하우징(14)은 커버 소자(13) 외에, 개방된 측면을 갖는 홈통(trough) 형태의 수용 소자(15)를 구비한다. 커버 소자(3)는, 수용 소자(15)와 조합하여 용적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장치(1)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수용 소자(15)와 커버 소자(3)가 서로 일치한다. 하우징(14)의 2개의 소자, 즉 수용 소자(15) 및 커버 소자(3)는 간단히 결합 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수용 소자(15)는 고정 수용부(19), 예를 들어 나사 연결부를 갖는 에지 영역에서 개방된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장치(1)가 조립된 상태에서, 수용 소자(15)의 고정 수용부(19)는, 관통 개구(11) 및 고정 수용부(19)가 위·아래로 겹쳐서 놓이고, 고정 소자(18), 특히 나사가 샤프트에 의해서 관통 개구(11)를 통해 고정 수용부(19)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써 커버 소자(3)와 수용 소자(15)가 서로 단단히 연결될 수 있도록, 커버 소자(3)의 관통 개구(11)와 일치한다. 하우징(14)은 나사 연결에 의해서 폐쇄된다. 자체적으로 홈을 만드는 나사를 고정 소자(18)로서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복잡하게 제조될 수 있는 나선형 슬리브(threaded sleeve)와 같은 추가 소자들이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사실은 예를 들어 제조를 위한 중량과 비용을 더욱 줄여준다.
하우징(14)의 수용 소자(15)와 커버 소자(3)는 나사를 이용한 하우징(14)의 연결 대신에 크림핑 결합에 의해서도 폐쇄될 수 있다.
고정 소자(18)가 하우징(14)의 라운딩 처리된 4개 모서리에, 다시 말해 수용 소자(15)의 개방된 측면에 배열됨으로써, 최대로 가능한 압력 및 최대 압축 강도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다.
수용 소자(15)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되어 있고, 나사 결합 또는 크림핑 결합에 의해서 커버 소자(3)와 연결되며, 밀봉 링으로서 형성된 밀봉 소자(17)에 의해 주변에 대하여 냉각제 밀봉 방식으로 폐쇄된다. 밀봉 소자(17)는 장치(1) 조립 중에, 특별히 열 전달기-연결-유닛(16)의 구성 부품으로서의 커버 소자(3)를 수용 소자(15)와 연결하기 전에, 커버 소자(3)와 수용 소자(15) 사이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수용 소자(15)는 또한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고, 열 전달기(2)와 납땜 될 수도 있다. 이때, 수용 소자(15)에 있는 밀봉 홈은 커버 소자(3)를 위한 지지면으로서 적응된다. 밀봉 소자(17)는 생략된다. 장치(1)의 개별 구성 부품들은 결합 되고, 예를 들어 납땜 프레임에 의해서 고정되며, 그 다음에 이어서 서로 납땜 된다.
하우징(14) 내부, 다시 말해 하우징(14)에 의해 둘러싸인 용적 내부에 열 전달기(2)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4)은 열 전달기(2)를 주변 쪽으로 밀폐 밀봉 방식으로 밀봉시킨다. 장치(1)의 작동 중에는 냉매가 열 전달기(2) 내부에서 흐른다. 냉매는 유동 방향(5)으로 유입구(6)를 통해서는 열 전달기(2) 내부로 유입되고, 배출구(7)를 통해서는 배출된다. 또한, 열 전달기(2)는 액체 상태의 유체, 특히 냉각제, 예를 들어 물 또는 물-글리콜-혼합물에 의해서 순환된다. 따라서, 냉각제는 열 전달기(2)의 외부 면에 있는 중간 공간 내부로 그리고 하우징(14)의 내부 면(23)과 열 전달기(2) 사이에서 유동 방향(22)으로 장치(1)를 통해 흐른다.
