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346B1 - Ripk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Ripk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346B1
KR101858346B1 KR1020160086199A KR20160086199A KR101858346B1 KR 101858346 B1 KR101858346 B1 KR 101858346B1 KR 1020160086199 A KR1020160086199 A KR 1020160086199A KR 20160086199 A KR20160086199 A KR 20160086199A KR 101858346 B1 KR101858346 B1 KR 101858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pk1
leu
ser
glu
inhib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289A (ko
Inventor
민준기
조미라
전주연
김세영
나현식
정정희
서현범
문수진
신동윤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70006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61K31/713Double-stranded nucleic acids or oligo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IPK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면역질환이 유발된 질병 조직에서 RIPK의 발현이 과발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면역질환의 동물모델에 RIPK 억제제를 투여할 경우 면역질환의 증상이 완화 및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병인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은 RIPK 억제제를 면역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RIPK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mmune diseases comprising receptor interacting serine threonine protein kinase inhibitor}
RIPK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면역과민반응으로 인한 질환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러한 질환들의 발생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 규명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현재 과도한 면역반응에 의한 질환의 치료방법으로는 면역억제제를 단독 또는 병용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에 의해 야기되는 각종 증상을 완화 내지 감소시키는 것이다.
면역억제제란 항원의 작용에 대하여 숙주가 항체를 만드는 능력(체액성 면역반응) 또는 세포성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능력을 저하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물질들을 말한다. 이러한 면역억제제는 장기이식분야 뿐만 아니라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등과 같은 자가면역질환과, 아토피, 알러지 등의 피부과민 반응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우수한 면역억제제는 면역반응의 불균형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하고,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장기간 치료시에 질환의 재발 발생 빈도가 낮아야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면역억제제로는 사이클로스포린 A와 FK506 등이 있는데, 이들은 복잡한 화학구조를 가진 천연물 유래의 화합물로서 원료 수급의 측면에서 고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어 비경제적이고, 장기투여로 인해 각종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낮은 독성 및 면역관용 유도와 함께 경제적인 생산이 가능한 새로운 면역억제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각종 병원체에 대한 생체 방어 시스템으로 면역계에서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세포군의 하나로 T 세포가 있다. T 세포는 인체의 흉선에서 생성되며 일련의 분화 과정을 거치면서 고유의 특성을 지닌 T 세포로 분화하게 되는데, 분화를 완료한 T 세포는 그 기능에 따라 크게 1형 보조 세포(Th1)와 2형 보조 세포(Th2)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Th1 세포의 주된 기능은 세포 매개성 면역에 관여하고, Th2 세포는 체액성 면역에 관여하며, 면역계에서 이러한 두 세포 집단은 서로 과 활성화되지 않도록 서로 견제를 통해 면역계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면역질환의 대부분은 이러한 두 가지 면역 세포간의 불균형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Th1 세포의 활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자가면역질환이 발생할 수 있고, Th2 세포의 활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과민반응에 의한 면역질환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Th1 세포의 분화에 대한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Th1 세포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그룹인 면역조절 T 세포(Treg)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이를 이용한 면역질환의 치료에 대한 연구가 대두되고 있는데, Treg 세포는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된 면역세포의 기능을 억제하여 염증 반응을 제어하는 특성이 있어, Treg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통해 면역질환을 치료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Treg 세포 이 외에 T 세포의 분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또 다른 그룹으로 Th17 세포가 있는데, Th17 세포는 미분화 T세포의 분화 과정에서 Treg 세포의 분화와 유사한 과정을 거치며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Treg 세포와 Th17 세포의 분화는 공통적으로 TGF-β의 존재 하에서 이루어지지만, Treg 세포의 경우 IL-6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반면, Th17 세포의 경우에는 TGF-β와 함께 IL-6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분화를 한다. 또한, 분화된 Th17 세포는 IL-17을 분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17 세포는 Treg 세포와는 달리 면역질환에서 보이는 염증반응의 최전방에서 관여하여 염증 반응의 신호를 최대화시켜 질병의 진행을 가속화시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그러므로 자가면역질환 중 Treg 세포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자가면역질환의 경우, Th17 세포 활성의 억제를 표적으로 한 자가면역질환의 치료제 개발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면역질환치료제로는 T 세포에서의 신호변환 경로를 차단하는 면역 억제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면역억제제들은 독성, 감염, 임파종, 당뇨병, 진전(tremor), 두통, 설사, 고혈압, 오심, 신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T 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방법을 통해 면역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이외에도 면역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의 양을 조절하는 치료법 및 면역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을 표적으로 하는 항체를 이용한 치료법이 개발 중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실제적으로 임상실험을 거쳐 환자들에게 적용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야 하고, 항체를 이용하는 방법은 항체 제작 과정에서 너무 많은 비용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고 저렴하면서도 치료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면역질환 치료제 및 치료방법의 개발이 시급하다.
1. 국제공개특허 WO01053793A2
본 발명의 목적은 RIPK(receptor interacting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RIPK1(receptor interacting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1)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손실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RIPK3(receptor interacting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거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RIPK(receptor interacting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IPK 억제제는 RIPK1 억제제 또는 RIPK3 억제제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IPK1(receptor interacting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1) 억제제는 RIPK1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RIPK1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이거나, RIPK1의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RIPK1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IPK1은 서열번호 1의 핵산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IPK1의 단백질은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IPK1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은 RIPK1의 유전자에 대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siRNA 또는 shRNA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IPK1의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RIPK1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은 RIPK1에 대한 항체 또는 화합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Necrostatin 1 또는 Necrostatin 1s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IPK3(receptor interacting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3) 억제제는 RIPK3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RIPK3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이거나, RIPK3의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RIPK3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IPK3은 서열번호 3의 핵산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IPK3의 단백질은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IPK3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은 RIPK3의 유전자에 대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siRNA 또는 shRNA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IPK3의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RIPK3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은 RIPK3에 대한 항체 또는 화합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GSK'872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면역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골관절염, 천식 (Asthma), 피부염 (Dermititis), 건선 (Psoriasis), 낭섬유증 (Cystic Fibrosis), 고형장기 이식 후기 및 만성 거부증 (Post transplantation late and chronic solid organ rejection), 다발성 경화증 (Mμltiple Sclerosis),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쇼그렌 증후군(Sjogren syndrome), 하시모토 갑상선(Hashimoto thyroiditis), 다발성근염(polymyositis), 경피증(scleroderma), 아디슨병(Addison disease), 백반증(vitiligo), 악성빈혈(pernicious anemia), 사구체신염(glomerμlonephritis) 및 폐섬유증(pμlmonary fibrosis), 염증성장질환 (Inflammatory Bowel Dieseses), 자가면역성 당뇨 (Autoimmune Diabetes), 당뇨 망막증 (Diabetic retinopathy), 비염 (Rhinitis), 허혈-재관류 손상 (Ischemia-reperfusion injury), 혈관성형술후 재협착 (Post-angioplasty restenosis), 만성 폐색성 심장 질환 (Chronic obstructive pμlmonary diseases; COPD), 그레이브병 (Graves disease), 위장관 알러지 (Gastrointestinal allergies), 결막염 (Conjunctivitis), 죽상경화증 (Atherosclerosis), 관상동맥질환 (Coronary artery disease), 협심증 (Angina), 암 전이, 소동맥 질환, 이식편대숙주질환(graft-versus-host disease) 또는 미토콘드리아 관련 증후군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IPK1(receptor interacting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1)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손실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IPK1 억제제는 Necrostatin 1 또는 Necrostatin 1s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IPK1 억제제는 파골세포의 형성 및 분화를 억제하는 효능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골 손실 억제를 통해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은 골다공증, 파제트 골질환, 구루병, 골연화증 또는 퇴행성 골질환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RIPK3(receptor interacting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거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IPK3 억제제는 GSK'872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면역거부 질환은 기관 또는 조직의 이식편 거부반응; 기관 또는 조직의 이종이식 거부반응; 또는 동종이식 거부반응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IPK1 유전자 또는 RIPK1 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 또는 조직에 후보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RIPK1 유전자의 발현량 또는 RIPK1 단백질의 양 또는 RIPK1 단백질의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역질환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RIPK 억제제를 면역질환의 새로운 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규명한 것으로 면역질환이 유발된 동물모델에 RIPK 억제제를 처리하게 되면 질환의 증상이 완화 및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병인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억제되고 반면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면역질환 치료를 위한 새로운 타겟으로 RIPK을 발견하고 RIPK 억제제를 새로운 치료제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정상 마우스(Normal) 및 콜라겐 유도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모델(CIA, collagen-induced arthritis)의 관절 조직에서 RIPK1 발현량을 면역조직화학염색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정상인(Normal donor), 골관절염(Osteoarthritis) 및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의 환자로부터 수득한 활막조직에서 RIPK1 발현량을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anti-CD3로 자극된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RIPK1 억제제 처리에 의한 IL-17 (a), IFN-γ (b) 및 IL-10 (c)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ELISA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LPS(lipopolysaccharide)로 자극된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RIPK1 억제제 처리에 의한 TNF-α (a) 및 IL-10 (b)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ELISA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콜라겐 유도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모델에 RIPK1 억제제 처리에 의한 관절염 치료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서, (a)는 관절염 지수(arthritis score)를 분석한 것이고, (b)는 관절염 발병정도(incidence)를 분석한 것이다.
