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555B1 -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555B1
KR101889555B1 KR1020110107977A KR20110107977A KR101889555B1 KR 101889555 B1 KR101889555 B1 KR 101889555B1 KR 1020110107977 A KR1020110107977 A KR 1020110107977A KR 20110107977 A KR20110107977 A KR 20110107977A KR 101889555 B1 KR101889555 B1 KR 101889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sheet
weight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681A (ko
Inventor
히로아끼 기시오까
마사또모 나쯔이
히로아끼 후모또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1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J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에 의해 백탁화가 야기되지 않으며, 또한 내구성도 우수한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60℃, 95% RH의 환경 하에 120시간 보존한 후의 수분율이 0.65중량% 이상이고,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측정되는 85℃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이 5.0×104 내지 5.0×105Pa인 감압 점착제층을 포함하며, 피착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판인 경우의 정 하중 박리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박리 거리가 30mm 이하이고, 피착체가 아크릴판인 경우의 하기의 정 하중 박리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박리 거리가 30mm 이하인,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OPT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광학 부재의 접합, 광학 제품의 제조 등에 사용되는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러 분야에서, 액정 디스플레이(LCD) 등의 표시 장치나, 이러한 표시 장치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표시 장치나 입력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광학 부재를 접합하기 위해 투명한 감압 점착 시트(감압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과 각종 표시 장치나 광학 부재(보호판 등)의 접합에는, 투명한 감압 점착 시트가 사용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
이러한 표시 장치나 입력 장치의 용도가 확대됨으로써, 이들 장치에 사용되는 감압 점착 시트에는 투명성뿐만 아니라, 감압 점착 시트로서의 특성을 다양한 환경 하에서 충분히 발휘하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고온에서 높은 감압 접착성이나 고온에서 발포나 박리를 발생시키지 않는 성질(내발포 박리성) 등의 고온에서의 접착 신뢰성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방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 전화와 같이, 가습 조건 하(예를 들어,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도 사용되는 제품 중의 감압 점착 시트에는, 가습에 의해 백탁화하지 않고, 표시 장치나 입력 장치의 외관을 악화시키지 않으며, 표시 장치의 표시부의 시인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의 요구에 대응하여, 가습에 의한 백탁화가 억제된 감압 점착제가 제안되었다(특허문헌 4 참조). 그러나, 상기 감압 점착제를 포함하는 감압 점착 시트는, 표시 장치나 입력 장치의 외관이나 시인성의 악화를 발생시키지는 않지만, 고온에서 감압 접착력이 부족하여, 발포나 박리가 발생하기 때문에, 고온에서의 접착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389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254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3172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63084호 공보
상기의 문제에 대하여, 고온에서의 접착 신뢰성이 우수하고, 가습에 의한 백탁화가 억제된 감압 점착 시트의 설계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감압 점착 시트는 주로 백탁화의 억제를 고려하여 설계되었고, 그 결과, 이러한 감압 점착 시트는 피착체의 재질이나 분위기 조건에 따라서, 고온 조건 하(특히,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 발포나 박리의 발생 등의 내구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었다. 즉, 가습에 의해 백탁화하지 않고, 또한 내구성도 우수한 감압 점착 시트는 아직 얻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가습에 의해 백탁화하지 않고, 또한 내구성이 우수한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식성이 우수한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60℃, 95% RH의 환경 하에 120시간 보존한 후의 수분율 및 85℃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이 소정 범위로 제어되는 감압 점착제층을 포함하며, 피착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판인 경우의 정 하중 박리 시험(constant-load peel test)에 의해 측정되는 박리 거리 및 피착체가 아크릴판인 경우의 박리 거리가 소정 범위로 제어되는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가습에 의한 백탁화를 억제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한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가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원은 이들의 지식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은 60℃, 95% RH의 환경 하에 120시간 보존한 후의 수분율이 0.65중량% 이상이고,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측정되는 85℃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이 5.0×104 내지 5.0×105Pa인 감압 점착제층을 포함하며, 피착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판인 경우의 정 하중 박리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박리 거리가 30mm 이하이고, 피착체가 아크릴판인 경우의 하기의 정 하중 박리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박리 거리가 30mm 이하인,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정 하중 박리 시험은 다음과 같다: 피착체의 한쪽면에, 폭 20mm 및 길이 60 mm 크기의 감압 점착 시트의 감압 점착제층 표면을 접합한 후,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50℃, 5 기압의 조건 하에서 15분간 처리하고, 그 후, 23℃, 50% RH의 조건 하에서, 감압 점착 시트의 길이 방향의 말단에, 피착체의 표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100gf의 하중을 가하고, 3시간 경과 후의 감압 점착 시트의 박리 거리를 측정한다.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에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측정되는, 100℃, 45분의 조건 하에서 순수에 의해 추출된 아크릴산 이온 및 메타크릴산 이온의 합계량이, 상기 감압 점착제층의 단위 면적당 20ng/c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에서, 상기 감압 점착제층의 겔 분율이 40 내지 9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에서, 상기 감압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100중량%)에 대하여,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5 내지 20중량%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에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100중량%)에 대하여, 단량체 성분으로서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를 10 내지 25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는 상기한 구성을 가지므로, 시트는 가습에 의해 백탁화하지 않는다. 또한, 고온 환경 하, 특히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도 발포나 박리가 발생하지 않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를 사용하면, LCD나 터치 패널 등의 제품의 표시부의 시인성을 방해하여 외관을 악화시킬 수 있는 백탁화나 발포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아름다운 광학 부재(예를 들어, 광학 필름)이나 광학 제품(예를 들어, 표시 장치)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정 하중 박리 시험에서의 시험판, 감압 점착 시트 및 추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도(사시도)이다.
도 2는 정 하중 박리 시험에서 측정 개시 시의 시험판, 감압 점착 시트 및 추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도(측면도)이다.
도 3은 정 하중 박리 시험에서 측정 개시부터 3시간 경과 후의 감압 점착 시트의 박리 상태 및 박리 거리를 도시하는 개략도(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서의 내부식성 평가에 사용된 저항값 측정용 샘플을 도시하는 개략도(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서 내부식성 평가에 사용된 저항값 측정용 샘플을 도시하는 개략도(도 4에서 A-A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서 단차 흡수성 평가에 사용된 흑색 인쇄층을 갖는 PET 필름의 개략도(흑색 인쇄층 측에서 관찰한 평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서 단차 흡수성 평가에 사용된 측정용 샘플의 개략도(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a"(부정관사의 단수형) 및 "적어도(at least)"는 각각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이하,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라고도 지칭하는 경우가 있음)는, 60℃, 95% RH의 환경 하에 120시간 보존한 후의 수분율이 0.65중량% 이상이고,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측정되는 85℃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이 5.0×104 내지 5.0×105Pa인 감압 점착제층(이하,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으로도 지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감압 점착 시트」는 테이프 형상의 시트, 즉 「감압 점착 테이프」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의 감압 점착제층의 표면을 「감압 점착면」으로도 지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는, 시트의 양면에 감압 점착면을 갖는 양면 감압 점착 시트, 또는 시트의 한쪽면에만 감압 점착면을 갖는 한쪽면 감압 점착 시트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2개의 부재를 접합하는 관점에서는, 감압 점착 시트는 양면 감압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는, 기재(기재층)을 갖지 않는「무기재 타입의 감압 점착 시트」(이하, 「무기재 감압 점착 시트」라고 지칭하는 경우가 있음), 또는 기재를 갖는 감압 점착 시트일 수 있다. 무기재 감압 점착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양면 감압 점착 시트,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과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 이외의 감압 점착제층(이하, 「다른 감압 점착제층」이라고도 지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포함하는 양면 감압 점착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기재를 갖는 감압 점착 시트로서는, 기재의 적어도 한쪽면측에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감압 점착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감압 점착 시트 중에서도, 박막화나 투명성 등의 광학 물성의 향상의 관점에서는, 무기재 감압 점착 시트가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무기재 감압 점착 시트(양면 감압 점착 시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에서, 60℃, 95% RH의 환경 하에 120시간 보존한 후(직후)의 수분율은 0.65중량% 이상(예를 들어, 0.65 내지 5.0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65 내지 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 내지 3.0중량%이다. 수분율을 0.65중량%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가습에 의한 감압 점착 시트의 백탁화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감압 점착 시트를 사용한 제품의 표시부의 시인성이나 외관이 악화되지 않는다.
가습에 의한 감압 점착 시트의 백탁화는, 감압 점착 시트를 고온 고습 환경 하에 두는 것에 의해, 감압 점착제층이 흡습하고, 이 흡습된 수분이 결로하는 것에 유래하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에서, 감압 점착제층의 수분율(60℃, 95% RH의 환경 하에 120시간 보존한 후의 수분율)은 0.65중량% 이상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감압 점착 시트가 사용되는 환경이 크게 변화한 경우(예를 들어, 고온 고습 환경으로부터 상온 환경으로의 변화)에도, 감압 점착제층의 높은 흡수성에 기인하여 흡습된 수분이 결로되기 어려워지고, 그 결과, 가습에 의한 백탁화가 억제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수분율은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을 60℃, 95% RH의 환경 하에 120시간 보존하고, 그 후 상온 환경(23℃, 50% RH) 하에 상기 층을 취출한 직후(예를 들어, 취출 후 약 0 내지 10분)에 측정하여 얻어진 값이다. 60℃, 95% RH의 환경 하에 120시간 보존한 후의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의 수분율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하기의 「(수분율의 측정 방법)」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수분율의 측정 방법)
(샘플의 제조 및 수분율의 측정)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로부터, 감압 점착제층을 약 0.2g 채취한 것을 샘플로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가 무기재 타입의 양면 감압 점착 시트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고, 한쪽의 감압 점착면에 알루미늄 호일을 접합하고, 감압 점착제층의 무게가 약 0.2g이 되도록 층을 잘라내어 샘플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가 기재를 갖는 감압 점착 시트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기재를 갖는 감압 점착 시트로부터 감압 점착제층 약 0.2g을 수집하여 샘플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샘플을 60℃, 95% RH의 환경 하에 120시간 보존한 후, 샘플(60℃, 95% RH의 환경 하에서 120시간 보존한 후의 샘플)을 칭량하고, 계속해서 하기의 가열 기화 장치에 넣고, 150℃로 가열할 때 발생하는 가스를 하기의 전기량 적정 수분 측정 장치의 적정 셀 내에 도입한다. 전기량 적정 수분 측정 장치에 의해, 하기의 측정 조건 하에 샘플 중의 수분량(μg)을 측정하고, 60℃, 95% RH의 환경 하에 120시간 보존한 후의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 1g당(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양면 감압 점착 시트의 경우에는, 샘플의 중량으로부터 알루미늄 호일의 중량을 제외한 중량 1g당)의 수분량을 구하고, 감압 점착제층의 수분율(중량%)을 산출한다. 또한, 측정 횟수(n수)는 예를 들어, 2회가 바람직하다.