하우징(14)의 형상에 의해서, 냉각제는 열 전달기(2)의 외부 면을 따라 의도한 바대로 가이드 된다. 하우징(14)은 냉각제가 유동 방향(22)으로 열 전달기(2) 둘레로 관류하는 것을 규정한다. 이때, 하우징(14)은 플랫 튜브(9) 사이에 형성된 중간 공간을 통해서 냉각제를 가이드하고, 유동 경로의 유동 횡단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소자(10) 및 수집기(8) 둘레로 가이드 한다.
하우징(14)은 수용 소자(15)에 배치된, 냉각제를 유입 및 배출하기 위한 2개의 연결관(20, 21)을 구비한다. 이 연결관(20, 21)은 수용 소자(15)의 임의의 장소에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냉각제는 유입구(20)를 통해서는 장치(1) 내부로 유입되고, 배출구(21)를 통해서는 장치(1)로부터 재차 배출된다.
이때에는, 냉각제를 위한 유입구(20) 및 배출구(21)가 각각 반대 유동 방향(22)으로 제공되어 유입구(20)와 배출구(21)가 서로 교체되도록, 냉각제 순환계의 냉각제 라인이 장치(1)에 연결될 수 있거나, 냉각제의 유동 방향(22)이 정렬될 수도 있다.
수용 소자(15)는 연결관(20, 21)과 함께 일체형의 소자로서, 특히 사출 성형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수용 소자(15)와 연결관(20, 21)이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또 다른 밀봉 소자의 사용이 피해진다.
열 전달기-연결-유닛(16), 특히 커버 소자(3)와 하우징(14)의 수용 소자(15) 간의 연결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열 전달기-연결-유닛(16) 및 수용 소자(15)의 서로에 대한 회전에 의해서는, 하우징(14)의 구성 부품에서의 변경 없이, 냉매의 유입구(6) 및 배출구(7)에 대해서도 연결관(20, 21)의 다양한 위치가 가능해진다.
냉각제는 액체 상태의 매체로서 바람직하게는 냉매의 유동 방향(5)에 대해 순전히 역류 형태로 가이드 되지만, 대안적으로는 또한 냉매에 대한 십자 흐름 형태로 또는 십자-역류 형태로 하우징(14)을 관통해서 가이드 될 수도 있다.
냉각제는, 하우징(14)의 내부 면(23)에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 소자(25) 및 리브(24)에 의해, 의도한 바대로 하우징(14) 내부에서 그리고 열 전달기(2)의 플랫 튜브(9)들 사이에 형성된 중간 공간을 관통해서 가이드 된다.
이때, 냉매는 연결 어셈블리(4)의 유입구(6)를 통해 냉매의 유동 방향(5)으로 열 전달기(2) 내부로 유입되고, 제1 수집기(8) 내에서 플랫 튜브(9)에 분배된다. 그 다음에, 냉매는 압출된 플랫 튜브(9)를 통해 제2 수집기(8b)로 흘러가서 수집되고, 연결 어셈블리(4)의 배출구(7)를 통해 열 전달기(2)로부터 배출된다.
폭이 넓은 측을 구비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 2개의 수집기(8) 사이에서 연장되는 플랫 튜브(9)는, 직접 이웃하는 튜브(9)들 사이에서 각각 냉각제를 위한 유동 경로가 생성되도록 정렬되어 있다. 유동 경로 내부에는, 유동 횡단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그리고/또는 열 전달 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한 소자(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냉매는 플랫 튜브(9) 내부에서 흐르고, 냉각제는 이웃하는 플랫 튜브(9)에 의해 제한된 유동 경로 내에서 역류 형태로 흐른다. 냉각제는 또한 유동 경로 내부로 유입되기 전에 그리고 유동 경로로부터 배출된 후에, 마찬가지로 냉매가 제공된 수집기(8)를 순환한다.
도 3a 및 도 3b는 열 전달 장치(1), 특히 냉각제의 유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소자(25) 및 리브(24)를 구비하는 하우징(14)의 수용 소자(15)를, 도 3a에 따라서는 수용 소자(15) 내에 배치된 열 전달기(2)를 구비한 상태에서 그리고 도 3b에 따라서는 열 전달기(2)가 없는 상태에서 각각 평면도로 보여준다.