도 6은 콜라겐 유도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모델에 RIPK1 억제제 처리한 후, 각 실험군으로부터 혈청을 수득하여 CII specific Total IgG (a), CII specific IgG1 (b) 및 CII specific IgG2a (c)의 발현량을 ELISA에 의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RIPK1 억제제의 처리에 따른 세포 독성여부를 MTT 어세이에 의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RIPK1 억제제 처리에 따른 Th17 세포의 분화 억제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서 Th17 세포의 수를 FACS(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에 의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RIPK1 억제제 처리에 따른 파골세포(osteoclast)의 분화 억제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서 염색된 TRAP+ 세포 및 염색된 TRAP+ 세포의 수를 카운팅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anti-CD3 또는 LPS(lipopolysaccharide)로 자극된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RIPK1 억제제 처리에 따른 IL-17 (a) 및 TNF-α (b)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ELISA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anti-CD3로 자극된 인간 말초단핵구 세포(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에서 RIPK1 억제제 처리에 따른 TNF-α (a) 및 IL-17 (b)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ELISA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anti-CD3로 자극된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RIPK3 억제제 처리에 따른 IL-17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ELISA에 의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염증성 장질환의 마우스(B6) 모델에서 RIPK3 억제제 처리에 따른 염증성 장질환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우스의 체중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WT: 대조군; IBD: 염증성 장질환 동물 모델로서 RIPK3 억제제를 처리하지 않은 군; 및 RIPK3 inhibitor: RIPK3 억제제를 처리한 군.
도 14는 RIPK3 억제제 처리에 따른 동종반응(alloresponse)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T 세포의 증식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RIPK1(receptor interacting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1)은 pathogen recognition receptor (PRRS)와 DNA 손상 및 death receptor ligation에 의한 Cell-death 신호 (programmed necrosis) 전달에 관여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란 특정 mRNA의 서열에 상보적인 핵산 서열을 함유하고 있는 DNA 또는 RNA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의미하고, mRNA 내의 상보적인 서열에 결합하여 mRNA의 단백질로의 번역을 저해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안티센스 서열은 상기 유전자의 mRNA에 상보적이고 상기 mRNA에 결합할 수 있는 DNA 또는 RNA 서열을 의미하며, 상기 mRNA의 번역, 세포질내로의 전위(translocation), 성숙(maturation) 또는 다른 모든 전체적인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필수적인 활성을 저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티센스 핵산은 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염기, 당 또는 골격(backbone)의 위치에서 변형될 수 있다(De Mesmaeker et al., Curr Opin Struct Biol., 5, 3, 343-55, 1995). 핵산 골격은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메틸 포스포네이트, 단쇄 알킬, 시클로알킬, 단쇄 헤테로아토믹, 헤테로시클릭 당간 결합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안티센스 핵산은 하나 이상의 치환된 당 모이어티(sμgar moiety)를 포함할 수 있다. 안티센스 핵산은 변형된 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된 염기에는 하이포크잔틴, 6-메틸아데닌, 5-메틸피리미딘(특히 5-메틸시토신), 5-하이드록시메틸시토신(HMC), 글리코실 HMC, 젠토비오실 HMC, 2-아미노아데닌, 2-티오우라실, 2-티오티민, 5-브로모우라실, 5-하이드록시메틸우라실, 8-아자구아닌, 7-데아자구아닌, N6 (6-아미노헥실)아데닌, 2,6-디아미노퓨린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티센스 핵산은 상기 안티센스 핵산의 활성 및 세포 흡착성을 향상시키는 하나 이상의 모이어티(moiety) 또는 컨쥬게이트(conjugate)와 화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콜레스테롤 모이어티, 콜레스테릴 모이어티, 콜릭산, 티오에테르, 티오콜레스테롤, 지방성 사슬, 인지질, 폴리아민,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아다맨탄 아세트산, 팔미틸 모이어티, 옥타데실아민, 헥실아미노-카르보닐-옥시콜에스테롤 모이어티 등의 지용성 모이어티 등이 있고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지용성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이미 잘 알려져 있다(미국특허 제5,138,045호, 제5,218,105호 및 제5,459,255호). 상기 변형된 핵산은 뉴클레아제에 대한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안티센스 핵산과 표적 mRNA와의 결합 친화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통상의 방법으로 시험관에서 합성되어 생체 내로 투여하거나 생체 내에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가 합성되도록 할 수 있다. 시험관에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합성하는 일예는 RNA 중합효소 I를 이용하는 것이다. 생체 내에서 안티센스 RNA가 합성되도록 하는 한 가지 예는 인식부위(MCS)의 기원이 반대 방향에 있는 벡터를 사용하여 안티센스 RNA가 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안티센스 RNA는 서열 내에 번역 중지 코돈이 존재하도록 하여 펩타이드 서열로 번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RNAi"는 RNA Interference를 지칭하는 말로, 우리말로 풀이하면 RNA 간섭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RNA 간섭은 대부분의 생물체 사이에서 잘 보존되어 있는 특이적 유전자억제 현상이다.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방어나 트랜스포손을 억제하기 위하여 혹은 비정상적 mRNA를 제거하기 위하여 세포가 사용하는 유전자 감시기작의 일종으로 생각되고 있다. 특히, small RNA에 의한 유전자 억제현상을 넓은 의미에서 RNA간섭이라 하고, 좁은 의미의 RNA 간섭은 siRNA에 의한 mRNA 분해 현상을 뜻한다. 또한 RNA간섭은 siRNA를 이용한 유전자 억제 실험 기술을 뜻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siRNA"라는 용어는 RNA 방해 또는 유전자 사일런싱을 매개할 수 있는 핵산 분자를 의미한다(국제공개 특허번호 00/44895, 01/36646, 99/32619, 01/29058, 99/07409 및 00/44914 참조). siRNA는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유전자 넉다운(knock-down) 방법으로서 또는 유전자치료 방법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siRNA 분자는, 센스 가닥(상기 마커 유전자의 mRNA 서열에 상응하는 서열)과 안티센스 가닥(상기 mRNA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이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여 이중쇄를 이루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siRNA 분자는 자기-상보성(self-complementary) 센스 및 안티센스 가닥을 가지는 단일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siRNA는 RNA끼리 짝을 이루는 이중사슬 RNA 부분이 완전히 쌍을 이루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미스매치(대응하는 염기가 상보적이지 않음), 벌지(일방의 사슬에 대응하는 염기가 없음) 등에 의하여 쌍을 이루지 않는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siRNA 말단 구조는 상기 마커 유전자의 발현을 RNAi 효과에 의하여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면 평활(blunt) 말단 혹은 점착(cohesive) 말단 모두 가능하고, 점착 말단 구조는 3'-말단 돌출 구조와 5'-말단 돌출 구조 모두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siRNA 분자는 자기-상보성(self-complementary) 센스 및 안티센스 가닥 사이에 짧은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삽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발현에 의해 형성된 siRNA 분자는 분자내 혼성화에 의하여 헤어핀 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전체적으로는 스템-앤드-루프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 스템-앤드-루프 구조는 인 비트로 또는 인 비보에서 프로세싱되어 RNAi를 매개할 수 있는 활성의 siRNA 분자를 생성한다.
