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049B1 -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및 이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및 이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049B1
KR101858049B1 KR1020160103050A KR20160103050A KR101858049B1 KR 101858049 B1 KR101858049 B1 KR 101858049B1 KR 1020160103050 A KR1020160103050 A KR 1020160103050A KR 20160103050 A KR20160103050 A KR 20160103050A KR 101858049 B1 KR101858049 B1 KR 101858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ball
area
image
baseball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8096A (ko
Inventor
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프존뉴딘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프존뉴딘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프존뉴딘홀딩스
Priority to KR1020160103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049B1/ko
Priority to US16/322,501 priority patent/US11040287B2/en
Priority to PCT/KR2017/007573 priority patent/WO2018030656A1/ko
Priority to TW106126853A priority patent/TWI658855B/zh
Publication of KR20180018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7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a large display in a public venue, e.g. in a movie theatre, stadium or game aren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6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on-screen location information, e.g. screen coordinates of an area at which the player is aiming with a light gu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for prompting the player, e.g. by displaying a game menu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63F13/5375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for graphically or textually suggesting an action, e.g. by displaying an arrow indicating a turn in a driving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2Ball games, e.g. soccer 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A63F7/0604Type of ball game
    • A63F7/0608Baseba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63B2024/0034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during f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53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for locating an object, e.g. a lost 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p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63D visua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7Phot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48Infrared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21Sports video; Sports image
    • G06T2207/30224Ball; Pu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1Trajecto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 Y10S482/902Employing specific graphic or video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에 투영되는 가상 야구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영상 상의 가상의 선수와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스크린을 향하여 볼을 투구할 때의 제구에 따라 영상 상의 가상의 타자를 땅볼 아웃이나 플라이 아웃을 시키도록 유도할 수도 있고 상기 사용자의 실투에 따라 상기 가상의 타자가 안타나 홈런을 칠 수도 있는 등의 투수와 타자 간의 흥미진진한 신경전을 야구 게임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및 이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및 이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APPARATUS FOR VIRTUAL BASE-BALL GAME BY EXPERIENCE AND CONTROL METHOD OF VIRTUAL BASE-BALL GAME BY THE SAME}
본 발명은 소정 크기의 실내 공간에서 스크린에 투영되는 가상 야구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마운드에서 상기 스크린을 향하여 볼을 피칭하고 이를 센서가 센싱하여 그 센싱 결과에 따른 시뮬레이션 영상을 구현하는 소위 스크린 야구 시스템과 같은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및 이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야구 인구가 증가하면서, 넓은 야구 경기장에서 실제 야구 플레이를 하기 어려운 한계를 극복하고 좁은 실내 공간에서도 야구 경기의 현장감을 느끼면서 가상으로 야구 플레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소위 스크린 야구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
통상적으로 스크린 야구 시스템은 실내에 소정 크기의 공간에서 사용자가 타자가 되어 피칭머신에서 투구되는 볼을 타격할 수 있는 타석을 마련하거나 사용자가 투수가 되어 볼을 피칭할 수 있는 마운드를 마련하고, 가상의 야구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스크린을 설치하며, 상기 사용자가 타석에서 볼을 타격하거나 마운드에서 상기 스크린을 향하여 볼을 피칭하면, 센서가 그 타격된 볼 또는 피칭된 볼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그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야구 게임 진행을 위한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10-0088109호, 제10-2014-0032569호, 제10-2015-0041844호, 한국특허출원 제10-2015-0041861호, 한국특허출원 제10-2014-0054105호 등 다수의 선행기술문헌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에 개시되어 있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등의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서 사용자가 투수의 입장이 되어 투구를 연습하거나 사용자가 투구를 하면서 진행하는 방식의 야구 게임을 제공하는 기술들은,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스트라이크존 안으로 들어가는지 여부나 스트라이크존 안의 어느 위치로 들어가는지 등에 대해 안내만 해줄 뿐이므로, 야구 경기에 있어서 투수가 타자에 대해 땅볼이나 플라이 아웃을 유도한다거나 투수의 실투에 의해 타자가 안타나 홈런을 치는 등의 투수와 타자 간의 흥미진진한 신경전을 야구 게임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스크린에 투영되는 가상 야구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영상 상의 가상의 선수와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스크린을 향하여 볼을 투구할 때의 제구에 따라 영상 상의 가상의 타자를 땅볼 아웃이나 플라이 아웃을 시키도록 유도할 수도 있고 상기 사용자의 실투에 따라 상기 가상의 타자가 안타나 홈런을 칠 수도 있는 등의 투수와 타자 간의 흥미진진한 신경전을 야구 게임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및 이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에 투영되는 가상 야구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영상 상의 가상의 선수와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은, 가상의 타자 및 가상의 포수를 포함하는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위한 영상을 구현하며, 영상 상에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을 갖는 스트라이크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유도 영역으로 특정하여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크린을 향하여 볼을 투구함에 따라 상기 투구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영역에 도달하는지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유도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 영역으로 특정하여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에서 미리 설정된 개수 범위 내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개수로 랜덤하게 선택된 영역을 상기 유도 영역으로서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 영역으로 특정하여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는, 가상의 선수들 각각에 대한 타격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한 타격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타격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특정하여 상기 유도 영역으로서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 야구 게임 장치는 상기 유도 영역으로서,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도달했을 때 상기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헛스윙 유도 영역과,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도달했을 때 상기 가상의 타자가 땅볼 아웃 또는 플라이 아웃되도록 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아웃 유도 영역 중 적어도 한 가지에 대해 미리 설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도 영역으로 특정하여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유도 영역에 대해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의 일부 영역에 상기 헛스윙 유도 영역 및 아웃 유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유도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에 의한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것에 대해 미리 설정된 확률 또는 가상의 선수들 각각에 대한 타격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한 타격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된 확률에 따라 상기 가상의 타자에 의한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는 게임 내 플레이 가능한 가상의 선수 각각에 대해 타격 능력치를 미리 설정하며, 상기 유도 영역으로 특정하여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타격 능력치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에 표시할 유도 영역의 개수 및 유도 영역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는 게임 내 플레이 가능한 가상의 선수 각각에 대해 타격 능력치를 미리 설정하며, 상기 유도 영역으로 특정하여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유도 영역이 특정되어 표시됨에 따라 상기 유도 영역에 상기 사용자의 투구된 볼이 도달하였을 때 상기 가상의 타자에 의한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것에 대한 확률을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능력치에 따라 산출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유도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유도 