냉각제가 유동 방향(22)으로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되고, 냉매가 제공된 열 전달기(2)에 분배된 후에, 냉각제는 실질적으로 플랫 튜브(9)에 대해 수직으로 흐르며, 그 다음에는 냉각제가 새로이 90°만큼 방향 전환되어 플랫 튜브(9)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배출구(21)를 통해서 재차 배출되기 전에, 하우징(14)의 하부 영역에서 플랫 튜브(9)의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고, 플랫 튜브(9)와 평행하게 흐른다. 이로써, 열 전달기(2)는 십자-역류-열 전달기로서 작동된다. 냉각제의 유동 가이드는, 유동 횡단면을 변경시키기 위한 그리고/또는 열 전달 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한 소자(10)들 사이에 형성된 배플 플레이트(baffle plate)를 통해서 추가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수용 소자(15)의 상부 면과 하부 면에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14)을 통과하는 그리고 열 전달기(2)를 우회하는 냉각제 유동 경로를 분리시키고 방향을 전환시키며, 이와 더불어 유동 경로를 의도한 바대로 지시하기 위한 리브(24) 이외에, 하우징(14)의 내부 면(23)에도 복수의 가이드 소자(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복수의'라는 표현은 3개 이상의 소수의 가이드 소자(25)로서 이해될 수 있다.
가이드 소자(25)는, 하우징(14)을 통과하는 냉각제 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이외에 다른 무엇보다도 수용 소자(15)와 열 전달기-연결-유닛(16)을 조립할 때에 열 전달기(2)를 가이드 하기 위해서, 열 전달기(2)를 수용 소자(15)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하우징(14)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때, 열 전달기(2)의 한 세로 측에서 수집기(8)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 가이드 소자(25)는 열 전달기(2)의 수집기(8)에 밀봉 방식으로 접한다. 가이드 소자(25)가 수집기(8)에 그리고 하우징(14)의 내부 면(23)에 밀봉 방식으로 접함으로써, 한 편으로는 냉각제를 위한 유동 채널이 형성되고, 다른 한 편으로는 하우징(14) 내부에서 원하지 않는 바이패스를 통과하는 냉각제의 누설 질량 흐름, 특히 열 전달기(2)를 우회하는 누설 질량 흐름이 피해진다.
가이드 소자(25)가 리브(24)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4)에, 특히 수용 소자(15)에 통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추가의 밀봉 소자 또는 유동 가이드 소자가 필요치 않게 된다. 장치(1)를 리브(24) 및 가이드 소자(25)에 대하여 프레스 피팅(press fitting) 방식으로 조립하는 경우에는, 열 전달기(2)가 하우징(14)의 수용 소자(15)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배치 상태는 열 전달기(2) 쪽 가이드 소자(25)와 리브(24) 간에 매우 우수한 밀봉을 가능하게 한다. 리브(24) 및 가이드 소자(25)가 조립 시에 쉽게 변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밀봉 상태는 응력 또는 압력하에 있는 리브(24) 및 가이드 소자(25)에 의해서 보장된다.
저압에서 냉매가 제공되는 열 전달기(2)를 사용하는 경우, 냉매 및 냉각제의 관류 방향은 전달될 출력에 미미한 작용을 미치거나 전혀 작용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수용 소자(15)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실시 예의 경우에는, 모울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설치 공간이 줄어들며, 그 결과 측면 가이드 소자(25)는 하우징(14)의 내부 면(23)에 통합된다. 이때, '모울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사면'이란, 완성 후에 공구로부터 해체하기 위한 수용 소자(15)의 협착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협착부에 의해, 수용 소자(15)는 커버 소자(3) 쪽으로 정렬되고 개방된 측에서는 마주 놓인 폐쇄된 단부에서보다 큰 횡단면을 갖게 된다. 커버 소자(3)의 외부 치수를 확대시키는 리브가 외부 면에서 형성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더 큰 횡단면과 연관된 추가의 용적은 가이드 소자(25)에 의해서 보상된다.
