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359B1 -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양면 비구면 렌즈 - Google Patents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양면 비구면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359B1
KR101879359B1 KR1020180001918A KR20180001918A KR101879359B1 KR 101879359 B1 KR101879359 B1 KR 101879359B1 KR 1020180001918 A KR1020180001918 A KR 1020180001918A KR 20180001918 A KR20180001918 A KR 20180001918A KR 101879359 B1 KR101879359 B1 KR 101879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witching transistor
output
communication signa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재홍
Original Assignee
한미스위스광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스위스광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스위스광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1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359B1/ko
Priority to PCT/KR2018/015116 priority patent/WO20191354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3/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 B24B13/001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for plane optic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3/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 B24B13/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grinding of lenses, the tool or work being controlled by information-carrying means, e.g. patterns, punched tapes, magnetic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12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involving opt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2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양면 비구면 렌즈에 있어서, 특히 렌즈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비구면으로 제조하여 근시 및 난시 상태의 안경 착용자에게 보다 많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양면 비구면 렌즈에 관한 것으로,
안경렌즈의 피(被)가공 렌즈면의 평균곡률을 산출하고, 평균곡률에 대응하여 나선간격이 XY투영면 위에서 렌즈 바깥 둘레로부터 중심으로 향함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나선모양 가공궤적을 산출하는 계산기 단말(28)과; 상기 계산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피가공 렌즈면을 나선모양으로 절삭가공하는 절삭수단(27)과; 상기 절삭수단이 상기 피가공 렌즈면을 상기 나선모양 가공궤적에 따라서 절삭하도록 상기 절삭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32)와; 상기 믹서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 측정수단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면 알림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양면 비구면 렌즈{Multi-focussing lens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양면 비구면 렌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즈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비구면으로 제조하여 근시 및 난시 상태의 안경 착용자에게 보다 많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양면 비구면 렌즈에 관한 것이다.
이중 초점 안경 렌즈들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눈의 조절 기능이 상실되어 초점을 맞추는데 어려움을 겪는 의학적 상태인 노안으로부터 고통받는 사람들에 의해 오랜 기간 동안 사용되어 왔다. 이중 초점 렌즈들은 각각 상이한 광학력(optical power)을 갖는 2개의 영역들로 그 렌즈들을 수평으로 분할함으로써 해결책을 제공한다. 그 렌즈의 상부 영역은 원시에 대한 적절한 광학력을 갖도록 설계되고, 하부 영역은 근시(예를 들어, 독서)를 위해 설계된다. 이는 착용자가 단순히 응시하는 위치를 바꿈으로써, 착용자가 다른 거리들에 대해 초점을 맞출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착용자들은 자주 상이한 렌즈 영역들 간의 갑작스러운 변화 때문에 불편함을 경험한다. 따라서, 누진 다초점 렌즈들은 그 렌즈들의 영역들 간에 광학력의 매끄러운 변화를 제공하도록 개발되었다.
그리고, 종래의 비구면 렌즈는 원재료인 유리곱을 금형에 삽입한 뒤 성형장치에 넣어 제작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작되는 비구면 렌즈를 성형제작할 경우, 사람이 핀셋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유리곱을 금형의 캐비티에 직접 삽입하기 때문에 긴 제작시간에 비해 생산량은 적고, 수작업으로 인한 인건비가 생겨나며, 렌즈의 원재료인 유리곱의 크기가 매우 작아 사람이 식별하기 어려워 유리곱을 금형의 캐비티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유리곱을 분실하게 되어 추가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1396334호에서는 원소재 및 성형렌즈 자동 멀티 매거진 장치와 원소재 투입및 성형렌즈 취출 자동화 장치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이 기술은, 금형과 렌즈 정렬대 또는 금형과 원소재 정렬대 사이에서 작업하는 제2 로봇 핸들러 및 제3 로봇 핸들러의 작업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ⅰ) 원소재를 수용하는 복수의 원소재 홀더들을 제1축 방향인 상하방향으로 적재 수납하는 원소재 홀더 매거진, (ⅱ) 성형렌즈를 수용하는 복수의 렌즈 홀더들을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적재 수납하는 렌즈 홀더 매거진, (ⅲ) 상기 렌즈 홀더 매거진과 상기 원소재 홀더 매거진을 상기 제1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씩 개별적으로 이동시키는 매거진 엘리베이터, (ⅳ) 어느 하나의 작업 대상 렌즈 홀더와 어느 하나의 작업 대상 원소재 홀더를 각각 잡는 홀더 그립퍼들; 및 (ⅴ) 상기 각 홀더 그립퍼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각 홀더 그립퍼를 상기 제1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로보 트랜스퍼들;을 포함하며, 상기 원소재 홀더 매거진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원소재 홀더 매거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 홀더 매거진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렌즈 홀더 매거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보 트랜스퍼의 홀더 그립퍼가 작업 대상 홀더를 홀더 매거진으로부터 상기 성형 장치 쪽으로 잡아당겨서 빼내도록, 상기 로보 트랜스퍼와 상기 홀더 그립퍼가 배치되는 원소재 및 성형렌즈 자동 멀티 매거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원소재 투입 및 렌즈 취출 자동화 장치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소재 투입및 성형렌즈 취출 자동화 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양면 비구면을 정확하게 실현하고 작업자를 보호하면서 양질의 렌즈를 생산하는 기술개념은 전무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96334호 (2014.05.16.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프리폼 가공방식을 이용하여 안경렌즈의 사물측 볼록면과 시야측 오목면을 모두 비구면 렌즈로 제작하여 초고도 근시를 가진 사람이나 난시를 가진 사람이 모두 만족할만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먼지를 채크하여 안전하게 렌즈를 생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안경렌즈의 피(被)가공 렌즈면의 평균곡률을 산출하고, 평균곡률에 대응하여 나선간격이 XY투영면 위에서 렌즈 바깥 둘레로부터 중심으로 향함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나선모양 가공궤적을 산출하는 계산기 단말(28)과; 상기 계산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피가공 렌즈면을 나선모양으로 절삭가공하는 절삭수단(27)과; 상기 절삭수단이 상기 피가공 렌즈면을 상기 나선모양 가공궤적에 따라서 절삭하도록 상기 절삭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32)와; 상기 절삭수단의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 측정수단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면 알림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는 구성하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액추에이터(1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12a,12b,1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12a,12b,1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12d,12e,12f)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12)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12a,12b,12c)과 고정용 전자석(12d,12e,12f)에 전류를 흘려 자성을 