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574B1 -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574B1
KR101886574B1 KR1020170074321A KR20170074321A KR101886574B1 KR 101886574 B1 KR101886574 B1 KR 101886574B1 KR 1020170074321 A KR1020170074321 A KR 1020170074321A KR 20170074321 A KR20170074321 A KR 20170074321A KR 101886574 B1 KR101886574 B1 KR 101886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plate
unit
base portion
alo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홍석
이장욱
정광운
조상범
최광민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4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7Tool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up plates, panels or slab 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96Repairing or restoring faca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내면이 격납 건물의 내부와 대향하는 라이너 플레이트와, 라이너 플레이트의 외면을 둘러싸는 콘크리트벽을 포함하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은 격납 건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구조물과 라이너 플레이트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에서, 라이너 플레이트의 내면을 따라 지면에 수평한 방향인 수평 방향 및 지면에 수직한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이송되며 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유닛; 및 작업 유닛을, 라이너 플레이트의 내면을 따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REPAIR SYSTEM OF CONTAINMENT WALL}
본 발명은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격납 건물 및 격납 건물의 격납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격납벽의 측단면도 및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격납벽의 보수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자로 건물과 같은 격납 건물(1)의 격납벽(10)은 격납 건물 라이너 플레이트(Containment Liner Plate)(11)와 콘크리트벽(19)을 포함한다. 격납 건물 라이너 플레이트란, 격납벽(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강판으로, 격납 건물의 누설 방지 기능의 유지 등을 위해 설치되는 강판을 의미한다. 그리고 격납벽(10)의 외측에는 라이너 플레이트(11)를 둘러싸는 콘크리트벽(19)이 형성된다.
그런데 원자로 건물과 같은 격납 건물의 설치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고, 설치과정 및 격납 건물의 사용 중에 라이너 플레이트(11)와 콘크리트벽(19) 사이로 이물질, 해수비말, 염분 등이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인으로 콘크리트벽(19)과 접촉되는 라이너 플레이트(11)가 부식될 수 있다.
따라서 라이너 플레이트(11)에 부식이 발생한 격납벽의 보수를 위해 종래에는 격납 건물의 외부에서 부식이 발생한 부분의 콘크리트벽과 라이너 플레이트를 제거한 후, 제거된 라이너 플레이트를 대체하기 위해 새로운 라이너 플레이트를 결합하고, 콘크리트벽이 제거된 부분에 새로 콘크리트벽을 양생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보수 방법은, 라이너 플레이트와 콘크리트벽을 모두 제거하기 때문에, 새로 콘크리트벽을 양생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으며,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격납 건물의 내부에서 손상된 부분(X)이 발생한 라이너 플레이트(11)의 일부를 제거하고, 제거된 라이너 플레이트를 대체하기 위한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보수 공정을 통해 격납 건물의 격납 벽을 보수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격납 건물의 내부에는 다른 내부 구조물(15) 등이 위치할 수 있고, 내부 구조물(15)과 라이너 플레이트 사이(11)에 매우 협소한 공간만 마련되는 경우, 격납 건물의 내부에서 라이너 플레이트(11)를 보수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협소한 공간에 작업자가 들어가서 직접 보수 작업을 실시하면 작업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보수에도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격납 건물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격납벽을 보수할 수 있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내면이 격납 건물의 내부와 대향하는 라이너 플레이트와, 라이너 플레이트의 외면을 둘러싸는 콘크리트벽을 포함하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은 격납 건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구조물과 라이너 플레이트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에서, 라이너 플레이트의 내면을 따라 지면에 수평한 방향인 수평 방향 및 지면에 수직한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이송되며 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유닛; 및 작업 유닛을, 라이너 플레이트의 내면을 따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유닛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내면이 격납 건물의 내부와 대향하는 라이너 플레이트와, 라이너 플레이트의 외면을 둘러싸는 콘크리트벽을 포함하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은 라이너 플레이트의 내면을 따라, 지면에 수평한 방향인 수평 방향 및 지면에 수직한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이송되며 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유닛; 및 작업 유닛을, 라이너 플레이트의 내면을 따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유닛을 포함하고, 이송 유닛은, 절단해야 하는 라이너 플레이트의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인 작업 영역에서 수평 방향에 따른 양측 말단에 설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수직 가이드와, 라이너 플레이트의 내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양단이 한 쌍의 수직 가이드에 각각 연결되며, 수직 가이드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평 가이드를 포함하고, 작업 유닛은, 수평 가이드에 장착되며, 수평 가이드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거나, 수평 가이드가 수직 