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500B1 - 일산화탄소 제거부를 포함한 수소제조 반응기 - Google Patents

일산화탄소 제거부를 포함한 수소제조 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500B1
KR101866500B1 KR1020160150791A KR20160150791A KR101866500B1 KR 101866500 B1 KR101866500 B1 KR 101866500B1 KR 1020160150791 A KR1020160150791 A KR 1020160150791A KR 20160150791 A KR20160150791 A KR 20160150791A KR 101866500 B1 KR101866500 B1 KR 101866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orming
raw material
pipe
housing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3795A (ko
Inventor
서동주
김우현
박상호
윤왕래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50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500B1/ko
Priority to US15/700,741 priority patent/US10899612B2/en
Publication of KR20180053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3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 C01B3/323Catalytic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other than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 C01B3/326Catalytic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other than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2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decomposi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19Catalysts containing parts with different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01J8/044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 B01J8/0461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two or more cylindrical annular shaped beds
    • B01J8/0465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two or more cylindrical annular shaped beds the beds being concen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01J8/044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 B01J8/0461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two or more cylindrical annular shaped beds
    • B01J8/0469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two or more cylindrical annular shaped beds the beds being superimposed one above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01J8/0496Heating or cooling the re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in tube reactors; the solid particles being arranged in tubes
    • B01J8/065Feeding reactive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in tube reactors; the solid particles being arranged in tubes
    • B01J8/067Heating or cooling the re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50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 C01B3/56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contacting with solids; Regeneration of used solids
    • C01B3/58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contacting with solids; Regeneration of used solids including a catalytic reaction
    • C01B3/583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contacting with solids; Regeneration of used solids including a catalytic reaction the reaction being the selective oxidation of carbon mon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50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 C01B3/56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contacting with solids; Regeneration of used solids
    • C01B3/58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contacting with solids; Regeneration of used solids including a catalytic reaction
    • C01B3/586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contacting with solids; Regeneration of used solids including a catalytic reaction the reaction being a methanation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106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 B01J2208/00168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with heat exchange elements outside the bed of solid particles
    • B01J2208/00176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with heat exchange elements outside the bed of solid particles outside the re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106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 B01J2208/00168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with heat exchange elements outside the bed of solid particles
    • B01J2208/00203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106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 B01J2208/00309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with two or more reactions in heat exchange with each other, such as an endothermic reaction in heat exchange with an exothermic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504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means of a bur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53Controlling multiple zones along the direction of flow, e.g. pre-heating and after-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6Details of tube reactors containing solid particles
    • B01J2208/065Heating or cooling the re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2Plati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2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5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configuration
    • B01J35/56Foraminous structures having flow-through passages or channels, e.g. grids or three-dimensional monolith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05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 C01B2203/0227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containing a catalytic reforming step
    • C01B2203/0233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containing a catalytic reforming step the reforming step being a steam reforming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4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urification step for the hydrogen or the synthesis gas
    • C01B2203/0435Catalytic purification
    • C01B2203/044Selective oxidation of carbon mon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4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urification step for the hydrogen or the synthesis gas
    • C01B2203/0435Catalytic purification
    • C01B2203/0445Selective metha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4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urification step for the hydrogen or the synthesis gas
    • C01B2203/0465Composition of the impurity
    • C01B2203/047Composition of the impurity the impurity being carbon mon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Methods of heating or cooling
    • C01B2203/0805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11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by combustion of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05Arrangement or shape of catalyst
    • C01B2203/1011Packed bed of catalytic structures, e.g. particles, pack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41Composition of the catalyst
    • C01B2203/1047Group VIII metal catalysts
    • C01B2203/1052Nickel or cobalt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41Composition of the catalyst
    • C01B2203/1047Group VIII metal catalysts
    • C01B2203/1064Platinum group metal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41Composition of the catalyst
    • C01B2203/1076Copper or zinc-based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Feed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05Composition of the feed
    • C01B2203/1211Organic compounds or organic mixtures used in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17Alcohols
    • C01B2203/1223Methano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Feed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05Composition of the feed
    • C01B2203/1211Organic compounds or organic mixtures used in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17Alcohols
    • C01B2203/1229Ethano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Feed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88Evaporation of one or more of the different feed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6Controlling the process
    • C01B2203/1614Controlling the temperature
    • C01B2203/1619Measuring the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2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catalysts, e.g. selective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탄소화합물과 물을 함유한 원료로부터 수소를 포함하는 개질가스를 생성하는 반응기로, 반응기의 중심축에 위치한 원료 이송관을 중심으로 연소부 및 개질부가 동심 구조로 이격하여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연소부에 원료를 공급하는 가열 원료 이송관,
공급받은 원료를 연소하여 개질부에 열을 공급하는 연소부,
상기 연소부 내에 위치하여 공급받은 원료를 가열시키는 개질 원료 상전이관 및
상기 개질 원료 상전이관으로부터 공급받은 상전이된 원료를 개질하는 개질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질 원료 상전이관은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의 하단의 외주면을 코일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제조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산화탄소 제거부를 포함한 수소제조 반응기{Hydrogen production rector including carbon monoxide removing unit}
본 발명은 탄소화합물을 개질하여 수소를 포함하는 개질가스로 전환하여 연료전지 등에 공급이 가능한 수소를 제조하는 수소제조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탄소화합물과 물이 혼합된 액체 원료를 기화시킨 후 촉매가 충진된 개질부에서 촉매와 접촉 반응으로 수소를 포함하는 개질가스로 전환시키고, 반응을 촉진하기 위하여 개질부와 분리된 인접유로에 연소부를 위치시켜 액체 원료 일부를 촉매 하에서 연소반응 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열을 개질부에 반응열로 공급하고, 동시에 상기 개질부 말단에 일산화탄소 제거부를 포함하여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수소제조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면서 수소를 연료로 하는 청정연료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고분자 연료전지 시스템은 고효율의 발전 장치로서 작동 온도가 낮고, 빠른 시동이 가능하므로 적절한 수소공급 장치와 연계된다면 다양한 분야에 전력 공급 장치로서 활용 가능하다.