형성시키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12a,12b,12c)과 고정용 전자석(12d,12e,1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을 발생시켜 액추에이터(13)를 구동시키는 송신 제어부(11)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단에 설치되어 적외선 송신기를 전후로 유동시키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14)과;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에 설치되는 적외선 송신기의 출력을 변동시키기 위한 오목렌즈군(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14)은, 엑츄에이터(1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1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1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1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1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14c)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단에는, 작동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끼움용 홀(16a)과, 상기 끼움용 홀에 삽입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무게조절핀(16b)을 포함하는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16)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오목렌즈군(15)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25도인 제 3 오목렌즈(15c)와;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15도인 제 2 오목렌즈(15b)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5b)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5도인 제 1 오목렌즈(15a)와;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35도인 제 4 오목렌즈(15d)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1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45도인 제 5 오목렌즈(15e)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와;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RL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고,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유지수단(1133a)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절삭수단(27)에는 요부 냉각수단(400)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요부 냉각수단(400)은, 알루미늄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일단에 위치하는 냉각 패널(410)과; 상기 냉각패널의 하부에 부착되며 외부 전기공급에 따라 냉각패널에 냉각열을 전달하여 함체 내부를 급속냉각시키는 열전소자(420)와; 상기 열전소자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고 열전소자의 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열을 포집하는 방열패널(430)과; 상기 방열패널에 부착되며 팬의 회전에 의해서 방열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속도로 외부로 전달시켜 방열패널을 식히는 역할을 하는 방열 송풍팬(440)과; 상기 냉각패널에 연결하되 스크류로 연결하여 자체 회전에 의해서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하여 그 부분을 급속 냉각시키는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 이송부(450)와;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온도가 기준이상 높은 부분이 있는가를 파악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온도감지부(460)와; 상기 온도감지부의 정보 결과를 토대로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 이송부를 구동하여 좀더 냉각이 필요한 지점에 위치되어 그부분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7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피가공 렌즈면의 표면형상으로부터 평균곡률을 산출하는 공정, 상기 평균곡률에 대응하여 나선간격이 XY투영면 위에서 렌즈 바깥 둘레로부터 중심으로 향함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나선모양 가공궤적을 산출하는 공정과, 안경렌즈의 피가공 렌즈면을 절삭수단에 의해서 나선모양으로 절삭가공하는 공정과, 절삭수단의 주변에 존재하는 먼지를 측정하여 기준이상이면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와;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RL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고,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유지수단(1133a)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리폼 가공방식을 이용하여 안경렌즈의 사물측 볼록면과 시야측 오목면을 모두 비구면 렌즈로 제작하여 초고도 근시를 가진 사람이나 난시를 가진 사람이 모두 만족할만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먼지를 채크하여 안전하게 렌즈를 생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절삭가공 후의 안경렌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렌즈 제조장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의 유동을 위한 동작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각도 측정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 오목렌즈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 오목렌즈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3 오목렌즈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4 오목렌즈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5 오목렌즈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중심부 함몰각에 따른 광세기 그래프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17은 도 16의 요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동작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요부 냉각수단 설치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요부 냉각수단을 상승시킨 동작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요부 냉각수단을 하강시킨 동작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요부 냉각수단 분해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부분 냉각장치 회로구성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절삭가공 후의 안경렌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렌즈 제조장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의 유동을 위한 동작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각도 측정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 오목렌즈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 오목렌즈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3 오목렌즈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4 오목렌즈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5 오목렌즈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중심부 함몰각에 따른 광세기 그래프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17은 도 16의 요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동작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요부 냉각수단 설치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요부 냉각수단을 상승시킨 동작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요부 냉각수단을 하강시킨 동작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요부 냉각수단 분해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부분 냉각장치 회로구성 블록도로서,
우선,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안경렌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안경렌즈는 노시(老視)용 누진 굴절력 렌즈로서 이용되는 렌즈이다. 누진 굴절력 렌즈는 노시용 안경렌즈이면서 외관상은 용이하게 돋보기로 찰지(察知)되지 않는 이점이나, 원거리로부터 근거리까지 끊어짐 없이 연속적으로 명시(明視)할 수 있는 이점 등의 이유로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 본 발명으로 가공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는 예를 들면 제1에는 물체 측 표면인 제1 굴절표면과 안구 측 표면인 제2 굴절표면 중 어느 한쪽에 누진면을 가지는 한면 누진 굴절력 렌즈이다. 또, 제2에는 제1 굴절표면과 제2굴절표면으로 분할 배분되어 있는 누진 굴절력작용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맞추어 처방값에 근거한 원용(遠用)도수와 가입도수를 주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양면 비구면형 누진 굴절력 렌즈이다.