수용 소자(15)의 횡단면의 폭과 높이 간의 비율은 최대 냉각 출력을 기준으로 1.2 내지 1.4의 범위 안에 놓여 있다.
도 4a 및 도 4b는 하우징(14)의 조성, 그리고 냉매 유입구(6) 및 배출구(7)에 대한 냉각제 연결관(20, 21)의 정렬 상태를 변경한 상태로 조립한 상태에서, 열 전달 장치(1)를 각각 보여준다.
하우징(14)은 특별히 관통 개구(11)와 커버 소자(3)의 연결 영역에, 그리고 고정 수용부(19) 및 밀봉 소자(17)와 수용 소자(15)의 연결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 부품들의 대칭적인 형성은, 열 전달-연결-유닛(16)을 커버 소자(3) 및 수용 소자(15)와 함께 각각 90° 또는 180°만큼 서로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냉매 유입구(6) 및 배출구(7)에 대해서도 연결관(20, 21)의 다양한 위치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연결관(20, 21) 그리고 냉매의 유입구(6) 및 배출구(7)는 동일한 구성 부품을 사용하여 단지 서로에 대해 90°-단계로 조립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만으로도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장치(1)의 유연한 형상 및 그와 더불어 장치(1)의 상이한 실시 예를 가능하게 한다.
도 5에는, 열 전달 장치(1)의 하우징(14)의 수용 소자(15)가 개별 소자로서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수용 소자(15)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부터 연결관(20, 21)이 통합된 사출 성형부로서, 일체형의 소자로서 형성되어 있다. 수용 소자(15)와 연결 관(20, 21)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냉각제가 주변으로 누설될 위험을 높여주고, 장치(1)의 제조 및 관리 시에 추가 비용을 유발시키는 추가 밀봉 소자의 제공이 불필요해진다.
개별 구성 부품, 즉 열 전달기(2), 커버 소자(3) 및 연결 어셈블리(4)를 열 전달기-연결-유닛(16)에 대해 납땜하는 것도 하우징(14)을 통과하는 연결 소자(13)를 밀봉시키기 위한 별도의 밀봉부의 사용을 불필요하게 하기 때문에, 하우징(14)은 다만 커버 소자(3)와 수용 소자(15)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밀봉 소자(17)를 통과하는 영역에서만 폐쇄된다.
하우징(14), 특히 수용 소자(15)를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하는 것은 또한 매우 높은 내식성 그리고 하우징(14) 및 그와 더불어 장치(1)의 최소 중량을 야기한다.
연결관(20, 21)은 유동 방향(22)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에서는, 유동 방향(22)으로 일정한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홈통 모양 수용 소자(15)의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개방된 측면의 4개의 모서리로부터 세로 에지를 따라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개방된 측면의 직사각형 횡단면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는 비드(bead)(26)는, 수용 소자(15)를 보강하기 위하여 그리고 설치 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그리고 이로써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도 5에 상부 면으로서 정렬되어 있고, 냉각제를 위한 연결관(20, 21)을 구비하는 측에는, 나사 돔으로 형성된 홀더 통합 소자(27)가 배치되어 있다. 이 홀더 통합 소자(27)는, 하우징(14)의 수용 소자(15)와 고정부를 연결하기 위해서, 특히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강철로 이루어진 고정부를 하우징(14)의 수용 소자(15)와 나사 결합하기 위해서 이용되며, 바람직하게는 고정 수용부(19)와 유사하게 직접 나사 연결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홀더 통합 소자(27)는 또한 플라스틱 내부에 형성된 나선형 슬리브도 구비할 수 있다.