영역에 대해 설정된 확률에 따라 상기 가상의 타자에 의한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에서 상기 유도 영역이 아닌 영역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볼의 도달에 따라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해 스트라이크 판정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에서 상기 볼이 도달한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서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투구에 따라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위험 영역에 도달하는 것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여 파울,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에 투영되는 가상 야구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영상 상의 가상의 선수와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은, 가상의 타자 및 가상의 포수를 포함하는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위한 영상을 구현하며, 영상 상에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을 갖는 스트라이크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크린을 향하여 볼을 투구함에 따라 상기 투구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영역에 도달하는지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스크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하나의 영역에 도달한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해 스트라이크 판정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도달한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서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위험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여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험 영역으로서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트라이크존 내의 특정 영역이 상기 위험 영역으로 표시됨에 따라, 상기 위험 영역에 대해 상기 가상의 타자가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할 확률을 미리 설정된 수치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여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다음 투구에 따라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에 표시된 상기 위험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수치에 따른 확률로 상기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것도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위험 영역에 대해 상기 가상의 타자가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할 확률로서 이전에 설정된 수치보다 더 높은 수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는 게임 내 플레이 가능한 가상의 선수 각각에 대해 타격 능력치를 미리 설정하며, 상기 위험 영역으로서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트라이크존 내의 특정 영역이 상기 위험 영역으로 표시됨에 따라, 상기 위험 영역에 대해 상기 가상의 타자에 의한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할 확률을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능력치에 따라 산출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상기 유도 영역이 특정되어 표시됨에 따라 상기 유도 영역에 상기 사용자의 투구된 볼이 도달하였을 때 상기 가상의 타자에 의한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것에 대한 확률을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능력치에 따라 산출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여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다음 투구에 따라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에 표시된 상기 위험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위험 영역에 대해 설정된 확률에 따라 상기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에 투영되는 가상 야구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영상 상의 가상의 선수와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는, 가상의 타자 및 가상의 포수를 포함하는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위한 영상을 구현하고,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을 갖는 스트라이크존을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가 볼을 투구함에 따라 상기 가상의 타자가 액션을 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구현부;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영역에 도달하는지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하는 경우 스트라이크로 판정하고,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유도 영역으로 특정하여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유도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도 영역으로서,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도달했을 때 상기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헛스윙 유도 영역과,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도달했을 때 상기 가상의 타자가 땅볼 아웃 또는 플라이 아웃되도록 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아웃 유도 영역 중 적어도 한 가지에 대해 미리 설정하고 그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의 일부 영역에 상기 헛스윙 유도 영역 및 아웃 유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의 타자에 의한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 확률을 미리 설정하거나 가상의 선수들 각각에 대한 타격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한 타격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확률을 결정하여,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유도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미리 설정된 확률 또는 결정된 확률에 따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하는 경우 해당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서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며, 그 이후에 상기 사용자의 투구에 따라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위험 영역에 도달하는 것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여 파울,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에 투영되는 가상 야구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영상 상의 가상의 선수와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는, 가상의 타자 및 가상의 포수를 포함하는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위한 영상을 구현하고,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을 갖는 스트라이크존을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가 볼을 투구함에 따라 상기 가상의 타자가 액션을 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구현부;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영역에 도달하는지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하는 경우 스트라이크로 판정하고,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도달한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서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위험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여 파울,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의 타자에 의한 파울, 안타 및 홈런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 확률을 미리 설정하거나 가상의 선수들 각각에 대한 타격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한 타격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확률을 결정하여,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위험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파울,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미리 설정된 확률 또는 결정된 확률에 따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및 이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스크린을 향하여 볼을 투구할 때 영상 상에 표시되는 스트라이크존에 유도 영역이나 위험 영역이 적절히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투구하는 사용자의 제구에 따라 영상 상의 가상의 타자를 땅볼 아웃이나 플라이 아웃을 시키도록 유도할 수도 있고 상기 사용자의 실투에 따라 상기 가상의 타자가 안타나 홈런을 칠 수도 있는 등의 투수와 타자 간의 흥미진진한 신경전을 상기 사용자가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의 일 예로서 소위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의 구성에 관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에 관하여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야구 게임 장치의 스크린 상에 투영되는 영상의 일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와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에 관하여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야구 게임 장치의 스크린 상에 투영되는 영상의 일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서 위험 영역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영상 상의 스트라이크존이 사용자의 투구 차례에 따라 변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및 이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의 일 예로서 소위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관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의 구성에 관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는 측벽(11)과 후벽(12) 등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마운드(30)와 스크린(20)을 마련하여, 상기 마운드(30)에서 사용자(P1)가 볼(1)을 피칭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스크린(20)과 후벽(12) 사이의 공간부(SP)에는 상기 스크린(20) 상에 투영될 야구장 영상, 가상의 팀의 공격 등에 관한 영상 및 사용자가 투구 또는 송구한 볼에 대한 시뮬레이션 영상 등에 관한 정보 처리를 위한 제어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제어장치(300)에서 처리된 영상은 영상출력부(420)를 통해 스크린(20)에 투영된다).
도 1에서는 스크린(20)에 투영된 영상(IM) 상에서 가상의 타자(VB)가 사용자(P1)가 피칭하는 볼을 타격할 준비를 하고 있고 가상의 포수(VC)가 사용자(P1)가 피창하는 볼을 캐칭할 준비를 하고 있으며, 가상의 포수(VC) 앞에 스트라이크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스트라이크존(SZ)이 표시된다.
