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860B1 - 자동 취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취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860B1
KR101867860B1 KR1020170020988A KR20170020988A KR101867860B1 KR 101867860 B1 KR101867860 B1 KR 101867860B1 KR 1020170020988 A KR1020170020988 A KR 1020170020988A KR 20170020988 A KR20170020988 A KR 20170020988A KR 101867860 B1 KR101867860 B1 KR 101867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unit
washing
cooking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강이지에스
나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강이지에스, 나정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강이지에스
Priority to KR1020170020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취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에 의해 쌀의 투입, 세척 및 취사의 전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개별 용기에 1인분의 밥을 정량적으로 지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당 등 다수의 인원에게 식사를 제공하여야 하는 곳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취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쌀 저장부, 쌀 세척부 및 취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 취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쌀 세척부는, 쌀 저장부에 연결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쌀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제1제어부를 통해 공급된 쌀을 세척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쌀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를 통해 공급된 쌀을 취사부로 공급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취사장치 {Automatic rice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취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에 의해 쌀의 투입, 세척 및 취사의 전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개별 용기에 1인분의 밥을 정량적으로 지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당 등 다수의 인원에게 식사를 제공하여야 하는 곳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취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쌀로 만든 밥을 주식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모든 가정 또는 식당에는 전기밥솥 또는 압력밥솥 등의 밥을 짓기 위한 취사도구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취사도구를 통한 밥짓는 공정은 일반적으로 쌀통에 보관되어 있는 쌀을 인원수에 맞추어 세척하는 공정과, 세척된 쌀을 취사도구에 넣고 열을 가하여 밥을 하는 공정 및 취사 완료된 밥을 취사도구에서 퍼내어 그릇에 담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모든 공정을 사용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밥을 짓는 과정이 번거로워지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한 번에 몇 인분의 밥을 짓는 경우에는 필요한 쌀의 양을 경험칙에 의하여 결정하게 되므로, 그 양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밥을 짓는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취사도구가 다수 출원되어 있는데, 그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2522호에는 전자동조리기 및 이를 사용한 취사방법이 게재되어 있다.
그 중, 전자동조리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쌀이 저장되는 쌀저장고(21)와, 상기 쌀저장고에 저장된 쌀의 세척과 취사에 사용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31)와,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받은 물을 사용하여 상기 쌀저장고에서 공급받은 쌀을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수단에서 쌀을 세척한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수단과, 상기 세척수단에서 세척된 쌀이 임시로 저장되는 중간저장고(51)와, 상기 중간저장고에 저장된 쌀을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받은 물과 함께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쌀과 물이 담겨지는 다수 개의 오븐(71)과, 상기 오븐에 담겨진 쌀과 물을 가열하여 밥을 취사하는 다수 개의 가열수단(7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밥의 취사를 1인분씩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다수 개의 오븐(71)에 1인분에 해당하는 쌀과 물을 각각 투입하여 동시에 취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하나의 이송관(63)에 다수 개의 오븐(71)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한꺼번에 많은 양의 밥을 동시에 취사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제어수단에 의해 각 오븐에 투입되는 쌀과 물의 양을 제어하는 것으로 게재되어 있으나, 하나의 이송관(63)을 통과하는 쌀과 물을 이송관(63)에 각각 연결 설치된 다수 개의 오븐(71)에 정량적으로 투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각 오븐에 쌀과 물을 모두 투입한 상태에서 한꺼번에 취사가 진행되므로, 각 오븐에서 취사된 밥의 익힘 정도가 모두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2522호(2006. 04.. 17.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제어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구조적으로 밥 1인분의 양에 해당되는 쌀을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취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쌀 저장부의 하부에 다리부재와 바퀴부재를 구비하여 쌀 저장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쌀의 보충 및 쌀 저장부의 세척이 보다 간편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쌀 저장부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취사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취사부에서의 취사가 개별적 및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1인분씩 정량적으로 취사를 하면서도 많은 양의 밥을 신속하게 취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계획적인 취사가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쌀의 낭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취사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쌀 저장부, 쌀 세척부 및 취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 취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쌀 세척부는, 쌀 저장부에 연결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쌀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제1제어부를 통해 공급된 쌀을 세척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쌀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를 통해 공급된 쌀을 취사부로 공급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쌀 