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045B1 -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 Google Patents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045B1
KR101864045B1 KR1020160165336A KR20160165336A KR101864045B1 KR 101864045 B1 KR101864045 B1 KR 101864045B1 KR 1020160165336 A KR1020160165336 A KR 1020160165336A KR 20160165336 A KR20160165336 A KR 20160165336A KR 101864045 B1 KR101864045 B1 KR 101864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ulletproof
bulletproof material
glass
borosilic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규
최세영
심규인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165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F41H5/02Plate construction
    • F41H5/04Plate construction composed of more than one layer
    • F41H5/0407Transparent bullet-proof laminatesinformative reference: 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glass in general B32B17/06, e.g. B32B17/10009; manufacture or composition of glass, e.g. joining glass to glass C03; permanent multiple-glazing windows, e.g. with spacing therebetween, E06B3/6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7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71/00Protective equipment
    • B32B2571/02Protective equipment defensive, e.g. armour plates, anti-ballistic clot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붕규산염 유리를 이용한 방탄소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온 교환 강화된 붕규산염 강화유리와 고분자 필름의 접합 순서에 따른 방호성능을 확인하여 우수한 충격흡수에너지를 갖는 방탄소재의 최적 접합배열을 제공하는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투명 방탄소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TRANSPARENT BULLETPROOF MATERIALS USING BOROSILICATE STRENGTHENED GLASS}
본 발명은 붕규산염 유리를 이용한 방탄소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온 교환 강화된 붕규산염 강화유리와 고분자 필름의 접합 순서에 따른 방호성능을 확인하여 우수한 충격흡수에너지를 갖는 방탄소재의 최적 접합배열을 제공하는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투명 방탄소재에 관한 것이다.
방위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투명 방탄소재 (transparent bulletproof materials)는 지상, 해상, 상공의 기동장비와 수송 장비 등의 다양한 부위에 부착되는 특수 visual window로 장갑차, 전술차, 함정 등의 방호창과 박물관, 금융시설의 보호창에 적용되어 군수, 민수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탄소재는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인명과 주요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유리-고분자 소재를 접합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최근 장갑차와 함정에 적용된 투명 방탄소재는 높은 방호수준이 요구되어 방탄소재의 두께 및 하중이 증가하여 기동성이 떨어지고, 연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전시 작전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우수한 방호성능을 유지하는 동시에 경량화, 박형화된 투명 방탄소재의 제작이 요구되고 있다.
투명 방탄소재의 제조에 있어서, 일반 유리에 고분자 필름을 접합하여 방탄소재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된 바 있으나, 방탄소재의 박형화, 경량화가 진행되면서 군사적 위협에 대한 특정 수준 이상의 방호성능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투명 방탄소재의 방탄성능 평가 기준은 미법무부의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NIJ) standard-0108.01 규격을 따르고 있으며, 군사적 위협에 대한 방호성능은 level III 이상의 방호성능을 요구하고 있다. 방탄소재의 크기는 해당 규격에서 300 x 300 mm2 이상으로 제조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며, 5.56 x 45 mm2 크기의 M-16 탄자를 15 m 거리에서 충돌 시, 838 ± 15 m/s 이상의 탄자한계속도 (V 50, level III)를 만족해야 하며, 방탄소재의 두께별 최소 광 투과율 기준도 함께 만족해야 한다.
방탄소재의 방호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방탄소재의 적층순서, 탄자의 종류 및 직경, 적층되는 소재의 종류 (유리, PC 기판, PVB, PU, PE, MD 필름), 면 밀도, 유리의 기계적 성질 등이 있다.