사용자(P1)가 투구한 볼(1)은 센싱부에 의해 센싱되는데, 상기 센싱부의 센싱에 의해 상기 사용자(P1)가 투구한 볼(1)이 상기 스트라이크존(SZ) 상에 도달하게 되는지 상기 스트라이크존(SZ)을 벗어나서 도달하게 되는지 판정할 수 있으며,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사용자(P1)가 투구한 볼(1)이 상기 스트라이크존(SZ) 상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볼카운트에 "스트라이크"가 기록되고 상기 투구된 볼(1)이 상기 스트라이크존(SZ)의 외부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볼카운트에 "볼"이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투구된 볼(1)이 스트라이크존(SZ) 내부에 위치할 때는 당연히 "스트라이크"로 기록이 되는데, 투구된 볼(1)이 스트라이크존(SZ)과 외부의 경계에 위치할 때는 제어부가 이를 스트라이크로 판정할 수도 있고 볼로 판정할 수도 있는데 이는 게임 정책에 따라 어떤 식으로 판정을 할 것인지에 대해 제어부에 미리 프로그램하도록 하여 그 미리 프로그램된 사항에 따라 판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스트라이크존의 경계에 투구된 볼이 도달할 때 스트라이크존에 걸쳐있는 볼의 부분이 더 클 때는 스트라이크로 판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존 상에 도달한다'는 것은,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존 내부에 도달하는 경우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존 내부에 도달하는 경우 및 스트라이크존의 경계에 볼이 도달하는 경우로서 미리 프로그램된 사항에 따른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스트라이크존(SZ)은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을 가지며 그 분할된 영역들 중 일부는 후술할 유도 영역이나 위험 영역으로서 표시되어,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분할된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유도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위험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각각에 있어서 해당 경우에 대한 특정 상황의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야구 게임 장치의 제어계통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게임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장치(300) 및 센싱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200)는 적외선 센서에 의해 매트릭스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지나가는 경로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투구한 볼의 속도와 경로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도록 할 수도 있고, 스크린 뒤쪽에 압력감지센서로서 구현되어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스트라이크존의 어느 부분에 도달하는 경우에 감지되는 압력으로 볼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적외선 센서나 압력감지센서 등은 투구된 볼의 운동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는데 한계가 있으며 스크린에 센서가 설치되는 경우 파손 위험 등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는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게임 장치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투구하는 것에 대한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그 촬영된 이미지들을 분석함으로써 투구된 볼의 운동 정보는 물론, 투구된 볼이 스크린의 영상 상에 표시된 스트라이크존의 어느 부분에 도달하는지 정확하게 센싱하는 카메라 센싱 방식의 센싱장치로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센싱부를 상기한 카메라 센싱 방식의 센싱장치로서 구현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200)는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상의 객체에 대한 센싱을 하는 방식으로서, 마운드(30)를 포함하는 일정 촬영 범위에 대한 이미지를 취득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피칭하는 볼 및 사용자가 송구 영역으로 송구하는 볼에 대한 볼 운동 정보의 산출 및 그 산출된 볼 운동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피칭한 볼 또는 송구한 볼이 스크린에 도달하는 시간과 스크린 도달 위치 등의 정보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싱부(200)는 카메라유닛(210)과, 센싱처리유닛(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카메라유닛(210)은 마운드(30)를 포함하는 일정 촬영 범위에 대한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취득하며, 상기 센싱처리유닛(220)은 상기 카메라유닛(210)으로부터 이미지를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른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게임 장치를 이용한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에 필요한 정보를 산출한다.
상기 센싱부(200)의 카메라유닛(210)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동일한 촬영 범위를 각각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 상의 객체에 대한 3차원 위치 정보를 산출해 낼 수 있도록 제1 카메라(211) 및 제2 카메라(212)를 포함하여 스테레오 방식(Stereoscopic)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센싱처리유닛(220)이 상기 카메라유닛(210)이 촬영한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볼에 대한 3차원 좌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싱처리유닛(220)은 상기 카메라유닛(210)의 제1 카메라(211) 및 제2 카메라(212) 각각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전달받아 수집하면서 그 수집된 이미지 각각을 분석하여 볼을 찾아 각 볼에 대한 3차원 좌표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3차원 좌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칭되어 운동하는 볼 또는 타격되어 운동하는 볼에 대한 볼의 운동 모델을 결정하며, 볼의 운동 모델이 결정되면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를 이용한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볼의 운동 모델은 사용자에 의해 투구되어 운동하는 볼의 3차원 공간 상에서의 궤적에 관한 운동 방정식으로 표현되는 것을 의미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의한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해 x축, y축 및 z축의 3차원 좌표계로 정의하여 그 정의된 좌표계에 따라 상기 볼의 운동 모델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볼의 운동 모델은 x축 방향의 운동 방정식, y축 방향의 운동 방정식 및 z축 방향의 운동 방정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200)가 상기한 볼 운동 정보를 산출하여 이를 제어장치(30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장치(300)는 전송받은 볼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볼 운동에 대한 시뮬레이션 영상을 구현하여 영상출력부(420)를 통해 스크린(20)에 투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저장부(320), 영상구현부(330) 및 제어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저장부(320)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서 이루어지는 야구 시뮬레이션 영상 등의 처리를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부분이며, 예컨대 가상의 타자에 대한 타격 기록 등의 타격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저장부(320)는 서버(미도시)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소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영상구현부(330)는 가상의 야구장에 관한 영상, 선수와 심판, 관객 등에 관한 영상 등의 백그라운드 영상과 가상의 포수, 가상의 타자, 가상의 심판 등이 상기 사용자가 피칭하는 볼을 기다리는 영상, 사용자가 피칭한 볼의 궤적에 대한 시뮬레이션 영상 등 각종 야구 시뮬레이션 관련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한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며, 처리된 영상은 영상출력부(420)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출력부(420)는 전송받은 영상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스크린(20)에 투영한다.
상기 제어부(310)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야구 게임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며 상기 센싱부(200)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볼의 궤적에 대한 시뮬레이션 등 야구 시뮬레이션 영상 구현을 위한 각종 연산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야구 게임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P1)가 마운드(30)에서 볼(1)을 투구하면 이를 센싱부(200)가 센싱하여 산출하는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린(20)에 투영되는 영상(IM) 상의 가상의 포수(VC)에게 들어간다. 이때 영상(IM) 상의 가상의 타자(VB)는 상기 사용자의 피칭된 볼에 기반한 가상의 볼에 대해 스윙을 하거나 볼거르기를 할 수 있고, 스윙을 하여 상기 가상의 볼을 타격할 수도 있고 헛스윙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연습 장치의 제어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피칭된 볼에 기초한 가상의 볼에 대해 가상의 타자(VB)가 타격, 헛스윙, 볼거르기 등을 하는 액션을 하도록 영상 구현을 하는데, 이때 상기 가상의 타자(VB)의 액션이 미리 설정된 AI(Artificial Intelligence: 게임 캐릭터에 대한 인공지능)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에 관하여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비팀을 맡고 이에 대해 가상의 타자가 공격을 하면서 가상 야구 게임이 시작되고, 상기 사용자가 수비하는 팀에 대해 상기 가상의 타자가 공격하는 것에 관한 영상이 구현되도록 제어부가 영상구현부를 제어한다(S10).
