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226B1 - Catheter Assembly for Endoscope - Google Patents

Catheter Assembly for Endosco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226B1
KR101881226B1 KR1020160163165A KR20160163165A KR101881226B1 KR 101881226 B1 KR101881226 B1 KR 101881226B1 KR 1020160163165 A KR1020160163165 A KR 1020160163165A KR 20160163165 A KR20160163165 A KR 20160163165A KR 101881226 B1 KR101881226 B1 KR 101881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catheter
handle
catheter body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81226B9 (en
KR20180063453A (en
Inventor
홍문기
Original Assignee
김용철
주식회사 엠케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철, 주식회사 엠케어코리아 filed Critical 김용철
Priority to KR1020160163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226B1/en
Priority to PCT/KR2016/014151 priority patent/WO2018101519A1/en
Publication of KR20180063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4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226B1/en
Publication of KR10188122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226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7End pieces at either end of the endoscope, e.g. caps, seals or forceps pl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와 광섬유를 가이드하는 카테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체내 환부를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는, 일부 구성을 일회용으로 교체하여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세척 및 소독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환부의 오염에 의한 환자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oscope cathete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doscope catheter assembl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diagnosing and treating a diseased part of a patient by using a catheter guiding a lens and an optical fiber.
The endoscope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inconvenience of washing and disinfection can be minimized and the risk of a patient caused by contamination of the affected part can be minimized by constituting the endoscope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Catheter Assembly for Endoscope}{Catheter Assembly for Endoscope}

본 발명은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와 광섬유를 가이드하는 카테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체내 환부를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oscope cathete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doscope catheter assembl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diagnosing and treating a diseased part of a patient by using a catheter guiding a lens and an optical fiber.

카테터는 환자의 진단 또는 치료의 목적으로 체내에 삽입되는 의료용 기구이다. 카테터는 길고 가느다란 관 형태로 제작된다. 카테터 관을 통해서 치료 기구를 삽입하여 환부를 고주파 치료하기도 하고 약물을 주입하여 치료 하기도 하며 조직을 절개하여 검사하기도 한다.A catheter is a medical device that is inserted into the body for the purpose of diagnosis or treatment of a patient. The catheter is made in a long, thin tube. The treatment is inserted through the catheter tube to treat the affected area with high frequency, injected with medication, or incised.

카테터는 구조에 따라 심혈관, 비뇨기과, 위장, 신경 혈관, 안과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Depending on the structure, the catheter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cardiovascular, urological, gastrointestinal, neurovascular, ophthalmic.

기존에 척추 시술용으로 사용되는 내시경도 이와 같은 카테터의 구조를 가진다. 종래의 척추용 내시경은 렌즈와 광섬유 채널뿐만 아니라 워킹 채널과 이리게이션(irrigation) 채널을 구비한다. 이리게이션 채널은 환부 세척용 수액을 주입 및 배출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워킹 채널은 치료 기구가 삽입되는 용도로 사용된다. 워킹 채널을 통해서 고주파 치료 장치가 삽입되기도 하고 조직을 절개하기 위한 치료 장치가 삽입되기도 한다. An endoscope used for spinal surgery has a catheter structure like this. Conventional spinal endoscopes include a working channel and an irrigation channel as well as a lens and a fiber channel. The irrigation channel is used for injecting and draining fluid to wash the affected area. The working channel is used to insert a therapeutic device. A high-frequency treatment device is inserted through a working channel and a treatment device for cutting the tissue is inserted.