메탄올을 포함하는 탄소화합물은 유황성분이 없고 높은 수소/탄소-비 특성의 분자구조를 지니며, 동시에 물과 잘 섞이고, 상온, 상압에서 액상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져 저장이 용이한 연료이다. 탄소 화합물로부터 수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수증기 개질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탄소화합물로부터 수증기 개질반응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먼저 액체 상태인 탄소화합물과 물의 혼합물을 기화시키기 위한 기화기, 개질반응기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연소기, 연소용 액체연료를 기화시키기 위한 기화기가 요구되며, 고분자 연료전지와 같이 일산화탄소에 취약한 고분자 연료전지에 공급할 경우에는 일산화탄소 제거를 위해 정제기가 별도로 요구된다.
일예로, 메탄올에서 수소를 생산하는 반응은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진행된다.
[반응식 1]
CH3OH + H2O = CO2 + 3H2 ΔH = 49.4kJ/mol (1)
CH3OH = CO + 2H2 ΔH = 90.5kJ/mol (2)
CO + H2O = CO2 + H2 ΔH = -41.1kJ/mol (3)
상기와 같이 메탄올을 사용한 개질반응은 상기 반응식 1의 (1)과 같이 진행되면서 동시에 (2)의 반응도 고온에서 부분적으로 발생한다. (1) 및 (2) 반응은 흡열반응으로 이들 반응들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열이 공급되어야 하며, 반응속도 조절을 위해 개질반응이 일어나는 촉매의 온도 조절이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2) 반응에서 반응기의 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 메탄올 직접 분해 반응과 위의 (3) 반응의 역반응이 진행되어 생성물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게 되며,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에는 수증기의 응축이 발생하면서 촉매층의 반응속도가 저하되어 메탄올 연료의 전환 용량이 감소하므로 개질부의 온도를 정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0314829호에는 개질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이중의 튜브를 구비하는 메탄올 개질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반응기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대형이며, 연소촉매가 개질촉매의 옆면을 전체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것이 아니며, 연소촉매가 하나의 관에 충진된 것이 아닌 여러 곳에 분산되어 충진하고 있어 개질부에 효과적으로 열을 공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퍼시픽 노드 내셔널 라보레토리(Pacific North National Laboratory)의 논문 J. of Power source, 108 (2002) 21-27에는 메탄올을 연소연료와 개질원료로 동시에 사용하는 소형 메탄올 수증기 개질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200㎽ 정도의 낮은 출력을 가지고 있고, 반응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연소기에 들어가는 연료로서의 메탄올 양이 많아 전체 열효율이 5 내지 10%로 매우 낮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반응기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열효율과 반응 전환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수소제조 반응기의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14829호(2001.11.02.)
Pacific North National Laboratory, J. of Power source, 108 (2002) 21-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반응기 내부에 요구되는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간단하면서 소형으로 제작 가능한 탄소화합물로부터 수소를 제조할 수 있는 수소제조 반응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질 원료를 상전이시키는 개질 원료 상전이관의 증발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높은 전환율을 구현하는 개질 반응이 가능한 수소제조 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소화합물로부터 생성되는 수소가 풍부한 가스 중에 함유된 일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고분자 연료전지에 연료로 공급하더라도 연료전지의 열화를 일으키지 않는 수소제조 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탄소화합물로부터 수소를 생산하는 수소제조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탄소화합물과 물을 함유한 원료로부터 수소를 포함하는 개질가스를 생성하는 반응기로, 반응기의 중심축에 위치한 원료 이송관을 중심으로 연소부 및 개질부가 동심 구조로 이격하여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연소부에 원료를 공급하는 가열 원료 이송관,
공급받은 원료를 연소하여 개질부에 열을 공급하는 연소부,
상기 연소부 내에 위치하여 공급받은 원료를 가열시키는 개질 원료 상전이관 및
상기 개질 원료 상전이관으로부터 공급받은 상전이된 원료를 개질하는 개질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질 원료 상전이관은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 하단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 형태로 구비된다.
더욱 좋게는 상기 개질부는 공급받은 원료로부터 개질되어 생성되는 생성물 중 일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일산화탄소 제거 촉매가 충진된 일산화탄소 제거부를 말단에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일산화탄소 제거 촉매는 금, 은, 철, 코발트, 니켈, 구리, 망간, 알루미늄, 아연, 티타늄, 하프늄, 로듐, 루테늄, 오스뮴, 이리듐, 팔라듐, 백금, 지르코늄 및 란탄족 금속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이들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기는 외측에서 순차적으로 제1하우징, 제2하우징 및 가열 원료 이송관이 동심 구조로 이격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사이의 이격공간에 형성된 개질부가 개질촉매를 구비하며, 상기 제2하우징과 가열 원료 이송관 사이의 이격공간에 형성된 연소부가 연소촉매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질촉매 및 연소촉매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금, 은, 철, 코발트, 니켈, 구리, 망간, 알루미늄, 아연, 티타늄, 하프늄, 로듐, 루테늄, 오스뮴, 이리듐, 팔라듐, 백금, 지르코늄 및 란탄족 금속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이들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좋게는 상기 개질촉매는 구리/산화세륨/산화지르코늄 복합체, 구리/산화아연/산화알루미늄 복합체, 구리/산화세륨/산화알루미늄 복합체 및 구리/산화지르코늄/산화알루미늄 복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기는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의 하단과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은 이격하여 제1격실을 형성하며,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은 상기 제1하우징의 하단과 이격하여 제2격실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기는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의 상단에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과 외부를 격리하는 수평 격리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대, 상기 수평 격리판은 가열 원료 공급관, 연소 생성물 배출관, 개질 원료 공급관 및 개질 원료 배출관이 관통되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열 원료 공급관은 가열 원료 이송관과 연결되며, 상기 연소 생성물 배출관은 연소부와 연결되며, 상기 개질 원료 공급관 및 개질 원료 배출관은 개질 원료 상전이관의 일단 및 타단과 각각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질 원료 배출관은 상기 제2격실과 연결된 것일 수 있으며, 예열 배관과 연결되며, 제1하우징의 외측면을 코일 형태로 둘러쌓을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은 외측면에 개질촉매가 충진된 부분에 하나 이상의 온도 측정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소부는 연소 촉매가 충진되지 않은 공간에 열전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질부는 하나 이상의 전열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료가 원료탱크에 저장되고, 상기 원료는 상기 원료탱크에서 상기 가열 원료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가열 원료 및 상기 원료탱크에서 상기 개질 원료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개질 원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술한 수소제조 반응기를 이용한 수소 제조 방법으로, 가열 원료는,
a) 가열 원료 공급관을 통해 가열 원료 이송관으로 이송되는 단계;
b) 제 1 격실을 통해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에서 연소부로 이송되며, 상기 연소부에 충진된 연소 촉매와 반응하여 촉매 연소를 진행하는 단계; 및
c) 촉매 연소 후 연소 생성물 배출관을 통해 연소 생성물을 반응기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유동되며,
개질 원료는
1) 개질 원료 공급관을 통해 개질 원료 상전이관으로 이송된 후 기체상으로 상전이되는 단계;
2) 개질 원료 배출관 및 예열 배관을 통해 상전이된 개질 원료가 제 2 격실로 이송되는 단계;
3) 상기 제 2 격실에 공급된 개질 원료가 개질부를 통과하여 개질부에 충진된 개질 촉매와 반응하는 단계;
4) 개질부 말단에 일산화탄소 제거부의 일산화탄소 제거 촉매층을 통과하여 선택적으로 일산화탄소가 제거되는 단계; 및
5) 반응이 끝난 생성물을 반응기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유동되는 것이다.