가이드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송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라이너 플레이트의 내면을 따라 이송되는 작업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격납 건물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보수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직접 격납 건물의 내부에서 보수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격납 건물의 외부에서 작업 유닛을 이송시키면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격납벽의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격납 건물 및 격납 건물의 격납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격납벽의 측단면도 및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격납벽의 보수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유닛과 이송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장치가 설치된 작업 유닛과 이송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장치가 작업 유닛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핑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유닛이 수평 가이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유닛과 이송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장치가 설치된 작업 유닛과 이송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라이너 플레이트에서 내부 구조물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작업 유닛과 이송 유닛을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격납벽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은 내면이 격납 건물의 내부와 대향하는 라이너 플레이트와, 라이너 플레이트의 외면을 둘러싸는 콘크리트벽을 포함하는 격납벽을 보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작업 유닛(100), 이송 유닛(200), 감지 유닛(190, 도 11 참조) 및 제어 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작업자는 제어 유닛을 제어하여 이송 유닛(200)이 작업 유닛(100)을 라이너 플레이트(11)의 내면을 따라 지면에 수평한 방향인 수평 방향 및 지면에 수직한 방향이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하고, 작업 유닛(100)이 라이너 플레이트(11)의 내면을 따라 이송되며 도 3에 도시된 순서에 따라 보수 작업을 수행하게 한다. 즉, 작업 유닛(100)은 격납 건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구조물(15)과 라이너 플레이트(11)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에서 이송되면서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감지 유닛(190)은 라이너 플레이트(11)의 내면을 따라 이송되고 있는 작업 유닛(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이송 유닛(200), 작업 유닛(100) 및 감지 유닛(19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송 유닛
먼저, 이송 유닛(200)에 대해 설명한다. 이송 유닛(200)은 수평 가이드(210)와 수직 가이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가이드(22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한 쌍으로 마련된 제1 수직 가이드(221)와 제2 수직 가이드(2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 가이드(221, 222)는 작업 영역(Y)에서 수평 방향에 따른 양측 말단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 영역(Y)이란 절단해야 하는 라이너 플레이트(11)의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 즉 라이너 플레이트(11)에서 손상된 부분(X)이 형성된 영역의 주변 영역을 말한다(도 3 참조).
수평 가이드(210)는 라이너 플레이트(11)의 내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납 건물의 격납벽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수평 가이드(210) 역시 라이너 플레이트(11)의 내면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 가이드(210)의 양단은 한 쌍의 수직 가이드(221, 222)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수평 가이드(210)는 수직 가이드(22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쌍의 수직 가이드(221, 222)는 일측에 구비된 마그네틱 블록(221a, 222a)을 통해 라이너 플레이트(11)에 부착될 수 있고, 수평 가이드(210)를 수직 가이드(22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가이드 모터(221b, 22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작업자는 제어 유닛을 조작하여 작업 유닛(100)을 라이너 플레이트(11)의 내면을 따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 유닛(100)은 수평 가이드(210)에 장착되며, 수평 가이드(21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는, 수평 가이드(210)가 수직 가이드(22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수평 가이드(210)에 장착된 작업 유닛(100) 역시 수직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수직 가이드(220)가 이격된 거리는 작업 유닛(100)이 수평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거리를 결정할 수 있고, 수직 가이드(22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작업 유닛(100)이 수직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작업 유닛
도 6을 참조하면, 작업 유닛(100)은 제1 베이스부(110), 제2 베이스부(120), 제3 베이스부(130), 작업부(150) 및 고정부(170, 도 6, 도 7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도 6에서는 작업부(150)로서 드릴 장치(151)가 설치된 작업 유닛(100)을 도시하고 있으나, 작업부는 후술하는 다른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확대도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정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먼저, 제1 베이스부(110)는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 가이드(2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작업 유닛(100)은 제1 베이스부(110)가 수평 가이드(210)에 장착되어 있을 때, 제1 베이스부(110)의 상측에서 라이너 플레이트(11)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 제1 지지부(111)와, 제1 베이스부(110)의 하측에서 라이너 플레이트(11)를 향해 