(분석 장치)
가열 기화 장치: 미쯔비시 케미칼 코포레이션(Mitsubishi Chemical Corp.) 제조의 「VA-06형」
전기량 적정 수분 측정 장치: 미쯔비시 케미칼 코포레이션 제조의 「CA-06형」
(측정 조건)
방법: 가열 기화법/150℃ 가열
애노드 용액: 아쿠아마이크론(Aquamicron) AKX
캐소드 용액: 아쿠아마이크론 CXU
수분율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종류 및 배합량, 첨가제(구체적으로는, 점착 부여 수지나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종류 및 배합량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측정되는 85℃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또한, 「전단 저장 탄성률(85℃)」 또는 「G'(85℃)」이라고도 지칭하는 경우가 있음)은, 5.0×104 내지 5.0×105Pa이며, 바람직하게는 5.0×104 내지 3.0×105Pa,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04 내지 1.0×105Pa이다. 전단 저장 탄성률(85℃)을 5.0×104Pa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고온에서도 탄성률이 높게 유지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전단 저장 탄성률(85℃)을 5.0×105Pa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저온으로부터 상온까지의 범위에서 균형이 잡힌 성능(예를 들어, 단차 흡수성이나 접합 작업성 등)이 발휘된다. 전단 저장 탄성률(85℃)은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측정된다. 예를 들어, 전단 저장 탄성률은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을 두께가 약 1.5mm가 되도록 복수층을 접합한 후에, 레오메트릭 사이언티픽 컴파니, 리미티드(Rheometric Scientific Co., Ltd.) 제조의 어드밴스드 레오메트릭 익스팬젼 시스템(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ARES)에 의해 전단 모드에서, 주파수 1Hz, -70℃ 내지 200℃의 온도 및 승온 속도 5℃/분의 조건 하에 측정할 수 있다.
전단 저장 탄성률(85℃)은, 아크릴계 중합체의 단량체 조성,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가교제의 사용량(첨가량), 첨가제(구체적으로는, 점착 부여 수지나 아크릴계 올리고머 등)의 유무, 종류 및 양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측정되는 23℃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또한, 「전단 저장 탄성률(23℃)」 또는 「G'(23℃)」이라고 지칭하는 경우가 있음)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105 내지 5.0×105Pa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5 내지 4.0×105Pa, 더욱 바람직하게는 1.5×105 내지 4.0×105Pa이다. 전단 저장 탄성률(23℃)을 1.0×105Pa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감압 점착제층이 지나치게 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예를 들어 「점착제 돌출」(접합 시에 감압 점착제층이 변형되어 접합된 부재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현상) 의 문제가 저감된다. 한편, 전단 저장 탄성률(23℃)을 5.0×105Pa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단차 흡수성(단차 추종성)이 향상되고, 접합 시에 기포나 들뜸(lift-off)의 발생이 저감된다. 「단차 흡수성」은 표면에 미세한 단차(예를 들어, 인쇄 단차)을 갖는 피착체에 감압 점착제층을 접합했을 때, 감압 점착제층이 상기 단차에 추종하여 상기 단차를 매립할 수 있는 성능을 의미한다. 전단 저장 탄성률(23℃)은 상기의 전단 저장 탄성률(85℃)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전단 저장 탄성률(23℃)은, 아크릴계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아크릴계 중합체의 분자량(중량 평균 분자량이나 분자량 분포), 첨가제(구체적으로는, 점착 부여 수지나 아크릴계 올리고머 등)의 유무, 종류 및 양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의 겔 분율(용매 불용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구성(특히, 내발포 박리성) 향상의 관점에서, 40 내지 95%(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이다. 겔 분율은,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불용분으로서 측정되고, 구체적으로는 감압 점착제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23℃에서 7일간 침지한 후의 불용분의, 침지 전의 샘플(감압 점착제층)에 대한 중량 분율(단위: 중량%)로서 측정된다. 겔 분율이 40% 이상이면,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겔 분율이 95% 이하이면, 단부에서의 박리가 억제된다.
겔 분율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겔 분율의 측정 방법」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다.
(겔 분율의 측정 방법)
양면 감압 점착제층으로부터 감압 점착제층 약 0.1g을 채취하고, 평균 구멍 직경 0.2μm의 다공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상품명 「NTF1122」, 닛토덴코 코포레이션(Nitto Denko Corporation) 제조)로 둘러싼 후, 연실로 묶고, 이때의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중량을 침지 전 중량으로 한다. 또한, 침지 전 중량은, 감압 점착제층(상기에서 채취한 감압 점착제층),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 및 연실의 합계 중량이다.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와 연실의 합계 중량도 측정하고, 이 중량을 포장지 중량으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로 둘러싸고 연실로 묶은 것(이하,「샘플」이라고 지칭함)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충전한 체적 50ml의 용기에 넣고, 23℃에서 7일간 정치한다. 그 후, 용기로부터 샘플(에틸 아세테이트 처리 후)을 취출하고, 알루미늄제 컵으로 옮기고, 건조기에서 130℃에서 2시간 건조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를 제거한 후, 중량을 측정하고, 이 중량을 침지 후 중량으로 한다.
하기의 식으로부터 겔 분율을 산출한다.
겔 분율(중량%)=((A-B)/(C-B))×100
(식 중, A는 침지 후 중량이고, B는 포장지 중량이며, C는 침지 전 중량임)
겔 분율은, 가교점으로서 사용되는 단량체의 양,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가교제의 종류 및 사용량(첨가량)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의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에서의 가용분(졸 분)(간단히, 「졸 분」이라고도 지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000 내지 700,00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0 내지 600,000이다. 졸 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50,000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감압 점착제층 중에 존재하는 저 분자량 성분이 저감하여,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졸 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700,000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코팅성이 향상된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에서의 가용분(졸 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하기의 측정 방법에 의해 산출된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에서의 가용분(졸 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방법)
양면 감압 점착 시트로부터 감압 점착제층 약 0.1g을 채취하고, 평균 구멍 직경 0.2μm의 다공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상품명 「NTF1122」, 닛토덴코 코포레이션 제조)로 둘러싼 후, 동시에 연실로 묶는다.
이어서,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로 둘러싸고 연실로 묶은 것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충전된 체적 50ml의 용기에 넣고, 23℃에서 7일간 정치한다. 그 후, 용기로부터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추출된 졸 분을 포함)을 취출하고, 감압 하에 건조시켜 용매(에틸 아세테이트)를 휘발시켜, 졸 분을 얻는다.
졸 분을 테트라히드로푸란(THF)에 용해시킨 후에,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졸 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한다.
졸 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가교제의 종류 및 사용량(첨가량)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졸 분의 분자량 분포(Mw/Mn)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 분자량 분포를 5.0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감압 점착제층 중에 존재하는 저 분자량 성분이 저감하여, 내구성이 향상된다.
졸 분의 분자량 분포는,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의 종류나 그 사용량, 중합 온도, 연쇄 이동제의 양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졸 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졸 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의 측정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의 헤이즈(JIS K7136에 준함)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헤이즈를 1.5%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투명성이 향상되고, 접합된 광학 제품이나 광학 부재의 투명성이나 외관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헤이즈는 예를 들어, 슬라이드 글래스(예를 들어, 전체 광선 투과율 91.8% 및 헤이즈 0.4%)에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을 접합하고, 헤이즈 계측기(무라까미 색채 기술 연구소(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 제조, 상품명 「HM-150」)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의 가시광 파장 영역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JIS K7361에 준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90%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1% 이상이다. 전체 광선 투과율을 90%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투명성이 향상되고, 광학 제품이나 광학 부재의 투명성이나 외관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전체 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어 슬라이드 글래스(예를 들어, 전체 광선 투과율 91.8% 및 헤이즈 0.4%)에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을 접합하고, 헤이즈 계측기(무라까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 상품명 「HM-150」)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내지 500μm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0μ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μm이다. 두께를 10μm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접합 시에 발생되는 응력이 분산되기 쉽다. 따라서, 박리가 발생되기 어려워,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단차 흡수성이 향상된다. 한편, 두께를 500μm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코팅 후의 권취 시에 주름이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은 60℃, 95% RH의 환경 하에 120시간 보존한 후의 수분율 및 전단 저장 탄성률(85℃)이 상기 범위에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감압 점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그 예로는 아크릴계 감압 점착제, 고무계 감압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감압 점착제, 실리콘계 감압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감압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감압 점착제, 우레탄계 감압 점착제, 불소계 감압 점착제, 에폭시계 감압 점착제 등의 공지된 감압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이들 감압 점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그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감압 점착제는 임의 형태의 감압 점착제일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에멀전형 감압 점착제, 용매형(용액형) 감압 점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감압 점착제, 핫 멜트형 감압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감압 점착제 중에서는, 내후성과 비용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감압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아크릴계 감압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에서의 아크릴계 중합체의 양은,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100중량%)에 대하여 65중량% 이상(예를 들어, 65 내지 100중량%)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9.999중량%이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아크릴계 감압 점착제층)은 감압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에 따라서 상이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감압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필수 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크릴계 감압 점착제 조성물, 또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혼합물(「단량체 혼합물」이라고 지칭하는 경우가 있음)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을 필수 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크릴계 감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자의 아크릴계 감압 점착제로서, 그 예로는 소위 용매형 감압 점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고, 후자의 아크릴계 감압 점착제로서, 그 예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상기 감압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가교제나 그 밖의 각종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압 점착제 조성물」은 「감압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의미를 포함한다. 「단량체 혼합물」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의미한다. 「부분 중합물」은 단량체 혼합물의 구성성분 중 1 또는 2 이상의 성분이 부분적으로 중합된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필수 단량체 성분으로서 아크릴계 단량체로 형성되는 중합체이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를 갖는 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를 갖는 알콕시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극성기 함유 단량체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은 그 밖의 공중합성 단량체(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아크릴」 및 「메타크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의미하고, 이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를 갖는 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이하, 간단히 「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라고 지칭하는 경우가 있음)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트)아크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노나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에이코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그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부틸 아크릴레이트(BA)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가 바람직하다.