siRNA를 제조하는 방법은 시험관에서 siRNA를 직접 합성한 뒤, 형질전환 과정을 거쳐 세포 안으로 도입시키는 방법과 siRNA가 세포 안에서 발현되도록 제조된 siRNA 발현 벡터 또는 PCR-유래의 siRNA 발현 카세트 등을 세포안으로 형질전환 또는 감염(infection)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한, 유전자 특이적인 siRNA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siRNA의 세포내 유입을 촉진시키는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siRNA의 세포내 유입을 촉진시키는 제제에는 일반적으로 핵산 유입을 촉진하는 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로는, 리포좀을 이용하거나 콜레스테롤, 콜레이트 및 데옥시콜산을 비롯한 다수의 스테롤류 중 1종의 친유성 담체와 함께 배합할 수 있다. 또한, 폴리-L-라이신(poly-L-lysine), 스퍼민(spermine), 폴리실아잔(polysilazane), 폴리에틸레민(PEI:polyethylenimine), 폴리디하이드로이미다졸레늄(polydihydroimidazolenium), 폴리알리라민(polyallylamine), 키토산(chitosan) 등의 양이온성 고분자(cationic polymer)를 이용할 수도 있고, 숙실화된 PLL(succinylated PLL), 숙실화된 PEI(succinylated PEI), 폴리글루타믹산(polyglutamic acid), 폴리아스파틱산(polyaspartic acid),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메타아크릴산(polymethacylic acid), 덱스트란 설페이트(dextran sμlfate), 헤파린(heparin), 히아루릭산(hyaluronic acid) 등의 음이온성 고분자(anionic polymer)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체는 기존의 치료제와 직접 또는 링커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커플링(예를 들어, 공유결합)시킬 수 있다. 항체와 결합될 수 있는 치료제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131I, 90Y, 105Rh, 47Sc, 67Cu, 212Bi, 211At, 67Ga, 125I, 186Re, 188Re, 177Lu, 153Sm, 123I, 111In 등과 같은 방사성핵종(radionuclide);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및 인터페론과 같은 림포카인(lympokine) 등의 생물학적 반응 변형체 또는 약물; 리신, 아브린, 디프테리아 등과 같은 독소; 이형기능성 항체(heterofunctional antibodies), 즉 다른 항체와 결합되어 그 복합체가 암세포와 효능 세포(예를 들면, T 세포와 같은 K 세포(killer cell) 모두에 결합하는 항체; 및 자연적인, 즉, 비-연관 또는 비-복합된 항체와 결합될 수 있다.
뼈(bone)는 인체의 연조직과 체중을 지탱해주고 내부기관을 둘러싸서 내부 장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근육이나 장기를 구조적으로 지탱할 뿐만 아니라 체내의 칼슘이나 다른 필수 무기질 즉 인이나 마그네슘과 같은 물질을 저장하는 인체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따라서 성장이 끝난 성인의 뼈는 멈추지 않고 죽는 날까지 오래된 뼈는 제거하고 새로운 뼈로 대체하는 생성과 흡수과정을 매우 역동적, 지속적으로 반복 재생하면서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이를 뼈의 재형성(bone remodeling)이라고 한다. 이러한 뼈의 재형성은 성장과 스트레스에 의해서 일어나는 뼈의 미세한 손상을 회복시키고 적절히 뼈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뼈의 재형성에는 크게 두 종류의 세포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세포 중 하나는 뼈를 생성하는 조골세포(osteoblast)이고, 다른 하나는 뼈를 파괴하는 파골세포(osteoclast)이다. 조골세포는 RANKL(receptor activator of NF-κB ligand: 이하 간략하게 'RANKL'이라 함)과 이것의 유도 수용체(decoy receptor)인 OPG(osteoprotegerin)를 생성한다. RANKL이 파골 전구세포(osteoclast progenitor cells) 표면에 있는 수용체인 RANK(receptor activator of NF-κB: 이하 간략하게 'RANK'라 함)에 결합하면 파골 전구세포가 파골세포로 분화되어 골 흡수(resorption)가 일어난다. 자세하게는 RANKL 자극에 의한 세포내 칼슘 신호 전달로 파골 전구세포에서 파골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핵심 전사인자로 알려져 있는 NFAT(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s: 이하 간단하게 'NFAT'라 함)의 발현이 유도되고, 그 후 세포외 신호조절인산화효소(extracellμlar signal-regμlated kinase: 이하 간단하게 'ERK'라 함), NF-κB, p38 MAP kinase 등의 활성화가 NFAT의 자가증폭(autoamplification)을 유발하여 활성이 지속되는 것이다.
또한, 파골세포의 생성을 위해서는 NF-κB 리간드의 수용체 활성제(RANKL)와 대식세포증식자극인자(macrophage colony stimμlating factor(M-CSF))와 같은 두 종류의 싸이토카인(cytokine)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싸이토카인이 파골세포의 분화를 유도한다(신정민 외, KOREAN J. FOODSCI. TECHNOL. 40(6), 674-679(2008)). 또한, 파골세포 표지 인자로 사용되고 있는 TRAP, 파골세포에 선택적으로 분포하여 골흡수를 일으키는 단백질인 카뎁신 K 및 파골세포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MMP-9와 같은 활성화된 파골세포에만 특이하게 발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면역질환, 골 손실로 유발될 수 있는 골질환, 및 면역거부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 등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를 들면,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과 같은 경구 투여용 담체 및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과 같은 비경구 투여용 담체 등이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 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용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주사용 제형으로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바람직하다. 주사용 제형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성분을 식염수 또는 완충액에 용해시켜 주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분말, 과립, 정제, 환약 및 캡슐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형화된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량으로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에서 '유효량' 이란 환자에게 투여하였을 때,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양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투여 대상, 연령, 성별 체중, 개인차 및 질병 상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10000㎍/체중kg/day,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00㎎/체중kg /day의 유효용량으로 하루에 수회 반복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면역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IPK1 유전자 또는 RIPK1 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 또는 조직에 후보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RIPK1 유전자의 발현량 또는 RIPK1 단백질의 양 또는 RIPK1 단백질의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역질환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은 새로운 면역질환 질환의 치료제를 RIP-1을 이용하여 발굴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상기 “후보물질”이란 RIPK1 유전자의 발현량, RIPK1 단백질의 양 또는 RIPK1 단백질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스크리닝에서 이용되는 미지의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시료는 화합물, 단백질, 펩타이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천연물 추출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후보물질의 처리는 바람직하게 RIPK1 유전자 또는 RIPK1 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 또는 조직에 후보물질을 처리한 후 배양하는 과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RIPK1 단백질의 세포 내 수준 증가의 의미는 RIPK1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거나 또는 RIPK1 단백질의 분해가 억제되어 RIPK1 단백질의 양이 증가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RIPK1 유전자 발현은 RIPK1 유전자의 전사 및 단백질로의 번역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후보물질이 세포 내에서 RIPK1 유전자의 발현 및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기킬 경우, 상기 후보물질을 면역질환의 신규 치료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자의 발현 수준 측정은 바람직하게는 mRNA의 수준을 측정하는 것이며, mRNA의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RNase 보호 분석법, 노던 블럿 및 DNA 칩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단백질의 양 또는 단백질의 활성 측정은 항체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생물학적 시료 내의 상기 마커 단백질과 이에 특이적인 항체는 결합물, 즉, 항원-항체 복합체를 형성하며, 항원-항체 복합체의 형성량은 검출 라벨(detection label)의 시그널의 크기를 통해서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검출 라벨은 효소, 형광물, 리간드, 발광물, 미소입자(microparticle), 레독스 분자 및 방사선 동위원소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웨스턴 블럿, ELISA, 방사선면역분석, 방사선 면역 확산법,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 로케트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면역침전 분석법, 보체 고정분석법, FACS, 단백질 칩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RIPK1 유전자의 발현량 또는 RIPK1 단백질의 양 또는 RIPK1 단백질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기술된 바와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면역침전법(coimmunoprecipitation), 효소면역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assay), 방사능면역분석법(RIA), 면역조직화학,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 및 유세포 분석법(FACS)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정상조직과 관절염 조직에서의 RIPK1 (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1) 발현량 분석
본 발명자들은 정상상태와 질환유발 상태 시 RIPK1의 발현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정상 마우스와 관절염이 유도된 마우스의 관절 조직에서 RIPK1의 발현량을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관절염 유도 마우스는 DBA/1J 마우스에 type II collagen(CII)과 CFA(complete Freund's adjuvant)를 1:1로 혼합하여 마우스당 100μg의 CII를 tail base에 50μl 용량으로 주사하였다. 2주 후, CII와 CFA 1:1로 혼합액을 100μg/50μl로 2차로 주입하는 방법으로 관절염이 유발된 마우스를 제조하여 사용하였고, 상기 정상마우스는 CII를 처리하지 않은 DBA/1J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정상 마우스와 관절염 유도 마우스로부터 수득된 관절 조직을 10% 포르말린으로 고정시키고 뼈에서 석회질을 제거한 후 파라핀에 포매한 후 조직을 7 μm 두께의 절편을 만들어서 슬라이드에 부착하였다. 면역조직 화학염색을 진행하기 전에 자일렌을 이용하여 탈 파라핀 과정을 통과 후, 에탄올을 고농도에서 저농도까지 함수 시켰다. 이때 상기 RIPK1의 발현량을 감지하기 위해서 RIPK1에 대한 항체(Santa Cruz, SC-7881)를 이용하여 면역염색을 수행하였고, 이후 광학현미경으로 분석을 통해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상 마우스의 관절조직에 비해 류마티스 관절염이 유발된 관절조직에서 RIPK1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1).