이와 같은 종래의 척추용 내시경은 매번 세척 및 소독 후에 재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척추용 내시경에는 워킹 채널, 이리게이션 채널 등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척추용 내시경을 세척 및 소독하는 것은 번거롭고 어려운 작업이다. 채널은 길고 가느다란 관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내부의 오염 물질과 세균을 세척하고 소독하는 것은 쉽지 않다. 척추용 내시경의 세척과 소독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재사용하는 경우 환자가 세균에 노출되어 감염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Such a conventional spinal endoscope is reused after each washing and disinfec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at least one channel such as a working channel, an irrigation channel, and the like is formed in the conventional spinal endoscope, cleaning and disinfecting the spinal endoscope is a cumbersome and difficult operation. Since the channel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thin tube, it is not easy to clean and disinfect the contaminants and bacteria therein. If spinal endoscopy is reused without complete cleaning and disinfection, there is a risk that the patient will be exposed to the bacteria and become infected.

특히, 워킹 채널을 통해 여러 차례 치료 기구를 삽입하는 작업을 수행하면, 워킹 채널 내부에 흠집이 발생하여 그 부분에 오염물질이나 세균이 누적될 위험이 높아진다. Particularly, when the treatment instrument is inserted several times through the working channel, there is a risk that the working channel is scratched and the contaminants and germs accumulate on the working channel.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척추용 내시경과 달리 세척 및 소독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며 일부 구조는 일회용으로 사용한 후에 소독하지 않고 버릴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척추 내시경용 카테처 장치가 필요하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catheter apparatus for a spinal endoscope having a structure that is easy to wash and disinfect, unlike a conventional spinal endoscope as described above, and a structure in which some structures are disposable without being disinfected.

또한, 종래의 척추용 내시경 카테터의 내시경은 렌즈와 영상 장치가 연결된 비교적 고가의 장치이므로 매번 세척 및 소독 후 재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시경의 적어도 일부 구성이라도 사용후에 세척하지 않고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척추용 내시경 카테터가 필요하다.Further, the conventional endoscope of the endoscopic catheter for spine has a problem that it is required to be washed and disinfected and reused every time since it is a comparatively expensive device in which the lens and the imaging device are connect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is a need for a spinal endoscopic catheter having a structure that at least a part of the endoscope can be used after being replaced without being cleaned after use.

등록특허공보 제10-1376374호(2014.03.20.)Patent Registration No. 10-1376374 (Mar. 20, 201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교적 저가로 제작 가능한 일부 구성은 일회용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재사용하는 구성은 세척 및 소독이 용이한 구조를 가진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nee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ndoscope catheter assembly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replaced at a relatively low cost and disposable,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는, 치료 기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워킹 채널과, 환부를 관찰할 수 있는 내시용 렌즈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내시경 채널을 구비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카테터 몸체; 및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카테터 몸체가 결합되는 카테터 핸들;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ndoscope cathete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orking channel formed to insert a treatment instrument, and an endoscope channel formed to insert an endoscope for observing the affected part, A catheter body formed to extend; And a catheter handle configured to be grasped by a user and to which the catheter body is coupled.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는, 일부 구성을 일회용으로 교체하여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세척 및 소독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환부의 오염에 의한 환자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endoscope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inconvenience of washing and disinfection can be minimized and the risk of a patient caused by contamination of the affected part can be minimized by constituting the endoscope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의 분리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의 일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의 일부분에 대한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doscopic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the endoscopic catheter assembly shown in Fig.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endoscopic catheter assembly shown in Figure 1;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the endoscopic catheter assembly shown in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the endoscopic catheter assembly shown in Fig.
Figure 6 is a front view of a portion of the endoscopic catheter assembly shown in Figure 1;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ndoscope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의 분리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의 일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doscope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the endoscope catheter assembly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cross-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는 카테터 몸체(100)와 카테터 핸들(200)과 렌즈 튜브(300)와 내시경 핸들(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3, an endoscope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theter body 100, a catheter handle 200, a lens tube 300, and an endoscope handle 400.

카테터 몸체(1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카테터 몸체(100)는 광섬유로 제작될 수도 있고 다른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The catheter body 10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atheter body 100 may be made of optical fiber or other transparent synthetic resin.