상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알콕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 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에톡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메톡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에톡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그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2MEA)가 바람직하다.
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콕시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저온 접착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100중량%)에 대하여 30중량% 이상(예를 들어, 30 내지 99중량%)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5중량%이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단량체 성분으로서, 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알콕시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의 양쪽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과 알콕시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의 합계량(합계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알콕시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의 양쪽이 사용되는 경우, 이들의 합계 함유량(100중량%)에 대하여 알콕시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 내지 75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이다.
극성기 함유 단량체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알코올, 알릴 알코올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 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 N-비닐-2-피롤리돈,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N-비닐피페리돈,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등의 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 소듐 비닐술포네이트 등의 술포네이트기 함유 단량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 등의 포스페이트 함유 단량체;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 말레이미드 등의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극성기 함유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그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극성기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100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5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중량%이다.
기타의 공중합성 단량체로서는, 다관능성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성 단량체로서, 그 예로는 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성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그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내구성 향상의 관점에서,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성 단량체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100중량%)에 대하여 0.5중량%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0.5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1중량%이다. 함유량을 0.5중량%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단부에서의 박리가 억제된다.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관능성 단량체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관능성 단량체의 함유량은 0.001 내지 0.5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2 내지 0.1중량%이다.
다관능성 단량체 이외의 기타의 공중합성 단량체로서, 그 예로는 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전술한 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알콕시알킬 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극성기 함유 단량체, 다관능성 단량체 이외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등의 비닐 에스테르류; 스티렌, 비닐 톨루엔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에틸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류 또는 디엔류; 비닐알킬 에테르 등의 비닐 에테르류; 비닐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에서의 아크릴계 중합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필수 단량체 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필수 단량체 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특히 폴리카르보네이트나 아크릴제의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이 향상되고, 또한 감압 점착제층의 전단 저장 탄성률(85℃)도 향상되어,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100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8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8중량%이다. 함유량을 5중량%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접착성이 향상되고, 85℃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이 향상되어,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다. 함유량을 20중량%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감압 점착제층이 지나치게 경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단차 흡수성이 양호해진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감압 점착제층의 수분율이 향상되기 때문에, 가습에 의한 백탁화가 용이하게 억제된다.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히드록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4HBA) 및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특히, 히드록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100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5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2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2중량%이다. 함유량을 10중량%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감압 점착제층의 수분율이 높아지고, 백탁화가 억제된다. 한편, 함유량을 25중량%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고습 하에서의 수분율이 지나치게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고, 정상 상태 및 고습 하에서의 유전율의 변화가 지나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상 상태 및 고습 하에서의 유전율의 변화가 지나치게 증가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의 동작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질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감압 점착제층의 수분율 및 응집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가습에 의한 백탁화가 억제되고 내구성이 향상된 감압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응집력의 관점에서 N-비닐 환상 아미드가 바람직하다. N-비닐 환상 아미드로서, 그 예로는 N-비닐-2-피롤리돈, N-비닐-2-피페리돈, N-비닐-2-카프로락탐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N-비닐-2-피롤리돈(NVP)이 바람직하다.
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특히, N-비닐 환상 아미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100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중량%이다. 함유량을 5중량%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응집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감압 점착제층의 수분율이 증가되고, 백탁화가 억제된다. 함유량을 20중량%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감압 점착제층이 지나치게 경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단차 흡수성이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에서, 금속 박막이나 금속 산화물 박막 등의 금속에 대한 내부식성을 발휘시키기 위해서, 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 성분으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을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100중량%)에 대하여, 5중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2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0.5중량%)이다. 함유량을 5중량% 미만으로 설정함으로써, 금속 박막이나 금속 산화물 박막에 대한 내부식성이 향상된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 그 예로는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산 무수물(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 무수물 함유 단량체)도,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 포함된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상기 단량체 성분을 공지/관용의 중합 방법에 의해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합 방법으로, 그 예로는 용액 중합 방법, 유화 중합 방법, 괴상 중합 방법,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중합 방법(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투명성, 내수성 및 비용면에서, 용액 중합 방법, 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중합(광중합) 시에 조사되는 활성 에너지선은, 예를 들어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중성자선, 및 전자선이나 자외선 등의 이온화 방사선일 수 있다. 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에너지, 조사 시간 및 조사 방법은, 광중합 개시제를 활성화시켜서 단량체 성분의 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용액 중합에는, 각종 관용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의 예로는, 에틸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매를 들 수 있다.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그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 시에는, 중합 반응의 종류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광개시제)나 열중합 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그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벤조인 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 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2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5중량부이다.
벤조인 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서, 그 예로는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 프로필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아니솔 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 그 예로는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로서, 그 예로는 2-메틸-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1-[4-(2-히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술포닐 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 그 예로는 2-나프탈렌술포닐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광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로서, 그 예로는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로서, 그 예로는 벤조인 등을 들 수 있다.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 그 예로는 벤질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 그 예로는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에이트,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폴리비닐 벤조페논, α-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 그 예로는 벤질디메틸케탈 등을 들 수 있다.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로서, 그 예로는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도데실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를 용액 중합에 의해 중합할 때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아조계 개시제,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디벤조일 퍼옥시드, tert-부틸 퍼말레에이트 등),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개시제 중에서도, 일본 특허 공개 제2002-69411호 공보에 개시된 아조계 개시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아조계 개시제는, 개시제의 분해물이 가열에 의한 발생 가스(배출 가스)의 원인이 되는 부분으로서 아크릴계 중합체 중에 잔류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아조계 개시제로서, 그 예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이하, AIBN으로 지칭하는 경우가 있음),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이하, AMBN으로 지칭하는 경우가 있음),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아조계 개시제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5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중량부이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400,000 내지 2,000,00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0 내지 1,500,000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을 400,000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을 2,000,000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감압 점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고, 코팅성이 향상된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의 종류나 그 사용량, 중합 시의 온도나 시간, 단량체 농도, 단량체 적하 속도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Mw/Mn)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이다. 분자량 분포를 15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Mw/Mn)는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의 종류나 그 사용량, 중합 온도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분자량 분포(Mw/Mn)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하기의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폴리스티렌 환산값에 의해 하기 측정 조건 하에서 측정을 행할 수 있다.
(측정용 샘플의 제조)
아크릴계 중합체를 10mM-LiBr+10mM-인산/DMF 용액(용리액)에 용해시켜, 아크릴계 중합체의 농도가 2.0g/L인 용액을 제조하고, 이 용액을 밤새 방치한다. 상기 용액을 0.45μm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측정용 샘플로 사용한다.
(측정 장치 및 조건)
측정 장치: 상품명 「HLC-8120 GPC」(도소 코포레이션(Tosoh Corporation) 제조)
칼럼: 상품명 「TSK gel, Super AWM-H + super AW4000 + super AW2500」(도소 코포레이션 제조)
칼럼 크기: 각 6.0mm I.D. × 150mm
용리액: 10mM-LiBr+10mM-포스페이트/DMF
유량: 0.4mL/분
검출기: 시차 굴절계(RI) 검출기
칼럼 온도(측정 온도): 40℃
주입량: 20μL
아크릴계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내구성의 관점에서, -40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0℃이다. 유리 전이 온도를 -40℃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유리 전이 온도를 10℃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단차 흡수성과 저온에서의 낙하 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유리 전이 온도(이론값)이다.
1/Tg=W1/Tg1 + W2/Tg2 + ... + Wn/Tgn
상기 식 중, Tg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K), Tgi는 단량체 i가 단독중합체를 형성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K), Wi는 단량체 i의 전체 단량체 성분 중의 중량 분율을 나타낸다(i=1, 2, ..., n). 상기 식은 아크릴계 중합체가 단량체 1, 단량체 2, ..., 단량체 n과 같이 n 종류의 단량체 성분으로 구성되는 경우의 계산식이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종류나 그 함유량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감압 점착제 조성물(아크릴계 감압 점착제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가교제, 가교 촉진제, 실란 커플링제, 점착 부여 수지(로진 유도체, 폴리테르펜 수지, 석유 수지, 유용성 페놀), 노화 방지제, 충전제, 착색제(안료나 염료),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연쇄 이동제, 가소제, 연화제, 계면 활성제, 대전 방지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를, 본 발명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을 형성할 때에는, 각종 일반적인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그 예로는 상술한 용액 중합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용매를 들 수 있다.
가교제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 중의 아크릴계 중합체를 가교하고, 감압 점착제층의 겔 분율을 제어할 수 있다. 가교제로서, 그 예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과산화물계 가교제, 요소계 가교제, 금속 알콕시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그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 중에서도, 내구성 향상의 관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그 예로는 1,2-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시클로펜틸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닛본 폴리우레탄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제조, 상품명 「코로네이트(CORONATE) L」],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닛본 폴리우레탄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상품명 「코로네이트 HL」], 트리메틸올프로판/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미쯔이 케미칼즈 컴파니, 리미티드(Mitsui Chemicals Co., Ltd.) 제조, 상품명 「타케네이트(TAKENATE) 110N」] 등의 시판품일 수 있다.
에폭시계 가교제(다관능 에폭시 화합물)로서, 그 예로는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디글리시딜 아닐린,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탄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글리시딜에테르, 아디프산 디글리시딜에스테르, o-프탈산 디글리시딜에스테르, 트리글리시딜-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레조르신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S-디글리시딜에테르, 분자 내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계 가교제는, 예를 들어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제조, 상품명 「테트래드(TETRAD) C」 등의 시판품일 수 있다.
감압 점착제 조성물에서의 가교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부이다. 함유량을 0.001중량부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함유량을 10중량부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단차 흡수성이 향상된다.