연장되게 형상된 제2 지지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111)의 라이너 플레이트(11) 측의 말단에는 수평 가이드(210)의 상측 가장자리가 삽입되기 위한 제1 홈(111a)이 마련될 수 있고, 제2 지지부(112)의 라이너 플레이트(11) 측의 말단에는 수평 가이드(210)의 하측 가장자리가 삽입되기 위한 제2 홈(112a, 도 6 참조)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0)는, 수평 가이드(210)의 상측 가장자리가 제1 지지부(111)의 하측에서 제1 홈(111a)에 삽입됨으로써 수평 가이드(210)에 의해 지지되며, 수평 가이드(210)의 하측 가장자리가 제2 지지부(112)의 상측에서 제2 홈(112a)에 삽입됨으로써, 제1 베이스부(11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때 수평 가이드(21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이때 제1 베이스부(11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이송 유닛(200)은 제1 베이스부(110)에 구비되는 피니언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수평 가이드(210)에 구비된 렉 기어(210a)에 제1 베이스부(110)에 구비된 피니언 기어(110a, 도 5 참조)가 맞물려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1 베이스부(11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평 가이드(210)는 수직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된 제1 수평 가이드(211)와 제2 수평 가이드(21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수평 가이드(211)와 제2 수평 가이드(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된 렉 기어(210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제어 유닛을 조작하여 피니언 기어(110a)를 회전시키면 피니언 기어(110a)가 렉 기어(210a)에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제1 베이스부(110)가 수평 가이드(21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제1 베이스부(110)들에도 피니언 기어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6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부(150)로서 드릴 장치(151)가 설치된 작업 유닛(100)을 도시하고 있다. 작업부(150)는 제1 베이스부(11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되어 실질적인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베이스부(110)가 수평 가이드(210) 및 수직 가이드(220)를 따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베이스부(110)에 설치된 작업부(150)는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120)는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1 베이스부(110)에 설치될 수 있고, 제3 베이스부(130)는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3 베이스부(13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작업부(150)는 제3 베이스부(13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작업부(150)는 제2 베이스부(120)가 제1 베이스부(110) 위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제3 베이스부(130)가 제2 베이스부(120) 위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 베이스부(110)를 라이너 플레이트(11)의 내면을 따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작업부(150)를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위치에 이송시킨 후, 제2 베이스부(120) 및 제3 베이스부(130)를 제1 베이스부(110) 위에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더 이동시켜 작업부(15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작업 유닛(100)은 제1 베이스부(110)에 설치되는 서브 수평 가이드(115)와 제2 베이스부(120)에 설치되는 서브 수직 가이드(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120)는 서부 수평 가이드(210)에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3 베이스부(130)는 서브 수직 가이드(125)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브 수평 가이드(115)는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길이 방향에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1 베이스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베이스부(120)는 서브 수평 가이드(115)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며 삽입되는 결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수평 가이드(115)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미도시)가 마련되고, 결합부(121)의 내부에는 수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사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서브 수평 가이드(115)가 회전되면 수나사부와 암나사부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제2 베이스부(120)가 제1 베이스부(110) 위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베이스부(110)에는 서브 수평 가이드(115)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평 구동기어(119)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서브 수평 가이드(115)의 반대 측에는 제2 베이스부(120)의 수평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16)이 마련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 레일(116) 대신 서브 수평 가이드(115)가 한 쌍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3 베이스부(130)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은 서브 수직 가이드(125), 결합부(131) 및 가이드 레일(126)을 통해 제2 베이스부(12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과 방향만 다를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리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베이스부(120)에 구비된 수직 구동기어(129)를 통해 서브 수직 가이드(125)를 회전시키면, 제3 베이스부(130)는 서브 수직 가이드(125)에 연결된 결합부(131)를 통해, 서브 수직 가이드(125)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장치가 작업 유닛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고정부(170)에 대해 설명한다.