예컨대, 수비팀의 가상의 포수가 포구 할 준비를 하고 상대팀의 가상의 타자가 타석에 들어서서 타격 준비를 하는 것에 대한 영상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영상 상에 상기 가상의 포수와 함께 스트라이크존이 표시되도록 하는데, 상기 스트라이크존은 제어부가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스트라이크"인지 "볼"인지 여부의 판정을 위한 것이며, 상기 스트라이크존은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을 갖도록 표시된다(S20). 도 1에 도시된 스트라이크존(SZ)과 같이 9개의 분할된 영역을 갖도록 표시될 수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유도 영역으로 특정하고 영상구현부를 제어하여 영상 상에서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적어도 하나의 분할 영역이 다른 영역들과 구분되도록(예컨대, 색상을 다른 영역들과 다르게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30).
이때 제어부는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유도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에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도록 설정하며, 상기 유도 영역에 볼이 도달할 때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도록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상의 포수, 가상의 타자 및 스트라이크존이 영상 상에 구현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실제 볼을 스크린의 영상 상의 스트라이크존을 보면서 투구를 하면 센싱부가 이를 센싱함으로써 사용자의 투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
그리고 상기 센싱부는 사용자에 의해 투구된 볼이 스크린에 도달하는 위치를 센싱하며(S50),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투구된 볼이 영상 상의 스트라이크존 상에 도달하는지 스트라이크존의 외부에 도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60).
만약 사용자의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존의 외부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는 가상의 타자에 대한 볼카운트에 "볼" 기록이 되도록 한다(S62).
만약 사용자의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존 상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는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투구된 볼의 위치 좌표 정보를 산출하고 이에 따라 상기 투구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유도 영역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70).
만약 상기 사용자의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존 상의 유도 영역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도 영역에 볼이 도달한 경우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가상의 타자에 의한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도록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S80).
만약 상기 사용자의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존 상의 유도 영역이 아닌 다른 분할된 영역에 도달한 경우,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을 하거나 볼거르기를 하고 이에 따라 볼카운트에 "스트라이크" 기록이 된다(S72).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다음 투구부터 상기 볼이 도달했던 영역은 후술할 위험 영역으로 표시되는 등 상기 S72 단계 이후의 단계(A)가 진행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S10 내지 S80 단계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야구 게임 장치의 스크린(20) 상에 투영되는 영상의 일 예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가 스크린(20)을 향하여 투구를 할 때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에서 보이는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를 보면, 상기한 도 3의 S10, S20 및 S30 단계에 따라 가상의 타자(VB)가 공격하고 가상의 포수(VC)가 포구하는 영상 상에 스트라이크존(SZ)이 표시되는 것에 대해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스트라이크존(SZ)은 R1 영역부터 R9 영역까지 9개로 분할된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야구 게임 장치의 제어부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크존(SZ)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R1 ~ R9) 중 R3 영역과 R8 영역을 유도 영역(102)으로 지정하여 다른 영역들(R1, R2, R4, R5, R6, R7 및 R9)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색상 이외에도, 예컨대 깜빡거리도록 하거 그라데이션 변화 등으로 다른 영역과 구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는 스트라이크존의 분할 영역이 9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둘 이상으로 분할되는 경우라면 어떠한 경우이든 적용할 수 있다.
스크린을 향하여 볼을 투구하여야 하는 사용자로서는 유도 영역인 R3 영역과 R8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겨냥하여 볼을 투구하여 가상의 타자(VB)가 헛스윙을 하게 하거나, 땅볼 아웃 또는 플라이 아웃이 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야구 게임 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유도 영역인 R3 영역이나 R8 영역으로 볼을 제구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투구를 함에 있어서 실제 타자를 헛스윙, 땅볼 아웃 또는 플라이 아웃으로 유도하게 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볼의 제구에 대한 재미와 볼의 제구가 성공했을 때 실제 야구 경기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상의 타자를 헛스윙, 땅볼 아웃, 플라이 아웃 등으로 유도하게 하는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스트라이크존(SZ)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R1 ~ R9) 중에서 몇 개를 유도 영역으로 특정할 것인지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어느 영역을 유도 영역으로 특정할 것인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상기 유도 영역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개수 범위 내에서 랜덤하게 개수를 결정할 수 있고,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R1 ~ R9) 중에서 유도 영역의 위치를 랜덤하게 결정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현재 타격 준비를 하고 있는 가상의 타자에 대한 타격 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에서 유도 영역의 위치를 특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현재 타석에 들어선 가상의 타자의 타격 기록 등의 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가운데 낮은 볼에 대해 땅볼 아웃 기록이 많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R1 ~ R9의 분할된 영역 중 가운데 낮은 위치인 R8 영역을 유도 영역으로 특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도 영역의 개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랜덤하게 결정할 수도 있고 그 개수를 고정적으로 미리 설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유도 영역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이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하거나, 타격하여 땅볼 아웃이 되거나, 타격하여 플라이 아웃이 되는 각각의 경우에 대해 발생할 확률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하나 또는 두 가지만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상기 유도 영역에 대해 땅볼 아웃 확률 60%, 플라이 아웃 확률 40% 등으로 그 발생 확률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0%의 확률이나 