상기 가열 원료 또는 개질 원료는 물 30 내지 50 중량% 및 탄소 화합물 5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3) 단계에서 개질 촉매는 100 내지 300 ℃의 온도범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4) 단계에서 상기 일산화탄소 제거 촉매층은 200 내지 300℃의 온도범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제조 반응기는 연소부의 연소촉매 또는 개질부의 개질촉매를 이용하여 열구배의 조절이 용이하며, 반응에 따른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특히, 개질 원료를 상전이 시 증발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반응 생성물의 전환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제조 반응기는 일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생산수소의 공급대상인 고분자연료전지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제조 반응기는 초기 반응이 용이하고 반응기의 크기를 컴팩트화하기 좋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제조 반응기는 연료전지 등 수소를 연료로 하는 일반 에너지 시스템뿐만 아니라, 전력 공급이 어려운 다양한 분야의 백업 전원용 또는 납축전지 대체용으로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에 히터를 구비한 반응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반응기의 내부에 연소부의 연소촉매와 개질 원료 상전이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내부에 가열 원료 이송관을 제거한 반응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가열 원료 이송관 및 개질원료 상전이관이 구비된 수평 격리판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수평 격리판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 및 구체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탄소화합물로부터 수소를 제조하는 수소제조 반응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반응기는 도 1에서 반응기의 일단 중 개질용 원료 공급관이 위치하는 일단을 '하단'으로 하고, 하단과 대향하는 타단을 '상단'으로 한다. 이는 반응기뿐만 아니라 제 1 하우징, 제 2 하우징 및 원료 이송관도 동일한 하단 및 상단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동심축'이란 상기 반응기로 원료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반응기를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 1 하우징, 제 2 하우징 및 원료 이송관이 형성하는 도형의 중심을 연결한 축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도형의 중심은 무게중심을 의미하며, 상기 제 1 하우징, 제 2 하우징 및 원료 이송관은 동일 또는 상이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동심축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하우징, 제 2 하우징 및 원료 이송관에서 동심축과 대향하는 방향이 내부, 반대 방향이 외부를 뜻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원료'는 탄소화합물 및 물을 포함하는 액체상 또는 기체상 물질을 총칭하는 것으로, 원료탱크에 저장되며, 상기 원료는 상기 원료탱크에서 상기 가열 원료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가열 원료’ 및 상기 원료탱크에서 상기 개질 원료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개질 원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원료 및 개질원료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한 조성비를 가져도 상관없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수소 생성용 반응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는 가열 원료 이송관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으로부터 제 1 하우징, 제 2 하우징 및 가열 원료 이송관이 순차적으로 동심 구조를 가지며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내부에 개질 원료 상전이관이 구비된다. 이로써 단일 반응기 내에서 원료의 이송, 상전이, 개질 및 연소 반응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1)는 제 1 하우징(2) 및 수평 격리판(4)으로 밀폐되며, 내부에는 제 2 하우징(3), 가열 원료 이송관(10) 및 개질 원료 상전이관(11)을 구비한다. 또한, 수평 격리판(4)에는 가열 원료 공급관(12), 연소 생성물 배출관(13) 및 개질 원료 배출관(15)이 각각 수평 격리판(4)을 관통하여(도 6), 반응기 외부에서 내부로 개질원료 또는 가열원료를 공급하거나, 반응 후 생성물을 반응기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와 별도로 개질원료 공급관(14)은 가열원료 공급관(12) 내부를 관통하여 개질원료 상전이관(11)과 연결한다.
상기 가열 원료 공급관(12)은 가열 원료를 가열 원료 이송관(10)으로 보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열 원료는 상기 연소부 내에 충진된 연소촉매(8)를 통과하여 촉매 연소 반응이 진행되며, 촉매 연소 후 생성물은 연소 생성물 배출관(13)을 통해 반응기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10)으로 공급되는 가열 원료와는 별도로 개질원료가 개질원료 공급관(14)을 통해 개질원료 상전이관(11)으로 공급된다. 이때, 개질 원료 상전이관(11)은 가열 원료 이송관(10)의 외주면에 접하여 위치하며, 가열 원료 이송관(10) 하단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 형태를 가진다. 이때, ‘하단’의 의미는 가열 원료 이송관을 상단과 하단으로 구분하는 것에 따르는 것으로, 연소부에서 연소촉매가 충진된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의 밑부분(bottom)에서부터 1/2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의 범위를 하단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는 연소촉매가 충진되는 높이와 개질 원료 상전이관의 튜브 직경, 원료 공급량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개질 원료 상전이관(11)은 가열 연료가 연소부의 연소촉매와 반응을 일으켜 발생하는 열이 직접 전달되어 상전이가 되도록 가열 원료 이송관(10)의 하단인 연소촉매가 충진되는 연소부의 하단부와 인접한 위치의 높이에 위치한다. 이는 연소 공정에서 발생한 반응열이 상전이에 즉각적으로 전달되어 연소 반응의 개시와 동시에 개질 원료의 증발이 진행되고 그 증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응기 내부에 지속적으로 열을 공급하는 동시에 증발 후 고온으로 가열된 원료를 개질 촉매층 입구로 공급하여 부족한 열을 보완해 줄 수 있다.