안경렌즈의 렌즈기재(基材)로서는 플라스틱 렌즈기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안경용 플라스틱 렌즈기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메타크릴산메틸(methyl methacrylate)과 1종 이상의 다른 모노머(monomer)와의 공중합체(共重合體), 디에틸렌 글리콜 비살릴 카보네이트(diethylene glycol bisallyl carbonate)와 1종 이상의 다른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티오우레탄(polythiourethane), 엔-티올(ene-thiol) 반응을 이용한 설피도(sulfido) 수지, 유황을 포함한 비닐 집합체 등 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있어서, 안경렌즈 제조 시스템은 발주단말(發注端末 : order terminal)(21)과, 메인프레임(안경렌즈 설계장치)(22)을 구비하고, 이들을 공중통신회선(23)을 통하여 접속하고 있다. 발주단말(21)은 발주원(發注元)으로서의 안경점(眼鏡店 : optician)(20)에 배치되어 있다. 메인프레임(22)은 안경의 제조 메이커 측으로서의 공장(24)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장(24) 측에 있어서, 메인프레임(22)과 공장서버(26)가 LAN(25)을 통하여 접속되고, 또 이 공장서버(26)와 계산기 단말(28)이 LAN(29)에 의해서 접속되고 있다.
안경점(20)의 발주단말(21)은 안경렌즈를 발주할 때에 필요한 각종의 데이터의 입력을 지원하여 표시한다. 이 발주단말(21)의 입력부는 적어도 피검안(被檢眼)의 처방값 데이터 등을 입력 가능하게 한다. 발주단말(21)에 입력된 처방값 데이터 등은 통신회선(23)을 통하여 공장(24)의 메인프레임(22)에 송신된다.
메인프레임(22)은 처방값 데이터 등을 수신하면 수주(受注) 데이터로서 보존한다.
또, 메인프레임(22)은 안경렌즈 설계프로그램이나 가공 데이터 생성프로그램 등을 격납하고 있고, 발주단말(21)으로부터 처방값 데이터 등을 수신하면, 해당 처방값에 적합하도록 프로그램에 따라서 안경렌즈의 설계를 행한다.
설계프로그램은 취득한 처방값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안경렌즈의 설계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가공 데이터 생성프로그램은 설계프로그램에 의해서 작성된 설계 데이터에 근거하여 절삭수단(27)이 실제의 렌즈 가공을 실시할 때에 필요한 가공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가공 데이터에는 안경렌즈의 표면설계 데이터, 처방값 데이터 및 가공 블랭크의 종류 등이 포함되어 있다.
메인프레임(22)은 안경렌즈 설계프로그램 및 가공 데이터 생성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절삭수단(27)의 제어정보로서의 가공 데이터를 생성함과 동시에 생성한 가공 데이터를 공장서버(26)로 송신한다. 공장서버(26)는 수주데이터의 수주번호와 함께 가공 데이터를 보존한다. 보존되는 각 가공 데이터는 식별을 위해 수주 데이터마다 제조공장 내에서만 사용되는 제조번호가 주어져 각 가공 데이터와의 관련 지음을 행한다.
절삭수단(27)은 LAN(29)을 통하여 공장서버(26)로부터 가공 데이터를 취득하면, 이 가공 데이터에 근거하여 안경렌즈(1)의 피가공 렌즈면(3, 5)의 절삭가공을 순차적으로 행한다. 피가공 렌즈면(3, 5)의 가공 순서는 어느 쪽을 먼저 하여도 좋다.
제1 실시예에서는 계산기 단말(28)이 실행하는 공장서버(26)로의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정보의 리퀘스트는 모두 제조번호정보를 통하여 행해진다. 계산기 단말(28)은 미가공 렌즈에 부여되어 있는 제조 지시서의 제조번호정보 또는 제조번호정보를 포함한 바코드가 스캐너 등의 입력장치에 의해서 읽어 내어져 입력되면, 제조번호정보에 대응하는 절삭관련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가공 데이터를 공장서버(26)에 요구한다. 요구에 따라서 공장서버(26)는 가공 데이터를 계산기 단말(28)의 통신제어부(30)에 LAN(29)을 통하여 송신한다. 송신되는 가공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안경렌즈의 표면설계 데이터, 처방값 데이터, 안경렌즈의 종류 등이 포함된다.
통신제어부(30), 연산처리부(31) 및 제어부(32)를 LAN(36)에 의해서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연산처리부(31)는 수신한 가공 데이터로부터 가공을 위한 데이터의 상세를 연산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절삭수단(27)은 NC제어에 의해서 3축 제어함으로써 하축(E)와 상축(D)를 구비하고 있다.
하축(E)는 안경렌즈(1)가 설치되어 이동하지 않고 축회전한다. 한편, 상축(D)는 거칠기 절삭용의 제1 바이트(F)가 설치된 제1 상축부(G)와, 마무리 절삭용의 제2 바이트(H)가 설치된 제2 상축부(I)의 2축을 구비하고, 고정된 하축(E)에 대해서 상축(D)가 X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제1과 제2 상축부(G, I)를 바꾸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 제2 바이트(F, H)의 절삭칼날(B)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소결 한 다이아몬드나 단결정 다이아몬드가 이용된다.