하지만 방탄소재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는 탄자의 종류, 총기에 적용되는 기술 발달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보다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방탄소재용 강화유리를 고분자 소재와 적층하고, 적층 배열에 따른 우수한 방호성능을 나타내는 최적 접합 배열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90697제(2007.09.06)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온 교환 강화된 붕규산염 강화유리와 고분자 필름의 접합 순서에 따른 방호성능을 확인하여 우수한 충격흡수에너지를 갖는 방탄소재의 최적 접합배열을 제공하는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투명 방탄소재는 복수개의 붕규산염 강화유리층; 상기 강화유리층 사이에 각각 적층 접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MD층; 상기 강화유리층과 일정한 순서로 적층 접합되되 상기 MD층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강화유리층 중 전방 탄자 입사면에 배치되는 강화유리층의 두께가 후방에 배치되는 강화유리층 각각의 두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화유리층 각각의 두께는 2~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층은 상기 강화유리층보다 후방에 적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폴리카보네이트층은 연속적으로 적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층 사이에는 각각의 접합을 위한 PU층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탄소재의 후면에 적층 접합되는 비산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층은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탄소재는 상기 강화유리층 사이 또는 상기 강화유리층과 상기 MD층 사이에는 접합을 위한 PVB층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탄소재는 상기 강화유리층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층 사이에는 각층의 접합을 위한 PU층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탄소재는 90℃에서 예열 후 130℃ 및 12bar의 분위기에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본 발명은 이온 교환 강화된 붕규산염 강화유리와 고분자 필름의 접합 순서에 따른 방호성능을 확인하여 우수한 충격흡수에너지를 갖는 박형화, 경량화가 가능한 투명 방탄소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미 법무부 (NIJ) 기준에 따른 방탄 성능시험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투명 방탄소재의 방탄성능 평가 실시 후 방탄소재 및 후면 Al 인증막을 보여주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투명 방탄소재의 광투과율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투명 방탄소재의 적층순서를 보여주는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는 강화된 붕규산염 유리기판과 고분자층의 적층 접합을 통해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붕규산염 유리는 80.4SiO2-4.2Na2O-2.4Al2O3-13B2O3 (mol%)의 조성을 갖고, 강화방법으로는 붕규산염 유리의 표면에 알칼리 이온을 도포하여, 압축응력층을 형성하는 이온교환강화 방법에 의해 강화된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결정화 강화 또는 풍랭 강화 등 다른 방법으로 강화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후술할 적층배열 방법은 붕규산염 강화유리뿐만 아니라, 일반 붕규산염유리도 적용될 수 있음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붕규산염 유리의 강화에 대한 기술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미 법무부 (NIJ) 기준에 따른 방탄 성능시험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군사적 위협에 대한 방호 성능 평가는 미 법무부 NIJ 기준으로 방탄소재를 발사체로부터 15 m에 고정 후 M-16 (5.45 x 45 mm2) 탄의 장약 무게를 변화하여 탄속을 조절하여, 방탄성능 평가 후 방탄소재 15 cm 뒤에 Al 인증막의 관통 여부에 따라 탄도한계 속도(V 0, V 50, V 100)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V 0 은 관통될 확률 0%의 탄자속도이고, V 50 은 관통될 확률 50%의 탄자속도, 그리고 V 100 은 관통될 확률 100%의 탄자속도이다. 군사적 위협으로부터의 방호 기준인 NIJ Level III의 탄자한계속도는 V 50 838 ± 15 m/s 이상이다.
탄자의 탄속은 IR 속도측정계 (SPU-3DA, Sugawara Lab. Inc.,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탄자에 의한 방탄소재의 충격흡수 에너지는 다음 수학식1로 계산하며, 여기서 E는 흡수 에너지, m은 탄자의 중량, V i는 입사 시 탄속, V r은 관통 시 탄속, V 50은 탄도한계 속도이다.
Figure 112016119709222-pat00001
(수학식1)
붕규산염 강화유리와 고분자 필름이 접합된 방탄소재의 광 투과율은 UV/VIS/NIR spectrophotometer (Jasco, V-570,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파장은 200-800 nm, scan speed는 400 nm/min으로 측정하였다.
하기 [표 1]에서는 투명 방탄소재의 두께별 요구되는 광 투과율의 기준인 미 국방성 (MIL-G-5485D) 규격을 나타내었다. 투명 방탄소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방탄소재의 두께별 광 투과율 기준을 만족해야 하며, 미 국방성 (MIL-G-5485D) 기준에 따라서 19 mm 두께의 방탄소재는 가시광 영역에서 78% 이상의 투과율이 요구되어, 이를 만족하는지 동시에 확인 하였다.
방탄소재 두께 (mm) 광 투과율 (%)
12.7 81
19.0 78
25.4 76
31.8 73
38.1 70
44.5 68
50.8 6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투명 방탄소재는 두께별 (2, 3, 8, 10 mm) 최적 조건에서 강화된 붕규산염 강화유리와 고분자 소재 (PC, MD, PVB, PU, PE)를 다양한 적층 순서로 접합하여, NIJ level III 규격에 맞게 방탄성능 평가를 실시하여 적층배열에 따른 탄자한계속도 (V 50) 및 충격흡수에너지, 비흡수에너지를 상술한 방법을 통해 확인하여 우수한 방탄성능을 나타내는 최적 적층 순서를 확인하였다.