저장부는 내측에 쌀이 수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다리부재 및 상기 다리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쌀 세척부에는 상기 다리부재 및 바퀴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제어부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에 연결 설치되는 제1캠부재와, 상기 제1캠부재에 일측 단부가 연결 설치되어 제1캠부재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왕복 구동하는 제1구동축과, 상기 제1구동축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세척부로의 쌀 공급을 제어하는 제1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1구동축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쌀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1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와 제1차단부재의 사이에는 제1캠부재의 회전 구동에 의해 세척부로 투입되는 쌀이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는, 제1제어부로부터 투입되는 쌀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쌀의 세척에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관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쌀을 세척시키는 세척수단 및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쌀의 세척에 사용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제어부는, 제3모터와, 상기 제3모터에 연결 설치되는 제2캠부재와, 상기 제2캠부재에 일측 단부가 연결 설치되어 제2캠부재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왕복 구동하는 제2구동축과, 상기 제2구동축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배출구를 통한 취사부로의 쌀 공급을 제어하는 제2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2구동축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쌀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와 제2차단부재의 사이에는 세척부에서 세척된 쌀이 1인분 만큼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취사부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의 상부에 안치되어 밥을 1인분씩 취사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릇과, 상기 그릇의 내측으로 1인분의 쌀을 투입시키는 쌀 공급부 및 상기 쌀 공급부에 의해 쌀이 투입된 그릇에 물을 투입시키는 제2급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쌀 공급부는, 취사부의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 단부 그릇의 상부에 위치되는 곳에 쌀이 투하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안치되고, 쌀 세척부로부터 배출되는 1인분의 쌀을 수용하는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정량그릇과, 상기 정량그릇에 연결 설치되어 정량그릇이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왕복이동하도록 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취사부의 상부에는 내측에 그릇을 수용하여 턴테이블에 의해 회전하는 가열수단의 상부에 그릇을 하나씩 투하시키는 그릇 공급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취사부의 상부에는 내측에 뚜껑을 수용하여 턴테이블에 의해 회전하는 그릇의 상부에 뚜껑을 하나씩 투하시키는 뚜껑 공급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제어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밥 1인분에 해당되는 양의 쌀을 구조적으로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1인분씩 취사하더라도 균질한 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 취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쌀 저장부의 하부에 다리부재와 바퀴부재를 구비하여 쌀 저장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쌀의 보충 및 쌀 저장부의 세척이 보다 간편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쌀 저장부의 이동이 편리해지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취사부에서의 취사가 개별적 및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1인분씩 정량적으로 취사를 하면서도 많은 양의 밥을 신속하게 취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계획적인 취사가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쌀의 낭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전자동조리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쌀 저장부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쌀 세척부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의 (a),(b)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1제어부의 작동관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의 (a),(b)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2제어부의 작동관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취사부의 모습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쌀 저장부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쌀 세척부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의 (a),(b)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1제어부의 작동관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a),(b)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2제어부의 작동관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취사부의 모습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에 의해 쌀의 투입, 세척 및 취사의 전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개별 용기에 1인분의 밥을 정량적으로 지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당 등 다수의 인원에게 식사를 제공하여야 하는 곳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취사장치(1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쌀 저장부(100), 쌀 세척부(200) 및 취사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쌀 저장부(100)는 밥을 짓기 위한 쌀을 저장하기 위한 곳으로, 자동 취사장치(10)의 최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된 쌀이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쌀 세척부(2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쌀 저장부(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부(110), 몸체부(120), 다리부재(130) 및 바퀴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몸체부(120)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개구부(122)와 배출부(124)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쌀을 투입시키거나 내측에 수용된 쌀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20)의 상단에는 덮개부(11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덮개부(110)는 몸체부(120)의 개구부(12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덮개부(110)의 상부에는 제1손잡이(112)가 구비되고, 몸체부(120)의 