안경렌즈(1)의 오목면으로 이루어진 피가공 렌즈면(5)을 절삭칼날(B)에 의해서 절삭가공하는 경우는 계산기 단말(28)이 매트릭스로 나타내진 오목면의 설계 형상 높이 데이터를 제어부(32)로 전송한다. 또한 계산기 단말(28)이 오목면 형상에 대응하는 나선모양 가공궤적(4)을 제어부(32)에 전송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32)가 상축(D), 제1, 제2 상축부(G, I)를 제어하고, 바이트(F, H)의 절삭칼날(B)이 나선모양 가공궤적(4) 위의 가공점 K에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 피가공 렌즈면(5)을 절삭가공한다. 이와 같은 절삭수단(27)의 가공 정밀도는 3㎛이내(렌즈, 지름 50㎜), 최대표면조도 Rmax는 O.3 ~ 0.5㎛정도이다. 가공궤적은 도 7에 도시하였다.
이 후, 절삭가공된 렌즈면(2)을 연마장치에 의해서 연마하고, 소정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광학면으로 완성한다.
연마장치로서는 종래 공지의 장치,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3-266287호 공보의 도 1에 개시되어 있는 연마장치나,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LOH사 제품의 범용의 연마장치(TORO 시리즈)가 이용된다.
오목면으로 이루어진 렌즈면(2)의 연마가공이 종료하면, 이어서 볼록면으로 이루어진 피가공 렌즈면(3)과 마찬가지로 절삭수단(27)에 의해서 절삭가공하고, 또한 연마장치에 의해서 연마하여 소정의 광학면으로 완성한다.
다음에, 안경렌즈의 수주로부터 납품까지의 흐름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1 : 발주
우선, 공장(24)의 메인프레임(22)은 안경점(20)으로부터의 안경렌즈의 제작 의뢰를 받는다(수주). 안경점(20)은 안경렌즈의 발주에 앞서 고객의 피검안의 처리 데이터, 렌즈 종별, 그 외의 렌즈의 설계에 필요한 안경렌즈의 사양 정보를 발주단말(21)에 입력한다.
여기서, 사양 정보에는 안경렌즈의 종류와 특정 정보가 포함된다. 또, 처방 데이터에는 고객의 좌우 양눈의 구면 굴절력, 원주 굴절력, 난시축(亂視軸), 가입도(加入度), 동공간 거리, 나안(裸眼)시력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발주단말(21)은 입력된 안경렌즈 정보, 처방값을 통신회선(23)을 통하여 메인프레임(22)에 온라인으로 송신하여 안경렌즈의 제작을 의뢰한다.
스텝 2 : 렌즈 볼록면의 표면형상 데이터 산출
메인프레임(22)은 안경점(20)으로부터의 안경렌즈의 제작 의뢰를 수주하면, 수신한 데이터보다 절삭수단(27)에서 사용하는 가공 데이터를 연산하고, 공장서버(26)에서 보관 또는 LAN(29)을 통하여 절삭수단(27)에 전송한다. 가공 데이터는 각 가공장치, 검사장치에서 사용하는 형식으로 출력되고, 적어도 안경렌즈의 오목, 볼록면 형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스텝 3 : 렌즈 볼록면의 평균곡률산출
다음에, 계산기 단말(28)은 안경렌즈의 볼록면 형상 데이터의 평균곡률반경 R(RT)을 구한다. 평균곡률반경 RT는 안경렌즈의 표면형상 전체를 구면형상으로 근사 한 경우, 가장 차이가 작게 되는 곡률반경이다. 실제로는 계산기 등에서 렌즈형상값과 근사 구면과의 차이를 최소 2승법(乘法)으로 산출하고, 차이가 가장 작게 되는 곡률반경을 평균곡률반경 RT로 한다. 그리고, 구한 평균곡률반경 RT로부터 평균곡률 CT를 구한다. 평균곡률 CT는 평균곡률반경 RT의 역수(= 1/RT)이다.
스텝 4 : 볼록면 나선형상 가공궤적 산출
스텝 5 : 볼록면 가공궤적 산출(3차원)
안경렌즈의 표면형상 데이터는 3차원 데이터(X, Y, Z)의 함수로 표시되어 있다. 이 3차원 데이터(X, Y, Z)로 이루어진 표면형상 데이터에 나선모양 가공궤적의 2차원 데이터(X, Y) 값을 대입하면, 대응하는 렌즈표면 위의 가공점 K가 특정되고, 그 각 3차원 가공점위치 좌표값(X, Y, Z)이 확정된다. 그리고, 이 각 3차원 가공점위치 좌표값(X, Y, Z)은 절삭수단(27)으로 보내진다.
스텝 6 : 절삭가공
다음에 볼록면을 절삭가공한다.
절삭수단(27)은 절삭공구가 특정한 3차원의 가공점위치 좌표값(X, Y, Z)에 따라서 상기 스텝 4에서 산출한 나선모양 가공궤적(4) 위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볼록면(3)을 절삭가공해 소망의 표면형상을 창성한다.
스텝 7 : 볼록면 연마가공
다음에, 절삭된 볼록면(3)의 연마가공을 실시한다. 연마가공할 때에는 절삭수단(27)에 의해서 안경렌즈의 볼록면(3)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삭가공한 후, 안경렌즈를 절삭수단(27)으로부터 떼어내 연마장치에 부착하여 절삭된 렌즈면을 연마한다.