투명 방탄소재를 접합하기 위해서 최적 조건에서 이온교환 강화된 붕규산염 유리와 PC 기판, 그리고 다양한 필름 (PVB, PU, MD, PE)을 설계한 접합 순서에 따라 준비 후, autoclave (KYL-15, Italmatic, Itlay)를 사용하여 예열처리 90 (1시간)후, 승온하여 autoclave 130 (3시간, 12bar)에서 접합하였다.
하기 [표 2]~[표 3]에서는 붕규산염 강화유리-고분자 접합된 방탄소재의 적층순서 및 두께, 무게, 면밀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방탄소재 적층순서 (탄자 입사면 G부터 PE 까지) 두께(mm) 무게(kg) 면밀도(kg/mm2)
G PVB MD PVB G PU PC PU PC PE
A-1 10 0.7 0.2 0.7 3 0.1 2 - - 0.35 17.05 3.01 33.41
A-2 10 0.7 0.2 0.7 2 0.1 3 - - 0.35 17.05 2.92 32.43
A-3 10 0.7 0.2 0.7 2 0.1 2 0.1 3 0.35 19.15 3.14 34.91
A-4 8 0.7 0.2 0.7 3 0.1 2 0.1 3 0.35 18.15 2.94 32.71
실시예 방탄소재 적층순서 (탄자 입사면 G부터 PE 까지) 두께(mm) 무게(kg) 면밀도(kg/mm2)
G PVB MD PVB G PVB G PU PC PU PC PE
B-1 10 0.7 0.2 0.7 2 0.7 2 0.1 2     0.35 18.75 3.27 36.36
B-2 8 0.7 0.2 0.7 3 0.7 2 0.1 3     0.35 18.75 3.18 35.38
B-3 8 0.7 0.2 0.7 2 0.7 2 0.1 2 0.1 3 0.35 19.85 3.22 35.73
B-4 3 0.7 0.2 0.7 3 0.7 2 0.1 2 0.1 4 0.35 16.85 2.53 28.15
Polycarbonate (PC, Bayer Inc., Makrolon) 기판은 탄성 및 충격흡수 에너지가 커서 방탄소재에 많이 적층되고 있고, multilayer defense (MD, SKC Inc., SH40, Republic of Korea) 필름은 200 ㎛ 두께의 고밀도 polyester 소재로 구성된다. 이때, MD 필름과 PC 기판은 입사하는 탄자의 충격 에너지와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Polyvinyl butyral (PVB, Solutia Inc., Saflex® 3G, USA) 필름은 유리-유리를 접합할 때 사용하며, polyurethane (PU, Noven Inc., Tecoflex AG-8451, USA) 필름은 유리-PC 접합용이다. Safety film으로 알려진 polyester (PE, Berkaert Inc., Armorcoat™ 14 Mil, USA) 필름은 방탄소재의 마지막 배열에 위치하여 방탄소재의 관통 여부를 확인하는 기준이 된다.
하기 [표 4]~[표 5] 에서는 상기 [표 2]~[표 3]에서의 실시예별로 강화 붕규산염 유리를 이용하여 고분자 소재와 접합한 방탄소재의 적층순서에 따른 광 투과율, 탄자한계속도, 비흡수에너지 값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G는 두께별 이온교환 최적 조건에서 강화된 유리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계적 물성을 강화하고, 유리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용된 PVB (폴리비닐부티랄), PU (폴리우레탄), PC (폴리카보네이트), PE (폴리에스테르)는 필름 또는 벌크상의 고분자 소재를 각각 나타낸다.