상기 개질 원료 상전이관(11)을 통과한 개질원료는 개질 원료 배출관(15)을 통해 일단 반응기 외부로 빠져나와 제 2 격실(18)로 이송된다. 이송된 개질원료는 제 2 격실(18)로 공급되어 개질부(5) 내부에 적층된 개질 촉매(6)를 통과하면서 수소가 풍부(rich)한 개질가스로 전환된다. 이때, 수소가 풍부한 개질가스는 일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어, 개질 촉매 통과 후 개질부의 말단에 구비되는 일산화탄소 제거부(9)를 통해 일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일산화탄소 제거부(9)는 일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는 촉매를 구비하며, 일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방법은 크게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하기 반응식 2와 같은 선택적 메탄화 반응을 실시하는 것이 더욱 좋다.
[반응식 2]
CO + 3H2 → CH4 + H2O (발열, 일산화탄소 메탄화) (4)
CO2 + 4H2 → CH4 + 2H2O (발열, 이산화탄소 메탄화) (5)
CO2 + H2 → CO + H2O (흡열, 역수성가스 전이반응) (6)
상기 반응식 2에서, (4)는 주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일산화탄소를 메탄화하며, 반응으로 인해 촉매층에서의 발열이 일어난다. 반면, (5) 및 (6)은 부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6)의 경우, 흡열반응으로 역수성 전이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일산화탄소 제거부에서는 상당한 반응열이 발생하게 되어 촉매층의 온도가 증가하면서 부반응인 (5), (6)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며, 일산화탄소의 메탄화 전환율과 선택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일산화탄소 제거부의 촉매층은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의 온도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일산화탄소의 메탄화 전환효율이 높고, 일산화탄소 제거부(9) 내 반응촉매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온도범위를 유지하는 방법은 크게 제한되지 않지만, 내부 열을 이용하거나 외부로부터 온도 유지를 위한 수단을 별도로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제 1 하우징(2) 및 제 2 하우징(3)은 메탈 재질로 동심축을 가지며, 서로 이격되어 개질부(5)를 형성한다. 상기 개질부(5)는 개질반응에 의해 개질원료가 수소를 포함하는 개질가스로 전환되는 곳으로, 상기 개질부 중 일부가 개질촉매(6)로 충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개질부(5)에 충진된 개질촉매(6)가 개질부(5)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처럼 보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개질촉매(6)가 개질부(5) 내에 충진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또한, 상기 개질부(5)는 상단의 일산화탄소 제거부(9)와 연계되어 통칭된다.
상기 제 1 하우징(2)은 제 2 하우징(3)보다 직경이 크며, 상기 제 2 하우징의 옆면을 완전히 외부와 차단되도록 둘러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2 하우징의 옆면 중 일부분을 개질촉매(6)가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질부(5)는 하류부인 상단에, 앞서 상술한 일산화탄소 제거부(9)와 개질된 원료가 배출되는 개질 생성가스 배출관(2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응기(1)는 제 1 하우징의 하단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하단이 이격하여 제 2 격실(18)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격실은 기체상의 개질연료를 받아 상기 개질부로 이송하는 유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개질부(5)는 개질촉매(6)를 용이하게 충진하기 위해 하단에 가이드 타공판(2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타공판(23)은 상기 개질촉매(6)가 상기 제 2 격실(18)로 떨어지거나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이외에 상기 개질부와 상기 제 2 격실(18)과의 간극을 두는 기능도 있다. 또한, 상기 개질원료가 용이하게 개질부로 유입되도록 메쉬 형태나 중공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개질촉매(6)는 개질부(5)의 하단부터 충진되며, 상기 가이드 타공판(23)을 기점으로 상기 개질부의 상단과 이격하여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좋게는 연소촉매와 인접하여 충진 높이가 동일하거나 더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질부 말단에 위치하는 일산화탄소 제거부(9)를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개질촉매(6)는 금, 은, 철, 코발트, 니켈, 구리, 망간, 알루미늄, 아연, 티타늄, 하프늄, 로듐, 루테늄, 오스뮴, 이리듐, 팔라듐, 지르코늄 및 란탄족 금속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이들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일예로, 구리/산화세륨/산화지르코늄 복합체, 구리/산화아연/산화알루미늄 복합체, 구리/산화세륨/산화알루미늄 복합체 및 구리/산화지르코늄/산화알루미늄 복합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리 : 아연 : 알루미늄 산화물을 3 내지 5 : 3 내지 5 : 1 내지 3의 중량비로 공침법으로 합성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일산화탄소 제거부(9) 내부에 구비되는 일산화탄소 제거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금, 은, 철, 코발트, 니켈, 구리, 망간, 알루미늄, 아연, 티타늄, 하프늄, 로듐, 루테늄, 오스뮴, 이리듐, 팔라듐, 지르코늄 및 란탄족 금속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이들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10)은 상기 제 2 하우징(3)에 안쪽에 위치하며 제 1 하우징(2) 및 제 2 하우징(3)과 동일한 동심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과 가열 원료 이송관(10)은 서로 이격되어 연소부(7)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연소부에는 연소촉매(8)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연소부(7)는 촉매연소반응에 의해 가열원료를 연소시켜 열에너지 및 연소생성물로 전환되는 곳으로, 상기 연소부 중 일부가 연소촉매로 충진될 수 있으며, 하단의 제 1 격실(17)을 통해 가열 원료 이송관(10)과 연결되어 가열 원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수평 격리판(4)과 맞닿는 상단에는 상기 수평 격리판에 관통하여 구비되는 연소 생성물 배출관(13)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소촉매(8)는 개질부의 개질 반응 온도 범위 및 온도 구배에 따라 충진 위치 및 충진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동시에, 개질 원료의 증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개질 원료 상전이관(11)에 인접하여 연소반응 개시에 따라 발생되는 열을 상기 개질 원료 상전이관(11)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소촉매(8)는 상기 개질촉매 또는 일산화탄소 제거 촉매와 마찬가지로 금, 은, 철, 코발트, 니켈, 구리, 망간, 알루미늄, 아연, 티타늄, 하프늄, 로듐, 루테늄, 오스뮴, 이리듐, 팔라듐, 지르코늄 및 란탄족 금속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이들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백금(platinum), 로듐(rhodium), 루테늄(ruthenium), 오스뮴(osmium), 이리듐(iridium), 팔라듐(palladium) 등과 같은 백금족 원소, 금, 은, 동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촉매(8)는 지지체에 담지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로는 산화알루미늄, α-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ZrO2), 실리카(silica ; SiO2)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지지체의 입자 형태, 크기 등 물리적인 성질을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촉매(8)는 개질부의 온도구배에 따라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의 담지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촉매 연소 반응 후 개질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반응에 필요한 온도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소촉매의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의 담지량을 높일 수 있으며, 개질부의 온도가 낮은 부분에 담지량이 많은 연소촉매를 집중적으로 충진하여 개질반응에 필요한 온도를 맞출 수 있다.