감압 점착제 조성물에는 가교 반응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가교 촉진제(가교 보조제)로서 복수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아민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아민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히드록실기(알코올성 히드록실기)를 적어도 2개 갖고 있는 아민계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079203호 공보에 개시된 복수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아민계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아민계 화합물을 사용하면, 가교 속도가 가속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아민계 화합물은, 상품명 「EDP-300」, 「EDP-450」, 「EDP-1100」, 「플루로닉(Pluronic)」(아데카 코포레이션(ADEKA Corp.) 제조) 등의 시판품일 수 있다.
감압 점착제 조성물에서의 복수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아민계 화합물의 함유량은, 가교 속도를 가속화하여 에이징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중량부이다.
감압 점착제 조성물은 유리에 대한 접착성(특히, 고온 고습 환경에서의 유리에 대한 접착 신뢰성) 향상을 목적으로,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이 중에서도,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는 단독으로, 또는 그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예를 들어 상품명 「KBM-403」(신에쯔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Shin-Etsu Chemical Co., Ltd.) 제조) 등의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감압 점착제 조성물에서의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은 유리에 대한 접착 신뢰성 향상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5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으로서, 공지 및 관용의 감압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이하의 (1) 내지 (3)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1) 단량체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 및 필요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나 가교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또는 세퍼레이터 상에 코팅하고, 여기에 활성 에너지선(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함)을 조사하여, 감압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2) 아크릴계 중합체, 용매, 필요에 따라 가교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용액)을, 기재 또는 세퍼레이터 상에 코팅하고, 이 조성물을 건조 및/또는 경화시켜서 감압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3) 상기 (1)에서 형성된 감압 점착제층을 또한 건조시킨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에서, 코팅은 공지의 코팅법에 의해, 관용의 코터,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콤마 코터, 다이렉트 코터 등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적 구성은, 예를 들어 하기의 (1) 또는 (2)에 기재된 감압 점착제층일 수 있다. 단, 이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100중량%)에 대하여,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5 내지 20중량%,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35 내지 80중량%, N-비닐-2-피롤리돈 5 내지 20중량%,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25중량%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0.01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감압 점착제층.
(2)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100중량%)에 대하여,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5 내지 20중량%, n-부틸 아크릴레이트 35 내지 80중량%, N-비닐-2-피롤리돈 5 내지 20중량%,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25중량%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0.01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는 감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감압 점착제층.
(다른 감압 점착제층)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가 다른 감압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경우, 다른 감압 점착제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우레탄계 감압 점착제, 아크릴계 감압 점착제, 고무계 감압 점착제, 실리콘계 감압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감압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감압 점착제, 에폭시계 감압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감압 점착제, 불소계 감압 점착제 등의 공지된 점착제로 형성된 공지/관용의 감압 점착제층을 들 수 있다. 감압 점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그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재)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가 기재를 포함하는 경우,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플라스틱 필름, 반사 방지(AR) 필름, 편광판, 위상차판 등의 각종 필름(예를 들어, 후술하는 광학 필름)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의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상품명 「아톤(ARTON)(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제이에스알(JSR)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ZEONOR)(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닛본 제온 컴파니, 리미티드(Nippon Zeon Co., Ltd.) 제조)」 등의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등의 플라스틱 재료일 수 있다. 이들 플라스틱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그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기재」는 감압 점착 시트를 피착체(광학 부재 등)에 사용(접합)할 때에는, 감압 점착제층과 함께 피착체에 접합되는 부분이다. 감압 점착 시트의 사용 시(부착 시)에 박리되는 세퍼레이터(박리 라이너)는 「기재」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 중에서도, 기재는 투명 기재가 바람직하다. 기재의 가시광 파장 영역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JIS K7361에 준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8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이다. 기재의 헤이즈(JIS K7136에 준함)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투명 기재는 PET 필름이나, 상품명 「아톤」, 상품명 「제오노아」 등의 무배향 필름 등일 수 있다.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2 내지 75μm가 바람직하다. 기재는 단층 및 복층의 형태일 수 있다. 기재 표면에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물리적 처리, 및 하도 처리 등의 화학적 처리 등의 공지/관용의 표면 처리가 적절히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는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무기재 타입의 양면 감압 점착 시트, 및 기재의 적어도 한쪽면에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기재를 갖는 감압 점착 시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에서, 이하의 정 하중 박리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피착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판(PET판)인 경우의 박리 거리(「박리 거리(PET에 대한)」라고 지칭하는 경우가 있음)가 30m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mm이다. 박리 거리(PET에 대한)는 PET제의 피착체에 대한, 접착 계면에서의 감압 점착 시트의 접착성의 강도를 표현하는 지표이다. 즉, 감압 점착 시트의 박리 거리(PET에 대한)를 30mm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특히 PET제의 피착체에 시트를 부착했을 경우에 우수한 내발포 박리성 및 높은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다.
정 하중 박리 시험은 다음과 같다.
피착체(PET판)의 한쪽면에, 폭 20mm 및 길이 60mm 크기의 감압 점착 시트의 감압 점착제층의 표면을 접합한 후,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50℃, 5 기압의 조건 하에서 15분간 처리하고, 그 후, 23℃, 50% RH의 조건 하에서, 감압 점착 시트의 길이 방향의 말단에, PET판의 표면과 수직 방향(즉, PET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100gf의 하중을 가하고, 23℃, 50% RH의 조건 하에서 3시간 방치한 후의 감압 점착 시트의 박리 길이를 측정한다. 상기 박리 길이는 「박리 거리(PET에 대한)」로 정의한다.
보다 구체적인 시험 방법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도 1 내지 3 참조).
(정 하중 박리 시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 도요보 컴파니, 리미티드(Toyobo Co., Ltd.) 제조, 상품명 「A4300」, 길이 100mm × 폭 30mm, 두께 125μm]의 한쪽면에, 양면 감압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유리판을 접합하여 보강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판을 제조하였다. 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판[PET판(PET 필름과 유리판의 적층체), 길이 100mm × 폭 30mm, 두께 2.0mm]의 한쪽면(PET 필름측 표면)에,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폭 20mm × 길이 60mm)의 감압 점착제층의 표면을 접합한 후,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50℃, 5 기압의 조건 하에서 15분간 처리한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PET판(11)을, 감압 점착 시트(12)를 접합한 면이 하면이 되도록 수평하게 설치한다. 감압 점착 시트(12)를, 길이 방향의 말단(편말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5mm 박리하고, 길이 방향의 말단(가로 방향의 중심 위치)으로부터, 100g의 추(13)를 끈으로 달아매고, 감압 점착 시트(12)의 길이 방향의 말단에 PET판(11)의 표면과 수직 방향으로 100gf의 하중을 가한다.
그 후, 계를 23℃, 50% RH의 조건 하에서, 3시간 방치하고, 감압 점착 시트(12)의 박리 거리(16)를 측정하여, 「박리 거리(PET에 대한)」를 얻는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박리 거리는 측정 개시로부터 3시간 경과하는 사이에 감압 점착 시트의 박리 길이(길이 방향)이며, 측정 개시 시에 감압 점착 시트와 PET판이 밀착하고 있는 말단 위치(14)와, 3시간 경과 후에 감압 점착 시트와 PET판이 밀착하고 있는 말단 위치(15) 사이의 거리(16)를 말한다(도 2 및 도 3 참조).
감압 점착 시트가 양면 감압 점착 시트일 경우에는, PET판과 반대측의 감압 점착면에 두께 25μm의 PET 필름을 접합(라이닝)한 후에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에서, 정 하중 박리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피착체가 아크릴판인 경우의 박리 거리(「아크릴에 대한 박리 거리」라고 지칭하는 경우가 있음)는 30m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mm이다. 박리 거리(아크릴에 대한)는 아크릴제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제의 피착체에 대한 접착 계면에서의 감압 점착 시트의 접착성의 강도를 표현하는 지표이다. 따라서, 박리 거리(아크릴에 대한)를 30mm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특히 아크릴제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제의 피착체에 시트를 접합했을 경우에 우수한 내발포 박리성 및 높은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다. 정 하중 박리 시험은, PET판 대신에 아크릴판[PMMA판, 미쯔비시 레이온 컴파니, 리미티드(Mitsubishi Rayon Co., Ltd.) 제조, 상품명 「MR-200」]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상기 박리 거리(PET에 대한)를 측정하는 정 하중 박리 시험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을 행한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측정되는,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로부터 순수에 의해 100℃, 45분의 조건 하에서 추출된 아크릴산 이온 및 메타크릴산 이온의 합계량[추출된 (메트)아크릴산 이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의 단위 면적당 20ng/cm2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20ng/cm2)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7ng/cm2,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ng/cm2이다. 추출된 (메트)아크릴산 이온량은,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를 가습 환경 하에 둔 경우의 감압 점착제층으로부터 아크릴산 이온 및 메타크릴산 이온의 수분에 의한 해리(dissociation)의 용이함 정도를 표시한다. 추출된 (메트)아크릴산 이온량을 20ng/cm2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시트를 금속 박막에 접합한 상태에서 가습 환경 등의 수분의 존재 하에서 시트를 보존하는 경우라도, 상기 금속 박막에 부식이 발생하기 어렵고, 내부식성이 향상된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측정되는,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로부터 순수에 의해 100℃, 45분의 조건 하에서 추출된 아크릴산 이온 및 메타크릴산 이온의 합계량」은 이하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우선, 감압 점착 시트를 적절한 크기로 잘라내고, 세퍼레이터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감압 점착면을 노출시켜 샘플로 사용한다. 양면 감압 점착 시트의 경우에는, 다른 쪽 감압 점착면에만 PET 필름(두께 25 내지 50μm)을 접합하여, 한쪽 감압 점착면만을 노출시켰다. 이때, 금속 박막에 접합되는 감압 점착면(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인 경우,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측의 표면)을 노출시킨다. 샘플의 크기(감압 점착면의 노출 면적)는 100cm2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샘플을 온도 100℃의 순수 중에 넣은 후, 45분간 비등시키고, 아크릴산 이온 및 메타크릴산 이온의 비등 추출을 행한다.