스텝 S8 : 렌즈 오목면의 표면형상 데이터 산출
볼록면(3)의 연마가 종료하면, 안경렌즈를 연마장치로부터 떼어내고, 다시 절삭수단(27)의 하축(E) 위에 오목면(2)을 위로하여 장착한다. 그리고, 메인프레임(22)은 수신한 데이터에서 절삭수단(27)으로 이용하는 가공 데이터를 연산하고, 공장서버(26)로 보관 또는 LAN(29)을 통해서 절삭수단(27)으로 전송한다. 가공 데이터는 각 가공장치, 검사장치에서 사용하는 형식으로 출력되며, 적어도 안경렌즈의 오목면 형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스텝 S9 : 렌즈 오목면의 평균곡률산출
다음에, 계산기 단말(28)은 안경렌즈의 오목면 형상 데이터의 평균곡률반경 R(RO)을 요구한다. 오목면(2)의 평균곡률반경 RO는 안경렌즈(1)의 표면형상 전체를 구면형상으로 근사한 경우, 가장 차이가 작게 되는 곡률반경이다. 실제로는 컴퓨터 등에서 렌즈형상값과 근사 구면과의 차이를 최소 2승법으로 산출하고, 차이가 가장 작아지는 곡률반경을 평균곡률반경 RO로 한다. 그리고, 구한 평균곡률반경 RO로부터 평균곡률 CO(= 1/R)를 구한다.
스텝 S10: 오목면 나선형상 가공궤적 산출
스텝 S11 : 오목면 가공궤적 산출(3차원)
다음에, 안경렌즈(1)의 오목면 형상 데이터는 3차원 데이터(X, Y, Z)의 함수로 표시되고 있고, 나선모양 가공궤적(4)의 2차원 데이터(X, Y) 값을 대입하면 대응하는 오목면(2) 위의 각 가공점 K가 특정되며, 그 각 3차원 위치 좌표값(X, Y, Z)가 절삭수단(27)으로 보내진다.
스텝 S12 : 절삭가공
다음에, 안경렌즈(1)의 오목면(2)을 절삭수단(27)에 의해서 절삭가공한다.
스텝 S13 : 오목면 연마가공
오목면(2)의 절삭가공이 끝나면, 다음에 절삭된 오목면(2)의 연마가공을 실시한다. 오목면(2)의 연마가공에는 볼록면 연마에 이용한 연마장치가 이용된다.
스텝 S14 : 다음 공정
연마 종료 후에는 볼록면(3)과 오목면(2)의 염색, 표면 처리, 검사 등을 실시하고, 검사에 합격한 안경렌즈(1)가 제품으로서 의뢰처의 안경점에 출시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절삭수단(27)의 일단에 먼지 측정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먼지 측정수단(2000)을 통해 먼지를 파악하고, 기준 이상의 먼지가 검출되면 경보신호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절삭수단에 존재하는 먼지를 제거토록 유도한다.
즉, 절삭수단에 먼지가 많이 존재하게 되면 작업하는 환경을 나쁘게 만들 수 있고, 아울러 렌즈 가공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말해서, 절삭수단의 주변에 먼지가 기준이상이면 작업자에게 알려서 절삭수단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먼지 측정수단(2000)에 의해서 측정된 데이터는 먼지 측정 계산부(3000)로 전송되며, 먼지 측정 계산부(3000)는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측정된 데이터를 계산하여 디스플레이(4000)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2000)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먼지 측정 제어부(C)로부터 적외선 송신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송신량을 결정하여 변화된 적외선 송신량을 출력한다.
즉, 적외선 수신수단(B)의 결과값을 먼지 측정 제어부(C)에 전송하면,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데이터를 근거로 먼지 발생량을 예측하고, 먼지 발생량에 따라서 적외선 송신수단(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 송신량을 조절하여 출력토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먼지 측정 제어부에서 적외선 수신수단에서 출력되는 광량 데이터를 읽고, 이를 근거로 적외선 발광수단의 광량을 자동 제어하여 감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먼지로 인한 오염 상황에서도 먼지 검출을 최적의 감도상태로 유지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미약하면 오염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정밀한 먼지 측정을 위해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외선 수신수단(C)의 수신 광량이 너무 세면 오염이 없는 상태이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적외선 송신 광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적외선 수신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적외선량이 정확해져서 먼지 발생량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먼지 측정 제어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먼지량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먼지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적외선 송신수단의 광량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가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송신 제어부(11)에서 이를 인지하여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을 구동하여 가장 적절한 적외선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12)은 액추에이터(1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12a,12b,1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12a,12b,1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12d,12e,12f)으로 이루어져,
송신 제어부(11)의 신호가 인가되면 유동용 전자석((12a,12b,12c)과 고정용 전자석(12d,12e,12f)에 전류가 흘러 자성이 형성되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12a,12b,12c)과 고정용 전자석(12d,12e,1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이 발생하여 액추에이터(13)를 구동하게 된다.
상기 엑츄에이터(13)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12)의 유동에 의해서 적외선 출력을 제한하기 위한 오목렌즈군이 다수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를 수행하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14)은, 엑츄에이터(1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1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1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1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1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14c)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서 엑츄에이터(13)의 이동시 솔레노이드(14c)에 제공되는 전원인가에 의해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14a)가 좌우로 유동된다.