개구부(122)에는 단턱부(122a)가 형성되어 덮개부(11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20)의 외측에는 두 개 이상의 제2손잡이(126)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손잡이(126)는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몸체부(120)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쌀 저장부(100)를 자동 취사장치(10)에 결합시키거나 자동 취사장치(1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장치(10)는 주로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식사할 수 있도록 하는 식당 또는 구내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몸체부(120) 내측으로의 쌀 보충 또는 몸체부(120)의 세척이 빈번하게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쌀 저장부(10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20)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다리부재(130)가 구비되고, 상기 다리부재(130)의 하부에는 바퀴부재(140)가 결합되는데, 상기 다리부재(130)는 후술할 쌀 세척부(200)의 지지부(210)에 형성된 수용홈(212) 내측으로 삽입되어 쌀 저장부(100)가 쌀 세척부(2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바퀴부재(140)는 다리부재(1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쌀 세척부(200)가 분리된 경우 쌀 세척부(200)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다리부재(130)는 몸체부(120)의 하부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2 ~ 4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120도 간격으로 세 개의 다리부재(130)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쌀 저장부(100)의 내측에는 밥을 짓기 위한 쌀이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쌀 이외에도 보리, 현미, 콩 등 다양한 곡식이 혼합되어 저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부(124)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미도시)가 설치되어 쌀 저장부(100)로부터 쌀 세척부(200)로 공급되는 쌀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쌀 세척부(200)는 쌀 저장부(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쌀 저장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쌀을 세척하여 취사부(3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먼저 상기 쌀 세척부(200)의 외측에는 쌀 저장부(1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쌀 저장부(100)는 쌀 세척부(200)의 상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므로 쌀 저장부(100)의 외측에는 쌀 세척부(200)에 구비된 다리부재(130) 및 바퀴부재(140)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지지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10)에는 수용홈(212)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212)의 내측으로 쌀 저장부(100)의 다리부재(130)와 바퀴부재(140)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쌀 세척부(2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입구(220), 제1제어부(230), 세척부(240), 제2제어부(250) 및 배출구(2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먼저 상기 투입구(220)는 쌀 세척부(20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쌀 저장부(100)의 몸체부(120) 하단에 형성된 배출부(124)와 연결되는 것으로, 쌀 저장부(100)로부터 배출되는 쌀을 쌀 세척부(200)의 내측으로 투입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투입구(220)의 내측에는 투입구(220)를 통해 쌀 세척부(200)의 내측으로 유입된 쌀이 이동하는 투입통로(222)가 형성되는데, 상기 투입통로(222)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일정한 기울기 즉,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투입통로(222)는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220)를 쌀 세척부(200)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설치하고 투입구(220)에 연결 설치되는 투입통로(222)를 쌀 세척부(200)의 중심을 향해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쌀 저장부(100)로부터 쌀 세척부(200)로의 쌀 투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제1제어부(230)는 투입구(220)의 하부에 설치되어 투입구(220) 및 투입통로(222)를 통해 투입되는 쌀이 세척부(240)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제어부(230)는 제1모터(231), 제1캠부재(232), 제1구동축(233), 제1차단부재(234) 및 제1이동플레이트(2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1모터(231)는 제1캠부재(232)에 연결 설치되어 제1캠부재(232)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1캠부재(232)는 제1모터(231)와 제1구동축(233)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제1모터(23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제1구동축(233)을 왕복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모터와 캠 구조에 의해 구동축을 왕복 이동시키는 구성은 여러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제1구동축(233)은 제1캠부재(232)와 제1이동플레이트(235)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제1캠부재(232)의 회전 구동에 의해 좌,우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제1이동플레이트(235)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235)는 제1구동축(233)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제1캠부재(232)의 회전에 의한 제1구동축(233)의 왕복 이동에 의해 투입통로(222)와 세척부(240) 사이에 연결되는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킴으로써 세척부(240)로의 쌀의 투입 여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차단부재(234)는 제1구동축(233)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투입통로(222)를 통해 공급되는 쌀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제어부(230)는 투입구(220)를 통해 쌀 세척부(200)의 내부로 유입되고 투입통로(222)를 통해 이동하여 세척부(240)로 투입되는 쌀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세척부(240)의 입구부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이동플레이트(235)에 의해 세척부(240)로 유입되는 쌀의 이동을 차단하고, 제1모터(231)에 의해 구동되는 제1캠부재(232)의 회전시 발생되는 제1구동축(233)의 왕복 이동에 의해 제1이동플레이트(235)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척부(240)로 유입되는 쌀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차단부재(234)와 제1이동플레이트(235)는 쌀이 이동하는 통로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투입통로(222)를 통해 유입되는 쌀이 세척부(240)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235)와 제1차단부재(234)의 사이에는 제1수용공간(236)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수용공간(236)에는 투입통로(222)를 통해 투입된, 즉 세척부(240)로 투입되기 직전의 쌀이 수용된다.