계속해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이온 크로마토그래피)을 사용하여, 상기에서 얻어진 추출액 중 아크릴산 이온 및 메타크릴산 이온의 합계량(단위: ng)을 측정하고, 샘플의 감압 점착면(노출된 감압 점착면)의 단위 면적당의 아크릴산 이온 및 메타크릴산 이온의 합계량(단위: ng/cm2)을 산출한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이온 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하기의 조건일 수 있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 조건)
분석 장치: DX-320, 디오넥스 컴파니, 리미티드(DIONEX Co., Ltd.) 제조
분리 칼럼: Ion Pac AS15(4mm × 250mm)
가드 칼럼: Ion Pac AG15(4mm × 50mm)
제거 시스템: ASRS-ULTRA(익스터널 모드, 100mA)
검출기: 전기 전도도 검출기
용리액: 7mM KOH(0 내지 20분)
45mM KOH(20 내지 30분)
(용리액 제네레이터 EG40을 사용)
용리액 유량: 1.0ml/분
샘플 주입량: 250μl
감압 점착 시트로부터 수분에 의해 해리되는 (메트)아크릴산 이온은 일반적으로 감압 점착제층 중에 존재하는 (메트)아크릴산에 기인한다. (메트)아크릴산 이온은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수분에 의해 금속 박막에 침입해서 도통을 방해하여, 금속 박막의 저항값 상승(금속 박막의 부식)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감압 점착 시트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특히, 아크릴산)을 다량(예를 들어, 10중량% 이상)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감압 점착제층 중에 미반응의 (메트)아크릴산이 잔류하기 쉬워져, 감압 점착 시트로부터 수분에 의해 해리되는 (메트)아크릴산 이온도 증가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감압 점착제층 형성 시의 건조를 충분히 행하고,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합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메트)아크릴산의 양을 저감함으로써, 감압 점착제층 중에 잔류하는 (메트)아크릴산을 저감시킨 경우에는, 감압 점착 시트로부터 수분에 의해 해리되는 (메트)아크릴산 이온이 적고, 이것에 기인하는 피착체로서 금속 박막의 부식이나 저항값의 상승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의 헤이즈(JIS K7136에 준함)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헤이즈를 3.0%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광학 제품이나 광학 부재의 외관이나 투명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헤이즈는 예를 들어, 감압 점착제층의 헤이즈의 측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의 가시광 파장 영역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JIS K7361에 준거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87%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9% 이상이다. 전체 광선 투과율을 87%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광학 제품이나 광학 부재의 외관이나 투명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전체 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어, 감압 점착제층의 전체 광선 투과율의 측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의 감압 점착면은 사용 시까지는 세퍼레이터(박리 라이너)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가 양면 감압 점착 시트일 경우, 각 감압 점착면은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각각 보호될 수 있거나, 또는 양면이 박리면이 되는 하나의 세퍼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그 표면이 롤 형상으로 권취되는 형태로 보호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는 감압 점착제층의 보호재로서 사용되고, 감압 점착제층이 피착체에 접합할 때에 박리된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가 무기재 감압 점착 시트인 경우에는, 세퍼레이터는 감압 점착제층의 지지체의 역할도 담당한다. 세퍼레이터는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세퍼레이터로서, 임의의 공지의 박리지가 사용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박리 처리층을 갖는 세퍼레이터, 불소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저 접착성 기재나 무극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저 접착성 기재일 수 있다. 박리 처리층을 갖는 세퍼레이터로서, 그 예로는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황화몰리브덴 등의 박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 등을 들 수 있다. 불소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저 접착성 기재에서의 불소계 중합체로서, 그 예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무극성 중합체로서, 그 예로는 올레핀계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등을 들 수 있다. 세퍼레이터는 공지/관용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는 광학 부재를 접합하거나 또는 광학 제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를 사용하면, 제품의 시인성이나 외관의 방해가 될 수 있는 상기의 기포나 들뜸의 발생, 백탁화 등이 억제되기 때문에, 우수한 외관을 갖는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는 광학 제품에 사용되는 광학 부재를 접합하는 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광학 부재는 광학적 특성(예를 들어, 편광성, 광 굴절성, 광산란성, 광반사성, 광투과성, 광흡수성, 광회절성, 선광성, 시인성 등)을 갖는 부재를 의미한다. 광학 부재로서는 광학적 특성을 갖는 부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예로는 편광판, 파장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도광판, 반사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투명 도전 필름(ITO 필름 등), 의장 필름, 장식 필름, 표면 보호 필름, 프리즘, 렌즈, 컬러 필터, 투명 기재, 및 이들이 적층되어 있는 부재(총칭해서 「광학 필름」이라고 지칭하는 경우가 있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판」 및 「필름」은, 각각 판 형상, 필름 형상, 시트 형상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편광 필름」은 「편광판」 및 「편광 시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광학 필름을 접합하는 것에 의해, 또는 본 발명의 무기재 타입의 감압 점착 시트를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접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를 갖는 광학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가 양면 감압 점착 시트인 경우,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를 각종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부착 및 접합함으로써,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감압 점착형 광학 필름(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감압 점착형 광학 필름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양면 감압 점착 시트)는 무기재 감압 점착 시트 또는 기재를 갖는 감압 점착 시트일 수 있다.
광학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플라스틱 재료, 유리, 금속(금속 산화물을 포함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페이퍼 등의 표시 장치(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는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의 제조에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예를 들어, 광학 필름)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를 제조함으로써, 또는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는, 추출된 (메트)아크릴산 이온량을 소정 범위로 제어한 경우에, 우수한 내부식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특히 금속 박막(금속 박막 또는 금속 산화물 박막)에 접합하는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금속 박막은 금속, 금속 산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박막일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예로는, ITO(산화인듐주석), ZnO, SnO, CTO(산화카드뮴 주석)의 박막을 들 수 있다. 금속 박막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 내지 2,000Å이 바람직하다. ITO 등의 금속 박막은 예를 들어, PET 필름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투명 도전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를 금속 박막에 접합할 때에는, 본 발명의 감압 점착제층의 표면을 금속 박막에 접합되는 측의 감압 점착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의 구체적인 용도의 일례로서, 터치 패널의 제조 에 사용되는 터치 패널용 감압 점착 시트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제조에서는, ITO 등의 금속 박막이 설치되는 투명 도전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판, 하드 코트 필름, 유리 렌즈 등을 본 발명의 감압 점착 시트를 통해서 접합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 등에 사용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기재 및 표 1 중의 「타케네이트 D110N」(고형분: 75중량%)의 배합량은, 「타케네이트 D110N」의 고형분 환산의 배합량(중량부)로 표시하였다. 「KBM-403」 및 「EDP-300」의 배합량은 각각 「KBM-403」 및 「EDP-300」의 배합량(중량부)(제품의 배합량)으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1
단량체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63중량부, N-비닐-2-피롤리돈(NVP) 15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9중량부,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13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중량부, 중합 용매로서 에틸 아세테이트 133중량부를,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계를 65℃로 승온하고, 10시간 반응시킨 후, 여기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고형분 농도 30중량%의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 중의 아크릴계 중합체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미쯔이 케미칼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상품명 「타게네이트 D110N」)을 0.3중량부, 가교 촉진제로서 에틸렌디아민에 프로필렌 옥시드를 부가한 폴리올(아데카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제조, 상품명 「EDP-300」)을 0.2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로서 γ-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신에쯔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상품명 「KBM-403」) 0.15중량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혼합하여 감압 점착제 조성물(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감압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 라이너(미쯔비시 플라스틱스 인코포레이티드(Mitsubishi Plastics Inc.) 제조, 상품명 「MRF75」)의 박리 처리면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50μm가 되도록 코팅하고, 그후 상압 하에 60℃에서 1분간 및 155℃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하고, 또한 23℃에서 120시간 에이징을 행하여, 양면 감압 점착 시트(무기재 양면 감압 점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2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타케네이트 D110N」의 사용량을 0.5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압 점착제층의 두께가 50μm인 양면 감압 점착 시트(무기재 양면 감압 점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3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량체 성분으로서 n-부틸 아크릴레이트(BA) 76중량부, N-비닐-2-피롤리돈 6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5중량부,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3중량부를 사용하고,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타케네이트 D110N」의 사용량을 0.5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압 점착제층의 두께가 50μm인 양면 감압 점착 시트(무기재 양면 감압 점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4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량체 성분으로서 n-부틸 아크릴레이트 72중량부, N-비닐-2-피롤리돈 10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5중량부,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3중량부를 사용하고,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타케네이트 D110N」의 사용량을 0.5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압 점착제층의 두께가 50μm인 양면 감압 점착 시트(무기재 양면 감압 점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량체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2중량부, N-비닐-2-피롤리돈 15중량부,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3중량부를 사용하고,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타케네이트 D110N」의 사용량을 0.5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압 점착제층의 두께가 50μm인 양면 감압 점착 시트(무기재 양면 감압 점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2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량체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2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5중량부,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3중량부를 사용하고,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타케네이트 D110N」의 사용량을 0.5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압 점착제층의 두께가 50μm인 양면 감압 점착 시트(무기재 양면 감압 점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3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량체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1중량부, N-비닐-2-피롤리돈 15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9중량부,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5중량부를 사용하고,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타케네이트 D110N」의 사용량을 0.5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압 점착제층의 두께가 50μm인 양면 감압 점착 시트(무기재 양면 감압 점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4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량체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7중량부, N-비닐-2-피롤리돈 3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중량부,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3중량부를 사용하고,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타케네이트 D110N」의 사용량을 0.5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압 점착제층의 두께가 50μm인 양면 감압 점착 시트(무기재 양면 감압 점착 시트)를 얻었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감압 점착 시트(양면 감압 점착 시트)에 대해서, 이하 표 1에 나타낸 측정 및 평가를 행하였다. 측정 방법 또는 평가 방법은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감압 점착 시트의 감압 점착제층의 겔 분율 및 졸 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분자량 분포(Mw/Mn)는 상술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 수분율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감압 점착 시트를, 폭 1cm × 길이 2cm(면적: 2cm2) 크기로 잘라냈다. 이어서, 그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고, 한쪽의 감압 점착면에 알루미늄 호일을 접합하고, 다른 쪽의 감압 점착면은 개방 상태로 하여, 샘플(「감압 점착제층/알루미늄 호일」의 구성을 가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샘플에 접합된 알루미늄 호일의 중량은, 호일을 감압 점착 시트에 접합하기 전에 미리 측정하였다.