시예
방탄소재 적층순서 (탄자 입사면 G부터 PE 까지) 두께(mm) 무게(kg) 면밀도(kg/mm2) 투과율
(%)
Ballistic limit
velocity (m/s)
비흡수에너지
(J/g)
G PVB MD PVB G PU PC PU PC PE
A-1 10 0.7 0.2 0.7 3 0.1 2 - - 0.35 17.05 3.01 33.41 86.9  869.9 (V 50)  0.620
A-2 10 0.7 0.2 0.7 2 0.1 3 - - 0.35 17.05 2.92 32.43 86.0 863.8 (V 50)  0.630
A-3 10 0.7 0.2 0.7 2 0.1 2 0.1 3 0.35 19.15 3.14 34.91 84.5 879.8 (V 50)  0.607
A-4 8 0.7 0.2 0.7 3 0.1 2 0.1 3 0.35 18.15 2.94 32.71 84.6 860.8 (V 50)  0.620
실시예 방탄소재 적층순서 (탄자 입사면 G부터 PE 까지) 두께(mm) 무게(kg) 면밀도(kg/mm2) 투과율
(%)
Ballistic limit
velocity (m/s)
비흡수에너지
(J/g)
G PVB MD PVB G PVB G PU PC PU PC PE
B-1 10 0.7 0.2 0.7 2 0.7 2 0.1 2     0.35 18.75 3.27 36.36 86.2 883.0 (V 0)  0.587
B-2 8 0.7 0.2 0.7 3 0.7 2 0.1 3     0.35 18.75 3.18 35.38 86.4 862.9 (V 100)  -
B-3 8 0.7 0.2 0.7 2 0.7 2 0.1 2 0.1 3 0.35 19.85 3.22 35.73 83.9 861.4 (V 50)  0.569
B-4 3 0.7 0.2 0.7 3 0.7 2 0.1 2 0.1 4 0.35 16.85 2.53 28.15 82.0 876.0 (V 100)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투명 방탄소재의 방탄성능 평가 실시 후 방탄소재 및 후면 Al 인증막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 및 상기 [표 4]~[표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는 복수개의 붕규산염 강화유리층; 상기 강화유리층 사이에 각각 적층 접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MD층; 상기 강화유리층과 일정한 순서로 적층 접합되되 상기 MD층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붕규산염 강화유리층 각각의 두께는 2~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 4]~[표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탄자의 입사면에 위치한 강화유리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방호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강화유리층 중 전방 탄자 입사면에 배치되는 강화유리층의 두께가 후방에 배치되는 강화유리층 각각의 두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MD(multilayer defence, SKC Inc., SH40)층은 복수의 폴리에스터필름을 압축하여 형성한 것으로, 다중방호를 위해 앞쪽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카보네이트층과 동시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동시 적용 시에는 폴리카보네이트층 보다 앞쪽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Bayer Inc., Makrolon)층은 탄성으로 인해 후면 spall의 영향으로 입사한 충격에너지보다 더 큰 에너지가 후면으로 전달되어 방호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후방에 배치되는 강화유리층에 충격이 전달될 수 있으므로, 강화유리기판보다 뒤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 5]의 실시예 B-2, B-3에서 알 수 있듯이, 방탄소재 중앙에 배치되는 2 mm 또는 3 mm 두께의 얇은 유리를 접합하는 설계보다, 후면에 위치하는 PC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연속 배치하면 방호성능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층은 동일한 두께로 구성하는 경우, 하나의 층으로 구성하기보다 2이상의 층으로 구분하여 연속적으로 적층 배치하는 것이 방호성능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특히, B-1 적층배열 (GMGGP)의 방탄소재는 방호한계속도가 V 0 883 m/s 으로 3발 모두 방호하여 우수한 방호성능을 나타내었으며, 경량화를 위해 유리를 1매 줄인 A-2 적층배열 (GMGP)의 방탄소재는 V 50 863.8 m/s으로 최대 비흡수에너지 (0.630 J/g)를 확보하였다. 특히, A-1에서 A-3까지 앞면의 유리 두께가 10 mm으로 두꺼운 경우, 모든 방탄소재에서 V 50 을 확보 할 수 있었으며, A-4와 같이 앞면 유리의 두께가 8 mm으로 줄여도, 후면 PC를 2매로 연속배치하면, NIJ level III 방호 기준을 만족하는 방탄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B-1과 B-2의 적층배열을 비교하면, 탄자 입사면 유리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방호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B-2와 B-3의 적층배열을 비교한 결과 후면에 PC를 분할하여 연속으로 배치하면 방호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표 4]~[표 5]를 참고하면, 강화유리-강화유리 접합용으로 polyvinyl butyral (PVB, Solutia Inc., Saflex® 3G) 필름이 강화유리층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강화유리-PC 접합용 polyurethane (PU, Noven Inc., Tecoflex AG-8451)층이 강화유리층과 폴리카보네이트층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높은 밀도와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나타내는 polyester (PE, Berkaert Inc., Armorcoat™ 14 Mil)층이 비산방지를 위해 맨 마지막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투명 방탄소재의 광 투과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그래프 (a)는 실시예 A-1 내지 A-4 방탄소재의 가시광 영역에서 측정된 광 투과율을 나타내고, 그래프 (b)는 실시예 B-1 내지 B-4 방탄소재의 가시광 영역에서 측정된 광 투과율을 나타낸 것이다.