카테터 몸체(100)는 환자의 체내 환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카테터 몸체(100)의 내부에는 카테터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채널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카테터 몸체(100)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각 하나의 워킹 채널(120) 및 내시경 채널(110)과 두개의 이리게이션(irrigation) 채널이 형성된다. 워킹 채널(120)에는 환자의 환부에 대해 치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치료 기구가 삽입된다. 워킹 채널(120)을 통해 다양한 치료 기구를 삽입하여 환부를 고주파 치료하거나 절개하는 등의 다양한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이리게이션 채널(131, 132)을 통해서는 액체가 주입되거나 배출된다. 주로 수액을 이리게이션 채널(131, 132) 중의 하나로 주입하고 나머지 하나의 이리게이션 채널(131, 132)을 통해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리게이션 채널(131, 132)을 통해서 수액을 주입 및 배출하면 진단 또는 치료하고자 하는 환부를 수액으로 씻어 내면서 후술하는 렌즈 튜브(300)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시경 채널(110)에는 후술하는 렌즈 튜브(300)가 삽입되어 환자의 체내 환부를 시술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The catheter body 100 is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a body part of a patient. In the interior of the catheter body 100, a plurality of channel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body 100. In this embodiment, one working channel 120 and two endoscopic channels 110 and two irrigation channels are formed in the catheter body 100, as shown in FIG. In the working channel 120, a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 treatment operation on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 is inserted. Various treatments such as high frequency treatment or incision of the affected part can be performed by inserting various treatment instruments through the working channel 120. Liquid is injected or discharged through the immersion channels 131 and 132. Mainly the liquid is injected into one of the irrigation channels 131 and 132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irrigation channel 131 and 132.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onfirm visually through the lens tube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flushing the affected part to be diagnosed or treated with the liquid by injecting and discharging the liquid through the irrigation channels 131 and 132. A lens tube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endoscope channel 110 to enable a practitioner to visually confirm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s body.

카테터 핸들(200)은 시술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카테터 핸들(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권총 손잡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카테터 핸들(200)에는 카테터 몸체(100)가 결합된다. 시술자는 카테터 핸들(200)을 손으로 잡고 카테터 몸체(100)를 환자의 몸체 삽입하거나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The catheter handle 200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easy for a practitioner to grasp and operate by hand. The catheter handle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handgrip as shown in Figs. 1 and 2. A catheter body 100 is coupled to the catheter handle 200. The practitioner grips the catheter handle 200 by hand and inserts or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catheter body 100 to the patient's body.

카테터 핸들(200)은 조명 연결부(220)와 제1결합부(210)를 구비한다. 조명 연결부(220)는 조명기구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조명 연결부(220)에 조명기구를 연결하면 카테터 핸들(200) 내부로 조명광이 전달된다. 이 조명광은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 재질로 형성된 카테터 몸체(100)를 통해 환자의 체내 환부로 전달되어 환부를 밝게 비추게 된다. 제1결합부(210)는 합성수지 재질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후술하는 내시경 핸들(400)의 제2결합부(410)가 제1결합부(210)에 끼워져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catheter handle 200 has an illumination connection 220 and a first coupling 210. The lighting connection part 220 is formed so that the lighting device can be fixed. When the illumin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illumination connection unit 220, illumination light is transmitted into the catheter handle 200. As described above, the illumination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catheter body 100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the in-vivo part of the patient, and brightens the affected part. The first coupling part 210 is concavely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second engaging portion 410 of the endoscope handle 400 described later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210 so as to be detachable.