100%의 확률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발생 확률을 유도 영역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스트라이크존에서 유도 영역이 낮은 위치일수록 땅볼 아웃이 발생할 확률이 증가하도록 설정하고 유도 영역이 놓은 위치일수록 플라이 아웃이 발생할 확률이 증가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4의 (a)에 도시된 스트라이크존(SZ)에서 가장 높은 위치인 R1 ~ R3 영역에 유도 영역이 특정되는 경우, 플라이 아웃 발생 확률이 50%, 땅볼 아웃 발생 확률이 30%, 헛스윙 발생 확률이 20%로 미리 설정되고, 가장 낮은 위치인 R7 ~ R9 영역에 유도 영역이 특정되는 경우, 땅볼 아웃 발생 확률이 70%, 플라이 아웃 발생 확률이 30%로 미리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플레이 할 수 있는 가상의 선수달 각각에 대해 능력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유도 영역에 대해 가상 타자의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할 확률을 미리 설정하지 않고, 가상의 타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능력치에 따라 상기 확률을 계산하여 그 계산된 확률을 상기 유도 영역에 대해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능력치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에 표시할 유도 영역의 개수 및 유동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데, 예컨대 가상의 타자의 능력치가 낮을수록 표시할 유도 영역의 개수가 증가하도록 할 수 있고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들 중에서 사용자가 좀 더 투구하기 쉬운 위치에 유도 영역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반대로 가상의 타자의 능력치가 높을수록 표시할 유도 영역의 개수는 감소하고 스트라이크존 상에서 사용자가 던지기 어려운 위치에 유도 영역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상기한 바와 같은 유도 영역(102)을 헛스윙 유도 영역과 아웃 유도 영역으로 구분하여 동시에 표시하거나 둘 중 어느 한 가지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는데, 도 4의 (b)에서는 스트라이크존(SZ) 상의 R3 영역에 헛스윙 유도 영역(102a)이 설정되어 표시되고, R8 영역에 아웃 유도 영역(102b)이 설정되어 표시되는 경우로서, 헛스윙 유도 영역(102a)과 아웃 유도 영역(102b)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는, 상기 헛스윙 유도 영역(102a)에 사용자의 투구된 볼이 도달하는 경우에는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을 하는 영상이 구현되고, 상기 아웃 유도 영역(102b)에 사용자의 투구된 볼이 도달하는 경우에는 가상의 타자가 볼을 타격하여 땅볼 아웃이 되거나 플라이 아웃이 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크존(SZ)에 헛스윙 유도 영역(102a)과 아웃 유도 영역(102b)이 표시된 상태에서, 헛스윙 유도 영역(102a)으로 볼을 투구하여 가상의 타자로 하여금 헛스윙 삼진 아웃을 유도하거나 아웃 유도 영역(102b)으로 볼을 투구하여 가상의 타자로 하여금 땅볼 아웃이나 플라이 아웃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들과 달리 사용자에게 제구에 의한 볼 피칭의 흥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한 바와 같은 헛스윙 유도 영역(102a) 및 아웃 유도 영역(102b)을 랜덤하게 결정된 개수로 랜덤하게 결정된 위치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현재 타석에 들어선 가상의 타자의 타격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는 것은 상기한 유도 영역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헛스윙 유도 영역(102a) 및 아웃 유도 영역(102b) 각각에 대해 헛스윙이나 땅볼 또는 플라이 아웃이 발생할 확률을 각각 미리 설정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가상의 타자의 능력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확률을 계산하여 설정할 수도 있고, 스트라이크존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확률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한 도 3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의 S72 단계 이후에 진행될 수 있는 단계(A)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볼을 투구한 것이 스트라이크존 상의 유도 영역에 도달하지 않고 다른 분할된 영역들 중 하나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투구된 볼이 도달한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 특정하여 표시한다(S100).
상기한 바와 같은 위험 영역이 표시되면, 제어부는 이후부터의 해당 사용자의 투구에 의해 볼이 상기 위험 영역에 도달하는 것으로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판단하게 되면 가상의 타자가 볼을 타격하여 파울을 내거나, 안타나 홈런을 치는 것으로 설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트라이크존 상에 위험 영역이 표시된 후에, 사용자가 투구를 하는 것이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경우(S110), 센싱부는 사용자의 투구된 볼이 스크린에 도달하는 위치를 센싱하고(S120),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존 상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S130).
만약 사용자의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존의 외부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는 가상의 타자에 대한 볼카운트에 "볼" 기록이 되도록 한다(S132).
만약 사용자의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존 상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는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투구된 볼의 위치 좌표 정보를 산출하고 이에 따라 상기 투구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유도 영역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140).
만약 상기 사용자의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존 상의 유도 영역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는 유도 영역에 볼이 도달한 경우에 대해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가상의 타자에 의한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도록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S141).
만약 상기 사용자의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존 상의 위험 영역에 도달한 경우(S150), 제어부는 위험 영역에 볼이 도달한 경우에 대해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가상의 타자에 의한 파울,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도록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S151).
만약 상기 사용자의 투구된 볼이 유도 영역 및 위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분할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을 하거나 볼거르기를 하고 이에 따라 볼카운트에 "스트라이크" 기록이 된다(S152).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도 5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에 따른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야구 게임 장치의 스크린(20) 상에 투영되는 영상의 일 예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가 스크린(20)을 향하여 투구를 할 때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에서 보이는 영상을 나타낸 것이며, 도 6의 (b)에서 나타내는 영상은 (a)에서 나타내는 영상 이후에 구현되는 것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타자(VB)가 공격하고 가상의 포수(VC)가 포구하는 영상 상에 스트라이크존(SZ)이 표시되는 것에 대해 영상이 구현되며, 도면 상에서 스트라이크존(SZ) 내부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각각을 지칭하여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스트라이크존(SZ)과 마찬가지로 R1 영역부터 R9 영역까지 9개로 분할된 영역을 갖는다.
