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688B1 - 손잡이와 칼 및 홀더 - Google Patents

손잡이와 칼 및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688B1
KR101864688B1 KR1020160027596A KR20160027596A KR101864688B1 KR 101864688 B1 KR101864688 B1 KR 101864688B1 KR 1020160027596 A KR1020160027596 A KR 1020160027596A KR 20160027596 A KR20160027596 A KR 20160027596A KR 101864688 B1 KR101864688 B1 KR 101864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ing device
knife
receiving portion
protrud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4775A (ko
Inventor
최대수
김선아
조성주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7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68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4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12Locking and secu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1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 및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착탈이 가능한 손잡이를 갖는 칼과 몸체를 수용할 수 있는 홀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손잡이와 칼 및 홀더{Handle and knife and Holder}
본 발명은 손잡이와 칼 및 홀더에 관한 것이다.
주방이나 식당에서는 다양한 조리용 칼을 사용함이 일반적이다.
즉, 가정의 주방뿐만 아니라 식당의 주방에서는 개별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 칼은 여러 종류의 칼을 세트로 구비해 놓는다.
이와 같이 여러 종류의 칼을 홀더에 꽂아 놓고 사용할 때 미관상 어지럽고 보기 싫을뿐더러 다른 사람이나 특히 아이가 잘못 사용하거나 가지고 놀 경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일반적인 조리용 칼은 조리부와 손잡이의 분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조리용 칼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손잡이의 변형 및 손상을 우려하여, 조리용 칼의 고온 살균 및 스팀 세척을 꺼리게 된다.
전술한 조리용 칼의 살균 문제와 여러 종류의 칼을 구비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1,207,555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에서는 결합부를 구비한 조리기구에 있어서 결합부의 외부 표면에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구비되며, 결합부가 끼워지는 수용부의 표면에는 결합홈이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가 구비되어, 돌출부가 결합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 칼을 개시한 바 있다.
선행문헌에 의해 전술한 문제점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었으나, 아래와 같은 문제점도 수반된다.
(1) 선행문헌의 결합방식은 결합홈과 돌출부의 강제끼워 맞춤 방식이므로 장기간 사용을 할 경우, 결합이 다소 불안정할 수 있다.
(2) 선행문헌의 결합방식 자체가 비전문가에게는 쉽지 않고 결합시 상당한 힘이 필요한 관계로 조리부(식칼, 과도 및 양날칼)에 의해 상처를 입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3) 결합홈과 돌출부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결합하는 방식이므로 다소 불편하다.
한국등록특허 1,207,555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1) 손잡이와 칼을 분리하여, 필요한 장소 및 시간에 맞춰 알맞은 칼을 손잡이에 꽂아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2) 손잡이와 칼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고 더욱 안전한 손잡이와 칼 및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손잡이는 손잡이 일측에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손잡이는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의 후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손잡이에는 그립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손잡이는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칼은 칼날과 상기 칼날과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를 구비한 몸체;
일측에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홀더는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되, 상기 홈에 칼날과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를 구비한 몸체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와 칼 및 홀더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손잡이와 칼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다.
(2) 손잡이 하부의 잠금장치에 의해 칼이 손잡이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3) 잠금장치를 손잡이 하부에 형성하여 오른손잡이, 왼손잡이 여부에 관계없이 조리칼의 사용의 편리하다.
(4) 하나의 손잡이로 복수 개의 칼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덜 차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칼을 도시한 다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종래기술의 칼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10)와 칼(100)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칼(100)은 몸체(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몸체(5)는 칼날(15)과 칼날(15)과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합부(20)는 손잡이(10)에 삽입된다.
이러한 결합부(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부(70)가 손잡이(10)의 일측에 형성된다.
손잡이(10)는 수용부(7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60)가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몸체(5)의 일부인 결합부(20)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결합부(20)는 칼날(15)의 뒷부분과 일체로 형성된다.
결합부(20)의 형상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몸체(5)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칼날(15)의 뒷부분에 칼날과 결합부의 연결부(7)가 형성된다.
칼날과 결합부의 연결부(7)는 칼날(15)의 뒷부분에서 결합부(20)를 향할수록 두께가 증가한다.
칼날과 결합부의 연결부(7)의 후단과 결합부의 제1부(25b)는 일체로 형성된다.
결합부의 제1부(25b)의 좌측에 결합부의 제2부(25a)가 결합부의 제1부(25b)와 일체로 형성된다.
결합부의 제1부(25b)의 우측에 결합부의 제3부(25c)가 결합부의 제1부(25b)와 일체로 형성된다.
결합부의 제2부(25a)와 결합부의 제3부(25c)는 결합부의 제1부(25b)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결합부의 제2부(25a)와 결합부의 제3부(25c)는 마치 거울에 비춰진 듯한 이미지를 갖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결합부의 제2부(25a)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결합부의 제2부(25a)의 일단은 라운드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의 제2부(25a)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결합부의 제2부(25a)의 두께는 증가한다.