렌즈 튜브(300)는 카테터 몸체(100)의 내시경 채널(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렌즈 튜브(300)는 내시경 렌즈(310)와 광섬유 채널(320)을 구비한다. 카테터 몸체(100)를 통해 체내로 전달된 조명광이 환부에 반사되어 내시경 렌즈(310)를 통해 수입된다. 즉, 내시경 렌즈(310)는 환부 영상을 광신호의 형태로 수집하여 광섬유 채널(320)로 전달한다. 내시경 렌즈(310)에서 광섬유 채널(320)을 통해서 전달되는 환부의 영상은 후술하는 영상 처리기(420)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표시 장치에 표시될 수 있다.The lens tube 300 is formed in a long rod shap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endoscope channel 110 of the catheter body 100. The lens tube 300 includes an endoscope lens 310 and a fiber-optic channel 320. The illumination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body through the catheter body 100 is reflected on the affected part and is imported through the endoscope lens 310. That is, the endoscope lens 310 collects the diseased part image in the form of an optic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optical fiber channel 320. The image of the affected part transmitted from the endoscope lens 310 through the optical fiber channel 320 can be converted into an electric signal by the image processor 420 to be described later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렌즈 튜브(300)는 내시경 핸들(40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내시경 핸들(400)도 카테터 핸들(200)과 마찬가지로 권총 손잡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잡고 조작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lens tube 300 is fixedly coupled to the endoscope handle 400. Referring to FIG. 6, the endoscope handle 400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handle of a handgun, like the catheter handle 200, and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easy for a user to hold and operate.

내시경 핸들(400)은 영상 처리기(420)와 제2결합부(410)를 구비한다. 영상 처리기(420)는 렌즈 튜브(300)의 광섬유 채널(320)에 연결된다. 광섬유 채널(320)을 통해 전달된 광신호는 영상 처리기(420)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영상 처리기(420)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 환부의 이미지는 표시장치에 전달되어 시술자가 확인할 수 있는 영상으로 표시된다. 제2결합부(410)는 제1결합부(210)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한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된 카테터 핸들(200)의 제1결합부(210)는 제2결합부(410)를 가압하여 밀어 넣으면 탄성변형되면서 벌어져서 제2결합부(410)를 수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410)가 결합됨으로써, 시술자는 한 손으로도 카테터 몸체(100)와 렌즈 튜브(300)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카테터 몸체(100)와 렌즈 튜브(300)를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제2결합부(410)를 잡아당기면 제1결합부(210)가 탄성 변형되면서 카테터 핸들(200)과 내시경 핸들(400)이 서로 분리된다. The endoscope handle 400 includes an image processor 420 and a second coupling unit 410. The image processor 420 is connected to the optical fiber channel 320 of the lens tube 300. 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fiber channel 320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the image processor 420. The image of the affected part converted into the electric signal in the image processor 420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and displayed as an image that the operator can confirm.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10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fitt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of the catheter handle 200 formed of a concave synthetic resin material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10 is pushed in and pressed to accommodate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10 do. 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joints 210 and 41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operate the catheter body 100 and the lens tube 300 with one hand. When the catheter body 100 and the lens tube 300 ne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user applies a force to pull the second fitting part 410, the first fitting part 210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endoscope handle 4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카테터 몸체(100)의 내시경 채널(110)의 단부에는 투명 재질의 렌즈 커버(500)가 설치된다. 렌즈 커버(500)는 렌즈 튜브(300)를 보호하면서 빛을 통과시켜 렌즈 튜브(300)를 통해 환부를 관찰 가능하게 한다. Referring to FIG. 5, a transparent lens cover 500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endoscope channel 110 of the catheter body 100. The lens cover 500 protects the lens tube 300 and allows light to pass through the lens tube 300 to observe the affected part.