그리고, 제어부는 앞서 설명한 유도 영역에 관한 사항에 따라 스트라이크존(SZ) 상의 특정 분할 영역에 대해 유도 영역(102)으로서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유도 영역에 관하여는 이미 충분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볼을 투구하였을 때 그 투구된 볼(1)이 스트라이크존(SZ) 상의 R1 영역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는 가상의 타자(VB)가 헛스윙을 하거나 볼거르기를 하도록 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볼카운트에 "스트라이크"가 기록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투구를 한 후 상기 사용자가 다음 투구를 할 때, 제어부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크존(SZ)의 R1 영역을 위험 영역(112)으로 특정하여 색상 등에 있어서 다른 영역들과 구분되어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는 상기 위험 영역(112)에 대해 가상의 타자에 의한 파울, 안타 및 홈런이 발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투구된 볼이 위험 영역(112)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위험 영역에 대해 설정된 사항에 따라 가상의 타자에 의하여 파울, 안타 및 홈런이 발생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위험 영역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이 가상의 타자가 파울, 안타 및 홈런이 되는 각각의 경우에 대해 발생할 확률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파울, 안타 및 홈런 중 하나 또는 두 가지만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상기 위험 영역에 대해 안타 확률 60%, 홈런 확률 30% 등으로 그 발생 확률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0%의 확률이나 100%의 확률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어부는 상기한 안타의 경우 1루타 발생 확률, 2루타 발생 확률 및 3루타 발생 확률의 각 세분화된 경우에 대해 각각 발생 확률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위험 영역에 대해 설정되는 확률을 가상의 타자의 타격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가상의 타자의 타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홈런 기록이 많은 경우, 제어부는 상기한 위험 영역에 대해 안타 확률보다 홈런 확률을 더 높게 설정할 수도 있고, 가상의 타자의 타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루타 기록이 많은 경우, 제어부는 1루타 확률을 가장 높게 설정하고 나머지 안타 및 홈런에 대한 확률을 상기 타격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하거나 랜덤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발생 확률을 스트라이크존 상에서의 위험 영역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스트라이크존에서 위험 영역이 낮은 위치일수록 안타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하도록 설정하고 위험 영역이 놓은 위치일수록 홈런이 발생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더 증가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6의 (b)에 도시된 스트라이크존(SZ)에서 가장 낮은 위치의 분할 영역들 중 하나에 위험 영역이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는 1루타 확률 50%, 2루타 확률 30%, 3루타 확률 15%, 홈런 확률 5% 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가장 높은 위치의 분할 영역들 중 하나에 위험 영역이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는 1루타 확률 40%, 2루타 확률 30%, 3루타 확률 20%, 홈런 확률 10%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플레이 할 수 있는 가상의 선수달 각각에 대해 능력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위험 영역에 대해 가상 타자의 안타 및 홈런의 발생 확률을 미리 설정하지 않고, 가상의 타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능력치에 따라 상기 발생 확률을 계산하여 그 계산된 확률을 상기 위험 영역에 대해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같은 위치에 볼을 반복하여 투구하게 되면 타자가 투구에 익숙하게 되어 안타나 홈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볼을 투구하게 되므로 실제 야구 경기에서와 같은 투수와 타자의 신경전, 그리고 투수의 실투에 의한 안타나 홈런 등의 상황을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야구 게임 장치를 통해서 경험할 수 있다는 특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 번 투구한 위치가 위험 영역으로 설정된 후에도 안타나 홈런이 발생하는 것이 확률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다음 투구에서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위험 영역에 도달하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안타나 홈런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가 해당 위험 영역에 대해 그 전에 설정해 놓은 안타나 홈런의 발생 확률을 더욱 증가시키도록 하여 더욱 위험하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색상을 더욱 진하게 표시하거나 깜빡거림 또는 그라데이션 변화 등을 추가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의 (a) 내지 (c)는 영상 상의 스트라이크존 부분만을 나타낸 것인데, 도 7의 (a)는 사용자의 n번째 투구시의 스트라이크존을, 도 7의 (b)는 사용자의 n+1번째 투구시의 스트라이크존을, 그리고 도 7의 (c)는 사용자가 n+2번째 투구를 할 차례가 되었을 때의 스트라이크존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n = 1, 2, 3 ... 등의 자연수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R1 ~ R9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을 갖는 스트라이크존이 영상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n번째 투구를 한 결과, 투구된 볼(1)이 R1 영역에 도달한 경우 가상의 타자는 헛스윙 또는 볼거르기를 할 수 있고 "스트라이크"로 기록이 된다.
이때, 제어부는 상기 R1 영역을 1차 위험 영역(112a)으로 설정하고 그 영역에 대해 파울,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의 발생에 관한 확률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n+1번째 투구가 시작될 때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1 영역을 미리 설정된 색상 등으로 다른 영역들(R2 ~ R9)과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한다.
사용자의 n+1번째 투구에 따라,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구된 볼(1)이 상기 1차 위험 영역(112a)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는 해당 영역에 대해 설정된 확률에 따라 가상의 타자가 액션하는 상황에 대해 영상이 구현되도록 한다.
만약, 1차 위험 영역(112a)으로 온 볼을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지 못하거나 파울 등을 내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1차 위험 영역인 R1 영역을 2차 위험 영역(112b)으로 다시 설정하고 그 영역에 대해 이전에 설정된 안타나 홈런에 대한 확률을 더욱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더 높은 확률로 미리 설정된 수치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n+2번째 투구의 차례가 되었을 때,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R1 영역을 이전보다 더욱 진한 색상으로 표시하는 등 이전 보다 더욱 구분되는 표시로 더욱 위험한 영역이라는 것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이번에도 상기 2차 위험 영역(112b)에 볼을 던진 경우에는, 가상의 타자가 더욱 높은 확률로 안타나 홈런을 치게되는 영상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및 이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은, 사용자로 하여금 볼의 제구에 대한 재미와 볼의 제구가 성공했을 때 실제 야구 경기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상의 타자를 헛스윙, 땅볼 아웃, 플라이 아웃 등으로 유도하게 하는 재미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같은 위치에 볼을 반복하여 투구하게 되면 타자가 투구에 익숙하게 되어 안타나 홈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볼을 투구하게 되므로 실제 야구 경기에서와 같은 투수와 타자의 신경전을 체험할 수 있다는 특장점이 있다.