상기 연소부(7)는 상기 연소촉매 이외에 촉매연소 반응에 의해 생성된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열전도 메쉬(19)를 더 도입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 메쉬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예를 들어 금, 은, 구리, 알루미늄을 섬유 형태로 뽑아 직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촉매연소 반응 후 생성된 반응 생성물을 반응기 외부로 신속히 배출하면서도 미처 전달되지 못한 열을 개질부로 전달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열전도 메쉬(19)는 상기 연소부에서 연소촉매가 충진되지 않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소부 중 원료 상전이관이 위치한 부분에 원료 상전이관을 감싸면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10)은 외부로부터 들어온 가열연료를 연소부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하우징(2) 또는 제 2 하우징(3)과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열 원료 이송관의 하단 및 상기 연소부의 하단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하단이 이격되어 제 1 격실(17)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질 원료 상전이관(11)은 상기 개질 원료를 기체상에서 액체상으로 상전이하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도 1 내지 3에서와 같이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10)의 하단부의 외주면을 코일 형태로 감싸여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는 개질부의 촉매층의 예열과 동시에 개질 원료 상전이관의 예열을 통한 초기 시동을 용이하기 위하여 히터(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반응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자켓 또는 밴드 타입, 또는 반응기의 내부에 설치된 코일 또는 파이프를 설치하여 열교환되는 내부관 타입, 또는 이들이 결합된 결합 타입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히터(25)는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개질촉매(6)이 충전된 개질부(5)의 외곽에 구비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열을 공급하기 위하여 그 위치에 제한이 없다. 또한, 상기 히터는 기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초기 시동 시에만 작동한다. 개질 가스가 생성되어 선택적 메탄화 반응이 진행되면 발열반응이 일어나므로 히터의 작동을 중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평 격리판(4)은 상기 제 1 하우징(2), 제 2 하우징(3) 및 가열 원료 이송관(10)을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동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열 원료 공급관(12), 연소 생성물 배출관(13) 및 개질 원료 배출관(15)이 상기 수평 격리판을 관통하여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평 격리판(4)은 상기 제 1 하우징(2)과 프렌지(21)를 통해 결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하우징(3) 또는 가열 원료 이송관(10)과 따로 결착할 필요가 없어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열 원료 공급관(12)은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10)과 연결되며, 상기 연소 생성물 배출관(13)은 상기 연소부(7)와 연결되며, 상기 개질 원료 공급관(14) 및 개질 원료 배출관(15)은 상기 개질 원료 상전이관(11)의 일단 및 타단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관들은 반응기 내부와 연결되어 가열원료, 개질원료 및 반응 후 생성물을 효과적으로 공급 및 배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질원료에 따라 상기 개질부의 온도 구배를 더욱 효율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개질 원료 배출관(15)을 예열 배관(16)과 연결할 수 있다. 개질부에서 과열될 가능성이 있는 위치의 외벽에 예열 배관(16)을 감싸서 열교환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개질부의 온도 구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예열 배관(16)은 상기 개질부(5)의 옆면을 감싸 열을 전도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감는 위치, 횟수 등에 제한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개질부(5)를 직접 맞닿아 감거나 이격을 두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1)는 개질부 내의 열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전달하여 열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 도 5와 같이 개질부 내에 전열(傳熱)핀(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열핀의 위치, 형태, 크기, 재질 등을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개질원료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전열핀이 연결하도록 구비하는 것이 좋으며, 재질은 제1 하우징, 제 2 하우징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도면의 설명에서 개질부(5)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의 이격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내부에 개질촉매(6)를 충진하며, 연소부(7)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의 이격 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내부에 연소촉매(8)를 충진한다고 기술하고 있으나, 상기 개질부 및 연소부는 서로 위치를 바꾸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개질부가 제 2 하우징과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의 이격 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반응기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연소부가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의 이격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제 1 하우징을 경계로 반응기 외부와 맞닿을 수 있다. 이는 원료에 포함되는 탄소화합물의 종류, 개질 또는 연소촉매의 종류 및 담지금속, 연소 시 발생하는 발열량 등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유체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열 원료는,
a) 상기 가열 원료 공급관(12)을 통해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10)으로 이송되는 단계;
b) 상기 제 1 격실(17)을 통해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10)에서 상기 연소부(7)로 이송되며, 상기 연소부에 충진된 상기 연소 촉매(8)와 반응하여 촉매 연소를 진행하는 단계; 및
c) 촉매 연소 후 상기 연소 생성물 배출관(13)을 통해 연소 생성물을 반응기(1)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유동되며,
상기 개질 원료는,
1) 상기 개질 원료 공급관(14)을 통해 상기 원료 상전이관(11)으로 이송된 후 기체상으로 상전이되는 단계;
2) 상기 개질 원료 배출관(15) 및 상기 예열 배관(16)을 통해 상전이된 개질 원료가 상기 제 2 격실(18)로 이송되는 단계;
3) 상기 제 2 격실(18)에 공급된 개질 원료가 상기 개질부(5)를 통과하여 개질부에 충진된 개질 촉매(6)와 반응하는 단계;
4) 개질부(5) 말단에 일산화탄소 제거부(9)의 일산화탄소 제거 촉매층을 통과하여 선택적인 일산화탄소의 제거 반응이 실시되는 단계; 및
5) 반응이 끝난 생성물을 개질 생성가스 배출관(24)을 통해 반응기(1)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유동된다.