한편, 도 5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투입통로(222)의 단부와 세척부(240)의 입구 사이에는 쌀이 이동하는 수평방향 통로(237)와 수직방향 통로(238)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235)는 수평방향 통로(237)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수평방향 통로(237)를 차단하도록 설치되고, 제1캠부재(232)의 회전에 의해 제1구동축(233)이 제1이동플레이트(235)를 수직방향 통로(238)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평방향 통로(237)와 수직방향 통로(238)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여 제1수용공간(236)으로 투입되는 쌀들이 개방된 수직방향 통로(238)를 통해 세척부(24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후술하겠지만, 상기 수평방향 통로(237)의 길이가 제1수용공간(236)의 폭, 즉 제1이동플레이트(235)의 후단부와 제1차단부재(234)의 전단부 사이의 거리에 비해 큰 경우에는 수직방향 통로(238)를 개방시키기 위해 제1이동플레이트(235)를 이동시키면, 제1차단부재(234)에 의해 투입통로(222)의 단부가 차단되어 쌀의 유입이 차단되므로, 제1수용공간(236)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쌀만이 수직방향 통로(238)를 통해 세척부(24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조적으로 제1캠부재(232)가 1회전하는 동안 세척부(240)로 투입되는 양을 제1수용공간(236)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쌀로 한정하는 경우, 제1수용공간(236)의 부피에 의해 세척부(240) 내측으로 투입되는 쌀의 양이 결정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투입통로(222)의 단부와 수직방향 통로(238)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방향 통로(237)의 길이가 제1수용공간(236)의 폭 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1차단부재(234)에 의해 투입통로(222)의 단부가 차단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1이동플레이트(235)가 수평방향 통로(237)와 수직방향 통로(238) 사이를 차단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투입통로(222)를 통해 투입되는 쌀이 연속적으로 세척부(240)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도시하였으나(도 5의 (a),(b) 참조), 필요에 따라서는 투입통로(222)의 단부와 수직방향 통로(238)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방향 통로(237)의 길이가 제1수용공간(236)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1구동축(233)의 구동에 의해 제1이동플레이트(235)가 수평방향 통로(237)와 수직방향 통로(238)를 개방시키는 경우 제1차단부재(234)가 투입통로(222)의 단부를 차단시키도록 함으로써 제1수용공간(236)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쌀만이 수직방향 통로(238)를 통해 세척부(240)의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세척부(240)는 제1제어부(2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제어부(230)를 통해 내측으로 공급되는 쌀을 세척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용부(242), 제1급수관(244), 세척수단(248) 및 배수관(2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용부(242)는 제1제어부(230)를 통해 공급되는 쌀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수용부(242) 내측에 일정량 이상의 쌀을 모은 상태에서 세척함으로써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제1급수관(244)은 수용부(242)에 연결 설치되어 쌀이 세척에 필요한 물을 수용부(242) 내측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1급수관(244)에는 제1밸브(244a)가 구비되어 수용부(242) 내측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세척수단(248)은 수용부(242)의 내측에 설치되어 쌀을 세척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2모터(248a), 회전봉(248b) 및 세척날개(248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쌀 세척부(2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제2모터(248a)를 구동시키면, 제2모터(248a)에 연결 설치된 회전봉(248b)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봉(248b)의 단부에 연결 설치된 다수의 세척날개(248c)들이 회전하면서 수용부(242) 내측에 수용된 쌀을 제1급수관(244)을 통해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 상기 배수관(246)은 수용부(242)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쌀의 세척에 사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수관(246)에는 제2밸브(246a)가 구비되어 배수관(246)을 통한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246)의 입구부, 즉 수용부(242)와 배수관(246) 사이의 연결부에는 거름망(246b)이 설치되어 수용부(242) 내부의 쌀이 배수관(246)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42)의 하단부 즉, 세척된 쌀이 배출되는 통로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미도시)가 설치되어 세척이 완료되지 않은 쌀이 제2제어부(25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1제어부(230)를 통해 수용부(242)의 내측에 일정 량의 쌀이 수용되면, 제1제어부(230)의 제1모터(231)를 작동하여 제1이동플레이트(235)가 다시 수평방향 통로를 차단시키도록 함으로써 쌀의 공급을 중단시키고, 제1밸브(244a)를 개방하여 제1급수관(244)을 통해 쌀을 세척하기 위한 물을 수용부(242)의 내측으로 투입시킨다.