고정부(170)는 제1 베이스부(110)에 설치되며, 제1 베이스부(110)가 소정 위치로 이동됐을 때 제1 베이스부(110)를 소정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70)는 제1 베이스부(110)에 설치되는 고정부 본체(171)와, 고정부 본체(171)에서 돌출되는 로드(17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드(173)는 제1 베이스부(110)에서 라이너 플레이트(11)를 향하는 방향인 외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외측 로드(173a) 및 제1 베이스부(110)에서 내부 구조물(15)을 향하는 방향인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내측 로드(173b)를 포함하여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0)가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 제1 베이스부(11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외측 로드(173a)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라이너 플레이트(11)를 가압하고, 내측 로드(173b)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부 구조물(15)을 가압할 수 있다. 외측 로드(173a) 및 내측 로드(173b)가 라이너 플레이트(11)와 내부 구조물(15) 사이에서 양측을 가압함으로써, 제1 베이스부(110)가 라이너 플레이트(11)와 내부 구조물(15) 사이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 로드(173a) 및 내측 로드(173b)의 말단에는 가압부재(174a, 174b)가 각각 마련되어, 제1 베이스부(110)가 소정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부(170)에는 시각부(160)가 설치되어, 작업자는 시각부(160)를 통해 작업부(150)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감지 유닛
감지 유닛(190)은 작업 유닛(100)에 장착되어 작업 유닛(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도 11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 유닛(190)은, 소정의 기준점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의 인출량에 기초하여 작업 유닛(1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와이어 엔코더가 사용될 수 있다.
와이어 엔코더가 작업 유닛(100)에 장착되고, 작업 유닛(100)의 이동에 따라 와이어 엔코더로부터 소정의 기준점까지 인출된 와이어의 인출량을 측정하여 작업 유닛(1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감지 유닛(190)은 와이어 엔코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 유닛(1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감지 유닛(190)이 도 10에만 도시되어 있으나, 모든 작업 유닛(100)에 설치될 수 있다.
격납벽의 보수 공정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을 이용한 격납벽의 보수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3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라이너 플레이트(11)에 손상된 부분(X)이 발생한 경우 손상된 부분(X)이 형성된 영역의 라이너 플레이트(11)를 제거한다. 이를 위해 도 3의 (a) 내지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단하고자 하는 영역의 꼭짓점에 구멍을 뚫고(도 3의 (b) 참조), 각 구멍을 연결하는 선을 따라 라이너 플레이트(11)를 절단한다(도 3의 (c) 참조).
그리고 절단하고자 하는 영역의 꼭짓점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드릴 장치(151)를 포함하는 작업부(150)가 설치된 작업 유닛(100)이 이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업부(150)는 라이너 플레이트(11)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 장치(151)와, 드릴 장치(151)가 설치되는 본체(15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제3 베이스부(130)에 설치되며, 외측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도 7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는 공압 실린더로 형성되어, 공기 주입구(155a)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의 주입 정도에 따라 실린더가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내측 방향으로 축소되도록 하여 드릴 장치(151)의 위치를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드릴 장치(151)가 설치된 작업 유닛(100)은, 수평 가이드(210) 및 수직 가이드(220)를 따라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위치로 이송되고, 서브 수평 가이드(115) 및 서브 수직 가이드(125)를 따라 제3 베이스부(130)가 미세 이송되어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위치에 정확히 위치할 수 있다.
작업 유닛(100)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면, 작업자는 제어 유닛을 제어하여 드릴 장치(151)를 작동시키고, 본체가 라이너 플레이트(11)를 향해 외측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하면서 원하는 위치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네 꼭짓점에 구멍이 형성되면, 라이너 플레이트(11)에서 손상된 부분(X)을 절단하기 위해 절단 장치(251)를 포함하는 작업부(250)가 설치된 작업 유닛(100)이 이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지지부(111) 및 제2 지지부(112)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8을 참조하면, 작업부(250)는 절단 장치(251)가 장착되고, 내부 구조물(15)에서 라이너 플레이트(11)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제1 베이스부(110)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본체(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단 장치(251)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단 그라인더가 사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수평 방향을 따라 라이너 플레이트(11)를 절단하기 위해, 절단 그라인더가 수평 방향을 따라 절단 가능하게 본체(255)를 회전시킨 후, 작업 유닛(100)이 수평 가이드(21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면서 라이너 플레이트(11)를 절단할 수 있다.