먼저, 상기 개질 원료 및 상기 가열 원료는 원료 탱크(미도시) 내에 저장되며, 각각의 원료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한 조성을 가져도 무방하다. 상기 원료는 물 30 내지 50 중량% 및 탄소화합물 5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탄소화합물의 함량은 촉매의 조성, 개질부의 온도 구배 조절 조건 등에 따라 조성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소화합물은 당업계에서 유기합성재료, 용제, 세척제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알코올, 알데하이드, 케톤, 에스테르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이외에 에탄올, 부탄올 등 저가 알코올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포름알데하이드, 아세트알데하이드,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부티랄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 프로판온, 부탄온, 펜탄온 등의 케톤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탄소화합물의 탄소수가 늘어날수록 개질에 따른 탄소 침적 등의 불순물이 증가하므로 운전 온도를 정밀하게 조절하여야 하므로, 더욱 좋게는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은 통상적으로 용매로 사용하는 것으로,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에너지 절약 및 반응의 진행속도를 높이기 위해 예열과정을 거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열 연료는 a) 및 b) 단계와 같이 먼저 상기 가열 원료 공급관(12)을 통해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10)으로 이송하여 반응기(1) 내부로 주입되며, 주입된 가열 원료는 가열 원료 이송관(10), 제 1 격실(17)을 거쳐 상기 연소부(7)로 이송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 원료가 가열 원료 이송관(10)을 지날 때엔 상단에서 하단으로 진입하며, 제 1 격실(16)을 거쳐 상기 연소부(7)를 통과할 때는 연소부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촉매 연소는 가열 연료가 촉매 표면층에 흡착, 이동, 반응이 복합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일어나는 산화반응이며, 낮은 활성화 에너지로 인해 낮은 온도에서도 안정적으로 연소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소효율이 높고, 반응 후 생성물이 무해, 무취한 이산화탄소 및 산소로 분해되므로 폐수처리 등의 후처리가 불필요하고, 연소촉매의 열화속도 증가를 억제 할 수 있다.
반응이 끝난 가열 연료는 이산화탄소와 물로 전환되며, 상기 c) 단계와 같이 연소 생성물 배출관(13)을 통해 반응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질 원료는 먼저 1) 상기 개질 원료 공급관(14)을 통해 상기 원료 상전이관(11)으로 이송된 후, 2) 상기 개질 원료를 액체상에서 기체상으로 상전이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질 원료는 액상으로 공급될 수도 있으나, 공정 및 반응기의 구조에 따라 기상으로도 공급될 수도 있다.
상전이가 진행된 개질원료는 상기 개질 원료 배출관(15)을 통해 일단 반응기 외부로 나온 후, 제 2 격실(18)로 이동하고, 가이드 타공판(23)을 거쳐 개질부(5)로 유입되어 상기 4)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개질부에서는 개질촉매(6)에 의해 개질원료를 수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및 메탄 등으로 전환할 수 있다.
개질원료와 개질촉매(6)의 반응은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진행되며, 반응식 1의 (2)는 메탄올의 직접 분해반응으로 고온에서 부분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반응식 1]
CH3OH + H2O = CO2 + 3H2 ΔH = 49.4kJ/mol (1)
CH3OH = CO + 2H2 ΔH = 90.5kJ/mol (2)
CO + H2O = CO2 + H2 ΔH = -41.1kJ/mol (3)
상기 4) 단계에서 개질부(5)에 적층된 개질 촉매의 온도는 100℃ 내지 300 ℃인 것이 좋다. 온도가 100℃ 미만인 경우 개질반응에 필요한 에너지를 충분히 공급받지 못해 수소로의 전환율이 크게 떨어질 수 있으며, 300℃ 초과인 경우 생성물 중 일산화탄소의 함량이 증가하여 일산화탄소의 제거가 어려울 수 있으며 또한 개질 촉매의 열 변성이 급격히 일어날 수 있다.
개질반응이 진행된 생성물은 개질 생성가스 배출관(24)을 통해 반응기 외부로 배출되기 전 일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일산화탄소 제거 후의 개질 생성가스 내 일산화탄소 농도는 1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물에 함유된 일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은 하기 반응식 3 또는 반응식 4와 같이 반응을 진행할 수 있는 선택적 일산화탄소 산화 반응 또는 선택적 일산화탄소 메탄화 반응을 이용하여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 또는 메탄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반응식 3]
CO + 1/2O2 → CO2
상기 반응식 3은 일산화탄소와 반응할 산소를 위해 공기를 공급하게 되며, 개질가스와 공기의 균일 혼합을 통해 효과적인 일산화탄소 산화 반응을 유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선택적 산화 반응을 위한 유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보수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일산화탄소 제거부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반응식 4와 같은 선택적 일산화탄소 메탄화 반응이 실시되도록 일산화탄소 제거 촉매를 함유하여 구비되는 것이 더욱 좋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선택적 일산화탄소 메탄화 반응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식 4]
CO + 3H2 → CH4 + H2O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개질부에 개질촉매로 평균 직경 1.5 ㎜의 팰릿 형태로 제조된 구리(Cu) 성분의 촉매를 충진하였고, 연소부에 세라믹 허니컴(honeycomb) 형태로 제조된 백금(Pt) 촉매를 충진하였다. 개질 원료 상전이관을 가열 원료 이송관의 하단부인, 밑부분(bottom)부터 연소 촉매가 충진된 높이(반응기의 1/2 높이)까지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의 외주면을 따라 1/8″튜브를 사용하여 코일형태로 감았다. 또한, 개질부의 말단에 일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평균직경 1.5㎜의 팰릿 형태로 제조된 루테늄(Ru) 성분의 촉매를 충진하였다.
원료로는 질량 기준으로 메탄올 60 중량%와 증류수 40 중량%를 혼합하여 액체 연료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가열용 원료와 개질용 원료는 동일한 액체 연료를 사용하였다. 개질 원료로 상기 액체 연료를 7.8 g/min로 공급하였다. 가열 원료는 2.9 g/min의 유량으로 공급하였고 연소를 위해 공기를 30 ℓ/min의 유속으로 함께 공급하여 개질부 촉매층의 최대 온도가 280℃ 이하를 유지하도록 조절하였다. 이때, 개질된 생성물의 조성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로 분석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일산화탄소의 함량은 8ppm 이하이며, 탄소량 보전식으로 계산한 메탄올 전환율은 97.6% 이상 달성하였고 생산 수소량은 0.62 Nm3/h으로 계산되었다.