상기 적외선 송신용 렌즈군(15)은 작동봉에 다수개 배열되어 이루어지되,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15c)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토록하며,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3 오목렌즈(15c)의 윗쪽에 설치되는 제 2 오목렌즈(15b)를 통해 광을 출력하고,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2 오목렌즈(15b)의 윗쪽에 설치되는 제 1 오목렌즈(15a)를 통해 광을 출력한다. 그리고,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3 오목렌즈(15c)의 아랫쪽에 설치되는 제 4 오목렌즈(15d)를 통해 광을 출력하고,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4 오목렌즈(15d)의 아랫쪽에 설치되는 제 5 오목렌즈(15e)를 통해 광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오목렌즈군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바, 제 3 오목렌즈(15c)는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2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2 오목렌즈(15b)는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1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1 오목렌즈(15a)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5b)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4 오목렌즈(15d)는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3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5 오목렌즈(15e)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1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45도로 형성시킨다.
적외선의 광을 높여야할 경우 엑츄에이터(13)을 상승시키고 적외선 광을 줄여야 할 경우 엑츄에이터(13)를 하강시키는 동작을 실시한다.
작동봉의 1단계 하강을 위한 제어시 송신 제어부(11)에서 제1고정용 전자석(12d)-제1유동용 전자석(12a), 제2고정용 전자석(12e)-제2유동용전자석(12b), 제3고정용전자석(2f)-제3유동용전자석(2c)에는 척력 신호를 주고, 제2고정용전자석(12e)-제1유동용전자석(12a), 제3고정전용자석(12f)-제2유동용전자석(12b)에는 인력 신호를 주면 엑츄에이터(13)가 하강하여 제2고정용전자석(12e)의 위치에 제1장착용전자석(12a)이, 제3고정용전자석(12f)의 위치에 제2장착용전자석(12b)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이 1단계 하강하게 되면 적외선 송신용 소자(14a)는 제 2 오목렌즈(15b)에 근접하게 되어 제 2 오목렌즈(15b)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엑츄에이터의 1단계 상승을 위한 제어시 송신 제어부(11)에서 제1고정용 전자석(12d)-제1유동용 전자석(12a), 제2고정용 전자석(12e)-제2유동용전자석(12b), 제3고정용전자석(12f)-제3유동용전자석(12c)에는 척력 신호를 주고, 제1고정용전자석(12d)-제2유동용전자석(12b), 제2고정전용자석(12d)-제3유동용전자석(12c)에는 인력 신호를 주면 엑츄에이터(13)이 상승하여 제1고정용전자석(12d)의 위치에 제2장착용전자석(12b)이, 제2고정용전자석(12e)의 위치에 제3장착용전자석(12c)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이 1단계 상승하게 되면 적외선 송신용 소자는 제 4 오목렌즈(15d)에 근접하게 되어 제 4 오목렌즈(15d)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봉의 2단계 하강을 위한 제어시 제3고정용전자석(12f)과 같은 위치에 제1유동용전자석(12a)이 위치되고, 이에 따라 적외선 송신용 소자(14a)는 제 1 오목렌즈(15a)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되고, 엑츄에이터(13)의 2단계 상승을 위한 제어시 제1고정용전자석(12d)과 같은 위치에 제3유동용전자석(12c)이 위치되며, 이에 따라 적외선 송신용 소자는 제 5 오목렌즈(15e)를 통해 광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16)을 더 부가 설치하는바, 엑츄에이터(13)의 하단에 돌출 성형되며, 상기 엑츄에이터(13)에 다수개의 끼움용 홀(16a)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용 홀에 엑츄에이터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무게조절용 핀(16b)을 삽입 설치하여 엑츄에이터(13)의 움직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끼움용 홀(16a)에 무게조절핀(16b)을 삽입 설치하되, 1개의 무게조절핀을 설치하면 작동봉이 가볍기 때문에 빠른 유동이 가능하고, 3개의 무게조절핀을 설치하면 작동봉이 무겁기 때문에 느린 유동이 가능하다.
상기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은 엑츄에이터(13)의 움직임을 빠른게 할 것인지 느리게 할 것인지를 조절하는바, 이는 엑츄에이터(13)가 너무 빠르게 움직이면 민감도가 높아지고, 엑츄에이터(13)가 너무 느리게 움직이면 반응속도가 느려지므로 사용자가 엑츄에이터(13)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사용자가 민감도를 높이고 싶으면 무게조절핀(16b)을 1개만 삽입 결합시키고, 민감도를 낮추고 싶으면 무게조절핀(16b)을 3개까지 삽입 결합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끼움용 홀(16a)과 무게조절핀(16b)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끼움홀(16a)과 3개의 무게조절핀(16b)을 예시하여 설명을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어 알림상황이 발생하면 먼지 측정계산부(3000)가 통신신호 자동출력부(1000)를 통해 알림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빠른 시간내에 해결토록 유도하는바,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릴레이 스위치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통신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
상기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는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는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릴레이 스위치(RL1)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1120)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통신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간격유지수단(1133a)과,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
상기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간격유지수단(1133a)은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유지수단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유지수단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의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유지수단(1133a)을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이하에서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신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릴레이 스위치(RL1)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통신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작동을 차단하여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작동시킨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통신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작동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통신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알림 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통신신호를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알림 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
즉, 제어부에서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통신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알림 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통신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통신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통신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통신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컨트롤러(30)는 기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과열이 발생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컨트로러(30)의 주변에 요부 냉각수단(400)을 설치하며, 컨트롤러(30)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여 필요한 부분을 냉각시킨다.
이하에서 요부 냉각수단(4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요부 냉각수단(400)은 냉각패널(410)과, 열전소자(420)와, 방열패널(430)과, 방열 송풍팬(440)과,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 이송부(450)와, 온도 감지부(460)와, 제어부(4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패널(410)은 알루미늄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일단에 위치한다.