수평 방향으로의 절단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절단 그라인더가 수직 방향을 따라 절단 가능하게 본체를 회전시킨 후, 수평 가이드(210)가 수직 가이드(22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면서 라이너 플레이트(11)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다.
이때 본체(255)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본체(255)는 회전판(256)에 연결되어 회전판(256)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판(256)은 제1 베이스부(11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되고, 외주에 톱니(256a)가 구비되며, 제3 베이스부(130)에 설치되어 톱니(256a)와 맞물려 회전하는 구동 기어(257)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라이너 플레이트(11)에서 손상된 부분(X)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절단이 완료되면, 도 3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단된 라이너 플레이트를 이송한다. 절단된 라이너 플레이트의 이송을 위해 이송 장치(351)를 포함하는 작업부(350)가 설치된 작업 유닛(100)이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라이너 플레이트(11)는 일반적으로 강판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송 장치(351)는 절단된 라이너 플레이트를 파지하기 위한 전자석이 사용될 수 있고, 작업부(350)는 이송 장치(351)가 설치되는 본체(35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55)는 공압 실린더가 사용되어 이송 장치(351)를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먼저, 작업자는 작업 유닛(100)을 절단된 라이너 플레이트를 파지하기 위한 위치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본체(355)가 라이너 플레이트(11)를 향해 연장되게 하여 전자석과 절단된 라이너 플레이트를 접촉시키고, 전자석이 자성을 갖도록 제어하여 절단된 라이너 플레이트를 파지할 수 있다. 절단된 라이너 플레이트를 파지한 후 본체(355)는 내측 방향으로 변위되게 하여 절단된 라이너 플레이트를 제거할 수 있다.
손상된 부분(X)을 포함하는 라이너 플레이트가 제거되면, 콘크리트벽(19)에 묻어있는 라이너 플레이트에 손상을 일으키는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콘크리트 벽(19)의 표면 일부를 제거하는 치핑 작업을 실시한다. 이를 위해 치핑 장치(451)를 포함하는 작업부(450)가 설치된 작업 유닛(100)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핑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치핑 장치(451)는 콘크리트벽(19)의 표면을 깎기 위한 치핑 블레이드가 사용될 수 있고, 작업부(450)는 치핑 장치(451)가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455)는 마찬가지로 공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고, 작업자는 절단된 라이너 플레이트가 제거되어 드러난 콘크리트벽(19) 부분을 따라 작업 유닛(100)을 이동시키면서 도 3의 (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크리트벽(19)을 치핑할 수 있다.
콘크리트벽(19)의 치핑 작업이 완료되면, 도 3의 (f)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송 장치(351)를 포함하는 작업부(350)가 설치된 작업 유닛(100)을 이용하여 제거된 라이너 플레이트를 대체하기 위한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를 라이너 플레이트가 제거된 영역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의 이송을 위해 전술한 이송 장치(351)를 포함하는 작업부(350)가 설치된 작업 유닛(100)을 이용해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를 제거된 라이너 플레이트의 위치에 대체시킬 수 있다.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가 제거된 라이너 플레이트를 대체하면, 도 3의 (g)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와 제거되지 않은 기존의 라이너 플레이트(11)를 서로 용접한다. 이를 위해 용접 장치(551)를 포함하는 작업부(550)가 설치된 작업 유닛(100)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유닛이 수평 가이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업부(550)는 용접 장치(551)를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5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장치(555)의 구동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구동 모터와 구동 기어를 이용하여 용접 장치(551)를 변위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 유닛(100)을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와 기존의 라이너 플레이트(11)가 접하는 부분을 따라 이송시키면서 용접 장치(551)를 이용하여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와 기존의 라이너 플레이트(11)를 서로 용접할 수 있다. 용접 장치(551)는 용접부(551a)를 포함하며 용접부(551a)가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와 기존의 라이너 플레이트(11) 사이의 경계를 따라 이송되도록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용접 장치(551)에는 용접 시각부(551b)가 마련되어 작업자는 용접 상태를 더욱 상세하게 확인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기존의 라이너 플레이트(11)와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가 서로 결합되면, 콘크리트벽(19)이 제거되어 형성된 공간에 충전재를 주입한다. 이를 위해 소정 공간에 충전재를 주입하기 위한 충전 장치(651)를 포함하는 작업부(650)가 설치된 작업 유닛(100)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충전 장치(651)는 충전재가 분사되는 주입부(651a)와, 충전재를 공급하는 공급부(651b)를 포함할 수 있고, 작업부(650)는 충전 장치(651)가 설치되는 본체(65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655)는 마찬가지로 공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충전재의 주입을 실시하기 위한 위치로 작업 유닛(100)을 이동시킨 후, 콘크리트벽(19)이 치핑 작업에 의해 제거되어 형성된 공간에 충전재를 주입할 수 있다.