다양한 두께로 접합된 방탄소재의 광 투과율은 가시광에서 82.0-86.9%의 범위로 확인되었으며, 미국방성 광 투과율 기준(MIL)을 모두 만족하였다. 특히, 도 3의 그래프 (a) 및 (b)에서 강화된 붕규산염 유리와 함께 접합된 폴리카보네이트층의 두께 및 접합 수량이 증가할수록 특정 파장 (670 nm)에서 흡수 peak이 발생하고, intensity도 증가하여 광 투과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서 투명 방탄소재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투명 방탄소재의 적층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탄자 입사면 유리가 두껍고, PC를 연속적으로 방탄소재 후면에 분산 배치하면 박형화, 경량화 하면서도 우수한 방호성능을 확보하는 방탄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B-1 방탄소재의 경우 18.75 mm까지 박형화 하여도 3발 완전 방호하였고, V 0 883.0 m/s을 확보하였으며, 실시예 A-1 방탄소재의 경우, 17.05 mm 두께까지 박형화 하여도 NIJ level III을 만족하였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 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Claims (10)

  1. 복수개의 붕규산염 강화유리층;
    상기 강화유리층 사이에 각각 적층 접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MD층;
    상기 강화유리층과 일정한 순서로 적층 접합되되 상기 MD층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강화유리층 중 전방 탄자 입사면에 배치되는 강화유리층의 두께가 후방에 배치되는 강화유리층 각각의 두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층 각각의 두께는 2~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층은 상기 강화유리층보다 후방에 적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폴리카보네이트층은 연속적으로 적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층 사이에는 각각의 접합을 위한 PU층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탄소재의 후면에 적층 접합되는 비산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층은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탄소재는 상기 강화유리층 사이 또는 상기 강화유리층과 상기 MD층 사이에는 접합을 위한 PVB층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탄소재는 상기 강화유리층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층 사이에는 각층의 접합을 위한 PU층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탄소재는 90℃에서 예열 후 130℃ 및 12bar의 분위기에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KR1020160165336A 2016-12-06 2016-12-06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KR101864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336A KR101864045B1 (ko) 2016-12-06 2016-12-06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336A KR101864045B1 (ko) 2016-12-06 2016-12-06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045B1 true KR101864045B1 (ko) 2018-06-01

Family

ID=6263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336A KR101864045B1 (ko) 2016-12-06 2016-12-06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0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0697A (ko) 2006-03-03 2007-09-06 신태선 방탄유리와 이의 제조방법
KR20100013235A (ko) * 2008-07-30 2010-02-09 김운선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한 방탄 및 방범시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0697A (ko) 2006-03-03 2007-09-06 신태선 방탄유리와 이의 제조방법
KR20100013235A (ko) * 2008-07-30 2010-02-09 김운선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한 방탄 및 방범시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0969B2 (ja) 多層透明軽量安全グレージング
AU2006257867B2 (en) Transparent ceramic composite
US7681485B2 (en) Transparent ballistic resistant armor
TWI450869B (zh) 輕量透明防護窗
US20110308381A1 (en) Armor
US20090217813A1 (en) Glass-Ceramic with laminates
US20090320675A1 (en) Mosaic Transparent Armor
JP2011504992A (ja) マルチヒット対応透明積層装甲システム
KR102061453B1 (ko) 방탄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917024B1 (ko) 투명 방탄소재
KR101864045B1 (ko) 붕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WO2019064277A1 (en) TRANSPARENT ARMORED LAMINATE LAMINATE CONSISTING OF TILES WITH NON-PERPENDICULAR JOINTS
EP4342668A1 (en) Lightweight ballistic glasses
EP4343267A1 (en) Lightweight ballistic glasses
Shim et al. Development of thin and lightweight bulletproof windows using strengthened SLS glass by ion exchange
KR20180085982A (ko) 방탄소재용 소다석회 규산염 유리의 강화방법 및 이에 의해 강화된 소다석회 규산염 강화유리가 적용된 방탄소재
KR20140113815A (ko) 화학강화 방탄유리 제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