이하, 상술한바와 같이 구성된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endoscope catheter assembly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렌즈 튜브(300)를 카테터 몸체(100)의 내시경 채널(110)에 밀어 넣고 카테터 핸들(200)과 내시경 핸들(400)을 서로 가압하여 결합한다. The lens tube 300 is pushed into the endoscope channel 110 of the catheter body 100 and the catheter handle 200 and the endoscope handle 400 are pressed and engag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S.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카테터 몸체(100)를 별도의 유도관 등을 이용하여 환자의 체내 환부에 밀어 넣는다. 이때, 조명기구를 조명 연결부(220)에 고정하고 빛을 발생시키면 투명 재질로 형성된 카테터 몸체(100)를 통해 빛이 환부로 전달되어 환부를 비추게 된다. 카테터 몸체(100)에 조명광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조명 연결부(220)는 카테터 몸체(100)와 접촉하는 투명 재질의 조명 전달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is state, the catheter body 100 is pushed into the patient's internal body part using a separate induction tube or the like. At this time, when the lighting device is fixed to the illumination connection part 220 and light is generated, the light is transmitted to the affected part through the catheter body 100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lluminates the affected part. In order to effectively transmit illumination light to the catheter body 100, the illumination connection 220 may have a transparent light emitt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atheter body 100.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카테터 몸체(100)의 이리게이션 채널(131, 132)을 통해 수액을 주입 및 배출하면 환자의 환부 부분이 세척되면서 렌즈 커버(500)를 통해서 시술자가 효과적으로 환부를 관찰할 수 있다. 렌즈 커버(500)와 내시경 렌즈(31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은 렌즈 튜브(300)의 광섬유 채널(320)을 통해 내시경 핸들(400)의 영상 처리기(420)로 전달된다. 영상 처리기(420)에 연결단자를 연결하여 영상 처리기(420)와 표시장치를 연결하면 전기 신호가 표시 장치에 전달되어 환부 영상을 표시 장치에 표시하게 된다. 시술자는 서로 결합된 카테터 핸들(200)과 내시경 핸들(400)을 한손으로 움직이면서 용이하게 환부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infusion fluid is inject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immigration channels 131 and 132 of the catheter body 100,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 is washed and the surgeon can effectively observe the affected part through the lens cover 500.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lens cover 500 and the endoscope lens 310 is transmitted to the image processor 420 of the endoscope handle 400 through the optical fiber channel 320 of the lens tube 300. When a connec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mage processor 420 and the image processor 42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an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to display the affected part image on the display device. The practitioner can easily check the image of the affected part while moving the catheter handle 200 and the endoscope handle 400 coupled to each other with one hand.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환부에 대해 조직을 절개하거나 고주파 치료를 하거나 약물을 주입할 필요가 있으면, 한손으로 카테터 핸들(200)과 내시경 핸들(400)을 동시에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다른 치료 기구를 카테터 몸체(100)의 워킹 채널(120)을 통해 밀어 넣어서 시술을 진행한다. In this state, when the tissue is incised, the high frequency treatment is performed, or the drug is injected into the affected part, the other treatment instrument is held by the other hand while holding the catheter handle 200 and the endoscope handle 400 simultaneously with one hand, Through the working channel 120 of the surgical instrument 100, and the operation proceeds.

상술한 바와 같이 카테터 핸들(200)과 내시경 핸들(400)을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다른 한손으로 워킹 채널(120)에 삽입되는 치료 기구를 쉽게 다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다른 보조자의 도움 없이 시술자 혼자서 내시경 조작 및 치료 기구의 조작이 가능하므로 종전보다 편리하면서도 정교하게 환자의 환부에 대한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endoscope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with one hand while the catheter handle 200 and the endoscope handle 4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Which can be easily treated. This allows the operator to manipulate the endoscope and manipulate the treatment device alone without the aid of another assistant, so that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affected part can be performed more conveniently and precisely than before.

또한, 카테터 몸체(100)와 카테터 핸들(200) 부분은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카테터 몸체(100)와 카테터 핸들(200)을 일회용으로 제작 및 사용함으로써 재사용을 위한 세척의 필요성이 없어졌으므로 환자의 감염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세척을 위한 병원의 부담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the catheter body 100 and the portion of the catheter handle 200 can be manufactured at a relatively low cost, so that they can be used in a single use. Since the catheter body 100 and the catheter handle 200 are manufactured and used in a disposable mann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infection of the patient and to reduce the burden on the hospital for washing since the necessity of washing for reuse is eliminated .