충전재로는 수지계 충전재, 예를 들어 에폭시 또는 수지 모르타르가 이용될 수 있으며, 충전재가 주입됨으로써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와 콘크리트벽(19) 사이의 공간에 기공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다시 손상된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을 통해 격납벽을 보수하면, 작업자는 직접 격납 건물의 내부에서 보수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격납 건물의 외부에서 작업 유닛을 이송시키면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격납벽의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라이너 플레이트의 내면을 따라 이송되는 작업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격납 건물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보수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변형례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은 작업 유닛(100)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유닛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보수 시스템과 차이가 있다. 나머지 구성들은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300)은 복수 개의 이송 와이어(310)들과, 이송 와이어(310)들을 권취하는 권취 롤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이송 와이어(310)들은, 작업 영역의 꼭짓점들과 작업 유닛(100),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부(1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송 유닛(200)은 복수 개의 와이어들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작업 유닛(100)을 작업 영역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권취 롤러(320)는 각 꼭짓점들에 마련되어, 이송 와이어(310)들을 권취할 수 있다. 권취 롤러(320)는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부 구조물(15)에 마련될 수도 있고, 라이너 플레이트(11)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권취 롤러(320)에 의해 어느 한쪽의 와이어가 권취되어 그 길이가 짧아지면, 작업 유닛(100)은 짧아진 와이어의 길이만큼 권취되는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고, 각 꼭짓점과 작업 유닛(1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면, 작업 영역 내의 모든 위치에 작업 유닛(100)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 유닛(100)의 내부 구조물(15)측 면에는 작업 유닛(10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복수 개의 롤러(미도시)들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는 작업 영역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사각형의 각 꼭짓점에 권취 롤러(320)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작업 영역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격납벽
11: 라이너 플레이트
15: 내부 구조물
19: 콘크리트벽
100: 작업 유닛
110: 제1 베이스부
120: 제2 베이스부
130: 제3 베이스부
150: 작업부
160: 시각부
170: 고정부
200: 이송 유닛
210: 수평 가이드
220: 수직 가이드
300: 이송 유닛

Claims (19)

  1. 내면이 격납 건물의 내부와 대향하는 라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의 외면을 둘러싸는 콘크리트벽을 포함하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격납 건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구조물과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 공간에서,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의 내면을 따라, 지면에 수평한 방향인 수평 방향 및 지면에 수직한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이송되며 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유닛;
    상기 작업 유닛을,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의 내면을 따라 상기 수평 방향 및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유닛; 및
    상기 작업 유닛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작업 유닛에서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인 외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외측 로드 및 상기 작업 유닛에서 상기 내부 구조물을 향하는 방향인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내측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유닛이 소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작업 유닛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외측 로드가 상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를 가압하고, 또한 상기 내측 로드가 상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부 구조물을 가압하여 상기 작업 유닛이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내부 구조물 사이에 지지되게 하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절단해야 하는 라이너 플레이트의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인 작업 영역에서 상기 수평 방향에 따른 양측 말단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수직 가이드와,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의 내면을 따라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 가이드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수직 가이드를 따라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평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수평 가이드에 장착되며, 상기 수평 가이드를 따라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거나, 상기 수평 가이드가 상기 수직 가이드를 따라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송되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수평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수평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측에서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하측에서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 측의 말단에 상기 수평 가이드의 상측 가장자리가 삽입되기 위한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 측의 말단에 상기 수평 가이드의 하측 가장자리가 삽입되기 위한 제2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베이스부는, 상기 수평 가이드의 상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1 지지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1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수평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수평 