SZ: 스트라이크존, VB: 가상의 타자
R1~R9: 스트라이크존 상의 분할된 영역, 102: 유도 영역
102a: 헛스윙 유도 영역, 102b: 아웃 유도 영역
112: 위험 영역, 112a: 1차 위험 영역
112b: 2차 위험 영역, 200: 센싱부
300: 제어장치, 310: 제어부
320: 데이터저장부, 330: 영상구현부

Claims (17)

  1. 스크린에 투영되는 가상 야구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영상 상의 가상의 선수와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으로서,
    가상의 타자 및 가상의 포수를 포함하는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위한 영상을 구현하며, 영상 상에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을 갖는 스트라이크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유도 영역으로 특정하여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크린을 향하여 볼을 투구함에 따라 센싱부가 상기 투구되어 운동하는 볼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되어 수집되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운동하는 볼에 대한 각 이미지 상에서의 3차원 공간상의 좌표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좌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투구되어 운동하는 볼에 대한 볼 운동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볼 운동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스크린에 도달하는 위치를 산출하여 상기 투구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영역에 도달하는지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유도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영역으로 특정하여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에서 미리 설정된 개수 범위 내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개수로 랜덤하게 선택된 영역을 상기 유도 영역으로서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영역으로 특정하여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는,
    가상의 선수들 각각에 대한 타격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한 타격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타격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특정하여 상기 유도 영역으로서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야구 게임 장치는 상기 유도 영역으로서,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도달했을 때 상기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헛스윙 유도 영역과,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도달했을 때 상기 가상의 타자가 땅볼 아웃 또는 플라이 아웃되도록 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아웃 유도 영역 중 적어도 한 가지에 대해 미리 설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도 영역으로 특정하여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유도 영역에 대해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의 일부 영역에 상기 헛스윙 유도 영역 및 아웃 유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유도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에 의한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것에 대해 미리 설정된 확률 또는 가상의 선수들 각각에 대한 타격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한 타격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된 확률에 따라 상기 가상의 타자에 의한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는 게임 내 플레이 가능한 가상의 선수 각각에 대해 타격 능력치를 미리 설정하며,
    상기 유도 영역으로 특정하여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타격 능력치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에 표시할 유도 영역의 개수 및 유도 영역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는 게임 내 플레이 가능한 가상의 선수 각각에 대해 타격 능력치를 미리 설정하며,
    상기 유도 영역으로 특정하여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유도 영역이 특정되어 표시됨에 따라 상기 유도 영역에 상기 사용자의 투구된 볼이 도달하였을 때 상기 가상의 타자에 의한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것에 대한 확률을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능력치에 따라 산출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유도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유도 영역에 대해 설정된 확률에 따라 상기 가상의 타자에 의한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8. 스크린에 투영되는 가상 야구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영상 상의 가상의 선수와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으로서,
    가상의 타자 및 가상의 포수를 포함하는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위한 영상을 구현하며, 영상 상에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을 갖는 스트라이크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유도 영역으로 특정하여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크린을 향하여 볼을 투구함에 따라 상기 투구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영역에 도달하는지 센싱하는 단계; 및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유도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에서 상기 유도 영역이 아닌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볼의 도달에 따라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해 스트라이크 판정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에서 상기 볼이 도달한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서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투구에 따라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위험 영역에 도달하는 것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여 파울,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9. 스크린에 투영되는 가상 야구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영상 상의 가상의 선수와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으로서,
    가상의 타자 및 가상의 포수를 포함하는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위한 영상을 구현하며, 영상 상에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을 갖는 스트라이크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크린을 향하여 볼을 투구함에 따라 상기 투구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영역에 도달하는지 센싱하는 단계;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하나의 영역에 도달한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해 스트라이크 판정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도달한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서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및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위험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여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영역으로서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트라이크존 내의 특정 영역이 상기 위험 영역으로 표시됨에 따라, 상기 위험 영역에 대해 상기 가상의 타자가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할 확률을 미리 설정된 수치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여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다음 투구에 따라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에 표시된 상기 위험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수치에 따른 확률로 상기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것도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위험 영역에 대해 상기 가상의 타자가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할 확률로서 이전에 설정된 수치보다 더 높은 수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는 게임 내 플레이 가능한 가상의 선수 각각에 대해 타격 능력치를 미리 설정하며,
    상기 위험 영역으로서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트라이크존 내의 특정 영역이 상기 위험 영역으로 표시됨에 따라, 상기 위험 영역에 대해 상기 가상의 타자에 의한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할 확률을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능력치에 따라 산출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여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다음 투구에 따라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에 표시된 상기 위험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위험 영역에 대해 설정된 확률에 따라 상기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12. 스크린에 투영되는 가상 야구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영상 상의 가상의 선수와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로서,
    가상의 타자 및 가상의 포수를 포함하는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위한 영상을 구현하고,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을 갖는 스트라이크존을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가 볼을 투구함에 따라 상기 가상의 타자가 액션을 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구현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투구되어 운동하는 볼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그 촬영되어 수집되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운동하는 볼에 대한 각 이미지 상에서의 3차원 공간상의 좌표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좌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투구되어 운동하는 볼에 대한 볼 운동 모델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볼 운동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스크린에 도달하는 위치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영역에 도달하는지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하는 경우 스트라이크로 판정하고,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유도 영역으로 특정하여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유도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도 영역으로서,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도달했을 때 상기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헛스윙 유도 영역과,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도달했을 때 상기 가상의 타자가 땅볼 아웃 또는 플라이 아웃되도록 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아웃 유도 영역 중 적어도 한 가지에 대해 미리 설정하고 그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의 일부 영역에 상기 헛스윙 유도 영역 및 아웃 유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의 타자에 의한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 확률을 미리 설정하거나 가상의 선수들 각각에 대한 타격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한 타격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확률을 결정하여,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유도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미리 설정된 확률 또는 결정된 확률에 따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15. 스크린에 투영되는 가상 야구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영상 상의 가상의 선수와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로서,