조건을 60℃, 95% RH로 제어한 항온 항습기에 상기 샘플을 넣고, 120시간 보존하였다. 그 후, 항온 항습기로부터 샘플을 취출하고, 샘플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계속해서, 샘플을 하기의 가열 기화 장치에 넣고, 150℃에서 10분간 가열 시에 발생된 가스를 하기의 전기량 적정 수분 측정 장치의 적정 셀 내에 도입한 후, 상기 가스 중의 수분량(μg)을 측정하여, 60℃, 95% RH의 환경 하에 120시간 보존한 후의 감압 점착제층 중의 수분량(μg)을 측정하였다. 하기 식을 사용하여 60℃, 95% RH의 환경 하에서 120시간 보존한 후의 감압 점착제층의 수분율(중량%)을 산출하였다. 측정 횟수(n수)는 2회로 설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감압 점착제층의 수분율(중량%)」=「60℃, 95% RH의 환경 하에 120시간 보존한 후의 감압 점착제층 중의 수분량(μg)」/(「60℃, 95% RH의 환경 하에 120시간 보존한 후의 샘플의 중량(μg)」 - 「알루미늄 호일의 중량(μg)」)×100
(분석 장치)
전기량 적정 수분 측정 장치: 미쯔비시 케미칼 코포레이션 제조, 「CA-06형」
가열 기화 장치: 미쯔비시 케미칼 코포레이션 제조, 「VA-06형」
(측정 조건)
방법: 가열 기화법/150℃ 가열
애노드 용액: 아쿠아마이크론 AKX
캐소드 용액: 아쿠아마이크론 CXU
(2) 전단 저장 탄성률(85℃) 및 전단 저장 탄성률(23℃)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감압 점착 시트의 감압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두께 약 1.5mm의 감압 점착제층의 적층체를 제조하고, 샘플로 사용하였다.
상기 샘플을, 레오메트릭 사이언티픽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의 「어드밴스드 레오메트릭 익스팬젼 시스템(ARES)」을 사용하여, 주파수 1Hz, -70 내지 200℃의 온도 및 승온 속도 5℃/분의 조건 하에 측정하여, 85℃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및 23℃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을 산출하였다.
(3) 박리 거리(정 하중 박리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감압 점착 시트의 한쪽의 감압 점착면에, 알루미늄 증착 PET 필름(레이코 컴파니, 리미티드(REIKO Co., Ltd.) 제조, 상품명 「SZ PET25Al」, 두께: 25μm)을 적층하고, 그 필름을 폭 20mm × 길이 60mm 크기의 테이프편으로 잘라내어, 측정용 샘플(12)(양면 감압 점착 시트 및 알루미늄 증착 PET 필름의 적층체)을 제조하였다.
측정용 샘플(12)의 감압 점착면(양면 감압 점착 시트의 다른 쪽의 감압 점착면)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판(11)[PET판(도요보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PET 필름(「상품명 A4300」, 두께 125μm)과 유리판의 적층체), 길이 100mm × 폭 30mm, 두께 2.0mm]의 PET 필름측의 표면(중앙부)에 접합한 후, 오토클레이브 중에 50℃, 5 기압의 조건 하에서 15분간 처리하였다.
계속해서, PET판(11)을 클램프를 사용하여 측정용 샘플(12)을 접합한 면이 하면이 되도록 수평하게 설치하였다(도 1 및 도 2 참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용 샘플(12)을 샘플의 길이 방향으로 PET판(11)의 말단으로부터 종 방향으로 5mm 박리하였다. 측정용 샘플(12)의 길이 방향의 말단(박리된 부분)으로부터, 100g의 추(13)를 끈으로 달아 매고, PET판(11)의 표면과 수직(하측) 방향으로 100gf(0.98N)의 하중을 가하였다. 추(13)는 측정용 샘플(12)의 폭 방향의 중앙부 및 길이 방향의 말단으로부터 5mm의 부분에 구멍을 뚫어서 통과시킨 끈의 끝에 설치하였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하중을 가한 후, 샘플을 23℃, 50% RH의 조건 하에서 3시간 방치하였다. 측정 개시로부터 3시간이 경과한 후에(샘플을 3시간 방치한 후에), 측정용 샘플(12)이 PET판(11)으로부터 박리된 거리(박리 거리)(16)를 측정하여 박리 거리(PET판에 대한)를 얻었다.
박리 거리(16)는 측정용 샘플(12)의 길이 방향에서의 박리 거리이며, 측정 개시 시에 양면 감압 점착 시트와 PET판이 밀착하고 있는 말단 위치(14)와, 3시간 경과 후에 양면 감압 점착 시트와 PET판이 밀착하고 있는 말단 위치(15) 사이의 거리(16)를 말한다(도 2 및 도 3 참조). 박리 거리(16)는 측정용 샘플(12)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서의 거리에 의해 측정하였다.
PET판 대신에 아크릴판[PMMA판, 미쯔비시 레이온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상품명 「아크릴라이트(ACRYLITE) MR-200」, 길이 100mm × 폭 30mm, 두께 1.5mm]을 사용한 것 이외는,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박리 거리(아크릴판에 대한)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1의 「PET에 대한 박리 거리」 및 「아크릴에 대한 박리 거리」의 란에 나타낸다.
(4) 추출된 (메트)아크릴산 이온량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감압 점착 시트의 한쪽의 감압 점착면에 PET 필름(도레이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Toray Industries Inc.) 제조, 「루미러(LUMIRROR) S10」, 두께 25μm)을 접합한 후, 폭 10cm × 길이 10cm 크기의 시트편으로 잘라냈다. 그 후,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고, 그 한쪽면의 감압 점착면만을 노출시킨 샘플을 제조하였다(감압 점착면의 노출 면적: 100cm2).
계속해서, 상기 샘플을 온도 100℃의 순수(50ml) 중에 넣고, 45분간 비등시키고, 비등 추출을 행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계속해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이온 크로마토그래피)을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액 중의 아크릴산 이온 및 메타크릴산 이온의 합계량(단위: ng)을 측정하고, 샘플의 감압 점착면(노출된 감압 점착면)의 단위 면적당 아크릴산 이온 및 메타크릴산 이온의 합계량(추출된 (메트)아크릴산 이온량, 단위: ng/cm2)을 산출하였다. 추출된 (메트)아크릴산 이온량이 검출 한계 미만(검출 한계: 2.5ng)인 경우에는, 표 1에 있어서 「ND」라고 기재하였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의 측정 조건)
분석 장치: DX-320, 디오넥스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분리 칼럼: Ion Pac AS15(4mm × 250mm)
가드 칼럼: Ion Pac AG15(4mm × 50mm)
제거 시스템: ASRS-ULTRA(익스터널 모드, 100mA)
검출기: 전기 전도도 검출기
용리액: 7mM KOH(0 내지 20분)
45mM KOH(20 내지 30분)
(용리액 제너레이터 EG40을 사용)
용리액 유량: 1.0ml/분
샘플 주입량: 250μl
(5) 가습 탁화(가습에 의한 백탁화의 유무)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감압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고, 상기 양면 감압 점착 시트의 한쪽의 감압 점착면을 슬라이드 글래스(마쯔나미 글래스 인더스트리, 리미티드(MATSUNAMI GLASS IND., LTD.) 제조, 상품명 「마이크로 슬라이드 글래스(MICRO SLIDE GLASS)」, 제품 번호 「S」, 두께 1.3mm, 헤이즈 0.1%, 연마된 테두리)에 접합하고, 다른 쪽의 감압 점착면을 도전성 PET 필름(닛토덴코 코포레이션 제조, 상품명 「일렉리스타(ELECRYSTA) V270L-THMP」)의 ITO 필름 형성면에 접합하여, 「슬라이드 글래스/양면 감압 점착 시트(감압 점착제층)/ 도전성 PET 필름」의 층 구성을 갖는 샘플을 제조하였다. 샘플의 헤이즈를 23℃, 50% RH의 환경 하에서, 헤이즈 계측기(무라까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 상품명 「HM-150」)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얻어진 헤이즈 데이터를 「초기의 헤이즈」로 사용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샘플을 60℃, 95% RH의 환경 하(습열 환경 하)에 120시간 보존하였다. 그 후, 상기 샘플을 23℃, 50% RH의 환경 하에서 취출하고, 샘플을 취출한 직후의 헤이즈(「헤이즈(직후)」라고 지칭함), 샘플을 23℃, 50% RH의 환경 하에 취출하고 나서 30분 후의 헤이즈(「헤이즈(30분 후)」라고 지칭함), 23℃, 50% RH의 환경 하에 취출하고 나서 1시간 후의 헤이즈(「헤이즈(1시간 후)」라고 지칭함), 및 23℃, 50% RH의 환경 하에 취출하고 나서 2시간 후의 헤이즈(「헤이즈(2시간 후)」라고 지칭함)을 측정하였다. 「초기의 헤이즈」에 대한 「헤이즈(직후)」의 상승 폭 [=(헤이즈(직후))-(초기의 헤이즈)], 「초기의 헤이즈」에 대한 「헤이즈(30분 후)」의 상승 폭 [=(헤이즈(30분 후))-(초기의 헤이즈)], 「초기의 헤이즈」에 대한 「헤이즈(1시간 후)」의 상승 폭 [=(헤이즈(1시간 후))-(초기의 헤이즈)], 및 「초기의 헤이즈」에 대한 「헤이즈(2시간 후)」의 상승 폭 [=(헤이즈(2시간 후))-(초기의 헤이즈)]를 각각 산출하고, 모두 5.0%(% 포인트) 미만이었을 경우를 「A」(가습에 의한 백탁화 없음), 어느 하나가 5.0%(% 포인트) 이상이었을 경우를 「B」(가습에 의한 백탁화 있음)로 나타낸다. 결과는 표 1의 「가습 탁화」의 란에 나타낸다.