실시예 2. 골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활막조직에서의 RIPK1 발현량 분석
상기 실시예 1의 결과를 통해, RIPK1의 발현이 면역질환 유발시 정상에 비해 증가되어 있는 것을 동물모델로 확인한 사실을 토대로, 실제 임상적으로도 동일한 결과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정상인, 골관절염 환자 및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로부터 수득한 활막조직을 대상으로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분석을 통해 RIPK1의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에 비해 골관절염 및 류마티스 관절염이 발병하면 RIPK1의 발현량이 실제적으로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2).
실시예 3. RIPK1 억제제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조절효과
RIPK1이 면역질환 유발과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함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RIPK1을 억제하게 되면 면역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RIPK1 억제제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T 세포 활성 조건인 anti-CD3로 자극한 C57BL/6 정상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비장세포(splenocytes)에 RIPK1 억제제인 Necrostatin-1 (Selleckchem, S8037)를 각각 1μM 및 10μM의 농도로 처리한 후, 48시간 배양하였고, 이후 배양액을 수집하여 대표적인 병인 사이토카인인 IL-17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FN-γ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0의 발현량을 ELISA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ELISA 분석을 위해, 먼저 96 well 플레이트에 anti-IL-17, anti-IFN-γ, anti-IL-10을 각각 2μg/ml로 코팅한 후, 반응 후 차단용액(1% BSA/PBST)으로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시켰고, 이후 IL-17, IFN-γ, IL-10 recombinant를 1/2씩 연속 희석하여 이를 표준시약(Standard)으로 사용하였는데, 여기에 세포배양 상층액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이후, 바이오티닐(biotinylated) anti-IL-17, anti-IFN-γ, anti-IL-10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키고 3회 세척 후 ExtraAvidin-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를 희석하여 첨가한 후, 다시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대조군은 anti-CD3로만 세포를 자극하고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T 세포가 활성화된 조건에서 RIPK1 억제제를 처리한 군의 경우, RIPK1 억제제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병인성 사이토카인(IL-17)과 염증성 사이토카인(IFN-γ)의 발현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항염 활성을 갖는 사이토카인(IL-10)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3).
따라서, RIPK1을 억제하는 화합물의 경우, 면역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대식세포 활성화 조건에서의 RIPK1 억제제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조절분석
본 발명자들은 대식세포 활성화 조건인 LPS(lipopolysaccharide)로 자극한 C57BL/6 정상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비장세포(splenocytes)에 RIPK1 억제제인 Necrostatin-1 (Selleckchem, S8037)를 각각 1μM 및 10μM의 농도로 처리한 후, 48시간 배양하고, 배양액을 수집하여 대표적인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0의 발현량을 ELISA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ELISA 분석을 위해, 먼저 96 well 플레이트에 anti-TNF-α, anti-IL-10을 2μg/ml로 코팅한 후, 반응 후 차단용액 (1% BSA/PBST)으로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시켰다. 이후 TNF-α, IL-10 recombinant를 1/2씩 연속 희석하여 이를 표준시약(Standard)로 사용하였고 세포배양 상층액을 넣고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이후 바이오티닐(biotinylated) anti-TNF-α, anti-IL-10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키고 3회 세척 후, ExtraAvidin-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를 희석하여 첨가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대조군은 LPS로만 세포를 자극하고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조건에서 RIPK1 억제제를 처리한 군은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LPS로 유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의 생성은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0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 즉, RIPK1 억제제의 경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은 억제하였으나,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은 억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RIPK1 억제제에 의한 치료 효과 분석
RIPK1 억제제가 실제로 자가면역질환이 유발된 마우스 동물에게 투여할 경우, 효과적인 치료 효능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관절염이 유발된 마우스를 제조하기 위해 IL-10 넉아웃(knockout) 마우스에 Type II Collagen으로 CIA(collagen-induced arthritis)를 유도하여 관절염 발병 마우스 모델을 제조한 후, 처음 Immunization 후 10일째부터 1주일에 3회 복강 내 RIPK1 억제제인 Necrostatin-1 (Selleckchem,S8037)을 0.02mg/mice로 투여한 후 관절염 지수를 분석하였다.
관절염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평가 기준-
0점: 부종이나 종창이 없다.
1점: 발 또는 발목관절에 국한된 경한 부종과 발적
2점: 발목관절에서 족근골(metatarsal)에 걸친 경한 부종과 발적
3점: 발목관절에서 족근골에 걸친 중등도의 부종과 발적
4점: 발목에서 다리 전체에 걸쳐 부종과 발적이 있는 경우
5점 이상: 부종과 발적의 증상이 심각하게 계속 진행되는 경우
그 결과, 관절염이 유도된 마우스에 RIPK1 억제제를 투여한 경우, RIPK1 억제제를 투여하지 않은 군에 비해 관절염 지수(arthritis score)가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절염 발병 정도(incidence)도 2.5배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5).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실제적으로 RIPK1의 활성을 억제할 경우, 면역질환을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RIPK1 억제제에 의한 항체 조절 효과분석
상기 실시예 5에서 실험에 사용한 마우스들을 대상으로 RIPK1 억제제를 4주간 투여한 마우스로부터 혈액을 수득하고 다시 혈청을 분리한 후, CII specific Total IgG, CII specific IgG1, CII specific IgG2a의 발현량을 ELISA에 의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RIPK1 억제제를 투여한 마우스의 혈청에서는 CII specific Total IgG의 발현이 감소되었고, Th2 반응과 관련 있는 CII specific IgG1의 발현은 오히려 증가되었다. 또한, Th1 반응과 관련이 있는 CII specific IgG2a의 발현도 감소되었다(도 6).
따라서, RIPK1 억제제는 Th2와 같은 항염증성 항체는 증가시키고 Th1과 같은 염증성 항체의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 RIPK1 억제제의 세포 독성 여부 확인
본 발명자들은 RIPK1 억제제가 세포 독성을 유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 마우스의 비장세포(splenocytes)에 RIPK1 억제제인 Necrostatin 1을 각각 0.1μM, 1μM, 10μM의 농도로 처리한 후, 3일 동안 배양하였고, MTT powder(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를 PBS에 0.5mg/ml로 녹여 50μl씩 처리한 후 4시간을 배야하였다. 그 후, 1300rpm, 5분, 4°C에서 원심분리를 한 후 상층액 120μl을 제거하고 DMSO를 50μl 넣어준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RIPK1 억제제를 처리한 군 모두에서 세포 독성이 유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0.1 μM, 1 μM, 10 μM 농도로 처리한 군 모두에서 세포 독성이 유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7).
실시예 8. RIPK1 억제제에 의한 Th17 세포의 분화 억제 효과
RIPK1 억제제에 의한 Th17 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Th17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정상 마우스의 비장세포(splenocytes)에 anti-CD3, anti-CD28, anti-IFN-γ, anti-IL-4, IL-6 및 TGF-β를 처리하고, RIPK1 억제제인 Necrostatin 1을 10μM 로 처리한 후 3일 동안 세포를 배양하였다. 그 후, 세포를 모은 후 anti-mouse CD4 PerCP-Cyanine5.5 와 anti-mouse IL-17 FITC 항체를 이용하여 염색하고, FACS(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BD FACS caliburTM)를 수행하였으며, FlowJ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RIPK1 억제제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 Th17 세포로의 분화가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8).
실시예 9. RIPK1 억제제에 의한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
본 발명자들은 RIPK1 억제제에 의해 파골세포 분화가 억제되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IL-10 넉아웃(knockout) 마우스에 Type II Collagen으로 CIA를 유도하여 관절염 발병 마우스 모델로 유도한 후, 처음 Immunization 후 10일째부터 1주일에 3회 복강 내에 RIPK-1 억제제(Necrostatin 1)를 20mg/kg 및 10mg/kg으로 투여한 후, 실험종료 시점에 마우스의 골수세포에 50 ng/ml의 RANKL(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과 M-CSF(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로 자극하고, 이후 RIPK1 억제제인 Necrostatin 1을 1μM, 10μM로 처리한 다음, TRAP(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양성 세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RIPK-1 억제제의 파골세포 분화 조절능을 관찰하기 위한 Osteoclastogenesis 분화 실험에서 RIPK-1 억제제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골파괴 기전과 관련 있는 TRAP 양성 세포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9).
따라서, RIPK1 억제제가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골질환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9. RIPK1 억제제에 의한 병인 사이토카인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조절분석
본 발명자들은 T 세포 활성 조건인 anti-CD3로 자극 또는 대식세포 활성화 조건인 LPS(lipopolysaccharide)로 자극한 C57BL/6 정상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비장세포(splenocytes)에 RIPK1 억제제인 Necrostatin-1s (Calbiochem, 504297)를 주어진 농도로 처리한 후, 48시간 배양하고, 배양액을 수집하여 병인 사이토카인인 IL-17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의 발현량을 ELISA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ELISA 분석을 위해, 먼저 96 well 플레이트에 anti-IL-17, anti-TNF-α를 2μg/ml로 코팅한 후, 반응 후 차단용액 (1% BSA/PBST)으로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시켰다. 이후 IL-17, TNF-α recombinant를 1/2씩 연속 희석하여 이를 표준시약(Standard)로 사용하였고 세포배양 상층액을 넣고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이후 바이오티닐(biotinylated) anti-IL-17, anti-TNF-α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키고 3회 세척 후, ExtraAvidin-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를 희석하여 첨가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대조군은 anti-CD3 또는 LPS로만 세포를 자극하고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RIPK1 억제제(Necrostain 1s)를 처리한 군은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병인 사이토카인인 IL-17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의 발현량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10).