구분 실시예
개질가스 조성
(Dry basis)
수소 76%
이산화탄소 21%
메탄 3.5%
일산화탄소 8 ppm 이하
메탄올 전환율 97.6 %
생산 수소 유량 0.62 Nm3/h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 : 반응기 2 : 제 1 하우징
3 : 제 2 하우징 4 : 수평 격리판
5 : 개질부 6 : 개질촉매
7 : 연소부 8 : 연소촉매
9 : 일산화탄소 제거부 10 : 가열 원료 이송관
11 : 개질 원료 상전이관 12 : 가열 원료 공급관
13 : 연소 생성물 배출관 14 : 개질 원료 공급관
15 : 개질 원료 배출관 16 : 예열 배관
17 : 제 1 격실 18 : 제 2 격실
19 : 열전도 메쉬 20 : 전열핀
21 : 프렌지 22 : 버퍼
23 : 가이드 타공판 24 : 개질 생성가스 배출관
25 : 히터

Claims (20)

  1. 탄소화합물과 물을 함유한 원료로부터 수소를 포함하는 개질가스를 생성하는 반응기로,
    상기 반응기는 외측에서 순차적으로 제1하우징, 제2하우징 및 가열 원료 이송관이 동심 구조로 이격하여 위치하며,
    반응기의 중심축에 위치한 가열 원료 이송관, 상기 제2하우징과 가열 원료 이송관 사이의 이격공간에 연소촉매를 구비한 연소부 및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사이의 이격공간에 형성된 개질촉매를 구비한 개질부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연소부에 원료를 공급하는 가열 원료 이송관,
    공급받은 원료를 연소하여 개질부에 열을 공급하는 연소부,
    상기 연소부 내에 위치하여 공급받은 원료를 가열시키는 개질 원료 상전이관 및
    상기 개질 원료 상전이관으로부터 공급받은 상전이된 원료를 개질하는 개질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질 원료 상전이관은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의 하단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제조 반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부는 공급받은 원료로부터 개질되어 생성되는 생성물 중 일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일산화탄소 제거 촉매가 충진된 일산화탄소 제거부를 말단에 더 구비하는 수소제조 반응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의 하단과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은 이격하여 제1격실을 형성하며,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은 상기 제1하우징의 하단과 이격하여 제2격실을 형성하는 것인 수소제조 반응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의 상단에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과 외부를 격리하는 수평 격리판이 더 구비되는 것인 수소제조 반응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격리판은 가열 원료 공급관, 연소 생성물 배출관, 개질 원료 공급관 및 개질 원료 배출관이 관통되어 구비된 것인 수소제조 반응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원료 공급관은 가열 원료 이송관과 연결되며, 상기 연소 생성물 배출관은 연소부와 연결되며, 상기 개질 원료 공급관 및 개질 원료 배출관은 개질 원료 상전이관의 일단 및 타단과 각각 연결된 것인 수소제조 반응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의 하단과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은 이격하여 제1격실을 형성하며,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은 상기 제1하우징의 하단과 이격하여 제2격실을 형성하고,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의 상단에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과 외부를 격리하는 수평 격리판을 구비하되, 상기 수평 격리판은 가열 원료 공급관, 연소 생성물 배출관, 개질 원료 공급관 및 개질 원료 배출관이 관통되며,
    상기 개질 원료 배출관이 상기 제2격실과 연결된 것인 수소제조 반응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 원료 배출관은 예열 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예열 배관은 제1하우징의 외측면을 코일 형태로 감싸는 것인 수소제조 반응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외측면에 개질촉매가 충진된 부분에 하나 이상의 온도 측정 센서를 더 구비한 것인 수소제조 반응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는 연소 촉매가 충진되지 않은 공간에 열전도 메쉬를 더 구비한 것인 수소제조 반응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열핀을 더 구비한 것인 수소제조 반응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촉매 및 개질촉매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금, 은, 철, 코발트, 니켈, 구리, 망간, 알루미늄, 아연, 티타늄, 하프늄, 로듐, 루테늄, 오스뮴, 이리듐, 팔라듐, 백금, 지르코늄 및 란탄족 금속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이들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인 수소제조 반응기.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산화탄소 제거 촉매는 금, 은, 철, 코발트, 니켈, 구리, 망간, 알루미늄, 아연, 티타늄, 하프늄, 로듐, 루테늄, 오스뮴, 이리듐, 팔라듐, 백금, 지르코늄 및 란탄족 금속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이들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인 수소제조 반응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촉매는 구리/산화세륨/산화지르코늄 복합체, 구리/산화아연/산화알루미늄 복합체, 구리/산화세륨/산화알루미늄 복합체 및 구리/산화지르코늄/산화알루미늄 복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수소제조 반응기.
  16. 제 1항, 제 2항, 제 4항 내지 제 15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는 원료탱크에 저장되며, 원료탱크에서 가열 원료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가열 원료 및 상기 원료탱크에서 상기 개질 원료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개질 원료를 포함하는 것인 수소제조 반응기.
  17. 제 16항에 따른 반응기를 이용한 수소 제조 방법으로,
    가열 원료는
    a) 가열 원료 공급관을 통해 가열 원료 이송관으로 이송되는 단계;
    b) 제 1 격실을 통해 상기 가열 원료 이송관에서 연소부로 이송되며, 상기 연소부에 충진된 연소 촉매와 반응하여 촉매 연소를 진행하는 단계; 및
    c) 촉매 연소 후 연소 생성물 배출관을 통해 연소 생성물을 반응기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유동되며,
    개질 원료는
    1) 개질 원료 공급관을 통해 개질 원료 상전이관으로 이송된 후 기체상으로 상전이되는 단계;
    2) 개질 원료 배출관 및 예열 배관을 통해 상전이된 개질 원료가 제 2 격실로 이송되는 단계;
    3) 상기 제 2 격실에 공급된 개질 원료가 개질부를 통과하여 개질부에 충진된 개질 촉매와 반응하는 단계;
    4) 개질부 말단에 일산화탄소 제거부의 일산화탄소 제거 촉매층을 통과하여 선택적으로 일산화탄소가 제거되는 단계; 및
    5) 반응이 끝난 생성물을 반응기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유동되는 것인
    수소제조 반응기를 이용한 원료 개질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원료 또는 개질 원료는 물 30 내지 50 중량% 및 탄소 화합물 5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수소제조 반응기를 이용한 원료 개질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에서 상기 개질 촉매는 100 내지 300℃의 온도범위를 갖는 것인 수소제조 반응기를 이용한 원료 개질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에서 상기 일산화탄소 제거 촉매층은 200 내지 300℃의 온도범위를 갖는 것인 수소제조 반응기를 이용한 원료 개질 방법.