1: 장치
2: 열 전달기
3: 커버 소자
4: 연결 어셈블리
5: 냉매 유동 방향
6: 냉매 유입구
7: 냉매 배출구
8: 수집기
9: 플랫 튜브
10: 소자
11: 관통 개구
12: 수용 개구
13; 연결 소자
14: 하우징
15: 수용 소자
16: 열 전달기-연결-유닛
17: 하우징(14) 밀봉 소자
18: 고정 소자
19: 고정 수용부
20: 연결관, 냉매 유입구
21: 연결관, 냉매 배출구
22: 냉매 유동 방향
23: 하우징(14)의 내부 면
24: 리브
25: 가이드 소자
26: 비드
27: 홀더 통합 소자

Claims (10)

  1. 유입구(6) 및 배출구(7)를 갖는 연결 어셈블리(4), 제1 유체를 위한 연결 소자(13), 및 하우징(14)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용적 내부에 배치된 열 전달기(2)를 갖는 폐쇄된 하우징(14)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14)이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수용 소자(15) 및 커버 소자(3)를 구비하며, 상기 열 전달기(2)가 상기 수용 소자(15) 내부에 통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제1 유체와 제2 유체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열 전달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커버 소자(3)는 상기 열 전달기(2) 및 상기 연결 어셈블리(4)와 단단히 연결되어 하나의 열 전달기-연결-유닛(16)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 소자(3)는
    - 직사각의 형태를 갖고, 모서리 영역에 각각 관통 개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 수용 개구(12)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 개구는, 연결 소자(13)가 수용 개구(12)를 관통하여 열 전달기(2) 내에 형성된 개구 내부까지 돌출하도록, 상기 열 전달기(2) 내에 형성된 개구 및 상기 연결 어셈블리(4)의 연결 소자(13)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소자(3)는 금속으로부터 형성되고, 납땜에 의해서 상기 연결 어셈블리(4)의 연결 소자(13) 및 열 전달기(2)에 단단히 그리고 액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소자(3)는 보강 만곡부를 갖는 판금(sheet metal)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디프 드로잉(deep drawing) 또는 하이드로포밍(hydroforming)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기(2)는
    -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플랫 튜브(flat tube)(9)로부터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랫 튜브(9)들은 각각 2개의 수집기(8) 사이에서 연장되며, 그리고
    - 상기 플랫 튜브(9)의 영역에서 그리고 상기 수집기(8)의 영역에서 유체들 사이에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4)의 수용 소자(15)는 유체를 의도한 바대로 가이드 하기 위한 그리고 열 전달기(2)를 가이드 및 고정하기 위한 리브(rib)(24) 및 가이드 소자(25)를 구비하며, 상기 리브(24) 및 상기 가이드 소자(25)는 상기 수용 소자(15)의 일 내부 면(23)에 통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소자(25)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고, 상기 수용 소자(15)의 일 측면의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며, 상기 열 전달기(2)의 일 세로 측에서 수집기(8)와 접촉하면서 그리고 상기 수집기(8)에 유체 밀봉 방식으로 접하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1).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기(2) 내에 형성되어 있는 그리고 상기 연결 어셈블리(4)의 연결 소자(13)에 대응하는 개구들이 일 수집기(8)의 일 전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 소자(3)는 상기 수집기(8)의 전면에서, 상기 수집기(8)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상기 플랫 튜브(9)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 상태로 상기 열 전달기(2)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1).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4)의 상기 수용 소자(15)는 제2 유체를 위한 연결관(20, 21)과 함께 일체형의 소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1).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소자(15)는 직사각형의 횡단면 및 개방된 일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된 측면의 모서리 영역에는 고정 수용부(1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수용부는, 고정 소자(18)가 관통 개구(11)를 관통해서 고정 수용부(19)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커버 소자(3)가 상기 수용 소자(15)와 단단히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소자(3)의 관통 개구(11)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1).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소자(3)의 관통 개구(11) 및 상기 수용 소자(15)의 고정 수용부(19)는, 제1 유체의 유입구(6) 및 배출구(7)를 기준으로 하는 제2 유체의 연결관(20, 21)의 정렬 상태가 상기 커버 소자(3)를 기준으로 하는 수용 소자(15)의 회전에 의해 변동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소자(3)와 상기 하우징(14)의 수용 소자(15) 사이에 있는 연결부로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장치(1).