실시예 10. RIPK1 억제제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조절분석
본 발명자들은 T 세포 활성 조건인 anti-CD3로 자극된 인간 말초단핵구 세포(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에 RIPK1 억제제인 Necrostatin-1s (Calbiochem, 504297)를 주어진 농도로 처리한 후, 48시간 배양하고, 배양액을 수집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0의 발현량을 ELISA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ELISA 분석을 위해, 먼저 96 well 플레이트에 anti-TNF-α, anti-IL-10을 2μg/ml로 코팅한 후, 반응 후 차단용액 (1% BSA/PBST)으로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시켰다. 이후 TNF-α, IL-10 recombinant를 1/2씩 연속 희석하여 이를 표준시약(Standard)로 사용하였고 세포배양 상층액을 넣고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이후 바이오티닐(biotinylated) anti-TNF-α, anti-IL-10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키고 3회 세척 후, ExtraAvidin-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를 희석하여 첨가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대조군은 anti-CD3로만 세포를 자극하고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RIPK1 억제제(Necrostain 1s)를 처리한 군은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가 억제되는 효과가 있었고,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0은 증가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11).
실시예 11. RIPK3 억제제에 의한 병인 사이토카인의 조절분석
본 발명자들은 T 세포 활성 조건인 anti-CD3로 자극한 C57BL/6 정상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비장세포(splenocytes)에 RIPK3 억제제인 GSK'872 (Calbiochem, 530389)를 주어진 농도로 처리한 후, 48시간 배양하고, 배양액을 수집하여 병인 사이토카인인 IL-17의 발현량을 ELISA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ELISA 분석을 위해, 먼저 96 well 플레이트에 anti-IL-17를 2μg/ml로 코팅한 후, 반응 후 차단용액 (1% BSA/PBST)으로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시켰다. 이후 IL-17 recombinant를 1/2씩 연속 희석하여 이를 표준시약(Standard)로 사용하였고 세포배양 상층액을 넣고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이후 바이오티닐(biotinylated) anti-IL-17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키고 3회 세척 후, ExtraAvidin-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를 희석하여 첨가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대조군은 anti-CD3 로만 세포를 자극하고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RIPK3 억제제를 처리한 군은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병인 사이토카인인 IL-17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억제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12).
실시예 12. RIPK3 억제제에 의한 염증성 장질환 억제 효과
본 발명자들은 RIPK3 억제제를 염증성 장질환이 유발된 마우스 동물모델에 투여하여 치료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염증성 장질환 동물모델은 C57BL6 마우스의 음수에 3% DSS(dextran sulfate sodium)를 넣어주어 제조되었다. 체중은 DSS 약물의 투여를 시작하는 시점에서 측정되었고, 동시에 RIPK3 억제제인 GSK'872 (Calbiochem, 530389)은 경구투여되어 실험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 염증성 장질환이 유발된 마우스에 RIPK3 억제제는 대조군(WT, wild type) 정도로 체중을 회복하지는 않았으나, 염증성 장질환 마우스보다는 약간 체중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13).
실시예 13. RIPK3 억제제에 의한 동종반응( Alloresponse ) 억제 효과
본 발명자들은 RIPK3 억제제가 조직이식에 대한 거부반응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in vitro에서 96 well의 각 웰 당 1×105개의 정상 수여자(Balb/c, responder)의 CD4+T cell와 1×105개의 방사선으로 조사시킨 수여자(동종동형) 또는 공여자(C57BL/6, stimulator, 동종이형) 유래의 T 세포를 제거한 비장세포를 넣고 혼합 배양시켜 동종반응을 유도하였다. 또한, RIPK3 억제제인 GSK'872 (Calbiochem, 530389)은 1μM 및 10μM을 함께 처리한 후 72시간 배양시켰다. 배양완료 16시간 전에 배양된 세포에서 T 세포 증식 반응 정도를 3H Thymidine을 처리하고 세포증식 정도를 b 카운터로 3H Thymidine의 양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RIPK3 억제제는 대조군에 비해 동종반응(Alloresponse)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4).
따라서, RIPK3 억제제가 이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T 세포의 이식 후 거부반응 및 동종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이식에 의한 질환 치료를 성공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110>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of Catholic University <120>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mmune diseases comprising receptor interacting serine theronin protein kinase inhibitor <130> PN1606-205 <150> KR 10-2015-0096322 <151> 2015-07-07 <160> 4 <170> KopatentIn 2.0 <210> 1 <211> 4096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 agactgctcg tcaagtgtgg gaaaagctcc gtggcgtcac aagctactat ataaaaggcg 60 gtgcccgccg gggccgagtg ggagtccgcg gcgagcgcag cagcagggcc cggtcctgcg 120 cctcgggagt cggcgtccag gctcggagcg cgacacggag actaggtggc agggtacagc 180 tctgccgggg ggggaaaaag tggtaccatt ttgggcgttc ttgagcttca gaatgcaacc 240 agacatgtcc ttgaatgtca ttaagatgaa atccagtgac ttcctggaga gtgcagaact 300 ggacagcgga ggctttggga aggtgtctct gtgtttccac agaacccagg gactcatgat 360 catgaaaaca gtgtacaagg ggcccaactg cattgagcac aacgaggccc tcttggagga 420 ggcgaagatg atgaacagac tgagacacag ccgggtggtg aagctcctgg gcgtcatcat 480 agaggaaggg aagtactccc tggtgatgga gtacatggag aagggcaacc tgatgcacgt 540 gctgaaagcc gagatgagta ctccgctttc tgtaaaagga aggataattt tggaaatcat 600 tgaaggaatg tgctacttac atggaaaagg cgtgatacac aaggacctga agcctgaaaa 660 tatccttgtt gataatgact tccacattaa gatcgcagac ctcggccttg cctcctttaa 720 gatgtggagc aaactgaata atgaagagca caatgagctg agggaagtgg acggcaccgc 780 taagaagaat ggcggcaccc tctactacat ggcgcccgag cacctgaatg acgtcaacgc 840 aaagcccaca gagaagtcgg atgtgtacag ctttgctgta gtactctggg cgatatttgc 900 aaataaggag ccatatgaaa atgctatctg tgagcagcag ttgataatgt gcataaaatc 960 tgggaacagg ccagatgtgg atgacatcac tgagtactgc ccaagagaaa ttatcagtct 1020 catgaagctc tgctgggaag cgaatccgga agctcggccg acatttcctg gcattgaaga 1080 aaaatttagg cctttttatt taagtcaatt agaagaaagt gtagaagagg acgtgaagag 1140 tttaaagaaa gagtattcaa acgaaaatgc agttgtgaag agaatgcagt ctcttcaact 1200 tgattgtgtg gcagtacctt caagccggtc aaattcagcc acagaacagc ctggttcact 1260 gcacagttcc cagggacttg ggatgggtcc tgtggaggag tcctggtttg ctccttccct 1320 ggagcaccca caagaagaga atgagcccag cctgcagagt aaactccaag acgaagccaa 1380 ctaccatctt tatggcagcc gcatggacag gcagacgaaa cagcagccca gacagaatgt 1440 ggcttacaac agagaggagg aaaggagacg cagggtctcc catgaccctt ttgcacagca 1500 aagaccttac gagaattttc agaatacaga gggaaaaggc actgcttatt ccagtgcagc 1560 cagtcatggt aatgcagtgc accagccctc agggctcacc agccaacctc aagtactgta 1620 tcagaacaat ggattatata gctcacatgg ctttggaaca agaccactgg atccaggaac 1680 agcaggtccc agagtttggt acaggccaat tccaagtcat atgcctagtc tgcataatat 1740 cccagtgcct gagaccaact atctaggaaa tacacccacc atgccattca gctccttgcc 1800 accaacagat gaatctataa aatataccat atacaatagt actggcattc agattggagc 1860 ctacaattat atggagattg gtgggacgag ttcatcacta ctagacagca caaatacgaa 1920 