결합부의 제2부(25a)의 타단은 결합부의 하부(21)와 일체로 형성된다.
전술한 형상을 갖는 결합부(20)는 손잡이(10)에 형성된 수용부(70)에 삽입된다.
수용부(70)의 형상은 다음과 같다.
수용부(70)는 결합부(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수용부(70)에 형성된 공간은 결합부(20)에 부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용부의 중앙부(40b)는 수용부(70)와 연통하는 공간으로 결합부의 제1부(25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손잡이(10)의 전단으로부터 잠금장치(60)를 향할수록 그 폭이 증가한다.
수용부의 중앙(40b)의 좌측에는 결합부의 제2부(25a)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수용부의 제1부재(40a)가 형성된다.
수용부의 제1부재(40a)에는 손잡이의 측면(11)으로부터 이격되며, 수용부의 제1부재(40a)의 타단과는 그 일단이 외팔보와 같이 이루어진 돌출편(45a)이 포함되며, 이를 수용부의 제1부재의 돌출편(45a)이라 한다.
수용부의 제2부재(40c)에는 손잡이의 측면(11)으로부터 이격되며, 수용부의 제2부재(40c)의 타단과는 그 일단이 외팔보와 같이 이루어진 수용부의 제1부재의 돌출편(45c)이 포함되며, 수용부의 제2부재의 돌출편(45c)이라 한다.
수용부의 제1부재의 돌출편(45a)과 수용부의 제2부재의 돌출편(45c)에 의해 다음과 같은 형상을 갖는 수용부(70)가 만들어진다.
즉, 수용부의 제1부재(40a)는 일단으로부터 수용부의 제1부재의 돌출편(45a)으로 향할수록 손잡이의 측면(11)을 향해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수용부의 제2부재(40c)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수용부의 중앙(40b)은 손잡이(10)의 전단으로부터 잠금장치(60)를 향할수록 그 폭이 증가한다.
수용부의 제1부재의 돌출편(45a)은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할수록 손잡이의 측면(11)으로부터의 거리가 조금씩 멀어진다.
수용부의 제2부재의 돌출편(45c)도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할수록 손잡이의 측면(11)으로부터의 거리가 조금씩 멀어진다.
결과적으로 수용부(70)의 형상은 손잡이(10)의 전단으로부터 잠금장치(60)를 향할수록 잠금장치(60)를 바라보는 방향에서 봤을 때 돌출편(45a, 45c)의 타단까지는 그 폭이 증가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결합부(20)가 수용부(70)에 삽입될 경우, 손잡이(10)의 전단에는 칼날(15)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0)를 수용부(70)로부터 분리할 경우, 수용부(70)는 잠금장치(60)와 가까운 곳은 그 폭이 넓으므로 사용자는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용부(70)를 개폐하는 잠금장치(60)와 가이드(11)와의 관계를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손잡이(10)의 하면에는 잠금장치(60)를 해제할 때 잠금장치(6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홈(14)이 형성된다.
홈(14)의 깊이는 잠금장치의 하부(65)가 수용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한다.
잠금장치(60)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개폐할 수 있으며, 잠금장치(60)의 상면을 약간 볼록하게 형성한다.
즉, 잠금장치(6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잠금장치(60)의 일단과 타단에 비해 잠금장치(60)의 가운데를 약간 볼록하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잠금장치(60)의 개폐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게 한다.
도 4에 도시한 잠금장치(60)의 단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잠금장치(60)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하는 상부(62)와 가이드(11)에 의해 안내되는 하부(65) 및 상부(62)와 하부(65)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잠금장치(60)의 개폐동작을 위해 손잡이의 측면(11)으로부터 수용부(70)를 향해 소정 길이를 갖도록 돌출되는 가이드(11)가 형성된다.
가이드(11)의 길이는 수용부(7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한다.
잠금장치의 하부(65)는 가이드(11)에 접하며 손잡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장치의 하부(65)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62)와 연결부(63)도 손잡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잠금장치(60)를 사용자가 손잡이(10)의 전단을 향해 밀 경우, 잠금장치의 상부(62)가 결합부(20)와 칼날과 결합부의 연결부(7)를 덮는 방식으로 폐쇄한다.
잠금장치(60)를 사용자가 손잡이(10)의 후단을 향해 밀 경우, 잠금장치의 상부(62)는 결합부(20)와 칼날과 결합부의 연결부(7)로부터 잠금장치의 하부(65)가 홈(14)에 수용되며 손잡이(10)의 후단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손잡이(10)에는 연속되는 굴곡이 형성된 그립홈(50)이 더 포함된다.
이러한 그립홈(50)은 잠금장치(60)의 후방에 위치한다.
즉, 손잡이(10)에 사용자의 손모양에 따라 연속되는 굴곡이 형성된 그립홈(50)을 포함함으로써, 칼(100)을 잡는 그립감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손잡이(10)는 그 후단(12)에 복수의 돌기(30)가 더 포함된다.
하나의 돌기(30)는 인접하는 돌기(30)와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며, 손잡이(10)의 크기에 따라 돌기(30)가 형성되는 수는 변할 수 있다.
돌기(30)는 손잡이의 후단(12)과 일체로 형성된다.
돌기(30)의 형상은 원추형을 갖되, 손잡이의 후단(12)과 가까운 부분은 손잡이의 후단(12)과 멀어지는 부분에 비해 단면적이 넓다.
즉, 돌기(30)의 형상은 손잡이의 후단(12)과 멀어지는 부분이 잘려나간 원추형과 유사하다.
하나의 돌기(30)와 인접하는 돌기(3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마늘과 같은 식재료를 손잡이(10)의 뒷부분, 더욱 구체적으로는 손잡이의 후단(12)으로 다질 경우, 다져진 식재료가 하나의 돌기(30)와 인접하는 돌기(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홀더(300)에 대하여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홀더(300)는 본체(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320)는 대체로 폭 대비 높이가 작은 직사각형 기둥과 유사하며, 본체(320)의 길이 방향으로 홈(310)이 형성된다..
홈(310)은 본체(320)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복수 개가 형성된다.
홈(310)의 깊이는 칼날(15)이 수용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홈(310)에 몸체(5)를 수용한다.
이때 몸체(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칼날(15)과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20)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결합부(20)를 잡고 몸체(5)를 홀더(300), 더욱 구체적으로는 홈(310)으로부터 꺼내거나, 홀더(300)에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칼 및 홀더는 필요로 하는 손잡이의 갯수를 칼의 갯수보다 적게 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사용안전상의 측면에서는 손잡이와 칼의 분리 및 결합의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 하부의 잠금장치에 의해 칼이 손잡이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어 조리칼의 안전한 사용을 보장할 수 있다.
5 : 몸체 15 : 칼날
10 : 손잡이 20 : 결합부
60 : 잠금장치 70 : 수용부
300 : 홀더