(6) 내구성(발포 박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감압 점착 시트의 한쪽의 감압 점착면을, 도전성 필름(닛토덴코 코포레이션 제조, 상품명 「일렉리스타 V270L-THMP」)을 미리 140℃로 120분간 처리한 ITO 필름 형성면에 접합하여, 100mm × 100mm 크기의 필름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필름편으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고, 다른 쪽의 감압 점착면을 아크릴판(미쯔비시 레이온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상품명 「아크릴라이트 L」, 크기: 폭 50mm × 길이 100m, 두께 1.0mm)에 접합하고, 선압 5N/cm의 조건 하에서 압착하여, 「도전성 필름/양면 감압 점착 시트(감압 점착제층)/아크릴판」의 층 구조를 갖는 샘플을 제조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샘플을 50℃, 24시간의 조건 하에서 에이징하였다.
상기 샘플을 온도가 85℃인 오븐 중에 넣고, 240시간 열 처리(내열성 시험)를 행하였다. 열 처리 후, 샘플의 접착 계면(감압 점착제층과 도전성 필름의 계면)에서의 기포나 들뜸의 발생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85℃에서의 내열성 시험 대신에 60℃, 95% RH의 조건 하에서 250시간 습열 처리(내습열성 시험)를 행하고, 샘플의 접착 계면에서의 기포나 들뜸의 발생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아크릴판 대신에 폴리카르보네이트판(PC판)(하드 코팅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폴리카르보네이트판; 데이진 카세이 컴파니, 리미티드(Teijin Kasei Co., Ltd.) 제조, 상품명 「PC1111」, 크기: 폭 50mm × 길이 100mm, 두께 1.0mm)을 사용한 샘플에 대해서,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85℃에서의 내열성 시험, 60℃, 95% RH에서의 내습열성 시험을 행하고, 샘플의 접착 계면에서의 기포나 들뜸의 발생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서 내구성을 평가하고, 결과를 표 1의 「내구성(발포 박리)」의 란에 나타낸다.
내구성의 평가 기준: 아크릴판을 사용한 85℃에서의 내열성 시험 및 60℃, 95% RH에서의 내습열성 시험, 및 PC판을 사용한 85℃에서의 내열성 시험 및 60℃, 95% RH에서의 내습열성 시험에 있어서, 모든 경우에도 기포나 들뜸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경우를 내구성 「양호」, 어느 하나의 시험에서 기포 또는 들뜸이 보였을 경우에는 내구성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7) 내부식성(ITO 저항값의 변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감압 점착 시트의 한쪽의 감압 점착면에, PET 필름(도레이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상품명 「루미러 S-10 #25」, 두께 25μm)을 접합하고, 폭 20mm × 길이 50mm 크기의 편으로 잘라내어, 샘플로 사용하였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성 PET 필름(22)(닛토덴코 코포레이션 제조, 상품명 「일렉리스타 P-400L TNMP」)(크기: 길이 70mm × 폭 25mm)의 양단부에 15mm의 폭으로 은 페이스트를 코팅하고, 그 도전면(ITO 필름 형성면(22a) 측)에, 박리 라이너를 박리한 샘플(21)의 감압 점착면을 접합하여, 적층체(샘플(21)과 도전성 PET 필름(22)의 적층체)(저항값 측정용 샘플)를 제조하였다. 적층체를 23℃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60℃, 95% RH와 80℃의 각각의 환경 하에서 250시간 방치한 후, 「부착 직후의 저항값」에 대한 「적층체를 60℃, 95% RH에서 250시간 방치한 후의 저항값」의 비율(%) [=(적층체를 60℃, 95% RH에서 250시간 방치한 후의 저항값)/(부착 직후의 저항값)×100(%)], 및 「부착 직후의 저항값」에 대한 「적층체를 80℃에서 250시간 방치한 후의 저항값」의 비율(%)[=(적층체를 80℃에서 250시간 방치한 후의 저항값)/(부착 직후의 저항값)×100(%)]을 각각 측정하였다. 상기의 저항값은, 히오키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Hioki Electric Co., Ltd.) 제조의 「3540 밀리옴 하이테스터(Miliohm Hightester)」를 사용하여, 적층체의 양단부의 은 페이스트 부분(22b)에 전극을 부착시켜서 측정하였다.
「부착 직후의 저항값」에 대한 「적층체를 60℃, 95% RH에서 250시간 방치한 후의 저항값」의 비율, 및 「부착 직후의 저항값」에 대한 「적층체를 80℃에서 250시간 방치한 후의 저항값」의 비율이 모두 120% 미만이면, 내부식성 「양호」, 어느 하나의 비율이 120% 이상이면, 내부식성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표 1에서 「내부식성」의 란에 나타낸다.
블랭크로서 감압 점착 시트를 접합하지 않는 도전성 PET 필름만을 사용하여 동일한 시험을 행한 결과, 「적층체를 250시간 방치하기 전의 저항값」에 대한 「적층체를 250시간 방치한 후의 저항값」의 비율은 각각 80℃에서는 110%, 60℃, 95% RH의 조건에서는 120%이었다.
(8) 단차 흡수성
PET 필름(도요보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상품명 「A4100」, 두께 188μm)의 한쪽면 상에, 스크린 인쇄에 의해 두께 4μm의 흑색 인쇄를 3회 실시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레임 형상의 흑색 인쇄층(인쇄층 두께: 12μm, 외형 치수: 길이 60mm × 폭 42mm)을 갖는 PET 필름(크기: 길이 60mm × 폭 42mm)을 제조하였다.
계속해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감압 점착 시트(크기: 길이 60mm × 폭 42mm)의 감압 점착면(한쪽의 감압 점착면)을, 상기 흑색 인쇄층을 갖는 PET 필름의 흑색 인쇄층의 표면에, 라미네이터(선압: 5kg/cm)로 접합하였다.
흑색 인쇄층을 갖는 PET 필름과 양면 감압 점착 시트의 적층체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고, 상기 적층체의 감압 점착면측을, 미리 유리 기재 상에 접합한 PET 필름(도요 스피닝 컴퍼니, 리미티드(Toyo Spinning, Co., Ltd.) 제조, 상품명 「A4300」, 두께 125μm) (크기: 길이 60mm × 폭 42mm)에 라미네이터(선압: 5kg/cm)로 접합하여, 측정용 샘플(도 7 참조)을 제조하였다.
상기 측정용 샘플을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50℃, 0.5MPa의 조건 하에서 15분간 처리한 후, 유리 기재측에서 육안으로 단차 부분의 기포 또는 들뜸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단차 부분에 기포 또는 들뜸이 전혀 없을 경우에는 「A」(단차 흡수성 양호), 기포 또는 들뜸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B」(단차 흡수성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결과는 표 1에서의 「단차 흡수성」의 란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82532040-pat00001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면 감압 점착 시트(실시예)는, 가습에 의해 백탁화하지 않는다. 또한, 고온 환경 하 및 고온 고습 환경 하의 어떤 경우든 발포(기포)이나 박리가 발생하지 않으며, 내구성도 우수하였다. 한편, 양면 감압 점착 시트의 박리 거리(아크릴에 대한) 및/또는 박리 거리(PET에 대한)가 지나치게 클 경우(비교예 1, 2 및 4)에는, 내구성이 불량하고, 60℃, 95% RH의 환경 하에 120시간 보존한 후의 감압 점착제층의 수분율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비교예 3)에는, 가습에 의해 백탁화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그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재되었지만, 그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원은 2010년 10월 21일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0-236316호에 기초한 것이며, 그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1) 60℃, 95% RH의 환경 하에 120시간 보존한 후의 수분율이 0.65중량% 이상이고,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측정되는 85℃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이 5.0×104 내지 5.0×105Pa인 감압 점착제층을 포함하며,
피착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판인 경우의 하기의 정 하중 박리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박리 거리가 30mm 이하이고, 피착체가 아크릴판인 경우의 하기의 정 하중 박리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박리 거리가 30mm 이하인,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정 하중 박리 시험:
피착체의 한쪽면에, 폭 20mm 및 길이 60mm 크기의 감압 점착 시트의 감압 점착제층의 표면을 접합한 후,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50℃, 5 기압의 조건 하에서 15분간 처리하고, 그 후, 23℃, 50% RH의 조건 하에서, 감압 점착 시트의 길이 방향의 말단에, 피착체의 표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100gf의 하중을 가하고, 3시간 경과 후의 감압 점착 시트의 박리 거리를 측정함
(2) (1)에 있어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측정되는, 순수에 의해 100℃, 45분의 조건 하에서 추출된 아크릴산 이온 및 메타크릴산 이온의 합계량이, 상기 감압 점착제층의 단위 면적당 20ng/cm2 이하인,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3)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감압 점착제층의 겔 분율이 40 내지 95%인,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감압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100중량%)에 대하여,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5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5) (4)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100중량%)에 대하여, 단량체 성분으로서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를 10 내지 25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7)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PET판 또는 아크릴판
12: 감압 점착 시트(또는 측정용 샘플(감압 점착 시트/PET 필름))
13: 추
14: 측정 개시 시에 감압 점착 시트(또는 측정용 샘플)과 PET판 또는 아크릴판이 밀착하고 있는 말단 위치
15: 3시간 경과 후에 감압 점착 시트(또는 측정용 샘플)과 PET판 또는 아크릴판이 밀착하고 있는 말단 위치
16: 박리 거리
21: 샘플
21a: PET 필름
21b: 감압 점착 시트(양면 감압 점착 시트)
22: 도전성 PET 필름
22a: 도전성 PET 필름의 ITO 필름 형성면
22b: 도전성 PET 필름에서 은 페이스트 부분
31: PET 필름
32: 흑색 인쇄층
33: 양면 감압 점착 시트(아크릴계 감압 점착제층)
34: PET 필름
35: 유리 기재
36: 단차 부분

Claims (7)

  1. 60℃, 95% RH의 환경 하에 120시간 보존한 후의 수분율이 0.65중량% 이상이고,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측정되는 85℃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이 5.0×104 내지 5.0×105Pa인 감압 점착제층을 포함하며,
    상기 감압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100중량%)에 대하여,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5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감압 점착제층은, 용제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피착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판인 경우의 하기의 정 하중 박리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박리 거리가 30mm 이하이고, 피착체가 아크릴판인 경우의 하기의 정 하중 박리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박리 거리가 30mm 이하인,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정 하중 박리 시험:
    피착체의 한쪽면에, 폭 20mm 및 길이 60mm 크기의 감압 점착 시트의 감압 점착제층의 표면을 접합한 후,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50℃, 5 기압의 조건 하에서 15분간 처리하고, 그 후, 23℃, 50% RH의 조건 하에서, 감압 점착 시트의 길이 방향의 말단에, 피착체의 표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100gf의 하중을 가하고, 3시간 경과 후의 감압 점착 시트의 박리 거리를 측정함
  2. 제1항에 있어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측정되는, 순수에 의해 100℃, 45분의 조건 하에서 추출된 아크릴산 이온 및 메타크릴산 이온의 합계량이, 상기 감압 점착제층의 단위 면적당 20ng/cm2 이하인,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점착제층의 겔 분율은 40 내지 95%인,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합계량(100중량%)에 대하여, 단량체 성분으로서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를 10 내지 25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10107977A 2010-10-21 2011-10-21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KR101889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36316A JP5968587B2 (ja) 2010-10-21 2010-10-21 光学用粘着シート、光学フィルムおよび表示装置
JPJP-P-2010-236316 2010-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681A KR20120041681A (ko) 2012-05-02
KR101889555B1 true KR101889555B1 (ko) 2018-08-17

Family

ID=4491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977A KR101889555B1 (ko) 2010-10-21 2011-10-21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95337B2 (ko)
EP (1) EP2444465A3 (ko)
JP (1) JP5968587B2 (ko)
KR (1) KR101889555B1 (ko)
CN (1) CN102453445B (ko)