cttcaaagaa gagccagctg ctaagtacca agctatcttt gataatacca ctagtctgac 1980 ggataaacac ctggacccaa tcagggaaaa tctgggaaag cactggaaaa actgtgcccg 2040 taaactgggc ttcacacagt ctcagattga tgaaattgac catgactatg agcgagatgg 2100 actgaaagaa aaggtttacc agatgctcca aaagtgggtg atgagggaag gcataaaggg 2160 agccacggtg gggaagctgg cccaggcgct ccaccagtgt tccaggatcg accttctgag 2220 cagcttgatt tacgtcagcc agaactaacc ctggatgggc tacggcagct gaagtggacg 2280 cctcacttag tggataaccc cagaaagttg gctgcctcag agcattcaga attctgtcct 2340 cactgatagg ggttctgtgt ctgcagaaat tttgtttcct gtacttcata gctggagaat 2400 ggggaaagaa atctgcagca aaggggtctc actctgttgc caggctggtc tcaaacttct 2460 ggactcaagt gatcctcccg cctcggcctt ccaaagtgct gggatatcag gcactgagcc 2520 actgcgccca gccaacaatc cgctctgagg aaagcgtaag caggaagacc tcttaatggc 2580 atagcaccaa taaaaaaatg actcctagtt gtgtttggaa agggagagaa gagatgtctg 2640 aggaaggtca tgttctttca gcttatggca tttcctagag ttttgttgaa gcaagaagaa 2700 aaactcagag aatataaaat caacttttaa aattgtgtgc tctcttcttc acgtaggctc 2760 ctgttaaaaa caaagtgcag tcagattcta agccctgttc agagacttcg tggatcacag 2820 ctgcagctca ccgccacatc acaggatccg ttaacgttaa tacccaatac tctgtcagcc 2880 actgtaggct ctaagaacca cgtgcagtct tcagcccatt aaattatcga ttatttttta 2940 atgaattgaa tttatattga gtcttcaaat taactgaatg gatttaaagg ggtaccaagg 3000 aggggggaaa catcagaatt tcccaggcag ttgttgcaag gaattggtac taaccgtgac 3060 tacaacaaaa attcttgatt gacttttaaa gttatttcct ggcattctgg taccttcacc 3120 cagcctgagt gccctggaga gggaacagga aatgctgatc tctacccctg ggtgagacca 3180 gaacctcagg gctgatactg ttgagtggct tcctcggttt actctgtgta ctgtgaaagt 3240 attttcatat tttttctgtg tgccagagtg aaaaaggaca gcttctgagt gtggtaattg 3300 tgcctctagc acccagcctt tcaaagccca cctgaaacct gggggtggat gaaagaacta 3360 gaatagaaga ctgaagctgg gtaggccgct cagtgtccac tggcattttg ctaaaccgac 3420 aaggaaggct gtgtgcttag ctctccccag agggagggcg agaagggtgt ggtgatggtc 3480 aatctggctg tcggaacaga ttctggtgtc ttgggctgat aacagtgttg ttgattctga 3540 ttgtgaatcc cctcaactct agcagacaca tacacacccc tgaaatgggg ctgcagagca 3600 ggctgtctca gccttgccac tgtcggcatc tcggcctggg taattctgtt gtggggactg 3660 tcctgttcct tgtaggatgt ttagtagcat ccctgccccc acctactaga tgccaggggc 3720 actgttctcc ccagcccccc gccccagttg tgacaatagt ctctaaacat tgtcaaatgg 3780 tccaaggaaa ggggaaaatt gccccggttg agaagagcac tgctgtaaag taatgagcct 3840 cggctctcct gtctgcacct gtccggttac tacttggcca ccacgcagcc ttggctccta 3900 cagcccaaaa gggagaatgg agggaggctc caggctttgc tggaggggcc tgggtgagtt 3960 ctgtttgctc cttgtaccac catccaaatg gtgttatcaa atctcttaga ttccaaagag 4020 gttgaataat taatgttcaa aggcaagagg gcaaggcatt ttttaacact ttttaaaata 4080 aaaatttata ccacaa 4096 <210> 2 <211> 67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 Met Gln Pro Asp Met Ser Leu Asn Val Ile Lys Met Lys Ser Ser Asp 1 5 10 15 Phe Leu Glu Ser Ala Glu Leu Asp Ser Gly Gly Phe Gly Lys Val Ser 20 25 30 Leu Cys Phe His Arg Thr Gln Gly Leu Met Ile Met Lys Thr Val Tyr 35 40 45 Lys Gly Pro Asn Cys Ile Glu His Asn Glu Ala Leu Leu Glu Glu Ala 50 55 60 Lys Met Met Asn Arg Leu Arg His Ser Arg Val Val Lys Leu Leu Gly 65 70 75 80 Val Ile Ile Glu Glu Gly Lys Tyr Ser Leu Val Met Glu Tyr Met Glu 85 90 95 Lys Gly Asn Leu Met His Val Leu Lys Ala Glu Met Ser Thr Pro Leu 100 105 110 Ser Val Lys Gly Arg Ile Ile Leu Glu Ile Ile Glu Gly Met Cys Tyr 115 120 125 Leu His Gly Lys Gly Val Ile His Lys Asp Leu Lys Pro Glu Asn Ile 130 135 140 Leu Val Asp Asn Asp Phe His Ile Lys Ile Ala Asp Leu Gly Leu Ala 145 150 155 160 Ser Phe Lys Met Trp Ser Lys Leu Asn Asn Glu Glu His Asn Glu Leu 165 170 175 Arg Glu Val Asp Gly Thr Ala Lys Lys Asn Gly Gly Thr Leu Tyr Tyr 180 185 190 Met Ala Pro Glu His Leu Asn Asp Val Asn Ala Lys Pro Thr Glu Lys 195 200 205 Ser Asp Val Tyr Ser Phe Ala Val Val Leu Trp Ala Ile Phe Ala Asn 210 215 220 Lys Glu Pro Tyr Glu Asn Ala Ile Cys Glu Gln Gln Leu Ile Met Cys 225 230 235 240 Ile Lys Ser Gly Asn Arg Pro Asp Val Asp Asp Ile Thr Glu Tyr Cys 245 250 255 Pro Arg Glu Ile Ile Ser Leu Met Lys Leu Cys Trp Glu Ala Asn Pro 260 265 270 Glu Ala Arg Pro Thr Phe Pro Gly Ile Glu Glu Lys Phe Arg Pro Phe 275 280 285 Tyr Leu Ser Gln Leu Glu Glu Ser Val Glu Glu Asp Val Lys Ser Leu 290 295 300 Lys Lys Glu Tyr Ser Asn Glu Asn Ala Val Val Lys Arg Met Gln Ser 305 310 315 320 Leu Gln Leu Asp Cys Val Ala Val Pro Ser Ser Arg Ser Asn Ser Ala 325 330 335 Thr Glu Gln Pro Gly Ser Leu His Ser Ser Gln Gly Leu Gly Met Gly 340 345 350 Pro Val Glu Glu Ser Trp Phe Ala Pro Ser Leu Glu His Pro Gln Glu 355 360 365 Glu Asn Glu Pro Ser Leu Gln Ser Lys Leu Gln Asp Glu Ala Asn Tyr 370 375 380 His Leu Tyr Gly Ser Arg Met Asp Arg Gln Thr Lys Gln Gln Pro Arg 385 390 395 400 Gln Asn Val Ala Tyr Asn Arg Glu Glu Glu Arg Arg Arg Arg Val Ser 405 410 415 His Asp Pro Phe Ala Gln Gln Arg Pro Tyr Glu Asn Phe Gln Asn Thr 420 425 430 Glu Gly Lys Gly Thr Ala Tyr Ser Ser Ala Ala Ser His Gly Asn Ala 435 440 445 Val His Gln Pro Ser Gly Leu Thr Ser Gln Pro Gln Val Leu Tyr Gln 450 455 460 Asn Asn Gly Leu Tyr Ser Ser His Gly Phe Gly Thr Arg Pro Leu Asp 465 470 475 480 Pro Gly Thr Ala Gly Pro Arg Val Trp Tyr Arg Pro Ile Pro Ser His 485 490 495 Met Pro Ser Leu His Asn Ile Pro Val Pro Glu Thr Asn Tyr Leu Gly 500 505 510 Asn Thr Pro Thr Met Pro Phe Ser Ser Leu Pro Pro Thr Asp Glu Ser 515 520 525 Ile Lys Tyr Thr Ile Tyr Asn Ser Thr Gly Ile Gln Ile Gly Ala Tyr 530 535 540 Asn Tyr Met Glu Ile Gly Gly Thr Ser Ser Ser Leu Leu Asp Ser Thr 545 550 555 560 Asn Thr Asn Phe Lys Glu Glu Pro Ala Ala Lys Tyr Gln Ala Ile Phe 565 570 575 Asp Asn Thr Thr Ser Leu Thr Asp Lys His Leu Asp Pro Ile Arg Glu 580 585 590 Asn Leu Gly Lys His Trp Lys Asn Cys Ala Arg Lys Leu Gly Phe Thr 595 600 605 Gln Ser Gln Ile Asp Glu Ile Asp His Asp Tyr Glu Arg Asp Gly Leu 610 615 620 Lys Glu Lys Val Tyr Gln Met Leu Gln Lys Trp Val Met Arg Glu Gly 625 630 635 640 Ile Lys Gly Ala Thr Val Gly Lys Leu Ala Gln Ala Leu His Gln Cys 645 650 655 Ser Arg Ile Asp Leu Leu Ser Ser Leu Ile Tyr Val Ser Gln Asn 660 665 670 <210> 3 <211> 4016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3 gcgggactgt agaggcgcct ataagggaag ttgttcagtc aactcggaaa aagggtaaca 60 acccggaaag tagactcacc gtcttggtct agagactgac ccctgcacag acagacccct 120 tcccctctct gcgaaaggac caagccccag aagtcactcc atctcctacg gctcgcaatt 180 tccagaggcc ccctggcacc ttccagcctg atgtcgtgcg tcaagttatg gtgagtaggg 240 agtggcatgt cgatcgcagc ctccgacatt cacacccaga gagccccaca