상기 열전소자(420)는 냉각패널의 하부에 부착되며 외부 전기공급에 따라 냉각패널에 냉각열을 전달하여 함체 내부를 급속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열패널(430)은 열전소자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고 열전소자의 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열을 포집한다.
상기 방열 송풍팬(440)은 방열패널에 부착되며 팬의 회전에 의해서 방열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속도로 외부로 전달시켜 방열패널을 식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 이송부(450)는 냉각패널에 연결하되 스크류로 연결하여 자체 회전에 의해서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하여 그 부분을 급속 냉각시킨다.
상기 온도감지부(460)는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온도가 기준이상 높은 부분이 있는가를 파악하여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470)는 온도감지부의 정보 결과를 토대로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 이송부를 구동하여 좀더 냉각이 필요한 지점에 위치되어 그부분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70)는 온도감지부의 정보에 따라 필요 구간을 냉각시키는바, 구동모터(450b)를 작동하여 스크류(450a)를 회전시킴으로서 냉각패널(410) 및 열전소자(420)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시킨다.
그러면 상기 냉각패널(410)과 열전소자(420)가 존재하는 부분은 냉각이 이루어져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냉각패널(410)과 열전소자(420)가 위치한 부분에 냉각열이 전달되어 급속히 냉각되고, 열전소자(420)에서 발생되는 열은 방열패널(430)을 통해 이동하게 되며, 방열패널(430)에 부착된 방열 송풍팬(440)에 의해서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보다 더 강력하게 부분 냉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열전소자(420)가 방열패널을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도록하기 위해 방열패널(430)에 레일(430a)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상응하여 열전소자(420)의 표면은 레일홈(420a)을 형성하여 상기 열전소자(420)가 레일(430a)을 타고 보다 자연스럽게 좌우 유동이 가능토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레일(430a) 및 레일홈(420a)은 다수개를 형성할 수 있다.
1: 안경렌즈 3, 5: 렌즈면
26: 공장서버 27: 절삭수단
28: 계산기 단말 29: LAN
30: 통신제어부 31: 연산처리부
32: 제어부 1000: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2000: 먼지 측정수단 3000: 먼지 측정 계산부
4000: 디스플레이

Claims (7)

  1. 안경렌즈의 피(被)가공 렌즈면의 평균곡률을 산출하고, 평균곡률에 대응하여 나선간격이 XY투영면 위에서 렌즈 바깥 둘레로부터 중심으로 향함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나선모양 가공궤적을 산출하는 계산기 단말(28)과;
    상기 계산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피가공 렌즈면을 나선모양으로 절삭가공하는 절삭수단(27)과;
    상기 절삭수단이 상기 피가공 렌즈면을 상기 나선모양 가공궤적에 따라서 절삭하도록 상기 절삭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32)와;
    상기 절삭수단의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 측정수단(2000)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면 알림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먼지 측정수단(2000)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는 구성하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액추에이터(1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12a,12b,1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12a,12b,1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12d,12e,12f)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12)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12a,12b,12c)과 고정용 전자석(12d,12e,12f)에 전류를 흘려 자성을 형성시키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12a,12b,12c)과 고정용 전자석(12d,12e,1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을 발생시켜 액추에이터(13)를 구동시키는 송신 제어부(11)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하단에 설치되어 적외선 송신기를 전후로 유동시키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14)과;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에 설치되는 적외선 송신기의 출력을 변동시키기 위한 오목렌즈군(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14)은,
    엑추에이터(1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1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1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1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1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14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13)의 하단에는, 작동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끼움용 홀(16a)과, 상기 끼움용 홀에 삽입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무게조절핀(16b)을 포함하는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16)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렌즈군(15)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25도인 제 3 오목렌즈(15c)와;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15도인 제 2 오목렌즈(15b)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5b)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5도인 제 1 오목렌즈(15a)와;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35도인 제 4 오목렌즈(15d)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1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45도인 제 5 오목렌즈(15e)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와;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RL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고,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유지수단(1133a)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80001918A 2018-01-05 2018-01-05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양면 비구면 렌즈 KR101879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918A KR101879359B1 (ko) 2018-01-05 2018-01-05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양면 비구면 렌즈
PCT/KR2018/015116 WO2019135498A1 (ko) 2018-01-05 2018-11-30 개인 맞춤형 누진 다초점 렌즈의 양면 비구면 설계 및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918A KR101879359B1 (ko) 2018-01-05 2018-01-05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양면 비구면 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359B1 true KR101879359B1 (ko) 2018-07-17

Family