가이드의 하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2 지지부의 상측에서 상기 제2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평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되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이드는,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된 제1 수평 가이드와 제2 수평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 가이드와 상기 제2 수평 가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된 렉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구비되고 상기 렉 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기 렉 기어에 맞물려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베이스부가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수평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수평 방향 및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되며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부를 포함하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제2 베이스부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제3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업부는, 상기 제3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베이스부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제3 베이스부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송되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길이 방향에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서브 수평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부는, 상기 서브 수평 가이드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며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수평 가이드가 회전하면 상기 서브 수평 가이드의 외주면에 마련된 수나사부와 상기 결합부에 마련된 암나사부가 맞물려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베이스부가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이송되게 하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 장치와, 상기 드릴 장치가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베이스부에서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인 외측 방향 및 상기 외측 방향에 반대되는 내측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에서 손상된 부분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 장치와, 상기 절단 장치가 장착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내부 구조물에서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베이스부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주를 따라 톱니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되는 회전판에 연결되고, 상기 톱니와 맞물려 회전하는 구동기어가 작동하여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상기 콘크리트벽의 표면을 깎아내기 위한 치핑 장치와 상기 치핑 장치가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베이스부에서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인 외측 방향 및 상기 외측 방향에 반대되는 내측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13.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절단된 기존 라이너 플레이트 또는 상기 기존 라이너 플레이트를 대체하기 위한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와, 상기 이송 장치가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절단된 라이너 플레이트 또는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를 자력에 의해 파지하기 위한 전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베이스부에서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인 외측 방향 및 상기 외측 방향에 반대되는 내측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용접 장치와, 상기 용접 장치를 상기 제1 베이스부에서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인 외측 방향 및 상기 외측 방향에 반대되는 내측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15.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소정 공간에 충전재를 주입하기 위한 충전 장치와, 상기 충전 장치가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베이스부에서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인 외측 방향 및 상기 외측 방향에 반대되는 내측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절단해야 하는 라이너 플레이트의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인 작업 영역의 꼭짓점들과 상기 작업 유닛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이송 와이어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이송 와이어들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작업 유닛을 상기 작업 영역 내에서 이동시키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꼭짓점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 와이어들을 권취하는 권취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 유닛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 감지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감지 유닛은, 상기 작업 유닛에 장착되며, 소정 기준점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의 인출량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유닛의 위치를 감지하는 와이어 엔코더인,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19. 내면이 격납 건물의 내부와 대향하는 라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의 외면을 둘러싸는 콘크리트벽을 포함하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의 내면을 따라, 지면에 수평한 방향인 수평 방향 및 지면에 수직한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이송되며 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유닛; 및