gactcgctca 300 gagaacgtct ttgagtccgg ggacggtggg ggccggcgag ggaggctggg gattgcagtg 360 agaacgccga gtcacagggg cgcggggagc agcgctgagg cacggcacgg ccggctagtg 420 ggcgacaccc ctctctcagg cccagcggtg cccccgcccc cttggtgtcc atcgaggaac 480 tggagaacca ggagctcgtc ggcaaaggcg ggttcggcac agtgttccgg gcgcaacata 540 ggaagtgggg ctacgatgtg gcggtcaaga tcgtaaactc gtgagtgacc ccggttgacc 600 ccagccgcaa tctggccaaa aaggtggagc cactgtgctc tggggcctga atggcgaagg 660 gagggatttt cccacgaccc cggtgcgact ccagctctct cctggagtgt aggaaggcga 720 tatccaggga ggtcaaggcc atggcaagtc tggataacga attcgtgctg cgcctagaag 780 gggttatcga gaaggtgaac tgggaccaag atcccaagcc ggctctggtg actaaattca 840 tggagaacgg ctccttgtcg gggctgctgc agtcccagtg ccctcggccc tggccgctcc 900 tttgccgcct gctgaaagaa gtggtgcttg ggatgtttta cctgcacgac cagaacccgg 960 tgctcctgca ccgggacctc aagccatcca acgtcctgct ggacccagag ctgcacgtca 1020 aggtcagctg gtctacaccc ctctcagcct caagacaagg ccccagagct gctctagcca 1080 ggcccgccgg acactagacc tccagagccc tgtctattga ataggcgtag cctctctctc 1140 tggacacagg gctgccaggg gacaaagccc agccaggagt tttagctcct gcctaccagg 1200 tgatagaggc cctgagccac acgagtcatt tccaccagct gccccaccag cccctccaaa 1260 gagtcatggc tgacccagcc ctggagactc agaccttgac ctagccctac cacaaggcac 1320 ctagatctac catccaaggg aacctcttcc cttgacctcc acactccctt tacaaagctg 1380 aacctgcacc ttctgggggc aggggggttc ctggaggctc tctggccccc ttgtcttccc 1440 tacctcccac ttctttcctt cctttgcagc tggcagattt tggcctgtcc acatttcagg 1500 gaggctcaca gtcagggaca gggtccgggg agccaggggg caccctgggc tacttggccc 1560 cagaactgtt tgttaacgta aaccggaagg cctccacagc cagtgacgtc tacaggtaag 1620 gatcccggcc caaacacaca gccaggattc ctacacttct ctgggccctc ccaggggatg 1680 atgtatagga aaggagtctt gccagtgatt ggaccgatcc tcagctttgt gtctcctgca 1740 gcttcgggat cctaatgtgg gcagtgcttg ctggaagaga agttgagtgt aagactctag 1800 gaggattctg ggatccttaa ccccaggtgc ccttctcttg aaagccccaa ggcttcccct 1860 tcccgctcac ctacttagac tgccctcctc cctcctcgtg cccccacatt acactccctg 1920 cctctttcca tgatgaagca gataattccc ttttaccctg aatgccttct cttctcaccc 1980 tcctccccta ctccagtgcc aaccgaacca tcactcgtgt acgaagcagt gtgcaacagg 2040 cagaaccggc cttcattggc tgagctgccc caagccgggc ctgagactcc cggcttagaa 2100 ggactgaagg agctaatgca gctctgctgg agcagtgagc ccaaggacag accctccttc 2160 cagggtgagc tggccagtta gctggatcta ggataagctt gggtctgtca gcagggggct 2220 tttctcagga aaagaagatt tgctcacctg cactccactc tgctgtccct ctagaatgcc 2280 taccaaaaac tgatgaagtc ttccagatgg tggagaacaa tatgaatgct gctgtctcca 2340 cggtgagtgc caacatcacc cctccccagg agctggtcag ggatggcaca gcgtggctac 2400 ctggccatcc aatgactcac cactgaccac tgctttttat gcgttgacct ttgtacccac 2460 cgtccccagc ccacccctga gttcccagac aacagattat ggaccgagag actactccct 2520 tgggtttact ctggctcatc caagtcatac ccagcaaact cctcccatcc ctgcaggtaa 2580 aggatttcct gtctcagctc aggagcagca ataggagatt ttctatccca gagtcaggcc 2640 aaggagggac agaaatggat ggctttagga gaaccataga aaaccagcac tctcgtaatg 2700 atgtcatggt ttctgagtgg ctaaacaaac tgaatctaga ggagcctccc agctctgttc 2760 ctaaaaaatg cccgagcctt accaagagga gcagggcaca agaggagcag gttccacaag 2820 cctggacagc aggcacatct tcagattcga tggcccaacc tccccagact ccagagacct 2880 caactttcag aaaccagatg cccagcccta cctcaactgg aacaccaagt cctggacccc 2940 gagggaatca ggtgagacat tgacaggatt aggggatgca ctaagagtcc tataaatgct 3000 gtccccttgc cagtgaaaac ttggggctga gaggagtgca gtgggagtgc caggctccag 3060 ggcagaactg gatgctctgt gctgtttgca gggggctgag agacaaggca tgaactggtc 3120 ctgcaggacc ccggagccaa atccagtaac aggtacccat tctctacctc tttcttttcc 3180 ctgttcaatt cttccaccag actcctcctc cagacctata tctagattca gggtactttg 3240 tggaggggag gggagaagat gatctaactc aaccttctca tttcataaat gggaaaaccg 3300 acaccccctg agaaaggagc cctctgaggt cacacaacaa agcttggatt tgtccctgaa 3360 tcttctaact ttccacaaca ccagctctgt gagcccccta agttccattg tttcagcagt 3420 ccagaggacc tcccagcaaa aaagatcagg gtctcaaatg tcaattgcca ctctctagag 3480 cttctgctaa cacaattctg gagaggagct ctgaggggag gagcacaggg cacaccttga 3540 cacagccact gacaagtaga gacttcatac tccccaccca cccccaactt ggcctttctg 3600 acagctaaac cctcctgcca ccatcactat ttctcttaaa gggcgaccgc tcgttaacat 3660 atacaactgc tctggggtgc aagttggaga caacaactac ttgactatgc aacagacaac 3720 tgccttgccc acatggggct tggcaccttc gggcaagggg aggggcttgc agcacccccc 3780 accagtaggt tcgcaagaag gccctaaaga tcctgaagcc tggagcaggc cacagggttg 3840 gtataatcat agcgggaaat aaagcacctt ccaagcttgc ctccaagagt tacgagttaa 3900 ggaagagtgc caccccttga ggcccctgac ttccttctag ggcagtctgg cctgcccaca 3960 aactgacttt gtgacctgtc ccccaggagt caataaacat gatggaatgc tagtca 4016 <210> 4 <211> 518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 Met Ser Cys Val Lys Leu Trp Pro Ser Gly Ala Pro Ala Pro Leu Val 1 5 10 15 Ser Ile Glu Glu Leu Glu Asn Gln Glu Leu Val Gly Lys Gly Gly Phe 20 25 30 Gly Thr Val Phe Arg Ala Gln His Arg Lys Trp Gly Tyr Asp Val Ala 35 40 45 Val Lys Ile Val Asn Ser Lys Ala Ile Ser Arg Glu Val Lys Ala Met 50 55 60 Ala Ser Leu Asp Asn Glu Phe Val Leu Arg Leu Glu Gly Val Ile Glu 65 70 75 80 Lys Val Asn Trp Asp Gln Asp Pro Lys Pro Ala Leu Val Thr Lys Phe 85 90 95 Met Glu Asn Gly Ser Leu Ser Gly Leu Leu Gln Ser Gln Cys Pro Arg 100 105 110 Pro Trp Pro Leu Leu Cys Arg Leu Leu Lys Glu Val Val Leu Gly Met 115 120 125 Phe Tyr Leu His Asp Gln Asn Pro Val Leu Leu His Arg Asp Leu Lys 130 135 140 Pro Ser Asn Val Leu Leu Asp Pro Glu Leu His Val Lys Leu Ala Asp 145 150 155 160 Phe Gly Leu Ser Thr Phe Gln Gly Gly Ser Gln Ser Gly Thr Gly Ser 165 170 175 Gly Glu Pro Gly Gly Thr Leu Gly Tyr Leu Ala Pro Glu Leu Phe Val 180 185 190 Asn Val Asn Arg Lys Ala Ser Thr Ala Ser Asp Val Tyr Ser Phe Gly 195 200 205 Ile Leu Met Trp Ala Val Leu Ala Gly Arg Glu Val Glu Leu Pro Thr 210 215 220 Glu Pro Ser Leu Val Tyr Glu Ala Val Cys Asn Arg Gln Asn Arg Pro 225 230 235 240 Ser Leu Ala Glu Leu Pro Gln Ala Gly Pro Glu Thr Pro Gly Leu Glu 245 250 255 Gly Leu Lys Glu Leu Met Gln Leu Cys Trp Ser Ser Glu Pro Lys Asp 260 265 270 Arg Pro Ser Phe Gln Glu Cys Leu Pro Lys Thr Asp Glu Val Phe Gln 275 280 285 Met Val Glu Asn Asn Met Asn Ala Ala Val Ser Thr Val Lys Asp Phe 290 295 300 Leu Ser Gln Leu Arg Ser Ser Asn Arg Arg Phe Ser Ile Pro Glu Ser 305 310 315 320 Gly Gln Gly Gly Thr Glu Met Asp Gly Phe Arg Arg Thr Ile Glu Asn 325 330 335 Gln His Ser Arg Asn Asp Val Met Val Ser Glu Trp Leu Asn Lys Leu 340 345 350 Asn Leu Glu Glu Pro Pro Ser Ser Val Pro Lys Lys Cys Pro Ser Leu 355 360 365 Thr Lys Arg Ser Arg Ala Gln Glu Glu Gln Val Pro Gln Ala Trp Thr 370 375 380 Ala Gly Thr Ser Ser Asp Ser Met Ala Gln Pro Pro Gln Thr Pro Glu 385 390 395 400 Thr Ser Thr Phe Arg Asn Gln Met Pro Ser Pro Thr Ser Thr Gly Thr 405 410 415 Pro Ser Pro Gly Pro Arg Gly Asn Gln Gly Ala Glu Arg Gln Gly Met 420 425 430 Asn Trp Ser Cys Arg Thr Pro Glu Pro Asn Pro Val Thr Gly Arg Pro 435 440 445 Leu Val Asn Ile Tyr Asn Cys Ser Gly Val Gln Val Gly Asp Asn Asn 450 455 460 Tyr Leu Thr Met Gln Gln Thr Thr Ala Leu Pro Thr Trp Gly Leu Ala 465 470 475 480 Pro Ser Gly Lys Gly Arg Gly Leu Gln His Pro Pro Pro Val Gly Ser 485 490 495 Gln Glu Gly Pro Lys Asp Pro Glu Ala Trp Ser Arg Pro Gln Gly Trp 500 505 510 Tyr Asn His Ser Gly Lys 515