이때, 배수관(246)에 구비된 제2밸브(246a)는 닫힘 상태에 있도록 하여 제1급수관(244)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배수관(246)을 통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수용부(242)의 내측에 쌀을 세척시킬 만큼의 충분한 유입되면, 제1밸브(244a)를 차단하여 제1급수관(244)을 통한 물의 유입을 중단시키고, 제2모터(248a)를 구동하여 세척날개(248c)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수용부(242)에 수용된 쌀을 세척하게 된다.
쌀의 세척이 완료되면, 배수관(246)에 구비된 제2밸브(246a)를 개방하여 세척에 사용된 물이 배수관(246)을 통해 빠져나가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배수관(246)의 입구부에 구비된 거름망(246b)에 의해 쌀이 배수관(246)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세척부(240)에서의 쌀의 세척공정이 진행되는데, 필요에 따라 상기 과정들을 수차례 반복 실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제2제어부(250)는 세척부(240)의 하부, 즉 세척부(240)와 배출구(2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세척부(240)에서 세척된 쌀의 공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3모터(미도시), 제2캠부재(252), 제2구동축(253), 제2이동플레이트(255) 및 제2차단부재(2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3모터, 제2캠부재(252), 제2구동축(253), 제2이동플레이트(255) 및 제2차단부재(254)의 구성은 전술한 제1제어부(230)의 구성들과 구성 및 작동관계가 동일한 것으로, 제3모터는 제2캠부재(252)에 연결 설치되어 제2캠부재(252)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2캠부재(252)는 제3모터와 제2구동축(253)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제3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제2구동축(253)을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55)는 제2구동축(253)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세척부(240)에서 세척된 쌀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2차단부재(254)는 제2구동축(253)의 외측에 결합되어 세척부(240)에서 세척된 쌀의 이동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55)와 제2차단부재(254)의 사이에는 제2수용공간(256)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수용공간(256)의 내측에는 세척부(240)에서 세척된 쌀이 1인분 만큼만 수용된다.
즉, 도 6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척부(240)로부터 쌀이 배출되는 통로와 쌀을 취사부(300)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260)의 사이에는 수평방향 통로(257)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방향 통로(257), 즉 세척부(240)로부터 쌀이 배출되는 통로와 배출구(260) 사이의 길이는 제2수용공간(256)의 폭, 즉 제2이동플레이트(255)와 제2차단부재(254)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되어 제3모터의 구동에 의한 제2캠부재(252)의 회전시 제2구동축(253)의 이동에 의해 제2이동플레이트(255)가 배출구(260)의 상부까지 이동하게 되면, 마찬가지로 제2구동축(253)의 외측에 결합된 제2차단부재(254) 또한 배출구(26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세척부(240)로부터 쌀이 배출되는 통로를 밀폐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2캠부재(252)의 회전에 의해 배출구(260)를 통해 배출되는 쌀의 양은 제2수용공간(256)에 수용된 쌀로 제한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제2수용공간(256)의 부피를 1인분의 쌀을 수용할 수 있는 부피로 한정함으로써 제2캠부재(252)의 회전 구동에 의해 배출구(260)를 통해 배출되는 쌀의 양을 구조적으로 1인분으로 정량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캠부재(252)의 1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2구동축(253)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제2수용공간(256)에 새로운 쌀 1인분이 수용되고, 상기와 같은 과정의 반복에 의해 제2캠부재(252)가 1회전할 때마다 상기 제2제어부(250)를 통해 1인분 씩의 세척된 쌀이 배출구(260)로 배출된다.