렌즈 튜브(300) 및 내시경 핸들(400) 부분은 렌즈와 영상처리기를 구비하므로 카테터 몸체(100)와 카테터 핸들(200) 부분에 비해 제조 단가가 높은 편이다. 따라서, 렌즈 튜브(300) 및 내시경 핸들(400) 재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의 렌즈 튜브(300) 및 내시경 핸들(400)은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렌즈 튜브(300) 부분에는 카테터 몸체(100)에 형성된 것과 같은 이리게이션 채널(131, 132)과 워킹 채널(120)과 같은 채널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종래의 내시경의 구조에 비해 소독 및 세척이 편리하고 용이한 구조로 되어있다. 렌즈 튜브(300)의 외부만 세척액 및 소독액으로 닦는 것만으로 쉽게 렌즈 튜브(300)를 세척 및 소독할 수 있으므로, 병원의 사용상의 불편함도 없고 불필요한 감염에 노출되는 환자의 위험도 대폭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렌즈 튜브(300) 및 내시경 핸들(400)의 사용 수명도 연장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치료 원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lens tube 300 and the endoscope handle 400 have a lens and an image processor and thus have a higher manufacturing cost than the catheter body 100 and the catheter handle 20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reuse the lens tube 300 and the endoscope handle 400. The lens tube 300 and the endoscope handle 400 of the endoscope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e a simple structure. Particularly, in the lens tube 300, since channels such as the irrigation channels 131 and 132 and the working channel 120 are not formed in the catheter body 100, the disinfection and washing This is a convenient and easy structure. The lens tube 300 can be cleaned and disinfected easily only by wiping with the cleaning liquid and the disinfectant only outside the lens tube 300.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use of the hospital and the risk of a patient exposed to unnecessary infection can be greatly reduced . Thus, the life span of the lens tube 300 and the endoscope handle 400 can be extended,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cost of the treatment.

또한, 부주의로 인해 렌즈 튜브(300)의 외면에 오염 물질 또는 세균이 묻어 있더라도 환자의 감염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렌즈 튜브(300)는 내시경 몸체의 내시경 채널(110)에 삽입되어 사용되므로, 렌즈 튜브(300)는 환자의 조직과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카테터 몸체(100)는 최초 사용시에 멸균 소독이 용이하므로, 만에 하나 렌즈 튜브(300)가 일부 오염되어 있다 하더라도 환자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대폭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isk of infection of a patient can be minimized even if contaminants or germs are presen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tube 300 due to carelessness. Since the lens tube 300 is inserted and used in the endoscope channel 110 of the endoscope body, the lens tube 300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tissue of the patient. Since the disposable catheter body 100 is easy to sterilize at the time of first u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ssibility of affecting a patient is greatly reduced even if only one lens tube 300 is partially contaminated.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s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예를 들어,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의 경우, 카테터 몸체(100), 카테터 핸들(200), 렌즈 튜브(300) 및 렌즈 핸들을 구비한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카테터 몸체와 카테터 핸들만으로 구성된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카테터 몸체의 내시경 채널에는 다른 일반적인 구조의 내시경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endoscope cathe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theter body 100, the catheter handle 200, the lens tube 300, and the lens handle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an endoscopic catheter assembly composed of only the body and the catheter handle.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insert an endoscope of another general structure into the endoscope channel of the catheter body.

또한, 앞에서 카테터 몸체(100)의 내시경 채널(110) 단부에는 렌즈 커버(500)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렌즈 커버(500)를 구비하지 않는 형태의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hough the lens cover 50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endoscope channel 110 of the catheter body 100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an endoscope catheter assembly having no lens cover 500 Do.

또한, 앞에서 카테터 몸체(100)에는 2개의 이리게이션 채널(131, 132)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리게이션 채널의 개수 및 워킹 채널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Further, although the two exploitation channels 131 and 132 are formed in the catheter body 100, the number of the excitation channels and the number of the working channels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needed.