KR1020160150791A 2016-11-14 2016-11-14 일산화탄소 제거부를 포함한 수소제조 반응기 KR101866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791A KR101866500B1 (ko) 2016-11-14 2016-11-14 일산화탄소 제거부를 포함한 수소제조 반응기
US15/700,741 US10899612B2 (en) 2016-11-14 2017-09-11 Hydrogen production reactor including carbon monoxide remov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791A KR101866500B1 (ko) 2016-11-14 2016-11-14 일산화탄소 제거부를 포함한 수소제조 반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795A KR20180053795A (ko) 2018-05-24
KR101866500B1 true KR101866500B1 (ko) 2018-07-04

Family

ID=62107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791A KR101866500B1 (ko) 2016-11-14 2016-11-14 일산화탄소 제거부를 포함한 수소제조 반응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99612B2 (ko)
KR (1) KR1018665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1586B (zh) 2016-11-09 2022-01-25 八河流资产有限责任公司 用于电力生产和集成的氢气生产的***和方法
WO2020250194A1 (en) 2019-06-13 2020-12-17 8 Rivers Capital, Llc Power production with cogeneration of further products
KR102525545B1 (ko) * 2020-07-10 2023-04-25 한국화학연구원 합성 가스로부터 메탄올 제조를 위한 다층 튜브형 반응기
FR3113612B1 (fr) * 2020-08-27 2024-01-1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Réacteur- échangeur intégré à deux étages de lits fixes et procédé associé
WO2023089570A1 (en) 2021-11-18 2023-05-25 8 Rivers Capital, Llc Apparatus for hydrogen produ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5756A (ja) 1999-11-30 2001-06-08 Tokyo Gas Co Ltd 燃料電池用水蒸気改質反応器
KR100314829B1 (ko) * 1995-03-28 2002-06-26 유승렬 고순도수소제조를위한메탄올개질장치
JP2009007204A (ja) 2007-06-28 2009-01-15 Nippon Oil Corp 水素製造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127688B1 (ko) * 2004-12-07 2012-03-2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원통형 소형 개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7594A (en) * 1996-10-30 1999-12-07 Northwest Power Systems, Llc Steam reformer with internal hydrogen purification
DE10196651B3 (de) * 2000-09-20 2015-04-02 Kabushiki Kaisha Toshiba Brennstoff-Reformierungsanlage für eine Polymerelektrolytmembran-Brennstoffzelle
US6759016B2 (en) * 2000-11-30 2004-07-06 Ballard Power Systems Inc. Compact multiple tube steam reformer
US7182921B2 (en) * 2001-06-04 2007-02-27 Tokyo Gas Co., Ltd. Cylindrical steam reforming unit
US7585472B2 (en) * 2001-11-07 2009-09-08 Battelle Memorial Institute Microcombustors, microreformers, and methods involving combusting or reforming fluids
CN1304275C (zh) * 2002-03-15 2007-03-14 松下电工株式会社 重整装置
JP4469335B2 (ja) * 2003-02-14 2010-05-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水素生成装置及び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US6932958B2 (en) * 2003-03-26 2005-08-23 Gas Technology Institute Simplified three-stage fuel processor
WO2005000737A1 (ja) * 2003-06-27 2005-01-06 Ebara Ballard Corporation 燃料改質器
WO2005077820A1 (ja) * 2004-02-12 2005-08-25 Ishikawajima-Harima Heavy Industries Co., Ltd. 燃料改質装置
US7494518B2 (en) * 2004-02-17 2009-02-24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Highly integrated fuel processor for distributed hydrogen production
DE102004010910B4 (de) * 2004-03-06 2006-10-26 Ws Reformer Gmbh Kompaktdampfreformer
JP4009285B2 (ja) * 2004-11-24 2007-11-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改質装置
US8273489B2 (en) * 2006-06-12 2012-09-25 Fuji Electric Co., Ltd. Hydrogen generator and fuel cell system including the same
JP5177998B2 (ja) * 2006-11-27 2013-04-10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改質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US8173082B1 (en) * 2007-05-14 2012-05-08 Gas Technology Institute JP-8 fuel processor system
US8178062B2 (en) * 2007-09-27 2012-05-15 Sanyo Electric Co., Ltd. Reforming apparatus for fuel cell
WO2010010718A1 (ja) * 2008-07-25 2010-01-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水素生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210127B1 (ko) * 2010-07-16 2012-1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개질기용 연소기
KR101388788B1 (ko) 2012-07-11 2014-04-23 한국가스공사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
KR20180044059A (ko) * 2016-10-21 2018-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료 개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829B1 (ko) * 1995-03-28 2002-06-26 유승렬 고순도수소제조를위한메탄올개질장치
JP2001155756A (ja) 1999-11-30 2001-06-08 Tokyo Gas Co Ltd 燃料電池用水蒸気改質反応器
KR101127688B1 (ko) * 2004-12-07 2012-03-2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원통형 소형 개질 장치
JP2009007204A (ja) 2007-06-28 2009-01-15 Nippon Oil Corp 水素製造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795A (ko) 2018-05-24
US20180134552A1 (en) 2018-05-17
US10899612B2 (en)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500B1 (ko) 일산화탄소 제거부를 포함한 수소제조 반응기
JP5015690B2 (ja) コンパクト燃料プロセッサーの起動のために触媒を加熱する装置及び方法
AU2006264047B8 (en) Compact reforming reactor
AU2006264046B2 (en) Compact reforming reactor
KR100891928B1 (ko) 단일 챔버 콤팩트 연료 처리장치
AU20022260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ing catalyst for start-up of a compact fuel processor
JP2004536006A (ja) 単一チャンバーのコンパクトな燃料処理装置
CN106276794A (zh) 制氢反应器
KR101817569B1 (ko) 탄소화합물로부터 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열교환형 반응기
US7985704B2 (en) Method of regenerating absorbent
KR20190059638A (ko) 국부 가열을 위한 고함수율 연료용 촉매연소기
KR101830954B1 (ko) 일산화탄소 제거부가 포함된 수소제조 반응기
KR102005715B1 (ko) 원료 예열부를 포함한 일체형 수소제조 반응기
JP6516393B1 (ja) 水素生成装置及び水素充填装置
KR101796071B1 (ko) 귀금속 촉매와 복합 금속 산화물 촉매를 이용한 다단의 선택적 산화 촉매 반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