Claims (22)

  1. RIPK 1(receptor interacting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1)의 억제제인 Necrostatin 1 및 Necrostatin 1s; 및 RIPK3 억제제인 GSK'872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류머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IPK1은 서열번호 1의 핵산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IPK1의 단백질은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IPK3은 서열번호 3의 핵산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IPK3의 단백질은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60086199A 2015-07-07 2016-07-07 Ripk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8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322 2015-07-07
KR20150096322 2015-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289A KR20170006289A (ko) 2017-01-17
KR101858346B1 true KR101858346B1 (ko) 2018-05-16

Family

ID=5794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199A KR101858346B1 (ko) 2015-07-07 2016-07-07 Ripk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8346B1 (ko)
WO (1) WO201702296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870A1 (ko) 2019-10-17 2021-04-22 주식회사 스템모어 Rip 키나아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10045916A (ko) 2019-10-17 2021-04-27 주식회사 스템모어 Rip 키나아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20036668A (ko) * 2020-09-16 2022-03-2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퇴행성 관절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1504B (zh) 2016-02-05 2022-03-08 戴纳立制药公司 受体相互作用蛋白激酶1的抑制剂
DK3552017T3 (da) 2016-12-09 2022-05-16 Denali Therapeutics Inc Forbindelser, der er anvendelige som ripk1-inhibitorer
WO2019014663A1 (en) * 2017-07-14 2019-01-17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MODULATION OF BIOMARKERS TO INCREASE ANTI-TUMOR IMMUNITY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ANCER IMMUNOTHERAPY
KR20190073917A (ko) * 2017-12-19 2019-06-2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터류킨-17 억제제 및 종양괴사인자-알파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중구성 폐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85987B1 (ko) * 2019-01-04 2020-12-0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Ripk3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증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CN111053907A (zh) * 2019-12-31 2020-04-24 厦门大学 Setdb1基因作为靶点在治疗炎症性肠病中的应用
CN113876778B (zh) * 2021-11-05 2023-04-14 中日友好医院(中日友好临床医学研究所) Kw2449在制备改善类风湿性关节炎药物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41422A1 (en) 2000-01-19 2001-07-31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A novel steroid hormone receptor interacting protein kinas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eng M, et al. J Steroid Biochem Mol Biol. 2014 Oct; Vol.144 (2014.09.09. 공개)*
Pavlosky A, et al. Am J Transplant. 2014 Aug; Vol.14(8): pp.1778-90. (2014.07.01. 공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870A1 (ko) 2019-10-17 2021-04-22 주식회사 스템모어 Rip 키나아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10045916A (ko) 2019-10-17 2021-04-27 주식회사 스템모어 Rip 키나아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20036668A (ko) * 2020-09-16 2022-03-2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퇴행성 관절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KR102392587B1 (ko) 2020-09-16 2022-04-2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퇴행성 관절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289A (ko) 2017-01-17
WO2017022962A1 (ko) 2017-02-09
WO2017022962A8 (ko) 201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346B1 (ko) Ripk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1018934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monocyte and macrophage inflammatory phenotypes and immunotherapy uses thereof
EP1923463B1 (en) Cancer-rejection antigen peptide derived from glypican-3 (gpc3) for use in hla-a2-positive patient and pharmaceutical comprising the antigen
JP5767733B2 (ja) ブラキュリポリペプチドおよび使用方法
JP2003509340A (ja) 変性疾患、神経疾患、自己免疫疾患に付随する病的状態を検出、予防又は治療するための、ポリペプチドの使用
US20170059556A1 (en) Therapies for Cancer Using RLIP76
KR20080059449A (ko) 치료용 약제
CN113286604B (zh) 治疗炎症性疾病的蛋白质
WO2019051164A1 (en) ANTIBODIES AGAINST PROTEIN 1 OF PROGRAMMED CELL DEATH
JP6750018B2 (ja) 白血病治療用抗s100a8
WO2007125210A2 (fr) Utilisation de ligands synthetiques multivalents de la nucleoline de surface pour le traitement du cancer ou de l&#39;inflammation
WO2005084708A1 (ja) Cxcr3阻害剤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CN102348796B (zh) 新型癌抗原eEF2
JP2002543153A (ja) 抗炎症及び抗腫瘍の治療に用いる細胞機能抑制方法
US11628206B2 (en) Method for inhibiting STAT3 activity comprising administering Ssu72
Grötsch et al. Fra1 controls rheumatoid factor autoantibody production by bone marrow plasma cells and the development of autoimmune bone loss
CN109475549B (zh) 药物组合物及其治疗自身免疫疾病的用途
US11629186B2 (en) Anti-CCL8 antibodies and uses thereof
CN115843249A (zh) 与脱氧尿苷三磷酸酶抑制剂联合治疗
KR20220042944A (ko) 종양미세환경을 이용한 뇌종양 치료 또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US20200024347A1 (en) Or10h1 antigen binding proteins and uses thereof
RU2811918C2 (ru)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раковых заболеваний и опухолей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нгибиторов pde1
KR101127566B1 (ko) transgelin 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암세포의화합물 또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진하는 방법
CN108969762B (zh) IgD-Fc-Ig融合蛋白用于制备治疗类风湿关节炎药物的应用
US20040142891A1 (en) Genes involved in immune related responses observed with asth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