또한, 카테터 핸들과 내시경 핸들이 서로 결합되는 구조 역시 앞에서 도시한 형태의 구조 이외에 다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catheter handle and the endoscope handle are coupled to each other can be variously modified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shown in the above.

100: 카테터 몸체 110: 내시경 채널
120: 워킹 채널 131, 132: 이리게이션 채널
200: 카테터 핸들 210: 제1결합부
220: 조명 연결부 300: 렌즈 튜브
310: 내시경 렌즈 320: 광섬유 채널
400: 내시경 핸들 410: 제2결합부
420: 영상 처리기 500: 렌즈 커버
100: catheter body 110: endoscope channel
120: Working channel 131, 132: Irguration channel
200: catheter handle 210: first coupling portion
220: illumination connection part 300: lens tube
310: endoscope lens 320: optical fiber channel
400: endoscope handle 410: second engaging portion
420: image processor 500: lens cover

Claims (9)

치료 기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워킹 채널과, 환부를 관찰할 수 있는 내시용 렌즈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내시경 채널을 구비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카테터 몸체; 및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 잡을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카테터 몸체가 결합되는 카테터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카테터 몸체의 내시경 채널에 삽입되어 환부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내시경 렌즈와 상기 내시경 렌즈에 연결된 광섬유 채널로 구성된 렌즈 튜브;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 잡을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렌즈 튜브가 고정되는 내시경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테터 핸들의 돌출부위에는 합성 수지 재질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시경 핸들의 돌출부위에는 상기 렌즈 튜브가 상기 카테터 몸체의 내시경 채널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와 대응되는 모양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제1결합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카테터 핸들과 내시경 핸들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
A catheter body having a working channel formed so as to insert a treatment instrument and an endoscope channel formed so as to be able to insert an endoscope for observing a diseased part, the catheter body being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atheter handle formed to protrude so that a user can grasp the catheter by hand and to which the catheter body is coupled,
And a lens tube including an endoscope lens and an optical fiber channel connected to the endoscope lens so as to be inserted into an endoscope channel of the catheter body to obtain a lesion image,
Further comprising: an endoscope handle formed to be protruded so as to be grasped by a user and to which the lens tube is fixed,
A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s provided on the projection of the catheter handle,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protrusion of the endoscope handle so as to be convexly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lens tube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endoscope channel of the catheter body,
Wherein the catheter handle and the endoscope handle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fitting the second engaging part into the first engag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몸체는, 환부에 액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카테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이리게이션 채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theter body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elongation channel formed to exten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body so as to be able to inject or withdraw fluid into the affected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몸체는, 환부에 조명을 전달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theter body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transmit light to the affected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핸들은, 상기 투명 재질의 카테터 몸체에 조명광을 전달할 수 있는 조명기구가 고정될 수 있도록 조명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atheter handle has an illumination connection to secure a lighting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illumination light to the transparent catheter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튜브를 보호하도록 상기 카테터 몸체의 내시경 채널의 단부에 설치되는 투명 재질의 렌즈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ransparent lens cover attached to the end of the endoscope channel of the catheter body to protect the lens tub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핸들은, 상기 렌즈 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렌즈 튜브로 수신되는 광신호를 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카테터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doscope handle includes an image processor connected to the lens tube and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received by the lens tube into an electrical signal for display on a display device.
KR1020160163165A 2016-12-02 2016-12-02 Catheter Assembly for Endoscope KR1018812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165A KR101881226B1 (en) 2016-12-02 2016-12-02 Catheter Assembly for Endoscope
PCT/KR2016/014151 WO2018101519A1 (en) 2016-12-02 2016-12-03 Endoscope cathete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165A KR101881226B1 (en) 2016-12-02 2016-12-02 Catheter Assembly for Endoscope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453A KR20180063453A (en) 2018-06-12
KR101881226B1 true KR101881226B1 (en) 2018-07-24
KR101881226B9 KR101881226B9 (en) 2022-11-14