다음, 상기 배출구(260)는 제2제어부(25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2제어부(250)를 통해 공급되는 쌀을 취사부(300) 내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취사부(300)는 쌀 세척부(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쌀 세척부(200)를 통해 세척되어 1인분씩 공급되는 쌀을 개별적으로 그릇(332)에 수용하여 취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턴테이블(310), 가열수단(320), 쌀 공급부(350) 및 제2급수관(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턴테이블(310)은 취사부(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연속적인 회전 구동에 의해 연속적인 취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320)은 턴테이블(310)의 상부에 안치되어 밥을 짓기 위한 열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다수 개의 가열수단(320)이 턴테이블(310) 상에 구비되어 개별적인 취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의 자동 취사장치들은 세척된 쌀을 한꺼번에 커다란 밥솥 등에 넣고 동시에 가열하거나, 작은 용기에 1인분씩의 쌀을 담더라도 이들을 한꺼번에 가열하여 동시에 밥을 짓기 때문에 밥의 양을 인원수에 맞추어 정확하게 하기 어렵거나, 많은 양의 밥을 짓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던 것임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턴테이블(310)과 그 상부에 안치되는 다수 개의 가열수단(320)으로 인해 연속적이고도 개별적인 밥 짓기가 가능하게 되므로, 인원수에 맞는 양의 밥을 정확히 하면서도 밥을 짓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다음, 상기 쌀 공급부(350)는 각각의 가열수단(320) 상부에 안치되는 그릇(332), 즉 1인용 밥 그릇(332)의 내측으로 1인분 씩의 쌀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플레이트(352), 정량그릇(354) 및 구동장치(3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플레이트(352)는 취사부(300)의 내측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정량그릇(35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정량그릇(354)은 쌀 세척부(200)의 배출구(260)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지지플레이트(352)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출구(260)로부터 배출되는 1인분의 쌀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정량그릇(354)은 상부와 하부가 모두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52)의 일측 단부, 즉 턴테이블(310) 상에서 회전하는 그릇(332)의 상부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관통홀(352a)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구동장치(356)는 정량그릇(354)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정량그릇(354)이 쌀 세척부(200)의 배출구(260) 하부와 지지플레이트(352)의 관통홀(352a)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피스톤 형태의 장치나 전술한 제1제어부(230)나 제2제어부(250)와 같은 모터와 캠구조를 이동한 장치(미도시)를 구동장치(356)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쌀 세척부(200)의 배출구(260)로부터 세척된 쌀 1인분이 지지플레이트(352) 상에 안치된 정량그릇(354)의 내측으로 배출되면 구동장치(356)를 작동시켜 정량그릇(354)을 지지플레이트(352)의 관통홀(352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하부가 개방된 정량그릇(354)의 형상에 의해 정량그릇(354) 내부에 수용된 쌀이 관통홀(352a)을 통해 턴테이블(310) 상의 그릇(332)으로 투하되고, 쌀의 투하가 완료되면, 다시 구동장치(356)의 구동에 의해 정량그릇(354)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턴테이블(310) 상에서 회전하는 각각의 그릇(332)에 1인분 씩의 세척된 쌀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제2급수관(360)은 취사부(300)에 연결 설치되어 쌀 공급부(350)에 의해 1인분의 쌀이 공급된 그릇(332)의 내측으로 1인분의 밥을 짓기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2급수관(360)에는 제3밸브(362)가 구비되어 제2급수관(360)을 통한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취사부(300)에는 그릇 공급부(330)와 뚜껑 공급부(34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는데, 상기 그릇 공급부(330)는 취사부(300)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밥을 1인분씩 짓기 위한 그릇(332)이 수용되는 것으로, 턴테이블(310)에 의해 회전하는 가열수단(320)의 상부에 그릇 공급부(330)의 내측에 수용된 그릇(332)을 한 개씩 투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그릇(332)의 재질로는 금속이나 자기재는 물론 종이재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 공급부(340)는 마찬가지로 취사부(300)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그릇(332)을 덮기 위한 뚜껑(342)들이 수용되는 것으로, 턴테이블(310)의 상부로 투하된 그릇(332)의 상부에 뚜껑(342)을 1개씩 투하하여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전체적인 밥을 짓는 공정 및 턴테이블(310)의 회전 방향을 고려하여, 그릇 공급부(330)가 가장 전방에 위치되고, 그릇 공급부(330)의 후방에서 쌀 공급부(350)에 의한 쌀의 투하가 이루어지며, 쌀의 투하 후 제2급수관(360)에 의한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모든 과정 후에 뚜껑 공급부(340)로부터 뚜껑(342)이 투하되어 그릇(332)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쌀 세척부(200) 중 일부가 취사부(300)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그릇 공급부(330) 또는 뚜껑 공급부(340)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취사부(300) 상에 쌀 세척부(200)가 보다 견고히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취사부(300)의 전면에는 투명창이나 투명 도어를 설치하여 취사부(300) 내부에서의 밥 짓는 공정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자동 취사장치(10)에 의한 취사과정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상기 제어부는 제1 내지 제3모터(231,248a,미도시)의 회전속도나, 제1급수관(244), 배수관(246) 및 제2급수관(360)에 각각 구비된 제1 내지 제3밸브(244a,246a,362)의 개폐, 턴테이블(310)의 회전속도, 쌀 공급부(350), 그릇 공급부(330) 및 뚜껑 공급부(34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밥을 짓기 위한 전 과정이 순차적으로 시간 지연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각각의 가열수단(320)에서 발생되는 온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턴테이블(310)의 회전주기와 1인분의 밥을 