TW (1) TWI5950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0089B2 (ja) * 2011-03-31 2015-10-07 Dic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2012229372A (ja) * 2011-04-27 2012-11-22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6001255B2 (ja) * 2011-11-15 2016-10-0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6057600B2 (ja) * 2012-08-09 2017-01-1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JP2014047254A (ja) * 2012-08-30 2014-03-17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シート、積層体、及び板の剥離方法
JP6049474B2 (ja) * 2013-01-25 2016-12-21 株式会社ニトムズ 皮脂吸収拡散フィルム
KR102232000B1 (ko) * 2013-02-14 2021-03-2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용 점착제층, 점착 시트, 광학 부재 및 터치 패널
JP6407527B2 (ja) * 2013-02-14 2018-10-1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層、粘着シート、光学部材、及びタッチパネル
JP6508869B2 (ja) * 2013-02-14 2019-05-0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光学部材、及びタッチパネル
JP6271156B2 (ja) * 2013-02-14 2018-01-3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光学部材、及びタッチパネル
US20140227502A1 (en) * 2013-02-14 2014-08-14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optical us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ptical component and touch panel
JP6062759B2 (ja) * 2013-02-15 2017-01-1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光学用粘着シート、光学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JP6073173B2 (ja) 2013-03-29 2017-02-0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1775187B1 (ko) * 2013-04-05 2017-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JP6133674B2 (ja) * 2013-04-30 2017-05-2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の製造方法
JP6104706B2 (ja) * 2013-05-21 2017-03-2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JP6261115B2 (ja) * 2013-09-19 2018-01-1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6249215B2 (ja) * 2013-12-20 2017-12-20 Dic株式会社 接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934443B2 (ja) * 2014-03-28 2021-09-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WO2015145771A1 (ja) * 2014-03-28 2015-10-0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CN109554143A (zh) * 2014-03-31 2019-04-02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学膜用粘合剂组合物、光学膜用粘合剂层、带粘合剂层的光学膜和图像显示装置
JP2015212359A (ja) * 2014-04-17 2015-11-26 日東電工株式会社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WO2016010031A1 (ja) * 2014-07-16 2016-01-2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18332B2 (ja) * 2014-08-07 2017-10-25 藤森工業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のロール体の製造方法
JP6207087B2 (ja) * 2014-08-07 2017-10-04 藤森工業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透明導電性フィルム
CN111704865A (zh) * 2014-11-01 2020-09-25 三星Sdi株式会社 粘合剂膜以及包含粘合剂膜的显示部件
WO2016068423A1 (ko) 2014-11-01 2016-05-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6172127B2 (ja) * 2014-11-28 2017-08-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ーハーネス
KR102257987B1 (ko) * 2014-12-16 2021-05-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용 투명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492516B2 (en) * 2014-12-23 2022-11-08 Samsung Sdi Co., Ltd. Adhesive film and display member including the same
JP6454545B2 (ja) * 2014-12-26 2019-01-1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6635727B2 (ja) * 2015-01-22 2020-01-29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TWI621525B (zh) * 2015-03-31 2018-04-21 住友化學股份有限公司 光學積層體、液晶顯示裝置、黏著劑組成物及光學膜
JP6525726B2 (ja) * 2015-05-21 2019-06-0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KR101814247B1 (ko) 2015-06-30 2018-01-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JP5956044B1 (ja) * 2015-10-07 2016-07-20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液晶表示装置
JP6611252B2 (ja) * 2016-03-28 2019-11-2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半導体加工用シート
EP3225669B1 (en) * 2016-03-31 2020-12-30 Nitto Denko Corporation Surface protection sheet
US10676654B2 (en) * 2016-04-22 2020-06-09 Samsung Sdi Co., Ltd. Adhesive film,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EP3536756B1 (en) * 2016-11-07 2022-01-05 Kaneka Corporation Adhesive composition
JP6403353B2 (ja) * 2017-09-01 2018-10-10 藤森工業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3686258A4 (en) * 2017-11-10 2020-11-11 LG Chem, Ltd. OPTICAL LAMINATE
EP3715428B1 (en) * 2017-11-30 2022-10-26 Shanjin Optoelectronics (Suzhou) Co.,LTD. Optical laminate
JP7260999B2 (ja) * 2017-12-04 2023-04-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KR102500919B1 (ko) * 2018-02-05 2023-02-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 박리 방법
JP2020073704A (ja) * 2020-02-17 2020-05-1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CN111273389B (zh) * 2020-04-02 2022-05-06 佛山纬达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低成本高耐候性能的车载显示器用偏光片
JP2022061624A (ja) * 2020-10-07 2022-04-1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2183745A (ja) 2021-05-31 2022-12-13 味の素株式会社 粘着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電子デバイ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1106A (ja) * 1998-01-27 2002-01-15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非白化エマルジョン感圧接着剤
JP2004263084A (ja) * 2003-03-03 2004-09-24 Nitto Denko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の直貼り用粘着剤
JP2007091918A (ja) * 2005-09-29 2007-04-12 Dainippon Ink & Chem Inc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7246879A (ja) 2006-02-17 2007-09-27 Lintec Corp 電磁波遮蔽フィルムと光学機能性フィルムとの貼合用粘着剤、及び前記粘着剤を含むディスプレイパネルフィルター要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4839B1 (en) * 1995-08-25 2004-11-30 Avery Dennison Corporation Water-activated polymers and adhesive image transfer technique
WO1999005215A1 (fr) * 1997-07-28 1999-02-04 Kaneka Corporation Composition adhesive polymerisable
US6558790B1 (en) * 1999-11-30 2003-05-06 Avery Dennison Corporation Water vapor-perme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JP4230080B2 (ja) * 2000-02-18 2009-02-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ウエハ貼着用粘着シート
JP5049426B2 (ja) 2000-08-31 2012-10-17 日東電工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剤の製造法
JP3880418B2 (ja) 2002-02-21 2007-02-14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表示装置への貼着固定方法
JP4151828B2 (ja) 2002-05-29 2008-09-17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4493273B2 (ja) 2003-01-29 2010-06-30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4507774B2 (ja) * 2003-09-10 2010-07-21 住友化学株式会社 アクリ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TW200510501A (en) 2003-09-10 2005-03-16 Sumitomo Chemical Co Acrylic resin composition
US7070051B2 (en) * 2004-03-26 2006-07-04 Atrion Medical Products, Inc. Needle counter device including troughs of cohesive material
JP5085145B2 (ja) * 2006-03-15 2012-11-28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226232B2 (ja) * 2007-03-15 2013-07-0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2009058859A (ja) * 2007-09-03 2009-03-19 Sumitomo Chemical Co Ltd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積層体
JP5332315B2 (ja) * 2007-09-03 2013-11-06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4531099B2 (ja) 2007-09-06 2010-08-2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製品、ディスプレイ
US8361633B2 (en) * 2008-10-03 2013-01-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oud point-resistant adhesives and laminates
JP5199917B2 (ja) * 2009-02-25 2013-05-1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粘着型機能性フィルム
JP2010236316A (ja) 2009-03-31 2010-10-21 Fujikura Ltd 挟み込み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1106A (ja) * 1998-01-27 2002-01-15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非白化エマルジョン感圧接着剤
JP2004263084A (ja) * 2003-03-03 2004-09-24 Nitto Denko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の直貼り用粘着剤
JP2007091918A (ja) * 2005-09-29 2007-04-12 Dainippon Ink & Chem Inc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7246879A (ja) 2006-02-17 2007-09-27 Lintec Corp 電磁波遮蔽フィルムと光学機能性フィルムとの貼合用粘着剤、及び前記粘着剤を含むディスプレイパネルフィルター要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68587B2 (ja) 2016-08-10
TW201226516A (en) 2012-07-01
EP2444465A3 (en) 2016-05-11
CN102453445A (zh) 2012-05-16
KR20120041681A (ko) 2012-05-02
US9695337B2 (en) 2017-07-04
JP2012087240A (ja) 2012-05-10
US20120100359A1 (en) 2012-04-26
EP2444465A2 (en) 2012-04-25
TWI595066B (zh) 2017-08-11
CN102453445B (zh)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555B1 (ko)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KR101857303B1 (ko) 광학용 점착 시트
JP5758647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KR101667057B1 (ko) 광학용 점착 시트
KR101749758B1 (ko) 광학용 점착 시트
EP2537903A2 (en) Optical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20130005928A1 (en) Optical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ptical member, touch panel, image display device, and separating method
US20130123417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20130123450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W201408753A (zh) 雙面壓感黏著片材、積層體及板剝離方法
TW201302968A (zh) 壓感黏著劑機能膜及顯示裝置
TW201329187A (zh) 黏著劑組合物、及黏著片
TW201335311A (zh) 丙烯酸系壓感黏著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