Family

ID=6224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165A KR101881226B1 (en) 2016-12-02 2016-12-02 Catheter Assembly for Endoscop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1226B1 (en)
WO (1) WO201810151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210B1 (en) * 2021-12-13 2022-07-07 주식회사 텍코드 Interbody Fusion endoscope instrum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5014A1 (en) 2001-10-19 2006-01-19 Paul Remijan Miniature endoscope with imaging fiber system
JP2007520287A (en) 2004-02-05 2007-07-26 ポリディアグノスト ゲーエムベーハー Endoscope with flexible probe
JP2008526360A (en) 2005-01-05 2008-07-24 アヴァンティス メディカル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Catheter with multiple visual elements
JP2008200283A (en) * 2007-02-20 2008-09-04 Fujifilm Corp Optical probe and optical tomographic image acquiring apparatus
JP2011189119A (en) 2010-03-12 2011-09-29 Microline Surgical Inc Picture in picture clip applier video system
KR101376374B1 (en) * 2006-06-14 2014-03-20 옵티비아 메디칼 엘엘씨 Medical device introduction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271B1 (en) * 2013-07-19 2016-04-18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Catheter
JP2015089489A (en) * 2013-11-07 2015-05-11 株式会社アライ・メッドフォトン研究所 Medical device and phototherapeutic apparat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5014A1 (en) 2001-10-19 2006-01-19 Paul Remijan Miniature endoscope with imaging fiber system
JP2007520287A (en) 2004-02-05 2007-07-26 ポリディアグノスト ゲーエムベーハー Endoscope with flexible probe
JP2008526360A (en) 2005-01-05 2008-07-24 アヴァンティス メディカル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Catheter with multiple visual elements
KR101376374B1 (en) * 2006-06-14 2014-03-20 옵티비아 메디칼 엘엘씨 Medical device introduc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8200283A (en) * 2007-02-20 2008-09-04 Fujifilm Corp Optical probe and optical tomographic image acquiring apparatus
JP2011189119A (en) 2010-03-12 2011-09-29 Microline Surgical Inc Picture in picture clip applier video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226B9 (en) 2022-11-14
WO2018101519A1 (en) 2018-06-07
KR20180063453A (en)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7407B1 (en) Endoscope with variable profile tip
US5817015A (en) Endoscope with reusable core and disposable sheath with passageways
EP0813384B1 (en) Sterilizable endoscope with separable auxiliary assembly
US5402768A (en) Endoscope with reusable core and disposable sheath with passageways
EP0658090B1 (en) Sterilizable endoscope with separable disposable tube assembly
US5704892A (en) Endoscope with reusable core and disposable sheath with passageways
US5643175A (en) Sterilizable endoscope with separable disposable tube assembly
US8377049B2 (en) Surgical instrument
JP2000503248A (en) Endoscope device
JPH03136630A (en) Endoscope guide tube
US20200367732A1 (en) Endoscope
KR101881226B1 (en) Catheter Assembly for Endoscope
KR100673413B1 (en) An endoscope for easy replacement of insertion part
KR20160065258A (en) Disposable endoscope cover and The endoscope using a disposable endoscope cover
US11503989B2 (en) Multi-channel system
US20200367730A1 (en) Disposable endoscope device
KR20200059556A (en) Catheter Assembly for Endoscope
EP2640253A1 (en) Medical device for using an endoscopic instrument for diagnostic or operating purposes, particularly in urology and gynecology
JP2018038733A (en) Treatment instrument erection device and endoscope
JP2848571B2 (en) Endoscope device
CN202218865U (en) Disposable sterilizing perspective protecting cover for endoscope
WO2017017770A1 (en) Multi-functional cylinder for treatment
JP6899316B2 (en) Lacrimal duct endoscopy
RU2214149C2 (en) Single-use rectoscope
Söldnermoos Catalogue POLYDIAGNO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