Claims (6)

  1. 손잡이 일측에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70)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 좌측의 제1부재 및 상기 중앙부 우측의 제2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부는 수용부(70)와 연통하는 공간으로 상기 손잡이 전단으로부터 잠금장치를 향할 수록 그 폭이 증가하고,
    상기 제1부재에는 외팔보와 같이 이루어진 제1부재 돌출편(45a)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에는 외팔보와 같이 이루어진 제2부재 돌출편(45c)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 돌출편(45a) 및 상기 제2부재 돌출편(45c) 각각은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할 수록 손잡이 측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조금씩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후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그립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5. 칼날과 상기 칼날과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를 구비한 몸체;
    일측에는 수용부(70)가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70)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 좌측의 제1부재 및 상기 중앙부 우측의 제2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부는 수용부(70)와 연통하는 공간으로 상기 손잡이 전단으로부터 잠금장치를 향할 수록 그 폭이 증가하고,
    상기 제1부재에는 외팔보와 같이 이루어진 제1부재 돌출편(45a)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에는 외팔보와 같이 이루어진 제2부재 돌출편(45c)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 돌출편(45a) 및 상기 제2부재 돌출편(45c) 각각은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할 수록 손잡이 측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조금씩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
  6. 삭제
KR1020160027596A 2016-03-08 2016-03-08 손잡이와 칼 및 홀더 KR101864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596A KR101864688B1 (ko) 2016-03-08 2016-03-08 손잡이와 칼 및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596A KR101864688B1 (ko) 2016-03-08 2016-03-08 손잡이와 칼 및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775A KR20170104775A (ko) 2017-09-18
KR101864688B1 true KR101864688B1 (ko) 2018-06-05

Family

ID=6003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596A KR101864688B1 (ko) 2016-03-08 2016-03-08 손잡이와 칼 및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68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048B1 (ko) * 1987-05-02 1993-03-22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도장 방법
KR20100122241A (ko) * 2009-05-12 2010-11-22 박영세 복강경 세절용 칼 손잡이
KR101207555B1 (ko) 2010-01-11 2012-12-06 홍기호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 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775A (ko) 201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3933B2 (en) Eating utensil system
TW397745B (en) Kitchen utensil
JP4712266B2 (ja) 調理器具用取っ手装置
US20100012758A1 (en) Zesters
US20150075012A1 (en) Outil a main perfectionne
KR101390372B1 (ko) 보호수단을 구비한 칼 및 가위
WO2018191544A1 (en) Nail clipper
KR101864688B1 (ko) 손잡이와 칼 및 홀더
KR200479433Y1 (ko) 손톱깎기용 손톱 비산방지 장치
EP2996518B1 (en) Utensil enabling to hold and cut food with only one hand
US2912755A (en) Potato peeler or the like
US20120267462A1 (en) Grater For Single-Handed Operation
KR101181047B1 (ko) 안전칼
US1248166A (en) Grater.
US20130206622A1 (en) Sleeve including a storage tray
KR102683226B1 (ko) 손잡이가 착탈 가능한 절단도구
KR101172030B1 (ko) 조립식 조리기구용 손잡이
KR20100010937U (ko) 조리기구용 손잡이
CN212241125U (zh) 刀柄组件及美工刀
KR20160079225A (ko) 칼 가이드가 달린 도마
JP2014217715A (ja) 包丁の切断用補助具
WO1992013493A1 (en) Knife, in particular for surgical purposes
JP6559550B2 (ja) 手動調理器用食品保持具
KR20170072456A (ko)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
KR200449958Y1 (ko) 조리기구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