KR1020150128288A 2014-10-16 2015-09-10 열 전달 장치 KR101704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15028.7 2014-10-16
DE102014115028 2014-10-16
DE102015111393.7 2015-07-14
DE102015111393.7A DE102015111393A1 (de) 2014-10-16 2015-07-14 Vorrichtung zur Wärmeübertrag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007A KR20160045007A (ko) 2016-04-26
KR101704256B1 true KR101704256B1 (ko) 2017-02-07

Family

ID=5563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288A KR101704256B1 (ko) 2014-10-16 2015-09-10 열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4256B1 (ko)
DE (1) DE1020151113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0427A (zh) * 2016-06-08 2016-08-24 无锡方盛换热器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方管式旁通槽铝的换热器结构
EP3457068B1 (en) * 2017-09-14 2021-05-12 Valeo Autosystemy Sp. z o.o. Heat exchanger assembly
JP7259287B2 (ja) 2018-11-26 2023-04-18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
JP7290030B2 (ja) 2019-01-31 2023-06-13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
US20230032094A1 (en) * 2019-12-12 2023-02-02 Zhejiang Sanhua Automotive Components Co., Ltd. Heat exchanger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1094A (ja) 1999-02-18 2000-09-08 Hitachi Ltd プレート式熱交換器および冷凍システム
JP2001153586A (ja) 1999-11-22 2001-06-08 Toyo Radiator Co Ltd オイルクーラ内蔵ラジエータタンク
JP2010532858A (ja) 2007-07-12 2010-10-14 ヒートマトリクス グループ ベスローテン ヴェンノートチャップ 熱交換器
JP2013524144A (ja) 2010-03-31 2013-06-17 ヴァレオ システム テルミク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のための熱交換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2199B1 (fr) 2010-06-30 2012-09-21 Valeo Systemes Thermiques Condenseur, notamment pour systeme de climat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1094A (ja) 1999-02-18 2000-09-08 Hitachi Ltd プレート式熱交換器および冷凍システム
JP2001153586A (ja) 1999-11-22 2001-06-08 Toyo Radiator Co Ltd オイルクーラ内蔵ラジエータタンク
JP2010532858A (ja) 2007-07-12 2010-10-14 ヒートマトリクス グループ ベスローテン ヴェンノートチャップ 熱交換器
JP2013524144A (ja) 2010-03-31 2013-06-17 ヴァレオ システム テルミク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のための熱交換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111393A1 (de) 2016-04-21
KR20160045007A (ko) 201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256B1 (ko) 열 전달 장치
KR102043931B1 (ko) 열 전달 장치
US9746245B2 (en) Heat exchanger equipped with cold reserving par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2105515B (zh) 容许高压的液体-制冷剂热交换器
CN106505873B (zh) 用于冷却剂通路的连接部件和冷却***
US10386128B2 (en) Collector and associated heat exchanger
CN106507636B (zh) 冷却剂通路连接结构和冷却***
US20160084581A1 (en) Heat exchanger and air-condition system
JP4107267B2 (ja) 積層型冷却器
KR20140105429A (ko) 증발기 열 교환기 유닛
KR101890199B1 (ko) 열 전달 장치
CN105299977B (zh) 用于换热器的接收器、以及装备有接收器的换热器
CN109075409A (zh) 用于冷却电池的装置及相应的制造方法
US20180328669A1 (en) Multifluid heat exchanger
US20030070796A1 (en) Heat exchanger
KR101663382B1 (ko) 열전달 장치
US20220325960A1 (en) Heat exchanger with integrated drier and plate for a plate heat exchanger
US20160161190A1 (en) Collector pipe for a heat exchanger device, a heat exchanger device and a method for emptying a heat exchanger device
US20050178525A1 (en) Heat exchanger, method of manufacture and tube plate therefor
JP6327081B2 (ja) 冷却器モジュール、および冷却器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20050016722A1 (en) Multi-pass fluid cooler
CN115790212A (zh) 用于热交换装置的集流器及热交换装置
WO2019077903A1 (ja) 冷却装置
CN111742439A (zh) 用于机动车辆的蓄电装置的冷却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