    가상의 타자 및 가상의 포수를 포함하는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위한 영상을 구현하고,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을 갖는 스트라이크존을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가 볼을 투구함에 따라 상기 가상의 타자가 액션을 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구현부;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영역에 도달하는지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하는 경우 스트라이크로 판정하고,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유도 영역으로 특정하여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유도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헛스윙, 땅볼 아웃 및 플라이 아웃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하는 경우 해당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서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며, 그 이후에 상기 사용자의 투구에 따라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위험 영역에 도달하는 것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여 파울,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16. 스크린에 투영되는 가상 야구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영상 상의 가상의 선수와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로서,
    가상의 타자 및 가상의 포수를 포함하는 야구 연습 또는 야구 게임을 위한 영상을 구현하고,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을 갖는 스트라이크존을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가 볼을 투구함에 따라 상기 가상의 타자가 액션을 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구현부;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영역에 도달하는지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상의 복수개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하는 경우 스트라이크로 판정하고,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도달한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서 다른 영역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위험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여 파울,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의 타자에 의한 파울, 안타 및 홈런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 확률을 미리 설정하거나 가상의 선수들 각각에 대한 타격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상기 가상의 타자에 대한 타격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확률을 결정하여,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투구한 볼이 상기 위험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타자가 파울, 안타 및 홈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미리 설정된 확률 또는 결정된 확률에 따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KR1020160103050A 2016-08-12 2016-08-12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및 이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KR101858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050A KR101858049B1 (ko) 2016-08-12 2016-08-12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및 이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US16/322,501 US11040287B2 (en) 2016-08-12 2017-07-14 Experience-oriented virtual baseball game apparatus and virtual baseball gam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PCT/KR2017/007573 WO2018030656A1 (ko) 2016-08-12 2017-07-14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및 이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TW106126853A TWI658855B (zh) 2016-08-12 2017-08-09 體驗型虛擬棒球比賽裝置及利用其的虛擬棒球比賽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050A KR101858049B1 (ko) 2016-08-12 2016-08-12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및 이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096A KR20180018096A (ko) 2018-02-21
KR101858049B1 true KR101858049B1 (ko) 2018-06-28

Family

ID=6116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050A KR101858049B1 (ko) 2016-08-12 2016-08-12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및 이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40287B2 (ko)
KR (1) KR101858049B1 (ko)
TW (1) TWI658855B (ko)
WO (1) WO20180306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9445B2 (en) * 2016-08-10 2019-08-06 Stephen Joseph Stemle Video analytics for human performance
WO2018237256A1 (en) 2017-06-22 2018-12-27 Centurion VR, LLC SIMULATION OF VIRTUAL REALITY
CN111420366A (zh) * 2019-01-10 2020-07-17 王珏 一种自驱动体育识别***
TWI702513B (zh) * 2019-10-04 2020-08-21 謝秉恆 虛擬實境棒球打擊訓練系統及其方法
KR102249014B1 (ko) * 2020-07-28 2021-05-06 조명환 물리 공간 상의 가상 공간 할당 및 분할을 통한 수요층 할당 및 리워딩 시스템
KR102489290B1 (ko) * 2020-11-20 2023-01-1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처리와 위치추적 기술을 활용한 작업장 내 위험지역 접근 감지 및 알림 시스템 및 방법
US11278784B2 (en) 2021-02-14 2022-03-22 Breakout Hitting Llc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US20230241455A1 (en) * 2022-01-31 2023-08-03 Breakout Hitting Llc Train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592A (ja) * 2000-04-05 2001-10-16 Takamitsu Kanazawa 対戦式ストラックアウ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9947A (ja) * 1998-02-19 1999-11-02 Purareizu:Kk バ―チャルゲ―ム装置
US6985206B2 (en) * 2003-06-02 2006-01-10 Anderson James R Baseball pitch speed measurement and strike zone detection devices
JP5076217B2 (ja) * 2007-12-27 2012-11-21 有限会社ラルゴ 野球のピッチングシステム
US8579734B2 (en) * 2009-07-02 2013-11-12 Stephen Joseph Stemle Throwing target, system, and method
KR101193108B1 (ko) 2010-07-13 2012-10-19 석희곤 투구연습장치
US8774467B2 (en) * 2010-08-05 2014-07-08 Michael C. Ryan Predictive flight path and non-destructive marking system and method
US9072953B2 (en) * 2012-04-16 2015-07-07 Darrell J Moore Pitching device and method for baseball and softball sports
JP5963109B2 (ja) * 2012-07-06 2016-08-03 株式会社セガゲームス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US10549165B2 (en) * 2013-03-15 2020-02-04 Wilson Sporting Goods Co. Ball sensing
KR20150109614A (ko) * 2014-03-20 2015-10-02 조찬길 적외선센서바를 이용한 투수용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1505931B1 (ko) 2014-05-07 2015-03-25 (주)스크린게임연구소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서비스 방법
JP6312059B2 (ja) * 2014-11-28 2018-04-18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599809B1 (ko) * 2015-01-13 2016-03-0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야구 게임 제어 장치
KR101543371B1 (ko) 2015-03-25 2015-08-21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스크린 야구 시스템 경기 방법
KR101546666B1 (ko) 2015-03-25 2015-08-25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스크린 야구 시스템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592A (ja) * 2000-04-05 2001-10-16 Takamitsu Kanazawa 対戦式ストラックアウ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40287B2 (en) 2021-06-22
TWI658855B (zh) 2019-05-11
TW201805049A (zh) 2018-02-16
US20190201794A1 (en) 2019-07-04
WO2018030656A1 (ko) 2018-02-15
KR20180018096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049B1 (ko)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및 이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JP5641263B2 (ja) 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これを含むシステム及び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KR101744042B1 (ko) 야구 연습 장치에 이용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과, 이를 이용한 야구 연습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970677B1 (ko) 퍼팅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TWI565505B (zh) 不受時間和空間限制模擬棒球比賽裝置
KR102045449B1 (ko) 가상 테니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94204B1 (ko) 스크린 야구 게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타자 모드, 투수 모드, 포수 모드, 야수 모드 구현 방법
US11826628B2 (en) Virtual reality sport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US10668354B2 (en) Play device for a rebound sport
KR101912126B1 (ko) 야구 연습 장치에 이용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과, 이를 이용한 야구 연습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70073123A (ko) 야구 연습 장치, 이에 이용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과, 볼 피칭 제어 방법
KR102002006B1 (ko) 하이브리드 에어하키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0358A (ko) 심판 기능이 포함된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200022918A (ko) 투구 위치 유도 스크린 야구 게임 시스템 및 투구 위치 유도 방법
KR20170085460A (ko) 야구 연습 장치에 이용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과, 이를 이용한 야구 연습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58111A (ko) 골프레슨 정보제공을 위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골프레슨 정보제공을 위한 정보 처리방법
KR20150025833A (ko) 골프레슨 정보제공을 위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골프레슨 정보제공을 위한 정보 처리방법
KR102321472B1 (ko)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1865579B1 (ko)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및 이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KR102439549B1 (ko) 골프스윙에 대한 센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럽헤드의 임팩트 위치 센싱방법
US20240033597A1 (en) Hybrid golf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372299B1 (ko) 골프코스가 투영되는 실외골프연습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기기 및 컴퓨터
TW202402362A (zh) 混合高爾夫系統及控制其的控制部的自動得分計算方法
JP2024073488A (ja) パッティング装置、パッティング装置の動作方法、仮想ゴルフ装置、及び仮想ゴルフ装置の動作方法
JP2022019842A (ja) 戦術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