짓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일치하도록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장치(10)에 의하면, 별도의 제어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밥 1인분에 해당되는 양의 쌀을 구조적으로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1인분씩 취사하더라도 균질한 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 취사장치(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고, 쌀 저장부(100)의 하부에 다리부재(130)와 바퀴부재(140)를 구비하여 쌀 저장부(100)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쌀의 보충 및 쌀 저장부(100)의 세척이 보다 간편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쌀 저장부(100)의 이동이 편리해질 수 있으며, 취사부(300)에서의 취사가 개별적 및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1인분씩 정량적으로 취사를 하면서도 많은 양의 밥을 신속하게 취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계획적인 취사가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쌀의 낭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 취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에 의해 쌀의 투입, 세척 및 취사의 전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개별 용기에 1인분의 밥을 정량적으로 지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당 등 다수의 인원에게 식사를 제공하여야 하는 곳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취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10 : (자동) 취사장치 100 : 쌀 저장부
110 : 덮개부 112 : 제1손잡이
120 : 몸체부 122 : 개구부
122a : 단턱부 124 : 배출부
126 : 제2손잡이 130 : 다리부재
140 : 바퀴부재 200 : 쌀 세척부
210 : 지지부 212 : 수용홈
220 : 투입구 222 : 투입통로
230 : 제1제어부 231 : 제1모터
232 : 제1캠부재 233 : 제1구동축
234 : 제1차단부재 235 : 제1이동플레이트
236 : 제1수용공간 237, 257 : 수평방향 통로
238 : 수직방향 통로 240 : 세척부
242 ; 수용부 244 : 제1급수관
244a : 제1밸브 246 : 배수관
246a : 제2밸브 246b : 거름망
248 : 세척수단 248a : 제2모터
248b : 회전봉 248c : 세척날개
250 : 제2제어부 252 : 제2캠부재
253 : 제2구동축 254 : 제2차단부재
255 : 제2이동플레이트 256 : 제2수용공간
260 : 배출구 300 : 취사부
310 : 턴테이블 320 : 가열수단
330 : 그릇 공급부 332 : 그릇
340 : 뚜껑 공급부 342 : 뚜껑
350 : 쌀 공급부 352 : 지지플레이트
352a : 관통홀 354 : 정량그릇
356 : 구동장치 360 : 제2급수관
362 : 제3밸브

Claims (11)

  1. 쌀 저장부, 쌀 세척부 및 취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 취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쌀 세척부는,
    쌀 저장부에 연결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쌀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제1제어부를 통해 공급된 쌀을 세척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쌀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를 통해 공급된 쌀을 취사부로 공급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취사부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의 상부에 안치되어 밥을 1인분씩 취사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릇과, 상기 그릇의 내측으로 1인분의 쌀을 투입시키는 쌀 공급부 및 상기 쌀 공급부에 의해 쌀이 투입된 그릇에 물을 투입시키는 제2급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쌀 공급부는,
    취사부의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 단부 그릇의 상부에 위치되는 곳에 쌀이 투하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안치되고, 쌀 세척부로부터 배출되는 1인분의 쌀을 수용하는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정량그릇과,
    상기 정량그릇에 연결 설치되어 정량그릇이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왕복이동하도록 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쌀 저장부는 내측에 쌀이 수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다리부재 및 상기 다리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쌀 세척부에는 상기 다리부재 및 바퀴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에 연결 설치되는 제1캠부재와, 상기 제1캠부재에 일측 단부가 연결 설치되어 제1캠부재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왕복 구동하는 제1구동축과, 상기 제1구동축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세척부로의 쌀 공급을 제어하는 제1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1구동축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쌀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1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와 제1차단부재의 사이에는 제1캠부재의 회전 구동에 의해 세척부로 투입되는 쌀이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제1제어부로부터 투입되는 쌀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쌀의 세척에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관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쌀을 세척시키는 세척수단 및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쌀의 세척에 사용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제3모터와, 상기 제3모터에 연결 설치되는 제2캠부재와, 상기 제2캠부재에 일측 단부가 연결 설치되어 제2캠부재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왕복 구동하는 제2구동축과, 상기 제2구동축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배출구를 통한 취사부로의 쌀 공급을 제어하는 제2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2구동축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쌀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와 제2차단부재의 사이에는 세척부에서 세척된 쌀이 1인분 만큼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부의 상부에는 내측에 그릇을 수용하여 턴테이블에 의해 회전하는 가열수단의 상부에 그릇을 하나씩 투하시키는 그릇 공급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부의 상부에는 내측에 뚜껑을 수용하여 턴테이블에 의해 회전하는 그릇의 상부에 뚜껑을 하나씩 투하시키는 뚜껑 공급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장치.