ID=63048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918A KR101879359B1 (ko) 2018-01-05 2018-01-05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양면 비구면 렌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9359B1 (ko)
WO (1) WO2019135498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164B1 (ko) * 2018-07-18 2018-12-20 (주)지에스티 공작 기계의 클라우드 프로그래밍 시스템
KR101931162B1 (ko) * 2018-07-18 2019-03-13 (주)지에스티 지능형 임베디드 기반의 정보통신 시스템
KR101998197B1 (ko) * 2018-09-20 2019-07-11 (주)효성에너지 결합형 케이블 덕트 프레임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
KR102059888B1 (ko) * 2018-07-23 2019-12-27 (주)다울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 및 방법
WO2020071569A1 (ko) * 2018-10-05 2020-04-09 주식회사 효일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휘트니스 케어 시스템
KR102222850B1 (ko) * 2020-12-01 2021-03-04 한미스위스광학 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양면 비구면 렌즈와 그의 제조방법
CN117124217A (zh) * 2023-10-25 2023-11-28 江苏宝昌特种合金科技有限公司 一种镶入式支管嘴表面处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8991A1 (ko) * 2020-12-01 2022-06-09 한미스위스광학 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양면 비구면 렌즈와 그의 제조방법
CN112987314A (zh) * 2021-03-15 2021-06-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智能眼镜的控制方法、装置、智能眼镜和电子设备
CN113189790B (zh) * 2021-05-20 2023-07-18 维哲视光科技有限公司 球棒结构环型多点微透镜离焦镜片以及其设计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5815A (ja) * 1991-04-15 1992-11-06 Showa Alum Corp 研磨、洗浄乾燥及び外観検査を必要とするワークの製造装置
KR20080056752A (ko) * 2005-12-22 2008-06-23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안경렌즈의 렌즈면 절삭가공장치, 렌즈면 절삭가공방법 및안경렌즈
KR20090098322A (ko) * 2008-03-14 2009-09-17 (재)한국섬유기계연구소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시스템
KR101396334B1 (ko) 2007-09-20 201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파일에 gps 정보를 입력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87243A (ko) * 2015-01-13 2016-07-21 임동일 비산먼지 저감형 친환경 샌딩부스
KR101738418B1 (ko) * 2017-03-30 2017-05-22 주식회사 삼흥테크놀리지 다이싱 장치의 스핀들 위치 영점설정을 위한 조기 안전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5934B1 (en) * 2001-04-27 2003-01-1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rogressive addition lenses with prism power added to improve wearer comfort
AU2008332369B2 (en) * 2007-12-04 2011-09-08 Hoya Corporation Pair of progressive power lens and method for designing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5815A (ja) * 1991-04-15 1992-11-06 Showa Alum Corp 研磨、洗浄乾燥及び外観検査を必要とするワークの製造装置
KR20080056752A (ko) * 2005-12-22 2008-06-23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안경렌즈의 렌즈면 절삭가공장치, 렌즈면 절삭가공방법 및안경렌즈
KR101396334B1 (ko) 2007-09-20 201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파일에 gps 정보를 입력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98322A (ko) * 2008-03-14 2009-09-17 (재)한국섬유기계연구소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시스템
KR20160087243A (ko) * 2015-01-13 2016-07-21 임동일 비산먼지 저감형 친환경 샌딩부스
KR101738418B1 (ko) * 2017-03-30 2017-05-22 주식회사 삼흥테크놀리지 다이싱 장치의 스핀들 위치 영점설정을 위한 조기 안전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164B1 (ko) * 2018-07-18 2018-12-20 (주)지에스티 공작 기계의 클라우드 프로그래밍 시스템
KR101931162B1 (ko) * 2018-07-18 2019-03-13 (주)지에스티 지능형 임베디드 기반의 정보통신 시스템
KR102059888B1 (ko) * 2018-07-23 2019-12-27 (주)다울 컨테이너형 버섯재배장치 및 방법
KR101998197B1 (ko) * 2018-09-20 2019-07-11 (주)효성에너지 결합형 케이블 덕트 프레임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
WO2020071569A1 (ko) * 2018-10-05 2020-04-09 주식회사 효일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휘트니스 케어 시스템
KR102222850B1 (ko) * 2020-12-01 2021-03-04 한미스위스광학 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양면 비구면 렌즈와 그의 제조방법
CN117124217A (zh) * 2023-10-25 2023-11-28 江苏宝昌特种合金科技有限公司 一种镶入式支管嘴表面处理装置
CN117124217B (zh) * 2023-10-25 2024-01-30 江苏宝昌特种合金科技有限公司 一种镶入式支管嘴表面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5498A1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359B1 (ko)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양면 비구면 렌즈
US7861626B2 (en) Lens surface cutting apparatus and lens surface cutting method for spectacle lens, and spectacle lens
US20060166605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chamfering of eyeglass lens
JPH09253999A (ja) レンズ研削加工装置
JPH07223153A (ja) フレーム形状測定装置
US1116939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pectacle lens,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system, and spectacle lens
JPH1148114A (ja) 眼鏡枠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それらを備える眼鏡レンズ研削加工装置
JP4733672B2 (ja) 眼鏡レンズ研削加工装置
CN109073913B (zh) 用于加工未成品光学镜片构件的方法
JP2002126984A (ja) 眼鏡レンズの光学中心測定方法並びに眼鏡レンズのレンズホルダ取付方法及び装置
KR101814142B1 (ko) 기능성 누진 다촛점 렌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4368693B2 (ja) レンズ研削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CN207992592U (zh) 一种镜片定位***
JP2849569B2 (ja) レンズメータ
KR101454743B1 (ko) 렌즈 가공장치
US20230251458A1 (en) Interpupillary distance adjustment assemblies, vr glasses, and vr devices
JP2512234Y2 (ja) メガネフレ―ム支持装置
EP3480639B1 (en) Eyeglass lens processing devices and processing control data-creation programs
JP2851032B2 (ja) 被加工レンズの判定装置
JP2020052285A (ja) アイウェアの前枠調整装置、及び、アイウェアの前枠調整方法
JP2001225250A (ja) ポリッシャーとこれを用いた光学レンズ及び光学レンズ成形型の製造方法
JPS6328550A (ja) レンズ研削装置
JPS61274861A (ja) レンズ研削装置
JPH09183053A (ja) レンズ研削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JPH04275864A (ja) レンズ研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