    상기 작업 유닛을,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의 내면을 따라 상기 수평 방향 및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유닛은, 절단해야 하는 라이너 플레이트의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인 작업 영역에서 상기 수평 방향에 따른 양측 말단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수직 가이드와,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의 내면을 따라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 가이드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수직 가이드를 따라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평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수평 가이드에 장착되며, 상기 수평 가이드를 따라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거나, 상기 수평 가이드가 상기 수직 가이드를 따라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송되는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에서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인 외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외측 로드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에서 상기 격납 건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구조물을 향하는 방향인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내측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베이스부가 소정 위치에 있을 때 제1 베이스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외측 로드가 상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를 가압하고, 또한 상기 내측 로드가 상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부 구조물을 가압하여 상기 제1 베이스부가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내부 구조물 사이에 지지되게 하는,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KR1020170074321A 2017-06-13 2017-06-13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KR101886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321A KR101886574B1 (ko) 2017-06-13 2017-06-13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321A KR101886574B1 (ko) 2017-06-13 2017-06-13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574B1 true KR101886574B1 (ko) 2018-08-07

Family

ID=63252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321A KR101886574B1 (ko) 2017-06-13 2017-06-13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5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975A (ko) * 2018-09-19 2020-03-2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격납건물 라이너플레이트 검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라이너플레이트 검사 방법
KR20210111101A (ko) 2020-03-02 2021-09-10 김홍범 원자로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 점검 및 측정장치
KR20210111102A (ko) 2020-03-02 2021-09-10 김홍범 원자로 격납건물 매립지지판 자동 가공 및 절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1882A (ja) * 1998-01-30 1999-08-06 Toshiba Corp 燃料貯蔵プール用ライニング板点検装置
JP2000258587A (ja) * 1999-03-09 2000-09-22 Toshiba Corp 原子炉内構造物の遠隔取扱装置
JP2001305270A (ja) * 2000-04-19 2001-10-31 Mitsubishi Heavy Ind Ltd 圧力容器のシート面検査装置
KR101171236B1 (ko) * 2012-06-08 2012-08-06 주식회사 에네스지 원자로 격납건물 내 라이너 플레이트 간섭물 제거장비 및 이를 이용한 간섭물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1882A (ja) * 1998-01-30 1999-08-06 Toshiba Corp 燃料貯蔵プール用ライニング板点検装置
JP2000258587A (ja) * 1999-03-09 2000-09-22 Toshiba Corp 原子炉内構造物の遠隔取扱装置
JP2001305270A (ja) * 2000-04-19 2001-10-31 Mitsubishi Heavy Ind Ltd 圧力容器のシート面検査装置
KR101171236B1 (ko) * 2012-06-08 2012-08-06 주식회사 에네스지 원자로 격납건물 내 라이너 플레이트 간섭물 제거장비 및 이를 이용한 간섭물 제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975A (ko) * 2018-09-19 2020-03-2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격납건물 라이너플레이트 검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라이너플레이트 검사 방법
KR102164938B1 (ko) * 2018-09-19 2020-10-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격납건물 라이너플레이트 검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라이너플레이트 검사 방법
KR20210111101A (ko) 2020-03-02 2021-09-10 김홍범 원자로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 점검 및 측정장치
KR20210111102A (ko) 2020-03-02 2021-09-10 김홍범 원자로 격납건물 매립지지판 자동 가공 및 절단장치
KR102388455B1 (ko) * 2020-03-02 2022-04-20 김홍범 원자로 격납건물 매립지지판 자동 가공 및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574B1 (ko) 격납벽의 보수 시스템
US8291564B2 (en) Telescoping tool assembly and method for refurbishing welds of a core shroud of a nuclear reactor vessel
CN112453798A (zh) 一种钢结构焊接工艺
US20110203823A1 (en) Robot for machining a part of structure under water
KR101171236B1 (ko) 원자로 격납건물 내 라이너 플레이트 간섭물 제거장비 및 이를 이용한 간섭물 제거방법
US9746121B2 (en) Spacer for positioning a rehabilitating pipe
JP4855288B2 (ja) 水中溶接装置
CN110295765B (zh) 一种建筑遗址迁出保护的施工方法
CN212153376U (zh) 一种截桩头用的切割设备
KR20170124252A (ko) 구조물 수직 벽면의 크랙 보수장치
KR102327866B1 (ko) 원자로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 점검 및 측정장치
JP2796256B2 (ja) 遠隔加工装置
CN109653518B (zh) 一种可质检和电磁起重精调的装配式构件高效预拼装设备
KR101206789B1 (ko)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용 관 절단장치
KR20010107393A (ko) 비굴착 방식에 의한 하수관의 가지관 및 이음부 보수장치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JP7248310B2 (ja) 管路に破断誘導部を構成する工法
KR102388455B1 (ko) 원자로 격납건물 매립지지판 자동 가공 및 절단장치
EP3530401A1 (en) Component carrier
JP2004004001A (ja) 少なくとも2つの対面する面を有するような壁によって区画されているようなプラントの領域中において保守作業を実行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A2727484C (en) Nuclear reactor retubing assembly
CN115303922B (zh) 一种特大型矿井提升机安装方法
JP7295791B2 (ja) 構造物構築方法、アタッチメント、プレキャスト製品、及び施工用機械
CN215318648U (zh) 一种圆管焊接辅助装置
KR101839552B1 (ko) 원자로 격납건물의 임시부착물 제거장치
KR100674434B1 (ko) 콘크리트 파일 내외벽 동시 컷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