KR1020170020988A 2017-02-16 2017-02-16 자동 취사장치 KR101867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988A KR101867860B1 (ko) 2017-02-16 2017-02-16 자동 취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988A KR101867860B1 (ko) 2017-02-16 2017-02-16 자동 취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860B1 true KR101867860B1 (ko) 2018-06-18

Family

ID=62765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988A KR101867860B1 (ko) 2017-02-16 2017-02-16 자동 취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8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449B1 (ko) 2020-01-20 2021-04-30 박주희 자동 취반 및 배출 장치
WO2024060565A1 (zh) * 2022-09-23 2024-03-28 爱仕达股份有限公司 一种批量式蒸饭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4164A (ja) * 1995-02-21 1996-09-03 Kubota Corp 炊飯装置
KR200182657Y1 (ko) * 1999-12-16 2000-05-15 김종규 솜사탕 자동제조장치
KR20060032522A (ko) 2004-10-12 2006-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조리기 및 이를 사용한 취사방법
JP3823545B2 (ja) * 1998-06-25 2006-09-20 井関農機株式会社 自動炊飯装置
KR100633466B1 (ko) * 2005-07-19 2006-10-13 김강희 다양한 종류의 밥을 지을 수 있는 자동취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4164A (ja) * 1995-02-21 1996-09-03 Kubota Corp 炊飯装置
JP3823545B2 (ja) * 1998-06-25 2006-09-20 井関農機株式会社 自動炊飯装置
KR200182657Y1 (ko) * 1999-12-16 2000-05-15 김종규 솜사탕 자동제조장치
KR20060032522A (ko) 2004-10-12 2006-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조리기 및 이를 사용한 취사방법
KR100633466B1 (ko) * 2005-07-19 2006-10-13 김강희 다양한 종류의 밥을 지을 수 있는 자동취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449B1 (ko) 2020-01-20 2021-04-30 박주희 자동 취반 및 배출 장치
WO2024060565A1 (zh) * 2022-09-23 2024-03-28 爱仕达股份有限公司 一种批量式蒸饭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6145B2 (en) Liquid movement and control within a rotatable container for food preparation
US9320388B2 (en) Liquid movement and control within a container for food preparation
CN207821643U (zh) 一种家用自动化中餐机
MX2014001591A (es) Movimiento y control de alimentos dentro de un contenedor para preparación de alimentos.
JP2010505583A (ja) 無人自動炊飯装置
US9895721B2 (en) Rotisserie oven with shooter tube cleaning system
KR101867860B1 (ko) 자동 취사장치
KR100994458B1 (ko) 자동 취사장치
GB2521999A (en) An automatic cooking device
US8616121B1 (en) Cooktop drain
CN114745990B (zh) 全自动电饭锅装置
KR100559075B1 (ko) 자동취사장치
KR20190129329A (ko) 무인 취사 밥솥
CN109588468A (zh) 全自动洗虾煮虾设备
JP2740059B2 (ja) 炊飯装置
KR20020069320A (ko) 씽크대와 일체로 구비되는 자동 세미기
US7172335B1 (en) Automatic mashed potato system
KR101945290B1 (ko) 회전식 조리 장치
CN212186196U (zh) 一种全自动电饭锅
CN218565508U (zh) 一种自动加酱电磁灶
EP1734848B1 (en) Machine for preparing ready-to-eat meals based on pasta starting from precooked and deep-freezed pasta
TWI674083B (zh) 具有分離式攪拌結構的食材烹煮設備
JP2009072379A (ja) 冷凍麺調理装置
CN113180508A (zh) 一种具有冷藏、洗切、保温和预约功能的自动烧菜机
KR900002784Y1 (ko) 자동 쌀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